공포의 사막메뚜기떼 8천만마리! 순식간에 3만명분 식량을 먹어치운다 [2021-2022 UHD환경스페셜 기후변화 특집 지구의 경고 6편 식량위기] / KBS 20211118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84,917

환경스페셜

환경스페셜

Жыл бұрын

▶ "지구의 온도가 1 올라갈 때마다 식량의 6~7가 줄어든다.
만일 지구 온도가 3도 올라간다면 20%의 식량이 줄어들 것이다”
- 막심 팀머만 IBS기후물리단단장-
식량위기로 이어지는 기후재앙 전세계 전문가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최악의 식량위기가 닥쳐올 것이라며 경고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일어나는 기상이변은 이제 일상이 되었다. 홍수 가뭄, 산불, 병충해로 인해 농경지는 줄어들고 농산물의 품질은 떨어지고 있다. 그 결과는 생산량 감소다. 기후변화가 곧 식량위기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과연 기후변화는 어떻게 식량위기를 일으키고 있을까. 전세계에, 그리고 한국 땅에 식량위기는 어떤 모습으로 오고 있을까.
▶ "가뭄 비상사태가 선포된 케냐. 기후변화로 220만 명의 인구가 굶주리고 있다"
동아프리카의 부국 케냐가 심각한 식량위기를 겪고 있다. 나이로비에서 자동차로 7시간 떨어진 지역, 이시올로는 극심한 가뭄으로 더 이상 농사를 짓지 못하게 되면서 가축과 사람이 모두 굶주리고 있다. 이렇게 기근에 놓인 사람들이 220여만 명. 대통령이 가뭄 비상사태를 선포한 가운데 국민들은 심각한 기근을 견디고 있다.
▶ 이시올로엔 지난해 70년 만에 사막메뚜기 떼까지 출현하면서 농경지가 초토화됐다. 하루만에 3만 5천명분의 작물을 먹어치우는 사막메뚜기 떼가 케냐까지 오게 된 것은 바로 기후변화 때문이다. 인도양의 수온이 올라 생긴 사이클론이 아라비아반도에 사막호수를 만들어 사막메뚜기를 키웠고, 이례적으로 8차례나 발생한 사이클론이 사막메뚜기를 케냐까지 날아오게 만든 것이다. 가뭄과 홍수, 사막메뚜기떼의 습격 등 3중고로 인해 어마어마한 농작물피해를 입은 케냐에서 기후변화와 식량위기의 상관관계를 찾아본다.
▶"물이 없어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된 캘리포니아의 농부들"
선진국도 예외는 아니다. 세계의 곡창지대인 미국 캘리포니아 역시 가뭄으로 신음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에서 35년째 농사를 지어온 조 보스쿠 씨는 올해 50만㎡의 농지에 작물을 심지 못했다. 지금 재배하고 있는 아몬드 나무도 열매를 제대로 맺지 못한 상태라 내년엔 모두 뽑아버릴 예정이다. 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 22년째 계속되는 가뭄으로 이미 98퍼센트가 가뭄상태에, 64%는 심각한 가뭄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미 서부지역. 이곳에선 농부 보스쿠씨처럼 농작물에 가뭄 피해를 입거나 농사를 포기하는 농가도 늘어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수확량이 줄어들면서 옥수수, 밀, 대두의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고, 그것은 곧 세계 곡물가격의 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철저히 국제 분업화 되어있는 세계 농산물시장, 곡물자급률 21.% 한국의 식량 위기는? 올해 전라북도 지역은 벼 재배면적의 50% 가까이가 병충해 피해를 입어 소출이 급감했다. 완도의 양식장은 바다 수온 상승으로 전복이 절반 가까이 폐사했다. 기후변화로 한국의 농수산업도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한국은 식량의 78.6%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세계 7위의 식량수입국이다. 식량자급률은45.8%, 사료를 포함한 곡물 자급률은 21.4%에 그친다. 만일 곡물수입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닥친다면, 혹은 수입곡물의 가격이 급등한다면, 식량위기는 현실화될지도 모른다.
▶ 철저한 국제적 분업으로 돌아가는 세계 농산물 시장에선 한 곡물이 기후변화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할 경우 해당 곡물의 수출은 제한되고 가격은 급등하게 된다. 지난해 초, 코로나19가 발생하자, 주요 쌀 수출국들이 수출을 전면 금지면서 쌀값이 폭등하게 됐던 것처럼.
기후위기는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과연, 다가올 식량위기를 극복할 대안은 있을까?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미 서부에선 농지 휴경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작물을 심지 않는 대신 농부들에게 금전적 보상을 해주고 그렇게 남는 물을 도시의 생활용수로 쓰는 것이다. 케냐에선 유엔식량농업기구의 구호프로그램으로 먹을 것을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근본적인 대안이 아니다. 뜨거워지는 지구를 멈추지 않는다면, 기후변화는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게 될 것이라고, 지금 지구는 우리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 이 영상은 [UHD환경스페셜 기후변화 특집 지구의 경고 6편 식량위기(2021년 11월 18일 방송)]입니다. 일부 내용이 현재와 다를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국내 최초 환경 전문 다큐멘터리, 환경스페셜 공식채널입니다.
구독/좋아요/알림설정!
▶구독:url.kr/ikg6th
▶방송 다시보기(홈페이지): program.kbs.co.kr/2tv/culture/...

Пікірлер: 115
@KD-uo7tk
@KD-uo7tk Жыл бұрын
자원이 없는 국가에서 유일하게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한국의 농업인들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w9513
@w951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가장 식량위기에 타격큰나라입니다. ..대부분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모르시나요? 기후위기가 심해지면 세계 식량은 자급자족하느라..수출금지시기도 올수 있습니다. 그때가 이제 얼마남지 않은듯합니다..30년안에 올것입니다.. 식량위기는 옵니다.
@mi_dong
@mi_dong Жыл бұрын
@@w9513 그래서 농업인들이 중요하고 고맙다고 하는거 아닌가요.
@user-lc4fe3gx7t
@user-lc4fe3gx7t Жыл бұрын
나라 창고에는 쌀이 넘쳐난다는데 몬일이래 ?
@STARGATE_SGC
@STARGATE_SGC Жыл бұрын
@@mi_dong 현실은 농업인들은 죽어가고 있습니다. 들어간 노동력과 돈에 비해서 농산물을 생산을 해도 나오는 돈이 없어서요!
@manrico736
@manrico736 Жыл бұрын
자연은 인간이 필요없지만.....인간은 자연이 필요하다.. 자연은 내비두면 ...자연스럽게 균형을 맞춘다... 자연을 최악으로 방해하는 것이 인간이다...
@user-fe5gl6hb5c
@user-fe5gl6hb5c Жыл бұрын
땅이 메말라 가는걸 막으려면 단 한가지... 목재를 때려박아야함.... 장마철에 그 물을 다 흡수하고 건조할때는 수분 증발이 늦음. 거기 식물을 키운다면 건조해도 물을 조금만 주면 그만임. 물의 대부분은 흐르거나 증발하거나 지하로 흡수함.
@mr.grinchee3277
@mr.grinchee3277 Жыл бұрын
아프라카에 가뭄, 홍수문제가 하루 이틀만에 일어난 일도 아닌데 뭔 호들갑? 우리 할머니도 살아생전에 아프리카인들은 굶고, 가뭄에 살기 힘들다고 하셨다.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그렇게 살아가고 있음. 삶을 개선할 의지도 없고 하늘 탓만하며 살고 있고...
@user-nn1fz8jz9z
@user-nn1fz8jz9z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채소가격 오른걸 기후변화로 엮는게 좀 웃긴게 산지에서는 배추가격 몇년째 그대로임 ㅋㅋ유통 중간단계에서 이득을 취해서 오르는걸 ㅋㅋ오징어도 마찮가지 미친듯이 잡힘 근데 가격이 안내림 왜냐... 너무 많이 풀면 가격이 떨어지니 왕창 냉동창고에 얼려놓고 조금씩 뺌 ㅋㅋㅋ참외도 마찬가지 감당못할정도로 많이 수확됨 근데 너무 많이 수확되면 가격이 떨어지니 수확량을 절반은 땅을 파고 묻어버림 ㅋㅋㅋ 시금치 겨울 제철에 농민들이 파는가격 한단에 천 몇백원함 ㅋㅋ그게 도시로 오면 다시 몇배로 뜀 과연 기후변화보다 무서운 중간유통임 ㅋㅋㅋ
@modu-modu
@modu-modu Жыл бұрын
오징어가 미친듯이 잡힌다고? ㅋㅋㅋㅋㅋ 아무 근거도 없이 뇌피셜로 떠드는거 보소 ㅋㅋㅋㅋ 통계자료 한번이라도 봤냐?
@user-lc4fe3gx7t
@user-lc4fe3gx7t Жыл бұрын
맞는말씀
@user-lc4fe3gx7t
@user-lc4fe3gx7t Жыл бұрын
​@@modu-modu 바닷가 새벽에 나가봇ᆢ 오징엇배 에 얼만큼의 오징어가 실려오는지 냉동창고에 감춰놓고 쪼끔씩 쪼끔씩 판단다
@user-handle713
@user-handle713 Жыл бұрын
이게 개구라가 아닌 듯할 수 밖에 없는 ㄹㅈㄷ 국가 머한민국
@tereyja
@tereyja Жыл бұрын
중간유통이 과도한 마진 취하는건 맞지만 참외를 밭에 묻는다거나 하는건 과도한 비약. 전국 참외 재배면적이 3,400ha(천만평 이상)인데 단합해서 반은 폐기한다는건 말도 안됨
@user-ue9kt5lv3t
@user-ue9kt5lv3t Жыл бұрын
이 때문에 나라의 경계는 서서히 허물어지고 자연스레 어려운 환경에 사는 인구는 풍족한 나라에 흡수되겠죠 그렇게 또 자원과 식량고갈 폭동으로 사회문제가 전쟁으로 번지고 아휴
@seunghyeok9191
@seunghyeok9191 Жыл бұрын
그게다 자본가들 철저한 계획임 코로나 뿌릴때부터 인구감축 그 다음 계획이 식량난 물가상승 돈 싹쓸이 빌게이츠놈은 미리 코로나 터트리고 미국농가 수십만평 사드림 세계는 1프로 자본가들에 움직입니다
@KPZ-50T
@KPZ-50T Жыл бұрын
흙탕물을 식수로 사용하다니 ㅠ.ㅠ 진짜 슬프네요. 대한민국에 살고있는 게 진짜 축복임... 노력만하면 먹고 사는 건 가능하니...
@user-ry9ed5io4k
@user-ry9ed5io4k Жыл бұрын
맞네 축복이야
@modu-modu
@modu-modu Жыл бұрын
자살률 1위, 출산율 꼴찌인 나라에서 태어난게 축복이라고? ㅋㅋㅋㅋㅋ 웃고갑니다 ㅋㅋㅋㅋ
@user-zi6iq1vp3m
@user-zi6iq1vp3m 10 ай бұрын
비교할걸 비교해라 😮
@heartafire82
@heartafire8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전세계 그 어느나라보다도 이 문제에 대해 실질적인 해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user-hb1dq3fj2p
@user-hb1dq3fj2p Жыл бұрын
인구는 증가하고 식량은 메말라가고 있으니 그중에 갑부들은 문제없지만 빈곤층과 서민들은 서서히 다 죽어가고...그후에는 지구에종말...언제쯤일까???????
@Norapname74
@Norapname74 Жыл бұрын
인구 감소세임
@KPZ-50T
@KPZ-50T Жыл бұрын
인구 줄어드는중 근데 그전에 이미 포화였지
@user-wv3pu7qq4g
@user-wv3pu7qq4g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 토인들 못사네 굶주리네 우는소리 해쳐싸도 나날이 인구는 폭증하고 유아사망율 내려가고 평균수명까지 늘고 있으니 걱정nono. 더 잘살아먹겠다고 세계 곳곳으로 이민오거나 망명처오는거 막을 걱정만 하면 됨
@zhhhqhg761d
@zhhhqhg761d Жыл бұрын
@@KPZ-50T인구는 지금 계속 증가중입니다.. 이미 80억이고 2050년엔 100억명까지 증가할거라 예측하고있고요 한중일같은 저출산국만 감소중이죠
@user-mr6rs1lv4m
@user-mr6rs1lv4m Жыл бұрын
이모든것이ᆢ성경예언대로가고있다는것을ᆢ
@user-nj2ur6jg1n
@user-nj2ur6jg1n Жыл бұрын
15:25 두산
@user-gx2jl4hh9m
@user-gx2jl4hh9m Жыл бұрын
메뚜기도 식량이다.. 아프리카 굶는 300만명 식량으로 활용하자라.
@user-oc6de3xx8l
@user-oc6de3xx8l 9 ай бұрын
인간에게 있어서 물(담수)는 매우 중요한 자원인것 같아요...올해는 폭우로 물이 많지만 늘 물이 풍부하지는 않을것입니다.. 비가 오지 않을경우도 대비할 필요가 있을것 같아요..
@user-js5ci5uj9w
@user-js5ci5uj9w Жыл бұрын
사람이 너무 많다는 건 생각안한다
@ohk92
@ohk92 Жыл бұрын
일본 한 학교에서 급식으로 곤충 썼다가 알레르기 때문에 없어졌어요. 우리나라도 알레르기로 고생하는 사람 많아서.. 만약 대중화로 흔하게 먹게된다면 일일이 확인하고 먹어야 해서 스트레스 장난 아닐듯 ㅠㅠ
@dong-kyukim2833
@dong-kyukim2833 Жыл бұрын
미래의 식량인 소중한 메뚜기
@bhc7624
@bhc7624 Жыл бұрын
열차에선 바쿠선생만 있으면 양갱이를 만들어요!
@maham2823
@maham2823 Жыл бұрын
메뚜기 잡아 말려서 가루로 만들어 식량으로 대체하면 좋겠다.
@bahkhwimyung1048
@bahkhwimyung1048 Жыл бұрын
날씨가 따뜻해지면 생명체는 번성하며, 날씨가 추워지면 생명체는 살아가기 어렵게 됩니다. 단지, 기온의 변화가 생기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힘들어질 수는 있습니다. 다양한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기후의 변동을 온난화로만 설명하는 과학적 설명은 설득력이 부족합니다. 실제로 지난 수십년간 지구의 대기, 물, 등의 환경과 기아, 가난 등은 많이 개선되어 왔습니다. 식량생산량도 끊임없는 품종 개량으로 그 생산량이 증가해 왔습니다. 이 영상의 설명과는 달리, 2023년 현재 대한민국, 쌀 생산이 많아졌다고 이번 정부에서는 쌀생산이 덜되는 품종으로 바꿔서 심으라고 할 지경이 되었습니다. 인간이 기후에 대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은 나무를 보다 많이 심는 정도입니다.
@Hosanna.Rabonni
@Hosanna.Rabonni 11 ай бұрын
답답하네요 공부를 좀 만 해봐도 생각이 바뀌실거예요 찾아보세요…
@user-bj2iu2vr4z
@user-bj2iu2vr4z Жыл бұрын
자연적으로 개체수 조절하고 있는거여.
@user-yk8it5wi7w
@user-yk8it5wi7w Жыл бұрын
먹을것이 없다.마실물이 없다. 지구의 종말이 다가 오고 있다.
@bhc7624
@bhc7624 Жыл бұрын
메뚜기떼는 불총으로 빵야빵야 해서 화르르륵 잡으면 안되요?
@crittersofearth9914
@crittersofearth9914 Жыл бұрын
Grasshoppers, I like um I’m gunna get some chickens and acouple of ducks x
@user-eu4mw3gg3x
@user-eu4mw3gg3x 9 ай бұрын
11:20 28:00 한국 벼 병충해
@ssibangsae
@ssibangsae Жыл бұрын
【 이젠 주식으로 메뚜기를.. 부식으로 밥을 해먹는 시대가 왔도다. 】
@KPZ-50T
@KPZ-50T Жыл бұрын
메뚜기 시골에서 튀겨서 먹어봤는데 겁나게 고소하긴 했음
@user-pm3mm2bj2p
@user-pm3mm2bj2p Жыл бұрын
저거 메뚜기 식용 안되는거 같던데...
@james-sm1te
@james-sm1te Жыл бұрын
메뚜기를 모셔라 미개한 인간들아~
@youjinkim4706
@youjinkim4706 Жыл бұрын
사막 메뚜기들은 왜 어릴적 보았던 메뚜기보다 징그럽게 생겼어...
@manevemaa5367
@manevemaa5367 Жыл бұрын
식량생산 기술 개발이 발등에 떨어진 불
@didlsnxp
@didlsnxp Жыл бұрын
저거 메뚜기 튀겨묵으믄 안됨? 나름 영양가도 많을텐데......
@noelkim9538
@noelkim9538 Жыл бұрын
독메뚜기 인가보죠.
@user-wv3pu7qq4g
@user-wv3pu7qq4g Жыл бұрын
웃긴건 이렇게 기아에 시달린다는 아프리카 사람들의 인구증가율이 다른대륙의 두배세배네배라는거. 허구헌날 번식하고 모자라는 식량은 니네가 거저 줘! 차라리 "식량이랑 무기주면 이웃부족놈을 노예로 줄게~" 했던 조상들이 차라리 양심적이었음.
@user-jq3xq6vc8s
@user-jq3xq6vc8s Жыл бұрын
파리채 들고 몇마리 잡으면 안주될낀데~
@user-ef7mf4lj4b
@user-ef7mf4lj4b 2 ай бұрын
메뚜기 무섭다
@MMMuniverse952
@MMMuniverse952 Жыл бұрын
얘네들 가지고 음식쓰레기도 제거하면 좋을텐데..
@Norapname74
@Norapname74 Жыл бұрын
ㅍㅋㅋㅋㅋㅋㅋㅋ
@user-bd7om3iw5m
@user-bd7om3iw5m Жыл бұрын
산소를 만드는 해양생물식물을 배양해서 바다에뿌려줘야 인간도살것네 인간의이기적인일이 인간을위협하는구나
@youngteakim4830
@youngteakim4830 10 ай бұрын
1990년대부터 이미 '미래는 식량이 무기이다'하는 주제로 기후변화를 맞아 환경보호를 다룬 매스컴의 기사와 보도가 끊이지 않았음을 또렷이 기억합니다. 25년이 흐른 지금은 2023년입니다. 그동안 기업의 로비에 맞물린 자본일방주의로 지구촌 전체 인구의 단 8퍼센트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보호는커녕 오히려 더더욱 환경파괴만 일삼았습니다. 그 90년대가 기후변화를 그나마 추스를 마지막 기회였습니다. 지구라는 거대한 환경시스템이 악순환으로 빠져들었으니, 회복은 요원할 뿐입니다.
@felixnathanaeljeong-ryu5404
@felixnathanaeljeong-ryu5404 9 ай бұрын
구약성경 출애굽기에 나오는 열 가지 재앙에서 여덟 번째로 나올만도 하네요ㄷㄷ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5 ай бұрын
중국인도 아프리카 얘기인 데 중국인도는 메뚜기떼 한꺼번에 잡아다가 먹을수 있는 기술개발 가능해보여 아프리카로 팔 수도
@user-fp6pu3rk6g
@user-fp6pu3rk6g Жыл бұрын
옛날 군대에서 유격 훈련하면서 힘들고 목이 말라서 길바닥에 흐르는 흙탕물을 먹었던 기억이 나네요
@user-zk5ci5tp8d
@user-zk5ci5tp8d Жыл бұрын
한국엔 쌀이 남아서 썩어가는데...
@user-ew3ls1uo3v
@user-ew3ls1uo3v Жыл бұрын
메뚜기를 잡아먹으면 되지 않을까? 잡아서 말려놓고 먹어도 될듯 ㅋㅋ
@user-so2of4nw3o
@user-so2of4nw3o Жыл бұрын
저 메뚜기 잡아서 식량으로 만들면되겠네..메뚜기튀김인가 구이 우리나라도 예전에는시골에서 먹었었고 현재도 중국시장같은데보면 팔기도하던데 중국애들이 잘먹지않나...
@gusokdo
@gusokdo 4 ай бұрын
메뚜기떼를 포획해서 식량문제를 해결해보면 ???
@user-gz7sv2hp6x
@user-gz7sv2hp6x Жыл бұрын
내가 저곳에 사람이라면 결혼도 안하고 자식도 안 낳는다,답이 없는 현실을 모르나,?
@llililiiiililill
@llililiiiililill 7 ай бұрын
우물 팔 생각도 없고 먹을건 없는데 애는 계속 낳고.. 아무리 지원을 하면 뭐하나 발전이 없는데
@user-dl7mj2ck2t
@user-dl7mj2ck2t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애들을 안낳아야지 이 답답들아 그래도 기본욕구는 못내 있어서 주렁주렁 애들을 낳는 이유가 뭔지 도와주겠자 유엔에서 이건가 지금
@user-cj1jm4tf9s
@user-cj1jm4tf9s Жыл бұрын
말 안한다ᆢ아무것도안한다ᆢ😢😢😢😢
@baek6468
@baek6468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그런데 자막이 좀더 뚜렸하게 보였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저런속에서 애낳는거보면 참 생각들도 없네요 ? 자기들이나 고생하다 죽고 말지 뭐하러 애들까지 낳아서 고생을 시킨답니까 ~
@user-fw6ro3rg9j
@user-fw6ro3rg9j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집없어서 결혼안한다, 애 안낳는다는 말은 핑계임. 내일 굶어 죽어도 줄줄이 낳는데
@sogalhead
@sogalhead Жыл бұрын
그 메뚜기를 먹을 생각을 안하는거지? 맛이 없나? 탄수화물이 단백질로 바뀌는건데 더 이득아님??
@noelkim9538
@noelkim9538 Жыл бұрын
아마도 독메뚜기 인가보죠 뭐.
@user-fz1ku7fc7b
@user-fz1ku7fc7b Жыл бұрын
메뚜기 때가 먹을것이 없어 모든 것을 먹어 치우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욕심이 만든 지옥의 인류 우리 앞에 서 있다
@user-gj7iu1xw8m
@user-gj7iu1xw8m Жыл бұрын
메뚜기 튀겨먹음되지
@user-cj1jm4tf9s
@user-cj1jm4tf9s Жыл бұрын
왠참견이냐ᆢ 죽을란다ᆢ😢😢😢😢
@vvw4527
@vvw4527 Ай бұрын
겨울 가을 봄이 없는 나라 아프맄카 태양빛 때문에 검게 탄 얼굴 흑인이 아닌데
@stevenbyun
@stevenbyun Жыл бұрын
One of the best ways to avoid terrible calamity is to listen to the voice of the Lord and obey! That's why His word is given to us in writing, so we can read the precious word of God and refresh our hearts with it. Because we are born in sin, we sin very easily. And the Lord has said the wages of sin is death. So through self-control and in fear of the Lord as well, we want to walk in the way of the Lord. After all, we want to go home to heaven at the end of our lives here on earth too. In that, He told us to honestly repent of our sins and be reconciled to Him. Then He will forgive us of our sins and make us His eternal sons and daughter of Almighty God! Can you think of a better offer than that anywhere? Receive the Lord's offer! You'll be very glad that you did! See you in His heavenly kingdom, soon! Thank you.
@user-st5np1mo3x
@user-st5np1mo3x Жыл бұрын
아멘 🙏 😊
@user-dvnara
@user-dvnara 9 ай бұрын
주님 곁으로 하루 빨리 가시길 축원합니다.
@user-fw6ro3rg9j
@user-fw6ro3rg9j Жыл бұрын
메뚜기 식용안되냐
@user-ej2oo1og9c
@user-ej2oo1og9c 10 ай бұрын
나래이션 엄청 거슬리네요.. 성우도 아닌거 같은데 왜 이사람이 나래이션하나요?
@user-sg8rq8rt6p
@user-sg8rq8rt6p 10 ай бұрын
차라리 죽는게
@tv4392
@tv4392 Жыл бұрын
나라에서 먹고 살게 해주면 한국바라 나라에 기어오르고 절단인거 가난해야 다른소리 못하니 국 가에서 안해 주는것이고 자기들은 잘살지
@gogovip1004
@gogovip1004 Жыл бұрын
자기소개는일기장에쓰시지요
@user-dl123
@user-dl123 Жыл бұрын
저기는 노상가뭄이야! 머리써서 지수지좀 지어라!
@user-cj1jm4tf9s
@user-cj1jm4tf9s Жыл бұрын
거짓말치시네ᆢ 죽을란다ᆢ😢😢😢😢
@user-sg8rq8rt6p
@user-sg8rq8rt6p 10 ай бұрын
야 임마 니가 짐승이냐 흙탕물을 먹게
@user-ms1fi3uw9e
@user-ms1fi3uw9e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 메뚜기떼 오면 좋겠다 반찬값덜면 좋겠는데
@user-hb1dq3fj2p
@user-hb1dq3fj2p Жыл бұрын
끔찍한생각😳😳그메뚜기떼가 뭐 시골밭두렁에서 하나 둘씩 잡을수있는 메뚜기인줄 아시나..좁은땅에 저 수천만 수억에 메뚜기떼들이 몰려오면 당신입에 메뚜기 들어가기전에 대한민국 농작물 초토화되는데 이런 끔찍한 말을하고있네😤😤😤👎👎👎
@eddiey2921
@eddiey2921 Жыл бұрын
@@user-hb1dq3fj2p 저분이 정말 반찬값덜려고 황충을 바랬을까? 모라라도 조금만 생각하면 될것을...
@user-hb1dq3fj2p
@user-hb1dq3fj2p Жыл бұрын
@@eddiey2921 생각많은 그대 (모라라도)가 뭐임???그리고 액면그대로 임상옥님이 쓰신 댓글에 있는그대로 답글을 달았는데 웬 시비인고...원래 댓글이라는것이 있는 그대로 의견을 피력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머리통 굴려가며 글을 써야하는지 몰랐구료
@seunghyeok9191
@seunghyeok9191 Жыл бұрын
메두기때 오는순간 니입으로 가는 음식은 없을것이다 모든 음식 베이스는 곡물 야채다 농가 초토화되면 인간은 죽는다
@user-fe5gl6hb5c
@user-fe5gl6hb5c Жыл бұрын
메뚜기 떼가 오면 쌀도 없고 반찬도 없어짐. 다 먹어치움. 반찬값 더는게 아니라... 밖에서 국밥 한그릇 시켜먹으면 10만원 20만원이 될수도 있고 라면 한봉다리 5만원이 될수도 있음.. 한국은 자급자족이 어느정도는 되기에 부족분은 수입하면 되는데 메뚜기 떼가 쓸고가면 자급자족률 0% 되고 곡물가격 매일 두배씩 올라가는수가 생김.
@user-st5np1mo3x
@user-st5np1mo3x Жыл бұрын
요한계시록에 다예언된...지구온난화로 인간들속이지말아라..성경이진리다...
@user-vm2ql6gj5q
@user-vm2ql6gj5q Жыл бұрын
성경에 나오는 그 황충입니다. 그런데 인간은 여전히 이런 자연재해가 점점 잦아들고 규모가커지는 마지막 때라는걸 모르는척 하지요. 내삶에서는 종말이 오지않을거라는 희망을 가지고 말입니다. 정말 내삶에 기운이 떨어지며 끝날때 곧옵니다 예수님께 어서 돌아가야합니다
@dzemann2
@dzemann2 Жыл бұрын
너레이션 하는 사람이 '프로'가 뭡니까 ? 한국말 하는 일본 사람인가 ? 퍼센트 저러고도 돈 버나 한심하네 타인을 존중할 줄 모르는 인간들이 겪는 일, 당연지사
@user-ly4sc2mz4c
@user-ly4sc2mz4c 23 күн бұрын
메뚜기 때가 날아 들면 순식 간에 싹 초토화 됨..
@kyuskang4572
@kyuskang4572 Жыл бұрын
이 메뚜기 잡아서 맥주안주하면 최고인데
@user-te6bv5ne8q
@user-te6bv5ne8q Жыл бұрын
인간 인간 하시는데 그럼 인간이 별로 없든시절에 공용은 왜 멸종했나요 궁금하네요
@user-ml1uq2xd7m
@user-ml1uq2xd7m Жыл бұрын
기후
@user-mk6in3yt5p
@user-mk6in3yt5p Жыл бұрын
저질 캐이비 에스가 해결하라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Always be more smart #shorts
00:32
Jin and Hattie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Luck Decides My Future Again 🍀🍀🍀 #katebrush #shorts
00:19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Ещё один способ не забеременеть
0:16
Pavlov_family_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1❤️ #shorts
0:17
Saito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Technical error 🤣😂 Daily life of a couple #couple #shorts
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