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더이상 결혼제도는 통하지 않을까?

  Рет қаралды 145,369

일간 소울영어

일간 소울영어

Күн бұрын

출처
📍CNBC
• Why are people not get...
📍Sky news
• Marriage is ‘on the de...
📍Loose women
• The Ladies Have A Tran...
*얼룩소🐄에서 스크립트 다시보기
alook.so/users/6mt7O2M
📔챗GPT 영어질문법
교보문고: bit.ly/kyobochatgpt
예스24: bit.ly/yeschatgpt
알라딘: aladin.kr/p/D4EX6
*도를 넘는 악플이나 비평은 사전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business anybody.can.speak@gmail.com
🏷 review instagram @dailysoulenglish
🏷 just me instagram @reva.kim
0:00 인트로
0:20 문제는 결혼제도?
0:54 선진국들 결혼률 하락세
1:10 결혼 안하고 아이 낳는다
1:40 멕시코, 2년 결혼 갱신제?
2:20 하이힐 효과, 여성 위치 상승
2:48 이혼비용 때문에 결혼 안해
3:15 호주 토론 “맨스플레인 그만”
4:03 요즘 젊은이들과 맞지 않는 결혼의 가치
4:40 한국의 결혼률 하락이 위험한 이유
I believe all content used falls under the remits of Fair Use if any content owners would like to dispute this I will not hesitate to immediately remove said content. It is not my intent to in any way infringe on their content ownership. The videos used have been repurposed with the intent of enducating others. If you happen to find your art of images in the video please let me know and I will be glad to credit you or remove the work. Business e-mail: anybody.can.speak@gmail.com

Пікірлер: 1 000
@Hunting-cheetah
@Hunting-cheetah 2 ай бұрын
결혼이 주는 이익이 서로 없기 때문에. 남자는 가정을 부양하며 가족으로부터 존경을 받고, 여자는 가정내 일을 처리하며 보호를 받는 전통적 역할이 사라지고 있음. 여자도 일을 하며 남자도 가사를 함. 결귝 혼자사는 것과 다름이 없는 데 상호 구속과 책임이 늘어남.
@junou1902
@junou1902 2 ай бұрын
늦게 결혼하는 추세 + 속물화 + 도덕적 타락 이것도...
@user-pv5vi9ks4s
@user-pv5vi9ks4s 2 ай бұрын
이글이 정답임..까고보면 혼자사는것이나 다름없음 그러나 책임과 의무는 커지고
@user-ij9nx7nm8q
@user-ij9nx7nm8q 2 ай бұрын
당연히 둘다같이해야지..밖에서 돈만 벌어오게하면 또 ATM기 취급한다는 소리할거면서;;어머니 세대들도 다 부업했음..일이든 가사든 사랑하면 같이하고싶은게 당연한거지;;
@user-ij9nx7nm8q
@user-ij9nx7nm8q 2 ай бұрын
@@eefftyyhhhgghh 아..네..비혼 응원합니다 화이팅
@gag0301
@gag0301 2 ай бұрын
​@@eefftyyhhhgghh여자가 뭘 유리한구조로 짜여져있어?
@user-to9dw8og1t
@user-to9dw8og1t 3 ай бұрын
사람이 사람을 믿을 수 없게 되었는데, 어찌 한 사람과 평생을 함께 살 결심을 할 수 있겠는가. 슬프네.
@sosomi777
@sosomi777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 날이 서있어서 진짜 결혼하면 안될거 같음 ㅋㅋ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유명해지는 것만큼 바보같은 게 없음.
@Alessandro-ft5kc
@Alessandro-ft5kc 2 ай бұрын
한국사람이 아니라 한국여자
@sosomi777
@sosomi777 2 ай бұрын
@@Alessandro-ft5kc 여혐 종자가 그리 많은데도 여자 탓을 하시다니..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2 ай бұрын
외국은 "결혼" 제도에 대해서 비판하고 팍스(동거 등록 제도) 같은 여러 제도 있어서 결혼에 얽매이지 않아도 되게 만든. 근데 한국은 오직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하게 하고 어떠한 대안도 없고 토론도 없고 개선책도 없음. 결혼 못한 (안한) 사람을 별종으로 보거나 못난 사람으로만 취급함. 모두 독거 노인되게 방치만 할뿐 !! 기득권 이기주의 밖에 없고 옹졸 , 편협 , 지독 , 경직된 사고 방식인 한국은 반드시 국가 소멸 될 수밖에 없음.
@lllool8404
@lllool8404 2 ай бұрын
​@@Alessandro-ft5kc 주둥이방송 인터뷰 재밌게 봤다
@g.2004
@g.2004 3 ай бұрын
부부만 생각하면 결혼안해도 상관없는데, 키워지는 어린아이의 입장이 되어보면 진짜 불안할거같긴해
@user-Griezman
@user-Griezman 2 ай бұрын
아이는 태어나보니 원하지 않는 삶의 연속이 될 수가 있죠 난 미국상류층 자식으로 태어났어야 나랑 맞는다고 봅니다. 이거원걸? 태어나보니 서울강남도 아니고 지방서민층? 어릴때부터 수준낮은 주입식교육에 학교체벌과 폭력이 만연했고 부모님 맞벌이인데 1살때부터 알아서 크는줄 알더라구요 친형과 저는 자비로 유학갔다왔는데 친인척이나 주변인들은 잘키운줄 알더라구요 저는 친할머니 돌아가실때 안갔습니다.
@user-cp4wn5zu8x
@user-cp4wn5zu8x 2 ай бұрын
이렇게 큰 아이들이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으로 클 확률이 많아지죠. 10여년전 노르웨이인가에서 어느 섬에 소풍온 아이들에게 총으로 쏜 사람도 그런 사람이었구요. 뭐든 밝은면과 어두운면이 존재하는거같아요.
@user-cj4wx3yd3x
@user-cj4wx3yd3x 2 ай бұрын
@@user-Griezman미국상류층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Agglkw221
@aAgglkw221 2 ай бұрын
그럼 프랑스 자녀들은 다 불안정함? 모순된 논리...
@user-Griezman
@user-Griezman 2 ай бұрын
@@user-cj4wx3yd3x 25살때 미국가서 일다니는데 초반에 정착하라고 한달정도 챙겨준 한인아주머니가 있는데 태어나자마자 보육원에 보내지고 미국으로 입양됨 현재는 연봉 5억인가? 대기업인사차장으로 근무하고있음 완전 성공한 인생이죠
@user-ur5rv8yt8s
@user-ur5rv8yt8s 2 ай бұрын
유익한 유트브입니다. 왠지 영어 공부하고 싶은 톤의 대화도 있구요!! 탱큐!!~~
@naryn44
@naryn44 2 ай бұрын
자유연애라는 가치랑 고전적인 결혼이라는 제도랑 서로 이해가 상충하는데 그걸 주먹구구식으로 밀어붙이는데 이게 어케 해결됨 영상처럼 동거만 하던지 기간제로 돌리던지 하는식에 방법이 나와야하는데 현행의 그냥 돈 때려밖으면 낳것지 라는 방식은 맞지않는다고 봄 동시에 돈을 풀어준적도 없는것도 맞음 여튼 새로운 시대가치와 고전적인 사회제도중 어느것이 옳은지는 결국 시간이 증명하겠죠
@mk0yy787
@mk0yy787 2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Guychongs
@Guychongs 2 ай бұрын
글로벌 이슈를 잘 다루어 주었네요. 좋은 영어 표현도 감사합니다.
@dailysoulenglish
@dailysoulenglish 2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3 ай бұрын
서양은 결혼하지 않아도 사실 혼을 인정하고 결혼한 것과 동등하게 법적인 보장을 하기 때문에 결혼 제도가 의미 없는 것임.
@user-tw2pv7zn7f
@user-tw2pv7zn7f 3 ай бұрын
원인과 결과가 바뀐 듯. 무지성 5대5 재산분할 및 양육권 몰빵 때문에 결혼을 기피하고 동거출산이 많아지니 기혼 자녀처럼 똑같이 세제와 교육혜택을 준 것이지. (심지어 혼전계약서 효력도 인정함. ) 그 혜택 때문에 혼인신고를 안 하는 것이 아님. 그리고 우리나라도 자녀 있으면 사실혼 다 인정됩니다.
@lamer9370
@lamer9370 3 ай бұрын
그냥 동거는 법적 보호받지 못합니다 법적 보호를 받으려면 사회동반자 계약을 맺어야 해요 사회동반자계약은 별산제 합동재산제 선택이 가능합니다 한쪽이 부유할 경우 별산제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요 또한 한쪽이 일방적 이별을 선언하면 이의가 있어도 바로 헤어져야 합니다 한쪽이 사망한 경우 상속권도 인정받지 못합니다
@lamer9370
@lamer9370 3 ай бұрын
한국은 사회동반자계약 등이 없어도 사실혼을 인정하는 세계에서 드문 나라입니다
@lamer9370
@lamer9370 3 ай бұрын
서양도 한국과 같은 길을 지나왔죠 이제 한국도 혼전계약서 법적 효력 인정할 시기가 왔죠
@kim.serenaemery7569
@kim.serenaemery7569 3 ай бұрын
아이 없어도 사실혼 인정될 수 있어요..
@michaelman1135
@michaelman1135 2 ай бұрын
미혼부/미혼모/사실혼/동거에 대한 사회적 터부시와 법적 미비가 저출산에 한 몫하는 거네요
@akak-gg9ni
@akak-gg9ni 2 ай бұрын
준비도 안됐는데 그냥 애만 쳐 낳는건 좋은 현상이 아니니까 당연한 것이죠
@mindgood4113
@mindgood4113 2 ай бұрын
동거나 미혼모가 대세가 되면 더 안함 남자들 대다수가 도태되고 여자들은 알파남 씨앗 짜내려고 할거니까 전통적인 서로에 대한 사랑같은 개념은 너한테 존재하지않는거처럼
@STUDYROOM-yq6pr
@STUDYROOM-yq6pr 10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양육비가 터무니 없는 한국에서 그렇게 태어났다가는..
@user-zi1sv6rw7g
@user-zi1sv6rw7g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와 함께 마지막에 빈칸 채우기 시간이 있는 점이 참 좋네요!
@user-lx1dl4xp3h
@user-lx1dl4xp3h 2 ай бұрын
좋은 방송이네요 결혼제도 심히 생각해야 될 시점에 온듯하네요 구시대엔 맞는 제도였으나 현시대에는 결혼제도 크나큰 짐인 제도가 되었네요 통큰 사회적 타협이 필요한 시점인거같네요 !
@inlunas
@inlunas 2 ай бұрын
결혼이 낡은 제도인거 동의, 평생 연애만 하고 싶은게 사람 맘이겠지, 근데 그럼 애는 누가 키우냐고~
@Someone111ify
@Someone111ify 2 ай бұрын
고아원
@user-mt8fc1bd4u
@user-mt8fc1bd4u 2 ай бұрын
영국에는 미혼모 이미 90년대에도 많았음. 우리나라랑 문화가 다름.
@flyingpan2639
@flyingpan2639 2 ай бұрын
낳은 사람이?
@user-fs1hp6vs6n
@user-fs1hp6vs6n 2 ай бұрын
국가가 공동육아하는 시스템으로. 대부분 선진국(유럽) 국가들이 이런 방향으로 가고있음. 이게 저출산 해결방식일수도. 애 안낳아도 내 세금으로 다른 사람 애 키워야되니 애 안낳은 사람들도 억울해서라도 애 낳을듯
@asd_1230
@asd_1230 2 ай бұрын
Ai혁명이 그 대안임 부족한 노동력은 ai와 휴머로이드가 대체할수있음
@peterlim5737
@peterlim5737 2 ай бұрын
사실 인구가 줄어드는 건 지구와 인간 이외 다른 동물들 입장에선 더없이 좋은 거지. 지구 인구 한 10~15억이 적당함.
@min-xz3ge
@min-xz3ge 2 ай бұрын
인구가 줄어드는게 아니라 서구 백인들이 무슬림들로 대체되는거임 고출산 덕분에 이슬람이 전성기를 되찾는중
@gag0301
@gag0301 2 ай бұрын
지구로 보면 인구가 늘어나고있음 후진국에서는 더 많이 나아서
@user-xi7dw5cl7e
@user-xi7dw5cl7e 2 ай бұрын
@@gag0301 ㅇㅇ 이집트는 이번에 출산율 4.0 넘음 ㅋㅋㅋㅋㅋ 정부에서 인구구조상 감당안되니까 제발 그만 낳으라고 선전때리는데도 늘어나고있음 ㅋㅋ
@hherdiary88
@hherdiary88 5 күн бұрын
@@gag0301낳아서
@dnwndugodwk
@dnwndugodwk 3 ай бұрын
결혼은 애초에 각 개인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사회에 노동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가까움.. 그렇다면 국가도 정말 파격적인 혜택을 부모에게 제공하지 않은 이상 한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들의 결혼과 출산율 하락을 막을 수 없을 거라고 봄.
@user-qp3rk7kx3h
@user-qp3rk7kx3h 2 ай бұрын
안타깝게도 일부일처제 결혼은 베타~오메가 남성들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임 상위 극소수남성들이 다수의 여성을 취하는것을 못마땅하게 여겼기때문임 하지만 더이상 이런 표면적 겉싸기가 그저 무슨 소용이있냐 싶은거지
@TV-bt8hx
@TV-bt8hx 2 ай бұрын
오! 잘 알고 계시네요!
@ijb3427
@ijb3427 2 ай бұрын
아프리카 원주민도 결혼합니다. ㅋㅋㅋ
@user-wg7gq9sd7v
@user-wg7gq9sd7v 2 ай бұрын
"해줘!!"
@byebyebye514
@byebyebye514 2 ай бұрын
결혼은 그 상대와의 영원한 약속임 상대를 자주 바꾸는 부류들은 오히려 족쇄로 느껴지겠지
@user-oy6et8kn1l
@user-oy6et8kn1l 2 ай бұрын
애초에 결혼이라는 게 정확하게 뭔지 짚고 넘어가야할지 않을까싶다..
@jskim5829
@jskim5829 3 ай бұрын
서로가 결혼생활에서 오는 어려움 같이 책임지기 싫어하고. 힘든걸 같이 헤쳐나가기보다 그냥 언제든지 헤어질 준비가 되어있는 동거를 선호하는듯. 서로가 사랑해서 동거 한다고 생각하나 그 사람이 어려울때 상황조차 같이 하고 싶은 마음은 없는. 서로가 서로에게 아직까지는 거슬리는게 없는 그래서 같이 사는 사이일뿐 사랑은 아니다. 사랑이라고 착각할뿐. 진짜 사랑이 무엇인지 모르는 세대.
@user-li3sj7qu2v
@user-li3sj7qu2v 2 ай бұрын
결혼이 사랑을 증명하는게 아닌 평생 함께 사는게 사랑을 증명하는듯
@zkwkfjejiw8819-
@zkwkfjejiw8819- 2 ай бұрын
유명 팝가수인 아리아나 그란데도 계속 만나고 헤어지고 반복하면서 참 사랑이라는 의미가 변색된 것 같아 안타까운 현실이네요 ㅜ
@user-xo6in3yr5t
@user-xo6in3yr5t 2 ай бұрын
요즘같이 이혼률이 높은 상황에서는 또 다른 이야기인 것 같아요... 과거에 비하면 결혼 자체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도 많은 변화가 있었네요 결혼 제도 또한 관습이라 시대의 주류를 이루는 세대의 인식을 따라가는 것이겠죠 🙂
@user-bl6rp8dk1e
@user-bl6rp8dk1e 2 ай бұрын
한번사는 인생 자유롭게
@user-zv4zg6hm3o
@user-zv4zg6hm3o 2 ай бұрын
당연하지 ㅋㅋㅋㅋㅋ시발 결혼생활 하다보니 이 샛기가 ㅈ 같네? 하면 바로 팽당해야지 요즘 세상에 꾸준히 자기개발하고 내 배우자 소중하게여기고 조금이라도 더 좋은 사람이 되기위해 노력해야 홀애비 홀할미 안되는거야
@zazuuka
@zazuuka 2 ай бұрын
댓글들 보니 0.6 이하로 떨어지겠네요. 죽음의 5단계 모델에 맞춰보자면 지금 분노쯤 되는 듯.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2 ай бұрын
분노는 무슨 ㅋㅋ 순응임 다 끝났고 걍 그런갑다 해야함
@DTEX2
@DTEX2 2 ай бұрын
0.6 이요? 0.3 이나 0.1도 시간이 문제지 무조건 가리라고 봅니다. 이미 인구 900만이 모여있는 서울, 그 중에서도 2030 비율이 무려 40% 수준인 관악구 출산율이 0.38이에요.... ㅋㅋㅋㅋㅋ 모여있기만 하지 성관계 결혼은 XXX 지방 깡촌들은 소멸 걱정한다는데 관악구는 젊은이 잔뜩 있는데 0.38 ㅋㅋㅋㅋㅋ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2 ай бұрын
외국은 "결혼" 제도에 대해서 비판하고 팍스(동거 등록 제도) 같은 여러 제도 있어서 결혼에 얽매이지 않아도 되게 만든. 근데 한국은 오직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하게 하고 어떠한 대안도 없고 토론도 없고 개선책도 없음. 결혼 못한 (안한) 사람을 별종으로 보거나 못난 사람으로만 취급함. 모두 독거 노인되게 방치만 할뿐 !! 기득권 이기주의 밖에 없고 옹졸 , 편협 , 지독 , 경직된 사고 방식인 한국은 반드시 국가 소멸 될 수밖에 없음.
@user-cnksi223
@user-cnksi223 Ай бұрын
제가 몇 년 전에 대학교에서 한국도 유럽처럼 결혼제도를 폐지해야 출산율이 오를 것이다 라고 이야기했다가 여자애들한테 별의별 억까를 당한 적이 있습니다. 유교문화 때문에 동아시아는 출산율 올리기 힘들 것입니다. 유럽의 경우 혼외출산율, 한부모 비율이 상당히 높고, 심지어 미국에선 요즘 다자연애도 유행합니다. 이렇게 개방적인 문화를 수용해도 출산율이 2명 이상을 넘기기 힘든데, 한국은 보수적이니 당연히 1도 넘기기 힘들죠
@user-vg1ot3dh6h
@user-vg1ot3dh6h 2 ай бұрын
재미있는게 너무나 많아진 세상인데 굳이 결혼해서 지지고볶으며 안살아도 다들 알아서 혼자 충분히 잘살수있는 세상이니깐
@user-lp4hl6mi2t
@user-lp4hl6mi2t 3 ай бұрын
한국 좁은 땅에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한 과도한 경쟁만 없다면(사교육, 취업, 급 나누기, 수도권에 인프라 밀집...) 사람들의 마음에 좀 더 여유가 생겨서 인구가 적당해지지 않을까요? 꼭 결혼과 출산이 아니더라도 안정감이 있어야 살기 좋고 행복도가 올라가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갑자기 인구가 빠르게 감소해서 문제고 원래 이정도 면적의 땅에는 인구가 줄긴 해야된다고 생각해요
@user-ip3kj2wo5u
@user-ip3kj2wo5u 3 ай бұрын
오늘날 혼자 살겠다는 사람이 늘고 있는 건 결혼 제도에 불합리한 점이 많아서 그런지도 모릅니다.
@abcdefuace
@abcdefuace 2 ай бұрын
완전 동의함!!!!!
@BM-ez3tl
@BM-ez3tl 2 ай бұрын
농경사회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결혼제도 아직까지 유지되고 있다는게 가끔 신기합니다
@user-om9ed6jq3g
@user-om9ed6jq3g 2 ай бұрын
마통 삼천으로 결혼 할려는 딜러들이 문제지 그리고 가성비 3년 약속의 10년 퐁퐁이 설거지 당하고 대부분이 도축당한다. 한국여자와 결혼은 스스로 형벌을 자쳐하는거다 ㅎ
@honghong0099
@honghong0099 2 ай бұрын
재산분할 때문에 결혼 안하죠 대체 어떤 정신 나간 사람이 결혼해서 재산을 반으로 가르고 싶겠음
@zenganddaeng5532
@zenganddaeng5532 Ай бұрын
완전 동의함 특히 여성들이 혼자사는경우가 많죠 특히 우리나라만 그런게 아니라 서양여성들한테도 해당이 되죠~ 비혼을 선호하는국가면 한국여성과 서양여성이 유일하고 자기만의 자유를 누리고 있죠~ 한국여성이 서양여성을 따라가고 있죠~ 그래서 미국이나 유럽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출산율을 보면 거의 이슬람쪽이나 흑인들 그리고 남아시아계가 주를 이루고있죠~
@keivinwpc3701
@keivinwpc3701 2 ай бұрын
가난하거나 힘없는 사람이 결혼을 하면 사회적 괴롭힘의 대상이 되는게 한국의 현실
@user-oj4wq7cv5h
@user-oj4wq7cv5h 3 ай бұрын
진실을 말하지 않고 제도 비난만 하다니... 진실과 동시에 마주했을때 남녀 가치관이 아닌 인간으로서의 감정과 개인의 욕구 욕망 사이에서의 대립으로 인한 괴리를 가진고 문제를 갖게 될것이다. 욕망에 움직인 시대를 지났겄만... 잊어버린 시간처럼 행동하고 되돌아보지 않다니..개탄스럽네..
@oklu_
@oklu_ 3 ай бұрын
비혼 출산을 터부시하지 않고 모든 혜택을 주지 않는 한 우리나라의 희망은 없다고 생각함. 아직 차별과 혐오가 넘쳐나는데 어떻게 아이를 낳아 키울까.
@user-gi8gr9op8z
@user-gi8gr9op8z 3 ай бұрын
비혼 출산을 원하는 여자도 많지는 않을걸요?
@tkqkdl16
@tkqkdl16 3 ай бұрын
222 조금만 달라도 차별하는 문화 버리고 다양성 존중해야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이 될것같아요. 외모 학벌 재산 등 같은 잣대로 줄세우기 그만~
@sung-heekim4772
@sung-heekim4772 3 ай бұрын
​@@tkqkdl16아이 엄만데 공감. 그래사 애 낳은 사람들도 기회만 있으면 무조건 한국 나가죠. '표준'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무시 차별, 흉보는게 당연한 한국...
@Npersonal
@Npersonal 3 ай бұрын
정확함^^
@hengbokhagil
@hengbokhagil 2 ай бұрын
맞아요 그리고 임신을 기피하는, 애를 싫어하는, 책임을 지려하지 않는 아빠들도 문제고요 양육비 보장,미혼모 보호 안된것도 문제고요 애는 중요하지만 엄마는 중요하지 않은 나라에서 어떻게 애를 낳을까요 애 낳으면 돈 벌 수가 없는데요
@dioj8207
@dioj8207 2 ай бұрын
그럼 이혼시 재산 및 양육 분할에 대한 법도 싹다 뜯어고쳐야지 ㅋㅋ 이게 무슨
@user-pv3kp7gn2r
@user-pv3kp7gn2r 3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걀혼이 필수 였지만 지금은 그냉 하고 싶은 사람만 하는거지 뭐..
@Hako0000
@Hako0000 3 ай бұрын
한국에서는 결혼하면 규제와 리스크만 잔뜩 있잖아요;;
@lsrhaus
@lsrhaus 3 ай бұрын
미친 짓이죠
@insoochung9029
@insoochung9029 3 ай бұрын
당장 청약만해도 훨씬 불리해서 결혼해도 혼인신고 안하는 커플도 많음 ㅋㅋ😂
@ryqui2710
@ryqui2710 3 ай бұрын
리스크 : 노동이라고는 하지 않았던 전업 주부 아내가 이혼할 때 재산을 반띵해 감
@user-sdsw
@user-sdsw 3 ай бұрын
⁠​⁠@@ryqui2710 그게 싫으면 전업주부 한다는 여자를 만나지 마세요 그런 상의도 없이 결혼함?
@wj8671
@wj8671 3 ай бұрын
​@@user-sdsw팩트: 한녀들 사실 대다수가 전업주부 희망함. 다만 현실적으로 불가할 뿐임.
@ykkim8970
@ykkim8970 2 ай бұрын
결혼은불합리한 제도다
@splendidnightsmoonlight4565
@splendidnightsmoonlight4565 2 ай бұрын
법적보장이 된 육아휴직이나 출산휴가도 중소뿐 아니라 대기업에서도 눈치주는 판에 사실혼 동거는 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 ㅋㅋㅋ ㅋㅋ 멀고먼 미래임
@yskim7827
@yskim7827 Ай бұрын
선진국에서는 남녀 모두 동등하게 12주의 유급 육아휴직을 의무화했는데 한국은 남자한테는 그런거 없이 ATM 처럼 끊임없이 돈 벌어오게끔 하죠
@zenganddaeng5532
@zenganddaeng5532 Ай бұрын
선진국에선 남녀 동등하게 그 이상의 유급휴가를 주죠~ 우리나라만 남자들은 자식을 낳아도 죽어도 일하는게 현실이죠~
@mingkeller
@mingkeller 2 ай бұрын
남자도 똑똑해지고 여자도 똑똑해지고 이성이 본능을 이기는 세상이 도래한거 아닐까?
@marleykim2223
@marleykim2223 2 ай бұрын
출산을 유도하거나 장려하는 뉘앙스의 정책이 아니라, 지금 사는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주는 정책이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요?
@user-tt8mw8yr1o
@user-tt8mw8yr1o 3 ай бұрын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결혼하지 않으면 애를 낳지 않는 나라는 위험해지는 세상. 바로 우리나라지요. 결혼하지 않는 이유들 중 가치관인데 이번 영상에서 잘 나타나네요.
@justine5804
@justine5804 2 ай бұрын
원인을 정확하게 보려하지 않고 매번 엉뚱한곳에 책임전가를 하니 해결책을 못 찾는겁니다. 냉정하게 생각해 봅시다. 우리나라 보다 못사는 나라들 힘들게 사는나라들 전부다 출산율 높고 애 잘낳고 삽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여성들은 돈없어서 애를 못 낳는다고요? 그래서 보조금 좀 쥐어주면 애 낳을거 같아요? 우리나라가 저출산 세계1위 찍는 원인은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한국여성들의 마인드 입니다. 만약 이스라엘처럼 20대에 애 안낳는 여성들은 전부 군복무 의무화 시키면 출산율 금방 올라갑니다. 저출산에 시달리던 이스라엘도 이렇게 한후 고출산 국가로 바뀌었습니다. 여성들이 군대가기 전에 출산하기 위해 결혼도 일찍하고 출산율도 올라가 저출산 문제가 일시에 해결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형편성 맞추기 위해 입대 나이 초가된 여성들은 대만 여성들 처럼 국방세 의무화 하면 해결됩니다. 대신 2명 이상 출산한 경우 면제. 그러면 모든 연령층이 공평하기에 불평불만이 없으며 그렇게 생긴 추가 금액으로 군인복지와 부족인원 충당을 위한 모병제에 투입해도 됩니다.
@user-nz2lt8yv6e
@user-nz2lt8yv6e 2 ай бұрын
@@justine5804애 안낳는 남자는 군대 10년 추가 😂 남자들이 눈 낮추면 됨
@ryqui2710
@ryqui2710 2 ай бұрын
외국에서는 오히려 혼외자 출산이 사회 문제라고 생각함
@user-hc7cl9xf4z
@user-hc7cl9xf4z 2 ай бұрын
​​​@@justine5804이스라엘은 하레디때문에 저출산이 아닌거임...그리고 이스라엘은 애초에 가장 저출산이던 시대도 한국만큼 떨어진적없고요ㅋㅋ이스라엘이전부군복무하진않지먀 여자들 50%이상이 군복무하는데 그것만으로 그 출산율 나올리가...종교영향이 큼. 그리고 이스라엘도 한명인데 한국이 두명이상을 하면 군대가지 누가 애낳으려고함?; 한국여성마인드 운운하면서 여혐할정도면 한국여자는 손해보는장사는 절대안한다는거 알텐데...저지능이니까두명이상타령하지. 두명이상이면 다군대가지; 임신기간만 합쳐도 이미 대한민국 군복무기간이고 애키우는데 돈겁나드는데
@byebyebye514
@byebyebye514 2 ай бұрын
결혼 안하고 낳는 애는, 콘돔 찢어져서 낳는거 밖에 없지 않나?
@user-zs5vq4fb3y
@user-zs5vq4fb3y 3 ай бұрын
결혼은 사람이 만든 행사/제도이다. 생물학적 “종의번식” 혹은 나라의 노동력을 위해서는 유리하지만 개인만 생각한다면 꼭 해야 하는 이유도 없다
@Ccccwwwwmmmm
@Ccccwwwwmmmm 3 ай бұрын
결혼을 안해도 살아남을슈 있는거지.. 예전엔 너무 살기 힘들었지만 이젠 우리나라도 선진국이니까 가능
@era4377
@era4377 2 ай бұрын
결혼같은 건 없어지든 유지되든 어차피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일이다 문제는 그거 가지고 특정 세력에게 혜택이 들어가는 일은 없어야한다
@YeahKhan-hc5zh
@YeahKhan-hc5zh 3 ай бұрын
한국의 경우 결혼 자체도 안하는 것도 많지만 애 태어날때까지 혼인신고를 거의 안해서 더 안하는 걸로 통계가 잡히는것 같아요... 근데 요즘은 한부모 가정이면 혜택이 많아서 결혼해도 일부러 혼인신고 안하고 한부모 혜택 받는 집이 늘어나고 있다네요.
@zenganddaeng5532
@zenganddaeng5532 Ай бұрын
그 것도 맞긴하더라고요
@kaiserji
@kaiserji 2 ай бұрын
핵심 : 내 마음대로 살고싶은 욕구가 예전보다 훨씬 커진 결과.
@user-gv2rt8mh8c
@user-gv2rt8mh8c 3 ай бұрын
나라를 위해 출산하는바보는 없다. 나라는 바꾸거나 망해도 되지만 출산과 양육의 고통은 평생간다.
@ryqui2710
@ryqui2710 3 ай бұрын
중국은 망해도 되기는 함 ㅋㅋㅋ
@ganekim
@ganekim 3 ай бұрын
출산문제는 국가가 짊어지고 책임을 져야하는 시대. 외국인을 받아 출산율을유지한다고? 이것도 크게 잘못 생각하고 있는데요 그것도 답 전혀 없답니다. 문제는 내부에서 해결해야 가장 옳답니다.
@justine5804
@justine5804 2 ай бұрын
원인을 정확하게 보려하지 않고 매번 엉뚱한곳에 책임전가를 하니 해결책을 못 찾는겁니다. 냉정하게 생각해 봅시다. 우리나라 보다 못사는 나라들 힘들게 사는나라들 전부다 출산율 높고 애 잘낳고 삽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여성들은 돈없어서 애를 못 낳는다고요? 그래서 보조금 좀 쥐어주면 애 낳을거 같아요? 우리나라가 저출산 세계1위 찍는 원인은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한국여성들의 마인드 입니다. 만약 이스라엘처럼 20대에 애 안낳는 여성들은 전부 군복무 의무화 시키면 출산율 금방 올라갑니다. 저출산에 시달리던 이스라엘도 이렇게 한후 고출산 국가로 바뀌었습니다. 여성들이 군대가기 전에 출산하기 위해 결혼도 일찍하고 출산율도 올라가 저출산 문제가 일시에 해결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형편성 맞추기 위해 입대 나이 초가된 여성들은 대만 여성들 처럼 국방세 의무화 하면 해결됩니다. 대신 2명 이상 출산한 경우 면제. 그러면 모든 연령층이 공평하기에 불평불만이 없으며 그렇게 생긴 추가 금액으로 군인복지와 부족인원 충당을 위한 모병제에 투입해도 됩니다.
@ganekim
@ganekim 2 ай бұрын
@@justine5804 어느 정도는 동의하할 수도 모두 동의 할 수도 있어요. 근데 문제는 우리나라 직업군에 대해서 심각하게 말하고 싶은 개인적인 생각이고요. 정해져 있잖아요. 의사 아니면 변호사 검사 대기업 정도 반도체 관련? 기술의 다양성이 너무 결여되어 있다고 말하고 싶어요. 직업이 몇몇에만 국한되어 있다는 것도 고등교육에 문제가 있다고 보여지죠. 예를 들어 수학을 잘하면? 암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굉장히 많다는 것에도 무지에 대한 문제가 있지요. 수학 잘하면 진출할 곳이 창조경제를 할 수 있는 분야가 너무나도 많지요. 1인칭 싱글 콘솔, PC게임(고도로 지식을 요하는 시언어프로그래머, 여기서 멀티 온라인 전용은 제외), 통계를 전문으로 하는 AI기반 프로그래머, 프로그램 엔진등 소규모 업체로 시작해도 엄청난 수익을 얻을 수 있는분야가 많아요. 그 밖에도 수학을 잘하면 원하는 곳 하고 싶은것을 무궁하게 할 수 있지요. 사회가 너무 경직되어 있고 결여 되어 있는 것 같아 안따깝습니다. 의사 지원자가 많다는 것은 그 만큼 능력자도 많다는 의미이니 의사가 아니더라도 소규모 테크사무실로 시작해서 큰기업으로 성장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Zeonzeon907
@Zeonzeon907 2 ай бұрын
@@justine5804틀렸습니다 우리나라 출산율하락의 원인은 님같이 남탓만하는 인셀남과 트페미 때문입니다. 옛날이야 누구나 다 결혼하는 추세라 님같은 사람도 짝이 있었지만 요즘은 안만나고 혼자사는걸 택하는것 뿐입니다.
@williamahn7093
@williamahn7093 2 ай бұрын
​@@justine5804 원래부터 서양국가들의 문제임. 선진국들 저출산으로 가고있는중.
@user-om9ed6jq3g
@user-om9ed6jq3g 2 ай бұрын
나거한 여가부 폐지가 시급하다 이래야 나라가 산다. 여성할당제 폐지 와 여성징병제 부터가 남녀양성평등 시작이다. 기울어진 법률 부터 수성하고 결혼전 혼전계약서 의무화 건강검진 의무화 시켜라 ㅎ
@Serena-xo6fg
@Serena-xo6fg 2 ай бұрын
결혼출생염불을 왼다고 될 건 아니고 사람들의 전반적인 인식 자체가 개개인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는 더 포용력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개선될 것임
@user-hu8uh9bl4u
@user-hu8uh9bl4u 2 ай бұрын
동거도 결국 실제적인 결혼인데 법적인 결혼은 재산 댓가때문인듯 결혼후 재산권도 각자가 갖기로하면 해결될듯
@user-mp2ko8do2l
@user-mp2ko8do2l 3 ай бұрын
사실 책임감이 사라지는것도 한몫하지 다들 정부의 정책이 이상하다 하지만 그이전에 개개인이 이미 너무 즐길거리가 많아서 결혼 이후에 그걸 어느정도 포기하고 책임감있게 살고싶지않은것뿐
@roaming_bear
@roaming_bear 2 ай бұрын
3:32 🤣🤣
@MLee-rm3lj
@MLee-rm3lj 3 ай бұрын
단순 보수적인 문화 때문만이 아니라 한국은 육아비용이 높아서 안정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아이를 (합리적인 인간은)안 낳는 경향이 있음 교육열과 비교경쟁만 줄어도 미혼임출육 난이도는 줄어들 듯 함
@unka2007
@unka2007 3 ай бұрын
동감… 특히 남이 해야 하면 반드시 해야 하는 이상한 의무감? 이게 디폴트로 사고방식에 박혀있어서.
@user-no5ms7xc3b
@user-no5ms7xc3b 3 ай бұрын
한녀들 꼭하는 소리 : 요즘 다들 그래 그러고 살아....요즘 다들하면 나도 해야 한다는 게 얼마나 줏대없고 주관이 없는 거냐 그 나이 되도록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2 ай бұрын
팩트는 복지천국 무상교육의 나라 북유럽도 저출산때문에 난리라죠 모든걸 제도와 국가 사회에 책임을 전가하는건 한국인 종특같기도 합니다😂😂
@user-ti3ys8hw1l
@user-ti3ys8hw1l 2 ай бұрын
@@user-ok4il6yh7l 북유럽은 우리나라에 비하면 저출산이 아닌 초고출산임 우리나라 상태를 잘모르노?
@user-zf7wg6qm2q
@user-zf7wg6qm2q 2 ай бұрын
결혼은 극손해다❤
@SamuelSmith1221
@SamuelSmith1221 2 ай бұрын
결혼이.아닌 상태로.낳은 아이들도 똑같이 대해주면 된다.. 프랑스 영국처럼..
@zenganddaeng5532
@zenganddaeng5532 Ай бұрын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 호주 이탈리아 스위스가 예외임~
@user-pf3il9lt5i
@user-pf3il9lt5i 2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싱글벙글해외 동향이네요
@user-bs4ps1tz8o
@user-bs4ps1tz8o 3 ай бұрын
유럽의 많은 젊은이들이 종교를 더 이상 믿지 않는다고 하던데요. 방송내용을 보니 같은 맥락인 것 같아요.
@user-Griezman
@user-Griezman 2 ай бұрын
모테신앙인데 집안영향때문에 이건 내선택이 아니었죠 현재는 무교입니다.어릴때 내삶을 바꾼것도 종교인데 종교는 내생각과 기준을 송두리채 바꿨습니다. 내 인생의 중심은 종교위주로 돌아갈정도였으니깐요 30살이 지나고 믿지않습니다. 친척들이나 형제가 너 왜 교회안다니냐 나쁜사람취급을 하는 느낌을 받았는데 관심없네요
@happyOfAll
@happyOfAll 2 ай бұрын
결혼, 연애, 썸… 원나잇.. 점점 더 책임없는 쾌락으로 가는 중, 불륜, 바람 이런걸 옹호하는 쪽으로 가되 나만 안당하면되라는 마음. 잘나가던 문명이 망할때 꼭 도덕적 헤이가 있고 그 가운데 성적인 도덕적 헤이가 특권층을 넘어 문화 전체로 퍼지기 시작한걸 종종 찾아볼수잇다. 우리 시대의 문화도 다음 신세계를 위해 슬슬 끝이 다와간다고 느낄수잇는 징조들중 하나지 ㅎㅎ
@KillerWh4le
@KillerWh4le 2 ай бұрын
가성비 5년 약속의 10년... 이걸 알고나면 결혼 절대 못함.... 안정감 행복 같은 추상적인 개념 제외하고 현실만 봤을때 그냥 너무 하이 리스크 라고 보이네요... 알파남 형님들이 여기 저기 하고 다녀서 10명씩 캐리좀 해줬으면 좋겠는데
@poongsin
@poongsin 3 ай бұрын
과거엔 결혼이 아이를 낳아 노동력을 얻는 수단이었지요. 그런데 지금은 아이가 짐이에요. 나의 노후 자금을 탕진시키고 나의 일상과 여유, 소비를 앗아가지요. 남은 이점은 이성과의 유대감, 집단의 소속감, 함께 공동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일체감인데 요즘 젊은 사람들은 제조업 몰락으로 소득은 감소하는데 교육비, 주거비는 치솟으니까 서로에게 피해 의식만 가득해요. 여성보다 소득이 적은 남성이 더 심하지만 경향은 같습니다. 그나마 본능인 성욕이 이를 상쇄하는데 요즘은 각종 영상, 매매로 그 효과가 많이 줄었죠.
@user-jq6qs1px7t
@user-jq6qs1px7t 2 ай бұрын
네 절대 아이 낳지 마셔요
@oklu_
@oklu_ 3 ай бұрын
재계약 제도 좋네요 ㅎㅎㅎ 디폴트가 이혼
@sglee3479
@sglee3479 Ай бұрын
그냥 비혼주의자들은 비혼주의자들 끼리끼리 동거를 하건 자유연애를 하건 하면되고 결혼을 원하는 사람들끼리끼리 결혼해서 자기들 원하는데로 살면 되지
@liebefur1
@liebefur1 3 ай бұрын
물질 최고주의 세상에서. 갈등 요소는 많아지고, 혼자 살아도 즐길꺼리가 많아지니까... 같이 사는 것에 대한 욕구 줄어들지. 이혼 시, 손해도 크고.
@emilygim1060
@emilygim1060 2 ай бұрын
교육열에 애 키우는 비용도 만만치 않고 sns로 상대적 박탈감은 더 쉽게 느낄 수 있는 환경, 사회 분위기 자체가 현재를 즐겨라, 그냥 즐겨라, 돈이 최고다 하는 분위기. 게다가 아이 낳고 책임지고 희생하기엔 젊은 층들은 손해보지 않고 본인의 이익과 자유가 최우선인 경향이 커보임. 이런 사회 전반에 깔린 분위기와 결혼에 대한 개념, 혼자 살기도 버겁다고 느끼게 만드는 근본적인 것들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함. 사실혼, 동거 법적 보장이 출산율과 그다지 상관없어보임
@user-ey5wj9qk9t
@user-ey5wj9qk9t 2 ай бұрын
나에겐 사랑과 소속감이란 가치가 무엇보다 소중하고 그것이 나에게 소소한 행복과 안정감을 주는 것을 알기때문에 결혼은 개인적인 기준엔 필수라 생각함
@Snowflake_tv
@Snowflake_tv 2 ай бұрын
동의
@Habsramhappy
@Habsramhappy 3 ай бұрын
더이상 설득력이 없는거죠
@user-xw6lt3qz3h
@user-xw6lt3qz3h 2 ай бұрын
여권신장이나 이혼시 남자에게 불리한 조건이 남아있는 제도, 혼자 살아도 불편함을 느끼지않을 정도로 발달한 사회 등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결혼 안한 사람과 한 사람의 물질적인 삶의 질이 크게 달라진다는게 큰 것 같다. 결혼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기회비용과 매몰비용이 얻을 것이라 추정되는 이익에 비해서 너무 크다. 매우 큰 비용은 확정되어있는데 이익은 추정치에 불과하고 그게 확률도 낮다는게 거부하게되는 큰 이유가 아닐까?
@user-xl4sc2zf1t
@user-xl4sc2zf1t 2 ай бұрын
서구의 경우 개인주의가 벌써 뿌리깊게 박혀있고, 동거커플 출산 역시 법제화되어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혼 혹은 헤어짐 애기만 나와도 애들 불안해한다는게 얼마전 뉴스. 한국은 더하지. 말은 어쩌고저쩌고하지만 결국 나는 손해보고싶지 않다인데, 나는 지금 젊은세대가 늙어가는 한 20년쯤 후 대한민국 유래가 없는 독거노인 대량 출현시대와 더불어 바뀔거라고 본다. 인간은 혼자 살아갈 수 없고, 돈뿐만 아니라 유기적인 사회망을 필요로 한다. 부모도 돌아가시면 늙은 몸둥이 하나 있는 대다수의 개인들은 그 매력을 잃어버리고 홀로 삶을 살게 될건데, 과연 그 노인들이 서로 연대를 할까? 안락사만 기다릴거라고 본다
@user-rf2du6qj5n
@user-rf2du6qj5n 2 ай бұрын
크 좋은글👍개인적으로 안락사 합법화는 꼭 필요한 법안임
@Dojuckpoint
@Dojuckpoint 2 ай бұрын
결혼 = 구닥다리 제도
@user-bz1yw9oy6p
@user-bz1yw9oy6p 12 күн бұрын
서로 희생하려는 인식이 있다는데 ㅋㅋㅋㅋㅋ 그럼에도 남자들 결혼하려고 환장하는것보면 결혼이 자기들 손해가 아닌걸 알고있음
@nahyeonchoi
@nahyeonchoi 2 ай бұрын
재ㅣ밌네
@user-ft4so6vd2h
@user-ft4so6vd2h 3 ай бұрын
근데 이 젠더 이슈에 제일 취약한게 대한민국임. 유럽, 아메리카 얘네들은 기독교 베이스 문화의 나라들이고 가족의 중요성이 문화 깊숙히 박혀있기 때문에 아무리 젠더 이슈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출산율이 '박살'날 정도로 떨어질 순 없음. 그리고 표현의 자유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관대하기 때문에 이슈 진행 속도도 훨씬 빠르고 이완 속도도 훨씬 빠름. 우리나라? 4차산업 못따라가서 헉헉대는 상황, 코스피는 OECD국가중 제일 과소평가 되었지만 상법의 박살난 시스템으로 올라가질 못하는 박스피, 망가져 버린 언론 ,무교 비율 역사상 최대치, '각자도생'이란 말이 트랜딩이 될 만큼 국가가 앞장서서 해결해야 할 일을 개개인에게 떠넒기는 상황 등등,, 엄청나게 취약한 상태인데 젠더 이슈?? 이걸 어떻게 사회에서 논리적으로 잘 승화시키겠음ㅋㅋㅋㅋ 그냥 출산율 하락 빔!! 10년후 초등 학급 10명 이하 확정 ㅋㅋㅋ
@opppgi406
@opppgi406 2 ай бұрын
한국은 국가적인 차원으로 가정을 이루는것=여혐 이라고 자랑스럽게 광고하고 다니는 나라인데ㅋㅋㅋ
@anandakwon9713
@anandakwon9713 2 ай бұрын
기독교 가치관과는 아무 관계없음. 가족중심주의는 아시아가 더 강하고 결혼과 출산이 직결된 것도 가족주의. 가치관이 강하기 때문임 유럽에서 결혼과 출산이 분리되기 시작한건 탈기독교화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 지금 유럽에서 가족주의가 가장. 강하고 기독교의 영향이가장 큰 나라들이 출산율.출생률이 가장 낮음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폴란드 등 반면 출산률이 높은 나라들은 이민이 많고 기독교 가치관이 많이 쇠퇴하고 결혼과 출산의 관계가 옅어지고 세속주의가 강한 나라들임 스웨덴 프랑스 영국등
@GunhaGreat
@GunhaGreat Ай бұрын
그리고 사실 신약에 따르면 사도 바울도 성도들에게 결혼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나 너무 너무 섹스를 하고 싶으면 결혼해서 해라. 라고 했죠. 실제로 사도 바울도 독신으로 살았구요.
@user-oi7rg5yw8q
@user-oi7rg5yw8q 12 күн бұрын
남녀갈라치기로 정권이어가는 나라에서 무슨 기적을 바람? ㅋㅋㅋㅋ
@shigolji7946
@shigolji7946 2 ай бұрын
결혼의 문제점이 아닌 사회적분위기로 인해 결혼의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잘못되환상을가지고 결혼을하는것이 문제임. 한사람을 위해 혹은 다른 사람을 위해 헌신하겠다는것은 우리삶을 의미있게 해주는가치임. 결혼의 기대치를 너무 높게 가지고 헌신해주겠다보다 무언가를 받겠다는 감사하지 못하는마음이 있어서 결혼을 구시대적으로 보는것. 감사한 마음이 있다면 진짜 결혼의 참된의미를 이해할수있을것
@frieden520
@frieden520 2 ай бұрын
혹시 결혼의 의미가 아무런 이득없이 남성이 무한한 책임을저야한다는건가?
@StockRoyalRoad
@StockRoyalRoad 2 ай бұрын
그러게 그러니까 남자들이 결혼 안하지. 여자들이 혼수 3천 가져오면 다행이니까. 받으려는 마음만 있음 ㅋㅋ
@user-rr3ue2ss6j
@user-rr3ue2ss6j 2 ай бұрын
결혼 라이센스제도 존재하나요...???
@user-pb1xw4yn9j
@user-pb1xw4yn9j Ай бұрын
뀨 난 5년 연애하고 작년에 26살에 결혼했는데, 행복한데 ㅠㅠ 물론 남편이랑 나랑 가치관 소비관념이 잘맞고 근면성실함. 내가 서운할 상황도 배우자 입장에서 먼저 생각함. 내가 배려하는 것보다 남편이 더 배려해줌 서로알고 고마워함.
@dearbyul
@dearbyul 2 ай бұрын
제가 소울영어님은 구독해서 보는 이유는 1. 영어공부, 2. 해외뉴스를 다룸으로서 혼자서는 이해할 수 없었던 외국 뉴스들에 대한 접근성, 3. 대중적인 주제 같습니다. 소울영어님 편하게 견문을 넓힐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younglee1564
@younglee1564 3 ай бұрын
과거에는 도파민을 충족시키기에는 극히 제한적이었으나 지금은...
@user-cj4wx3yd3x
@user-cj4wx3yd3x 2 ай бұрын
동거도 서양같이 법적으로 인정하고 기록이 남아야 함 그래야 동거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지 지금도 동거찬성 절대다수는 만약 결혼할 사람이 동거사실 숨긴거 알게되면 꺼려지는 현실이지 유명한 말이 있지 *동거는 사고이력 없는 사고차다* 이게 한국에서 동거의 인식임
@infpgirl.
@infpgirl. 14 күн бұрын
결혼 하고싶음 하는 거고 말고 싶음 마는거지 아무 생각 없었는데 우리 할아버지 동생분(결혼 안하심) 얼마전에 몸 안 좋아지셨다고 무슨 요양 시설? 같은데 들어가시는데 우리 아빠랑 작은 아빠들이 같이 간 얘기 들으면서 뭔가 생각이 많아짐... 당연히 내 노후에 돌봄받으려고 아이 낳는 건 아니긴 하지만 나이들고 아파졌을때 주변에 정말로 아무도 없다면 어떤 기분일까 싶은 생각이 갑자기 들어서ㅠㅠ 우리 할머니는 손목 삐끗만 하셔도 한달 넘게 우리집이랑 가까운 작은아빠네 집에서 번갈아 가서 식사 챙겨드리고 집안일 해드리고 했었는데... 부모가 아이를 사랑으로 잘 키우면 나중에 나이들었을때 자식이 부모의 보호자가 될 때도 그 책임이 부담스럽거나 싫지 않고 기꺼이 하게 되는 것 같음 내 바로 윗세대도 결혼 안 하고 혼자 사는 쪽을 선택하는 분위기인 것 같은데 먼 미래긴 하지만 내가 할아버지 동생처럼 나이들었는데 주변에 의지할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면ㅠㅠ...
@bien228
@bien228 2 ай бұрын
다들뭐 이제 알파메일들이 여러명 거느리고 어쩌고 하는데 그냥 만나고 성관계하는 거면 그게 맞는데 결혼이나 아이의 단계가 되면 그사람들도 한계가 있고 실제로 그렇게 되지도 않아요 중동 왕실같은 경우아니고서야 결혼을 해서 부인 여러명 데리고 있는형태가 아니라 미혼모만 양산하는게 되는게 더 현실성 있지 유럽 왕실도 그런경우가 많았고 귀족,왕족들 사생아 처럼
@user-dr3nd4nj1s
@user-dr3nd4nj1s 2 ай бұрын
성관계하는게 남자입장에선 거느리는게 맞는거지
@giannakim119
@giannakim119 3 ай бұрын
문제는 후진국에서 졸라 많이 낳는다는것!! 무슬림, 인도, 아프리카..
@ninehappy8363
@ninehappy8363 13 күн бұрын
일본의 임대주택 2년마다 갱신 (갱신할때마다 1개월 임대료 지출) 멕시코는 일본 임대주택 시스템에서 배웠을까요? 한국의 인구감소는 로켓속도로 가속되고 있는데 역추진 브레이크는 고장 났음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2 ай бұрын
동거나 사실혼은 재산분할없어요 양육비나 위자료 조금 주겟죠
@skyshin39
@skyshin39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같은 경우는 홍콩 싱가폴 태국 이런쪽이랑 비슷하게 볼수있을거같은데 수도권 집중화현상이 심한게 제일 큰 요인이에요. 과경쟁, 과집중이 결혼에 대한 스탠다드를 높이고있어요 예전처럼 신혼셋방살이 같은거 누가하겠어요 사람들 마인드셋이 제일문제인거죠. 돈아무리 써봤자 소용없어요. 방법은 다시 경쟁자체를 줄이면 됩니다. 수도권에 너무 사람들이 많아요 일자리는 없는데 좀더 여유롭게 살면 연애할생각 날거고 결혼율도 올라가겠죠. 결혼율이 올라가면 출산율도 올라가겠죠 유럽쪽은 제도적인 불평등이 큰거 같더라구요. 이혼하면 거의 남자쪽이 엄청나게 손해봅니다 그래서 남자들이 결혼도장찍는걸 매우 꺼려하더라구요
@unka2007
@unka2007 3 ай бұрын
이게 제일 맞는 말인 것 같아요~~거기다 남이 하면 해야하는 마인드셋…나는 나고 너는 너다 이런게 성립될 수 없는 사뢰인 것 같음
@user-gr5vd9nb8f
@user-gr5vd9nb8f 3 ай бұрын
저도 동의합니다. 수도권집중화만 해결해도 반 이상 해결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gr5vd9nb8f
@user-gr5vd9nb8f 3 ай бұрын
근데 수도권집중화현상이 문제인건 노무현 대통령때부터 나왔던 이야기고 ( 실제로 세종시 수도이전 계획 무산) 모두가 다 무의식 속에라도 알고 있눈 사실인데 문제는 우리나라 국민 수의 절반이 수도권이라 .... 현실적으로 이들의 희생을 강요해야 변할 수 있는 상황이라 정치인들도 못 건드리고 이지경까지 온 것 같아요 ......
@user-zz3kj7dw7c
@user-zz3kj7dw7c 3 ай бұрын
한국에 귀촌 붐 불었을때 시골 꼰대들이 텃세로 귀촌 한 사람들 다 쫓아냈죠ㅋㅋㅋㅋ 귀촌 법을 만들어야해요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2 ай бұрын
​@@user-gr5vd9nb8f 노무현이 아니라 박정희 때 수도이전 계획 나옴 근데 죽으면서 유야무야됐고, 수도권 집중 문제는 있는데 다들 눈치만 보느라 패스하다가 노무현이 칼 뽑았는데 관ㅋ습ㅋ헌ㅋ법 드립으로 끝남 거기서 우린 도시국가화 되는 걸로 결정난 거임 이젠 늦었음 모든 자산과 경험, 커리어와 문화와 인프라가 수도권에 집중됐고 이제와서 이전한다고 하면 그사세 사람들부터 수도권에 간신히 발 한 쪽만이라도 걸친 사람이면 죄다 반대할 거임 그게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결합이니까. 논의 시작 전에 이미 끝난 문제임
@bcj-zn6gf
@bcj-zn6gf 2 ай бұрын
결혼에는 당연히 책임이 따르는데 책임은 지고 싶지 않고 형식만 갖추고 싶다는 건 결혼자체를 안 하는게 맞지 상대한테 무슨 무례인지 모르겠음 상호 합의로 서로를 책임지겠다는 게 결혼인데 이걸 악용해서 한 쪽이 한 쪽에만 기생충처럼 의존한다거나 하는 게 문제일 뿐이지 결혼을 올바로 이해한 사람은 서로 노력하고 으쌰으쌰 하게 되있음 즉 양심적인 사람은 상대를 생각해서라도 맞춰가려 하지 이기적으로 굴지 않는다는 거 그러니까 결혼의 정말 문제점은 양심적이지 못한 인간하고 결혼 했을 때 그걸 상대가 감당해야만 하느냐는 것이지 정상적인 결혼은 문제가 없음 따라서 그냥 결혼 시키지 말고 결혼이전에 필수적 결혼 교육이라는 게 있으면 좋겠음 동거기간을 마쳐야 결혼 가능하다던지, 결혼생활에 대한 의무 교육을 실시한다던지 등 상식적인 것도 결혼 이전에 생각 안 하고 무턱대고 결혼하는 멍청한 사람이 의외로 많다고 봄
@us99755
@us99755 3 ай бұрын
솔로 많세
@jihoahn4546
@jihoahn4546 2 ай бұрын
1. 국토균형발전(지방 양질 일자리 & 집값안정) 2. 대학입시 폐지 대학평준화(사교육비 감소 & 자아실현 집중) 3. 복지강화 제조업 -> 서비스업(기본생활 보장 & 고부가가치 창의적 기업 근무시간 단축) 3개만 하면 출산율 반등
@byebyebye514
@byebyebye514 2 ай бұрын
2, 3은 아님 2. 사교육비는 공교육의 수준이 낮아져서 생기는 문제. 3. 서비스업은 수출이 주가되는 우리나라에 맞지않음. 오히려 국제사회에서 위상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발생. 2의 해결책은 공교육의 수준을 사교육화 시키면 됨 -> 학원선생 시간강사로 채용, 기존 강사 경쟁체제로 무한 반복(30년 전 방식으로 똑같이 가르치는 로봇교사 AI로 대체) 우리나라의 낙후된 금융 환경을 개선하면 많은 일자리 만들 수 있음.
@evolutionist3976
@evolutionist3976 2 ай бұрын
현대적이라고 정답인것이 아니다!!! 전통방식이 내게 맞다면 전통을 현대사회안에서 따르면 된다. 이때 내가 뭘 좋아하는지 알아야 선택을 할 수 있는데, 자기주도적 사고방식보다는 집단주의 문화인 우리나라 실정엔 잘 맞지 않는다... 가끔은 전통과 현대라는 구도를 내려놓고 나라는 사람은 무엇이 잘 맞을지 본원적인 질문을 던져보자...
@hyunhochoi8705
@hyunhochoi8705 3 ай бұрын
한국은 해답을 내놓기 전에 인구감소로 사라질
@user-oi7rg5yw8q
@user-oi7rg5yw8q 12 күн бұрын
이게맏다!!@
@sglee3479
@sglee3479 Ай бұрын
요즘엔 정말 결혼을 통해 남여 모두 포기하거나 희생해야 하는 것이 늘어났는데 그러느니 차라리 혼자살지~ 라는게 늘어난것 같음... 그냥 끼리끼리 서로 원하는데로 살고싶은 사람끼리 살면 좋을텐데 사람들 일이 그게 잘안되니 이래라 저래라 말들이 많은듯...
@Motusol
@Motusol 2 ай бұрын
결혼은 사회적 합의나 뭐 어떻게든 없어질 수도 있겠지. 제도니까. 사람은 제도를 바꿀 수 있으니까. 하지만 연애는 사라질리가 없다. 그건 본능이니까. 결혼 없이 연애만. 이건.. 남자들에게는 천국이 아닌가?
@user-nb9xl1cf4m
@user-nb9xl1cf4m 2 ай бұрын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결혼해서 가정을 꾸리고 싶은데... 시작을 할 엄두가 안 나요. 그리고 만에 하나 실수를 하더라도 그걸 만회할 수 있을지도 자신이 없습니다ㅜ
@junou1902
@junou1902 2 ай бұрын
그래서 사람 보는 능력은 평생 길러야 한다는 말도 있죠...
@user-xi6xv1vf2k
@user-xi6xv1vf2k 2 ай бұрын
결혼이란 전통적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했고, 자식은 노후를 보장했죠. 그런데 현대 선진국은 그렇지 않아요. 얼마 전 까지만 해도 가사는 한 사람의 노동력이 온전히 들어가야만 했죠. 혼자서 일을 해 돈을 벌면서 가사까지 하는건 매우 힘들었고 효율이 낮았죠. 그러니 결혼을 해 두사람이 분업 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현재는 가전제품의 발달로 가사에 드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적어져서 혼자 살아도 삶의 질이 높습니다. 또한 결혼에 드는 비용이 매우 높고 이혼률이 올라가면서 결혼지속시간에 대한 기대값이 점점 줄고 있어요. 전통적으로 자식은 부모를 봉양해야 할 의무가 있었고, 많은 자식은 윤택한 노후를 보장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육아에 드는 비용이 너무 높은데 비해 다 큰 자식이 부모를 봉양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sunhwang
@sunhwang 2 ай бұрын
이게 본인이 결혼을 포기하게끔, 이익이 없게끔 만들어진 구조가 영향이 큰 것 같아요. 정부와 사회에서 이런 결과를 예측하지 못했고 돈만 벌어여하는 극단적인 자본주의 사회로 만들어버렸어요. 젊은 사람들은 항의와 시위를 하지 않고 있고 잘 살더라도 더 나은 나라로 이민 가길 선택할 것 같아요.
@user-xk4jk7jj6z
@user-xk4jk7jj6z 2 ай бұрын
결혼에 따른 리스크가 크죠 남녀 모두...결혼했는데 안 맞는 경우가 많은데 이혼하면 경제적, 정신적 에너지가 많이 들죠..
@garnoon8394
@garnoon8394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혼전계약서등 남성에 대한 안전책을 세우지 않는한 혼인율과 출산율은 계속 하락할 수밖에 없음.
@jindao600
@jindao600 3 ай бұрын
결혼은 국가가 인구 관리 편하게 하기위해 만든 제도일뿐임. 그래서 사랑하면 결혼 해서 애 낳아야 하는거라고 주입시키는거고.
@hygang9118
@hygang9118 Ай бұрын
옳다고 봅니다 여성인권도 옳고 개인의 자유도 옳고 존중해야죠. 그러나 앞서 말한것들과 결혼은 절대 양립할 수 없고, 그럼 종족은 결국 없어지게 될테니 이건 겸허하게 받아들이는게 맞지 않을까요. 지금처럼 나라 망한다 단칸방에서라도 낳아라 노인들이 빽빽대는데 이게 어긋난 포인트라고 생각함다
@kim_skin
@kim_skin 2 ай бұрын
3:23 맨스플레이닝 ㅋㅎㅋㅎㅋㅎ
@finegap6243
@finegap6243 3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시절에는 프랑스가 현재 한국처럼 애를 낳지 않는다고 남의 집 이야기처럼 회자되었는데 지금은 오히려 프랑스가 한국보다 아이를 많이 낳는 나라가 되었네요. 우리도 어쩌면 프랑스가 이미 겪은대로 외국인 이민자 유입을 대폭 확대해서 일시적으로 노동력과 세수 부족을 해결한다해도 이후에 발생하는 이민족과의 갈등 그로 인한 사회문제를 야기 후 비혼커플들이 낳은 아이들에게도 혼인커플과 동등한 세제 혜택을 주는 쪽으로 갈거라고 봅니다. 문제는 한국의 인적 구성원이 지금과는 많이 달라질 거라는 겁니다.
@user-fq7tz4ym6v
@user-fq7tz4ym6v 3 ай бұрын
남녀간에 사랑이 식어버리면 동성 친구만도 못한 관계로 전락하는데.. 누가 요즘 세상에 사랑 하나만 보고 결혼을 하겠냐고.. 결혼제도는 더욱더 비즈니스화 될 것임(지금도 어느정도 비즈니스긴 하지)
@vpqnpr5797
@vpqnpr5797 3 ай бұрын
원래가 비즈니스 혹은 대이으기 용 이었다가 지금이 자유연애로 결혼하는 전례 없는 세대입니다만...
@belugaangel9360
@belugaangel9360 2 ай бұрын
이혼시 불합리한 제도나 혼전계약의 유효화를 통한 과도한 법적 책임부과를 덜어준다면 결혼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켜줄것이라 봄. 지금은 한번으로 모든게 망가져버림
@user-emiya_kookejja
@user-emiya_kookejja 9 күн бұрын
자본주의와 자유주의가 극단으로 간다면 몇백년 후에는 일부다처제 일처다부제도 자연스럽게 법제화 될듯, 그리고 가진자, 예쁜자들만이 서로 결혼하며 유전적으로도 부익부 빈익빈이 될것이고 열성 우성이 가려질듯.. 그땐 우린 이미 흙이 되었을거기 때문에 그냥 오늘 뭐먹지?
@mhgim3092
@mhgim3092 3 ай бұрын
좋은 세계뉴스 감사합니다. 멕시코 방법이 흥미롭네요 갱신형.
@hyenaLee-ke7ni
@hyenaLee-ke7ni 2 ай бұрын
무조건 이혼 재산 반토막 이상 도축당함!!! 거기에 양육권 까장 강탈당함!!!
@ykkim8970
@ykkim8970 2 ай бұрын
서로 못 믿는 관계가 됐으니
@keonminlee3792
@keonminlee3792 12 күн бұрын
뭐든 팀워크는 분담이 있어야 행복하다. 지금 결혼은 밧듀오가 서로 유미가 되고 싶던지 서로 원딜이 하고싶은 상황.
@hannyhong2495
@hannyhong2495 3 ай бұрын
21세기에 없어지는 3가지..국가 대학 결혼이라고 아주 오래전에 들었어요. 다 맞아가죠?
@robertsaint6495
@robertsaint6495 3 ай бұрын
안없어져요 돈있고 능력있으면 국가 선택, 교육 선택, 배우자 선택의 자유가 있지만 그게 없는 사람들이 늘어가는거죠 도태된 삶이 부럽나요?
@asdfg3751
@asdfg3751 3 ай бұрын
성관련 서비스업 금지도 폐지 될듯 한국은 아직도 20세기 마인드
@logj4
@logj4 3 ай бұрын
​@@robertsaint6495 어짜피 사람은 죽는데 왜 도태를 두려워함? 님세포가 남아서 사는 거지 본질적으로 님은 결국 죽음
@DeviHC
@DeviHC 3 ай бұрын
@@robertsaint6495 전세계 89% 사람들이 도태된 삶이라는 소리인가요? 시대가 변하고 있다는 말인데 이걸 못 알아들으시나.
@robertsaint6495
@robertsaint6495 3 ай бұрын
@@DeviHC 48년 2차대전 직후 전세계 인구가 30억명이 안됬고 7 80년까지 45억명에 불과했음. 지금 80억명이 넘었으니 비율은 변했을지언정 전통적 결혼관념을 지키는 절대적인 수는 거의 변하지않았음
@alivemap
@alivemap 2 ай бұрын
★결혼할 땐 이런 질문을 해봐라. 늙어서까지도 이 사람과 대화를 할 수 있을까? 이외에 다른 모든 건 일시적일 뿐이다. -프리드리히 니체
잘못하면 우리나라도 이렇게 될듯…
8:23
일간 소울영어
Рет қаралды 413 М.
어른의 힘으로만 할 수 있는 버블티 마시는법
00:15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Can You Draw The PERFECT Circle?
00:57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5 МЛН
'외모 강박주의' 대한민국 사회
37:01
타일러 볼까요?
Рет қаралды 320 М.
실제 영어를 들을수록 빨리 습득한다.. 직접 보여줄게
9:59
존쌤의 언어습득법
Рет қаралды 269 М.
어른의 힘으로만 할 수 있는 버블티 마시는법
00:15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