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의 '전투기 엔진 독자개발 선언', 가능한 걸까? (feat.군사평론가 김대영)

  Рет қаралды 64,819

theSKYmag

theSKYmag

4 күн бұрын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무인기 #제트엔진
* 이 영상은 한화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스튜디오 대관: 서울 디지털재단 / 스마트시티센터 SDF 스튜디오

Пікірлер: 290
@user-et8yj9ih9o
@user-et8yj9ih9o 2 күн бұрын
누리호 발사는 쉬워서 성공했나... KF-21 개발은 쉬워서 성공했나.... 항공기 엔진의 개발은 쉽고 어렵고의 문제가 아니고, 엔진 개발을 하지 않으면 KF-21의 수출을 한국의 마음대로 결정하지 못하고 미국이 통제를 따라야 하기 때문에 하는 것인데...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күн бұрын
2015년 기사/ 심상정 대표는 "예상을 크게 벗어난 대통령의 결정은 그동안 KFX 사업 난맥상의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해주었다. 그것은 국정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전투기 사업의 총지휘자도 박근혜 대통령이라는 사실이다. 지금까지 김관진 안보실장 경질을 요구했던 것은 그가 늑장·은폐보고로 대통령의 눈을 가린 책임자라는 인식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대통령의 1순위 쇼핑목록(wish list)에 국정교과서, ‘달 탐사’와 함께 한국형 전투기도 들어 있었던 것"이라고 질타했다.
@jakej8991
@jakej8991 2 күн бұрын
엔진도 만들어야 수출에 자유롭다만 그렇지만 사출좌석 시트도 영국산인거고려하면 그것도 독자개발해야할거임
@user-iz1zx7jb4q
@user-iz1zx7jb4q 2 күн бұрын
전투기 개발도 어렵지만 그것보다 10배 더 어려운게 전투기 엔진 개발이라고 합니다.
@OooO-im
@OooO-im 2 күн бұрын
그넘의 미국의 통제 😂 조 ㅏ파애들 어카냐
@svo2098
@svo2098 2 күн бұрын
그래도 해야죠.​@@user-iz1zx7jb4q
@user-vb8sf6mu2v
@user-vb8sf6mu2v 2 күн бұрын
똑같은 소리를 20년전에 우리가 어떻게 전투기 만드냐고 했고 50년전에 우리가 선진국이랑 승용차 경쟁 하는것도 불가능한 일이었음 왜 안된다고하지 그런 논리면 우린 아직도 보릿고개어야 함
@user-xv6gy1xp6w
@user-xv6gy1xp6w 2 күн бұрын
그때는 몰랐을때고 전투기하고 엔진은 완전히 다른거죠
@ethenlee3875
@ethenlee3875 2 күн бұрын
ㅡㅡ 븅신
@user-hj8oj8lx9o
@user-hj8oj8lx9o 2 күн бұрын
⁠​⁠​⁠@@user-xv6gy1xp6w그런식이면 평생 아무 것도 못 하지 ㅋㅋㅋ 그당시 자동차만들때 지금 전투기는 비슷 한거 같은데요
@user-xv6gy1xp6w
@user-xv6gy1xp6w 2 күн бұрын
@@user-hj8oj8lx9o 이해못하셨나 그때는 무대포지 지금은 검색만해도 왜 힘든지 다나옴 자동차하고 비교는 아니죠
@user-ph3tw7mk9o
@user-ph3tw7mk9o 2 күн бұрын
@@user-xv6gy1xp6w지금도 될지 안될지 모르잖아
@SeungHyeopLee
@SeungHyeopLee 2 күн бұрын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응원이 필요할 때라고 봄. 한화 화이팅!!!
@user-yz3hu3hu4x
@user-yz3hu3hu4x 2 күн бұрын
한화는 대표적인 양아치 기업이죠 대표적인게 항공기용 AESA레이더 개발시에 이미 FA50에 LIG의 레이다가 개발되서 장착됨에도 한화는 최초개발이라면서 거짓 광고를 했죠 그외에도 무기와 장비 개발시에도 외국장비 들여와서 페인트만 칠해놓고 개발했다고 납품했죠
@present5887
@present5887 2 күн бұрын
어렵다.... 판로가 없다.... 그래서 포기하자. 이런 천하의 바보같은 생각을 안하기를 바란다.
@user-qm5ys
@user-qm5ys 2 күн бұрын
시작이 반이다 뭐든 하다보면 이룰수있다
@user-di7vq3qm8t
@user-di7vq3qm8t 2 күн бұрын
인생 살이에서 부정적 시각이 강한 사람은 하늘의 저주를 받은 사람이다. 오늘날 여기 까지 대한민국이 발전 하는데 부정적 시각이 우세 했다면 불가능 하였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걸리드라도 엔지니어와 과학계를 믿어 봅시다.
@JHJenkins
@JHJenkins 2 күн бұрын
긍정적인 사람은 비행기를 만들고 부정적인 사람은 낙하산을 만든다는 말이 있음. 세상에 하늘의 저주를 받은 사람은 없다. 그걸 써먹을 수 있냐 없냐만 있을 뿐임
@user-cn8zc2eu6p
@user-cn8zc2eu6p 2 күн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원자력발전소.포항제철.현대조선소.삼성 반도체.월드컵4강 모두가 안된다고 했을때 묵묵히 해낸 대한민국의 저력이 다시 한번 발휘되었으면 좋겠습니다.
@ungsuk2
@ungsuk2 2 күн бұрын
그러다 인력들 다 갈려나가고 저출산 멸망.. 아 멸망중이지 이정도면...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күн бұрын
@@ungsuk2 저출산은 보육환경과 아무 상관도 없고, 오로지 페미니즘과 역비례할 뿐이다.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2 күн бұрын
그 뒤에 일본 미국기술이 있었다는거 잊지마라.
@dfdfedddd
@dfdfedddd Күн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는 기술적 난이도는 별거 없고 당시 철도 증설파랑 고속도로 신설파가 대립한것임. 이게 정치적 이유로 왜곡되어서 오늘날 알려지고 있지만...
@user-cn8zc2eu6p
@user-cn8zc2eu6p Күн бұрын
@@dfdfedddd 뭔개소리야? 당시 고속도로 건설은 현대가 태국에서 참여해서 얻은 기술이 유일했고 중장비도 부족했고 결정적으로 자금이 없었고 호남에 대한 차별이라고 야당의 거센반대에도 부딪힌거다. 당시 1인당 국민총생산은 100달러가 겨우 넘었고 돈이 없어 휘발유세 등 인상하고 건설자금의 70%를 차관해서 어렵게 지은건데 너야말로 정치적 관점으로 폄하하는거 같은데
@jbshim7648
@jbshim7648 2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시작을 안하면 결과는 없다…
@user-mk8sy8xj9n
@user-mk8sy8xj9n 2 күн бұрын
5500파운드는 개발완료 얼마 안남지 않았나요? 1만파운드도 개발중이고, 1만5천파운드급은 이제 개념연구 시작한 단계같던데. 엔진 하나 연구하는데 보통 14년정도 걸려서 1만5천파운드급 엔진 2037년쯤 개발완료 예정이라고 얘기했지만 10년으로 줄여보겠다고 하셨음. 개발이 잘 되서 2032-3년쯤에 한국형 F414 엔진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2038년쯤엔 6세대용 엔진으로 개발한다는 3만파운드 이상급 엔진도 나왔으면 좋겠네요. 전에 다른 유튜브 영상보니까 한국형 F414엔진 개발 2/3 시점에 6세대용 엔진 개발시작해서 한국형 F414 개발완료후 5년뒤쯤에 나올수 있다고 하셨는데 개발 잘 돼서 우리나라도 미국 못지않은 당당한 엔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user-xv6gy1xp6w
@user-xv6gy1xp6w 2 күн бұрын
꿈같은얘기
@_web190
@_web190 2 күн бұрын
밀덕을 자부하고 KF-21을 적극 지지하는 입장에서도 엔진 자체 개발은 좀 어렵지 않나 생각했는데 이런 단계가 있었군요 계획을 들어보니 시간과 비용만 투입된다면 우리도 충분히 가능할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꼭 프로젝트 성공해서 자주 국방에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dhsky4512
@dhsky4512 2 күн бұрын
지금 KF-21 쌍발엔진에서 한쪽 엔진에 약 40~50% 정도의 부품은 자체개발한걸로 테스트 한다고 들었습니다. 꾸준하게 매진하면 좋은 성과가 나올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UK-US-Eng
@UK-US-Eng 2 күн бұрын
자체 개발 아니고 도면 받아서 자체 제작입니다.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2 күн бұрын
지금 시작이라도 하지 않으면 100년후에도 수입이나해야한다.
@footstep002
@footstep002 2 күн бұрын
무인기 엔진 개발하는게 유인기의 징검다리 정도만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있는 그런 인식도 좀 바뀔 필요가 있다고 보는게 무인기 엔진 같은 경우도 mtcr 규제를 받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기술도입은 당연히 어렵고 단순 수입조차도 쉽지 않은 문제가 있어서 어차피 군용 그레이드 무인기가 필요하다면 유인기 엔진 개발과는 별개로 개발이 불가피 하다는거죠. 맨날 무인기 완제품 형태로만 수입할 거 아니면... 제가 보기엔 우리나라 무인기 엔진 개발은 원래 이 목적이 우선이고 하는 김에 겸사겸사 거기서 기술을 더 축적해서 유인기 엔진까지 키우는게 오히려 곁다리 느낌이 더 짙다고 봅니다. 다만 kai도 그렇고 한화도 그렇고 마케팅 및 홍보차원에서 국산화라는 명분을 십분 활용하고 있는 것도 좀 있다고 봅니다. 단적인 예로 영국의 k9 수출 건 같은 경우 어차피 영국이 복서 장갑차 생산하기로 되어 있었고 그 차대 갖고 만드는 rch155가 당연히 선정 가능성이 높았는데 k9도 상당히 기회가 있는듯이 띄우면서 꽤 이른 타이밍에 한화는 k9a2 개량명분을 확보할 수 있었죠. 냉정하게 말하자면 우리 육군으로썬 당장 k9a2로의 개량이 그렇게까지 급한건 아니었다고 봅니다. 허나 영국 수출을 위해 개량이 급하게 필요하다는 분위기를 강하게 띄웠고 사실상 그게 먹혀든 수확을 얻었다고 저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jaeyoungpark2132
@jaeyoungpark2132 2 күн бұрын
어럽더라도 하지않으면 않되겠죠 우리는 항상 길을 찿을겁니다 늘그렇듯이요
@Myung98
@Myung98 2 күн бұрын
마라톤 42.195Km 도 한걸음 부터 시작한다.. 시작은 반 이다... 부정적인 시각으로는 아무것도 못한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fodr6542
@fodr6542 2 күн бұрын
첫술에 배 부를수는 없지만 묻고 더블로!!!
@dogichow2
@dogichow2 2 күн бұрын
대영이 요즘 여기저기 자주나오네
@jonggyoungpark6507
@jonggyoungpark6507 2 күн бұрын
이미 한화의 소재 개발 센터장, 개발 담당 인터뷰들도 떴고 그런 것 보면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더군요, 이미 기초기술을 개발해 놓고 발표만 안하고 있나 할 정도로요.. KF21 수출에 제일 큰 걸림돌이 미국산 엔진입니다. 이번기회에 독자개발울 해야 비로소 진정한 전투기 생산, 수출국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봅니다 . 기회는 지금뿐이라는 생각임.
@user-qj5yb6wc4q
@user-qj5yb6wc4q 2 күн бұрын
많은 밀덕들이 한화의 엔진개발에 부정적인건 몇십년동안 엔진 부품 면허생산을 하는 한화이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엔진 부품 개발을 하는 명분으로 연구비만 받아먹고 성과가 전무하다고 밀덕들은 생각합니다. 그래서 개발을 이전에 안해서 그렇다고 언플하는 한화를 못믿는겁니다. 저도 발전용 가스터빈 개발에 성공한 두산이 엔진개발에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kevinpark4901
@kevinpark4901 2 күн бұрын
음 한화가 만시간 사용가능한 월등한 성능의 엔진을 개발했으면 좋겠네요! ㅎㅎ
@user-wf3tu4dh3w
@user-wf3tu4dh3w 2 күн бұрын
두산이 만든 발전용 가스터빈은 어떻게 만들어때? 못 만드는게 아니라 시간과 비용이 필요할뿐~ 두산이 더 가능성이 높아보임
@user-bm7kj6xw6m
@user-bm7kj6xw6m 2 күн бұрын
한화도 가능할거라 봅니다. 면허생산 경험도 있고
@user-qj5yb6wc4q
@user-qj5yb6wc4q 2 күн бұрын
​@@user-bm7kj6xw6m여태 연구비만 받아먹고 성과가 전혀 없는 한화
@user-bm7kj6xw6m
@user-bm7kj6xw6m 2 күн бұрын
@@user-qj5yb6wc4q 무슨 성과를 말하는거임?
@user-bm7kj6xw6m
@user-bm7kj6xw6m 2 күн бұрын
@@user-qj5yb6wc4q 1. 한화가 엔진 부품을 만들지 않았나? ->X 2. 한화가 만든 엔진 부품이 수출된적이 없는가? ->X 내가 알기론 롤스로이스, GE, P&W에 부품 공급계약 맺어서 23조원 수주한걸로 알고 있는데? 또롤스로이스로부터 상도 받은걸로 알고 있는데 도대체 뭔 실적을 말하는건지 모르겠네 그리고 연구비만 받아먹고 아무것도 안하는것처럼 말하는것도 이해가 안가는게 부품을 안만든것도 아니잖음. 애초에 지금 방산 잭팟 터트리는 한화가 역대급 실적을 연이어 내고 있는것을 보고도 무슨 세금 받아먹고 튀는 비리기업처럼 말하는게 난 이해가 안감
@user-ys3jb2vm5w
@user-ys3jb2vm5w 2 күн бұрын
@@user-bm7kj6xw6m k9 최초 시작이 어디인가요? 삼성테크윈 아니였나요? 한화는 거기를 인수했을 뿐이고… 한화는 과연 엔진 개발에 인력과 비용을 투자할 의향이 있을까요? 적자를 꾸준히 보면서? 방산업계에서 한화는 인력 돌려막기로 유명한데
@user-mh7tb8ur8i
@user-mh7tb8ur8i 2 күн бұрын
관련 자료를 보니.. 엔진개발에 중요한 하드웨어적인 요소는 소재와 냉각기술이더군요. 말이 철이 1400도 정도에서 녹는다이지.. 이 온도 가기 훨씬 전부터 소재가 흐물흐물 해지기 때문에 15,000파운드급 엔진 정도되려면 소재가 담당하는 온도는 1,000도 정도가 현실적인 온도이고.. 이 이상의 온도는 냉각기술로 커버쳐야 한다고 하더군요. 터빈입구온도가 1,800도 넘은 경우에는 소재보다 냉각기술이 더 중요하구요. 여기에 소프트웨어적인 기술도 필요해서 엔진개발이 쉽지는 않아 보이구요. 일단 소재기술은 몇 십년 동안 연구한게 있어서 중국보다도 좋다고 하니... 소재도 좀더 열심히 개발하고, 냉각기술도 더 열심히 개발해서 10여년 후에는 15000파운드급 엔지개발 기대해 보겠습니다.
@kyongsooson7406
@kyongsooson7406 2 күн бұрын
한화 5000파운드는 몇년안에 개발가능합니다. 미국 전투기엔진 조립생산 오랫동안 해왔고 선박엔진은 이미 상위권이고 미국엔진 부품회사 인수했고 우크라서 포탄주고 받은 시제기엔진 있으니 만드는건 문제안됩니다 다만 소재부분에서 얼마나 오래쓸수 있냐가 관건입니다. 우선 무인기에 적용해서 사용하고 점차 연구 개발해서 더오래 사용할수있을때 7500 10000 파운드로 적용해서 kF-21적용하고 안정화 되면 항공기에도 적용할 생각일겁니다.
@tory6482
@tory6482 2 күн бұрын
한국특 주변에서 안된다 불가능하다 하면 성공함
@user-rc7vn7td2d
@user-rc7vn7td2d 2 күн бұрын
한국내에 그런 인간들이 더 많은.. 국가 기관도 있음 KIDA라고..
@LUMINOX.
@LUMINOX. 2 күн бұрын
뽀구미가 왜 썸네일에..
@user-os4qx3fk1v
@user-os4qx3fk1v 2 күн бұрын
나만그런게 아니었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erurung
@Kerurung 2 күн бұрын
아옼ㅋㅋㅋㅋㅋㅋㅋ😂
@user-ld2he9or4w
@user-ld2he9or4w 2 күн бұрын
두산의 개발현황도 궁금하네요.
@user-mm1hj4eh4h
@user-mm1hj4eh4h 2 күн бұрын
썸넬에 뽀구미있어요
@user-vh7iw5ut9o
@user-vh7iw5ut9o 2 күн бұрын
그런관점에서 보면 터키는 한국보다 엔진 부분에서는 훨씬 더 발전했다고 보면 될까요? 터키는 현재 세계적인 무인기 생산국이고 실전에서도 입증된 나라가 됐으니....
@LoTAWN
@LoTAWN 2 күн бұрын
20년 전이랑 다른게 있긴하지 출산율이 박살나서 인재가 얼마나 나올지가 걱정됨
@user-hostrtno1hond
@user-hostrtno1hond 2 күн бұрын
맨땅에서 시작해서 여기까지 올라온 대한민국입니다. 소재공학 등 꾸준한 투자만 이어진다면 대한민국은 항공기 엔진을 자체개발할 수 있을 겁니다. 제발 R&D 예산 증액하고 연구자들을 대우해 주시길 바랍니다. 대한민국의 미래가 과학기술인에게 있습니다.
@yongjinnkim9207
@yongjinnkim9207 19 сағат бұрын
이거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더라도 가야할 길이라고 봅니다.
@user-oh5zt6xe5f
@user-oh5zt6xe5f 2 күн бұрын
소재가 진짜 중요하구나
@user-cd8hn7ne1j
@user-cd8hn7ne1j 2 күн бұрын
회사 오너나 엔지니어 들이 그 돈 들여가면서 안될거믄 하겠냐고.. 안될거믄 하래도 안합니다 우리 머리 꼭대기에 앉아있는 사람들이요...
@kyoungminshin4218
@kyoungminshin4218 2 күн бұрын
따로 입힌게 아닌 영상에 들어간 목소리까지 들었으니 이제 맥형 실제로 목소리 들으면 단번에 알아차릴듯 ㅎㅎ
@beamlight8212
@beamlight8212 2 күн бұрын
kfx도 첨엔 다 불가능하다고 했죠....
@user-xv6gy1xp6w
@user-xv6gy1xp6w 2 күн бұрын
전투기하고 엔진하고는 다르죠
@user-qj5yb6wc4q
@user-qj5yb6wc4q 2 күн бұрын
지금도 몇몇 핵심부품은 수입해서 사용합니다.
@user-ge3th7gt1g
@user-ge3th7gt1g 2 күн бұрын
​@@user-xv6gy1xp6w뭐가 다르죠?
@user-jm4qh4jc3i
@user-jm4qh4jc3i 2 күн бұрын
​@@user-ge3th7gt1g전투기도 핵심은 미국 기술훔쳐서 성공한거임. 그거때매 미국에서 기술 빼돌린 한국계 미국인 미국에서 스파이혐의로 재판받고 징역갓음.
@user-xv6gy1xp6w
@user-xv6gy1xp6w 2 күн бұрын
@@user-ge3th7gt1g 비행기 띄우는건 왠만한국가들은 다 할수있음 문제는 엔진임 중국보세요. 몇십조투자해도 미제못따라가는거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그래도 세계 5대공업국이고 소형 가스터빈 제트엔진과 산업용 대형 가스터빈 엔진을 세계에서 5번째로 개발했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은 할 겁니다. 하지만 문제는 시간과 비용 그리고 상업성과 추력등의 성능이고 항공기용 제트엔진은 3개정도 회사가 기술과 시장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없으면 힘들 겁니다. 실제로 일본도 독일로부터 제트엔진 기술을 전수받아 50년대부터 개발해왔고 F-2 전투기 개발당시 미국으로부터 가스터빈 제트엔진 기술을 이전받아 자체 제트엔진을 개발했지만 추력이 미국산의 4분의 1수준에 불과하고 지금도 꾸준히 큰 비용을 투자하고 있지만 큰 성과를 못내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경우는 미국 GM과 협력해서 자체적으로 개발했고 수명과 추력등이 미국산보다는 못하지만 꽤 성능이 좋은 성능의 제트엔진을 개발하는데 성공을 했고 우리도 프랑스의 사례처럼 다른 나라와 협력하는 방법도 좋을 겁니다. 대표적인 나라가 과거 소련시절 군수공장이 많아서 독립후 제트엔진 기업을 흡수한 우크라이나임
@choechunyong
@choechunyong 2 күн бұрын
아무 것도 안 하면 아무 일도 안 일어 난다.
@user-oy1mg4ko5c
@user-oy1mg4ko5c 2 күн бұрын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응원합니다
@jakej8991
@jakej8991 2 күн бұрын
콜드섹션은 섭시600도정도라하면 고열 소재로 커버가 가능하다만 그이후 핫섹션의 경우 로켓노즐처럼 블레이드가 지속적인 열누적을 피하기위한 유체나 액체로 냉각하는 설계를 해야햐할거임 더군다나 전투기는 에프터버너시의 고열도 견뎌야해서 더더욱 과학적인 설계과 논문이나 실제 엔진 분해도같은 자료를 수집해야할거임
@j.m2958
@j.m2958 2 күн бұрын
면허생산.기술이전 --> 복제생산 --> 자체생산 --> 국산화 (엔진은 복제 단계?)
@Arcard800
@Arcard800 2 күн бұрын
이거 웃긴게 한화가 우리밖에 없겠지 라며 기대하고 있었는데 두산 발전용 가스터빈으로 뜬금없이 튀어나옴 게다가 국과연과 협업까지 해버림 한화 발등에 불떨어짐
@DavidYun-vx4de
@DavidYun-vx4de 2 күн бұрын
정부주도로 연구하고, 개발은 한화와 두산이 역할분담하는게 낫지 않을까? 2회사 모두 강점이 있는 분야에 집중하면 기대이상으로 좋은 결과가 나올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sek2371
@sek2371 2 күн бұрын
만든다면 격려를 해줘야죠. 비판만 할 건 아니라 봅니다.
@user-jy9fy6uf8o
@user-jy9fy6uf8o 2 күн бұрын
사실관계는 알아야지....무턱대고, 국뽕이 나라를 망친다....
@choechunyong
@choechunyong 2 күн бұрын
​@@user-jy9fy6uf8o 국뽕 때문에 나라 망친 경험이 있기나 했는지 궁금하네요.
@jihuneyphil2146
@jihuneyphil2146 2 күн бұрын
긍정의 힘
@user-jy9fy6uf8o
@user-jy9fy6uf8o 2 күн бұрын
답답하다...., 무장 무인기가 mtcr 통제 대상이다... , 바이락타르는 무장이 형편 없지..., 전투기급 무장은 통제 대상...., 유인기 수요가 얼마나 된다고...대x야, 공부좀 더 하고 떠들어라.....즉, 자체 엔진없음 중무장 무인기 못 만든다....,
@davidpark940
@davidpark940 2 күн бұрын
4:03 entity list가 아니라 export licence 임
@user-fp2oe8yi1w
@user-fp2oe8yi1w 2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자체 폭격기 꿈만 아니다 ~~ 한화 응원합니다
@user-zc8nb2qt3x
@user-zc8nb2qt3x 2 күн бұрын
우크라이나 러시아 항공우주기술은 세계최고 수준이고 한국 우크라이나 러시아 현역 퇴역 기술자들을 유치하고 활용하는것이 국익에 도움이 될것이다!
@user-ur8vz9cf1x
@user-ur8vz9cf1x 2 күн бұрын
굿 아이디어
@user-qu9si6qq3r
@user-qu9si6qq3r 2 күн бұрын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항공엔진은 사기업이 아닌 공기업에서 만들다 보니, 조립, 수리, 엔진 수명등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미국제와 이야기한다면, 크기도 크고, 엔진수명은 1/3정도 밖에 안됩니다. 엔진온도도 우리나라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서방과 엔진특성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극히 일부의 도움밖에 안됩니다. 우리가 그들에게서 배우는 기술도 있겠지만, 그들이 우리에게서 배우는 기술도 있을 것입니다. 특히, 미국과 영국에서 엔진기술을 주기로 했는데, 러시아, 우크라이나 기술자가 같이 있다면, 기술 안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가 독자개발이라고 하지만, 기술은 모자라서, 영국과 미국의 기술을 전수 받습니다. 러시아는 절대 안되고, 우크라이나는 돈만 된다면, 중국등에 기술을 파는 이들이기에 영국, 미국에게 기술협력 받기가 어렵습니다.
@naldawson7336
@naldawson7336 2 күн бұрын
세계 최고는 무슨
@user-bg4bc5vc7m
@user-bg4bc5vc7m 2 күн бұрын
세계최고는 아닌데 잘만들긴 하는거로 알고있음
@user-dp5lq4pf6p
@user-dp5lq4pf6p 2 күн бұрын
동구권 전투기엔진은 사양할께요 개노답 엔진임
@sata2023
@sata2023 2 күн бұрын
현재, 두산에서도 항공기엔진 개발하고 있다는데, 유튜브를 보면 한화만 나오네요. 두산쪽도 취재해서 올려주세요.
@kju42
@kju42 2 күн бұрын
요즘 배에 쓰이는 프로펠러가 아주 혁신적인게 나왔던데 내구성이 훨씬 뛰어나고 힘도 더 좋다, 그렇다면 제트엔진도 혁신적인 형상을 개발하면 좋을긴데 신약개발도 AI를 활용해서 개발기간을 대폭줄인다 하는데 이것도....
@d-dung
@d-dung 2 күн бұрын
엔진의 고온으로 일반적인 재료는 물리적 한계가 있다.
@user-pb9wz8nv7b
@user-pb9wz8nv7b 2 күн бұрын
20년 전부터 뭐든 안된다고 ㅈㄹ 떨어대는 잉간들이 있었지 우리 엔지니어들은 욕을 얻어먹으면서도 묵묵히 뼈와 살을 깍아서 이루어내고 .... 난 뭐든 안된다고 주둥이만 털면서 엔지니어들 힘만빼는 애들을 민족 공공의적이라 부르고 싶어
@user-pi7cc5xf5f
@user-pi7cc5xf5f 2 күн бұрын
KFEX로 명명되었음
@Renlaw666
@Renlaw666 2 күн бұрын
MTCR 때문에 무인기 엔진 자체제작 무적권 필요 > 보라매 유무인복합 등장 > 유인기와 같이 다닐 수 있는 힘을 가진 10000파운드 무인기 엔진 무적권 필요 > 어? 10000파운드면 4xx랑 규격을 맞춰서 보라매에 꽂을 수 있겠는데? > 유인기용도 가자
@isleboy7
@isleboy7 2 күн бұрын
무인기 엔진이 정말 큰 시장이 열리겠군요!! 깨달음 얻고 갑니다.
@69MadnezZ
@69MadnezZ 2 күн бұрын
안된다고 하는 사람은 평생 그 자리에 머무르지만 시도하는 사람은 조금씩 발전하기 마련이지. 국내 자체적인 수요가 적더라도 엔진 기술 확보는 미래를 생각하면 무조건 해야함.
@user-hd3no2wn9j
@user-hd3no2wn9j 2 күн бұрын
아... KF21 본격 양산들어가면 국산엔진 달아서 수출 할 것 처럼 이야기 하더니...
@doug-zk3ck
@doug-zk3ck 2 күн бұрын
무인기 엔진 시장이 정말 커질 것 같네요. 한화는 나름 다른 성동격서 방식으로 언론을 이용한 다른 목적이 있겠지요. 곧 나타나겠지만. 다른 방산회사의 인수합병, 독점을 위한 그런 것이 아니길 바랍니다.
@user-pi7cc5xf5f
@user-pi7cc5xf5f 2 күн бұрын
엔진 전문가를 초빙해야되는것 아닌가요 ㅎㅎㅎㅎ
@sagradavida1364
@sagradavida1364 2 күн бұрын
두산은 가스 엔진개발 더 먼저 했어요. 전투기엔진보다 훨씬 큰거죠. 아마 한화보다 더 먼저 개발할 겁니다. 정부가 자금 지원만 한다면 두 회사가 선의의 경쟁을 통해 신속히 개발할 수 있을 겁니다. 제발 깎아내리지 맙시다.
@RoySPark
@RoySPark 20 сағат бұрын
두산엔진 플랜트쪽 빼고 항공엔진 관련은 인화정공 한번 거쳤다가 한화임팩트에 팔렸습니다. 한화가 이미 흡수했어요.
@user.luke.22.42
@user.luke.22.42 2 күн бұрын
언제나 투트랙으로 해야지 외산 쓰면서 차근차근 국산화! 급할 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있듯
@KOREAN.21C
@KOREAN.21C 2 күн бұрын
이 사안은 향 후 시장성도 중요하겠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훗 날 전쟁발발시에 타국 도움없이 홀로 싸워야 할때 전략적으로 엔진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안되는 때를 위해서라도 여유있는 지금부터 기술개발을 해서 꼭 가지고 있어야 하기때문입니다. 전쟁날 가능성이 희미하다고 가정해도 미래일은 모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방산기술들을 키워나가는 것은 궁극적인 목표가 장사해서 부를 축적하기 위함은 아니잖아요? 물론 수출하는 것을 배제하라는 뜻은 아닙니다. 돈이 없으면 개발 시도조차 하기 힘드므로 그것도 너무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온전히 돈이 안된다는 이유만을 가지고 개발을 포기해라 마라 하는 것은 우리의 미래를 대비하는 자세로써 옳바른 자세는 아닌것 같습니다. 그것은 너어무 안일한 자세입니다. 평화가 너무 오래 지속되어서 감각을 잃은건 아닌지 심히 걱정되네요.
@JhKim_7
@JhKim_7 2 күн бұрын
솔직히 항공기 엔진은 경제성이 모자란다 해도 기술 개발 차원에서 생각하면 경제성 따질 일인가 싶기도 함…기초 연구하고 딱 하나만 만들어봐도 내공이 상당히 쌓일텐데..
@jerrylee1097
@jerrylee1097 2 күн бұрын
무인기는 특히 소모품적 성격이 크기 때문에 유무인 복합체계로 갈 경우에는 유인기 수명주기상에 무인기엔진은 훨씬 더 많이 소요될겁니다 그리고 유인기엔진을 수상함추진체계에도 쓸 수 있다면 경제성확보에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한화오션도 있으니 말입니다
@korimperator
@korimperator 2 күн бұрын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는 5,500파운드 코어 엔진은 이미 개발하여(2018년 완료) 스텔스 무인 전투기 기술 실증기에 탑재 운용 중입니다. 여기에 팬을 달아 고바이패스 엔진에 후기연소기 달아서 8,000파운드급 엔진을 만들어 스텔스 정찰기등에 사용할 예정입니다 이게 해외의 기존 업체의 터보펜 엔진을 사다가 쓰면 되는거 아닌가 하는데 무인기는 순항미사일과 비슷하게 취급하여 500kg 이상의 탑재 능력을 보유한 무인기는 MTCR에 의해서 엄격하게 통제를 받는다 (과거 글로벌 호크도 MTCR 위반 품목이지만 미국이 이상한 이유를 붙여서 그냥 팔았다) 어쨋 건 우리는 미국이 아니라 MTCR의 통제를 벗어나기 힘들어 무인기에 들어가는 터보팬 엔진을 외국에서 공급 받을 수 없습니다 뭐 전투기 MUMT용 무인기는 유인기 취급이라 MTCR에 적용을 받지 않지만 멈티용이 아닌 대형 무인기를 만들려면 무조건 국산화를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korimperator
@korimperator 2 күн бұрын
15,000파운드급 엔진을 개발 프로젝트가 2개가 진행 중인데 1개는 과거 GE가 F/A-18 E/F와 그라울러용 차기 F414 EE 엔진을 개발 했는데(출력, 연비, 발전량 향상) 미 해군이 F/A-18 퇴역 시키고 F-35C로 통일 하기로 결정하여 F414 EE 개발비가 날라가게 생긴 상황에서 한화에 그때 개발한 기술 중 일부를 이전하여 KF-21용 F414 수출 형 엔진을 만들고 있습니다 한화는 이번 기술 협력을 통해 15,000파운드급 가스터빈엔진 설계 기술을 축적하고자 하며 GE는 개발비를 일부 나마 회수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추가로 추후 진행될 MC-X 사업등에서 GE엔진을 사용해 주길 기대) 그리고 이 사업을 통해서 설계 기술을 배워 완전 새로운 순수 국산 15,000파운드급 엔진을 만들려는 사업이 따로 진행 중입니다 엔진 개발에 중요한 소재 분야는 오히려 15,000파운드급 엔진 소재 개발은 거의 완성 단계인데 설계 기술이 많이 부족해서 완전 국산이 나오려면 시간이 좀 필요한 상황임
@jayyoo906
@jayyoo906 2 күн бұрын
해 봐. 시작이 반이란다.
@chasuchasuramen
@chasuchasuramen 2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엔진개발에 수십조단위로 30년 넘게 쏟아 붓고도 제대로된엔진 못만드는거보면 엔진기술은 진짜어려운기술인듯
@user-uu6dm4st5w
@user-uu6dm4st5w 21 сағат бұрын
항상 부정적이고 실패만 염두하는 사람은 주변 지인으로도 두지마라 인생에 하등 도움 안되더라
@letmegocojun
@letmegocojun Күн бұрын
유인기 엔진에 대한 착각은... 한화에어로 유튜브 채널에 들어가보면 어떻게 홍보하고 잇는지 보시고 판단해보시면 좋겟네요
@user-fs5dw4ur8u
@user-fs5dw4ur8u 2 күн бұрын
안하고 후회하는 것 보단 일단 해놓고 보자고..
@user-rd6yv7vq2p
@user-rd6yv7vq2p 2 күн бұрын
50년 차이난다
@user-oi6ne6wf7g
@user-oi6ne6wf7g 2 күн бұрын
맥스 팩트만 전해주세요
@user-qm9lv9wt8o
@user-qm9lv9wt8o 2 күн бұрын
한화가 애매한게 소재 개발을 이제 시작했음 두산은 벌써 1650도까지 견디는 소재 개발을 했는데
@citizenerazed5539
@citizenerazed5539 2 күн бұрын
60-70년대에도 뭐만하면 하지말라, 못한다고 반대만 하던 사람들이 넘쳐났지. 대중은 길거리에 누워 그럴 돈 있으면 감자나 심으라고 징징거리고. 그때 그런 사람들이 위에 있었으면 지금 대형 선박은 커녕, 자동차 하나 못만드는 나라가 됐다.
@foranie
@foranie 2 күн бұрын
국산 밀리터리는 좀 걸러서 들을줄도 알아야 하는게 장점만 보고 국뽕이랑 너무 쉽게 연결하는거지.. 지금 잘 팔리는 k9도 있지만 명품무기라더니 터져서 창고행 당한 총도 있고 동급 최대 무장이라 자랑하는 kd3도 과무장이라 데미지 컨트롤이나 확장 문제, 무장이 고고도에 대한 처리도 문제가 있고 또 지금에서야 대안이 없지만 어정쩡한 크기인 수리온과 그 파생형... 실패한건 까먹고 평타친것도 까먹고 성공한것만 생각하고 도전하면 그걸 도박이라고 한다. 국산엔진이라면 한국에서 운용할떄는 국산이라 외산보다 더 높은 꿈의 90% 운용율도 달성할지도 모르지만 해외 입장에선 똑같이 외산이고 베스트 셀러 엔진들이 오히려 대체 부품 호환 부품 중고 부품 짭 부품을 국제 마켓에서 구하기가 더 쉬워 운용율 올라가기 쉬울 수도 있음. 그리고 목표가 되는 엔진은 상대적으로 구형 설계 베이스지만 나름 현대에 맞게 개량해서 쓰는 100(70) 404(80) 414(90)인데 근본이 구형설계라 미국이 엔진 수출에 민감하게 굴면서 못 팔게 하는 나라가 과연 얼마나 정상적으로 굴러가는 나라일까... 미국이 미국 전투기도 아니고 엔진조차 태클을 걸어 못파는 만큼 못믿는 국가에 친미국가인 한국이 판매를 강행할 수 있을까... 유무인 복합이나 그외 우리 수요를 채워야 하는 부분도 상당히 있으니 엔진개발을 반대하지는 않는데 아무것도 따지지 않고 무조건 해야하고 최고의 결과가 나올 것이며 우린 뭐든 할 수 있다는식의 국뽕은 그만좀....
@inbaek8054
@inbaek8054 2 күн бұрын
산업성숙도 기반기술이 한국보다 허접국가도 전투기엔진만들다고 설치는데 한국은 환경이 좋지요 국가적 의지문제이지 않을까 싶네요 시간 돈 의지 문제일뿐
@naldawson7336
@naldawson7336 2 күн бұрын
김대영 아저씨가 제인즈 직원이었어요?
@FGSRL
@FGSRL 23 сағат бұрын
그냥...냅둬요...우리는 우리 돈벌이나 생각합시다
@user-ky4wt6mq8r
@user-ky4wt6mq8r 2 күн бұрын
우리보다 더 앞선 기술력을 가진 일본도 못한게 엔진 국산화임. 결국 영국 BEA 시스템즈랑 합작으로 개발하기로 결정할 정도. 조금 극단적으로 말하면 전투기에서 엔진이 90%고 나머지 레이더 포함해서 10%밖에 안 됨. 무인기 엔진도 못만들면서 유인기 엔진을 만들자는 소리는 FA-50 없이 KF-21 만들자는 소리랑 똑같음.
@25wee
@25wee 2 күн бұрын
무인기 디자인 좀 이쁘게 잘 뽑았으면 . 한국만의 독특한 뭔가가 표현되면 좋겠지만 힘들겠지.
@BillKim1
@BillKim1 2 күн бұрын
미국방산업체와 눤가 이해를 같이한다는거지
@user-rv3nb3gy2j
@user-rv3nb3gy2j 2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만들수는있다 단지 독자개발설계 소재쪽이 문제다 그리고 독자설계 만약 소재까지된다면 기존엔진을 똑같이 만들면 라이센스문제가된다 그럼 미국이 안주면 전체엔진을 미국이 안주면 끝 그래서 독자설계 독자적으로 소재개발 그중 소재쪽이 문제다 작은엔진부터시작해서 큰엔진쪽으로가는길 추진력을 키울려면 고온고압의 소재가 제일 문제 이걸 키운다는것 이제는 시기가 왔다 터빈엔진 부터했고 소형엔진 무인기부터해서 실전 전투기엔진 그래서 우크라인나에서 기술받으면서 갈려고 하는것
@mink6967
@mink6967 2 күн бұрын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하고 우크라이나 엔진 회사를 인수하는 것은 어떨런지?
@user-zd5zf2rp9y
@user-zd5zf2rp9y 2 күн бұрын
쓰까이맥에다가 기무대영이...... ㅋㅋㅋ ㅋㅋㅋㅋ 다른 영상에서 개발 관계자와 인터뷰한 며칠 않된 내용이네! 🤣🤣🤣
@kimokim850
@kimokim850 2 күн бұрын
무인기 엔진은 수입이 불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ClusteredPlan
@ClusteredPlan 2 күн бұрын
제트 엔진은 열역학, 기계공학, 유체역학, 야금학을 비롯한 소재공학, 전자공학, 소프트웨어 공학 등이 어우러진 첨단 기술의 결정체임. 한국이 힘든 이유는 자본력, 연구인력 부족 등의 이유가 있을 수 있겠으나 결정적으로 타 분야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안 됨...특히 한국 공대 분위기는 내 분야 아니면 그냥 쌩까는 풍토가 있어서 학회에 가더라도 자기 세션 자기 발표 차례에 대충 떠들고 끝나면 나가서 술먹고 놀면서 즐기지..다른 엔지니어들이 어떤 연구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예 관심이 없음. 미국이 제트엔진 기술을 어떻게 진보시켰는지를 살펴보면 여러 분야의 엔지니어들이 모여서 토론하고 스스로 공부하면서 자기 분야가 아닌 것들에 대해서도 전문가 수준이 될 정도로 공부를 하는 경우가 많았음. 지금의 미국제 제트 엔진은 부품들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최대의 성능을 이끌어 내도록 최적화된 설계에 고도로 발달된 엔진 제어 시스템 덕분에 엔진 수명이 그냥 넘사벽임.. 한화가 지금 설레발 치는 건 우리도 할 수 있다라는 국뽕 드립을 쳐서 국가 R&D 예산을 일단 끌어오자는 심산일 가능성이 큼...나머지는 대충 엔지니어들 갈아 넣으면 될 것이라고 여기는 것 같은데...그게 과연 될까? 엔지니어들에게 한화가 과연 주도권을 줄 수 있을까? ㅋㅋㅋ 그리고 한국 엔지니어들은 창의성이 매우 떨어지는데...이건 유전적으로 열등하다는 뜻이 아니라 어릴적부터 그런 식으로 교육을 받아왔고 자기 분야만 아는 좁은 전문가가 되었기 때문에 아이디어가 나와봐야 거기서 거기임. 열려있는 사고를 하고 진정한 협업을 할 줄 아는 인재를 기른다는 점에서 미국은 정말 위대한 국가임. 무슨 일을 하든 사람이 가장 중요한 법인데...사람을 키우지 못하는 환경을 가진 한국이 무슨 배짱으로 미국이 하려는 걸 다 따라 하려고 하는지 모르겠음...
@user-gf2te8lg6p
@user-gf2te8lg6p 2 күн бұрын
같은 내용의 댓글을 다른 채널에서도 여러번 보았던 것 같은데,,,
@ClusteredPlan
@ClusteredPlan 2 күн бұрын
@@user-gf2te8lg6p 뭐 어쩌라고?? 국뽕 댓글 안 쓰니까 이상함?
@user-gf5rl2ki4l
@user-gf5rl2ki4l 2 күн бұрын
미국도러시아도중국도그외엔진개발한나라도너같이생각했을까그런나라도처음엔맨땅에해딩해가면서개발했다도와주지는못할망정헛소리는하지마라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2 күн бұрын
참고로 터키는 산업화가 안되어 있는 사실상 농업국가이고 즁국보다도 국민소득이 훨신 낮은 가냔한 나라이기 때문에 터키가 개발한 모든 무기는 사실 외국무기 라이센스 생산에 불과하고 엔진도 마찬가지로 외국회사 라이센스 생산인데 터키의 권위주의 독쟤정권이 국산이라고 속이는 프로파간다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제트기 엔진 라이센스 생산정도는 우리나라도 이미 70~80년대부터 해왔던 전혀 어려운게 아닙니다. 왜 자꾸 터키같은 후쥔국을 과대평가하는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쟁상대는 유럽이지 세계 경제 20워권에도 못드는 터키따위 약쇼국이 아닙니다. 제발 한쿡인들도 이제 약쇼국 근성은 버렸으면 좋겠습니다. 쟈햑과 쟈기비햐는 쟈국혐O로만 이어질뿐 자기반성과는 엄연히 다른 겁니다.
@user-qb2qm7be8r
@user-qb2qm7be8r 2 күн бұрын
뽀구미 사랑해❤😂🎉
@cetafeel965
@cetafeel965 2 күн бұрын
kf21도 미국이 이전해준 기술이 들어가 있어서 수출에 미국의 견제가 들어가지 않을까?
@muchsoso8468
@muchsoso8468 2 күн бұрын
이미 두산에서 발전용 가스터빈 엔진을 자체 설계, 제작하고 있고, 한화에서 항공기용 보조엔진을 자체 설계, 제작하고 있는데 항공기 엔진이 불가능하다는 얘기는 더 이상 하지 말자. 안 만들어봤으니 못 만들뿐 해보면 할 수 있다.
@dugo7119
@dugo7119 2 күн бұрын
핫섹션 소재는 발전기 터빈 상용화 성공한 두산이 앞서지 않나요? 1600도 플러스마이너스 라던가... 잘못아는건가? f414 ee보단 못하고 그냥 f414보단 낫다던가... 현재 최고급인 f35엔진이 1900도? 2000도? 그정도라던.. 그게 30년 차이라던
@JohnB-hm5nf
@JohnB-hm5nf 2 күн бұрын
독자개발이 아니라 독자조립 이겟지
@yutk267
@yutk267 2 күн бұрын
어차피 도로 깔고 뿌수고 할 돈 아까서 하면 되겠지.
@1981ygify
@1981ygify Күн бұрын
국격의 사이즈가 말해준다. 개발해라.
@ddageo
@ddageo 2 күн бұрын
현대중공업에서 배를 만든다는게 가능한일이냐? 지금은 당연하다고 하겠지. 그럼 1969년에는?
@user-jf2ds894fd
@user-jf2ds894fd 2 күн бұрын
kai 관련자가 인터뷰한걸 보면 , kf21이 내부무장창이 없는 반스텔스로 설계된 것도 미국의 눈치를 봐서 그렇게 결정한 측면이 큽니다. 미국이 허가해줄수 있는 가장 높은 스펙이 현재의 kf21 스펙이라고 하더군요. 이렇게 우리의 개발 사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수 있는건 엔진 등 핵심부품을 미국이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내부무장창도 일단 이번엔 거르고, 스텔스 도료도 일단 거르고 있는겁니다. 향후 미국이 허가해서 스텔스기 개발에 우리가 나설수도 있겠지만, 이런 제한이 없는 상황을 만드는것이 더 중요하다 봅니다.
@mirach2001
@mirach2001 2 күн бұрын
개발이 어렵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것이고, 지금까지 쉽게 했던 개발이 있었던가요?
@woojootickle
@woojootickle 2 күн бұрын
제로부터 개발은 안되지!! 어느 회사랑 라이센스 맺고 기술 사와서 거기서 조금 변형을 거치는거지
@user-bg4bc5vc7m
@user-bg4bc5vc7m 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엔진을 만들기에는 소재 기술이 영..
@user-vd9ew2pw7g
@user-vd9ew2pw7g 2 күн бұрын
모르겠어.뚝딱 만들것도한데? 소재개발은 이미 다갖춰진거고. 문제는 조합인데.AI에게 조합을 물어봐야하나요?기업이 살아가려면 길게 조금씩?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
Sigma Girl Past #funny #sigma #viral
00:20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
러시아가 자꾸 전쟁을 하는 결정적인 이유 (류한수 교수 2부)
16:58
너에게서 KF-21의 희망을 보았다 - 라팔 이야기
11:56
더스카이맥 theSKYmag
Рет қаралды 200 М.
그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새 비행기 출고 브이로그"
26:14
화력 발전소는 어떻게 작동할까?
7:52
bRd 3D
Рет қаралды 725 М.
그래서 우리는 걸작이라 부르기로 했다: F-4 팬텀 이야기
13:49
더스카이맥 theSKYmag
Рет қаралды 161 М.
Собери ПК и Получи 10,000₽
1:00
build monsters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iOS 18 vs Samsung, Xiaomi,Tecno, Android
0:54
AndroHack
Рет қаралды 92 М.
Main filter..
0:15
CikoYt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SSD с кулером и скоростью 1 ГБ/с
0:47
Rozetked
Рет қаралды 394 М.
Hisense Official Flagship Store Hisense is the champion What is going on?
0:11
Special Effects Funny 44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