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개발자의 미래는?

  Рет қаралды 14,808

양동준 Yang DongJun

양동준 Yang DongJun

Ай бұрын

🧑🏻‍💻 웹 개발자의 미래는?
🔍 링크모음 : solo.to/dongjun_yang
🔥 이력서판매 - 템플릿/합격이력서/기업추천
🦄 유데미강의 - 실전 프로젝트 설계
🍀 인프런강의 - AWS서버리스
🍀 인프런강의 - AWS ElasticSearch
🍀 인프런강의 - Express + AWS EC2 RDS
🍀 인프런강의 - 이력서 포트폴리오
🍀 인프런강의 - 프론트엔드 로드맵(전자책증정)
🍀 인프런강의 - 백엔드 로드맵(전자책증정)
🎧 이력서, 포트폴리오 상담
📚 전자책 (프론트엔드 로드맵)
📔 전자책 (백엔드 로드맵)
🍓 디스코드 커뮤니티 - 구독하시고 디스코드에 질문해보세요!

Пікірлер: 84
@pkook7
@pkook7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개발자는 영업과는 거리가 먼것은 맞는것 같아요. 말씀해주신 것처럼 자동화할수있는 것은 많이 있어보입니다. 어느정도의 개발지식과 인맥이 있다면 영업으로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개발자들을 이어주는 기획자들의 역할이 기대가 되네요!
@korhiponetopbottle
@korhiponetopbottle Ай бұрын
좋은 주제의 영상 감사합니다! 영업은 생각도 못해봤네요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하지만 영업은 정말 쉽지않죠.... ㅠ
@henry9900
@henry9900 Ай бұрын
마지막 영업 얘기에서 느끼는게 많네요. 감사합니다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thearttimestv
@thearttimestv Ай бұрын
백엔드는 이제 인공지능까지도 해야되는 시대가 되는 것 같습니다.
@nak771
@nak771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개발자도 개인 브랜딩이 중요하겠네요.
@user-dz9qx4wn2p
@user-dz9qx4wn2p Ай бұрын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저는 아직 웹 개발 초보인데, 학습할 때 GPT를 이용해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인지 고민됩니다. 예를 들어, 로또 번호 생성 사이트를 코딩 실습으로 만들 때, 내가 직접 하나하나 구현하는 대신 GPT에게 "랜덤 번호 생성 스크립트를 작성해줘"와 같이 물어서 해결하는 것이 옳지 않은 방법일까요? 스스로의 실력이 늘지 않을 것 같아서요. 그러나 한편으로는, 어차피 나중에 실제 내 웹 사이트를 만들때도 GPT를 이용할 것이고 앞으로 GPT와 같은 프로그램의 사용이 줄어들 거 같지도 않으니 GPT를 통해 코딩하되 그 코드 내용을 이해하고 GPT로 완전히 구현되지 않는 부분을 따로 알아가는 공부 방법이 괜찮지 않나 싶은 생각도 듭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학습 방법이 더 효과적일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SEHYUNPARK-19101
@SEHYUNPARK-19101 5 күн бұрын
예제를 생성해달라고하세요 구현해달라고 하는게 아니라
@kunnykk6468
@kunnykk6468 Ай бұрын
동준님 영상 보면서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자극도 받지만 암울하다는 생각을 뗠쳐내기 쉽지 않네요 그래도 버티다 보면 기회는 오겠죠 ㅜ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암울하다는 분위기를 조장하는 것 같아 저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다만, 최대한 객관적으로 제 생각을 그대로 드러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team-create
@team-create Ай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항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b5yv8yg3h
@user-ib5yv8yg3h Ай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많은 인사이트 얻고 가네요 :)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kiwonlee2546
@kiwonlee2546 10 күн бұрын
영업으로 빌드업하는 로드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개발자 마인드에서는 웬만해서는 하기 어려운 생각이라 감탄하고 갑니다
@yangdongjun
@yangdongjun 10 күн бұрын
빌드업한건 아닌데 감사합니다. 저도 사업하면서 많은 시도와 이야기들을 들으면서 이렇게 결론을 내린 것 같습니다.
@user-zu7xf1cw6h
@user-zu7xf1cw6h Ай бұрын
동준님 12월쯤에 포토폴리오 완성 될 거 같은데 그때 평가를 받고 싶으면 어떻게 하나요?? 신입 프론트 준비중 입니닷 영상은 꾸준히 잘 챙겨보고 있습니다ㅎㅎ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화이팅입니다! 그때 신청하시면 되시지 않을까요? 1회 멘토링 신청하시면 됩니다.
@user-to4ik8fi4m
@user-to4ik8fi4m Ай бұрын
프론트엔드는 이제 빽까지도 해야되는 시대가 왔습니다.
@leeck_anderson9492
@leeck_anderson9492 Ай бұрын
퍼블리싱 + 프론트 + 백엔드 + 클라우드 + AI까지 다 해야겠네요...후덜덜.....
@user-to4ik8fi4m
@user-to4ik8fi4m Ай бұрын
@@leeck_anderson9492 매우 매우 매우 잘 아십니다.
@timecollabo
@timecollabo Ай бұрын
한번도 다 안해도 되는 시대는 없었는데... 프론트 백은 회사가 적당한 임금으로 채용하려고 구분해놓은 개념이지. 원래 개발은 구분이 없어요. 개발자라면 다 해야됩니다.
@cozyboyyy1721
@cozyboyyy1721 Ай бұрын
글쎄요 전 반대인거 같아요. 오히려 애매하게 프론트 백 다 하는것보다는 전문적으로 하나 딥하게 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대기업들만 전문적으로 프론트 백 데브옵스 나눠서 일하지 않고 스타트업 중견 중에서도 그러는 회사 많습니다 저희 회사도 그렇고요. 프론트 백 좀만 깊숙히 들어가도 공부할게 수두룩 하잖아요ㅎ
@user-wl6cy7nn9r
@user-wl6cy7nn9r Ай бұрын
서비스 유지보슈의 문제 같아요 규모가 커지면 결국 나눠서 하는게 지금 나온 답이죠. 채용도 그렇고 유지보수나 채용하기 또 용이해지면 달라질 수 있겠죠
@frogpictures5693
@frogpictures5693 Ай бұрын
나이때문에 오랫동안 미취업 상태로 준비하는게 좀 부담스러워서 준비기간 1년을 넘어가니 그냥 관련분야인 데이터 엔지니어로 취업을 해 버렸습니다. 하지만 양동준님의 말씀대로 근본으로 가야한다는 말씀에 동의합니다. 그래서 시장에서 호환이 잘되는 것들을 하려고 했으나, 압도적인 경쟁률에 제가 살아남기 어렵다고 생각이 들었네요. 지금 하는 분야는 코드를 적게 사용해서 솔직히 파이가 작습니다. 그리고 이쪽으로 경험을 쌓다보면 원래의 근본 웹개발 필드에서 활약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래서 걱정은 되지만, 또 동준님이 올려주시는 합격 스펙과 현실을 보다보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개발자가 너무 어렵다고 생각하는 요즘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데이터 엔지니어는 개인적으로는 메인으로 가지 않을까 싶긴합니다. 이쪽 산업은 클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서 대용량 처리도 기본적으로 해야하니까요.. 개인적으로는 백엔드랑 다른게 뭔가 싶긴합니다.
@user-ci4zl2zx5h
@user-ci4zl2zx5h Ай бұрын
컴공이나 소웨쪽전공자가 임베디드쪽 가기 쉽나요? arm 아키텍처 같은거 이해하려면..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하드웨어쪽은 힘들고 커널쪽은 갠춘할 것 같습니다
@user-pt3ef2bm2n
@user-pt3ef2bm2n Ай бұрын
프리랜서로 영업을 해서 개인적으로 일을 찾는 것은 임시적인 방법이죠. 어쩌다 마주친 그대... 노래가사 처럼요. 소프트웨어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회사가 아닌 일반 기업에 전산업무를 처리하는 곳에 취업해서 일을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업무가 컴퓨터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잘 활용하는 곳은 매우 드물고 최근 ai를 실무에 적용하는 곳은 아직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코딩은 ai에게 맡기고 일을 컴퓨터에 시키는 곳으로 취업하는 방법이 좋을 것 같네요.
@youngjunehong8037
@youngjunehong8037 Ай бұрын
젠슨황 얘기처럼 도메인 지식이 중요함. 프론트엔드이든 백앤드든 gpt 도움 받으면 어느정도 구현됨. 컨텐츠 내용이 중요함. 그러면 어떤 코어 도메인 지식이 있어야함. 당장 웹개발자는 존재하겠지만 10년후에는 일반인들도 할수 있는 기술로 전락할지도 모르지.
@user-bn6hv4vq7n
@user-bn6hv4vq7n Ай бұрын
​@@Dave-oz6zg 근데 원래 뭐든 1년이면 응용까지 가능하지 않나요?
@cyrus3839
@cyrus3839 10 күн бұрын
전자공학과 출신들이 컴공 출신들보다 코딩 더 잘 합니다
@dowang9871
@dowang9871 Ай бұрын
중소기업 지원자가 몇백명에서 천명대까지도 있네요.. ㅠㅠ
@shrimpsolar
@shrimpsolar Ай бұрын
진짜 실력 부족하면 바로 도태되겠네요... 열심히 하겠습니다.
@user-uo3pl9wp7p
@user-uo3pl9wp7p Ай бұрын
15분부터가 핵심인듯 내가 나를 내가 스스로 팔수있냐 없냐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이건 사실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ㅠ
@SungJuYea-tp7db
@SungJuYea-tp7db Ай бұрын
지금 작은 회사에 개발자로 다니는데 솔직히 개발자가 크게 필요한지 못느끼겠습니다... 저희 회사도 그렇지만 아마 많은 회사들이 오버엔지니어링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은 드는데 그렇다고 서비스 접을수도 없고 난감한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한창 스타트업 붐 일었을때 기술뽕 가득찬 개발자들이 온갖 잡탕 스택 다 버무려놓고 퇴사해버리니 개발자는 계속 뽑아야 하긴 하는데 영업이익 이상으로 인건비가 나가게 되버려서 회사가 망하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봅니다. 여기 댓글중에 많은 분들이 풀스택 + ML까지 해야한다 이렇게 이야기하시는데 제 생각에는 next나 llm등 기술 스택이 그렇게 바뀌는것보다도 현재 비즈니스 환경 자체가 개발자 몸값때문에 인건비 줄이려는 기업들의 구인 수요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전에는 프론트 2 백 2 인프라 1 이렇게만 뽑아도 돈이 남아돌았던 회사들이 이제는 풀스택 2 이렇게만 해도 간당간당하지 않을까요. 더군다나 개발자 구직난 때문에 스펙은 예전보다 훨씬 올라가버리니 기업 입장에서도 풀스택에 데브옵스까지 할 수 있는 사람 뽑기가 더 수월해진 점도 있을거 같고요.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좋은 관점 감사합니다.
@user-xj1pd7xb8l
@user-xj1pd7xb8l Ай бұрын
AI 가 개발 다 할 것이다 뭐다 하는 거에 신경 쓸 시간에 코딩 한 줄 이라도 더 짜고 스터디 하십쇼~ 그게 살아남는 길입니다. 어차피 AI 는 발전 될 거지만 분명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만이 바닥에서 살아 남을 수 있기에... 계속 노력하던지.. 아니면 치킨집 하면 됩니다.
@kcjforever
@kcjforever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ㅎㅎ 힘들다고 포기할 순 없잖아요?
@tglee2840
@tglee2840 22 күн бұрын
걍 주판기두드리던 직원들이 pc화된 시대랑 같음 개발자는 주판기 두드리는 사람들임 없어질 직종 1위
@user-ji6dg7tc4b
@user-ji6dg7tc4b Ай бұрын
이제 프로트엔드는 백까지 할 줄 알아야 하는 세상인 거 같아요 NextJS는 다룰 줄 알아야 어느 정도 기업에서 뽑아주니까 프론트엔드가 프론트단만 하는 세상은 끝이죠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어떻게 변할지 참 예상도 잘 안갑니다
@placeys571
@placeys571 Ай бұрын
1분전은 못참지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NORNg896
@NORNg896 23 күн бұрын
매출 3조 기업에서 IT기획하고 있습니다 웹 기획초안 PPT로 만들다가 결국 챗지피티로 다 만들었습니다 전에 MES시스템 백엔 개발 잠깐 했었는데 챗지피티로 프론트처리 백처리 다했어요.....
@yangdongjun
@yangdongjun 23 күн бұрын
그게 가능한 세상이지요...
@stephenj5887
@stephenj5887 18 күн бұрын
오...
@ddb4639
@ddb4639 Ай бұрын
옳으신 말씀 감사합니다. 생각이 좀 ㅁ낳아지네요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eoultehran7090
@seoultehran7090 12 күн бұрын
풀스택 도전합니다.
@user-so9en8wz5b
@user-so9en8wz5b Ай бұрын
진지하게 임베디드로 가야하나 고민 중입니다..원래 전자공이기도 했고..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그러면 임베가 취업은 쉽지만 솔직히 임베... 어렵습니다
@user-so9en8wz5b
@user-so9en8wz5b Ай бұрын
@@yangdongjun 그렇죠..진입장벽도 있고..
@assamram69
@assamram69 Ай бұрын
AI 는 놀라울 정도로 발전해나가는데.... 국내 시장은 꽁꽁 얼어붙었습니다. 어지간한 경력직 아니고서야 취업이 불가능하지 않나 싶더라고요.... 신입 프론트 개발자 뽑으면 최소 100명~500명이 지원하더군요. 그것도 자그마한 중소기업이었습니다. 과연 포트폴리오나 이력서를 검토라도 할까?? 그냥 노답입니다.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참 어려운시장같습니다... 그냥 취업하면 다행인듯합니다
@user-vu8jp3si2r
@user-vu8jp3si2r Ай бұрын
한국만 그런게 아니라 미국도 신입시장은 마찬가지에요. 얼어 붙은게 고용재개라고 해도, 지원자수에 비하면 고용동결 수준이고, 실제 신입시장은 여전히 사실상 얼어붙은게 경력자들이 하향지원하니
@user-vu8jp3si2r
@user-vu8jp3si2r Ай бұрын
미국 같은 경우에 cs전공생이랑 인구가 많고 미국도 시장이 안좋은 탓에 중소기업들이 채용인원이 작다보니 도리어 Microsoft 이런데보다 경쟁률 자체는 더 높은 현상도 꽤 흔하더라고요. 예를 들면 1~4명 뽑는데 수천명이 지원한다던지. 대기업들은 지원자숫자가 만단위도 흔한데 뽑은 인원도 대체로 많다보니.
@riyupapa39
@riyupapa39 Ай бұрын
오 혹시 판서 앱 뭔지 알수있을까요?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excalidraw.com
@user-gw8lv2yo8t
@user-gw8lv2yo8t Ай бұрын
이제 미래에는 우리는 일 안하고, ai 소유가 많은 자가 부자인 그런 시대가 될 듯? ㄷㄷ
@user-jf9ld5wq7k
@user-jf9ld5wq7k Ай бұрын
인공지능은 이제 사람일까지도 해야되는 시대가 왔습니다
@user-ix1le6cy5b
@user-ix1le6cy5b 28 күн бұрын
ai에 대한 미래 예측은 아무도 모름 대부분의 사람들이 음악, 그림 쪽은 ai가 나중에 적용될거라고했는데 가장 먼저 기술이 적용됨 ㅋㅋㅋㅋㅋ
@user-zs6oh5nw9l
@user-zs6oh5nw9l Ай бұрын
웹이 거의 직종 70프로를 잡고있어서
@malcomk
@malcomk Ай бұрын
개발자는 강의동영상올려서 유투브로 수익버는거 밖에느답없음. 배워봐야 아무쓸데도 없지만 마치 배워놓으면 먼가 될거 같은 강의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저 1만 유튜브 수익 월 10만원입니다... 선생님
@user-lr4ch4qw8x
@user-lr4ch4qw8x Ай бұрын
컴공 전공자로서 임베디드 분야를 가면 굶어 죽을 일 없으니까 현명한 전략이다 판단해서 고려 중인데, 댓글을 보니까 저랑 같은 생각하시는 전공자 분들이 의외로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것을 보니까 신기하네요 ^^; 디지털논리회로 해보면서 학습이 버겁고, 어렵고 재미가 없다고 생각이 들면서도 이게 기반이라고 생각을 한다면 하드웨어쪽은 너무... 못할 거 같은데 임베디드 안하는 게 맞겠죠?
@yangdongjun
@yangdongjun Ай бұрын
전망보고 선택하면 진짜 후회합니다...
@user-ko1ur6kh6i
@user-ko1ur6kh6i Ай бұрын
임베디드는 soc랑 경쟁하거나 중국 싼마이랑 경쟁해야 해서 결국 쉽지 않아요
@yee4153
@yee4153 Ай бұрын
6시간 미분하고 2시간 C코드 수정하는데...
@yaggoggo3057
@yaggoggo3057 Ай бұрын
혹시 네트워크쪽은 진입장벽이 높을까요?
@user-ds6qv7ks8d
@user-ds6qv7ks8d 25 күн бұрын
정보보안쪽은 어떤가요?
@yangdongjun
@yangdongjun 25 күн бұрын
보안은 잘 모릅니다 ㅠ
@user-cv2wg6uy2e
@user-cv2wg6uy2e Ай бұрын
다들 취업하기 힘들다 하시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저희 같은 중소기업에선 뽑을 사람이 없습니다 개발 실력도 실력이지만 기본적으로 진취적이지 않고 문제 해결에 적극적이지 않은.. 부정적인 사람이 생각보다 너무 많다고 느꼈습니다 이 정도는 사실 개인마다 느끼는 바가 달라서 틀렸다기보단 다른 게 맞지만.. 맞는 사람을 찾기가 너무 어렵네요
@user-fv1tr3ze9m
@user-fv1tr3ze9m Ай бұрын
뽑을 사람이 없다는데 경력있는 신입만 원해서 그런 거 아닐까요? 중견, 대기업마냥 원하는 거 많은 중소기업들 넘치던데….
@user-lr4ch4qw8x
@user-lr4ch4qw8x Ай бұрын
면접 경험을 쌓으면서 중소기업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문제해결력 외에 다른 것도 요구하던데, 정말 맞나요?? 사회 경험이나, 공백기, 부수적인 것들 겁나 따지던데요????? 눈이 높으신 거겠죠
@user-uo3pl9wp7p
@user-uo3pl9wp7p Ай бұрын
근데 이게 사업자들을 비판할수없는게 보통 공장이아 공사판같은경우는 빡대가리여도 가르치면 다 1인분이상함 근데 IT쪽은 스스로 직관적으로 문제해결을 못하는사람들은 있으나마나고 오히려 팀분위기에 방해되서 뽑을수가없음. 결국 재능없으면 항수없는일
@user-lr4ch4qw8x
@user-lr4ch4qw8x Ай бұрын
@@user-uo3pl9wp7p 문제해결 능력은 재능의 여부와 별개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분별하지 않고 실력으로 가늠하는 것은 애초에 이 직무(웹)가 중졸 역량만 갖춰도 단순 프레임워크 활용 능력에 따라 산출물을 뽑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공자는 단지 프로그래밍의 시스템적 깊이를 공부하는 것 말고는 프레임워크 활용 능력에 있어 별 차이가 없습니다. 오히려 비전공자인데 국어 능력이 출중한 사람이 생산성이 더 뛰어납니다. 문제해결능력은 수학 풀이 능력과 가깝습니다. 여기에 필요한 역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내심, 끈기력, 호기심, 분석력 등등 한마디로 설계와 이를 다시 조립할 수 있는 이과적인 능력입니다. 직관적이라고 하셨으니, 이것은 무의식적이라고 표현하신 거겠죠? 이것은 역량적인 판단 능력을 말씀하신 거고, 이것은 후천적 노력으로 기를 수 있습니다. 님이 말씀하신 팀분위기에 방해가 된다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이고 이것은 문제해결능력과 부분적 집합이지 전체적이지 않습니다. 종합적으로 정리하자면 웹은 개나소나 프레임워크 기술 능력을 학습하면 산출할 수 있는 고졸 이상의 학력으로도 충분히 밥벌어 먹을 수 있는 기술직입니다. 하지만 공급과 수요에 따라 심화됐을 뿐입니다. 그리고 블루칼라 직종을 무시하는 말씀은 ... 조금 생각이 많이 치우쳐지지 않으셨나 싶네요.^^;
@neosky8817
@neosky8817 Ай бұрын
올라온 공고를 보면서 느껴지는게 신입월급에 2~4년 경력자를 찾는 미스매치가 아닐런지 싶네요
“지금 준비하면 늦어?” 2024년 개발자 전망
21:55
JSCODE 박재성
Рет қаралды 41 М.
AI가 개발자를 대체한다😭?!
12:48
드림코딩
Рет қаралды 34 М.
I CAN’T BELIEVE I LOST 😱
00:46
Topper Guild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터키아이스크림🇹🇷🍦Turkish ice cream #funny #shorts
00:26
Byungari 병아리언니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웹소켓을 알아봅시다.
9:14
얄팍한 코딩사전
Рет қаралды 12 М.
웹개발자의 미래는 좋나요? | 개발자 고민
7:16
큰돌의터전
Рет қаралды 12 М.
요즘 신입 개발자 현실 연봉
28:20
양동준 Yang DongJun
Рет қаралды 51 М.
신입 개발자가 취업을 포기하는 단 한 가지 이유
4:35
개발알려주는 남자, 데브남
Рет қаралды 7 М.
코딩 강사의 소신 발언
20:40
코딩알려주는누나
Рет қаралды 97 М.
React Conf 2024 정리 - 여전히 놀라운 리액트 !
8:55
0원으로 시작 가능 한 달 2.5억 버는 1인 개발 사업 (6가지 전체 가이드)
34:07
다국어 개발자 [본인만의 일로 자기실현]
Рет қаралды 72 М.
Will the battery emit smoke if it rotates rapidly?
0:11
Meaningful Cartoons 183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Cadiz smart lock official account unlocks the aesthetics of returning home
0:30
#miniphone
0:16
Miniphone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Телефон в воде 🤯
0:28
FATA MORGANA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