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인문학] 금리,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Рет қаралды 54,104

오마이스쿨

오마이스쿨

3 жыл бұрын

매주 만나는 인문학 인사이트!
#Weekly_인문학
금리를 인하하면, 정말 수출이 회복되고
소비가 상승할까요?
교과서에 나오는 금리변동의 목적과 영향을 넘어
경제를 파헤치다!
한국은행의 금리인하가
대한민국 경제에 미치는 진짜 영향!
[최진기의 경제교실: 금리를 바라보는 색다른 시선]
-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지금 오마이스쿨 홈페이지를 방문하세요!
▼강의 바로가기
(웹) bit.ly/3vvUf04
(모바일) bit.ly/3e4CMG9
#kg에듀원 #오마이스쿨 #위클리인문학
#금리변동 #금리인하 #경제학 #경제
※ 본 영상은 [최진기의 경제교실: 금리를 바라보는 색다른 시선] 강의 일부를 편집하여 제작하였습니다.

Пікірлер: 82
@user-ej1ix3se9x
@user-ej1ix3se9x 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한 시민으로서 한국은행 총재에게 그동안 하고 싶었던 말을 선생님께서 논리적이고 명확하게 얘기해 주시네요.
@user-lk3pv3te6i
@user-lk3pv3te6i 3 жыл бұрын
최진기 선생님 강의는 믿고 봅니다.경제의 눈을 뜨게 해 주신 분
@user-yo8sc1sn8r
@user-yo8sc1sn8r 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진기 강사님
@leelee-zz8zi
@leelee-zz8zi 3 жыл бұрын
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an_economist
@an_economist 2 жыл бұрын
역시 경제강의를 하실때가 시원 시원 하십니다.
@Appletree-db2gh
@Appletree-db2gh 2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momo-hh6yh
@momo-hh6yh 3 жыл бұрын
강의 감사합니다.
@user-sh5lw3hu7z
@user-sh5lw3hu7z 2 жыл бұрын
고맙네요. 경제를 모르는이에게 작은이해 하나는 주시네요. 감사
@user-wi6vp8ou8l
@user-wi6vp8ou8l Жыл бұрын
이강의는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최고의 명강의다
@soohorhie2882
@soohorhie2882 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인사이트!
@user-pu1ny1co1n
@user-pu1ny1co1n 3 жыл бұрын
최진기샘 오랫만에 강의 에서 뵙네요.유트브 동영상 계속 올려주세요.
@And.1026
@And.1026 3 жыл бұрын
역시 최고강사이십니다 ㅎ
@user-dp3ql4mx8m
@user-dp3ql4mx8m 2 жыл бұрын
4:28 요즘 잃을게 없으신가봐요 ㅋㅋㅋ
@user-hn7ol2xj3c
@user-hn7ol2xj3c 2 жыл бұрын
최진기쌤 수능 경제 강의하시면 무조건 듣습니다
@user-ut3rg5hl5n
@user-ut3rg5hl5n 3 жыл бұрын
강의가 예술의 경지에 이르렀네요... ㅎㄷㄷ
@21jm18
@21jm18 3 жыл бұрын
저기서 잘못 얘기하는건 미국은 왜 자산증가하면 소비 탄력성이 높냐면 대부분 금융자산이고 특히나 펀드가입되어있어서 배당이나 유동화하기 쉽기때문에 미국은 주식시장이 상승할수록 소비가 늘어남 그런데 한국은 금융자산 비중이 10프로정도이고 대부분 부동산에 묶여서 자산효과가 적음 미국과 한국의 자산을 단순비교하는것은 말이안되고 단순히 자산증가가 소비탄력성이 적다고도 말 못함
@user-ef7si4ny6o
@user-ef7si4ny6o 3 жыл бұрын
2018년 사드 보복 2019년 일본무역분쟁 2020년 코로나 이게 자산 버블을 만드는 계기죠.. 한국은행으로써는 어쩔수 없는 선택이지 않았을까요?
@user-xf2ii8lk2e
@user-xf2ii8lk2e 2 жыл бұрын
아니요!!! 정치인들 눈치 봐서 그래요. 좆같은 나라 정치인들이 경제에 대해서 깡통들임.
@user-my9nh1wx4z
@user-my9nh1wx4z 2 жыл бұрын
👍👍👍
@roylifelog
@roylifelog 3 жыл бұрын
와 2021년 6월 그대로네.
@dasnarrenschiff11
@dasnarrenschiff11 2 жыл бұрын
이분은 확실히 제대로 배웠다 생각이 듬
@top834518
@top834518 2 жыл бұрын
결론은 시장금리와 기준금리는 같이 가야한다 ㅋ~
@dstfox
@dstfox 3 жыл бұрын
그럼 제로금리가 지속되는건가요? 일본은 왜? 제로금리가 가능하죠?
@user-mz3mn4gp5i
@user-mz3mn4gp5i 3 жыл бұрын
잃어버린30년은 극복을 못하기에 제로금리에서 통화를 무한정으로 발행하고있어서 금리인상시 이 이자비용은 감당이 안됩니다. 물론 일 중앙은행이 발행해서 큰 문제가 없어보일 수 있어도 통화는 닉슨사태 이후로 신뢰가 바탕이 되었기에 일본 금리인상은 재정상태가 심각한 훼손이죠 뇌피셜인데 부족하거나 잘못알고있는 내용은 좋은 피드뱁 바랍니다
@dexter8820
@dexter8820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일본의 엔화는 준기축통화입니다. 일본은 섬나라고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습니다. 그래서 세계 경제 위기때 마다 일본 엔화의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rw8mo1gi8t
@user-rw8mo1gi8t 3 жыл бұрын
제로금리를 했는데도 소비가 안늘어요.. 그래서 이미 노답.. 국가부채는 260%ㅋㅋㅋㅋ (우리나라 45% 수준)
@leewontaek4653
@leewontaek4653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생존경제 참 재밌게 봤는데ㅎ
@cchocopie
@cchocopie 2 жыл бұрын
그거 갓 나올때 부터 팬이었습니다 슈키월드 한참 이전에 최진기쌤 입니다 2000년 정보 콘텐트 부족시대에 당대 경제 어른이 상대 경제 설명 1타 강사
@user-lj6of8je6d
@user-lj6of8je6d 2 жыл бұрын
최진기님 덕분에 경제공부를 하면서 사회가 돌아가는 것에도 눈이 떠지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금융문맹탈출자들을 많이 만들어주세요 !!
@nikkydiver3014
@nikkydiver3014 2 жыл бұрын
환율상승을 하락이라고 말씀하셨네요 ㅎㅎ
@ispin72
@ispin72 2 жыл бұрын
내가 이재용의 사면에 무감각해진 이유.
@user-sg8pr3lf1d
@user-sg8pr3lf1d 3 жыл бұрын
물만났네요즘강의
@nagne79
@nagne79 2 жыл бұрын
경제부총리 홍씨 작품 아닌가요?
@user-xf2ii8lk2e
@user-xf2ii8lk2e 2 жыл бұрын
홍씨 작품이죠. 경제에 대해서 1도 모르는 경제부총리
@cchocopie
@cchocopie 2 жыл бұрын
최진기샘님 강좌 처음 볼 당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한참 전이었고 현재 같은 한국의 부동산 버블도 없던 시기였어요 그러나 그 당시 샘님은 현재의 이 상황을 콘텐츠 강좌에서 모두 예견 했습니다 경제를 알면 역사가 보인다 라는 말로 거시경제 구조에 인간의 모럴 헤저드가 곁들여져 경제가 어떻게 어그러져 왔는지 일찌감치 설명을 해 주셨는데.. 어떻게 그것을 빼박은대로 세상이 흘러가네요 모럴 헤저드의 백데이터가 더 쌓이시다 보니 그간의 산포를 따져서 현재 이후의 또 다른 거시경제에 기반한 향후 역사에도 눈이 트이셨을 걸 생각하니 정말 항상 우러러 봅니다 평생 배우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사이에 최진기쌤에 대해 비난 댓글이 많아진 이유를 잘 모르겠어요 경제 문외한을 까는 거는 아닌듯 하고, 뭔가 자신의 이데올로기에 거슬리는지 경제기반 설명에 대한 잔가지들에 집착하는 것들만 보여요 오염된 세상에 치이지 마시고 초창기 부터 축적된 제자들 관리만 잘 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mediakorea1
@mediakorea1 3 жыл бұрын
중간광고 시간이 아까운강의입니다
@hshanp
@hshanp 3 жыл бұрын
슬픈 현실이네요 도대체 국민을 대표한다는 국개의원들은 뭘 하는건지요
@sangoklee5074
@sangoklee5074 2 жыл бұрын
금리는 할수 있다면 올리는게 좋다 ㅋㅋ 서민 살리려면 금리 올려야 한다
@user-en1ni6wf1g
@user-en1ni6wf1g 2 жыл бұрын
9개월 전의 말이 성지가 됐네요
@user-uo2dx6km7k
@user-uo2dx6km7k 2 жыл бұрын
와이리 슬퍼노. . . .
@user-dj7xr2cz5k
@user-dj7xr2cz5k 3 жыл бұрын
12:00 왜 경제가 나쁜거죠? 시중 금리가 낮아지면 기업에서 더 돈땡겨서 운영 할수있는거 아닌가요?
@user-mf7hl4gg5e
@user-mf7hl4gg5e 3 жыл бұрын
시중 금리가 낮아지면 경제가 안좋다는 거고 기업들이 은행에서 돈을 안빌립니다,다시말하면 시장경제가 안좋아서 기업들이 은행에 빚을 내서 투자를 안하는것입니다.
@user-cp2kl1rr7x
@user-cp2kl1rr7x 2 жыл бұрын
글고 우리나라는 대기업 중심 산업구조라 대기업들은 이미 돈이 많음요 사내 보유금이 매년 역대를 찍고있는 상황이라 금리가 낮아지더라도 투자할 것이 없다면 대출을 받을 필요가 없는거죠 돈을 대출 받고 안받고의 1번은 금리가 아니라 쓸곳이 있냐 없냐임 그 뒤 고려하는것이 금리고
@userganada
@userganada 2 жыл бұрын
쉽게 생각하세요 ㅋ 금리가 낮다는건 대중들이 돈을 안쓴다는 겁니다. 그러니 낮은금리에 혹해서 시민들이 돈을 빌리게되고 ㅋㅋ 그로인해 돈은 더 안쓰고 악순환~ 즉 금리 낮아지면 더럽게 안좋음 그러므로 전쟁을 해야하지요
@hoho2945
@hoho2945 Жыл бұрын
금리인하가 무조건 좋은게 아니라 적절한 시기에 해야 좋습니다
@user-cd1qc3iy8y
@user-cd1qc3iy8y 2 жыл бұрын
연기쟁이
@yuseokjeong6206
@yuseokjeong6206 2 жыл бұрын
진보가 경제를 알리 없으니..
@maxforce-hp2ip
@maxforce-hp2ip 2 жыл бұрын
정답
@user-xf2ii8lk2e
@user-xf2ii8lk2e 2 жыл бұрын
아뇨. 보수가 만들어 놓은 버블을 문재인이 덥썩 믈어버린거죠
@mixpixmixable
@mixpixmixable 3 жыл бұрын
최저임금도 똑같이 감. 최저임금 올리면 소득이 늘어나서 소비를 늘려서 선순환?? ㅋㅋ 톡까놓고 얘기하자. 연봉이 오르면 소비늘리겠냐 빚갚고 있겠냐? 아니지 초저금리 시대에 빚을 갚다니. 늘어난 연봉을 이용해서 대출 더 땡겨서 부동산 주식하기 바쁘지 소비증대?? ㅋㅋ 그동안 늘어난 인건비로 자영업 중소기업은 죽어나는거다. 그리고 거기서 일하던 노동자 알바들이 죽어나는거지. 영상에 보니 자산증대 대비 소비증가 수치가 있던데 그거 임금에도 적용한 수치없나? 우리나라 노동소득 증가 대비 소비증가 수치 ㅋㅋ
@lovely-pj6ic
@lovely-pj6ic 2 жыл бұрын
최저임금은 최저소득층을 위한 거 아님?? 그 사람들이 어떻게 최저임금 조금 올랐다고 당장 대출 땡겨서 집 사겠니. 그 사람들 소득은 바로 소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중상위층보다 훨씬 높지.
@mixpixmixable
@mixpixmixable 2 жыл бұрын
@@lovely-pj6ic 그럼 저소득층만 최저임금 적용하든지 전 국민 적용했으면 선순환 악순환 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봐야죠. 왜 악순환 얘기할땐 저소득층 위한거라고하고 선순환얘기하면 전국민이 혜택본다임? 적용이 국민 전체면 악순환이든 선순환이든 국민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거고 저소득층을 위한 제도라고 할 필요 없죠. 저소득층이 최저임금한다고 소득 계층이 오름? 물가인상으로 제자리임. 최저방어선? 최저임금때문에 없어진 일자리의 많은 수는 저소득층 일자리임.
@mixpixmixable
@mixpixmixable 2 жыл бұрын
@@user-dr4hw7gv4j 우리나라는 그놈의 OECD 때문에 개판되는거임. 자연적인 경제성장으로 가는게 아니라 정부에 의한 인위적인 수치 맞추기로 OECD 운운함. IMF 원인중 하나가 OECD 가입을 위해 표면상 국민소득 높일려고 고환율 정책 해야될때 저환율 정책 유지한게 한몫함. 그놈의 OECD 에서 체면차릴려고 나라 정책 개판으로 하는데 ㅋㅋ
@lovely-pj6ic
@lovely-pj6ic 2 жыл бұрын
@@mixpixmixable 뭔소리야. 최저임금에서 최저라는 단어자체가 최하위계층, 당연히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게 아니라 급여가 최하위인 사람들이 대상이 된다는 뜻을 내포하는거지, 최저임금을 소득 최하위층에게만 적용하겠습니다~뭐 이런 걸 주장하는 거면 말이 안되는 것 같은데? 당신이 말하는거, 내가 말하는거, 그니까 소득에 변화를 줘서 소비가 오르고 내리고 이런 것들 포함 모든 현상은 외부효과인거지 정책탓이 아니라고 봄. 최저임금을 부분적용하자? 그 '부분'을 일단 잘못 적용한거 같고 정책자체를 이해하지못하고 있다고 생각됨.
@lovely-pj6ic
@lovely-pj6ic 2 жыл бұрын
@@mixpixmixable 아아ㅋㅋ내가 먼저 쳐저소득층을 위한거다라고 썼구나ㅋㅋ혜택은 결국 최저소득층? 임금수준이 최저인 사람들이 받게된다는 소리였음. 그들을 겨냥한 정책인데 당연히 그들 임금이 오르잖아. 그리고 나머지 효과는 다 외부효과라 봄
@user-um7dt4ii6d
@user-um7dt4ii6d 2 жыл бұрын
선무당이 사람 잡죠. 한국은행이 선무당일까요, 강사님이 선무당일까요?
@user-xf2ii8lk2e
@user-xf2ii8lk2e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행요
@user-mi6cz4br9k
@user-mi6cz4br9k 3 жыл бұрын
허경영 허경영 허경영
@shindy2104
@shindy2104 2 жыл бұрын
야 허경영이랑 비교는..ㅋㅋ 니 수준을 알겠다
@user-mi6cz4br9k
@user-mi6cz4br9k 2 жыл бұрын
@@shindy2104 뭔말하고싶노 재대로말해라 중2
@user-jl4cc6ni2f
@user-jl4cc6ni2f 2 жыл бұрын
김제동 느낌이 나....
@anarchosyndicalism5925
@anarchosyndicalism5925 Жыл бұрын
이 사람이 역겨운 이유가.. '정의'란 말을 함부로 사용한다는 것임. 증세하고 평등을 강조하면 무조건 정의로운 것임???? 풉~~~~~
@ruler_of_pluto
@ruler_of_pluto 3 жыл бұрын
답을 정해놓고 그 답이 나오기까지 과정을 설명하면 누가 반박할 수 있을까 기축통화인 달러가 양적완화로 금리를 0으로 하고 있는데 그럼 우리나라만 금리를 올리나요? 금리가 집 값에만 적용되나요? 앞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수출입과 연계성은 왜 다 짤라먹으시나요? 대출은 가계만 있나요? 기업 부채, 정부 부채는 왜 설명 안하시나요? 그리고 우리나라 집 값만 올랐나요? 전세계 집값 혹은 임대료 상승 대비 우리나라 상승 폭이 더 적은데 왜 그 자료는 안 가져오시나요? 금리를 안올려서 진보성향인 사람이 보수화 됐다고요? 그냥 지금 정부가 싫어라하고 하시면서 강의하시는게 더 솔직하겠네요 ㅎㅎ
@user-to7tm3ri9s
@user-to7tm3ri9s 3 жыл бұрын
아파트 가격 매매지수 KB말고, 더 보수적인 한국부동산원가셔서 상승률 체크하고 오세요 . 표본선정과 평균의 함정 빠지시 않으섰음 하네요. 전세+아파트 중심의 시장을 세계 다수의 국가와 일률적으로 수치 비교하면 의미가 있을까요?
@1wkd2gid
@1wkd2gid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집값만 올랐나요? ㅋㅋㅋㅋ 이말에서 뿜었다 지금 윗대가리에서 생각하는 발상과 똑같네 집값 많이올랐다고 뭐라하니 전정권에선 안올랐냐고 이러던데 보수 10년간 7억에서 10억된 음마아파트 당연히 아시겠죠????? 정치에 관심 많으신거 같으니 그거 3억올랏다고 지랄지랄 개지랄 떨떠니 지금 30억 하던디 그래도 똑같이 오른거겠죠????ㅋㅋㅋ
@ptjay7521
@ptjay7521 2 жыл бұрын
이 양반 이제 여기서 구라치고 있네 ㅋㅋ
@keisean1
@keisean1 2 жыл бұрын
ㅈㄹㅎㄱ
@user-mi6cz4br9k
@user-mi6cz4br9k Жыл бұрын
돈생기면 부동산투기 밖에 할 줄 모르는 쓸모없는 기득권들이 굥무속같은놈 뽑아놓는거다...
[Weekly 인문학] 2023년 고금리 시대에서 살아남는 법!
19:32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Whyyy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WHY THROW CHIPS IN THE TRASH?🤪
00:18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SNU Catch] Mathematics and Life of Fields Medal Winner June Huh
14:14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최진기의 '다시 보는 중국 : 중국 근현대사' (2018)
21:17
오마이스쿨
Рет қаралды 346 М.
최진기의 투자교실 - 차트 분석 편 (2018)
18:12
오마이스쿨
Рет қаралды 622 М.
패권의비밀; 4차산업혁명시대, 부국의 길 - 서울대 김태유교수
1:50:50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