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초적 노동의 끝판왕’ 칼 한 자루 달랑 쥐고 목숨 걸고 나무에 오르는 사람들┃벌목부터 가공까지 필리핀 대나무 작업공 ‘뱀부 커터’ 작업 현장┃극한직업┃

  Рет қаралды 141,561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2년 2월에 방송된 <극한직업 - 필리핀 대나무 작업공 1~2부>의 일부입니다.
15미터 ‘슈퍼 대나무’를 맨손으로 오르는 사람들!
필리핀 서쪽에 위치한 섬, 일로일로의 험준한 산 속을 헤매는 사람들!
가시덤불에 아랑곳 않고 15미터 대나무를 능숙하게 오른다.
심지어 맨손으로, 나무타기의 진수를 보여주는 이들은 바로 ‘뱀부 커터’라 불리는 대나무 작업공이다.
가시덤불과 날선 절단면이 사방으로 위협하는 가운데, 절도 있게 가지를 내려치는 이들은 나무 위에서 오로지 칼 한 자루에 의지해 빠르게 벌목을 진행한다.
80년이 넘도록 세대를 이어 벌목을 해온 이들의 작업은 본능적이고 원초적이다.
험준한 숲 속 대나무는 그 어떤 인위적인 장비도 허락하지 않는다.
한 자루의 칼로 꺾어 자른 대나무마저 물소와 뗏목을 활용해 운반해야한다.
대나무와 평생을 함께 살아온 숙련자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대나무가 있는 곳까지 가기 위해서는 1시간 넘게 산을 건너 물을 건너야만 한다.
그래야 좋은 품종의 대나무를 얻을 수 있다.
드디어 도착한 울창한 대나무숲!
먼저 대나무의 매끈한 표면을 맨손으로 오른다.
높이 솟은 대나무 상부의 잔가지를 제거해야 넘어뜨릴 수 있기에 아찔한 대나무 타기를 감행해야 한다.
50cm는 족히 넘을만한 장검을 한손으로 휘두르는 작업공의 발밑에는 조각난 대나무 표면이 가시처럼 위협한다.
생각만 해도 아찔하지만 실제 추락사고가 잦을 정도로 위험한 현장이다.
베테랑 대나무 작업공 알베르토 역시 큰 사고를 겪은 후 평생 장애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그는 대나무를 원망하지 않고, 오늘도 대나무에 오른다.
이제는 대나무를 운반할 차례.
왔던 것처럼 다시 1시간 이상을 내려가야 한다.
오늘은 대나무를 시장에 내다파는 날.
강가에 위치한 시장에 가기 위해서는 벌목한 대나무를 뗏목으로 만들어 내려온다.
하지만 물살이 험해서 중심을 잡기가 어렵고, 급기야 바위와 충돌하는 사고가 벌어지는데...
여기 저기 벌목한 대나무를 내다팔기 위해 모인 사람들!
강 하류에 한꺼번에 모인 뗏목이 장관을 이룬다.
오로지 대나무에 의지해 살아가기 때문에 작업공들은 매주 월요일 마켓데이를 기다린다.
하지만 장이 열린지 오래지 않아 폭우가 쏟아지는데, 그 양이 심상치 않다.
마을의 유일한 대나무 다리마저 위험한 상태!
한쪽에서는 불어난 강물로 위태로운 대나무 다리 보수작업이 이어지고, 급류는 더욱 거세게 몰아치는데!
이들은 무사히 작업을 마칠 수 있을까?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필리핀 대나무 작업공 1~2부
✔ 방송 일자 : 2012.02
#골라듄다큐 #극한직업 #해외극한직업 #필리핀 #뱀부커터 #대나무 #벌목

Пікірлер: 33
@user-by2up6wq9p
@user-by2up6wq9p Ай бұрын
어깨 옷도 찢어지고 힘들게 일하는 모습 보니 마음이 찡~하네요
@user-ez1km7zc8g
@user-ez1km7zc8g 26 күн бұрын
삶이 고달퍼지만 숙명처럼 받아 드리며 사는 그들이 존경스럽다
@user-je7mq4jx7y
@user-je7mq4jx7y Ай бұрын
세상은 처음부터 공평하지 않았다
@user-bg5wi8pt4h
@user-bg5wi8pt4h Ай бұрын
대나무 숲에 바람이 불면 샤라라락 솨라라락 대잎 부딪치는 소리에 가슴속이 울린다 잎새를 빠져 나가는 바람이 대나무를 울려서 그 깊은 바람소리가 냄새마냥 코속으로 흘러들어와 기억의 샘을 퍼올려 흠뻑 바람에 젖게한다
@pinusli1796
@pinusli1796 Ай бұрын
여자가 대나무를 자르는데 사용하는 정글도, 무슨용도인지 그 정글도가 근무하던 부대에 많았습니다.1962년 휴전선인근에서 군복무시 많이 사용하였는데 크기 무게가 적당하여 산에가서 나무 베는데 아주 절합했습니다. 포병이었는데 무슨용도로 정글도가 있었는지 불분명하나, 연료는 조개탄울 사용했는데. 주로 싸리나무를 채취하여 장교들이 매각하여 수입을 올리는것 같았습니다.
@user-ot4gu2oj5p
@user-ot4gu2oj5p Ай бұрын
포대는 야전시 북쪽의 산을 등지고 그 주변에서 사격, 엄폐를 해야되기 때문에 정글도를 쓸 일이 많지 않을까요.
@user-dh9ws3nu2e
@user-dh9ws3nu2e 29 күн бұрын
ㅣ2ㅐㅜㅢㅜㅢㅜㅢㅡㅟ2ㅣㅟㅜㅢㅜㅢ21212ㅣㅜㅢㅜㅢㅜㅢㅡㅢㅜㅢ2ㅣㅜㅡㅡ3ㅣㅜㅢ2ㅣㅜㅢ2ㅣㅜㅢㅟ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ㅟ2ㅣ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ㅜㅢ2ㅣㅜㅢㅜㅢㅢㅜㅢㅡㅟ2ㅣ21ㅣㅣㅣ1ㅚㅢㅏㅢㅜㅢㅡㅟㅡㅟ2ㅣㅡㅏㅢㅜㅢㅜㅢㅡㅏㅢ2ㅐㅓㅢㅏㅢㅢㅏㅡㅐㅚ2ㅣㅜㅡㅐ21ㅓㅔㅟ212ㅐ2ㅓ5
@user-br5jv2jo5g
@user-br5jv2jo5g 24 күн бұрын
62년도에 사용하셨다구요? 우리 부대는 월남 파병시 사용하던 걸 가져와 사용했습니다.
@minjunyeong5276
@minjunyeong5276 29 күн бұрын
제가 있는 곳에서는 ‘손당’ 이라고 부르는데 저 칼가지고 하려고 하면 다 하더군요. 대나무는 기본 코코넛 바나나 돼지 소 염소 닭등 각종 동물들 도축도 하고 요리도 하고 더해서 사람도 하늘로 보내버리고. 필리핀 시골에는 본인이 산이나 들에 간다 하면 저런 칼이 기본입니다. 웬만한 사람들 다 차고 다니죠. 필리핀에서 대나무가 잘 사용되는 이유는 태풍이 너무 자주 오기 때문에 어설프게 시멘트로 했다가는 다 부서져버리죠. 해서 쉽게 구할수 있고 부서져서 고치거나 다시 만들때도 쉬워서 대나무를 많이 사용하죠. 날씨도 한 몫하는데 엄청 찌는 날에도 대나무 집에 들어가면 대충 견딜만은 하더군요. 대나무 사이사이에 간격이 있어서 공기 순환이 잘되거든요. 물론 모기 포함 각종 벌레들은… 더해서 대나무 집 주변에는 뱀들이 많습니다. 쥐가 많으니 뱀도 몰려들죠.
@daygood2197
@daygood2197 Ай бұрын
인상 깊게 봅니다
@nomadg6672
@nomadg6672 Ай бұрын
찰영을 좀 멀리서 전체를 찍어야 현실감 있어보일텐데 부분만 클로즈 업하니 실감 반감돼네
@user-zg7yi4pn6l
@user-zg7yi4pn6l Ай бұрын
70년대에는 필리핀이 우리나라보다 잘 살았는데...
@user-ts5hd6ir9o
@user-ts5hd6ir9o Ай бұрын
참 불쌍하다...
@user-sk4bs4go8b
@user-sk4bs4go8b 11 күн бұрын
국민의 근면성과 탁월하고 리더쉽이 강한 지도자가 있었기에 지금의 번영이 있었죠 박대통령의 경제개발이 주효했죠 그렇지 않았다면 ~~~ 필리핀보다도 더 가난하겠죠!!!
@user-zz1rt3nm4e
@user-zz1rt3nm4e 11 күн бұрын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竹이 사실은 나무가 아니라 다년생 풀이라는 것은 다 알고 계시죠? 대나무는 1년에 성장을 마치고 더이상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나이테도 없고 길이성장도 부피 성장도 하지않을 뿐 아니라 잎도 새 가지도 나지 않습니다. 분류상으로도 벼과 식물로 분류 됩니다.
@user-ip6dn1vb7x
@user-ip6dn1vb7x Ай бұрын
저임금 필리핀 젊은이들이 고생하네
@ktkim8945
@ktkim8945 29 күн бұрын
주어진 조건(환경)에서 최선을 다해서 살아야 합니다. 대나무 숲에서 혹은 빌딩 숲에서...🌿
@user-bl3gc7wo7x
@user-bl3gc7wo7x Ай бұрын
불공평해. 세상이나마 너무나쁘다.
@user-ew1vn1qu6w
@user-ew1vn1qu6w 10 күн бұрын
인정 하고싶진 않지만 현대판 노예죠
@TheSsch1204
@TheSsch1204 18 күн бұрын
나만 저러고 살면 참 슬픈데 온 동네 사람들이 다 하고 있으니 숙명이려니 하고 사는 거죠. 멀리서 보면 우리 삶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되네요. 다치는거 보니 맘은 참 아프네요. 우리 부모님들도 저정도까지 인지는 모르겠지만 고달프게 사셨겠지요. 전쟁을 겪으셨으니까요.
@ktkim8945
@ktkim8945 29 күн бұрын
이쑤시개 조차 가볍게 볼 일이 아니네요
@goatiu6078
@goatiu6078 Ай бұрын
일 너무 빡세다 물소도 다칠까봐 조마조마했네
@user-tp8mu8ys7n
@user-tp8mu8ys7n Ай бұрын
저거 대파 아님? ㅋㅋㅋ 역시 교육방송은 EBS❤❤
@goh-bom
@goh-bom Ай бұрын
대파가격 2400원.좌파탈출은 지능순
@yhkim1837
@yhkim1837 Ай бұрын
보는내내 안타깝고 너무나 불공평한 세상에 화가 납니다. 안전모는 고사하고 맨발 아니면 질질 끌리는 슬리퍼에 일장갑도없이 맨손으로 ᆢ😢 이런 다큐만드느라 제작진도 정말 힘들었을텐데 그 노고를 칭찬해드리고싶습니다!
@user-hn2ny2iz3e
@user-hn2ny2iz3e Ай бұрын
아휴 땅주인만 배불리네
@goh-bom
@goh-bom Ай бұрын
한국도 업종별 최저임금 차별해야함. 농업붕괴 수준의 외노자 최저임금 적용 강력반대!
@user-rl5uz9vx2f
@user-rl5uz9vx2f Ай бұрын
님의 의견을 반대합니다!
@mianmar1356
@mianmar1356 Ай бұрын
참 멍청한 작업이네. 원시인 급이다. 왜 싸고 쉽게 구할 수 있는 D字형 대나무 톱이 없나? 가지를 쳐내기 쉬운 뻥 뚫린 곳으로 쓰러지는 방향설정은 칼이나 톱질하는 방법에 따라 얼마든지 가능하다. 아니면 몇틱 윗가지에 줄을 걸어 원하는 방향으로 당기면서 톱질해서 쓰러진 후 가지를 쳐내야지 그러다가 언젠가는 미끄러져서 다치거나 죽는다 . 1960년대 내가 어릴 때 소쿠리 마을에 살아서 잘 안다 . 대나무 칼은 대나무를 쪼갤 때 밀어서 벌어지기 쉽게 뒷면이 두껍고 짧은 V字형이다. 학교 숙제가 끝나면, 미리 날을 끼우고 엮을 수 있게 기본틀을 해놔서 소쿠리 만드는 것을 도왔다. 아버지가 소달구지에 산더미처럼 싣고 충남 강경 소쿠리 전에 가서 도매꾼에게 팔았지. 그동안 잊혀졌던 어릴 때 기억이 새롭다.
@fuxxyouxxx
@fuxxyouxxx Ай бұрын
저런나라에서 안태어나서 천만다행
@nomadg6672
@nomadg6672 Ай бұрын
거 도움 안돼는 실속없는 소리는 왜하나?
@guiozinga6039
@guiozinga6039 Ай бұрын
@@nomadg6672 거 도움 안돼는 실속 없는 댓글은 왜 다냐?
@user-fc5pg7os2o
@user-fc5pg7os2o Ай бұрын
저런나라라며 천시하고 업신여기는 태도에서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알고 갑니다 그런 부모 밑에서 안태어나 천만 다행
[Full] 극한직업 - 태국,코코넛 수확과 가공
45:02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67 М.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Did you find it?! 🤔✨✍️ #funnyart
00:11
Artistomg
Рет қаралды 121 МЛН
전 세계 유일! 대나무 활을 만드는 장인. 한국의 죽궁 명장.
8:58
메이커스 코리아 Makers of Korea
Рет қаралды 1,3 М.
[Full] 극한직업 - 필리핀 바나나, 파인애플 농장
45:03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246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