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자별보다는 무겁고, 블랙홀보다는 가벼운 그 사이의 무언가?!

  Рет қаралды 85,962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3 ай бұрын

👍 #블랙홀 #blackhole #중성자별 #neutronstar #펄사 #pulsar #제임스웹 #허블 #천문학 #우주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 BODA X 우주먼지, 콜라보 우주덕후들을 위한 굿즈!
smartstore.naver.com/aweplay
레퍼런스
www.nature.com/articles/natur...
journals.aps.org/prx/abstract...
www.nature.com/articles/s4155...
iopscience.iop.org/article/10...
www.mpg.de/21385526/0115-radi...
www.science.org/doi/10.1126/s...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헤일메리(@by_hailmary) × 우주먼지
'명왕성' 인형 키링 만나러 가기~!
smartstore.naver.com/aweplay/...

Пікірлер: 124
@wz_mz
@wz_mz 3 ай бұрын
트레바리에서 새로운 북클럽을 시작합니다! 매달 세번째 일요일 15:00-18:40, 트레바리 강남 아지트 👉 trevar.ink/dfdGqd 존 더클리 지웅배 김명호 앤드류 폰첸 특히 이번 시즌은 지난 시즌 참가자 분들의 피드백을 적극 수용해서, 더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순수천문학 분야 책으로 꾸렸습니다. 다양한 우주 이야기를 우주먼지와 함께 나누고 싶은 구독자 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cleandust530
@cleandust530 3 ай бұрын
'자연은 진공을 허락하지 않는다' - 캬~~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3 ай бұрын
우주를 보면 괜히 기분이 좋아져요. 알아가는 것도 그렇고요.
@omt6761
@omt6761 3 ай бұрын
지웅배님, 다음 주제로는 천문학자들이 일하는 모습에 대해서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하는지 등등에 대해 다루어 줬으면 합니다. ㅎㅎ
@90Babo
@90Babo 3 ай бұрын
전업 천문학자가 워낙 적어서 그걸 다루는 게 의미 있을지…
@bluewha1e
@bluewha1e 3 ай бұрын
@@90Babo ㅋㅋㅋ
@user-fu3gb2dm8u
@user-fu3gb2dm8u 3 ай бұрын
​@@90Babo 적으면 적은대로 의미가 있는거임 뭐 규모가 크고 대단한것만이 의미있는게 아니라
@user-wc8tl8xm5n
@user-wc8tl8xm5n 3 ай бұрын
그냥 브이로그로 가시죠
@러뷰
@러뷰 3 ай бұрын
의미있냐 없냐의 믄제는 누가 무엇을 기준으로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gomdorij3213
@gomdorij3213 3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천문학자들은, 물리학. 수학도 잘해야 겠지만.... 상상력. 추리력 도 뛰어나야 하겠네요^^
@user-dn7ry1bc3l
@user-dn7ry1bc3l 3 ай бұрын
오늘도 신비한 내용 잘 보고 갑니다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3 ай бұрын
오늘도 항상 감사합니다!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3 ай бұрын
와우~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3 ай бұрын
현자타임즈 "블랙홀의 질량 간극" 재밌어요
@user-ym8ln6zs1y
@user-ym8ln6zs1y 3 ай бұрын
박사님 항상 흥미로운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kr1of9gm4b
@user-kr1of9gm4b 3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niverse-monster
@universe-monster 3 ай бұрын
저도 블랙홀 관련 영상을 제작중인데 많은 정보 얻고갑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잘보고있어요 우주먼지님 화이팅하세요!
@user-rd6it8dp7d
@user-rd6it8dp7d 3 ай бұрын
서로의 퀘도를 교차하는거 신기
@user-st8wl9gx1i
@user-st8wl9gx1i 3 ай бұрын
아 이제야 댓글 쓰네요.ㅜㅜ 웅배학자 지천문님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therock79983
@therock79983 3 ай бұрын
유익한 소식 감사합니다
@truth1472
@truth1472 3 ай бұрын
신기하네요.
@user-rq2oi5uo3s
@user-rq2oi5uo3s 3 ай бұрын
오호 시나리오 영상 퀄리티가 좋네요 AI 사용하신건가요?
@user-gb3gy4iw2s
@user-gb3gy4iw2s 3 ай бұрын
쉬운데 재밌다.
@k9_handler
@k9_handler 3 ай бұрын
항상 재밌게 보고 있는 구독자입니다. 한 가지 궁금한 게, 중력파의 속도와 빛의 속도는 같아야 하는데 어째서 중력파 검출 후 1초 후에 감마선 폭발을 검출했을까요? 감마선과 중력파가 동시에 지구에 도달했지만 단순히 중력파를 먼저 검출한 것인가요 아니면 실제 중력파가 먼저 지구에 도착한 것인가요? 궁금하네요. 답을 가르쳐주실 수 있다면 감사하겠습니다.
@goldie_MAY
@goldie_MAY 3 ай бұрын
분식집 하셔도 되겠어요 ㅎㅎ 어찌나 반죽을 좋아하시는지 ㅋㅋ
@user-zs3mb1ps1s
@user-zs3mb1ps1s 3 ай бұрын
웅배님 셔츠 멋지다. 우주 그자체~~~!! 셔츠는 우주같고 안경줄은 퀘이샤 같음
@pride8447
@pride8447 2 ай бұрын
크으으으
@herosminds
@herosminds 3 ай бұрын
지금의 천문학은 눈뜬 장님 수준
@knh3005
@knh3005 3 ай бұрын
남아프리카 전파망원경 이름이 미어캣. 작명센스잇네요.
@user-hl8qf9se8f
@user-hl8qf9se8f 3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이미지는 어떻게 만드는거에요?
@user-mp5om6pf3e
@user-mp5om6pf3e 3 ай бұрын
웅배님 마크로버의 나사가 필요한 이유 영상 한 번 봐보세용 이미 보셨을 거 같지만 추천드립니다 ^-^
@PPTScience
@PPTScience 3 ай бұрын
마침 PSR J0514-4002E이란 천체를 조사하고 있었는데 올라오네 ㄷㄷ
@richardrhee57
@richardrhee57 3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상상인데... 블랙홀이 증발하면 상당히 오랜시간 빈 공간의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것이 암흑물질 암흑에너지의 실체라는 상상을 해봅니다. 암흑에너지 암흑물질은 이미 사라진 흘랙홀의 잔상일 뿐인 것이라는 상상인것이죠.
@groot8533
@groot8533 2 ай бұрын
블랙홀도 없어질수있나요??
@user-yi6sj3um8j
@user-yi6sj3um8j 3 ай бұрын
먼지님.. 덕분에 별을 좋아하는 맘이 더 확실해진 50대입니다. 영상을 보면서 늘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무식하다고 욕하지마시고 ^^ 함 읽어 봐주세요.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지구는 태양을.. 태양계는 우리 은하 블랙홀을 중심을 기준으로 공준하는데 왜 우리 은하는 공전을 하지 않을까요? 적색뭐라고 했는데 기억이 잘 안나지만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와 가까워지는데 왜 다른 은하와는 멀어질까요?( 우주가 팽창하는 이유라고 하는데) 저는 좀 다른 관점으로 보여 집니다. 만약에 은하가 어떤 중심점으로 공전한다면 멀어지는 은하는 다른 중심점을 기준으로 공전을 한다면 그래서 멀어져가는 것처럼 보여지는건 아닐까..라는 50대 아재의 궁금점입니다. 좀 그렇죠^ 발상은 호기심에서 시작되는거라 생각합니다라고 외치며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jhsung3760
@jhsung3760 3 ай бұрын
우와 은하도 공전하는가에 대한거는 저두 본적이 없어서 궁금하네요 만약 우주 전체가 공전한다면 가운데엔 어마무시한 뭔가가 있을텐데 말이죠
@Ayyyyyyyooo2
@Ayyyyyyyooo2 3 ай бұрын
1. 우리 은하는 은하수 너머의 거대한 중력체를 향해 끌려가고 있습니다. 2. 안드로메다와 같이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은하와 멀어지지 않는 이유는 두 은하 사이의 중력이 우주의 팽창속도보다 더 우월하기 때문입니다.
@user-eh7px8nc3q
@user-eh7px8nc3q 2 ай бұрын
우주 전체를 관측했을때 거리에 비례해서 멀어지는 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한거라 단순히 어떤 중심점을 기준으로 공전한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BABAMBA_BOMB
@BABAMBA_BOMB 3 ай бұрын
안녕하십니까 웅배님. 다름이 아니라 제가 이제 삶에 여유가 생기니 우주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본의 아니게 첫댓글부터 질문좀 드려볼까 합니다. 1. 블랙홀의 부피가 0 이면 완전한 0 이란건지 무시할정도의 0 이란건지 궁금합니다. 하지만 무언가 존재 한다면 그것은 거의 완벽한 구를 만족할만한 대상이 될까요? 추신 . 저의 질문이 무례하다면 댓글을 그냥 삭제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저는 누군가를 비하하거나 그럴 의도는 정말 블랙홀의 부피만큼 없습니다.
@user-gw1sk6kn9m
@user-gw1sk6kn9m 3 ай бұрын
쿼크별인가?
@user-sk3si8vs3z
@user-sk3si8vs3z 3 ай бұрын
우리 지구가 태양계, 우리은하, 초은하단에 속하면서 느끼지는 못하지만 엄청난 중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살고있는 것 같은데요 중력이 크면 시간이 느려진다고 하잖아요 그럼 우주는 밀도가 낮으니까 우주 전체 평균 시간과 비교하면 지구는 시간이 엄청 천천히 가는건가요??
@user-dk1co2iv3b
@user-dk1co2iv3b 3 ай бұрын
죽고나서 질량 간극을 메우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되는 질량의 별 자체는 생성 불가능한건가요?
@sjs8546
@sjs8546 Ай бұрын
약간 번외긴하지만 방사선 감마선도 질량이 있나요? 우주엔 우주방사선이 많다고 하는데 그것들이 질량이 있다면 이동할때 저항이 생길거고 그러면 모든 천체들의 자전 공전운동에 미약하게나마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요?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는 모든 천체 항성들은 자전을 멈추나요
@lunapurple8338
@lunapurple8338 3 ай бұрын
지웅배씨 입만 쳐다봅니다. 입 잘보고 가요
@power122926
@power122926 3 ай бұрын
입에 뭔가 있나요? ㅋㅋㅋㅋㅋㅋㅋㅋ
@lunapurple8338
@lunapurple8338 3 ай бұрын
@@power122926 웅배님은 말씀하실때마다 입꼬리가 왼쪽으로 삐뚤어지세요. 그래도 말씀은 똑부러지게 하셔서 구독중입니다♡♡♡
@ykkim8772
@ykkim8772 3 ай бұрын
입은 삐툴어졌어도 말은 바로하는 대표적인 분
@user-xb9ym4jp2o
@user-xb9ym4jp2o 3 ай бұрын
히익
@hyung-seokchoi4277
@hyung-seokchoi4277 3 ай бұрын
입술을 노리고 계신건가요?
@harryjotto
@harryjotto 3 ай бұрын
근데 위키백과 같은데서 말하는 태양질량 400만배 또는 몇억배등의 초대질량 블랙홀은 확인된게 아닌건가요 ????
@bioskim1822
@bioskim1822 3 ай бұрын
우주 안의 모든 천체가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 같다. 저들끼리 뭉치고 쫓아내고 살고 죽고... 참 드라미틱하다
@user-hw6ub8rh1x
@user-hw6ub8rh1x 3 ай бұрын
원금과 대출금 중간에는 이자가 이 있어요 빨리 값아야 됩니다
@trjhrjr2
@trjhrjr2 3 ай бұрын
윤하 보고있나?
@user-sf5eb7ku5o
@user-sf5eb7ku5o 3 ай бұрын
태양질량의 20배를 초과하는 천체가 있나요?
@OK-iy3uj
@OK-iy3uj 3 ай бұрын
그러면 저런 블랙홀이 되려면 가장큰 항성은?
@WIWWIVW
@WIWWIVW 3 ай бұрын
먼지님 인공블랙홀을 만들수 있나요? 만들수있다면 만들어진 블랙홀은 지구를삼키나요?
@frying_frying
@frying_frying 3 ай бұрын
타 유튜버 동영상에서 관련 내용을 본 것 같습니다. 태양이 갑자기 블랙홀로 변환되면 어떻게될까?의 질문인데 햇빛이 사라지는 것을 제외하고 중력 영향만 보면, 지구에는 아무 문제 없다가 답이었습니다. 태양이 한 점으로 모여 블랙홀이되더라도,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과 같아서 궤도는 동일할 것입니다. 이와동일하게, 1g짜리 블랙홀을 만들면, 1g이 만드는 중력장 만큼 인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구에 아무 영향에 없습니다. 해당 블랙홀은 엄청나게 작을 것이고, 사람의 손이 해당 블랙홀에 지나간다면 원자 하나 정도, 전자 하나정도가 우연히 빨려들어갈 수 있을 정도일 것입니다. 느끼지도 못할 것 같습니다. 또한 작은 블랙홀일수록 블랙홀의 증발속도도 빨라진다고 들었는데 소멸까지 얼마나 걸릴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마 금방 사라지니까 입자가속기에서 이론적으로 생길 수 있다는 인공블랙홀이 안위험하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
@user-rs9is6tx2b
@user-rs9is6tx2b 3 ай бұрын
레이고를 만든후로 블랙홀들간의 충돌로 중력파 감지를 많이 한걸보면 이우주는 얼마나 넓을지 상상도 안되네 우리 은하 안에서만해도 블랙홀이 많지 않을텐데 그 충돌이 잦다는건 상상조차 되질안된다
@user-lk5zb4kp8d
@user-lk5zb4kp8d 3 ай бұрын
암흑물질이나 에너지가 어쩌면 아주 약한 형태의 블랙홀이 아닐까요?
@user-km3yh9cr4t
@user-km3yh9cr4t 3 ай бұрын
우주 저거
@yeah9784
@yeah9784 3 ай бұрын
개수가 적어서 그랬던거구나
@Canberra92
@Canberra92 3 ай бұрын
그래서 대한민국에서는 언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냐구요?
@user-vh3ct7ut2b
@user-vh3ct7ut2b 3 ай бұрын
삼체!!
@user-xt5vm5jz3z
@user-xt5vm5jz3z 3 ай бұрын
궁금한데요. 중력파는 시공간의 떨림으로 이해해야하나요? 빛의 파장같은거로 이해해야하나요? 두 블랙홀이 충돌하면서 잃어버린 질량만큼 중력파로 전환된다면... 그러면 나중에 기술이 발전하면 중력도 다른힘과 합쳐질 수 도 있는건가요?
@user-eh1re2vg8g
@user-eh1re2vg8g 3 ай бұрын
4대힘에 뭐가 있는지부터 알고 질문해라
@ss-bb9uj
@ss-bb9uj 3 ай бұрын
중력파는 파동입니다. 파동이면 보통 매질을 통해 전파되지만, 중력파는 시공간 자체를 왜곡시키면서 전파됩니다. 아인슈타인의 E=mc^2 공식에 따라 질량과 에너지는 서로 변환될 수 있고, 파동도 에너지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잃어버린 질량만큼 중력파로 전환될 수 있는 겁니다. 그리고 기술 발전과 4대힘 합쳐지는 건 아무런 관련이 없고, 애초에 그 4대 힘에 중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user-kk8ju5he7o
@user-kk8ju5he7o 3 ай бұрын
중력이 4대 힘에 안들어가면 우주 4대힘에 전자기력, 약력, 강력말고 뭐가있음? 암흑에너지?
@kimjacob5479
@kimjacob5479 3 ай бұрын
​@@ss-bb9uj저분이 말하는건 통일장 이론에 관한 얘기 아닐까요 사실 전자기력과 핵력은 하나로 설명이 가능한 단계에 왔지만 중력만큼은 아직 설명을 못하니까요
@ss-bb9uj
@ss-bb9uj 3 ай бұрын
@@kimjacob5479 그게 기술의 발전이랑은 상관이 없죠. 과학 이론의 발전이라고 한다면 맥락은 얼추 맞을 수 있겠네요
@frying_frying
@frying_frying 3 ай бұрын
태양 3개 만큼의 에너지가 방출되었다는 것이, 질량이 소멸 되어 에너지로 방출된 것인가요 아니면 해당 질량 만큼의 물질이 퍼져나갔다는 것일까요?
@frying_frying
@frying_frying 3 ай бұрын
질량-에너지(빛) 변환이면, 변환량이 교류의 형태여서 중력파도 교류의 형태로 나타난 것인지 아니면, dipole(+-가 있지는 않지만)의 방향에 따른 영향이 큰지 궁금하네요
@ss-bb9uj
@ss-bb9uj 3 ай бұрын
질량이 중력파로 바뀐 겁니다. 질량이 파동에너지로 바뀐 거죠. 에너지가 반드시 빛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에너지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죠. 이 경우엔 중력파의 파동에너지로 변환된 겁니다.
@frying_frying
@frying_frying 3 ай бұрын
​@@ss-bb9uj 답변 감사합니다. 다만, 중력파는 전자기력이나 다른 힘과 상호작용 못한다고 알고있습니다. 질량이 있어야 중력파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전재라면, 질량과 중력파의 총합은 같이 줄어들고 늘어나는 것은 이해가 가지만, 질량이 줄어들고 중력파의 총량이 늘어나는 것이 가능한지 햇갈리네요.
@ss-bb9uj
@ss-bb9uj 3 ай бұрын
@@frying_frying 질량이 직접적으로 중력파로 전환되는 건 아니라고 볼 수 있지만 중성자별 충돌시 질량으로부터 전환된 엄청난 에너지의 일부가 중력파 에너지로 퍼져나갑니다
@rock_tae
@rock_tae 3 ай бұрын
중력파가 질량이있나?? 태양질량 3배만큼의 중력파말고 다르게 빠지진 않았을까
@javva7
@javva7 3 ай бұрын
빛의속도로 이동하면 시간이 느리게흐르거나 아예흐르지않는다고 하던데 예를들어 몇만광년을 빛이 이동했을때 그 빛입자 자체의 흐른 시간은 얼마일까요 궁금합니다
@yoshihiro2221
@yoshihiro2221 3 ай бұрын
0입니다.
@kqaqa
@kqaqa 3 ай бұрын
흐르지 않습니다
@user-hugh215
@user-hugh215 3 ай бұрын
순간이동입니다
@javva7
@javva7 3 ай бұрын
댓글감사합니다
@user-eh7px8nc3q
@user-eh7px8nc3q 2 ай бұрын
빛의 입장에서는 모든 곳에 동시에 존재하는건가요?
@user-rr4fh8nx3g
@user-rr4fh8nx3g 3 ай бұрын
왜 우주는 팽창해서 서로 멀어진다는데 안드로메다는 우리 은하로 돌진하나요?
@whirlwhirlfly
@whirlwhirlfly 3 ай бұрын
몇몇 분들이 의문인 거 같아서 말씀드리면, 질량이 중력파로 바뀌지는 않죠. 아마도 병합 전후 질량의 차이가 중력파를 만든다는 뜻일 것입니다. 중력이 변하면 지구를 끌어당기는 힘도 달라지고 위치에 따라 변화된 중력의 도달하는 시간이 약간 차이날 때 ligo로 감지가 되는 원리입니다.
@frying_frying
@frying_frying 3 ай бұрын
몇가지 의문이 들어 살짝찾아보았는데요. 고전역학적으로 질량과 비례하는 것은 중력장이며, 두 블랙홀에 질량 중심과 유효질량을 고려하고, 질량이 바뀌지 않았다면 변위가 달라져도 중력장은 일정하고 상대론적 이유 때문에 변위, 가속에 따라 중력장이 요동치는 중력파가 생긴다고 이해했습니다. 저 상대론적 이해가 맞는지, 아닌지도 모르겠지만 두 가지 의문이 있습니다. 고전적인 이해로, 두 쌍성의 질량이 줄어들어 중력장의 변화가 생기는 것이라면, 중력장의 증감이 아니라 쭉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생길 것이며, 제가 대략적으로 이해한 상대론적 개념이 맞다면, 두 쌍성의 변위, 가속에 질량 소멸이 좀 더 진폭 또는 주파수의 변화를 크게 만들었다 정도로 유추됩니다. 좀 더 유추해보자면, 질량소멸이 두 블랙홀의 회전(운동에너지와 열 에너지)을 가속시켜서 좀 더 상대론적이유로 중력파가 커짐 이러한 이해가 맞을까요? 고전적으로도 변위에 따라 중력장이 요동쳤었나 햇갈리네요
@whirlwhirlfly
@whirlwhirlfly 3 ай бұрын
@@frying_frying 질량이 다른 두 블랙홀이 서로를 회전할 때 천체들이 지구를 당기는 힘이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중력파가 만들어지고, 병합 때 거대한 질량 하나가 되므로 하나의 새로운 파의 진폭이 순간적으로 솟아오르겠죠. 위키 사전을 보니까 줄어든 질량이 중력파로 변했다고 같은 설명이 되어 있긴 합니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질량 변화없이 상대론적 중력파가 일단은 확실한 정보일 것 같습니다.
@whirlwhirlfly
@whirlwhirlfly 3 ай бұрын
@@frying_frying 위 영상이나 위키에서 질량이 중력파로 바뀐다는 정보에 대해서 저는 좀 조심스러운 입장입니다. 병합 때 질량 감소가 단순히 계층적인 변화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쿼크의 계층과 비슷한 차원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1+1
@whirlwhirlfly
@whirlwhirlfly 3 ай бұрын
@@frying_frying 이론적으로 블랙홀에서는 빛의 속도에 달해도 아무 것도 탈출하지 못하므로 서로 가깝게 회전하는 상태에서도 두 블랙홀의 질량은 유지된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병합 순간에 질량 감소가 있는데 그것이 중력파로 바뀌었다는 것이 현재론이고 저는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다고 보는 쪽입니다. 좋은 답글 감사합니다.
@frying_frying
@frying_frying 3 ай бұрын
​@@whirlwhirlfly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기초적인 물리 지식만 있어서 어렵고 또 재밌네요 감사합니다!
@user-pt8wy8pq3t
@user-pt8wy8pq3t 3 ай бұрын
크기가 너무 작아서 발견이 안된거 아닐까..??
@user-zu5rd1ft8w
@user-zu5rd1ft8w 3 ай бұрын
블랙홀의 최초 기원은 저 조그만 블랙홀 같아 보이는데요. 항성 속 핵으로써 기능하면서에 숨어 있던 초소형 블랙홀이 왜성으로 항성 폭발시 출현하면서 질량을 키워 거대 블랙홀이 된다. 블랙홀은 홀연히 나타나는것이 아니라 은하계나 성단 어디에나 존재 하지만 거대 질량 항성이 폭발 하기 전까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게 기원 일듯요..
@javaxerjack
@javaxerjack 3 ай бұрын
틀림 없이 숫자 3과 관련 있을 거에요.
@user-tb6xt1eb4m
@user-tb6xt1eb4m 3 ай бұрын
아뇨 2입니다 아뇨 2입니다
@user-tb6xt1eb4m
@user-tb6xt1eb4m 3 ай бұрын
2일 겁니다 2일 겁니다
@user-nx1cr5oq8m
@user-nx1cr5oq8m 3 ай бұрын
나는 가장 궁금한게 말요 행성이고 항성이고 블랙홀이고 대체왜 회전하는 것이오? 대체왜! 블랙홀도 그냥 중심점으로 빨아들이믄 돼는데 왜 회전하믄서 빨아들이냐 이말이오 대체 왜 세상 만물 모두 회전하는거냔 말이오 바람도 물도 별도 은하도 블랙홀도! 답해 주시오! 티치 미!
@user-kk8ju5he7o
@user-kk8ju5he7o 3 ай бұрын
블랙홀은 천체의 종류라기보다는 밀도가 매우 높을때 두드러지는 공통의 특징을 가진 일종의 영역인것같다. 블랙홀이라 해서 다 별의 죽음으로만 생기는건 아님. 블랙홀도 저마다 기원이 다양하고 규모도 전 은하를 지배할 만한 규모에서 소립자 수준의 규모까지 다양합니다.
@ss-bb9uj
@ss-bb9uj 3 ай бұрын
우주의 특정한 영역이 진공과 충분히 구분되며 물리적 특징이 있고, 특히 주로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그걸 천체라고 부르는 겁니다. 즉 말씀하신 내용이 블랙홀은 천체라는 걸 의미합니다.
@hyung-seokchoi4277
@hyung-seokchoi4277 3 ай бұрын
엥? 중력파는 역제곱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고요?? 왜 그런가요?? 역제곱 법칙은 빛만 해당하는게 아니라 모든 파동에 대해 심지어 장(field)에 대해서도 성립하는데... 중력파는 뭔가 다른점이 있나요?
@user-oz3lg2cj2e
@user-oz3lg2cj2e 3 ай бұрын
저도 궁금하네요
@jhsung3760
@jhsung3760 3 ай бұрын
??? 그 사이 질량의 블랙홀이 발견됐다는게 그리 큰 의미인가요? 그동안 관측 기술이나 관측 기회가 없었을 뿐인거 같은데
@user-zu5rd1ft8w
@user-zu5rd1ft8w 3 ай бұрын
질문이요 : 태양 질량 약 30배의 백색 왜성과 태양 질량 2배의 블랙홀이 충돌할 경우 블랙홀이 백색 왜성의 중심핵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겠죠. 그럴 경우 백색 왜성은 팽창을 멈추고 수축하기 시작할까요?? 아니면 팽창해서 폭발할까요?? 폭발 한다면 핵으로 자리잡은 블랙홀은???? 블랙홀이 암흑물질같이 보이지 않지만 질량을 토해내서 유지된다고 말하지만, 이미 왜성의 중력에 사로잡혀 내보낼 수가 없잖아요... 기본적으론
@rlawnqls159
@rlawnqls159 3 ай бұрын
블랙홀보다 좋은 것은 커블랙홀
@user-cp7tl6lx6j
@user-cp7tl6lx6j 3 ай бұрын
블랙홀이 좋은건지 지웅배님이 좋은건지 자꾸만 보고 있는 나를 발견해 봅니다. 좋은 정보 놀라운 정보 부탁드립니다.
@SW-qr6yl
@SW-qr6yl 3 ай бұрын
블랙홀은 크기가 없는 점이라고 들은 것 같은데 그게 어떻게 가능하죠? 아무리 원자가 거대한 중력에 압축이 된다해도 원자가 가진 질량이 소멸되는건 아닐텐데 물리적으로 부피가 있는 원자들이 점으로 압축되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rachelyou5328
@rachelyou5328 3 ай бұрын
블랙홀의 특이점이 크기가 없는 거지 블랙홀 자체는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을 블랙홀의 크기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hegya5849
@hegya5849 3 ай бұрын
모든 질량이 한 점에 있어 블랙홀 중심인 특이점으로부터 사건의 지평선까지를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이라 하며 그 구의 영역을 블랙홀의 크기라고 하는 겁니다.
@canda8350
@canda8350 3 ай бұрын
블랙홀 안을 관찰 해본적이 없기때문에 특이점이 부피가 있는지 없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점이니 도넛 모양이니는 모두 수학적으로 계산해서 나온 예측일뿐. 개인적으로는 태양질량의 몇배에서 몇억배되는 질량이 원자단위로 쪼개져서 뭉쳐있어도 (블랙홀의 특이점) 부피는 있을거라고 봅니다.
@user-uw7bi7xe9o
@user-uw7bi7xe9o 3 ай бұрын
​@@canda8350부피가 있을거라고 생각하면 블랙홀이란 개념자체가 만들어 지지 않았겠지요... 애초에 블랙홀이 없을거라고 주장했던 이유가 막대한질량이 특이점으로 붕괴할수가 없을거라는 생각 때문이었는데 블랙홀이 발견된후에도 부피가 없을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으신다면 뭔가 이유를 설명해줘야 하지 않을까요...ㅋㅋ
@user-uw7bi7xe9o
@user-uw7bi7xe9o 3 ай бұрын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핵융합이나 어떠한 에너지가 공급되는것이 아닌 물질자체로만 중력에 버티는힘인 중성자축퇴압보다 중력의 힘이 강한경우 중성자들이 뭉개지면서 블랙홀이 된다고 간단히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킹론상으로는 쿼크별이란것도 있다네요... 특이점은 중력이 너무강해서 어떠한 물질의 형상을 가질수 없는 상태라고 생각하면 조금 이해가 갈까요...
@johnlemon6068
@johnlemon6068 3 ай бұрын
아 적당한 애들끼리 합병했구만..
@user-rl9ud8wg9m
@user-rl9ud8wg9m 3 ай бұрын
안경 줄 별루다 ㅋㅋ
@user-jg9dg1wt6i
@user-jg9dg1wt6i 3 ай бұрын
1등?
@user-jg9dg1wt6i
@user-jg9dg1wt6i 3 ай бұрын
박사님이 입고 있는 티셔츠는 어디서 구하나요? 굿즈 링크에 없네요
@user-lf6cu5be2s
@user-lf6cu5be2s 2 ай бұрын
내용은 새로운 블랙홀 찾았다. 썸네일은 블랙혼 중심에 뭐가 있는지 궁금하면 눌러봐. 이 채널 은근히 낚시가 심하네.
@infight1275
@infight1275 3 ай бұрын
'신기하게도 절대 변하지 않는 그의 머리카락 질량, 그의 머리카락 질량 분포가 바뀐다면 우주의 아주 거대한 변화가 찾아올 것'
@user-ky8yl7lo3z
@user-ky8yl7lo3z 3 ай бұрын
그런 질량의 블랙홀만 갖고 250만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은하와 병합을 한다고하니 정말 이해가 안된다 250만 광년 떨어진것도 사실 어느정도인지 이해도 안돼는데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것도그렇고
@user-eu6fy1lp9e
@user-eu6fy1lp9e 3 ай бұрын
머리좋은 바보들.
@haterhen9495
@haterhen9495 2 ай бұрын
안경에 뭐 달지 말자. 정신사납다... 얼굴나오면 집중이 안되~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이 은하는 보이지 않습니다! | 드디어 밝혀지는 암흑 물질의 정체..?!
18:30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211 М.
궤도는 하난데, 행성이 두 개?! | 지구의 과거가 재현되고 있다!! 😲
9:11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64 М.
[매운맛 천문학🔥] 137억년 전의 은하?? 이걸 정말 믿을 수 있을까?
14:01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80 М.
제임스 웹, 우주 역사상 최초의 별의 흔적을 발견했다!
12:12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61 М.
Хотела заскамить на Айфон!😱📱(@gertieinar)
0:21
Взрывная История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Нашел еще 70+ нововведений в iOS 18!
11:04
Секретный смартфон Apple без камеры для работы на АЭС
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