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파장...사상 초유의 해외직구 금지 소식

  Рет қаралды 2,164,927

ITSub잇섭

ITSub잇섭

Күн бұрын

2024년 5월 16일 국무조정실에서 공식적으로 KC인증 없는 전자기기는 해외직구 불가하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습니다. 아직 세부적인 정책은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해서 판단이 조심스럽기도 하지만, 보도자료에 있는 내용과 제 개인적인 생각을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틀린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GM.
ES_Fast Forward, Puase STEMS INSTRUMENTS - Rebecca Mardal
ES_Pacific Coast Cruisin - DJ DENZ The Rooster
ES_Tasia - Gregory David
⏲️ Timestamps.
00:00 내 밥줄
00:07 오프닝
01:03 국무조정실 보도자료
01:55 대상 제품들
03:20 KC 인증
04:08 KC 인증의 문제점
07:00 KC 인증은 안전한가?
08:14 면세 한도도 낮춘다?
🔖Tags.
#직구제한
#해외직구
#KC인증
💡 Merch.
블랙카우랩스 굿즈를 사고 싶다면?
-abit.ly/blackcowlabs
📨 Business contacts.
itsub@itud.io

Пікірлер: 24 000
@pkkim5058
@pkkim5058 14 күн бұрын
어떻게 이렇게 조그마한 땅덩어리 나라에서 서민들 못살게 하기 위해 진심인지.....
@undiavoloscaccialaltro7920
@undiavoloscaccialaltro7920 14 күн бұрын
친기업 보수 주구장창 뽑으니까요 잇섭님 채널에 정치색 이야기 싫지만 이따구로 할 즐은 생각도 못했음 아마존이 과연 가만히 있을지 이에 미국은 뭐라고 할 지 궁금함 알리 테무 겨냥이라 중국 공격해서 좋아할랑가 ㅋ
@user-yx8xz9qw2p
@user-yx8xz9qw2p 14 күн бұрын
ㄹㅇ....
@user-hx7yr1jn9g
@user-hx7yr1jn9g 14 күн бұрын
서민노예들이 싸게주고 사는건 못참지 ㅋㅋㅋㅋ
@user-rw9yr1iq3l
@user-rw9yr1iq3l 14 күн бұрын
이러고 자기들이 취미로 즐기는 골프채나 향수같은건 인증에 제외한게 코믹임ㅋㅋㅋ
@user-rv2vv4ff6q
@user-rv2vv4ff6q 14 күн бұрын
@@undiavoloscaccialaltro7920 공감 ㅋ 친기업정책이란게 이런거임 ㅋㅋㅋㅋ
@jaysbar4u
@jaysbar4u 14 күн бұрын
2023년 12월 KC인증 민영화 발표 >>> 2024년 4월초 알리, 테무 어린이제품 발암물질 검출로 국민 공분 >>> 알리 테무등 해외직구 KC 인증 요구 >>> 결국 중국발 불량제품 차단하는 척 하면서 KC 민간 인증기관 돈방석
@Oliver-gd3tx
@Oliver-gd3tx 14 күн бұрын
앞으로 3년 남았으니 이런식으로 기관들 민영화 시키고 돈벌이 만들어 줄듯.
@user-rz9wi2zh6q
@user-rz9wi2zh6q 14 күн бұрын
김건희 특검하라고 하니깐 어그로용으로 KC인증 드립으로 직구막는 쇼를 하고있음 모든건 2찍한 것에대해 스스로 자신을 원망해라
@andyryu5499
@andyryu5499 14 күн бұрын
KC 인증 마크 주는 곳이 민영화 됐을 줄은 꿈에도 몰랐네요… 허허 참..
@milesjo4070
@milesjo4070 14 күн бұрын
KC인증 민영화 주도 업체 중에 전현직 정치인과 특수관계인인 사람이 이사진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탐사보도 해주실 언론인들이 과연 있을까요? 대주주 토건족의 노예가 된 기자들, 영혼의 창녀들이 한둘이 아닌데?
@Forever_Shinsanghyuck
@Forever_Shinsanghyuck 14 күн бұрын
난 자가사용목적으로 구매해서 크림에 던지는 되팔이들 멸망해서 기분좋은데 ㅋㅋㅋㅋ 크림도 주가 떡락하겠노ㅋㅋㅋㅋㅋㅋ
@lovey486
@lovey486 12 күн бұрын
자꾸 철회했다고 기사떴다고 댓글달리는데 아니다. 시행한다. 말장난하는거다 6월에 그대로 한다고 어제 브리핑했다 진짜 허위유포 작작좀해라 도대체 기자들한테 돈을 얼마나 먹인거냐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0 күн бұрын
중국앱 건당 7달러씩 손해보면서 판매중이라는 데이터가있음. 이 말은 중국이 원하는만큼 점유율을 가져가면 그땐 지금 가격에서 평균 최소 9000원이 플러스 된다고 보면됌. 이 말은 우리 경제, 산업이 그만큼 먹힌거고, 그땐 되돌릴 수 없음... 이런 나라미래경제가 좌우되는 정책을 이리 성급하게하다니....안타깝습니다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0 күн бұрын
추가적으로 전세계적으로 직구에 헛점을 인식하고 관련법안을 손보려하고 있는데요. 예를들면 149달러 x 365일을 하게되면 연 7천만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더라도 세금은 0원이 됩니다. 이게 사람이 많아질 수록 천문학적인 매출액이 나와도, 세금은 똑같이 0이되요. 기업입장에선 개꿀이죠 ㅎㅎ 중국은 6년전부터 상대국 경제침략을 치밀히 준비했다합니다. 그리고 이런 직구의 헛점은 중국의 플랜중의 비교적 비중낮은 전략 중 하나이고 진짜 무서운건 보조금이라는...
@CP-ub5nc
@CP-ub5nc 10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중국에 경제가 먹힌다, 이 얘기가 많이 나오는데 그 부분 한정으로 공감합니다만, 근데 지금 문제가 중국만이 대상이 아니니.. kc인증만 포함되기 때문에 그 외 모든 국가 직구가 불가능해지고, 저가전략으로 중국에 의존성이 생기는 상품이 아닌, 일반적인 글로벌 제품자체가 구매가 불가능해지는 부분이 말이 안되는 것 같네요
@user-haha1
@user-haha1 10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스톤헤드야 그래서 한국은 알리 테무 제품을 + 2~3만원 올려서 팔고있구나~? 주식 풀매수 했니? ㅋㅋㅋㅋㅋㅋ
@use-kr5db
@use-kr5db 6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이건 진짜 뭔 소리인지 모르겠음 직구 막아봤자 업자들 똑같은 중국산 떼다 몇십배 이윤남겨서 팔아서 결과적으로 중국은 손해볼게없음 그리고 자가사용 목적인 전자제품 부품 막는 국가는 한국이 최초임. 다른나라 어디에서도 하지 않는것을 한국이 해야한다고? 심지어 독재국가도 안하는짓을??
@user-jh5kq4hr2q
@user-jh5kq4hr2q 11 күн бұрын
이 댓글을 많은 분들이 보실려나 싶지만 써봅니다. 철회한다고 말장난치면서 중국 배대지 라는 곳에서는 이미 세관 공문이 내려왔다고합니다. 그냥 강향하려고 하는 거 같습니다. 여러분 국민신문고에서 국무조정실로 민원 넣어주세요...진짜 개판나게 생겼어요ㅠㅠ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0 күн бұрын
중국앱 건당 7달러씩 손해보면서 판매중이라는 데이터가있음. 이 말은 중국이 원하는만큼 점유율을 가져가면 그땐 지금 가격에서 평균 최소 9000원이 플러스 된다고 보면됌. 이 말은 우리 경제, 산업이 그만큼 먹힌거고, 그땐 되돌릴 수 없음... 이런 나라미래경제가 좌우되는 정책을 이리 성급하게하다니....안타깝습니다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0 күн бұрын
추가적으로 전세계적으로 직구에 헛점을 인식하고 관련법안을 손보려하고 있는데요. 예를들면 149달러 x 365일을 하게되면 연 7천만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더라도 세금은 0원이 됩니다. 이게 사람이 많아질 수록 천문학적인 매출액이 나와도, 세금은 똑같이 0이되요. 기업입장에선 개꿀이죠 ㅎㅎ 중국은 6년전부터 상대국 경제침략을 치밀히 준비했다합니다. 그리고 이런 직구의 헛점은 중국의 플랜중의 비교적 비중낮은 전략 중 하나이고 진짜 무서운건 보조금이라는 ㄷㄷ
@user-haha1
@user-haha1 10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스톤헤드야 그래서 한국은 알리 테무 제품을 + 2~3만원 올려서 팔고있구나~? 주식 풀매수 했니? ㅋㅋㅋㅋㅋㅋ
@ebri.
@ebri. 9 күн бұрын
청원하러가세요. 아직 100퍼도 안됨
@ebri.
@ebri. 9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엥.. 그땐 안사겠지ㅡ 점유율 필요없음... 직구 싸서 하는거에요.
@jeohyna3094
@jeohyna3094 14 күн бұрын
사실 KC 인증만 받겠다는 건 명백하게 현행법 위반입니다. 왜냐하면 국회비준을 받은 FTA의 경우 헌법 제6조 제1항에 의거해 국내법과 동일한 법 지위를 갖고 있는데 FCC, CE등의 국제 인증을 받지 않겠다는 건 'IECEE에 따른 시험소 시험결과를 추가적으로 우리 인증기관의 인증 없이도 수용하겠다'는 한-EU FTA 조약 위반이거든요. 해당 직구금지 정책이 시행령으로 시행될 경우 상위 법과의 충돌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해당 정책은 법리적으로 무효화됩니다. 결과적으로 법적으로 해당 KC인증 외 직구금지 정책이 정당한 근거를 가지려면 1. 국민생명과 안전에 중대한 문제가 있음을 입증해야하고 2. 한-EU FTA를 무효화, 백지화 혹은 갱신협약을 해야합니다. 아니면 개헌을 해서 헌법 제6조 제1항을 무효화시키던지요
@Jun-ws4um
@Jun-ws4um 14 күн бұрын
크~ 법잘알! 멋지십니다!! 👍👍👍
@user-bx9do6vq5x
@user-bx9do6vq5x 14 күн бұрын
아마 개헌은 불가능 할듯
@Furry_zoa
@Furry_zoa 14 күн бұрын
​@@user-bx9do6vq5x아마가 아니라 아예 불가능의 영역임 개헌시키려면 국민투표가 필수라서..
@user-aaa95
@user-aaa95 14 күн бұрын
​@@user-bx9do6vq5x개헌 시도라도 하면 바로 탄핵빔 맞을듯
@nope857
@nope857 14 күн бұрын
법잘알이십니다.
@zuzuru374
@zuzuru374 14 күн бұрын
해외인증을 인정하는가? x kc인증을 해외에서 인정하는가? x kc인증이 신뢰성이 있나? x kc인증 제품에 문제가 생겼을시 책임이 있는가? x 그냥 미친거임
@user-ez1xd4lx3g
@user-ez1xd4lx3g 14 күн бұрын
시바 저러면 KC인증을 왜 해야하는겨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w8ym7xz1e
@user-lw8ym7xz1e 14 күн бұрын
지들 민영화한 kc 일감 몰아주기해여지
@S.C.CHO_
@S.C.CHO_ 14 күн бұрын
재밌는데 자기나라 고유 인증있는 나라가 몇 없음 ㅋㅋ 한국일본중국이 사실상 전부이고 나머지 나라는 유럽인증 미국인증만 있으면 다 판매할수있어요
@user-wq9zq1sy6j
@user-wq9zq1sy6j 14 күн бұрын
kc인증에 대한 대처가 아쉽긴한데,,, 어째든 이번정책은 윤씨가 어떨결에 잘한걸로 역사에 남을거긴해요 한번 읽어보세요. 시기의 문제지 위험도 높은 제품과 중국 저가 경제침략에 대한 규제는 해야되긴 했음.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또한 중국을 불공정으로 정의하고 이미 규제를 하고 있고, 중국앱을 그냥 놥둘 경우 소비가 중국으로 넘어가는 만큼 한국 내수에는 펑크가 나게됌. 결론적으로 지금 몇천원 싸게사는 돈을 나중에 펑크난 세수를 메꾸기위한 세금으로 내야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음. 중국은 6년전부터 경제침략을 준비했고 현시점 엄청난 보조금을 뿌리면서 진행중임 그리고 세계적으로 이런경우가 처음이라 직구규제가 느슨했던거지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 등등 어느 국가도 카드뭄과 중금속 위험제품 등을 그냥 들여보내려는 나라는 한 곳도 없음. 모든 나라가 각 나라 사업자들에게 위험물품에 대한 최소한의 인증을 이미 요구하고있었구요.... 최근 중국의 덤핑 밀어내기로인해 직구의 문제점이 세계적으로 화두되기 시작했고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직구에 대한 규제도 도마위에 올라오는 추세입니다... 2024년 카드뮴7백배...하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진건데, 너무 안일하고 감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 혹은 유투버들이 있는 것 같아 안타깝네요... 하지만 정부 또한 충분한 설명이 있지 않았던 점과, 다른 국가 인증기관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하지 않은 점은 아쉽긴해요
@ghostray3252
@ghostray3252 14 күн бұрын
@@S.C.CHO_ 바꿔 말하면 미국/유럽/일본/중국/한국 정도로 어느정도 경제적으로 잘 사는 나라 아니면 자체 인증 갖추기 버겁다는 뜻이 됩니다. 자체인증 없는 나라가 좋은 거 같나요? 국가 고유 인증 없는 나라는 정부나 잘 나가는 사기업들이 뒷돈 안 해먹을 거 같습니까? 지금 이게 이슈가 된 거는 KC인증의 실질적 신뢰성이나 그런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이지 자체 인증 있는 거 자체가 문제가 아니에요.
@eimin_eternalsleep
@eimin_eternalsleep 11 күн бұрын
혹시 지금 "직구 금지"는 눈속임이고, "관세 민영화"가 진짜 노림수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아시는 분 계시면 널리널리 설명 부탁드립니다... "관세 민영화"는 전국민 한국 탈출해도 납득되는 레벨의 대국민 사기극이고, 이에 비하면 "직구 금지"는 귀여운 수준이라는 말이 있네요..
@im_min
@im_min 11 күн бұрын
직구금지강행한다하네요. 세관에 공문 내려왔다합니다. 광화문에서 5월 25일 12-16시 직금금지반대시위진행한다고 합니다. 많은 침여 바랍니다
@Fufuuufuu
@Fufuuufuu 10 күн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꼭 참석할게요😊
@user-kf7zo6cq8c
@user-kf7zo6cq8c 10 күн бұрын
정말 가고싶네요 ㅠ
@user-qq8uv1gg8u
@user-qq8uv1gg8u 4 күн бұрын
결과적으로 시위에 200~300명 옴 ㅋㅋㅋ 디시에서 봣는데 사이사이에 지나가던 할머니 할아버지 뭔일일래 하고 앉아 있는거 개웃겻음 ㅋㅋ
@user-ou3yo8tk5e
@user-ou3yo8tk5e 4 күн бұрын
​@@user-qq8uv1gg8u예정된 인원의 두배인 1천명이 왔는데 뭔?
@user-qq8uv1gg8u
@user-qq8uv1gg8u 4 күн бұрын
@@user-ou3yo8tk5e ㅋㅋㅋ디시에 올라온사진보면 초라하던데 ㅋㅋㅋ 사이사이 할머니 앉아계신것도 ㅋㅋㅋ... 보통 개최측에선 부풀려서 말해요 ㅋㅋㅋ
@Black_Beast_gamer
@Black_Beast_gamer 14 күн бұрын
KC인증기관이 당연히 공기업이겠지 했는데 민영화 되었다는 사실을 7:32 영상보고 첨 알았네요;;;;; 이거 완존 대놓고 KC민간 인증 기관 밀어준거 아닌가요?!;; 소름끼치네. 나라에 도둑놈들이 차고 넘치네요.
@user-lu8jo7pn4g
@user-lu8jo7pn4g 14 күн бұрын
그 민간기업 주식 ㅈㄴ오름 ㅋㅋㅋㅋ 진짜 역겨울정도임
@neutralityyyyy
@neutralityyyyy 14 күн бұрын
진짜 즈그들끼리 짜고치고 잘노네요
@WAYNE-nj8ge
@WAYNE-nj8ge 14 күн бұрын
투표나 똑바로 하고 이딴 소리 해라 저런 애들을 대통령 뽑아놓고 어디서 징징거리냐
@user-hu2kh9bn5e
@user-hu2kh9bn5e 14 күн бұрын
와씨 소름 어느새 민영화 되었지ㄷㄷ
@scipiom8119
@scipiom8119 14 күн бұрын
누가 후루릅하고 먹은듯요. 도독놈 누가 했는지 추적해야 할듯.
@AA-ij6xb
@AA-ij6xb 14 күн бұрын
KC인증 민영화와 시간대가 수상하게 맞아떨어지는 말도 안 되는 시행령 발표
@dreamybt
@dreamybt 14 күн бұрын
일감 몰아주기?😢
@Rcd208
@Rcd208 14 күн бұрын
민영화만들어놓고 낙하산꽂기
@Jun-ws4um
@Jun-ws4um 14 күн бұрын
사설 인증 기관 대가리로 가기로 해서 싱글벙글 중인 퇴직 공무원이면 개추 ㅋㅋㅋㅋㅋ
@user-zl5kc2bk8p
@user-zl5kc2bk8p 14 күн бұрын
그건 5월에 폐기된다고 함
@user-rz9wi2zh6q
@user-rz9wi2zh6q 14 күн бұрын
김건희 특검하라고 하니깐 어그로용으로 KC인증 드립으로 직구막는 쇼를 하고있음 모든건 2찍한 것에대해 스스로 자신을 원망해라
@OOOooOO-dr9nx
@OOOooOO-dr9nx 11 күн бұрын
철회 아닙니다. 이미 공문으로 6월부터 시행한다고 내려왔습니다. 여러분 속지 마세요.
@user-wk4kv2ry5m
@user-wk4kv2ry5m 10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플러스되면 그 다음부턴 도태되게 안쓰면 되요 ㅋ 뭔 되도않는 논리회로로 직구의 헛점을 얘기함 ㅋㅋ 알리, 11마존 안쓰는 티내나? 1인 전자기기 통관 한도 200달러에서 150달러로 내린것도 개빡쳐죽겠는데 KC 인증기관 민영화로 돈긁어 담고 직구금지 빌드업 하는거 뻔히보이는데 세상좀 알고 사세요 ㅋㅋㅋ 민영화 안됐어도 이해가 안되는 사항이에요 빌드업 다됐는데 이악물고 쉴드질치는거보소 ㅋㅋ 아 이러니 2찍했구나 능지가 처참
@user-haha1
@user-haha1 10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무뇌야 +9000 오르면 저가물건을 사겠니?
@user-haha1
@user-haha1 10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스톤헤드야 그래서 한국은 알리 테무 제품을 + 2~3만원 올려서 팔고있구나~? 주식 풀매수 했니? ㅋㅋㅋㅋㅋㅋ
@user-ou3yo8tk5e
@user-ou3yo8tk5e 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그럼 쓸데없는 중간유통 비집고 들어와서 쓸데없는 가격 부풀리기나 하지 말던가 ㅋㅋㅋㅋ
@siss3990
@siss3990 12 күн бұрын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역대 이런 대통령은 첨봅니다
@user-kg3qc3wi3i
@user-kg3qc3wi3i 11 күн бұрын
근데 보수는 또 저런 사람 뽑습니다... 참 아이러니여요.....나라 다 망치고 일본에 7광구도 갖다 바치고....온갖 나라돈 숨기느냐 정신 없을테고 암울하네요
@aldoqjd5746
@aldoqjd5746 9 күн бұрын
되송합니다 저도 이럴줄몰랐죠..
@sky-fall321
@sky-fall321 9 күн бұрын
야동 막은건 까맣게 잊어버림? 보수만 이러는것도 진보만 이러는것도 아닌데 현상황에서 갈라치기하려고 하는건 진짜 싸대기 마렵네
@siss3990
@siss3990 9 күн бұрын
갈라치려는 의도도 없고 단지 내 개인적 소감을 쓴건데 ㅋㅋ 뭐에 찔리는 사람이 있나보네 ㅋㅋ
@user-po5ez3dk5o
@user-po5ez3dk5o 9 күн бұрын
@@sky-fall321 친구야...진심으로 포르노 막은거랑 직구 막는게 같다고 보는거냐?
@user-hb6gq3ky1q
@user-hb6gq3ky1q 14 күн бұрын
이번정부는 일단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되면 협상,협의,원만한해결,대안 이딴거 필요없고 싹다 금지,해체,삭감,거부 이지랄하고 있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p8qf9pv1h
@user-rp8qf9pv1h 14 күн бұрын
걍 독재임 맘에 안들면 압수수색하고
@TerrificPerson
@TerrificPerson 14 күн бұрын
걔네들은 신토불이정신 지켰다고 축배 들듯.
@user-kimchizzim
@user-kimchizzim 14 күн бұрын
담대통령 이재명가서 전국민 100만원씩 가즈아! 부채는 뒷세대가 알아서 해줄테니 백만원 가즈아 ㅋㅋ
@Astronaut-nf2hm
@Astronaut-nf2hm 14 күн бұрын
​@@user-kimchizzim 지금 아예 그렇게 해서 한국 서버 종료시키는 게 낫지 않겠나라는 생각이 진지하게 들고 있음
@user-bu7ly9xf1e
@user-bu7ly9xf1e 14 күн бұрын
​@@user-kimchizzim 님 어머니도 그렇게 생각하고 살아서 님 인생이 그 모양 그 꼴 인가봄 ㅋㅋㅋㅋ 거지 본성 ㅋ
@user-vf4lr7sb4k
@user-vf4lr7sb4k 14 күн бұрын
KC인증 붙이면 인증기관에서 잘못된 인증에대한 책임지는것도 아닌게 어처구니 없음
@fimpm112
@fimpm112 14 күн бұрын
ㄹㅇ 인증을 했으면 지들이 책임을 져야지ㅋㅋㅋㅋ
@ITSUB
@ITSUB 14 күн бұрын
그러니까요;;
@user-rz9wi2zh6q
@user-rz9wi2zh6q 14 күн бұрын
김건희 특검하라고 하니깐 어그로용으로 KC인증 드립으로 직구막는 쇼를 하고있음 모든건 2찍한 것에대해 스스로 자신을 원망해라
@Kantakuzenii
@Kantakuzenii 14 күн бұрын
​@@user-rz9wi2zh6q 정치꾼은 나가
@JH-sr9ed
@JH-sr9ed 14 күн бұрын
​@@user-rz9wi2zh6q진짜 정치병이다 넌
@hannai1319
@hannai1319 11 күн бұрын
개인간 국제택배/여행 다녀 온 뒤 기념품도 다 규제 대상이라고 합니다 ㅠ 헤드라인 장난질로 철회하는 척하지만 가이드라인 잡아 시행한다고 하네요. 잇섭님 새소식들로 새영상 또 만들어주세요
@Itis_whatitis
@Itis_whatitis 11 күн бұрын
헐 그럼 해외에서 4년쓰다가 가져가는 것도 걸리는거에요 ?ㄷㄷ
@user-jh5kq4hr2q
@user-jh5kq4hr2q 11 күн бұрын
​@@Itis_whatitis 네 친구든 가족끼리든 주고받는 택배도 폐기처분 할 수 있다고하는 미친 정책입니다 ......아니 쓰면서 보니까 더 빡치네요 이거...
@lllilliliililil
@lllilliliililil 11 күн бұрын
이런 나라가 북한말고 또 있나요?갈라파고스화 된 나라도 해외직구는 이딴식으로 안막는데ㅋㅋ북한과 같은 유전자 아니랄까봐 최악입니다
@yongjinkim473
@yongjinkim473 10 күн бұрын
해외사는 사람입니다 걍 한국 돌아갈 가능성을 더 좁게 해주는 정책이라고 밖에 안느껴집니다.
@aldoqjd5746
@aldoqjd5746 9 күн бұрын
@@lllilliliililil북한도 dhl 애플제품 받을수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건그냥 북한만도못한나라
@zzinny99
@zzinny99 3 күн бұрын
잇섭님 이거 관련된 영상 계속 부탁드립니다.. 저도 기사에 유보된다 이런말 보고 시행 안하는줄 알았어요. 진짜 제정신이 아닌 정부입니다... 여기 저기 안들쑤시는 곳이 없고;;; 매번 언론에다 말장난해서 사람들 착각하게 만들고... 역대급...
@cooltime8253
@cooltime8253 14 күн бұрын
KC 인증 민영화 → KC 인증 없으면 직구 불가 현재 KC 인증 민영화 기업 주가 4월 주가 대비 2배 떡상 와 진짜 냄새 난다
@crecha8698
@crecha8698 14 күн бұрын
와..
@user-vo3bc8gu9z
@user-vo3bc8gu9z 14 күн бұрын
흠 용산의 그 주가 전문가가 끼었을려나
@golekim9260
@golekim9260 14 күн бұрын
국민이 살길은 kc 주식 사는길 밖엔. 이미 다 올랐나?
@user-jb6hg3fb4t
@user-jb6hg3fb4t 14 күн бұрын
KC 인증 민영화 시켜놓고 인증 강제시키는건 너무 냄새나는데 ㅋㅋㅋㅋ
@KJRDG
@KJRDG 14 күн бұрын
그렇게 꼬우면 직접 나가서 시위하던가 해라 여기다 글 쳐 싸지르지 말고
@user-bv6yb9eb7q
@user-bv6yb9eb7q 14 күн бұрын
이거 무조건 특검해야함. 어떻게 타이밍이 딱 KC인증 민영화하자마자 시행이냐... 진짜루 특검해라. 이거 백퍼 돈먹은놈 있다
@user-wr1un1sq6d
@user-wr1un1sq6d 14 күн бұрын
틈만나면 특검 ㅋㅋ
@pandared9244
@pandared9244 14 күн бұрын
@@user-wr1un1sq6d 틈만나면 비리가 맞는말 아닐까 누가 슈퍼에서 과자 샀는데 양 적다고 특검하자고 했나?
@user-wr1un1sq6d
@user-wr1un1sq6d 14 күн бұрын
@@pandared9244 틈만나면 망상이 아닐까 친구야?
@user-wr1un1sq6d
@user-wr1un1sq6d 14 күн бұрын
@@pandared9244 거의 그정도 수준인데 니 비유가 맞아 진짜 그런 수준이야 특검이 만진당에서 빼액 거린다고 함부로 막 할 수 있는게 아니야 신중하게 해야지 검찰, 경찰, 공수처는 장식이 아니란다? 저걸 못 믿어서 특검을 주장하는 거면 주장할 시간에 병원이나 알아보세요.
@user-kj4uk2ll8k
@user-kj4uk2ll8k 14 күн бұрын
단통법은 왜 특검 안하고 망사용료는 왜 특검 안함?ㅋ 안하는걸까 받은게 많아 못하는걸까.
@worni5015
@worni5015 9 күн бұрын
또 민영화.... 하... 트위치도 작살내더니 이번엔 해외직구야 적당히좀 하자... 그냥 조용히 살아주면 좋겠는데 왜이리 나댈까 부끄럽게
@worni5015
@worni5015 8 күн бұрын
@user-vr6ck5kh8t 그건 좀...
@user-ul5jx1zy2z
@user-ul5jx1zy2z 3 күн бұрын
ㅈㄴ 공산당???? ㅡㅡㅡ진짜 이게나라냐 탄핵답
@user-rd6fc9jb1n
@user-rd6fc9jb1n 14 күн бұрын
아니 KC 인증해서 뭐 나오면 지들이 물어줌?? 옥시 가습기 살균제도 KC 인증인데??? 소소하게 DIY 하면서 관련 부품이 한국에서 안파니까 알리에서 직구하는 편이고 쿠팡, 네이버도 텍갈이해서 알리랑 똑같은 제품 떼어다가 2-3배 받아 먹는 업자들은 단속안하고… 아이고 10만원 이상 관세도 짜증나는데 이제 직구까지 막음???
@minseoj531
@minseoj531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아니 근데 왜 다른 나라 인증은 싸그리 무시하나구여
@user-qj6dq7mb2m
@user-qj6dq7mb2m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근데 우리가 그제품들 생산할 캐파는 됨? 어차피 수지도 안맞으니까 중국네 떠넘기는 거지
@user-pd1gm1gg8s
@user-pd1gm1gg8s 14 күн бұрын
@@minseoj531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고 했다;;
@user-js9ep8tp3r
@user-js9ep8tp3r 14 күн бұрын
말씀마따나 인증한 업체가 물품에 문제 생기거나 인체에 문제 생겼을경우 강력하게 보장 및 후처리 해주면 인정함. 근데 안그럴거잖아.. 중간 이익만 취할거면서 ㅠ
@user-zw9ct3dm6f
@user-zw9ct3dm6f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필요한건 맞는데 머리를 더 썼어야지 이렇게 무조건 다 금지 전면 금지 하는게 맞나요 😅 단순히 싸게 사네 마네 문제가 아니라 국내에선 구할 수 없어 직구하는것도 많고 우리나라가 무슨 자원과 내수시장이 그렇게 튼튼하다고 우리나라가 제조해다가 파는게 뭐 얼마나 된다고 죄다 금지인지 너무 말도 안됩니다 이건
@hk416_mod3
@hk416_mod3 14 күн бұрын
이번 정책 수상한 점 1. KC인증 민영화 후 급작스러운 직구 규제 2. 26년부터는 국가가 관리하는 직구가 가능한 플랫폼을 만들겠다 선언(근데 그때는 대통령 임기 1년 남았는데?) 의도가 너무 다분하게 보이네요ㅋㅋ 정치에 관심 없습니다만... 니들이 내 취미를 박살내면 말이 다르죠
@Izigen_no_Toubousya
@Izigen_no_Toubousya 14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취미하는사람들을 정치판으로 끌어오는게 비정상임 ㅋㅋ
@user-dg8ik5nj5t
@user-dg8ik5nj5t 14 күн бұрын
민영화에대해서는 부정이 없어야할것같아요. 근데 정책의 방향은 맞긴해요.ㅠㅠ 시기의 문제지 위험도 높은 제품과 중국 저가 경제침략에 대한 규제는 해야되긴 했음.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또한 중국을 불공정으로 정의하고 이미 규제를 하고 있고, 중국앱을 그냥 놥둘 경우 소비가 중국으로 넘어가는 만큼 한국 내수에는 펑크가 나게됌. 결론적으로 지금 몇천원 싸게사는 돈을 나중에 펑크난 세수를 메꾸기위한 세금으로 내야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음. 중국은 6년전부터 경제침략을 준비했고 현시점 엄청난 보조금을 뿌리면서 진행중임 그리고 세계적으로 이런경우가 처음이라 직구규제가 느슨했던거지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 등등 어느 국가도 카드뭄과 중금속 위험제품 등을 그냥 들여보내려는 나라는 한 곳도 없음. 모든 나라가 각 나라 사업자들에게 위험물품에 대한 최소한의 인증을 이미 요구하고있었구요.... 최근 중국의 덤핑 밀어내기로인해 직구의 문제점이 세계적으로 화두되기 시작했고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직구에 대한 규제도 도마위에 올라오는 추세입니다... 2024년 카드뮴7백배...하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진건데, 너무 안일하고 감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 혹은 유투버들이 있는 것 같아 안타깝네요... 하지만 정부 또한 충분한 설명이 있지 않았던 점과, 다른 국가 인증기관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하지 않은 점은 아쉽긴해요...ㅜㅜ
@Rawnuru
@Rawnuru 14 күн бұрын
@@user-dg8ik5nj5t 똑같은 내용을 어디서 지령받아서 이렇게 복붙하는 중입니까? KC 관련직에서 얼마 받아요?
@wildgraden115
@wildgraden115 14 күн бұрын
2번 너무구리다 여기가 북한인가
@user-jp8ob5yc6q
@user-jp8ob5yc6q 14 күн бұрын
⁠​⁠​⁠​⁠​⁠@@user-dg8ik5nj5t아니 몇천원이 아니던데요? 같은 공장라인에서 나온 똑같은 제품이 한국상인들이 택만 갈아서 판매하는건 몇만원씩이나 비싸던데 어떤 소비자가 이런 눈에 보이는 손해를 감수하며 구매를 하고 싶어할까요? 외국 기업 입장에서 생각해본다면 연간 인증하는데만 약 1500만원이 빠져나가는 kc인증을 굳이굳이 해가며 우리나라에 팔고 싶은 마음이 들까요?
@minsuoh6747
@minsuoh6747 10 күн бұрын
아니 애초에 왜 해외직구를 많이 하는지 근본적인 물음은 생각도 않고 정책시행했다고 밖에 생각못하겠음 국내꺼 사라고? 국내꺼가 말도 안되게 바가지 쒸운게 많은데 아니 이건 정치를 떠나서 같은 물건이 있으면 그게 사기꾼이 아닌이상 당연히 더 싼데에서 사고싶은게 당연한거지 왜 굳이 비싼데에서 사야하는데 그렇게 해외직구보다 내수를 원했으면 내수자체의 경쟁력을 키우고 내수에서 바가지 씌우는 악덕상인들을 열나게 잡고 안정화했으면 했어도 직구가 우세하겠지만 사는 파이도 늘었을텐데 괜히 해결도 못할꺼 그지같이 건들여서 더 반발심만 들게 하고 그 와중에 대통령께 보고 안했다 하는 핑계도 안했어도 -> 지휘계통 개무시하고 멋대로 독단에 지멋대로 하는 체제 문제 했어도 -> 이런 상황을 생각못한 무능 정말 안전을 생각한거면 들어오는 물건에 대한 카드뮴 적발 이런부분 상품정보 개시 의무화 구매를 한 순간에 상품정보 명시를 했음에도 못한 부분은 소비자의 문제지 물론 명시라 해도(코딱지만하게 써놓고 했어요 하는건 뚝배기를 깨부숴야 할 새키고) 걍 다 필요없이 직구 안 써봤죠? 정부 관계자들 자꾸 이딴 병크 터트리면 세금으로 운영되는 온갖 혜택들 없애버려도 할 말 없는거야 직접 안해봣고 안 써봤으니까 이런 개뼈다귀같은 정책이 나오지
@user-nw5tj4pi6c
@user-nw5tj4pi6c 4 күн бұрын
뽑은놈들 정신이 들어 ?ㅋㅋ 니들은 안팰줄알았지
@user-pou84fog94
@user-pou84fog94 14 күн бұрын
공산주의임? 뭐 이렇게 규제가 많아 개인의 자유를 이렇게 까지 침해하는 민주주의 나라가 또 있을까?
@user-jv8sl4jx4s
@user-jv8sl4jx4s 14 күн бұрын
뭔 놈의 용팔이 택갈이새끼들 옹호해주고 보호해주는 말도안되는 규정이다있냐 위탁판매로살사람사고 직구할사람하고이게맞지
@FreeMaker0726
@FreeMaker0726 14 күн бұрын
@@user-it9wf8vc8s KC 따리 보다 FCC랑 EC가 훨씬 빡센데 그건 아무튼 안되고 KC 받아라 하는거면 KC 민영화에 맞춰서 돈이나 슈킹해먹겠다는거지
@user-xj9ve5ul5g
@user-xj9ve5ul5g 14 күн бұрын
​@@user-it9wf8vc8s국민의 안전을위해(술,골프채,낚싯대,향수의 관세컷을 올리며)
@user-co8dx9zm8t
@user-co8dx9zm8t 14 күн бұрын
2찍은 뭐든지 가능
@toto6165
@toto6165 14 күн бұрын
슈킹 할려고 침질질 흘리고 있겠구만요
@seongto
@seongto 14 күн бұрын
직구량이 늘어난건 국내 유통업자들의 과도한 이익 남기기에 대한 반발심리가 큰데, 유통 체계 개선은 생각없이 그냥 국민만 호구되게 만드는 법을 만들어주네... 단통법 이래로 역대급 재계 편의만 봐주는 법안인듯. 근데 KC 인증 받은 가습기 살균제도 그렇게 많은 피해자를 낳았는데 뭘 믿고 KC인증만 들이대는거람... 중소기업들 이제 제품을 국내에서 만드려면 내부에 사용되는 부품들을 수입할 경우 이번에 걸리는 부품을 다 KC 인증 받아서 만들어야 해요... 그거 다 받을 바에 아예 외국에서 만들어서 완제품 수입처리 시키는 게 더 경쟁력 있을꺼라는 말도 있네요...
@user-uk6cc1pm7b
@user-uk6cc1pm7b 14 күн бұрын
그치~ 그래서 바이든이 미국 제조업 보호하려고 관세 100퍼 때리는것도 호구짓인거지 ㅋ
@user-nj1st4mx3h
@user-nj1st4mx3h 14 күн бұрын
다시 찾아보니 법안이 아닙니다. 조항에 대한 해석을 바꾼거래요. 아랫분 감사합니다. 근데 그거면 그거대로 더 문제아님..? 이제 진짜 지들 마음대로 해석하고 한다는거잖음ㅋㅋㅋㅋㅋ
@ssaal7643
@ssaal7643 14 күн бұрын
@@user-nj1st4mx3h 시행령 개정도 아니고 원래 있던 조항 확대해석 하고 밀어붙이는거
@user-fp2du3sn3z
@user-fp2du3sn3z 14 күн бұрын
대 석 열😂
@daetung
@daetung 14 күн бұрын
재계 편의만 봐준다기엔 이 법으로 직접 수혜받는 인증사업 해먹는 집단이 정상적인 '재계'는 아닌듯. 택갈이 유통사나 인증사업체 제외 대다수 대기업 포함한 제조기업들도 피보는 법안이라서 ㅋㅋㅋ
@user-ts4gb4lg9m
@user-ts4gb4lg9m 8 күн бұрын
진짜 자유를 얼마나 통제하려하나 해외에서는 화염병 들고 일어날 일인데 국민들이 너무 착하다
@KORTTTMAP
@KORTTTMAP 8 күн бұрын
진짜 이지경까지 왔는데도 광화문 광장에서 사망자, 부상자 나오는 시위 없는게 신기함...
@user-yw9vl9zv1s
@user-yw9vl9zv1s Күн бұрын
역설적으로 자유라는 워딩을 가장 즐겨 사용하는 그쪽 당들..
@kakrich
@kakrich 5 күн бұрын
나이드신 분들이 얼마나 머리가 굳었는지 증명하는 사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나라를 위해야될 사람들이 자신의 안위만을 위하여 일하니 시야가 좁아질수 밖에요. 중책들은 나이제한 둬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8만~40만세로 몸도 마음도 열정적인 사람이 일하는게 낫지 않겠습니까? 연륜이 있어야 한다고요? 입으로똥싸는건 나이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ji-sunjeong547
@ji-sunjeong547 14 күн бұрын
서버 엔지니어 입니다. 이게 문제가 되는게 의외로 해외 직구로 부품을 수급 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나 서버나 IT 인프라 들은 대부분 해외에서 들여와야 하는 상태입니다. 더군다나 한국은 90년대 제품을 아직도 쓰고 있고, 그나마 최근 전산 장비들이 2016년 정도로 10년 가까이 되는게 거의 7~80%입니다. 이런 것들 중 의외로 많은 파츠가 국내에서는 아에 부품 수급 자체가 안되요. 이런것 까지 이번 일로 다 막힌거랑 다를바 없어서, 인프라 운영에 상당한 비용 증가가 예상되고, 경우에 따라 IT 인프라 터져 나가는 경우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인한 운영비 상승에 따른 서비스 비용 상승 명분도 생길듯 합니다. 파츠 못 구해서 방치 할 수 밖에 없고, 비용이 상승하면 통신사들이 장비 수리에서 조금이라도 교체 시기 늦출 수 있는 건 늦출려고 들테니. -_- 지금도 BP사들 워런티와 매니지먼트 빼고 있어서 죽을 맛 이구만..
@puts1998
@puts1998 14 күн бұрын
현제 영세 공장들도 좆됨 ㅋㅋㅋㅋ
@user-imidcjh
@user-imidcjh 14 күн бұрын
​@user-jo4wr3pw8skc인증만 인증이냐 ㅋㅋ? 진짜 생각좀 하셈
@john-fx2mu
@john-fx2mu 14 күн бұрын
확실히 윤석열정부 들어오고 나서부터 어느부분이던 규제가 ㅈㄴ 많아짐 이게 전 정부까지는 체감을 못하다가 이번 정부 들어오면서부터 확 체감이 될정도니까 아마 우리가 아는것 말고도 어마어마한것들이 바꼈을거임
@user-cw1ix8ts4q
@user-cw1ix8ts4q 14 күн бұрын
​@user-jo4wr3pw8s중국산만 막은게 아니라 해외 모든걸 막았으니 문제죠 ㅋㅋㅋ 그리고 국내 택갈이 제품 5배 비싸게 팔아먹는데 납득이 되나요
@2-bo6fs
@2-bo6fs 14 күн бұрын
@@john-fx2mu원래도 규제는 많았다
@k-9991
@k-9991 14 күн бұрын
FCC 미국 인증과 CE 유럽인증을 인정하지 않는이유 = 작년에 민영화한 KC 돈 벌어야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4 күн бұрын
혹시나 조금의 부정이라도 발견되면 철퇴를 내려야함!!
@k-9991
@k-9991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작년에 kc 민영화 한거 모름???
@lamia197
@lamia197 14 күн бұрын
@@k-9991 보통 사람들은 자신과 직접 관계 없으면 몰라요.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화내는 사람들 있으면 난리 친다고 생각하고......
@GirlsPanzer
@GirlsPanzer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진짜 틀니냄새난다 ㅋㅋ
@part3423
@part3423 14 күн бұрын
다음은 내수 진작을 위해 해외여행 금지 조치로 찾아뵙겠습니다. (예외: '일본'은 권장합니다)
@x-file1227
@x-file1227 12 күн бұрын
알리, 테무에서만 해외직구 가능합니다 알리와 테무는 이번 정책이 발표되기 전부터 대비를 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어떻게 알았을까? 그게 더 궁금함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1 күн бұрын
중국앱 건당 7달러씩 손해보면서 판매중이라는 데이터가있음. 이 말은 중국이 원하는만큼 점유율을 가져가면 그땐 지금 가격에서 평균 최소 9000원이 플러스 된다고 보면됌. 이 말은 우리 경제 산업이 그만큼 먹힌거고, 그땐 되돌릴 수 없음 과정이 성급했지만, 정책의 방향성은 맞음
@sihyeongim
@sihyeongim 11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근데 중국앱 쓰는 결정적인 이유가 저렴해서인게 거기서 9000원 플러스되면 당일 배송 되는 쿠팡 같은 곳 쓰지 않을까요?
@JJ-eh2fm
@JJ-eh2fm 11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9천원 더 올라도 훨씬 쌈…..
@hdopen7
@hdopen7 11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그게 아닌게요. 테무, 알리는 자기들 제품 한번 씩만 KC받으면 되는거라서 자기들이 독점이 가능한 걸로 생각하시면되요. 소상공인들은 그게 불가능하니. 이게 문제 같아요
@user-haha1
@user-haha1 10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스톤헤드야 그래서 한국은 알리 테무 제품을 + 2~3만원 올려서 팔고있구나~? 주식 풀매수 했니? ㅋㅋㅋㅋㅋㅋ
@KAKA-xf6wq
@KAKA-xf6wq 11 күн бұрын
직구 규제 철회 된다고 한 적도 없고 기자들 말장난만 치는 중입니다. 속지마세요. 전면 철회될 때까지 민원 넣어주세요.
@user-wy8ql5pd8f
@user-wy8ql5pd8f 14 күн бұрын
셧다운. 단통법. 도서정가제. 비싼주류세.. .. 세상 역행에.. 국민들 조금이라도 불리한건 다함...... 반대로 불법이라고 정해 놓고 지들 캥기는건 다 나몰라라..대단한 나라다 .진짜
@user-tu2bb5lr7t
@user-tu2bb5lr7t 14 күн бұрын
+망사용료도 포함 ㅋㅋㅋㅋ
@toltolltoletortoretorr1728
@toltolltoletortoretorr1728 14 күн бұрын
민주당, 국힘당,,, 좌파우파,,, 다 똑같은 놈들이네요 ㅠㅠ 국민 피빨아먹는 거머리 같은 정치꾼들 ㅠㅠ
@luxid2024
@luxid2024 14 күн бұрын
알리 테무 막는다고 모든 국민들이 불리해짐?
@user-qt7ts6gg8f
@user-qt7ts6gg8f 14 күн бұрын
​@@luxid2024알리 테무만 막는게 아님
@user-qt7ts6gg8f
@user-qt7ts6gg8f 14 күн бұрын
​@@luxid2024그리고 전자나 화학쪽은 직구아니면 살수없는 물품들이 너무 많음. 사야하는 물품들도 몇백원짜리를 몇천원에 사야함
@jinking-ht7km
@jinking-ht7km 14 күн бұрын
안전이라는 목적은 백번 이해가고 납득할 수 있지만 돈만 내면 받을 수 있는 kc인증‘만’ 가능하다는게 어이가 없을뿐ㅋㅋㅋㅋㅋ 적어도 미국, 유럽 인증은 포함해야하는거 아닌가? 게다가 타 부처와 협의도 없이 비서실 단독으로ㅋㅋ 어쩌다 나라가 이지경까지 왔을까
@BirdYellow-ud7nv
@BirdYellow-ud7nv 14 күн бұрын
그쪽이 공산당이자나 ㅋㅋ
@MalgeunSAM
@MalgeunSAM 14 күн бұрын
심지어 저 내용이면 국내에서 제조하는 소규모 회사들도 비상임 ㅋㅋㅋ 걔네도 공장 돌릴 때 중국에서 부품 사와서 합치는건데 그 부품들 전부 직접 KC인증 받아야 함 ㅋㅋㅋㅋㅋ
@jinking-ht7km
@jinking-ht7km 14 күн бұрын
@@MalgeunSAM 이게 ㄹㅇ 심각한듯 연구직들 같은 경우에도 해외 장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할려고 하는건지 진짜 이해가 안감
@mdk3605
@mdk3605 14 күн бұрын
@@BirdYellow-ud7nv 이건 현정부가 똥싸는거 아님?
@PORTRAKOR
@PORTRAKOR 14 күн бұрын
@@MalgeunSAM 인플레이션 유도를 이런 방식으로 할 수도 있구나 싶어요.
@user-gk1ym4pe3x
@user-gk1ym4pe3x 9 күн бұрын
탄핵하자
@user-nf5ep8xi9e
@user-nf5ep8xi9e 12 күн бұрын
트위치 망사용료도 그렇고 그냥 빨리 이민가야겠어요....
@mawangdogking
@mawangdogking 14 күн бұрын
어?? 직구만 금지가 아니네요??............... 알아보니 꼭 직구가 아니더라도....... 개인 간에 EMS같은 해외택배를 주고 받더라도 통관시에 인증이 없으면 걸린다고 하네요...하...
@MaWang_Comet_
@MaWang_Comet_ 14 күн бұрын
피규어 , 인형에서 인증없으면 안된다는데요..이게 뭐하자는 정책인지 궁금하긴 합니다...
@DaeKkaeLong_
@DaeKkaeLong_ 14 күн бұрын
이게 직구만 막히는게 아니라 지인들이 택배로 보내는 것도 안 된다고 합니다... 배대지들도 다 망했어요. 하늘길, 바닷길 원천차단시키고 국내기업들이 웃돈받고 파는 물건이나 써라 이겁니다.
@michael._.
@michael._. 14 күн бұрын
KC민영화 기업 돈 좀 먹여줄려고 소비자랑 중소 제조업자 등등 다 망하게 하는거임 ㅋㅋ
@neutralityyyyy
@neutralityyyyy 14 күн бұрын
진짜 역대급 참사입니다 막아야해요
@qlalfdyd65
@qlalfdyd65 14 күн бұрын
잇섭님 말씀처럼 취지만 멀쩡하고 말이 되는 소리가 없음;;
@sewonpark9801
@sewonpark9801 14 күн бұрын
민영화는 해두면 분야를 막론하고 되돌리기가 어려움…그냥 정권 지나가면 돌리면 되지 이런식으론 못한다는 말….
@TO-ox2bl
@TO-ox2bl 14 күн бұрын
더 빡치는거는 윤이 대선때부터 의료, 전기 민영화를 꾸~~~준히 말했다는거^....... 당선되자마자 용산이전으로 세금공중뿌리는거 보니 존나 무섭네요
@Rcd208
@Rcd208 14 күн бұрын
한국항공우주도 민영화 진행중임 ㅋㅋ
@userganada
@userganada 14 күн бұрын
@@TO-ox2bl 의료는 원래 민영화임 의료보험제도 없애려고 하는짓임 현재하는짓보면
@userganada
@userganada 14 күн бұрын
민영화가 절대 나쁜게 아님 인구감소하고 소비위축되고 마약 늘어나고 부자들한테는 천국임 뭐 중산층 이하는 지옥이겟지만
@userganada
@userganada 14 күн бұрын
근데 다 민영화하면서 ㅋㅋ 또 싼거는 사지말래 ㅋㅋ 이런 뭐 독재같은 나라가 다있지?
@o.o722
@o.o722 10 күн бұрын
정말 이번 대통령 길이길이 역사에 남고싶어 환장을 한 것 같다.. 어떻게 이렇게까지 최악일 수 있을까
@hingR_3
@hingR_3 10 күн бұрын
5월25일 12시부터 정부서울청사 옆에서 직구규제 반대시위한대여 ㄷㄱㅈ
@jawunk
@jawunk 10 күн бұрын
이번에는 500만 집회하자
@Shinnosuke-Nohara
@Shinnosuke-Nohara 14 күн бұрын
핸드폰 싸게 산다고 단통법 책 싸게 산다고 책통법 직구 싸게 한다고 규제 강화 놀라운건 이 모든게 자칭 보수 환율 박살내더니 이제 직구까지 박살내네 나라가 아주 개박살
@unicity564
@unicity564 14 күн бұрын
ㄹㅇ 나라 개박살남 망한민국 대만민국
@pepperduck
@pepperduck 14 күн бұрын
진짜 타이틀은 보수인데 하는짓은 그냥 보수 정반대로 가버리는 ㅋㅋㅋ
@qv2955
@qv2955 14 күн бұрын
한국 우파는 좌경화가 굉장히 많이 되어있는걸 아직도 모르는구나.. 이렇게 정치에 무지하니 좌파들이 민중들 가르치려는 계몽주의가 아직도 먹혀들어가는거고 ㅉㅉ
@l.t.d8531
@l.t.d8531 14 күн бұрын
​​@@qv2955 꼴통짓 도저히 쉴드 못치겠으니까 이젠 이딴 얘기까지 지껄이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e9ezsiy3fl
@user-ne9ezsiy3fl 14 күн бұрын
"유교와 자본주의의 장점을 무시하고 단점만 극대화된 나라"
@AM-vb4gu
@AM-vb4gu 14 күн бұрын
민영화된 KC인증을 강제로 전국민에게 강요하는 정부라니...
@user-oe4uh5mz1o
@user-oe4uh5mz1o 14 күн бұрын
원래 민영화가 우파긴 함
@MrYongminkim
@MrYongminkim 14 күн бұрын
@@user-oe4uh5mz1o 우파가 아니라 수구이익집단임. 우파는 공동체의 이익을 중시하지 특정의 이익을 대변하는게 아님.
@user-wx6rs1nx9l
@user-wx6rs1nx9l 14 күн бұрын
​@@user-oe4uh5mz1o 민영화는 우파가 아니고 민영화해서 생겨난 자리로 가려는 나쁜놈들이 민영화를 원하는거죠 우파가 민영화는 아니에요 우파중에도 민영화 싫어하는 사람들 많아요
@user-dj2tl5ly3m
@user-dj2tl5ly3m 14 күн бұрын
​@@user-oe4uh5mz1o ㅈ도 모르면서 씨부리네.. ㅡㅡ
@Splore.
@Splore. 14 күн бұрын
@@user-oe4uh5mz1o 우파는 기존거 유지하려고 하는게 우파지 기득권 챙겨주는걸 우파라고 안함
@user-ws8ic7wx5t
@user-ws8ic7wx5t 11 күн бұрын
이렇게 만든 2찍들은 뿌듯하겠네
@Martin12350
@Martin12350 9 күн бұрын
작년부터 준비해 오던일. 산업통산부장관을 3개월만 하고 나간 사람이 3개월동안 딱 2가지 법안을 올림. 이 두가지 법안이 뭔지를 보면 답이있다. (23.10월~24.1월) 시키는대로 알짜베기 2개만 올려놓고 국민의힘 공천받아 낙선(팽) 했구만... 이렇게 급했던 이유가 있는듯 그 이유는 다른분이 좀 찾아주시길~
@user-hv5sl6eu4g
@user-hv5sl6eu4g 13 күн бұрын
산업부 방문규 장관은 작년12월에 조용히 kc인증을 민간 영리법인에 넘겼습니다 민영화된 kc인증절차는 황금알을 낳는 사업이라 생각하는데 방문규장관은 올해 국힘 수원병에 공천을 받았네요, 뭔가 냄새가 폴폴납니다 ㅎㅎ
@wahn3702
@wahn3702 13 күн бұрын
그 국민청원도 이정부에서 없애서 국민제안이라는 간접적인 허접한걸로 바뀌었답니다
@porinuna0715
@porinuna0715 12 күн бұрын
그리고 5월 13일에 조용히 공정위와 알리, 테무 간 KC인증 취득 관련 안전관리 협약 맺었습니다.... 중국산 막겠다 선동했지만 실질적으로 미, 일, EU 직구플랫폼을 통한 수입을 금지함으로서 한-미FTA, 한-EUFTA 위반입니다.
@user-nt9yt7ti2c
@user-nt9yt7ti2c 12 күн бұрын
이거 시위나 청원감이자 국제법 위반으로 국민들 전부 항의해야하는 문제입니다. 누가봐도 비합리적인 행동을 주도한 사람을 찾아 대응해야지, 원인을 탓하는척 갈라치기 하며 세대나 성별에게 책임을 묻는건 렉카나 다름없습니다. 인터넷의 이상한 유튜버들에게 사상주입 당하지 마시고, 눈앞에 다가온 황당한 규제에 날뛰셔야합니다. 어떻게든 대응 하려는 사람과, 뒤에서 누구탓이녜 하며 꿈쩍 안하는 사람은 수준이 다르고 차원이 다릅니다.
@tail7x
@tail7x 12 күн бұрын
@@user-nt9yt7ti2c 이미 독재정권짓 하고 있는데 위헌이고 탄핵대상에 충분히 충족된다고 봅니다. 국민의견은 묵살 정책 강행 심지어 실제 시행이나 다름없는 2주정도의 유예를 가지는 기습시행....이번엔 광화문 갑니다
@quartet5874
@quartet5874 12 күн бұрын
@@tail7x 할저씨 철회된지 수시간이 지났는데 뉴스안봐요?ㅋㅋ 없는 정책 펼치지말라고 광화문갈라고요?ㅋ
@LazyDev7668
@LazyDev7668 14 күн бұрын
emv, mmWave, 망사용료, 해외직구 등등등... 이딴게 무역으로 먹고사는 나라?ㅋㅋㅋㅋㅋㅋㅋㅋ 이쯤되면 갈라파고스가 아니라 사건의 지평선이다
@user-ex6cm4uf9e
@user-ex6cm4uf9e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중국만 막던가 일본/미국 기타 등등 다 막아놓고 중국 노리고 만든 법이에요 ㅠㅠ 이건 장난하자는겁니까?
@hehehe2263
@hehehe2263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나도 규제는 필요하다고 보는데 FCC나 CE까지 묶어서는 선넘었지
@Black_Beast_gamer
@Black_Beast_gamer 1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건의 지평선 빵터졌음여
@K-electronic
@K-electronic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그걸 내수시장을 키울 생각을 해야지 막는다고 막아지나요? 그리고 감정적인건 오히려 당신입니다. 몇몇 사례 가지고 어머 어떡해 ㅠㅠ 직구 다 막아야지 ㅠㅠ 이러는건 당신입니다.
@godruciper
@godruciper 14 күн бұрын
사건의 지평선~ 너머로오~
@kennykim8000
@kennykim8000 7 күн бұрын
잇섭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규제 반대 시위도 진행되고 있네요. 예전 한 통신사의 인터넷 속도 문제로 올리신 공처럼 직구 규제도 철회하고 더 좋은 방안 나올 수 있게 했으면 합니다
@Chloe-dn5wb
@Chloe-dn5wb 12 күн бұрын
잇섭님 이 사태에 관해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진짜 나라 맘하게 하려나봐요ㅁㅊ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1 күн бұрын
이건 세계적인 시작이 중국의 경제침략 및 경제종속화 시도라서 ㅋㅋㅋ 몇 년후 나라팔아 먹을 짓이라고 백퍼 재조명 받을 사안인데ㅋㅋㅋ 왜 잇섭님이 디시의 행동대장이 된거임 ㅋㅋ?
@malsgh529
@malsgh529 14 күн бұрын
자유시장경제를 완전히 부정하는 정책으로 생각됩니다. 참 답답하네요..
@Ss2_ss2
@Ss2_ss2 14 күн бұрын
???:경제는 어떻게 하는게 아닙니다. 물 흐르듯 냅둬야하는겁니다
@user-kx1su7dm9d
@user-kx1su7dm9d 14 күн бұрын
이런 발안이 누구 생각 어느 당에서 했는지도 궁금하네 국회의원은 사생활 포기 하고 투명성을 보여줘야 하는데
@ahahcham
@ahahcham 14 күн бұрын
말끝마다 자유를 외치던, 심지어 민주주의도 '자유 민주주의' 라는 이상한 말을 만든 집단, 그 정당이 또 해냈다! (민주주의에 이미 자유는 포함 돼 있음.)
@waterslide34
@waterslide34 14 күн бұрын
​@@ahahcham자유 없는 민주주의는 허상이 맞습니다. 이상한거 가져와서 물타기 하지마세요
@Fireworks_one_more
@Fireworks_one_more 14 күн бұрын
옆나라는 정부가 기업 지분 팔라고 하질 않나 ㅋㅋㅋ 우리나라는 뭘 하는건지 참 대단 하십니다 현정부 당만 보고 지지하는 병sin같은 것들 떄문에 피해 보는게 ㅈ같네 영상 마지막에 나온 거 처럼 무인증 제품 규제를 하던가 하지 왜 옆나라 총리가 시키던? 서민 다 죽여야 정권 유지가 쉽다고? 한국도 갈라파고스화 시키라고?
@user-py3ql1qq8i
@user-py3ql1qq8i 14 күн бұрын
난 직구 안하니까 상관없다? x 직구가 막히고 kc인증 받는다면 그 가격 부담을 전부 국민한테 떠넘길텐데 고물가 시대에 각 품목들 가격인상 감당됩니까? 직구 막힘 - 경쟁루트가 줄어듬 - kc인증비용 소비자에 전가 - 가격인상 더 이상 눈치볼 필요가 없어지죠
@baro_ox
@baro_ox 14 күн бұрын
ㄹㅇ 이게 맞지..
@layerrare1398
@layerrare1398 14 күн бұрын
머리가 장식인 인간들이 많음 ㅋㅋㅋ
@HEMA_011
@HEMA_011 14 күн бұрын
심지어 통관실패하면 폐기비용도 우리한테 떠넘김ㅋㅋㅋㅋ
@user-lj1pb5pl9f
@user-lj1pb5pl9f 14 күн бұрын
난 감당 됨
@ultron5831
@ultron5831 14 күн бұрын
당장 제가 다니는 공장 제조업 기계들 대부분 중국/일본껀데 한국꺼는 일부 기능 지원 안해도 성능 별로인 기계도 존재해서 부품들 직구 막히면 이제 해당 기계 생산 제품들은 장사 접어야되나.. 이러고 있어요 ㅋㅋㅋ 아니면 그 기계 만들 수 있는 인재를 뽑던가 국내 제품 쓰던가 KC인증마크 찾든가 해야되는데 결국엔 장사 접거나 가격 올리거나임.. 어제 결국 고장 잘 나는 부품 리스트업해서 통계내고 몇년치 미리 주문 중인데 이 부품 다 떨어지면 어떻게 해야될지 고민중임..
@user-sk3mo8ng5q
@user-sk3mo8ng5q 12 күн бұрын
굥산주의 시작입니다. 여러분 꽉 잡으세요😊
@que1555
@que1555 11 күн бұрын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은, 당시 ‘국내 기득권’ 세력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고...그 대가는 수년뒤 나라가 외세에 넘어가는 대신 그 기득권들 다수는 외세의 앞잡이가 되어 다시 새로운 기득권이자 그들의 앞잡이가 되었다. 이에 버금가는 상징성을 갖는 사건이라고 봅니다.
@oyxd
@oyxd 14 күн бұрын
자기는 직구 안한다고 상관 없다는 애들도 문제임 결국 해외직구 막히면 국내 택갈이들 가격 후려쳐서 비싸지는건데ㅋㅋ
@Ritaera
@Ritaera 14 күн бұрын
용팔이들 행복도 올라가는중
@smartphone784
@smartphone784 14 күн бұрын
ㅇㄱㄹㅇ.. 원래 5배 비싸게 팔던거 10배 비싸게 팔 예정...
@user-lmw1hd2tu2wf2tualx9
@user-lmw1hd2tu2wf2tualx9 14 күн бұрын
2:44 ㄹㅇㅋㅋ
@Chicago_Ohare
@Chicago_Ohare 14 күн бұрын
가격 경쟁 없어지면 물가 오르는거 가속화 되는데.... 왜 윤석열 뽑은 사람들 때문에 우리가 피해 봐야 되는거냐
@jzc3011
@jzc3011 14 күн бұрын
하다하다 건설사 vs 주공 이딴식으로 아파트로 서열 나누는 ㅂㅅ국가에서 뭘 바라냐
@k10401004ify
@k10401004ify 14 күн бұрын
현 정부는 뭔가 문제가 있으면 그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방향을 만들어가려는 의지가 없고 문제가 있어? 그러면 하지마! 이런 식으로 나오니.. 자꾸 국민들이 반발하고 시스템들이 망가져 가는 것 같아요 잼버리 행사 관련도 문제가 발생하니 수정해서 더 나은 행사로 만들어서 만회할 생각을 안 하고.. 그냥 하지마 포기 해버리고 KC인증관련 기관을 민영화 하면서 발생한 거라는 말도 있더라고요..
@juk1192
@juk1192 14 күн бұрын
잼버리는 전라도에서 자기들이 유치했다 자랑해놓고 망한거 정부탓하는거 아니냐
@tw04
@tw04 14 күн бұрын
???: 해경해체! -> 그래도 또 뽑아주는 지능
@user-gg5db6nm1t
@user-gg5db6nm1t 14 күн бұрын
​@@piecelove8157 물타기 ㅋㅋ
@Poloxamine-tg8dh
@Poloxamine-tg8dh 14 күн бұрын
@@piecelove8157 일단 지지율은 이번정부가 훨씬 낮음 ㅋㅋ
@ABC-gp7xx
@ABC-gp7xx 14 күн бұрын
​@@piecelove8157논란일자 장난 vs 논란일자 카르텔몰이로 밀어부치기
@user-sv4pv5xd5f
@user-sv4pv5xd5f 3 күн бұрын
금지 품목 더 늘린다던데요........ㅋㅋ 철회나 하라고
@user-sr5bg6wr7h
@user-sr5bg6wr7h 10 күн бұрын
소문을 듣고 왔습니다. 정부의 해외 직구 금지와 관련해 쉽게 설명을 잘 하셨습니다. 그리고 잇섭 유튜브는 정치 시사와 무관하지만 그래도 하겠습니다. 송구하고 죄송합니다. 3년은 너무 ~ 길고 이제는 파면 및 탄핵이 답이자 국익이다!
@user-uamap
@user-uamap 14 күн бұрын
이번 규제로 알 수 있는것 1. 한국의 일반제조업분야는 직구규제를 해야할만큼 허접이다 2. 한국은 ㄹㅇ 답이 없다 3. 서민은 기득권들의 세금가축이다
@sami9902
@sami9902 14 күн бұрын
정말 말도 안되는 규제입니다. 소비자 선택폭만 엄청 좁아지는거죠. 어떤 부작용이 있을줄알고 저걸 이렇게 갑자기 대통령령으로 바로 시행한다니 정말 보지도 못한 정책이네요.
@waterdeep3092
@waterdeep3092 14 күн бұрын
굥이 대통령되는순간 이 나라 수준이 딱보이기 시작햿습니다.
@user-ql1ig5lr2q
@user-ql1ig5lr2q 14 күн бұрын
@@waterdeep3092190석 민주당 때문이지 규제는 ㅋㅋㅋㅋㅋ멍청이
@koranigee
@koranigee 14 күн бұрын
@@user-ql1ig5lr2qㅂㅅ
@user-nj8vh8ze2z
@user-nj8vh8ze2z 14 күн бұрын
중소기업들 곡소리 나겠네 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4p190
@4p190 14 күн бұрын
나라가 대놓고 니들 호구되세요 라고 밀어넣고있네 ㅋㅋㅋㅋ 그냥 택갈이 하거나 말도안되는 가격으로 파는 양심 팔아먹은 장사치들꺼 사라는거네ㅋㅋㅋㅋ
@hyunhojeong4660
@hyunhojeong4660 14 күн бұрын
장사치들도 딱히 좋은 상황은 아님 팔아먹으려면 샘플 받아서 인증 받아 팔만한 제품인지도 확인하고 테스트도 해야되는데 그게 불가능해짐
@user-ex6cm4uf9e
@user-ex6cm4uf9e 14 күн бұрын
@@hyunhojeong4660 사업자 달고 직구사는건 상관없는걸로 아는데요 아닌가요? 개인용 직구 금지라고 딱 박혀있습니다.
@hyunhojeong4660
@hyunhojeong4660 14 күн бұрын
@@user-ex6cm4uf9e 보통 샘플은 사업자들도 개인통관으로 받았었습니다
@bellkim9450
@bellkim9450 14 күн бұрын
너 짱꽤서 수입해 파냥?
@bellkim9450
@bellkim9450 14 күн бұрын
해외 직구 하지 말고...우리 대한민국 제품 써서....우리도 국뽕!!!
@user-fz3op4zg4n
@user-fz3op4zg4n 7 күн бұрын
북한같아요.. 솔직히 진짜 취지는 이해하겠으나 정치하는 사람이 경험이나 지식이 없으니 진짜 더한 억압 통치 하는 느낌....
@Error_Error.
@Error_Error. 10 күн бұрын
핸드폰을 싸게 사? - 단통법 책을 싸게 사? - 도서정가제 물건을 싸게 사? - 직구 금지
@eriosk5385
@eriosk5385 10 күн бұрын
진짜 십몇년동안 한결같아서 ㅈ같은 정치인들
@user-jn7eb3do2n
@user-jn7eb3do2n 10 күн бұрын
아이폰 국방보안앱이 안돼?? -아이폰 군 내에서 사용금지
@Error_Error.
@Error_Error. 10 күн бұрын
@@user-jn7eb3do2n ㅋㅋ 아이폰 처음에 한국들어오려 했을때 와이파이를 막으려한게 이 나라임
@nopanty7870
@nopanty7870 14 күн бұрын
저거 때문에 중소기업을 비롯해서 연구실들 난리 났습니다. 거기서 쓰는 기계들이 대부분 해외+오래된 기계들이라 부품도 우리나라엔 없어서 대부분 직구해서 쓰는 상황인데 그냥 대한민국은 서비스 종료같은 느낌입니다.
@ITSUB
@ITSUB 14 күн бұрын
저두요.. 가끔씩 부품 교체나 라즈베리파이같은 류 직구해서 만지는게 재미있는데, 이렇게되면..........
@boldko4227
@boldko4227 14 күн бұрын
그거 대학교 연구실도 마찬가지에요 장비 하나 완제품 수입하려면 국내 유통 거쳐서 수입해서 최소 몇천에서 몇억인데 관리도 관리 수리도 보내서 수리해야 되서 시간도 엄청걸리기 때문에 일부러 부품들 직구한걸로 만들어서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거 막힘 ㅋㅋㅋ R&D 는 축소하고 ㅋㅋㅋㅋㅋㅋ 대단하다 k-국가
@Tomatoz.
@Tomatoz. 14 күн бұрын
K과학은 망했습니다
@Poloxamine-tg8dh
@Poloxamine-tg8dh 14 күн бұрын
윤석열은 이공계쪽 연구자들한테 억하심정있음? R&D부터 시작해서 이공계 전반에 극단적으로 적대적이네.
@user-kz8ci5ny6u
@user-kz8ci5ny6u 14 күн бұрын
@@Poloxamine-tg8dh 문레기의 최후의 반란임 ㅇㅇ
@user-ql2cc6no3j
@user-ql2cc6no3j 14 күн бұрын
이건 기본권 침해입니다 문제 상품들을 막아서 국민을 지켜야지 통으로 그냥 금지 민간기업 인증만 취급 국민들 돈을 강취하는거지 국가 정책이 아니라 깡패짓인데요
@kmcmegastudy
@kmcmegastudy 14 күн бұрын
택갈이들한테 10배 주고 사라노 ㅋㅋ
@hder9
@hder9 14 күн бұрын
저렴한 중국산 공세에 대해 적절한 대처임. 미국도 관세 높이는중
@issace76
@issace76 14 күн бұрын
​@@hder9 관세 높이는거랑 관세가 아닌 부가가치가 폭리인거랑 같냐?
@ssaal7643
@ssaal7643 14 күн бұрын
@@hder9 문제는 짱개만 막는게 아니라 그렇지 kc 안받으면 미국이건 eu건 다 막는데 어느 업자들이 굳이 한국에 팔려고 시간 비용 들여서 kc 받으려고 함? 그리고 견제대상인 알리테무는 kc인증 받겠다라고 한 터라 명분이었던 짱개견제도 안되는데? ㅋㅋㅋ
@kmcmegastudy
@kmcmegastudy 14 күн бұрын
@@hder9 아마존, 이베이도 중국이냐? 어휴 ㅉ
@user-os9rb4ko7f
@user-os9rb4ko7f 5 күн бұрын
댓글만 쓰지 말고 민원을 넣으세요. 무조건.
@King_Frog
@King_Frog 12 күн бұрын
여러분 '사실상 철회'기사 이게 문제가아니고 kc민영화가 문제인데 직구금지안한다고 바로 안심하고 흩어지는건 조삼모사가 아니고 뭘까요 제발 방심하지마세요
@user-ru9zf6tw8n
@user-ru9zf6tw8n 12 күн бұрын
직구 금지 철회아니라 걸리면 나만 손해입니다
@Fufuuufuu
@Fufuuufuu 12 күн бұрын
심지어 ’철회‘도 아니에요 ㅋㅋㅋㅋ6월달에 강행한답니다 여러분 속지마요
@user-yk6rt9xs7s
@user-yk6rt9xs7s 12 күн бұрын
방심하고있을 때를 조심해라
@user-sr2hp5lz7b
@user-sr2hp5lz7b 12 күн бұрын
지금 화력분산시키려고 말장난 하는것 같으니까 다들 계속해서 관심가져주세요
@dickson6976
@dickson6976 12 күн бұрын
이 모든게 관세 민영화를 위한 모략책동이다
@Dohyeonbullying2
@Dohyeonbullying2 14 күн бұрын
국내 회사인 삼성이 만든 전자제품인데요, KC인증이 안되어서 국산회사의 해외 정발버전을 못사게 되었습니ㄷ
@kimpanda_love
@kimpanda_love 14 күн бұрын
이천 특산물도 못 삼 ㅋㅋㅋ
@ITSUB
@ITSUB 14 күн бұрын
@Dohyeonbullying2
@Dohyeonbullying2 14 күн бұрын
@@ITSUB ㅘ 댓 너무 감사드립니다ㅏㅏ
@desama123
@desama123 1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ITchelin
@ITchelin 14 күн бұрын
완제품 가능해요. 케이블,충전기도 가능 멀티탭, iot 전구는 불가능
@Hyeak12345
@Hyeak12345 5 күн бұрын
혹시 휴대폰케이스 맥세이프 지갑도 규제대상인가요? 이거발표전에 구입했는데 7월에 도착한다는데….
@megikim9024
@megikim9024 11 күн бұрын
투표 안하고 놀러다닌 결과 무지 무능 리더가 나랏돈 빼먹을 욕심으로 리더가 된다.
@homelabsguide
@homelabsguide 14 күн бұрын
학생시절 미디어아트 작업할때 해외에서 부품사고 라즈베리파이 세팅해서 겨우겨우 동작시키며 프로젝트를 완수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한국엔 부품 자체가 없었어요..해외에 나오는 실험적인 부품, 제품들은 프로토타입인 경우가 많아 기성품화 되지 않았고, 수제로 직접 커스텀 작업해 파는 개발자나 제작자들도 정말 무수히 존재합니다. 이렇게 퉁쳐서 광역딜로 차단해버리면 한국에서는 새로운 뭔가를 시도하기가 상당히 어려워집니다. 안전 취지 그거 다 알겠는데 학생들이나 뭔가 창업, 산업의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 가능성까지 다 날려버리는 방향같아서 마음이 좀 아프네요..
@blanden77
@blanden77 14 күн бұрын
진짜 라즈베리파이 gpio를 비롯해 아두이노등 iot 관련하면 온갖 부품과 센서를 해외부품으로 쓸 수 밖에 없지요ㅠㅠ
@user-yx6yz9mr1s
@user-yx6yz9mr1s 14 күн бұрын
씽크패드 부품모아 관리하는 공돌이 취미 돌려줘!!!!!!!!!!!!!!!!
@jeong0162
@jeong0162 14 күн бұрын
맞아요.......레어한 취미 가진 사람들은 진짜 그냥 망했음...
@ore2269
@ore2269 14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저도 졸업과제할 때 디바이스마트에 없는 부품들 알리에서 구해서 산 기억이 있어요...
@user-by7bn9dw8z
@user-by7bn9dw8z 14 күн бұрын
😢😢
@goodjob3314
@goodjob3314 14 күн бұрын
직구 금지보다 KC 기관이 민영화가 됐다는 게 큰 문제 입니다. 국회가 입법하고 사법을 민간회사가 행사하게 되는거에요. 이거 독재국가에서나 가능한 일..
@fgutfhjtdvjyrfjitfguy
@fgutfhjtdvjyrfjitfguy 14 күн бұрын
뭔소리에요. 정부 인증기관이 어떻게 민영화되요.
@user-kv2bd7sz1k
@user-kv2bd7sz1k 14 күн бұрын
​@@fgutfhjtdvjyrfjitfguy작년에 KC인증이 민영화가 되었습니다
@atdt01443
@atdt01443 14 күн бұрын
​@@fgutfhjtdvjyrfjitfguy모르고 계셨나 보군요
@gawool2
@gawool2 14 күн бұрын
​@@fgutfhjtdvjyrfjitfguy댓글달기전에 검색 좀 해보면 안되나요??
@puppyjoy
@puppyjoy 14 күн бұрын
@@fgutfhjtdvjyrfjitfguy 그러게요 그 말도 안 되는 걸 했어요 우리가 기사 발췌입니다 국무조정실은 정부의 대책이 KC 인증기관의 민영화와 관련이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KC 인증은 현재도 민간 인증기관이 시행하고 있다"며 "최근 정부가 규제개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것은 KC 인증기관을 비영리 기관에서 영리 기관으로도 확대해 기관 간 경쟁을 촉진하는 것으로 이번 대책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sooo1105
@sooo1105 10 күн бұрын
카메라용 호환 배터리 6월초에 올껀데 압수당하고 환불 불가로 될까요???
@TomRiddle2
@TomRiddle2 9 күн бұрын
배터리면 빼박인데요... 환불은커녕 폐기비용까지 지불하여야합니다
@KD-uo7tk
@KD-uo7tk 9 күн бұрын
안전을 위해서? 언제부터 직구로 인해 안전의 피해가 갔길래? 그렇게 정부가 안전에 신경쓴다면 건축물, 자동차, 의학, 식품, 교통부터 말이 많은 곳부터 먼저 안전성을 따져야 하지 않을까?
@Bigpsy718
@Bigpsy718 14 күн бұрын
이거 헌법소원하면 위헌이라고 판결 때려줄거 같은데....이건 국민의 기본권을 너무 심하게 침해하는거 아닌가?
@user-sy4dd8pv6h
@user-sy4dd8pv6h 14 күн бұрын
그런건 판결까지 시간이 오래걸려서 천문학적인 수익을 챙기고 꺼억한 후일껄요
@ussr-s0v1et_un10n
@ussr-s0v1et_un10n 14 күн бұрын
건들거면 만만한 이대남이나 건들였어야 했는데 남녀불문 중장년층까지 다쑤신거라 헌법소원 가기 전에 취소할듯 ㅇㅇ
@bluetran1
@bluetran1 14 күн бұрын
이거 안된다는 논리면 해외에서 쓰던 전자제품도 국내에 들고 가면 안된다는건데 자유 침해가 너무 심각함
@Melon0504
@Melon0504 14 күн бұрын
코로나 때 침해 당한게 한두가지가 아닌데 뭘 새삼스럽게..
@kmcmegastudy
@kmcmegastudy 14 күн бұрын
"개인적 사용을 위한 직구 금지"
@jakihaki5652
@jakihaki5652 14 күн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도 kc인증을 받았고 폭발사고로 유명했던 노트7도 kc인증을 받았음ㅋㅋㅋ kc인증을 받았다고해도 안전하지 않았다는거임 거기다 kc인증 민영화를 먼저 진행했고 그다음이 해외직구 kc인증 의무화한거임 냄새가 구리구리하게 난다는거지 ㅋㅋㅋㅋㅋ
@mtc580522
@mtc580522 14 күн бұрын
KC 인증 받은 한국 전기차도 화재나고~ 폭팔하고 ~급발진도 했음 KC 인증받은제품이 더 위험 ~
@user-uj3km8tn4i
@user-uj3km8tn4i 11 күн бұрын
2:45 이게 진짜 핵심임ㅋㅋㅋ 중국산이라고 무작정 욕할게 아닌게 중국은 그냥 그 가격대에 맞는 제품을 만들었을 뿐임. 그걸 우리나라에 들여와서는 4~5배 비싸게 파니까 상대적으로 중국산이 돈 값 못하고 허접해 보이는거지. 걍 걔네 나라에선 그 돈주고 사서 쓸만한 물건임.
@user-un5mn1nj2z
@user-un5mn1nj2z 10 күн бұрын
민주화 혁명이 다시 일어나야 될것만같다.
@muarillu
@muarillu 13 күн бұрын
잇섭님 말 너무공감,, KC인증이 되게 꼼꼼하고 엄격해서 굉장히 믿을만해서 이런 짓을 하는거면 인정인데, 완벽하게 믿지도 못하는 퀄리티에 민간 영리 기관에서 이런걸 하는건 정부를 더 신뢰하지 못하게 할 뿐인것 같아요. 어린이제품 전용으로 엄격한 인증기관을 따로 만들었다면 정말 좋았을텐데.....
@user-qq7pt2iz4r
@user-qq7pt2iz4r 13 күн бұрын
한마디로 안전을 위해 금지한다는 건 사실이 아니란걸 확인해주는거죠
@user-gl1gp4pt1x
@user-gl1gp4pt1x 12 күн бұрын
그놈에 자유자유 이게 그들이말하는 자유입니다. 지배자로서 내가 원하는데로 국민을 제재하고 통제할 자유.
@user-bn9rj8vd4f
@user-bn9rj8vd4f 12 күн бұрын
굥정한 굥산당
@bgy3531
@bgy3531 11 күн бұрын
안전인증 업체선정은 산자부 장관이함 산자부 장관은 대통령이 임명함 시행령도 대통령이 함 그럼 범인은?
@user-er5zj5bv8c
@user-er5zj5bv8c 10 күн бұрын
나라가 무슨 마을회관이야? 이장님과 어르신들 정신차리세요 나랏일 멀리보고 하셔야지ㅋㅋ 이걸로 나라가 살아날것 같아요? 더 망하지 좀 깊게 생각하세요 깊게 직구금지에 민영화에…사람들 살기힘들어졌을때의 심적 고통과 분노에 대한 업보를 어떻게 하려고ㅋㅋ 무당 믿으면 알겠지
@llg4560
@llg4560 14 күн бұрын
21세기에 쇄국정책을 하겠다는 정부는 대체,,,
@THEMINJU
@THEMINJU 14 күн бұрын
너같은 거지는 필요없음...
@diquasoldiquasol8807
@diquasoldiquasol8807 14 күн бұрын
이번선거에서 국짐이 괜히 망한게 아니었음 다음 대선에서도 국짐은 무조건 망함
@goxo3469
@goxo3469 14 күн бұрын
퍼킹 개도국 대한민국 수준 😂😂
@KoGGiri987
@KoGGiri987 14 күн бұрын
아아 쇄국이고 뭐고 서민들한테서 돈 못뽑아먹는건 못참는다고~~
@HOGUTIVI
@HOGUTIVI 13 күн бұрын
ㅋㅋ 말 안든는다? 자국민한테 무자비 군사 학살 가능함
@HeissMann-wg1zl
@HeissMann-wg1zl 14 күн бұрын
전자제품 유통업 7년차 입니다. KC인증은 관련 업무를 조금만 진행해 본 사람이라면 얼마나 가라로 하는지 알겁니다. 인증 시험 도중 문제가 생겨도 제품의 재생산이 아닌 땜빵식으로 처리해서 넘기는 경우가 태반이죠. 제품을 새로 만들어서 재시험할 경우 당연히 비용이 다시 드니까요. 우리나라에 판매되는 전자제품 아무거나 집어서 FM으로 시험 진행해 보면 합격율 40%도 안될겁니다. 말그대로 제품 몸통에 KC라는 마크 하나 붙이는 행위밖에 안되요. 이걸 다시 생각해 보면 우리가 쓰는 거의 대부분의 전자제품이 생산되는 중국 본토에서 그 제품들을 판매하고 그걸 직구로 구매한다, 그냥 KC마크가 있고 없고의 차이 밖에 없습니다. 딱 그뿐입니다. 직구로 산거라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인증을 못 받은 제품이라 위험하다. 물론 당연히 전기가 통하는 제품은 언제든 사고위험이 있을 수 있죠. 근데 그럴 확률은 KC인증을 받은 동일 제품과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사업 경험상, 테무와 알리같은 해외플랫폼의 국내 점유율 상승과 그에 따른 피해를 걱정하는 큰손들이 국민의 안전을 걱정한다는 이유로 입김이 강하게 분게 아닌가 싶습니다. 일반적인 자영업자나 중소기업이 할 수 있는 행위는 아닌거 같네요. 그냥 쉽게 말해 남 잘되는게 꼴보기 싫은거죠.
@avaroki
@avaroki 14 күн бұрын
현기차 같은 정책
@victorchoi8102
@victorchoi8102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은 미국에 아마존 같응 업체 디지탈 식민지임... 한국도 정신 바짝차려야돼요.
@gwjun1472
@gwjun1472 14 күн бұрын
햇썹 마크랑 비슷한거네요
@sss-ss6ql
@sss-ss6ql 14 күн бұрын
그렇게 꼬우면 직접 나가서 시위하던가 해라 찌질하게 여기다 글 쳐 싸지르지 말고
@KJRDG
@KJRDG 14 күн бұрын
그렇게 꼬우면 직접 나가서 시위하던가 해라 여기다 글 쳐 싸지르지 말고
@user-er2fp6od3j
@user-er2fp6od3j 9 күн бұрын
직구 관련 2차로 내용 더 다뤄주세요
@user-qw5fb7gu8r
@user-qw5fb7gu8r 11 күн бұрын
왜 뜬금포나 했더니 kc인증이 민영화 된거구나 ㅋㅋㅋ 얼마나 비리를 해드실라구 ㅋㅋㅋ
@dugsansu5449
@dugsansu5449 14 күн бұрын
해외: 자국 기업 경쟁력을 키운다. 한국: 해외 기업 경쟁사를 막는다. 이게 무슨 북한인지 남한인지 도대체
@ps-tl4ls
@ps-tl4ls 14 күн бұрын
한민족은 역시 하나~^^😂🇰🇷
@user-tg2ei7zl1u
@user-tg2ei7zl1u 14 күн бұрын
걍 자본 사회인 북한임
@user-on5no9ze4u
@user-on5no9ze4u 14 күн бұрын
해외기업 경쟁사만 막으면 다행이게 ㅋㅋ 자국민 피 빨아 자국기업 배불리는거 도와주는 미친 나라임
@KENNYKING-yb9gb
@KENNYKING-yb9gb 14 күн бұрын
일본: 자국에 들어온 해외기업을 먹는다 ㅋㅋㅋ
@joon7302
@joon7302 14 күн бұрын
자유시장경제 개박살나는중ㅋㅋㅋ
@anonymous365d
@anonymous365d 14 күн бұрын
물가 내릴 생각은 안하고 강제로 비싼 거 사도록 규제 ㅋㅋㅋ 미쳤다 진짜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4 күн бұрын
시기의 문제지 위험도 높은 제품과 중국 저가 경제침략에 대한 규제는 해야되긴 했음.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또한 중국을 불공정으로 정의하고 이미 규제를 하고 있고, 중국앱을 그냥 놥둘 경우 소비가 중국으로 넘어가는 만큼 한국 내수에는 펑크가 나게됌. 결론적으로 지금 몇천원 싸게사는 돈을 나중에 펑크난 세수를 메꾸기위한 세금으로 내야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음. 중국은 6년전부터 경제침략을 준비했고 현시점 엄청난 보조금을 뿌리면서 진행중임 그리고 세계적으로 이런경우가 처음이라 직구규제가 느슨했던거지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 등등 어느 국가도 카드뭄과 중금속 위험제품 등을 그냥 들여보내려는 나라는 한 곳도 없음. 모든 나라가 각 나라 사업자들에게 위험물품에 대한 최소한의 인증을 요구하고있었고, 최근 중국의 덤핑 밀어내기로인해 직구의 문제점이 세계적으로 화두되기 시작했고 미국유럽을 중심으로 직구에 대한 규제도 도마위에 올라오는 추세입니다... 2024년 카드뮴7백배...하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진건데, 너무 안일하게 생각하는 사람 혹은 유투버들이 있는 것 같아 안타깝네요.
@anonymous365d
@anonymous365d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가격은 안 내리고 강제로 비싼 거 사게 하면 내수가 활성화될까? 거지들만 늘어날 거 같은데..
@user-nq9oc4iu3j
@user-nq9oc4iu3j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한국에 파는거도 대부분 중국꺼라고
@user-xv2cc7sj3x
@user-xv2cc7sj3x 14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틀린말 아닌거 알겟는데 근본적인걸 건들생각을 안한다는게 문제인거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4 күн бұрын
@@anonymous365d 생각하는 수준이ㅠㅠ..안타깝네요...중국앱의 99퍼는 중국판매자입니다 이말은 님이 중국앱에사면 그 돈은 모두 중국으로 넘어가는 거에요. 지금이야 중국이 손해보고 팔지만 앞으로 중국이 독점에 가까워지면, 우리나라 이커머스 연매출 220조가 중국으로 넘어가는겁니다. 그로인한 경제 파급효과는 상식으로 알고계시겟죠? 이것도 모르시면 하..답이없습니다
@_Jacket
@_Jacket 3 күн бұрын
1:30 G16 제피로스 리뷰 기대하고 있습니다..!
@jerrykw3839
@jerrykw3839 7 күн бұрын
지금 이 사태가 단순히 국민들을 상대로 쇄국정책 펼치는 문제가 아니고 국제적으로 무역분쟁일으킬 중대한 사태인데도 아무런 검토 없이 졸속으로 급하게 내린 행정이라는 점입니다. 갑갑하네요.
@user-bn3sn8gy9j
@user-bn3sn8gy9j 14 күн бұрын
이번 정부의 나쁜점 중 하나가 먼저 툭 저질러 본 다음, 여론 살펴보고 수정하거나 아니라고 둘러대는거였지... 이번에도 역시 같은 방식인듯 하네.... 아님 전정부 탓하겠지...
@userganada
@userganada 14 күн бұрын
문화재도 유산으로 바뀜 해외문화재 전부 유산으로 인정해줌 ㅋ 완전 이상한정부임
@rhdidl4071
@rhdidl4071 14 күн бұрын
그건 문재인 정부가 그랬고 지금 정부는 여론 같은거 안살피고 알빠노 식으로 밀어붙여서 더 심각함
@jackiekim4139
@jackiekim4139 14 күн бұрын
공산화를 막자는 건지 부추기는 건지 헷갈림. 공산화는 절대 안됨.
@KJRDG
@KJRDG 14 күн бұрын
그렇게 꼬우면 직접 나가서 시위하던가 해라 여기다 글 쳐 싸지르지 말고
@kyunaslove
@kyunaslove 14 күн бұрын
@@userganada 문화재라는 표현방식이 일본에서 유래된거라 우리나라식으로 고친거고 이번정부에서만 논의되어 바뀐 내용은 아닙니다
@user-qh6vi9yq1x
@user-qh6vi9yq1x 13 күн бұрын
이제 CE인증 받은 스마트폰 배터리도 못 갈아끼움. 맨날 글로벌 스탠다드 어쩌고 하면서 수리할 권리 원천봉쇄 해버리네. 대기업들은 신나겠다. 아무리 개같이 만들어도 소비자들은 울면서 사야되니까. 부품 들여와서 완제품 조립하는 중소들은 이제 죽어나갈 듯 이딴게 시장경제임? 이건 소비활성화도 경제순환도 아니고 서민 지갑, 중소기업 거래처 털어서 재벌한테 넘겨주는 거임 중국 시장 잠식 핑계대는데, 그 전에 우리 등골이 먼저 다 휠듯 진짜 개같다
@jinagarden4256
@jinagarden4256 13 күн бұрын
자기 마음에 안들면 욕이나 뱉는 지랄 잘보았습니다
@user-yq9qw4eb6j
@user-yq9qw4eb6j 13 күн бұрын
​@@jinagarden4256당신이 현정부이군요.
@seongg_xx12
@seongg_xx12 13 күн бұрын
​@@jinagarden4256하나같이 맞는말인데 너는 어디서 긁힌거냐
@user-fucking_you
@user-fucking_you 13 күн бұрын
@@jinagarden4256 석열이... 유튜브 하냐?
@harutoday9729
@harutoday9729 13 күн бұрын
누가 너보고 다른 폰 못사게 시키드나?
@user-bi3zl6ns5j
@user-bi3zl6ns5j 11 күн бұрын
아주 이상하게도 KC인증을 민영화로 돌린 후 정부에서는 해외 제품에 대해 KC인증 없이는 구매 못하게 시행령을 못박았다. 이걸 우연이라고 볼 수 있나? ㅋㅋㅋㅋ KC인증 같이 수수료 날로 받아 먹는데 무슨 커넥션 있길래 여론 비판이 이렇게 심한데도 KC인증만 된다고 밀어붙이는 거냐
@baykim357
@baykim357 11 күн бұрын
KC인증 없으면 수입을 금지한다는 것은 법적인 근거가 있어야 할 것 같은데 국무조정실 발표만으로 이게 가능한 걸까요?
@sukim5854
@sukim5854 11 күн бұрын
그래서 관세법 개정후에 본격 시행한다네요 환장ㅋㅋㅋㅋㅋ 이미 공문 돌렸다는 소식도 있고 준비중인가봐요
@Gwangttaeng
@Gwangttaeng 14 күн бұрын
툭 던져놓고 아님 말고.... 이짓거리 또 나온거죠머. 제조업 다 죽엇는데, 어자피 업자들도 중국에서 수입해서 팔아야하는데 오래 못갈걸요.
@USER61715
@USER61715 14 күн бұрын
만5세 초등학교 입학이슈, 킬링문항삭제이슈때도 교육청 파악안되고 대통령실만 느닷없이 뱉었다가 대차게 걷어채이고 쨔졌었음ㅋㅋ
@AdriaBeck
@AdriaBeck 14 күн бұрын
이 시점에 참으로 공교롭게도 우연히도 때마침 KC 인증을 민간 영리 기업에 열어주고 말이지요. 관련해서 언급되는 곳이 LS 일렉트릭이던데. 또 다른 곳도 생겨날 테고? 이번 정권은 진짜 해먹을 결심 하나는 대단함. 솔직히 다른 정권에선 이렇게까지 대놓고 하진 않았던거 같은데.
@user-gr4rnvrq
@user-gr4rnvrq 14 күн бұрын
바로 직전 정권이 아주 대놓고 거하게 해먹었음ㅋㅋㅋㅋㅋ 오죽하면 대한민국 최악의 비리정권으로 역사에 남아있을까ㅋㅋㅋ 물론 이번정권도 잘한건 없고
@user-jq8mf3jp5n
@user-jq8mf3jp5n 14 күн бұрын
문제는 시도는 하더라도 깊게생각도안하고 겉햝기식으로 시도하고 중요한건 생각도안하고 낸다는거지요. 지금 문제 너무 심각합니다. 이걸루 하나둘식 인권침해를 시작할거같구요..
@user-ts3kw5zw1e
@user-ts3kw5zw1e 14 күн бұрын
국짐당은 만악의 근원이자 절대 악 입니다.
@ksoso2864
@ksoso2864 14 күн бұрын
대놓고 시민단체들이 다 뜯어먹게 해서 나눠먹죠. 태양광등도 있군. 그런것들에 비하면 규모는 적은듯..
@user-ts3kw5zw1e
@user-ts3kw5zw1e 14 күн бұрын
@@ksoso2864 윤석열과 국짐당도 마찬가지다.
@user-tp2rv5vm1x
@user-tp2rv5vm1x 5 күн бұрын
면세한도는 진짜 기가 차네요 높여야 할걸 낮춘다니.. 물가가 오르면 한도도 올리는게 상식이거늘 무슨 생각으로 일을 하는건지ㅡㅡ
@Jk-ki8nc
@Jk-ki8nc 9 күн бұрын
kc인증받아서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으면 정부에서 보상해주나요? 옥시 사태보면 답나오죠? 이법안은 국내유통사들 로비로 보입니다. 소비자들 권리를 무슨 공산국가도 아니고 이렇게까지하는지 하는지..
@kimrealtrust545
@kimrealtrust545 14 күн бұрын
공인인증서 발급 기관이 금감원 낙하산 착륙장이였던 것 처럼 KC 인증 업체는 산자부 낙하산 착륙장 입니다. 산자부 높은 어르신 월급루팡들 월급 메꿔주려면 인증 업체들도 뭔가 새로운 돈줄이 필요하고, 산자부 퇴직자들도 산자부 후배들한테 자기 소속회사 새로운 먹거리 만들라고 압력줬을거고, 산자부 후배들도 자기 퇴직하고 갈곳 만들려면 인증업체 밥줄은 만들어줘야죠, 뭐 하루이틀 당한것도 아니고, 새롭지도 않네요. 이게 산자부 카르텔입니다.
@user-ro1mr8lu1x
@user-ro1mr8lu1x 14 күн бұрын
작년에 사교육 카르텔이라 하는거보고 ㅈㄴ벙쪘는데 진짜 카르텔은 언급도 안하고 밀어주넼ㅋㅋㅋㅋㅋ
@user-kg1mi4eh9t
@user-kg1mi4eh9t 14 күн бұрын
@@user-ro1mr8lu1x사교육 문항제작팀에서 일한적 있는데 25살 대학생인데 어둠의 카르텔이라고 친구들이 놀리더라 ㅅㅂ 이게 말이 되냐 윤석열 개새끼야
@user-yf4dj1vd1s
@user-yf4dj1vd1s 14 күн бұрын
월급 100 200받는 대학원생들도 카르텔이라던데 ㅋㅋㅋㅋ
@ucjaesam
@ucjaesam 13 күн бұрын
돈 욕심 없다는 사람 = 돈에 미친 사람. 카르텔 단죄하겠다는 사람 = 카르텔 그 자체
@user-cc2op9oq6d
@user-cc2op9oq6d 13 күн бұрын
어쨌거나 저쨌거나 변호사 시장은 호황이겠습니다 부작용 생기면 서로 민.형사 고소고발하고 검판사출신들 변호인 대리인으로 선임할테니까요 힘 있는 자들만 내 편으로 만들면 무사하니깐요
@seocho_
@seocho_ 14 күн бұрын
핸드폰 싸게사네? > 단통법 > 공짜폰 100만원주고 사야됨 책 싸게사네? > 도서정가제 > 책값 5배 주고 사야됨 모든걸 싸게사네? > 직구법 > 인증받은제품 10배 주고 사야됨 대다나다!
@solly4023
@solly4023 14 күн бұрын
국민들 편하게 사는 꼴을 못보는 후진국 정부 ㅋㅋㅋㅋㅋ
@user-ph9lm5lb2h
@user-ph9lm5lb2h 14 күн бұрын
껍데기만 민주주의지 들여다보면 국가사회주의 그 자체임. 사실 이 나라 기득권 쥔 86세대들은 독재를 하고싶은게 속마음인데, 폭동날까봐 투표 이벤트 한번씩 열어서 국민들이 자유의지로 선택했다는 착각을 심어주는것일뿐이지 본질적으로는 민주주의 껍데기를 쓴 국가사회주의 독재국가임.
@wolf-cv3ki
@wolf-cv3ki 14 күн бұрын
맞는 말
@mansook8128
@mansook8128 14 күн бұрын
도서 정가제 = 이명박 정부 단통법 = 박근혜 정부 직구법 = 윤석열 정부 자유시장경제??
@user-fp2du3sn3z
@user-fp2du3sn3z 14 күн бұрын
대 석 열 😮
@Fufuuufuu
@Fufuuufuu 8 күн бұрын
현재 공문까지 6월 시행 예정으로 통보가 완료 된 상태고 검열을 위한 수입통관 플랫폼을 구축 중, 해외직구 금지 하나 때문에 디지털세(구글세) 적용과 FTA(자유무역협정) 개정,부담금 도입을 검토 할 예정,고위당정 정책협의회 (내용은 비공개) 개최,민간 검사전문기관(?) 3곳과 해외직구 안전성 검사 공조ㅋㅋㅋㅋ(결국 원점으로 돌아감) 발등에 불 떨어졌어요 우리 😢
@user-lh7di9mh6m
@user-lh7di9mh6m 11 күн бұрын
석열아 고맙다 내가 얼마나 무지했는지 알게되었다
@user-bm2nu8yz4n
@user-bm2nu8yz4n 7 күн бұрын
뽑혔을때도 시대에 흐름 못따라가지 않나 이런 생각하는 사람들 천지였는데 적중했네ㅋㅋㅋㅋㅋㅋ
@watchcustomer2459
@watchcustomer2459 14 күн бұрын
내가 직구한거 쓰고 뒤지던 말던 내 알아서 할게 니들 원래 국민 안전 신경 안썼잖아 새삼스럽게 왜이래 ㅋㅋㅋㅋ
@user-lg5bu4ep7v
@user-lg5bu4ep7v 14 күн бұрын
Kc인증받아도 사고나면 느그책임이라네요~ ㅋㅋㅋㅋㅋ
@user-ye6hr5qz8e
@user-ye6hr5qz8e 14 күн бұрын
동감!
@bohemianwandering
@bohemianwandering 14 күн бұрын
KC 인증 받았던 가습기 살균제는 참으로 안전했나봐요ㅋㅋ
@KJRDG
@KJRDG 14 күн бұрын
그렇게 꼬우면 직접 나가서 시위하던가 해라 여기다 글 쳐 싸지르지 말고
@user-lg5bu4ep7v
@user-lg5bu4ep7v 14 күн бұрын
@@KJRDG 두창이 욕하니까 불편해? 그럼 니가 꺼져 ㅋㅋㅋㅋㅋㅋㅋ 지금총선했으면 20석이야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小路飞姐姐居然让路飞小路飞都消失了#海贼王  #路飞
00:47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94 МЛН
g-squad assembles (skibidi toilet 74)
00:46
DaFuq!?Boom!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티모로 챌린저찍기 5일차 (238/540)
Untara
Рет қаралды 895
МОЖНО ЛИ заряжать AirPods в чехле 🧐😱🧐 #airpods #applewatch #dyson
0:22
Apple_calls РЕПЛИКА №1 В РФ
Рет қаралды 20 М.
С Какой Высоты Разобьётся NOKIA3310 ?!😳
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