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다방34 ☆태평양전쟁 ep.33 '폭격기 마피아'를 계승한 석기시대 마니아 [커티스 르메이]의 등장!

  Рет қаралды 358,348

KFN

KFN

2 жыл бұрын

#인구밀집지역 을 #타깃 으로 한 #영국 과 달리
#미국 은 #산업시설 #정밀폭격 을 주장하는데...
이는 적 산업시설 급소만 폭격해 경제 시스템을 무너뜨린다는
#폭격기마피아 의 산업그물이론을 바탕으로 한 것
이를 뒷받침할 정밀 타격 수단은 바로 #노든조준기
안정된 조준을 도와 명중률을 2.5배나 상승시키는
노든조준기의 원리와 개발비화를 #밀리터리사이언스스쿨 에서 확인해본다!
그리고 미국 #전략폭격사 에서 빠질 수 없는 인물이 있었으니
바로 #커티스_르메이
독일의 강력한 대공망을 막기 위해 전투상자 대형을 고안하고
직접 1번 폭격기에 탑승해 직접 정밀폭격 지휘한
그의 유럽전선 활약상을 알아본다
#국방TV #역전다방 #전략폭격 #커티스르메이 #폭격기마피아 #노든조준기 #밀리터리사이언스스쿨

Пікірлер: 380
@kfnmaniagoon
@kfnmaniagoon 2 жыл бұрын
녹화 중에는 비행기를 측면에서 본 그림 기준으로 설명하다보니 피치와 롤의 방향 설명에 혼선이 생긴 것 같습니다. 측면 기준으로 볼 때는 해당 설명(19:38)이 맞으나 일반적인 기체의 진행방향 기준으로는 좌우 흔들림이 롤(Roll), 앞뒤 흔들림이 피치(Pitch)가 맞습니다. 앞으로는 이런 혼선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서 제작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RKGI4S
@ARKGI4S 2 жыл бұрын
어라 했는데 역시나 빠른수정 조아요
@user-hv6jz5sq8u
@user-hv6jz5sq8u 2 жыл бұрын
3
@2tender407
@2tender407 2 жыл бұрын
😂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Жыл бұрын
딴 사람도 아니고 채박사님이 실수를 하셨네. 차량도 똑같죠. 꼬리가 머리 앞으로 가려고 옆으로 도는 건 요(yaw)라고 하죠.
@user-og1ij3wl1p
@user-og1ij3wl1p Жыл бұрын
글게요... 반댄데 했네요.
@goodsped76a
@goodsped76a 2 жыл бұрын
채박사님의 이 프로그램에 대한 열정은 정말 인정하지 않을수 없네요! 응원합니다! 부디 번아웃 되지 않도록 컨디션 유지도 부탁드립니다 ㅜㅜ
@brother_nine6613
@brother_nine6613 2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재밌습니다. . 토전사처럼 갑자기 종영만 안해주었으면 좋겟습니다. 10년넘게 방송부탁드려요. 특히 채승병박사님 열정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hybbikkim4580
@hybbikkim4580 2 жыл бұрын
채박사님 과학이야기만 나와도 이러신데 나중에라도 독소전 시작하면 정말...독소전은 한 1년쯤으로 보고갑시다.
@Night_is_still_young
@Night_is_still_young 2 жыл бұрын
뒤돌아 보니 벌써 이 프로그램도 많이 달려왔네요 확실히 처음보다 5명의 분위가 굉장히 밝고 무거운 주제도 알기 쉽게 이해하기 쉽게 적당한 선에서 웃음주며 노력하고자 했던 결실들이 나타난다는게 특히 오늘 회차에서 갑자기 와닿으면서 느껴졌네요 꼭 장수했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정말 많은 준비를 통해 역사과 과학과 시대적인 배경 등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c5hf9ys5e
@user-wc5hf9ys5e 2 жыл бұрын
전쟁과 그 비하인드 스토리에 과학까지 다루는 정말 최고의 프로그램입니다. 이 멤버 그대로 한 20년쯤 했으면 좋겠습니다.
@Liarhouse
@Liarhouse 2 жыл бұрын
진짜 채박사님 최고네요 ㅋㅋ 이 멤버 다 찾아낸 제작진 최고
@user-ok4nx7ip9l
@user-ok4nx7ip9l 2 жыл бұрын
제작진 섭외 최고 감사합니다
@jinhookim1938
@jinhookim1938 2 жыл бұрын
4분도 어마어마하지만, 이 가운데서 균형을 잡고 환기시키며 매끄럽게 진행하하는 허MC 또한 엄청난 내공이 느껴짐. 토전사가 괴물을 만들었어.... ㅎㅎ
@bennyspapa9510
@bennyspapa9510 2 жыл бұрын
관련 분야 연구원으로써 20:40 에 나오는 질문의 정확한 대답을 드리면 폭탄과 어뢰엔 제일 큰 2개의 차이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학문적용어로 controllabilty 문제라고 할수 있는데 특정방향으로의 제어 가능 능력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어뢰는 180도 이상으로 회전할수 있는 제어 능력을 가진거고 폭탄은 아무리 자동제어 가능한 날개를 가진다고 하더라도 자세를 5도이상 틀기가 힘듭니다. 그 결정적차이는 자체 추진력에서 오는건데요. 그 예로 3차원 기동을 하더라도 미사일의 경우에는 자체 추진력의 힘으로 어뢰이상의 자세제어가 가능하기때문에 정밀유도가 되는겁니다. 반면에 폭탄은 그게 안되서 그냥 세팅한 방향으로 떨어질수밖에 없습니다. 대신 요즘은 추진력은 없지만 대신에 날개크기를 어마무시하게 키워서 조종력을 확보한 gps유도폭탄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두번째 이유로 observability가 없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자이로스코프는 회전관성을 측정하거나 특정방향을 가리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센서로 여기서 주목해야할건 방향 또는 자세에 대한 측정능력 밖에 없다는 겁니다. 공기중에서의 바람에 의한 외란은 많은 경우 횡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이드 슬립 형태로 횡방향 오차를 만들고 그러한 횡방향이동은 자이로스코프로 관측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정밀한 가속도계가 있어야 하는데 가속도계로 위치 변위를 재는 것은 극히 어려운 일입니다. 사실 이건 어뢰도 마찬가지라 어뢰도 해류에 의한 사에드 슬립엔 면역력이 전혀 없습니다. 그래서 횡방향으로는 꽤 큰 오차가 날 수 있고 그걸 극복하기 위해 여러발의 어뢰를 부채꼴 모양으로 오조준해서 뿌려버리는 겁니다 물론 여기까지는 소나가 없던 시절 이야기입니다
@user-tg1zs4rw5c
@user-tg1zs4rw5c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paperatelier3832
@paperatelier3832 2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분명히 세팅을 똑같이 했는데 쏠때마다 어뢰가 살짝 다르게 나가는거군요 어쩐지 안맞더라...
@jlkim770
@jlkim770 2 жыл бұрын
@@paperatelier3832 와 쏴보신거에요???
@BlueSky-kw2py
@BlueSky-kw2py 2 жыл бұрын
채승병 박사님과 심호섭 교수님 때문에 열심히 시청하고 있습니다. 특히, 채 박사님께서 앞으로도 더 많이 활동해 주셔서 함량미달 밀떡들에게 경종을 울려주시면 좋겠습니다.
@white_zone
@white_zone 2 жыл бұрын
와 저시대에 자동조정장치가 있는 것도 신기한데(기계식으로!) 그걸 조준기(기계식!) 내의 계산기(기계식!)와 연동해서 자동으로 폭탄을 투하하는 시스템이라니! 그것도 기계식으로!
@hooniyaaa
@hooniyaaa 2 жыл бұрын
일본의 도시란 이런 모양이다. 공장이 있다. 그 옆에 민간인들이 살고 있고, 그 사람들은 자기네 집에서 조그만 부품들을 만든다. 그걸 가내수공업이라고 할 수 있겠지. 스즈키네는 64호 볼트를 만들고, 옆집 하루노보네는 64호, 65호나 63호 너트나 다른 잡동사니를 만드는 식이다. 그러면 키타가와 씨가 그걸 정리해다가 공장으로 가져가는 거다. 일본인들은 증오할지 모르겠지만 한국인으로서는 사랑한다 커티스 르메이!
@jeunsinchiwoo
@jeunsinchiwoo 2 жыл бұрын
토전사가 비극적으로 끝나고 오랜만에 만난 정말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제가 밀덕도 아니었지만 역사를 배운다는 생각으로 토전사를 처음 접했지만 역전다방은 밀덕으로 만들어준 정말 전문적인 프로그램입니다. 제발 토전사같이 중단되지않고 오래오래 방송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user-hn7gk3yu1m
@user-hn7gk3yu1m Жыл бұрын
토전사를 3회독한 입장에서 보면 확인안된 내용도 많고 그저 외모에만 신경쓰는 무식한 멤버도 있었고. 역전다방과 비교자체 불가 하네요.
@leejjong88
@leejjong88 2 жыл бұрын
밀.사.쿨 만 따로 편집해서 올려주세요 ㅎㅎ. 채박사님 열정에 박수를 짝! 짝!짝!짝! 짝!........
@british_772
@british_772 2 жыл бұрын
각기 다른 접근과 해석, 흥미롭지만 가볍지 않고, 무거운 주제를 지루하지 않게 풀어내는 역전다방 항상 응원합니다^^
@kevinkim1448
@kevinkim1448 2 жыл бұрын
채승병 박사님 참....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공인 공인 최초 밀리물리학채널! 존경합니다.... ~^^@ 살다 살다 내가 국방TV에서 싫어하던 물리학에 관심이 갈 줄이야 ... ㅠ.ㅠ
@user-om3qp4sp2h
@user-om3qp4sp2h 2 жыл бұрын
시청중 갑자기 비공개로 바뀌어 깜놀...ㅎㅎㅎ 드디어 도쿄 대공습이 다가오네요.
@NaMuNelBo_Sloth
@NaMuNelBo_Sloth 2 жыл бұрын
15:30허준 그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산 증거다!!!
@vinniekim6899
@vinniekim6899 2 жыл бұрын
아놔 이사람들 진짜 미치겠네 ㅎㅎ 정말 감탄스럽고 너무나 즐겁다. 고맙습니다. ㅎㅎ
@Charlie-cm5up
@Charlie-cm5up 2 жыл бұрын
채박사님 유툽 채널 하나 하세요~ 저분 정말 아시는 것도 많고 재밌게 얘기하시네.
@dubu999
@dubu999 2 жыл бұрын
원래 밀리터리 블로거로 정말 유명하신분이었죠. 밀덕들에겐 유명하신 분이었고 쓰신 책들도 봤었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감회가 새롭긴하네요
@realty4545
@realty4545 2 жыл бұрын
오늘 최고의 명언 뭘 알아야 도와주지 ㅋㅋ
@user-xu9uy8ci6f
@user-xu9uy8ci6f 2 жыл бұрын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입니다. 장기간 방송해 주시길 바랍니다.
@kickkkkker
@kickkkkker 2 жыл бұрын
여기 계신 모든 분들과 함께 영원히 역전다방 방송이 계속 되길 정말 두 손 모아 기도합니다!!!!!!!!!!!!!!!!!!!!! 모두 좋아요 구독 알람설정에 지인들에게 소개도!!!!!!!!!!!!!!!!!!!!!!!!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Жыл бұрын
전 여친이 바람 나서 현 여친이 바람 나지 않게 기도하는 것 같군요. ㅋㅋㅋ
@user-ok4nx7ip9l
@user-ok4nx7ip9l 2 жыл бұрын
긴 호흡으로 짚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이렇게 전문적이면서 깊이있는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채널이 드문데 이렇게 좋은 방송을 볼 수 있어서 정말 감사합니다. 4아이즈 정말 박학다식하시고 존경스럽습니다. 1마우스 유쾌상쾌 너무 좋습니다. 오래오래 함께하면 좋겠습니다~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Жыл бұрын
3아이즈. 1 아이 하나는 빼야 함. 누구나 짐작하겠지만.
@stevepark4783
@stevepark4783 2 жыл бұрын
사랑해요 공대형.
@user-hd2cz5df7s
@user-hd2cz5df7s 2 жыл бұрын
늘 흥미진진합니다
@julee0353
@julee0353 2 жыл бұрын
몸살기운이 있어서 조퇴후 약먹고 잠들어 버린통에 유튜브 최초공개 놓쳤는데, 다시보기로 봐도 재밌네요. 드디어 석기시대 매니아가 나오긴 했는데 뜨거운 도쿄는 한 2주 후에 나오겠군요.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2 жыл бұрын
채박사님 설명하실 때마다 행복한 표정 ㅋㅋㅋㅋ 찐덕후 ㅋㅋㅋ
@philippe9512
@philippe9512 2 жыл бұрын
진짜 항상 느끼지만 역사와 과학, 어떻게 보면 연관성이 없는 두 분야들을 이렇게 잘 설명하는 프로그램이 있나 싶다. 최고다
@fierwalt
@fierwalt 2 жыл бұрын
진짜 전쟁과 과학은 친구군요.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ericchoi3887
@ericchoi3887 2 жыл бұрын
채박사님 화이팅~~ 밀.사.쿨 화이팅 !!
@jacobechoi1260
@jacobechoi1260 2 жыл бұрын
처음에는 이게 무슨 포맷일까 궁금해서 보기 시작했는데 고퀄리티에 빠져들어 지금은 매주 기다리는 프로그램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user-vx5sc4kv5r
@user-vx5sc4kv5r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조교 6년했다는거 눈물.....대학원생을 살ㄹ.....
@mmanhb552
@mmanhb552 2 жыл бұрын
커티스 르메이 노든조준기 등 이렇게 공을 들여 보여주니 넘 좋다 4아이즈 1마우스 열일한다 이러니 도쿄핫은 얼마나 알차게 보여줄지 기대됩니다 역전다방 파이팅!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Жыл бұрын
3 아이즈 1마우스. 1 이어.
@cultivator7
@cultivator7 2 жыл бұрын
진짜 듣고 있는데 행복합니다.ㅜㅜ
@user-ln5vj8oj4n
@user-ln5vj8oj4n 2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나와야 할 것이 나와버렸다. 기다렸습니다. 르메이장군님 ㅋㅋ
@user-wl9hi2rs6f
@user-wl9hi2rs6f 2 жыл бұрын
석기시대좌
@karukeionj6205
@karukeionj6205 2 жыл бұрын
샤를세환님이 허준님 바라보는시선이 우리애 다컷네같은 느낌같다 ㅋㅋㅋ
@armirad
@armirad 2 жыл бұрын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버스탈때 보다 버스 놓칠뻔
@HooN_Pride
@HooN_Pride 2 жыл бұрын
저 물리학 박사님이 프로그램 핵심이구만
@user-uz5nt8il2w
@user-uz5nt8il2w Жыл бұрын
샤를공은 모르는 분야가 없으시네... 와 ㅎㅎㅎㅎ
@chriskim1646
@chriskim1646 2 жыл бұрын
정말 제대로 도움이 되는,, 근본적인 팩트에 관한 토론과 내용에 감사를 드립니다.
@user-mk6fv4jd4v
@user-mk6fv4jd4v 2 жыл бұрын
복습 하다가 사라졌는데 드뎌 ㄷㄷ 😂😂😂 노든 조준기 폭격기 마피아 커티스 르메이 이야기 시간 순삭이다
@user-qo9my7ov5o
@user-qo9my7ov5o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명언 : 내가 조교를 6년동안 했는데 ㅎㅎㅎㅎㅎㅎㅎ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Жыл бұрын
전문가라고 나와서 겨우 저런 멘트나 하고 얘기를 듣고 앉아 있네요.
@user-qo9my7ov5o
@user-qo9my7ov5o Жыл бұрын
@@user-xn4mj1wl5r 저 분 국제정치 전문가셔서 다른 편에서 많이 활약하십니다.
@jhoho9666
@jhoho9666 2 жыл бұрын
채박사님 진짜 짱이네요
@user-xu2gs7yu5u
@user-xu2gs7yu5u 2 жыл бұрын
오늘은 채박사님. 짱!
@Razdean
@Razdean 2 жыл бұрын
넘 재밌다 ㅋㅋㅋㅋ 밀사쿨 넘 잼있음.
@user-tv4ey9qq8r
@user-tv4ey9qq8r 2 жыл бұрын
채박사님 밀사쿨 너무재밌어요!!
@bando8907
@bando8907 2 жыл бұрын
정말.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dennyhong6198
@dennyhong6198 2 жыл бұрын
지금 러시아가 채박사님이 말하신 그대로네요... 전세계에서 경제적인 압박을 하니 군수공장이 정지되는.....
@user-zq3xg4jl9r
@user-zq3xg4jl9r 2 жыл бұрын
진짜 재미있네요.
@sputnik-pq6lh
@sputnik-pq6lh 2 жыл бұрын
채박사님 완전 멋지십니다!!
@LEEKANGCHAN
@LEEKANGCHAN 2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밀리터리 사이언스 너무 흥미롭고 유익한 정보들이 많습니다 ~^^ 전쟁과 과학이 함께 발전한다는 말이 이해가 됩니다
@gasfard_uliell
@gasfard_uliell 2 жыл бұрын
밀사쿨ㅋㅋ 기대기대
@user-kl1rm9yj6e
@user-kl1rm9yj6e 2 жыл бұрын
아 너무재밌고 이해하기 쉬어서 눈을떼지못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el9ll3fg6i
@user-el9ll3fg6i 2 жыл бұрын
구독 눌렀습니다. 재밌어서 안 누를 수가 없었어요.
@user-qr4pi6sj6l
@user-qr4pi6sj6l 8 ай бұрын
뭘 알아야 도와주지...ㅎㅎㅎㅎ. 감사합니다
@joonhowoo311
@joonhowoo311 2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너무 재미있어 ㅠ
@Yun-JC
@Yun-JC 2 жыл бұрын
나는 분명히 역사 공부하러 들어왔는데 정신 차려보니 과학을 마스터하고 있네...
@sagon2323
@sagon2323 2 жыл бұрын
정말 흥미진진하네요
@user-kc2sb6hm2d
@user-kc2sb6hm2d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갈수록 진지하고 재밌어지네요 다섯분 다 최고입니다!
@user-hs8jr2or1q
@user-hs8jr2or1q 2 жыл бұрын
채박사님 번외로 밀리터리 사이언스 컨텐츠 만들어야할 듯!!!!
@user-bo9ms6oj1x
@user-bo9ms6oj1x 2 жыл бұрын
노든조준기의 심자선에 비밀도 이야기해주셨으면 더 흥미로운 시간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한 여인의 삶과도 관련 지어지는 흥미로운 부분이 그냥 지나쳐진 듯 해 조금은 아쉽지만 언제나 감사하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50glue28
@50glue28 2 жыл бұрын
진짜 디테일이 ㅎㄷㄷ 하네요. 심지어 전조등의 방식같은것이나 원리도 알고계신다니 진짜 보다가 헛웃음나옴.
@jlkim770
@jlkim770 2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밋게 보고있고 정말 재밋어질만하면 끊는게 참 아쉬우면서도 다음화 보고싶은 마음이 많이 생기네요 ㅎㅎㅎ
@KANGTAIJI
@KANGTAIJI 2 жыл бұрын
1화부터 재밌어서 하나씩 보기 시작하다가 여기까지 2주만에 도착;; 기다림이 시작되었군요 ㅋㅋ 깊이있으면서도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user-mt8io9eo1s
@user-mt8io9eo1s 2 жыл бұрын
슬슬 멤버들 간의 캐미가 올라오는 느낌이 드네요. 이 느낌 그대로 갑시다.
@JumeoniArt
@JumeoniArt 2 жыл бұрын
헉 이런 코너가 있었네요 옛날 토크멘터리 정주행하느라 요즘 것을 놓쳤네••; 샤를 허준 두 분 찾아 왔어요 자주뵈요 👍🏻
@Beentomoon
@Beentomoon 2 жыл бұрын
오이오이 오래기다렸다구우 ~ 너무재밋자나 어?
@kangsj1977
@kangsj1977 2 жыл бұрын
드뎌! 넘나 감사합니다!!
@user-br2hf3hw6s
@user-br2hf3hw6s 2 жыл бұрын
넓고 적당한 지식 오늘도 감사합니다
@user-dz7ut8ud6j
@user-dz7ut8ud6j 2 жыл бұрын
멤피스벨보면 폭격하기전에 오토파일럿했다고. 폭격수한테 니 몫이라고 했는데 그게 고증이 잘된거네요. 항상 궁금했는데 영화본지 30년만에 해결되네요!
@sadislandtired9965
@sadislandtired9965 2 жыл бұрын
저도 오토파일럿 얘기듣고 멤피스벨 바로 생각나더라구요 브리핑때폭격할 독일도시 말하자 좌절하던 항법사도 생각나고
@csj481
@csj481 2 жыл бұрын
의외로 자이로스코프가 만능이네요 ㅎㅎㅎ
@acel8699
@acel8699 2 жыл бұрын
수욜의 기다림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노력하시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
@user-be4ws2ru1s
@user-be4ws2ru1s 2 жыл бұрын
수요일이 기다려 집니다. 역전다방 너무 재미있어요...
@user-rr6oz9qi1m
@user-rr6oz9qi1m 2 жыл бұрын
이야 재밌다!!!! 정말 재밋게 봤습니다
@userk5024
@userk5024 2 жыл бұрын
이번 편은 채박사님이 캐리하셨네요 대단해요
@scz8333
@scz8333 2 жыл бұрын
독일에 대한 전략폭격은 어떤 영향을 끼쳤나? 1. 독일의 전쟁 수행 의지 : 영국이 당한 폭격과 달리 전쟁 수행 의지 제거, 2차대전 후 순한 양으로 변해버린 가장 큰 이유. 2. 독일의 전쟁 수행 효율 및 전시물자 생산 : 정밀성 부족으로 직접적 타격 효과는 적었을지 몰라도, 인프라 파괴로 생산한들 사용 불능. 독소전이 아무리 규모가 컸고 독소전에서 입은 독일군의 인명 피해가 막대했다고 해도, 2차대전 종전 시점 까지 독일 국민 대다수는 소련군 얼굴도 보지 못함. 소련군은 동독 지역에만 진주했기에. 하지만 독일 국민 대다수는 전쟁 중 전략폭격에 노출된 트라우마. 폭격당해도 전쟁 수행 의지와 사기는 아무런 영향 없었고 오히려 더 높아졌다??? 절대적으로 그런 것 아닌 폭격 규모-강도-기간의 함수일 것. 영국이 당한 폭격 정도에선 단합시키고 사기 오를 수 있었지만, 전쟁에 대한 환멸이 올 정도의 규모-강도-기간으로 폭격당하면 전쟁 수행 의지와 능력은 소멸당할 것. 독일은 그런 경험을 했다고 보아야. 2차대전 후 폭격의 정밀도를 기반으로 실제 얼마나 타격당했는지 측면에서 전략폭격에 많은 의문이 제기됨. 하지만 입장을 바꿔보면 바로 확인할 수 있음. 전략 폭격을 당하는 측은 분명 2차대전에서 승리를 꿈 조차 꿀 수 없었음. 이렇게 가정해본다면 확연히 알게 될 것. a. 만일 미영이 중립을 지킨 상태의 독소전에서, 독일이 미영의 전략폭격 능력을 갖추고 소련을 전략폭격했다면? -----------------> 실제 역사와 달리 랜드리스 제공이 끊기고, 전략폭격으로 우랄 동부 상당 부분 까지 전략폭격 당한 소련이라면 항복당했을 것. -----------------> 소련이 아무리 잘 버텨도 우랄 서부 및 카스피해 유전 지대 등 핵심지 모두 잃고 시베리아의 머나 먼 곳으로 축소된체 휴전 정도. b. 독일과 소련의 입장이 완전 거꾸로 되어, 독일이 미영의 랜드리스 지원 받고 소련이 미영의 전략폭격 당했다면? -----------------> 독소전 아마 초광속으로 종결되었을 것. c. 2차대전 독일의 전격전 초기, 영국이 대전말 독일이 당하듯 전략폭격 당했다면? --------------------------------------------> 처칠의 전쟁 의지가 아무리 확고했더라도 영국은 항복할 수 밖에 없었을 것. d. 노르망디 상륙 무렵 영국 본토나 상륙지가 독일에게 대규모 전략폭격당했다면? -------------------> 상륙 전에 전략폭격 당했다면 노르망디 상륙 엄두도 못냈을테고, 상륙 후에 폭격당했다면 교두보 확보 못하고 실패했을 것. 실제 2차대전 독일의 전쟁 수행과 위에 언급한 a-b-c-d 상황을 비교해본다면, 독일이 대단했음을 부인할 수 없음. 1차대전 패전과 2차대전 패전의 차이는 극명. 1차대전에선 독일 본토 피해 사실상 전무한 가운데, 동부전선에선 압승했고 서부전선에서 돌이킬 수 없는 패배 없었음. 하지만 2차대전에선 최전방의 군인만이 아니라 독일 국민들 역시 매일 매일의 전략폭격에 노출되며 전국토가 토초화되는 피해 당함. 무모한 전쟁에 대한 환멸 피할 수 없었고 --------------------------------------> 그 때문에 전후 온순하고, 민주적인 현재의 독일로 변화. 2차대전에서 만일 전략폭격 당하지 않으면서, 인구-자원-물량에 밀려서 본토 점령당해 항복했더라도 본토의 초토화를 피했다면, 아마도 1차대전 이후와 같은 잔존하는 승리에 대한 열망 ------------------------------> 이렇게 완벽히 제거되지 못했을 것. 따라서 비인도적 성격 내포했던 전략폭격이 독일을 이렇게 변화시켰다는 측면은 인정해야. 그리고 당시의 전략폭격이 비인도적 성격 가진 이유는, 현재와 같은 정밀 유도 기술이 없었기에 어쩔 수 없었던 면도. 더군다나 44년 6월 노르망디 상륙 이전, 미영이 독일을 직접 공격할 수 있는 유일한 현실적 수단이라는 점에서, 폭격의 기술적 한계가 초래하는 비인도주의 이유로 전략폭격을 포기하기란 세계대전 상황에서 불가능. 만일 당시 현재의 정밀 유도 기술이 있었다면, 미영은 분명 정교한 정밀 타격 사용했을 것. 영국은 톨보이-그랜드슬램, 도시나 민간인 목표로는 사용하지 않았음. 또한 독일이 자행한 민간인 학살과 전략폭격으로 일어난 민간인 학살은 성격 차이 있음도 인정해야. 특정 민족이나 대상을 제거 대상으로 설정해 벌어진 것과 폭격 정밀도 문제로 벌어진 것은 차이 명백함. 하지만 그렇더라도 대놓고 노골적으로 적대감을 표한, 예를 들면 (무고한 민간인은 없다!) 이런 경우는 본질적으로 전범임도 분명. 그런 몰상식한 전략폭격의 일부 지휘관들은 만일 그들이 패전했다면 반드시 전범 처리되었을 것. 특별히 전범 활동했다고 볼 행위 찾기 어려운, 유보트 함대 총사령관 되니츠 조차 너무 잘 싸워 영미 피해 엄청났다는 이유로도 전범 처리되었기에. 이 있었다면, 미영은 분명 정교한 정밀 타격 사용했을 것.
@scz8333
@scz8333 2 жыл бұрын
노든 조준기, 실전 투입 전 미국 왈 --------------> 우린 6천m 고도에서 피클통 맞춘다. 그에 대해서, 이미 실전 경험한 영국 왈 ----------------------------> 그러려면 우선 피클통 이나 스레기통이 보여야 할 것. 장거리 호위 전투기 무스탕 투입 전, 주간 정밀 폭격하던 미 8공군의 대표 작전들 손실율 심할 때 약 25%. 작전 몇 번 하면 전멸 수준. 1. 43년 4월 브레멘, 포케볼프 fw-190 공장 주간 폭격 -----------------> 16대 격추 + 48대 손상 / 투입 총 115대 2. 43년 8월17일 르메이+윌리엄스 부대의 레벤스부르크+슈바인푸르프 폭격 작전에서 미 8공군이 당한 피해. 슈바인푸르프+레벤스부르크 폭격에서 당한 미8공군의 피해 격추 약 60기, 손상 122기 (손상 심해 폐기 27기), 호위 전투기 격추 5기 미 8공군이 총 투입한 b-17은356대 -----------------> 격추+손상 비율 대충 구하면 ( 60+122) / 350 = 약 52% --------------------------------------------------> 격추+폐기 즉 폭격기 상실 손실율 어림셈하면 (60 +25 ) / 350 = 약 24% 2-1. 43년 8월17일 르메이 부대, 레벤스부르크 메서슈미트 공장 폭격 (양동작전) ------------------> 23기 격추 / 투입 총 146대 2-2. 43년 8월17일 윌리엄스 부대, 슈바인푸르프 볼베어링 공장 폭격 (주 공격)------------------> 격추 36기 / 투입 총 210기 2-3. 저 때 독일 공군의 피해 -----------------------> 독일 전투기 25대 격추됨. 탈출한 승무원 상당 수는 다시 부대 복귀. 3. 43년 10월14일, 슈바인푸르프 볼베어링 공장 2차 폭격 투입된 b-17 총 291대, 격추 + 폐기 총 77대, 손상 122기 -----------------------> 독일 전투기 격추 31기 슈바인푸르프에 대한 미8공군의 2차 정밀 폭격 과정에서 미공군의 상실 손실율 어림 계산하면, 77 / 290 = 약 26% 저렇게 된 이후 장거리 호위 전투기 무스탕 투입 전까지 사실상 주간 정밀 폭격은 중단. 노든 조준기 성능 과신했던 미8공군의 주간 정밀 폭격은 피해는 극심했었고 작전 성과 역시 폭격 전 기대와 달리 독일에 돌이킬 수 없는 타격 아닌 상당 복구되거나 대체물이 있었던. 노든 조준기, 지나치게 과장 선전된 것. 르메이의 유럽에서의 주간 정밀 전략폭격 역시 냉정하게 본다면 상당한 과장. 르메이는 유럽에서 미국과 영국의 전략폭격 전체를 설계 통제하는 위치가 아닌 하부에서 폭격을 실행한 지휘관. 르메이가 유럽에서의 미8공군 폭격의 어려움을 극복한 것 없음, 솔선수범한 것은 사실이지만 실질적 해결책 내놓은 적 없음. 미8공군이 위력을 발휘한 것은 장거리 호위 전투기 무스탕 투입 이후. 장거리 호위 무스탕은 43년 12월에 처음 등장했고, 본격적인 대독일 폭격 호위기 투입은 44년 1월 이후. 45년 2월 일본 폭격의 총 지휘관이 되어, 독일에 비해 훨씬 쉬운 난이도의 작전을 짧게 수행하고서 일본의 항복으로 전쟁 종결. 르메이 때문에 일본이 항복한 것 아님. 르메이 아닌 다른 누가 대일본 폭격 지휘했더라도, 일본의 항복 시점 단 1초도 늦춰질 이유 없음.
@scz8333
@scz8333 2 жыл бұрын
영국 공군의 대전 후반기 폭격 정밀도는 노든 조준기 정도가 아니었습니다. 독 전함 티르피츠 폭침 영상 : 영공군 랭커스터 폭격기 투하 5톤 짜리 톨보이 3발에 직격. 1분5초 이후 kzfaq.info/get/bejne/erx6fMqkqtG-j3k.html 독일 전함 티르피츠는 1발에 5톤인 톨보이 3발에 직격당했고 다른 여러 발은 지근 거리에서 터졌습니다. 고고도 폭격으로. 설마 노든 조준기와 같이 목표 300m 반경 이내에 7% 안착시키는 수준에서 5톤 톨보이 수천발 투하해서 명중시켰겠습니까? 영국과 독일의 야간 항공전에 동원된 항법 및 목표 지시 레이더 기술과는 비교할 수 없는 노든 조준기라고 보아야. 첨부한 영상 맨 앞에 나오는 폭격 장면은 프랑스 해안의 유보트 기지들입니다. 아마도 르메이가 솔선수범해서 폭격에 참여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았던 그 기지들, 냉정히 본다면 별다른 타격 없었던. 결국 최종적으로는 영국 공군의 톨보이와 그랜드슬램이 완벽히 무력화시켰습니다. 5~10m 콘크리트 지붕 뚫고 유보트 격납고 파괴. 르메이가 성공했다는 폭격은 그냥 그 지붕 위 살짝 두들긴 정도, 아마 투하한 대부분의 폭탄은 그 지붕 맞추지도 못했을 것. 유럽에서 르메이가 지휘했던 부대의 손실율은 영국공군이나 다른 미 폭격기 부대 보다 2배 정도 높았고, 르메이가 솔선수범했다지만 본질적으로 적에 대한 타격 성과나 손실율 감소에서 실질적 성과 없었으며 근본적인 해결책은, 장거리 호위 전투기 무스탕의 투입이었습니다. 그런 점을 고려한다면 석기시대로 표현되는 르메이에 대한 평가는 지나친 과장일 수도. (그리고 르메이가 지휘한 전략폭격의 민간인 희생 최대 피해는, 독일도 아니고 일본도 아닌 믿기지 않겠지만 한국전쟁 당시 한반도의 민간인일 겁니다. 수치 찾아서 확인해본다면 아마도 독일과 일본 민간인 피해를 압도에 압도에 압도할 정도의 수치가 나올 수도.) 2차대전 미국과 영국의 전략폭격. 미국은 정밀 폭격 능력 없이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정밀 폭격 자신했으며, 영국은 전쟁 초 경험으로 손실 줄이기 위해 야간 폭격으로 전환했고, 지속적으로 정밀 폭격 능력을 향상시켰던 차이. 그리고 냉정하게 르메이를 바라봤을 때, 유럽 전략 폭격의 큰 그림 그릴 위치도 아니었고 + 실제 폭격 성과 대단치도 않았고 + 미8공군의 피해 감소에 솔직히 별 다른 해결책 내놓지도 못했고 + 일본 폭격 기간 고작 6개월 + 유럽에서 이미 대규모로 사용했던 야간 폭격과 소이탄 사용 정도로 ---------------------------->이렇게 과대 평가되는 근본 원인은??? 개인적으로 이렇게 판단합니다. 2차대전 당시 실제 그가 거둔 전과에 바탕한 것이라기 보다는, -------------------------> 퇴역하고 사라진 대부분의 전략폭격 지휘관들과 달리, 젊었었기에 계속 군에 남아 -------------------------> 군 경력을 이어나갔고 특히 쿠바 사태 당시 미 공군 최고 꼭대기 위치였던 것이 결정적 배경 아닐까 합니다. 쿠바 사태 발단은 소련과 국경을 접한 흑해 연안 터키에 미국이 먼저 중거리 핵미슬 배치로 시작. 소련은 터키에 배치된 미국 핵미슬 철수를 요구했지만 미국이 거부하자 소련은 맞대응으로 미국 코 앞 쿠바에 핵미슬 배치. (당시 소련을 포위하던 미국과 현재 나토의 지속적 확장은 유사한 성격.) 대한민국에서 쿠바 사태는 미국과 케네디의 일방적 승리, 소련과 후루시쵸프의 굴욕으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미국과 소련 모두 터키와 쿠바에 배치했던 중거리 핵미슬을 함께 철수하면서 마무리 되었습니다. 그 쿠바 사태 때 르메이가 했던 주장 --------------> 솔직히 르메이는 철 많이 들어야 합니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푸틴은 통제되지 않았지만, 인류에게 천만다행으로 쿠바 사태 때 르메이는 통제되었습니다.
@chung2yoon
@chung2yoon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태평양전쟁 끝나면 바로 독소전으로 갔으면 좋겠습니다.
@Teamilkchoco
@Teamilkchoco 2 жыл бұрын
르메이 형은 근무도 살벌 했네
@PepsiZeroSugarLime1012
@PepsiZeroSugarLime1012 2 жыл бұрын
진짜 서치라이트는 뭘로 빛을 내나 궁금했는데 ㅋㅋ
@user-hk5tx4wf6z
@user-hk5tx4wf6z 2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나오는구나 석기시대마니아
@scz8333
@scz8333 2 жыл бұрын
르메이, 45년 2월 일본 폭격 사령관이 되었으니 6개월 폭격. 진주만 기습당할 때 계급은 중령, 유럽에 파견되었을 때도 영관급, 솔선수범은 했지만 유럽에서의 그의 폭격기 부대는 영국공군이나 다른 미 폭격기 부대에 비해 손실율 2배 정도로 매우 컸다고 합니다. 르메이가 미8공군의 독일 폭격의 난관을 극복한 해법 찾은 것도 아닙니다. 진정한 해법은 장거리 호위 전투기 무스탕 도입이었던. 미8공군이 유럽에서 손실당한 b17은 약 5000기로 미국이 유럽에 투입한 총기체의 약 1/3. 승무원 피해는 약 4만명. 르메이, 석기시대 ------------------> 지나친 과장 표현입니다. 유럽에서의 전략폭격, 르메이는 최고 지휘부 아닌 일선의 폭격기 부대를 지휘 위치라, 영국 미국 전략폭격의 큰 그림 방향을 정할 위치가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유럽에서의 연합국 폭격 경험과 부실했던 일본의 대공 방어 능력을 고려했을 때 ----------------------> 르메이 아닌 다른 이가 일본 폭격을 지휘했더라도 일본 항복 시점 같았을 것. 일부 댓글들에서 르메이 때문에 일본이 항복했다거나, 르메이 때문에 대한민국이 독립했다는 극단적 과장 표현도 보이는데 전혀 그렇지 않은. 폭탄 투하량에서 영국폭격사령부나 유럽 미8공군에 비할 수 없고, 폭격 위험 역시 훨씬 쉬웠고, 기간 역시 매우 짧았던. 그리고 르메이의 폭격으로 일본이 석기시대? 혹이나 석기시대가 되었다고 한다면 반도체-실리콘-세라믹 재료로 볼 때 그런 류의 석기시대 정도 가능했을 것. 일본이 당한 폭격은 비교도 안될 정도로 폭격당한 독일 역시 석기시대와 안드로메다급 거리. 자극적-흥미위주의 표현일 겁니다. 르메이가 이렇게 석기시대 언급되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 이유는 그가 세운 전과라는 실질적 능력 때문이라기 보다는 2차대전 후 그의 경력 때문일 가능성이 매우 커 보이는 군요. 특히 그의 경력 최고점을 찍었던 시점이었던 케네디 정부 시절, 쿠바 사태 때문일 수도. 쿠바 사태 발단과 진행 과정에서 르메이의 주장을 고려할 때 그 부분에서는 결코 르메이를 높이 평가할 수 없습니다. 쿠바 사태는 미국이 흑해 인근 터키에 중거리 핵미슬을 먼저 배치해 시작된 겁니다. 소련은 철수를 요구했지만 미국이 거부해서 일어난. 미국이 철수를 거부하자 소련은 맞대응으로 쿠바에 중거리 핵미슬 배치. 대한민국엔 미국-케네디의 일방적 승리, 소련-후루시쵸프의 굴욕으로 알려졌지만 실상은 미국과 소련 모두 쿠바와 터키 배치 중거리 핵미슬 철수하면서 마무리되었다는 점에서 르메이의 당시 주장은 너무 위험했던.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 역시 유사한 성격. 차이가 있다면 르메이는 통제되었지만 푸틴은 통제되지 않은. 그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유사합니다. 소련 국경 맞댄 터키에 핵미슬 배치는 나토의 지속 확장으로 현러시아 포위와 유사. 푸틴 러시아가 침략자인 것은 명백하지만, 나폴레옹-1차2차대전독일이 동쪽을 침공했지 그 역은 아니었음을 고려한다면, 러시아와 푸틴에게도 침략의 명분을 제공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냉정히 본다면 유럽 전략 폭격에서 장기 두는 사람 아닌 장기말 위치에서 폭격 지휘, 유럽 전선이 종결되는 시점에서 45년 2월 대일본 폭격 사령관으로 유럽 미8공군 사령관이 직접 올 수는 없었을 것. 6개월 정도 폭격한 것을 두고, 마치 도쿄 폭격을 위한 예비 연습 과정으로 유럽의 전략폭격이 수행되었고 전략폭격의 최고봉을 르메이가 완성했다는 일부의 너무나 후한 평가는 극단적 과장일 겁니다. 밴드 오브 브러더스, 역시 유사한 성격입니다. 미 지상군의 북서유럽 전투는 44년 6월 노르망디 이후, 즉 아무리 길게 잡아도 1년이 안되는. 그리고 밴드 오브 브러더스, 그 제목 자체가 냉정하게 보면 표절 성격입니다. 세익스피어작 헨리5세 연극의 대사 일부. " we few, we happy few, we band of brothers! " 우리 수는 적지만, 그래도 행복한 우리, 우리는 모두 한 형제. 100년 전쟁 아쟁쿠르(영어식 애친코트)전투 직전, 병력 열세 속에서 두려움에 떠는 영국 병사들을 격려했던 국왕 헨리5세의 연설 대사. 미국은 아직 밴드 오브 브러더스 급의 신화 에피소드를 자력으로 만들어내지 못했다고 보이는군요. 미 할리웃 작품 중에서 최고의 인상적인 대사 꼽자면 아마도 스타워즈, 터미네이터 시리즈 중의 대사일 것 같습니다. 스타워즈 대사, 우리 말로 옮기면 좀 코믹합니다. ------------------------------> 내가 니 애비다!!! 터미네이터 대사, 역시 우리 말로 옮기면 정망 엄청 코믹해집니다. --------------------------------> 내 돌아올끼다!!!!!!!!!! 영어 원문으로 본다고 해도 세익스피어의 절제-축약된 밴드 오브 브러더스와는 결코 같은 수준이 되기는 어려워 보이는군요. 아 엠 유어 파더, 아 윌 비 백 그리고 노든 폭격 조준기, 여기 영상에서 확인되듯 너무나 너무나 너무나 어이 없을 정도로 과장된 선전 사례입니다. 여기 다른 영상에서 이미 소개된 근접신관-마그네트론-제트엔진 및 앞으로 다루어질 암호해독컴퓨터-독일V2 등과 비교 안되는 수준. 영국 공군의 대전 후반기 폭격 정밀도는 노든 조준기 정도가 아니었습니다. 독 전함 티르피츠 폭침 영상 : 영공군 랭커스터 폭격기 투하 5톤 짜리 톨보이 3발에 직격. 1분5초 이후 kzfaq.info/get/bejne/erx6fMqkqtG-j3k.html 독일 전함 티르피츠는 1발에 5톤인 톨보이 3발에 직격당했고 다른 여러 발은 지근 거리에서 터졌습니다. 고고도 폭격으로. 설마 노든 조준기와 같이 목표 300m 반경 이내에 7% 안착시키는 수준에서 5톤 톨보이 수천발 투하해서 명중시켰겠습니까? 영국과 독일의 야간 항공전에 동원된 항법 및 목표 지시 레이더 기술과는 비교할 수 없는 노든 조준기라고 보아야. (르메이, 보통의 영어식 이름이 아닙니다. 찾아보니 역시 프랑스 계통이더군요. 조상이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직접 이주한 경우는 아니고, 프랑스에서 탄압받던 위그노들이 일부 영국으로 이주한 위그노계 영국인의 후손.)
@user-gh5qv9xn6j
@user-gh5qv9xn6j 2 жыл бұрын
토전사 이후 최고의 방송 역전다방 !
@wald7750
@wald7750 2 жыл бұрын
이분들 독소전 얘기를 메인으로 하기 시작하면 진짜 몇화가 나올지 너무 기대된다 ㅎㅎㅎㅎ
@scz8333
@scz8333 2 жыл бұрын
그런 기대는 현실이 되기 어려울 겁니다. 미국 관련이라서 이렇게 세밀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과 미국의 특수 관계 그리고 대한민국의 전문가층 다수가 미국에서의 교육 등 얽히고 섥힌 것이 많아 지극 세밀 다루어질 개연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각각 1회 편성된 타라와-사이판 등은 사실 스탈린그라드 도시 한 블럭 인명피해도 안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회 노든 조준기, 영상 시청으로 확인되었듯 사실 너무나 과장 선전된 성격이 큽니다. 이렇게 다루어진다는 것 자체가 냉정하게 평가하면 전파 낭비 시간 낭비일 수 있을 정도로. 여기 다른 영상에서 소개된 과학기술 사례들인 근접신관, 마그네트론, 제트엔진 그리고 앞으로 유럽전선에서 다루어질 독일의 v2등과 비교한다면 수준 차이가 확연한. (특정 전역의 지나친 디테일 시간 배분은, 결과적으로 2차대전 전체적 상황 판단을 해칠 수 있기에 공정성을 해치는 낭비 성격.) 여기 지난 영상에서 사상 최대의 해전 레이테 관련 아마도 한 6부 편성되었을 겁니다. 기억으로 레이테 해전 직전 까지 소개만 3회 정도. 레이테 해전 미일 양측 동원된 총 배수량 약 200만톤, 양측 합산 격침 약 35만톤. 대서양 전투에서 독일 유보트가 거둔 격침 전과는 약 1500만톤 -------------------> 아예 레벨이 다릅니다. 하지만 분명 나중 대서양 해전 아무리 상세히 다루더라도 몇 회 정도로 간결하게 마무리 될 가능성 클 겁니다. 현재 진행중인 이런 디테일을 독소전-유럽전선-대서양해전에 그대로 적용하면 한 없이 길어지는데, 한 없이 길어지는 제작은 불가능하기에 ---------------> 디테일 수준에 변화가 올 것이 분명하고, 따라서 디테일의 차이는 본의 아니게 특정 국가에 치우친 시각이 될 수도.
@wald7750
@wald7750 2 жыл бұрын
@@scz8333 채승병 박사님이 독소전과 서부전선 쪽으로 엄청 파신 분이신데다가 이세환 기자님도 그쪽이 메인이셔서 다룰 가능성이 없다고 보이지는 않네요. 자료는 태평양 전역보다 부족할 수는 있겠지만 방송에서 다룰 만한 정도의 자료는 충분히 있죠. 솔직히 무기 체계만 갖고도 한참 얘기가 가능할 정도일테니.... 제 식견이 얕아서 예상이 틀릴 수 있지만 국방tv의 다른 프로그램하고 성격이 달라서 예전의 토크멘터리 처럼 다양하게 다룰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봅니다. 더하여 단지 제 바램을 댓글로 달아 놓은 거라서 너무 깊게 생각하지는 않으셨으면 합니다. 결정하는 건 국방 tv랑 역전다방 pd님이니까요.
@scz8333
@scz8333 2 жыл бұрын
르메이, 45년 2월 일본 폭격 사령관이 되었으니 6개월 폭격. 진주만 기습당할 때 계급은 중령, 유럽에 파견되었을 때도 영관급, 솔선수범은 했지만 유럽에서의 그의 폭격기 부대는 영국공군이나 다른 미 폭격기 부대에 비해 손실율 2배 정도로 매우 컸다고 합니다. 르메이가 미8공군의 독일 폭격의 난관을 극복한 해법 찾은 것도 아닙니다. 진정한 해법은 장거리 호위 전투기 무스탕 도입이었던. 미8공군이 유럽에서 손실당한 b17은 약 5000기로 미국이 유럽에 투입한 총기체의 약 1/3. 승무원 피해는 약 4만명. 르메이, 석기시대 ------------------> 지나친 과장 표현입니다. 유럽에서의 전략폭격, 르메이는 최고 지휘부 아닌 일선의 폭격기 부대를 지휘 위치라, 영국 미국 전략폭격의 큰 그림 방향을 정할 위치가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유럽에서의 연합국 폭격 경험과 부실했던 일본의 대공 방어 능력을 고려했을 때 ----------------------> 르메이 아닌 다른 이가 일본 폭격을 지휘했더라도 일본 항복 시점 같았을 것. 일부 댓글들에서 르메이 때문에 일본이 항복했다거나, 르메이 때문에 대한민국이 독립했다는 극단적 과장 표현도 보이는데 전혀 그렇지 않은. 폭탄 투하량에서 영국폭격사령부나 유럽 미8공군에 비할 수 없고, 폭격 위험 역시 훨씬 쉬웠고, 기간 역시 매우 짧았던. 그리고 르메이의 폭격으로 일본이 석기시대? 혹이나 석기시대가 되었다고 한다면 반도체-실리콘-세라믹 재료로 볼 때 그런 류의 석기시대 정도 가능했을 것. 일본이 당한 폭격은 비교도 안될 정도로 폭격당한 독일 역시 석기시대와 안드로메다급 거리. 자극적-흥미위주의 표현일 겁니다. 르메이가 이렇게 석기시대 언급되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 이유는 그가 세운 전과라는 실질적 능력 때문이라기 보다는 2차대전 후 그의 경력 때문일 가능성이 매우 커 보이는 군요. 특히 그의 경력 최고점을 찍었던 시점이었던 케네디 정부 시절, 쿠바 사태 때문일 수도. 쿠바 사태 발단과 진행 과정에서 르메이의 주장을 고려할 때 그 부분에서는 결코 르메이를 높이 평가할 수 없습니다. 쿠바 사태는 미국이 흑해 인근 터키에 중거리 핵미슬을 먼저 배치해 시작된 겁니다. 소련은 철수를 요구했지만 미국이 거부해서 일어난. 미국이 철수를 거부하자 소련은 맞대응으로 쿠바에 중거리 핵미슬 배치. 대한민국엔 미국-케네디의 일방적 승리, 소련-후루시쵸프의 굴욕으로 알려졌지만 실상은 미국과 소련 모두 쿠바와 터키 배치 중거리 핵미슬 철수하면서 마무리되었다는 점에서 르메이의 당시 주장은 너무 위험했던. (현재 우크라이나 전쟁 역시 유사한 성격. 차이가 있다면 르메이는 통제되었지만 푸틴은 통제되지 않은. 그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유사합니다. 소련 국경 맞댄 터키에 핵미슬 배치는 나토의 지속 확장으로 현러시아 포위와 유사. 푸틴 러시아가 침략자인 것은 명백하지만, 나폴레옹-1차2차대전독일이 동쪽을 침공했지 그 역은 아니었음을 고려한다면, 러시아와 푸틴에게도 침략의 명분을 제공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냉정히 본다면 유럽 전략 폭격에서 장기 두는 사람 아닌 장기말 위치에서 폭격 지휘, 유럽 전선이 종결되는 시점에서 45년 2월 대일본 폭격 사령관으로 유럽 미8공군 사령관이 직접 올 수는 없었을 것. 6개월 정도 폭격한 것을 두고, 마치 도쿄 폭격을 위한 예비 연습 과정으로 유럽의 전략폭격이 수행되었고 전략폭격의 최고봉을 르메이가 완성했다는 일부의 너무나 후한 평가는 극단적 과장일 겁니다. 밴드 오브 브러더스, 역시 유사한 성격입니다. 미 지상군의 북서유럽 전투는 44년 6월 노르망디 이후, 즉 아무리 길게 잡아도 1년이 안되는. 그리고 밴드 오브 브러더스, 그 제목 자체가 냉정하게 보면 표절 성격입니다. 세익스피어작 헨리5세 연극의 대사 일부. " we few, we happy few, we band of brothers! " 우리 수는 적지만, 그래도 행복한 우리, 우리는 모두 한 형제. 100년 전쟁 아쟁쿠르(영어식 애친코트)전투 직전, 병력 열세 속에서 두려움에 떠는 영국 병사들을 격려했던 국왕 헨리5세의 연설 대사. 미국은 아직 밴드 오브 브러더스 급의 신화 에피소드를 자력으로 만들어내지 못했다고 보이는군요. 미 할리웃 작품 중에서 최고의 인상적인 대사 꼽자면 아마도 스타워즈, 터미네이터 시리즈 중의 대사일 것 같습니다. 스타워즈 대사, 우리 말로 옮기면 좀 코믹합니다. ------------------------------> 내가 니 애비다!!! 터미네이터 대사, 역시 우리 말로 옮기면 정망 엄청 코믹해집니다. --------------------------------> 내 돌아올끼다!!!!!!!!!! 영어 원문으로 본다고 해도 세익스피어의 절제-축약된 밴드 오브 브러더스와는 결코 같은 수준이 되기는 어려워 보이는군요. 아 엠 유어 파더, 아 윌 비 백 그리고 노든 폭격 조준기, 여기 영상에서 확인되듯 너무나 너무나 너무나 어이 없을 정도로 과장된 선전 사례입니다. 여기 다른 영상에서 이미 소개된 근접신관-마그네트론-제트엔진 및 앞으로 다루어질 암호해독컴퓨터-독일V2 등과 비교 안되는 수준. 영국 공군의 대전 후반기 폭격 정밀도는 노든 조준기 정도가 아니었습니다. 독 전함 티르피츠 폭침 영상 : 영공군 랭커스터 폭격기 투하 5톤 짜리 톨보이 3발에 직격. 1분5초 이후 kzfaq.info/get/bejne/erx6fMqkqtG-j3k.html 독일 전함 티르피츠는 1발에 5톤인 톨보이 3발에 직격당했고 다른 여러 발은 지근 거리에서 터졌습니다. 고고도 폭격으로. 설마 노든 조준기와 같이 목표 300m 반경 이내에 7% 안착시키는 수준에서 5톤 톨보이 수천발 투하해서 명중시켰겠습니까? 영국과 독일의 야간 항공전에 동원된 항법 및 목표 지시 레이더 기술과는 비교할 수 없는 노든 조준기라고 보아야. (르메이, 보통의 영어식 이름이 아닙니다. 찾아보니 역시 프랑스 계통이더군요. 조상이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직접 이주한 경우는 아니고, 프랑스에서 탄압받던 위그노들이 일부 영국으로 이주한 위그노계 영국인의 후손.)
@user-nr9mf7pf8g
@user-nr9mf7pf8g 2 жыл бұрын
43:44 당시에 일본군이 국부군에게 노획해서 데드카피한 99식 88mm 고사포의 원본은 8.8cm FlaK는 아니고, 8.8cm SK C/30입니다.
@Horowitz.Vladimir
@Horowitz.Vladimir 2 жыл бұрын
저 노든 조준기 실물을 최근에 어딘가 영상에서 본 적이 있어서 어디였지? 하고 기억해내보니 라스베가스에서 전당포하시는 아저씨 영상이었군요. ㅋㅋㅋㅋㅋ
@Marvel_Heimdall
@Marvel_Heimdall 2 жыл бұрын
38:20 이후 일본 방공 이야기 너무웃기네 ㅋㅋㅋ취객 & 모기 ㅋㅋ
@user-hw1fo9fs4f
@user-hw1fo9fs4f 2 жыл бұрын
아! 탐조등 광원방식이 아크였구나. 나도 궁금했는데 이제야 알았네요.
@user-lk4nq4mt4s
@user-lk4nq4mt4s 2 жыл бұрын
빡빡이 아저씨 전당포에서 노든 조준기 본것같은데 오... 이런 명기였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user-mm7pe3js6z
@user-mm7pe3js6z 2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히 즐겁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오늘 방송분에서 오류가 몇 있는데, 피치 롤은 벌써 아래 몇 분이 얘기하셔서 패스하고, 27:44 따뜻한 공기일 때 상승기류로 저기압이고. 차가운 공기가 하강기류로 고기압입니다.
@Kimharry9622
@Kimharry9622 2 жыл бұрын
아니 왜 여기서 끊어요 딱 재미있으려 하는 절정 순간에....ㅠㅠ
@TV-no3qf
@TV-no3qf 2 жыл бұрын
조합너무좋다!!!
@boris6038
@boris6038 2 жыл бұрын
석기시대 그분. 르메이
@gog2654
@gog2654 2 жыл бұрын
미쳐따! 시간 진짜 왜케 빨리 지나가는 거야?!
@Appletree-db2gh
@Appletree-db2gh 2 жыл бұрын
이번화 내내 너무 재밌고 몰랐던 내용 너무 많이 알게됬어요!! 감사해요!!
@jamesyoon7173
@jamesyoon7173 Жыл бұрын
박사님들 장진호 전투에 대하여 한번 다루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어로 반역 된 책도 읽엇고 작가가 소설로 쓴것도 이읽었습니다만 역전다방에서 다루면 새로운 각도에서, 희생된 한국전 영웅들 조명 하였으면 좋겠어 겠습니다. 미국에서 역전다방 애청자 James Yoon 드림
@Putputputgim
@Putputputgim 2 жыл бұрын
퀄 진짜.. 월드 클래스
@prococonut
@prococonut 2 жыл бұрын
졸라 잼있어
@MoonbomSunny
@MoonbomSunny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커티스 르메이까지 오는데 무려 34화까지 걸렸다 참고로 1화 부터 시작해서 34화까지가 태평양 전쟁 이야기라는 걸 알아야 한다 ㅋㅋㅋㅋㅋㅋ 태평양 전쟁이 끝나면 유고내전인데 이건 또 얼마나 길게 갈 것인가
@moduara
@moduara 2 жыл бұрын
이번 주도 스트레스 잘 풀고 갑니다~
@AniHanbina
@AniHanbina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왜 사라졌던거야~~ 기다렸자너 ㅠ
@user-lp1nd5iu5z
@user-lp1nd5iu5z 2 жыл бұрын
외쳐 갓사쿨!!!!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1 or 2?🐄
0:12
Kan Andrey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Papa yeh dila do ajse mein aapki behen 😢😊 #shorts
0:30
Sikha shorts and vlogs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
Живые куклы и злая племянница! Часть 3! #shorts
0:35
Опасные облака!😱🌩
0:20
Взрывная История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