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밀양'의 숨은 디테일을 범죄심리학자의 눈으로 분석하다! | 지선씨네마인드 '밀양' (SBS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258,614

그것이 알고싶다

그것이 알고싶다

Жыл бұрын

#지선씨네마인드 #전도연 #밀양
칸이 선택한 두 배우.
전도연, 송강호 배우의 깊이있는 연기와
이창동 감독의 깨알같은 디테일이 모여
최대의 몰입감을 자아내는 영화 '밀양'
'밀양' 을 직역한 단어 'Secret Sunshine' = '보이지 않는 빛'
영화에서 의미하는 '보이지 않는 빛' 은 무엇일지
함께 확인해볼까요?
국내 최초 무비 프로파일링 토크쇼
지선씨네마인드 5회 '밀양' (2022.10.28 방송)
[지선씨네마인드] 풀영상 다시보기
▶ 지선씨네 홈페이지 : programs.sbs.co.kr/culture/ci...
▶ 웨이브(wavve) : www.wavve.com/

Пікірлер: 832
@sbstruth
@sbstruth Жыл бұрын
다음주 지선씨네마인드 ‘화차‘편도 밤 10:30 방송입니다! 11/4 금요일 밤 10:30 잊지 마세요:)
@user-td9qy7ev2z
@user-td9qy7ev2z Жыл бұрын
화차 너무좋습니다!!
@kagdhehc
@kagdhehc Жыл бұрын
드디어 화차!!!!!!!!!!
@tylee4535
@tylee4535 Жыл бұрын
그알 박교수님 둘다 오래 오래 해 먹자고요 이 프로 너무 좋습니다
@user-cf2nm9cw6n
@user-cf2nm9cw6n Жыл бұрын
10시 반이었군요 어쩐지 11시 10분에 트니까 다 끝나가더라니....ㅜㅜ
@user-qq9ww1ds6h
@user-qq9ww1ds6h Жыл бұрын
컨텐츠 볼륨을 좀 더 높여서 영상 만들어 주셨으면 합니다 출연자들이 낮은 목소리라서 그런지 대사가 뭉개지는 것이 너무 많아요
@lonapp
@lonapp Жыл бұрын
'피해자다워야한다'고 주는 폭력에 대해 다뤄주셔서 더더욱 너무 잘봤습니다
@maverick3399
@maverick3399 Жыл бұрын
폭력까지는 너무 나간거 같고 강요 정도가 적당한 표현.
@lonapp
@lonapp Жыл бұрын
@@maverick3399 그걸 왜 피해자가 아닌 님이 정해요? 본인이 폭력이란 어휘를 일반적으로 좁게 쓸 뿐이면서?
@user-jt5zm1gb9l
@user-jt5zm1gb9l Жыл бұрын
@@maverick3399 ㄴㄴ 맥락상 ‘폭력’이 딱 적당한 표현임
@potterkim4714
@potterkim4714 Жыл бұрын
@@maverick3399 너 남자지?ㅋㅋㅋㅋㅋㅋㅋㅋ
@user-pq9eb9tw7s
@user-pq9eb9tw7s Жыл бұрын
​@@potterkim4714 에휴 또 갈라치기하네ㅋㅋ
@user-rf6tu3dy3t
@user-rf6tu3dy3t Жыл бұрын
밀양 예전에 대학교 과제때문에 본적있는데, 전도연이 슬픔을 이겨내는 척하면서 극복하며 살려고 노력하다가 범인이 스스로 회개했다며 마음 편히 사는 모습을 보고 다시 무너지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 오묘한 느낌이 들더라구요... 피해자 가족입장에서 가해자가 괴로워하기는 커녕, 자신이 믿던 신을 들먹이며 자기는 죄를 용서받고 잘 살고있다고하면 저같아도 신에 대한 회의감이 들것같애요...피해당한사람은 용서한적도 없고 하루라도 마음편히 살지 못 했을테니깐요...
@mai4912
@mai491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도 그 부분에서 너무 소름돋더라구요 위로랍시고 다 하나님의 뜻이라구하는 약사도..진짜 나라면. 미칠노릇
@user-np5nw8bi1o
@user-np5nw8bi1o Жыл бұрын
기독교를 믿는 가정에서 나 힘들다. 고 했을 때 다 주님의 뜻이다 기도하면 괜찮아 질거다 라는 말만 들어도 마음의 문이 닫히고 더욱 더 우울해지는데 내 사랑하는 사람을 죽인 살인자가 그런 소리를 내 눈앞에서 하면 무슨 기분일까 그건 21세기에 도달해서도 아직 신이라는 허상을 좇는 사람들이 본인의 인생을 넘어 남에게까지 피해를 주는 것을 보면 종교에 대한 괴리감은 커져만 가는 것 같습니다
@user-vc3en7qy8f
@user-vc3en7qy8f Жыл бұрын
양가의 마음을 느끼는 오묘한 느낌을 저도 받았어요.저는 저 스스로 느끼는 저의 가식적인 모습을 전도연한테 느끼기도 했네요.사실은 마음속으로 미워죽겠는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고 착하고 어진척 다 받아주고 포옹하고 용서하는 마음으로 연기하다가 저스스로가 못견디고 아무도 없을때에는 알수없는 더러운 패배감에 눈물로 밤세울때가 많았어요.전도연의 의식의 흐름속에 저도 같이 따라갔어요.교회 탁자를 치며 울고불고 하는 연기가 제 내면의 자아였어요. 너무 공감되었습니다 운동하면서 저는 그런 모습 감정을 씻어내려고 합니다. 몸이 피곤하지 않으면 슬픈감정이 밀려와서요.. 솔직히 적어보았습니다.착하지않은 내가 용서하면서 살기가 무척 버겁다 생각하면서 그래도..순리대로 살려고 노력합니다.
@min5932
@min5932 Жыл бұрын
걍 결론은 나쁜짓 하고 맘 편히 살려고 종교에 의지하는 거죠 회개 자체도 걍 인간 스스로가 면책특권을 부여하는 생쇼인거지 신은 용서할 의사가 있는지 알지도 모르면서 걍 지들 맘대로 정의 내린거죠 걍 나쁜놈들 편하게 살려고 만든거에요 신은 아마 떵싸네 하고 있을거에요ㅋ 걍 지들 나쁜짓 마음껏 하려고 그렇게 만든 시스템이니까 그러다 뒈지면 지옥 가는거지ㅋ 걍 벌 받을까봐 두려워서 마인드 컨트롤 하려고 미친짓 하는 겁니다 걍 걔네들 걍 그렇게 살라고 신경 끄는게 마음 편해요 떵이 더러워서 피하지 무서워서 피하는거 아니잖아요 이창동 감독도 진정한 빛은 내 옆에 있는 사람이다는 것을 알려 주고 싶었잖아요~
@betty6630
@betty6630 Жыл бұрын
신을 자기대로 해석하는 인간들의 이야기 . . 신애 입장이다가 나도 약사 일때가 있었구나 싶음
@gjsxjgjsxj183
@gjsxjgjsxj183 5 күн бұрын
밀양은 어떤곳일까...
@user-mk5em7lh9f
@user-mk5em7lh9f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날카로운 분석도 놀랍지만 치밀하고 완벽한 작품을 만든 감독님도 너무 대단하다…
@taeheekim5826
@taeheekim5826 Жыл бұрын
그걸 연기한 전도연도 대단하네요 분석한걸 보니 왜 상을 받을 수 밖에 없는지 좀더 처절하게 알 수 있었어요
@user-yy7pt5gp2m
@user-yy7pt5gp2m Жыл бұрын
잘 만든 영화인데 포스터는 왜 그걸 사용했을까
@menoexist3971
@menoexist3971 Жыл бұрын
@@user-yy7pt5gp2m 동감…
@hunyy7764
@hunyy7764 Жыл бұрын
@@user-yy7pt5gp2m 개공감.. 그냥 존나 흔한 신파 상업영화 포스터마냥 만들어놔서 짜증남 ㅡㅡ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Жыл бұрын
그쵸 👌
@kwonsamuel7247
@kwonsamuel7247 Жыл бұрын
진짜 프로파일러의 능력이 이런쪽으로도 쓰일 수 있는게 너무 신기함. 그 어떤 평론가들보다 더 공감되고 납득되는 감상임
@user-oq1sd8ur7v
@user-oq1sd8ur7v Жыл бұрын
원래 프로파일러능력은 이런데쓰라고있는거다
@TaxLee
@TaxLee Жыл бұрын
@@user-oq1sd8ur7v 영화해석하는데 쓰라고?ㅋㅋㅋ
@ByungXin_of_Dead
@ByungXin_of_Dead 4 ай бұрын
범죄심리학자인데...
@user-bp2oc1gb6b
@user-bp2oc1gb6b Жыл бұрын
와 마지막 해석 너무 와닿아요 예전에 젊은시절 시사회에서 봤던 영화인데 당시에는 슬픔이나 용서를 강요한다는것이 얼마나 큰 폭력일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할수 있었다면... 종찬이라는 인물을 통해 "공감"이라는 인간의 능력이 어떻게 "선"일수 있는지 보여준 영화였네요..
@MissMilaGong
@MissMilaGong Жыл бұрын
공감능력이 정말 중요한거같아요. 그게 선이자 지능인..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Жыл бұрын
러블리 종찬 ㅎ
@gongjoolee5728
@gongjoolee5728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완전 공감합니다. 마지막 종찬의 공감은 정말 아름답네요.. 종찬이 전도연을 들여다보는 모습이 신의 모습같네요..
@Park-qr2tt
@Park-qr2tt Жыл бұрын
이창동이야 말로 진짜 명감독. 삶에 대한 그의 섬세한 시선을 따라올 사람은 없다... 그의 영화는 가장 문학에 가까운 영화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Жыл бұрын
버닝 재밌었음
@maverick3399
@maverick3399 Жыл бұрын
버닝도 진짜 좋은 작품.
@watari9941
@watari9941 Жыл бұрын
@@sahrahnghahndah 전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 다 좋아하지만 시 가 정말 정점인것 같아요 안보셨다면 추천합니다
@user-pq9eb9tw7s
@user-pq9eb9tw7s Жыл бұрын
​@@watari9941 저는 박하사탕이 최고작인 거 같아요 피 많이 나오는 웬만한 영화들보다 훨씬 잔인한 영화
@utopro
@utopro 8 ай бұрын
깊이와 통찰력을 가지면서도 내러티브를 영화적으로 재미있게 그려가는 현단계 세계최고의 감독이지 않을까 싶네요.
@Thecorse
@Thecorse Жыл бұрын
화차도 그렇고 밀양보면서 느낀게 자기 신변이나 재산은 주변에 말하고 다니면 안된다는 걸 다시 한번 깨달음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Жыл бұрын
선을 지켜야 하죠^^
@meawbok1234
@meawbok1234 Жыл бұрын
죄는 피해자에게 지어놓고 반성은 판사에게 하는 오늘날의 범죄자들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네요...
@user-je4hu8te6n
@user-je4hu8te6n Жыл бұрын
와닿는말입니다 ...
@Goorigoori123
@Goorigoori123 4 ай бұрын
정말 반성문을 수십통 쓰죠. 판사에게. 피해자는 증인일뿐. 힘이 없어요.
@uooooong
@uooooong Жыл бұрын
너무 슬프면 눈물도 안나오던 경험... 10년전 아버지 돌아가셨을때, 4남매의 맏이로써, 남편을 잃은 엄마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던 고작 24살이었는데.. 주위에서 생각보다 담담하더라. 라는 그말이 아직도 상처가 되고, 화가 납니다. 타인의 슬픔은 겉으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지금도 순식간에 눈물이 차오르며 그리운 아빠, 언젠가는 만날 수 있기를...
@ohsorry5763
@ohsorry5763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거기 그자리의 그 누구보다도 가장 아버지가 그리웠을 사람이셨을텐데 큰 상처이셨을 것 같습니다..
@user-ox2ew7vn3k
@user-ox2ew7vn3k Жыл бұрын
말을 그렇게 하는 사람들이 꼭 있어요😑 10년 전이어도 지금 생각해도 힘드실텐데 너무 슬퍼 마세요,,
@min5932
@min5932 Жыл бұрын
그런 말을 하는 인간들의 심리가 참 궁금하네요 그렇게 상처주는 말을 하면 상대방이 얼마나 고통스러울지 바보천치가 아닌 이상 알텐데... 남이 고통스럽기를 바라는 인간의 잔인한 본성이 그렇게 하는 거 같아요 남이 고통 받아야 자신의 스트레스가 풀리면서 삶의 피해의식도 조금이나마 해소하고... 정말 못나고 무식한 인간들이 우리 주변에 꽤 있습니다 그냥 다른 부류의 인간이라고 취급하는게 상처 덜 받습니다 그냥 태어날때부터 똑똑한 사람 멍청한 사람 있듯이 인성도 갖고 태어나는 거 같아요
@user-dn7gv3eb8q
@user-dn7gv3eb8q Жыл бұрын
저는 17살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같은 경험을 했었어요. 누구는 네가 장녀니까 씩씩하게 참아야한다, 누구는 너는 왜 울지 않냐.. 감정은 오롯이 제 자신의 몫인데 말이에요. 그래서 밀양의 그 장면을 보고도 공감하고 함께 슬펐던 기억이 나요. 이런 위로가 참 얄팍하지만 힘내시길 바랍니다. 아버님은 그 마음을 이해하실 거에요.
@user-vi8ws3uj2e
@user-vi8ws3uj2e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은 눈물을 많이 흘려야 슬픈거라 생각하더라구요. 전 11살에 아버지 돌아가시고 사람들앞에서는 절대 울지 않았어요. 밤에 별빛이 빛나는밤에 끝없이 울었네요... 자기전 이불속에서 주체할수 없는 눈물이 나오더군요. 사람들은 장녀라 틀리다고 했지만 그건 아닌거지요...
@e.o929
@e.o929 Жыл бұрын
왠지 마지막에 장면.. 준이가 죽고 난 후, 울리지도 않는 전화를 받아 종찬에게 얘기하는 장면은 납치 당일 종찬네 세탁소까지 갔다가 도움을 청하지 못하고 돌아온 자신의 모습을 후회하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만약에 종찬에게 도움을 청했더라면 준이는 살아 돌아왔을까.. 이런 마음으로요
@user-yq8qd5mr3j
@user-yq8qd5mr3j Жыл бұрын
밀양에서 빛으로 있었던 종찬.... 지금 굉장히 큰 의미인것 같아요 다시보고싶게 만드는 해석 감동이에요
@user-mz4ez9bs5j
@user-mz4ez9bs5j Жыл бұрын
밀양이라는 제목을 들을 때마다 단순히 지역명만 생각했는데 secret sunshine 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역시 사람은 아는 만큼 보이는 구나. 풍부한 시선을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너무 좋다ㅎㅎ
@user-ci3id4sf8r
@user-ci3id4sf8r Жыл бұрын
지역명 "밀양"은 한자로 "빽빽한 햇볕"이란 뜻이구요 영화 "밀양"은 그 영어 제목이 "secret sunshine"입니다. 교수님께선 그걸 종찬의 사랑으로 해석해주셨네요.
@elliotjeong6912
@elliotjeong6912 Жыл бұрын
@@user-ci3id4sf8r 영화에서도 신애가 종찬에게 밀양의 뜻을 알려주는 장면이 나오죠 그리고 첫 장면에서 보이는 자동차 앞유리 너머의 햇살.. 마지막 종찬이 든 거울을 보고 머리를 자르면서 비춰지는 땅에 내리쬐는 햇살로 끝나죠.
@HK-ys2oy
@HK-ys2oy Жыл бұрын
@@user-ci3id4sf8r 영화 초반에 ‘은밀한 햇볕‘ 이라고 설명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secret sunshine이구요
@user-yy2zo1ku2f
@user-yy2zo1ku2f 4 ай бұрын
😊😊
@suziq2443
@suziq2443 Жыл бұрын
이십대중반정도에 밀양을 남친과 봤습니다. 보고 나와서 남친은 재미대가리가 없었다며 툴툴거렸습니다. 전 그저 약간 좀 지루했다? 그렇게 기억합니다. 세월이 지나 마흔이 넘고 그때의 남친은 제 남편이 되어있고, 저희는 9살된 아들을 키웁니다. 다시 봤는데 표현할 수 없는 고통을 느낀 작품이 되었습니다. 남편도 마찬가지고요, 어렸을 땐 느낄 수 없던 감정이 고스란히 와 닿았습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_raeng
@U_raeng Жыл бұрын
밀양을 극장에서 봤는데 교도소 면회 씬에서 많은 분들이 한숨을 푹푹 쉬면서 가슴을 두드리시더라고요 ㅜ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하나님께 용서 받고 평안을 찾은 유괴범의 평온한 표정이 그렇게 역겨울 수 없었어요 지금 봐도 신애 관점에서 밀려오는 억울함에 눈물이 다 나요 ㅜㅜ
@0-0a.
@0-0a. Жыл бұрын
하나님입장에서는 용서를 해준적도 없었을수 있는데 자기혼자 용서받았다고 철면피 하는게 웃기네요 오히려 피해자에게 진심으로 용서를 구하고 반성해야 용서를 해줄거같은데 악인이 왜 혼자 셀프용서함??
@user-jg3hq7ob1w
@user-jg3hq7ob1w 23 күн бұрын
만약에 정말로 하나님이 용서 하였다면 죽어서 천국 가나요? 교도소 사형수들한테 수녀님, 목사님들이 죽기전에 하느님 믿고, 용서를 구하고, 구원 받으시라고 하잖아요?
@Rebecc4choi
@Rebecc4choi Жыл бұрын
다시 전화해서 사과하는거: 나는 그냥 좋은 사람이다라며 봤는데 교수님 설명이 너무 아름답네요.
@daaavi1791
@daaavi1791 Жыл бұрын
봉준호감독, 박찬욱감독도 영화를 너무너무 잘 만들지만 이창동감독의 영화는 영상으로 쓴 소설같은 느낌이 있음. 보고 나면 소설 한권 읽었을 때의 그 감정의 소용돌이가 그대로 느껴짐.
@user-ri5bt4eh6m
@user-ri5bt4eh6m Жыл бұрын
밀양보면서 종교와 용서. 가해자와 피해자. 생각이 많아지는 영화였어요 그리고 피해자가 용서를 안했는데 하나님한테 용서를 받아서 마음이 가볍다는 가해자의 말에 억장이 무너졌다 ㅡㅡ 이래서 종교를 제대로 믿어야하고 제대로 설파해야한다는
@kristinel.4718
@kristinel.4718 Жыл бұрын
'시크릿 선샤인' 이런 의미였다니... 모티브가 된 실제 사건과 소설 그리고 영화! 보면 볼수록 좋은 영화였는데 '지선씨네마인드'와 함께 하니 완전 인생영화로 박제시켜버리네요. 다음주까지 또 헤어나지 못하겠네요😁😁😁
@pearl1015
@pearl1015 Жыл бұрын
저두요... 예전에 볼 때도 질문이 많은 영화라고 생각했는데, 지선씨네마인드를 보고 그냥 제 인생 영화하기로 했습니다...
@junjangsoh
@junjangsoh 2 күн бұрын
밀양에 딱 어울리는 영화
@user-dx2sf6wz4g
@user-dx2sf6wz4g Жыл бұрын
어제 본방 보면서 굉장히 제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이었던거 같아요. 평소에 자주 무심코 쓰는말이 상대방에게 얼마나 큰 상처를 줄 수 있는지도 생각해봤구요. 지선씨네마는 단순한 영화리뷰를 넘어서 정말 영화를 철학적으로 보게 되는 계기가 되어서 너무 신선하고 좋아요!!
@whoru528
@whoru528 Жыл бұрын
이런걸 보고 자기자신을 반성할수있다는것 자체가 굉장히 좋은 분이라고 생각되네요 ㅎㅎ
@user-tt9vo2bm4c
@user-tt9vo2bm4c Жыл бұрын
송강호와 전도연은 극명한 성격의 두사람을 보여주는 것 같다. 소신있고 자신의 기준이 명확한 사람과 그렇지 못하고 주변의 말이나 분위기에 휩쓸리는 사람. 자존감이 강한 사람과 자존심으로 버티려 하는 사람.
@user-dn7gv3eb8q
@user-dn7gv3eb8q Жыл бұрын
저는 신애가 교도소에 가는 장면은 사실 '용서'를 하러 간 것보다도 용서를 위한 '사과'를 받으러 갔다고 생각했어요. "사람 죽이고 미안하다고 하면 다에요?"라는 대사에서 신애가 사과를 받지 못했다는 것을 떠올렸거든요. '잘못을 뉘우치고 죄를 고백하면 하나님이 너를 용서해 주실 것이다'라는 말처럼, 그가 잘못을 뉘우치고 용서를 구하기를 기대한거죠. 그런데 "하나님께서 저를 용서해 주셨습니다"라니.... 얼마나 절망적이었을까요. 사람을 치지 않아도 '미안'하고 사과 받는 사람이 용서할지 말지 결정할 수 있는건데, 아들을 잃고도 사과조차 받지 못하고 앞으로 받을 수도 없다는 것이..
@sohyunpark3968
@sohyunpark3968 Жыл бұрын
우와 변감독님 직접 등판 ㅎㅎㅎ 말도 재밌게 하시는데 옆에서 바로 비하인드 스토리도 들을 수 있겠다 너무 기대됩니다! 밀양도 잘 보았습니다. 저도 간섭과 강요가 없는 사랑이 정말 찐사랑이라고 생각해요. ^^
@user-vc3en7qy8f
@user-vc3en7qy8f Жыл бұрын
크게 동감합니다. 경계가 없는 사랑은 폭력입니다. 지켜봐주는 사랑이 진짜네요
@goen1213
@goen1213 Жыл бұрын
강요까지는 아니지만 간섭정도는 있어야지 그게 아예 없다면 아첨하는 십상시랑 다를게뭐임 부모가 자식을 괜히 혼내키고 싶어서 혼내키나 결국 영화에서도 그렇고 간섭없는 사랑의 결말에 해피 엔딩은 없음 인간은 서로의 삶에 간섭하고 간섭당하며 살아감에 서로보완하며 잘살아갈수 있다고 생각함
@user-hf4ft5cw4b
@user-hf4ft5cw4b Жыл бұрын
사랑하는 이가 위험한 길로 가는 경우에는 간섭을 하는것이 사랑이겠죠. 그런데 그 간섭이 진정으로 상대를 위한것이 맞는지, 그 간섭이 상대가 필요로 하는 것이 맞는지는 스스로 고민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상대가 원치않는 간섭은 폭력이 될수 있으니까 어느정도의 거리는 필요하죠
@jele3438
@jele3438 Жыл бұрын
와...마지막 시크릿션샤인이..대박이네여 진짜 캐릭터심리뿐만아니라 영화에 숨겨진 내용이나 의미도 진짜 잘캐치하시고 해석도 너무 좋으심ㅠㅠㅠㅠ화차도 진짜 기대되네여!!!!!
@choiok2000
@choiok2000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우리나라에 이만한 영화가 없다. 내가 뽑은 최고의 영화. 마지막 장면에 마당에 비친 한조각 햇빛은 내 삶의 빛이자 나 또한 누구의 은밀한 빛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동시에 들게 했다.
@min5932
@min5932 Жыл бұрын
영화 후반부에 신애가 미용실에서 살인자 딸을 만나 머리를 자르는 장면도 인상적이였는데... 신애와 살인자 딸 둘 다 피해자이면서 불편한 사이인데 머리를 잘라 주면서 눈시울이 붉어지는 살인자 딸과 신애 모습을 보고 저도 같이 눈물이 왈콱했는데ㅠㅠ 그 장면의 심리 해석도 해주셨으면 했는뎅...
@ssum1790
@ssum1790 Жыл бұрын
공감에 대해 교수님이 설명해줄때 왜인지 눈물이 핑 돌더라구요 누군가에게 그런 공감을 해줄수 있는 따듯한 사람이 되고 싶어요 영화로도 인생을 배우고, 무지해서 모르고 지나쳤던 깊은 뜻을 교수님 덕분에 다시 배울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감사드립니다
@sjna3493
@sjna3493 Жыл бұрын
딸이 신애가 온 방향을 거슬러 올라가는 장면 지적하실 때 정말 놀랐어요 역시 날카로우심
@movi2talk
@movi2talk Жыл бұрын
은 영화 연출의 교과서 같은 작품입니다. 이창동 감독은 관객들에게 무엇을 보여주고 들려줄지와 중요치 않은 것을 최소화하는 선택과 집중에 있어 최고의 역량을 지닌 연출자입니다. 이 영화에서는 대표적으로 살인을 저지른 범죄자가 왜 그런 짓을 벌였는지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단역 경찰의 대사 한마디로 상황을 정리하죠. 이 영화는 영화감독을 꿈꾸며 공부하는 이들이라면 꼭 봐야 한다고 생각해요.
@yck514
@yck514 Жыл бұрын
큰 결심을 하고 찾아간 범인에게서 "나는 신에게 용서 받았다"는 말을 듣고 얼마나 어이가 없고 화가 났을까... '그걸 니가 왜 결정해?' '신이 대체 뭔데 누구맘대로 내가 용서하기도 전에 용서해?' 이런 마음이 들었을듯.. 사실상 용서하려 했다는 것도 진심으로 용서한게 아니라 그렇게 믿고 싶었기에 자기최면을 건 게 아니었을까.. p.s. 종찬은 정말 빛이군요.. 한밤 중에 다시 전화거는 씬 너무 서윗하다
@user-jg3hq7ob1w
@user-jg3hq7ob1w 23 күн бұрын
기독교 믿는 사람들은 살인범을 하느님이 용서했다면.. 하느님이 용서했으니깐 천국간다고 생각할까요?
@user-vg8pz9ye6y
@user-vg8pz9ye6y 17 сағат бұрын
하느님이 있음 진짜 용서했을까.. 용서했어도 아니되는 범죄자.. 하느님도 용서하면 안되지..
@user-uy8su5su8d
@user-uy8su5su8d Жыл бұрын
밀양을 여러번 봤지만 종찬의 사랑이 이토록 절절하게 다가온건 처음입니다 눈이 뜨거워지는 감동..
@user-vc3en7qy8f
@user-vc3en7qy8f Жыл бұрын
송강호라는 분을 잊고있었네요. 깊은공감이라는 것이 어떤의미인지 잘 몰랐는데 마음이 숙연해지네요. 살면서 나를 공감해주는이 저도 잊지않고 기억하면서 살겠습니다
@gkszjq
@gkszjq Жыл бұрын
시어머니가 눈물 안 흘리냐고 윽박질렀을 때부터, 정서적 폭력에서 물리적인 폭력까지 어마어마했어요. 범죄자의 철면피같은 모습에 화가 나기도 하고, 피해자 가족을 보며 가슴 아팠어요. 지선교수님 말씀 듣고 보니, 시크릿 선샤인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게 됩니다.
@user-kh2xw3vw1b
@user-kh2xw3vw1b Жыл бұрын
지선교수님이랑 장도연님이랑 케미 너무 좋아요! 보는 사람도 편안해지는 느낌ㅎㅎ
@user-hj8ej7bf5c
@user-hj8ej7bf5c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너무 좋았어요 ㅠㅠ 이 프로그램 진짜 오래오래 보고 싶네요.
@user-nowhere
@user-nowhere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 소설 읽고 충격 받았던때가 생각나네요. 영화로 만들어졌을때 이걸 어떻게 만들까 궁금했는데 영화도 너무 잘 만들어져서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 더불어 소설보다 더 보고있기 힘든감정도 들었어요. 지선교수님 따뜻하고 날카로운 분석 너무 좋아서 매번 기다립니다. 다음 화차도 기대할께요. 변영주 감독님까지 오신다니 최곱니다!! 아!! 그리고 지선교수님 너무 귀여우세요!!^^
@justicefora11
@justicefora11 Жыл бұрын
나도 교회 다녔지만, 이 영화는 기독교 교리의 본질을 꿰뚫는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악행에 면죄부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위선으로 가득한 참 악마를 키워내는 교리. 모든 사람이 죄를 범했다는 편리한 일갈로 자신의 악의 본질을 맞닥들이지 않도록 도와주죠.
@sokim6946
@sokim6946 Жыл бұрын
와우 👏👏
@user-lo3jt4hw8i
@user-lo3jt4hw8i Жыл бұрын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상처를 치유받고 평안을 누리기를 원하십니다 예수님 안에서 그것이 가능하다고 하셨지요 예수님 같은 한결같은 종찬의 사랑으로 신애가 점차 치유되어 가는 걸 보면서 뭉클했습니다
@user-bk2bl6fz8e
@user-bk2bl6fz8e Жыл бұрын
@@user-lo3jt4hw8i 교도소 면회장면은 이악물고 모른척 ㅋㅋ
@user-dm3cb8xh6g
@user-dm3cb8xh6g Жыл бұрын
@@user-bk2bl6fz8e 종찬은 구원받았다고 자위하며 그 상태에 취한 것이라고 생각해요 스스로 저런 언행을 하면 당장 자기 마음이 편하고 전이랑 다른, 뭐라도 된 것 같은 기분을 주니깐요 만약 부처가 저런 범행을 저지른 뒤에 비로소 불심을 알았더라면? 같은 상황에서는 저런식으로 말하지 않았겠죠 애초에 참 종교인도 못됐던 겁니다
@sorryforholy9093
@sorryforholy9093 Жыл бұрын
@@user-dm3cb8xh6g 너무 자의적인 해석 아닌지? 모든 사람이 자기같아야 한다고 믿을 수밖에 없는 불쌍한 시야네요
@seul22222
@seul22222 Жыл бұрын
와 사실 진짜 종찬의 역이 정말...? 왜 저 역을 송강호씨가 했지? 라고 진짜 이 비극적인 영화에 왜 감초역할이 있는거지 했는데... 오후의 햇살같은 존재였네요.. 오늘도 배우고 갑니다. 교수님! 최고에요 👍
@user-kq3vx2el9t
@user-kq3vx2el9t Жыл бұрын
지선교수님의 설명을 추가하니 영화가 더 빛나게 보이네요~~~ 다양한 영화 많이 많이 지선교수님 시선으로 전해주세요.
@user-vc3ht3ml7d
@user-vc3ht3ml7d Жыл бұрын
박지선 교수님 인생 영화가 될만한 작품이네요. 지선씨네마인드를 보면서 용서와 반성, 말에 전달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밀양, 다시봐도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해요. 잘 다뤄주셔서 감사해요 교수님 배우님~~
@hirahira0o0
@hirahira0o0 Жыл бұрын
평소 좋아하지도 않았던 영화를 흥미롭게 보게 만드는 지선교수님 당신은 정말..❤️❤️
@yeulyson4693
@yeulyson4693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본 방송이었는데 진짜 혀를 내두를 정도로 너무 재밌었어요!
@mypotatokyo
@mypotatokyo Жыл бұрын
신에게 용서받았다고 평안한 표정으로 말하는 범인에 충격받아 기절하는 신애를 보고 가슴이 칼로 찌르듯 아팠고..순수하고 착한 씨크릿 썬샤인 종찬을 정리해주신 장면보고 울컥하네요..
@user-tc3yr2tj3e
@user-tc3yr2tj3e Жыл бұрын
밀양 영화를 보면서 오랫동않 머리에 남았는데 이렇게 해석해주시니 너무 반가워요~ 무엇보다 전도연이라는 배우에 너무 몰입하게 해준 영화이기도 하구요~ 다음주도 기대하며 볼게용~!!! 흥해라, 지선씨네마인드~~~^^
@karahanabi
@karahanabi Жыл бұрын
종찬에 대한 교수님의 해석에 마음 뭉클해집니다. 진짜 좋은 사람이네요. 그나저나 다음 영화는 화차라니 ㅠㅠ 제가 제일 좋아하는 소설이기도 하고 영화이기도 해서 기대됩니다!!
@MINDONG
@MINDONG Жыл бұрын
지선교수님 진짜 다방면에서 너무 분석을 잘하고 몰입감이 대단하세요!!
@daeheungad
@daeheungad Жыл бұрын
이 영화는 내용도 내용인데 전도연, 송강호 배우님이 왜 대한민국 최고의 배우들인지 알 수 있었던 영화였습니다 지선씨네 마인드 리마인드편도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mhsuh1590
@mhsuh1590 Жыл бұрын
정서적 공감에 대한 말씀 마음깊이 새깁니다. 저도 아이가 힘들때 온전한 정서적 공감 못했던것이 반성되네요. 저도 아이 포함 주변인들에게 시크릿 선샤인이 되도록 노력할게요. 좋은 프로그램 만들어주신 박교수님 포함 제작진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Жыл бұрын
지선씨네마인드 보려고 밀양을 봤는데요 솔직히 제 스타일은 아니고 그냥 그랬는데 확실히 교수님의 말씀을 들어보면 공감과 감동이 밀려와서 너무 좋아요♡ 사랑해요
@sidoniemoe1846
@sidoniemoe1846 Жыл бұрын
설명해주시면서 잠깐 나오는 장면들 만으로도 너무 마음이 아팠어요. 저도 종찬 같이 기다려주는 사람이 되고싶어요
@user-bn3dx1tc7z
@user-bn3dx1tc7z Жыл бұрын
이창동 감독님 심리묘사를 참 잘하시는거 같아요 버닝도 잼있게 봤어요
@user-bq1mz1nz8h
@user-bq1mz1nz8h Жыл бұрын
오늘 내용 너무 감동이에요...... ㅠㅠ
@cpbycp
@cpbycp Жыл бұрын
전에 밀양을 볼 때는 신애에게만 몰입했었는데 박지선 교수님 덕에 종찬이라는 캐릭터도 이해하게 되었어요
@ReadingTheStar
@ReadingTheStar Жыл бұрын
이태원 참사 사건 후 거기 갔기에 죽은 거고 그 누구도 책임질 수 없는 사건이라고 목소리 높이는 사람들을 보며 고인과 유족, 피해자에 대해 사회가 공감하지 못하고 비난하는 거 같아 마음 아팠습니다. 그 와중에 교수님의 탁월한 밀양 분석을 보니 마음이 먹먹해지네요. 밀양의 종찬은 결국 피해자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이 아니였을까 싶습니다. 우리가 종찬처럼 가슴 아파서 무너지는 피해자에게 공감해주고 살게 해주는 비밀스런 빛이 되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피해자와 생존자에게 옳은 소리랍시고 비난할게 아니라 당장은 느끼지 못할지라도 숨 쉴 구멍을 줄 수 있는 빛, 때로는 감정적으로 흥분하여 말이 안되는 요구를 하더라도 들어주고 공감해 주는 것, 지금 그것이 가장 필요한 때가 아닌지요.
@zz-xc2dr
@zz-xc2dr Жыл бұрын
이태원 참사에 대해 사회가 공감을 하고 애도를하는 것과 왜 나라가 보호해주지 못했냐고 비이성적인 소리하는건 다른문제죠 개인의 선택에 의해 놀러가서 봉변을 당한건데 부모가 최우선순위 보호자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요
@user-kk5gb5mz7n
@user-kk5gb5mz7n Жыл бұрын
밀양은 벌레이야기라는 518 국가폭력에 관한 단편을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user-si2si5hh7z
@user-si2si5hh7z Жыл бұрын
이태원 사고는 안타까운 사고인 것은 맞지만 언론에서든 각 지자체에서 사망사고를 희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잘못 되었다고 봅니다. 그들은 다른 누구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애쓰다가 사망한것인 아니기에 그저 자신들의 시간을 즐기러 이태원에 갔다가 안타까운 사고로 인해 사망한 사고를 희생이란 단어를 이런 사망사고에 사용하는것은 분명 문제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이태원 사망사고에 대해선 그렇게 안타까워하고 합동분향소까지 마련해놓았는데, 백신피해자들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이렇게까지 애도를 했었는지... 참... 문재인 정권에서 백신이 안전하다고 맞으라고 문재인부터 장관들까지 책임진다고 맞으라고 언론에 계속 얘기하고...게다가 백신주사를 권유가 아니고 강제하였죠. 겉으론 권유인것처럼 보이게 했지만 백신을 맞지 않으면 직장을 잃을수도 학교에서도 학원더 못가고 식당도 못간다고 협박해서 맞기 싫어도 백신을 맞는 사람들이 많았고 그 가운데 건강하던 사람들이 성별 나이 관계없이 수천명의 무고한 시민들이 백신접종으로 갑자기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이런 심각한 문제에 언론은 거의 침묵하다시피 했었는데... 언론의 편파적 정치적 보도행태가 심각합니다.
@Kititaka
@Kititaka Жыл бұрын
‘피해자와 희생자에게 옳은 소리랍시고 비난할게 아니라‘ 이 문구 읽고 댓글 다신거 맞는지.. 공감이 안되고 이해가 안되면 그냥 닥치고 있음 됩니다;
@user-zp1if8hn3i
@user-zp1if8hn3i Жыл бұрын
4시간전의 첫신고 80여 건의 신고가 적절한 대응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보고체계의 구멍과 안전스시템의 허술함을 보여줬기때문에 국민들이 분노한 겁니다.
@ericakim503
@ericakim503 Жыл бұрын
헉 화차 너무 좋아하는 영화인데 감독님까지 나오신다니!!! 너무 기대돼요!! 지선씨네마인드 영화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너무 재밌게 보고있어요!!
@woojunero6698
@woojunero6698 Жыл бұрын
이창동,,,이분은 한국영화를 뽕짝수준에서 클래식수준으로 끌어올리신 분!!!!!!
@user-dn5of7hw9o
@user-dn5of7hw9o Жыл бұрын
그닥. 난해한 영화만 만들어서 정신세계가 궁금함.
@wutherland374
@wutherland374 Жыл бұрын
@@user-dn5of7hw9o 누구나 다 쓰레기 조폭영화만 만들순 없잖아요. 알고보면 그게 비상식적인 상식이죠. 쓰레기 영화만 보는 관객들이 많은게 문제지만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Жыл бұрын
너무 영화를 양분하진 않았으면. 저는 이창동도 좋고 류승완도 좋거든요ㅎ 여튼 저도 이창동 감독님 팬입니다 어른이시죠
@Marin.27
@Marin.27 Жыл бұрын
영화를 보면서 뭐지..? 싶었던 부분들을 정확하게 콕콕 집어주시니까 제 시각이 한층 넓어지는 느낌이예요 너무너무 잘 봤습니다 다음편도 넘 기대돼요!
@rica119
@rica119 Жыл бұрын
평소 밀양을 인생영화 중 하나라고 생각하고 있으면서도.. 이렇게나 디테일하고 많은 뜻을 품고 있는 줄은 몰랐습니다. 너무나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macchoi2
@macchoi2 Жыл бұрын
오늘봤는데 분석을옆에서해주시니깐 귀에쏙쏙.잘봤어요^^
@user-fv9yw1ct6h
@user-fv9yw1ct6h Жыл бұрын
생각할 거리가 많아서 좋아하는 영화인데 분석하면서 보니까 더 좋네요
@jarim2
@jarim2 Жыл бұрын
처음 이 영화를 접하고 한동안 많이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힘듦을 흘려보내고나니 인생영화가 되었고 주기적으로 꺼내보았던 영화에요. 아주 오랜만에 리뷰로나마 다시꺼내본 밀양은 여전히 눈물이 나네요
@user-zh9nj2dd2w
@user-zh9nj2dd2w Жыл бұрын
밀양...정말 좋아하고 여러번 본 영화인데 교수님덕에 더 많은것을 보게되고 느끼게 된 것 같아요. 오늘 한번 더 봐야겠어요! 장도연님과의 케미도 좋고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For0009
@For0009 Жыл бұрын
진짜 전도연 연기는 명품이다
@luc4416
@luc4416 Жыл бұрын
씨네마인드 너무 재밌어서 진짜 좋아하는데.. 오늘은 정말 기존과는 다른느낌으로 몰입 천만프로 ㅠㅠ 또 갬동 한바가지 먹고 갑니다.. 크….
@jennykim9761
@jennykim9761 Жыл бұрын
그알 제작진 분들 그리고 지선 교수님 정말 이런 좋은 컨텐츠 만들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정말 좋아하는 훌륭한 작품 중 하나인데, 항상 의구심이 있었던 종교에 관한 부분을 이렇게 깊은 통찰과 심리학적인 시각으로 해석해주시다니요. '내가 용서하지 않았는데 하느님께 이미 용서를 받았다'고 유괴범이 신께 감사드리는 장면은 정말 충격적인 씬이었는데... 인간이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종교의 역설 혹은 모순적인 부분을 제대로 보여주는 장면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편은 정말 개인적으로 감동 받아서 답글을 안 남길 수가 없었어요.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Жыл бұрын
이정향 감독의 도 주제의식이 비슷하네요~~
@woo8872
@woo8872 Жыл бұрын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두분과 제작진 모두 감사해요❤
@user-br9hf1st4w
@user-br9hf1st4w Жыл бұрын
화…화차??? 변감독님까지??? 와 담주까지 어케 기다리냐ㅠㅠㅠ 내 최애영화인데 이 프로그램이랑 찰떡인듯ㅠ
@user-qs5dp9dx9m
@user-qs5dp9dx9m Жыл бұрын
진짜 제 인생영화 밀양ㅠㅠ 박지선 교수님과 함께 볼수 있다니 너무 좋아요.....
@dannyan3841
@dannyan3841 Жыл бұрын
와 이시간에 새영상인데, 그것도 밀양이라니.. 진짜 너무좋다..
@yay9209
@yay9209 Жыл бұрын
밀양이랑 화차 꼭 해달라고 댓글 남겻던 1인인데요ㅠ 너무 감사해요... 역시 범죄 심리학에 흥미있는 분들은 분들은 영화 취향이 다 비슷한가 봐요!
@ALVG01
@ALVG01 Жыл бұрын
기다렸어요😂❤
@Rebecc4choi
@Rebecc4choi Жыл бұрын
미쳤다. 믿음에 대한 풀이 너무 소름돋아요. ㅠㅠㅜㅠ
@Hawaiian_pizza_jhonmat
@Hawaiian_pizza_jhonmat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해서 여러번 본 작품인데 교수님의 시각으로 보니 제가 몰랐던 부분이 많네요 ! 날카로운 분석에 진짜 소름이,, 역시 종찬역에 대한 찬사가 많네요,, 누군가가 제 이상형이 뭐냐고 물어보면 밀양의 송강호라고 답할 것 같아요,,💙
@user-hv4uv6nf8s
@user-hv4uv6nf8s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영화보고, 송강호의 사랑이야말로 진정한 사랑이라는 생각이 들었었어요. 늘 한발짝 뒤에서, 어떤 강요도없이..
@user-ks9yu5bq5u
@user-ks9yu5bq5u Жыл бұрын
찐사랑 맞는거 같아요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Жыл бұрын
한걸음 뒤에 항상 있는
@user-jl9zi1hd4s
@user-jl9zi1hd4s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마를 탁치고 갑니다..존경합니다~
@doroccia962
@doroccia962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영화 너무 좋아 하는데 교수님 디테일한 해석에 감동했어요~😊
@s321111
@s321111 Жыл бұрын
슬픔을 누군가에게 강요하는 것은 아직까지 흔한 일 인것 같습니다. 가까운 사람의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돌아가시고 눈물도 보이지 않았던 어머니가 얼마 안 있다가 다른 집으로 이사를 가는 등의 행위를 보고 제 주변의 어른들께서 이상한 사람이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냐는 등의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 가족의 삶이 어땠는지도 모르고 그녀의 심정이 어땠는지도 모르면서 어떻게 그렇게 말을 할 수 있는지 참 가슴아픈 광경이었습니다. 물론 저도 그 가족의 사정을 알 수는 없었지만, 그런 주제에 참지 못하고 몇마디 해버리고 말았던 것을 후회하고 있습니다.
@user-yl5sf2cs7x
@user-yl5sf2cs7x Жыл бұрын
밀양 나한텐 유명하다고 유명한 영화였는데 이런 내용이었구나.. 이 감독님의 영화는 참 하나하나 알수록 흥미롭고 깊이가 남다른듯 싶어요
@user-re6js6zl2p
@user-re6js6zl2p Жыл бұрын
결국.... 이번 편에 이르러는 지선님께 애정마저 느낌..... 이거 정말 절대적으로 반드시 기어코 무슨 일이 있어도 계~~~속 쭈욱~~~~해주셔야 합니다!!!!!!!!
@user-ec6ik4xw8u
@user-ec6ik4xw8u Жыл бұрын
정말 가슴이 먹먹해지는 영화 밀양..... 지금도 너무 다양한 감정들이 뒤섞입니다
@user-ramizzang
@user-ramizzang Жыл бұрын
화차..너무 기대돼요ㅠ 제 인생영화... 항상 애써주셔서 감사해요!!!!!
@user-sz7gj4th4g
@user-sz7gj4th4g Жыл бұрын
이창동 감독님의 묵직한 주제와 완벽에 가까운 디테일 최고입니다
@Ykay-ip8nc
@Ykay-ip8nc Жыл бұрын
우와.. 밀양…교수님의 해석이 참 따뜻하네요.
@user-ni3os4wp4t
@user-ni3os4wp4t Жыл бұрын
와 밀양이 종찬이라는게 정말.. 소름끼치는 해석이네요. 오래오래 보고 싶은 프로그램...!
@user-hf5zp8gc4h
@user-hf5zp8gc4h Жыл бұрын
박지선 교수님의 분석도 대단하지만 자연스럽고 진심으로 공감해주는 장도연님도 대단하다
@ohsorry5763
@ohsorry576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많이 기대한 회차인데, 잘 봤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종찬을 제외한 신애의 주변인들도 소름돋았습니다. 내 아들의 장례식에서 언성이 높은 시어머니, 범죄자의 말도 안되는 자아도취를 듣고나서 멀쩡하다고 생각했던.. 신애가 가까워 하고 싶어했던 인물들,신애가 가까워야 했을 사람들은 마치 방관자처럼 느꼈습니다.
@namyoon7137
@namyoon7137 Жыл бұрын
처음 밀양을 극장에서 보고 나왔을때 거의 몸살을 앓듯이 힘이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전도연 배우의 연기에 너무 몰입해서 그랬던 걸까 영화를 보고 이정도로 힘들었던 적이 처음이라 스스로도 당황했었습니다 오늘 지선님의 해석을 들으면서 좀 더 장면장면에 대한 이해가 되어서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사실 저는...전도연 배우가 스스로 목숨을 포기하려다 마지막 힘이였는지 본능이였는지 살기위해서 뛰쳐 나올때...차라리 삶을 멈추는게 낫지 않을까 생각 했었어요 주인공의 괴로움이 너무나 커서 살아내는 것이 너무 힘들어 보여서 그장면에서 저도 많이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Жыл бұрын
안됩니다 자살은.
@user-fz1wv5pg6m
@user-fz1wv5pg6m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
@user-wf3up9ej2k
@user-wf3up9ej2k Жыл бұрын
와 저렇게도 해석이 된다는게 신기할 따름이네요,, 정말 귀중한 시선 잘봤습니다. 앞으로도 너무 기대되요!
@yuulee6085
@yuulee6085 Жыл бұрын
사실 아직 밀양을 안 봤었는데 이렇게 장면을 곱씹고 이해하고 분석해주시는 영상을 보니 왜 일찍이 이 영화를 보지 못했을까 아쉬운 마음이 드네요 이번 주말에 꼭 제대로 봐야겠어요! 다음주 예고는 화차!!!! 정말 여러 번 되풀이해서 봤던 최애 영화 중 하나인데 교수님과 도연님, 게다가 감독님까지 함께 보면서 얘기 나눌 수 있다니 너무 설렙니다 다음주도 본방사수~~~
@LeadingWorshiper
@LeadingWorshiper Жыл бұрын
보셨을까요
@waku9waku9
@waku9waku9 Жыл бұрын
저는 밀양을 보지 못했는데, 오늘 이 방송을 보면서 눈물도 나고 화도 나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영화를 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심지어 실화를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을 가져와 영화로 만들었다 하니... 꼭 봐야겠네요. 오늘 방송도 잘 봤습니다!
@gy7236
@gy7236 Жыл бұрын
드디어 화차… 감독님까지 직접 모시고…! 1시간이라도 다 볼테니 자세하게 부탁드려요ㅠ
@0723julia
@0723julia Жыл бұрын
아 ㅠ 이번거는 본방사수 못하고 결제해서 다시보기로 봤는데요..ㅠ밀양은 영화자체로 마음에 울림을 주는거같네요 ㅠ 그리고 지선교수님의 종찬에 대한 시선. 단 한번도 생각해본적없었는데 종찬이 밀양이었군요..새삼 주위에 늘 있어주는 감사함에 대해 잊고사는건 아닌지 돌아보게되었습니다
@oct4rin
@oct4rin Жыл бұрын
‘벌레이야기’라는 원작 소설이 있습니다. 학교에서 나눠준 문학집에 있어서 우연히 읽게 되었는데 읽을 당시, 종교의 모순, 범죄와 피의자와 피해자의 심경을 철학적으로 생각할수 있게 해줬습니다. 정말 소름이 돋았던 작품이예요.
@sosohye
@sosohye Жыл бұрын
너무도 좋아하는 밀양을 좀 더 알게된 것 같아 정말 좋네요 👍🏻👍🏻👍🏻👍🏻
@youme4155
@youme4155 Жыл бұрын
이청준의 벌레이야기를 먼저 본 뒤 밀양을 봤는데… 실제사건이 모티브였는지는 몰랐네요…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소설과 영화라서 여운이 깊게 남는 작품들입니다….
@hasungah
@hasungah Жыл бұрын
이런 좋은 방송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오늘 같이 힘든날 보니 이 방송이 빛이 되네요
@user-qf8sc7bp2s
@user-qf8sc7bp2s 11 ай бұрын
박지선 교수님이 풀어주시는 영화 너무 좋네요.. 얼마 전에야 알게 되어서 아껴서 봅니다 감사해요
@user-ez6ym6th1v
@user-ez6ym6th1v Жыл бұрын
오늘 회차 너무 좋았어요 지선씨네마인드 오래오래 보고 싶어요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New Gadgets! Bycycle 4.0 🚲 #shorts
00:14
BongBee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60 МЛН
When someone reclines their seat ✈️
00:21
Adam W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Funny kid and Dad #shorts #funny #viral #comedy #youtubeshorts
0:15
mountainlion5
Рет қаралды 85 МЛН
Самолёт Падает! Но Осталось 2 Парашюта... @NutshellAnimations
0:35
#улыбнись #прикол #ржака #юмор
0:30
Валентин Макаров # MakaroviLaif #
Рет қаралды 911 М.
#фильм #кино #фильмы
0:50
MOVIE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ТИПЫ людей , когда попросили ПОДЕЛИТЬСЯ 😂 #школа #прикол
0:37
Школьники в тюряге 😂 #сериал #тренды
0:55
Топ по Ивановым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