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과 건축의 백미, 미륵사지 석탑 /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53,798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10 жыл бұрын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www.ytnscience.co.kr/program/p...
동양 최대의 규모를 자랑하는 미륵사지 석탑.그것은 새로운 기술이 가져온 문화의 대발견이었다.석탑의 해체 과정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이 낳은 놀라움.그곳에 새겨진 글자 속에는 우리가 아는 선화공주는 없었다.수십년에 걸친 대 복원 프로젝트 속에 미륵사지 석탑을 둘러싼 백제의 잊혀진 역사.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됐다....

Пікірлер: 95
@user-yq1my1yq9b
@user-yq1my1yq9b 3 жыл бұрын
참으로 웅장함과 정교함 쌔련미까지 갖춘 세계에서는 찾아볼수없는 유일 무이한 문화제요 예술작품을 대하니 내 마음이 다웅장해지고 대견스럽다
@jamesroh5996
@jamesroh5996 5 жыл бұрын
문화강국 백제...한국인의 DNA에 살아있습니다
@user-xt2nj4cx8n
@user-xt2nj4cx8n 4 жыл бұрын
🇰🇷영상감사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당래하생 미륵존불_🙏🙏🙏_
@user-du7tt7xg4z
@user-du7tt7xg4z 4 ай бұрын
당신보다 아름다운 건축물을 나는 본 적이 없었습니다
@SeoulMetropolitan
@SeoulMetropolitan 5 жыл бұрын
정말 복원 잘했어요.. ㅜㅜ; 너무 예븜..
@leegkdkak
@leegkdkak 3 жыл бұрын
진짜 아니 온라인수업떄문에 왔는데 40분 ??
@user-nt9oi8qf6s
@user-nt9oi8qf6s 6 жыл бұрын
10분55초 영상쪽... 황룡사지인데요
@azure397
@azure397 3 жыл бұрын
미륵보살이 45억년후에나 오겠다는건 걍 안오겠다는 소리아니냐!!!!
@finnokio
@finnokio 3 жыл бұрын
6:47
@user-wg6vz6sx1y
@user-wg6vz6sx1y 3 жыл бұрын
앞으로 이런 것은 지내 온 역사 그대로 나두고 새로운 곳에 별도로 만드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자연 그대로의 역사도 그렇고 일제가 했던 짓을 증거로 남기는 것이...역사인데...
@finnokio
@finnokio 3 жыл бұрын
6:00
@user-uw7rq2gu7l
@user-uw7rq2gu7l 4 жыл бұрын
미륵아 참말로 기나긴 지옥이다 부디 코리아나가 불렀던 노래 가사 중에 그 가사가 맞길 사람으로 태어나 너무나 기나긴 고통에 빠진 운명이 한스럽다 염불속에는 맞지도않는 엿같은 것을 만들어 거짓으로 인간을 갖고 놀고 있으니
@user-hd3zo8gf7q
@user-hd3zo8gf7q 3 жыл бұрын
화질 좀
@user-gv3nc5nh7x
@user-gv3nc5nh7x 2 жыл бұрын
내 생각으로는 무조건 서동요 설화가 거짓이라고 할순 없는게 미륵사는 3탑 3금당으로 이루어진 3원식 사찰이라서 사택씨 가문의 후원으로 완공된 서쪽부분을 제외하면 나머지 동쪽과 중앙 부분은 다른 후원자가 있다는 얘기일수도 있음 동탑과, 중앙의 목탑은 사라졌지만 거기에도 서탑과 같은 사리봉영기나 사리장엄구 같은게 분명이 있었을 것이죠 나머지 부분 중 한곳을 선화공주쪽에서 후원했을지도 모르죠~
@napleongyi4266
@napleongyi4266 4 жыл бұрын
230억원 들여서 4면이 대칭인 탑을 저리 복원한 자체가 복원이라 할 수 없다.대칭은 한 면만 알아도 네 면을 알수 있는것인데 저
@user-jx9tq9sw5n
@user-jx9tq9sw5n 2 жыл бұрын
처음 보이는 영상은 왕궁리오층석탑임. 내용인 즉 미륵사지 석탑을 올려 놓는 것이 좋을 듯 생각됩니다. 복원된 동탑보다는 서탑의 모습이 더욱 좋겠지요.
@jsy1851
@jsy1851 Жыл бұрын
사리장엄 뚜껑딸때 유물그대로 발견된건 다들 무령왕릉 발견이상으로 다들 전율했을듯
@user-sy8ek1qr1k
@user-sy8ek1qr1k 5 жыл бұрын
요즘은타워형 아파트가 석탑
@Judsking3922
@Judsking3922 2 ай бұрын
미륵사석탑에 일제강점기때 시멘트로 무너지는것을 방지하기위해 바른것을 수난이라고 하는데 그렇게하지않았으면 과연 버텼을까. 당시 우리나라 즉 나라도없는 상태에서 문화재를 보존했을까.
@user-uw7rq2gu7l
@user-uw7rq2gu7l 4 жыл бұрын
아미타야.어디에서.영원히사는.것을.얻었는가.약사여래가.미륵에게.너처럼.그런힘을.얻기가.은하계.이쪽끝에서.저쪽끝가지.가도.만나기.어렵다고.했다 분명히.그런세계가.있다는.뜻인데.아.아.저것을.어떻게 얻지
@user-pc9ou7kh4x
@user-pc9ou7kh4x 6 ай бұрын
9층으로 복원하시지 ㅜ 남대문은 불에 홀랑타고서도 복원햇는데 아무도 국보1호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잔아요
@user-rq1gd1xv2j
@user-rq1gd1xv2j 5 жыл бұрын
재건축 미륵탑도 동탑처럼 9층으로 완성하였으면 좋겠습니다.하다기 중지한것처럼 보는 마음이 개운치 않습니다.
@iong1870
@iong1870 5 жыл бұрын
9층이 확실하지 않아서 서탑은 9층으로 복원하지 않는다고 들은거 같네요. 동탑 9층 복원도 확실하지 않다고 말이 나오는터라..
@user-bh8ks1pn5c
@user-bh8ks1pn5c 5 жыл бұрын
현재 고증이 가능한 곳이 6층까지므로 거기까지 복원하고 나중에 기록이 더 나오면 그에 따라 추가 복원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역사적 기록도 못찾은 상태에서 더 올리는 것은 사실에 입각한 역사가 아니라 추측에 의한 거짓역사가 되는 것이니까요.
@32rok16
@32rok16 5 жыл бұрын
복원은 상태를 유지하는 거지 새로만드는 게 아닙니다.
@user-sp1me1ek8q
@user-sp1me1ek8q 4 жыл бұрын
동경잡기에 9층이라 나오는데 뭐
@user-sm8ms4nd7n
@user-sm8ms4nd7n 4 жыл бұрын
1:50 저기 탑보면 왼쪽에 깎여있는데 일제때 일본인들이 복원시킨다고 시멘트 발라서 저래됨
@ranomu8606
@ranomu8606 3 жыл бұрын
원래 그 이전부터 대부분 다 무너져 있었어요 그리고 시멘트 떡칠도 그나마 최선의 선택이었구요
@user-sm8ms4nd7n
@user-sm8ms4nd7n 3 жыл бұрын
@@ranomu8606 그전부터 무너져있어서 일제가 시멘트발랐다는게 머 잘못된사실임?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 3 жыл бұрын
팩트) 오사카성도 시멘트로 복원한 놈들이다
@user-um4bi5vi2e
@user-um4bi5vi2e 7 ай бұрын
반 토 막 탑 보 기 싫 다 9 층 완 전 한 탑 으로 복 원 하 자😮
@soul-nw3tr
@soul-nw3tr 3 жыл бұрын
석탑의 구조를 보면 그 당시 건축양식을 알수 있을텐데 어떻게 됀게 복원이라고 해논게 전부 조선시대 건축물이냐고 고대 복식이 조선 시대와 삼국시대가 달 랐듯이 건축양식도 다를 텐데 복원이라고 해논것들이 저 모양이냐고
@user-rw6rf6xo6j
@user-rw6rf6xo6j Жыл бұрын
수출 ~~ 농경 ~~
@spop7061
@spop7061 2 жыл бұрын
썸넬은 정김사지 5층 석탑인데..
@user-ig3wq2vp2f
@user-ig3wq2vp2f 4 жыл бұрын
백제는 주무대가 대륙이었고 한반도는 백제 속국 소국이 있었다 한성 웅진 부여 익산 나주 경주 평양 다 소국이 있던자리다 익산에 있던 소국이 지은 절이 미륵사
@user-eo3re9hq9c
@user-eo3re9hq9c 3 жыл бұрын
석탑만들 기술로 무기나 만들어 삼국을 통일하고, 북방으로 진출 했으면 . 좋았을 덴데 ...
@user-ei3xp9xr5o
@user-ei3xp9xr5o 4 жыл бұрын
복원을 할려면 다하것을 바란다
@user-uw7rq2gu7l
@user-uw7rq2gu7l 4 жыл бұрын
또 이 곳에 경찰이나 판사나 검사나 하여튼 사람을 잡아넣는이야 너희도 멀지않아 너희가 잡아넣은 사람들에게 잡혀간다 또 그 다음 사람 또 그 다음사람 왜 하.하
@user-rh9vz1if5m
@user-rh9vz1if5m 3 жыл бұрын
부처님..45억 뒤에 현생하는건 좀 아니지 않나요..
@user-gs5ck8bf2x
@user-gs5ck8bf2x 3 жыл бұрын
환생 그런것 없어요 56억7천8년후에 환생한다----->>>의문이죠?? 전오식=5 6 7 8 식 짜깁기 하면 56억 7천 8백만년후 미륵이란놈이 온다고 사기질 한겁니다 근데 유식학자놈들이 말장난 한걸 본다면 식+업을 만들지 않는것이 라는 것을 분명히 알 겁니다 그데 조놈 사기꾼놈들은 그런게 있다고 빡빡 우기죠 다 증명하라 하세요 소설 스지 말구요
@tv-er2np
@tv-er2np 11 ай бұрын
선화공주때 미륵사를 창건했다가 선화가 돌아가신후에 완성되었기 때문에 탑이 완성되었을때는 선화공주가 이세상에 없었기에 사택가문의 딸이 역할을 할수밖에 없다.
@user-by3bkby5hb2kg3
@user-by3bkby5hb2kg3 4 жыл бұрын
황궁터 가드에 매화나무를 사방심어라.사찰터가 대단하다,유적지를 발전시켜라,백제미륵사지를 완전복원못하면 사찰터 고증바탕으로 사찰을 다시세워라.백제신미륵사로 사찰을세우고 미륵사지앞에 백제탑사로 한옥식으로 31층 건물을 세우고 1층에 백제국역사 문화 장군들 개요,31층 전망대,2층에 기념품,
@user-uw7rq2gu7l
@user-uw7rq2gu7l 4 жыл бұрын
불교에서 모든 중들이 너희들에게 몇천년 동안 사탕발린말만하고 있는데도 동전 뒷면을 이야기하는 중들이 없으니 그래도 좋다고 히히하니
@metalkokorea
@metalkokorea 3 жыл бұрын
아니, 조선의 땡중들은 뭐한 거여. 저렇게 허물어지고 있는데, 지방 군수나 원님들은 기생들하고 노니라고 보수도 안했네요. 참나, 땡중들은 돈을 모아서 보수를 한던가.
@user-fh5zl7yx7i
@user-fh5zl7yx7i 2 жыл бұрын
선화공주 설화는 구라라고 본다 사리 봉안기 명문이 나왔는데
@seokinsong6154
@seokinsong6154 4 жыл бұрын
댓글 보니까, 친일파, 적어도 친일사관에 사로잡힌 자들이 몇몇 있네요.ㅎ
@user-uw7rq2gu7l
@user-uw7rq2gu7l 4 жыл бұрын
600백만불사나이야 네가 불교로가먼 600갑자 낭미화생당한 미륵인 줄 아무도 모른다 인간들
@user-ny8gy6ox2c
@user-ny8gy6ox2c 3 жыл бұрын
나는 국회? 정부? 아무도 않믿어! 그렇지만 정청장님을 비롯한 방역팀은 믿어 좀더 방역팀에 지원을 많이 했으면 하는바램.
@user-jb9fq1pw8t
@user-jb9fq1pw8t 3 жыл бұрын
석탑얘기에 엉뚱한 정치얘기를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5 жыл бұрын
솔직히 벽돌만들 기술이 없어서 석탑이 발전한거지...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님. 조선시대까지도 벽돌을 못만듬 ㅋㅋㅋ 오죽했으면 모전석탑을 만들었을까
@user-kh4be2sd2d
@user-kh4be2sd2d 5 жыл бұрын
아니 벽돌보다 어려운 기와도 만들었는데 설마
@user-so5we5uk4h
@user-so5we5uk4h 5 жыл бұрын
안동 가면 신라시대 전탑이 남아있음. 또 조선시대 궁궐, 가옥을 보면 온돌 굴뚝이 벽돌인데 뭔 소리임?
@seokinsong6154
@seokinsong6154 4 жыл бұрын
저기 실제 돌들 크기와 무게를 보시라. 집채만한 돌을 다양한 크기와 두께로 다듬고 깎아서 모양을 내고 균형과 안정감으로 쌓는 게 쉬운 줄 아시나? 우리나라 도자기 기술 아시지? 벽돌을 못 만들다니... 모전답 얘기하시는데, 돌을 벽돌처럼 만든 건데... 그건 쉽겠음?ㅎ
@seokinsong6154
@seokinsong6154 4 жыл бұрын
무령왕릉 아시지? 그게 벽돌무덤인데(제6호 무덤도 그렇고.), 중국 양나라 형식을 모방했다고 한다. 백제도 벽돌을 만들었다는 얘기다.
@sarang1
@sarang1 Жыл бұрын
@@seokinsong6154 양나라를 가본적도 없는 백제가 어떻게 모방한건지 이해 할수 없음 ㅋㅋㅋㅋ
@akakak7981
@akakak7981 3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콘크리트로 보강한건 당시 기술로는 최고이자 최선의 선택이었음
@user-oq7gj7wc7z
@user-oq7gj7wc7z 2 жыл бұрын
그냥 테스트 해본건데요 콘크리트는 그리스 시절에도 있던거요..신기술이 아님 유물복원에 사용한게 처음이라 남에꺼에 해본거지..
@user-rq1gd1xv2j
@user-rq1gd1xv2j 5 жыл бұрын
9층으로 마무리해라 ! 보기싫다.
@86maradohna37
@86maradohna37 5 жыл бұрын
원형 아니면 문화재 아니에요.
@Werner4voss
@Werner4voss 5 жыл бұрын
말투 개띠껍네 니가 하든가 그럼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5 жыл бұрын
미륵사지 봉안기에서 한국을 당황하게 한 것은 무왕의 왕비가 일본인이었던 사택씨였다는 점이지.
@seaseven9911
@seaseven9911 5 жыл бұрын
웬 일본인.. 무왕의 비는 좌평 사택적덕(沙宅積德)의 딸임. 사택은 백제 귀족(대성 8족)의 성이고
@user-es7me9bw7v
@user-es7me9bw7v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 백제시대 같은 사택씨의 '사택지적비'도 있다. 함부로 입 놀리지말고 공부 좀 해라, 자석아.
@Yyyyyyccj
@Yyyyyyccj 3 жыл бұрын
일뽕 검거
금관의 왕국, 비밀을 풀다 / YTN 사이언스
43:37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29 М.
백제의 혼이 서린 석조문화 / YTN 사이언스
49:30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75 М.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
World’s Deadliest Obstacle Course!
28:2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22 МЛН
돌아온 신라의 다리, 월정교를 걷다 / YTN 사이언스
41:01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13 М.
백제 역사를 새로 쓴, 무령왕릉 / YTN 사이언스
45:11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29 М.
iPhone 12 socket cleaning #fixit
0:30
Tamar DB (mt)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iOS 18 vs Samsung, Xiaomi,Tecno, Android
0:54
AndroHack
Рет қаралды 80 М.
Iphone or nokia
0:15
rishton vines😇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Нашел еще 70+ нововведений в iOS 18!
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