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user-tg6mn5xh9s
@user-tg6mn5xh9s 8 сағат бұрын
저는 불루베리 화분 밑에 축축하니깐 지렁이가 있더라고요 적정농도로 함 써 봐야겠네요 그래야 두더쥐피해도 막고요 상부 베리에는 영향이 없으니깐요
@jjh100
@jjh100 2 сағат бұрын
ㅎㅎ 네 ᆢ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랄께요 ᆢ^^*
@user-hf4dx8qb7z
@user-hf4dx8qb7z Күн бұрын
좋은정보감사드립니다!
@jjh100
@jjh100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o9pg8ct6b
@user-eo9pg8ct6b Күн бұрын
화분에개미때문 돌아버리겟네
@jjh100
@jjh100 Күн бұрын
네.. 붕산을 사용해 보세요 저는 백발백중인데 안죽는 다는 분도있어요.. 주는 방법에 문제가 있을겁니다 곤충이 일정량을 먹으면 죽게 되어있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r2ix6si2h
@user-nr2ix6si2h 2 күн бұрын
지렁이가 죽으면 안되잔아요 이런걸 올리면 ....
@jjh100
@jjh100 Күн бұрын
네.. 그렇죠...지렁이 죽으면 안되죠.. 무농약이 아니라면 집안 채소나 베란다 화분에 락스 대신 살충제를 사용 하시면됩니다.. 그러면 지렁이와 토양 미생물이 안 죽을까요? 그런것 죽이자고 만든것이 토양 살충제인데..ㅎㅎ 그런 농약을 대신해서 인체에 피해가 없는 락스를 사용해서 같은 효과를 보고 건강을 지키자는는 것이 영상의 목적입니다.. 집 안에서 기르는 채소나 베란다 화분에도 락스 대신 농약 사용 하시면 됩니다....선택은 각자의 몫인데요 토양살충제 보다 락스가 더 안 좋을까요? 시청해 주시고 소중한 댓글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
@byeongilkwon6487
@byeongilkwon6487 2 күн бұрын
오이 노균병에 물 2L 락스 5ml 세제 2ml 섞어서 주었는데 효과 좋던데요... 오이 입이 살아 났어요... 사용 비율은 락스 통에 나와 있습니다
@jjh100
@jjh100 2 күн бұрын
네.. 소중한 정보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dy8fm5gm9t
@user-dy8fm5gm9t 2 күн бұрын
좋은 미생물도 같이 죽겠네요
@jjh100
@jjh100 2 күн бұрын
네.. 베란다 등 실내공간에는 농약을 사용하기 어려운데 그런곳에 토양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낫겠지요...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d7uc7dg8f
@user-xd7uc7dg8f 2 күн бұрын
저희 밭에 우물이 있는데 지렁이가 자꾸 빠져 죽어서 부패 한 냄새 때문에 고민 이였는데 락스 희석 해서 사용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 합니다.
@jjh100
@jjh100 2 күн бұрын
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f2zs4io6c
@user-zf2zs4io6c 3 күн бұрын
지는 텃밭에 업소용 락스퐁 물과 배합해서 살포해 주고있어요ㆍ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z5hp9le9c
@user-gz5hp9le9c 3 күн бұрын
흙 속의 좋은 미생물도 모두 죽겠네요. 몸속 회충 잡느라 장 속의 유익균과 면역까지 모두 죽이는 결과가 될것 같고, 유리에 앉은 파리 잡자고 망치로 때리는 것과 뮈가 다를까요?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달을 가르키는데 손가락을 보셨네요.. . ㅎㅎ 아파트 베란다 등 집 안에서 화분에 화초나 채소를 기르시는 분들은 집 안에서 농약을 사용하려면 대신 인체에 해가 없는 락스를 사용해서 건강을 지키라는 것이 영상 처음에 나오는 목적입니다... 집안에서 베란다나 거실에 놓은 화분에 농약을 쳐도 되죠. ..각자 본인들 선택이니까요.. 지금은 시설이던 노지 농경지던간에 작물을 심으려면 거의 다 토양 살충제를 뿌리고 로터리를 친 후 심는다는 것을 아시나요?.. 토양 미생물들에게 락스와는 비교할 수도 없는 피해를 주는 그런 농약을 사용하는 것은 어쩔 수 없고 그런 농약을 대신해서 가능하면 인체에도 피해가 없는 대체제로 방제가 가능하니까 사용하자는 것이 더 안 좋을까요? 그런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락스를 사용 하는것이 미생물들이나 토양 생태계에 피해가 더 크게 보이고 걱정되나요? ㅎㅎ 시청 해주시고 소중한 댓글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d1qt2bf4c
@user-td1qt2bf4c 3 күн бұрын
농약 회사가 특히 락스사용 하면 부작용 때문에 안된다고 하죠 900배액 정도 희석해서 뿌리면 새순도 이상없죠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농약회사들은 당연히 안된다고 하죠.. 락스가 효과가 있다면 자기들 생존 문제가 걸린일인데요.. ㅎ 우리 애란인들은 한국춘란 한 촉에 몇 백만원 몇 천만원 하는 것에도 오래전부터 사용을 해 왔습니다.. 제가 앞에 올린 상추 방울토마토 옥수수 등등 씨앗을 모종판에 심고 작물보호제 대신 락스 희석액을 뿌리고 직접 길러 심은것들입니다.. 이 영상 배경에 나온 상추 토마토도요.. 저는 아직 해가 없었어요...왜 다른 사람들은 피해가 있다고 할까요... 참... ㅎ 온라인 상에 올라온 그런 내용의 영상이나 글을 보고 당연히 그럴것이다 라고 단정해 버리는 현상이 아닐까 라고도 생각해 봅니다...물론 그런 피해가 있었으니까 올렸겠지만.. 시청 해주시고 댓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d7uc7dg8f
@user-xd7uc7dg8f 2 күн бұрын
농약사 직원들이 댓글에서 락스 ,기타 친환경 사용을 부정적면만 홍보 하는 듯 합니다.
@user-whan
@user-whan 3 күн бұрын
지렁이는 해충이 아닙니다 분변토를 만들어 토양을 비옥하게 합니다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지렁이는 땅을 비옥하게 하고 통기성과 물리성을 좋게 만들어 주는 아주 유익한 동물이라고 하죠.. 저는 일부러 지렁이를 잡아서 베란다 화분속에 한마리씩 넣어 주기도합니다 ㅎㅎ 그런데 요즘에 연구된 자료에는 지렁이가 땅속의 유기물을 다 먹어 치워서 결국에는 땅을 버린다는 내용도 있는데 유기물을 계속 공급해 주면 문제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이 영상은 지렁이를 잡는것이 목적이 아니고 선충 등 토양속 작은 해충들을 잡는 방법인데 그런 것들은 너무 작아서 눈에 잘 안보이니까 이해를 돕기 위해서 화단 흙에 놓고 지렁이의 반응을 보여준 것입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f8ne6lh4s
@user-if8ne6lh4s 3 күн бұрын
지렁이가 땅을 기름지게 하는데 지렁이까지 죽이면, 토양속의 다른 유익균 까지 죽일 수 도 있겠네요. 가급적 충분히 희석해서 써야할 것 같음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요즘에는 작물을 심기전에 대부분 토양살충제를 뿌리고 로타리를 치는데요.. 그런 화학 농약이 주는 피해에 비교하면 락스가 상대적으로 더 안전할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시청해 주시고 소중한 댓글도 남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qb6vj7pj9m
@user-qb6vj7pj9m 3 күн бұрын
미생물 농법을 하시는 분들에겐 정말 극혐이 될 영상일 것 같습니다. 지렁이는 땅에 정말 좋은 역할을 하는데, 이걸 죽이면 땅이 죽죠. 선충이나 나쁜 균들도 다른 미생물들이 싸워서 이기게끔 만들어야 하는데, 미생물을 다 죽이는 것은 땅을 혹사 시키는 것이 됩니다. 미생물이 유기물을 소화한 이후 그 영양분들을 식물이 먹고 크는데, 그걸 다 없애니 .... 오히려 땅을 죽이는 일입니다. 집안에선 혐오할 수 있으나 다른 텃밭이나 일반 밭에선 정말 소중한 지렁이인데.... 모두 생각 차이겠지만...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맞아요 자연농법 유기농법으로 하시는 분들에게는 치명적이겠지요.. 저는 영상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작물보호제를 사용하기가 어려운 베란다 등 집안에서 사용하는것을 추천드렸습니다.. 그런데 지금 농촌에서는 작물을 심기전에 토양살충제를 살포하고 로타리를 치는데요 그런 화학농약들을 땅에 살포하는 것에는 별로 문제를 삼지 않더라고요 그런데 그 보다 독성이 낮은 락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문제라면 정말 농사는 무농약으로 지어야겠죠... 해충을 죽이는 천연 추출물질들도 어떻게든 피해를 주니까요.. 락스는 엄밀히 말하면 딱 소금과 물로만 만들어진 것이죠.. 염화나트륨을 전기분해 하고 합성해서 처아염소산나트륨을 만들어 물에 녹인 액체니까요... 제 개인적으로는 다른 토양 살충제들 보다는 더 안전하다고 생각됩니다.. 시청해 주시고 소중한 댓글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계속 응원 부탁드릴께요...^^*
@user-li2rg5bz5r
@user-li2rg5bz5r 3 күн бұрын
락스는 절대 안된다는 사람 써도 된다는 사람. 참 헛갈립니다.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ㅎㅎ. 네.. 의견들이 많네요.. 락스는 염화나트륨을 전기분해해서 수산화나트륨과 염소가스를 만들고 이것을 다시 혼합해서 만든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물에 녹인 액체라고 알고있습니다.. 물에 희석하면 염소가스는 날아가고 소금만 남겠지요.. 이 소금 성분이 문제니까 사용하면 안된다는 의견들입니다.. 저도 어떤 형태로든 소금은 식물의 뿌리에 닿으면 무조건 안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바닷물 사용에도 부정적인데요 농업진흥청에서 작물별로 바닷물 사용에 대하여 연구를 해서 농부들이 작물에 바닷물을 살포하여 이용하도록 올려진 자료가있습니다.. 저도 몇 년 전에 고구마밭에 바닷물을 살포하는 영상을 올리면서 그 작물별 바닷물 희석비율표를 첨부했었습니다.. 바닷물은 소금 농도가 평균 3.5%인데요 마늘 양파 등 몇 가지는 바닷물 원액을 뿌려도 되고 오이 같은 경우는 20%희석액만 뿌려도 바로 피해를 입는 다고 나와 있었습니다... 물과 반반 혼합해서 줘도 피해가 없는 작물들도 많고요... 락스는 아쉽게도 소금 함량은 표기가 안 되어있고 염소가스 함량만 표기되어 있네요.. 식품첨가용은 4%입니다... 락스를 물과 3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하면 잎에 남은 소금기는 아주 적어서 무시해도 된다고 생각해요.. 아직까지 피해가 나타난 적도 없었고요 그래서 추천을 드렸는데 의견들이 많네요...ㅎㅎ 시설재배가 아니면 바닷물이나 락스의 염분기는 관수나 빗물에 씻겨 내려가 문제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i5kq2dy1j
@user-xi5kq2dy1j 3 күн бұрын
토양속 유익한 미생물도 같이 죽지 않을까요. 식물은 미생물과 햇볓과 물이 키우는데..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어떤 형태로든 락스의 염화나트륨 성분이 미생물 집단들에게 피해가 가겠지요.. 그런데 대부분 작물을 심기전에 토양살충제를 뿌리고 로타리를 치는데요 그런 화학농약들이 미생물들에게 주는 피해 보다는 락스가 더 안전하지 않을까요.. 락스는 염소가스가 날아가면 소금성분만 남는데 걱정할 수준은 아닌것 같아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s9vs7ny9k
@user-vs9vs7ny9k 3 күн бұрын
락스는 아니라고 봅니다 내가 먹는다라고 생각하면 절대 농작물에는 사용 하지마세요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락스를 식품첨가용으로 허가를 내준 제품들이 있습니다... 락스의 성분은 물과 소금과 염소가스 세가지인데요 물과 반응하면 염소가스는 날아가고 소금만 남는다고합니다... 그래서 인체에 해가 없으니까 식품첨가용으로 허가를 해 주었겠지요...과일 야채 씻고 거기 남아서 묻어있는 것도 괜찮다고.. 농약.. 작물보호제는 먹으면 절대로 안되죠.. 비말되는 입자 하나도 안 들이 마시게 살포시에는 꼭 마스크를 하라고 해요... 그런데 락스는 절대로 뿌리면 안된다면 무농약 재배나 농약을 사용하는 것인데요... 차라리 락스를 사용하는것이 더 낫지 않을까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시청해 주시고 소중한 댓글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
@sarissuma
@sarissuma 3 күн бұрын
농약 등록에 필요한 검토 항목이 인축독성(18), 환경생물 독성(8), 이화학(4), 약효약해시험(6), 작물잔류(2),환경잔류(7) 등 총 45항목입니다. 사용기준이나 등록기준 그리고 약효약해 시험 어느것 하나 거치지 않은 성분을 사용할때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성분의 약해에 대한 감수성은 식물마다 차이가 커서 일괄로 적용하여 배액을 제조할때 약해 유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원액 취급시 안구나 피부에 접촉하는 경우 등록된 농약보다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종이를 자를때 더 날카롭고 잘드는 면도칼이 있지만 커터칼을 쓰는 이유와 비슷합니다.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락스를 사용하면 염소가스는 날아가고 남는 성분은 소금과 물 두가지네요 처음 물과 희석할 때 발생하는 염소가스가 눈에 들어가거나 흡입하지 않도록 주의하면 큰 위험은 없을것 같습니다... 락스는 우리나라 거의 모든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작물 보호제 대체재로 사용한다고 사용상에 문제가 갑자기 나오지는 않겠지요... 접근성 편리성 안전성 때문에 베란다나 집 안에서 농약을 사용하지 말고 락스를 대용으로 사용하라고 하는것이 이 영상의 목적이고 사용 효과를 보여주기 위해서 눈에 잘 안보이는 선충이나 작은뿌리파리 애벌레 대신 지렁이를 이용해서 보여준 것인데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여주네요 농진청에서는 바닷물을 작물별로 살포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해서 올려진 자료가 있는데요.. 바닷물 평균 염분농도 3.5%를 작물별로 10%~100%원액까지 각각의 작물들에게 살포하여 시험을 하고 그 결과를 올려서 작물별로 바닷물 10% 희석액부터 바닷물 원액까지 사용에 참고하라고 올려준 자료가 있습니다.. 전에도 락스 사용후 잔류 나트륨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내용을 올려 드렸는데요 제가 괜찮다고 판단한 근거는 농진청의 바닷물 시험자료이고 오래도록 사용해 본 경험이었습니다 시청해 주시고 소중한 댓글도 남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goldrushtv
@goldrushtv 3 күн бұрын
농과대학 교수님들, 박사님들이 누누히 말씀하십니다. 퇴비차는 희석비율을 정히는게 아니라구요. 퇴비차의 주 목적은 미생물들의 대사물질을 이용하기 위함입니다. 퇴비차에 관주용 NPK를 녹여서 혼합 살포를 하면 매우 훌륭한 킬레이트 비료가 됩니다. 그리고 퇴비차를 만드는 재료인 퇴비는 아무것이나 사용하시면 안됍니다. 반듯이 2년이상 부숙된 악취가 없는 퇴비를 사용하셔야합니다.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ㅎㅎ..네 맞습니다 퇴비차는 예전 제주대학교 현해남 교수님이 독일에서 방문한 농업연구원으로 부터 전해듣고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소개를 해서 각 사용 농가들이 스스로 많은 노력과 여러가지 재료와 방법들을 접목 해서 지금의 많은 좋은 방법들이 나왔습니다.. 퇴비차는 비료가 아니고 미생물들이 분해한 효소를 이용하고 또 일부는 토양과 잎 등에 사는 미생물들의 먹이로 주는것이니까 원액을 그대로 주면 더 좋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좋다고 원액을 주면 그 많은 양을 어떻게 다 만들어요.. ㅎㅎ 적당량을 물에 희석해서 양을 좀 늘려서 골고루 뿌려주는 것이죠...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z2ex8il4j
@user-uz2ex8il4j 3 күн бұрын
가능하면 작물에는 락스 희석해서 사용하지마세요 지금 나의 텃밭에 잡초 제거할때 사용을 하는데 작물에는 물과 희석해서 사용할려면 사용 후 꼭 작물을 씻어주어야 이상 없습니다 10일전에 제 텃밭에 맷돌호박과 방울토마토에 작은(총채벌레: 추측) 파리새끼 같은 해충이 줄기에 시꺼먹게 붙어있어 물2리터에 베이킹소다(식용) 작은 숫가락 한슷푼 반.계라 노란자(한개)타서 섞어 뿌려 주고 서너시간 후 보니 줄기에 가득 있든 해충들이 90% 정도 사라졌고 나머지 조금 남은것은 움직이 않아서 그냥두고 물을 주면서 잎을 씻어 주었습니다 한번 해보세요 그대신 꼭 아침 일찍 온도 오르기전에 뿌려주어야 됩니다.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베이킹소다 사용방법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계란노른자는 난황유 만들어 사용하는 효과와 비슷하겠네요 시청해 주시고 소중한 댓글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z3ip2zs3x
@user-ez3ip2zs3x 3 күн бұрын
락스는 화학식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차염산)NaOCl이고 NaCl + O 산소가 탈산 되어 NaCl 소금이 남습니다. H2O2 과산화수소도 물H2O + 산소O O3 오존도 산소O2 + 산소O 모두 산소 원자 하나가 나가면서 탈산소가 다른 개체에서 화학변화를 일으킵니다. 특히 균류에서 지렁이가 죽을 정도로 고농도를 사용했다면 토양에 소금도 많아져 염분 피해가 올 수 있습니다. 잎에만 약하게 토양 표층부에만 약하게 사용하세요 균도 죽지만 좋은 미생물도 같이 죽습니다.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네.. 좋은 자료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goldrushtv
@goldrushtv 3 күн бұрын
락스는 효과가 아주 좋습니다. 희석비율은 물20리터에 락스15ml입니다. 영상에서 보시는 희석비율은 너무 농도가 높아서 식물에 약해가 옵니다. 락스는 희석비율만 잘지키시먼 매우 훌륭한 살균제입니다. 살충제로 사용을 하시기에는 희석비율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식물에 해를 줍니다. 천배 이상의 희석 비율로 안전하게 사용합시다.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아 ..네.. 그렇군요 소중한 정보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sadan4953
@sadan4953 3 күн бұрын
쓰지마셔요. 살중을 하되 새 순이 괴사됩니다. 농사 망칩니다. 완전히. 식물은 멀쩡한데 새순이 가버리고 꽃이 안핍니다.
@user-bm3on3xm4g
@user-bm3on3xm4g 3 күн бұрын
너무 독하게 해서 그럽니다 같은 배율도 약해를 받는작물이 있고 견디는 작물이 있어요
@user-qm8ew4ci2m
@user-qm8ew4ci2m 3 күн бұрын
사용과하면 죽지
@user-hk3tg6zw6n
@user-hk3tg6zw6n 3 күн бұрын
전. 자주. 하는데. 꽃. 잘펴요. 약ㄱ하게. 씁니다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그런 피해가 있다는 글도 가끔 보는데요 저는 지금까지 그런 피해를 받은 적이 없었어요.... 시청하시고 댓글도 남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sadan4953
@sadan4953 2 күн бұрын
@@user-qm8ew4ci2m 사용 과하지 않아요, 약하게 해도 그렇습니다, 새 순은 굉장히 약한겁니다, 조심들 하세요, 친환경 농약 한통이면 3년을 쓰는데요,
@user-dd3dp3pv7o
@user-dd3dp3pv7o 3 күн бұрын
밭에두더지가 극성인대요 지렁이를죽이면두더지가나타나지않을런지요?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아..네... 지렁이를 다 쫒아내서 먹이가 없으니 두더지가 안 온다....참 좋은 발상이네요..ㅎㅎ 그런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한번 사용해 보시고 성공담을 후기로 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uimuijay8325
@muimuijay8325 Күн бұрын
두더지 좀 잡아주세요. 저 필요해요. 사례 하겠습니다.
@muimuijay8325
@muimuijay8325 Күн бұрын
어디 사시는데요? 직접 잡으러 가도 될지요. 잡기 힘드시다면....
@user-dt5eo9sx7p
@user-dt5eo9sx7p 3 күн бұрын
3푸로 용액을 줘도 식물이 말짱하게 있는게 놀랍다 보통은 그십분의 일 0.3푸로 쓰는데요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락스 사용 후에는 소금기만 남는데요.. 잔류된 이 염화나트륨 성분이 피해를 안주면 되겠죠.... 바닷물은 보통 염도가 3.5%라고 해요 그런데 50% 비율로 물과 반반 섞어서 뿌려줘도 대부분의 작물들은 피해가 없었습니다.. 락스를 300배액으로 희석해서 사용하고 남은 나트륨 성분은 바닷물 잔류와 비교하면 아주적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u8ce5ez8h
@user-nu8ce5ez8h 4 күн бұрын
혹시 락스가 총채벌레에는 효과없을까요? 작은 벌레이니 될 것도 같은데 😅
@jjh100
@jjh100 4 күн бұрын
네.. 해충들도 먹이 습성이 다르니까 거기에 맞는 방법으로 약을 사용 해야합니다 약은 먹어서 죽는것도 있지만 피부에 접촉해서 죽는것도 있고 일시적으로 유해가스를 발생시켜 호흡해서 죽는것도 있고 식물체 조직내부로 들어가서 해충이 식물체액을 흡즙하면 먹어서 죽는것도 있고 작용하는 기작이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지렁이나 선충 작은뿌리파리 애벌레는 주로 땅속에 있는 죽어있는 유기물과 곰팡이를 먹이로 해서 그 유기물에 약액이 묻으면 먹고 죽고 또 피부로 호흡을 하여 피부에 약액이 묻어도 죽으니까 흠뻑 뿌려주면 방제가 되겠지요... 그런데 응애나 진딧물은 살아있는 식물의 조직에 침을 꼿아서 식물체액을 빨아 먹으니까 지렁이 선충 등과는 먹이활동 자체가 다르지요.. 약액이 식물체내로 침투해서 체관이나 물관으로 이동하고 그런 체액을 흡즙하면 죽는 약을 써야 하는데 이런 작물보호제는 침투이행성 약제들이겠지요... 작물보호제 구입하면 사용 설명서란에 작용기작이 깨알 같은 글씨로 다 써있습니다.. 오래전에 인터넷 카페에서 한국춘란 병충해 방제약에 관한 토론들을 하다 보니까 공부하고 알게 되었는데 지금은 두가지 또는 세가지 기능이 같이 있는 작물보호제도 나왔을겁니다.. 그런데 총체벌레도 참 어렵습니다. 꽃에서 바이러스를 옮기는 피해가 큰데요 기본적으로 식물체액을 빨아 먹습니다. 애벌레는 땅으로 들어갔다가 번데기가 되어 다시 우화해서 나오니까 애벌레는 땅속에 살지만 어쨌던 총채벌레도 식생은 기본적으로 식물체액을 흡즙하는 것입니다.. 식물체 내부로 약액이 들어가야 되는데. 락스나 자연에서 얻은 천연 물질들은 침투이행성 물질이 없다고 봐도됩니다.. 락스는 일시적인 기피효과를 기대하는 수 밖에 없겠죠..ㅒ 화학농약을 사서 사용하면 제조업자들이 다 연구하고 실험해서 판매하니까 그냥 구입해서 사용하면 되는데요... 자연에서 채취한 천연물질이나 자가제조 농약들은 작용기작을 모르면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사용하면서 자신이 경험을 쌓고 연구 하는것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u8ce5ez8h
@user-nu8ce5ez8h 3 күн бұрын
@@jjh100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락스를 사용하면서 노균약,탄저병약 등은 대체가 되는데 총채벌레나 진딧물은 농약을 사용하게 되서요. 락스를 사용한 오이나 참외,호박,고추등 흰가루병,노균병,탄저병은 확실히 효과를 보고 있는데 충관련 해서는 역시 따로 약을 써야겠네요. 항상 도움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jjh100
@jjh100 3 күн бұрын
아..네.. 저도 금년에는 고추 탄저병 예방목적으로 주기적으로 살포할 계획입니다.. 소중한 댓글 남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pf3ix5lq5z
@user-pf3ix5lq5z 4 күн бұрын
노린재에게도 효과가 있을까요?
@jjh100
@jjh100 4 күн бұрын
노린재.. 애들만 잘 막으면 콩 농사 참깨 농사 풍년을 이루겠는데 애들 막기가 어렵죠.. 제 경험으로 노린재는 참 방제가 어려운 해충입니다.. 작물보호제 살포하면 도망갔다가 다시오고. 또 잘 죽지도 않고.. 참깨 줄기 꼭지와 어린 콩깍지에 앉아서 흡즙하는 노린재들을 손으로 잡아서 생수병에 침수시킨 적도 많았었는데요... 6월 중순까지는 가지의 새순에도 앉아서 빨아먹어 피해를 주더라고요... 락스가 노린재에 효과가있는지는 실험을 안 해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공기중에서는 효과가 아주 짧을것 같습니다... 노린재는 냄새에 민감해서 크래졸비누물 등을 희석하여 살포하면 얼마 동안은 안 온다고 하는 영상을 본 적은 있습니다 소중한 댓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pf3ix5lq5z
@user-pf3ix5lq5z 4 күн бұрын
@@jjh100 답변 대단히 감사합니다 . 올해엔 유독 노린재가 많아서 백합이며, 소중한 겹 접시꽃이랑 다 ~ .... 속상합니다
@user-li2rg5bz5r
@user-li2rg5bz5r 3 күн бұрын
크레졸도 살충제도 노린재 에게는 안됩니다. 전 잡으면 밟아 죽이거나 가위로 찢어버려요. 잔인한것 같은데 하다하다 어쩔수없이 그렇게 합니다. 노린재는 박과 작물 전체에 달라붙어요. 오이 참외 호박 아주 지긋지긋합니다.
@user-pf3ix5lq5z
@user-pf3ix5lq5z 3 күн бұрын
@@user-li2rg5bz5r ㅎ ~네 감사합니다 저도 잡는데까지 잡아야겠네요
@user-in5ow9sx6y
@user-in5ow9sx6y 4 күн бұрын
희석하는비율좀 확실이 얘기해주세요
@jjh100
@jjh100 4 күн бұрын
애란인들이 오래 전부터 락스로 탄화된 뿌리를 침지 소독하는 등 사용을 해왔었는데요 희석하는 비율이 서로 다릅니다. 어떤분은 500:1 또 어떤 분은 300:1, 100:1 등등 그래도 피해없이 효과를 봤다는 사용 후기가 종종 올라왔었습니다.. 화분에 관주할 때 저는 200:1 ~300:1 사이에서 사용합니다. 꼭 정확하게 계량하지 않아도 별다른 부작용은 없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가 사용해 보니까
@user-xg5ms3ci4d
@user-xg5ms3ci4d 4 күн бұрын
어느 유투브에서 성분분석 했는데 비료기가 거의 없더라구요. 미생물 때문에 그냥 쓰는가보죠?
@jjh100
@jjh100 4 күн бұрын
네.. 제가 2023년에 액비를 만들어서 농업기술센타에 성분분석 의뢰를 하고 결과를 올렸었습니다.. 농업기술센타에서는 가축분퇴비의 부숙도와 성분 등을 분석하여 사용적합 여부를 검사하는데 제가 깻묵액비와 퇴비차 성분을 분석해 달라나까 농업기술센타에는 그런 장비까지는 없고 그런것은 비료분석 전문기관에 의뢰해야 된다고 하였었어요.. 그런데 제가 당시에 귀농귀촌센타에 있는데 귀농귀촌하시는 분들에게 좀 필요할것 같으니 꼭 좀 부탁한다고 하여 농업기술센타에서 기본적인것들만 분석을 하여서 통보를 해줘서 공개를 하였었습니다... 그런데 성분 분석표를 보고 저도 깜짝 놀랐습니다.. 제가 직접 만들어서 의뢰를 했는데 결과가 예상한것과 너무나 달라서... 다음에 기회가되면 다시한번 분석을 의뢰해봐야 겠습니다..ㅎㅎ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g5ms3ci4d
@user-xg5ms3ci4d 4 күн бұрын
비료기가 거의 없네요
@jjh100
@jjh100 4 күн бұрын
ㅎㅎ 네.. 발효가 진행될수록 질소 성분은 거의 남지 않죠..^^*
@user-pq1vl8bb2f
@user-pq1vl8bb2f 5 күн бұрын
삼호읍
@user-pq1vl8bb2f
@user-pq1vl8bb2f 5 күн бұрын
저도 삼홉인데 같이산행 했으면 좋겠습니다😂
@jjh100
@jjh100 5 күн бұрын
네.. 그러시군요 반갑습니다... 삼호 애란인분들도 목포 하고 같이 활동하시잖아요..ㅎㅎ 저희 난우회도 지금은 소강상태지만 몇 년전까지도 대자협 전국대회와 난문협 전국대회를 공동으로 개최 했었었는데... 지금은 난계가 아주 침체 되어 버렸네요... ㅠ ㅠ 대불에서 애란생활 하시는 분과 삼호조선소 난우회 회원님도 같이 모임을 하고 있는데 언젠가 기회가 되면 님도 뵙겠지요.. 제가 30년 넘게 애란생활을 했는데요 .. 애란생활 하며 양심 바르고 좋은분들을 꼽으라면 손가락 열개가 다 안 접어지고 아직도 두세개가 남습니다... 우리 애란인들 정신..양심차려야 하는데 이제는 늦었습니다.. 난계는 회생 불가능입니다.. 늘 즐난하시기를 바랍니다...^^*
@DODO-K9K9
@DODO-K9K9 5 күн бұрын
1리터 만들어놓은거 그대로 뿌리나요? 아니면 말통에 희석해서 쓰나요?
@jjh100
@jjh100 5 күн бұрын
네.. 영상에서 자세히 설명해 드렸는데 바쁘셔서 못 보셨나 보네요.. 물 1000ml: 염화칼슘2g : 붕산0.2g을 희석해서 만들어 사용하는데요. 매번 만들기가 번거로우니까 염화칼슘 20g 붕산2g을 넣은 10배액을 만들어서 10:1로 희석해서 사용하세요.. 시청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DODO-K9K9
@DODO-K9K9 5 күн бұрын
@@jjh100 아~ 그럼 염화칼슘 20g 붕산 2g 해서 1리터 만들어 놓으면 말통 분무기로 뿌릴때 물 9리터 넣고 희석해서 밭에 뿌리면 되겠네요~
@jjh100
@jjh100 5 күн бұрын
네 ᆢ 풍년농사 이루세요~~^^*
@DODO-K9K9
@DODO-K9K9 5 күн бұрын
@@jjh100 네 감사합니다^^ 덕분에 풍년을 이룰거 같습니다.
@user-sc2lr6fx1s
@user-sc2lr6fx1s 6 күн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요 밑부분에 물빠지는 곳없이 다 막아도 되나요? 전 미국이라서 너무 더워서 집에서 키워야되는데. . . 물빠지는곳없이 다 막아도 되는지가 궁금해요. . 답변주세요
@jjh100
@jjh100 6 күн бұрын
화분 바닥의 구멍은 물빠짐도 중요하지만 근권에 공기가 통하여 뿌리에 산소를 공급해 주는 역할이 더 큽니다. 화분속에 습이 많으면 산소부족으로 뿌리가 호흡하지 못해서 피해가 발생합니다.. 가능하면 화분속의 물이 빠지고 공기가 통할 수있게 심으셔야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k4166
@uk4166 7 күн бұрын
이녀석은 어느정도 용량이 있어야 자라는 애네요? 어느정도의 자리만 이게 중요한건가요?
@jjh100
@jjh100 6 күн бұрын
네.. 난초 뿌리가 좀 자유롭게 뻗을 수 있고 화분속이 무균 상태가 아니고 미생물들과 공존 할수있는 정도의 생태계가 유지될 만큼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heaye
@heaye 7 күн бұрын
저는 옆으로 줄치고 유인하는데, ..그럼 안달리나요?
@jjh100
@jjh100 7 күн бұрын
네.. 오이는 잎이 달린 마디마다 암꽃이 달리는데요 위로 뻗어 가는 줄기에 달린것은 열매로 맺혀 자라고 줄기 방향이 아래 쪽으로 내려가면 달려있던 암꽃의 오이가 맺히지 않고 떨어집니다. 옆으로 유인해도 곁순이 나와서 위로 자라니까 거기에 달리겠는데요 위로 유인하는것 처럼 모든 마디에 달리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jr5zc1dg4y
@user-jr5zc1dg4y 8 күн бұрын
깻묵액비 만들고 삼년째 안썼는데 지금 사용 해도 괜찮을까요?
@jjh100
@jjh100 8 күн бұрын
네.. 3년 되었으면 아주 좋은 비료입니다 다만 보관 조건에 따라 질소 성분은 거의 다 날아가 버렸을 수도 있으니 사용하면서 보시고 질소는 요소비료 등으로 보충해 주세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adan4953
@sadan4953 8 күн бұрын
깻묵 값이 비싸서 할 수가 없어요 , ㅋ
@jjh100
@jjh100 8 күн бұрын
네..그래요.. 몇년 전까지만 해도 마대 한 포대에 5~6천원 했었는데 지금은 8천~1만원 달라네요... 그래도 깻묵 한 포대면 시중에서 판매하는 유박발효비료 다섯포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있으니 상대적으로 보면 비싼것은 아닌데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요즘은 사료로 많이 사용하니까 축산업자들이 방앗간과 계약해서 전량을 다 가져가 버리네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yv7ix9pi9v
@user-yv7ix9pi9v 8 күн бұрын
알기쉽게 차근차근 설명과 이해가 잘 됩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
@jjh100
@jjh100 8 күн бұрын
네..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e2pr6fw7j
@user-be2pr6fw7j 8 күн бұрын
깻묵 뿌려 놓으면 동네 벌레 엄청 몰려 올텐데 해충 방제 어떻게 하나요?
@jjh100
@jjh100 8 күн бұрын
아.. 그럴수도 있겠네요.. 근데 땅에 묻거나 흙과 섞어 놓으니까 아직까지 파리 등 날벌레들이 꼬이지는 않았습니다... 특별히 씬경쓸 상황이 없었어요.. 시청해 주시고 소중한 댓글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fe5vr3xm3j
@user-fe5vr3xm3j 8 күн бұрын
실내공기청정식물. 화분에. 독 버섯이.피네요. 방지방법. 추천부탁드립니다
@jjh100
@jjh100 8 күн бұрын
네.. 화분에 버섯이 핀다면 화분 흙에 유기질 성분도 있고 부패돼지 않고 잘 부숙되었으니 좋습니다.. 독버섯이냐 아니냐는 사람의 기준이고 자연 생태계에서는 건전하고 좋은 환경입니다.. 집안에서는 건강상 작물보호제를 사용하기가 꺼려지데요 굳이 방제하시려면 락스를 사용해 보세요.. 락스는 차아염소산나트륨 하고 물이 주 성분이고 식약청에서 식품첨가제로도 허가가 나있으니까 인체에는 거의 해가 없다고 봐도 되겠습니다 단. 물과 희석할 때 염소가스가 발생하니 흡입하지 않도록 조심하시고 사용하면 효과가 좋습니다. 희석 비율 등은 락스사용에 대하여 제가 올려드린 다른 영상을 보시고 참고하세요.. 경럼상 100대 1까지도 피해없었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zf2zs4io6c
@user-zf2zs4io6c 9 күн бұрын
텃밭에 씨앗 심어두었는데 잘자랄지 모르겠네요ㆍ
@jjh100
@jjh100 9 күн бұрын
당근은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랍니다 그래서 봄과 가을에 심는데요 지금은 봄 당근을 수확하는 시기입니다.. 가을 당근은 너무 빨리 심은것 같습니다 가을 당근을 7월에도 심는데요 우리 텃밭님들은 8월에 심는것이 좋겠습니다 그때는 싹이 나와 자랄 때 쯤이면 아침 저녁으로 조금씩 서늘해지니까 잘 자랍니다 장마 끝나고 7월 무더위가 지나가면 파종하세요..가을 작물 중에서는 당근을 가장 일찍 파종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p3qf9nq1c
@user-tp3qf9nq1c 11 күн бұрын
락스ㆍ에탈올 1리터에 벼뚜껑 3개 희석
@jjh100
@jjh100 11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s8nf8yp5y
@user-ps8nf8yp5y 12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잘 지내시줘😊
@jjh100
@jjh100 12 күн бұрын
네.. 덕분에요.. 오랜만에 오셨네요..^^*
@user-wj8bb7eu7d
@user-wj8bb7eu7d 13 күн бұрын
난초 생강근으로 제목을 봤습니다! 미쵸~~~~^^
@jjh100
@jjh100 12 күн бұрын
ㅎㅎ.. 네.. 재생목록에 난초관련 영상들을 따로 모아놓았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n8to4xe1k
@user-in8to4xe1k 15 күн бұрын
추비위헤 멀칭비닐구멍을 여러군데 뚫으면 장미철에 그만큼 물이 스며들어서 당도 및 세균감염에 약한것 아닐까요?
@jjh100
@jjh100 15 күн бұрын
네 ᆢ그럴수도 있는데요 장마철에는 어떻게든 땅이 젖지요ᆢ 수박 참외는 과습에 굉장히 약하더라고요 배수가 잘되어야 합니다ᆢ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HappyJung777
@HappyJung777 16 күн бұрын
전문가들이 어렵게 키우는 난초를 앞마당 잡초처럼 잘도 키우시네요 ㅎㅎㅎㅎ
@jjh100
@jjh100 14 күн бұрын
네.. 일정부분을 자연에 맡기니까 건강해지고 잘 자라네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m7eo3zy9j
@user-qm7eo3zy9j 19 күн бұрын
먼저 다녀간 분들은 애란인은 아닌 듯 합니다. 판매 목적이라 하더라도 자연에 대한 도리가 아닙니다.
@jjh100
@jjh100 19 күн бұрын
2000년 초반 까지도 서울 경기에서 관광차에 사람 싣고 와서 주말이면 나주 함평쪽 야산에서 마대에 담아서 캐갔습니다... 지금은 자생춘란도 줄어드는데.. 캐가더라도 좀 이쁘게 캐 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qm7eo3zy9j
@user-qm7eo3zy9j 18 күн бұрын
@@jjh100 어떤 이는 장마와 사태 등으로 뿌리를 드러내도 안타까이 여기며 덮어주는데....
@user-qm7eo3zy9j
@user-qm7eo3zy9j 19 күн бұрын
저도 예전에 자생지로 생각하고 심었는데, 몇 해 지난 다음 가보니 없더라구요.
@jjh100
@jjh100 19 күн бұрын
ㅎㅎ. 네.. 저는 집 뒷산에 심어 놓고 위치를 못 찾았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rz5fq3wp3g
@user-rz5fq3wp3g 19 күн бұрын
반복 적심잘알아들었으니 손자순 참외한개놔두고 순한잎두고 잘르고 ㅡ저녁때따라해보겠어요 감사
@jjh100
@jjh100 19 күн бұрын
손자순도 며칠만 지나면 엄청 자라버려요... ^^* 2~3일에 한번씩은 봐서 쳐 주면 좋아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z5fq3wp3g
@user-rz5fq3wp3g 18 күн бұрын
@@jjh100 아들순 8개정도자르고 손자순 가르쳐준대로 순 한잎놔두고자르면 아들가지사이에서 열린참외가 그뿐인가요?
@jjh100
@jjh100 18 күн бұрын
참외의 기본적인 재배방법은 어미순 12마디 정도에서 순을 자르고 아들순을 받습니다... 이건 참외 시설농가들을 위하여 농촌진흥청에서 연구하여 농사로에 올려진 자료를 기초로해서 이터넷에 올려 놓은 내용들인데요 우리 텃밭 농부님들에게는 맞지 않습니다 아들순이 나오면 각 마디마다 손자순이 나옵니다 아들순 3~4마디 아래에서 나오는 손자순들은 약하니까 제거하시고 그 위에서 나오는 손자순에서 참외를 착과시키는데요 보통 전문재배 농가에서는 판매용으로 기르니까 아들순 2~4개를 키워요.. 요즘에는 5줄기 재배도 하는 분들도 있지만... 우리 텃밭 농부님들은 크게 키우지 않아도 되니까 아들순 4개를 받으면 아들순 하나에서 최소 4개를 수확합니다.. 참외 하나 심고 아들순 4개를 유인해서 그 아들순에서 각각 손자순 4~5개에 참외를 착과시키면 최소 20개 정도를 수확합니다.. 단, 영양공급을 충분하게 해 주셔야됩니다.. 텃밭에서 참외는 순치기만 잘 해주면 초보자도 한 나무에서 15개 이상은 쉽게 수확할 수 있습니다.. 손자순 2~3 마디에 참외 암꽃이 피는데요 손자순을 안 잘라 주면 그 참외는 크지않고 떨어지고 손자순 줄기만 계속 자라요.. 손자순에 참외가 달리면 꼭 잎 하나 또는 두개를 남기고 잘라줘야 참외가 큽니다.. 안 그러면 순만 무성하고 실속 없습니다.. 참외가 달려서 꼬투리쪽이 길쭉한 곤봉 모양이 되는것은 영양부족이나 나무가 노화된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참외도 오이처럼 뿌리가 많이 뻗지 않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z5fq3wp3g
@user-rz5fq3wp3g 17 күн бұрын
@@jjh100 자세한설명걈사해요ㅡ몇그루키우는데 유툽선 각자 노하우를올리는데 너무다양해 헷갈려요ㅡ어느곳에서 적심해라 나도따라했다 다른곳에서는 다르게말하면 덜컥 놀라 곤 해요 아무튼감사함 ㅡ알려준대로 2그루를 비교시험삼아해보고있으니 나중 결과 알릴게용
@user-ix4yl8vw5z
@user-ix4yl8vw5z 19 күн бұрын
너무 복잡하다
@jjh100
@jjh100 19 күн бұрын
아..네.. 근데 시설 장비가 없이 자가제조로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없어요.. 자연계에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미생물들만 번성하게 하는 방법은 너무 힘들어요...발효를 쉽게 말씀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 자연적인 조건이 안 맞으면 .... 온도가 높으면 부패균들을 억제하기가 어렵죠.. 깻묵 비료도 그렇습니다.. 초 겨울에 시작하면 조금만 신경쓰면 거의 다 성공하는데요 따뜻해지는 아니 더워지는 늦 봄부터 만들면 어떻게 별 짓을 다해도 성공하기가 어렵습니다...... 그 시기는 부패균들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인데 사람들이 발효균 한병 몇 천억마리 넣어 주고 잘 되겠지 하는데요 절대 안돼요...자연계 미생물들의 활동을 사람이 조정한다는것이 힘들죠.. 기온이 10도 밑으로 내려가는 시기 11월 말에 설탕 두 스푼 소금 한 스푼 넣고 내비둬버리면 봄에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산소공급 기포기도 필요없고 저어줄 필요도 없고... 그래도 잘 되더라고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