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경제교육 컨퍼런스 1일차
2:40:58
2023 경제교육 컨퍼런스 2일차
2:13:20
Пікірлер
@jin3937
@jin3937 3 күн бұрын
02:08
@dlsrksguadhX
@dlsrksguadhX 17 күн бұрын
👏👏👏👍
@morphous
@morphous 17 күн бұрын
왜 우리나라에서는 10인승 이하 프로펠러 비행기가 활성화 못 됐는지도 힌번 설명해 보시지요?
@stivejo8044
@stivejo8044 22 күн бұрын
오늘 일본이 금리 0.25 퍼 올렸다 시작인가.
@underwave19
@underwave19 Ай бұрын
검찰, 기획재정부 카르텔
@gice591
@gice591 Ай бұрын
효율만 고려되는 사회에서 효용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네요.
@user-kz9bs2tr1t
@user-kz9bs2tr1t Ай бұрын
2:01 3:29
@SSK-rd1wo
@SSK-rd1wo Ай бұрын
자본수익률이 아니라 이윤율 하락을 말한걸텐데.. 맑스는
@정서우
@정서우 Ай бұрын
이거 나 정서운데 맞는듯
@정서우
@정서우 Ай бұрын
헤헤
@user-kq8we2he8y
@user-kq8we2he8y 2 ай бұрын
노인들의 안전을 위해서 어서 나왔으면( 인지능력 떨어지는 교통약자들 위해 ) 하루속히 출시됐으면....!!!!!
@user-dq9su7xl7n
@user-dq9su7xl7n 2 ай бұрын
1:06 ~ 1:36
@yerilee5872
@yerilee5872 2 ай бұрын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그런데 질문이 있습니다. 1) 1라운드에서는 매수만 이뤄지는거 아닌가요?? 2) 각 라운드의 힌트는 언제 주면 될까요?
@social_edu_tree
@social_edu_tree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댓글을 늦게 확인했네요^^ 1) 1라운드는 매수만 이루어지는 것이 맞습니다 2) 힌트카드는 각 라운드에 매수/매도를 하는 시기에 배부합니다. 1라운드 주문시-2라운드 상황에 대한 힌트/2라운드 주문시-3라운드 상황에 대한 힌트, 이런 식이에요!
@yerilee5872
@yerilee5872 Ай бұрын
@@social_edu_tree 감사합니다. 자료로 모의투자를 진행했었는데, 아이들이 관심도 높고 잘 참여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zj9ms9cb3r
@user-zj9ms9cb3r 2 ай бұрын
6학년3반!손
@soso-ce1eh
@soso-ce1eh 3 ай бұрын
기업이 실제배출하는거보다 더 많은 양의 배출권을 무료로 주면서 탄소중에 효과가 있을거라 말하는 건 국민을 우롱하는 짓이죠
@salt_o12
@salt_o12 3 ай бұрын
하 너무 재밋어서 혼자보기 아깝다....
@user-ng1tj2pr1u
@user-ng1tj2pr1u 3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
@prows12
@prows12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intotheout3499
@intotheout3499 3 ай бұрын
배출권 매매 = 탄소중립 <- 이게 성립된다고 생각하나.????? 그냥 조삼모사 같은 말장난이지
@ABCV7
@ABCV7 3 ай бұрын
투자에서 매몰비용은 생각하지 않는게 당연한건데...
@ABCV7
@ABCV7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후진국인 이유
@storage9353
@storage9353 3 ай бұрын
프롭테크가 콩글리쉬인가요? 영어권에서도 사용하는 어휘인가요?
@user-on7jx3ub9u
@user-on7jx3ub9u 3 ай бұрын
자율주행은 시스템관리가 철저해야하고 해킹돼지않게해야할방법이 필요함 그래도 상용화돼면편리할거란생각이듬
@j1ns3o
@j1ns3o 3 ай бұрын
11211 쌤 짱
@user-md1dm9sk8p
@user-md1dm9sk8p 3 ай бұрын
11220 귀여우샤요
@grimzxlenn8337
@grimzxlenn8337 3 ай бұрын
11207 김유화 았다감😻
@user-cx7ez3yk4z
@user-cx7ez3yk4z 4 ай бұрын
어디다 신고하나요
@oinla2024
@oinla2024 4 ай бұрын
쌤 지금이 더 잘생겼어요 !!!!!!!❤
@freesouli7027
@freesouli7027 4 ай бұрын
제도나 인증제도 아직 정해진게 하나도 없는데 무슨 선두권인가요? 제가 오해하고 있는건가요? 기체도 현재 오파브 하나밖에 시제품 안나왔고, 정부예산도 대폭 삭감됐는데 ㅎㅎ
@lenzilumab8210
@lenzilumab8210 3 ай бұрын
조비있잖아 하 모르면 걍 여물어라
@user-kf7tp5ui3c
@user-kf7tp5ui3c 4 ай бұрын
자율주행도 좋은데 그냥 기차에 싣고 목적지 근방 가서 내려주는 서비스가 생겨도 좋을 것 같어
@user-hp7ut9gp5e
@user-hp7ut9gp5e 4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mi7ko3zz6d
@user-mi7ko3zz6d 4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어요~!
@luisjeee0401
@luisjeee0401 4 ай бұрын
상황극도 귀엽고 유익해요~~~~
@toyuq0097
@toyuq0097 4 ай бұрын
보통 사람들의 복지에 기여할 때 궁극적인 정당성을 갖는다
@user-xg8km8fz1x
@user-xg8km8fz1x 5 ай бұрын
질문이요! 3분 2초에 완전고용 정책 폐기, 공기업 민영화, 각종 규제 완화가 케인스의 이론을 도입해서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킨 정책들이었다는 말인가요?
@user-dk3dx6gb9i
@user-dk3dx6gb9i 4 ай бұрын
아니죠 시장에 정부의 개입을 줄이는 신자유주의 이론에 기초하는 정책이라 하이에크랑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이에크는 30년대 케인즈 유효수요의 이론에 입각한 뉴딜정책같은 정부의 시장개입이 훗날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켰다고 말하는 거에요.
@user-xg8km8fz1x
@user-xg8km8fz1x 4 ай бұрын
​@@user-dk3dx6gb9i 오오 이해가 됐어요 감사합니다!
@morphous
@morphous 5 ай бұрын
UAM 한대만 띄울건가요? 몇십대 떠야 할텐데 그래도 헬기보다 소음이 적다거 할건가요? 그리고 아직 운항도 해본적이 없는 UAM이 어떻게 헬기보다 안전하다고 할수 있는건가요? 그러면 UAM 나오면 바루 닥터헬기, 소방헬기, 군헬기등 전부 UAM으로 바꿔야겠네요. 더 안전하다면서요? 그러면 대통령 전용헬기부터 UAM으로 바꾸세요. 택시기사도 아닌 조종사가 운전해야 할텐데 과연 이용요금은 얼마나 할까요? 겨우 2~4명 타는 걸로 대중교통이 될수 있나요? 그리고 이 UAM도 프로펠러 구동방식인데 어떻게 프로펠러기를 안전하다고 얘기하는거죠?
@user-uw1zg6gm1n
@user-uw1zg6gm1n 4 ай бұрын
1. 몇십 대 떠도 헬기 한 대보다 소음 적음. 2. joby aviation 기준으로 2017년부터 수백번도 더 실제 기체로 테스트함. 3. UAM 나오면 닥터헬기 대체할 것으로 보임 4. 향후 조종사에서 완전 자율주행으로 바뀔 예정임 5. 이용요금은 1km당 3000원, 서울 중구에서 인천공항까지 약 40km인데 4명이서 타면 3-4만원정도임. 6. 1-2명 타는 택시도 대중교통인데 4명까지 타면 당연히 대중교통 아닌가?
@morphous
@morphous 4 ай бұрын
@@user-uw1zg6gm1n 1. 몇십대 띄워서 소음 측정 한적이 없는데 무슨 자신감으로 이런 댓글을 다나? 2. 겨우 수백번? 헬기 나온지가 언제인데? 3. 닥터핼기 대체? 당신 뇌피셜 그만 써라 4. 완전 자율주해? 차도 자율주행 못하는데? 5. 요금은 인당 내는거지 택시 탈때 모르는 사람하고 타고 요금 나눠 내니? 6. 저가항공이었던 하이에어 50인승 프로펠러기도 위험흐다던 사람들이 대중교통? 우리나라에서 4명타는 프로펠러기도 대중화 못랬다. 외국은 전부 몇십년전부터 대중화. 근데 이건 타겠다고? 너나 많이 타라.
@user-mu3iy8fq3d
@user-mu3iy8fq3d 5 ай бұрын
경제교육은 우리가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는 경제적 시민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경제적 문제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움에 감사드립니다.
@happytwo871
@happytwo871 5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user-et7pc2tr1u
@user-et7pc2tr1u 5 ай бұрын
0:35
@user-xw2lz3jg6s
@user-xw2lz3jg6s 5 ай бұрын
앞으로 UAM은 소음부분에서는 헬기에 비해서 조용하다고하세요 말도 안되는 소릴 함
@user-jy1iq8do7d
@user-jy1iq8do7d 5 ай бұрын
좋은내용이네요 돈의힘 학생공부,죄수데리고운반한것 등
@user-jy1iq8do7d
@user-jy1iq8do7d 5 ай бұрын
너무좋어요
@dc-2904
@dc-2904 6 ай бұрын
Economics를 예상했는데 success가 나오네요
@qkralswls79
@qkralswls79 6 ай бұрын
와 7년전이였다니 세월참 빠르네 지금은 미국이 중국 압박으로 중국이 힘든시기 과연 마지막 내쉬균형이론으로 끝날지 아우만의 구조 이론으로 끝날지
@youser333
@youser333 7 ай бұрын
쉽게 재밋게 잘 설명해주셧네요ㅎㅎ중딩 조카에게 공유완료!!❤🎉
@user-dv2py7dy8f
@user-dv2py7dy8f 7 ай бұрын
와7년전
@user-me5cl8dp5o
@user-me5cl8dp5o 8 ай бұрын
남자처럼 힘든일하고 잡일 하고 당직 서고 할거 다하면 임금 같은거 아님? 여자가 동일 노동에 임금 적으면 기업이 여자만 뽑은텐데 왜 안그럼? 진짜 몰라서 그런거임 ㅇㅇ
@user-me5cl8dp5o
@user-me5cl8dp5o 8 ай бұрын
클로디아 골딩 교수 인용한거 임신 하나만 인용했네 남성과 달리 여성은 낮은 강도와 규칙적인 일자리를 선호해서 거기에 맞춰 임금이 낮아진건데 이걸 빼먹었네
@user-qx2uw1yp7u
@user-qx2uw1yp7u 8 ай бұрын
@@user-me5cl8dp5o 잡일과 노동에 여성들이 선호현상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공계도 남성들이 많죠. 하지만 다른 이면도 있습니다. 임금격차가 나는 원인 중 큰 부분이 CEO와 대기업 임원, 대통령이나 장관과 차관직 등 임금 높은 고위직 자리에 여성 비율이 현저하게 적습니다. 이는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여성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과 임신과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이후 승진이 자유롭지 않은 우리나라의 구조에서 고위직 자리에 올라가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마이후드 패널티"라고도 하는데 ,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같은 일을 성공시켜도 남성이 더 고평가 받는다는 연구결과가 다수 존재합니다. 실제로 노동시간만 따지고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통계적으로 일을 더 오래, 많이 합니다. 강도는 다를지라도요. 이유는 바로 가사노동입니다. 가사노동은 임금을 받지 않고 하게 되죠. 요즘은 가사분담을 한다고들 그러지만 당장 우리 40대 위로 남성이 가사노동을 도맡아 하는 경우는 보기 드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이 잡일과 당직서고 할거 다 한다고 해서 근본적인 임금격차가 해결되지 않는 것입니다.
@user-me5cl8dp5o
@user-me5cl8dp5o 6 ай бұрын
​@@user-qx2uw1yp7u이걸 지금봤네요 그러니깐 힘들 일부터 시작해서 고위직 갈 생각은 없고 고위직 자리 달라는 뜻인가요😂😂 연구결과도 어디서 인용한건지 제대로 알려주세요
@user-me5cl8dp5o
@user-me5cl8dp5o 6 ай бұрын
​@@user-qx2uw1yp7u 출산율 0.6이하를 찍고 있고 초산이 30을 넘긴 마당에 임신, 출산, 육아를 경혁단절 원인으로 보는건 무리죠
@hello45174
@hello45174 8 ай бұрын
5:30 에 잘못된 내용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England 최초의 경제학과는 케임브리지가 아니라 UCL(University College London) 입니다. UCL 경제학부 홈페이지: "in 1828 ... establishing the first Department of Economics in England." 케임브리지 경제학부 홈페이지: "in 1903 ... established the Faculty of Economics and Politics"
@user-nv7zx5zz1v
@user-nv7zx5zz1v 8 ай бұрын
시기마다 맞는 경제 이념이 따로 있겠죠
@user-ih4qx6sn7p
@user-ih4qx6sn7p 8 ай бұрын
???:자본주의는 차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