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ggcross659
@ggcross659 5 сағат бұрын
세 마리 짐승에 은유적 상징성과 관련된 여러 학설이 존재합니다. 이렇게 별다른 설명도 없이 단정적으로 말하는 것에 실망했습니다.
@user-dz7ct3bj4s
@user-dz7ct3bj4s 7 сағат бұрын
화 6~7 현대사회와 디자인 수업 듣는 김정확 학생입니다. 기말 발표 기간이라 다시 듣습니다.
@mottobass
@mottobass 13 сағат бұрын
이분 간철수씨 지지했었는데,,, 무슨 판단으로 그랬는지... 안철수는 이후 단일화하고 손가락을 안잘랐지...
@user-ii8mw2dk3q
@user-ii8mw2dk3q Күн бұрын
28:34 이 작품과, 한참 앞의 사자,표범,늑대가 나온 작화 작품이 같은 화가가 그린것같은데 화가가 누구인지 궁금합니다~~혹 어떤책에 삽입된 그림인것인지..
@wooden-fish4676
@wooden-fish4676 Күн бұрын
모르는 놈들의 공통점은...고집을 세우는 거지요...ㅎㅎㅎ
@wooden-fish4676
@wooden-fish4676 Күн бұрын
이택광...창피한줄도 모르는....편협한 인문추종자!!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Күн бұрын
톰 크루즈가 나왔던 영화 마이너리티리포트가 생각나는 강의입니다. 음주운전을 금지하는 법률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고요. 인간의 행동에 대해 자유와, 타인에 대한 배려가 함께 고려 되어야만 합니다.
@kokomo99160
@kokomo99160 Күн бұрын
01:30:00 인격동일성 1:30:06
@mmscks2000
@mmscks2000 Күн бұрын
윤통 1년 결과가 대한민국을 중심에 넣고 의 정통통을 지키는 잘한일? 과연?,미치겄다 정말
@mmscks2000
@mmscks2000 Күн бұрын
이분이 윤대통령 거드는거 보신분? 난 이후 이사람말 안 믿어요. 말로만 번지르르 말과 행동과 판단력이 따로놀아? 완전 실망.이전에 들었던 귀를 닦고 싶었음
@user-hx6wg6ed1f
@user-hx6wg6ed1f 2 күн бұрын
소박한 대답이었습니다 ♡❤️이제서 들리네요 늦는건 세상에 없습니다
@user-hx6wg6ed1f
@user-hx6wg6ed1f 2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세요 선생님의 책을 읽고 나서 감동을 받았습니다. 괴테는 그 거대함과 이 소박함이 동시에 참인 드문 인물이었습니다. 라고 하셨지요. 저도 깊이 생각한 부분 입니다. 선생님이 쓰신 단어 '소박함'이 저를 놀라게 했습니다. 저는 '겸손'이라고 생각해 보았는데요. 소박함의 깊이가 맞는것 같구요. 전율을 느낀 부분입니다..200쪽~203쪽
@user-bp7tf2bi5v
@user-bp7tf2bi5v 2 күн бұрын
알릴레오북스 최정균교수편 마지막부분이 생각나는 대담이네요 본질과 실존
@user-yy2wo7vk5j
@user-yy2wo7vk5j 2 күн бұрын
현대사회와 디자인 화 6,7교시 한승우 자세히 알지 못했던 역사에 대해 알게된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user-xq7ol7uh6k
@user-xq7ol7uh6k 3 күн бұрын
혹 '세자가 사라졌다' jtbc 드라마의 모티브(대비의 불륜)가 이 이야기에서 따온 듯요^^
@user-xq7ol7uh6k
@user-xq7ol7uh6k 3 күн бұрын
조희 친정엄마의 말들이 진정 명언들이네요^^ "~ 오늘 죽느냐? 내일 죽느냐? 만 다를 뿐~~"
@user-xq7ol7uh6k
@user-xq7ol7uh6k 3 күн бұрын
'자초'는 군사전략 등 경험을 쌓기위해 조나라 공략에 나선 왕전 장군의 군대에 함께 나섰다가 생포되어 조나라에 볼모로 남게 되었던 것이란 학설도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 볼모와는 차별적인 대우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조희 술집 여자설'도 요즘의 '쥴2 파동'과 오버랩 되는 건 저 혼자만의 뇌피셜일까요? 동서고금 역사를 둘러볼 때 사마천 사기의 기사들도 온갖 '가짜뉴스'들이 판치는 요즘과 별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
@user-et2fl4rz1h
@user-et2fl4rz1h 3 күн бұрын
읽어볼 엄두도 못냈는데 알기 쉽게 강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눈이 번쩍 뜨이는 느낌입니다.
@dlwndud2753
@dlwndud2753 3 күн бұрын
현대사회와 디자인 화 6,7교시 이주영 역사에 대해서 원래도 흥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더욱 흥미를 가지게 만들어 주는 재밌고도 유익항 강의였습니다.
@user-gt3fb3ej8x
@user-gt3fb3ej8x 3 күн бұрын
아직도 똥을 입으로 배설하냐...
@user-ei7wd7fu2i
@user-ei7wd7fu2i 4 күн бұрын
넘넘 잼있게 들었어요 제작해 주셔서 감사해요!!❤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4 күн бұрын
믿는놈이 오늘은 또 부처님천양 양다리 삼다리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4 күн бұрын
계속 두고두고 파먹고사는 그소리그소리 사탕발림 얄팍한개소리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4 күн бұрын
조갑재 김똥길 비슷한 간웅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4 күн бұрын
뻔뻔한놈 편생양지만찿아 강의만쫓아 돈만아는놈 평생 남을위해 일전도 쓰지안고 얻어먹고만산 양아치 얄팍한놈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4 күн бұрын
정말 이중인격자 변절자 너무거짖을 잘하는 놈 전두환옹호자 군에들어가려다 저의누나의백으로 서울로와 교수 하고 주둥아리로 죽기까지영화누린 욕심장이평생 자기만을위한 평생자선한번 안해본놈 교회가면 예수찬양 절에가면 석가 찬양 유교가면. 공자 맹자 찬양 전형적인간신
@user-mv6vg8ge4g
@user-mv6vg8ge4g 4 күн бұрын
현대사회와 디자인 화 6,7교시 오수연 잘 모르고 있던 역사에 대해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며 일본과 우리나라의 관계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열린 사고를 통해 역사를 마주함으로써 올바른 역사관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준 강의였습니다.
@user-ij5lq2sc5h
@user-ij5lq2sc5h 4 күн бұрын
현대사회와디자인 6,7교시/김수민입니다. 평소 교과서만 보고 역사 공부를 했었는데 이렇게 살아있는 역사에 대해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
@jak2946
@jak2946 4 күн бұрын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4 күн бұрын
제 주위에도 뇌가 없어보이는 사람 있습니다~~ ㅋㅋ 세상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열일 하고 있는 뇌가 소중해집니다. 근데, 피아노 까지 잘 치는건 반칙 아닙니까?
@user-lc8ni4pj9n
@user-lc8ni4pj9n 4 күн бұрын
현대사회와 디자인/8,9교시/최나라 입니다. 몰랐던 역사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었습니다.
@muguet959
@muguet959 4 күн бұрын
선생님 한말씀 한말씀에 따뜻해집니다.😊
@user-gp9hz8dq6b
@user-gp9hz8dq6b 5 күн бұрын
감사해요 😊
@user-gp9hz8dq6b
@user-gp9hz8dq6b 5 күн бұрын
또.교수님의 순수하신 말씀 들.을기회를 주신다면 삶.그 자체가 아름다운 세상.이 펼쳐 질것 같아요❤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6 күн бұрын
재미있게 가볍게 들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듣다보면 내 얘기를 속담을 빌어서 하는것 같아 찔리기도 하면서 계속듣게 되네요. 학생들에게도 들려주면 좋을것 같은 강의입니다
@RaeRae0119
@RaeRae0119 6 күн бұрын
외로움이 개인 문제 뿐만 아니라 우리 모든 사람들의 문제입니다. 정부도 책임 가져야 한다. 주변 사람들도 서로 돌보면서 더 좋은 사회 만들어 봅시다!
@RaeRae0119
@RaeRae0119 6 күн бұрын
건강에 대해 더 깊이 알게 되었어요. 몸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도 건강해야죠.
@user-mr7kw1hy4k
@user-mr7kw1hy4k 6 күн бұрын
너무 예뻐서 눈물이 나요~~😅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7 күн бұрын
외로움은 개인적인 감정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정치적, 사회적으로 연관지어 바라보니 완전히 다른 개념이 되었습니다. 사회적 비용문제 측면에서도 외로움에 대한 사회의 공동대응방안도 논의 되어야만 할것같습니다. 새로운 관점을 잘 배웠습니다.
@user-dg2xg8zr7m
@user-dg2xg8zr7m 7 күн бұрын
외국의 예술가를 보고 감탄하고 칭찬하는 것처럼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에 아픈 역사로 인해 적대 관계의 위치에서 대립하고 있지만, 인정을 하고, 인정을 받기 위한 예술이 인류를 통합시킨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생각이 많아지는 말이네요. 20194045 김찬우 융복합 디자인론 (화6,7)
@LeeYoungHeun
@LeeYoungHeun 7 күн бұрын
유머감각과 논리적인 분석에 너무 훌륭하십니다 다시한번 존경합니다
@user-ir2nh3el8v
@user-ir2nh3el8v 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7 күн бұрын
현대인의 고민에 대한 뛰어난 통찰 입니다. 인간으로서 욕망을 통제한다는건 쉽지 않은 숙제 이지요. 버릴것 가질것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시대를 뛰어넘는 좋은 강의입니다.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8 күн бұрын
멋진 강연 감사합니다.
@user-vb8yd4if6c
@user-vb8yd4if6c 8 күн бұрын
추하다
@songsong0990
@songsong0990 8 күн бұрын
사기꾼
@jhdpark21
@jhdpark21 9 күн бұрын
일리가 있는 논리네요
@user-zh7dv4ht9o
@user-zh7dv4ht9o 9 күн бұрын
한국 인이 세계를 이끈다 함석헌 예언 정도령 박씨 나무꾼 농사꾼 홍익인간 재림예수 겸손하게 그분 영접
@user-rq5nr7oe9q
@user-rq5nr7oe9q 10 күн бұрын
너무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kyung6040
@kyung6040 10 күн бұрын
왜 어머님 모시고 외가댁 한번 다녀오시기가 그리 어려우셨나요..?
@user-su8gc2gt3s
@user-su8gc2gt3s 10 күн бұрын
인간 의식의 차원 세계로의 여행도 있어야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