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user-rj3rs3sn9f
@user-rj3rs3sn9f Күн бұрын
재밌다. 이시대는 이미 과학이 종교가 되어버렸다. 중세시대에 종교로 인해 문명의 암흑기였던 것 처럼. 과학적인 것만이 진리라고 믿는 믿음 또한 종교다. 인간은 누구나 '나'라는 자아에 매몰되어 살도록 만들어졌다. 예술인도 과학자도 정치가도 사업가도 노숙자도 나도 너도 모든 인간은 자기가치를 제고하는데 삶의 보람을 느낀다. 부질없다는 걸 알면서도 그럴 수 밖에 없다. 알면 알수록 모르는 것이 더 많음을 알면서도 새로운 발견은 더없는 기쁨을 주기 때문이다. 돌위에 돌하나 남겨지지 않을 때까지 우린 그렇게 살아갈 것이다.
@user-ic4rr8up9z
@user-ic4rr8up9z Күн бұрын
그립습니다
@cheun2552
@cheun2552 Күн бұрын
옛날 고려 장 선인 님들게서 지혜롭다는 생각 입니다 내 생이 끝이라는 생각이 들때 병원 신세 않지고 깨끗하게 스스로 곡기 끊고 편안하게 마감 하는 것이 추하지 않고 아름답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user-qr7mq3jo3o
@user-qr7mq3jo3o Күн бұрын
인간도자연의 일부다 인간의머리로 세상을 자연을 바꾸겠다는 어리석은 거만한 인간들
@tamaplaza2705
@tamaplaza2705 2 күн бұрын
very useful info & advice.👍 thanks a lot. 🙏
@user-kw2lz7fs5f
@user-kw2lz7fs5f 3 күн бұрын
🥰😘
@user-rs7qw1dp1y
@user-rs7qw1dp1y 5 күн бұрын
박문호샘~ 오 주여 아멘입니다 박문호샘 경청 자세 경탄합니다 유시민님이 이리 답답하게 느껴지는건 첨이네요 바위에서 시작한다는거 아멘입니다. 인문학의 해체가 아니라 해방입니다
@user-cu3nk7fq3y
@user-cu3nk7fq3y 5 күн бұрын
박문호박사님 정말 이시대의 탑클 학자십니다 ^^
@user-le5yy9uw3g
@user-le5yy9uw3g 6 күн бұрын
평소 너무 보고싶지않았던 사람이었건만 박문호박사 강의 듣는다고 좌담을 들으면서 시민이도 정상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이네...!😮
@user-gg8xq9ks4t
@user-gg8xq9ks4t 7 күн бұрын
김현아 교수님 존경합니다 죽음을 배우는 시간을 읽음을 계기로 교수님을 알게되었는데 이후 많은 영상을 보며 큰 공부가 되었는데 감사하며 존경합니다
@sappuna555
@sappuna555 7 күн бұрын
대부분 어렵고 잘 이해하진 못했지만 무지 재미 있었어요 두 회 연달아 집중해서 들으며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user-pu5rz8lv4v
@user-pu5rz8lv4v 7 күн бұрын
박사님말씀이 더 많았으면 좋았을텐데 그래도 이런 대담이 주는 가치에 감사
@justicecor
@justicecor 8 күн бұрын
횡설수설 유시민 처음입니다 ㅋㅋㅋ
@user-rj9hw3lh5f
@user-rj9hw3lh5f 8 күн бұрын
60세 아줌마 입니다 인문학책만 읽다가 박문호교수님덕분에 여러분야에 관심이 가네요 유시만 작가님께서 제가 묻고싶고 궁금했던것들을 다 얘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fn3yh8lf6d
@user-fn3yh8lf6d 8 күн бұрын
유시민 의 변질된 고정관념화된정치편향적 너무 싫이졌고 유시민 책들은 다 버렸다 요
@user-fn3yh8lf6d
@user-fn3yh8lf6d 8 күн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이 이런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았음 좋겠네요
@kimzzuzzu
@kimzzuzzu 8 күн бұрын
돌대가리 대리고 강의 할려니 박문호 존나 힘들겠다.
@user-km4ph7qv4c
@user-km4ph7qv4c 9 күн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한테 정말 반했어요! 가만히 고개 끄덕이면서 듣는모습이나 갑자기 막 good! 그러는것도 천진난만해 보임
@user-km4ph7qv4c
@user-km4ph7qv4c 9 күн бұрын
엄밀한 과학적 결과를 믿어라~
@user-km4ph7qv4c
@user-km4ph7qv4c 9 күн бұрын
문과는 좋고 싫고가 중요한데 ..과학이 뭔 선호도의 문제냐고요. 문과, 좌파가 다윈주의를 싫어한다고.. 아니 싫다고 아닌게 되냐고요. 싫어도 지구는 도는데 .. 어려운 문제 아니고요.. 그냥 아닌건 아닌거니까 괜한 서사 부여할거 없구요.. 바램이 현실이 아니라고 부정하려고 해도, 팩트가 변하는건 아니니까.. 과도한 서사 부여해서 붙들고 있어봐야 미련함일뿐.
@AndyYoe
@AndyYoe 9 күн бұрын
마지막 유작이 출간되었네요. 우리의 기억속에서 영원히 같이 하기를 ...
@user-hu7qg2un9g
@user-hu7qg2un9g 9 күн бұрын
너무 오랜만에 몰입하며 봤습니다 두분 모습 자주 뵙고 싶네여 … 귀한 대화를 엿본 느낌이에여
@kmoonrim6849
@kmoonrim6849 9 күн бұрын
이 시대의 참 의료인 이신 김현아 교수님 진정 존경 스럽고 마음 든든 합니다.
@user-ch7jr9gq5t
@user-ch7jr9gq5t 10 күн бұрын
뇌의 발생 또는 발전 과정 순서는 뇌간 그리고 대뇌를 중심으로한 변연계 그리고 대뇌피질입니다 이 순서는 환경에 알맞게 적응하려는 순응구조의 진화가 끊임없이 요구되었던 결과라고 봅니다 또한 이 순서는 이성 수준의 순서가 아니라 개체 또는 종의 환경적 적응을 위한 본능의 개별적 탁월함을 부여하기 위한 확률론적 진화라고 보구요 시민옹 그 이상을 알고 계시니 제 어구는 뜬구름 입니다 항상 건승하십쇼
@user-ch7jr9gq5t
@user-ch7jr9gq5t 10 күн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과학공부도 다시 하시고 특히 인문학 더더욱 불교 공부좀 하십쇼 불교 야말로 자아 없고 양자역학과 가장 가깝습니다 제발요
@user-ch7jr9gq5t
@user-ch7jr9gq5t 10 күн бұрын
일단 자기를 제대로 볼수 있는 자아가 없을것 같습니다 뇌의 신경 가소성 그리고 한 인간이 아닌 인간 전체에 대한 관점 그리고 환경과 생물 간의 작용과 반작용을 고려하면 유시민 선생님의 관점이 훨씬 탁월하다고 보여집니다 하이젠베르크의 정식 추론은 기존수학과학 이론 짜집기에 불과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이젠베르크는 최고였죠
@user-xk2ng1pb7b
@user-xk2ng1pb7b 10 күн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당신은 대단한 안목을 가진 열린 정신을 소유한 분입니다 선한 영향력. 깨어있는 자유인 지성인
@user-xk2ng1pb7b
@user-xk2ng1pb7b 10 күн бұрын
뇌가 정지 되면 육체는 물질에 불과하지요 인간이 과학을 아무리 증명해도 신의. 영역을 알 수는 없을겁니다 혹시 신은 육체 속 뇌에 있지. 않을까요 삼라만상 트레이닝 을 하고 신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지요. 트레이닝 에는 물질세계가 필요하거든요 영혼의 영 역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이지요. 무한하니까요 대충 맘대로 살아도 된다는 판단도. 연결된 우주적 관점에서 보면 서로 영향을 주고. 또. 그 댓가를 치루게 되지요 그 댓가는 다른 영역에서. 다른 모습으로. 치루게 될 수도. 있지요 우리는 모두 다양하지만 모두 하나지요 종교로 접근해도 성경속에는 우주섭리 담고 있지요 상징과 비유로.인간 속에. 신이.있다. 나의 영혼이 신의 영혼속에 거할때 나는 신의. 영역에 들어갑니다그 상태를 하나가 된. 천. 국이라 하죠 신은. 신이 필요 한거지 인간이라는 물질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삼라만상 물질은 신이 부리는 조화일 뿐입니다. 그대가 선택 받은 영혼이라면 그대는 신이 됩니다. 적어도 착한 의지는. 다음 생을. 좋게 기약합니다
@canari2789
@canari2789 10 күн бұрын
인간이 경험에만 의존 했다면 발전이 있었겠나. 상상과 꿈이란것이 추가로 있었더거쥐
@canari2789
@canari2789 10 күн бұрын
이공계의 한계. 책에 의존. 인문계는 책을 보고 상상을 한다.
@user-rx9vi8jb7p
@user-rx9vi8jb7p 11 күн бұрын
이과와 문과의 토론 세포에서 시작에서 우주론까지 인생에 있어 깊이 있는 통찰의 시간이었습니다 46:52
@4supertramp
@4supertramp 11 күн бұрын
남자진행자 진짜… ㅋㅋㅋㅋㅋㅋㅋ 진행 드럽게 못하네
@ll5597
@ll5597 11 күн бұрын
54:40
@FlowerSan
@FlowerSan 11 күн бұрын
베짱이들
@kekeillust
@kekeillust 11 күн бұрын
정말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zb7dr7mp3j
@user-zb7dr7mp3j 12 күн бұрын
유시민 벌건이 하고 얘기하는 것은 역겨윤데
@ll5597
@ll5597 12 күн бұрын
1:05:05
@ashleyyeon141
@ashleyyeon141 12 күн бұрын
학생과 선생님대화를 보는것같다
@wuf8i2bndoqkqnd
@wuf8i2bndoqkqnd 12 күн бұрын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서도 대담의 마무리가 문과와이과네요 ㅎㅎ
@Buddha2568
@Buddha2568 12 күн бұрын
감히 유시민주제에 대학자를 자신과 비슷하다는 해괴한 논리를 펴는데 통탄한다...
@Buddha2568
@Buddha2568 12 күн бұрын
유시민의 그릇으로 저 대학자를 대담한다는게 어울리는지?..저 자는 알맹이가 있는 자냐? 유시민은 뭐하는 자냐?
@user-fn3yh8lf6d
@user-fn3yh8lf6d 13 күн бұрын
보수는 악 진보는 선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시길 이제는 진보진영 이 더 썩었다는 것을
@user-fn3yh8lf6d
@user-fn3yh8lf6d 13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철학적이라면서 유시민 당신의정치적 판단은 이해불가 백분토론때 눈빛은 기회주의 로 보이고요 범법의혹으로 가득찬 자를 옹호하시는 판단력 나이들면 뇌도 늙어가시나 아니면 원래 그런데 숨기신건일까
@Minimalrise
@Minimalrise 13 күн бұрын
29:13
@user-rh9ln9fj4p
@user-rh9ln9fj4p 13 күн бұрын
책 읽었습니다. 이런 영상이 있을 줄은 몰랐습니다.
@manjangka9230
@manjangka9230 14 күн бұрын
유작가님 말이 넘 많으시네요 거슬려요
@user-nj5pq4rp1l
@user-nj5pq4rp1l 14 күн бұрын
역사를 알아야 정치를 알 수 있어요 . 아마도 유시민자가님도 나라를 사랑하고 정치에 괌심이.많으셔서 역사를 공부하신거 같아요. 나 역시 나이가 들었지만 역사를 알고나니 정치에 관심을 갖게되고, 지금은 자격증 위득을 위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ugwangho02
@ugwangho02 14 күн бұрын
교양이 풍부해집니다.
@ugwangho02
@ugwangho02 14 күн бұрын
교양이 풍부해집니다.
@ugwangho02
@ugwangho02 14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습니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