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bysky420
@bysky420 2 күн бұрын
윤석열도 천명을 따르는 건가요.
@js-eo8fk
@js-eo8fk 18 сағат бұрын
그럴리가 ㅜㅜ
@user-fs5cd9om4y
@user-fs5cd9om4y 4 күн бұрын
허황된듯 보일법 한 성현들 말씀을 이리 잘 풀어 설명해 주셔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kjb4286
@kjb4286 6 күн бұрын
그런데. 팔자는 무슨 뜻인가요?
@user-rp6qk5yw2y
@user-rp6qk5yw2y 12 күн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여러번 반복하고 삶에서 반추하며 성찰 공부하겠습니다. 강기진 선생님 깊이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win_the_prize
@win_the_prize 16 күн бұрын
자신의 '명'을 아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user-ot5hu7jj9z
@user-ot5hu7jj9z 18 күн бұрын
조선시대와의 비교는 적절하지 않지만 불행의 시작은 주변과의 비교가 불행을 만드는것 같습니다
@user-sv5qv2ij6g
@user-sv5qv2ij6g 22 күн бұрын
그들은 선악을 구별할수있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user-ox4ly6be4f
@user-ox4ly6be4f 24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당 ~^^
@user-rp6qk5yw2y
@user-rp6qk5yw2y 24 күн бұрын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user-pd4cf8qx8q
@user-pd4cf8qx8q 26 күн бұрын
상경의세게 하경의.세계 구분할줄 아는 마음 의 지혜가 필요하고. 적당한 거리를 두어 비인속에서 나를 지키도록 상경의 세계에서 담금질을 충분히 하여 흔들림이 없어야된다는 가르침 인거 같은데요. . .
@kyunglee3065
@kyunglee3065 27 күн бұрын
냉정할지 몰라도 사람을 무조건 잘 대할필요없는거죠 그사람 을 천천히보고 수준ㆍ생각의 깊이 에 맞게 상대해야하는것 에티켓은 지키고 그게 현명한 사람이죠
@user-fw2wz3xe2x
@user-fw2wz3xe2x 29 күн бұрын
천명이 내장점의 방향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user-ot9bh8wk2e
@user-ot9bh8wk2e Ай бұрын
마음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이라. 이 말씀이 늘 와닿지 않았는데 오늘 깨닫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늘 마음을 비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user-qk4jm4zl7b
@user-qk4jm4zl7b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자신이 없습니다..ㅠㅠ 안될거 같아서 회피할때마다 뚜드려 맞았습니다 ㅠㅠ 단순한 알바조차도 할 수 없는 상황이 오더라구요. 마음 비우고 받아들이고 보니 결국 제가 해야할 일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시험이 너무나 어렵고 집중력도 너무 안좋지만 이게 제 천명이라 생각하고 열심히 가볼 생각입니다..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kimdanny8262
@kimdanny8262 Ай бұрын
선생님 강의는 기존의 고리타분한 유학자들의 강의와는 결이 다른 인생을 살아가는 데 보석같은 지침이 되는 강의입니다.
@user-ji4bk7qv6o
@user-ji4bk7qv6o Ай бұрын
남들이. 잘되는게. 질투가나서. 그럴까 ? 겸손은. 당연한건데. 자기자신이. 노력을.해서. 가득 채웠을때. 과연. 누가. 그사람을. 욕할수 있는가.
@user-vc7zz7mi1j
@user-vc7zz7mi1j Ай бұрын
운이 좋아야 태의 공동체에 갈 수 있을거 같아요. 하지만 비의 공동체에 속하면 얼른 알아채고 환경을 바꾸어야 할 거 같습니다. 글을 쓰다보니 태 비라는 것이 꼭 좋다 나쁘다가 아니라 나와 소통이 되고 나의 가치를 알아주는 공동체 일지도 모르겠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user-ki4uj4mg6s
@user-ki4uj4mg6s Ай бұрын
50대가 되어 인연된 가르침에 감사드립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저 또한 감사드립니다.
@user-ng6ej5vb5e
@user-ng6ej5vb5e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성원해주셔서 저 또한 감사합니다.
@user-ng6ej5vb5e
@user-ng6ej5vb5e Ай бұрын
즐겨들으며 선생님 주역강의 덕분에 마음이 맑아지는것같습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honarldo3323
@honarldo3323 Ай бұрын
역시 주역의 정통하면 만법유식이 진라리는 걸 다 알게 되는 군요... 선생님, 한 가지 여쭙고 싶은게 있는데 어째서 불교 경전에는 왜 64괘에 대한 언급이 없었을까요???
@honarldo3323
@honarldo3323 Ай бұрын
기진님, 제 질문을 가벼이 여기지 마시고 꼭 답변 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breakthewall5566
@breakthewall5566 Ай бұрын
재능없는 장삼이사들은 천명이 없는건가요? 너무 두리뭉술한이야기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천명이 어떤 거창한 것을 말하는 건 아닙니다. 사람은 누구나 하늘로부터 명 받은 바가 있습니다. 그래서 태어난 것입니다.
@leeyoungkyung4894
@leeyoungkyung4894 2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을 듣고나니 눈물이 나려고 합니다.😊고맙습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
@user-hg3kw4rw8w
@user-hg3kw4rw8w 2 ай бұрын
대대 화이불류 숨은 태극의 의미 감사합니다 ♡
@user-tr3uj7id9b
@user-tr3uj7id9b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혹하게 이해했습니다
@user-yg6sx8gy4n
@user-yg6sx8gy4n 2 ай бұрын
천명이 어떤건지 모르는데 어떻게 갑니까?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차분히 나의 삶을 돌아보면 알 수 있지 않을까요?
@user-ne4fw5zj9n
@user-ne4fw5zj9n 2 ай бұрын
"천명대로 살라" 무슨 뜻인지요? 조물주가 정해준 운명대로 살라는 건가요?? 내가 원하는 삶, 내 그릇대로 살지 말라는 건가요? 아무리 몸부림쳐도 되지 않긴 합디다만, 그래도 더 나아질 거라는 희망이 있으니 삶의 원동력이 아니겠습니까. 그렇잖으면 이번 생은 망했다고 여기고 리셋해야 하나요.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천명을 따르는 삶이 내 그릇을 충실하게 채우는 삶입니다.
@user-dp1ik2fj4d
@user-dp1ik2fj4d 2 ай бұрын
선생님의 주역산책을 첫강부터 잘 따라가고 있습니다. 맥을 짚을 수 있어 너무 고맙습니다. 주역독해 상하를 사고싶은데 상경이 절판이라 구입이 안됩니다. 하경만 구입했습니다. 구입할 수 있는 길이 없을까요. 부탁드려봅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안타깝지만 현재로서는 상경을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주역독해 상·하경 개정판이 11월말 경에 출판 예정이니 참고하십시오. 다른 분께 들은 얘기인데, 절판된 책은 국회도서관에 제본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우편배송도 가능). 공식적으로 1/3만 복사제본이 가능한데, 한권을 모두 신청하면 1/3씩 셋으로 나누어 제본해서 보내주는 모양입니다. 참고하십시오.
@user-ox4ly6be4f
@user-ox4ly6be4f 2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당 ~^^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저도 감사드립니다 ^^
@user-ox4ly6be4f
@user-ox4ly6be4f 2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당 ~^^
@user-ox4ly6be4f
@user-ox4ly6be4f 2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당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 2 ай бұрын
기제의 길 미제의 길 ...멋진 마침표♡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 2 ай бұрын
물유본말 사유종시... 교수님 누구나 꼭 들으면 좋은 훌륭한 강의...감사드립니다 건행♡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가치있게 들어주시니 저도 감사합니다.
@user-cv7yd5jg7p
@user-cv7yd5jg7p 2 ай бұрын
공부좀 제대로하시오
@user-cv7yd5jg7p
@user-cv7yd5jg7p 2 ай бұрын
거참 무의식이 참나라..
@aioooooooo
@aioooooooo 2 ай бұрын
진리는 단순하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그렇죠? ^^
@aioooooooo
@aioooooooo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user-ki6pj3zg6v
@user-ki6pj3zg6v 2 ай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며칠전 이금희님 채널에서 처음 영상으로 뵜는데 그이후 자꾸 보이십니다 하하하 감사합니다 ()()()_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성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hyora7065
@hyora7065 2 ай бұрын
누울집이 있고 천장보고 편히 누워있고 술단지가 있다 부자의 풍요와 여유와 넉넉함 이 느껴집니다 부자의 정의 심플하면서도 저에게 꼭 필요한 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최근에 제가 왜? 부가가 되고 싶은가에대한 스스로의 답이 부자의 여유와 넉넉함이 갖고 싶었거였습니다 선생님 이 그런말씀을 쉽게 주역으로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ㅇ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
@kyunglee3065
@kyunglee3065 2 ай бұрын
주역도 심리학 모두 일맥상통하니 신기합니다 ^^ 정신분석학에서도 무의식을 강조하는데 선생님 강의를 들으면 참 이해가 잘됩니다 선생님을 알게되어서 영광이고 이또한 인연이라 생각합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성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adforsweet
@madforsweet 2 ай бұрын
너무좋은방송 감사합니다 그 누구도 말해주지 못했던 부분인데 큰 깨달음 얻었습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도움되는 바가 있으셨다면 저에게도 기쁘고 감사한 일입니다.
@user-do6qu6py5d
@user-do6qu6py5d 2 ай бұрын
차분 차분 말씀잘들었네요 인생의 말년에선생님을 만났네요ㆍ아마젊은날은 선생님말씀이 귓등에 겉돌았겠지요 감사합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
@user-lu9wb7cl5e
@user-lu9wb7cl5e 2 ай бұрын
구체적사례에대한 설명도 부탁드려봅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자기 천명의 길을 갈 때 예기치 않은 곳에서 도움이 따르는 경험을 하는 분들은 많이 계십니다. 하지만 구체적 사례를 설명드리기는 여의치 않은 면이 있습니다.
@kyunglee3065
@kyunglee3065 2 ай бұрын
선생님 강의하신 내용을 보면서 그동안 제가 살면서 깨닫고 고민했던 부분이 비슷해서 많은 공감도 되고 이해안된 부분은 쉽게 설명해주셔서 확실히 이해되었습니다 ㆍ감사합니다 ^^저 또한 저의 깨달음과 지혜로 제가 지닌 천명을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날이왔으면 좋겠습니다 틈틈이 방송ㆍ책 찾아 보겠습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성원해주셔서 감사하고, 선생님의 앞길에 건강과 행운이 함께 하기를 기원하겠습니다.
@julia8676
@julia8676 2 ай бұрын
소장님,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비인은 타고날 때부터 비인으로 타고 나는지요 아니면 살다가 이런저런 이유로 비인이 되는 것인지요?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살다가 이런저런 이유로 비인이 되는 것입니다.
@julia8676
@julia8676 2 ай бұрын
소장님 강의 너무나 깊이 와 닿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 강의는 마치 저를 두고 하는 말씀 같네요. 한가지 여쭙고 싶은게 있습니다. 저의 경우 비의 공동체가 가족 즉, 아이들이 속해 있는 가정입니다. 그러다보니 책임감 등으로 제가 진심과 정성을 쏟고 있는 상황입니다. 명백한 비의 공동체인데 제 살길 찾아가자니 아이들의 앞날이 걱정되어 그렇게 못하고 있습니다 ㅜㅜ 이럴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참 많이 괴롭습니다...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Ай бұрын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상대방이 비인일 경우 진심과 정성을 쏟지는 말아야 하고, 대신 에티켓은 지키면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는 그렇게 해주실 수 있을까요?
@mhyunsook
@mhyunsook 2 ай бұрын
역시 영상 연결 안되네요, 번호가 없어서 다음이 뭔지 모름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2 ай бұрын
나머지는 상호 연결이 없는 단독 영상입니다. 순서가 없으니 제목을 참고해서 원하시는 영상을 골라서 들으시면 됩니다.
@mhyunsook
@mhyunsook 2 ай бұрын
@@user-di4gh2et1q 아 네 ()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2 ай бұрын
'인문학 강의'라고 채널로 묶여 있기는 한데요, 이 이외에 영상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이 또 있나요?
@mhyunsook
@mhyunsook 2 ай бұрын
근데, 다음 영상과 이어지지가 않네요, 번호를 안달어서..
@user-di4gh2et1q
@user-di4gh2et1q 2 ай бұрын
여기 제목에 1이라고 달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