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함을 뚫고 나오는 법
7:35
하지만 나는 바뀌고 싶다
7:38
Пікірлер
@user-tj1rj4vs3q
@user-tj1rj4vs3q Күн бұрын
노동자인 동시에 자본가가 되는게 평범한직장인이 젤 좋음
@user-vx6ty9cf3q
@user-vx6ty9cf3q Күн бұрын
바닥치는인생있기에 이세상돌아가지요...진심무ㆍ서운말입니다 지금도 남탓하고있을거에요 그거못고쳐요....😢 2:41
@user-de9qp3yt6r
@user-de9qp3yt6r 3 күн бұрын
6:30 [딱 한 번이 곧 인생을 망치는 '트리거'가 된다] 하지 않겠다고 정했으면, 예외 없이 절대로! 하지 않기.
@hope_opportunity
@hope_opportunity 3 күн бұрын
지금 미국 일본 한국 등은 신자유주의가 아닌 신보호주의로 바뀌고 있습니다.
@user-ve9jv7xe1b
@user-ve9jv7xe1b 4 күн бұрын
한국음 절대 안됩니다!!
@paintkim9211
@paintkim9211 4 күн бұрын
저는 사소한 실수도 무서운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자 입니다 제 사소한 실수를 용납도 할 수 없고 실수한 거 가지고 계속 제 자신을 자학하니까 제 자신이 후회스럽네요... 어떻게 고치면 되죠?
@user-kt1xb3ts7z
@user-kt1xb3ts7z 4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사실 별 것도 아닌 말인데 쌓이고 쌓여서 분노가 치밀어 올라서...전부 포기하거나 깨부수고 싶을 때 영상 보면서 진정했어요.
@JJABU_
@JJABU_ 5 күн бұрын
5:00 여기부터 개소름 난 어릴 때부터 몸도 약하고 가족들에 비해 머리도 부족하니까 항상 노력하고 남들보다 좀 더 잘해야한다고 생각했음.. 실제로 교우관계도 불안정했고 맨날 난 남들과 다른 사람이 되겠어! 이러고.. 그 기준이 당연한 줄 알고 남한테 들이대다가 엄청 싸우고 고쳤는데 스스로한테 하는건 잘 안고쳐지고 ㅠ 좋은 결과도 있고 사회가 좋아하는 모습이라 강화가 되버렸나 어른이 되고 콤플렉스가 내 착각이었을 수 있다고 받아들였고 충분한 소속감도 느껴봤는데 아직도 부족한가 여전히 남아있네😂
@marcusk916
@marcusk916 5 күн бұрын
we are co-existing at past, present, and future. what you do at this moment can change/affect every reality.
@Demon99102
@Demon99102 5 күн бұрын
바보는 항상 결심만 하고 그것을 실천하지 않는다.
@nipp8601
@nipp8601 5 күн бұрын
사업가대통령 한국엔 이명박
@rudghks98
@rudghks98 5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이다 . 오랜만에 심장이 뛰는 감정이 드네요. 화이팅이에요 .
@user-ui8po7kn6t
@user-ui8po7kn6t 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ll2ln9iv7j
@user-ll2ln9iv7j 6 күн бұрын
하루에 한 번씩 맨날 봐야 하는 영상,, 찾았다
@user-ec7du7wr7r
@user-ec7du7wr7r 7 күн бұрын
가족이 주는 수치심이 가장 크다... 그 다음이 사회가 주는 수치심. 근데 가족과 사이가 안좋을때는 사회가 날 비난하면 가족도 날 비난한다.. 어디에도 내 편이 없다.
@npmylife7834
@npmylife7834 7 күн бұрын
뭐냐 딕션이랑 감정선은 개 하꼬인데 누가 키워준 채널인가 뭐지
@user-wi4bi6oi1o
@user-wi4bi6oi1o 8 күн бұрын
책광고 많이하시네 정떨어지게
@sm-yr4me
@sm-yr4me 8 күн бұрын
시간이 흐르지 않는데 왜 사람은 노화되나?
@user-yh1ms4th1f
@user-yh1ms4th1f 8 күн бұрын
찬물목욕 자전거여행 힘든 고통 발생 도파민 중독 문제 1 2 3 중독문제 건강 파괴 인간관계 재정 04:50 통찰 실험
@user-ld8ki8kl6e
@user-ld8ki8kl6e 8 күн бұрын
시간은 존재한다고 사람이 배운거고 그렇게 생각합니다 느끼고 배운걸 인식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간이 존재가 없다는거는걸 사람은 받아드리지 못 합니다 그보다 난 왜 태어났을까?
@shm1188
@shm1188 9 күн бұрын
정작가님이시네요 ❤ 저는 유튜브시청만 하다가 정작가님영상을 보게되어 처음 댓글이라는 것을 달고 정작가님 책도 읽게되었고 영상에서 댓글로 만난 분들과 궤도를 실천하고 있어요 생각만 하던 일들을 행동으로 옮기며즐거운 삶을 살게 되었어요 저는 정작가님 영상과 레이저책을 만나기전 삶과 후로 제 인생이 바뀔거 같다라는 생각이 들어요 너무 반가움에 댓글을 남깁니다 💕
@Blackrussian77ax
@Blackrussian77ax 9 күн бұрын
진짜 좋아요
@nir2va661
@nir2va661 9 күн бұрын
지금 4챕터 읽고 있는데 책에 좋고 의미 깊은 내용도 많지만, 가독성이 별로고 2/3는 쳐내고 만들어도 될 듯. 뒷챕터는 깔끔할지 모르겠지만. 1챕터는 전체적으로 괜찮았는데 적당히 엮어서 설명하던 여러 종교나 신화 내용이 2챕터에서 갑자기 "기독교가 진리다ㅏㅏㅏㅏ 기도도도독교!"하면서 종교책으로 변질되서 존재, 질서와 혼돈을 이미 기독교랑 엮은 거 전에 충분히 '오~'하면서 읽었는데 거의 똑같은 내용을 몇십페이지로 늘려서 개인적 추측을 끼워맞추면서 사족 붙이면서 흐름을 다 끊어먹음. 다시말하지만 책에 좋고 놀라운 통찰력이 담긴 건 인정함. 근데 [챕터시작-서론-시선뺏김-2-3-4-본론및결론]이라서 "야, 근데 우리 뭔 얘기 중이었지? 아! 그래, 그래서 그건 암튼 이런 얘기임"라고 느꼈음. 3챕터에서도 진짜 아무리 생각해도 '굳이?'생각되는 작가 어린시절과 친구얘기라던가를 해서 그러면 거기서 뭔가를 끌어내서 "결론!" 해야지, 몇십페이지 지루하게 읽다보면 짤막하게 "대충 요론느낌 ㅇㅋ?"하고 주제와 관련된 것에 관련된 얘기인 거. 그래서 내가 책을 잘못 읽었나해서 되돌아가서 보면 작가는 이걸 왜 넣은 거냐? 생각이 절로 듬. 처음에 40가지 주제로 할려 했다는데 솔직히 내가 지금까지 읽은 것도 170p이거 80p로도 충분하다고 생각됨. 그냥 40주제를 12주제에 어거지로 끼운 거 아닐까 생각함. 아무럼 교수인 만큼 흥미로운 눈문도 많이 인문하고는 하지만... 그냥 강연 한 번 듣는 게. 결론은 좋은내용이 담겼지만 별로인 전개와 사족이 많고 이게 어떻게 몇년간 다듬은 책인지 이해가 안 감.
@user-xs2fc9eb2x
@user-xs2fc9eb2x 9 күн бұрын
트라우마 비슷한거네요
@user-px3jj3mu7y
@user-px3jj3mu7y 9 күн бұрын
폭발이 아니라 팽창하는거 아닌가요?
@morakano3355
@morakano3355 9 күн бұрын
요약: 단순히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인과관계를 입증해 내는 것.
@user-ql8dc5vv7b
@user-ql8dc5vv7b 10 күн бұрын
혀 짧은거 중독성있네 .. ;;
@clickbsj
@clickbsj 11 күн бұрын
시간은 사회적 약속
@allaboutkoreanlife
@allaboutkoreanlife 11 күн бұрын
지금뭐해? 난 4억광년 전에 양치를 하고 있었어.
@lerai007
@lerai007 11 күн бұрын
걍 믿고 아니면 발등 도끼 찍히는거지
@user-lw7in9ox7w
@user-lw7in9ox7w 12 күн бұрын
본론만 간단히
@superbaby_1
@superbaby_1 12 күн бұрын
시간은 우리가 찰나를 길게 늘려놓은 공간이에요^^
@docpab
@docpab 13 күн бұрын
정치적 옳바름에 빠져잇는 한쿡 민주당, 아니 굼힘마져도 우구라 지지중, 미친거 아니야? 구한말 2시즌, 비엣남은 얼마전 선언, 이기는편에 붙는다 더 늦으면 자리가 없다. 니들은 이미 적대, 자리 없어. 퇴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ocpab
@docpab 13 күн бұрын
정치적 옳바름은 안중요하다. 끗
@user-hs9cw2lb8r
@user-hs9cw2lb8r 13 күн бұрын
저럴려면 주도적인 학생이어야 하는데.. 음..
@ruiru9352
@ruiru9352 13 күн бұрын
ㅈㅅㅋ들 아주 임자만나서 겁나게 한번 맞아야함. 이것밖엔 답이 없다고생각
@junexx2330
@junexx2330 13 күн бұрын
2:39 3:54
@user-qx9wz6kh8x
@user-qx9wz6kh8x 15 күн бұрын
양자세계에서는 시간이 0 이기 때문에 즉, 시간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속도라는 개념이 없으므로 당연히 시간이 흐른다고 여기는 우리의 거시세계관으로는 양자얽힘이 빛보다 빠르다고 착각?하는 거 같습니다만... 특수상대성이론은 빛보다 빠른건 있을 수 없다라고 하는데 양자미시세계에 시간이 없다면 속도는 의미가 없겠죠(속도 분수식에 시간을 0으로 대입하면...) 시간이 없다면 속도, 위치가 있겠습니까? 즉, 특정할 수 없겠죠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에서는 파동으로서 모든 곳에 동시에 중첩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겠죠... 상호작용으로 파동으로서의 양자세계가 깨져 입자화되어 시간(엔트로피)이 있는 거시세계로 구체화되며 속도, 위치 등이 특정되는 거 아닐까... 우리 거시세계는 모두 상호작용으로 이뤄지고 작동되는 것 같습니다... 시간이라는 개념이 없으면 엔트로피가 있는 우리 거시세계를 설명할 수 없을 거 같구요...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를 이해하기 어렵겠죠... 상호작용으로 시간이 생성되는게 아닐런지... 즉 상호작용이 곧 시간이 될 수 있겠네요! 빛과 관련해 보면 빛이 상호작용의 요인인지 결과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리 거시세계에 빛보다 빠른건 없다는데 빛과 상호작용하여 우주가 생성되는거라면... 우주는 시공간이니 그걸 만드는 우주 생성 요인보다 더 빠른건 거시세계에 있을 수가 없겠죠! 시간(=엔트로피 =상호작용)이 거시세계의 근본 같네요... 변화, 소멸, 죽음 등이 다 엔트로피 아니겠습니까? 거시세계의 특정존재가 소멸하면 파동화되어 시간이 없는 모든 가능성을 지닌 절대적인 미시세계로 가고 또 어떤 계기로 상호작용해 시간이 있는 상대적인 거시세계로 입자화되어 나타나는듯... 마치 윤회처럼... "상호작용(관측, 관계)이 시간이다" 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시간을 통한 양자얽힘 해석> 동영상 참고!!! <김정희 2021 decoherence is time> 논문
@curimi1
@curimi1 15 күн бұрын
시간이란 인간이.만든거지요
@gfse56
@gfse56 15 күн бұрын
남자친구 잘못 사귀면 맞아 뒤진다
@user-qc3oi2mz3j
@user-qc3oi2mz3j 15 күн бұрын
잘 봤습니다
@user-ex6gv1zz7g
@user-ex6gv1zz7g 16 күн бұрын
와우 엄청 도움이 되었습니다😂
@Mmmmss-qu2dw
@Mmmmss-qu2dw 16 күн бұрын
경계선이 조현병보다 무서운게 현실적인 범주에서 수없이 망상을 반복하고 평상시엔 멀쩡해서 상대가 경계선인거 알아챘을땐 이미 늦었음 그리고 경계선이랑 같이 있으면 본인도 그렇게 망가짐 왠만한 나르시스트보다 본인 신념 강요도 잘하고 가스라이팅 잘함
@bbygorl100
@bbygorl100 16 күн бұрын
이 드라마 너무 좋아해서 몇 번이고 재탕했는데 이제 넷플에서 내려가서 못 봐여 하..ㅜ
@satis528
@satis528 16 күн бұрын
신경끄고 산다는게 사실 쉬운일은 아닌것 같습니다 . 그래서 다른곳으로 신경을 분산해야 하는데 덜 중요한것 신경쓰느라 중요한 일을 망쳐버리기도 하네요~ 내려놓는것으로 생각할수도 있고 무심한것으로도 볼 수 있지만 어딘가 다른모습인것 같습니다 . 잘 들었습니다^^
@user-xz2ur3kl6r
@user-xz2ur3kl6r 16 күн бұрын
대본을 읽으실때 띄어읽기가 넘 이상해요... 붙여 잃어야할 것을 띄어읽으니까 완전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영상 목소리 녹음한 느낌이에요.
@user-pr9jk2rb6e
@user-pr9jk2rb6e 16 күн бұрын
모든지.. 적당히 하자.. 그걸 절제라고 하지 절제안대면 중독임
@Xevxsrt
@Xevxsrt 16 күн бұрын
이미 무식합니다… 🥹🥹
@user-bu1tu8wo2j
@user-bu1tu8wo2j 17 күн бұрын
여기에 댓글 남긴다고 달라질 건 하나도 없겠지만, 오늘 제가 느끼는 원인 모를 무언가를 찾은 것 같습니다. 너무 고통스럽습니다.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누가 봐주길 원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저 누군가에게 이야기하면 속이 시원해지듯이, 댓글로라도 남기면 약간이나마 스스로 위로 받을 수 있을까 싶어 댓글 남겼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bs4od3ml8w
@user-bs4od3ml8w 17 күн бұрын
추카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