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user-ks2kb7rt5t
@user-ks2kb7rt5t Күн бұрын
오늘 자장가는 이거로 정했다.
@user-jf3nv4xv5j
@user-jf3nv4xv5j 3 күн бұрын
시바... 괸세음보살. 이시스.
@user-hp5ni4tf5i
@user-hp5ni4tf5i 3 күн бұрын
목소리에 집중이 너무 잘되네요
@_proomproom
@_proomproom Күн бұрын
좋게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jl7mv1gn3x
@user-jl7mv1gn3x 4 күн бұрын
사람은 불행하고 극한으로 힘든 순간 본능적으로 신화를 찾는다고 합니다. 저 또한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신화를 줄곧 찾아왔습니다. 세상 모든 어원과 이야기의 뿌리를 찾아보면 신화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어요. 우리도 모르게 일상속 신화관련된 명칭들이 많죠. 분명 가짜세상이라는 것을 알고 보아도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가 다 담겨 있기에 참 심오하고 진짜처럼 믿게되더라구요. 무엇보다 신화는 참 재밌어요. 현실에서 못다 이룬 판타지를 대신 실현시켜주죠 ㅎㅎ빨리 만나보고 싶네요.
@user-el1ru7wq9q
@user-el1ru7wq9q 4 күн бұрын
목소리좋다
@user-bi8br4if8o
@user-bi8br4if8o 4 күн бұрын
늘 재미있게 잘 듣고 있습니다. 잠 잘 때 듣기 너무 좋아요.
@오메가
@오메가 5 күн бұрын
이집트신화 너무 재밌어요 신화 얘기 자주해주세요
@user-dj9qx7uo3s
@user-dj9qx7uo3s 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kq8fb4td5i
@user-kq8fb4td5i 5 күн бұрын
지브리 덕후는 웁니다ㅠㅠㅠㅠ 또보러 가야지ㅎㅎㅎㅎㅎ최근에인사이드아웃2도재밌었어요!
@user-hv9xv8yi4c
@user-hv9xv8yi4c 5 күн бұрын
처으로 공부합니다
@user-wy8tu1yv7c
@user-wy8tu1yv7c 5 күн бұрын
이벤트참여합니당!!!신화좋아해서 읽어보고싶어용 당첨안되도 좋은나눔감사합니당!♡
@tvgertv438
@tvgertv438 6 күн бұрын
목소리도 너무좋으시고 심지어 직접공부하셔서 공유해주신게 보여줘서 신뢰감이드네요~! 구독하고 팔로우하겠습니다!
@_proomproom
@_proomproom 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
@user-di8nc3pi4l
@user-di8nc3pi4l 6 күн бұрын
아리스토텔레스도 '시학'에서 유사한 관점으로 설명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 이야기란, 우리의 삶을 진지하게 '모방'하는 것이고, 작가는 이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궁극적으로 독자의 감정을 정화하는 것 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는 창작도, 집을 짓는것처럼 기술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시학의 원래 제목이 Poietike<제작술>인 이유이기도 히죠. 이야기의 개연성을 만드는 건 즉흥적 광기가 아닌, 체계적으로 쌓아올린 '플롯'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플롯'은 mythos 를 번역한 말인데, 어떤 문화의 특정 양식을 말합니다. 신화를 뜻하는 myth 도 mythos 에서 유래한다고 하네요. 종합해보면, 결국 신화도 우리 삶의 양식을 투영한 이야기인 것이고, 이렇게 전해지는 mythos 를 체계적으로 모방함으로써 우리는 독자에게 큰 감동을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좋은 작가가 되는 법이네요. 아리스토텔레스가 지금까지 살아있다면, 제일 먼저 추천하는 도서가 아닐지요. 항상 유익하고 고급진 영상 감사드립니다.
@bom2239
@bom2239 6 күн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예뻐요♡ 제 이름의 의미를 곱씹어보게 되네요. 이름의 뜻대로 큰 뜻을 품고 살아야겠단 생각을 하게 됩니다. 책 한번 읽어보고 싶어요♡♡
@_proomproom
@_proomproom 7 күн бұрын
📚 본 영상은 출판사 [포레스트북스] 에서 제작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 도서 증정 이벤트 참여하기 - 영상을 시청한 후, 도서 [세상의 모든 이야기는 신화에서 시작되었다] 에 대한 기대평을 남겨주세요. - 추첨을 통해 책을 보내드립니다. - 기한 : 7월 10일까지, 이후 커뮤니티 별도 공지.
@user-ve3ko1jb1q
@user-ve3ko1jb1q 7 күн бұрын
최근 인도 영화에 취미가 생겨서 파르바티와 동일시 된 타밀 여신(Amman) 관련 영화 몇 편 봤는데, 우리 전통 문화와도 맞아 떨어지는 부분이 꽤 있더라고요. 사람 사는 거 정말 다 거기서 거기구나 생각했습니다ㅎㅎ
@_proomproom
@_proomproom 7 күн бұрын
오오! 추천해 주실 만한 작품이 있을까요? 궁금하네요!
@user-pv9ob1rm6t
@user-pv9ob1rm6t 7 күн бұрын
라메리카=세울=인디아=중국=적현신주 백인 아리안 직계 조상님들 gods 이야기
@win-win9125
@win-win9125 8 күн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10번째 아바타인 칼퀴에 대한 자료 있으면 알려주세요~
@user-zg4cs4mb5r
@user-zg4cs4mb5r 9 күн бұрын
코샬라왕국과 부처님의조국 카필라왕국은 어떤 관계인가요
@user-ds1sn1gb3y
@user-ds1sn1gb3y 6 күн бұрын
코살라의 영역 안에 카필라가 있습니다. 코살라의 영향권 안에 있는 작은 왕국이 카필라였다고 보면 되네요.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9 күн бұрын
고따마 붇다께서 말씀하셨다. 걸어서는 결코 세상의 끝에 도달하지 못하지만 세상의 끝에 도달하지 않고서는 괴로움에서 벗어남도없다네. 이 몸에 세상과 세상의 발생과 세상의 소멸과 세상의 소멸로 인도하는 길이 있음을 선포하노라. 상윳따니까야(로이땃사 경에서).
@user-ks2kb7rt5t
@user-ks2kb7rt5t 11 күн бұрын
불편하고 힘들지만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진실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려운 이야기 꺼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i4ji2ci1g
@user-ii4ji2ci1g 11 күн бұрын
한국도 해외로 입양보내는 아기들 많아요.
@user-ys8bd1gu5n
@user-ys8bd1gu5n 11 күн бұрын
한국으로 입양 보내라. 잘가르치고 잘 키워서 훌륭한 성인으로 만들어 며느리 삼게.
@user-ii4ji2ci1g
@user-ii4ji2ci1g 11 күн бұрын
한국도 해외로 입양보내는 애들 아직도 많아요..
@user-mz7ho4vq9b
@user-mz7ho4vq9b 11 күн бұрын
오직 구원은 예수님뿐 예수님을 믿으십시오
@user-vo6mi3qu7w
@user-vo6mi3qu7w 12 күн бұрын
간디 개씹변태세키 실화임
@_proomproom
@_proomproom 12 күн бұрын
실제 피해자의 사진이 아닌, AI 로 그린 가상의 인물입니다. 아이들의 권리와 웃음이 보장되는 날이 하루 빨리 오길 바라며.
@user-tt9ub2gw2m
@user-tt9ub2gw2m 14 күн бұрын
김정은 개자식아 먹을게 없어서 애기 못낳는다
@user-sf4ob6dr6o
@user-sf4ob6dr6o 14 күн бұрын
오늘 한번 뜨게
@_proomproom
@_proomproom 14 күн бұрын
뜨게 부부 : (우리말) 정식으로 결혼을 하지 않고 우연히 만나서 어울려 사는 남녀.
@user-ps2pu8xt2z
@user-ps2pu8xt2z 15 күн бұрын
추가로 덧붙이자면 라바나의 왕국이였던 나라 랑카가 바로 지금의 스리랑카 이고요 하누만의 모친의 이름은 영상에서는 아프라사스라고 나왔는데 정확히는 anjani (안재니)입니다 하누만은 다른 이름으로 바즈랑발리 혹은 마루띠 라고도 불리지요. 그리고 바나라? 라는 왕국은 처음 들어보는데 바나르는 인도 힌디어로 원숭이라는 뜻이예요 마지막으로 하누만과 수그리바와 그의 형인 발리왕이 속한 왕국은 정확히는 바나라가 아니라 키슈킨다 랍니다^^ 지금 당장 유튜브에 ramayan 이라고 검색해서 인도 드라마 라마얀을 영어자막으로 시청해보면 거기서도 바나라 라고는 안나오고 키슈킨다 라고 나와요~^^ 라마얀 드라마도 여러버젼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2008년에 나온게 제일 볼만합니다 .^^
@_proomproom
@_proomproom 15 күн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하누만의 어머니 안재니의 종족이 아프라사스인데 설명이 부족했네요! 바나라 역시 영상 올린 후에 더 공부하다보니 ‘종족’의 이름이더라고요! 말씀해주신대로 원숭이 종족~! 라마야나 드라마도 찾아 보겠습니다 좋은 밤보내세요 ^^
@user-et7oq5ut8r
@user-et7oq5ut8r 15 күн бұрын
천축 ..
@tojimari23
@tojimari23 16 күн бұрын
하누만이 손오공의 원형입니다!!
@user-ks2kb7rt5t
@user-ks2kb7rt5t 19 күн бұрын
희귀자료다…🫶
@_proomproom
@_proomproom 20 күн бұрын
인도신화 시리즈 몰아보기 : kzfaq.info/get/bejne/nNdoq9xkzsuRZIU.html
@_proomproom
@_proomproom 20 күн бұрын
❤ 인도신화 시리즈 몰아보기 : kzfaq.info/get/bejne/nNdoq9xkzsuRZIU.html
@user-eo2pk1fv3j
@user-eo2pk1fv3j 21 күн бұрын
수면용으로 들어요 불면증이 심한데 잡녀없이 편히 잠들수있게해주시네요 넘 감사합니다
@user-vu9jd9jz5l
@user-vu9jd9jz5l 22 күн бұрын
최고의강의입니다 목소리쥑입니다
@user-cy3gq2gt7m
@user-cy3gq2gt7m 25 күн бұрын
내다 힌두교를 싫어하는 이유
@user-uw5cg1qo1p
@user-uw5cg1qo1p 25 күн бұрын
성직자가 아니구 악마구나!
@user-qf2tu4eq5i
@user-qf2tu4eq5i 25 күн бұрын
여자를 뭘로앎? ㅉ
@_proomproom
@_proomproom 26 күн бұрын
사티(Sati)는 동인도회사의 주도로 1928년 처음 금지되었고, 이후에도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행해지고 있던 사티를 뿌리뽑기 위해 인도정부 차원에서 1987년 법적으로 사티 폐지 법안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user-rz8vd4hw3m
@user-rz8vd4hw3m 26 күн бұрын
부인이 죽으면 남편도 태우러고 법을 바꿔야 저 법을 합법으로 하자는 z랄 안할듯
@user-y771
@user-y771 26 күн бұрын
미친
@user-sy3wi4de9t
@user-sy3wi4de9t 26 күн бұрын
악마보다 더 악마들-.-^ 너희들이 더 불태워져라-.-^
@user-wj7tc1nb5x
@user-wj7tc1nb5x 26 күн бұрын
South Korea 도입 해라.
@Maple_hajell
@Maple_hajell 26 күн бұрын
왜 국제결혼을 하는 여자들은 인도를 가지 않을까? 처녀성이 없으니까
@Hima_qpfjxmak
@Hima_qpfjxmak 26 күн бұрын
개역겹다
@myungjonggim8902
@myungjonggim8902 26 күн бұрын
끔찍한
@user-gd7jj9mz7e
@user-gd7jj9mz7e 26 күн бұрын
무식한것들.그건살인이지
@user-bq5we2ji2x
@user-bq5we2ji2x 26 күн бұрын
이시대 이런풍습 없써져야한다
@_proomproom
@_proomproom 26 күн бұрын
인도 정부와 많은 인권 단체에서 주목한 결과, 사티는 거의 사라진 추세입니다. 다만, 2000년대 들어서도 극히 적지만 사티 관련 희생자에 관한 뉴스가 보도돼 마음이 아프네요. 저 역시 하루 빨리 완전 종식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