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봐주세요!
2:10
2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드립니다!
2:07
5 ай бұрын
Пікірлер
@suelee6617
@suelee6617 3 сағат бұрын
이런저런 이야길 하다가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은 짧게쓰는 싸나이 이러저러하다...울고가네.... 그맘이야 오즉하겠냐마는....짧게 울고간다하니 거참 아름답다하겠다...또그걸 모아 무덤에 넣은 여인의 정은 얼마나 깊은것일꼬 나는 상상조차 몬하것따 그냥 부럽다
@hongzhe713
@hongzhe713 6 сағат бұрын
다양함 표현 감사합니다.^^÷
@jkhiguytydtdtrdtdtyrd
@jkhiguytydtdtrdtdtyrd 6 сағат бұрын
전서는 손으로 만지작만지작하는 모습이 딱 보이네요ㅎㅎ재밌습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сағат бұрын
네, 어쩌면 원예라는 게 참 유래가 깊다는 생각이 듭니다.
@user-xw1kd7ic7l
@user-xw1kd7ic7l 8 сағат бұрын
선생님 . 오/이왕지/불간 실/미도/기미원 주/요요이/경영. ᆢ위 에서 吾 途 遙遙 다른데 이렇게 나오는데ᆢ 어느것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сағат бұрын
네, 여러 원문이 다른게 많습니다. 뜻은 한 글자가 다른 뜻을 함축하고 잇는 경우가 많지요. 잘 판단하시어 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user-xw1kd7ic7l
@user-xw1kd7ic7l 8 сағат бұрын
❤❤❤❤❤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7 сағат бұрын
따스한 관심 고맙습니다.^^
@el-uf3gu
@el-uf3gu 9 сағат бұрын
초서체는 진짜 볼때마다 신기합니다. ㅎㅎ 글씨가 그림을 흉내내는듯 독특한
@TataoCalliArt
@TataoCalliArt 8 сағат бұрын
제가 봐도 초서는 좀 묘합니다. 갑자기 새로운 서체 등장이거든요 ^^
@user-nu3kh3yi1f
@user-nu3kh3yi1f Күн бұрын
기 예
@user-qb3ff2lu9g
@user-qb3ff2lu9g Күн бұрын
여기도 역시나 ‘수레 앞 턱 가로 댄 나무 식‘은안나왔네용..
@TataoCalliArt
@TataoCalliArt Күн бұрын
그런 글자가 있군요.^^ 궁금합니다.
@user-ng3je4gs4j
@user-ng3je4gs4j Күн бұрын
35년전에 서예 배울때 썼던 첫 글자 였습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Күн бұрын
제대로 배우셨군요 ^^
@jameskwon3113
@jameskwon3113 2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질문이 있어요.부조금 쓸때 만약 파란 볼펜으로 쓰면 실례가 되는건가요?예전에 처음으로 부조금 낼때 파랑색 볼펜으로 써서 낸것 같은데 영상을 보니 제가 실수한게 아닌가 생각나서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күн бұрын
실수 아닙니다. 맑고 밝은 하늘길을 뜻하는 색이니까요.
@jameskwon3113
@jameskwon3113 Күн бұрын
@@TataoCalliArt 감사합니다
@hyonamkoong7568
@hyonamkoong7568 2 күн бұрын
정말이지 어디서도 들을 수 없는 귀한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공부가 많이 되었습니다. 깊이 귀에 새기고 연습을 해봐야겠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күн бұрын
그렇게 들어주시니 힘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user-cb2tc1om3u
@user-cb2tc1om3u 3 күн бұрын
좋아요 ❤❤❤ 많은 도움이 됩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paulshin821
@paulshin821 3 күн бұрын
마지막 삼겹살 육 보고 터졌습니다 ㅋㅋ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күн бұрын
네! 더운 여름 삼겹살과 함께 하기 좋은 날입니다.^^
@user-cl4jv7lq9r
@user-cl4jv7lq9r 4 күн бұрын
방안노트는 3미리 쓰셨나요? 5미리를 사용하니 글씨를 너무 크게 써야 하네요 ㅜ.ㅜ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күн бұрын
기억이 나진 않는데 이 영상 보시고 칸의 크기를 보시면 대략 짐작되실 거에요 ^^
@user-ei3in9gi7h
@user-ei3in9gi7h 4 күн бұрын
어원을 따라 가며 배우는 한자 잼있네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2 күн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gx8ey4of1i
@user-gx8ey4of1i 5 күн бұрын
태산명동 서일필 자(字)도 만들어 보아요. 太 山 鳴 動 鼠 一 匹 영어로는... 톰 엔드 제리. 그러므로... 제리 찍. 이라는 글자죠.
@TataoCalliArt
@TataoCalliArt 4 күн бұрын
🤣😂😊
@user-wg3he1rb2m
@user-wg3he1rb2m 5 күн бұрын
전서 네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5 күн бұрын
네에,^^
@whishingwell
@whishingwell 5 күн бұрын
옛날엔 해서로 써야만 글씨가 바르고 이쁘다고만 생각했는데 타타오 선생님께서 설명하시는 심미안을 기르기 위한 음양의 조화 교육을 듣고 나니 본 영상처럼 흘려쓰시는 게 너무 멋있습니다. 중간중간 바를 정 자나 이를 위 자 등 한시 문법을 설명해주신 덕에 영상 시청에 즐거움이 배가 됩니다. 이런 영상 많이많이 올려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5 күн бұрын
피드백 감사합니다! 힘이 나네요.
@user-tx8mv1xu9h
@user-tx8mv1xu9h 5 күн бұрын
수많은 천부경 해석을 맛보았지만 , 이집 궁물맛 깔끔하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5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Zero-qq7wx
@Zero-qq7wx 6 күн бұрын
누구나 다 처음 먹더라도 맛있게 즐길수 있고 남녀도소 불문하고 인기있는 삼겹살과 그 맛을 알고나면 맛있고 삼겹살보다 건강에도 좋은 청국장 둘중 어떤게 더 뛰어난 음식인가 라고 물어본다면 식품영양 전문가 라던가 청국장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청국장이 더 뛰어난 음식일수 있겠으나 상당수의 다수의 사람들은 삼겹살이라고 답하겠죠 하지만 식품영양학 전문가가 영양학적으로 봤을때 청국장이 더 좋은 음식이다 라고 말한다고 해서 삼겹살이 뒤쳐지는 음식은 아닌것 처럼요 이것처럼 대다수가 처음봤을때 감탄하고 아름다움을 느낀다면 그 자체로 예술성이 있고 전문가의 해석이 필요하고 작품에 대한 부가설명이 있어야만 아름다움을 느낄수 있는 작품이 있다면 또 그 자체로 예술성이 있는거겠죠 예술이란거의 판단은 대중들이 하는거지 누군가 나서서 이게 더 아름다워 보이지만 그건 틀렸어 전문가의 견해로 봤을때 이게 더 뛰어난거야 이러이러한 이유때문에 이건 예술적이여야해 라는건 잘못되었습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5 күн бұрын
풍성한 댓글 감사합니다.
@Zero-qq7wx
@Zero-qq7wx 6 күн бұрын
예술이란 본디 많은사람들이 감상하며 즐기고 아름다움을 느끼는것에서부터 출발한다고 봐야하죠 그런의미에서 첫번째 글씨도 결코 예술적으로 뒤떨어진다고 보긴 힘들죠 대중들이 봤을때 ”어? 이거뭐야 별론데? 이게 왜 예술성이 뛰어나 다는거지?“ 라고 느끼고 나중에 숨은 의미나 또는 전문가의 해석이 더해졌을때 비로소 “아~이래서 예술적인거구나” 라고 납득시키는 예술작품이나 또는 그 의미를 아는 소수들만 즐길수 있는 그러한 예술작품도 좋지만 대중들이 처음봤을때 “와~진짜 멋지다, 잘하네, 너무 좋다” 라는 감탄이 나오거나 작품을 보고 압도당하는,또는 의미를 알지 못해도 감상하고 누구나 행복해 할수있는 그런 예술작품들이 더 대중성있고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봤을때 첫번째 필체도 대다수가 아름답다고 느낀다면 그 자체로 의미있고 예술성이 있는거 같아요 아무리 서예가들이 봤을때 너무 기계적이다 에너지가 느껴지지 않는다 동양예술을 아는사람이 봤을때 2번째가 더 잘쓴거다 라고 해도 대중들이 두 글씨들을 처음봤을때 와 잘썼다, 이쁘다 라고 느끼는건 첫번째 필체일 거에요 그럼 그 자체로 결코 뒤떨어진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5 күн бұрын
의견 감사합니다.
@user-cq5ms6vc9y
@user-cq5ms6vc9y 6 күн бұрын
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
@oraeteo5802
@oraeteo5802 7 күн бұрын
옆에 마누라가 대단하지 마누라 없었으면 저게 가능 하냐??? 나는 마누라가 도망 가버렸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
@KK-em4ki
@KK-em4ki 7 күн бұрын
크~ 글씨에 취하고 갑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저도 댓글에 취했네요 ^^
@jkhiguytydtdtrdtdtyrd
@jkhiguytydtdtrdtdtyrd 7 күн бұрын
초서ㅋㅋㅋ역시 간결하네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그렇죠? 초서는 타서체와는 완전 다른 돌연변이죠.
@HANMIMJEONG
@HANMIMJEONG 8 күн бұрын
독학을 하다가 우연히 타타오를 보게 되었어요. 수강하고 싶은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강의가 기초 순서부터 난이도를 높여 순차적으로 단계를 밟을 수 있게 되어있나요? 무작위로 순서 없이 노출되어 수강자가 골라서 보는 지? 배우는 과정이 어떻게 짜여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온라인 강의 말고도 학원을 열고 계시는지? 선생님 존함은 어떻게 되시는지 궁금합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반갑습니다😊 물론 초급반, 중급반 모두 순차적으로 공부하실 수 있도록 했고요. 중급반을 수강하시는 분들은 초급반의 모든 영상과 자료들도 함께 보실 수 있습니다. 예전에 오랜시간 서예학원을 운영했었는데 더 효율적인 방식을 택한 것이 유튜브 서예학원이네요ㅎㅎㅎ 제 이름은 한치선입니다 ^^
@user-hv4ib3gh6k
@user-hv4ib3gh6k 8 күн бұрын
댓통중 최고의 명필은 1 이승만 전댓통 다음 으로는 2 박정희 댓통 다음으로는 3 김대중 댓통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의견 감사합니다.
@user-qf5gb4ev2x
@user-qf5gb4ev2x 8 күн бұрын
타다오선생님의 애청자입니다 현재 사신비를 임서하는 사람입니다 제가 선물로받은 손부채에당시 2수가 써있는데 초서로 써있어 내용을 읽을수가없어서 부탁드리는데 사진을보낼수가없네요 어떻게 할수있는방법이 업을까요? 부탁드립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초서의 경우는 저도 잘 모를 가능성이 큽니다. tata0카톡 입니다.
@user-gg9mx7or6w
@user-gg9mx7or6w 8 күн бұрын
저는한석봉 그분을존경합니다 개인적으로 한자4년째쓰고있죠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네, 그러시군요. 저도 존경합니다.
@HiStanley-if5ju
@HiStanley-if5ju 8 күн бұрын
Great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hongzhe713
@hongzhe713 9 күн бұрын
열심히란 단어를 여러번 쓰시던데요. 생긴 질문 열이 심하면 병이 들지 않을 까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
@user-be8mu7me9w
@user-be8mu7me9w 9 күн бұрын
질문있어요. 등록해 놓고 며칠 있다 2주 정도 나갔다 올 일이 있는데. 1달 수업료는 등록후 날짜를 기준으로 한달을 말하는지, 아님 강의 목록이 1달분이 정해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9 күн бұрын
초급반에 가입하시면 가입 기간에 상관없이 초급반 모든 영상을 다 보실 수 있고, 중급반에 가입하시면 초급반과 중급반에 올라온 모든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user-be8mu7me9w
@user-be8mu7me9w 9 күн бұрын
@@TataoCalliArt 그럼 1달 수강료는 어떤 기준으로 책정되는지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user-be8mu7me9w 저희 유튜브 서예학원은 많은 분들이 부담없이 마음껏 공부하실 수 있도록 일반 서예학원과는 비할 수 없이 저렴한 수강료로 책정하였습니다. 초급반은 월 12000원, 중급반은 월 30000원, 앞으로 생길 고급반은 월 60000이랍니다.
@paulshin821
@paulshin821 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미술도 따로 공부하셨나요 너무 잘 그리시네요!. 그리고 마지막에 쓰시는 붓펜 어디서 사신건지 여쭤봐도 될까요 필감이 다이소 붓펜보다 좋아보여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6 күн бұрын
역시 다이소 붓펜 맞습니다.^^
@jinstokim
@jinstokim 9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한시는 글씨까지 봐야 이해가 되는데.
@powerinsilence6925
@powerinsilence6925 9 күн бұрын
우리 조상이 살던 곳이 한반도라고??? 에라이 ....
@TataoCalliArt
@TataoCalliArt 9 күн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user-fu4lv1zf4c
@user-fu4lv1zf4c 9 күн бұрын
옛 이야기에 그림과 글씨가 어울린 멋진 작품이네요. 종종 보여주세요. 👏👏👏👏👏👏👏👏👏👏👏👏👏👏👏 요며칠 사이 무더위가 바로 앞에 선듯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9 күн бұрын
네! 이런 유형으로 종종 올려보겠습니다.^^
@cherrypinkade
@cherrypinkade 10 күн бұрын
힐링 영상이네요,, 마음이 편해져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9 күн бұрын
댓글 감사합니다.^^
@rrrc1911
@rrrc1911 10 күн бұрын
저 한자의 음과 뜻이 궁금합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9 күн бұрын
말짱 황-이라고 하네요.^^
@user-ww9li5en6u
@user-ww9li5en6u 10 күн бұрын
지방은 귀신 불러들이는것으로 제사 자체를 드리지 마세요. 제사는 유교에서 온것으로 중국을 사대하며 받아들인 유교의 잔재로 귀신을 부르는 것 입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9 күн бұрын
네 참고하겠습니다.^^
@locopamasan
@locopamasan 11 күн бұрын
제가 지내는 곳이 상나라 은허유적이 발굴된 지역입니다. 박물관에 가봤는데 뭔가 화하족의 유물 같지가 않고 왜 우리 유물 같지? 하고 생각 하던차에, 한 중국인 관광객이 옆에서 왜 한국 박물관에서 본 것과 비슷하지 하고 말하더군요. 정말 흠칫 놀랐습니다. 물론 중국 정부는 상나라 유적을 중국의 시원이라 밝히고 있죠.
@TataoCalliArt
@TataoCalliArt 9 күн бұрын
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dohyunkim6584
@dohyunkim6584 11 күн бұрын
교통 통신이 불편한 시기에 한글이 저렇게 빠르게 전파됐다니 신기하네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11 күн бұрын
그러게 말입니다.많은 제도적 노력도 수반되었던 모양입니다.
@user-ij7zh2ru3n
@user-ij7zh2ru3n 12 күн бұрын
시간도있던대 밤에 쓰던대.
@TataoCalliArt
@TataoCalliArt 12 күн бұрын
그건 부르는 신이 음기를 띈 경우입니다.
@Starship1019
@Starship1019 13 күн бұрын
글자 일곱자 다 써놓고 하나씩 설명하시는 게 좋을 듯하고요. 카메라를 위에서 씩어 글자가 크게 보이게 해야 하는데 멀리서 찍어서 잘 안보여 흥미가 덜어집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12 күн бұрын
의견 고맙습니다.^^
@user-qi8kq2zk9v
@user-qi8kq2zk9v 13 күн бұрын
초급반 수업 받을려면 14호 20호 이렇게 2개 준비하면 되나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12 күн бұрын
네, 괜찮을듯 합니다.
@user-qi8kq2zk9v
@user-qi8kq2zk9v 13 күн бұрын
글씨 잘쓰는 사람은 그림도 잘그립니다. 본디 타고나는것 같습니다. 제아내가 글씨 잘쓰고 그림도 잘그립니다. 어디서 배우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저 부러울 따름입니다. 저도 늦은나이에 붓글씨 배우고 싶습니다. 그러나 이게 연습해서 되려나 싶습이다. 제가 워낚 글씨 그림 이런것에 재능이 없어서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13 күн бұрын
제 생각에 그림은 소질을 타고나면 분명 빠르다고 봅니다. 그런데 글씨의 경우에는...제가 워낙 악필이었기 때문에 후천적인 공부로 충분히 따라올 수 있다고 봅니다.^^ 우리 유튜브서예학원이 바로 그 목적으로 만들어 졌고요.
@user-pp1yv7vp8b
@user-pp1yv7vp8b 13 күн бұрын
천부경 찐❤
@TataoCalliArt
@TataoCalliArt 13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leehyoungyoun
@leehyoungyoun 14 күн бұрын
멋집니다. 소개받고왔습니다
@TataoCalliArt
@TataoCalliArt 13 күн бұрын
반갑습니다. 소개해주신 분께도 감사를 전합니다.^^
@user-ft1zd1nh5y
@user-ft1zd1nh5y 14 күн бұрын
후세 사가들이 개인 취향으로 특정인들을 가리키며 조선 명필들의 글씨에 대한 소견들이 분분하나 글씨의 기틀을 잡고 일가를 이룬 최고의 인물이 석봉이 아닐런지요.
@TataoCalliArt
@TataoCalliArt 13 күн бұрын
의미있는 말씀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