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낙동강 따라 길
13:55
21 күн бұрын
[보은] 삼년산성의 기원
14:36
[경주] 선덕여왕릉
9:06
3 ай бұрын
Пікірлер
@user-nw7dd6rd8k
@user-nw7dd6rd8k 59 минут бұрын
진주성을 하루만에 도술로 만들었음을 그 누가 알끄나....후천개벽후에나 알지
@user-cp7re8in6d
@user-cp7re8in6d Сағат бұрын
예전에 유물발견되서 의자왕 가족 바뀐거 생각나네요
@사적돌
@사적돌 34 минут бұрын
지금 부여왕릉원에 가묘해놨지요😌
@user-zk8kc4im4e
@user-zk8kc4im4e 4 сағат бұрын
아차산성 아닐까요. 이곳에서 군을 준비하여 한강을 건너가 위례성을 점령했겠죠.
@사적돌
@사적돌 35 минут бұрын
아차산성으로보는분들도 계신것으로압니다😌
@GYGYGYGYGYGYGYGYG
@GYGYGYGYGYGYGYGYG 6 сағат бұрын
마지막 고양이 매우 귀엽네요 😊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정주행중인데 너무 재밌습니다.
@사적돌
@사적돌 36 минут бұрын
고양이는 종종 출연할겁니다😄
@user-jc6tb3qf3d
@user-jc6tb3qf3d 7 сағат бұрын
양자강
@johanjunho4788
@johanjunho4788 8 сағат бұрын
나병환자 아니라 한센병 환자 이구요
@user-rm1xz8kr9p
@user-rm1xz8kr9p 11 сағат бұрын
오!! 저희 고향 완주쪽 오셨었네요!! 고향에 저런 곳이 있었다니😊 시간되면 한번 가봐야겠습니다!
@사적돌
@사적돌 8 сағат бұрын
일요일에도 완주 영상 올라갑니다😄
@dmamirine7781
@dmamirine7781 12 сағат бұрын
사진으로만 봤는데 진짜 있군요 목사님들이 보는 서적에 있더라구요 오래된 도서에 1:32초에 한자가 지전행 이라는대 성인 떄 성이거나 다른 글자고 (조각을 하는데 한자를 저따구로 깎는다 쉽지 않아 보여요 비율이 있어서 조각가가 아니면 몰라도 한자도 그림처럼 비율이 있어요 ) 두번재도 행자 아닐 확률이 직접 못봐서 아쉽네요 한자랑 발쪽에 유독 돌이 많이 밝아 보이고
@사적돌
@사적돌 8 сағат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user-qk2qb6gc5u
@user-qk2qb6gc5u 12 сағат бұрын
잘보존해서 후손에게 물려줘야지요
@사적돌
@사적돌 8 сағат бұрын
잘보존해야지요😌
@user-rt4bk2xm5v
@user-rt4bk2xm5v 12 сағат бұрын
탑의 모양새가 좀 독특하네요
@사적돌
@사적돌 8 сағат бұрын
고려시대 석탑입니다😄
@Haesung2rangHagosipda
@Haesung2rangHagosipda 13 сағат бұрын
봉림사지...이름이 야하네
@user-vn9yu3pc4p
@user-vn9yu3pc4p 13 сағат бұрын
3코스로 오르셧군요 다음엔 1코스로 올라보시죠 재밋습니다. 이걸 봤으니 다시 한번 올라봐야겟네요...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ㅎㅎㅎ 좋은 답사지 입니다😄
@ldo919
@ldo919 13 сағат бұрын
부처가 따로잇는게 아니라 우리모두가 부처라는 뜻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오 덧글 감사드립니다😄
@ldo919
@ldo919 12 сағат бұрын
@@사적돌 제가 그옆동네 면당살았었습니다 본디부처는 하늘의 명을받고 수행끝에 얻은 도를 전해주고 가는것이 목적 ᆢ불상만들어 숭배 하는데 목적이 아닌
@user-ny1yt6tg1v
@user-ny1yt6tg1v 14 сағат бұрын
멘트와 영상 화면을 맞추면 더 좋은 동영상이 되겠어요. 미스매치가 많은 듯.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말씀 감사드립니다😌
@GK-ve1fp
@GK-ve1fp 14 сағат бұрын
고분들을 계속 방치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의문이네요. 발굴이 진행되지 않고 시간을 계속 보낸다면 함께 매장되어 있을 문화재도 더 손상되지 않을까요?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엄연히 주인이 있는 고분들이니까요, 반대하는의견도 많고요, 이번 사례처럼 계기가 있어야 합니다🤔
@daram_ie
@daram_ie 18 сағат бұрын
우와 인스타 보다가 넘어왔는데 내용이며 영상미며 정말 멋지네요. 감사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오 입맛에 맞으신다니 다행입니다😄
@ggondigi
@ggondigi 18 сағат бұрын
어? 그럼 기존 법흥왕릉은... 누구실까요?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모량부와 가까운 독립봉분에 호석,, 발굴해보기 전까지는 어렵겠지요, 법흥왕릉이 바뀌게 되면 주인을 잃은 고분들이 많이 나와 연속적인 발굴이 가능할것이고 그부분에 기대가 큽니다😄
@JONGTAELEE-ds2hp
@JONGTAELEE-ds2hp 19 сағат бұрын
경남 함양 땅에 가면 조병갑이인가 조병갑이 애비인가 송덕비가 있는 자랑스런 나라다 ㅎㅎㅎㅎ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오 함양에 있군요😮
@user-vq5xd5bh4v
@user-vq5xd5bh4v 19 сағат бұрын
신라는 알면 앓수록 특이한 나라이네요. 왕릉을 통해 마법진을 만들려고 하다니 ㅎ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방위에대한 개념이 확고했던듯합니다, 도시구획이나 무덤의 배치, 건물의 배치가 대부분 규칙성이 있지요🤔
@user-vq5xd5bh4v
@user-vq5xd5bh4v 19 сағат бұрын
이 영상 보고 도굴꾼들이 달려갈 것 같습니다 ㅎ 바로 이거다 이러면서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요즘 고분들은 관리가 잘되고 있어서 염려 놓으셔도 될듯합니다😄
@user-lh8gz8tw1e
@user-lh8gz8tw1e 20 сағат бұрын
동명이지가. 많다고. 봅니다 수십개. 수백개. 같은. 지명도. 있다고. 본다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SP-bk7ns
@SP-bk7ns 21 сағат бұрын
부모님 고향을 보니 반갑습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사적돌
@사적돌 19 сағат бұрын
오 후원 감사드립니다😄 임실의 풍광이 무척정겹지요
@user-ny1yt6tg1v
@user-ny1yt6tg1v 21 сағат бұрын
지금도 긴장해서 듣고있는데 사적돌님의 멘트가 귀에 바로 바로 들어오지 않아 여러번 다시 반복해서 듣습니다만 여전히 다소 어려워요. 용어도 어렵고요.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용어도 되도록 풀어쓰겠습니다😌
@user-ny1yt6tg1v
@user-ny1yt6tg1v 21 сағат бұрын
저자가 직접 현장을 답사한 경험으로 이렇게 동영상을 우리에게 보여주시는데, 설명의 전달이 60대중반인 나한테는 왜 이렇게 어렵나 모르겠어요. 항상 시적돌님의 영상을 보는데 늘 마찬가지입니다. 늘 긴장하면서 멘트를 듣습니다만, 머리와 귀에 속속 들어오진 않아 이해가 좀 힙듭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나도 잘 모르겠군요.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안그래도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아 조금식 조정하고 있습니다,😌
@user-sc9gz1ll3i
@user-sc9gz1ll3i 21 сағат бұрын
뉴스기사보고 사적돌님이 다뤄주실 것 같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ㅎㅎㅎ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오, 큰 뉴스는 꼭 다루고 넘어가겠습니다😄
@user-er4ov9wo9p
@user-er4ov9wo9p 22 сағат бұрын
울 동네 초동 이궁대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이궁대 전경이 참 아련하지요😌
@KAMProject
@KAMProject 22 сағат бұрын
정말 겹소식이네요 피칠갑옷이 이번에도 발견되어서 갑옷제작자로써 너무 기쁜소식이네요 ㅠㅠ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오 갑옷이라니 멋집니다😄
@user-pe4kc1vn2g
@user-pe4kc1vn2g 22 сағат бұрын
모두 발굴하라 무덤속에 역사가 있다 훼손 어쩌구 하지마라 원형은 복원하면된다 아니 원형도 남아있지않다 왜 조선궁궐에는 돈 쳐바르면서 찬란했던 신라는 그대로 두는가 황룡사 구층탑부터 빨리복원해라 문화재청믜 직무유기다 창건당시와 똑같지 않아도 된다 만원지폐 세종대왕은 어디 실초상화인가 이순신도 마찬가지 상징성만 있으도 휼륭하다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user-bc4nn6nd1i
@user-bc4nn6nd1i 23 сағат бұрын
며칠전 정말 스쳐지나가듯 뉴스기사를 보았습니다. 고등학교 시절 수학여행중 버스를 타며 서악동 고분군을 지나며 그때 가졌던 의문과 호기심이 기억에 선명합니다. 일렬로 줄지은 저 큰 무덤들은 도대체 누구의 릉인가? 대릉원의 적석목곽분의 규모인데 과연 모두 석실분인가하는 의문이 최근 많이 들었던 참이었습니다. 여러 학습을 통해 분명 무열왕 직계의 신라 중대 왕실 즉 법흥왕, 진흥왕, 진지왕 등의 릉이라는 것은 기록으로 볼때나 학자들의 여러 연구내용으로 볼때 확실한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학자들에 따라 각 릉의 주인공 비정이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이제 발굴이 이루어진다면 정말 앞으로 흥미진진한 사실들이 우리앞에 놓이게 되는 것이군요.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무척 기대되는 한해가 될것 같습니다😄
@user-ux4bi1ge1w
@user-ux4bi1ge1w Күн бұрын
근대에 역사학자들이 비정하고 정립했던 역사관들이 나오는 유물들로 많이 바뀌고 있네요~ 생각하지 못했던 유물들과 우리가 배웠던 것들을 다시 다시 정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제발 식민사학자 강단사학자 재야학자 등등 서로 싸우지말고 서로 힘을 합하고 서로 증명하며 우리의 역사를 재대로 후손에게 알렸으면 합니다 20여년 전부터 시작된 동북공정이 어느정도 완성해간다합니다~ ㅠㅠ 다 뺏기겠어요~ 최근에 보니 선비족 묘지에도 조선후? 조선왕?인가? 묘지명에 관작으로 새겨졌다던데 ㅠㅠ 우리가 일고 있던 역사가 맞는지 모르겠네요
@사적돌
@사적돌 13 сағат бұрын
무슨일이든 기준이 필요하겠지요, 사서의모호함과 유물의불완전함은 상호보완적 이겠습니다. 명확한 기준 아래 순리대로 헤쳐가는것이 정답에 가깝겠지요😌
@sanha7007
@sanha7007 Күн бұрын
거제 둔덕기성 영상을 보고난뒤 통영 미륵산밑 골프장에서 일하며 8번코스 잔뒤밭에서보면 멀리 견내량위 거제대교와 둔덕기성이 있는 산이 보이고 같이일했던분의 주말 텃밭이있어 농막에서 과실수와 꽃도기른다며 패왕성이라고 하던데 일제시대 지은 성이름이라는데 인근에사시는 분들이 패왕성이라고 부른다고! 전주에 비빔밥과 한옥마을만 유명한줄알았드니 저렇게큰 산성이있네요. 영상잘보았읍니다!
@사적돌
@사적돌 23 сағат бұрын
오 시청감사드립니다😌
@user-bu2mq5vl9h
@user-bu2mq5vl9h Күн бұрын
불두의 훼손이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일본인에 의해 무단반출의 역사까지 알게 되었습니다. 🧧🧧🧧👍
@사적돌
@사적돌 23 сағат бұрын
유명한 지주였나봅니다 소작료로 50-70을 가져갔다고하네요 그돈으로 우리 문화재수집했고요🤔
@user-ly2ev1mu3u
@user-ly2ev1mu3u Күн бұрын
15년 전인가 경주 시내에서 한참 떨어진곳에 있던 법흥왕릉에 갔던 기억이 나네요 너무 작아서 의아했던 기억이ㅎㅎ경주에 이름 붙여진 많은 왕릉들이 그렇겠지요 원주인이 확실하게 밝혀진건 말고도 영상 흥미롭게 잘 보고 갑니다!👍
@사적돌
@사적돌 23 сағат бұрын
사서의 기록이 자세하지않아 기존의 법흥왕릉이 가능할수있겠다는 생각을했었는데 이번일로 조금 바뀌었습니다😄
@hueykoh8385
@hueykoh8385 Күн бұрын
분명 밖에 묘비를 세웠으나 신라 말기에 수많은 쿠테타로 자기 조상이 아니면 묘비를 파손한 듯 합니다. 신라는 봉분 안에 묘지석은 따로 넣지 않은 듯하네요.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파편화된 비석이 나오지요 감정이 있었다는 뜻이겠지요🤔
@user-mf2dd9eq3j
@user-mf2dd9eq3j Күн бұрын
고대사는 역시 발굴해야..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발굴해야지요😄
@goldstar9548
@goldstar9548 Күн бұрын
시내권 봉황대와 함께 너무너무 기대되는 고분입니다. 과연 무엇이 나올까요? 금관이나 귀한보석도 좋지만. . 그시대의 시대상을 알수있는.그림과.글이 나오길바랍니다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저또한그렇습니다😄
@user-zj5vx3dh5f
@user-zj5vx3dh5f Күн бұрын
고구려 백제는 본래부터 한집안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뿌리가 같지요😌
@user-pu7tp2tv5v
@user-pu7tp2tv5v Күн бұрын
서악동 고분군은 찐 핫한곳입니다. 저기 발굴조사 해버리면... 지금 법흥왕릉, 진흥왕릉, 진지왕릉, 진평왕릉으로 비정된것들 뒤집힐 가능성이 크고, 그러면 그것들은?? 수습해야할게 한두개가 아니지요. 그거 감당 가능하면 가능할듯 합니다.(아래 이근직 교수님의 연구자료를 인용하신 분 말씀처럼 하나 수정하게 되면... 결국 나머지들도 수정해야 하는 결과를... 일이 매우 커지게 됩니다.) 추사 김정희도 저곳을 법흥왕, 진흥왕릉이라고 비정하기도 하였습니다. 현재 경주 시내에 왕릉이름이 명명된게 일제강점기때?? 확실한건.,.. 바로 잡을건 바로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김유신 장군묘도 시기적으로 맞지않구요.(무덤양식은 후대입니다)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지금이 바로잡고갈 기회지요😄
@170..5
@170..5 Күн бұрын
기대됩니다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저도 그렇습니다😄
@altaikim
@altaikim Күн бұрын
진심 문자화 되어있는 유물이 다수 발굴되었으면 합니다. 금척리 고분군 발굴과 함께 결과가 너무 기다려 지네요.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금척리에서 진짜금자가나온다면!😮
@altaikim
@altaikim 17 сағат бұрын
@@사적돌 금척리에서 금척이 실제로 나온다면 진심 대박이겠죠. 밝혀지지 않은 것들이 너무 많은 고대사인데 우리가 궁금해 하는 것들을 모두 알 수 있는 그 날이 과연 올지, 한편으로는 아주 간절히 바래봅니다.
@user-el2qk7rl2b
@user-el2qk7rl2b Күн бұрын
경주 명월산에 미확인왕릉이 발견되어 초기발굴조사중이라고 하는데 소문에는 선덕여왕이 묻어있을거라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것도 영상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오 보문동에 고분군이 있지요 관련 영상입니다😌 kzfaq.info/get/bejne/g8dojLpksZ2WpJ8.html
@whitemind111
@whitemind111 Күн бұрын
안그래도 몇일전 신문기사에 미도굴된 돌무지덧널무덤이라고했는데 그게 법흥왕이고 역사가 뒤바뀔 수 있는 내용의 유물이 많다는 기사였는데 여기서도 다뤄주셨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큰 고분이라 발굴비용도 많이 들겠지요, 홍보가 중요할듯합니다😄
@tv-kt9ic
@tv-kt9ic Күн бұрын
공주나 부여에도 저런 미도굴 왕릉이 아직 있었으면😢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있을거라고 봅니다😄
@user-qg3qh1rd7e
@user-qg3qh1rd7e Күн бұрын
무열왕릉과 김유신 장군묘를 다녀왔던 기억이 나네요 김유신 장군이야 말로 망해가던 가야의 구형왕의 손자출신으로 왕의 지위에 오르게된 전설적인 인물이 아닌가 싶습니다 할아버지 김무력은 관산성 전투의 일등공신이고 아버지 김서현은 남몰래 만명과 결혼해 김유신 장군을 낳았고 김유신 장군은 누이를 김춘추 와 혼인시켜 삼국을 통일한 명성과 엄청난 지위를 누렸죠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김유신장군이 정치가에 더 가까운 행적을 보인다는것이 흥미롭습니다 왕가의 후손이라그런가봅니다🤔
@user-ik7ul9ov3l
@user-ik7ul9ov3l Күн бұрын
04:59 더없이 공감가는 말입니다. 안타깝게도 지금 대한민국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죄를 짓고도 뉘우치긴 커녕 처벌조차 제대로 받지 않는 사례가 여기저기 넘쳐납니다... 정치적 혹은 경제적 등 여러가지 이유로 지지하는 세력들이 목소리를 높이니 이를 무기로 죄를 짓고도 뻔뻔한 행보를 계속하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역겨울 따름입니다. 의식이 있고, 양심이 있으며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이 목소리를 높여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
@사적돌
@사적돌 Күн бұрын
후대에 이때를 바라보고 무어라 말할까요, 부끄러움 반, 책임감 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