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년전 인천 혹은 제물포ㅣ1880년대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 개항 이후 인천의 변화ㅣ120 years ago, Jemulpo (Incheon)

  Рет қаралды 34,828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Жыл бұрын

1883년 개항 이후 근대문물의 통로가 되었던 인천 제물포
급격하게 변해가는 개항장 제물포의 모습을
개항 직후 1880년대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를 중심으로 모으고 설명해보았습니다.
#120년전 #인천 #제물포 #대불호텔 #제물포구락부 #자유공원
[BGM]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시골풍경 - • [브금대통령](그리움/감성/Emotion...
[이미지 출처]
* 개항 초기 제물포와 월미도 / 제물포의 일본영사관 1900년대 / 중국영사관 / 인천중산학교 1960년 / 각국조계 지도 / 인천문화원으로 쓰인 옛 제물포구락부 : 인천시
* 제물포 1880년대 후반 : Cornell University Library(www.library.cornell.edu/)
* 썰물때의 제물포 1904년 / 제물포 접안시설 1904년 / 나룻배에서 기선으로 옮겨타는 승객들 1904년 / 조계지 경계 계단 1904년 / 일본인 거리의 대불호텔 1904년 / 제물포항 일꾼들 1904년 / 거리의 식사 1904년 / 거리에 벌어진 좌판 1904년 / 제물포의 일본인들 1904년 : The Huntington Library(www.huntington.org)
* 인천부청(구 일본영사관) / 응봉산 위쪽에서 본 월미도 방향 1900년대 / 응봉산에서 본 인천역과 월미도 방향 1911년 / 인천세관과 오사카상선 1920년대 / 독일 식품회사인 Liebig사의 광고카드 / 안양역에 정차한 서울행 경부선 열차 1906년 / 바다에서 본 제물포와 각국공원 1906년 / 세창양행 사택 / 세창양행 바늘 / 인천의 명소 존스턴별장 / 동공원 일본신사 / 제물포 은행거리 : 국립민속박물관(www.nfm.go.kr)
* 1933년 신축된 인천부청(현 인천중구청) / 대불호텔 초기 건물 1880년대 / 중화루 영업중인 옛 대불호텔 / 인천 혈문(홍예문) : 인천중구청(www.icjg.go.kr)
* 제물포 언덕 위의 영국영사관 1884년 : Smithsonian Institution(www.si.edu/)
* 올림포스호텔 1969년 / 올림포스호텔 수영장 1969년 / 인천 자유공원 맥아더 동상 1969년 : 경기도멀티미디어(exciting.gg.go.kr/)
* 해관보고문서 중 인천해관 청사 도면 / 옛 인천세관 창고 / 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 / 중구요식업조합에서 사용중인 구 일본제58은행 인천지점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go.kr)
* 인천세관 신축 청사 / 제물포 은행거리의 일본제일은행과 옛 대불호텔 / 제물포 은행거리 : e뮤지엄(www.emuseum.go.kr)_게시자:인천개항박물관
* 인천세관과 곡물두량장 1910년대 : e뮤지엄(www.emuseum.go.kr)_게시자:부산시립박물관
* The Illustrated London News 1886년 4월 3일 : 국립중앙박물관(www.museum.go.kr)
* 응봉산 정상의 각국공원 / 각국공원에서 본 세창양행과 제물포구락부 / 인천측후소 초기 모습 : e뮤지엄(www.emuseum.go.kr)_게시자: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
* 시가지에서 올려다본 각국공원 1911년 : 서울역사박물관(museum.seoul.go.kr)
* 금계랍 : 서울대 의학박물관
* 세창양행 신문광고 / 금계랍 신문광고 :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아카이브
* 1957년 세창양행 자리에 건립된 맥아더장군 동상 : flickr의 m20wc51님 앨범(www.flickr.com/photos/5845115...)
* 제물포구락부 1900년대 : e뮤지엄(www.emuseum.go.kr)_게시자:화도진도서관
* 녹음이 둘러쌓인 서공원의 경관 / 인천항 혈문 : 수원광교박물관(ggmuseum.suwon.go.kr)

Пікірлер: 74
@0meca0
@0meca0 4 ай бұрын
소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 올림포스 호텔 수영장 가본 기억과 지금의 중구청 자리, 화교학교, 운봉산(현 자유공원) 등 ... 옛 추억이 떠오르네요 ㅜㅜ
@user-cg3rp3qg9z
@user-cg3rp3qg9z Жыл бұрын
인천의 옛모습을보니 내가 어릴적봤던모습이 그대로인것도있어 감동입니다. 특히 만국공원, 즉 지금의 자유공원은 토박이 아니면 알지못할겁니다. 그리고 멀리보이던 성당은 지금의 답동성당이네요. 대부분 동인천과 신포동주변과 하인천쪽 이네요. 너무 감동적으로 시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kygo1781
@kygo1781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자료도 충실히 찾고 설명도 세밀합니다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hinhwa4420
@shinhwa4420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 제가 계속살고있는곳이라 궁금했는데 옛날자료보니 기분이묘하내요 ~ ㅋ
@springtemp8933
@springtemp8933 Ай бұрын
내고향 인천의 옛모습을 볼수있어서 감개가 무량합니다 귀한자료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story-1bothlopsinsularis336
@story-1bothlopsinsularis336 Жыл бұрын
잊혀지고 몰랐던 과거를 보여주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user-dg7yw9fv4z
@user-dg7yw9fv4z Жыл бұрын
건강하십시요🙇‍♀️ 소중하고 귀한 영상감사드립니다🌲🎅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따뜻한 연말 보내세요^^
@jihojang
@jihojang Ай бұрын
정말 소중한 영상 이네요. 감사합니다.
@In-utd
@In-utd Жыл бұрын
제물포 구락부가 박물관시절 맘모스 상아를 유리 케이스에 진열해 관람한 기억이나네요..
@tador5907
@tador5907 11 ай бұрын
귀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user-kw9gj3go7h
@user-kw9gj3go7h 9 ай бұрын
귀한영상 감사합니다
@user-uu2hl7qd1j
@user-uu2hl7qd1j Жыл бұрын
와 잘 보고 갑니다. 👍
@arabica7
@arabica7 Жыл бұрын
3:55 LUNG KEE라고 써있는 건물이 많이 쇠락했지만 아직 남아있고 8:08 존스턴 별장은 정확하게는 인천상륙작전때 반파되고 불에 타 몰골이 송연해 결국 철거... 10:30 일본 제1은행 현 개항박물 관 건물은 박물관으로 쓰이기 전 은행건물로 보존되어 있을때 관계자분 허가로 들어가 보았는데 내부에 거대한 금고와 창문을 2중으로 닫는 철창문도 있었고 겉으로 보면 단층건물인데 내부에는 세미 2층구조의 사무공간이 있었고 데크와 계단은 목조로 만들어 져 있었고 회청색에 가까운 페인트로 도색이 되어 있었습니다.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zy171941
@zy171941 5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정보 감사해요...
@user-yp3mo3sf8p
@user-yp3mo3sf8p Жыл бұрын
제물포란지명이 중구 북성동 신포동 중앙동을 말하는거 같네요 오늘사진을보며 알았네요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Жыл бұрын
제물포는 항동, 중앙동쪽에 있던 포구였는데, 어떤 자료에 보면 인구 70명 남짓 작은 마을이었다고 합니다. 그 작은 포구가 개항장이 되면서 주변으로 영역이 넓어졌을 테고, 차츰 의미가 확대돼서 인천항 일대를 일컫는 말이 됐겠죠. 그리고 때로는 더 넓게 인천의 다른 이름으로 쓰이기도 하고요. 어릴때부터 '제물포'라는 말은 참 많이 들어봤는데, 그래서 인천 어느 동네야?라고 하면 구체적인 위치는 알 수 없는 그런 곳이었지요^^ 그런데, 전철 제물포역은 왜 그 위치에 그 이름을 쓴 건지 좀 애매합니다^^
@user-sv7ug1nf3w
@user-sv7ug1nf3w 6 ай бұрын
우와 감사합니다 👍🏽
@hoy3566
@hoy3566 Жыл бұрын
저 때 건물들이 지금까지 님아 있었다면 엄청난 관광자원이 됐을 텐데.
@user-qn7hi9ec3b
@user-qn7hi9ec3b 9 ай бұрын
동네주민입니다~ 일부 남아 있고 복원된 것들도 꽤 있습니다^^ 주말이면 차이나타운부터 중구청까지 관광객들이 많이 옵니다~
@user-bm6vj4ou3s
@user-bm6vj4ou3s 19 күн бұрын
인천에서만 40년 넘게 산 사람으로서 귀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user-ti3qm9er4y
@user-ti3qm9er4y Ай бұрын
지금의 차이나 타운 바로 밑까지 그당시 바다였네요. 깜놀 했어요
@jayj3371
@jayj3371 6 ай бұрын
인천인도 몰랐었던 인천의 변천 ^^
@greenfig-tube88
@greenfig-tube88 5 ай бұрын
6:31 This is a warning to be careful as counterfeit products using counterfeit trademarks are rampant. This is a newspaper article from the time when Japan annexed Korea. You can see the Japanese year name.
@dddk236
@dddk236 4 ай бұрын
대정 9년이 1910년이란 말이군여
@young8869
@young8869 Ай бұрын
내고향 인천이 마계도시 이부망천으로 비하함 분노를 느낌니다 19세기말 개항후 한국최초가 즐비한 내고향 인천 21세기 우리의 관문 내고향 인천이 자랑스럽습니다 곧 한국 제2의도시 인천으로 돌아갈겁니다
@peacefulandoria0362
@peacefulandoria0362 24 күн бұрын
인구가 많다고 단순히 제 2의도시가 되지는 않습니다. 정말 단순 무식한 소리 하시네요
@Fekorastro
@Fekorastro 11 күн бұрын
​@@peacefulandoria0362 부산사는거 같은데 부산이미지 먹칠하지말고 댓글 지워라
@peacefulandoria0362
@peacefulandoria0362 11 күн бұрын
@@Fekorastro 부산에 피해의식 있는 인천 촌놈 검거요 ㅋㅋㅋㅋㅋㅋ "인천은 여전히 한국 제4의 도시이고 도시 규모나 대외 인지도는 대구에도 미치지 못한다." 고등학교 한국지리에 수록된 내용이다. 알고 말하자^^
@Dog_Eyes
@Dog_Eyes 7 күн бұрын
나도 인천 출신인데 마계 맞음
@user-cu1sq6ir7b
@user-cu1sq6ir7b 20 күн бұрын
인천 중구 내동에 살았습니다 자유 공원에 가서 동생 친구들 하고 놀았던 기억이 생생 하네요
@user-hx6es9vm8m
@user-hx6es9vm8m Күн бұрын
지금은 올림포스호텔 바로앞에 초고층오피스텔 두동이 건립되어 올림포스호텔은 거의안보이고 온통 하늘가리고 산가려 완천 경관이 초토화되었다
@user-gi3xz1oq3o
@user-gi3xz1oq3o 24 күн бұрын
이미 인천은 19세기부터 국제 도시였네요!
@BraveJson
@BraveJson Жыл бұрын
가장 좋은 향수 ㅎ
@pkm287
@pkm287 4 ай бұрын
04:02 사진은 이전 장면의 청일초계지(선린동)와 다른 지금의 제물량로 206번길에서 제일교회쪽을 바로본 모습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sangdonpark2069
@sangdonpark2069 7 ай бұрын
훌륭합니다 감사합니다 늘 좋은영상 잘 봤습니다
@Michaelcoffee
@Michaelcoffee Жыл бұрын
고스찰키 선생이 이때 들어와서 커피를 팔았죠 1883년 1.1
@user-vu6wh2fw8n
@user-vu6wh2fw8n 8 ай бұрын
@user-tc9lf8co6t
@user-tc9lf8co6t Жыл бұрын
1904년에 찍힌 조계지계단쪽 일본건물 지금도 남아있나요? 그리고 1890년대 제물포전경 사진은 1890년대가 맟나요?
@mw9439
@mw9439 Жыл бұрын
🌸 "배재 학당 역사 박물관" (This building was built during the time when Japan annexed South Korea (1916).)培材学堂歴史博物館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9863?msclkid=c190a852b00d11eca7bbce0636627eeb www.flickr.com/photos/68558939@N00/468301416/in/photostream/ 100년 전으로 시간여행…‘배재학당 125년 사진전’ 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30948.html 🌸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28.)ソウル美術館 www.flickr.com/photos/68558939@N00/468301222/in/photostream/ Built in 1928 as Keijo Court House, the building became the Supreme Court of Korea after Liberation. The court house became the model for many other public buildings in colonial Korea. When the Supreme Court was moved to Seocho-dong in 1995, the old building was converted into the Seoul Museum of Art after extensive remodeling. 🌸 보성여관(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35.)(宝城旅館) onion02.tistory.com/985 boseonginn.org/ www.yna.co.kr/view/AKR20171208064800054 🌸  문화역서울284(It was built by Japan in 1925.)文化駅ソウル284 my.matterport.com/show/?m=KADWpw1cse2 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bk32167&logNo=50169047571&msclkid=9d5f1df9b00711ec8495b70ba17f8259 🌸  대구의학전문학교(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23.)大邱医学専門学校 blog.daum.net/shinbarksa/2810?msclkid=76a52d0eaff811ecbfbbc9982d799736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128?msclkid=76a4c132aff811ec96e6cf339ab73ffe 🌸  서울시립도서관(Biblioteca Metropolitana de Seúl)(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12.)ソウル市立図書館 es.wikipedia.org/wiki/Biblioteca_Metropolitana_de_Se%C3%BAl#/media/Archivo:City_Hall_of_Seoul.jpg es.wikipedia.org/wiki/Biblioteca_Metropolitana_de_Se%C3%BAl singenv.tistory.com/221 🌸  주식 회사 신세계(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30.)株式会社新世界 (Opened as Mitsukoshi's Keijo store in 1930, and later renamed Shinsegae Department Store.) www.shinsegae.com/index.do?msclkid=c350b109b00b11ec825a9d0902db1393 목포에는 일제가 남긴 적산가옥이 200여채 가량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목포에 남아 있는 옛 일본 영사관(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00.)(木浦に残る昔の日本領事館) dragonphoto.tistory.com/923 🌸  진해 해군기지(Constructed by the Imperial Japanese Navy)鎮海海軍基地 1945년 11월 30일에 폐쇄된 일본 제국 해군의 진해 경비부를 인수하여 설립되었다. 2007년 12월 1일, 해군작전사령부가 부산 해군기지로 옮겼다. ko.wikipedia.org/wiki/%EC%A7%84%ED%95%B4_%ED%95%B4%EA%B5%B0%EA%B8%B0%EC%A7%80 🌸 순천 철도문화마을(順天鉄道文化村) www.mk.co.kr/news/culture/view/2017/05/327281/ 🌸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32.)朝鮮式山銀行大邱支店 younghwan12.tistory.com/4195?msclkid=65961713aff911ec8415b54802b65a4a 🌸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구 진해우체국(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12.)慶尚南道昌原市にある旧鎮海郵便局 jinhaepostoffice.modoo.at/ ko.foursquare.com/v/%EC%A7%84%ED%95%B4%EC%9A%B0%EC%B2%B4%EA%B5%AD/4cd8e1fba423a35dac2eee42 🌸 군산세관(built by Japan)群山税関 playfoursquare.s3.amazonaws.com/pix/2146135_8poUGZ2Ld1MPqHzgLsPSzn15y4alO2lxZf_TbuUCwwQ.jpg 🌸 구 대구상업학교(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23.)旧大邱商業学校 1346374_2iyacfBPjLog1CkQ5WQHBJt37LTXGNMQsyyf483QCV4.jpg (641×481) (playfoursquare.s3.amazonaws.com) 🌸 대구상원고등학교(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23.)大邱上院高校 namu.wiki/w/%EB%8C%80%EA%B5%AC%EC%83%81%EC%9B%90%EA%B3%A0%EB%93%B1%ED%95%99%EA%B5%90?from=%EB%8C%80%EA%B5%AC%EC%83%81%EC%97%85%EA%B3%A0%EB%93%B1%ED%95%99%EA%B5%90&msclkid=39c08bb6affb11ec8c13082ca9a92b1d 🌸  동양척식주식회사:Oriental Development Company(This building was builtby Japan in 1908.)東洋尺式株式会社 namu.wiki/w/%EB%8F%99%EC%96%91%EC%B2%99%EC%8B%9D%EC%A3%BC%EC%8B%9D%ED%9A%8C%EC%82%AC?from=%EB%8F%99%EC%B2%99&msclkid=79f8345ab00011ecbcf2d0a82420c048 🌸  조선은행(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11.)朝鮮銀行 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EC%9D%80%ED%96%89?msclkid=2ffb1de3b00111ecb9b35238004271f5 🌸  SC제일은행(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29.)SC第一銀行 namu.wiki/w/SC%EC%A0%9C%EC%9D%BC%EC%9D%80%ED%96%89?msclkid=6704310cb00811ecb3736ed3f068ac4c 🌸  우리은행 종로지점(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09.)ウリ銀行鍾路支店 blog.daum.net/kang1953/1486?msclkid=3624c931b00911ecb8527932d8ce9773 🌸  동아일보 사옥(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20.)東亜日報社屋 ko.wikipedia.org/wiki/%EB%8F%99%EC%95%84%EC%9D%BC%EB%B3%B4_%EC%82%AC%EC%98%A5?msclkid=601337e7b00a11ecaa634a792e9a854a 🌸  경성제국대학(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24.)京城帝国大学 namu.wiki/w/%EA%B2%BD%EC%84%B1%EC%A0%9C%EA%B5%AD%EB%8C%80%ED%95%99?msclkid=dfc0244bb00e11ec8c49407f8d163670 🌸  경주역(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18.)慶州駅 namu.wiki/w/%EA%B2%BD%EC%A3%BC%EC%97%AD?msclkid=6ff900cbb00f11eca5b0f9dfdb7b3d94 🌸 서울 구 국회의사당(부민관)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This building was built by Japan in 1935.)ソウル区国会議事堂(釜民館)大韓民国の国家登録文化財 ko.wikipedia.org/wiki/%EB%B6%80%EB%AF%BC%EA%B4%80?msclkid=1f1e81b9b01011ecac75b3c802505536 🌸 others ⚫ Social resources such as roads, railroads, ports, electricity, telephones, reclamation, and irrigation ⚫ Public facilities such as government buildings, schools, hospitals, and temples ⚫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farms, fishing grounds and mines ⚫ Society such as banks, securities, insurance, real estate, etc. 🌸 There were 2,700 Japanese companies left in Korea after the war.
@SONYCHANNEL2002
@SONYCHANNEL2002 Жыл бұрын
와.. 중구청이 오래됐구나..
@user-xq2sb8tb9u
@user-xq2sb8tb9u 5 ай бұрын
공유합니다 용기가납니다 🌄 🕊 현76세 부평백운 김변강쇠 쿵탕 쿵탕 용기가납니다 ❤🎉 감사합니다 ⛵️⛵️☕️👀🫂🫰🫰
@user-sv7ug1nf3w
@user-sv7ug1nf3w 6 ай бұрын
홍예문 이었구낭
@user-cd1zn4yu5c
@user-cd1zn4yu5c Жыл бұрын
제물포가 항구였네..
@sanbeetal
@sanbeetal Жыл бұрын
산에는 나무라고는 없네...
@user-hs5ki4ko1h
@user-hs5ki4ko1h Жыл бұрын
보일러가 없던시절
@jefflee2339
@jefflee2339 6 ай бұрын
어떤 이념이든 탈레반이되거나 정치가 종교화되면 나라 잣됩니다. 역사에서 배우잔던데..120년전이나 지금이나 ..
@Readers_road82
@Readers_road82 Жыл бұрын
구락부..
@user-zj5yf9cy5b
@user-zj5yf9cy5b 6 ай бұрын
왜 1800년대에도 일본식 건물들이 저렇게 많이 있지 당시는 조선시대인데 일본식 건물은 일제시대때 지어진게 아닌가??
@hongsamteul
@hongsamteul 6 ай бұрын
일본인 조계지라 그렇습니다. 일종의 차이나타운 같은 거.
@hongsamteul
@hongsamteul 6 ай бұрын
현 인천 차이나타운도 같은 방식으로 발전하였죠.
@user-zj5yf9cy5b
@user-zj5yf9cy5b 6 ай бұрын
조선시대때 일본에 호의적이였나보네요. 조선땅에 일본 타운을 만들 수 있게 해줬다는게???
@greenfig-tube88
@greenfig-tube88 5 ай бұрын
It's important to have questions like you. If you only believe what you learned in school, you won't know the truth.
@hongsamteul
@hongsamteul 5 ай бұрын
​@@user-zj5yf9cy5b당연하죠. 일본이 조선에 진짜로 본색을 드러냈을 때는 청일전쟁 이후부터니까..
@peacefulandoria0362
@peacefulandoria0362 8 ай бұрын
그러면 뭐해 지금은 위성도시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볼거 없는 도시인데
@jiwoongjune0939
@jiwoongjune0939 7 ай бұрын
역사를 좋아하시는분들은 자주 오셔서 보고가십니다~! 볼거없다는 말을 하시는 분들은 동네 주민분들 밖에 없는데.. 동네 주민이실까요..^^?
@user-vx5fm2ww3x
@user-vx5fm2ww3x 6 ай бұрын
살아서 뭐해? 그저그런 인생
@dddk236
@dddk236 4 ай бұрын
닌 그래 설 특별시민이냐 그럼 머 성남 고양 안양 이런 도시는 작은 위성도시네 참 허접한 녀석
@user-gi3xz1oq3o
@user-gi3xz1oq3o 24 күн бұрын
역사를 제대로 아는사람이면 저딴소리 못함
@peacefulandoria0362
@peacefulandoria0362 24 күн бұрын
@@dddk236 위성도시 맞는데? 서울이 교외화 하면서 생긴 위성도시인거 팩트임 경개도랑 인촌 촌놈들 특징이 지들 도시가 대단한줄 알고 있음 서울 없으면 밀양, 광양 정도의 별것도 아닌 것들이 ㅋㅋ
@sangdonpark2069
@sangdonpark2069 7 ай бұрын
저가 국민학교 때 대불호텔에서 살앗군요 이제야 알앗습니다 감사합니다
100년전에 녹음된 한국어 육성 음성 원본
13:28
디씨멘터리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когда повзрослела // EVA mash
00:40
EVA mash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Children deceived dad #comedy
00:19
yuzvikii_family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호주의 95%는 왜 비어있을까?
12:59
용두사미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인천관광, 최고와 최초
29:40
Songdo ConvensiA
Рет қаралды 2,5 М.
1950년 9월 인천ㅣ상륙작전 직후 인천의 모습 사진과 영상으로 보기
9:30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Рет қаралды 21 М.
단관극장 시절 서울시내에 있었던 대형극장들
12:15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Рет қаралды 49 М.
1952년 부산ㅣ현재와 비교하며 역사를 알아보는 설명과 함께
13:48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Рет қаралды 355 М.
부모를 버리는 불효의 상징 '고려장', 정말 우리나라의 역사일까?'
16:54
부모님 연구소 by CERAGEM
Рет қаралды 191 М.
1929년 혹은 1930년대 서울 영상 자세히 보기ㅣFootage of Seoul in 1929 or 1930s
12:43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Рет қаралды 60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