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사용하고 있죠 " - 한옥과 온돌에 대한 강의

  Рет қаралды 887,518

유튜브 지식 쇼츠 F

유튜브 지식 쇼츠 F

5 ай бұрын

* 번역: DS님
- 많은 사람들 앞에서 시작된 강의
한국의 한옥에 대해 이야기하는데요
그만 영어를 잊고 맙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유튜브 지식 쇼츠와 같이 알아보실까요?
* 강의 영상 더 보기
www.youtube.com/@KZfaqShort...
#한국 #미국 #강의영상 #번역영상 #한옥

Пікірлер: 531
@AlexisAllanLee
@AlexisAllanLee 5 ай бұрын
9:56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언어가 한국어 ㅋㅋ 한국인 쌉인정 ㅋㅋ 3:05 영어 까먹으셨을때 긴가민가 했었는데ㅎ 감사합니다 ㅎ 명예한국인 인정드려요 ㅎ
@S-H379
@S-H379 4 ай бұрын
그냥 감사만 하세요 ... 당신이 인정하고 안 하고 의 문제가 아니 랍니다. 쌉인정 명예한국인 ... 부끄럽네요 같은 한국인으로 ... 당신 자신보다 한국 전통의 기술에 관심을 더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인정과 무슨 ... 명예를 당신이 줄 뭐가 있나요 ??? 그냥 이럴 땐 그냥 감사하면 되는 겁니다.
@user-jp3bx9xf9b
@user-jp3bx9xf9b 4 ай бұрын
@@S-H379왜 이렇게 꼬였져..?
@applefanfi
@applefanfi 4 ай бұрын
​@@S-H379한국인이 외국인에게 한국인인정이란 말만큼 극찬하는 말이 있을까요? 어떤 뜻으로 말하는지 뻔히 알면서 사랑을 못받고 자랐나ㅋㅋ
@jmim5018
@jmim5018 3 ай бұрын
이제서야 이 교수님 박사님들로 인하여 한국인의 지혜가 알려지고 있습니다. 참 감사하도 대단하며, 이게 지금 우리의 힘입니다..
@mrnevermind
@mrnevermind 2 ай бұрын
@@S-H379사회생활 하지 마라 너는
@yjsong5742
@yjsong5742 5 ай бұрын
피터 바돌로뮤 선생님은 평생을 한옥사랑에 바치시다, 2021년 5월12일. 돌아가셨습니다.. 그 분의 숭고한 한옥사랑을 잊지맙시다.
@user-cp6pf5gv6r
@user-cp6pf5gv6r 5 ай бұрын
❤❤❤
@user-di4qr1nm9m
@user-di4qr1nm9m 5 ай бұрын
😭😭😭
@q777lhs
@q777lhs 5 ай бұрын
너무 안타깝네요~ㅠㅠ
@user-kj9kt1we1s
@user-kj9kt1we1s 5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lavieenrose7739
@lavieenrose7739 5 ай бұрын
안타깝네요...ㅠ
@twobong9417
@twobong9417 5 ай бұрын
이분...ㅋㅋ 돈암동에 사시는 분 같네요...작은 한옥에서 살고 계시고 예전에 재개발 하려고 했을 때 거의 단독으로 저항하셔서 재개발 막으신 분입니다. 아마 맞을 겁니다. 동네사람들이 피터 때문에 재개발 안되었다고 했거든요 법정다툼까지 가서 승소하시고..진짜 한옥을 사랑하시는 분입니다. 한옥에 장말 푹~~빠지신 분이시죠...
@user-tu5cu5bt9m
@user-tu5cu5bt9m 5 ай бұрын
이 바돌로뮤 선생은 캐나다 분으로 1970년 강릉 경포중학교에 평화봉사단 일원으로 원어민 교사로 재직한 바 있으며 그 때 저는 이학교 1학년 생이였습니다. 이분은 이 이후 한국을 사랑하고 한옥을 사랑하게 되어 한옥에서 거주해 오시고 지난 2011년 서울 에서 사은회를 열었을 때 마지막 뵈었습니다. 그리고 2018년 경 인가 돌아가셨습니다. 한국문화의 우수성 한옥의 우수성을 한국인 보다 더 잘 이해하고 사랑하셨던 분입니다. 하늘 나라로 떠나셨지만 그분의 한국사랑은 영원히 계속될 것이라 믿습니다. 선생님의 명복을 빕니다.
@user-tu5cu5bt9m
@user-tu5cu5bt9m 5 ай бұрын
2021년 돌아가셨군요,정정합니다.
@user-sk5ge4ov6z
@user-sk5ge4ov6z 5 ай бұрын
안타깝게도 재작년에 돌아가셨지요~ 조금더 사시며 우리의 전통 문화를 세계에 더 알려주시면 좋았을텐데.. 다시 한번 바돌로뮤 선생님의 명복을 빕니다~
@doom9344
@doom9344 2 ай бұрын
저정도 알렸으면 감사하다고 하든가 ㅋㅋㅋㅋ 아니면 일본처럼 해외 유명 교수한테 후원해서 자국문화를 연구하게 만들던가 ㅋㅋㅋㅋ 해줘해줘 하구 있노 ㅋㅋㅋㅋㅋ
@user_evan0049k
@user_evan0049k 5 ай бұрын
한국인보다 더 한국의 전통문화를 잘 아시는 분이시네요. 피터 바돌로뮤 교수님, 땡큐~~~👏👏👏💐
@user-mb2kj3ef3m
@user-mb2kj3ef3m 5 ай бұрын
누구보다 한국을 사랑하고 한옥을 세계에 전해주신 교수님의 노력에 감사드립니다. 천국에서 행복한 삶을 사실거라 믿습니다.
@user-xn9rg3hh6s
@user-xn9rg3hh6s 5 ай бұрын
바돌로뮤교수님,감사합니다.우리보다 더 우리 전통한옥을 사랑하시고 알리신 분.🎉😅😢😂🎉🎉🎉
@user-jm9hq2vy7l
@user-jm9hq2vy7l 5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우리의 것을 사랑하고 세계에 알려주시고 지켜주심을 감사드립니다~
@cfhcxfcd756
@cfhcxfcd756 5 ай бұрын
지구촌 보물보다 귀하신 교수님 이십니다 항상 만수무강 진심 기원 합니다
@gunnyoungjung2473
@gunnyoungjung2473 5 ай бұрын
안타깝게도 2021년 5월에 동소문동 자택에서 별세하셨습니다. ㅠ
@user-onwwjxjjcj
@user-onwwjxjjcj 3 ай бұрын
그저 빨아주면 환장
@user-sq2yi2zp7z
@user-sq2yi2zp7z 3 ай бұрын
​@@user-onwwjxjjcj 애국심없냐 씨바라 이런 댓글쓰면 욕을 처먹겠다 적어도 '한국인'들한테..이런 생각 못하니?
@hansong1228
@hansong1228 3 ай бұрын
@@user-onwwjxjjcj너도 유명해지면 남들이 헐도록 빨아줌
@seongirum
@seongirum 3 ай бұрын
​@@user-onwwjxjjcj 조선족
@user-el8tn1uv2p
@user-el8tn1uv2p 5 ай бұрын
바돌로뮤 교수님!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항상 행복 하세요
@user-kz9vo2lk6c
@user-kz9vo2lk6c 5 ай бұрын
죄송하지만ㅜㅜ 팬데믹시기에ㅜㅜ
@user-vx3go7uz1s
@user-vx3go7uz1s 5 ай бұрын
2년전에 돌아가셨다고 하는군요. 삼가 피터 바돌로뮤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
@user-lp6ks2pk1b
@user-lp6ks2pk1b 5 ай бұрын
온돌의 가치와 처마. 한옥의 진수를 외국인 교수님께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ewwhzre7536
@ewwhzre7536 5 ай бұрын
한 그림, 한가지 정보라도 더 알려 드리고자 하는 맘이 고스란히 말씀에서나 행동에서 느껴집니다. 한국을 한국인보다 더 사랑한 외국인들이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소개가 되었는데 이 분도 그 중 한 분이군요. 감사합니다.
@hjungku
@hjungku 5 ай бұрын
피터씨는 1980년대 초반 제 직장 보스였습니다. 그때는 그도 젊은지라 말도 행동도 엄청 빨리했죠. 지금 1.25 배속으로 들어보니 그것보다도 조금 더 빨랐던 것으로 기억되네요. 그때도 이미 한국말을 잘했고 그는 불어, 일어, 러시아(당시에는 소련)어도 조금씩은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때 이분이 본가(미국)인지 본사(영국)인지를 다녀오다가 마트로시카를 사다줬는데 그건 어디로 사라졌을까? 세월이 무상합니다.
@user-es8xp5cy9m
@user-es8xp5cy9m 5 ай бұрын
평생을 한옥을 알리고 지키는데 힘써 주셔서 감사했습니다 하늘나라에서도 한옥같은 곳에서 편안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user-xm7sy3pw1w
@user-xm7sy3pw1w 5 ай бұрын
시골집을 20여년 전에 부수고 새로 지을때 사랑방은 그대로 두었는데 지금도 아궁이에 불때고 온돌로 대웁니다. 모르긴 몰라도 6, 25때 사랑방의 다락에 사람들 숨었다는 말이 전해지는걸로 보아 그 이전에 지어진 것이고요. 진짜 옛날식 황토 벽이고 4면 중에 3면에 문이랑 창이 있어 여름엔 정말 시원하고 겨울엔 장작 때면서 불멍도 하고 고구마도 굽고 지금도 시골가면 이럽니다. 옛날 그대로 남겨두길 정말 잘한것 같네요. 온돌 짱!!
@user-wg2bg7bu3g
@user-wg2bg7bu3g 5 ай бұрын
인구에 비해 좁은 국토가 문제이긴하지만 우리의 아름다운 한옥을 지키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야한다.. 우리한옥처럼 멋지고 아름답고 정감있는 건축물은 정말 없어..
@hobbyholic_LoveLive
@hobbyholic_LoveLive 5 ай бұрын
이분보다 한국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모두에게..
@user-hn6hh9hb9x
@user-hn6hh9hb9x 5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한국에 대한 애정과 이해에 정말 감사드리고 덕분에 저희도 자부심을 더 갖게 되었습니다
@user-sb6cu1mr8x
@user-sb6cu1mr8x 5 ай бұрын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hjungku
@hjungku 5 ай бұрын
피터씨는 2021년에 돌아가셨어요.
@user-kz9vo2lk6c
@user-kz9vo2lk6c 5 ай бұрын
팬데믹시기에 그만ㅜㅜ
@user-rq9vl4iy9m
@user-rq9vl4iy9m 5 ай бұрын
온돌에 대한 설명듣고 한국의 난방을 설명하시는 것을보고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십니다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custard11
@custard11 5 ай бұрын
9:50 한국말ㅋㅋㅋㅋㅋ
@laputau3816
@laputau3816 5 ай бұрын
한옥 온돌의 실생활을 어렸을때 겪고 자란 사람으로서 말씀드리면 저녁밥 지으면서 데워진 온돌은 아랫목은 펄펄끓을 정도로 겁나 뜨겁습니다. 윗목은 상대적으로 미지근한 정도로 약해서 주로 애들이 차지하고 아랫목은 노인분들 자리입니다. 바닥은 새벽녘까지 서서히 식어가는데 새벽 4시경에 군불 한 번 지펴줘야 아침까지 따뜻함이 유지됩니다. 한옥 치명적인 약점이 하나 있는데 바닥과 달리 벽도 차갑고 방안의 공기는 우풍이 심해서 냉기가 장난 아니었습니다. 창문과 방문은 창호지 하나로 바람과 냉기를 막을 뿐이고 중문 개념도 없어서 문 여닫을 때마다 바깥 황소바람이 바로 들어옵니다. 그래서 집집마다 꼭 필요한 물건중에 하나가 화로라고 하는 밥솥 크기의 주물로 된 통이 있는데 거기에 숯이나 재를 담아서 방 가운데 놓아 공기를 뎁혀주었지요. 이중창과 단열로 추위가 완벽 차단되는 현대의 아파트나 주택에선 절대 느껴보지 못하는 예전 겨울의 한옥은 그래도 낭만이 있었습니다. 화로주변에 모여 않아 가래떡이나 고구마를 구워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누던 그 시절이 스마트폰만 보고 있는 지금의 시절보다 훨씬 정겨웠어요.
@user-mw8ij6lu3n
@user-mw8ij6lu3n 4 ай бұрын
어렸을 적 할머니집 시골이 한옥이었는데 겨울에 가면 바닥은 뜨거워 등이 데일 지경이고 한지로 된 방문 하나 열면 입김이 하얗게 나오는 그런 곳이었어요. 친척들, 가족들 전부 다 이불 속으로 들어가 옹기종기 티비보면서 귤 까먹던게 생각나네요. 정말 낭만 그자체였습니다.
@SimpleLife77777
@SimpleLife77777 4 ай бұрын
@@user-mw8ij6lu3n 어릴 때 시골 외할머니 집은 정말 세월이 지나 60을 바라보는 나이인데도 아직도 그립네요. 온돌이 일정치 않았는지 유독 한 두군데는 시커멓게 타있던 곳도 있었지요.. 거긴 정말 화상 입습니다 ㅎㅎ
@FunLifeTogether
@FunLifeTogether 4 ай бұрын
연탄 온돌이라 군불 지피 듯이 새벽에 일어나 연탄 갈던 기억이 나네요;;; 찬 바람 들어오는 거 때문에 방문 주변에 커텐 치듯이 담요를 걸어 놨던 기억도 나고.. 세월이 참 빠르죠?!;;;;
@SK-tr2yo
@SK-tr2yo 3 ай бұрын
한옥이 바닥은 뜨겁고 공기는 차가우니 사실은 굉장히 과학적인것임 아파트는 따뜻하기는 하나 공기가 안통하고 건조하여 면역력과 건강에 오히려 안좋음
@twins4127
@twins4127 2 ай бұрын
벽이 차가운 것은 근대화된 한옥, 곧 시멘트로 벽을 친 개량 한옥이라 그랬어요. 시골에 있던 진짜 흙집 한옥에서 자봤는데 바닥은 물론 벽까지 뜨끈 뜨끈 했어요.
@user-rx9zd6pk4y
@user-rx9zd6pk4y 5 ай бұрын
할 말 없습니다 교수님 건강하시고 오래 오래 한국에서 사시길 바랍니다
@AmaPaxDeus
@AmaPaxDeus 5 ай бұрын
2년전에 돌아가셨습니다.
@user-vx3go7uz1s
@user-vx3go7uz1s 5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ㅠ.ㅠ 삼가 피터 바돌로뮤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
@user-ut2xl1es8s
@user-ut2xl1es8s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user-me3mz6sh8s
@user-me3mz6sh8s 5 ай бұрын
한옥의 무거운 기와장 덕분에 지진에도 흔들림이 적고 무너지지 않는 특수성도 있습니다.
@user-jv8xq4dn8k
@user-jv8xq4dn8k 5 ай бұрын
정말 우리 선조님들에 뛰어난 장인에 기술력과 현명하고 과학적인 지식에 감탄을넘어 경이롭다는 생각이 듭니다. 온돌문화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있고 실제로 외국에 설치되고 있다고하네요. 음악.연기.이제 음식을넘어 주거까지.작지만 위대한 민족.앞으로 세계 모든분야에 우리 대한민국의 영향력이 뻗어나가면 좋겠습니다.국뽕에 취해 다시한번 자랑스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namchangp.1721
@namchangp.1721 5 ай бұрын
인구감소로 소멸될 예정 ㅋㅋ
@Russianblue__
@Russianblue__ 7 күн бұрын
집에 진심인 나라이기도 하죠
@user-cg4mm5ep1s
@user-cg4mm5ep1s 5 ай бұрын
한국교수는 이런분이없다는게 안타까울따름입니다
@user-bf1wy2is6n
@user-bf1wy2is6n 5 ай бұрын
교수님 멋지심!!
@user-js9gm7jr2w
@user-js9gm7jr2w 5 ай бұрын
깊이 감사올립니다
@user-mu5mq2iw7k
@user-mu5mq2iw7k 5 ай бұрын
교수님께서 한국말은 유창하신데 모국어 구사에 있어서 자주 더듬거리심.ㅎㅎㅎㅎ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교수님.
@MrZenhunter
@MrZenhunter 5 ай бұрын
9:56 순간 터진 혼잣말이 한국어 "왜 이러지?" ㅋㅋㅋㅋ 교수님이 한국인 다 되셨네요
@user-eo4wl3bj9k
@user-eo4wl3bj9k 5 ай бұрын
한옥에 대한 설명을 이분을 통해 자세히 알게 되었네요. 태풍속에 담배연기가 일자로 올라간다는건 저도 몰랐었는데.. 와우! 한옥 최고!!
@user-em7qg1jf2b
@user-em7qg1jf2b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는 토수입니다 전통구들 교육 시공전문인데 정말 유익한 영상 최고예요 축복합니다 우리 것은 좋은 것인데 잘 보존 발전되길바람니다
@JadeCome
@JadeCome 5 ай бұрын
귀하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아름답고 소중한 "한옥(온돌)" 함께 지켜나갑시다. 바돌로뮤 교수님 정말 반갑습니다.👍💕
@hohoho6614
@hohoho6614 5 ай бұрын
이 분 표정에 한옥을 사랑하시는 맘이 고스란히 들어나네요 감사함니다 피터 바돌로뮤 교수님 근디 옛날에 북촌도 철거하고 재개발 한다고 했을때 앞에 나서서 반대하며 그걸 막아내시는데 앞장 서셨던 분 존함도 피터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같은 분이신가요 그분 돌아가셨다고 들은 거 가튼디 잘못 알고 있는 거라 아직도 잘 살아계시다고 하믄 좋긌네요
@2sansamify
@2sansamify 5 ай бұрын
우와~~~ 한옥 전문가 입니다! 일단 설명 빠진부분 한옥은 마당에서 1미터& 3자 정도 축대를쌓아서 높여서 기초돌 올리고 기둥 세워야 부엌 아궁이가 땅에서 물이 올라오지 않아요
@zu2070
@zu2070 5 ай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해요
@user-kr1ng8ge6n
@user-kr1ng8ge6n 5 ай бұрын
이젠 한국적인것이 바로 세계적인것. 자랑스러운 우리조상들. 김치도 된장도 고맙습니다.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5 ай бұрын
60년 한국 서울 에서 태어나서 잠시 광화문(지금의 종합청사 자리) 한옥에서 살았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잠시 어린 시절을 떠 올렸습니다. 잊혀져 가는 어린 시절의 시간을 떠올려 준 것에 감사합니다.
@ocowp
@ocowp 5 ай бұрын
언어까지 헛갈릴 정도로 심도 깊에 연구하신 분이시군요.
@sungsookim498
@sungsookim498 5 ай бұрын
내가 유럽에 갔을때 매번 느끼던 것을 교수님이 지적하셨네요.... 오래된 건축물이 잘보존되어서 거리 자체가 그 나라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는게 너무 부러웠고 잦은 외침과 전쟁으로 많은 건물들이 망가지고 불타서 소실되어 없어지고 아파트를 선호해서 오래된 가옥을 없애고 있는 상황이 너무 안타깝더라구요....
@khyuna333
@khyuna333 4 ай бұрын
잦은 외침 없음 미소이념대리전 6.25로 초토화된것
@sungsookim498
@sungsookim498 4 ай бұрын
@@khyuna333 역사 다시 배우시길 우리나라 몇번의 외침이 있었는지 고궁들 한번지어서 끝까지 보존된 것을 거의 없음 ....
@Seoulcoffee
@Seoulcoffee 29 күн бұрын
한국의 오래된 가옥도 그 전의 오래된 낡은 집을 대체하고 발전하기 위해 생겨났다는 건 깨닫지 못하나요? 오래된 가옥 다음에는 지금의 신식 아파트가 대를 이을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아파트를 선호하는 겁니다. 언제까지 옛날것만 움켜쥐고 회상하면서 발전을 거부할건가요
@okikumik1661
@okikumik1661 5 ай бұрын
한옥은 정말 잘 보존 되어야 합니다.
@user-wx7bx6dg9r
@user-wx7bx6dg9r 5 ай бұрын
전국의 한옥 건축 희망자 1년에 100채 정도라도 정부에서 건축비 일부와 설계,시공을 지원해주면 좋겠다. 현재 한옥 건축비용이 일반콘크리트 주택보다 몇배 비싸다.
@user-ci3so9ft8y
@user-ci3so9ft8y 5 ай бұрын
우리한옥을 너무사랑해주시니 너무감사하네요
@user-gg2gv2jo2q
@user-gg2gv2jo2q 5 ай бұрын
영혼이 영원히 한국인이시네. 깊은 감사를 드리며... .
@jgcyuijtre
@jgcyuijtre 5 ай бұрын
저도 한옥에서 살고 싶어요 마지막 한옥이 철거되는 장면에서 맘이 아팠어요 교수님 명강의 잘 봤습니다👍
@user-er9xd9rd1j
@user-er9xd9rd1j 5 ай бұрын
강의 감사합니다❤
@user-hs2mq3zs5g
@user-hs2mq3zs5g 5 ай бұрын
가장 중요한 부분이 많이 빠졌습니다. 툇마루가 있는데. 툇마루는 신을 싣기도 하지만 적이 침입하면 숨을 공간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툇마루 가 지상 즉 지표면인. 땅에서 부터 떨어져서 그곳으로 공기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한옥의 주 재료인 목재가 썩거나 습기로 인한 곰팡이균 이 발생 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그것 뿐만이 아니라 소재인 흙 그것도 황토를 소재를 써서 몸에 좋고 황토가 아궁이 불로 달궈지면 세라믹 이라고 할수가 있는것 처럼 도자기 재료이기에 더욱 온돌의 특성상 뜨거운 열기를 지속 시킬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이 되었고. 아궁이는 불을 지피는 것만이 목적 이 아니라 그 아궁이 위로 큰 가마솥을 놓아서 한국인의 주식인 하얀 쌀밥과 각종 반찬을 만들어서 사용 하는 부엌이기 때문에 매우 훌륭한 공간이기도 합니다 뿐만아니라 아낙네 즉 여성분만이 한국의 부엌 아궁이 앞에 앉아 서 치마를 걷고 따뜻한 불의 기운을 받아서 여성이 겪는 냉대하증 같은 질병을 예방 하기도 하였습니다
@whatelse2108
@whatelse2108 5 ай бұрын
한국의 전통문화를 보존할 수 있게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언젠가 한옥모양의 집들이 세련됨의 상징으로 우뚝서기를 바랍니다
@good-ski
@good-ski 5 ай бұрын
과거에는 온돌이었지만, 지금의 바닥에 보일러 시스템도 아주 최첨단임. 미국가보면 알겠지만, 그냥 벽난로나 바닥은 그냥 냉기 아주 장난아님. 그래서 카페트 깔고 신발 신고 다니고...청결하고는 거리가 멈. 한국이 최강임. 아무리 작고 허접한 방같아도 보일러 다됨. 전기장판에 아주 이런 쪽엔 도가 튼 나라임.
@user-fc8lm4vr7c8
@user-fc8lm4vr7c8 5 ай бұрын
세상에 우리 한국인들 그 자신들보다 더 한국의 것을 탐구하고 아껴주시니 부끄러움에 몸둘바를 모르겠군요. 너무도 고맙습니다!
@user-zy1vx4my9v
@user-zy1vx4my9v 5 ай бұрын
ㅎㅎ 교수님 너무 사랑스럽다. 급하시니까 영어가 아니라 한글이 나오시네요. 정말 찐 한국인이십니다.^^
@user-nz7nt2ls4g
@user-nz7nt2ls4g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ㅎㅎ
@user-pr8vk8yj2n
@user-pr8vk8yj2n 5 ай бұрын
짧지만 참 좋은 자료를 만드셨네요. 한옥의 가치를 알고, 세상 어떤 주거지 보다 한옥이 잘 맞는 지역이 있을 것이고, 한반도에 잘 맞겠지만- 건축의 가치가 있는 이상, 연대를 이어가며 전해질 것입니다. 다행히 한국식 아파트 건축물에 온돌 방식이 적용되는 것은 꽤 고무적입니다.
@user-jn1bq9rf1f
@user-jn1bq9rf1f 5 ай бұрын
한국이 최고입니다 정치인 일반국민나쁜인성이있는사람만좀 인성이착해지면완전 최고인데 그리고 감사합니다
@user-ob1dj1kc6m
@user-ob1dj1kc6m 5 ай бұрын
13:30 교수님 당황하니깐 갑자기 한국말을 꺼내시는 ㅋㅋㅋㅋㅋ
@maruhantv7942
@maruhantv7942 5 ай бұрын
13:42
@maruhantv7942
@maruhantv7942 5 ай бұрын
13:42
@maruhantv7942
@maruhantv7942 5 ай бұрын
13:42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5 ай бұрын
대학원생한테 하는 말
@user-ot9gw6ut3c
@user-ot9gw6ut3c 5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교수님
@youngbogchoi5738
@youngbogchoi5738 5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한국학에 대한 식견과 열정 그리고 애정에 깊은 존경과 경의를 표합니다 짝짝짝!!!😊
@bokhanlee4049
@bokhanlee4049 5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은 한옥 ~ 낡고 고리타분 여기지만 너무 익숙해서 터부시 ~ 서양인들은 한옥에서 느끼는 감정은 새련되고 클래식하게 느낀다는 거
@JO-se5vp
@JO-se5vp 4 ай бұрын
은인 이셨고 선생님 이셨고 때론 부모님 같았으며 친구 였던 피터바돌로뮤 좀더 오래도록 함께하지 못해 아쉽기만 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432기
@h9108
@h9108 5 ай бұрын
멋져요, 중국인 같으면 중국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을 겁니다, 한옥과 생활 역사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훌륭하십니다, 모국어도 잊지마세요🤣
@Chan-iu5ne
@Chan-iu5ne 5 ай бұрын
개발이라는 명목아래 우리가 무엇을 잃어버렸는가를 알아야 하나다고 봅니다 .....문화는 사람과 공간에 깃들여 있습니다 그런데 애써지켜도 부족한 마당에 그나마 있는것 까지 쓸어버리고 그곳에 계속 있었던 문화를 형성하던 사람들은 흩어지고 공간은 빌딩으로 채워 졌습니다. 아파트가 부족한게 아니고 투기가 문제인데 소수 건설업자와 투기꾼들의 이익을 위해 우리의 문화들이 삭제되었고 삭제되고 있습니다 .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제발 거의 않남았지만 있는거라도 지켜야 된다고 봅니다 . 예를들어 피맛길은 조선시대에 궁으로 가거나 하는 높은 사람들이 많이 다녀서 일반 서민들이 편해게 피해다니던 길이었고 그래서 당연히 그곳에 오랜시간 축적되어온 문화들이 있었습니다 . 그러나 지금은 그곳에 오피스텔 빌딩 두개 지어지고 아무것도 남지 않았습니다 ...남은거라고는 여기가 예전에 피맛길이었다 표기정도 입니다 지금 윤석열과 오세훈은 그짖을 또 하고 있네요 ....우리 문화가 완전히 삭제되는 날까지 하려나 봅니다
@user-bi1eo6bn1z
@user-bi1eo6bn1z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lecouragelasagesse8603
@lecouragelasagesse8603 5 ай бұрын
한집한집 자기가 살 집을 정성스레 짓고 그런 대한민국 도시를 다른나라에 자랑하고 싶은 마음은 저뿐이 아니였네요. 어쩔수 없이 다세대,아파트를 지어도 도시미관에 어울리게 정성스럽게 지엇으면 좋겠어요. 땅값집값의 투기가치가 아닌 진정한 가치가 있게 지금부터라도 고심하고 디자인되었으면 좋겠네요.
@custard11
@custard11 5 ай бұрын
5:36 그림에 바람 바람 한글로 적힌거개웃기네
@k.j.h6296
@k.j.h6296 5 ай бұрын
한국어가 익숙해서 모국어인 영어를 깜빡 하시는 모습이ㅎㅎ
@a_quiet_rain
@a_quiet_rain 5 ай бұрын
빛과 바람등 환경에 대해 효율을 띄도록 공학적 설계가 되었다는 점은 한국인인 저도 이제서야 알게 되었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davidjeong7675
@davidjeong7675 5 ай бұрын
다른건 안놀랐는데 18:38 경복궁에 타워형으로된 탑2개가 있다라는말에 예쩐 어떤영상에서도 경복궁 원래 모습 사진에 대해 설명한게 있었는게 팩트였다라는것을 여기에서 확인하네요 ㅋ
@user-kp8tg8yo1w
@user-kp8tg8yo1w 4 ай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바톨리뮤교수님 고맙습니다. 한옥은 한국뿐만 이니라 전세게의 살아있는 유물입니다.
@user-og7br2vg1y
@user-og7br2vg1y 5 ай бұрын
정말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user-yz4qz4jm1m
@user-yz4qz4jm1m 5 ай бұрын
정말 멋진 코큰 한국인이네요
@user-zu2nf7mw5c
@user-zu2nf7mw5c 3 ай бұрын
21년도에 돌아가셨네 뒤늦게알게된 바돌로뮤 선생님. 한국인으로 사신 40년 세월동안 한옥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극락왕생 하십시오.
@user-vv4vb9ek6d
@user-vv4vb9ek6d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건강하세요 ~♡
@vdhsygjw26277
@vdhsygjw26277 2 ай бұрын
교수님 싸랑해요❤❤ 한국이 숫자로 과학적이기보다 전 우주적인 지식으로 과학적입니다. 그러니까 정말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이 한국의 미라고 생각해요. ❤
@cylee8319
@cylee8319 4 ай бұрын
한옥을 무척 좋아해 이책저책 보기도 하는데, 저분만큼 열정과 지식도 없고 그저 취미로 공부하는 한국 장년. 존경스런 분이네요.
@hunpark4084
@hunpark4084 5 ай бұрын
저분 영어 잘하시네
@worldfo
@worldfo 4 ай бұрын
의장대 복무하면서 항상 사랑해주신 피터씨가 그립네요^^
@jeseopark4419
@jeseopark4419 5 ай бұрын
어릴떄 한옥에서 살았었는데 죽어버릴것같은 더위의 여름에도 마루에 나와있으면 뒷마방으로부터 앞마당으로 관통하는 얼음장같은 바람이 불어서 시원했지 딱 거기에 앉아서 수박먹으면 개꿀이였고 지금도 비오는 날씨를 좋아하는 이상한 취향이 됐는데 왜그랬나 생각해보면 장마철같은때에 비바람이 미친듯이 몰아치고 마당에 벼락이 떨어져도 난 마루에 드러누워서 뽀송한 발을 샥샥 소리나게 비비면서 놀곤했지. 지금도 한옥에 살고싶어 하지만 한옥은 커녕 집자체가 너무 비싸고 심지어 한옥은 더 비싸지. 이제 한옥은 부자들의 전유물이 되어버린거지 젝일 난 그진데 ㅋ
@GetoutYoon
@GetoutYoon 5 ай бұрын
한옥은 앞마당은 비워두고 뒷마당에 화단을 꾸며서 여름에 뒷마당의 시원한 공기가 앞마당의 뜨거운 마당과 순환이 되게 하죠 앞마당은 농산물을 말리는 곳으로 사용하죠
@user-tz4fd2ic2y
@user-tz4fd2ic2y 5 ай бұрын
어렸을때 일본인이 살던집 이른봐 적산가옥에서 살았던적이 있었습니다 비록일본식 집이였으나 모든 방은 온돌식이였으며 수십년된 무궁화나무 2구루와 무화과나무 1구루가 있었지요일본인철도원이 살던 집이라는데 그들도 한국에선 온돌에 우수성을 알고 있었나봅니다😊
@user-jn2ek4vq2v
@user-jn2ek4vq2v 3 ай бұрын
교수님 정말 감사합니다. 우리민족이 깨어있지 못하고 어두워 우리자신을 엽전이라 스스로 비하하고 있을 때, 우리 자신보다 우리문화를 깨우쳐 주심은 우리민족의 선구자 십니다. 감사합니다. 주님의 은혜로 평안하소서!
@kim-jm4wm
@kim-jm4wm 5 ай бұрын
바돌로뮤 교수님 !미국.
@jjwon439
@jjwon439 5 ай бұрын
교수님 감사합니다. 한국의 온돌과 바닥난방 시스템을 전세계에 널리 알려서 모든 나라에서 바닥난방 시스템이 보편화 되어서 우리처럼 따뜻한 겨울나기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user-iu7ki5io9x
@user-iu7ki5io9x 5 ай бұрын
여전히 정정하시네요 호텔에서 근무했서 자주 뵙었는데 한국말도 잘하시고 예의바르신 어른이십니다 늘 건강하세요
@moon-zk4ri
@moon-zk4ri Ай бұрын
진정한 학자이신 분 이라고 느껴집니다 문화나 역사를 들여다 보며 진심을 다해서 연구하는 학자의 진면목을 보며 우리의 문화를 역사를 잘 지켜야 한다는걸 깨달음을 주시네요
@bebeshark7059
@bebeshark7059 5 ай бұрын
온돌 한옥 의 특징 강점을 제대로 설명해주시니 감사!! (우리도 미쳐 몰랐던 부분도 알려주심)
@user-js9kk3rq2y
@user-js9kk3rq2y 5 ай бұрын
보일러가 워낙 좋아서요 이것도 온돌의 원리죠 뭐
@user-vd1mx9hz5i
@user-vd1mx9hz5i 5 ай бұрын
좋아요를 안누를수가 없군~
@user-tg9bh7zk1z
@user-tg9bh7zk1z 5 ай бұрын
이분이 진정 한국인 이십니다.
@user-ld3mc4yk8u
@user-ld3mc4yk8u 4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교수님도 훌륭한 분이 많이 나오기를
@user-ew1xy1rl8u
@user-ew1xy1rl8u 5 ай бұрын
아이구 교수님 한국사람 다 되셨네요😂😂😂😂😂
@user-kq9yo5tq9u
@user-kq9yo5tq9u 5 ай бұрын
아파트에도 현대식 온돌로 모두 난방합니다 쇼파밑에 다들 누워있죠
@user-zk2yp8jy1k
@user-zk2yp8jy1k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천국에서 행복한 연구 더 많이 하시고 혹시 다시 태어나신다면 꼭 한국에 태어나셔서 한국을 많이 사랑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user-gx4kt9ih2y
@user-gx4kt9ih2y 5 ай бұрын
온돌은 정말 사랑입니다
@user-ek8ym3tj2f
@user-ek8ym3tj2f 5 ай бұрын
건물에도 바닥난방을 하는 곳도 있습니다. 따뜻하고 공기가 맑아서 좋거든요. 아파트처럼 바닥난방을 건물에도 시공하면 온풍기 없어도 겨울에 따뜻합니다.
@user-ig5fx9uh6q
@user-ig5fx9uh6q 5 ай бұрын
왕은 춥게 지냈다고요? 아따~대단하시네요~한국인으로써 첨 알게 됐네요~머리가 맑아야해서?~ 오오오~~~고맙습니다😅
@hobbyholic_LoveLive
@hobbyholic_LoveLive 5 ай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씀만 하시네요..
@user-gv7xt2lz8t
@user-gv7xt2lz8t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guccigang1269
@guccigang1269 3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구독 박고 가유~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한국 온돌 부러워 하던 부모님께 한국온돌을 깔아드렸더니!
15:39
이사벨아빠 Isabelle Daddy
Рет қаралды 627 М.
I've dropped 'these habits' after living in Korea
6:16
션 파블로 Sean Pablo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엘리트들은 모두 한국에 오려고 하는 나라?
9:32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