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진화 역사를 바꿔버린 한국 유물들ㄷㄷ(중국 일본은 없음;;)

  Рет қаралды 1,182,548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강인욱 고고학자님과 전세계가 충격을 받은 한국 유물들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0:38 한국의 유물의 개수
02:04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한국 유물
03:34 일반인이 발견한 유물 사례
04:24 유물 발견 시 포상금 기준
05:09 역사학계가 놀란 한국 유물들
09:49 한국이유독 청동 기술이 뛰어난 이유
10:49 우리나라 유물을 질투한 일본
13:04 일제 강점기 때 빼앗긴 우리나라 유물
14:14 고고학을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
15:09 북한의 고고학 수준
16:34 앞으로 우리 유물을 되찾기 위한 노력
BODA 보다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요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1XKVXfBrALz1GHEH8
BODA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구독하러 가기 naver.me/xXEQ4MTN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보다#BODA#고고학

Пікірлер: 1 100
@boda100
@boda100 8 ай бұрын
✅보기 쉬운 글로 정리된 영상 내용 복습하기 naver.me/xXEQ4MTN
@user-of5cr3wc3n
@user-of5cr3wc3n 7 ай бұрын
저희가 아니라 우리
@ksjo2491
@ksjo2491 6 ай бұрын
@@user-of5cr3wc3n 비파형 동검이 우리 고유의 양식인걸 인정하지만 비파형 동검이 발견된 곳을 우리의 강역이라고 볼순 없다고 강변하는 한국 학계 ㅋㅋ
@junghwanke5480
@junghwanke5480 17 күн бұрын
0:26 😅
@sogh9
@sogh9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20세기 때처럼 가난한 것도 아니고 이젠 세계에서도 순위권인 제법 잘 사는 나라가 됐는데 유물 보상 좀 확실하게 해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그게 안되니 땅 파다가 유물 나오면 쉬쉬하고 재빨리 덮어버리게 되니 당장 국가예산은 아껴도 멀리 보면 오히려 손해죠.
@user-xr2ki9bv7t
@user-xr2ki9bv7t 10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희 시골도 뒷산 논바닥 밭 할거 없이 유물들 잔뜩 있습니다 몇십년 전에 지자체에서 체육관 만든다고 땅 사가려다가 유물 나온다고 하니 없던일로 되더군요
@rollroll610
@rollroll610 10 ай бұрын
이 문제 때문에 대부분 유물 나오면 몰래 없애 버리고 건물 올리죠. 보상도 안 해주고 시간도 오래 걸리고 책임은 개인에게 전가 시키는 웃긴 법 ㅋㅋㅋ
@junchun8064
@junchun8064 10 ай бұрын
잘살게된건 별개로 아직도 국민성이 후진국이에요 수준에 맞는 국회의원과 대통령을 뽑는다는게 괜히 있는말이 아니죠 떼법이 일상화되다보니 시위안하면 국개들이 문제있는 법안을 개선할 생각이 없고 정작 시위하는사항은 진짜 국민들이 원하는것들도 아닌 정치세력이 시위를 동원해서 지들하고싶은 법안 밀어붙이기나 하고 있는데 이런걸 신경쓸 여력이 있을리가요
@user-ni3ti9oj5d
@user-ni3ti9oj5d 10 ай бұрын
세금 거둬서 도대체 뭐하는데 쓰는 지 진짜 대통령하는 놈들 다 전부 탈탈 털어 조사해 봐야 겠네요.
@user-rc2fd7sb9x
@user-rc2fd7sb9x 10 ай бұрын
그러면 전국민이 도굴꾼이되겠죠?
@user-wp7um1ov1f
@user-wp7um1ov1f 7 ай бұрын
춘천 레고랜드에서 한국의 스톤헨지라는 찬사를 받으며 최고의 문화재라는 얘기 까지 들었는데 뒤집어 업어 버렸는데...
@user-so4sc8ge8x
@user-so4sc8ge8x 10 күн бұрын
레고랜드 특검 해야됨
@Slayer-be3kh
@Slayer-be3kh 10 ай бұрын
레고랜드는 정말 대한민국 고고학의 현주소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사례죠..ㅠ 국가의 힘(경제,외교)가 강해져서 도난당한 유물들을 하루빨리 고국의 품으로 오길 바랍니다.
@user_1874
@user_1874 10 ай бұрын
직지심체요절 아직도 프랑스에 있음 근데 그게 최초의 금속활자임
@ji-sunjeong547
@ji-sunjeong547 10 ай бұрын
레고랜드.. 중도는 20년전 춘천에 여친 있어 놀러가면 데이트 루트가 도착 -> 닭갈비집 -> 중도 산책 머 이런식이었는데 그때도 굴러다니는게 토기였을 정도 였음..
@user-zt7uz6uf4h
@user-zt7uz6uf4h 9 ай бұрын
@@user_1874 한국에서도 제대로 안가르치는데 뭘 바랍니까 ㅎㅎ.. 아 그리고 직지는 '불법' 반출된 문화재가 아니기 때문에 막무가내로 돌려달라 말을 할 수 없습니다.
@choi775
@choi775 9 ай бұрын
유물이 나오면 무조건 부수고 없애야 합니다 내땅을 나라에서 제한을 걸고 돈도 땅주인이 내야합니다
@K-electronic
@K-electronic 8 ай бұрын
​@@user_1874받아온 지가 언젠데(대여라 열받지만) 그리고 직지심체요절은 최초의 금속활자로 찍어낸 인쇄본이지 금속활자는 아님
@sdfasdfsdfds
@sdfasdfsdfds 10 ай бұрын
문화재 보호법.. 땅 소유주 혹은 개발업체가 제일 발견하기 싫어하는거죠 발굴은 소유주가 하고 그 기간동안 사업도 못하고 그 공사비용도 다 지불하고 그러면서 문화재는 다 회수해가고 문화재 발굴 혹은 보존에도 합당한 보상이 있어야되지 않을까 싶네요
@Lucas-gz8sy
@Lucas-gz8sy 10 ай бұрын
국가가 날강도급
@chan2gim
@chan2gim 10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대부분 현장에서 인부들 입막음하고 문화재 뽀개버림 순수자기자본으로 건물올리는 사람 손에 꼽고 국보든 뭐든 그놈의 문화재 때문에 내가 돌아오는 대출 못막아서 파산할수도 있는데 그딴게 중요할리가 ㅋㅋㅋㅋ
@mathamour
@mathamour 10 ай бұрын
땅 주인이 문화재 발굴하라는 헛소리는 어디서 들었냐? ㅋㅋ 국가가 정신이 돌아버려서 개인한테 문화재 발굴을 시키냐? 발굴한 문화재를 외국에 팔아먹을 수도 있는데. 헛소리 작작해라........ ㅋㅋㅋㅋㅋㅋㅋ
@chan2gim
@chan2gim 10 ай бұрын
@@mathamour 발굴비용을 건축주 땅소유주가 부담해야 된다는 얘기인듯
@mathamour
@mathamour 10 ай бұрын
@@chan2gim 찬이김아, 좀 무쉭한 편이냐? "유네스코 권고 사안에도 원인 행위자 부담의 원칙이라는 게 있다. 그 땅을 훼손하는 목적을 가진자가 부담하는 것이 국제적으로 원칙으로 되어있다" 이런 거 알고 떠들어라. 물론 문화재가 묻혀 있는 지 모른 채 땅을 산 입장에서 무쟈게 억울하지만, 돌려 준 다음에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건물 짓는 게 맞는 거 아니냐? 너는 니네 논밭에서 우연히 1000 만원 짜리 보석시계 발견되면 니가 다 처먹냐? 주인 안 돌려주고?
@Meunuaru
@Meunuaru 10 ай бұрын
문제는 개발을 하다가 유적이 발견되면 발굴비용을 모두 땅 주인이나 공사업체에서 부담을 해야한다는 거죠. 그래놓고 유적 발굴 다 하고도 보상이나 지원금 같은 건 한푼도 없으니 유물이 발견되어도 슬쩍 묻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음
@north7star
@north7star 10 ай бұрын
보상을 안해주는거지 발굴비용을 땅주인이 부담한다구요 설마 그럴리가 아무리 발견자에게 피해가 가도 보상 안해준다고 하지만 그렇게까지 하는건 완전 독재죠
@reruz3386
@reruz3386 10 ай бұрын
@@north7star하지만 그게 사실인걸요
@north7star
@north7star 10 ай бұрын
@@reruz3386와우~이건 뭐 깡패네 언제적 법인가 독재시절 법인가 말도 안돼~
@user-kp4sr2sg6s
@user-kp4sr2sg6s 10 ай бұрын
​@@north7star 이게 고고학적 유물만 관련된데 아니라서... 훈민정음 '상주본'의 경우는 이런 보상이 없어서 주인이 숨겨놓고 "보상금 내놔라" 하면서 안주고 있습니다 (보관과정에서 화재로 소실되었다는 소문도 있고...) 훈민정음 상주본 이라고 검색하심 관련해서 많은 이야기들이 나옵니다
@north7star
@north7star 10 ай бұрын
@@user-kp4sr2sg6s 네 대충 알고 있습니다 상주본을 어디서 구매했던거 같은데 일정이상의 보상을 안해줘서 숨겼다고 알고 있어요 이것 말고 운석이나 다른 유뮬들 거의 강탈 수준이더라구요
@annabelle7123
@annabelle7123 10 ай бұрын
비파형동검, 잔무늬거울 교과서에서 배웠는데 고조선을 밝힌다니 정말 멋지네요. 고고학 배우다가 경영학이나 다른 걸로 넘어가는 것도 보는데 이 분야를 지켜주세요!
@sp.PaRang
@sp.PaRang 9 ай бұрын
● 장쑤성의 떼무덤…백제인일까 신라인일까 (연운항시) -한겨레 ●고구려와 백제의 것이라는 돌무지무덤이 왜 여기에 있을까? 중국 관내 적석묘, 석관묘, 석곽묘 182기 Ver.1.7 kzfaq.info/get/bejne/pNykntmK0q_RiX0.html ●중국 관내(하북,산동,하남,안휘성) 출토 비파형동검 및 세형동검ㅣ총 87개, 그 중 산동성 68개 확인 kzfaq.info/get/bejne/nbepl9GlydzPn4U.html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이 왜 중국 한복판에 이렇게 많이 있나요?ㅣ중국 만리장성 남쪽 비파형동검 및 세형동검 Ver.9.2ㅣ이전 버전에서 쑤저우 홍기촌 2자루 추가 kzfaq.info/get/bejne/l5l6dsKrv6vHXZ8.html
@anio8885
@anio8885 9 ай бұрын
비파형청동검은 찌르고 뺄때 살에박혀 진공 상태가 되버려 안빠지는 다른 나라의 청동검과달리 피홈이 있어 찌르고 빼는게 쉬어 더 발전된 형태라합니다. 다뉴세문경은 지금의 과학으로도 그렇게 정밀한 거푸집 못만든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몇대 불가사의에 두가지가 포함돼 있어요. 무덤 주인이 살앟던 별자리 찍힌 고인돌 개마무사의 철갑 .. 천상열차분야지도 포함. 몇가지는 생각이 안나네요
@user-wb9fq3vq9o
@user-wb9fq3vq9o 8 ай бұрын
​@@anio8885비파형동검은 말씀하신것과 반대입니다. 말씀하신것은 세형동검인거 같네요. 비파형동검은 편년상으로도 세형동검보다 이른시기에 등장하였는데 그렇기때문에 검 자체가 더 무르기도하고 권력과시 혹은 제사용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세형동검은 말씀하신 것과 같이 홈을 내어 찌르고 빼기 쉬운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 실제 개체에서 혈흔이 나온 사례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세형동검이 실질적인 전투용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user-wg6sq4hn4i
@user-wg6sq4hn4i 10 ай бұрын
춘천 레고랜드에서 나온 청동기 유물들은 어찌 되었나 몰라ㅠㅠ
@user-bn1tg8gq5e
@user-bn1tg8gq5e 3 ай бұрын
문화재청에 정보공개 민원넣으시면됩니다.
@user-tc4hc2nf4r
@user-tc4hc2nf4r Ай бұрын
​@@user-bn1tg8gq5e그러기 전에 기관이 먼저 파악하고 정립해야죠 . 거꾸로 돌아가는 행정
@user-cr6kq7tj8q
@user-cr6kq7tj8q 10 ай бұрын
레고랜드때문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됐었는데 그 이전부터의 고고학의 소중함을 알려주셔서 재밌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mapx2100
@mapx2100 10 ай бұрын
교수님 얘기 잘 들었습니다. 레고랜드는 지금 생각해도 너무 아쉬워요. 고조선 유적들을 그대로 다 뒤집어 엎었으니까요. 얼마전 최대 고인돌 유적지를 제대로 보존못하고 망쳐버린 지자체 사건도 그렇고요. 이게 다 일반인들이 역사에 관심이 없어서 그런거 같더라고요. 교수님같은 분들이 더 많이 목소리를 내고 국민들도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네요.
@getifucan
@getifucan 10 ай бұрын
레고랜드 문화재때문에 비용만 늘어나고 그거때문에 채무불이행나서 부동산 ㅈ될뻔한건 모르세요? 사람나고 문화재 났지 문화재나고 사람났습니까? 거기 하중도에서 고고학유적나와서 우리삶이 뭐 얼마나 나아졌는데요?ㅋ 반대로 채무불이행나면 우리삶이 엏마나 망가질텐데요? 이딴 ㄱ같은 글 싸지르기전에 국회의원한테 가서 문화재법 개정이나 해달라고하세요
@dabno2617
@dabno2617 10 ай бұрын
@@getifucan 백번 옳음. 교수님같은 분들이 더 많이 목소리를 내고 국민들도 관심을 가지면 우리 삶이 망가질듯!
@cute_tutle
@cute_tutle 10 ай бұрын
일반인들이 관심이 없긴 개뿔ㅋㅋㅋ 나라가 깡패짓하니까 그런거지
@user-oy6rg2kr3r
@user-oy6rg2kr3r 10 ай бұрын
정부와 국회의원들 수준이 형편없이 낮아서 그렇죠!! 일을 제대로 하지않고 비자금만들 생각만 하는 것들이 권력을 가지고 있으니 문화재도 잃고 시민들 재산도 잃고 민족자존감도 잃게 되고.....
@user-xc7mi4tp9b
@user-xc7mi4tp9b 10 ай бұрын
애초에 공사현장에 문화재 발굴되면 나라가 아니라 건물주가 비용내는게 말이되나ㅋㅋ 개양아치 공산주의 국가도 아니고
@larryjung9612
@larryjung9612 10 ай бұрын
제발 방송사에서 이 영상보고 취재해서 문화재법 제대로 바뀌었으면 좋겠네요. 무늬만 법인 게 너무 많아 이 나라는
@Doniwos
@Doniwos 10 ай бұрын
레고랜드 같은 일이 없도록.. 유물 발견시에 국가의 지원이 좀 더 있었으면 합니다.. 결국 내앞의 돈이 더 중요한 사람이 많을텐데.. 유물의 고의적인 파괴는 앞으로 계속 이어질겁니다.. 더불어 저는 유물의 포상금의 제도가 어느정도 활성화 되야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야.. 앞서말한 일의 예방이 좀 더 될거 같습니다..
@LCH0228
@LCH0228 9 ай бұрын
내 앞의 돈 유적지 나와서 그거 발굴 끝나고 하는거 기다릴정도의 부자만 개발하라는 것으로 보이는건 뭘까요 님도 당하시면 내 앞의 돈 찾는 사람이 되실겁니다
@chicaquila
@chicaquila 10 ай бұрын
10:49 일본에서 헤이안시대를 배경으로 한 대하드라마를 제작한적이 있는데, 정말 고증을 끝내주게 잘해서 오히려 시청률이 폭망했던적이 있습니다. 물론 드라마가 재미가 없어서일 수도 있지만, 그 시절 문화적으로 수준이 현격히 떨어지고 경제적으로는 찢어지게 가난하고 지저분한 일본을 너무 잘 고증하는 바람에, 일본인들이 불편함을 느껴서 시청하지 않았다라는 이야기도 있더라구요.
@hwp8741
@hwp8741 10 ай бұрын
​​@@user-id9tu1fc9z.? 그냥 때려부시는거 좋아하는 것 때문아니고? 관객수준이 문제지 먼 이상한거 갖다붙임? 그 논리면 수많은 여자 끌려간 걸 배경으로한 활도 망했어야지
@gardenj1004
@gardenj1004 10 ай бұрын
​@@user-id9tu1fc9z남한산성이 망한 이유는 그냥 역사 정극이어서 망한거임. 무력하게 지는 조선의 모습을 보여줘서 망한게 아니라 말과 정치로 극이 이루어지는 연출이라 액션과 블록버스터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어필이 안됬던거임. 남한산성 영화 자체는 매우 좋은 영화임.
@user-pp1nj3ep1q
@user-pp1nj3ep1q 9 ай бұрын
임진왜란때 개털리고 헛소리한다
@qualityoflife6654
@qualityoflife6654 10 ай бұрын
어릴땐 역사공부하다가 이집트.중국.남미쪽 화려하고 거대한 유적들이 부러웠는데 그 건축물완성을 위해 수많은 국민들이 얼마나 많은 고초를 겪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고난뒤 버티고 살아온것만으로 다행이라 느낌.이번에 슈퍼컴으로 현재 인종출현의 지도표시를 해놨는데 유럽.중동.중국일부에 널리 퍼져있지만 유독 한반도중심으로 집중된걸 알수 있음.우리 스스로 너무 과소평가하고 있는듯.
@CrabTastingMan
@CrabTastingMan 9 ай бұрын
영상에 교수님이 말씀하신 부분에 첨언하자면, 1000년 동안 한반도에 조공하던 일본은 열등감이 많죠. 그 발전이란 것도 메이지 유신 때만 쳐도 50만명의 자국 소녀들을 해외에 가라유키상이라고 성노예로 팔아버린 돈으로 개혁자금을 얻고 그걸 "낭자군(죠시군)"이라고 이를 지지해놓고... (옛날부터 서일본 규슈에서 가장 많이 팔아서 메이지 유신 내에 규슈에서만 팔린 여자만 해도 30만명) (원래 낭자군은 중국역사상 당나라 평양공주 휘하 진짜 편성된 여군 같은 걸 통칭하는 말인데 이걸 "일본을 위해 해외에 팔린" 걸 "애국하는 여군"라는 미사여구로 덮어버리는 데에 쓰다니...) (사실 일본인 노예는 1500년대부터 하던 짓이지만. 사무라이들이, 서아프리카국가들처럼 빨리 최대한 많이 조총 사서 서로 잘 쳐죽이려고 자국민들을 막 팔아제낌. 이렇게 팔린 일본인들이 얼마나 많던지 포르투갈 선교사 따라 로마까지 간 덴쇼 소년 사절단 4명도 기록하길, 동남아, 인도 각지 거쳐간 곳마다 일본인들이 흑인들과 함께 노예로 부려지고 있었다고 함. 지금도 동남아에 "일본인의 묘지" 라고 커다랗게 쓰여진 곳 보면 그렇게 수백년에 걸쳐 팔린 일본여성들이 많음). 그래놓고 60~80% 세율로 일본 일반 백성들은 가난에 찌들어, 애를 먹여키울 수도 없어 일본 전국에 마비키가 끊이지 않음. (16세기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도 "일본 어머니들은 아이를 키울 수 없다고 판단하면 무릎으로 질식시켜버린다"라고 기록하거나 일본통일하는데 이제 방해된다고 농민 무장해제 하고 다이묘들이 사적으로 일본인 판매한 돈으로 무기사서 자신에게 반란을 도모할 수 없도록 루이스 프로이스에게 "일본인을 노예로 부리는데 왜 이렇게 많냐"라고 따지자 프로이스는 오히려 "일본인 판매자들이 너무 많아 어쩔 수 없다"라고 함) 그리고 토착 일본 원주민들을 학살해서 얻은 동북지방 개척한다고 인신매매 납치범들이 횡행함. 19세기 사토 노부히로도 각 지역 숫자까지 제시하며 일본인의 영아살해는 워낙 심각해서 매해 대략 1/3의 가정에서 아기를 죽인다고 함. 부라쿠민과 시모베(화한삼재도회 7권이나 조선 통신사 그림에 종종 바지도 안입은 통신사들의 가마꾼으로 나오듯, 일본도 당연히 노비들이 있었고 2등국민보다 더욱 재산으로 취급됨)은 당연히 최악 취급이고, 일본에서 평민이 될 바에 조선에서 자매(자신을 파는 행위)해서 사유재산 보장, 세금면제 군역면제인 2등국민인 노비가 되는 게 나았음. (쇼군의 정식 명칭은 세이이타이쇼군인데, 정이대장군, 즉 오랑캐 박멸이 공식 직책임. 세계사에서 유일하게 제노사이드가 공식 직함이자 존재목적인 경우. 이게 국가사업이라 권력이 너무 커져 일본은 일개 장군이 국왕을 찬탈하는 군부독재가 희한하게 800년이나 지속됨. 전국시대 고나라 같은 경우는 고작 애들에게 동네바보 취급당해 심심풀이로 돌팔매 당해도 저항도 못하는 수준으로 "천황"이라는 외왕내제 꼴이 말이 아니었음 ㅋㅋ 조선의 유학을 배우고 난 뒤에서야 이게 삼국지 조조 같은 짓 즉, 잘못 되었다는 걸 느끼고 존황양이론이 생김.) (15만 병력 동원해서 5만명 상대로도 개전 1년만에 왜군 5만명이 날아간 임진왜란에서 조선의 화포쇼크와 화차쇼크 먹고 털린 서일본군은 군비로 써버린 돈 만회한다고 1609년에 오키나와에 위치한, 중세시대 동아시아의 싱가폴이던 무역 국가 류큐왕국을 파괴함. 오키나와는 90%까지라 남녀 쉴틈이 없이 일해야해서, 폭압적인 서일본 사무라이들을 죽여 가족을 해방해내려고 중국 무술을 토대로 당수도, 즉 가라데를 개발함. 이걸 또 열등감이 많은 일본이 중국색 없앤다고 똑같이 가라데라고 읽는 공수도라고 1920년대에 강제개칭함. 조총으로 못당해내는 화포쇼크 먹고 1609년에 처음 일본화포 개발착수해서 1614년 오사카성 전투에서 일본제 화포를 처음 써먹음) 그리고 특히 백제, 고려, 조선시대때 일본이 한반도에 조공 많이 왔죠. 조선통신사 때도 조선에서는 고작 왕자들에게 붙는 "대군" 호칭으로 일본 최고통치자 쇼군을 지칭했고 (자존심 문제로 한 번 아라이 하쿠세키가 이제부터 쇼군을 "일본 국왕"이라고 부르라고 강요했지만, 그런 지 1년만에 자신이 섬기던 쇼군이 급사해서 본인이 실권하고 롤백되서 다시 그냥 "대군"으로 부르게 됨). 마쓰다이라 아키노리처럼 조선 통신사 접대 비용이 필요해 자기 지역에 세금 올렸다가 농민봉기 (잇키, 전쟁이 없어 평화롭다던 260년 에도시대만해도 이게 3000번 기록됨) 일어나서 난리통에 급사한 경우도 있고. 전국시대에 서로 정통성 주장 + 외국에서도 알아준다는 식으로 각종 다이묘들과 일본의 막부 정권들도 계속 한반도에 조공사절 보낸 게 역사서에 기록됨. 특히 1500년 중반 3대 세력 중 하나였던 오우치 가문은 일본 내에서도 수백년동안 계속 백제출신이라고 해서, 조선에 그냥 조공 뿐 아니라 아예 책봉받길 원했음. (조선과 조공무역으로 부자가 되어 3대 세력으로 등판했지만, 아들이 전장에서 죽자 전쟁 그만 하고 예술과 문화를 닦고 싶다고 하자 휘하 사무라이에게 배신당해 죽고 오우치 가는 몰락. 가와사키라는 전범기업에 시달리던 도요타 가문이 오우치의 방계라고 함.) (사실 오다 노부나가도 휘하 사무라이에게 배신당해 죽은 것처럼 전국시대 사무라이는 주군 배신해놓고 "현실주의"라고 포장질해대는 족속이었음. 공자본인부터 폭군을 용감히 꾸짖는 게 유교며 조선에서는 반정도 4번 성공했을진데, 정작 17세기에 조선에서 유교를 배워놓고 이상하게 왜곡시켜 오히려 "주군에게 상소하지 않고, 백성이 굶어 죽고 있는 불의를 무시하고 주군을 지키는 게 진정한 충성"이라고 배우는 건 에도시대 전쟁이 뭔지 모르는, 선배들이 비웃을 글쟁이 사무라이들임.) 백제 멸망 직후에서 백제 되살리려고 하니까 군함 800척 보내라고 지시받자 순순히 말 듣고 백강 전투에 왔는데 대판 깨지고, 백제 지도층은 망명하고 신라군이 일본까지 따라올 까봐, 현대 일본 고고학계에서 말하는 "조선식 성곽"이라는 양식의 성을 많이 만들어 대비하고, 그리고 이렇게 대거 망명한 뒤에서야 역사책인 일본서기를 편찬하고 (그런데 백제의 역사책을 많이 베끼고 심지어 몇몇 년도는 딱 120년이나 차이나서 "이주갑인상" (1주기 = 1갑자 = 60년) 현상이 발견 됨, 거의 위서 수준으로 엉망임). (당나라로 전향한 "예군"이라는 백제인의 묘비가 2011년 중국 시안에서 발견되었는데, 내용상 원래 "일본"이라는 말 자체가 사실 백제를 예스럽게 부르는 말로 나타남. 고구려는 "풍곡," 신라는 "반도," 왜나라는 "부상"이라고 따로 표기됨.)
@user-ll7rs1gz7k
@user-ll7rs1gz7k 2 ай бұрын
다른 나라는 백성들의 고초가 심했겠지만 이집트는 종교관 때문도 있지만 다른 나라처럼 무임금 노동은 시키지 않았던것 으로 알고 있어요 건설 경기 활성화를 해서 서민들 에게 일자리를 주기 위함 이라는 기록이 있던 것으로 압니다
@eedo_papa
@eedo_papa 10 ай бұрын
와 고고학에 대한 궁금했던 부분들이 있었는데 설명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gy8jk1ul1i
@user-gy8jk1ul1i 10 ай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고고학은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이라는 멘트가 인상깊었습니다.
@LPCtheBRICKMAN
@LPCtheBRICKMAN 9 ай бұрын
선생님 학부시절에 뵈었던 모습 그대로시네요... 많은 사람들에게 고고학 소양을 높이는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oliGaeng
@PoliGaeng 10 ай бұрын
유물이나 역사에 대해 흥미를 갖고 사는 사람인데 이런 내용의 영상 정말 좋네요! 오늘도 흥미롭게 시청했습니다!
@user-rn4ir6ud4w
@user-rn4ir6ud4w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역사에 대해 잘 보존하고 연구하는 나라가 됐으면... ㅠㅠ
@user-xb6cq8il9q
@user-xb6cq8il9q 10 ай бұрын
할머니가 물건 함부로 버리지 말랬는데 역시 우리 조상들은 지혜는 참 👍
@user-lg4qw5xx5w
@user-lg4qw5xx5w 9 ай бұрын
ㅎ, ...아주 적확한 말씀, 기본적으로 가져야 할 후손들의 자세를 말해준 것 같아 참 고맙습니다!!!!!!!!!!!
@user-um7cn3kg4u
@user-um7cn3kg4u 10 ай бұрын
공사중에 문화재가 나오면 최소한 실비보장은 필요합니다 문화재가 나오는순간 국가가 책임을지고 재정적 부담을 지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세금을 내는 이유중 하나 입니다
@user-cl6rx1ok2m
@user-cl6rx1ok2m 2 ай бұрын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고고학을 지켜주시는 분이 계셔서 든든할 따름입니다. 아이들에게도 잘 전달해야겠어요!
@slyderine2661
@slyderine2661 9 ай бұрын
레고랜드 안타까운 일이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 유적지 거의 30년을 방치했는데 아무도 몰랐다가 2015년 공사 시작하면서 기사화돼서 다들 알게 된 거 뿐이지 그런 고고학 유적지 공사장에 뭍히는거 흔한 일이다… 여기 개념글 적으시는 사람들 중앙박물관 고고학 유물전 입장료 12000원 이러면 내고 보시는지들 모르겠네… 특히 한국 유물전은 진짜 인기 없음… 현실을 모르면서 너무 개념있는 척 하지 말자… 그냥 조용히 고고학 문화전 잘 즐기고 자식들에게 역사교육 잘 시키는게 소시민으로써 고고학에 가장 이바지하는 바라고 생각함
@user-pj1ro7ss3o
@user-pj1ro7ss3o 9 ай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hyde_kr
@hyde_kr 10 ай бұрын
인트로 듣자마자 전곡리 아슐리안주먹도끼라고 생각했어요 ㅋㅋㅋㅋ 이렇게 말씀해주시니 더 크게 와닿네요
@user-jj8ob2co1b
@user-jj8ob2co1b 9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정말 놀랍습니다.교수님 덥분에 무지했던 문화재보호의 중요성을 잘알게 되었습니다.^^
@sungwonhan6278
@sungwonhan6278 10 ай бұрын
환수가 이뤄지지 않아도 좋아요. 그곳이 어디건, 그 나라 그 땅에서 잘 관리 받고 한국을 알리는 문화재가 그 자체로 외교관이 되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에 말씀해 주신 소재 파악은 정말 중요한 일인 것 같아요!
@user-os3fm7xy2c
@user-os3fm7xy2c 9 ай бұрын
오늘 첨 교수님 영상 보는데 정말 지당한 말씀이네요 천프로 동감!!!
@user-kr6fs8rl4l
@user-kr6fs8rl4l 9 ай бұрын
이런분이 교수님으로 계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한국사학회가 일본중국 돈받은것같이 한심한데 교수님같은분이 아주 많아지길 고대합니다
@choi775
@choi775 9 ай бұрын
유물이 나오면 무조건 부수고 없애야 합니다 내땅을 나라에서 제한을 걸고 돈도 땅주인이 내야합니다
@air_g-string_nala_narang_nolza
@air_g-string_nala_narang_nolza 4 ай бұрын
올곧이 한국사학길을 걸으시는 멋진분 같음요 👍 15:13 문맥상 중국 (X) 북한 (O) 아닐까요??
@user-hk4mo9zw5m
@user-hk4mo9zw5m 10 ай бұрын
재미있었어요! 자주나와서 들려주세요
@kjshawn
@kjshawn 10 ай бұрын
멋진 마음으로 멋진 일을 하시네요. 감사합니다.
@user-mm5cs7li7c
@user-mm5cs7li7c 10 ай бұрын
고고학도 좋은 정보가 많네요.
@salmacis_
@salmacis_ 10 ай бұрын
교수님 넘 쉽게 설명해주셔서 편안하게 보고 가요. 자주 나오셨으면 좋겠어요ㅎㅎ
@dlstnf12
@dlstnf12 10 ай бұрын
관련영상으로 차이나는 클라스 청동기편이 계속 떠서 봤었는데 바로 또 여기서 보네요!! ㅎ
@user-cr4hx8og6y
@user-cr4hx8og6y 10 ай бұрын
최소한의 대가만 주기 때문에 유물을 그냥 덮어버리고 도시를 짓게 되는 날이 오겠죠. 국가가 개인의 재산을 유물이라는 이유로 강탈하려는 날도 올 것이고요. 대가는 반드시 지불되어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모든 이들의 자발적인 노력 자체를 달성하지 못하니까요.
@mathamour
@mathamour 10 ай бұрын
역사 유물에 초거액을 준다? 그럼 더 줄 때까지 버티기며 국가에 협상하자고 할 겁니다. 그런데 그 유물 주운 사람도, 자기가 만든 것도 아니고 그냥 우연히 주운 것이며 만든 사람은 수 백 수 천년 전 딴 사람인데, 왜 자기가 주인인 것처럼 하는 지? 유물 아니고, 1천 년 된 은행나무가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게 여러 그루인데, 개인 땅에 심어져 있고 조상님이 손자손녀에게 물려 준 게 아니고, 1천년 전부터 마을 한 가운데 있고, 마을 공동으로 쓰던 나무이면? 아, 내가 먼저 사진 찍어서 온라인에 올렸으니 내 것이고, 국가는 1천년 된 은행나무 발견한 댓가로 100억 주세요. 라고 하면 욕 먹을까요 안 먹을까요? 마찬가지로, 고려 청자를 발견했다? 그건 본래 국가 재산이고 개인 거 아닙니다. 고려 청자를 조상 할아버지가 손녀손자에게 가보로 물려준 게 아니라면 당연히 국가가 주인 아닙니까? // 국가가 주인이라는 말은 정부가 주인이라는 말이 아니라, 5000 만명 모든 국민의 공동재산이라는 말입니다.
@qwertyuiopms
@qwertyuiopms 10 ай бұрын
​@@mathamour응 너같은 분들 때문에 이미 유물나오면 소리 소문없이 묻거나 암시장같은데 내다 팔아요ㅎㅎ
@user-cr4hx8og6y
@user-cr4hx8og6y 10 ай бұрын
@@mathamour 그럼 당신의 몸뚱아리, 그 유기체는 부모님의 유전정보로 자궁 안에서 분열하여 출산의 과정, 그 후 성장의 과정으로 생긴 결과물로 소유권은 본인 것이 될 리가 없어야하는데 이런 댓글을 통한 의견 설파, 즉, 왜 자아가 있는 척 행동하십니까? 그리고 어떤 단말을 통해서 이 댓글을 작성하셨을 텐데, 자신이 만든 단말도 아니니 평소에도 무소유 실천 중이셔야 하는데 이미 사용한 에너지 비용 때문에 그조차도 모순이죠. 이는 유물은 재산이 될 수 없다는 정의 이전에 생산소유자 동일의 원칙이라는 공산당도 안 쓸 정의를 내세웠기 때문이죠. 그것은 법으로 규정하는 재산의 형태와도 전혀 맞지 않죠. 또한 당신이 태어난 것도 생식행위의 결과에 대한 확률적 당첨에 불과한데, 그 곳에서 어떤 개인에게 발견되는 유물이 공공재일 이유가 있습니까? 그 확률이 그리 억울하신가요? 이게 받아드려질려면 당신이 태어난 확률적 결과도 억울해하시고 그에 마땅한 행동을 이어 하실 때, 그나마 저런 비사회적인 구성원도 있구나하는 느낌표 정도는 띄울 수 있겠네요. 혹시 당신은 생물이니 다르다고 글을 이어서 쓰실 생각이 있으셨을까요? 참 이상하네요. 일단, 거래되는 유물 대부분은 유기화합물이며, 당신도 유기화합물이죠. 그리고 우리는 영원히 유기물일 수 없고요. 그런 마당에 사회적 규약인 소유권을 부정하고, 생산소유 일치가 아니면 공공재라고 주장하신다? 북한도 이정돈 아닙니다. 그냥 긴 글로 펼쳐쓰신 강아지 울음소리 같은 대단한 논리네요.
@user-ni9pk8qv7d
@user-ni9pk8qv7d 9 ай бұрын
@@mathamour 사진찍었다고 내거라면 광화문이나 동대문도 내거가 되나요? 비유를 할라면 재대로하시던가... 유물이라는게 주인이 없던게 아닙니다.... 무식한사람이 신념을 가지면 무섭다더니.... 누군가 죽어서 무덤을 만들때 순장품으로 들어같을수도 있고 전쟁통에 피난가면서 묻어두었는데 당사자가 죽어 묻은 위치나 묻은 행위 자체를 인지못했다가 자손이 발견할경우도 있는데 에효... 단세포마냥 생각하시지마시고... 그리고 땅이 매매될때 모든권한을 넘기는거지 에효...
@shinyoungmin8577
@shinyoungmin8577 9 ай бұрын
@@mathamour 그럼 공사 중인거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해주던가? 유물 나왔다고 공사 스톱하면 그에 따른 비용은 개인이 부담하냐? 내땅이고 정당하게 내 소유지에서 나온건데? 나라가 뭔 권리로? 권리를 주장하려면 그에 따른 적합한 보상이 나와야 되는거다. 그건 유럽도 마찬가지고 고고학이 중요시 하는 나라는 전부 마찬가지야. 좀 찾아보고와
@2-vz7fm
@2-vz7fm 10 ай бұрын
어디서 들은 내용으로 땅에서 문화재 나오면 절대 신고 안한다고.. 나라에서 그냥 강탈해가서 암시장에 파는 게 훨씬 이득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렇게 암시장 통해서 반출된 한국 문화재를 나라에서 웃돈주고 다시 들여오는 멍청한 악순환... 그냥 그 돈을 소유주한테 주지..
@FistDance
@FistDance 10 ай бұрын
저 같아도 그냥 팔거나 숨길 듯요 건물 짓다가도 유물이라도 나오면 내 땅인데도 건물도 못 짓고 땅도 못 팔고 그냥 묶인다고 들었습니다
@annabelle7123
@annabelle7123 10 ай бұрын
법이 좀 꼬여있네요 땅 주인이나 개발주에게 좀 돌려줘야하는 거 아닌지…
@chwan-k
@chwan-k 10 ай бұрын
지금 영상의 인물이 문화재를 발굴해서 돈버는건 안된다고 보상은 최소한주는게 당연한거라잖아요. 참 기가막힌 야그죠. 저러미 누가 발굴하나요. 발굴비용이 더 드는데 걍 묻어버리지.
@uroco3
@uroco3 10 ай бұрын
이번에 말씀하시는 것과 작년 강원도 평창 유물 보상 사례를 대조해 보면 탁상행정에 아직도 멀었네요. 내가 챙기던지 묻어버리는게 생계에 도움이 되겠어요.
@user-sf9kv5fv7b
@user-sf9kv5fv7b 10 ай бұрын
조사는 하되 국민에게 발굴관련 금전적 책임을 떠넘기지 말아야된다...
@jameshuku5790
@jameshuku5790 8 ай бұрын
춘천 시민들이 시장하나는 정말 잘 뽑았어. 세계 문화유산급으로 가만 놔두어도 관광수입 벌 수있던 고고학 유물이 쏫아져 나오던 유적을 급히 콩크리트로 덥어버리도 레고랜드 만들고, 광광객 안오니까 지급보증안한다고 해서 나랏돈 5조들여 틀어 막고.
@FifififDiddififig
@FifififDiddififig 5 ай бұрын
이래서 투표를 잘해야함
@ssosolife
@ssosolife 3 ай бұрын
레고랜드는 진짜 안타까운거 같아요 문화재가 엄청 많이 나왔을텐데 ㅠㅠ
@ililililililil3144
@ililililililil3144 10 ай бұрын
유물을 발견을 하는 사람에게 제대로 된 보상을 이루어 지도록 하여주세요.. 일반 사람들이 유물을 발견을 하고도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를 못합니다.
@good5402
@good5402 3 ай бұрын
고고학에 관심이 많습니다,깊은말씀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ucky_and_Lily_Island
@Lucky_and_Lily_Island 8 ай бұрын
교수님 차분히 설명해주시는 내용 잘 들었습니다 😊 비파형동검을 볼때 장식품인 검인줄알았는데...아니였군요
@user-bg8bi1kg6x
@user-bg8bi1kg6x 3 ай бұрын
뭐.. 예전이나 지금이나.... 레고랜드 사건 보면 우리나라 고고학은 한숨만 나오죠..
@Eclair_Chocolat.
@Eclair_Chocolat. 10 ай бұрын
솔직히 배상을 안해주고 뺏어가니 ㄹㅇ 나오면 시멘트로 바른다는 얘기가 괜히 나온게 아님
@jh20ee50
@jh20ee50 9 ай бұрын
참 재미있게 유익하게 봤습니다
@wnfdjq
@wnfdjq 3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갑니다.
@user-wl6mo9ho7q
@user-wl6mo9ho7q 10 ай бұрын
귀한 일을 하시는 교 수님 감사합니다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10 ай бұрын
과거에 그 법때문에 중소건설사 개인건설시에는 유물 비숫한거 나오면 빨리 공구리쳐서 묻어버리는게 최고였죠. 그건 잘된법이 아니고 잘못된법이였어요. 유물나오면 건축주나 소형건설사난 바로 망하는거임. 유물나오면 공사중지되고 발굴비용까지 부담해야하는데 공기지연만되도 망하는데 발굴비용도 부담해야하고 이건 사실 좋게 포장된 악법이였음. 사학자나 학자들이나 좋아할만한 법이였죠
@user-bj6wq7hw2o
@user-bj6wq7hw2o 9 ай бұрын
지금도 똑같다더라구요.. 안따까움.. 법만드는사람들이 역사성이.중요한이유..
@user-zk7ro8vh5l
@user-zk7ro8vh5l 10 ай бұрын
설명이 좋네요😊
@user-rd7id2xk2l
@user-rd7id2xk2l 10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듣네요, 뫼비우스 아저씨. 한 사람의 말이 나비효과로 크게 번지는 것을... 어렸을 적 연천에 살 때 들었던 이야기도 오랜만이네요. 대단한 나라이긴 하죠!!!
@yulangmulang
@yulangmulang 3 ай бұрын
와....참 어릴 때, 한때나마 고고학자가 되고 싶었는데, 정말 역사란 것은 접하면 접할수록 매력적이고 신비로운 측면이 있다. 레고랜드 지금이라도 밀어버리고 복원해이지 않겠나?
@cottagelife_withdogs
@cottagelife_withdogs 10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James-nn8mb
@James-nn8mb 14 күн бұрын
흥미진진하게 잘 들었습니다.
@user-ok4df1vx9g
@user-ok4df1vx9g 6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ming1000
@ming1000 10 ай бұрын
고고학도 정치나 여타 문제가 같이 들어가버리니 참...슬프네요 국외 반출된 유물들 언젠가는 찾아올수 있기를 바랍니다
@jaehyeonbak4581
@jaehyeonbak4581 10 ай бұрын
오우... 교수님 강의 잘들었습니다. 이런 좋은 강의를 유튜브를 통해서 듣게 되다니 너무 행복하네요~ 고맙습니다!!
@user-ug9sn3lg4b
@user-ug9sn3lg4b 10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msls2992
@msls2992 6 ай бұрын
역사는 참 흥미로워요
@user-kd2rj3ns4q
@user-kd2rj3ns4q 10 ай бұрын
소로리 볍씨도 해주시면 좋았을거 같았는데요.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king-je6ul
@king-je6ul 10 ай бұрын
우리역사는 북으로는 중공에 남으로는 일본이 우리나라 역사를 자기것으로 만들려는시도에 국내 역사학자들이 동조하는듯해서 안타까윘는데 콕짚어주는 언급에 호감이 갑니다❤❤❤
@jykang209
@jykang209 10 ай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우리나라가 유뮬이 많은 이유를 이제야 알게되었어요 ..감사합니다
@sunj1227
@sunj1227 9 ай бұрын
대박!존경합니다.
@user-zx9bz4my4t
@user-zx9bz4my4t 8 ай бұрын
최소한의 보상은 이해 하겠는데 농사를 짓는 분들이나 공사 진행 중이었던 건설사나 소유주분들에게 피해보상에 대한 금액만 해결해줘도 좋을거 같습니다. 누군 선의로 신고했더니 파산하고, 돈도 못 벌고, 빚만 생기는데 선의가 불행이 되어버리니 관련 종사자는 두려울거같습니다. 유물 발견했다가 1년 내내 피해보는 영상 봤는데 피해보상만이라도 제대로 해주었으면 티비에 나올일도 없죠. 없는 사람들은 그 몇개월, 1년 일 못하는 걸로 빚이 생기고 인생이 망가지는 상황이 슬프네요. 그저 그런 보상이 아니라 유적 발견 시 발생되는 피해금액을 정부 부담으로하고 신고자를 도와주는 식으로 바뀌었으면 합니다. 어떤 곳은 예산 허투로 쓰는 경우 많이 들었는데 참 슬프네요. 예산 분배만 잘 되어도 더 좋아질텐데
@user-db1ho5wy3j
@user-db1ho5wy3j 10 ай бұрын
개발하는데 유적지가 나오면 그에따른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져야지. 보상이 적거나 없는게 당연시 하는게 더 우습다
@user-so4sc8ge8x
@user-so4sc8ge8x 10 күн бұрын
비파형동검 넘 멋지네요. 어디가면 볼 수 있나요?
@luckyguy5198
@luckyguy5198 9 ай бұрын
90년대 중반에 가 봤기에 분명히 유물이 있는 곳이라 알고 있었는데 그 곳에 레고랜드라니. . . 정말 이해하기 힘든 상황. 아무튼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user-gu4kv7zl3o
@user-gu4kv7zl3o 10 ай бұрын
우리 시골 마을에도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고인돌이 장소별로 각각 2개 씩 해서 4개가 있는데, 동네 사람들은 그 돌들이 고인돌인 줄 거의 모르고 있더라구요. 헌데 제가 생각하는 또 다른 고인돌같은 바위가 있어서 가봤는데 한 군데는 공사로 사라져버렸고, 하나는 남아있는데, 커다란 바위 밑에 개여져 있는 작은 돌들이 있어서 아무래도 고인돌이 맞는 것 같은 생각을... 걍 그러고 왔는데... 나만의 역사모험을 해서 잠시나마 행복했더랬죠. ㅎㅎ
@user-gf8bd8wy8y
@user-gf8bd8wy8y 10 ай бұрын
어떤 연구에 의하면 신석기 청동기 철기시대는 동시에 존재 했다고 지금도 아마존이나 아프리카 밀림 속에는 석기대로 사는 사람들이 있잖아요
@csd2577
@csd2577 10 ай бұрын
뭐스페인이 마야 문명을 정복할 당시에 총기를 쓰던 스페인과 마야문명은 돌,몽둥이같은걸로 대응했다고 하니 화약과 신석기도 공존했다고 볼수있죠
@JH-ek5bn
@JH-ek5bn 10 ай бұрын
당연히 지역따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거 아닌가요?
@hwj5819
@hwj5819 10 ай бұрын
당연히 연속적인 변화에 중간단계가 끼죠 너무 당연한건뎁쇼..? 어제까지 신석기고 오늘부터 청동기일리는 없겠죠...???
@sinabro5507
@sinabro5507 7 ай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전곡 선사 박물관 회원 가입 하게 되었습니다 !! 아들 며느리 데리고 꼭 한번 방문 하고싶습니다 !! 고고학 세계사에 남을 발견 안내 참으로 고맙습니다 !!😻💘😻
@laec4025
@laec4025 10 ай бұрын
따끈따끈
@user-ge6pq3of9z
@user-ge6pq3of9z 10 ай бұрын
잔줄무늬 거울의 섬세한 기술이 대단하네요
@user-lp5rf8ou4l
@user-lp5rf8ou4l 10 ай бұрын
가덕도 고인돌 유골이 서양인, 독일인에 가까운 유전자이야기도 좀 해주세요
@user-zg4cs4mb5r
@user-zg4cs4mb5r 10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너무 좋아요 ~ 근데 왠만하면 ‘저희’ 란 표현보다 ’우리‘ 로 해주세요
@skeldks1
@skeldks1 9 ай бұрын
이렇게 영상으로보면 집증해서 보는데 왜 수업으로 들으면 졸려서 잠들까...
@poptop5927
@poptop5927 10 ай бұрын
보다 채널이 점점 순한 맛 EBS가 되가네요😊
@syl6058
@syl6058 10 ай бұрын
레고랜드는 정말 레전드...
@kaoo111
@kaoo111 10 ай бұрын
개재밌다ㅋㅋ
@user-bj6wq7hw2o
@user-bj6wq7hw2o 9 ай бұрын
비파형동검은 지금봐도 예술인거같아요..
@user-wz1fl2xo2z
@user-wz1fl2xo2z 10 ай бұрын
유물 발견했을 때 포상금?에서 예전에 들은 말이 떠오르는데 집 짓다가 유물 발견되면 법적으로 자기돈 들여서 발굴시키면서 돈은 쥐꼬리만큼줘서 지옥이라고...
@jongminkim2023
@jongminkim2023 10 ай бұрын
유물을 귀하게 여기신다면 문화재보호법 개정에도 힘써주십시오. 현재 법안 때문에 문화재가 나와도 묻어버리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ryujay
@ryujay 10 ай бұрын
7:00 이건 맞는말 같아요.....
@hippomoney
@hippomoney 10 ай бұрын
리얼 찐 교수님인 게 집중해서 듣다보니 잠 솔솔 옴.
@user-ix6cj8ne4s
@user-ix6cj8ne4s 10 ай бұрын
비파형동검은 비파라는 이름때문에 중국꺼라는 인식이 생기는데 바꿀생각을 역사학자분들은 생각하는지 궁금하네요(비파가 중앙아시아에서 중국통해 한국일본으로 온건 알고있지만) 대중은 보통 비파를 중국꺼라고 인식하니 한국적으로 바꾸는게 더 낫지 않을까요? 훗날에 비파를 중국꺼라고 우기면서 비파형동검도 중국꺼라고 우길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적은 있는지(이건 너무 멀리간 망상일수 있지만 태권도나 김치를 중국꺼라고 우기는 시대에 살고 있어서 이런생각까지 해보네요)
@JH-ek5bn
@JH-ek5bn 10 ай бұрын
김치도 자기꺼라고 우기는데 명칭 바꿔도 지들꺼로 하고 싶음 그냥 우길거임ㅋㅋ
@user-ki2ou6zk3h
@user-ki2ou6zk3h 10 ай бұрын
울 조상님들 넘나 존경스럽습니다
@user-pk6hr1bo9r
@user-pk6hr1bo9r 4 ай бұрын
아.. 그렇군요..
@dlehd0920
@dlehd0920 10 ай бұрын
문화재 발견하면 그에 합당한 조사도없고 건물주 혹은 땅주인에게 모든걸 전가시키니 그냥 묻어버리는거죠
@ggap777
@ggap777 10 ай бұрын
자기땅에서 자기가 찾아낸 유물포상금은 많이줘야하는거 아닌가? 지금 법은, 자기땅에 자기가 건물 올리려고 땅파다가 문화재 나오면 공사 올스탑되고(1차 손실), 자기 돈으로 발굴까지 해야(2차 손실) 하는걸로 아는데, 유물보상금을 올려서는 안된다..?
@karus4664
@karus4664 10 ай бұрын
보상 안해줌?? 세상에... 유물신고 왜함? 보상도 안해줘, 공사지연으로 인한 피해보상도 안해줘, 발굴비용 소유주가 내야돼, 유물을 주는것도 아니야. 왜함? ㅋㅋ 신고하는 놈이 진짜 대단한놈이지 ㅋㅋ
@karus4664
@karus4664 10 ай бұрын
아! 적다가 생각났음 ㅋㅋ 레고랜드 그래서 오픈 지연되고 오픈해도 토지 다 사용 못하고 짤라서 오픈했잖슴? 근데 보상 몇천 받았겠넼ㅋㅋ 불쌍하다.. ㅠ
@Vvs5hb62
@Vvs5hb62 28 күн бұрын
소재파악을 먼저하는게 중요하다는 말씀 기억에 남습니다
@dok7006
@dok7006 10 ай бұрын
문화 유산 소중하죠 근데 중요한것 치고는 공사현장에서 나오면 강도짓 할생각 뺏을 생각 밖에 없네요 ㅋㅋㅋ
@user-ut7oy1cz3n
@user-ut7oy1cz3n 10 ай бұрын
발굴하면 그저 환수만하고 보상을안하려고하니..숨길수밖에 다른나라들은 유물발견하면국가가 고가에 매입도해주던데..우리나라는 그저 뺐어만갈려하니..이젠좀 살만한 나라아닌가? 유물보상법같은것도 좀 제대로 해서 귀중한유물들 출토된거 뒤집엎는일이 사라졌음 좋겠네!
@HyggeCouple
@HyggeCouple 10 ай бұрын
재밌게 봤습니다. 저는 고조선 혹은 그 이전의 한반도 국가의 영토가 우리가 배운 것과 다르게 엄청 거대했다는 이론/주장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이에 대한 교수님의 의견이나 시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
@user-bosndocmx
@user-bosndocmx 9 ай бұрын
어처구니없다는말이 딱 맞긴합니다~
@user-fk3od8vz6y
@user-fk3od8vz6y 9 ай бұрын
환단고기 믿는사람이 있긴 하구나.
@HyggeCouple
@HyggeCouple 9 ай бұрын
@@user-fk3od8vz6y 믿는다고 말하기에는 환단고기 자체를 공부해 본 적이 없습니다. 기회가 있으면 이런 저런 관련 영상들이나 자료들을 관심있게 보는 정도입니다.
@user-ph5dr3po5n
@user-ph5dr3po5n 9 ай бұрын
고고학자라는 사람이 우리 선조가 이룩했던 일류 최초문명인 요하문명 홍산문화는 쏙 빼놓고 얘기하는구만
@user-bosndocmx
@user-bosndocmx 9 ай бұрын
@@user-ph5dr3po5n 거긴 아직 연구중이라 확실한거만 이야기하는듯 ㅇㅇ 분란의 소재가 될건 다 빼신듯함
@user-cn3vb9ou6z
@user-cn3vb9ou6z 2 ай бұрын
보상금 수준이 그러면 누가 찾아도 쉽게 찾았다고 할까요 보상금 수준이 올라가야 발견이늘어나죠
@eggjjimjjim
@eggjjimjjim 9 ай бұрын
저도 아는분중에 역사교육과를 나온분이 계셔서 그저 일반인일 뿐이기는 하여도 서로 이야기를 나누면서 많은 걸 배웠습니다. 역사를 중히 여기는것은 필요하지만 결국 모든 역사와 문명은 결국 같은 사람이 이루어낸일들이라 결국 알면 알수록 지금과 다를바 없는 사람의 이야기일 뿐이라고요. 그래서 최대한 감정보단 그때 일어난일을 정확하게 밝혀내면서 교훈이나 반면교사가 될것만 추려내면 된다고 저도 배운것같습니다. 그래서 학계사람들과 일반인의 괴리가 많이 크다고 그이야기도 자주 들었던것같아요.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방향으로 잘 풀어져나가면 좋겠네요.
@user-wh5gj7jt5z
@user-wh5gj7jt5z 10 ай бұрын
4:54 이따구로 되어 있으니까 운석이고 유물이고 발견하면 절대 나라에 제보하면 안된다고 하지 사람들이 ㅋㅋㅋㅋㅋ
@hohoho6614
@hohoho6614 9 ай бұрын
강원도만 생각하면 화병이 날 거 같다는 레고랜드 진짜 ㅉ팔린줄 그들이 알기나 할지 일본돈이든 중국돈이든 미쿡 돈이든 받고 나라를 팔아먹는 짓을 하는 인간들 다 지옥가서 몇십만년 고통을 받길
@seungbookim3831
@seungbookim3831 9 ай бұрын
우리가 우리 손으로 역사를 망치고 부정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요즘, 이 영상이 더욱 와닿네요
@user-qscvfe
@user-qscvfe 8 ай бұрын
이런 역사 교수님도 계셨군요.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국립중앙박물관의 거란어 거울을 해독했습니다
8:25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HOT] U.S. Forces Korea, which completely overturned the archaeological theory?, 신비한TV 서프라이즈 221023
11:26
MBC 미스터리 : 심야괴담회 X 서프라이즈
Рет қаралды 26 М.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정원 '안압지' 발굴과정 (1976년)
28:42
ГДЕ ЖЕ ЭЛИ???🐾🐾🐾
0:35
Chapitosiki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ЧЕЛОВЕК В ТОННЕЛЕ #shorts
0:27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 СЭР ДА СЭР
0:10
Ка12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