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회ㅣ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

  Рет қаралды 23,099

이재현[시나브로]

이재현[시나브로]

Күн бұрын

✨ 기술교육의 새로운 경험이 우리의 일상이 됩니다. ✨
전기/소방분야 기술강의를 제공하는 『다산에듀』입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 or 네이버 카페로 오시면 더 많은 강의와 자료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
다산에듀와 함께 합격하세요!🎉
· 다산에듀 홈페이지 : e-dasan.net/
·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카페 : cafe.naver.com/dasanpass
· 다산에듀 평생교육원 : www.lifelongedu-dasan.net/
· 인스타그램 : / dasanedu.official
· 카카오채널 : pf.kakao.com/_SSptxb
[타임라인]
인트로 00:00
문제1번 00:08
문제2번 09:55
문제3번 15:38
문제4번 20:14
문제5번 22:57
문제6번 27:08
문제7번 30:07
문제8번 31:27
문제9번 1:02:29
문제10번 1:08:02
문제11번 1:20:27
문제12번 1:21:51
문제13번 1:31:32
문제14번 1:42:47
문제15번 1:47:15
문제16번 1:47:44
문제17번 1:51:07
문제18번 1:54:52

Пікірлер: 87
@dasan_lee
@dasan_lee 4 ай бұрын
전기기사 실기 종합서 구매링크 ▶ PC 구매링크 www.e-dasan.net/shop-list.php?cat=13&cate=5 ▶ 모바일 구매링크 www.e-dasan.net/m/item_list.php?mode=search&cate=2&cat=13&searchtxt=%EC%8B%A4%EA%B8%B0+%EA%B8%B0%EC%B6%9C
@user-ml1si9vt5q
@user-ml1si9vt5q 3 ай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user-iv5kc9oh8e
@user-iv5kc9oh8e 2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qq1gh6lp3r
@user-qq1gh6lp3r 3 ай бұрын
늘 또렷한 발음과 명쾌한 해설에 감탄할 뿐입니다.평생을 업어드리고 싶은 마음입니다.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더욱더 좋은 강의를 할 수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jayhum1222
@jayhum1222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보면서 엄청난 도움이되고있습니다.몇가지만 질문드리고 싶어서 남깁니다 8번문제에서 마지막에 고장전력을 구할때 3I^2R의 공식을 사용하시는데 루트3VI에서 바꾸신이유가뭔가요? 이미 전압과 전류를 구해놔서 상관없는줄알았는데 이유가 있는건가요? 당연히 계산해봤는데 안나오더라구요 10번문제에서 종합역률을 구할떄 유효전력에 tan을 곱해 무효전력을 구하신후 종합역률을 계산하시는데 이거도 꼭 이방법으로만 해야되는건가요? 유효전력을 cos나눠서 각각의 역률에 맞는 피상전력을 구한후 피상전력/유효전력 했더니 다른수치가 나오더라구요 계산기식이길어지면 실수할까봐 거의 이런식으로했는데 적용되는 문제가 다른건가요?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3상피상전력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3*상전압*상전류 2. 3*상전류제곱*임피던스 3. 루트3*선간전압*선전류 여기서, 상전압, 상전류는 임피던스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뜻합니다. 해당문제에서는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각 지점간에서의 고장전력을 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장전류를 구한 후 위의 식 중 "2"의 식을 적용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각 지점간의 전압, 전류를 알면 "1번"식 적용이 가능 할 것입니다. 질문자님 말씀은 "3"번이 왜 안되는가? 입니다. 고장발생시 선간전압과 선전류를 알 수 있다면 질문자님의 식 적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user-su9fc3ov2o
@user-su9fc3ov2o 2 ай бұрын
직접 계산해보니 루트3곱하면 안나오고 3VI계산하면 3I^2Z하고 똑같이 나오네요~~ V/Z=I 계산했으니까요
@user-fm8mq5rk8k
@user-fm8mq5rk8k 2 ай бұрын
이 시험을 작년 1회차 고사장에서 실제 맞닫드렸을떄, 끝나고 고사장 나올때, 그날 차끌고 지방 내려가면서 느꼈던 감정이 아직도 생생하네요.. 가족들말로는 그날 아무말도 안했다고... 최근 수년중에 절망의 감정이 가장 또렷이 남아 있는 날이었습니다.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언제나 시험은 쉽지 않은 듯 합니다. 지금은 잘 극복하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화이팅~^^
@sgyt1051
@sgyt1051 3 ай бұрын
6번 b상 120도 하고 c상 -120도 해도 되나요? 각도형식으로 답해도 되는지도 궁금해요 42에 각도 몇도 이렇게 14번 3번항 루트3x6600x5.47=62.53KVA도 괜찮나요? 2항에서 1차전류를 구하고 3항에서 그걸 가지고 풀으라는의도인가해서요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질문1. 상순을 정해주지 않았으므로 질문자님의 의견이 틀리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순이 1,2,3, 또는 a, b, c 의 순으로 되므로 순서에 맞게 0, -120, 120으로 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질문2. 42
@sgyt1051
@sgyt1051 3 ай бұрын
@@dasan_lee 항상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
@user-kg8pq1kk9t
@user-kg8pq1kk9t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원장님 덕분에 항상 즐겁게 공부하고있습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댓글 달게되었는데요.. 다산 기출문제집에 18년 1회 6번 문제하고 1차 전류 구하는 식이 다른데.. 3상 하고 단상 차이때문에 그런건가요??ㅜㅜ 도와주세요ㅜㅜ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3상전력 : 루트3*선간전압*선전류 단상전력 : 선간전압*선전류 다산에듀를 이용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유튜브에서 질의시 관련된 영상에 댓글 부탁드립니다. 기타 질의사항이 있으실 경우 다산에듀 홈페이지 또는 다산에듀 공식 네이버 카페에서 질의이용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www.e-dasan.net/ cafe.naver.com/dasanpass
@nuegnodx792
@nuegnodx79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8번 문제에서 %Z를 Z로 변환하는 식에서 V의 제곱은 154k의 제곱이니 154^2 * 10^6이잖아요? 그래서 분모의 P인 100*(10^6)에서 10^3을 줬다고 쳐도 분자에는 10^3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용? 결론적으로 Z = (%Z x 10 x 154^2) / 100 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몰라서 물어봅니당ㅠㅠ
@dasan_lee
@dasan_lee Ай бұрын
아래의 링크식에서 Pn의 단위는 kVA 단위로 100MVA는 100*10^3 kVA 로 할 수 있습니다. kzfaq.info/get/bejne/fr6Pl5pjls2baas.html %임피던스관련 아래의 링크 유도과정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kzfaq.info/get/bejne/eM6Sh8WgrNuRZoU.html
@user-gm5jh8yx2n
@user-gm5jh8yx2n 2 ай бұрын
여쭤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10번 문제에서 종합역률 구할때 그냥 피상분 구해서 더한값으로 역률 구하면 안되나요?? 예를 들면 7000/0.8 + 4000/0.6 + 9000 이걸 피상분 분모로요 ! 역률이 각기 달라서 못쓰는것잏까요??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역률이 다를 경우 합성피상전력의 경우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분리 연산하셔야 합니다.
@user-gm5jh8yx2n
@user-gm5jh8yx2n 2 ай бұрын
@@dasan_lee 감사합니다!
@user-pz1fl1ld6s
@user-pz1fl1ld6s 21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질문드립니다. 2번 문제의 경우, 답안을 작성할 때 회로도를 바꿔 그린 후 11[A], -2[A], -9[A] 답만 작성해도 정답인가요? 아니면 풀이과정 식(600/100 + 1,000/200 = 11[A])이 꼭 들어가야 하나요?
@dasan_lee
@dasan_lee 20 күн бұрын
회로도에서 충분히 설명이 되고 있지만, 채점자 결과가 공개가 되지 않으므로 가급적 풀이과정 작성을 권장합니다.
@user-ci1be9mg9e
@user-ci1be9mg9e 3 ай бұрын
27:56 6번문제에서 중성선에흐르는 전류를 구하는 공식이 각 상의 전류를 더한거에 3분의1을 곱하는 경우와 지금처럼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기가 조금 헷갈리는데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중성선 전류 In = Ia+Ib+Ic 영상분전류 I0 = (Ia+Ib+Ic)/3 입니다.
@user-ci1be9mg9e
@user-ci1be9mg9e 3 ай бұрын
@@dasan_lee 감사합니다 원장님!! 혹시 중성선 전류와 영상분 전류의 차이점에 대해 간단히라도 알수있을까요..??!
@faker3581
@faker3581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8번문제에서 왜 와이델타변환을 사용했나요 ㅠㅠ 콜라우시 브릿지를 사용하면 안되는건가요? 딴 문제도 찾아봤는데 등가임피던스 활용할때 전부 콜라우시 브릿지를 활용한 변환을 사용해서요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1. 3권선변압기에서는 콜라우시 브릿지 법이 사용됩니다. 2. 해당 문제의 경우 송전선로의 파이형 결선입니다. 이 문제는 델타-와이로 등가변환 하셔야 합니다.
@user-rw7hp9bg1r
@user-rw7hp9bg1r 3 ай бұрын
이재현 원장님 감사합니다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swim8094
@swim8094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14번 문제의 (3) 1차측 입력을 구하시오. 에서 1차측 입력을 P_1 = root(3) * V_1 * I_1로 풀이를 적어도 문제가 없을지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네 가능합니다.
@swim8094
@swim8094 3 ай бұрын
@@dasan_lee 감사합니다.
@qwerty9420
@qwerty9420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원장님 2(2)번 답안작성할 때 I2=400/100 - 600/100 = -2A 라고 작성해도 정답처리 될까요?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네 가능합니다
@user-pq8jl4ce8t
@user-pq8jl4ce8t 2 ай бұрын
8번 문제 질문이 있습니다. 문제의 본질과 관계 없겠지만.. V3 단락점을 0[V]로 두고 V1과 V2 구하는 과정에서 전원측 %임피던스도 옴으로 변환하여 전원측과 V3 사이 전위를 계산해보니 양쪽 다 154k/root3에 가까운 값이 나오더라구요 이것을 Y결선의 대지전압을 측정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ㅎㅎ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단락과 지락은 다른 것입니다. 같은 맥락, 현상이라고 판단할 수 없습니다.
@rmfosem34
@rmfosem34 3 ай бұрын
8번문제.. 가져가야겠죠.. ?😢 원장님 실기 최신기출부터 보는걸 추천하십니까 그리고 감리도 한번나온것도 가져가야할지.. ㅜ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8번 문제의 경우 처음 보면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하지만 이해를 하신다면 풀이과정이 길게 작성해야할 뿐이지 그렇게 어려운 내용은 아닙니다. 이해 위주의 학습을 권장합니다. 감리의 경우 내용이 많습니다. 모두 암기하기 어려우니 기존에 출제되었던 내용만은 꼭 암기하시기를 권장합니다.
@rmfosem34
@rmfosem34 3 ай бұрын
@@dasan_lee 감사합니다 원장님
@user-qo1dr6gs3t
@user-qo1dr6gs3t 2 ай бұрын
내일 시험 파이팅!!
@dasan_lee
@dasan_lee Ай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
@user-qc9ys9dv1r
@user-qc9ys9dv1r Ай бұрын
33:47 이부분 델타결선을 스타 결선으로 바꿔야만 하는 이유가 있나요? % 임피던스법으로 계산하려면 스타 결선으로 바꿔줘야하기때문인가요?
@dasan_lee
@dasan_lee 29 күн бұрын
고장점에서의 합성 %임피던스를 구하기 위하여 와이 결선으로 변환한 것입니다. 파이형 회로에서 어드미턴스를 이용한 풀이 방법도 있습니다. 편하신 방법으로 풀이 가능합니다.
@user-qc9ys9dv1r
@user-qc9ys9dv1r 29 күн бұрын
@@dasan_lee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또한 8번 문제에서 풀이과정이 만만치않게 길어지게되던데 시험에서 작성할때 그만큼의 공간을 주나요? 혹은 문제에서 물어보는 답 이외의 유도과정과 식은 제외하고 (이를테면 델타결선에서 V1-V3이 어떻게 15849.49가 나왔는지) 해당 공식만 적으면 되는건가요? 혼자서 독학하는중인데 도움이 정말 많이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dasan_lee
@dasan_lee 28 күн бұрын
해당문제의 경우 풀이과정이 상당히 길다고 생각됩니다. 그러한 사항을 출제자도 고려하여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user-ky5yh1me4z
@user-ky5yh1me4z 3 ай бұрын
선생님더분에 공부 잘하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18번 문제 풀이시 덽타-와이 변환하고 Y결선 회로를 병렬로 해석하셨는데 이게 왜 가능한지 이해가 안됩니다. 그리고 전류와 전압값을 구할 때 위상차는 반영이 왜 안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8번문항에 대한 질의로 판단됩니다. 내용1. 회로에서 "3"번측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고장전류가 1번, 2번에서 3번으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3번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1번과 2번측은 병렬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내용2.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에 의하여 저항과 리액턴스분에 대한 구분되어 주어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체 임피던스로 계산할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선로의 저항은 리액턴스에 비하여 무시할 정도로 작습니다.
@user-ky5yh1me4z
@user-ky5yh1me4z 3 ай бұрын
네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dasan_lee
@user-pi3dc8vy5n
@user-pi3dc8vy5n 3 ай бұрын
원장님 교재에서 17번 문제의 정답을 보면 "이론적으로 직렬리액터의 용량은 콘덴서 용량의 11[%]로 산정하지만, 주파수 변동을 고려하여 13[%]의 값을 사용한다." 라고 적혀있는데 저대로 정답을 적어야 하나요?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실기문제의 서술형 답안에서는 최대한 아시는 만큼 자세히 작성하시기를 권장합니다.
@user-pi3dc8vy5n
@user-pi3dc8vy5n 3 ай бұрын
@@dasan_lee 답변 감사합니다 원장님
@user-ul7jq2eq1f
@user-ul7jq2eq1f 3 ай бұрын
8번 개열받네 괴롭히려고 낸 문제인가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
@user-oo2ce1qp2x
@user-oo2ce1qp2x 3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좋은 해설 감사합니다 8번 문제 해설지 문제풀이에 p12,p23,p13값이 353.46,727.69,559.06[MVA]라고 나와있습니다 전류의 값들은 같구요 혹시 해설지가 틀린걸까요?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어떤 해설지를 말씀하시는지 알 수 없습니다. 영상의 풀이과정 및 결과값에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간혹 풀이과정상에서 오차에 의하여 결과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나 질문자님께서 작성하신 결과값은 오차의 수준이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user-oo2ce1qp2x
@user-oo2ce1qp2x 3 ай бұрын
@@dasan_lee 에듀윌 2024, 30개년 입니다
@user-vo3nz1kl9g
@user-vo3nz1kl9g 2 ай бұрын
4번에 문제의 단락전류와 풀이의 정격차단전류는 같은 건가요?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차단기의 정격차단전류는 단락전류보다 커야지 단락전류가 흘렀을 때 차단 가능합니다. 계산상에서 다른 조건이 없다면 단락전류와 차단기 정격차단전류는 동일하다고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SP-kg3gr
@SP-kg3gr 2 ай бұрын
8번은 끝까지 들어보면 사실 별거없는 %Z와 회로이론의 문제로 기사 필기합격생이면 누구나 풀수있어보이지만, 원장님 강의 끝나자마자 스스로 풀어보려해도 금방 막히네요.. 분명 풀이를 듣고, 이해까지 하고서 시도하는 것임에도... V3를 기준 전위로 0V로 취급하셔서 풀이하셨는데, 실제 V3의 값은 구할수는 없는건가요? 주어진 조건에서는 임피던스만 알수있으므로?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전체의 과정을 스스로 순차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각각의 계산도 중요하지만 전체적 흐름을 생각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user-ob5mj2xj9y
@user-ob5mj2xj9y Ай бұрын
2번 문제에서 처음 문제 식을 만들때 왜 전부 전류 방향이 아래방향으로 흐르게 만드신 건가요? a---->b로 6a , b----->c로4a, a---->c로 5a 로 설정을 하시고 문제를 푸시는데 왜 전류 방향이 그렇게 되는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dasan_lee
@dasan_lee Ай бұрын
교류이므로 전류의 방향은 주기적으로 바뀌게 됩니다. 아래에서 위의 방향으로 작성하셔도 됩니다.
@user-bf2lg7ni4i
@user-bf2lg7ni4i 3 ай бұрын
선생님! 8번문제에서 임피던스 구한 값(3.79, 9.25, 2.68)을 델타변환하여 Z12, Z13, Z23을 구한 뒤 고장전류와 고장전력을 구해도 되나요?? 항상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네 가능합니다. 소수점에서 약간의 오차가 있지만 옳은 방법입니다.
@user-bf2lg7ni4i
@user-bf2lg7ni4i 3 ай бұрын
@@dasan_lee 감사합니다!!
@ChangHyunBang
@ChangHyunBang Ай бұрын
8번 문제는 다른 분들의 풀이에서는 답이 틀리기도 하고,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던데, 시나브로 님의 풀이를 2번 따라가 보고, 직접 한번 해보고서야 이해가 되더라는... 이 문제풀이야 말로 진짜 실전에서 사용하는 풀이라는 것을 체감합니다. 근데... 시험으로 출제한 분은 좀 제 정신인가 싶은... ㅠ.ㅠ
@dasan_lee
@dasan_lee Ай бұрын
동일한 내용도 각자 설명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고, 수험생 분들 마다 각자의 성향과 맞는 풀이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잘 준비하셔서 원하시는 바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electrichjh
@electrichjh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6번문제 1a상기준으로 , 2b상이 120도 앞서고 3c가 120도 늦은거아닌가요?ㆍ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상순이 1, 2, 3 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0, -120도, 120도의 순서가 됩니다. 아래의 링크 대칭교류관련 영상을 추천합니다. kzfaq.info/get/bejne/bbNin6em1JfSg40.html
@user-xy6cf1si5k
@user-xy6cf1si5k 2 ай бұрын
14번 (3) 에서 루트3 * 6.6kV * 5.47A *10^-3 =62.53KVA 로 적어도 맞을까요?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user-pr1om8vi4z
@user-pr1om8vi4z 2 ай бұрын
1번 문제 소문제(2) 10분을 초로 왜 바꾼건가요? 그냥 분으로 곱해도 되는거 아닌가요?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1J = 1W*sec 입니다. 따라서 시간의 값에 초 단위 환산 대입하셔야 합니다.
@user-le1vx6gb4q
@user-le1vx6gb4q 2 ай бұрын
8번 같은 문제는 다시는 안나오겠죠, 고장전력이란 말을 처음 접하네요
@dasan_lee
@dasan_lee 2 ай бұрын
고장전력은 단락사고시 단락용량과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잘 준비하셔서 꼭 원하시는 결과 있으시기를 바랍니다. 화이팅~! ^^
@AN-owner
@AN-owner 3 ай бұрын
8번 31:26 9번 1:02:28
@on3dng
@on3dng Ай бұрын
선생님 14번에 2번문제 루트3 안들어가야 하지 않나요? 루트3이 들어가니 2차입력 및 1차입력 값이 다 틀어진거 같은데요. 2차전류가 284.09A / 1차가 9.47라고 알고 있습니다.
@dasan_lee
@dasan_lee Ай бұрын
문제에서 3상 변압기 라고 하였습니다. 3상에서 유효전력은 루트3*선간전압*선전류*역률로 구할 수 있습니다. 강의/해설에서 오류가 없다고 판단이 됩니다. 더욱 자세하게 질의하여 주신다면 해당 부분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tglee2840
@tglee2840 28 күн бұрын
8번 또 나오면 출제자랑 맞짱 뜨러갑니다
@dasan_lee
@dasan_lee 28 күн бұрын
^^ 잘 준비하셔서 꼭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기원합니다.
@tglee2840
@tglee2840 28 күн бұрын
@@dasan_lee 이 강의 듣고 선생님강의 구입하게 되었어요 솔직히 필기때는 처음 전기기사 공부해서 그런지 귀에 잘 안 들어와서 다른분꺼 들었는데 실기 기출해설은 정말 깔끔하시네요 열심히 하겠습니다!
@jhk4634
@jhk4634 3 ай бұрын
8번 문제 기술사 문제인가요?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기능사, 기사, 기술사 문제의 구분이 없다고 판단 됩니다. 동일한 전기와 관련된 내용이며, 출제자가 기사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충분히 출제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기존의 출제 난이도에 비하여 다소 수준이 높다고 얘기할 수는 있습니다.
@user-uw2yw4hc4r
@user-uw2yw4hc4r 3 ай бұрын
최대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부하 Rab에 23옴이 되어야 한다는것이 이해가 안되네요
@dasan_lee
@dasan_lee 3 ай бұрын
최대전력 전달 조건은 내부저항과 외부저항이 같을 때입니다. 내부저항의 경우 테브난 등가회로로 구할수 있으며, 그 값이 Rth = 23옴의 값이 나오게 됩니다. 최대전력 전달조건과 관련하여 아래의 링크 영상을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kzfaq.info/get/bejne/l9yVeq2TteCyeGw.html
2022년 3회ㅣ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
1:14:46
이재현[시나브로]
Рет қаралды 39 М.
2024년도 전기(산업)기사 실기 공부법
13:34
이재현[시나브로]
Рет қаралды 16 М.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He sees meat everywhere 😄🥩
00:11
AngLova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전기기능장실기 PLC 준비하기 | 완전 초보자용
42:28
‘임피던스’ 이제 확실히 알겠어요.
13:23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2023년 2회ㅣ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
1:25:02
이재현[시나브로]
Рет қаралды 14 М.
인덕터를 설명하다
10:19
공학적인 사고방식
Рет қаралды 445 М.
휘스톤 브릿지 회로구성
5:42
(주)카스스케일코리아 - 계측학개론
Рет қаралды 319
2022년 1회ㅣ전기기사 실기 기출문제
1:23:31
이재현[시나브로]
Рет қаралды 7 М.
[날마다 기막힌 새벽 #1573] 마지막의 마지막이라도 하나님께 돌아오면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