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ікірлер
@user-cp1xg4er3h
@user-cp1xg4er3h 2 күн бұрын
50:43 선생님 전등50kva 동력 75kva를 언제 저희가 구햇죠 ㅎㅎ.....? 문제도 답도 저런 숫자가 없어서요ㅠㅠㅠ
@chu-hz2bv
@chu-hz2bv 2 күн бұрын
오늘 전기가사 실기 결과 나왔습니다. 다산에듀 강사분님들 덕분에 시험준비하는데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전기 쌍기사 졸업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jf8rd5tr1m
@user-jf8rd5tr1m 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15번 문제에서 3)번 VCB 차단 용량이 제가 계산해보니 716.33MVA 나오는데.....이상합니다. 다른 문제지에도 716.33MVA가 나오더라고요. 다시 한번 803.47MVA 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user-nv4mo5kr8z
@user-nv4mo5kr8z 2 күн бұрын
감사했습니다. 동영상 하도 보다보니 정들었는데 강사님 덕분에 이번 1회차 84점으로 합격했습니다. 건강하세요~
@user-pf5kb9zn3k
@user-pf5kb9zn3k 2 күн бұрын
이재현 원장님 덕분에 오늘 합격 한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dasan_lee
@dasan_lee 2 күн бұрын
합격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그 동안의 노력의 결실이라 생각 됩니다. 좋은 소식 전해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앞으로 더욱 더 좋은 일들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user-uc9xj3xv9r
@user-uc9xj3xv9r 3 күн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많은 도움 됩니다. 전기현장실무정보 "전기통" 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user-xz7qi7ll3f
@user-xz7qi7ll3f 3 күн бұрын
7번문제 왜 전압강하율이 10퍼센트가 되는건가요??
@user-lb8mp8xi7l
@user-lb8mp8xi7l 8 күн бұрын
교수님 3번 문제 답을 대칭분으로 적어야되나요?? 크기로 적으면 안될까요??
@dasan_lee
@dasan_lee 7 күн бұрын
교류에는 크기와 위상이 있습니다. 답안 작성시 크기와 위상까지 함께 작성하면 논란의 여지가 없습니다. 가급적 논란이 없도록 크기와 위상을 함께 작성하시기를 권장합니다.
@user-jf8rd5tr1m
@user-jf8rd5tr1m 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질문있습니다. 11번 문제에서 5)단락점의 단락전류를 구하시오에서 왜 2차 전압 77kv를 써야 하나요? 1차 또는 3차 전압을 쓰면 안되나요?
@dasan_lee
@dasan_lee 8 күн бұрын
전력 P= 루트3*선간전압*선전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고장점에서의 단락전류는 고장점의 전압을 적용하여야 구할 수 있습니다.
@user-jf8rd5tr1m
@user-jf8rd5tr1m 8 күн бұрын
@@dasan_lee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문제를 여러번 읽어보돠 2차전압에서 고장점이 있다는 것을 못찾았습니다. 어디에 고장점이 2차전압이라고 나와 있나요?
@dasan_lee
@dasan_lee 8 күн бұрын
3권선 변압기에서 1차측 (공급측) 2차측 (부하측) 3차측 (조상설비) 문제에서 제시된 회로에서 고장점은 S가 됩니다. 좌측은 공급측(1차), 아래는 C (조상설비), 우측이 2차측(부하측) 임을 알 수 있습니다.
@user-jf8rd5tr1m
@user-jf8rd5tr1m 8 күн бұрын
@@dasan_lee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비전공이 실기 공부하니 기초적인 내용도 모르고 있었네요. 바로 답변 주셔서 재밌게 공부할 수 있겠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user-rh6bc9ch5p
@user-rh6bc9ch5p 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질문요. 10.번 v=ir 20v라고 하셨는데요. I단위와 R단위는 안해도 되나요
@dasan_lee
@dasan_lee 8 күн бұрын
전류의 mA와 저항의 k옴을 곱하면 V 의 단위가 됩니다.
@user-lg6hb8yf1t
@user-lg6hb8yf1t 9 күн бұрын
기사필기 강의 잘 보았습니다. 지금 실기 준비중 휴즈와 개폐기 능력비교시 휴즈가 무부하시 회로분리=가능, 사고차단 =과부하×, 단락=가능 으로 정답해설 입니다. 휴즈는 회로분리용(운전중)으로는 쓰지않고, 단락 아닌 과부하시(2배전류 120분 동작) 에도 동작 하는데 제가 뭘 잘못 해석하고 있는건지?
@dasan_lee
@dasan_lee 8 күн бұрын
퓨즈의 경우 차단기가 차단실패시 즉, 고장시 회로분리의 역할을 합니다. 무부하시에도 퓨즈를 수동적 제거를 통하여 회로분리가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user-lg6hb8yf1t
@user-lg6hb8yf1t 8 күн бұрын
@@dasan_lee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학생들에게 무부하시 회로분리 가능이라고 정답을 만드는건 매우 위험한 것 같습니다. 무부하가 아니라 무전압이라면 몰라도, 고압휴즈 드라이버로 빼려다 감전된사람도 보았습니다만 .. 문제는 문제일뿐이니 그렇게 이해 하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user-pm6wy7zu5f
@user-pm6wy7zu5f 10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덕분에 강의를 잘 듣고 있습니다. 공부하다가 질문이 있어서 댓글을 남깁니다. ‘3상 전력을 공급한다’라는 것은 각 상의 전압의 크기가 모두 같고 위상이 120도씩 차이가 날때, 즉 3상의 vector합이 0일때 3상 전력을 공급 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 건가요?
@dasan_lee
@dasan_lee 8 күн бұрын
불평형 3상에서도 3상에 전력공급은 가능합니다.
@user-yz4sw3vu6u
@user-yz4sw3vu6u 10 күн бұрын
이론 책 받아서 보고 있는데 2주만에 끝낼 수 있는 양인가요.. 외우거나 이해 하는데 더 걸리지는 않을까요?
@dasan_lee
@dasan_lee 9 күн бұрын
실기이론의 경우 필기이론과 중복되는 내용도 다소 있습니다. 기사실기에서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기본개념정도를 한번 본다라는 정도로 공부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기출문제를 공부하시면서 다시 이론을 찾아서 볼수 있을 만큼 해주시면 도움됩니다.
@shout8086
@shout8086 12 күн бұрын
전위계수가 도대체 무슨내용인지 몰랐는데 원장님 강의를 들으니 쉽게 이해되네요. 이렇게 양질의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시다니 너무 고맙습니다.
@dasan_lee
@dasan_lee 10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잘 준비하셔서 원하시는 바 꼭 이루세요..^^
@smisskarl865
@smisskarl865 12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dasan_lee
@dasan_lee 10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잘 준비하셔서 원하시는 바 꼭 이루세요..^^
@Wagner_Antichrist
@Wagner_Antichrist 13 күн бұрын
05:25 부분에 대해서 질문 드릴게 있는데요. 공용변압기에서 용량[kVA] 구할때 유효전력에서는 단상부하 3상부하 모두 고려했는데 무효전력에서는 3상부하만 고려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cosθ=1이면 sinθ=0 이어서 그런건가요?
@dasan_lee
@dasan_lee 10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예시의 단상부하는 역률이 1이므로 무효전력이 없습니다.
@tomato8441
@tomato8441 14 күн бұрын
15번 문제. 문제에서 상대공기밀도가 1이라고 주어졌는데, 왜 공식을 사용하여 상대공기밀도를 직접 구하는것일까요??
@dasan_lee
@dasan_lee 13 күн бұрын
기온이 25도씨에서 상대공기밀도가 1이라는 것입니다. 현재의 기온은 30도씨이기 때문에 30도씨 기준 상대공기밀도를 구하셔야 합니다.
@ddoniii2611
@ddoniii2611 14 күн бұрын
17번문제 균일대전된 구도체 내부 전계는 1번식으로 알고있는데 ..왜 답이아닌가요?? 전기기사공부할때 책에는 1번식이었는데..무슨차이로 3번이되는지 모르겠습니다ㅜ a점과 전위가 같은것까지는 알겠는데 F=QE에서 E가 1번식이 돼야하는것아닌가요?? 왜 3번이 답인지 해설강의를 봐도 모르겠어요ㅜㅜ
@dasan_lee
@dasan_lee 13 күн бұрын
보기 1번 구체 ; 도체가 아님 보기 3번 구도체 ; 구도체의 내부전위는 구도체 표면의 전위와 같습니다.
@user-ch8qw9fx5s
@user-ch8qw9fx5s 14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실기공부하다가 회로이론 문제가 나와서 다시 개념잡으러 왔습니다
@dasan_lee
@dasan_lee 13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dogam0870
@dogam0870 15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역시 이재현 님!!! 궁금한 걸 여기서 해결!
@dasan_lee
@dasan_lee 13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user-us2yz4qg5w
@user-us2yz4qg5w 15 күн бұрын
질문이 있습니다 교수님 22년도 3회차 17번 문제에서 r값을 9.01로 계산하면 수평 조도 및 수직 조도의 값이 교재와 다릅니다 85.44와 128.17로 답이 나오는데 이것도 정답 처리가 될까요 ?
@user-pz1fl1ld6s
@user-pz1fl1ld6s 16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질문드립니다. 2번 문제의 경우, 답안을 작성할 때 회로도를 바꿔 그린 후 11[A], -2[A], -9[A] 답만 작성해도 정답인가요? 아니면 풀이과정 식(600/100 + 1,000/200 = 11[A])이 꼭 들어가야 하나요?
@dasan_lee
@dasan_lee 15 күн бұрын
회로도에서 충분히 설명이 되고 있지만, 채점자 결과가 공개가 되지 않으므로 가급적 풀이과정 작성을 권장합니다.
@user-dx8gw7ie7l
@user-dx8gw7ie7l 16 күн бұрын
선생님! 다산에듀에 있는 2024대비 전기직공무원 패키지 강의와 동일한건가요??
@dasan_lee
@dasan_lee 15 күн бұрын
네 동일합니다. 유튜브에서 무료로 강의를 시청하실수 있습니다.
@hunzzzz261
@hunzzzz261 16 күн бұрын
16번 실효값이라 안나와있는데 전압 루트2로 안나눠도 되나요??
@dasan_lee
@dasan_lee 15 күн бұрын
문제에서 아무런 언급이 없을 경우 주어진 값은 실효값을 의미합니다. 또한 극형식은 실효값<위상 으로 표현됩니다. 즉, 극형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실효값임을 알 수 있습니다.
@hunzzzz261
@hunzzzz261 1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9급 기기 개념강의 들으면서 정리중인데 너무 설명좋으십니다!
@a5745716
@a5745716 16 күн бұрын
9분에 ar 크로스 벡터 설명하신때, 분자에 x가 아닌 a가 되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맞꼭지각임을 감안하면 x가 되야하는거 아닌가요?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dasan_lee
@dasan_lee 15 күн бұрын
전류벡터 ax ar 벡터를 1ay+2az 라고 해보겠습니다. 전류와 ar을 외적하면 ar X (1ay + 2az) = 1az-2ay 가 됩니다. y축과 z축의 삼각형의 비가 1:2 에서 2:1로 변화함을 알 수 있습니다. 원을 다 적분하면 z축의 성분만 만게 되므로 분자에는 z축의 값 1(a)가 됩니다. 서면으로 설명이라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벡터로 그려보시면 좀 더 이해하시기 쉽습니다. 자계의 세기 벡터는 영상에서의 삼각형이 90도 회전이 되게 되며, 원을 다 적분하면 위쪽 방향성분만 남게 되므로 x가 아닌 a가 분자에 오게 됩니다.
@a5745716
@a5745716 11 күн бұрын
@@dasan_lee 감사합니다.
@kang6393
@kang6393 16 күн бұрын
매우 설명을 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기기사 도전 확정 입니다.
@dasan_lee
@dasan_lee 15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user-hd1us6vu4n
@user-hd1us6vu4n 16 күн бұрын
원장님 결합계수 1일때, M= (N1 / N2) X L2 을 많이쓰잖아요 결합계수가 1 이 아닌 k 라면 어떻게되나요? 그대로 M= (N1 / N2) X L2 인가요 M= k X (N1 / N2) X L2 M= (1/k) X (N1 / N2) X L2 일까요 ㅠㅠ
@dasan_lee
@dasan_lee 15 күн бұрын
유도과정에 의하여 k을 곱해주시면 됩니다. Φ12 = kΦ1 을 대입해보시면 쉽게 유도 하실 수 있습니다.
@user-zz5rg9iw1g
@user-zz5rg9iw1g 18 күн бұрын
이재현 교수님! 감사합니다! 39강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dasan_lee
@dasan_lee 16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user-wb1xs7xn3p
@user-wb1xs7xn3p 19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이재현원장님 제가 21년에 다산에듀 이재현원장님 기출문제강의usb를 구매한것이 있더라구요 이것으로 공부를 하려하는데 23년도에 또 kec가 개정이 됐다고 들어서요 혹시 21년 usb로 공부를 하면 위험할지 괜찮은지 새로강의를 사는것을 추천하시는지 전문가적인입장에서 한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asan_lee
@dasan_lee 16 күн бұрын
현재 소지하신 강의로 공부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tglee2840
@tglee2840 20 күн бұрын
15번에 4번 2차전류는 어디에서 나온값인가요
@dasan_lee
@dasan_lee 16 күн бұрын
계기용변압기 2차전압 110V, 변류기 2차전류는 5A 위 사항은 약속되어 있는 값입니다.
@user-gs7cx3fg6i
@user-gs7cx3fg6i 20 күн бұрын
37:11 F(s)=S3+9S2+20S+k=0인 것으로 봤을때 GH식을 혹 잘 못 옮겨 적으신 것은 아니신가요?
@dasan_lee
@dasan_lee 20 күн бұрын
특성방정식은 F(s)=1+GH(S)=0 입니다. 위의 식을 전개하여 분자=0이 되게 하면 판서의 식과 같이 됩니다. 영상의 내용에는 잘못된 부분이 없다고 판단됩니다.
@user-yz7vm2lf4j
@user-yz7vm2lf4j 21 күн бұрын
와 이재현 최고다 진짜
@dasan_lee
@dasan_lee 20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tglee2840
@tglee2840 21 күн бұрын
18번은 2번까지만 풀라는 문제네요 3번은 걍 틀리기
@dasan_lee
@dasan_lee 20 күн бұрын
잘 준비하셔서 원하시는 바 이루시기를 기원합니다. ^^
@user-pn2yk3qp3y
@user-pn2yk3qp3y 23 күн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복도 듬뿍 많이 많이 받으시길 응원합니다!
@dasan_lee
@dasan_lee 22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잘 준비하셔서 원하시는 바 꼭 이루시기 바랍니다. ^^
@leegolip1278
@leegolip1278 23 күн бұрын
6번에 기준용량을 30으로 잡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dasan_lee
@dasan_lee 23 күн бұрын
기준용량은 어떤 값으로 하여도 그 결과 값은 동일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30kVA, 20kVA 또는 임의의 100kVA로 하여도 가능합니다.
@tglee2840
@tglee2840 23 күн бұрын
8번 또 나오면 출제자랑 맞짱 뜨러갑니다
@dasan_lee
@dasan_lee 23 күн бұрын
^^ 잘 준비하셔서 꼭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기원합니다.
@tglee2840
@tglee2840 23 күн бұрын
@@dasan_lee 이 강의 듣고 선생님강의 구입하게 되었어요 솔직히 필기때는 처음 전기기사 공부해서 그런지 귀에 잘 안 들어와서 다른분꺼 들었는데 실기 기출해설은 정말 깔끔하시네요 열심히 하겠습니다!
@user-bj6jc6pv2f
@user-bj6jc6pv2f 23 күн бұрын
설명이 버벅거려서 잘 이해가 안가네요.
@dasan_lee
@dasan_lee 23 күн бұрын
고견 감사드립니다. 더욱 더 좋은 강의가 되고자 노력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bq1mz1nz8h
@user-bq1mz1nz8h 23 күн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ㅠ
@dasan_lee
@dasan_lee 23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user-qc9ys9dv1r
@user-qc9ys9dv1r 25 күн бұрын
33:47 이부분 델타결선을 스타 결선으로 바꿔야만 하는 이유가 있나요? % 임피던스법으로 계산하려면 스타 결선으로 바꿔줘야하기때문인가요?
@dasan_lee
@dasan_lee 24 күн бұрын
고장점에서의 합성 %임피던스를 구하기 위하여 와이 결선으로 변환한 것입니다. 파이형 회로에서 어드미턴스를 이용한 풀이 방법도 있습니다. 편하신 방법으로 풀이 가능합니다.
@user-qc9ys9dv1r
@user-qc9ys9dv1r 23 күн бұрын
@@dasan_lee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또한 8번 문제에서 풀이과정이 만만치않게 길어지게되던데 시험에서 작성할때 그만큼의 공간을 주나요? 혹은 문제에서 물어보는 답 이외의 유도과정과 식은 제외하고 (이를테면 델타결선에서 V1-V3이 어떻게 15849.49가 나왔는지) 해당 공식만 적으면 되는건가요? 혼자서 독학하는중인데 도움이 정말 많이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dasan_lee
@dasan_lee 23 күн бұрын
해당문제의 경우 풀이과정이 상당히 길다고 생각됩니다. 그러한 사항을 출제자도 고려하여 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user-xy3zm9id9j
@user-xy3zm9id9j 25 күн бұрын
강사님 실기도 이론은 빠르게 한바퀴 돌리는게 낫겠죠? 오늘 필기 합격해서 내일부터 실기 들어가려는데 필기는 속전속결로 빠르게 훑을수 있었는데 실기는 이론강의가 몇강이고 총 몇시간 정도 되나요??
@dasan_lee
@dasan_lee 24 күн бұрын
실기이론 공부를 권장합니다. 실기공부 방법에 대한 영상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kzfaq.info/get/bejne/e6p_lcJ02Znddo0.html
@user-cx1xx8bn9s
@user-cx1xx8bn9s 25 күн бұрын
1번문제 40등기준으로 광원간 광원과 벽간거리 구해야 하지 않는지요~?
@dasan_lee
@dasan_lee 24 күн бұрын
벽과 광원 사이 간격은 최대 몇[m] 이하인가? 라고 묻고 있습니다. 따라서, 0.5H의 값을 묻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austria-hungary7247
@austria-hungary7247 26 күн бұрын
정말 명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user-kg2wg5ce9n
@user-kg2wg5ce9n 27 күн бұрын
10:25 06번
@chivasregal8440
@chivasregal8440 27 күн бұрын
전기기사를 취득한 뒤에 스스로 부족함을 느껴서 각 과목들에 나오는 수식을 외울 게 아니라 그 원리와 이유, 유도과정을 이해하고 싶어서 20년도에 구매했던 책을 기반으로 다시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 시작이 제가 가장 약했던 전기기기 과목이었는데 원장님 강의가 없었으면 유도기에서 포기했을 것 같습니다 항상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dasan_lee
@dasan_lee 27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도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user-nc3kz7hh8m
@user-nc3kz7hh8m 27 күн бұрын
재해이햄 감사합니다.... 진짜 세상 많이좋아졌네요... 집에서 유투브만 틀어도 모르는거 뚝딱 나오고 ㅠㅠ 사랑합니다
@dasan_lee
@dasan_lee 27 күн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