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회 무삭제 확장판] 끝이 보이지 않는 비극 예멘 내전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2

  Рет қаралды 95,405

YTN2

YTN2

3 жыл бұрын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무삭제 확장판'을 TV에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방송시간 : 매일 (재) 오전 10시 / (본)오후 5시
많은 시청부탁드립니다.
과거 중동 교역의 중심이었으나 계속된 내전으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국가가 된 예멘.
예멘은 분단 후 통일을 이뤘지만 극심한 갈등으로 내전이 시작되었다.
예멘 내전이 끝나지 않는 이유와 주변국과 얽힌 국제적 이해관계는 무엇일까.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에서는 예멘 내전에 관해 자세히 알아본다.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YTN2 채널 본방 : 월요일 저녁 7시 10분🔷
🔶YTN2 채널 재방 : 토요일 저녁 7시 10분🔶
📍YTN2 채널 안내📍
Olleh 159번 / SkyLife 90번 / Btv 157번 / U+ 145번 / LG헬로비전 137번 / DLIVE 138번 / Btv케이블 152번 / 현대 HCN 341번
☞ YTN2 채널구독 / @ytn2tv
☞ YTN2 홈페이지 ytn2.ytn.co.kr/
#YTN2#뉴스멘터리전쟁과사람​​​​​ #예멘​​​​ #중동​​​​​​ #알후티#토전사​​#뉴전사​​​​​ #허준​​​​​ #임용한​​​​​ #박한선​​​​​ #강민지

Пікірлер: 139
@user-lr5pg9jn7o
@user-lr5pg9jn7o Жыл бұрын
국가의 화합은 타협이라는 말. 너무 공감합니다.
@glenkim8619
@glenkim8619 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프로그램입니다. 한 30년만 이렇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user-wg1hf7om1c
@user-wg1hf7om1c 3 жыл бұрын
반댈세 ㅎ 좀 하다 쉬어야지 ㅎ 힘들다 ㅎ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3 жыл бұрын
시즌제로 해주셨으면
@user-fi6hm9ws1v
@user-fi6hm9ws1v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욕하는독재나 거품물고 칭송해대는 민주주의나 기본원리는 똑같다 독재는 총칼로 반대하는국민 강제로 굴복시켜서 대통령해먹는다는거고 민주주의는 다수결에 반대하는 50%의 국민을 , 총칼 공권력으로 강제승복시켜서 대통령해먹는다는거 북한에서 주민 세뇌하는거나 , 한국에서 민주주의 세뇌하는거나 완전똑같음 ㅋㅋ
@user-zx7yx9tm9q
@user-zx7yx9tm9q 3 жыл бұрын
토전사보고와라 그게 최고다
@sund8569
@sund8569 3 жыл бұрын
@@user-fi6hm9ws1v 뭔 개소리야;;
@dokdo3318
@dokdo3318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하고도 관련이 깊은 사례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깊은 교훈은 얻고 가네요~
@user-yr9fp8uz8s
@user-yr9fp8uz8s 3 жыл бұрын
사회자가 머리가 좋은것 같네요 이해력이 빠르시네요. 전 너무 복잡해서 첫번째로 이해를 못하고 영상을 다시 돌려봤는데. 역시 사회자는 아무나 하는게 아닌가봅니다~
@user-lb1sk9lk7k
@user-lb1sk9lk7k 3 жыл бұрын
중동 쪽 전쟁은 ㄹㅇ 대가리 터집니다ㅋ
@jiyoungpark101
@jiyoungpark101 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허준님의 말씀이 가슴에 와닿네요 우리역시 식민지...해방이후 내전과 외세의 개입... 분단의 아픔을 겪었지만 지금 현재 그러했던 나라들과는 전혀 다르게 세계10대 선진국이 되었고 평화로운 나라에 많은 것들을 누리며 살 수 있게 된것에 조상님들과 부모님세대께 너무 감사드립니다
@P_mang
@P_mang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 개입도 소극적인게 이런 이유도 큼 잘못 들어갔다가 늪에 빠질 수도 있고 내부문제 외부에서 강제로 해결하면 부작용이 생김
@user-ot8lz5cg2i
@user-ot8lz5cg2i 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프로그램입니다. 오래오래 갔음 좋겠네요!
@Goryeodabang
@Goryeodabang 3 жыл бұрын
박사님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강의. 허준님 강아나님 태기자님도 좋아요! !
@user-it6tm3xt2i
@user-it6tm3xt2i 2 жыл бұрын
답은 안나와도 생각하는 것만도 도움이 되겠죠. 정말 좋은 컨텐츠입니다.
@user-vx3lp7bq9h
@user-vx3lp7bq9h 3 жыл бұрын
예맨내전 정말 복잡하네요 예멘사람들이 하루빨리 전쟁의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빌겠습니다
@PLUTONIUM1228
@PLUTONIUM1228 3 жыл бұрын
허준이형 중간부터 한숨에 질림이 묻어난다 ㅠㅠ 진짜 중동전도 이수준은 아니였음
@jeongminkim4369
@jeongminkim4369 3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align5791
@align5791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기자님 너무 좋은정보감사드립니다^^
@user-lb1sk9lk7k
@user-lb1sk9lk7k 3 жыл бұрын
중동 쪽 전쟁은 ㄹㅇ 너무 복잡합니다ㅋㅋ 인종, 종교 등등 이것도 크게 잡은거지 속까지 들어가면 책으로 만들어도 될 정도 ㅡㅡㅋ 그래도 이 복잡한걸 최대한 간단하게 잘 설명해주신것같습니다ㅋ
@CircuitBoardcokr
@CircuitBoardcokr 3 жыл бұрын
단순히 종파간 전쟁인 줄 알았는데 100% 그런 것만도 아닌가보네요. 잘 봤습니다.
@Sunny-wx5dh
@Sunny-wx5dh 3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yu4bbienew908
@yu4bbienew908 3 жыл бұрын
이번 편도 겁나 재밌네요. ㅋㅋㅋ
@user-qq6xx8ve3x
@user-qq6xx8ve3x 3 жыл бұрын
허나 언제든 지금처럼 산다면 또 다시 불행은 올 것이다 그날의 비극을 잊은 사람들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으니
@user-di4ki4fp7b
@user-di4ki4fp7b 3 жыл бұрын
이대로 버려두기는 아까운 나라임. 예맨...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3 жыл бұрын
매일 오디오로 듣다가, 화질 최대로 보니까... 화질 엄청 좋네요
@user-xz5qj5kk7r
@user-xz5qj5kk7r 3 жыл бұрын
8:41 훠이훠이 손 졸귀탱
@R2D2NEKO
@R2D2NEKO 3 жыл бұрын
이번편 하이라이트
@user-to6ot2ig2f
@user-to6ot2ig2f 3 ай бұрын
10:30 예멘 비극의 시작 😢
@user-kd2rj3ns4q
@user-kd2rj3ns4q 3 жыл бұрын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왕당파와 공화파, 독재정권과 반군, 수니파와 시아파, 온건수니파와 강경수니파(IS)까지.. 근대에서 현대까지의 모든 정치분쟁은 다 있는 지역이었네요. 난 신밧드의 출발지 모카항만 생각했는데요ㅜㅜ;
@orareestlaborare
@orareestlaborare 3 жыл бұрын
끔찍한 상황이네요..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3 жыл бұрын
진짜 걍 그냥 다른 내전이랑 비슷하다 생각했는데 말도안되게 복잡하고 어렵네..
@user-qi7qn2lq6w
@user-qi7qn2lq6w 3 жыл бұрын
진짜 장난아니게 복잡하네요...
@user-uw5qg3mf5k
@user-uw5qg3mf5k 3 жыл бұрын
드디어 무삭제!!!
@lizlemon4846
@lizlemon4846 3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역사이야기는 무삭제가 훨씬 낫네요. 짧은 버전은 생략된부분이 많아서 잘 이해가 안가더라구요.
@user-qe8qz9zl4p
@user-qe8qz9zl4p 3 жыл бұрын
혼란하다 혼란해
@arnshutain
@arnshutain 3 жыл бұрын
1:41 예멘 폭탄테러 2:52 예멘 7:12 예멘방문의 불이익. 7:54 아덴 10:40 영국.. 14:41 예멘갈등 정리. 15:32 통일 그러나 17:50 후티반란 23:33 살레의 배신. 24:38 사살된 살레. 28:28 후티에게 당하는 사우디 31:22 is개입 32:24 남부분리주의 33:03 유엔중재 그러나.. 34:12 드론공격 37:56 2021년 예멘의 상황 40:17 내전 희생자수 42:12 예멘내전의 특징. 44:18 포로교환. 45:33,46:47 명언 47:22 결론
@naruhd
@naruhd 3 жыл бұрын
이번편은 작가분도 정리하느라 머리 터졌을듯..ㅎ
@younggun7002
@younggun7002 3 жыл бұрын
예멘은 뉴스에 자주 나왔던 이야기지만 전국민이 코카잎과 비슷한 마약성 성분을 가진 카트를 너무 많이 씹어 사회적 문제이고, 심지어 물부족 국가임에도 식량보다는 카트나무를 많이 심어 큰 문제라고 하네요.
@gim-ori
@gim-ori 3 жыл бұрын
예멘을 가고 싶었다뇨... 종군기자의 사고방식 ㄷㄷ 아니 이번편 진짜 역대급으로 복잡하네요 이거 무삭제판으로 봐도 이렇게 복잡한데.. 원본버전은 어케 편집을 하셨을지-_-;
@user-ng1hf1lq5w
@user-ng1hf1lq5w 3 жыл бұрын
편도티켓인 화성이주하고픈 사람도있는데요 뭐
@user-dp5wc8jr5k
@user-dp5wc8jr5k 3 жыл бұрын
요즘 지도가 아닌것 같네요. 에티오피아로 표시된 지역은 현재 에리트리아이고 에티오피아는 바다가 없는 내륙국가입니다.
@user-wu3rg4dj4b
@user-wu3rg4dj4b 3 жыл бұрын
이번 편은 복잡해서 노트로 쓰면서 이해했네요
@jhkim973
@jhkim973 3 жыл бұрын
토전사 볼때부터 느낀거지만 사실 준이형은 바보가 아니라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보인 척을 하는거라고 생각했는데 이 형 이 방송에서 자기 바보 아닌거 제대로 입증하시네. 키워드만 딱딱 짚는거 봐
@user-iy2oo5ei8o
@user-iy2oo5ei8o 3 жыл бұрын
ㄹㅇ 자기가 뭘 모르는 지를 알아야 모르는 걸 질문이라도 할 수 있더라고요. 아예 모르면 질문도 못함 ㅋㅋ
@user-mp4cx8gy6y
@user-mp4cx8gy6y 3 жыл бұрын
@user-qq3qg2oh4z
@user-qq3qg2oh4z 3 жыл бұрын
개인의 욕심이 종교를 이용하네
@hbman991
@hbman991 3 жыл бұрын
8:43 ..손 휙휙 ㅋㅋ
@me-kq4qf
@me-kq4qf 3 жыл бұрын
제발 재생목록 좀 정리해주세요. 그냥 반복해서 보고 싶은데 제목도 중구난방이고 이제 예고편은 빠졌진 것 같지만 그냥 보고 있으면 봤던거 반복되고 국방 TV의 토크멘터리정쟁사처럼 찾아보기 편하게 재생목록 좀 정리해주세요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3 жыл бұрын
토전사나오면 정리해둔 재생목록 밑에 뉴전사도 있어요 ㅋㅋ
@hollyro7061
@hollyro7061 3 жыл бұрын
YTN2 로 가셔서 재생목록 누르시면 뉴전사 있네요^^
@kangmingyu1377
@kangmingyu1377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영국 이 다함 ㅋㅋㅋ 뉴전사 홧팅이요! 💝💖~^^~
@user-gp6xw3fp4t
@user-gp6xw3fp4t 3 жыл бұрын
IS는 종파 따지면 수니파인대 또 복잡하게 가겠네
@biosun2115
@biosun2115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독일처럼 자유 흡수통일을 해야죠. 예맨, 베트남처럼 연방통일이나 적화통일은 절대로 반대해요.
@dimmorashuvant3784
@dimmorashuvant3784 3 жыл бұрын
14:01 그건 이상하지 않음, 사회주의 이론에 따르면 자본주의를 거쳐 자본가랑 노동자 계급이 나오고 나서여 사회주의가 가능함. 소련은 외국 지원할때 그 나라의 체제, 이론적으로 사회주의의 이행이 가능한가?도 감안해서 지원하고 그랬음. 그거때문에 깽판농촌에서 사회주의한다는 마오쩌둥 말고 그나마 자본가-노동자 계급 있는 장개석을 1949년까지 밀어주던게 그 이유 때문임.
@congtychothuexexinchao1190
@congtychothuexexinchao1190 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에서 태어나고 산다는 자체가 하늘에 축복인걸 알아야 할텐데....해외살이도 대한민국이 있기때문에 가능합니다. 대한민국 화이팅입니다
@user-qq3qg2oh4z
@user-qq3qg2oh4z 3 жыл бұрын
중세때는 교역은 이슬람국가들이 더 활성화되었는데 현대는 왜 이슬람국가들이 폐쇄적으로 되었나요? 영국의 식민통치 영향이 컸나요?
@user-bf8lx9nn7m
@user-bf8lx9nn7m 3 жыл бұрын
와하비즘
@P_mang
@P_mang 3 жыл бұрын
1차 세계대전 이후 민족주의가 극단적으로 커진 것도 한 몫함
@biokd3884
@biokd3884 3 жыл бұрын
서양과 동양에 가교역할을 하던 육상교역의 지리적 중요도가 14세기 이후 유럽이 급격하게 고도 성장 및 변화하면서 본격적인 해양진출로 인해 유럽 각국이 직접 해양교역에 뛰어들면서 중동의 육상교역량이 점점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19세기 무렵까지 그나마 맥을 잇던 중국과 중동의 실크로드가 산업화로 완전히 낙오되면서 몰락하게 된 것이 아닐까요..?
@Slava_Ukraini_791
@Slava_Ukraini_791 3 жыл бұрын
이제 보니 인트로.. 콜오브 듀티 고스트 였던가? 그거랑 비슷하네 ㅋ 고스트 오프닝 쩔었지.
@user-sx3ps9ln6p
@user-sx3ps9ln6p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전쟁은 일진일퇴를 통해 1년만에 38선를 기점으로 소강상태에 들어갔고 휴전협상하는데 158회 마러톤협상을 2년이라는 세월속에 힘들게 내전을 끝내고 휴전하여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예멘의 희생자는 우리나라에 비하면 세발의 피라 생각되고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는 종식될것으로 생각합니다. 우리가 경계해야할 가장중요한 서실은 전라와 경상의 지역색이 이념까지 합쳐저 백제와 신라로 더 분단되는 것을 경계해야합니다. 역사는 돌고도는것 이니까요! 예멘내전을 통해 교훈을 베움니다.!
@user-ih2fi2xe7v
@user-ih2fi2xe7v Жыл бұрын
헬조선~ 헬조선~~ 하던 제가 부끄럽습니다~@!! 살기 좋은 대한민국~~!!
@user-ei5cq2du1c
@user-ei5cq2du1c 3 жыл бұрын
깔끔하게 예맨하고 시리아가 싸우면 거의 매듭짓는거포기
@jungji4604
@jungji4604 3 жыл бұрын
예멘은 춘추 전국 시대네요 ㅜㅜ
@iio01987
@iio01987 3 жыл бұрын
🐰🐰🐰🐿🐿🐿
@giyongyoem7072
@giyongyoem7072 3 жыл бұрын
여기도 다른 곳처럼 영국이 싸지른 X때문이군
@user-xz5qj5kk7r
@user-xz5qj5kk7r 3 жыл бұрын
똥국 ㅇㅈ
@ldh5586
@ldh5586 3 жыл бұрын
유엔이 얼마나 무능력한지 보여주고 있죠.
@user-nh9fn6yd9n
@user-nh9fn6yd9n 3 жыл бұрын
싸우도록 놔두는게 답이네 ㅎ
@kth260278
@kth260278 3 жыл бұрын
영국이 또...
@minyoung9606
@minyoung9606 3 жыл бұрын
14:54 복잡하디 복잡한 국가군...
@Fucking_YoutubeHandle_FuckU
@Fucking_YoutubeHandle_FuckU 3 жыл бұрын
'그'나라
@R2D2NEKO
@R2D2NEKO 3 жыл бұрын
여기도 대영제국이네...하 진짜
@user-gx5hy1px3w
@user-gx5hy1px3w 3 жыл бұрын
매번 느끼는게 우리나 좁은 땅덩이 안에서도 서울사람 부산사람 제주사람 강원사람 성격 다 다르다고 하는데 우리 땅덩이의 5배나 되는 넓이를 가진 예멘의 국민성을 이거다 하나로 정리하는건 불가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박사님 말씀대로 극단적이고 자극적인것만 기억에 남고 전달되니 그것이 일반화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user-ng1hf1lq5w
@user-ng1hf1lq5w 3 жыл бұрын
요새 미국하면 총격범죄나 인종차별사건만 보여주니 일반화되긴 쉽지만 그렇다고 없는얘기는 아니듯이 그걸판단하는건 시청자몫이죠 뭐
@user-dk7ue8zq6v
@user-dk7ue8zq6v 3 жыл бұрын
정신 똑바로 차려야지 ㅠ 너무하구만
@fierwalt
@fierwalt 3 жыл бұрын
도통 모르겠다 왜 이렇게 복잡하냐 ㅋㅋㅋ
@jinhookim1938
@jinhookim1938 3 жыл бұрын
잘 살면서 저러는 것도 아니고.... 뭐가 중요한지 모르는 건지.... 일단 먹고 살아야 의미가 있는 거 아닌가....
@xingkey
@xingkey 3 жыл бұрын
못살아서 저런 것입니다. 잘살면 부를 유지하기위해서라도 갈등이 봉합됩니다.
@sdgd-jv5bx
@sdgd-jv5bx 3 жыл бұрын
@@xingkey 잘살면 또 부를 차지할려고 싸울수도
@user-uk9bl7hw5v
@user-uk9bl7hw5v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도 영국이싸지른똥이지 미얀마여힘내라
@user-ng1hf1lq5w
@user-ng1hf1lq5w 3 жыл бұрын
하나궁금한게.... 정부군이고 반군이고 이전에 즈그들끼린 피아식별은 가능히냐;;;
@user-gp6xw3fp4t
@user-gp6xw3fp4t 3 жыл бұрын
제대로 안되서 엄청 많이 죽겠저 통계 제대로 됬을리가 없으니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WRtabris
@WRtabris 3 жыл бұрын
영국은 안끼는데가 없네 정말
@daug_jang
@daug_jang 3 жыл бұрын
예멘은 고대 헤브라이왕국의 솔로몬왕을 방문한 시바 여왕(Saba, Sheba)의 나라라고 합니다. 물론 "전설의 시대"라 "팩트"인지는 알수 없고, 어쨋든 고대 이스라엘과 교류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 덕분인지 "힘야르왕국"이란 유대인이 아닌 유대교왕국이 들어섰고, 나름 고대 아라비아반도의 패권을 장악했다고 하더군요. 우리도 화려했던 고대를 동경하지만, 고대가 화려하면 뭐합니까? 현실이 시궁창인데, 다만, 우리나라는 이라크, 리비아, 시리아와 예멘과는 달리 천년전 태조왕건 이래로, 조용히 중앙집권을 다져나가, 지역별, 부족별 내전을 겪지않고, 순탄하게 민주주의가 정착하고 정치가 안정된 것에 대해 고려와 조선의 열왕(列王)께 무한히 감사를 드리고 싶네요.
@user-tg5nv3cu4v
@user-tg5nv3cu4v 3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이 지구상에서 영국이 만든 분쟁국가가 왜이리 많은건지.... 물론 자기들 책임 아니라고 하겠지만.. 인도파키스탄에 중국홍콩도 그렇고 진짜 영국인들 양심이 있다면 분쟁해결에 적극 개입해야지 뭐가 신사의 나라란건지...
@user-fp7rd8or2h
@user-fp7rd8or2h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도...
@user-zx7yx9tm9q
@user-zx7yx9tm9q 3 жыл бұрын
상병 출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상병도 쿠데타 가능하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g1hf1lq5w
@user-ng1hf1lq5w 3 жыл бұрын
당시 일본제국에 충성혈서써서 장교로된놈도 쿠데타했는데 뭐ㅎㅎ
@user-le2ym1op2y
@user-le2ym1op2y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거문도 사건도 그러고 세계에서 영국손 안 탓 나라가 있을까? 이쯤되면 영국손 안 탓 나라 있으면 섭섭하다고 할 지경 'ㅅ'
@huurr445
@huurr445 2 жыл бұрын
의문의 독일 1승인가요? 물론 뒤늦게 식민지 약탈전에 자신들도 끼어보려다가 1•2차 세계대전 연달아 터뜨렸지만, 본인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저리 털면서 계속 사죄하고 반성들을 하니.. 자국내 정치 지형이라는 사정이 있지만(앞서서 평화헌법 지키려고 하는 그쪽 진보들을 아직도 예전시스템들 쓰는 변화가 느려터진 나라를 단계적으로 기다려주지 못하고 북한은 더한거 같던데 성질급한 한국식으로 밀어붙여서 진보들 입지를 더 좁히고 진보들도 국내적으로도 운신해볼수 있는 입지나 경험이 적어서인지 무능력하다고 하더라고요) 우리의 분노를 일으키는 옆나라와 다르죠
@Joonoo05
@Joonoo05 3 жыл бұрын
전세계 분쟁지역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항상 영국이 나오네 전세계민폐국가
@user-jn7bb8zd3m
@user-jn7bb8zd3m 3 жыл бұрын
결국 통일은 흡수통일 해야함
@st6259
@st6259 3 жыл бұрын
후티반군이 사우디아라비아 유전시설 테러해서 기름값올랐던건 기억나네요...배경이 어떻게 됐던간에, 그래서 전 후티반군 싫어함ㅋ
@user-zx7yx9tm9q
@user-zx7yx9tm9q 3 жыл бұрын
그나저나 허준 성공햇네 토전사해서 임용한교수 친한거 고마워 해야할듯
@user-ow6mu5lz5h
@user-ow6mu5lz5h 3 жыл бұрын
여자 엠씨분 기본이 너무 부족해여........................... 뭡니까 이게
@user-jk2sv8ww4c
@user-jk2sv8ww4c 3 жыл бұрын
나루토 불러와야 된다 이 증오의 연쇄고리를 끊을수 잇는겅 풍둔 주둥아리술밖에 업다
@user-wg1hf7om1c
@user-wg1hf7om1c 3 жыл бұрын
우리 이쁜 민지의 중재로 ㅎ 예멘 내전이 종식됨 ㅎ
@user-eh3bt4lw2n
@user-eh3bt4lw2n 3 жыл бұрын
아이들은 무슨 잘못인가... ㅉㅉ
@Horowitz.Vladimir
@Horowitz.Vladimir 3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봐도 서구열강들은 아프리카, 중동의 저런 지역 분쟁과 내전에 무한책임을 져야 합니다.
@user-cr6pl4te3e
@user-cr6pl4te3e 3 жыл бұрын
영국은 뭐야ㅋㅋ 마당발이네
@subtitleaddict5343
@subtitleaddict5343 3 жыл бұрын
통일이 정말 어려운 과제라는 것은 동의하나, 일부 분들께서 통일을 선택의 문제로 보신다는 점은 동의하지 않습니다. 인간은 어린이에서 청소년으로, 또 어른으로 성장합니다. 이때 청소년이 "어른이 되지 않을 테야!"라고 말하면, 그는 현실을 부정하는 것이죠. 어른이 되는 것은 불가피하니까요. 성장은 선택의 문제가 아닙니다. 대비의 문제지요. 국제사회, 그리고 통일 문제도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통일찬반론이 논점이탈이나 회피라고 생각합니다. 북한 정권이 무너지거나 바뀐다면(개혁개방 등), 북한 주민들이 우리의 이웃이 될 수 있습니다. 굳이 난민으로서 남하하지 않더라도, 그들은 어떤 식으로든지 이웃이 되겠죠. 물리적일 수도 있고, 아니면 인터넷 등으로 인한 간접적 접촉일 수도 있는 것이죠. 인간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결국 그렇게 될 수밖에 없겠지요. 북한이리고 해서 예외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에 집중해야 하느냐? 바로 통일 대비 및 그에 대한 논의에 집중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논의를 시작한다면, 거기에 대해 정치인들도 분명히 고려하겠지요. 특히나 한국 정치인은 국민 눈치를 많이 보니까요. 따라서 그들이 발의하는 정책에도 어느 정도 반영할 것입니다(물론 체계적이지 않다면 단점이 더 크죠). 여담으로, 저는 통일찬반론 모두를 비판하는 편입니다. 찬성론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현실을 낙관하거든요. 수십 년간 적이었던 이웃이 갑자기 아군으로 변하는 일이 과연 얼마나 있었나요. 반대론도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 바로 위가 아우슈비츠인데, 거기에 대해 국제사회의 일원 및 이웃으로서 책임지지 않는 것이 문제입니다. 물론 찬성 측 및 반대 측의 이익과 의견도 경청할 필요는 있습니다. 다만 어느 쪽 주장이든지 강점과 약점을 지적하면서, 현실에서 무엇을 할 수 있고 또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junyongpark2398
@junyongpark2398 3 жыл бұрын
더이상 국방TV 아닌데 허준님 아직 국방TV 때 못 벗으신 듯
@bbosaree
@bbosaree 3 жыл бұрын
와 우리도 내전하면 재미 있을듯 👍
@sund8569
@sund8569 3 жыл бұрын
또라이가
@user-tj4vz7gg8m
@user-tj4vz7gg8m 3 жыл бұрын
un해체해라
@imkoreadamiarmy6174
@imkoreadamiarmy6174 3 жыл бұрын
예맨 통일 보고 배운점. 남한의 1/40인 북한거지와 통일하면? 내전은 둘째치고 세금다 꼴아박어 북한거지들 먹여 살려야한다. 그냥 아프리카랑 통일하자
@betman6145
@betman6145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 사건 하시지 , 눈치보나
@horomai8871
@horomai8871 3 жыл бұрын
레바논이나 인도중국 분쟁같은거 뉴스 나오고 한 2달 뒤에 나오는걸 봐서는.. 준비해서 방송하는데 대충 그쯤 걸릴듯요? 미얀마 정세자체는 쿠데타 터지기 직전쯤에 로힝야족 다루면서 대략적으로 한번 다룬 상태라서 새로운 내용 더 준비해야할지도
@Lucksogood
@Lucksogood 3 жыл бұрын
세상 참 쉽게 보시네
@MrRanegade1
@MrRanegade1 3 жыл бұрын
로힝야족 으로 이미 다뤘고 미얀마가 지금 내전중이 아니잖아요
@betman6145
@betman6145 3 жыл бұрын
@SPYG 로힝냐는 기전정권의 반군이라구요
@user-yu4cy5bf3u
@user-yu4cy5bf3u 3 жыл бұрын
편집이나 대본이 별론거 같네 토크멘터리 전쟁사 웃으며 정주행 하고왔는데 뉴스멘터리는 지루하네 사람들 점점 안보다가 없어지겠다
@user-mn5dp1hu6n
@user-mn5dp1hu6n 3 жыл бұрын
태상호기자 목소리 진짜 거슬린다
@sund8569
@sund8569 3 жыл бұрын
진짜 거슬리는 댓글이네
@user-gm9ed5zb1v
@user-gm9ed5zb1v 3 жыл бұрын
이거 예전에 무삭제까지 나온거 또 재탕한거??? 그리고 무삭제는 무삭제지 무삭제 확장판은 뭐임?? ㅋㅋㅋㅋㅋㅋ
@user-gm9xw7el5y
@user-gm9xw7el5y 3 жыл бұрын
무삭제(해서) 확장(이 된것)이에요 재탕이 아니라 20분대랑 40분대로 나눠서 나오는거에요 님처럼 대충 보는 분들을 위해서 이렇게 저렇게 친절하게 해놨는데 그조차도 불만이 되나보네요 밥은먹고 다니니 궁금합니다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МАМА И STANDOFF 2 😳 !FAKE GUN! #shorts
00:34
INNA SERG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NERF WAR HEAVY: Drone Battle!
00:30
MacDannyGun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Жизнь КОМАРА (смешное видео, юмор, приколы, поржать)
0:59
Натурал Альбертович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I want to play games. #doflamingo
0:20
OHIOBOSS SATOYU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Қателігім Олжаспен азаматтық некеге тұрғаным”
41:03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283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