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kg 돌덩이를 산꼭대기에 올려 하루 1미터 씩 총 12.7km. 북한산성 복원 어떻게 했을까?┃11명의 석공들의 북한산 · 인왕산 성곽 복원 과정┃극한직업┃

  Рет қаралды 906,708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3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0년 10월 13일부터 14일까지 방송된 <극한직업 성곽 복원 1~2부>의 일부입니다.
백성을 지키려는 군왕의 마음이 녹아있는 성곽.
600년 고도, 서울을 지켜온 성곽이 되살아나고 있다.
하루에 1m씩, 한 타를 올리는데 3일이나 걸리는 지루한 기다림과 인내의 작업.
정과 망치, 조촐한 도구로 역사를 되살리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성곽을 복원하는 일은 장인정신이 없으면 하기 힘든 작업. 미세한 실수라도 성곽을 망칠 수 있기 때문에 늘 주의를 요하는데.
대부분의 석공들은 30년 가까이 석공일을 한 베테랑들이다.
서울의 역사를 살리기 위해 구슬땀 흘리는 사람들을 만나본다.
-
투박한 멋스러움, 북한산성을 복원하라!
도성인 서울 성곽은 수도보호역할과 동시에 관상의 역할도 하고 있어 웅장하고 정형화된 멋이 있다.
이에 비해서 북한산은 침입을 막는 것이 주된 역할이며, 위치적 특성 탓에 비교적 작은 돌로 겹겹이 쌓인 투박한 멋스러움을 지니고 있다.
작은 돌들이 많아 손이 더 많이 가고 어려운 북한산성 복원작업.
한번 작업장으로 오르려면 2시간 가량 소요되는 험난한 등반이 필요한 탓에, 작업자들은 산 위에 마련된 컨테이너 숙소에서 지내며 성곽복원에 몰두하고 있다.
-
예측 불허의 헬기이송작업
해발 837m의 북한산.
성곽복원에 필요한 모든 자재들과 작업자들의 부식은 한 달에 한번, 헬기로 이송되고 있다. 하지만 헬기작업은 기상에 큰 향을 받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늘 초 긴장상태다.
산 밑에 헬기장과 산 위의 작업자들, 헬기를 조종하는 작업자들까지 모두가 긴밀하게 움직여도 쉽지 않은 작업, 이날을 위해 석산에서 돌을 운반해오고, 한 달 치 시장도 보며 만반의 준비를 하지만.
산 위에서 갑작스럽게 몰아치는 돌풍에 헬기작업은 난항을 겪는다. 최악의 경우, 2-3일씩 헬기가 뜨지 못하면 한 달 치 부식을 모두 버려야 할 수도 있는 상황!
도와주지 않는 날씨 때문에 헬기장의 작업자들은 속이 타 들어가고, 산 위의 작업자들은 하염없이 헬기를 기다리는데.
과연 헬기 이송작업은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
-
대를 잇는 성곽 복원, 부자 (父子)의 소명
오랜 세월 풍화작용을 거치면서도 꿋꿋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는 성곽.
이 성곽처럼 오랜 시간, 묵묵하게 성곽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는 부자가 있다.
옛 성 돌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부식된 돌만 새로운 성 돌로 바꿔나가는 성곽해체작업.
40년 베테랑 석공인 아버지의 노련한 기술과 아들의 열정이 만나 부자간의 믿음도 성곽도 더욱 단단해지고 있다.
철저히 고증된 자료와 지식, 경험이 있어야 가능한 성곽 해체 작업도 서로 의지하며 한 치의 오차도 없이 해내는 부자. 성곽 복원을 일생의 소명으로 삼은 이들을 만나보자.
-
산비탈에서의 작업, 방심은 금물이다.
2006년부터 복원되고 있는 서울 성곽의 일부인 인왕산 구간.
등산을 즐기지 않는 사람이라도 어렵지 않게 올라갈 수 있는 인왕산이지만, 작업자들에게는 언제나 아슬아슬하기만 한 곳이다.
경사가 급한 산비탈에서 최대 400kg에 가까운 돌을 다뤄야 하고, 절벽 위 성곽으로 올라가야 하는 작업자들은 혹시나 하는 마음에 늘 노심초사다.
돌을 자르는 재단 작업도 쉬운 게 아니다. 조금만 망치질을 잘못해도 힘들게 가져온 돌을 못 쓰게 될 수도 있는 상황. 굳은살 박인 거친 손에서 나오는 정교한 손길을 거친 돌만이 성벽에 놓이는 영광을 얻게 된다.
-
300kg의 돌을 들어라! 목도 작업
500톤이 넘는 중장비가 넘쳐나는 시대. 그러나 이들은 지금도 옛 방식을 고수한다.
그 중 하나가 목도 작업. 300kg이 넘는 돌을 들어 올려야 하는 목도 작업은 힘 좋은 젊은 사람들도 함부로 시키지 않는 고난이도의 작업.
자칫 힘을 잘못 주면 허리가 부러질 수도 있는 위험 때문에 전문 목도꾼이 아니면 아예 일을 맡기지도 않는다고.
높은 성곽으로 돌을 올리기 위한 사전 비계작업은 필수! 발판을 꼼꼼히 세우지 않으면 무거운 돌과 함께 추락할 수도 있어 작업자들의 신경은 어느 때보다 날카롭다.
-
계속되는 작업 중단 위기
산속에서의 작업은 날씨에 큰 영향을 받는다. 작업하는 도중 떨어지는 빗방울에 잠시 일손을 놓아보지만, 빗방울은 점점 굵어진다. 아무리 숙련된 석공이라도 물기 가득한 미끄러운 돌을 다루기란 쉽지 않은 법. 결국, 작업은 중단되고.
폭우가 지나간 후, 작업자들은 적재장에서 흘러나온 토사를 발견하고는 서둘러 산 위로 올라가는데..
다행히 피해는 크지 않지만 엎친 데 덮친 격. 이번엔 자재를 올려주는 모노레일이 고장 난다.
또 한 번의 작업 중단 위기! 이들은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성곽 복원 1~2부
✔ 방송 일자 : 2010.10.13~14

Пікірлер: 480
@EBSDocumentary
@EBSDocumentary 3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0년 10월 13일부터 14일까지 방송된 <극한직업 성곽 복원 1~2부>의 일부입니다.
@youngsungjun2845
@youngsungjun2845 3 ай бұрын
임란등 여러 외침에 피흘렸던 석성을 일제 포크레인이 작업을 하네~아이러니😢
@pooh8553
@pooh8553 3 ай бұрын
저방송나올당시 북한산성은 아니지만 다른성곽 복원공사에 참여한적이있습니다 굴삭기 기사로. 석공분들 한여름에 하루종일 망치질하는거보면서 존경스러웠습니다. 손껴서 까지는건 예삿일이고 심하면 부러지기도하고 굉장히 힘든일입니다
@totoy33
@totoy33 3 ай бұрын
굴삭기 기사가 잴편한듯 밑에서 시다바리 다해주지 굴삭기 기사들 운전석에 안자서 힘든게 머잇음?
@user-jo9kp4vw8s
@user-jo9kp4vw8s 3 ай бұрын
​@@totoy33 말만 하는 님이 젤 편해보이는데요 ㅋㅋ
@user-zb1ce2ib9s
@user-zb1ce2ib9s 3 ай бұрын
@@user-jo9kp4vw8s ㄹㅇㅋㅋ
@user-tu3ys7rj2c
@user-tu3ys7rj2c 3 ай бұрын
닉 보소 야 어디든 편한게 뭐가 있겠냐? 현장 노가다판에 저 장비기사도 존경 스럽다면서 힘든일이라 하잖아 암튼 머가리 빨간물 든 ㅅㄲ들은 베알 꼬여가 어떻게 사냐? 아 남 탓 하면 사니깐 ㅋㅋㅋ 니가 제일 편하게 사네
@user-nb2gf4nv5s
@user-nb2gf4nv5s 3 ай бұрын
​@@totoy33 거 ~ 말투가 참 깃털처럼 가벼우시네
@ddongeepa
@ddongeepa 3 ай бұрын
북한산 올라가서 성곽길을 따라가보면 정말 그 수고로움은 이루 말로 다 할 수가 없다! 고생하셨습니다.
@user-bx8wr6tl1n
@user-bx8wr6tl1n 3 ай бұрын
14년전 이런 노고가 있었기에 지금의 북한산성이 더 아름답군요. 감사합니다.
@user-ut6sd4kc1i
@user-ut6sd4kc1i 3 ай бұрын
여러분들의 삶을 바치는 수고로 우리 문화재를 복원하여 후세에 길이길이 보전하는 일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dukelee3260
@dukelee3260 3 ай бұрын
수고하셨고 감사합니다.여러분은 진정한 애국자이십니다.
@user-mf2lh2le8t
@user-mf2lh2le8t 3 ай бұрын
이분들은 정말 애국자 입니다 국가를 지키기위해 우리선조들은 이렇게 고생해가며 성벽을 쌓아군요 정말 수작업으로 하시는 모습에 숙연해집니다 감사합니다 다치지 마시고 훌륭한 일하심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user-wc6tw7hu9u
@user-wc6tw7hu9u 3 ай бұрын
애국자 타령은 그만 하세요
@johnjung571
@johnjung571 3 ай бұрын
그놈의 애국자타령진짜
@epicepic4512
@epicepic4512 3 ай бұрын
그냥 직업의 하나일뿐이지 무슨 애국은....... 자원봉사면 애국타령에 같이 춤춰드림
@jaeyoungoh7816
@jaeyoungoh7816 3 ай бұрын
작업복입고 일하신다고 추하게 보일지 모른다고 한 작업자가 말씀하시는데... 그 누구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겁니다. 대단하시고, 문화재복원을 위해 숙소생활하시고 고생하시는데 존경스럽습니다. 그 어떤 직업보다도 대단하시고 아무나 할 수 없는 일 같습니다. 다들 수십년 석공으로 일 하셨어도 문화재복원일은 후손대대로 감사한 일입니다. 이분들께는 보수 및 세금을 아끼지 말아야하겠습니다.
@monkeyj7980
@monkeyj7980 3 ай бұрын
등산하다보면 산위에 있는 구조물을 보면서, ‘이건 어떻게 여기까지 가져와서 만들었지?’ 라는 궁금증이 있었는데. 많은 분들이 흘린 땀방울로 저런 멋진 구조물이 탄생하는거군요. 멋집니다~👍
@peterjeong7811
@peterjeong7811 3 ай бұрын
다들 이제 힘에 부치실 나이이신데 정말 고생하신다. 몇년전에 친구 석재 공장에서 하루 동안 잔돌 치우기 작업을 했는데 반나절도 안되 힘이 빠져 바닥에 들어 누운 경험이 있는지라 저 분들이 얼마나 힘들지 조금은 알것같다.
@hoichoo6075
@hoichoo6075 3 ай бұрын
23년 여름에 다녀왔는데 10년도 즈음 만들어졌을거라고는 생각도 못했네요.... 많은 분들의 노고로 다시 만들어졌을거라 생각 못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vg8qq3qh8f
@user-vg8qq3qh8f 3 ай бұрын
그전에 공사했읍니다 10년도가아니라 아마도 꽤오래전입니다 북한산성복원공사 2천년도 전에 시작했을겁니다
@user-cd6fm4ck1o
@user-cd6fm4ck1o 3 ай бұрын
여러분이 계시기에 한국은아름답습니다 기억하겠읍니다
@kaizz80
@kaizz80 3 ай бұрын
가끔 산에 올라가면서 문득 궁금했던 점이었는데 이렇게 궁금증이 해소가 되네요.. 보이지 않는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user-ig6rp3jp4x
@user-ig6rp3jp4x 3 ай бұрын
지금도 이렇게 엄청난 노동력과 기술을 요하는 작업인데 그 옛날에는 데체 어떻게 쌓았을까…. 선조들도 대단하고 복원작업 하는 현시대분들도 대단하다..!
@doubble_H
@doubble_H 3 ай бұрын
얼마나 많은 노동력이 투입된건지 감도 안옴ㄷㄷ
@solexergy
@solexergy 3 ай бұрын
옛날 모습 성곽 아닙니다. 돌부터 북한산에서 나는 돌이 아닙니다. 북한산성 터에 보면 돌 뜯어낸 자국이 있지만 성곽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행궁등 건축 기초부분에만 사용 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석공들이 저렇게 네모지게 만들지 않고 최대한 자연석을 이용하였습니다. 일종의 역사 왜곡으로 봅니다.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2 ай бұрын
@@solexergy ??? 남아있는 성곽돌도 네모난데 이건 뭐임?
@user-wg4tg2df3f
@user-wg4tg2df3f 2 ай бұрын
@@user-ux4sc4ce4f방송중에도 예전엔 자연석이었지만 지금은 채취가 금지되어 가공석으로 작업한다고 나오는데 무슨?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2 ай бұрын
@@user-wg4tg2df3f 묻혀있는 돌들도 네모라서 물어본거임. 위에 쌓인거 말고.
@michaelsavage9305
@michaelsavage9305 3 ай бұрын
자부심을 가지고 일하시는 모습이 참 멋있으십니다.
@carpediem6196
@carpediem6196 3 ай бұрын
이런분들 국가에서 처우도 진짜 신경써주셔야 합니다. 역사의 발자취를 복원해주시는 분들 감사합니다
@Hammer-bag
@Hammer-bag 3 ай бұрын
받을만큼 받고 일하는겁니다.
@user-bl7wp9nn9d
@user-bl7wp9nn9d 3 ай бұрын
여러분들의 고생이 많은이들에게 휴식을 주네요~ 감사합니다~^^*😊
@user-kh2gl2qz2r
@user-kh2gl2qz2r 3 ай бұрын
복원공사에 참여한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박수를 보냅니다.
@stpl3146
@stpl3146 18 күн бұрын
어릴땐 이런 영상이 감사한 건줄 몰랐는데 나이를 먹을 수록 이렇게 고생해주시는 분들이 얼마나 감사한 분들인지 계속 알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em3ow9us1x
@user-em3ow9us1x 3 ай бұрын
저렇게 위험하고 힘들게 일하시는데 설령 백퍼 똑같이 복원은 못하더라도 응원해줍시다.
@user-tb7jc9ku2p
@user-tb7jc9ku2p 3 ай бұрын
이런 장인들은 국가에서 보호해주고 일하는동안 최고의 숙식과 보수가 제공되야하고 향후제자도 키우게끔 모든여건을 마련해줘야한다.힘들어도 보수가 의사만큼 됨 할 젊은이들이 있다.
@user-zl4bf6fh6f
@user-zl4bf6fh6f 3 ай бұрын
감성 터지는건 안말리지만 적당히 해라
@user-sx2wg5qu6l
@user-sx2wg5qu6l 3 ай бұрын
​@@user-zl4bf6fh6f근데맞는말이야 이거 나중되면 유지할사람들이없다?그거아니?ㅋㅋ
@user-pq5fy2fk3z
@user-pq5fy2fk3z 3 ай бұрын
​@@user-sx2wg5qu6l옛날 방식으로했다고 저게 옛날모양 그대로 복원하는것도 아니고 단지 느끼만 비슷한건데 무슨 큰 의미가 있나? 그런식으로 돈많이 들여서 옛날거 다 복원하고 유지하자면 수만가지 일에 몇십만명이 유지돼야할텐데 그돈은 니가 좀 벌어서 지원해보던지?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3 ай бұрын
​@@user-pq5fy2fk3z당신 중국인 이지?
@user-gz8ni6wd5o
@user-gz8ni6wd5o 3 ай бұрын
​​@@user-pq5fy2fk3z그러니 할때 제대로 하자는거 아니겠어요?지금 현재 모든 문화재 복원 하는방식이 원형을 되도록이면 살리는 것이지 옛것과 똑같이 어찌 할수있나요.님만 세금내시는거 아니잖아요.안그래요?남 댓글 쓰는데 있어서 그리 거품 물지마시고...
@parosh6449
@parosh6449 3 ай бұрын
힘들고 위험한 일인데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user-ez8wb6hw1w
@user-ez8wb6hw1w 3 ай бұрын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
@user-xz8ph5hp3k
@user-xz8ph5hp3k 3 ай бұрын
수고하시는 모든분께 감사의마음을 전합니다~♡
@user-mu6yd5xr4o
@user-mu6yd5xr4o 3 ай бұрын
석공님들께 감사드립니다,나라세금을 이런곳에 ㅆ는것은...너무나 좋습니다!!
@72land63
@72land63 3 ай бұрын
이런일 하시는 분들이 부자가 되는 사회가 되어야 함.....!
@musictopia6409
@musictopia6409 3 ай бұрын
석축공들 하루 일당이 30만원 가까이 될겁니다 한달에 일하는날이 25일 정도 여름에 비기 자주 오면 20일정도 일하죠 보너스라는건 없구요 요즘은 의료 보험은 될겁니다 노임이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거죠 영상에 석축공들은 꾸준히 일 할수 있으니 허수히 돈을 쓰지 않는다면 부자는 아니래도 살만은 하죠
@user-hh2do2qq3v
@user-hh2do2qq3v 3 ай бұрын
이햐 경력 49년 장인입니다 항상 안전하게 작업하시고 건강하세요
@American-drone
@American-drone 3 ай бұрын
장비는 현대적이지만 화강암 부터 해서 옛 방식 그대로 축성을 새로 하시네요
@aqsaqs1417
@aqsaqs1417 3 ай бұрын
옛방식이 아니라 남아있는 원본 성곽과 많이 차이나게 현대식으로 복원한겁니다 이왕할거면 원본에 가깝게 복원을 해야하는데 그렇게 되면 오래가지 못하니 거의 복원이 아닌 개량을 한거지요
@phoenixlee456
@phoenixlee456 3 ай бұрын
답글 단분 하는말이 맞을듯 노가다 하면서 그걸 일일이 다 맞추는것은 시간이 세월아 내월아! 도저히 현장에서 일하면 어림없다는것을 알지요 그대로 복원을 할려면 몇십년이 걸릴지 모르는 일
@gsobd
@gsobd 3 ай бұрын
@@aqsaqs1417 근대에 인위적으로 복원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설계자들이 남겨뒀던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복원되어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된 수원화성처럼 성벽의 설계도같은게 없으면 최대한 저런 방식으로라도 복원해야죠. 그 당시에 축조 방식에 대한 기록이나 사료라도 그나마 조금 남아있었으면 수원화성처럼 옛날 방식 그대로 복원하는게 가능합니다.
@rayjallen2418
@rayjallen2418 3 ай бұрын
당연히 옛 방식으로 복원 안하죠. 이건 옛날에도 마찬가지에요. 고대 축성술하고 중세, 근대 축성술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데. 옛 것을 복원하고자 하는 마음은 좋지만 옛날의 열화한 기술까지 그대로 복원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야 앞으로 수십 수백년 후의 후손들도 더 오래 볼 수 있으니까요.
@American-drone
@American-drone 3 ай бұрын
​@@aqsaqs1417 전형적인 조선시대 초중기 내탁식으로 화강암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다듬어서 쌓는데 돌이 새것이라고 현대적인 축성법이라고 할수는 없습니다.
@user-yz8xk
@user-yz8xk 3 ай бұрын
와 멋집니다.. 서두르지 않고 전통벙법으로 복원해가니까 더 의미 있는거 같습니다. 14년전 영상인데 아직도 복원중인가요?
@user-tx2no8nj4c
@user-tx2no8nj4c 3 ай бұрын
요즘 복원된 곳과 예전에 성 쌓은 거 보면, 옛날에 쌓은게 훨씬 꼼꼼하고 촘촘하게 쌓음.
@akyl109
@akyl109 3 ай бұрын
마야 문명 피라미드 보면 알 수 있죠. 현대인은 흉내 불가
@user-hd2ke5fj3h
@user-hd2ke5fj3h 3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모두에게 정말 소중한 보물이 될 것 같습니다.
@dongwonpark8431
@dongwonpark8431 3 ай бұрын
이분들 석공기술이 보존되려면 이런 복원사업이 계속 이어져야 겠어요
@user-zx4wx5ct2s
@user-zx4wx5ct2s 3 ай бұрын
저는 성곽길 걷는거 좋아해요. 이렇게 복원한다니 기쁘네요. 수고하세요~♡
@user-bx6um7sr6l
@user-bx6um7sr6l 3 ай бұрын
2010년 이미 복원 끝
@user-pf6rj5jm9e
@user-pf6rj5jm9e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th5qr2xn8g
@user-th5qr2xn8g 3 ай бұрын
유럽쪽엔 오래된 성곽은 복원 안하고 그냥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래된 돌위에 하중을 두면 무너지고 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hysong5763
@hysong5763 3 ай бұрын
아..정말 존경스럽습니다.
@piesunny
@piesunny 3 ай бұрын
항상 건행하세요 ⬆
@ds-pu4xf
@ds-pu4xf 3 ай бұрын
타지역 산성복원 한것들보면 뒷채움 되메움다짐 똑바로 하지않아서 복원했다던 성곽이 주저않은곳이 많다. 만드는것보다 관리잘하고 높은성벽구간은 주저앚는 하자가 발생하니 자연다짐 가라앚음 생각해서 천천히 싾아올려야한다.
@user-vg6nc7zp6n
@user-vg6nc7zp6n 3 ай бұрын
젓도 아닌것들이 쌓았나보죠
@user-xf5tv1nn7q
@user-xf5tv1nn7q 3 ай бұрын
북한산 12성문 종주 산행 5년전인가 다녀 온 기억이 납니다 조선시대 만들어진 성문인줄 알았는데 여러분들의 노고가 있었군요 올 가을에 한번 또 도전해 볼까 합니다 힘든 산행이지만..
@user-vm3hg3mp9b
@user-vm3hg3mp9b 3 ай бұрын
정말 멋진 분들
@user-qh9ws3op5j
@user-qh9ws3op5j 3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user-cl1oy1dr4e
@user-cl1oy1dr4e 3 ай бұрын
인내와 고통의 시간이 그대로 성곽에 쓰여진거군요..대단하십니다.
@sundog2
@sundog2 3 ай бұрын
존경심이 절로 드네요. 그냥 고생 했겠다 하고 지나갔는데 엄청 고생들 하셨네요. 덕분에 아름다운 한양 도성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user-hm5es1qd6s
@user-hm5es1qd6s 3 ай бұрын
모두 훌륭하십니다.
@onhappy-xl2yc
@onhappy-xl2yc 3 ай бұрын
현대 장비로도 이렇게 힘드데 옛 선조들의 노고는 진짜....
@sb-87
@sb-87 3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w-rabbit
@w-rabbit 3 ай бұрын
와 진짜 고생하셨네 땡큐~
@goodvery1301
@goodvery1301 17 күн бұрын
보는데 왜 눈물이 날까... 너무 대단한 일을 하고 계십니다!!! 언젠가 올라서 보고싶네요~!!!
@user-rq2um8ju1v
@user-rq2um8ju1v 3 ай бұрын
선생님 들고마워요 감사합니다 우리 위대한 대한민국 을지켜주시니까요, 응원합니다 힘내세요 화이팅
@user-qm2lv8ru7d
@user-qm2lv8ru7d 3 ай бұрын
저걸 옛날에는 사람이 직접 하나하나 옮겨서 지었을거 생각하니 진짜 대단했네
@user-wp2ti4zn7v
@user-wp2ti4zn7v 2 ай бұрын
문화재 복원을 하시는 모든분들 역시 문화재이십니다 이분들이 안계셨다면 지금과 앞으로의 문화재를 어찌 복원 살수 있었겠습니까 늘 건강하시고 앞으론도 자긍심을ㅈ갖고 우리나라의 문홰재를 복원하시는데 힘을 더하여 주세요 정부에서도 이분들은 특별히 문화재 복원을 하시는 예술적인 능력을 높이 사서 더 높은 급료와 문화재 복원후 인센티브로 상여금도 듬뿍주시고 평상시 생ㅅ놜 하시는데도 부족함이 없도록 배려해 주십시요 귀중한 장인들이 시니 당연히 뜩별 대우를 받아 마땅합니다 작업시 안전하시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와 안전한 작업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모든 문화 복원 작업을 하시는 예술인 장인분들 마음 깊이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축원합니다
@erichobsb4672
@erichobsb4672 3 ай бұрын
안전모 상태가 때하나 묻지 않고 다들 깨끗하네요. 평상시 안전모를 쓰고 작업을 했다면 흙이나 이물질이 안전모에 들러붙어서 이물질 흔적이 있을텐데 말입니다. 카메라 앞이라서 급조된 느낌이 드네요. 심지어 턱끈도 없네요. 안전관리자가 현장에 입회를 하지 않는 현장으로 보이네요. 그래도 2010년 영상인데 이 때는 대체로 대기업 사업장을 제외하고 특히 공공 사업장은 안전모 규제가 심하지 않았죠. 영상 찍는다고 안전모 흉내라도 내서 다행입니다.
@user-fr7xy2ps4t
@user-fr7xy2ps4t 3 ай бұрын
안전을 준수하고 작업하는게 원칙이지만 솔직히 저런곳에서 일하는데 안전모 쓰고하면 더 힘들어서 잘 착용을안하죠 안전모 들어보면 무게가 별거 아닌것처럼보이지만 저런곳에서 일하면 안전모 무게가 엄청나게 사람을 힘들게하죠
@kbkim6497
@kbkim6497 3 ай бұрын
안전모가 하다못해 누리끼리라도 해야하는데ㅎㅎ
@user-vq4kk3hh3s
@user-vq4kk3hh3s 22 күн бұрын
이런 분들이 있어야 진짜 이나라가 굴러갑니다 정치인,기업인,판검사,의사들만 중요한게 아닙니다 정말 이나라의 근간에서 이 사회를 떠받치고 운영하는건 바로 이런 분들입니다 감사함을 알고 그에 맞는 처우도 응당 따라야합니다 이나라 대한민국은 더이상 저렴하게 노동력을 수탈할수없는 선진국 반열입니다 사회적 합의와 고통분담에 대해 진지하게 받아들여야합니다
@udod342
@udod342 3 ай бұрын
북한산 백운대 올라가다 이걸 어찌 만들었나 놀라웠는데 이런 노력이 있었네요
@user-xo8fj6iq3b
@user-xo8fj6iq3b 3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감사를 전합니다.
@leenshim
@leenshim 6 күн бұрын
북한산 성곽길 다니면서 멋지다고 생각했는데 정말 대단하신분들이네요! 감사합니다. 덕분에 좋은 길을 잘 다니고 있네요. !
@user-wz1hs9oo7p
@user-wz1hs9oo7p Ай бұрын
와~ 정말 멋진 분들... 존경합니다 , 멋진 성곽 복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oyt74
@oyt74 3 ай бұрын
장인들의 노고에 감사드림니다~
@camelhan
@camelhan 3 ай бұрын
와--- 감사합니당🙏🏻👍🏻
@user-ro4ne8mx4g
@user-ro4ne8mx4g Ай бұрын
너무 고맙습니다. 이런분들은 나라에서 관리 해 주셔야 합니다. 조각나고 아픈 대한민국을 복원 해주셔서 너무 고맙고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user-vb3nt8sj7z
@user-vb3nt8sj7z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vg7se9nc3g
@user-vg7se9nc3g 11 күн бұрын
진짜 대단하십니다~~ 너무 고생하신거 같아 부끄럽습니다~~ 절대 다치지 마세요~
@DRONE.RECONPilot-JOHN_
@DRONE.RECONPilot-JOHN_ 3 ай бұрын
오래전 영상 이지만 진심 존경 합니다..
@user-uk3ix5xc4n
@user-uk3ix5xc4n 3 ай бұрын
음식 구매하여 성곽현장까지 도보로 나르는건 정말 힘들것 같습니다. 고생많으시네요
@nfreddy9238
@nfreddy9238 3 ай бұрын
2010 년도라 추억이네요 ..
@Han-qb4vr
@Han-qb4vr 2 ай бұрын
궁금했던 것을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jhftujjeyK-jt5hb
@jhftujjeyK-jt5hb 3 ай бұрын
엄청난 작업이네요. 그저 놀라울뿐
@user-is2ub4xn9k
@user-is2ub4xn9k 2 ай бұрын
고생이 많슴니다,여러분 존경합니다😊
@user-hd2bg9tw8n
@user-hd2bg9tw8n 3 ай бұрын
이분들 없으면 나중에 미래엔 아무도 안할텐데
@g.stream6586
@g.stream6586 25 күн бұрын
고생하고 애쓰시네... 애국자입니다.
@abell1689
@abell1689 2 ай бұрын
인왕산 성곽 보수공사 할 때 군생활 했었습니다. 작업자 분들이 돌 나르는 모노레일에 저희 태워주시곤 했는데 정말 감사했습니다 ㅋㅋㅋ 성곽 완성은 못 보고 전역했는데 나중에 찾아가보니 번듯한 성곽이 있더라구요 공사 잔해는 다 철거되었고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user-oj5gy3lt1n
@user-oj5gy3lt1n 3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여러분들
@hmkim5319
@hmkim5319 2 ай бұрын
멋진 석공들의 정성과 솜씨 덕분에 완벽하고 아름답게 복원된 성곽을 우리 모두가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니... 참으로 감사한 일입니다. 수고에 감사 드립니다.
@ysj2755
@ysj2755 2 ай бұрын
북한산성을 오를때마다 느낀 감회가 이 영상을 통해 입증이 됬네요 복원에 힘써주신 석공분들 존경합니다. 북한산성을 더욱 아끼며 사랑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apahelkim9678
@rapahelkim9678 1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왠지... 자랑스럽다. 뿌듯하다.
@plasmahey2449
@plasmahey2449 2 ай бұрын
멋집니다~~
@kueri440
@kueri440 3 ай бұрын
노고에 감사드리고 존경합니다❤
@user-hq5yx7zk7v
@user-hq5yx7zk7v 3 ай бұрын
34:29 안전모를 착용할려면 제대로 해야 합니다 머리에 걸쳐만 놓으니까 낭떨어지 밑으로 안전모가 벗겨져 떨어지는 겁니다
@user-qs3tc7lj5d
@user-qs3tc7lj5d 3 ай бұрын
와 진짜 ㅈㄴ 위험해보이네...
@user-xi4nj5bp2i
@user-xi4nj5bp2i 3 ай бұрын
저 공사에 공사비가 총 얼마가 들어가는 겁니까? 온통 수작업이니 시간도 보통 오래 걸릴거 같진 않네요..
@user-ed3du7tg4l
@user-ed3du7tg4l Ай бұрын
노고에 고맙습니다. 그대들이 진정 나라를 지키는 애국자이십니다. 늘 건강하시고 복 받으십시오.
@dongjoonlee4244
@dongjoonlee4244 3 ай бұрын
우리의 역사물을 복원하시는 여러 분의 뜻과 노력이 고맙고 또 고맙습니다 어찌 다른 사람들이 당신들의 노고를 그저 먹고살기 위한 수단으로만 여기겠습니까? 아무나 못할 일을 당신들이 해주고 있습니다.
@dakoto2044
@dakoto2044 3 ай бұрын
작업자님들 경의를 표합니다..
@anzinn
@anzinn 3 ай бұрын
별 의미없는 서류 만드는 공무원보다 이 분들 평생소득이 적어야 할 이유는 나는 하나도 찾지 못한다.
@user-zw5xl4ni7k
@user-zw5xl4ni7k 3 ай бұрын
다시 찾아봐
@anzinn
@anzinn 3 ай бұрын
@@user-zw5xl4ni7k 반말?
@user-pt9tv1ni2i
@user-pt9tv1ni2i 3 ай бұрын
문화재 복원. 정말 고생들 많으십니다
@user-uw9fx6io6o
@user-uw9fx6io6o 3 ай бұрын
우와..대단합니다..기계를 전혀 쓰지 않는 걸 처음알았습니다.
@user-js9nj3lo7z
@user-js9nj3lo7z 2 ай бұрын
선생님들이 진정한 애국자이십니다
@user-cv2yx2rp9u
@user-cv2yx2rp9u 2 ай бұрын
뭔 애국자냐 저게 복원이냐 그냥 모형이구만
@user-st8gl2uz1d
@user-st8gl2uz1d 2 ай бұрын
옛것을 잘 보존하며 과거를 기억해야 더 나은 미래로 갈 수 있죠 아름답네요
@user-vg8qq3qh8f
@user-vg8qq3qh8f 3 ай бұрын
북한산성은 왕의 임시피난처인 북한산성계곡 행궁터를 중심으로 의상봉능선 북한산성길(화면에 나오는곳) 만경대 백운대 염초능선 원효봉으로 한바퀴돌아쌓은것임 암릉과 산성과연결시키면서 그래서 실제 쌓은 산성은 그리길지 않음 작은암문까지 14성문이 있다함
@user-gb7sx9rc8k
@user-gb7sx9rc8k 3 ай бұрын
꾸준히 일이 있어서 기술이 자연스럽게 전수되길.
@sjkevin5278
@sjkevin5278 3 ай бұрын
지금도 3D인데 옛날 조상님들은 지게에 돌을 나르고 해발850미터 오르고 대다해요
@chk5306
@chk5306 3 ай бұрын
보안경 착용하고 작용하히길...
@user-kt7vo7sf8r
@user-kt7vo7sf8r 3 ай бұрын
고생많으셨습니다. 작업 끝나고 꼭 이름을 남겨놓으시길 바랍니다.
@yunmichoi1
@yunmichoi1 3 ай бұрын
북한산 다니며 늘 궁금했는데 저 작업 하시러 올라 오신단게 대단하세요👍👍👍👍 그나저나 이 작업 말고 북한산 계단 만드는건 그만 했음 좋겠어여 자연 그대로 느끼러 가는데 갈때마다 계단이 만들어지더라구요
@user-ln5ov7zg3i
@user-ln5ov7zg3i 3 ай бұрын
어릴때 남아있던 성곽위에서 뛰어놀았던 생각나네
@laysyone94
@laysyone94 3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문화재복원하시는 애국자십니다
@LiberaMeNTE-
@LiberaMeNTE- 3 ай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존경을 표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user-dm6vm5dg9w
@user-dm6vm5dg9w 3 ай бұрын
사소한 실수로 다리뼈 으스러질꺼같는....위험한 일이다....존경스럽네....
@user-dr1zv8dc4r
@user-dr1zv8dc4r 7 күн бұрын
와.. 저런장비로 자재가 올라가는거구나 올라갈떄마다 저거만든사람들 어덯게 만들었나 고민했는데 헬기로 가져오겠지 했는데 저런거였네요
@eeb1530
@eeb1530 3 ай бұрын
2010년 영상인데도 젊은이들이 없네요 ;ㅅ; 기술과 경험을 이어받을 젊은이들이 없어 안타깝습니다.
@dongminyang7967
@dongminyang7967 2 ай бұрын
석공일은 일반평지에서도 힘이드는일인데 더운날씨에 수고 스러운이보입니다 세월이지나도 후손들이 고마워할것입니다
경이로움의 건설: 후버 댐의 비밀이 밝혀지다
17:28
Lesics 한국어
Рет қаралды 321 М.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20 МЛН
Would you like a delicious big mooncake? #shorts#Mooncake #China #Chinesefood
00:30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