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 전, 서울 인왕산 절벽에 새겨진 5m 크기의 거대한 글자! 누가 왜 새긴 걸까?

  Рет қаралды 1,067,852

스브스와이드

스브스와이드

11 ай бұрын

#인왕산 #치마바위 #모닝와이드
#병풍바위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흔적 #자욱 #인왕산암벽등반
서울 도심의 인왕산, 조선시대 4대 산으로 불리며
많은 등산객이 찾는 이곳에 기이한 흔적이 있다.
형태를 알 수 없는 흔적은 하나 하나가
5m 정도 크기여서 총 길이는 수 십 미터에 달한다.
놀라운 점은 그 위치가 바로 치마바위,
수직 절벽에 자리한 것! 인왕산 절벽의 바위는
강도가 단단한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무언가를 새기기 쉽지 않다는데...
대체 이 미스터리한 흔적은 누가, 왜 남긴 것일까?
추적 끝에 밝혀지는 충격적인 진실을
"미스터리 Re부트" 에서 취재했다.
SBS '모닝와이드 3부' (2023.07.15 방송)

Пікірлер: 1 200
@yd5024
@yd5024 11 ай бұрын
일제군국주의 시대의 잔재였군요. 다시는 어떤 나라든지 우리를 어떻게 하지 못하도록 힘을 길러야죠.
@komaru20
@komaru20 11 ай бұрын
그렇죠. 그러나 일제강점기 전처럼 정치하는 놈들은 여전히 싸움질만 하고있죠. 군사력은 좋아졌으나 정치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거 하나도 없는듯 하네요.
@BOBS-ux2gf
@BOBS-ux2gf 11 ай бұрын
북한이나 잘막아라 대깨문들아
@meebongkim133
@meebongkim133 11 ай бұрын
참 식민잔재가 무섭고 서글프네요
@user-le7jg2jk1n
@user-le7jg2jk1n 11 ай бұрын
지금도 국개는 여전히 당파싸움질...
@user-ob1dg6vn5c
@user-ob1dg6vn5c 8 ай бұрын
@@komaru20 한미일 3국 군사 공조 체제가 한국을 강성대국으로 만들 겁니다.
@walkholic3
@walkholic3 9 ай бұрын
서대문구에 오래살고 인왕산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바위에 한자가 써있는건 알고있었는데 뜻은 처음 알게되었네요. 참 아프고 속상한 역사익니다
@rainmune
@rainmune 11 ай бұрын
와, 이건 진짜 훌륭한 교육영상이다! 영상을 클릭하기 전까지는 그저 조선시대 이전의 풍류 뭐 그런 건 줄 알았는데 일제가 저런 짓까지 한 적이 있다고요? 😳 7:00 😡 치가 떨린다. 🌺🇰🇷
@hmkim5319
@hmkim5319 11 ай бұрын
일제가 별의별 해괴망측힌 짓거리를 우리 금수강산에 저질렀다믄 것을 새삼 알게되었고… 이를 취재를 통해 알려주시니 감사히 배우고 갑니다!!!
@user-pg4uv6nu6p
@user-pg4uv6nu6p 11 ай бұрын
못지킨 우리가 바보지 지금도 개버릇못버리는 이나라
@Parkjk09
@Parkjk09 11 ай бұрын
@@user-pg4uv6nu6p 니 말도 맞긴한데, 그렇다고 약한 애을 센애들이 무조건 두들겨 패는게 옳은거라고 할수 있냐? ㅋ
@suebongjin4684
@suebongjin4684 11 ай бұрын
일제의 잔재가 저정도인데 북쪽 명산대천에 수령님 찬양으로 도배된 공산독재의 잔재는 얼마나 많을까 싶네요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11 ай бұрын
@@suebongjin4684 친일파 튀어나와서 물타기 하는 거 봐라 ㅉㅉ
@dr.k4178
@dr.k4178 11 ай бұрын
김일성이 너네 금수강산에 저지른 짓이 더 해괴망측하단 생각은 안 드냐?
@nana42718
@nana42718 11 ай бұрын
옛 일제가 우리나라의 민족혼에 상처를 남겼음을 대대손손에게 보여주고, 남아있는 이 상처를 통해 다시는 우리나라의 주권을 타국에게 넘겨주지 말아야 한다는걸 가르쳐야 합니다. 아픈 역사를 배운다건 전혀 부끄러움이 될 게 아니고 절대로 잊지 않아야 할 국민들의 교훈입니다.
@BOBS-ux2gf
@BOBS-ux2gf 11 ай бұрын
수천번 침략한 중국은??
@pssfop
@pssfop 11 ай бұрын
@@BOBS-ux2gf ㅋㅋㅋㅋㅋㅋㅋㅋㅋ
@magicwand7087
@magicwand7087 11 ай бұрын
@@BOBS-ux2gf중국이 그들 말을 강요하지 않았고 우리나라를 복속 시키지 않았으니 일제식민지 시대와는 다르다 생각함 이분은 우리가 중국 식민지였다 생각하는 모양.
@user-bm8di9em2n
@user-bm8di9em2n 11 ай бұрын
@@BOBS-ux2gf 뭐나 알고 이야기를 하는지 생각은 하고 사는지 중국과 일본은 우리의 주적이고 항상 경계대상이다 누구는 좋고 나쁘고의 차이가 아니고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돌보고 지켜야한다 일제때 왜 우리가 일본에게 당했는가 바로 친일파들이 나라를 배신하고 팔아 먹었기 때문이다 우리스스로 나라를 배신 하지 않으면 결단코 우리나라를 넘보지 못한다
@youngseo8636
@youngseo8636 11 ай бұрын
가장 큰 일제잔재는 처단하지 못한 2찍들
@hongsilee9908
@hongsilee9908 10 ай бұрын
인왕산 주변 동네에서 나고 자라며...수없이 산을 오르내렸는데...이런 끔찍한 일제잔재가 남아있었는줄은 몰랐어요! 소문으로 인왕산의 정기를 막기위해 못을 박아 놓은곳이 있더라 정도였지...치맛바위 매일 보며 살았었는데...소~오~름! 지금이라도 알게되어 다행이라 생각됩니다!
@user-xs9jz9vh1d
@user-xs9jz9vh1d 6 ай бұрын
​@user-pk3tq2gf8t 비과학을 믿어서가 아니라 일본이 박아놓은 말뚝을 그냥 두는것도 보기좋은것은 아닌것 같은데요 😅
@user-ph4tz9tg3s
@user-ph4tz9tg3s 10 ай бұрын
아까운 우리의청춘들이 희생됐네요 잊으면안됍니다
@user-tt7fv8lh9b
@user-tt7fv8lh9b 11 ай бұрын
와c 엄청난 우리 문화유산 인가 했는데 저런건 알리기도 하고 기억하는것도 좋지만 싹다 글어 없어졌음 ㅜㅜ 맘이 아프네
@user-it8vw7kp6j
@user-it8vw7kp6j 13 күн бұрын
그럼그걸 남겨놓냐 지우고 없애야지
@user-vj8lf9vd2w
@user-vj8lf9vd2w 11 ай бұрын
맞슴니다, 참고로 홍제동 화장터 역사? 경성전기 역사? 미아리고개 역사? 성북동 이육사님의 역사? 의정부 소위 정치범 수용서 역사? 등등 헤아릴수 없이 많은 일제의 또한 일본 추종 밀사들의 범죄 낱낱이 밝혀 후손들이 새겨야 합니다!
@suminlee1765
@suminlee1765 11 ай бұрын
헐..저게 지금에서야 발견됐다는겨? 그동안 얼마나 많은 인왕산 등산객들이 그 긴세월 지나다니며 봤을 바위인데 왜 지금에서...
@tiger2566
@tiger2566 11 ай бұрын
그렇습니다
@koradam0
@koradam0 11 ай бұрын
당시 서촌 인왕산 근처에 살았던 사람들은 대부분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저것뿐만 아니라 인왕산 여기저기 큰 바위들에는 과거 일제가 박아 놓았던 쇠말뚝 흔적으로 추정되는 구멍이 열을 지어 있는 것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었습니다. - 서울 오백년 토박이 올림 -
@greentree1349
@greentree1349 11 ай бұрын
복원은 좀 아닌것같고 안내문으로 대체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user-hl3bk8vc9t
@user-hl3bk8vc9t 10 ай бұрын
판자국입니다
@user-ob1dg6vn5c
@user-ob1dg6vn5c 8 ай бұрын
@@tiger2566 그렇기는 뭘 그래요?
@ohanaj5124
@ohanaj5124 11 ай бұрын
인왕산에 일본인들이 동아시아 전쟁에서 이길려고 발악하며 인왕산 절벽에 저희들의 염원을 썼는데 어쩌나 일본의 동아시아 삼킬 야욕을 인왕산 호랑이들 혼들이 일본군안들의 혼들을 삼켜서 패망하게 했네.
@user-fv4cl9tr5v
@user-fv4cl9tr5v 11 ай бұрын
좋은 자료 정보 역사~~ 이태호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luckytl8334
@luckytl8334 11 ай бұрын
ㅋㅋㅋ 선동에 넘어가서 김사 하세요? ㅋㅋㅋㅋ
@user-cn8ef7mv3p
@user-cn8ef7mv3p 11 ай бұрын
감사는 개뿔 .. 학자란 놈들은 우리가 일본의 침략이 아닌 고종과 탈레반 같은 양반놈들이 조선을 일본에 갖다 바쳤다는 사실은 왜 안가르치냐??? 엄연히 폴란드에 독일이 쳐들어가서 독일은 전쟁배상금과 사과를 한 것이지만 우리는 갖다 바쳤다. 개같은 교수 학자들...
@hanhee516
@hanhee516 11 ай бұрын
정부가 나서서 최대한 보기싫은 흔적은 없애고 바위의 자연스러운 멋은 살리도록 했으면 좋겠네요. 보는동안 마음이 너무 아팠거든요.
@SpecialKnight
@SpecialKnight 11 ай бұрын
아픈 역사도 남겨두고, 일제의 만행을 대대손손 알려야죠!! 절대 잊어선 안됩니다. 왜놈의 만행을...
@user-pc6sk8dj1d
@user-pc6sk8dj1d 11 ай бұрын
日本にたよるな、
@stacyjung3361
@stacyjung3361 11 ай бұрын
흉한 역사도 역사인걸요. 차라리 그대로 놔뒀으면 후대에 큰 교훈이 되었을 겁니다. 그러기엔 해방후 반일감정이 너무 크긴 했죠
@user-gd2uh6cx3w
@user-gd2uh6cx3w 11 ай бұрын
그러기엔 굥이 너무나 일본인 피가 흐르는것 같은데...
@user-sk2jz8jz8i
@user-sk2jz8jz8i 11 ай бұрын
​@@user-pc6sk8dj1d 일본천왕도 백제의 후손인건 알지?!ㅋ ㅋ
@yunsulee1775
@yunsulee1775 11 ай бұрын
저는 어린시절 바로 그 바위 아래 옥인동에서 자랐습니다 일제가 새긴 글을 해방이 되고 나서 지웠다는 이야기를 듣고 자랐죠
@naknak790
@naknak790 11 ай бұрын
힘 없으면 당하는 거고, 일제에 부역했던 자들을 처단하지 못하면 다시 역사는 반복된다는거.. 지금 잘 보여주고 있다..
@user-qd2le3ic1k
@user-qd2le3ic1k 10 ай бұрын
지독하고 악독한 것들의 잔재가 아직도 버젓이 남아 있는 것이 가슴아픈 현실이다. 잊을 수도, 잊혀져서도 안될 우리의 아픈 역사이기에 견뎌내어 내일의 밑그름으로 삼아야 한다.
@user-bm8di9em2n
@user-bm8di9em2n 11 ай бұрын
일제의 잔재 청산이 답이다 그리고 철저히 교육을 하고 다시는 일본에 당하는 일이 없도록해야한다
@user-sk5ge4ov6z
@user-sk5ge4ov6z 11 ай бұрын
윤가놈 부터 청산하는게 급선무
@southkorea6693
@southkorea6693 11 ай бұрын
바위에 새겨진 지배의 흔적처럼 정치,경제,교육 모든분야에 잔재해있는 일본 식민사관을 그대로 가진 사람들이 가장뿌리깊은 현실.
@dbfh1258
@dbfh1258 11 ай бұрын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역사의 유산으로 그대로 남겨 둬야지요. 인도는 영국의 식민지로 있었던 치욕의 역사를 지우지 않고 그대로 둡니다. 영국이 식민지배를 하면서 세운 수많은 건축물을 그대로 잘 보존 합니다. 한국은 조선총독부 건물이라고 헐어 버렸지만 인도는 역사의 유산이라고 그대로 보존 하지요. 저것이 치욕의 역사라면 지워서 모른 척 할 것이 아니가 후세에 귀감이 되고 반성하고 다시는 그런 역사를 겪지 않게 다짐할 수 있게 남겨 둬야지요. 지운다고 식민지 역사가 없어집니까? 도대체 한국인들의 사고방식은 후진국 보다 못한 것 같네요.
@anthonyjung7060
@anthonyjung7060 11 ай бұрын
웃긴건 그쪽같은 사람들은 친중임ㅋㅋㅋ
@southkorea6693
@southkorea6693 11 ай бұрын
@@anthonyjung7060 난친중이라 말한적없는데 단정짓는건 사실이아님요.식민사관못지않게 위험한게 중화사상이네요.
@k35714202
@k35714202 11 ай бұрын
​@@anthonyjung7060흑백논리 개쩌노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11 ай бұрын
그렇다고 지금 유튜브 일각의 행태처럼 아니면 말구 식의 맘대로 사관은 더 않좋습니다.
@user-lb6xs2jf9f
@user-lb6xs2jf9f 10 ай бұрын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해야합니다. 반성하도록 남겨두는 것도 나쁘지 않을듯... 그리고 일본은 반성 하게 해야합니다. 대대손손 반성해라!
@user-gj1os5hs8b
@user-gj1os5hs8b 11 ай бұрын
일제 잔재는 역사유물이 아닙니다. 청산해야 해요. 일제가 조성한 건축물이나 유물은 파괴해서 없애야 합니다. 일제때 사용하던 용어나 관습들도 없애야 해요.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저런것은 역사유물이 아니에요. 저런 것들이 남아 있으면 민족혼이 더럽혀집니다. 쓰레기는 버려야 새 물건을 채울 수 있어요.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11 ай бұрын
1927년에 세워진 청와대부터 없애야 합니다. 당시 경복궁 후원을 훼손하고 일본총독의 관저를 지은 것이 지금의 청와대 입니다. 그런데 더민주는 청와대를 아주 좋아하는지 용산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옯긴다니 입에 개거품을 물고 결사 반대하더군요.
@KJ-ch7tl
@KJ-ch7tl 3 ай бұрын
제국주의 일본은 한반도 곳곳에 용서 못 할 온갖 별 짓을 다 했네요. 땅도 사람도 온갖 고통을 겪은 흔적이네요.
@user-su6dx5ls5x
@user-su6dx5ls5x 11 ай бұрын
일본이 선전용으로 벽에 새긴걸 보고, 그게 보기 싫었던 누군가가 징으로 글자들을 일일이 망가뜨린거 같네요~ 참, 잘했습니다!!!!!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11 ай бұрын
개인이 하기엔 너무 규모도,위험도 커서 국가나 단체가 한 것으로 보입니다.
@bear_clay
@bear_clay 11 ай бұрын
국가 예산을 들여서 했다잖아요... 영상을 좀 보고 댓글 달던가
@user-iv5wb1db5z
@user-iv5wb1db5z 11 ай бұрын
​@@bear_clayㅋㅋㅋ저런 사람들이 영상 일부분이나 제목만 보고 여기저기 잘못된 정보 퍼트림 ㅋㅋㅋ
@sadaricha82
@sadaricha82 11 ай бұрын
국가에서 85만원 들여서 했다잔아요
@tkdrb1024able
@tkdrb1024able 11 ай бұрын
차라리 보존해서 교육하는 것이 더 좋을 듯
@user-hi4pi2op6x
@user-hi4pi2op6x 11 ай бұрын
일제 때 새긴 석각문을 이승만 정권 때 보기 싫어서 파내었군요. 깔끔하게 바위 원형대로 복원하는 기술은 없나요? 우리 민족의 상처같아서 마음 아프네요.
@sjudhsdd2579
@sjudhsdd2579 11 ай бұрын
원형대로는 불가능하고 자언스럽게 할 수는 있죠
@simchun_p402
@simchun_p402 11 ай бұрын
그 앞에 안내판을 세워야 하죠, 힘든 역사가 있었다는거.
@user-rr9zi2qb2q
@user-rr9zi2qb2q 11 ай бұрын
후쿠시마 핵오염수로 닦아내야 한다
@sunset-korea
@sunset-korea 11 ай бұрын
이미 파내서 새긴건데 원형복원이 가능할까요?
@asdofjd
@asdofjd 11 ай бұрын
​@@sunset-korea콘크리트 배합해서 발라야져 뭐...
@user-pn4pp3bv9q
@user-pn4pp3bv9q 11 ай бұрын
저런 것들을 보면서 우리가 과연 일본을 믿을 수 있고 함께 나가야할 동반자로 여길 수 있을까? 우리가 당했던 과거를 결코 잊어서는 안된다.
@luckytl8334
@luckytl8334 11 ай бұрын
곰의 쓸개를 씹어보셨나봐요? ㅋㅋㅋ 선동질에 감성은 최악이랍니다
@user-mo4hv1xw6s
@user-mo4hv1xw6s 11 ай бұрын
다 알겠는데요~ 그럼 뭐 어떻게 하고싶으세요??
@user-pn4pp3bv9q
@user-pn4pp3bv9q 11 ай бұрын
@@user-mo4hv1xw6s 딱 36년간 일본을 손아귀에 쥐고 우리가 당했던 처럼 해주고 싶소.
@userJames-Miner
@userJames-Miner 11 ай бұрын
​@@luckytl8334뭐가 선동질 인거지? 곰쓸개는 씹어본적은 있고?
@user-pn4pp3bv9q
@user-pn4pp3bv9q 11 ай бұрын
@@luckytl8334 장어의 쓸개는 씹어봤소만. 혹시 당신은 씹어보셨소?
@user-ky8lx1es5k
@user-ky8lx1es5k 11 ай бұрын
슬픈 일제. 잔제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yh3iq5tn1n
@user-yh3iq5tn1n 11 ай бұрын
일본은 가까운 나라지만 우리 민족의 혼을 뭉겐 나라 입니다.결코 일본의 들러리는 말아야죠!
@dr.k4178
@dr.k4178 11 ай бұрын
혼을 어떻게 뭉겠니? 너무 두루뭉실하다. 좀 더 정확하게 알려줘.
@fantasticfarm007
@fantasticfarm007 11 ай бұрын
저 역사를 모두가 모르고 있었네요, 몰라서 잊고 있었네요 바위 밑에 역사를 알리는 내용의 알림판이 있어야 하지 않나요?
@user-qm7si4tt3o
@user-qm7si4tt3o 11 ай бұрын
이렇게 역사를 알아야 되고 , 지금 이 나라에 존재하는 친일파도 도려내야 합니다.
@simchun_p402
@simchun_p402 11 ай бұрын
맞아요, 앞에서 반일 하면서 뒤로 친일하는 진짜 친일파.
@eogksrnrdls
@eogksrnrdls 11 ай бұрын
맞아요 노재팬 난리치면서 일본여행가는 4050 친일파들
@freehamsters
@freehamsters 11 ай бұрын
친일파보담두 더 심각한게 중화좌파에요..
@user-qm7si4tt3o
@user-qm7si4tt3o 11 ай бұрын
@@freehamsters 둘다 문제겠지요! 극우파도 좌파됴!!
@gn.l3762
@gn.l3762 11 ай бұрын
친중 종북 좌파들이 지금은 친일파보다 더 위험합니다.ㅡ 경제적으로 군사적으로 이제 일본 하고는 짱 뜰수 있는 한국 그러나 중공에게는 한국 일본이 힘을 합해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user-ps3rs7xs6x
@user-ps3rs7xs6x 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이네요~감사합니다.
@user-sn1tv3zi2t
@user-sn1tv3zi2t 11 ай бұрын
조금 편집되기는 하였으나 내용 전달에는 무리가 없네요~
@user-pc6il9dl2h
@user-pc6il9dl2h 11 ай бұрын
저바위를 깍아서라도 그위에 애국가로 새로 새겨넣어야할것같습니다 그렇게라도해야 분이풀릴것같고 우리국민정서에도 위안이될것같다는생각이듭니다.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11 ай бұрын
그럴경우 자연 회손입니다.
@entn8769
@entn8769 11 ай бұрын
애국가도 친일파 안익태 작곡인데.
@iamright_youwrong
@iamright_youwrong 3 ай бұрын
전국의 바위산에 김치와 독도, 김연아, 박지성, 싸이를 새기는 건 어떨까요
@user-vv4bs7gi3q
@user-vv4bs7gi3q Ай бұрын
@@user-oz1ol2nd2k 일제넘들 잔재 보존 하는건 좋냐?
@wounsyang7997
@wounsyang7997 11 ай бұрын
평화주의자 이지만... 일본에 대해서 만큼은 아니고 싶다.. 언젠가 일왕의 거처를 동물원, 아니 일본열도 전체를 통체로 동물원으로 만들어 버리고 싶다.
@bigtree8867
@bigtree8867 11 ай бұрын
일제강점기의 아픈 역사가 21세기에도 대한민국 구석구석과 마음에 생채기로 남아 있는데, 아직도 일본의 태도는 더 나은 미래로 진화와 발전의 시계가 정지~~~!!!
@user-cq1qs4st3z
@user-cq1qs4st3z 11 ай бұрын
뭐래?ㅋㅋ 21세기에도 아직도 식민지 못벗어나 식민지를 살고있는 시계가 정지한 조선 사람이 있네~
@ymj2934
@ymj2934 11 ай бұрын
6.25는? 지난 수천년동안 쳐들어와서 우리민족 포로로 잡아간 중국은? 조선이 쇄국정책으로 스스로 발전을 포기하고 일본한태 먹힌건데 역사를 좀 쳐알고 씨부리지? 지도자가 무능해서 조선이 망한거지.
@entn8769
@entn8769 11 ай бұрын
​@@user-cq1qs4st3z직접 당해봐야..
@user-cq1qs4st3z
@user-cq1qs4st3z 11 ай бұрын
​@@entn8769 조선시대 자자 손손 노예로 살아 봐야 일제 시대 아야기를 못하지,,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11 ай бұрын
@@user-cq1qs4st3z 과거에 대한 반성 없이는 미래로 나아갈 수 없음
@ryanko3838
@ryanko3838 11 ай бұрын
피디야 원판을 찾았으면 이왕이면 내용을 정확하게 알려주면 더 좋잖어
@user-lj5vp8wk3u
@user-lj5vp8wk3u 11 ай бұрын
1950년대 인왕산 밑인 누상동에서 매동국민학교 다녔고 그때 인왕산을 많이 올 랐는데 당시 그바위들을 글씨쓴바위로 불렀습니다. 어른들이 일제 찬양글이었다고 한 기억이 있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무슨글인가 궁금했는데 밝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user-no1jh2pi9t
@user-no1jh2pi9t 11 ай бұрын
우리민족의 상처같아 슬프네요
@user-mz7cj8fw6x
@user-mz7cj8fw6x 11 ай бұрын
다시는 그런일을 격을순 없잖아요...... 제발 대부분 정치인들, 일정부분의 늘공무원들 정신 차리길 바랍니다 당신들이 대한민국 척추이자 허리여서 당신들이 정신못차리고 뺀질거리고 잔대가리 굴리면 다같이 망하는 겁니다 우리만 망할지 알았지 결국엔 당신들도 망합니다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11 ай бұрын
역사를 망각하면 역사는 항상 더 크고 비참하게 반복됩니다. 지금 중국이 한반도를 자신의 땅이라고 주장 한 지가 수 십년이 되었고 요사이 더 심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않됩니다.
@user-bn8op6jy1w
@user-bn8op6jy1w 11 ай бұрын
북한의 금강산 백두산 바위에는 김일성 일가의 주체사상 선전선동 찬양글이 기암괴석 바위에 수도없이 새겨져 있다는데 통일되면 다 지우기도 힘이들듯 하네요.
@Guide_Ben
@Guide_Ben 11 ай бұрын
오우 재밌게 잘 봤습니다.
@guppy1106
@guppy1106 11 ай бұрын
이런일이, 역사는 알고 알려야죠😮
@user-qx2co4zv1f
@user-qx2co4zv1f 11 ай бұрын
누가 했는지 안 밝혀진 모양이네요. 하여튼 그분 고맙습니다.
@Ruhen1988
@Ruhen1988 2 ай бұрын
덕분에 중요한 지식을배우고 갑니다..
@user-lu1ej5dg9k
@user-lu1ej5dg9k 11 ай бұрын
귀한영상이네요
@blacksilk20
@blacksilk20 11 ай бұрын
좋은방송 쵝오
@user-pt5re9wt7o
@user-pt5re9wt7o 11 ай бұрын
80년전이라고 할 때부터 일본놈들이 새긴 거라 추측했는데 이승만이 지운 거라고는 생각못했네요.
@eogksrnrdls
@eogksrnrdls 11 ай бұрын
이승만, 박정희 시절 반공과 함께 반일교육도 심했습니다. 그 씨앗들이 자라서 지금의 4050 모지리들이 된 것이구요.
@mooyook2
@mooyook2 11 ай бұрын
미국에 패망한 일본의 아시아 제패를 기원하는 문구에, 미군정의 도움을 받아 수립된 이승만 정권이 친일파를 그대로 대거 고용한 것과 달리 북한은 친일파를 거의 숙청한 상태인지라 , 계속해서 이승만 정권에 대한 반발심과 정권 수립의 정당성과 독립성의 정체성마저 의혹이 컸었죠. 더구나 이승만의 주문에 의해 존경받던 실질적 독립운동가 정치인들이 사형이나 암살되자 국민들의 봉기가 두려운 상태에서 그래서 그런 것을 종식코저 친일 잔재를 없앤다는 취지하에 저 문구들을 없애게 되었습니다. 지우고 싶어서 지운 것이 아니라..
@mooyook2
@mooyook2 11 ай бұрын
남한 내의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고, 북한은 북한대로 남로당의 힘을 제거하여 어느정도 자리 잡아가기 시작하자 몇달 후에 남침을 하게 된 것이죠. 6.25 가 즉흥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죠. 시와 때를 기다렸다가 이때다싶어 하게 된 것이죠.
@user-xu5sl4qo5m
@user-xu5sl4qo5m 11 ай бұрын
당연히 지워야지
@eogksrnrdls
@eogksrnrdls 11 ай бұрын
@@mooyook2 당시 국제정세를 보세요. 유라시아 대륙 동쪽 끝자락에 공산화가 안된 지역은 새끼손톱만큼 남은 남조선 밖에 없었습니다.
@user-ek8ym3tj2f
@user-ek8ym3tj2f 11 ай бұрын
조선일보나 동아일보가 잘 알 것 같은데...거기서 물어봤으면 바로 알려줬을 듯ㅋㅋㅋㅋㅋ
@Z_KOREA
@Z_KOREA 11 ай бұрын
너무 정답이라 ㅋㅋㅋㅋㅋㅋㅋ아마 영상에 흥미가 떨어져서 돌고 돌은듯
@sungkihan2877
@sungkihan2877 11 ай бұрын
중앙일보도 같이요~
@user-iv5ql1sq4i
@user-iv5ql1sq4i 11 ай бұрын
조중동은 방송으로 내보내지도 않겠지ㅎ 오히려 모르는척 묻어버리지, 제 얼굴에 침 뱉기라서,,
@Lucyatl5949
@Lucyatl5949 11 ай бұрын
정직한 언론지는 오직 한겨레, 오마이뉴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ii3ru3ss4j
@user-ii3ru3ss4j 11 ай бұрын
ㅋㅋ
@user-ef9yv3wq3m
@user-ef9yv3wq3m 11 ай бұрын
아 모르던거네요 구독합니다
@user-vj8lf9vd2w
@user-vj8lf9vd2w 11 ай бұрын
참고로 인왕산 가장 밑 첫넓은 바위가 매일 치마를 펼쳐 놓았다는 치마바위, 윗쪽은 글자바위 누운침리 반경 횡단스랩 지렁이 크랙 언더홀드 60도 스랩 하산스랩외 스랩1(치마바위) 스랩2 스랩3 입니다. 아랫글 밀사는 밀정이 더 정확한 표현 이랄까요?
@user-gl1qe9kc1j
@user-gl1qe9kc1j 11 ай бұрын
후지산에 애국가를 새기자!
@TV-ph1tw
@TV-ph1tw 3 ай бұрын
지금이라도 일본정부에 책임을 묻고 훼손한 바위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라고 요구해야?
@user-ij1dn7ie1f
@user-ij1dn7ie1f 11 ай бұрын
알고... 그분노는 잊지말아야지
@klausfeuermann3825
@klausfeuermann3825 11 ай бұрын
그냥 봐도 글씨라는 것을 알 수 있는 사실에 6분을 사용하고, 정작 중요한 사실은 달랑 2분을 투자하는 놀라운 수준의 방송...
@user-it6mo1ly4x
@user-it6mo1ly4x 11 ай бұрын
봐도 한문인데 자연적으로 생겼다는거 뇌에서 나온거 아니고 대본인거죠?
@sophiakang3346
@sophiakang3346 10 ай бұрын
댓글중에 누상동에 사시면서 매동국민학교 다니셨다는분이 계신데요. 저역시 내자동에 살며 일주일에 한두번씩 인왕산을 오르내렸으며, 그 최상단에 큰 암석(?)엔 양치는 목자의 전신상이 크게 새겨저 있는것을 보았죠. 암극화하여 파놓은것이 아니고 그저 새겨 놓은것이죠. 옛날 얘기를 (7~80 년전) 돌이키게 해줘서 고맙군요. 뉴욕에서
@user-ek8ym3tj2f
@user-ek8ym3tj2f 11 ай бұрын
자연적으로 생긴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ㅋㅋㅋ
@prococonut
@prococonut 11 ай бұрын
목 위에 있는 게 장식품이라
@vynyl
@vynyl 11 ай бұрын
1인1표 원칙
@jhshin9413
@jhshin9413 11 ай бұрын
빗물이 쏟아져도 암벽에 저런식으로 도려낸 흔적이 안 나옴.
@Dynamicsg
@Dynamicsg 11 ай бұрын
경술국치 잊지말자 . .!
@user-wb3tf1lm1e
@user-wb3tf1lm1e 11 ай бұрын
이제 좀 잊자 ㅋㅋㅋㅋㅋㅋㅋ
@YDSnim
@YDSnim 11 ай бұрын
헐.
@user-dg7ip2ve3w
@user-dg7ip2ve3w 3 ай бұрын
일본은 지금도 대륙정복의 야욕을 포기하지않고 오히려전쟁 가능한국가를 만들려고 혈안이 되어 있읍니다 지난 과거의 역사에서 잘못된 점을 뉘우치지 못하고 고치지 못한다면 한국은 뼈아픈 역사를 되풀이 할수도 있다는점을 항상 마음에 경각심을 가지고 역사 의식을 더욱 굳건하게 고취 시켜야할것입니다
@iapetos3429
@iapetos3429 11 ай бұрын
나라가 힘이 있어야 된다. 국방력을 강화 하자
@user-rl2zy6zb2t
@user-rl2zy6zb2t 11 ай бұрын
최고의 정답이라 생각함
@user-sj5nb3zp3c
@user-sj5nb3zp3c 11 ай бұрын
없앤 분들께 박수!
@user-np8nv8zv2b
@user-np8nv8zv2b 11 ай бұрын
마음은 아프지만 영상감사합니다👏👏👏👏👏👏🇰🇷🇰🇷🇰🇷🇰🇷🇰🇷🇰🇷🇰🇷
@ssingx7426
@ssingx7426 11 ай бұрын
어렸을때 옥인아파트 살았었는데 저거보면서 수영했던거 생각나네..글씨같은거 써있다고 생각들긴했음 진짜글씨였네 ㄷㄷ
@user-bp1jl2qc6o
@user-bp1jl2qc6o 11 ай бұрын
저 바위 꼭대기 전신주 주변에서 케이블 작업 했었는데 2018년 8월초.cctv작업 자재 들고 꼭대기 오르느라 7일간 죽는줄.....체감온도45도 ㅜㅜ
@user-wy4eb1hk5p
@user-wy4eb1hk5p 11 ай бұрын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습니다
@wj8671
@wj8671 11 ай бұрын
그거 현수막 사장이 만든 말임
@dongmyounglee3010
@dongmyounglee3010 11 ай бұрын
서로 전쟁한 역사를 잊고 잘 사는 민족 ㅡㅡ 미국과 일본 ㅡ 독일과 유럽 ㅡㅡ 등등 아직도 이런 소리하는 인간이 있네 ㅡ 생각 좀 하고 살자 ㅡㅡ 좀비 냐 ?
@user-wb3tf1lm1e
@user-wb3tf1lm1e 11 ай бұрын
미래 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seriato
@seriato 11 ай бұрын
일제 내용 이야기 하면서 스즈메 노래 쓰는게 현 상황을 단번에 풍자하는군요
@user-hn5mh5mw2w
@user-hn5mh5mw2w 10 ай бұрын
50년전. 절이있어서 인왕산에. 갈때도 있었는데 이제라도 알고 안좋은거라면 없애버리면 좋겠습니다
@user-eg1ks2xj5e
@user-eg1ks2xj5e 11 ай бұрын
이제라도 하나씩 서러운 세월을 똑바로 알려주세요!
@user-ry2jl1bw8y
@user-ry2jl1bw8y 11 ай бұрын
옛날이나 지금이나 자연회손은 여전하군
@user-fx3fw9em7d
@user-fx3fw9em7d 11 ай бұрын
지워진 흔적 그대로 두고 일제의 만행 을 알 려야지요 .저걸 지우려하면 다시 인위적인 힘을 가해야 하니까요. 세월이가면 비바람에 서서히 달아지겠지요.
@user-fe6nu5zs2m
@user-fe6nu5zs2m 11 ай бұрын
우리도 후지산에다 새기자~~~ 대한민국 ~^^
@freehamsters
@freehamsters 11 ай бұрын
우리는 그정도로 멍청하진 않음요 중공이나 게다짝레벨에 우릴 맞추진 맙시다욧
@ckk9368
@ckk9368 11 ай бұрын
그럴능력이라도 우리가갖고있나? 우리 아직일본에게 쨉도안되요 이러니저러니 우리끼리만얘기지 외국나가봐요일본100 이면한국40정밖에안되요
@stacyjung3361
@stacyjung3361 11 ай бұрын
후지산은 바위산이 아니고 화산인데요..휴우...그런 짓 해봐야 비웃음 당해요. 중국인스럽잖아
@yoonsanghun
@yoonsanghun 11 ай бұрын
모양을 보니까 한자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역사 애기가 있었다니.
@user-dw3wk8hh9c
@user-dw3wk8hh9c 11 ай бұрын
들킨게 용와대 입장에선 가슴 아픈 일. 아마 흔적 지우는데 국비 지원은 안되겠죠?
@junepark7887
@junepark7887 11 ай бұрын
병풍바위에 일제 만행을 ㅠㅠ
@yongbinsong9676
@yongbinsong9676 11 ай бұрын
그런대 정말 웃긴 게 이 나라 역사가 식민사관으로 도배되어 있다는 거. 학교에서 배우는 모든 역사가 식민사관이고 국립중앙박물관조차 그 결과물이라는 거.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2 ай бұрын
1950년대에 한국일보 주필 유광열옹께서 한국일보에 매일 서울 육백년을 계재하셨었는데 찾이보시기를 바랍니다. 통의동에서 자랄때에 글씨 바위라고 불리웠었는데 희미한 글씨 모양으로 보였었습니다.
@21cmyhurrah
@21cmyhurrah 10 ай бұрын
일제 흔적이 맞기는 하네. 그렇지만, 인왕산 글자 중에는 개인 이름 새긴 경우도 많다. 또, 북쪽 금강산 등등에는 훨씬 심한 글자들이 더 많이 있지.
@justinoh2257
@justinoh2257 11 ай бұрын
역사는 역사다. 잊지 않기 위해 잘 보존해야한다고 생각
@Nareum_daero
@Nareum_daero 11 ай бұрын
철거가 답이다.
@greentree1349
@greentree1349 11 ай бұрын
잘 보존? 때빼고 광내면서??
@LINWOO.
@LINWOO. 7 ай бұрын
이런건 기록으로도 충분하지 뭔 보존이야?
@user-ms3ey1vz2b
@user-ms3ey1vz2b 11 ай бұрын
글자 지워주셔서 감사합니다 오염수 버리면 용왕님이 노해서 일본이 몽땅 잠기면 울나라로 피난오겠지. 과히 반기지만은 못할듯.
@user-lj8vt8fe3x
@user-lj8vt8fe3x 3 ай бұрын
오! 세훈이 다시 뽑은 서울시민이시군요. 누가 왜 뽑았는지 궁금했어요.
@ha-ol9jl
@ha-ol9jl 2 ай бұрын
니 배고프냐?
@user-ke6sx8ne6b
@user-ke6sx8ne6b 2 ай бұрын
그냥 놔두면 결국은 풍우에 깎여 없어지겠지만, 신경 쓰이면 메꾸는 것도 한 방법.
@migueljo7846
@migueljo7846 11 ай бұрын
그당시에 장비도 없을텐데 새긴 넘이나 지운 넘이나 대단하다😮
@hanun114
@hanun114 11 ай бұрын
헉!
@user-md7yx2ld2k
@user-md7yx2ld2k 11 ай бұрын
전대 천마가 천마신공 5초식을 펼친자리입니다
@sjudhsdd2579
@sjudhsdd2579 11 ай бұрын
누구냐 너..타임슬립을 나만 한 줄 알았더니..너 혹시 정파냐?
@user-zs8ng2ci7j
@user-zs8ng2ci7j 11 ай бұрын
​@@sjudhsdd2579천마는 사파 지존이다!!!
@user-mj5fy5qw8z
@user-mj5fy5qw8z 11 ай бұрын
일본 노므시키,,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11 ай бұрын
그럼 써있던게 천마신공 비급?
@user-cf1hy9nn9o
@user-cf1hy9nn9o 11 ай бұрын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는것도 의미가 있지만 일부는 남겨두어서 역사적 교육자료로 사용해도 좋을것 같습니다.
@user-qe2db9zk5g
@user-qe2db9zk5g 11 ай бұрын
금강산 바위에 일성이가 새겨놓은 붉은 글씨와 같는가!!!!
@user-ws2yx5qn3m
@user-ws2yx5qn3m 7 ай бұрын
일제와 관련된건 없애는게 맞습니다 떠올리기 싫은 기억을 그냥 놔두면 안됩니다
@halieuskang9718
@halieuskang9718 11 ай бұрын
제발 친일파들 손에 더 이상 권력을 쥐어주진 맙시다ㅠ.ㅠ 나라가 이게 뭡니까?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11 ай бұрын
우리가 조심해야할 것은 미래의 적이지 과거의 원한이 아니다. 지금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영토를 공공연하게 자기 땅이라고 주장하는 중공을 보고 살았으면 합니다.
@larryseo7983
@larryseo7983 11 ай бұрын
반일감정 고조시키는건 알겠는데 왜 1:04 스즈메의 문단속 브금을 쓰냐 역시 속으론 일본 제일 좋아하는 한국임ㅋㅋㅋㅋ 코미디를 찍어라
@luckytl8334
@luckytl8334 11 ай бұрын
ㅋㅋㅋ 공감합니다
@iamright_youwrong
@iamright_youwrong 3 ай бұрын
이제 또 100년 후 국뽕방송에서 이 방송을 파내면서" 1:04 이 때 쓰였던 BGM은 무엇인가, 일재의 잔재다" 라면서 나올듯ㅋㅋ
@user-uw9fx6io6o
@user-uw9fx6io6o Ай бұрын
바위에 자란 나무도 놀랍네여..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11 ай бұрын
대단 옛날 그시대
@user-tw5rd2gs7j
@user-tw5rd2gs7j 11 ай бұрын
저런 한자는 형태만 있으면 어느정도 글자 확인이 될듯 하다~~~ AI기술로 글자 확인 한번 해봤으면 좋겠다
@user-dw1it5rs8o
@user-dw1it5rs8o 11 ай бұрын
일제 시대때 일본이 세긴 글씨네요.6:02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11 ай бұрын
후반부에 글자내용이 그대로 있는 바위 사진이 있으니 구태여 AI를 쓸필요도 없습니다.
@user-qc1lg6ep8i
@user-qc1lg6ep8i 11 ай бұрын
나 저 밑에 살때 늘 보던거
@sbl7904
@sbl7904 11 ай бұрын
잘봐. 네 엄마. 구멍이 야동 ㅋㅋ
@sbl7904
@sbl7904 11 ай бұрын
깊숙이. 아주 깊숙키 위쪽 동그랑거ㅗㅈ고 까지 보바봐.. 너가 보이지. ㅋ 너가 태어난곳이야. 어르신들 피난장소 ㅋㅋㅋ
@user-cp8vi2ur2h
@user-cp8vi2ur2h 11 ай бұрын
한글은 어디서 왔나??!!
@user-bc6zc1bm5b
@user-bc6zc1bm5b 11 ай бұрын
일본놈들때문에 화가나네요 !
@user-qf1sf7ld3x
@user-qf1sf7ld3x 11 ай бұрын
독한넘. 저런넘들이 오몀수를 바다에 버리는데 찬성하는 것들은 뭐니?
@koreabeautifulkoreaamazing5864
@koreabeautifulkoreaamazing5864 11 ай бұрын
흥미롭게 절보았습니다. 일제시대때 새겨진 것이었군요. 북한의 금강산 절벽바위 곳곳에 새겨진 주체사상, 김일성 찬앙 글귀들은 통일후에 지워야 하겠지요?
@mangst
@mangst 11 ай бұрын
장취산이 쓴거 아닌가여..? ㄷㄷ
@seomelong
@seomelong 11 ай бұрын
궁금증에 클릭하고 본 영상인데 보는 내 절벽 근접샷이나 풀샷 같은 각도로 비춰질때마다 속이 크게 울렁이고 심히 어지러워지는 현기증 증세까지 나오는데 참고 보다보니 고소공포증 증상이 점점 더 심해져요 아 궁금은 한데 몸에서 거부반응은 또 너무 심하고ㅜㅜ
@user-lv9gv7br6n
@user-lv9gv7br6n 11 ай бұрын
zzz 이러면서 영상 속에서 나오는 노래는 일본 노래를 쓰네
@user-br2ru6xw6l
@user-br2ru6xw6l 2 ай бұрын
인왕산 병풍바위 회손 일제강점기 만행이였네요
순천만에서 잡힌 눈없는 물고기의 정체
9:49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34 М.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ROCK PAPER SCISSOR! (55 MLN SUBS!) feat @PANDAGIRLOFFICIAL #shorts
00:31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다시보는 서프라이즈] 연못 아래 은밀한 계단이 있다? 중국 룽유 동굴 미스터리 | MBC190120방송
13:54
이슬람이란 무엇인가? - (기독교와 어떻게 다르며 신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13:57
호주의 95%는 왜 비어있을까?
12:59
용두사미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스브스와이드] 전국 방방곡곡 미스터리
20:47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113 М.
짐작조차 힘든 거대 동굴 미스터리
9:33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578 М.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Бенчику не было страшненько!😸 #бенчик #симбочка #лето
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