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에는 어떤 다리가 필요할까? 한강 다리별 특징 총정리!

  Рет қаралды 1,382,841

셜록현준

셜록현준

Күн бұрын

#한강 #한강다리 #서울
한강에 새로운 다리가 생긴다면? 한강 다리별 특징 총정리!
00:00 인트로
00:30 한강다리의 특징 시작
00:52 한남대교 : 교통량 1위
04:53 성산대교 : 교통량 2위
05:18 양화대교 : 교통량 3위
07:04 한강다리의 구조별 특징
12:14 가장 긴/높은 한강 다리
18:53 반포대교/잠수교
19:49 한강에 새로운 다리가 생긴다면?

Пікірлер: 553
@krh6875
@krh6875 5 ай бұрын
자기가 거닐고 살아가는 터전에 대해서 이렇게 깊이 알 수 있다는 건 참으로 즐겁고 흥미로운 경험입니다. 홍대와 공덕을 잇는 경의선 숲길처럼 서울에 많은 공원과 다리가 생겨서 지역과 지역,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명강의 잘 수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2 ай бұрын
🇰🇷🇰🇷🇰🇷🇰🇷🇰🇷
@fts6389
@fts6389 13 күн бұрын
ㄹㅇ.. 책팔이, 구독팔이, 영업이 아닌 진짜 전문가!
@My-Dear
@My-Dear 5 ай бұрын
현실 정치 참여할 필요도 없이 교수님은 유튜브를 통해서 많은 국민들의 의식 향상에 기여하고 계신다는 느낌이네요... 구독하는 채널중에 가장 유익하고 재밌는 지식과 인사이트를 전달해 주시니까
@sync2ne198
@sync2ne198 5 ай бұрын
이런영상 보고나면 관련 구조물이나 건축물 지나다닐때마다 다시보게되고 아이들에게도 이야기해줄수있고.. 너무좋네요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2 ай бұрын
😊😊😊😊😊
@user-lm2tf2lj3b
@user-lm2tf2lj3b 5 ай бұрын
와...이 짧은 영상에 한강의 역사와 전 세계의 다리, 그리고 생명의 신비까지 한 번에 담겨 있다는 게 너무 놀랍습니다! 더 신기한건 각각의 다른 분야들이 너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보는 입장에서도 전혀 위화감이 없다는 점입니다. 이건 교수님의 건축가로서의 내공과 폭 넓은 경험, 그리고 편집팀의 시각 효과가 '원팀'을 이루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설레는 마음으로 보게 되는 것 같고요. 물론 이번에도 아주 유익했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알게 된 점은 현수교와 사장교의 차이였는데요, 이번에 구리시와 강동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한강 대교가 거의 개통 직전인데, 이 다리에 대해서도 들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무튼 교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늘 건강관리 잘하셔서 앞으로도 좋은 영향력을 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yi9ys2mg2j
@user-yi9ys2mg2j 5 ай бұрын
저같은 일반인도 오롯이 집중하는 몇 안되는 채널입니다. 정말 재미있고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user-fm6po4py7u
@user-fm6po4py7u 4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 보다보면 건축뿐만 아니라 인문학, 철학, 자연, 환경... 많은 것을 같이 배움
@user-sg2oy6zm1n
@user-sg2oy6zm1n 5 ай бұрын
영상 잘 시청했습니다, 싱크로나이즈나 서울숲-압구정 보행교 내용 나올 때 몰입해서 보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 그리고 이해하기 너무나도 쉽게 편집해주시는 편집자분들 최고세요 !!! 감사합니다 ㅎㅎ
@user-ut6sd4kc1i
@user-ut6sd4kc1i 4 ай бұрын
와아...이번 영상을 통해서 서울 다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축 스토리에 대해 많이 알게 되어서 매우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rose1004yu
@rose1004yu 5 ай бұрын
31가지 맛이 있는 아이스크림보다 더 매력적인 31가지 멋이 있는 한강대교들을 한방에 이해시켜주는 역시 한방있는 교수님의 설명은 역시 최고 이십니다!! 자다깨서 보는데 바로 초롱초롱 하게 만드시는 마법쟁이~~ ㅎㅎ 유익한 정보 고맙습니다 ~❤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2 ай бұрын
🇰🇷🇰🇷🇰🇷🇰🇷🇰🇷
@user-iz9tx7po4v
@user-iz9tx7po4v 5 ай бұрын
보행교가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techstar66
@techstar66 5 ай бұрын
1km가 넘는 다리를요?
@giraffe199
@giraffe199 5 ай бұрын
많아도 폭이 넓어서 쉽게 못걸어가요
@user-iz9tx7po4v
@user-iz9tx7po4v 5 ай бұрын
@@techstar66 양화대교와 한강대교도 길지만 보행자들이 많지요. 제 개인적인 바람이네요
@giraffe199
@giraffe199 5 ай бұрын
압구정-서울숲 보행교는 생겨도 좋을거같아요 😅
@ddd240
@ddd240 5 ай бұрын
@@techstar66 서울숲과 이어져 있다면 그곳을 걷는 메리트가 있을거 같아요.
@HA-S-POT
@HA-S-POT 4 ай бұрын
04:51 성산대교의 교통량이 많은건 한남대교와도 비슷한 이유가 있는것 같습니다. 호남, 충남권, 경기남서부권에서 올라올때 서해안, 서부간선, 성산대교, 성산로를 거치면 광화문까지 도달할수있으니까요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2 ай бұрын
🇰🇷🇰🇷🇰🇷🇰🇷🇰🇷🇰🇷🇰🇷
@ksjssj383
@ksjssj383 5 ай бұрын
최고의 영상이다
@ore_gam
@ore_gam 5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과 책을 꾸준히 보고 있는 토목과 학생입니다! 교수님께서 교량에 대한 설명을 해주시니 새로우면서도 또 좋은 견해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런 토목구조물에 대한 영상도 가끔 촬영해주셨으면 합니다 ;)
@user-tl1fr3ws5c
@user-tl1fr3ws5c 4 ай бұрын
youtube.com/@dolljong?si=KH_NxXlTNU_pGQS3 토목 구조 엔지니어가 만든 유투브 추천합니다 저도 토목 교량구조설계 25년 했습니다^^
@eungseokkim2907
@eungseokkim2907 4 ай бұрын
이분이 토목이 전공이 아닌거로 알고 있는데 본인 전공이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건축학? 건축공학? 토목공학? 도시공학?
@user-wq7fw4lb2m
@user-wq7fw4lb2m 5 ай бұрын
마지막 멘트가 좋으네요..강북과 강남이 서로 줄거는 주고 얻을거는 얻는 그런 지혜로움이 필요할거 같아요 서울이 좀 살풍경 하잖아요 시멘트 콘크리트에 간판만 존재감을 제각각 뽐내는..세계적인 건축가들의 아름다운 겨룸의 장이 되는 서울을 그려봅니다
@lawzzang0823
@lawzzang0823 5 ай бұрын
말하신 그 걷는 다리 생기면 정말 좋겠네요 ^^ 응원합니다~~
@JEJUBUSAN
@JEJUBUSAN 4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말하시는거중에 가장 맘에드는?부분이 펠리세이드라던지 양화대교라던지 보는 시청자들이 한번쯤 어? 펠리세이드 차이름이네 양화대교 자이언티?라고 생각하는걸 같이 찝어서 설명해주시는부분이 먼가 교감을 하면서 강의를 해주시는거 같아서 더 재밌는거같습니다
@turn_table_
@turn_table_ Ай бұрын
그 좁은 서울이 지역마다 분위기가 확확 바뀌는게 역동성이 굉장히 큰 도시라고 생각했는데 교수님도 그렇다고 말해주시니 속이 시원해지네요
@rock3000
@rock3000 4 ай бұрын
밀레니엄브릿지 일화가 넘 인상깊네요. 서울의 보행자 전용 다리를 정말 기다려봅니다. 값진 영상 넘 감사합니다.
@user-zh7sb4pp1d
@user-zh7sb4pp1d 4 ай бұрын
책이랑 엮여서 설명이 나오는게 정말 재밌습니다
@user-tu9kx7it3g
@user-tu9kx7it3g 5 ай бұрын
정말 교양의 깊이와 넓이가 확장되는군요. 잘 봤습니다.
@whitesnowdh
@whitesnowdh 5 ай бұрын
서울말고 지방 컨텐츠도 해주시면 좋을것 같아요! 지방소멸의 시대라,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수 있으면 아주 좋은 '선한 영향력'이 될거 같아요!
@ljmnes
@ljmnes 3 ай бұрын
진짜 똑똑한 사람한텐 배울게 많다는..
@hj.c7070
@hj.c7070 5 ай бұрын
교수님, 감기 걸리셨나요? 이번엔 목소리가 특히 더 굵직하고 극저음으로 들리네요.
@user-ho5vm7xz9p
@user-ho5vm7xz9p 22 күн бұрын
저도 많이 가보진 못했으나, 서울만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갖춘 도시는 못 본 것 같습니다. 굽이굽이 한강물의 흐름, 시내 곳곳과 시 외곽에 펼쳐진 작고 큰 산들, 정말 아름다운 우리의 서울입니다.
@wooykim2083
@wooykim2083 5 ай бұрын
과학적이고 철학적이고 예술적이네요
@sssy950
@sssy950 5 ай бұрын
부산은 해안가 난개발로 해안경관이 거의 망가졌다고 생각되는데 개선 방향을 한번 제시해 주시면 좋겠어요
@user-yf9uu3nb1r
@user-yf9uu3nb1r 5 ай бұрын
오륙도 옆에 아파트 지은건 진짜ㅋㅋㅋㅋ
@Pppkppkppk
@Pppkppkppk 5 ай бұрын
난 좋던데... 센텀이랑 해운대쪽에 초고층건물들 바다 끼고서 시원하게 쭉쭉 뻗어올라간거 멀리서보나 가까이서보나 정말 장관임. 오히려 낮은 산도 많고 넓은 한강도 길게 뻗어있는 고즈넉한 자연조건에 똑같은 높이로 따닥따닥 아파트 겹쳐있는게 진짜 망가진 경관같음..
@drivepark21
@drivepark21 5 ай бұрын
서울과 한강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 잘 듣고갑니다. 다음엔 부산도 해주세요!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2 ай бұрын
🇰🇷🇰🇷🇰🇷🇰🇷🇰🇷
@user-ww1vh8to7p
@user-ww1vh8to7p Ай бұрын
밀레니엄 다리 이야기를 사람의 걸음의 특징에 기대어 설명을 해주신거 너무 흥미로웠어요.
@user-qb6dj5wb8y
@user-qb6dj5wb8y 5 ай бұрын
17:15 굳이 생명체가 아니여도 진자시계나 달 등에서 싱크로나이즈를 경험할수 있습니다. 밀레니엄 브릿지도 사람이 동기화하기 때문에 다리가 흔들렸다기 보단 흔들리는 다리가 사람들을 똑같이 움직이게 했다고 설명하는게 맞아요 다리는 좌우로 흔들리는 구조였고 이에 맞춰 사람들이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 사람들을 모두 똑같이 행동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hayeonkim7838
@hayeonkim7838 5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ㅋㅋㅋ 멀리서 지켜볼때는 알지 못했던 한강의 숨겨진 비하인드들을 알 수 있어서 좋네요 ㅎㅎ
@kimchilove90
@kimchilove90 5 ай бұрын
와..... 전문지식의 풍요로움이 끝도없습니다. 진짜 대단하세요
@user-xc8zl2vt9e
@user-xc8zl2vt9e 5 ай бұрын
한강 인도는 옆에 차는 둘째치고 폭이 너무너무너무 좁아서 안 가게 되기도 하고 중간에 쉴 곳도 없이 보이는 풍경도 계속 강이고 그래서 안 걷게 되는 것 같아요 특히 안개 낀 날은 진짜 공포 그 자체입니다
@newlovewaver
@newlovewaver 4 ай бұрын
그렇게 느낄 수가 있나보네요😮 새로 알았습니다!
@user-gm6hb2cb1m
@user-gm6hb2cb1m 5 ай бұрын
조경과를 전공하면서 인간 심리와 공간에 대한 관계성을 늘 생각했습니다. 교수님 말씀대로 공간의 설계함에 있어 다양한 외부 요소를 적절히 활용해 인간의 삶이 더 윤택해지는 공간이 만들어 지면 좋겠네요
@Edwin_Hubble_
@Edwin_Hubble_ 5 ай бұрын
밀레니엄 브릿지 붕괴 사고 및 동기화에 대해서는 Veritasium 채널에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 영상이 있으니 한 번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ehddms02
@ehddms02 5 ай бұрын
교수님 이번에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잠시 런던에 살았을 때, 템즈강을 자주 걸어서 건넜습니다. 한강은 폭이 곱절 이상이 되니까 건널 생각을 못 하게 되더라고요. 그러나 중간에 선유도공원이 있는 양화대교나 노들섬이 있는 한강대교는 걸음의 흐름을 절반으로 나누어주기 때문에 큰 부담감 없이 건너게 됩니다. 만약 보행자 다리가 설치된다면, 중간에 인공섬을 만드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우니, 다리 중간에 문화시설이나 상업시설들을 적절히 섞어준다면 그런 효과를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강은 초반에 자동차 중심으로 개발되어서 보행자 입장에서는 아쉬움이 많습니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교수님 말씀대로 야간에 강변북로를 타고 서울을 횡단하는 경험은 그 어떤 곳에서도 느낄 수 없는 다이나믹한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행자에게 친절한 공간으로 바꿈과 동시에 역동적인 서울의 공간을 한 번에 관람할 수 있는 야간 시티투어버스 등의 어트랙션도 더욱 활성화돠면 더욱 매력적인 한강이 될 것 같습니다! 늘 소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sunnyday563
@sunnyday563 4 ай бұрын
좋은 아이디어가 꼭 실현되기를 바랍니다 서울이 더 멋진 도시가 되어서 이를 통해 더욱 발전하는 대한민국이 되길.... !!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2 ай бұрын
🇰🇷🇰🇷🇰🇷🇰🇷🇰🇷
@delicious_uncle
@delicious_uncle 5 ай бұрын
13:40 빌드업 오지네요 기승전 같은급 ㅋㅋㅋ 저항없이 터졌습니다^^
@joo-heeryu368
@joo-heeryu368 3 ай бұрын
건축을 1도 모르지만 저도 모르게 몰입해서 재밌게 듣게 됩니다. 감사해요😊
@HeraKang-st5dr
@HeraKang-st5dr 5 ай бұрын
셜록현준님의 목소리가 어찌 그리도 좋은지요 ~~~^^🤗👏👍 듣고 또 듣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 강남과 강북을 서로 이어주는 보행자 다리가 있었으면 하고 늘 바랬는데, 같은 생각을 하고 계셨다니~~~^^🤗👏👍 You are the best ~~~^^👍
@sskim1882
@sskim1882 5 ай бұрын
옛날 고교시절 물리시간에 단체로 걸을때 생기는 진동에 대한 얘기 들은 것이 싱크로나이즈와 연결되네요. 신기하네요. 그리고 한강에 보행교가 생기면 정말 좋겠네요~~~ 너무 멋진 걷고 싶은 거리가 되니까요.
@myway2727
@myway2727 5 ай бұрын
너무 강남지역만 부각이되서 서울 균형발전 측면에서는 아쉬움이 있어요. 이왕이면 강서쪽도 뭔가 다리로 매력을 어필할수있는 오퍼튜니티가 있다면 좋을것 같습니다.
@user_Kevin1004
@user_Kevin1004 4 ай бұрын
티비틀면 자주뵙었는데 어느순간 잘안보이셔서 안나오시나보다 했는데 채널을 만들으셨네요! 자주올께요
@seunghyun7097
@seunghyun7097 3 ай бұрын
긴 영상 집중하기 힘든 도파민에 목마른 요새 23분을 스킵없이 봤네요...
@ju_ruru_
@ju_ruru_ 5 ай бұрын
6:05 태어났을때 부터 선유도공원 근처에 살아서 자주 가는 곳인데, 아주 오래된 기억인 유치원때 소풍 갔을때부터 대학생이 된 지금까지도 멈춰있는 선유도공원에 들어가면 뭔가 흔들의자에 앉아 강 넘어 보이는 합정동 마천루, 양평동 주택가를 보면서 세상을 관조하게 되는 느낌이 드는 저에게 아주 소중한 곳이네요 잠시나마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HanaiStory
@HanaiStory 3 ай бұрын
합정동 마천루라고 말씀하셔서.. 98년까지 합정동에 있었는데요 (지금은 강 바로 건너 선유도공원 5분거리에 있음..) 그때는 합정동에 "마천루"라 할만한 높은 건물이 없었습니다. 높은(?) 건물이래봐야 절두산성지와 호텔 몇개정도...(2010년대 중반 어머니와 영화보러 합정동에 갔는데 세아타워 등등 보고 엄청 놀라시더군요 ㄷㄷㄷ) 지금은 20층되는 홀트아동복지회 건물이 그때는 10층 안되었고요. 홀트복지회 건너 10몇층? 되는 "서서울호텔"이 근처에서 가장 높았던 걸로 기억합니다.(지금은 "서서울호텔"이 검색도 잘 안되네요. 나무위키 118번버스(→5714번버스) 정류장이름정도?ㅋㅋ;) 98년 양평동5가로 이사왔을때는 롯데제과 공장 근처 아파트, 해태제과 공장 있던 자리에 세워진 아파트, 안양천 옆에 있는 아파트 등 아파트들이 (아마도)압도적으로 높고 나머지는 고만고만했지만 지금은 15층 이상의 빌딩(지식산업센터), 쌍둥이호텔(?) 등 고층 건물이 많아졌습니다.
@user-gz2qc1fm5b
@user-gz2qc1fm5b 5 ай бұрын
진짜 재밌네요 유익하고
@talkhare
@talkhare 5 ай бұрын
현준 교수님 영상을 보면 심리학적인 면도 이야기 하셔서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user-li6rh9qt8i
@user-li6rh9qt8i 5 ай бұрын
정말 재미있고 유익한시간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hc5jy9gv5s
@user-hc5jy9gv5s 5 ай бұрын
와 토목공학과 학생으로서 이번 영상이 확실히 가장 흥미롭게 다가오네요 유익한 정보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Green_glare39
@Green_glare39 2 ай бұрын
오늘도 덕분에 지식이 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tournomad
@tournomad 18 күн бұрын
사람냄새가 나는 건축 한강다리가 만들어지기 바라고 또 그것을 멋지게 구현하는 설계를 해주시는 셜록현준님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Silver_099
@Silver_099 5 ай бұрын
저는 잠수교 차 없는 날 종종 가곤 했는데, 최근 한강에 혼자 간 여성이 살해(?) 됐다는 뉴스를 보고 못 갈 거 같더라구요. 한강에 보행자 다리 만들면 …솔직히 자살 하실 분들이 올 거 같아 적극적으로 찬성은 안 합니다. 그리고 안국동에 가도 “공간 space “ 이런 곳이 있는 줄 몰랐는데 😅, 시간 있을 때 건축가가 뽑은 ”선유도 공원“도 가 보고 싶네요. 한강 다리 🌉를 주제로 사실 기대를 안 했는데 다이나믹하고 광범위한 건축& 생명 (싱크로나이즈) 대한 말씀이어서 굉장히 유익했습니다.👏👏👏👏👏
@newlovewaver
@newlovewaver 4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만약에 생긴다면 주의 표시해야겠네요😢
@warehouseinsideme
@warehouseinsideme 5 ай бұрын
더 오래 얘기해 주세요.. 꿀잼 ㅠ ㅋㅋ
@user-tl1fr3ws5c
@user-tl1fr3ws5c 4 ай бұрын
인문학측면에서 공간건축을 잘 설명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오늘은 제 전공인 교량구조분야 나오니 반갑습니다. 확실히 건축학을 하시는 분이 스토리텔링을 잘하시네요. 저는 토목과 엔지니어입니다^^ 학교다녔을때 스쳐지나 갔을수도 있는 제1공학관 후배네요~~
@user-hm6uq5ic1g
@user-hm6uq5ic1g 3 ай бұрын
참,유익한 방송 잘 들엇네요,, 다리의 미학, 한강과 서울의 미래의 설계, 감사합니다,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2 ай бұрын
🇰🇷🇰🇷🇰🇷🇰🇷🇰🇷
@user-ms2hv6iu5c
@user-ms2hv6iu5c 27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내비게이션기억법을 배우고 가르치고 있는 강사입니다. 내비게이션기억법에서 광진구에 있는 올림픽대교에 대한 자료를 준비하다가 본 채널을 알게 되었습니다. 정말 귀한 채널 운영하심에 감사드립니다. 설명중 가 보지 못한 외국의 다리들도 간접체험할 수 있어서 좋았구요, 마지막에 제안하신 강북과 강남을 연결할 수 있는 보행자 전용도로를 놓는 방안 적극 찬성입니다. 처음 시작시 왓슨이란 말씀을 하셨는데요? 이 왓슨은 인공지능컴퓨터를 말하는 것일까요? 궁금해서 여쭙니다.
@SeungWookChoi
@SeungWookChoi 5 күн бұрын
교수님이 명쾌하셔서 셜록 현준이 별명이시잖아요 그래서 시청자는 셜록의 조수 왓슨이라고 부르는 겁니다
@hyunho_07
@hyunho_07 5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한강이 몇백 미터도 안됐었고 거의 대부분 모래사장 이었다라는 알게 되었고 결론적으로는 한강이 폭이 좁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모래 건축도 은근 신기하게 들리네요.
@user-ei6ll7eo9d
@user-ei6ll7eo9d 28 күн бұрын
몰입감 쩐다 진짜 내 상식 여기서 키워볼테야
@user-zk3iw3ed6z
@user-zk3iw3ed6z 4 ай бұрын
교수님, 김해에 포븐이라는 카페가 생겼는데 그 건물을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카페와 관련된 건축에 대해서도 교수님의 생각이 궁금해졌습니다. 주제가 그냥 카페라 너무 넓긴 하지만 언젠가 카페와 관련된 영상도 만들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user-ji8bz5zp9e
@user-ji8bz5zp9e 4 ай бұрын
와 마지막에 아이디어에 소름돋았어요! 보행자만 건널수있고 그 안에 문화시설과 휴게시설, 실내와 실외가 어우러지면서 한국의 역사를 잘 녹여내면 아름다울것 같습니다
@user-dr7uu5vi3m
@user-dr7uu5vi3m 3 ай бұрын
100% 공감.....보행교 굿 입니다...
@scuba0595
@scuba0595 22 күн бұрын
새로운 내용들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user-le5bh8kq5z
@user-le5bh8kq5z 4 ай бұрын
정보의 과잉 시대라고 할 만한 시대를 살지만 정작 대한민국 🇰🇷 현대사와 내가 사는 오늘의 정보는 많이 없는데 소중한 우리 주변 얘기를 들려주시니 유익하고 감사합니다. 한강 주변에서 나고 자라 많이 궁금했었거든요. 지나치게 과거사에 매여 정작 오늘의 얘기를 등한히 하는데 한강다리에 대해 들려주셔 유익합니다.
@user-ip8br9ll1e
@user-ip8br9ll1e 2 ай бұрын
🇰🇷 🇰🇷 🇰🇷
@user-zv8hs9rs2x
@user-zv8hs9rs2x 17 күн бұрын
시험 기간에 봐도 시험 공부에 밀리지 않는 유익함.
@user-ou8li1fi2v
@user-ou8li1fi2v 3 ай бұрын
유익한 내용들이 많습니다,,,,!!!!!!
@user-bb1cz3sn1i
@user-bb1cz3sn1i Күн бұрын
우와! 대학 강단에서 들을 강의를 이렇게 침대에 누워 손바닥에서 들을 수 있는 경이로운 발전에 고맙고, 이런 지식을 아낌없이 주시는 유현준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건축의 인문학이 이렇게 재미있을 줄이야! 감사합니다❤❤❤❤❤
@HUzb-lg9nb
@HUzb-lg9nb 5 ай бұрын
뷰에 관심이 많은분다운 분석이네요
@dys23123
@dys23123 4 ай бұрын
좋아여를 누를수밖에 없는 영상이구만
@user-nowhere
@user-nowhere 5 ай бұрын
아...저도 압구정쪽 갔을때 서울숲을 연결해서 바로 갈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제게 주어진 시간보다 가기가 썩 편하지는 않아서 포기했었죠. 뚝섬의 강북쪽에서 한강을 보면 잠실경기장이 굉장히 가깝게 느껴지는데 대중교통으로는 초행자가 가기 쉽지 않다는 생각도 듭니다.
@mattshin9840
@mattshin9840 3 ай бұрын
압구정에서 서울숲 보행교 만나는 부분이 강북 최고 명당자리 입니다.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포인트입니다. 남동향으로 동호대교 바라보면 죽여줍니다. 런닝포인트, 낚시포인트 이기도 합니다. 보행교 생기기전 함 가보세요. 벤치도 많습니다.
@kwon_awe_some
@kwon_awe_some 3 ай бұрын
오~~ 진짜 재밋게 시청했습니다.
@miguelyoon4360
@miguelyoon4360 3 ай бұрын
압구정과 서울숲을 연결할 때 사람의 이용으로 따지면, 강남중심구도가 되지않나 싶습니다. “사람(강북)-사람(강남)”의 만남이 아니라, “사람(강남)-자연(강북)”의 구도라서 과연 그 다리의 이용은 과연 쌍방적인가 싶습니다. 혹시 서로의 교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강에 사람-사람의 구도로 연결할만한 곳이 있을까요?
@user-of3lh1vi5r
@user-of3lh1vi5r 4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user-sp3yi5rm4k
@user-sp3yi5rm4k 4 ай бұрын
1 km 나 되는 폭은 도보로 건너기 부담스러운 길이인데요 (양 끝에 어트랙션이 있다 하더라도) 베네치아 베키오 다리처럼 다리 위에 가게 같은 것들이 있으면 건축학적으로 문제가 있을까요? 한강변 요식업금지 이런 법률을 제외한다면요
@user-ru8mr3ux3p
@user-ru8mr3ux3p 4 ай бұрын
재밌고 유익했습니다(잠수교는 저녁에는 항상 춥고 먼지 바람이 붑니다)
@transport_holy
@transport_holy 5 ай бұрын
정수장이었던 선유도를 과거의 흔적을 납둔 공원으로 만들었다. 예전 상류에서 내려오던 한강의 모래로 강남의 아파트를 지었다. 사람의 싱크로나이즈 특성때문에 구조설계를 전세계에서 가장 잘하는 오브 아럽이 만든 보행자교에서 흔들림이 발생했다. 압구정과 서울숲을 잇는 보행자교 너무 인상적이고 재밌는 영상이었습니다!
@kimnamho2652
@kimnamho2652 5 күн бұрын
좋은 공부했어요 감사합니다
@user-eb8yc7nb5w
@user-eb8yc7nb5w 5 ай бұрын
건축가는 예술가다 란 생각이듭니다
@Walleun
@Walleun 5 ай бұрын
역시 서울하면 한강이죠 강남과 강북을 잇는 각 다리들의 이야기, 구조, 및 한강을 둘러싼 자세한 설명까지 더해지니 정말 좋네요 서울에게 있어 한강은 중요한 랜드스케이프적 요소이려나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Kyumin_j
@Kyumin_j 5 ай бұрын
런던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템즈 강 주변을 종종 뛰면서 다리를 건너다보면 한강에서 보았던 다리들과 비교를 하게 되었는데요. 교수님 덕분에 더욱 재미나게 뛸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4 ай бұрын
6분최고입니다!
@zigzeg78
@zigzeg78 19 күн бұрын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
@0l_EH_LI
@0l_EH_LI 4 ай бұрын
탁재훈?? 좋은 정보 영상 잘 봤습니다~!!
@KYU_Balla
@KYU_Balla 3 ай бұрын
오 완전 재밌게 잘 들었습니당 재밌어요 유익해요 👍👍👍
@donghyun53
@donghyun53 5 ай бұрын
마지막 부분에 한강이 서울의 인상에 끼치는 영향을 언급하셨는데, 김포공항에서 잠실 방면으로 올림픽대로를 따라 달리다 보면 산과 강이 강조되는데 비해 높은 건물은 눈에띄지 않아 서울이 전원도시 같다는 느낌을 받을때가 있습니다. 서울에 건물이 많긴한데 비해 하나하나의 덩치는 작아서 그런 느낌이 더해지는 것 같습니다.
@brendenlee9377
@brendenlee937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
@user-bw2nk2mq4h
@user-bw2nk2mq4h 3 ай бұрын
탁재훈은 좋아하진 않지만 얌전하고 깊이있는 탁재훈 같으세요~😊 한번쯤 궁금했었는데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ksg5772
@ksg5772 2 ай бұрын
보행자가 1km 이상을 그냥 걷는 것과 아이쇼핑하고 강바람 맞으며 관광하면서 걷는 것 중 어느것이 좋을까? 설계자 입장에서는 하중 계산과 비용 문제로 골몰해야겠지만 점포세도 더 나오면 되는 일. 계획만 잘세우면 데이트 명소 된다.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Ай бұрын
선생님의 제안이 됬으면 좋겠네요,
@darkknight-xz8ic
@darkknight-xz8ic 5 ай бұрын
올림픽대교 상단 조형물 설치 중에 군헬기로 하다가 헬기 추락으로 돌아가신분 있었는 데 기억이 있네요😢😢
@k.joomihyun
@k.joomihyun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jg3wd6hj8s
@user-jg3wd6hj8s 5 ай бұрын
컨텐츠 너무 좋습니다!! 서울역사도 부탁드립니다 유햔준교수님 항상 응원하고 존경합니다!! 저도 교수님 영상을 보면서 건축가에대한 관심이 샹겼어료!!
@paulkang3615
@paulkang3615 2 ай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
@einwinter751
@einwinter751 5 ай бұрын
올림픽대교 참 아름답죠. 주탑 위에 조형물도 있고. 2001년 이 조형물을 군용 치누크 헬기로 올리던 중 사고가 나 헬기 탑승원 전원 사망했었죠. ㅠLㅠ
@g_zero27
@g_zero27 4 ай бұрын
영상과 별개로 새만금과 같은 간척지를 개발하기 전에 공원으로 사용해야 된다고 들었는데 그렇다면 새만금도 공원으로 만드나요? 그렇게 된다면 공원 이용객이 적지 않을까요? 단순 궁금증 때문에 물어봅니다
@k2mhsk404
@k2mhsk404 5 ай бұрын
김중업 건축가에 대해 다뤄주세요...!
@Blueafternooon
@Blueafternooon 5 ай бұрын
6:01 또… 그분이…
@Roo-vy2cI
@Roo-vy2cI 5 ай бұрын
캐삭빵ㅋㅋㅋㅋㅋㅋ
@user-ir7qp5jd9c
@user-ir7qp5jd9c 4 ай бұрын
최근 지하철 의자를 없애는 방안 추진하고 있는데 이 부분도 다뤄줬으면 합니다ㅠ
@user-xq5xw2eg7b
@user-xq5xw2eg7b 5 ай бұрын
오호 다 듣고 잠들길. ㅎ
@EmpireProductions1
@EmpireProductions1 5 ай бұрын
버켓리스트중 하나가 드라이브 하면서 서울에 있는 모든 다리를 건너는거에요. 아직 못해봤네요.
@user-ij6vv1ir5y
@user-ij6vv1ir5y Ай бұрын
너무 잘봤습니다
@user-km8br9lv4l
@user-km8br9lv4l 5 ай бұрын
혹시 현준님이 참여한 건축물들을 소개해주실수 있나요?
홍콩처럼 서울 곳곳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다면?
18:44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I Need Your Help..
00:33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168 МЛН
[내꺼내먹_홍콩반점 2편] 지금도 계속 변화 중입니다.
16:13
백종원 PAIK JONG WON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The history of Coca-Cola you didn't know
32:38
세상의모든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Is the Saudi Mirror Line Possible?
17:00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