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자존감을 야금야금 갉아먹는 부모의 말 | 깨어있는 양육, 육아법

  Рет қаралды 53,799

책식주의

책식주의

9 ай бұрын

*제작비를 지원 받은 콘텐츠입니다.
아이가 보내는 신호를 제대로 읽고 소통하는 법,
『깨어있는 양육』을 소개합니다.
✔ 참고 도서: 『깨어있는 양육』, 셰팔리 차바리
✔ 책 보러 가기: bit.ly/47dpFfx
✔ 제작: 책식주의(papervore@naver.com)
✔ 나레이션: 강미정
#깨어있는양육 #육아법 #훈육

Пікірлер: 58
@bookvore
@bookvore 9 ай бұрын
소개해드린 도서는 『깨어있는 양육』 bit.ly/47dpFfx 입니다.
@lh1435
@lh1435 9 ай бұрын
부모도 애생기면 필수적으로 부모교육을 받아야함 ... 솔직히 아무사람이 어린아이를 키울수있다는게 가끔은 좀 소름끼칩니다 ,, 운전면허 없이 운전하는거랑 다를게없어보여요
@user-yp1ur7db4r
@user-yp1ur7db4r 9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공감합니다. 운전면허가 있더라도 운전하면 안되는 인간들도 허다한데 부모자격이야 오죽하겠어요..?
@bella__swan
@bella__swan 9 ай бұрын
와 완전 인정요! 나르시시스트. 소패인 사람들이 애 키우는거 보면 ㅜㅜ
@jianyi7576
@jianyi7576 9 ай бұрын
1000000% 동감입니다! 주변에 육아공부 없이 그냥 맘대로 키우는 사람이 90% 이상이라 그 아이들 볼 때면 눈물나게 안타깝습니다 ㅠㅠ 경중만 차이가 있지 다들 학대를 당하고 있습니다 ㅠㅠ 얼집 상담 10곳을 넘게 다녔는데 기본적인 양육 지식도 없는 선생이 허다해서 그 얼집 아이들이 너무 불쌍하단 생각만.. 도와줄 수 없는 제가 무력감을 느끼네요 ㅠ
@CastorpolluxS2
@CastorpolluxS2 9 ай бұрын
본인이 부모하고 관계가 안정적이였다면 따로 교육 받을 필요는 없을걸요 사람은 부모와 비슷한 형태로 자녀를 양육해요 (엄마와 아기의 애착 유형이 75% 일치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어요) 만약에 부모한테 상처를 많이 받고 자랐다면 본인도 자녀를 학대할 가능성 높아요 나르시시스트나 소시오패스만 자녀학대하는게 아니고요 코디펜던트도 자녀학대해요 부모가 나르시시스트였다면 본인이 나르시시스트가 아니더라도 비슷한 특징을 가지게 돼요
@user-ki3kl8ks7w
@user-ki3kl8ks7w 9 ай бұрын
저도 완벽히 똑같은 생각을 했었어요 근데 이미 박살나고있는출산률이 정말 제로로 수렴할것같아요....
@bella__swan
@bella__swan 9 ай бұрын
0:22 1. 죄수가 된 아이, 간수가 된 부모 2:47 2. 부모 기분에 따른 ‘된다’와 ‘안 된다‘ 4:02 3. 훈육이 아이를 ’학폭 가해자‘로 만드는 과정
@Jihse
@Jihse 9 ай бұрын
아이는 너무나도 섬세한 유리공예와도 같아요 어떠한 영향에도 쉽게 모양이 바뀌면서 점차 굳어가죠 아이의 아름다운 모양을 만드는 것은 부모의 행동이기에 부모가 일관성있게 훈육을 했으면 합니다. 그게 모두의 바람이죠
@ws8320
@ws8320 8 ай бұрын
내 생각과 다르네요. 유리공예처럼 부모가 만드는게 아니라 아이는 고유의 품성을 타고나기 때문에 부모는 아이의 고유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생존에 필요한 도움을 주고 위험에 처하지는 않은지 살펴보기만 하는 존재인 것 같은데ㅡㅡㅡ 맞벌이 하며 85, 87년생 두 아들과 성장을 함께한 엄마의 경험입니다.
@craigmusiq
@craigmusiq 9 ай бұрын
정말. 우리 아들에게 실천해야겠네여.. 하나부터 열까지 너무 참견하고 챙겨주려고 하는게 스스로도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그게 잘 안고쳐지는데. 영상보고 다시 각성해봅니다.
@user-gj3mb3pd8g
@user-gj3mb3pd8g 9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dddoipicture
@dddoipicture 9 ай бұрын
당장 오늘의 제얘기였네요..반성합니다.
@DoPakaRalo
@DoPakaRalo 9 ай бұрын
훈육법보다 부모 행실이 더 중요함. 부모가 맨날 폰보고 TV보는데 이런 훈육법이 되겠음?
@acadra5201
@acadra5201 9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솔직히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모두가 행복해졌으면 좋겠네요.
@carpediem-eq6cs
@carpediem-eq6cs 9 ай бұрын
육아는 힘든게아니고 어렵다. 진짜 어렵다 어려워ㅋㅋ
@user-zf2po2zw2x
@user-zf2po2zw2x 13 күн бұрын
33ㅡㅡㅡ33336336ㅡㅡㅡ3ㅡ3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33ㅡㅡㅡㅡㅡㅡㅡㅡㅡ333ㅡ33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좋은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5😅ㅜ😮
@taell0329
@taell0329 8 ай бұрын
아이들은 생각자체가 너무 키우려면 순수해서 말 하나하나 다 잘해야함... 특히 마음 여린 아이들이면 더욱더
@user-ok9hu9rr6y
@user-ok9hu9rr6y 9 ай бұрын
이 세상에 좋은 부모되기가 참으로 쉽지 않군요.
@user-dp6yv5uc7c
@user-dp6yv5uc7c 6 ай бұрын
여기에 나오는 걸 하나도 안 해본 부모가 있을까요?..
@muyaru715
@muyaru715 9 ай бұрын
어릴 때 부터 자존감이 낮은 이유를 몰랐는데.. 성인이 되어서 이 영상을 통해 이제서야 알게 되었네요 현재 정신과를 다니며 PTSD, 공황장애, 식욕부진증 등 여러 복합적인 아픔으로 치료하고 있는데 자존감이 현재에도 보통 사람과 다르게 심각하게 낮은 이유가 원인이 이 이유도 있었구나.. 에휴... 참.. 슬프네요 하하... 요기 나온 내용이 제가 다 겪은 내용이네요.. 다행히 저는 스스로 자신을 해하고 탓을 했지 남을 해하지는 않았어요 남을 해할 빠엔 나를 해치고 자신을 아프게 하고 스스로 죽어야 해, 난 쓸모없는 존재야 라는 생각도 하고 시도도 했었어요.. 이런 생각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에 이어 현재까지 많이 했었어요.
@acadra5201
@acadra5201 9 ай бұрын
힘들었을텐데 잘 버텨주셔서 다행이고 오히려 고맙네요. 행복하시길 빌게요.
@Logan-zt8jf
@Logan-zt8jf 9 ай бұрын
저도 같은경험을 했는데, 평생 이게 내 인생에영향 미치고 가더라구요 저는 요새 누구보다 저자신을 잘 챙겨주고 내편이 되어주려고 노력해요. 제몸과 마음과 정신의 소리어ㅣ집중해서 내가 필요한게 무엇인지 귀기울이고 그에때라 돌보려고 해요. 그러니 매우천천히지만 점점 좋아지는거 같애요
@rinriple
@rinriple 9 ай бұрын
@@Logan-zt8jf 평생이군요 저도 지옥 같은 인생을 살고 있어요..
@user-gr9sr5nd2t
@user-gr9sr5nd2t 2 ай бұрын
아.. 애 키우기 힘들죠 😢 저도 주변에 출산을 권하지않아요 ㅋㅋㅋ 완벽한 엄마가 되야 출산 해야할거같아요
@johnlee7763
@johnlee7763 9 ай бұрын
부모가 자식을 양육 할 의무는 있지만 자식이 부모를 부양할 의무는 없지요... 심지어 저는 성인인데 엄마는 제 일에 꼬치꼬치 깊숙히 개입하려고 하고, 어린애 대하듯이 합니다. 내가 외출할때 엄마는 꼭 내앞에 와서는 매일 나보고 자기 앞에 서라고 해요.. 게다가 일하고 오면 하루 어땠냐고 중간없이 매일 물어보기도 하고요..... 저는 아빠도 그렇고 엄마도 갈수록 불편해요 ㅠㅠ 그래서 저는 국가에서 독립할 의향 있는 사람들에게 충분히 먹고 살수 있게 해주면 진작 나갔을 겁니다! 저는 집에서 느낀 감정을 밖에서 다 표출하고 다닐수도 있어요
@user-dy9vt9po4o
@user-dy9vt9po4o 9 ай бұрын
부모도 사람이라 계속 이성을 유지 할 수도 , 교과서처럼 완벽할수는 없지만 그래도 최대한 아이에게 상처주지 말고 낳았으면 책임지고 많이 사랑해주자 그렇다고 오냐오냐 키우라는 건 아님 .. 하지만 본인 생각이랑 아이 생각이랑 다르다고 해서 무조건 부정적으로 바라보지말고 아이 입장에서도 한번 더 생각해보길 바란다
@user-du5ew8yt9o
@user-du5ew8yt9o 9 ай бұрын
자기의 훈육이 남이 자기에게 했을때 자기는 받아들이는가를 생각 해야함 매가 약이다? 자기는 매로 다스리면 받아들이나? 자기도 안는데 왜 남은 한다고 생각 하는건지
@jimmychoi795
@jimmychoi795 9 ай бұрын
죄수와 간수 양육법이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아주 일관되고 명확하게 안된다고 생활습관을 교정해야한다고 말을 해줬지만 고쳐지지 않았습니다. 더이상 늦기전에 생활습관을 교정해야할 필요성이 느껴져서 교정해야 할 생활습관을 벽면에 붙여두고 수백번 말했으니 지켜지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집에선 생활 규칙을 지키지 않을때마다 게임을 하루 제한한다. 로 말을 하였습니다. 제가 잘못된 걸까요? (예 : 정리정돈 / 먹은것 치우기 / 화장실 물내리기 같은 기본적 습관, 공부하라가 아님. 부모 또한 맡은 일을 하지 않았을때 페널티)
@acadra5201
@acadra5201 9 ай бұрын
잘못된건 아니라고 봐요. 아이가 사회에서 잘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이기도 하고요. 저도 잘 산다는게 뭔지는 잘 모르지만 그래도 댓글 작성자 분께서 알아가볼려고 이렇게 유튜브도 보고 그러는 것 같아요. 그리고 제가 잘 이해한지는 모르지만 영상의 말과는 다른 부분들이 있는 것 같아요.
@jianyi7576
@jianyi7576 9 ай бұрын
말도 중요하지만 부모의 모델링 평소 말과 행동이 같아야 아이들이 부모에 대한 믿음이 생겨서 부모의 의견을 보다 잘 받아들일 수 있어요. 만약에 과거에 그러지 못했다면 아이에게 '과거엔 몰랐는데 공부해보니 그렇다더라 엄마도 노력할게 같이 해보자라고' 협력을 구하고 아이와 같이 함께 합의하고 결정해서 같이 해내는 연습을 해 보면 좋을 거 같아요. 엄마가 일방적으로 규칙을 정하지 말고 아이에게 할 수 있는 걸 물어보고 합의해서 해내고 잘 해내면 단계업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nameno7144
@nameno7144 9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스스로 필요를 느낄 때까지 기다리다가 애가 망쳐지면... 나중에 또 부모 원망할 듯
@DrabuIy
@DrabuIy 9 ай бұрын
0:19 Opening 6:08 Endcard
@GurumNyang
@GurumNyang 3 ай бұрын
에오오오옭
@user-mv4ch1js9t
@user-mv4ch1js9t Ай бұрын
내 자식도 살인자가 될수있다! 태어났으니.. 부모의 욕심이 자녀의 인생을 망친다 자녀를 제일 가까운데서 보는데 .. 7살되면 하나의 인격체라 생각합니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인관점,자식의 상태를 파악하고(남들보다 잘하던, 뒤떨어지던) 저는 자녀교육의 제 1목표는 스스로 판단 할수있는 능력을 키우고 자라면서 남에게 도움은 못 주더라도, 해는 끼치지 않도록 가르치는게 부모의 제1도리라 생각합니다 그게 부모입니다 그다음 본인이 잘 할수 있는걸 최대한 할수 있게 도와주는게 자식 삶을 돕는 부모의 진정한 책임이자 목표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user-on7rm3fn8o
@user-on7rm3fn8o 7 ай бұрын
저기서 나한테 해당되지않는 이야기가 하나도 없다. 딱 저렇게 부정적인 면만 당하고 커버렸다... 원망하면서도 악의가 아닌걸 알면서 이중적인 감정을 느낀다.... 책을 읽지 않는 부모님이 아이에게 책을 읽으라하는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만, 읽어야 한다. 읽어서 되물림 되지 말아야한다.... 부모님만 생각하면, 고통에 몸부리치는 내 영혼 때문에, 명절이고 언제고 찾아뵈기 싫다. 그러면서도 그들에게 연민을 느낀다. 나는 스스로에게 어깨를 토닥이며, 이번 생을 잘 살아가보려한다. 절대 되물림되지 않겠다...
@dear2707
@dear2707 9 ай бұрын
그럼 핸드폰을 너무 많이 하면 아무런 지장 없이 내일 학교 가고 다음날 또 핸드폰 보는 건데 ㅎㅎ 그걸 어떻게 제한을 안두나??? 8시 이후로는 안하는거야 엄빠도 안해 규칙이야 지켜야해 이렇게 한계를 정해야지 ㄷㄷ
@user-ararcckekdrorc
@user-ararcckekdrorc 8 ай бұрын
근데 애들이 자기스스로 깨달을 때까지 냅두는건 안좋은것같은데..이빨을 안 닦으려고 해서 냅두면 이뺠이 썩을텐데요? 또 공부안하고 맨날 게임만하면 나중에 정신차렸을때 이미 늦어버려서 정말 후회할텐데..
@tea2174
@tea2174 5 ай бұрын
본인의 삶을 되돌아보세요.
@DalDal2022
@DalDal2022 Ай бұрын
자기가 해야 하지않으면 좋아하는걸 하지못한다는 걸 알아야합니다
@guitijihyeo
@guitijihyeo 9 ай бұрын
나는 교육 둘다 지키지 않아서 그렇게 만들어서 그런 것 같다
@user-om4fj2zd4x
@user-om4fj2zd4x 6 ай бұрын
아버지께 살기싫다 죽고싶다 하니까 진짜로 죽으라면서 "베란다에서 뛰어내릴까?" 하더라.....
@Royguk
@Royguk 3 ай бұрын
그냥 타인한테 하는것처럼만 해도 중간은 갈텐데 부모라는 작자는 꼭 권위적이고 싶어하고 대우받고 싶어함.
@jerrygo00
@jerrygo00 9 ай бұрын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 호랑이는 호랑이새끼를 낳고 고양이는 고양이새끼를 낳는다. 자녀를 보면 부모가 보인다.
@royce-rich
@royce-rich 4 сағат бұрын
달려오는 차에 뛰어들었다 부딪히면 죽는다는걸 깨닫게 나두라고...?
@user-lo1hf3qg2y
@user-lo1hf3qg2y 9 ай бұрын
'싫어' 의 단어를 해석한다..?
@acadra5201
@acadra5201 9 ай бұрын
저도 잘 모르지만 저같은 경우 사람이 싫다라고 느낄때가 있는데 그게 사람이 싫은게 아니라 사람들이 실망할까봐 제 모습을 보여주기 싫을때가 있더라고요 사람들이 싫다고 하면 잠시 멀어질 수 있으니깐 그런거 아닐까 싶어요. 실망시키거나 미움받기 싫을때도 있고요. 제 자신한테도 그럴때가 있었는데 미안해지더라고요.
@game-viewer4069
@game-viewer4069 9 ай бұрын
돈 없어
@user-xo3pi9ij5b
@user-xo3pi9ij5b 9 ай бұрын
F 와 T의 양육방식차이 뭐가 맞다고하긴그럼
@user-lf3ey2zv5s
@user-lf3ey2zv5s 2 ай бұрын
부모가 배우지 못한게 다 원인, 저학력, 조부모 때부터 엉망진창인 가족정서, 엉망진창 가족정서의 원인 또한 못배운탓, 못배운건 1)지가 공부하기 싫어하고 편하고 쉽고 즉각적인 쾌락만 쫓은 탓 2)가난해서 학비가 없었던 탓 - 이건 조부모가 친일을 했으면 해결됨
@Mason-2012
@Mason-2012 9 ай бұрын
행동의 결과로 깨닫게 만드는 것이 오히려 호기심을 더욱 증폭시켜 모든걸 해보고자할때 범죄와 실험을 어느 경계선에서 제재를 해야되는지 매우위험한 교육방식인거 같습니다. 결과로 자신 스스로를 절제하게 만든다는 건 너무 비약적 결론입니다. 꼭 체험으로 결과를 알아야 하나요? 교육이 그럼 왜 필요합니까 정글의 약육강식 법칙을 사람에게 적용시키는 것 같아 거부감이 드네요
@24947
@24947 9 ай бұрын
남에게 피해를 주는 실제적인 위험이 예상될 때는 부모가 개입해야 한다고 언급했는데요.
@Mason-2012
@Mason-2012 9 ай бұрын
@@24947 그 실제적 위험을 예상하기 위해 계속 보호관리와 부모판단이 상시적으로 따라다녀야 된다는 겁니까? 그것이 더 부모판단에 기대어 사는거 아닌가요? 판단의 자립은 어디에 있습니까?
@wasdzx9773
@wasdzx9773 9 ай бұрын
영상 내용은 너무 좋지만 댓글에 육아하지 않으시는 분들의 부모 비판이 가득하네요.^^; 최근 사회 이슈로 이해는 합니다만. 대부분 부모들은 많은 자료를 찾아보고 있답니다.ㅎ 설마 아이를 20년 동안 키우면서 그냥 키우겠습니까.^^;; 영상 내용이 옳은 육아임에는 틀림없고 지향하는 방향임은 맞습니다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반드시 해야하는건 아니지만, 하면 좋은 부분들은 가끔 거래형태로 아이에게 동기부여를 해주는 것도 분명 도움 될 때가 있습니다 부모는 일부분 희생이 필요하지만 희생이 전부는 아닙니다. 아이도 가정의 공동체 일원이고 부모 또한 공동체 일원입니다. 희생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면 분명 지치고 이는 분명 옳지않는 하나의 육아방식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부모도 게임할 수 있고. 개인시간 가질 수 있고 다 할 수 있죠. 다만 그 비중은 가정마다 다를 것이고 살아가며 조정하는 것입니다. 좋은 영상에 댓글을 봤는데 괜히 욱해서 적어봅니다.^^; 부모도 처음인지라. 너무 미워하지 말아주세요.^^
@han5178
@han5178 9 ай бұрын
에초에 낳지를 말아야죠 부모가 아무나 되는줄 아나
@wasdzx9773
@wasdzx9773 9 ай бұрын
@@han5178 ^^
@forevermj7284
@forevermj7284 5 ай бұрын
몇몇 댓글들 보며 맘이 많이 불편했는데.... 정말 그래요.맞아요. 꼭 제 맘 같네요.
매일 20초 동안 아이 안아주자 나타난 놀라운 변화
7:53
책식주의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Super sport🤯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MOM TURNED THE NOODLES PINK😱
00:31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Dynamic #gadgets for math genius! #maths
00:29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The Worlds Most Powerfull Batteries !
00:48
Woody & Kleiny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31년차 초등교사 "진짜 똑똑한 아이들은 OO를 잘합니다"
6:38
나이들수록 인생 잘 풀리는 사람들의 공통점
6:13
책식주의
Рет қаралды 50 М.
훈육과 자존감을 동시에 잡는 부모님의 '이 말' | 김종원 작가 2부
18:40
조작가의 스몰빅클래스
Рет қаралды 164 М.
자존감이 높은 아이와 낮은 아이의 특징
7:25
EBS재미있는상식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Super sport🤯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