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흑물질은 없다? 암흑에너지는? 진실은 어디에? [안될과학 랩미팅]

  Рет қаралды 300,168

안될과학 Unrealscience

안될과학 Unrealscience

3 жыл бұрын

천문학계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온 새로운 가설!
우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흑물질은 무엇이며,
과연 암흑물질이 없다는 이야기는 사실일까?
암흑물질의 정체는 무엇이며, 암흑에너지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암흑물질로 추정되는 후보들의 서바이벌 오디션 현장!
암흑물질만큼이나 어두운 패션의 랩장님과 함께하는 오늘의 랩미팅!
오늘은 천문우주학의 대가이자 새로운 가설의 현장을 보고온 항성이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그리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과학을 모르면 모를수록 교수님과 랩장으로 모시는,
본격 역수직 관계 토크쇼 [안될과학 랩미팅 LIVE]!
[안될과학 랩미팅 LIVE]는 매주 화요일 밤 11시에 찾아옵니다!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엑시온 #우주거대구조 #WIMP #AXION
◆ Thanks to
Studio: Seoul Streaming Station
Editor: 권다혜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Пікірлер: 248
@user-be2rd6lb3z
@user-be2rd6lb3z 3 жыл бұрын
랩미팅 풀버전도 올려주시면 안되나요? 항상 퇴근하는 시간이 12시라서 꼭 시간을 놓쳐서 못봐요 엉엉 편집본말고 풀버전이 넘모 보고싶네여
@user-jg4wg3ty5r
@user-jg4wg3ty5r 3 жыл бұрын
뭔가 의심하고 연구하면서 인류는 발전하는거죠... 늘 재미있게 보고있어요 문과생인 저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줘서 좋아요
@user-mo8nx4vw8s
@user-mo8nx4vw8s 3 жыл бұрын
진행이 많이 늘으셨네요. 재밌게 잘 봤습니다.
@LL-jz4mz
@LL-jz4mz 3 жыл бұрын
진짜 군더더기없고 깔끔한 설명 이해하기 쉬운 설명 굿굿
@sartre11
@sartre11 3 жыл бұрын
궤도형 다른 과학 커뮤니케이터 키울려고 본인보다 설명 부족해도 기다려주고 리액션 해주는거 너무 착하네 거의 과학계의 유재석 인듯
@atlqq
@atlqq 3 жыл бұрын
랩짱의 어리둥절 표정 = 우리 모습
@jaek0201
@jaek0201 3 жыл бұрын
매주 비슷한 표정 ㅋㅋㅋ
@ddt3672
@ddt3672 3 жыл бұрын
듣기에도 어렵고 설명하기에도 난해한 연구자료들을 너무나도 쉽게 풀어 설명해 주시는 ㅇㄷㄱㅎ 팀 분들 최고입니다!!
@acouticsoul9
@acouticsoul9 3 жыл бұрын
랩장님 사랑합니다~~~~~~~~~~~~~~~~~~~~~~~~~~
@user-hc3fw7xq8h
@user-hc3fw7xq8h 3 жыл бұрын
여러번 영상을 곱씹다 궁금해진건데 관측가능한 빛의 파장범위는 무한대인가요? 생각해보니 이러한 부분은 제가 아는선에선 어디에서도 다루지 않더군요. 그렇기에 빛의 파장이 너무 짧거나, 너무 길거나 한 경우도 현재의 인류가 모두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액시온에 대해 설명할때 그만큼 차갑기에 방출하는 빛의 파장또한 그만큼 커질것이라 생각하였고, 그렇기에 아직까지 관측하지 못한 이유가 액시온과 같은 무언가를 아직 관측하지 못한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으로 질문드립니다.
@user-yanghyuk77
@user-yanghyuk77 3 жыл бұрын
진짜 과학은 엄청 신기하네요 주장이 여러개가 나왔을때 다 설득되서..
@user-fx9wt7yc4b
@user-fx9wt7yc4b 3 жыл бұрын
사랑해요 랩미팅~~~
@user-fq8mc4eh9u
@user-fq8mc4eh9u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과학자들 화이팅입니다.
@user-yf5od5pi2l
@user-yf5od5pi2l Жыл бұрын
반가운 말입니다 간 만에 듣는 말이라 과학은 눈으로 보고 확인을 거친 것으로 밝히는 것입니다
@jonathanlee6697
@jonathanlee6697 3 жыл бұрын
랩장님 방가 ^^. 관뒀는 줄 알았슈 ㅎㅎㅎ
@user-qb6fc2oi8q
@user-qb6fc2oi8q 3 жыл бұрын
머리털자리 은하단 뭔가 와닿는다 나도 한때 머리털이 많았는데 지금은 거의 없다는거....
@namulnara
@namulnara 3 жыл бұрын
아앗.......ㅠ
@jung3362
@jung3362 3 жыл бұрын
시대의 변함 쿨도 짧아 지는게 많이 느껴지는 영상이었네요 감사합니다
@1000seju
@1000seju 3 жыл бұрын
관측은 되지 않으나 무언가 있겠구낰ㅋㅋㅋㅋㅋㅋㅋ
@wjyoun
@wjyoun 2 жыл бұрын
1년 전 걸 봐야, 진짜 랩짱님을 볼 수 있네... 😭 😢 😥 😭
@orbitatom1224
@orbitatom1224 Жыл бұрын
왜요?
@user-rc3hn3ix2e
@user-rc3hn3ix2e 3 жыл бұрын
1:30 랩미팅님 웃음 너무예뻐요
@invalid._
@invalid._ 3 жыл бұрын
랩미팅님 ㅋㅋㅋㅋ
@user-pt5gx6jo6q
@user-pt5gx6jo6q 3 жыл бұрын
랩장님이요?ㅋㅋㅋㅋ
@user-eb6uc3mo7v
@user-eb6uc3mo7v 3 жыл бұрын
@@invalid._ ㅋㅋㅋㅋㅋㅋㅋ
@user-df9cq8nm4n
@user-df9cq8nm4n 3 жыл бұрын
랩미팅입니다 반갑습니다 교수님들~
@user-rc3hn3ix2e
@user-rc3hn3ix2e 3 жыл бұрын
랩미팅이 닉네임이 아니에요...?
@LessButBetter-
@LessButBetter- Жыл бұрын
항성님 1년 전에 이렇게 애기애기했다니…!
@blackheadcat
@blackheadcat 3 жыл бұрын
중력외에 어떤 상호작용도 안한다면... 입자들이 서로 밀치지 않고 한 공간에 무한으로 겹쳐진 상태로 있을 수도 있다? -> 중력이 세진다? -> 블랙홀이 된다? -> 호킹복사? -> 폭발? -> 암흑물질이 전자기파로 전환???
@user-fz9hz7ss8u
@user-fz9hz7ss8u 3 жыл бұрын
1. 은하중심이 과거에는 지금보다 빨리 회전했다가 지금은 점점 느려지고있다는걸로 설명이 될까요? 2. 우리가 은하중심의 회전속도를 잘못측정하고있는건 아닐까요?
@ALETHES
@ALETHES 3 жыл бұрын
잘 이해가 안되실까봐 말씀 드리자면 여러분의 애인이 바로 암흑물질입니다.
@cogito522
@cogito522 3 жыл бұрын
닥...쳐!!!!ㅠㅠ
@user-kw6bt7uh1z
@user-kw6bt7uh1z 3 жыл бұрын
전 보이는데요??
@holysite
@holysite 3 жыл бұрын
🤫
@yjej8874
@yjej8874 3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은 존재는 하잖아요?....쥬르륵
@user-cn3vl2oc5m
@user-cn3vl2oc5m 3 жыл бұрын
@@yjej8874 존재는 하는데 발견 못했다는 뜻입니다.
@canonfanatic4826
@canonfanatic4826 2 жыл бұрын
랩짱 궤도 귀여워
@rush_dark1788
@rush_dark1788 3 жыл бұрын
잼있네요
@DH_Choi
@DH_Choi Жыл бұрын
이영욱 교수님 부분에서 조금 설명이 휙휙 지나간 느낌이 있어 이야기 하자면, 기존의 모형은 standard candle로 사용되는 type 1a 초신성이 동일한 밝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에 일정한 팽창보다 약 0.2등급 정도 어두운 밝기 관측 결과로 가속 팽창한다는 결론을 제시했지만, 젊은 항성종족의 초신성과 늙은 항성종족의 초신성의 구성이 똑같다는 보장이 없어 초신성의 나이에 따라 밝기가 다른, 소위 광도진화의 여부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검증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실제로 천체의 나이에 따른 밝기에 관한 선례들이 있는데, 역시 일정한 밝기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세페이드 변광성의 광도진화를 발견함에 따라 허블상수를 수정하게 된 사실입니다. 그러한 의문에 따라 초신성과 그 나이 간의 상관관계 연구를 진행해 젊은 항성종족의 초신성이 원래 더 어두운 밝기로 폭발한다는 상관관계를 발견했고, 밝기 변화에 근거한 천체와의 거리 측정에서 애초에 오류가 있었기 때문에 우주가 가속팽창한다고 여겨진 것이 착각이라는 주장입니다. 기존의 우주론을 뒤엎는 재미있는 시선이어서 개인적으로 연구의 진척이 더 궁금해집니다.
@ohnato
@ohnato 3 жыл бұрын
문제는 그 냄새가 짜파게티가 아니라 짜짜로니나 짜장범벅일수도 있고, 아니면 옆집이 중국집일수도...
@younghwankim6208
@younghwankim6208 3 жыл бұрын
암흑 물질이 우리들이 관측 할 수 있는 물질과 반응은 하지 않지만 중력의 영향을 미친다는 말에서 떠오르는 생각이 중력이 다른 힘들보다 약한 이유가 차원을 넘어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암흑 물질은 어쩌면 다른 차원의 물질들이 아닐까요? 다른 차원의 은하 별들의 중력이 우리에게도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을까요?
@user-ms7mf4ct1q
@user-ms7mf4ct1q 3 жыл бұрын
와 이거 인터넷에서 보고 누가 영상으로 만들까 했는데 진짜 나와버렸네
@sjch7899
@sjch7899 3 жыл бұрын
아니 교수님이 설명해주셨을때보다 더 재밌자나? ㅋㅋㅋㅋㅋ
@lillilllil
@lillilllil 3 жыл бұрын
22:40 ~ 23:08 궤도님 과학이 뭔가에 대한 명언 남기신거 같다. 기억해 뒀다가 써먹어야지ㅋㅋㅋ
@emko69
@emko69 3 жыл бұрын
궤도형 추임새 개좋네ㅋㅋㅋ 설명할맛 날듯
@Hyunsioux
@Hyunsioux 3 жыл бұрын
20:49 디바우러처럼... 98년도 말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만 같은 어렴풋한 기억이 나네요 ㅎㅎ
@user-nx8vm3nt3b
@user-nx8vm3nt3b 3 ай бұрын
궤도님 덕분에 최근에 우주에 대한 관심이 생겨서 나무위키나 관련 영상들을 찾아보고 있습니다ㅎㅎ 그러던 중 암흑 물질에 대한 망상이 하나 떠올라서 여기에 찌끄려보겠습니다.. 위키나 영상을 여러개 봐왔지만 암흑 물질이 실제론 관측이 불가능하거나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단게 자꾸 부자연스럽게 느껴지더라구요.. 그래서 어쩌면 관측 불가능한 질량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가 시공간 자체가 꾸겨져 있어서 그런게 아닐까요? 대부분 컨텐츠에선 시공간을 매끈한 면으로 표현하더라구요? (물론 제가 이해한 우주나 시공간은 엄청 간략화된 컨텐츠들이 바탕이 된거라 크게 왜곡되어 있음을 알고있습니다) 만약 애초에 시공간이 매끈한 면이 아니고 우리가 모르는 사건이나 상호작용으로 인해 일정하지 않게 '구겨진 상태'라면 거기서 암흑 물질과 에너지가 나온다 착각하는 것이 아닐까요잉..?
@JL-tw8vh
@JL-tw8vh 2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 은하와 충돌하면 공간 상으로는 충돌 여부가 별로 없겠지만 중력 영향으로 예측이 불가능한가 아닐까요? 은하 중심에는 많은 블랙홀이 있다는 가설도 있던데 실제로 있다면 충돌 시 중력으로 어떠한 영향이 있지 않을까요?
@user-sm6fv6kw7h
@user-sm6fv6kw7h 2 жыл бұрын
명쾌 통쾌
@user-kj7zy3ds7x
@user-kj7zy3ds7x 3 жыл бұрын
진짜 놀랍고 재밌고 신기한 강의였지만 디바우러가 아니라 디파일러가 아닌가라는 생각만 남았습니다...
@ximxxuho
@ximxxuho 3 жыл бұрын
갑자기 궁금한 것이 생겼는데 핵반응은 물리변화에 가깝다고 들었는데 이유좀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부탁드리겠습니다. 과학고수분들
@Syun12345
@Syun12345 Жыл бұрын
항성님 안경 벗으니까 귀여워졌어…
@mhl8818
@mhl8818 3 жыл бұрын
조명과 무대가 납량특집 같아요.
@chonohina
@chonohina 3 жыл бұрын
16분 쯤에 중성미자가 예측값보다 일정한 비율로 적게 관측된다는 거는 원자로의 특정한 상태로 인해 네 번째 중성미자로 변환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건가요?
@k940621
@k940621 3 жыл бұрын
항성님이 할때는 어렵지만 재밌어서 너무 좋아요!!
@wwkk8815
@wwkk8815 3 жыл бұрын
역시 우주과학은 스케일이 엄청나서, 재미가 쏠쏠함.
@foreveryoung2211
@foreveryoung2211 3 жыл бұрын
자주는 안 보지만 재밌게 봄
@jupiterj2969
@jupiterj2969 2 жыл бұрын
암흑 에너지-중력은차원을 넘나드니까, 다른차원으로 흘러간 중력이 우리차원과 에너지를 공유하는거라 상상을 해봅니다.
@LEE.K.H.
@LEE.K.H. 3 жыл бұрын
문과생 궁금한게 있습니다.. 은하단? 이동거리가 중력에 의해 빛이 굴절된것도 계산이 된건가요.. 엄청 멀리서왔으니 많은 굴절이 있었을듯해서 여쭤봅니다
@invalid._
@invalid._ 3 жыл бұрын
그런건 아주 기초적인 부분이라 당연히 계산되어 있을거에요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다 고려된겁니다
@MegaPunchpunch
@MegaPunchpunch 3 жыл бұрын
후잡한 조명에도 빛나는 랩장님의 미모는 대체...
@user-zy4zt8zw7l
@user-zy4zt8zw7l 3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건은 랑데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이것에 대한 시를 써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데 영 영감이 떠오르지 않아...😁
@sonsm4881
@sonsm4881 Жыл бұрын
이영욱 교수님팀이 새 논문을 발표했네요, 1a형 초신성의 밝기가 모두 같다는 가정이 틀렸고 별의 나이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합니다. 가속팽창보다는 등속팽창 상황일 수 있다고 합니다.
@solivia3973
@solivia3973 3 жыл бұрын
궤도님 매력만점!!!
@user-hc9nu7uy6k
@user-hc9nu7uy6k 3 жыл бұрын
앞으로 1일 1영상 부탁드립니다. 이거 보면서 잠들 ㅇ
@user-yanghyuk77
@user-yanghyuk77 3 жыл бұрын
이거이거 댓글 쓰다 잠들어 버렸구만
@yngsklee
@yngskle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궁금한사항이 있습니다. 암흑 물질도 material인가요? 그리고 우리 주위에도 존재하는가요? 그렇다면 고체도 액체도 기체도 아닌가요?
@hierahiera5235
@hierahiera5235 2 жыл бұрын
그걸모르니까 dark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전자기 상호작용을 안하고 우리가 아는 물질과 비슷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제일 흔한 모델은 기체에 가깝습니다.
@user-nh3rk9ot2m
@user-nh3rk9ot2m 4 ай бұрын
20대 중반부터 33년 째 탈모총각인입니다. 뭔가 있을지 모를 머리털자리 은하단으로 이주할 수만 있다면 운명도 바뀔 수가 있을까요?
@Yellowmushhh
@Yellowmushhh 2 жыл бұрын
밤에 짜빠게티 사진이 이렇게 깜빡이 없이 들어오면 야식으로 짜빠게티를 먹을 수 밖에 없군요
@user-mh4qc4mo5o
@user-mh4qc4mo5o 3 жыл бұрын
왜 랩짱님은 마이크안줘어어어어어어~!!!!
@user-jo6dr2wm4b
@user-jo6dr2wm4b 2 жыл бұрын
근데 짜빠게티 안먹고 다른거 먹었는데 짜파게티 먹었다고 오해벋는경우도 많은데요. 냄새난다고 그것만으로 판단하면 오히려 더큰 오류가 만들어 질수 있다고 생각해요
@user-nx9ry7mz5g
@user-nx9ry7mz5g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예를들어 스타트렉에 나오는 우주선이 우주에서 빛의 속도로 비행중에 우주선이 비행중에 다크물질과 부디친다면 어떤일이 발생될까 궁금합니다 그리고 블렉홀로 다크물질이 빨려 들어갈까요? 답변 궁금해요?
@user-nx9ry7mz5g
@user-nx9ry7mz5g 3 жыл бұрын
@DAN EA 답변 감사해요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전자기 상호작용을 거의안하니 못 느낄수 있습니다. 블랙홀로 빨려들어갑니다
@MinMin136_kr
@MinMin136_kr 2 жыл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수학적으로 증명은 됐는데 현실에서는 이거 틀렸다고 증명된 사래도 있나요?
@user-xu5ti2kh7g
@user-xu5ti2kh7g Жыл бұрын
현실에서 암흑 물질이 발견된 적이 없는데 암흑에너지가 없다는 이론이 맞는지 아닌지를 현실에서 어떻게 증명하나요?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오늘 방송은 오류가 많네요. 이영욱교수님 주장은 빅뱅전후 물질차이가 아니고요 시간에 따라 별의 화학적 구성이 달라짐에 따라 초신성의 밝기가 바뀔수 있다는겁니다. 그리고 수정뉴턴중력은 주변은하가 잡아당긴다는 얘기가 아니라 뉴턴 법칙 F=ma 가 중력이 약할 땐 F=ma^2 형태로 바뀌어야한다는 가설입니다.
@wawzw
@wawzw 2 жыл бұрын
첫째 암흑물결이 있는곳은 진공이 아니라는 말인가요 그리고 은하와 은하단은 틀린거 아닌가요 아드로메다은하인가요 아니면 아드로메다은하단인가요? 진심 몰라서 묻는거예요 은하단이라는 거는 은하수가 모인걸 은하단으로 알고있는데요....?
@user-hj7pt5zr7g
@user-hj7pt5zr7g 3 жыл бұрын
2:11 아 넘 웃김 ㅋㅋㅋㅋㅋ
@derteilunddasganze
@derteilunddasganze 3 жыл бұрын
이영욱 교수님은 전설이다 ㄷ
@user-cx4tg9us5k
@user-cx4tg9us5k 2 жыл бұрын
입술에 넘 포인트 두자마게요 ㅋㅋㅋ
@Reskeed
@Reskeed 3 жыл бұрын
이영욱 교수님의 내용도 나왔으니까... 이제 암흑에너지 랩미팅도 하시겠죠? 그리고... 암흑에너지가 공간에너지가 아닌 특정 입자에서 나오는 것 일수도 있다는 내용도 들어간 걸 하실 수도 있겠죠? 기대하고 있습니다요~ ㅎㅎㅎ 현재 우주의 종말에 대한 시나리오를 송두리채 흔들고 있는 그것을 말이쥬 ㅎㅎ
@SoonpilCha
@SoonpilCha 3 жыл бұрын
랩짱님 마이크 들고있는 모습이 엄청 예쁘고 약간은 코믹하게 보이세요. 정말 좋은 컨셉..
@____cubic____7088
@____cubic____7088 2 жыл бұрын
은하 얘기할떄 은하의 별끼리 작용하는 중력 각각 다 고려해본건가(좀 무리긴 해보이는데 그래도 양자컴/슈퍼컴+어림값으로 하면 대충 될거같은데)
@user-uv4gy1mi6u
@user-uv4gy1mi6u 5 ай бұрын
몰래 짜파게티 먹고 있다가 영상보면서 냄새까지 지우기로 마음 먹었다.
@0ppenheimer
@0ppenheimer 3 жыл бұрын
박제 당했군요... 탈모인들을 비하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힘내십시오
@ygehun
@ygehun 3 жыл бұрын
궤도님 영화 모범시민 주인공 닮으셨다 -_-!!
@bizworld70
@bizworld70 3 жыл бұрын
사랑해요 랩짱님 🙈🙉🙊😻 멍뭉미 랩짱님
@syldrislia928
@syldrislia928 3 жыл бұрын
18:05 이 세상 물질이 아니다. 꼭 허수(Imaginary Number)같네요. 수학적으로는 존재하지만 실제론 존재하지 않는 것.
@foreveryoung2211
@foreveryoung2211 3 жыл бұрын
이열 이과적인데 문과같아
@user-kp9py3vm2x
@user-kp9py3vm2x 3 жыл бұрын
자연수나 실수도 마찬가지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고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합니다. 예를 들어 분수만 봐도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개념임. 당근 1/2개는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지만(당근을 잘라도 각 당근이 1개) 모든 당근 1개를 갓 뽑은 당근 전체를 한개라고 가정한다면 당근을 갓 뽑아서 정확히 절반으로 잘랐을 때 이걸 1/2개라고 분수를 이용해서 설명할 수 있죠. 분수가 없으면 절대로 설명할 수가 없는 개념임. 허수 역시 마찬가지로 실제 현상을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쓰이므로 허수만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는 없어요
@user-kp9py3vm2x
@user-kp9py3vm2x 3 жыл бұрын
@@korea7371 제가 하고싶었던 얘기랑 크게 다르지 않는데 댓글을 짧게 달다보니 오해하신듯. 말씀하신대로 수학은 인간이 우주가 ‘동작’하는 걸 편리하게 기술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개념이라는게 제 요지였습니다. 마치 ‘사과가 떨어진다’라는 말처럼 사과도 실재하고 떨어진다라는 동작도 실재하지만, ‘사과가 떨어진다’라는 언어 표현 자체는 그냥 이 사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기술하기위해 우리가 만들어낸 도구에 불과한거죠. 이 ‘사과가 떨어진다’라는 말 표현 자체는 인간에게는 유용한 도구일 뿐이지 이 도구가 실재하네 실재하지 않네 말하는건 애초에 어불성설인 거죠. 그리고 수학은 언어로 정확하게 표현되지 않는 부분까지 더 상세하게 기술할 수 있는 도구로, 심지어 언어보다 더 정확한 도구입니다. 그냥 ‘사과가 떨어진다’라고 말하는거보다 뉴턴방정식으로 이를 기술하면 우리는 사과가 떨어지는 속도부터 떨어지는 궤도, 지구에 도달하는 정확한 시간까지 예측할 수 있죠. 이를 기술하기 위해서 뉴턴은 미적분이라는 새로운 수학을 도입합니다. 여기서 미적분이 실재하는가 실재하지 않는가는 마치 ‘사과가 떨어진다’라는 말 표현이 실재하는가 실재하지 않는가 와 같이 무의미한 질문일 뿐입니다. 둘다 그냥 현상을 설명하기위해 인간이 만들어낸 도구이니까요. 제 요지는 허수는 자연수 실수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우주를 설명할때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에 만들어낸 개념인거지 어떤 숫자는 존재하고 어떤숫자는 존재하지 않고 이런게 아니라는 얘기였습니다. 허수는 입자물리학에서 입자들의 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제 분야는 아니지만 실생활에 가깝게는 에어컨 작동원리에서도 등장한다고 하네요. 결국 저도 님이랑 같은 얘기를 하고 싶었던 건데 짧게 얘기하느라 설명이 잘 안된듯 하네요. 이 글 읽어보시면 제 요지가 이해가 되실듯 philosophy.stackexchange.com/questions/8512/are-numbers-real
@Tongdacwjstk
@Tongdacwjstk 3 жыл бұрын
@@user-kp9py3vm2x 크게 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데 저기 중2병인 애는 그 개념을 받아들이지 않네요.
@chgus0101
@chgus0101 3 жыл бұрын
우주는 신비롭지만 어렵네요 ㅎㅎ
@cmj7260
@cmj7260 3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온 우주에 퍼져 있다면 우리가 느끼지 못 할 뿐이지 지구에도 있는건가요?
@yds6844
@yds6844 3 жыл бұрын
반대로 암흑 물질이 없다고 가정하면 아무것도 없는 빈 공간조차 질량을 가질 수 있는거임. 난 그렇게 생각함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우리몸을 지금도 투과하고 있습니다
@ksl2179
@ksl2179 3 жыл бұрын
죽기 전에 암흑 물질, 에너지에 대해 얼마나 밝혀질지 궁금합니다 ㅋㅋ
@user-hc1ks5ui2u
@user-hc1ks5ui2u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은 중력뭉침이고 암흑에너지는 시공간 흐름이지 않을까요 우주가 유한하고 빅뱅이후 중력이 있었다면 어딘가에는 중력이 뭉치는 곳이 있을것이고 암흑에너지는 파동처럼 흐를뿐인데 우주가 무한 팽창 한다고 착각 하느게 아닐까요
@user-in8zk9iq6x
@user-in8zk9iq6x 3 жыл бұрын
암흑에너지는?
@freeq1981
@freeq1981 3 жыл бұрын
너무 옆에만 보고 얘기하시네요 .. 강력..하군요..
@Exupery_ArtLab
@Exupery_ArtLab 3 жыл бұрын
짜파게티 앞광고인가요?!?
@stonered550
@stonered550 3 жыл бұрын
그냥 상상력을 발휘해서 암흑물질이라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이아니고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자기장이나 전파같은 파동의 작용이 아닐까... 3차원에 사는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외부차원의 영향력에 의해서...
@user-jx6yf2dx3d
@user-jx6yf2dx3d 2 жыл бұрын
보이지 않는 질량이 은하속의 발견하지 못한 블랙홀들의 질량은 아닌가요??
@Hassim5960
@Hassim5960 3 жыл бұрын
비문학 지문에 나왔었던ㅋㅋㅋ
@TV-mn1iq
@TV-mn1iq 3 жыл бұрын
차원이랑 관련있을듯
@user-lf4iu1mo4y
@user-lf4iu1mo4y 3 жыл бұрын
단지 추론일뿐 138억년전 눈에 보이지도 않는 한점이 우연하게 폭발하고 빛보다 훨씬 빠르게 이 우주의 물질과 시간과 공간을 만들었다는 것이 사실일까요 거기다 이젠 보이지도 않고 검출되지도 않는 암흑물질이라니,,,,
@minsukang5030
@minsukang5030 2 жыл бұрын
가능한 시나리오 중 가능성이 높은 거죠. 빅뱅이론의 신빙성이 의심된다면 똑같이 확률적으로 설명되는 일기예보도 믿을 수 없고.. 그런 식으로 따지면 명백하게 사실이라고 할 만한 것은 거의 없으니까요.
@choco3468
@choco3468 3 жыл бұрын
근데 은하끼리 충돌하면 별 사이 거리야 멀어서 충돌하지 않는다고 해도 은하 중심 중력이 엄청날텐데 그 안에 속한 천체들은 그 영향을 많이 받지 않나요? 태양계 구조가 뒤틀린다던지 하는 거요.
@KLee-nb2rj
@KLee-nb2rj Жыл бұрын
은하 중심도 별사이가 멀어서 중력이 그렇게 쎄진 않습니다
@user-tg7ge6ev3d
@user-tg7ge6ev3d 3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은 없다
@manrico736
@manrico736 3 жыл бұрын
쉘든은 실존 인물인가?
@jackynzkiwi
@jackynzkiwi 3 жыл бұрын
어쩌면 우주와 지구의 기준의 입장에서 인간의 삶도 결국은 에너지덩어리임 지구의 나이가 50억 가까이 되는데 인간이 태어나거나 죽고 번식을 하는 행위 모두 포함해 인간들의 삶은 지구의 관점에서 봤을때는 하나의 에너지 덩어리가 소비된거나 마찬가지임 인간들의 사회 구성원 안에서 구태여 누가 더 낫네 못낫네 비교할 필요도 부러워 할 필요도 서열을 정할 필요도 다툴 필요도 경멸 할 필요도 미워할 필요도 갈등 할 필요도 속일 필요도 이용할 필요도 없음 욕심 욕망 권력 허영심 과시 비교 전부 부질없는거임 결국은 미세세포단위로 돌아감
@jackynzkiwi
@jackynzkiwi 3 жыл бұрын
@obey No! , Go Away!
@jackynzkiwi
@jackynzkiwi 3 жыл бұрын
@cl 미개하다,미개해 다 부질없어요,
@yds6844
@yds6844 3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은 없기때문에 아무도 못보는거 아닐까? 공간이 질량을 가진 것을 보고 암흑물질이 있다고 생각한거야. 물질 외에도 공간이 질량을 가지니까 은하 외곽의 속도가 덜 줄어드는거지
@GoldenHwangJaeSik
@GoldenHwangJaeSik 3 жыл бұрын
아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것들을 모두 합쳐도 고작 5%도 안 ㄷ
@Smari24
@Smari24 3 жыл бұрын
관측은 되지 않지만 뭐가 있겠구나 ㅋㅋㅋㅋㅋ 그래서 머리카락 은하단ㅋㅋㅋㅋ
@yunseok312
@yunseok312 2 жыл бұрын
없다에 한표
@heejngkim
@heejngkim 2 жыл бұрын
토미 텐카넨 박사님 논문을 잘못 이해하신 듯 합니다! 요약문만 보아도 텐카넨 박사님은 암흑물질이 표준모형과 꼭 중력적인 상호작용만을 해야하는 이유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할 경우 암흑물질과 표준모형 입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는 암흑물질을 탐색할 수 없는데, 텐카넨 박사님이 새로 탐구한 암흑물질 생성 시나리오에서는 암흑물질이 표준모형과 중력적인 상호작용만 하여도 우주구조형성에 대한 관측으로 박사님이 새로 제안하신 암흑물질 생성 메커니즘의 흔적을 간접적으로 찾을 수 있다는 점을 하이라이트 했습니다.
@Orbit_Room
@Orbit_Room 4 ай бұрын
1:21 머리털자리 은하단
@user-yr2mx9jc9n
@user-yr2mx9jc9n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점이 있는데 은하의 중심부와 바깥의 속도가 달라야 한다는게 이해가 가질 않네요 세숫대야에 물을담아 소용둘이 시키면 중심부가 바깥보다 빠르게 돌지만 그건 바깥부분이 그릇에 마찰이든 외부요인이 있기때문인것 같고요 그러나 우리가 아는 바퀴 타이어가 엄청 큰거라 해도 돌면 중심부와 바깥의 회전 속도는 같지않나요? 즉 한덩어리 물질로 보면 될텐데 그리고 암흑물질 에너지가 있다고 보여지고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관측 되는데 그것이 빅뱅 이전에 존재했을거라고 우주 바깥에 있을거라는 주장은 뭔가 그럼 영향이 없어야지 희한하네 인프라가 빅뱅 이전에 있었다?
@user-ig7nj1xb5r
@user-ig7nj1xb5r 7 ай бұрын
중심부가 훨씬 빨라야 원심력과 구심력이 균형을 이루지 않을까요? 멀수록 거리의 제곱으로 중력이 약해지니 늦게 돌아야 할 듯합니다. 타이어는 결합되어 있어서 물질로 꽉 차있고 은하는 거의 텅 비어있는 것이나 다름없죠. 은하가 타이어처럼 회전한다면 텅비어있지 않다는 반증이 될 겁니다.
@user-py8nz5kv8l
@user-py8nz5kv8l Жыл бұрын
아시겠지만 은하는 사실 거의 텅 빈 공간입니다 별들이 반짝반짝 빛나서 뭔가 엄청 많아 보이지만 사실 텅빈 허공뿐이죠 그 허공에 볼수도 없고 측정도 안되는 미립자나 원자들이나 분자들만이라도 드문드문 존재해도 보이는 별보다 몇배의 질량이 될거에요 태양을 손톱만큼 줄이면 알파센터우리는 도쿄쯤에 있을 정도로 은하수는 허공자체이기에 그게 암흑물질에 대한 제 추측입니다
@aten100
@aten100 3 жыл бұрын
👏🏿👏🏿👏🏿👏🏿👏🏿👏🏿
@mineysmile
@mineysmile 3 жыл бұрын
빛이 = [비시] X , [비치] O
@soongum
@soongum 3 жыл бұрын
다크템플러가 보이진 않지만 스~싹 스싹 소리를듣고 알 수 있다
@riwonno6732
@riwonno6732 3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은 3차원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시공에 갖힌 우리는 검측이 불가능핲니다! 줌력에만 반응하는 이유는 시간과 관련이 있다는 방증이며 시간관련은 3차원 공간의 왜곡을 일으킵니다! 중력의 근본이 시간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암흑물질의 3차원 왜곡이 교정 될 경우 4차원 이상의 공간왜곡을 유발하게 되며 향후 개발될 은하간 이동용 공간엔진의 근본기술로 적용될 것입니다!
@korea214
@korea214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했던 랩미팅으로 했던것으로 편집해서 올린 것인가? 흠... 다시보니 새롭네...ㅋ 그나저나 랩미팅이라는 거슨, 랩(연구실)에서 하는 (청춘들간의 )미팅이라는 것이됴?
@deartaks
@deartaks 3 жыл бұрын
명심하세요. 랩에는 청춘이 없습니다. 청춘도 랩에 들어가면 황혼이 됩니다.
@siyun5
@siyun5 3 жыл бұрын
보통 연구실 구성원들이 모여서 각자 관심분야 논문이나 연구중인 논문을 발표하는 자리를 랩미팅이라고 합니다.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100😭🎉 #thankyou
00:28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Теперь это его телефон
0:21
Хорошие Новости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Карточка Зарядка 📱 ( @ArshSoni )
0:23
EpicShortsRussia
Рет қаралды 173 М.
Дени против умной колонки😁
0:40
Deni & Mani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Топ-3 суперкрутых ПК из CompShop
1:00
CompShop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99 М.
How much charging is in your phone right now? 📱➡️ 🔋VS 🪫
0:11
📱 SAMSUNG, ЧТО С ЛИЦОМ? 🤡
0:46
Яблочный Маньяк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