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aeological Discovery During Road Construction Project: Ornamented Sword from Gyerim-ro, Gyeongju

  Рет қаралды 2,511,000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9 жыл бұрын

The Gyerim-ro construction project in Daereungwon Tomb Complex was started as part of the Gyeongju Development Plan in the 1970s. The road construction work was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the archaeological survey of ancient tombs for the purpose of transforming Gyeongju into a tourist city.
This was no ordinary project, however, as a tomb was newly unearthed at every turn. Most of them were small to medium-sized tombs that were incomparable to the massive royal tombs, but they contained artifacts that helped shed light on the splendid culture of Silla.
An ornamented sword in gold color was found in Tumulus No. 14 on Gyerim-ro, and it was truly one of a kind that hadn’t been seen anywhere else.
Archaeologists back then when “excavation” and “archaeological survey” were fairly new concepts in Korea were unable to explain the identity of the sword.
Let’s learn about the hidden story behind the discovery of Ornamented Sword from Gyerim-ro, Gyeongju that accompanied both feelings of regret and joy.
#Korea #KoreanCulture #KoreanHeritage

Пікірлер: 1 000
@user-kj9gs1lm7z
@user-kj9gs1lm7z Жыл бұрын
제발 고고학프로그램 많이 만들어 주세요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Жыл бұрын
고고학 콘텐츠를 많이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의견 적응 반영해 볼게요🧐
@won4367
@won4367 Жыл бұрын
시로
@cutest_bruney
@cutest_bruney 7 ай бұрын
@@koreanheritage아 발굴도 많이 해주세요
@user-yx1dr6pw9c
@user-yx1dr6pw9c 3 ай бұрын
​@@koreanheritage1111
@user-sz4dm1yi4i
@user-sz4dm1yi4i 3 ай бұрын
돈이 안되서 ㅠㅠ 안만들려고하더라ㅜㄱ요
@user-xt7mp2wm3d
@user-xt7mp2wm3d 7 жыл бұрын
사실 경주는... 이미 발굴된 곳보다도 현재 일반 주택가, 빌딩숲 등이 차지하고 있는 지층 아래를 파보면 더 어마어마한 것들이 나올 것이다. 황금의 나라 천년의 중심지였으니.
@user-xq7dv9xv5w
@user-xq7dv9xv5w 5 жыл бұрын
가야의 영향인듯
@youngshin6957
@youngshin6957 5 жыл бұрын
H n
@mulejee9018
@mulejee9018 4 жыл бұрын
@@user-xq7dv9xv5w 먼개소리야
@user-nz2he4fb6l
@user-nz2he4fb6l 4 жыл бұрын
@깡이 개소리라뇨 언행이 지나치시네요;
@wnstndp
@wnstndp 4 жыл бұрын
@김형식 가야는 전라 일부, 경상도에 걸쳐 넓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 신라와 가야는 서로 맹이였다 통수쳤다를 반복했어요. 가야와 왜가 손을 잡고 신라를 친적도 있고 지리적으로 가까이 지내고 있었죠
@user-fv5tt8zi2w
@user-fv5tt8zi2w 2 жыл бұрын
경주는 그저 노천에서 그 귀한 황금보검이 나올 정도이니 대단한 도읍이었어요. 대단합니다.
@user-sx9dc3eg2e
@user-sx9dc3eg2e Жыл бұрын
도시계획을 한 유적이 나오는데 격자로 대도로를 만들고 사이사이 또 격자 소도로를 만들었으며 수세식 화장실사용 흔적이 있다네요. 집집마다 말들이 많아 집집 마굿간에 말마리수 조사해 적은 유물도 나왔어요.유적을 발굴했는데 함 찾아보세요.
@e.g.o9870
@e.g.o9870 4 ай бұрын
그래서 고도 천년에도시지요...
@user-sy7vl1vm2z
@user-sy7vl1vm2z Жыл бұрын
경주는 도시 자체가 지붕없는 박물관인 천년의 고도 황금의 도시지;;
@mc3230
@mc3230 2 жыл бұрын
얼마나 많은 문화유산 보물들이 , 도굴 되어서 알수 없는 곳에 팔려 가있을지 생각하니 참으로 안타깝다.
@user-sd4hj8nm3q
@user-sd4hj8nm3q 8 ай бұрын
일단 도굴하기 쉬웠던 백제,고구려 무덤들은 일제가 싹다 가져갔죠…운좋게 뒤에 배수로파다 작은거 발견한게 무령왕릉이였으니…
@user-fj8jc5hy6r
@user-fj8jc5hy6r 19 күн бұрын
​@@user-sd4hj8nm3q 일본이 가져간건 얼마안되고 보통 조선놈들이 도굴했다.
@user-rt7gw3gy4d
@user-rt7gw3gy4d 5 жыл бұрын
이거 보니까 마음아파요 우리나라에서 건물 지을때 유물같은거 나오면 공사중단하고 발굴시작하는데 그 비용을 건물짓던 사람들한테 부담시켜서 유물나와도 묻어버리고 그냥 짓는경우도 많다는데...그 세상빛도 못본 진귀한것들이 얼마나 많았을지 법이 바껴야한다고 생각해요ㅠㅠㅠ
@user-dl4ff5kl9z
@user-dl4ff5kl9z 4 жыл бұрын
오바떨긴
@user-rd2vm6lt4d
@user-rd2vm6lt4d 4 жыл бұрын
비용부담은 당연히 국가에서 합니다. 근데 유적이 나와버리면 공사가 중단되죠. 그럼 공사지연에 따른 비용이 계속 발생하고 심지어 공사가 아예 취소 되는 경우도 있죠... 그러다 보니 무시하고 덮어 버리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만, 옛날이야기 입니다.
@ZIzonbubsa._.23
@ZIzonbubsa._.23 4 жыл бұрын
국가에서 합니다 잘 모르시면 낭설 퍼트리지마세요
@rosemoonlove90
@rosemoonlove90 4 жыл бұрын
옛날 드라마보신듯
@sssyyyggg_
@sssyyyggg_ 4 жыл бұрын
시공사에서 발굴비 부담해야된다 등신들아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제대로 글 쓴 사람한테 욕을하네 지금 한창 이슈인 춘천 레고랜드만 봐도 모르겠냐 시공사에 발굴부담시키니까 민간 발굴업체랑 발굴비 딜 하고, 고고학자들 출입조차 막은거 모름? 뭘 알고 지껄여야지 무지한 것들
@asdfhg256
@asdfhg256 7 жыл бұрын
얘기가 그렇게 되는군. 왕실이 귀족무덤보다 못할리는 없고, 왕릉들은 진작에 털렸고, 중소형 귀족들 무덤들만 세월이 지나면서 흙이 퇴적되면서 무덤이 자취를 감춰서 도굴당하지 않은거지
@cellularplus8359
@cellularplus8359 6 жыл бұрын
김현 ㅌ
@phy7
@phy7 6 жыл бұрын
김현 ..오..맞다.. 카자흐에서도 무덤 도굴 당해서 절망하면서 옆에라도 파보다가.. 골드맨 발굴했죠. 4000개의 금 장식이.. 발견되었다고...
@user-tm7tj3st5n
@user-tm7tj3st5n 4 жыл бұрын
종인아.너떼문에.야당망했다.너미워서.않찍는단다.아주고얀놈이다
@jjaggestdo8713
@jjaggestdo8713 4 жыл бұрын
왕릉 신라후기 무덤은 도굴하다 생매장될 구조임.
@loveall_choi_daae
@loveall_choi_daae 3 жыл бұрын
김상기 때문에/안찍는다
@user-jl5ss7yg4o
@user-jl5ss7yg4o 7 жыл бұрын
여기가 그 유명한 땅만파면 유적 나와서 집못짓는 경주인가요?
@user-le5wh2wo8k
@user-le5wh2wo8k 7 жыл бұрын
김기상 ㅋㅋㅋ 진짜 경주 땅파면 유적나온다는거 맞는말임 경주 e편한세상 공사중에 유적나와서 아파트내에 유적지 조성해둠 ㅋㅋ 울할머니밭에만 가도 깨진 도자기파편 ㅈㄴ 많음 ㅋㅋㅋ
@naoi8087
@naoi8087 6 жыл бұрын
정말로 그럼.. 옛날기와 부서진거두 많고요
@jhi3384
@jhi3384 5 жыл бұрын
감은사지나 경박 근처 걷다보면 길을 유심히 보세요. 깨진 기와나 도자기 파편 몇개 줏을수 있습니다.
@user-xq7dv9xv5w
@user-xq7dv9xv5w 5 жыл бұрын
명말은 많으나 알아보는 사람이 부족한듯
@jeanlee6572
@jeanlee6572 3 жыл бұрын
@@jhi3384 그런거 주워가도 되는거예요?
@TheWnelzja1
@TheWnelzja1 7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수십년동안 그렇게 도굴 많이 해가고도 저렇게나 많이 남았다는게 놀랍지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6 жыл бұрын
일본에서 가야와 신라의 유물과 유적을 발굴하는데에만 현재 가치로 500조원이 넘는 돈을 투자를 했음. 석굴암과 불국사를 복구하는것만도 7년이라는 시간과 연인원 20만명, 당시에는 최신의 복구 기법이었던 시멘트 복원기법을 사용을 했었을 정도로 신라의 문화유산을 복구하는데 앞장서준게 일본이었음. 궁금하면 일본이 복구 하기 이전에 불국사와 석굴암 꼬라지가 어땠는지 사진찾아보면 수두룩하게 많이 나오니까 직접 찾아보고 그런 소리를 하면 됨. 그리고 서봉총이나 금령총이 모두 일본에서 발굴을 했지만 발굴지 유치 원칙에 입각, 일본으로 들고 가지 않고 박물관을 지어서 조선에 남겨둔게 바로 일본임. 현재의 불국사를 학생들 수학여행지로 삼은 것도 바로 일제에 의해서 이루어진 일임. 일제시대 당시에 일본 본토에서 불국사로 와서 수학여행을 필수적으로 하기도 했었을 정도임. 신라 역사를 아끼고 사랑하는 신라 김씨의 자손이자 신라인의 유전자를 확인한 자손으로서 일제시대 당시 일본이 신라의 유물을 발굴하고 보존해준 점에 대해서는 감사한 마음을 항상 가지고 있음. 언젠가 꼭 은혜를 갚고 싶다는 생각도 하고 있음.
@vv-yp4cu
@vv-yp4cu 6 жыл бұрын
Souls Silla 그래도 일제가 행한 일이 있는데 그런식으로 의견을 표출하는 것은 좋지않다고 봅니다. 석굴암만 봐도 일본이 석굴암을 가져가려고 콘크리트를 떡칠해 놓았으니... 물론 조선과 신라의 유물들을 보호해준건 감사할만한 행동이긴 하지만, 그래도 많은 유물들을 약탈하고 훔쳤으니 말이죠.
@user-br3ox2pr7c
@user-br3ox2pr7c 6 жыл бұрын
뉴라이트에 나오던 어쨋던 팩트에 입각한 사실을 얘기하는데 왜 반일감정을 앞세워 부정하시는지 ? 콘크리트 떡칠이라기보단 그 당시 최신기법이라고 하지 않음 ?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해서 오히려 우리 문화를 보존해준건 사실이라고 저분이 얘기하는데 감정만 앞세워 팩트를 부정하는건 옳바른 자세는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kokopelliyeo2295
@kokopelliyeo2295 6 жыл бұрын
일본국립박물관에 얼마나많은국보급유물이 많은지 소문만 무성합니다. 무거워서 못들고가는거외에 움질일수있는건 대부분가져갔지요. 그당시엔 진정한가치를 몰라서 못가져간것도 많을테구요. 특히 조선 왕실에 관련된 귀중품등은거의 대부분가져갔지요. 그리고 일본이 한국을위해서 문화재보존을 발굴했을까요? 예를들어 외국학자들이 이집트를위해 피라밋을 발굴했을까요? 다 자기들의 영달을위해 발굴한겁니다.
@user-dh2qd5yj1s
@user-dh2qd5yj1s 6 жыл бұрын
Souls Silla 그게다 임나일본부 증거찾을려고 그런거ㅋㅋㅋ
@yong.yong_95
@yong.yong_95 5 жыл бұрын
난 저것보다도 박물관에 고고학 전공자가 없었다는게 더 놀라워.
@user-sd2ln6qc3w
@user-sd2ln6qc3w 5 жыл бұрын
조용 그 당시에 고고학을 가르칠수 잇는 교수니 선생들이 없엇죠.. 다 일본이나 중국에 유학을 가서 배우고 왓엇으니까요. 지금은 그분들이 나이 들어서 교수를하고 학과도 많이 개설되어서 고고학 전공자들은 많습니다. ㅎㅎ
@EusouCoreano
@EusouCoreano 3 жыл бұрын
박물관학과 고고학은 접점도 있기는 하지만 엄연히 다른학문입니다.
@user-gf3xv2dw6p
@user-gf3xv2dw6p 3 жыл бұрын
당시엔 먹고 살기에도 급급했던 시대였습니다, 저정도만 해도 대단합니다. 역사는 당시의 시대상황을 이해해야 올바른 해석이 나옵니다
@kulkul9803
@kulkul9803 3 жыл бұрын
에효, 그 당시엔 밥 굶는 사람도 많았고 대학은 인구의 5% 정도가 갔음. 읍이하 시골에선 대학생 구경하기가 하늘에 별따기 수준. 고고학이라는걸 알지도 못하는 국민이 태반이었음.
@guerlain-zg4zb
@guerlain-zg4zb 3 жыл бұрын
전자회사 전자과 전공자 없음 자동차 공장에 자동차 전공자 없듯이.
@bravoyourlife7364
@bravoyourlife7364 6 жыл бұрын
그게요...땅만 파면 나오긴 하지만...나온 자리를 더 깊이 파면 또 나온다는게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신라시대 유물이 나온 자리를 또 파면 고대 유물이 나오니( 고인돌 비슷한것) 미치고 환장할 노릇이지요...땅 주인 입장에서 말입니다.
@jml4551
@jml4551 3 жыл бұрын
잼있네요. 유물도 보여주고 당시 발굴 비화도 직접 듣고. 이런거 많이 올려주세요~
@AA-vo1ce
@AA-vo1ce 4 жыл бұрын
중학교때 기가 선생님이 전에 고속도로공사 감독?같은 걸 하셨는데 뭐 나오면 땅 더 파서 덮어버린다고 하셨던 일이 생각나네요. 당시에도 충격적이었고 그렇게 묻힌 문화재가 얼마나 많을지... 이제와 그 밑을 파버릴수도 없고
@telk3
@telk3 2 жыл бұрын
@user-mv4sh7bt8p
@user-mv4sh7bt8p Жыл бұрын
우리나하 경주는 도시전체를 문화재로 지정해야 된다.
@hyentaek1273
@hyentaek1273 4 жыл бұрын
국민학교때 놀거나 방학때 안압지를 자주갔는데 그 연못안 뻘에서 옛날 도자기랑 접시,술잔등등을 제법 건져갔다는 말을 들었다 경주는 동,서,남,북천에 둘러쌓여 오르막이 없는 분지 형태의 고도시다 불국사를 빼고는 자전거를 타면 힘들이지 않고 둘러볼수있는 도시 내 고향 경주 지금은 관광도시로 많이들 찾는곳이지만 60년대만해도 신라시대 도자기 파편이라든지 도자기가 요강으로 쓰인다든지 옛날 기왓장들이 발에 채였고 골동품 아재들이나 도굴꾼들에게는 핫 스팟이지만 어린 그때에는 주위를 둘러볼 나이도 환경도 아니고 밥먹고 살기 빠듯했다는 기억 밖에 없다 그래도 집과 땅을 보존만 했드라면 고향 경주는 살기 좋은 도시인건 틀림없다
@dede6985
@dede6985 2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너무 좋아~~
@acaciaasmr
@acaciaasmr 2 жыл бұрын
경주 학교다닐때 수학여행한번가보고 .. 코로나 잠잠해지면 한번 다녀오고 싶네요
@koreahistory10000
@koreahistory10000 6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user-bo6ew7sm5g
@user-bo6ew7sm5g Жыл бұрын
내친구는 대능원동쪽담 옆길을 바로 접해서 집이 있었는데 옛날 불때는 부엌이 일부 있어서 불때고 재가 쌓이면 재를 퍼내서 버리고 다시 불을 때곤 하였는데 그렇게 부억바닥을 긁어 재를 퍼낼때 기와조각 같은거 나오기도 했다고 ... 거의 천년동안 수도 였으니 곳곳에 뭐가 있을지 .... 그냥 조용히 묻혀 있는 그문화의 결과들이 안타깝다
@seongmin9910
@seongmin9910 4 жыл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다
@koreapowerbestsniper7816
@koreapowerbestsniper7816 2 жыл бұрын
황금보검은 지금봐도 참으로 놀라운 대발견입니다. 고대 역사의 비밀이많이 밝혀질것입니다.
@user-ub2ij2sf3m
@user-ub2ij2sf3m Жыл бұрын
사실 신라는 짱 컸으니까 ㅋ
@user-ik2zg4yf8z
@user-ik2zg4yf8z 4 жыл бұрын
신기하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gordonpark1966
@gordonpark1966 7 жыл бұрын
경주는 진짜 함부로 공사하면 안 된다
@user-im2jx1qz9n
@user-im2jx1qz9n Жыл бұрын
경주뿐인가요 뭐. . 땅파면 다 유적지
@WeatORANGE
@WeatORANGE Жыл бұрын
@@user-im2jx1qz9n 다 개발 하지 맙시다 어차피 인구도 반토막 날테고 특히 광역시 미만 지방에 새로 지어봐야 앞으로 유지관리비 감당 못함
@Ludwigvanj
@Ludwigvanj Жыл бұрын
@@WeatORANGE ㄹㅇㅋㅋ 광역시에서도 광주는 빼야 됨
@ss.7
@ss.7 Жыл бұрын
@@user-im2jx1qz9n ㄹㅇ 그렇게 따지면 석기시대 유물은 강변쪽이 많을 수 밖에 없고 도읍지였던 서울 개발 무엇ㅋㅋ
@jamesbond-sg3tm
@jamesbond-sg3tm Жыл бұрын
쯧쯧 깡시골로 냅두면 인구 다 빠져나가는데?
@DarrenBarnesMD
@DarrenBarnesMD 7 жыл бұрын
Very cool
@user-zk7lf4yg2p
@user-zk7lf4yg2p 6 жыл бұрын
나 초딩때 기억난다...경주는 농부가 밭갈다가 도자기 나오면 그대로 깨버리고 일했다고...하두 흔해서 던지고 깨버리는 일이 다반사였다고..무식했다고..
@avcght7330
@avcght7330 3 жыл бұрын
ㅗㅜ 문화재 훼손 장난 아니었겠다
@user-qd7xp7ld4h
@user-qd7xp7ld4h Жыл бұрын
문화재나오면 땅뺏기니까 그런거아닐까요?
@Paradise_.
@Paradise_. Жыл бұрын
@@user-qd7xp7ld4h ㄷㄷ
@kimralf1181
@kimralf1181 6 жыл бұрын
경주 뿐만 아니라 역사가 오래된 도시들은 아마 유물이 많이 나올 겁니다. 서울도 위례성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송파강동 일대에도 유물이 많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해당 땅값이 너무 비싸서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보상 해주기가 너무 힘든게 현실이죠. 실제로도 아파트나 대규모 택지 조성할 때에 건설사에서 유물이라도 나오면 뭍어버리거나 갈아 엎는게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유물 발굴 비용을 해당 건설사에 청구하는 비정상적인 법 때문에 그렇죠..
@user-pt8cg8gh1w
@user-pt8cg8gh1w 2 жыл бұрын
하지만 ㅡㅡ,
@user-vd4ct2hh3t
@user-vd4ct2hh3t 2 жыл бұрын
귀한소식 감사합니다~ 역사를모르면 나라가망한다 ~^^
@user-ci3rl1gt1e
@user-ci3rl1gt1e 5 жыл бұрын
경주 에 사시는 분들은 집 공사 하다가 모 만 나오면 시껍을 하고 다시 묻는다 잔우 ... 모만 나왔다하면 말뚝박고 못들어가게 하니 .. 사는 집조차 이렇다네요... 대책도 안세워 주나 보던데...
@whoareyou--
@whoareyou-- 2 жыл бұрын
이게 참 골때리는게 국가 문화재청이 잘못된거에요 비단 경주 뿐만이 아니에요 공사하다 유적이나 유물 나오면 더이상 공사 못하니 골때리죠. 공사만 못하면 상관없는데 발굴에 대한 국가에서 보상이 없으니까요 본인땅에서 나와도 강도처럼 빼앗아가기 일수이고 만약 아파트 짓다 나왔다? 더 골때리는 상황. 건설사는 그거때문에 각종 소송 및 부도에 시달립니다. 예를 들어 분양 완료하고 아파트 짓고 있는데 나왔어 그것도 대규모 유적이. 국가에서는 보상도 안하고 그런게 문제죠. 실제 사례로 의정부에서 아파트 짓다사 유적 뭉게버린 사건이 있었죠. 국가에서 제대로 보상을 했으면 이런일도 안나왓겟죠
@lkh4860
@lkh4860 Жыл бұрын
경주가서 신기한것 사방에 왕릉이 있고 도로가 바로옆에도 왕릉이 튀어나와있는게 신기헸음
@sunone2404
@sunone2404 4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user-wy1il3qk3q
@user-wy1il3qk3q 4 жыл бұрын
고대유적은 역사, 문화, 관광, 교육발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씨앗중 하나입니다. 이런 씨앗들이 하나 둘 늘어가는것이 국가를 발전시키고 안정화 시키며 발전하는 토대가 되기에 언제나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보아도 깊은 마음 속에서 두근거림과 궁금함, 흥분을 멈출수 없는것 입니다. 응원합니다.
@inderjeetgautam5220
@inderjeetgautam5220 2 жыл бұрын
।।।
@user-pj8tx5of8q
@user-pj8tx5of8q Жыл бұрын
우리의 땅 에 묻혀있는 옛 유물 소중하게 다르고 관리해야 한다?
@user-iw3ld9nt1k
@user-iw3ld9nt1k 2 жыл бұрын
멋지네요~ 신라~
@donotinvite
@donotinvite 4 жыл бұрын
저 보검은 진짜 보물느낌남 한번씩 가서 보셈
@TheMngl2005
@TheMngl2005 8 жыл бұрын
춘천이나 홍천도 땅을 파면 다 유물입니다. 다 간석기, 땐석기라 그렇지..
@resa6582
@resa6582 5 жыл бұрын
홍천은 금나오기로도 유명합니다
@potato_girl_
@potato_girl_ 3 жыл бұрын
홍천에서 10년 살던 사람인데 인도 옆에 신라 불상이 있기도 합니다. 예전에 보고 깜짝놀랬던 경험이 있어요
@user-qg3fk3si1m
@user-qg3fk3si1m 3 жыл бұрын
제고향 전남 화순도 세계적 문화유산의 보고입니다. 근데 다 독땡이여서 그라제 고인돌!
@user-ow1xq9km7p
@user-ow1xq9km7p 3 жыл бұрын
오호
@user-xt2nj4cx8n
@user-xt2nj4cx8n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천년고도경주문하유산🇰🇷 나무이미타불 관세음보살🙏🙏🙏
@applepen7634
@applepen7634 7 ай бұрын
옛날사람들이 더 화려하게 살았네😊
@user-fq2ek4fg1s
@user-fq2ek4fg1s 2 жыл бұрын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거 봤습니다. 페르시아쪽에서 건너 온 것으로 설명되어 있어요.
@user-sx9dc3eg2e
@user-sx9dc3eg2e Жыл бұрын
아니요. 트리키아 월지족 국가것이라고 일본학자가 그러더군요. 페르시아왕자가 온걸보고 그렇게 본걸꺼예요. 아무튼 이 두곳도 엄청먼곳이죠. 실크로도나 해상무역로를 통해 신라는 무역한 무역국가입니다.
@sangdodong
@sangdodong 9 ай бұрын
​@@user-sx9dc3eg2e어찌됐든 신라가 엄청 먼 나라랑 교역한건 맞습니다
@jaeseomoncada9115
@jaeseomoncada9115 2 жыл бұрын
This looks amazingly similar group of items found in Staffordshire Gold Hoard. The last excavation was less than 10 years ago. The type of red inlay is called Garnet Cloisonne.
@user-hm6wh9si4n
@user-hm6wh9si4n 2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dontworrybehappy1
@dontworrybehappy1 4 жыл бұрын
아름답다 진짜~
@user-iq1ez5sf2k
@user-iq1ez5sf2k 6 жыл бұрын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자랑스런 우리 선조. 통일 한국 이후 만주 수복한 후에야 제대로 된 우리 역사를 가늠 할 수 있으리라 여겨집니다.
@archive-kpop
@archive-kpop 4 жыл бұрын
진짜 화려한 황금보검
@serabl72
@serabl72 3 жыл бұрын
내가 태어나고 20년동안 자라던곳은 "경주시 동천동604번지"였는데 이곳 동네 이름이"귀사리"라고 불렸는데 많은 신라시대 유적,유물이 무관심하게 방치되고 있었다.
@woodykim9219
@woodykim9219 2 жыл бұрын
저는 성건동 국민주택 47호,,,출신...ㅎㅎㅎ
@ack3145
@ack3145 7 жыл бұрын
신기하네. 진짜 좀 특이한 디자인
@deresapark9019
@deresapark9019 6 жыл бұрын
헝가리가 훈족의 후예를 상징하지 않나요?신라의 김씨 왕조의 조상이 중앙아시아 훈족의 후손으로 보인다. 화랑의 세속오계도 스키타이와 상당히 유사하다고 함.. 신라의 지배계층은 스키타이인 이라는 설이 상당히 설득력 있던데..
@jjaggestdo8713
@jjaggestdo8713 4 жыл бұрын
계림보검 예쁘다.
@user-lt9dc8pi6l
@user-lt9dc8pi6l 3 жыл бұрын
계림 길림
@jaeikshim9248
@jaeikshim9248 2 ай бұрын
상당히 획기적 해석. 설득렵 대단
@sarasoliz9902
@sarasoliz9902 2 жыл бұрын
Porque sera soy fanatica de este idiioma que estoy viendo me encanta tanto escucharlos no importa qque yo no entienda lo qque importa es que me encanta todo cuestion de este idioma grasias por aser que este mejor👌🤞👩❤
@jameskim3301
@jameskim3301 Жыл бұрын
Sara, you should visit Korea and may be even live there. There are foreign language education facilities in Seoul. May be you can teach Spanish ?
@user-gr5oc1iw8u
@user-gr5oc1iw8u 3 жыл бұрын
경주남산만 등산해도 그냥 거의 박물관수준이지.
@supersonic8282
@supersonic8282 Жыл бұрын
시대가 시대니만큼 어려웠을겁니다 대통령이 나라에 돈이 없어서 저멀리 독일까지 가서 돈빌리고 다니던 배고픈 시절이였으니깐요 열악한 환경에서도 그나마 저정도를 보존했다는게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emfkfofl
@emfkfofl 2 жыл бұрын
경주박물관에서 볼 수 있어요
@koreanheritage
@koreanheritage 2 жыл бұрын
👍👍👍
@사적돌
@사적돌 Жыл бұрын
로만글라스도 나오니 신라는 우리상상보다 훨씬더 국제국가였습니다. 페르시아 무장상인을 경호원으로 고용하기도 했었고 당시들어온 이슬람교는 한반도 아랍인들에 의해 세종때까지 이어지고요
@j3459
@j3459 Жыл бұрын
아틸라와 게세르칸 박혁거세와 연관이 깊죠 박혁거세는 중동까지 정복한 한국 근 2000년간 최고의 대왕 황금보검은 세계 10대 보물로 들어갈만큼 가치가 있는데 아틸라가 도시한개 만들 천문학적 돈을 써서 만들었고 신라의 가족(박씨왕가) 에 보낸겁니다. 신라의 3국통일은 아틸라사후 아틸라 부하세력이 신라로 돌아오면서 이룩함. 아틸라는 박혁거세후손으로 유럽에 신라를 세운다는 일념으로 유럽정복을 시작했죠 그리고 신라가 중국에 있었어요 나당전쟁도 중국에서함
@naturesound5771
@naturesound5771 2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보검입니다. 최고의 보물입니다.
@user-ci3rl1gt1e
@user-ci3rl1gt1e 5 жыл бұрын
유적 발굴도 좋치만 발굴 장소에 사시는 분들 대책은 세워주고 합시다!!
@user-ew1jh2uz3s
@user-ew1jh2uz3s 8 жыл бұрын
경주 땅 파면 다 유물일듯 합니다
@user-lf8wx4xh6t
@user-lf8wx4xh6t 8 жыл бұрын
땅 = 유물
@user-on4eb7zo9p
@user-on4eb7zo9p 8 жыл бұрын
진짜ㅋㅋㅋ
@bkch316141
@bkch316141 6 жыл бұрын
선향박금출 본방사수 했어요
@bkch316141
@bkch316141 6 жыл бұрын
안넝하세요 천고마비의 계절 내내 건강유의하시고 행복한날 열어가세요
@sund8569
@sund8569 6 жыл бұрын
천년 왕국이다 보니.. 왜구놈들만 아니였어도 교토랑 쨉도 안돼는 규모의 관광도시 였을텐데ㅠ
@mnebaby19
@mnebaby19 2 жыл бұрын
득템. 아이템 보검을 획득하셨습니다 🙏
@JSP-ur3mi
@JSP-ur3mi 2 жыл бұрын
+1 황금보검이 한 순간 은색으로 빛납니다 +2 황금보검이 한 순간 은색으로 빛납니다 +3 황금보검이 한 순간 은색으로 빛납니다 +4 황금보검이 한 순간 은색으로 빛납니다 +5 황금보검이 강렬하게 빛났지만 증발 하였습니다
@user-ot7nm1sn5r
@user-ot7nm1sn5r 2 жыл бұрын
황금보검의 소유자가 국가것이라면 공사현장 감독에게 충분한 보상이 이뤄져야 된다
@user-fn9yl6nt5b
@user-fn9yl6nt5b 2 жыл бұрын
그래요 그래야 유물이 나올때 신고를 하지 않겠어요
@user-gl3yg5fu8u
@user-gl3yg5fu8u 2 жыл бұрын
감독도 공무원이니까. 현장대리인이나 시공사에 보상이 이뤄져야죠
@Sundaymorning_bb
@Sundaymorning_bb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숙식 노가다 지방으로 다녔는데 뭐 나오면 그냥 못본척하고 밀어버리는 경우 많음
@user-ih8lk2yx6o
@user-ih8lk2yx6o 7 жыл бұрын
저거 전세계에 3개뿐이라던데 그중에서 신라보검이 갑중에 갑이라고
@dal35960
@dal35960 7 жыл бұрын
엔조엘들러 하나는 중앙아시아 무슨 동굴의 벽화에 그려져있고 하나는 손잡이만 남아있고 나머지 하나가 신라황금보검이에요
@user-nh5gc4bw2s
@user-nh5gc4bw2s 5 жыл бұрын
온전한 보검이라 합니다
@bleee1
@bleee1 4 жыл бұрын
@Geon Woo Do 뭔 개소리야 신라왕실이 중앙아시아에서 온 유목민족인데ㅡ 피지배층 말고 지배층이 유목민족이다
@bleee1
@bleee1 4 жыл бұрын
​@Geon Woo Do 저 칼은 칼날과 손잡이가 따로 만들어진 지휘용 칼임. 지휘용 칼은 남한테 안줘요. 권력의 상징인데 ㅋㅋㅋㅋ 그럼 신라 금관이 순록뿔관인데 중앙아시아 지배층이 순록뿔관을 사용했다. 지배층이 직접 쓰는 복식도 남한테 수입해와서 썼다고 하지그래?? 신라가 스키타이계 흉노인데, 당나라와 손잡았던 것도 당나라 지배층이 선비족인데 얘네들도 스키타이계다. 즉 필요할때 끼리끼리 모인거야.. 고구려 백제는 몽골계니 걔네들끼리 모인거고
@bleee1
@bleee1 4 жыл бұрын
@Geon Woo Do 가 아는 경상도 지인들 중에도 2명이 중앙아시안 처럼 생긴사람 있음. 한명은 그냥 이목구비가 약간 서양인같고 피부가 흼 한명은 이목구비가 서양인 같고 피부가 흰데 팔 다리 체모가 금발임 ㄷㄷㄷㄷㄷ 순수한국인인데... 어렸을때 머리가 노랬는데 크면서 갈색됬다고 함. 이런 사람들이 경상도에 많다고 하는데, 이는 신라가 중앙아시아에서 온 스키타이의 후손이라는 증거중 하나가 될 수 있겠다.
@alicep.7712
@alicep.7712 3 жыл бұрын
저 넓은 경주땅에서 신라시대 책 한 권만 나왔으면
@joncert4844
@joncert4844 2 жыл бұрын
삼국사기 잇어도 읽지도 않고 교수 ㅅㄹ들은 위서라고 하는데 발굴되면 머하나 지들 날조에 안맞으면 위서라고 하고 제대로 보려는 사람들을 정신병자 취급하는데 ..
@heeheehee.
@heeheehee. 2 жыл бұрын
11:23 당시엔 보검이 아니라 순금요대띠로 알고 있었군...
@user-oj7sw3mm4r
@user-oj7sw3mm4r 6 жыл бұрын
이건 엄청난 발견인듯
@user-ox7dh2re1c
@user-ox7dh2re1c 2 жыл бұрын
도로옆 하수도 공사하다가 유물이 나왔는데 하수도를 오래 공사할 수도 없고 도로를 뜯을 수도 없어서 다 발굴못하고 덮었어요
@bdsong4847
@bdsong4847 3 жыл бұрын
고대 신라시대였는데 유럽산 수입품을 사용한걸로 봐서 왕족 아니면 대단히 높은 계급의 귀족이었을거라 추정되네요
@joncert4844
@joncert4844 2 жыл бұрын
누가 수입품이라고 하나?
@enusj3396
@enusj3396 Жыл бұрын
@@joncert4844 그럼 국산이냐? ㅋ
@user-cq9lv6qo1q
@user-cq9lv6qo1q Жыл бұрын
그쪽세력이 이쪽으로 이주했다고 봐야죠 엉뚱맞게 왠 수입품
@user-id3id7ld7y
@user-id3id7ld7y 3 жыл бұрын
나중에 땅을 파고나서도 또 많은 유물이 나오겠죠?
@DSPark-
@DSPark- 5 жыл бұрын
이검이 카쟉 및 로마에서 발견된거랑똑같이생긴걸로봐서 실크로드를통한물건이아닐까생각된다
@user-ub3wd4nx3g
@user-ub3wd4nx3g 3 жыл бұрын
우와!
@cmk9255
@cmk9255 6 жыл бұрын
카자흐스탄과 대한민국은 모두 단군 설화가 있어, 이를 기반으로 연구한 내용을 본적있는데 이 영상을 보면서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이 연구 내용에 다르면 파미르가 우리 민족의 기원이라고 하는데, 점점 신빙성이 가네요. ㄷㄷㄷ
@phy7
@phy7 6 жыл бұрын
ELTRAN INC 파미르가 뭔가요?
@anglingandlife
@anglingandlife 5 жыл бұрын
파미르 고원을 뜻합니다. 날카로운
@user-hw9vv2fn9v
@user-hw9vv2fn9v 2 жыл бұрын
경주시는 시전체가 야외 박물관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초등학교때 수학여행 같던 생각이 납니다 30여년이 지났네요
@user-xs2mr5tf1x
@user-xs2mr5tf1x 4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하네..
@o4805
@o4805 3 жыл бұрын
경주는 보물천지네 ~~!!
@user-gr7ne3pn5c
@user-gr7ne3pn5c 3 жыл бұрын
경주는 개발금지구역으로 지정해야하는거 아닌가.. 아파트가 참 어울리질 않는데 아파트 들어선거보면 참 안타까움... 작은 건물 하나를 짓더라도 어느 곳보다 엄격한 규제로 허가를 내야한다고본다..
@avcght7330
@avcght7330 3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고층건물 막으면 발전이 안됨
@user-7u9t984fd
@user-7u9t984fd 3 жыл бұрын
이미 고도제한 있어요^^
@maple4801
@maple4801 Жыл бұрын
경주도 사람 사는곳인데 아파트는 지어야죠. 난개발만 하지 않으면 됩니다.
@kyung6115
@kyung6115 2 жыл бұрын
박정희는 역사에도 깊은 애정을 가지고있었다 천마총도 그때발굴
@user-ji4fo1wm8d
@user-ji4fo1wm8d 3 ай бұрын
박정희 그는 정말..
@user-zs8gi4se1g
@user-zs8gi4se1g 6 жыл бұрын
역시 경주는 파면 나오는군요 ㅎㅎ
@user-pd8zy6iy4b
@user-pd8zy6iy4b Жыл бұрын
팔사람 구해요. 인력 5인 독수리 5형제 모십니다.
@denisr0313
@denisr0313 3 жыл бұрын
카자흐스탄 우습게 보지 마셈...세계 최초의 주석광산이 있어서 최초의 청동기를 만들고 이집트까지 수출함. 고대시대 막강한 제국이었음. 코난, 스콜피언킹 영화도 다 카자흐스탄이 배경임. 단군이란 이름도 카자흐스탄의 제후명 탱그리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됨.
@user-nv4nd7kw1e
@user-nv4nd7kw1e 2 жыл бұрын
3ㄷ
@user-rn6sd7rb5t
@user-rn6sd7rb5t 3 жыл бұрын
당시 동유럽이면 유목 기마민족이었던 스키타이 족들도 있었을 거임. 이 사례 역시 스키타이와 신라의 문화적 깊은 관련을 잘 보여주는 듯.
@user-hs8oy5to6r
@user-hs8oy5to6r 2 жыл бұрын
@전화카드한 장 스키타이가 흉노랑 비슷함 ㅇㅇ
@joncert4844
@joncert4844 2 жыл бұрын
동북아 중앙아시아 상고시대 북방기마족을 서방에서 스키타이 라고 통칭함
@Lyagu
@Lyagu Жыл бұрын
유목민족은 중앙집권화되지 않아서 하나의 세력이라기 보다 그냥 그렇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통틀어 부른 거임
@haepark5434
@haepark5434 2 ай бұрын
고대로 갈수록 참 신비롭다 ♧
@user-qg3fk3si1m
@user-qg3fk3si1m 3 жыл бұрын
웜마 저 아름다운 유물의 보고 경주에 원전 방사능이라니!
@okko5997
@okko5997 2 жыл бұрын
헐 국보급 보물이 와르르르르
@lunarfreeman3998
@lunarfreeman3998 3 жыл бұрын
제가 듣기로는 경주 시내지역은 땅을 함부러 파지도 못한다고 하고 집을 지을려고해도 허가가 엄청 까다로우며 지을려고 땅 파헤칠때는 시청 공무원들이 나와서 엄격한 감시를 한다네요. 사실 어디를 파혜쳐도 옛신라흔적이 거의 다 나온다네요. 성터 , 집터 , 도자기 , 옛 도로 흔적 , 운좋으면 귀족 무덤....등 .
@llIlIlllIllllIlIl
@llIlIlllIllllIlIl 2 жыл бұрын
천년왕국의 수도였으니 그럴수밖에..
@user-yf5gb2er1r
@user-yf5gb2er1r 4 жыл бұрын
고고학 같은 거 모르지만 느낌이 꼭 마야나 잉카, 아즈텍 쪽 제사용 검 같네요.
@user-ls3gt2uh2d
@user-ls3gt2uh2d Жыл бұрын
레전드발굴품
@Queen-rz2gm
@Queen-rz2gm 3 жыл бұрын
검이 진짜 이쁘네요 😍😍😍
@user-lx9et1om8g
@user-lx9et1om8g 3 жыл бұрын
아니 경주살면서 황금보검이 저기서 나왔다는거 보고 놀라서 들어옴ㅋㅋㅋㅋㅋㅋ박물관에서도 봤었는데
@GEOGRAPHUS-SONG
@GEOGRAPHUS-SONG 4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신라의 유물은... 동양, 중국의 것과는 많이 다르고... 서양, 중앙아시아, 시베리아와 관련이 많은 듯 싶소.
@bleee1
@bleee1 4 жыл бұрын
로마랑도 비슷함 로마도 흉노계열이거든요 왕족만..
@user-fv1ur1kr3b
@user-fv1ur1kr3b 3 жыл бұрын
흉노족이 신라왕족인데 동양인이 아니라 유전자가 스키타이나 중동계랑 비슷하다던데요 혼혈이였던거 같음
@lxdvskd2636
@lxdvskd2636 3 жыл бұрын
신라탑은 죄다 중국 당나라식인데요?
@bleee1
@bleee1 3 жыл бұрын
@@lxdvskd2636 당나라왕족과 신라왕족이 같은 계열이라서 ㅋ
@GEOGRAPHUS-SONG
@GEOGRAPHUS-SONG 3 жыл бұрын
중국 불탑... 목탑에서 기원해서... 전탑(벽돌탑)으로 발전하오. ㆍ ㆍ ㆍ 백제의 석탑, 신라의 석탑은... 중국의 영향은 받았으나... 전혀 다른 형태로 발전했소. ㆍ 특히 신라의 석탑은... 인도의 석탑, 전탑과... 중국 남북조의 영향 위에... 백제 석탑의 영향이 더해져... 형성 되었고... 통일신라에 이르러... 3층석탑이라는 독자적 정형을 이루었소.
@naturefruitmineralwater6307
@naturefruitmineralwater6307 8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ry2ew3ng6q
@user-ry2ew3ng6q 4 жыл бұрын
04:40 여기는 포항시 신광면 68번 지방도인데 ㅋㅋ
@gadga3770
@gadga3770 6 жыл бұрын
땅파면 유적나와 집못짓는 경주 ... 노후가 심심하면 경주에 땅사서 유물 발굴 소일거리 하며 살면 될듯...
@user-cz1lo5nn4l
@user-cz1lo5nn4l 4 жыл бұрын
와우ㅡㅡㅡ
@dongkabjeong3605
@dongkabjeong3605 2 жыл бұрын
이것이야 말로 레알 득템이군요........+10강 보검 득템
@magnopark3565
@magnopark3565 3 жыл бұрын
그러니 솔직해지면 중국, 구소련등에서 여러 민족들의 이동경로를 보는 수밖에 없지, 전쟁에 패전하면 살려고 도망했으니까, 백제도 멸망후에 일본으로 도망한 것 아니야! 그렇게 얽히고 섥힌 것을 거짓으로 풀려고 하면 거짓 학자지요, 일본도 백제, 고구려, 신라등등 계속해서 내려온 사람들을 억지로 일본인이라고 풀려니까, 역사책이 누더기장판이 되서 알아볼 수조차 없지요.
@concon996
@concon996 2 жыл бұрын
so true..
@edwardreesekimhappton5844
@edwardreesekimhappton5844 4 жыл бұрын
1000년 동안 묻힌 수레도 당장 굴러갈듯이 있는데 조선은 진짜 신라보다 퇴보했구나 ;;;
@user-tw1ne3fx5v
@user-tw1ne3fx5v 2 жыл бұрын
상류층의 관심분야가 달라져서 그럽니다. 장식토기가 근대에 가까울수록 모양이 단순해지고 대신 문양이 발달하죠. 백자의 그림이나 문양을 보면 또다른 미적 관점으로 관심이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어용~^^
@user-qh5fo2tq2x
@user-qh5fo2tq2x 2 жыл бұрын
경주는 수학 여행 때 가봤지만 언빌리 버블한 곳인듯요
@yul7224
@yul7224 5 жыл бұрын
대단 하네요
@user-gg1gq5jm4v
@user-gg1gq5jm4v 3 жыл бұрын
경주는그자체가다보물
@user-rs6vo6qp5n
@user-rs6vo6qp5n 8 жыл бұрын
무덤을함부로파다간 피곤해집니더
@user-jm5gn6nh2q
@user-jm5gn6nh2q 3 жыл бұрын
전남의 시골에선 나라에서 도로를 하도 안내주고 도로가 주민들의 숙원사업이어서 유물 나와도 다 깨버리고 도로 지은곳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아마 엄청난 유물들이 많았을건데 아버님이 그러시데요 청자가 무더기로 나와도 포크레인으로 파버리고 공무원들도 주민도 아무도 신경안썻다고 아버지 친구분은 보고는 아까워서 공사중에 잠깐 찾아보고 간장종지만한 청자 온전한거 1개 봤다하더라구요 40~50년전 얘기입니다 먹고살게 아에 없는데 유물이 뭐가 중요합니까 작은도로 1개가 훨씬 낫지
@user-vw2td5wd4w
@user-vw2td5wd4w Жыл бұрын
저 보검 하나로 전세계가 자랑하는 어떤 보물도 부럽지 않음. 저건 진짜 가치만 따져도 몇십조원 짜리임. 경매로 나올일은 없겠지만 경매로 나오면 몇십조원에 낙찰될 경이로운 물건임.
@silmbas
@silmbas 5 ай бұрын
고대황금의나라
@user-dj3py3nz8s
@user-dj3py3nz8s 3 жыл бұрын
소름돋는다...
A Taffy Seller Transforms Scrap Metal into National Treasure
15:15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KBS 역사스페셜 - 최초 발굴, 신라 대왕암
56:19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74 МЛН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39 МЛН
The misunderstood hand signal, opens the secret door of Gonju Gongsanseong Fortress
15:29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923 М.
Excavation of the Grave of a Woman from the Jinju Ha Family Clan
16:00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풀리지 않은 한국판 피라미드의 비밀은?
8:13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49 М.
[문화유산 알려줌 시즌2] 세상이 놀랐다! 역대급 발굴 유적 TOP 7
25:14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835 М.
주꾸미 덕에 찾은 고려시대 보물선이 있다?|크랩
5:45
The foundation of Korean archeology is laid, Hwangnam Daechong
15:34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17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