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10살 전에 반드시 부모가 해야 할 것 1가지 (지형범 전 멘사회장)

  Рет қаралды 179,347

데일리어썸 DAILY AWESOME

데일리어썸 DAILY AWESOME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전 멘사회장이자 영재교육 컨설턴트를 하고 있는
지형범 선생님께서 영재 부모들이 해야할일에 대해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00:00 인트로 및 하이라이트
00:31 부모가 똑똑하면 아이도 똑똑하다?
01:37 부모들의 '영재'에 대한 가장 큰 착각
03:30 아이의 영재성을 잘 이끌어내는 부모의 특징
07:32 영재성을 발현하지 못하게 하는 부모들의 행동
12:40 똑똑한 아이로 키우고 싶으면 해야 할 일
영상이 재밌었다면 좋아요 구독 부탁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219
@user-pg5kd8yg2u
@user-pg5kd8yg2u 5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엄마아빠의 인성이 아이의 지능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거 같아요..저도 부족하긴하지만.. 욱하는 남편이 갑자기 소리지르면 저도 놀라고 심장떨리데 아이의 뇌는 어떨까 걱정돼요.. 그런아이가 마음편히 공부할 수 있을리가요..
@breedyon
@breedyon Күн бұрын
남편분이 불쌍하네요..ㅠ
@fomalyang4047
@fomalyang4047 Күн бұрын
​@@breedyon남편분이신가
@seuwonpark421
@seuwonpark421 4 күн бұрын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는 삼학년때 공립학교다니는 애들을 영재시험을 보게합니다. 그리고 상위 2% 를 뽑아서 원하는 애들에 한해서 영재반을 만들어서 10학년까지 쭉 함께 공부해요. 그렇게 오래가는 친구들과 오랜기간 같이 공부를하니 가족, 형제같은 관계를 만들어가며 더 가깝게 지낼수 있습니다. 믿어주고 무조건 친구들과 만나노는걸 응원해주길 잘한것같네요
@user-il1ul2qg5i
@user-il1ul2qg5i 6 күн бұрын
일단 다 떠나서 부모는 자녀에게 부푼 꿈을 가지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자기자신을 위해 꿈을 꾸세요 성취는 나이와 무관하니 포기하지마시고요
@user-sn3ui8vx9r
@user-sn3ui8vx9r 3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담아갑니다.ㅡ
@user-iq4dg9rb8x
@user-iq4dg9rb8x 2 күн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이시네요.
@ABC-nd3lr
@ABC-nd3lr Күн бұрын
자녀 꿈 좀 꾸면 어때요.. 그래야 키울맛도 나고 보람도 느끼고 그러지...
@user-il1ul2qg5i
@user-il1ul2qg5i Күн бұрын
@@ABC-nd3lr 남의꿈을 왜 대신꾸나요 그래서 성공하면 보람이지만, 성공못하면 실망하실껀가요? 그냥 잘자라도록 마음과 건강챙겨주고 원하는걸 찾을 수 있도록 서포트해주는거지 자녀의꿈을 대신 부모가 정해서 밀어붙이지는 말라는 뜻입니다
@H-rara
@H-rara Күн бұрын
네 저도 첫째아이 기본학습 습관만 잡아주고선 더이상 욕심내지 않기 위해, 서로를 위해 제 길을 갑니다. 동감이에요 ❤ 엄마들 홧팅 ❤
@duwonrhee3589
@duwonrhee3589 5 күн бұрын
인생은 마라톤임. 어릴때 빠른게 그리 중요한게 아닌데 왜 한국은 그렇게 빠른 발달, 영재 이런것에 몰입돼있는지
@jjjsw8480
@jjjsw8480 5 күн бұрын
10살이전이 중요하다 분신아 나중에는 아무리 노력해도 안되
@ri5565
@ri5565 Күн бұрын
정말 옳으신 말씀입니다. 영재성있는 아이를 키워보니 선생님 말씀이 한구절한구절 모두 정답임을 잘 알겠습니다. 잘 성장한 영재아이로 키우려고 참 많이 노력하고 힘은 들었는데 중3인 지금 정말 멋진 신인류를 보는듯해 매순간 감탄입니다. 감사히 잘 봤습니다
@SHUE0705
@SHUE0705 Күн бұрын
편안하지만 이해가 쏙쏙되게 말씀을 정말 잘해주시네요.. 세상에...
@qwertyuiop520
@qwertyuiop520 6 күн бұрын
영재들이 과학자나 국가의 우수한 인재가 되기 보다는 돈 많이 버는 의사가 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천재성을 살리는 아이들은 해외로 빠지고요. 하루종일 책만 읽는 아이가 사회성이 있을까요??? 심리치료실에 오는 아이들 모두가 다 사회성 부족때문에 오는 아이들입니다. 사람과 함께 살고 사람을 이해하고 살아갈줄 아는 아이들을 만들기가 공부잘하게 만드는 것보다 더 가치있는 것 같아요
@SeungEon14
@SeungEon14 5 күн бұрын
@@qwertyuiop520 하루종일 책만 읽어도 사회성 있습니다~ 별개에요~ 다양하게 운동하고 쓰레기도 줍고 사회성은 학교에서 보내는 그 시간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아직 핸드폰 티비 이런거 안봐도 고학년 사회성 좋은편입니다 공부도 열심히 하고 아이가 좋아하는것도 열심히 할수 있으면!!
@sinyoungan2716
@sinyoungan2716 Күн бұрын
모든 상황에 저희 아이가 들어 맞아서 남기는 글입니다.. 초등학교 입학하면서부터 교과수업보다는 책만 읽었습니다. 물론 본인이 좋아서요 사회성 없고 부적응에 가까웠으나 어른 그러니까 선생님에게 하는 행동에는 사회성 문제가 없어서 그냥저냥 지냈습니다 중학교 올라가 심각한 사춘기를 또 한번 지나며 알아서 사회성이 생기더군요 더불어 공부에도 욕심을 부립니다 사람마다 케이스가 달라 정의할 수는 없지만 부모의 믿음을 보여주는것으로 아이가 달라지는것을 경험했기에 모두 같지는 않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poe9103
@poe9103 7 күн бұрын
교직과목에 고지능 아이들 교육법도 없지만 특수교사가 아니면 특수학생에 대한 교육법도 거의 없어요. 형식적인거죠. 교육현장에서 만나면 당황하긴 마찬가지.
@user-dt2tx2tw6k
@user-dt2tx2tw6k 6 күн бұрын
고지능 아이는 또래친구들이 먼저 알아차려요. 문제는 일부 아이가 시기하고 괴롭히고 정말 피를 말립니다. 결국 아이가 지적능력과 별개로 정서적으로 위축 무기력해지고 오히려 또래를 환멸하게 됩니다. 고지능아이들은 비슷한 부류나 집단에서 얼마나 신나게 떠들고 어울리고 행복해하는지 몰라요.
@user-ts8pz2vu2c
@user-ts8pz2vu2c 5 күн бұрын
그 말씀도 일리가 있네요
@hyekyo-pv8op
@hyekyo-pv8op 3 күн бұрын
맞아요.어딜가나~!열등감있는인간은 피해야돼요ㅡㅡ
@user-df3gb9th2h
@user-df3gb9th2h 3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toyou2643
@toyou2643 6 күн бұрын
엄마가 혹은 아빠가 먼저 책읽기가 중요한것같아요~~
@user-vm4st4fc5h
@user-vm4st4fc5h 2 күн бұрын
그거보다는..키우고 나니까 어울릴 자리에 많이 데려갈껄 맨날 책만 팠구나 후회됨. 경험이 중요하고 코로나처럼 어려울때 차선책이 독서
@sky6295
@sky6295 6 күн бұрын
결론은 공부머리 타고 나야합니다.
@bbn1672
@bbn1672 8 күн бұрын
아이 놀리는 것에 대해 불안을 가졌었는데 영상보고 마음이 좀 편해지네요~
@SeungEon14
@SeungEon14 7 күн бұрын
초4 아이 키우는 저희집은 매주 세가족 같이 도서관 가는 루틴을 만들어주고ㅎㅎ아이앞에서는 티비도 폰도 안봐요~ 아이도 아직 핸드폰이나 게임 안하고 오직 독서!! 핸드폰 빨리 보여줬으면 이렇게 책에 푹 빠지지 못했을거 같아요! 평소에는 일상에서 대화를 많이 나누는데(지하철 타고 가다가 환승할때 무슨뜻일까? 어떤 한자어가 쓰일까? 질문하고 다른 한자어까지 확장해서 질문하고 틀리면 어떨때쓰이는지 문장으로 말해줘요ㅋ) 아이 취미가 야구라ㅎㅎ어릴때부터 같이 직관다니면서 방출 외야수 내야수 그외에 길가며 보이는 모든것들을 얘기했어요ㅋ 같이 많이 걷고ㅎㅎ줍깅도 하고 운동도 하고ㅎㅎ핸폰이나 사교육없이 자기주도학습으로 혼공해요ㅋ지금은 혼자 도서관 가서 3-4시간씩 안나오고 책만 보는 정도ㅎㅎ어른들이 읽는 삼국지나 역사책외에 다양한책을 읽어요! 한능검 1급도 혼공으로 95점 받았습니다 사실 아이가 고지능 영재라고 생각하지 않고 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보지도 않고...우리애는 안해~~ 라는집 노력해보세요!! 저희집도 많은 노력을했고 미취학땐 책도 안읽고 알파벳도 몰랐습니다
@user-il1ul2qg5i
@user-il1ul2qg5i 6 күн бұрын
미취학때는 책도 안읽었다고 하셔서 여쭤봐요 언제부터 책에 빠지게 되었나요?
@jj-po8kb
@jj-po8kb 6 күн бұрын
맞벌이는 아니죠? 전업주부라서 가능한거 아닌가요?
@user-il1ul2qg5i
@user-il1ul2qg5i 6 күн бұрын
@@jj-po8kb 전업주부가 유리한건 맞지만 충분히 맞벌이도 가능합니다 기자출신 두아들 서울대 카이스트 보내신분(성함생각안나죄송^^;)도 매주 토요일은 두아들 데리고 무조건 도서관에 도시락 싸가지고 갔다고 하시더라구요 가는길에 한참을 대화하며 관찰하며 가셨다고
@SeungEon14
@SeungEon14 6 күн бұрын
@@user-il1ul2qg5i 초1부터 공부시작 독서시작이요
@SeungEon14
@SeungEon14 6 күн бұрын
@@jj-po8kb 지금은 맞벌이는 아니지만 맞벌이어도 똑같이 하죠
@tvs2425
@tvs2425 Күн бұрын
와… 선생님 말씀 듣다보니 여기 미국에 서점에서 왜 장난감과 만화책이며 잡지책이며 모든걸 다 파는지.. 이해가 됐어요. 서점가면 자꾸 장난감집는 아들이나 인형 집는 딸 때문에 책을 사야지~ 하고 말했는데.. 그냥 무조건 자주 데리고 가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
@cle5154
@cle5154 8 күн бұрын
고지능에 adhd까지 있는 경우도 다뤄주세요
@user-qt1nm1cw7h
@user-qt1nm1cw7h 4 күн бұрын
일론머스크
@cle5154
@cle5154 4 күн бұрын
@@user-qt1nm1cw7h 일론머스크는 자폐스펙트럼 아닌가요?
@flotusdc
@flotusdc 7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속이 시원하게 말씀해주시는거 같아요! 대학병원 유명한 교수님들 보다 고기는 스펙트럼의 아이에 대해 잘 알고 계시는거 같아요. 저는 아이가 고기는 어티즘이라 미국으로 왔어요. 내년에 한국에 가면 선생님 꼭 만나뵙고 싶네요!
@enjoythissound
@enjoythissound 8 күн бұрын
아이가 지능이 높다고 학년을 건너뛰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똑똑해도 친구들과 어울려야 사회성이 발달하죠. 대부분 학년, 심지어 학교를 뛰어넘은 경우 문제가 상당했다고 보여집니다.
@user-mw3cu1ss9p
@user-mw3cu1ss9p 7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Log283
@Log283 7 күн бұрын
에휴 헛 들으셨네 고지능 아이가 다른 아이와 다른가 하는 부작용이 얼마나 심한지 아시나요? 그리고 이런 부류 저런부류 눈높이 맞춰 줄 수 있을 즘에 같은 동년에 가는 게 낫지 아주 어릴때는 성격형성에 부정적 영향이 강하질거 같습니다.
@user-xd7ex7nh2s
@user-xd7ex7nh2s 7 күн бұрын
대화가 안통해서 친구가없어요 스스로 외톨이가됩니다 친구들도 애가독특하다생각하고 고지능애들은 더힘들어요 그리단순한문제가 아닙니다
@watch23ha34
@watch23ha34 6 күн бұрын
초등학생이 고등학생 가는 건 문제지만 1~2학년 월반은 고도지능 아이한테는 나아요
@tv-im2df
@tv-im2df 6 күн бұрын
친구와의 관계에서사회성이 잘 발달한다는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수평관계에서만 배우는 사회성때문에 애들이싸가지가 없이사회성을 습득하는겁니다 수직관계에서 배우는 사회성이진짜 사회성입니다 학년을 뛰어넘은것자체가 아니라 외부에대한 지나친 단절로 고립현상으로 부터 보통 이상현상이나오죠
@jisunbaek
@jisunbaek 3 күн бұрын
수년간 아이들을 가르 치고, 내 아이들도 키워 본 결과 공부 머리는 타고 나는 것, 거기에 부모에게 인성과 후천적 노력과 인내를 배우면 더더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봄. 인성이 좋은 친구들이 타인을 배려 하고 본인 마음도 여유롭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학업이든 친구관계든 집중할 수 있는 것 같음. 공부 머리가 없는 친구들은 다른 장점을 타고난 친구들이 많아서 아이들이 타고 난 재주를 잘 살려서 키우면 좋을 것 같은데 정작 부모들은 본인 아이들 재능을 모르거나 무시 하는 경향이 많음.
@user-yz3ec4yx9l
@user-yz3ec4yx9l 6 күн бұрын
수년간 고민해왔는데 덕분에 드디어 해답을 찾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k9pv8ov6q
@user-lk9pv8ov6q 2 күн бұрын
텔레토비 계속봐도 재밋어요
@sangjinpark3658
@sangjinpark3658 3 күн бұрын
어머나! 제가 우리 아이들이 어릴 때 쓴 방법이에요. 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거주하는데, 학교 끝나고 공공도서관에서 가서 책 읽고, 숙제하고 간식 사먹고 집에 왔어요. 우리 셋째가 5학년부터 수학을 선행해서 중학교에 가서 수업 받았어요. 탑 20위 대학에 진학해서 과탑으로 졸업했어요.
@user-xn8ze4ji8c
@user-xn8ze4ji8c 2 күн бұрын
부모가 모르는게 제일 위험한것 같아요, 내 생각이 정답인듯이 아이를 대하기 때문에 찾아보지도 않고
@user-lc6ni8vs8h
@user-lc6ni8vs8h Күн бұрын
신생아부터 책읽어주고 책과 친해지게.해줬습니다 서점도 자주가구요.. 지금 국어는 공부를 안하는데도 거의 100점이구요..문제 없어보입니다.한글공부도 안했어요 진짜.책이 아이에게.미치는 영향은 대단한거 같습니다 하루2권이상 읽습니다 읽었던책을 몇달동안 반복해 보기도 합니다
@user-jv6zy8vo4r
@user-jv6zy8vo4r Күн бұрын
책은 태교부터 읽어줘야합니다 하루나이독서가 중요합니다 거의백점 백점 받은적은 없나요? 하루 두권 엄청 부족하네요
@ABC-nd3lr
@ABC-nd3lr Күн бұрын
우리애도 태교때부터 책 읽어줬고 한글 스스로 터득은 기본...웩슬러 상위0.8%
@user-lc6ni8vs8h
@user-lc6ni8vs8h 30 минут бұрын
@@user-jv6zy8vo4r ㅎㅎ 거의100점인데 한두번은 90점일때 있어요 그래도 저는 잘해낸다 생각해요 애기때는 하루.10권도 읽었어요 지금은 초등이라 하루 2권이 적당하다 생각해요 등교전1권 잠자기전1권 스스로 읽고 제가 가끔 읽어주고 내용에대해서 여러가지 이야기도해요 주말에는 중고서점에서 책 마음껏 읽습니다^^
@user-xg3qw5cq8h
@user-xg3qw5cq8h 4 күн бұрын
난 중학교때 텔레토비 증말 재밌게 봤다!!!
@user-ee3tw2ko5t
@user-ee3tw2ko5t 7 күн бұрын
중2인데 학교선생님이 영재교육 안받았나고 애한테 물어보셨다고해서 상담받았는데 이미 중학생이 된 이상태에선 뭐 딱히 한국에서는 교육이나도움받기 힘들다고 유학을 권유받았는데 여건이 안되고해서 그냥 정서적서포트와 지지를 우선 해주고 있습니다. 유모차에 앉아서 간판 읽을때부터 다르다고는 생각했지만 그때 좀 영재교육등에 관심을 가졌어야했나 싶기도 하네요.
@stone918
@stone918 6 күн бұрын
영재학교나 과학고를 보내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아이가 영재라도 이 학교를 들어가려면 부모가 입시 전형에 대해 공부하고 어느 정도 가이드를 해 주는 게 필요해요. 둘째 아이는 과학고에 들어갔는데, 쉬는 시간에 반 친구들과 과학 관련 주제로 열띤 토론이 벌어지곤 하는데 일반 학교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일이라고 너무 만족스러워 합니다. 둘째는 일반고 생각하고 있다가 중 2 초부터 과학고 준비 시작했어요. 과학고 대비 학원이 없는 지역이다보니 인강 들으며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했구요. 사실 둘째보다 첫째가 어렸을 때부터 영재성을 보였는데 중1때 공교육을 거부하더니 연구 중심 대안학교를 찾아서 이 학교를 다니겠다고 해서 중2때부터 거길 보냈네요. 그 대안학교는 강의식 수업이 없고 자기 관심분야에 대해 자기주도적으로 깊게 연구하는 학교인데 3년 간 어마어마하게 성장하더라구요. 이런 학교도 고려해 보셔요.
@user-cw1qd5eh4b
@user-cw1qd5eh4b 6 күн бұрын
❤❤❤ 답글 주신거 너무 좋으네요 이런 통로가❤ 유투버 였으면 좋겠어요
@user-ee3tw2ko5t
@user-ee3tw2ko5t 5 күн бұрын
네, 좋은 말씀 😊 감사드립니다 ㅎㅎ 아이가 수학과 과학을 별로 안좋아해요. 그래서 영재고나 과학고는 힘들고 그렇다고 영어를 아주 잘하지도 않고 창의 영재라고 해야할까 싶다고 선생님께서는 그러시더라구요. 이런 아이들은 이미 머리속이 모든 학생들과 심지어 선생님들보다도 생각하는 범위가 높다고 하시던데 한국에 있을거면 그냥 자기 하고 싶다는거 믿어주라고 해서 이제는 좀 안정적이 되었어요. 형편이 제가 일을해야되서 기간을 많이 할애 못해주는 건 미안한데 자주성있고 본질에 대해 생각하는 통찰력이 좀 있어서 저만 화이팅하면 될듯합니다ㅎ 감사드립니다
@silviaahn7853
@silviaahn7853 5 күн бұрын
요즘은 통합교육으로 일반학교에서 특수아동이나 영재아이들이 학급에 있는경우가 많습니다. 일반 교사들의 임용고시에도 반드시 특수교육(발달장애+영재) 대상에 대한 전공부분을 확대해서 교사들이 해당 학생들에대한 이해와 교육적 전문성을 가지게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cf9iz3zu8e
@user-cf9iz3zu8e 6 күн бұрын
경계성 지능도 다루어 주셨으면 해요
@user-og9eh4nu9r
@user-og9eh4nu9r 2 күн бұрын
요약:서점이랑 자주가기,유년시절 실컷 놀게하기
@ADL3mom
@ADL3mom 3 күн бұрын
신나게 놀고 또래관계를 형성하도록 노력하는데 아이가 사회성이 너무 떨어지고 또 놀이터에 가면 친구들이 없어요~ 다들 학원을 가니깐요~ 영재성을 빨리 발견해야하나요? 똑똑해서 저런다는 많이 듣고 키웠지만 사실 특별하다고 생각하지않고 간과해오니 11살입니다. 여전히 육아가 힘들고 사회성이 떨어집니다. 선행을 하거나 공부를 엄청 시키거나 하지 않고는 있는데 이대로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user-ur6pv8zg3d
@user-ur6pv8zg3d Күн бұрын
지형범 샘이 부모교육도 하고 계신데 거기 참여해 보세요. 네이버 카페 이든센터 커뮤니티나 GES 영재 교육 컨설팅을 참조해 보세요. 흔치 않는 아이들이라 흩어져 있지만 커뮤니티로 모이고 함께 부모 공부도 하면 아이들을 잘 도와 줄 수 있고 여러 활동도 함께 하니 아이들도 친구들을 만들게 됩니다. 힘든 영재 육아와 양육 , 바람직한 교육은 나라의 정책이나 누군가의 도움이 아닌 부모들이 스스로 우물 파기로 함께 노력하면 훨씬 좋은 길을 만들고 잘못된 무한 경쟁에 오히려 멍이 들 수 있는 아이들을 행복하게 크도록 도울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user-ht9lm6su3e
@user-ht9lm6su3e 4 күн бұрын
제목이 이상하네요 지능이 미친 듯이 올라간다고 하지 않았는데 ᆢ서점 ㆍ도서관 부모가 루틴하게 데리고 나들이겸 다니면서 유도하면 아이가 세상에 대한 것과 문해력 ㆍ상식 ㆍ지식이 고도화되고 깊이 있게 발달한다는 이야기입니다
@Rosa-gf9hr
@Rosa-gf9hr 6 күн бұрын
본인이 느끼기에 행복한 삶을 사는 사람이 승자가 아닒가 싶네요 아이큐든 독서든 학벌이든 돈이든 행복이란 의미로 연결 되지 읺는다면 뭔 의미가 있겠어요 다 쓸데앖지 서점에 데리고 간다고 책을 좋이하는 아이가 될까요..?ㅋㅋ 그냥 그렇게 않했어도 그 애는 책을 좋아했을거같은데요..
@user-cd8tq6hp1h
@user-cd8tq6hp1h Күн бұрын
아이가 평범했으면 좋겠습니다,욕심 같아서는 평균보다 아주 조금만 머리가 좋아서 공부할때 힘에 부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검사는 안해봤지만…8,9개월즈음 부터 책을 읽어주면 45분씩 꼼짝 않고 집중해서 보고 ,빨주노초 색을 구분하고 걸음마보다 말을 더 먼저 트더니 지금 세돌인데 글 다 떼고 혼자 책들 읽어요 살아보니 평범한게 최곤데 ,그러긴 글렀네요 .;
@user-qz3lc7yy1d
@user-qz3lc7yy1d 3 күн бұрын
혹시 아이가 또래보다 뛰어나다는 부분은 모든 면에서 일까요? 가위질이나 색칠하기등 집에서 많이 안해본것들을 잘 못하는것. 영재기준에서 아닌건가요?
@user-ht9lm6su3e
@user-ht9lm6su3e 3 күн бұрын
웩슬러 검사를 받아 보세요 ㆍ종이접기 ㆍ가위질과는 상관없죠
@user-ig7jt5lf8r
@user-ig7jt5lf8r 6 күн бұрын
선생님께서 너무 마인드가 멋지세요ㅜㅜ
@lema9690
@lema9690 8 күн бұрын
항상 공감되는 내용 많아서 지쌤 동영상 잘 찾아보고 있습니다. 8월에 웩슬러검사 예약도 해두었어요. 그런데.. 서점은.. 동의가 어렵네요 ㅋ.. 자주 가는 편인데.... 애가 팬시 문구에 지나치게 관심이 많아 서점에 가더라도 책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문구파는곳에서 몇시간이고 구경합니다 ㅋㅋㅋㅋ 어쨌든 모로가나 도로가나 책을 가까이하는 아이가 되도록 하면 좋겠다~~ 로 이해하겠습니다. 독서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네요. ㅋㅋㅋㅋ
@user-oy7vw9gv4r
@user-oy7vw9gv4r 6 күн бұрын
아하하핫~!! 저희 아이는 만화책 보다가 문구를 지나 마지막은 장난감 코너로 마무리합니다~ㅎㅎ
@user-ex8jc1xy5m
@user-ex8jc1xy5m 6 күн бұрын
저는 문구류는 종종 사주고요. 문구류를 쓰려면 결국 공부든 그림이든 책상에 앉아서 해야하니까요. 장난감은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얘기를하면서 많이 자제시키고 있어요. 플라스틱이 우리의 몸과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얘기하고 있고 특별한 날에만 사줘요. 대신 책 한권 고르는 것은 만화책이든 뭐든 조건 달지않고 사주어요.
@mildness0891
@mildness0891 5 күн бұрын
ㅎㅎ 저도 비슷한 생각했어요~ 대형 서점 대신 도서관 가는 날 특별한 날이라고 생각되게 애써야 겠다고 생각했어요^^
@user-xf8on7gv6j
@user-xf8on7gv6j 3 күн бұрын
저도 한글 초등학교 들어가기 한달전에 가르치고 초등.중등 학원안보내고 저와함께 매일 도서관가고 밖에서 산책과함께 놀고 했는데 고등학교 딸내미들 국어 학원 다니는 애들보다 잘봅니다. 학교생활 잘하고 집중도 잘하고~~ 독서는 힘이라는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cutethief12
@cutethief12 3 күн бұрын
다른 교과도 잘 따라가나요? 제가 쭉 책을 많이 보고 자랐는데, 언어는 잘 나와도 수리가 안되서 고생했거든요..아이도 저처럼 책육아만 해도 될지 고민이되더라고요. 이런 댓글 보면 여쭤보고 싶었어요!
@user-xd7ex7nh2s
@user-xd7ex7nh2s 2 күн бұрын
@@cutethief12 수학은 타고나는게 있어요 수학적 이해력이랑 문해력은 다르더라구요 책많이 읽으면 수학빼고 전영역에 영향 미치는건 맞습니다 수학은 꾸준히 시키는게 중요합니다 타고난수학머리아니라면 반복반복이 중요합니다
@user-hs6qt5hs4n
@user-hs6qt5hs4n 3 күн бұрын
빨리 수준별수업이 이루어 졌음 좋겠어요. 지루하게 여기는 지능좋은 아이들이 다른데 관심갖다보면 ADHD되기 쉽더라구요
@user-zi9cw1qr5w
@user-zi9cw1qr5w 5 күн бұрын
공부머리는 타고나는 듯
@seulgilee1527
@seulgilee1527 8 күн бұрын
35개월쯤 노트북 로드뷰로 클릭해서 길찾기로 그동안버스로다니던 백화점가는길을 아주정확히 찾아가는걸 봤고 배달온 사람이잠깐보고도 헉! 아기가똑똑한거같아요. 하고나갔었음. 현재 중딩~ 축구선수하겠다고 축구만~~~:;;
@user-qv7xj6sz6c
@user-qv7xj6sz6c 6 күн бұрын
축구도 똑똑해야 잘하잖아요 공간지각능력 센스 👍 😎 😍
@user-yz4wy9lm9v
@user-yz4wy9lm9v 7 күн бұрын
똑똑보단 마음먼 저 가르치기 ㅜ순서가….
@user-rq7zl2xv4t
@user-rq7zl2xv4t 6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선생님 이야기 들으며 성장한 저희 아들이 중1이 되었습니다.영상처럼 그 아이가 저희 아들입니다.어른스럽다가 아기였다가~중학교수업은 초등수업수준이라고..그런데 남앞에서 말하는 발표력은 없어요. 영재고 준비하다가 수업이 딱딱 맞춰나가다 보니 흥미없다며 그만두었는데.. 친구도 없고 요즘은 갑자기 말더듬도 생겼습니다. 소아정신과에서는 약먹을 정도는 아니고 맘 편히 해주라는데..사춘기가 오면서 고집도 세고~ 제가 상담을받아야 되겠습니다.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ur6pv8zg3d
@user-ur6pv8zg3d 6 күн бұрын
지형범 샘을 꼭 만나보세요
@siasfgd55
@siasfgd55 Күн бұрын
제 동생이 어릴때부터 책을 너무 좋아했습니다. 매일매일 혼자 서점가서 서점이 폐점할때까지 책을 읽다 왔거든요. 오죽하면 가족들이 애가 없어졌다고 경찰에 신고하고 난리가 났는데 나중에 찾아보니 다른동네 서점에서 발견 될 정도로 책벌레인데요, 학교공부는 중간보다 아래였습니다. 성인이 된 지금도 그냥 백수고요, 책만 읽어요... 만화책이 아닌 다양한 책을 많이 읽는데.. 공부를 못하는거 보면 공부머리는 없는것 같고, 지능이 떨어진다면 그렇게까지 책을 보진 않을것 같은데.. 이런 경우는 왜 그런건가요?
@lghorang
@lghorang 4 сағат бұрын
활자중독일지도요
@user-kr6dc4wh8l
@user-kr6dc4wh8l 8 күн бұрын
영상을 많이 접하다보니 책을 잘 안보려해여. 스마트폰이 문제입니다,
@SeungEon14
@SeungEon14 6 күн бұрын
스마트폰이 제일 문제죠...어른도 절제하기 힘든데 아이들이 절제하긴 힘듭니다
@papiorange5516
@papiorange5516 5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는 지능으로 일단 기회를 열어줍니다 우리나라는 그러면 난리나겠죠 아이큐테스트조차 선행시키고 사교육 난리나겠죠 근데 그 텔레토비 무조건 틀어보여주는것도 국가적인 낭비잖아요 교실에 적응도 못한텐데 국가적으로 모아서 하는게 사실은 합리적이죠 그런애들끼리 모아두면 얼마나 잘 교류하고 잘놀겠나요 초1에 전국민 테스트해서 1프로만 뽑아서 나라서 키워야죠
@user-ts8pz2vu2c
@user-ts8pz2vu2c 5 күн бұрын
그렇게 되면 여러모로 좋을텐데 우리나라 국민성으로는 불가할것 같네요 입시만을 보고 상대평가에 쩔은 세대가 이제 부모가 되었으니 ㅠ 저 애는 뭔데 우월반에 들어가나요 할 분들이 태반일 듯 이해 존중 배려 이런것과는 거리가 먼 사회가 되었죠
@user-hs6qt5hs4n
@user-hs6qt5hs4n 3 күн бұрын
그 test 문제 학원도 생기겠죠.?
@user-ps5xd6de4h
@user-ps5xd6de4h 3 күн бұрын
저도 서점을 넘 좋아해서 아이를 데리고 가는데 요즘엔 책이 다 비닐에 씌어있더라구요 ㅠㅠ 너무 아쉬워요 . 도서관은 도서관은 너무 조용해서 잘 안가려고 하는데 어떻게 책과 친하게 해줄지 고민이 되네요
@UCpAv4h1Ymt
@UCpAv4h1Ymt 22 сағат бұрын
3:57 이거 80년생 90년생 애들한텐 그냥 유행 같은거였음. 그때 당시 그리스로마신화 만화책이나 해리포터 같은 몰입감 높은 책들이 많이 나와서 스마트폰 없던 시절에 가장 좋은 유흥거리였음. 키즈카페도 없었고 학원보내기도 애매한 초등학생때 엄마들이 서점 딸린 몰이나 백화점에서 쇼핑하는 동안 서점에 애들 떨구고 돌고 오면 두세시간 금세 감. 그치만 저 분이 살짝 놓친게.. 공통적으로 그런 애들 가정 경제적 수준이 생각보다 높았다는거임.. 적어도 몰이나 백화점에서 두세시간 이상 쇼핑하는 엄마를 둔 애들인거
@user-ht9lm6su3e
@user-ht9lm6su3e 14 сағат бұрын
그때도 폰 많이 들고 게임하고 스마트 폰 나왔습니다 그리고 공공 도서관이나 시내 큰 서점 왜 못 데리고 가나요? 문화 생활을 전혀 못 하는 정도? 학원비를 안 쓰고 저기 학생은 서점에서 놀고 밥 먹고 ᆢ그게 돈 덜 들걸요 ᆢ부모가 노력하기 나름인데 ᆢ경제력 있는 집 아이 이야기만은 아니죠 체험학습장도 무료가 많고 아이 데리고 산이나 들에만 나가도 식물도감도 만들고 곤충도감 찾아 공부도 할 수 있죠 ㆍ환경을 찾아서 아이랑 공부를 놀이 처럼 해 주는 부모가 찐 좋은 부모죠 ㆍ안된다 돈없다 도시가 아니다 그래서 별 수가 없다는 말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온라인 카페로 해외나 지방에서 같이 모여 노력하는 부모들도 많은데 부족한 환경만 탓하면 아이는 어떡합니까.
@k-artlimchen922
@k-artlimchen922 3 күн бұрын
광고가 너무 많아 싲덩이 힘드네요. 스킵도 안되고
@user-ew8lj2mv8s
@user-ew8lj2mv8s 5 күн бұрын
ADHD도 두가지가 있는데 충동형,주의결핍형..저희딸이 주의력결핍형이라ㅜㅜ 충동형처렁 돌아다니거나 과격하고하지않고 조용한데 잦은실수,위축됨,기억력이 ㅜㅜ 이런 ADHD아이들 개발법도 알려주세요
@user-uj5kf3ex5z
@user-uj5kf3ex5z 6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너무 반갑습니다. 선생님 덕에 참 힘들었던 시절 위로받으면 잘 넘겼던 것 같아요. 늘 감사한 마음입니다.
@user-nk5wd8ud3b
@user-nk5wd8ud3b 4 күн бұрын
요즈음 부모들 99프로 폰들고 보고 사진찍고 합니다 책보는엄마들 거의없음
@user-oy7vw9gv4r
@user-oy7vw9gv4r 8 күн бұрын
서점을 가도, 도서관을 가도.. 만화책만 보네요. 😢 (제 댓글에 오해가 있으신 듯 해서 추가해요. 집에 만화책이 있으면, 만화책을 주로 봐서, 다 처분했어요. 이후로는 사지 않고 도서관에 가서 보라고 해요. 도서관에서 좀 더 다양한 책을 접했으면 하는 바램이라 댓 남겼었네요...😔😔 )
@user-qd1wo4nw3g
@user-qd1wo4nw3g 7 күн бұрын
좋은 만화책 이라면 괜찬아요 독서로 가는 지름길 입니다
@oxyrain102
@oxyrain102 7 күн бұрын
괜찮아요 만화도 도움 됩니다. 그게 혹여 책으로 옮겨가지 않더라도 안읽는 것 보다 훨씬 도움이 됩니다. 그 만화라는 것도 작가가 사전지식이 있어야 쓸 수 있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기승전결이 있기 때문에 영상물만 본 아이랑은 달라요. 자녀분의 나이는 모르겠으나 저녀가 읽는 만화를 같이 보시고 그 만화에 관한 느낌이나 생각을 가볍게 나누는 대화도 나누시고 그렇게 공통관심사가 생기면 자녀도 부모님이 읽는 책에 관심을 보일 수도 있어요. 공유하고 관심받은 것에 대한 보답으로든 부모님을 사랑하는 마음이든 말이죠... 그리고 그렇게 재미있는 단편을 부모님이 먼저 보시고 이거 재미있더라 하는 대화를 또 살짝 나누고 읽으라는게 아니라 그 컨텐츠가 재미있었다는 이야기를 하는거죠.. 그러면 처음엔 아니었어도 슬슬 관심을 가지고 부모님이 좋았다던 책을 한번쯤 들여다보는 일도 생겨요. 그럴 때 글이나 내용이 상당히 쉽고 저녀입장에서 공감이 많이 갈법한 책을 읽고 추천하시면 정말 좋아요.. 이렇게 되지 않는다해도 만화라도 읽는게 정말 좋은겁니다. 만화라는게 꼭 웃고 넘길 가볍기만 한 것만 있는건 아니기 때문에 커갈수록 더 복잡하고 깊이있는 내용의 만화를 보게 되기도 하고요. 예를들면.. 옛날 작품이지만 이현세님의 남벌같은 만화요^^ 만화라도 꾸준히 읽은 아이들은 최소한 문해력이 쩔어지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보통은 굳이 이런저런 방법을 쓰지 않더라도 그러다가 결국 스스로 소설쪽으로 넘어가요. 화이팅입니다^^
@user-qd1wo4nw3g
@user-qd1wo4nw3g 7 күн бұрын
그니스로마신화,맹꽁이서당, 이원복읯가로세로 세계사 .
@suesue4848
@suesue4848 6 күн бұрын
만화책만 주구장창 읽게 해주세요 나중에 다 피가 되고 살이 됨
@user-oy7vw9gv4r
@user-oy7vw9gv4r 6 күн бұрын
@@oxyrain102긴 답변 감사드려요.. 저희 아이는 지금 초 5 되었어요. 아이는 책을 원래 많이 보는 아이인데요. 초등 들어가면서 도서관, 서점을 가면 아이들이 만화책을 보고있으니, 저희 아이도 자연스럽게 만화책만 보더라고요. 조금 보다 다른 책들도 보겠지 했는데.. 아이구.. 만화책 왜이리 시리즈물이 많은지요..ㅎㅎㅎ 끝이 안 나요. 그래서 서점. 도서관은 딱 만화책 보러가는 용이라 시간날 때 데리고 가지, 일부러는 안 가게 되더라고요. ㅜㅜ
@romikim4548
@romikim4548 7 күн бұрын
서점에서 자유로운 독서로 문해력 기르기.
@user-tk7qz3ob4w
@user-tk7qz3ob4w 6 күн бұрын
정말 사람은 지능. 지식이 다는 아닌거 같아요.
@user-qy3jg3sw5q
@user-qy3jg3sw5q 3 күн бұрын
지방같은경우는 큰서점이 근처에 없습니다ㅜㅜ 서점가려면 멀리 나가야하고 자주가는게 쉽지않네요ㅜㅜ
@sangjinpark3658
@sangjinpark3658 3 күн бұрын
도서관에 데려가세요.
@user-vm4st4fc5h
@user-vm4st4fc5h 2 күн бұрын
​@@sangjinpark3658지방 도서관..책종류도 적고 낡고.. 남산이나 서울시내 도서관 기대할 수 없죠
@user-ht9lm6su3e
@user-ht9lm6su3e Күн бұрын
공공 도서관이 좀 멀더라도 시간 정해 놓고 1주일에 한 번 쯤은 같이 다니세요. 그리고 공공 도서관이나 학교 도서관은 한달에 몇 권씩은 지정해서 구비 해 달라고 신청서 넣으면 도서를 구입해 놓는 예산이 있어요 지선생님의 영재공부나 영재성 바로 알기등을 신청해서 읽어 보시고 다른 도서들도 사 달라고 하시면 사서가 사다가 꽂아 놓도록 되어 있어요. 세금을 활용하세요
@HY-hr1jj
@HY-hr1jj 6 күн бұрын
한국문화는 나이가 중요해서 학년 빨리 가면 힘들것같은데
@user-ur6pv8zg3d
@user-ur6pv8zg3d 6 күн бұрын
한살 정도는 아이들 끼리 잘 조율됩니다. 학교에서는 월반이 거의 안되니까 일학년 입학을 조기로 하게 되면 1년 월반을 부모가 선택하는 셈이지요
@a-yo3867
@a-yo3867 Күн бұрын
족보 꼬이는거 진짜 싫어요~
@kapssong0509
@kapssong0509 3 күн бұрын
티비 없고, 핸드폰 없고, 거실공부 하고, 새벽에 스스로 일어나서 혼공하다 학교 갈 시간(10분 거리 학교를 집에서 7시40분 출발)에 학교 가는 중1, 초5 + 유딩 키우고 있어요. 학교 다녀와서 각자 할 일 알아서 하고, 숙제도 본인이 할 수 있는건 알아서 하고, 제가 하는 건 학교 준비물이나 엄마 도움 필요할 때만 도와주는 정도.. 어릴때부터 장기 육아 플랜(20살 독립)으로 발달 시기에 맞춰 그 시기에 해야 할 것 위주로 키우고, 사교육 시킨 건 체력 키운다고 초1때부터 꾸준히 태권도&합기도로 운동하고 있어요. 제가 노력한 건 도서관 셔틀밖엔 없네요. 저도 어릴때 책을 좋아해서 아이들 책 좋아하는 아이들로 만들려고 유아기때부터 책 재밌게 읽어주는 것부터 시작했어요. 그 후로 독서에 물들어 가는 아이들로 지켜주려고 격주로 도서관 가서 책 신나게 보다가 30권씩 빌려서 날라주고, 도서관밥 먹고 오고.. 그렇게 어린이집시절~초등시절 보냈는데.. 이게 부작용이 눈 뜨면 책 집어들어서 밥 먹으라고 잔소리 해야 밥상 앞에 앉고, 밥 먹을 때도 책, 잘 시간 지났다고 자라고 해도 책보느라 잠자리 오기까지 책 좀 그만보라고 잔소리를 진짜 얼마나 해야 하는지ㅜㅜㅜㅜ 누군가에겐 행복한 소리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저는 진짜 책 좀 그만 보라고 매일 매순간 얘기하는 것도 스트레스더라고요(물론 어쩌다 심할 땐 짜증을 섞어 얘기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좋게 말합니다^^;;) 지금은 책 볼 시간도 없는 중딩이 되서 이젠 책을 싸들고 학교로 가서 쉬는시간에 보더라고요. 저희 애들이 영재는 아닌 것 같아요. 하지만, 책을 많이 보니 아이 다중지능 발달에 많이 도움이 되는 건 맞는 것 같아요. 지적 기능은 물론이고, 도덕성, 사리분별, 사회성, 창의성, 인성 등등.. 저의 양육의 한계를 책이 커버해준달까... 저는 영상처럼 서점 데리고는 잘 못가요ㅜㅜ 서점 몇 번 데리고 갔다가 아이들이 사고 싶은 책이 너~~무 많아서.. 제가 식겁하고는 가끔 알라딘을 가서 사주는 걸로 보상을 한다거나, 도서관 대여가 저한텐 부담 없고 좋더라고요. 다만.. 좀 걱정인게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고, 폰도 게임도 안하다 보니 절친이라고 할만한 친구가 없네요. 그렇다고 교우관계가 나쁜 건 아니고, 학교에선 두루두루 다 잘 지내고 회장도 하고 그래서 괜찮겠거니... 나중에 고등이나 대학가서 찐친 사귀겠거니... 하고 지켜보는 중입니다.(집에서 주로 지내니 1호, 2호가 둘이 절친 같습니다^^;; 남매인데도 서로 책보며 공유하고 서로 취미생활 하는거 봐주고, 조언도 해주고, 어릴 땐 그렇게 싸우더니 이젠 그닥 싸우지도 않고 잘 노네요ㅎㅎ) 사춘기가 아직 안 왔고, 더 키워봐야 알겠지만.. 제 육아의 최종 종착지는 대학 가서 자기들 인생 스스로 개척해 나가서 생존하는게 목적입니다. 이제 큰 애 기준으로 5년밖에 남지 않았네요ㅜㅜ 그렇게 길어 보이던 육아도 5년 남았다고 하니 뭔가 더 부데끼고 더 많이 사랑해주고, 함께 시간을 보내야겠단 생각이 드네요^^ 힘든 육아 여정을 하시는 부모 동지님들 함께 화이팅해요^^
@user-vm4st4fc5h
@user-vm4st4fc5h 2 күн бұрын
나도..중1부터는 폰사줬어요. 폰없으면 안돼요. 친구 없어져요.^^
@kapssong0509
@kapssong0509 2 күн бұрын
@@user-vm4st4fc5h 폰이 있고 없고 보다 중요한 건 본인이 잘 관리할 능력이 있느냐죠^^ 스스로 제어가 잘 된다면 다행이고요. 폰으로 인해 부모와 갈등이 생기기 시작한다면 그게 가장 큰 문제 아니겠어요ㅜ 친구 문제도 개별적 차이가 있어서, 폰때문에 친구가 있고 없고라기 보단, 친구들과 폰으로 인해 문제가 없음 다행이죠^^ 요즘엔 도박, 게임중독, 포**, 마약, 이성문제 등 사회적 문제가 너무 많아 일일이 간섭하고 관리하기보단 폰을 나중으로 미루는게 더 나을 것 같아서 아이와 함께 협의하고, 아이들 스스로 초등1학년때 결정했어요. 저희 중1 아이는 성격상 어릴때부터 친구에 그닥 관심이 없기도 해서 폰 결정에 친구여부는 사실 큰 변수가 아니기도 했어요^^" 아이마다 케바케인거죠 머^^
@user-vm4st4fc5h
@user-vm4st4fc5h 2 күн бұрын
@@kapssong0509 맞아요. 겪어보세요.. 말로 못하겠네. 엄마가 본인인생살며 행복해야하고 아이는 냅둬야합니다. 엄마가 다 해주면 혼자 밥도 못먹고 우산없다고 기다려요. 나도 그때는 그랬는데..ㅎ 구더기 무서워서.. 팬스쳐주니..가축이 돼요.
@kapssong0509
@kapssong0509 2 күн бұрын
@@user-vm4st4fc5h 자녀와 폰으로 인해 갈등 없으시면 된거죠^^ 구더기에 펜스라..;;제 첫 댓글을 잘 안 읽어 보셨나봐요.. 맥락을 잘 못 짚으신 것 같아요. 저 가축으로 안 키우고 있어요. ㅎㅎ 오히려 스스로 새벽기상 혼공하며 독립적으로 잘 크고 있는걸요^^ 저도 행복하게 제 커리어 잘 만들고 있고, 아이들에게 좋은 어른이 되고 싶어서 노력중입니다.. 막말하지 않고, 모욕이나 비난하지 않고, 도덕적이고, 인격적으로 대하면서요^^
@user-vm4st4fc5h
@user-vm4st4fc5h Күн бұрын
@@kapssong0509 ㅎㅎㅎ 나도 그랬다니깐요.^^ 지나고보면 알아요. 도서관댓글..아래분처럼 나혼자가서 공부하고 애는 땅팠어야했나 후회하네요
@won1476
@won1476 4 күн бұрын
음,,,서점 좋죠. 그러나거기서 만화책만 읽는다는 부작용 다소 큽니다. 전문가들이 그걸 잘 모르더라고요
@user-xd7ex7nh2s
@user-xd7ex7nh2s 8 күн бұрын
아들이 초3에 영재판정받았는데 학원안보내고 책읽는거좋아해서 사달란책 다사주고 여행 많이가고 운동시키고 했는데 중등되니 게임 시간많아지고 책읽고 검도 주4회하고 학교공부는 단한자도 안하네요 역사덕후이고 요즘 삼국지읽는거 같던데 삼국지에나오는 지명 인물 인터넷에 다검색해서읽고 집에있는 다른삼국지버전이랑 비교분석하고 책읽는거보면 나중에 공부해도 잘할꺼같긴한데 얘를 중등되니 어찌할지모르겠어요 ㅜㅠ
@biff2440
@biff2440 8 күн бұрын
저희아들 초3 영재판정은 해본적이없어 초 역사덕후(붕당정치와 노론 소론 훈구파 사림파를 분석?하는데에 빠져있어요)에 중국 삼국지.. 학원은 보내지 않고 스스로 문제집정도만 풀리고있어요
@biff2440
@biff2440 8 күн бұрын
요는, 저도 이 아이를 어떻게 지도해주는것이 좋을지 참 막막합니다 ㅠ
@user-xd7ex7nh2s
@user-xd7ex7nh2s 8 күн бұрын
​@@biff2440초등때는 그냥좋아하는거 시키세요 역사좋아하면 역사책계속사주고요 박물관 데리고 다니고요 7살부터 역사에빠져서 저는 아침6시에 선덕여왕릉도 갔었어요 국내여행많이다니고 거기지역박물관은 무조건가고 9살에프랑스갔다와서 그리스로마신화 책사줬더니 그거읽고 마블보고 북유럽신화보고 삼국지만화책보더니 교원 삼국지보고난뒤 초한지보고 계속확장해서 책을봤어요 그리고 초5에 한국사능력검정시험고급 따구요 초등은 오히려쉽습니다 운동꼭시키고 관심사있음 그거서포트만하면돼요
@user-xd7ex7nh2s
@user-xd7ex7nh2s 8 күн бұрын
헉댓글을달았는데 없어졌어요ㅡㅡ 아이가 관심가지는거에 서포트해줌돼요 계속책사주고 국내외 여행많이다니고 운동시키고 초등때는 3가지만하면됩니다
@minjiha2252
@minjiha2252 8 күн бұрын
역사책에 지리까지 파고드는 거 보면 중학생 나이에 보통은 아니에요~^^ 지식의 폭도 넓어질거 같은데요 멋진 사회인으로 자랄 거 같아 기대되니다
@user-du9gt4uf7k
@user-du9gt4uf7k 5 күн бұрын
그것도 맞벌이 안하는 안정된 가정에서 수월히 할 수 있는것이죠. 이런 정보들이 많으니 요즘 젊은 친구들이 결혼을 안하는것일듯 하네요.
@userjivttrr24rriee
@userjivttrr24rriee 6 күн бұрын
조민
@noname34568
@noname34568 7 күн бұрын
지능이 올라간다는 말은 생전 처음 듣네. ㅎㅎ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 김경록 교수가 지능하고 성격은 유전이고 불변이라는데.
@hobbymusicroom
@hobbymusicroom 7 күн бұрын
큰 틀에서는 불변이 맞는데 환경과 정서 상태에 따라 조금씩 변하긴 한다고 합니다. 엄청난 변화는 불가능하지만 조금씩은 변할 수 있어요.
@noname34568
@noname34568 7 күн бұрын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키도 아침 저녁으로 바뀝니다. 스트레스 받으면 뇌능력이 저하되죠. 지능이 저하되는 것이 아니라요. 아이들의 뇌와, 청년, 중년, 장년, 노인의 뇌는 다 다릅니다. 이건 지능의 변화인가요? 큰 틀에서 불변이면 불변인 거죠. 작게 변한다는 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 지능은 변하지 않는다라는 스탠스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겠죠.
@Rosa-gf9hr
@Rosa-gf9hr 6 күн бұрын
지능은 좀 변하긴하더라구요 수치상으로 재는게 신빙성있는 지능이라면요.. 근데 어차피 어느정도의 지능 이상이면 혹은 초고도의 지능이 아니라면 삶이 크게 다르지 않고 큰 영행을 미치는게 아닌거같아서 지능이란것이 큰 의미는 앖은거같아요 콩빝에서 콩ㅇ이 자라서 팔자대로 사능거같아요 ㅎㅎ
@watch23ha34
@watch23ha34 6 күн бұрын
지형범 선생님이 하신 말씀은 자녀와 서점에서 함께 노는 것이 고도의 문해력을 갖게 해준다는 거지 지능을 높여준다는게 아닙니다. ㅋ 영상 뒷편에 "만들어진 영재"는 없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세요. 제목에 낚이지 마세요.
@hyewonnoh6406
@hyewonnoh6406 3 күн бұрын
지능검사를 공부했던 사람인데 타고난 지능과 개발된 지능을 둘다 포함해서 검사합니다. 지능검사의 일부는 교육으로 더 높아질 수 있는 항목들도 있어요
@user-xv2ku7hk3w
@user-xv2ku7hk3w 7 күн бұрын
선생님이 말씀하신 모든 것을 겪었습니다. 결국은 초등 졸업 후 국제학교로 진학을 바꾸었죠. 과기고 영재고 전에 영재 아이들이 갈 학교가 거의 없습니다. 영재에 대한 주변에 이해도가 낮기 때문에 특히 공교육에서는요. 영재들의 정서적 지적 측면에서 서포트를 잘 하기가 힘든 환경이라는것이 현실이죠. 그리고 진짜 공감된 이야기는 지적 능력보다 정서적 친구 관계가 중요하다는 말씀. 그러나 쉽지 않다는것 입니다. 저도 따로 영재와 영재 아이들의 사춘기 공부를 따로 했습니다. 선생님 책도 읽었고요. 이해받기 어려운 아이들 부모라도 내 자식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어떤 환경에 놓여있던 영재 아이들이 행복하게 성장하는 비결이라고 느꼈습니다.
@user-ks5vg5dc4n
@user-ks5vg5dc4n 7 күн бұрын
우리 딸은 맨날 밖에 나가 뛰어 놀게 햇더니 알아서ㅜ공부 잘하고 책도 너무 읽어서 그만 읽고 나가 놀아라 라고 할정도다... 이제 중딩인데 중2병도 없고 부모인 내가 학업 스트레스도 안주고 학원도 안 보내고 축구나 해서 체력 길러라 햇더니 정신이 건강해지고 지구력 체력이 올라가더니 새벽에 나랑 같이 부모랑 같이 산책하며 행복햇던 재밋엇던 학교 일들을 일상으로 대화하며 항상 매일이 행복하고 친구들도 부러워하며 저녁에도 같이 산책하며 ㄱ운동하며 대화하며 웃으며 잠자고 하루를 마친다... 내일 새벽에 또 같이 일어나 운동가며 대화하는게 얼마나 행복한지 공부공부공부만 해대는 우리 딸 친구들 가정을 보면서 친구들이 우리 집을 부러워 한다.... 왜 어리석게 사는가 인간들 중생들아 내일 죽어도 여한이 없게 오늘을 행복하게 건강하게 살아라... 어차피 공부머리는 니들 자식보다 AI 가 더 영재고 천재일거여...후후후후크크킄 현명한 부모는 자식을 행복의 길로 인도하며 자신과 같이 행복하게 만든다....
@user-ks5vg5dc4n
@user-ks5vg5dc4n 7 күн бұрын
글고 어리석은 부모들 위하여 팁 하나 더 주는데... 앞으로 미래의 먹거리는 지식 학식 능력보다 창의력 창조능력 융화능력 배려능력 눈치능력 등등이다...무슨 소린지 알긋나..? 창조적 능력은 어디서 나오는지 아냐...? 바로 어렷을 때의 동심 능력이다 . 즉 어른들 보는 책도 함부로 막 읽게해선 안되지. 어른 세상에 너무 빨리 들어올수록 창조능력은 힘이들어진다... 동심파괴를 공부로 많이 시키고 잇다는 맹점을 모르지? 문해능력 빨리 잘해뭐하노 어릴때는 어린이 답게 토토로 보며 즐기먀 상상하며 놀이터가서 숲에 가서 나무한테 가서 말도 걸고 친구들이랑 술래잡기 숨바꼭질 등등...ㅇㅋㅂㄹ 추억 행복햇던 우리 유년기 추억...그리고 틀에 박히지 않은 사상능력.... 아이들을 행복하게 놀아주어라....두둥 😂😂😂❤❤❤
@user-ks5vg5dc4n
@user-ks5vg5dc4n 7 күн бұрын
그리고 부모의 사랑과 칭찬은 입에 달도록 자주 해줘야 되는거란다.... 공부 공부 공부 소리보다 더 많이해라 사랑해 사랑한다고 우리새끼 귀여운 우리 자식...잘한다 장하다 잘났다 우리 애기😂😂😂❤❤❤
@yeojinjeong7084
@yeojinjeong7084 6 күн бұрын
교육을 잘 아시는 것처럼 말씀하시면서도 온라인상 어감 어법을 철저히 무례하게 짓밟으시는 어머니께서 다른이들보다 나는 훨신 잘하고 있다 라는 우월주의를 가지셨네요. 아이 교육 잘 하시길 빕니다. 결국 아이들은 어머니를 따라간다는 박사님 말씀처럼요.
@user-mi9li1pu6w
@user-mi9li1pu6w 6 күн бұрын
금쪽이네요
@bellej9391
@bellej9391 6 күн бұрын
중딩이 쓴 글인듯요...
@user-ez9uy7tj5m
@user-ez9uy7tj5m 5 күн бұрын
개소리 !!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
孩子多的烦恼?#火影忍者 #家庭 #佐助
00:31
火影忍者一家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06 МЛН
한국인이 원어민 같은 '영어뇌'를 만드는 유일한 방법 (최정숙 작가)
30:21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3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