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청 초대석 005] 조선사회 신분질서 타파하는 인간평등사상 펼친 수운 최제우와 동학농민혁명 - 도올 김용옥 박맹수 백낙청 『창작과비평』 2021년 가을호 특별좌담 1부

  Рет қаралды 16,146

백낙청TV

백낙청TV

Жыл бұрын

#동경대전 #도올김용옥 #수운최제우 #하이데거 #화이트헤드
[백낙청 초대석 005]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1부
『창작과비평』 2021년 가을호에 실린 도올 김용옥 박맹수 백낙청 특별좌담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총 4편의 영상을 2회로 묶어 소개합니다

Пікірлер: 34
@user-xt1uq7yk8s
@user-xt1uq7yk8s Жыл бұрын
오래전 전주한옥마을 여행갔다 동학혁명기념관에 들러서 동학농민운동의 역사를 보면서 너무 가슴 아프고 아렸던 기억이 아직도 선명하네요. 그때부터 나도 모르게 무의식속에 동학에 대한 애정이 남아있었던것 같은데 우연히 1년전쯤 창비tv에서 4편 모두 보고 동학에 대해서 뭔가 새로운 깨우침과 감명을 받았었습니다. 여기서 다시 보면서 동학사상이 지금 현시대 사람들에게 더욱더 절실히 필요한 정신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백낙청선생님 항상 건강하셔서 우리들에게 더많은 깨우침을 오래오래 주시길 기원합니다💜
@user-zr7ri5ht6z
@user-zr7ri5ht6z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최고 석학님들의 주옥같은 말씀을 들을수 있어 영광입니다
@user-th1of8zp3y
@user-th1of8zp3y Жыл бұрын
21세기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동학 공부! 고맙습니다 💙
@Twin85
@Twin85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hours2004
@hours2004 Жыл бұрын
동학정신은 지금 읽어 봐도 참 대단합니다. 물론 모든 종교가 그렇듯 100% 이해되는 건 아니지만 교육이 없던 시절, 당시 민중들에게 많은 가르침을 준 그리고 인간으로서 살아가게 한 종교
@user-th1of8zp3y
@user-th1of8zp3y Жыл бұрын
알좋댓구 💙
@KH-bi1xj
@KH-bi1xj Жыл бұрын
세분 선생님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오래도록 저희와 같이 해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user-lc6sq7hl9z
@user-lc6sq7hl9z Ай бұрын
인간이 존중받고 행복한 수평적 사회의 이념, 이것이 민본주의라면 이는 대체로 보편적인 인류의 염원으로 이어져 온 것이라 봅니다. 그러나 이런 이념이 사회이론으로 제시되고 현실에 적용될 가능성에서 동학은 아직 변방의 신흥종교 사상에 묶여 있다는 인상입니다. 하나의 선언 이상의 파급력이 과연 동학에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면서 도올 선생의 동경대전 역본을 읽고 싶은 동기가 밀려 옵니다. 잘 보고 갑니다.
@user-wf7mg4oz1d
@user-wf7mg4oz1d 11 ай бұрын
제목이 어마무시하게 ᆢ짱 멋집니다^!!!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 6 ай бұрын
동학.원불교.증산교 민족종교 대담 많이 해주세요....학교서 국영수만 배우고, 한국 근현대 철학을 배운게 없어서 아무것도 모릅니다 ㅜ.ㅜ
@user-ov2oe7tg5c
@user-ov2oe7tg5c 9 ай бұрын
동학은 사람간의 평등을 넘어선 신과 인간의 평등. 만물의 평등. 인오동포 물오동포을 이해해야 합니다.
@user-jk8vt8rf1u
@user-jk8vt8rf1u 5 ай бұрын
최수훈을 생각하면 눈물이 난다? 죽임을 두려워 하지 않는 용기와 스스로 죽임을 당하는 용기도 거의 하나님 인겨❤❤❤❤❤
@skp2747
@skp2747 2 ай бұрын
도올선생이 이토록 겸양의 모습을 본 적이 없어 많이 당혹스럽다. 정말 오랜만에 보는 이런 모습 좋아보인다. 자 이제 당대의 석학들이 나누는 대화를 경청해보자.
@user-oz5rh5pt8i
@user-oz5rh5pt8i 8 ай бұрын
동학은 이 땅에 만물 평등의 사상의 시원을 열었습니다.
@user-oz5rh5pt8i
@user-oz5rh5pt8i 8 ай бұрын
평등의 가 아니고 평등
@user-mz6rg6ry9l
@user-mz6rg6ry9l 4 ай бұрын
11:11
@chulsookim6332
@chulsookim6332 6 ай бұрын
헌데 그 위대한 동학농민세력이 왜 일진회로 다 넘어갔는지 좀 설명해 주실 수 있어요.
@1330m
@1330m 8 ай бұрын
god-mans 신인들이 상제라는 이름하에 1860년 4월 수운에게 후천개벽 메시지를 가르쳤다 이후 이돈화 등에 의한 상제 계시성의 약화는 천도교 쇠락의 대원인이다
@sepido100
@sepido100 Жыл бұрын
동학군 20000이 일본군 후비보병 200명과 관군에게 졸전 끝에 참패하고 남은 동학이 일진회가 되어 열심히 친일한 것을 역사의 아이러니 입니다
@chulsookim6332
@chulsookim6332 Жыл бұрын
동학이 일진회가 된 이유 정확히 동학이 아니라 동학남접입니다. 이들은 교주 최시형의 만류에도 동학난을 일으키죠 그리고 졸전은 아니고, 일본군은 기관총이 있었으니 상대가 불가능... 헌데 기관총을 쏜 것은 일본군이 아니라 조선관군 이러면 동학군이 일진회 친일한게 이해가 되죠 고종이 지들 죽였으니 이씨조선에 충성할 이유가 없어지고 일본과 한일합방 청원한게 이해가 되죠..... 이해가 안 되신다고요? 조선왕조가 백성들을 얼마나 못 살게 굴었는지를 알면 이해 됩니다. 토착왜구의 유례를 아십니까? 동학군이 일진회 활동하자 위정척사파 양반들이 동학군을 토왜라고 부른겁니다. 동학군을 토벌하는데 앞장선 민보군 양반들이 부른 용어입니다... kzfaq.info/get/bejne/m8CDabObztCaoYU.html&ab_channel=%EB%B0%95%EC%A2%85%EC%9D%B8%EC%9D%98%EB%95%85%EC%9D%98%EC%97%AD%EC%82%AC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 6 ай бұрын
​@@chulsookim6332교주 최제우는 동학혁명전에 돌아가셨음
@chulsookim6332
@chulsookim6332 6 ай бұрын
@@itmasspeaker684 아..최제우가 아니라 2대교주 최시형...착각
[종교] 동학농민운동의 뿌리, 동학이란 무엇인가? : 도올 김용옥의 역주, 동경대전-최제우 1부
1:15:07
Alat Seru Penolong untuk Mimpi Indah Bayi!
00:31
Let's GLOW! Indonesian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Homemade Professional Spy Trick To Unlock A Phone 🔍
00:55
Crafty Champions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
도올 선생 특강 ㅣ중국 근대의 이해와 우리의 미래
2:4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