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목과 탄소중립, 민둥산의 비밀 [TBS 마지노선]

  Рет қаралды 18,108

TBS 시민의방송

TBS 시민의방송

2 жыл бұрын

[TBS 마지노선]
기후 위기를 위해 나무를 베고 새로 심어 산림분야에서의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산림청의 정책, 과연 기후 위기를 위한 일일까?
#기후 #기후변화 #기후위기 #기후재앙 #환경 #벌목 #모두베기 #탄소흡수 #숲
--------------------------------
▶TBS 홈페이지 tbs.seoul.kr
▶TBS 페이스북 / mylovetbs
▶TBS 블로그 blog.naver.com/tbstv
▶TBS 인스타그램 / seoultbstv
▶TBS 유튜브 커뮤니티 / seoultbstv

Пікірлер: 92
@user-pu3nu4rn5e
@user-pu3nu4rn5e 2 жыл бұрын
산림청이 숲울 보호하는게 아니라 해괴한 이론으로 숲울 파괴하고 민둥산으로 만든단 말이지? 나무 베는데 돈 쓰고 또 심는 데 돈 쓰고..... 혈세 낭비하며 주머니 돈 챙기는 것인가? 이 무슨 뻘짓이란 말인가?
@BM-zu4su
@BM-zu4su 2 жыл бұрын
제가 등산을 매주다닙니다 최근3년사이 전국 산들이 민둥산이 되어가고있어서 너무 화가납니다 자연경관 전부 훼손되었어요 이거 누가책임질건가요? 탄소중립? 국민들의 삶의 쉼터를 갈아엎는게 탄소중립이라면 난 차라리 원자력을 끌어안고 살겠다 망할넘들아..
@user-pj8se4fs3t
@user-pj8se4fs3t Жыл бұрын
옳으신 지적입니다. 생태 보호관련 현업에 종사하고있습니다만, 산림청은 탄소중립을 주장하며 무소불위의 힘을 등에 업은 채 해괴한 주장을 펼치며 삼림을 훼손하고있습니다.. 나무를 심고 다시 베는 행위는 토양의 수분 변화.. 토양 유실과 생태계 변화로 인한 생물적 다양성 감소를 야기 시킵니다...
@user-pj8se4fs3t
@user-pj8se4fs3t Жыл бұрын
또한 생물적 다양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나무들을 심은것이 중요합니다만... 현재 산림청은 기존의 원시림을 모두 베어버리고 편백나무 소나무 등 생태 균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오로지 목재가치가 높은 침엽수만으로 숲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숲은 모순적이게도 편백나무 치유의 숲이라고 불리우고있죠... 치유의 숲이 아닙니다.. 야생동물들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생물적 다양성을 떨어뜨리는 파괴의 숲입니다. ...
@user-bl9bg2if4j
@user-bl9bg2if4j 2 жыл бұрын
정말 티비에스 방송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chadol73
@chadol73 Жыл бұрын
산림청과 벌목업자가 국민의세금인 예산을 해먹은것 같네요. 내물 많이준 업체에게 산림청이 벌목일을 주었을거고 그 벌목업체는 내물준것 만큼 더 비싸게 견적을 올렸을 거고 그렇게 예산이 또 낭비 되었겠네요. 대충 이렇게 예상이 되네요. 정부돈은 눈먼돈 이라는 말아 있고 먼저 먹는넘이 임자란 말이 있습니다. 이런 낭비만 막아도 국민세금을 줄이고 복지비가 늘어날것 같네요
@Apfelbaum108
@Apfelbaum108 2 жыл бұрын
산판도 저렇게는 안 할텐데 와~ 영상으로 보니 참... 저 산만 그런가? 독일은 인공조림의 문제를 만난후 어떤 이유든 훼손이 되어도 자연조림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하던데 그런데 목재로써의 가치도 없다면서 어린 나무까지 베도 돈이 되나보지? 이 영상에서는 지적을 안 했지만 돈이 되도록 정부가 유도를 했나보지? 저런 산판에 탄소중립을 갖다붙이는 건 많이 어거지 같은데...
@user-mk3lh8hw1w
@user-mk3lh8hw1w 2 жыл бұрын
저러고 장마나 태풍 때 산사태라도 나면 다 정부탓이지~?
@user-mz9qb8cf3y
@user-mz9qb8cf3y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 나오는 전문가라는 사람이 환경론자이고 목사인 박성율씨 이고, 또 조경학과 교수네요. 왜 산림경영을 하는 임업인이나 산림학과 교수는 인터뷰를 안한 것인가요?
@user-pu2uk4ey4e
@user-pu2uk4ey4e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왜? 억장이 무너지는 심정 입니다 . 어린시절 벌거 숭이 민둥산 나무심기 겨우 이루어 놓았는데 무자비한 벌 목 이라니 .. 나라를 좀 먹는 정 책을
@user-mz9qb8cf3y
@user-mz9qb8cf3y 2 жыл бұрын
-1- 우리나라 산림을 전체 관리하는 곳은 산림청입니다. 하지만 산림(임야)의 소유주에 따라서는 산림청은 국유림(소유주 : 국가)을 관리하고, 사유림(소유주 : 국민)은 지방 정부인 구청, 시청, 군청의 산림 부서에서 관리를 합니다. 산림청은 국가 부처이기에 전세계적으로 공동으로 대처해야하는 탄소중립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그것이 성장한 나무를 벌목하고 새로 어린나무를 심는 것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산림청은 정부 부처이지만 자체 수익을 올려야 산림청 직원들 급여와 여러 사업을 할 수 있는 회계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대단위 면적의 국유림의 입목을 팔아서 재원을 조달해야 하기 때문에 입목을 입찰에 부쳐 판매 후 생산업자들에 의해서 벌목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림청의 회계를 전액 국가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방법을 바꿔야 합니다. 또한 국유림의 입목을 벌채한 후 조림을 통한 탄소중립 정책은 폐기해야 합니다.
@user-mj4nw6sq7k
@user-mj4nw6sq7k 2 жыл бұрын
여기 경남에도 민둥산 제법보여요.
@sunshinerock326
@sunshinerock326 Жыл бұрын
이 어마무시한 계획을 한 사람들은 대체 정체가 무엇일까요.. 어떤 천벌을 받을까 내가 다 무섭네요. 옛날부터 목수들은 나무를 베기 전에 "도끼 들어갑니다~~!!" 라고 나무에게 크게 외치고 나무를 베었다고 합니다. 또 나무를 함부로 베었다가 큰일을 당한 경우도 많고요. 해외에선 왜 몇백년된 둘레가 여러사람이 손을 잡을 수 있는 나무는 왜 안 베어낼까요. 최근 연구결과는 나무가 오래될 수록 뿌리도 깊고 가지도 많기 때문에 탄소흡수량이 월등히 높다고 합니다. 나무를 잘 보살피는 나라가 되길 바랍니다. ()
@user-by2kv8pj3i
@user-by2kv8pj3i Жыл бұрын
허가내준놈들 조사해서 강력처벌해야.
@user-pu2uk4ey4e
@user-pu2uk4ey4e Жыл бұрын
나무식재 ? 산주가 심은거 아니고 국민들이 총 동원해서 심은거임!
@gienygieny3172
@gienygieny3172 2 жыл бұрын
산림청 놈들이 산림 훼손 주범이구먼... 베인 나무들은 어떻게 처리되고 묘목업자 들에 지급되는 금액은 적정한 지도 철저히 조사해라
@-injafarm3384
@-injafarm3384 Жыл бұрын
전국적으로 운전하고 다니다보면 이런 민둥산을 지금도 계속 아주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눈을 뜨고 주변을 둘러보세요~벌목하는 사람이나 산주인이라 돈 받은 사람들 모두 곧 벌 받게 됩니다. 이런 쓸모없는 인간들도 없애고 다시 만들면 되는건가요? 자연 앞에 겸손한 마음으로 세상을 좀 살아가야 하지 않겠습니까...
@kgy339
@kgy339 11 ай бұрын
미쳤다. 미쳤어....
@daebang33
@daebang33 Жыл бұрын
태양광 설치하려고 터를 닦아두는거 같은데...
@oceango9473
@oceango9473 Жыл бұрын
인간에게 필수로 유익한 나무를 베어내어 인간 몰살 정책의 일환입니다
@heykoungyun4484
@heykoungyun4484 2 жыл бұрын
또 보수파들의 돈벌기 작전이 아닐까 무섭다. 돈과 권력으로 욱박지르고, 속이는 그들의방법이… 새와 동물의 안식처는 생각해보기는 했을까… 보고있는동안 가슴이 먹먹해지는것은 저 뿐일까요
@user-mz9qb8cf3y
@user-mz9qb8cf3y 2 жыл бұрын
벌목 작업하는 사람들은 개인으로 아주 영세한 업체입니다. 다만 큰 수익이 없더라도 일을 해야 먹고 살기에 하는 것입니다. 새와 동물의 안식처를 생각하려면 그동안 인간이 살기위해 지어진 모든 건물을 다시 원상태로 해야 겠지요. 산림의 벌목은 조금 세간이 걸려서 그렇지 5~10년이 지나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user-cm2cf5vu6e
@user-cm2cf5vu6e 2 жыл бұрын
야이 양반아 문재인정부 내각에서 결정하고 실행한걸 왜 보수탓을하나 이 징글맞은 좌좀아
@Reikartel
@Reikartel 2 жыл бұрын
보수 이지랄병하고있네 ㅋㅋㅋㅋ 문재인정권아래 진행된건데
@hahebezajsjsvsbja
@hahebezajsjsvsbja Жыл бұрын
ㅋㅋ태양광으로 민둥산만든건?
@user-dc5ss6ot6u
@user-dc5ss6ot6u 3 ай бұрын
민둥산사업은 지난정부때 집중적으로 행해졌던데..
@user-kf2vk5yk6q
@user-kf2vk5yk6q 4 ай бұрын
정부는 산주인 세금 것지말고 산소세 거둬서 산주인 한테 주세요 그래야 나무 안 자릅니다
@user-mz9qb8cf3y
@user-mz9qb8cf3y 2 жыл бұрын
-2- 국유림이 아닌 사유림의 주인은 개인인데요, 우리나라 산림의 67%가 사유림입니다. 농사를 짓는 전, 답은 일년에 한번 씩 많든 적던 소득이 있지만 산은 안 그렇습니다. 내 산에 서 있는 나무 수종에 따라서 한 번 소득을 올리는데요, 예를들면 소나무는 40년, 낙엽송은 30년, 활엽수는 40년 이상이 되어야 허가가 나서 벌채를 할 수 있습니다. 즉 사유림은 최소 30년 이상이 되어야 한 번의 소득이 생기는 장기적인 일입니다. 그렇기에 이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그리고 사유림 임업 또한 1차 산업으로 외국에서 수입되어 오는 목재와 국유림에서 과도하게 공급되는 입목 때문에 목재 가격이 과거 보다 올라가지 않고 있으며, 반면에 벌목에 따른 작업비와 장비대는 계속 올라가서 벌채에 따른 생산성은 좋지 않습니다.
@user-bt5uj6qw8g
@user-bt5uj6qw8g 2 жыл бұрын
무식하고 소신있는 사람이 가장 문제
@user-dc5uw3hk3c
@user-dc5uw3hk3c Жыл бұрын
저장비에서 나오는 어마어마한 배기가스 설마 저걸 보고 탄소중립이라고 한다면 도대체 얼마나 머리에 든게 없는걸가
@user-oq7lk9it7s
@user-oq7lk9it7s 2 жыл бұрын
큰일이다 정부 산림부가 무슨흉계로 저리 싺짤르나?짤르지마라
@leehc1310
@leehc1310 2 жыл бұрын
홍천은 내가 군생활할때 포탄사격때문에 벌목많이 했었는데...아직도 실탄 사격하겠지?
@user-pm2iy8ph6r
@user-pm2iy8ph6r 2 жыл бұрын
산림을 망치는 산림청... 과연 존재이유가 있는가..?
@Jupiter-up9hb
@Jupiter-up9hb Ай бұрын
청주시 가덕면.... 산이 완전히 벗겨짐.. 산림청에 이야기 하니 탄소중립때메 그렇다네...
@777-ve4dr
@777-ve4dr 9 ай бұрын
전세계에서 "나무베기와 나무심기"를 동시에 전개하면, 탄소는 확실이 기념비적으로 줄게 됩니다. 산에 나무를 그냥 두면 화재시 재앙 수준 이상으로 탄소가 발생해 버립니다. [1] 따라서 먼저 전세계 모든 빽빽히 우거진 산에는 먼저 고속도로 같은 방화벽용 나무베기를 수행해야 한다. (물론 그곳에는 홍수 대비 배수로도 철저히 잘 만들어야 한다.) [2] 민둥산 처럼 베고 다시 심는 것은 맞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벌목 그 자체로 탄소는 많이 저장된 것이다. 그 자리에 나무를 심으면 탄소가 다시 저감되게 되는데, 문제는 그동안 많은 시간이 걸리고 산사태 등 여러 문제도 발생할 수 있으니 충분히 잘 분석해야 한다. 먼저 대규모 화재대비 전 지구적으로 방화벽용 벌목부터 해야 한다.
@user-mz9qb8cf3y
@user-mz9qb8cf3y 2 жыл бұрын
사유림의 입목은 수령이 4~50년 정도 밖에는 안됩니다. 왜냐면 산주 입장에서는 돈이 아쉬우면 입목의 벌기령이 되면 팔아야 합니다. 그렇기에 사계절이 있는 우리나라는 동남아 같이 나무가 금방 자라지 않습니다. 대신 국유림의 나무는 산속 깊은 곳에 있기에 그동안 벌채를 안해 왔다가 약 10년 전 부터 벌목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국유림의 입목은 사유림 보다 훨씬 수령과 경급이 월등합니다.
@user-kf2vk5yk6q
@user-kf2vk5yk6q 4 ай бұрын
그럼산을 소유한 사람은 나무 팔아서 돈을 벌어야지요 세금은 또막내고 나무마음대로 못 베게하면 수입이 없어 세금도 내기 힘든데 어떻게 하라구요 지덜은 꽁짜로 산송마시고 산소세 거두워서 산주에 주면 나무 안짤라요 그렇게 할겁니까
@choih3222
@choih3222 Жыл бұрын
산불이나면 묘목업자만 돈버는게 아니라 벌목꾼들도 돈을 벌겠네요?
@euisulee1980
@euisulee1980 Жыл бұрын
산은 개인의 자산입니다.
@user-pw8zj7my3x
@user-pw8zj7my3x 2 жыл бұрын
아놔!!!!🤬🤬🤬🤬🤬
@EdHanulChung1
@EdHanulChung1 2 жыл бұрын
이게 도대체 뭐하는짓들이야? 어 휴~... 이놈들...
@jinukmen5294
@jinukmen5294 Жыл бұрын
그럼 산주들에게 적정한 보상을 해 주던가
@user-qo3hu5mh3w
@user-qo3hu5mh3w Жыл бұрын
이 벌목한 나무는 어디롣 갔을까? 북한의 땔감으로 갔는지 수사해야 한다
@coolkjyi
@coolkjyi 2 жыл бұрын
지방자치장들의 부폐가 보이네..ㅋㅋㅋ
@user-mz9qb8cf3y
@user-mz9qb8cf3y 2 жыл бұрын
-3- 위에 영상에서 보이는 벌목지는 99%는 사유림입니다. 즉 산주가 필요에 의해 입목을 생산업자에게 팔았을 거고 생산업자는 벌목 작업을 한 것 입니다. 벌목하게 되면 1~2년 내로 의무 조림을 해야 합니다. 조림목이 어릴 때는 조금 보기가 안 좋을 수 있지만 5년 이상이 되면 조림목과 풀이 우거져서 덜하고 10년만 되어도 나무가 잘 자라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벌목 후 5년 이하의 조림지를 보고 문제를 제기할 것입니다. 위 영상의 벌목 현장도 5~10년 후에 다시한번 영상을 찍어 보시길 바랍니다. 그래도 문제가 될 것 같으면 벌채에 대한 규제를 해도 좋지만 지금 처럼 여론에 떠밀려 사유림 까지 규제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현재 산주들은 내 산을 내 마음대로 하지 못하게 되어있는데, 30~40년 이 되어서 한 번 소득을 올리려고 하는데 있어서 규제를 또 한다면 이중 규제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yg8ql8ki1p
@user-yg8ql8ki1p 2 жыл бұрын
일년안에 폭우로 지형이 문어질것이 염려되고 그작은 묘목 키우는동안 산소배출량도적어서 공기는 안좋고..이해안됨..인간욕심때문에 무분별하게 회손하는것같은데요.. 자연은 이제그만 회손되었음함.. 인간에 만행이 지구멸망에길에 오르지 않길..
@user-mz9qb8cf3y
@user-mz9qb8cf3y 2 жыл бұрын
@@user-yg8ql8ki1p 물론 벌목 후 조림한 묘목은 어리기 때문에 만일 집중 폭우가 내리게 되면 산이 무너질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산이 무너지는 것은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는 곳도 무너진 것을 많이 봐 왔습니다. 그것은 나무가 있느냐 의 유무 보다는 지형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다만 벌목 후 심은 어린 묘목이 자라는데 5~10년의 세월이 필요합니다. 이 세월이 지나면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기에 지구 멸망은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우리 인간이 살아가는데 목재가 중요하지요. 주위를 둘러보면 목재가 재료인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목재 자급율이 16% 밖에 안됩니다. 나머지는 전부 수입에 의존해야 합니다. 수입되어 오는 목재와 국유림에서 생산하는 목재로 인하여도 사유림 임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기도 합니다.
@user-zs5il2qz7f
@user-zs5il2qz7f Жыл бұрын
@@user-mz9qb8cf3y 9
@user-bp9cw7zf7e
@user-bp9cw7zf7e 4 ай бұрын
누가 무슨 귄리로 누구를위한 무엇을위한 벌묵인가?
@user-td3tx4yf9c
@user-td3tx4yf9c 2 жыл бұрын
전문가라는 집단이,저것들이 몰라서 저랬을까? 돈의 문제지. 에라이
@user-pu2uk4ey4e
@user-pu2uk4ey4e Жыл бұрын
어느 넘이 이따이 정책을 많들을 까요?
@Apfelbaum108
@Apfelbaum108 2 жыл бұрын
황진하 아나운서다~~~!!! 황아나운서 예뻐요~~~!!!
@sklee7071
@sklee7071 2 жыл бұрын
산림청이 나쁜놈들이네... 벌목허가하고 뒷돈챙기는 자들이겠지...
@user-yv1ej5ye9r
@user-yv1ej5ye9r 2 жыл бұрын
구간으로 나눠서 베면 될것을 모두다 베는짓. 산림청이 잘못했네
@user-rh5hu9hn5m
@user-rh5hu9hn5m Жыл бұрын
살림청이 아니라 살림망치는청 그들의 놀리는 살림 망치고 돈벌고
@coolpice
@coolpice 4 ай бұрын
산주에게 탄소세를 지급해줘라 적정한 선에서. 산 하나 밀어도 산주는 푼돈받는다. 정부는 그 푼돈도 안주니 밀어버리는거다. 그래봤자 재산세도 내기힘들걸? 무조건 나쁜놈 만들지말고 해줄거 해주고 욕해요. 그렇게 소중한 숲인데 왜 산주는 호구취급 하나요
@user-jo1dg5px6v
@user-jo1dg5px6v 2 жыл бұрын
산림청은 이제 역사속으로 사라져야할때 산림에서 산림청예산의 100/1이나 소득이 나올까?
@u5010
@u5010 3 ай бұрын
나무 베고 심는것도 좋은데 땅주인 허락은 받고하는거냐? 땅주인에게는 자연보호라는 명목으로 아무것도 못하게 묶어놓고 어떠한 보상도 안하는 무식한 행정은 이제 그만해야한다
@brucelee8085
@brucelee8085 2 жыл бұрын
뭘좀 알고 취재해라 우리나라 산에 수종이 얼마나 쓰레기 수종만 있는줄 아냐??? 산림녹화 빨리 하려고 리기다 같은 속성수만 심어서 산에 자원이 될만한 나무라곤 표고목으로 쓰는 참나무류가 거의 유일한 지경이다. 나머진 펄프고. 뭐 알고나 기사쓰고 취재해라!
@Jupiter-up9hb
@Jupiter-up9hb Ай бұрын
무식하네 아주
@toveteve4401
@toveteve4401 2 жыл бұрын
애네들 왜 이렇게 막베어버리지 강원도 홍청군수야 산림청 이유는 있겠지만
@arjenkim4555
@arjenkim4555 Жыл бұрын
산림청장 검사냐?
@rany6514
@rany6514 2 жыл бұрын
미친거 아님? 무식한 건지... 산을 아예 없에 려는거 아닌지... 꿍꿍이가 따로 있는거 아닌가 싶다! 걱정되네요! 그만두게 해야 합니다!
@user-mz9qb8cf3y
@user-mz9qb8cf3y 2 жыл бұрын
만약에 ran y님이 산이 있는데요, 만일 그 산의 나무가 소나무로 40년 이상의 벌기령 규제 때문에 수익이 없었다가 마침 40년 이상의 벌기령이 되어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내가 돈이 넉넉하다면 굳이 벌목을 할 필요가 없지만 돈이 필요하다면 입목을 팔아야 돈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벌목을 한다고 해서 산을 없애는 것은 아닙니다. 벌채를 한 산은 반드시 의무 조림을 해야하고 산주는 조림비용을 10% 부담을 해서 조림을 합니다. 그 조림목이 5년 이상 정도 되면 잘 자라서 자리를 차지하면 예전의 모습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bigfish7926
@bigfish7926 2 жыл бұрын
@@user-mz9qb8cf3y 욕할래다가 소우주 님 글들을 보니...잘 알지도 못하면서 욕부터 하기엔 참 많은 상황들이 있군여.5년 정도에 묘목이 저정도의 산림을 조성한다는 것이 신기하네요...
@user-jj5hj6ih8o
@user-jj5hj6ih8o 2 жыл бұрын
@@user-mz9qb8cf3y 근데 저렇게 너무 많은 양을 한번에 벌목 하면 비많이 올때 산사태 올텐데 그게 제일 걱정임.. 어린나무가 산사태를 막아주진않으니까.. 나무크는데도 몇년 십년?이상은 걸릴거고
@toveteve4401
@toveteve4401 2 жыл бұрын
이제사,,진작했어야지
@ysk4760
@ysk4760 10 ай бұрын
문재인 때는 산을 마구 벌목하여 태양광 설치가 불법적으로 자행되여 전국에 이번비로 엄청난 산사태로 수많은 국민들의 재산과 지역의 국민들이 목 슴까지 위협 사망되었나요 철저하 조사해서 천벌을 받도록 해야합니다
@user-ej1pn2cp8t
@user-ej1pn2cp8t Жыл бұрын
코막힌 사람은 쓰지맙시다 듣기 불편해요
@user-ro8sd8tb1j
@user-ro8sd8tb1j 2 жыл бұрын
그냥놔둬야할나무들을세금쳐들여뭔방구짖을하는지왜?그걸로이익보는자가있다면?
@user-ip9fi9dl4o
@user-ip9fi9dl4o Жыл бұрын
와 본인 재산 아니라고 함부로 지껄이네 사유림이 언제부터 공공재였지? 공공재라면 혜택이 있나 아니면 수익이 있나? 산은 공공재 이전에 1차산업에 속하는 농사다 무식한 인간들아 니들 눈에는 벼농사도 들판이 횡하니까 추수하지 말아야지 맞지!? 환경이고 자시고 본인들 산 수확 못하게 하면 길길이 날뛸위인들이 남의 재산가지고 이러쿵 저러쿵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아는 상놈들아
@user-fv6wr3rl8x
@user-fv6wr3rl8x Жыл бұрын
사실 자기산 자기가 멋대로 못하는것도 코미디지. 자기 산을 민둥산 만들든 뭘 하든 개인의 자유 아니냐. 그리고 결정적으로 목재의 수급은 반드시 필요함. 정말 많은 분야에서 목재를 사용하고 있고 가구의 거의 대부분은 나무로 만드는데 탄소중립을 위해선 나무를 베지 말아야된다… 지금 당장 본인들 집에 나무가 얼마나 있는지 한번 봐봐. 70년, 100년이 넘은 나무의 탄소 흡수가 늘어나는것이 “만약” 사실이라 하더라도 100년간 키울수 있는 두그루의 나무보다 더 많은 탄소를 흡수를 할까? 정말 유의미하게 많은 양의 탄소를 흡수하지 않는다면 나무를 베어 자원으로 쓰는게 현명한거지. 그리고 조경학과 교수의 탄소고정에 대한 인터뷰라…. 전문가 인터뷰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지 않나?
@user-oc8qd3jd2o
@user-oc8qd3jd2o 2 жыл бұрын
이런건 꼭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다루지않더라. 어준아 이런거나 좀 제대로 짚어봐 김건희 타령 고만 좀 하고 ㅋㅋ
@toveteve4401
@toveteve4401 2 жыл бұрын
TBS에서 다루고 있네
@user-bd5uf6vj5q
@user-bd5uf6vj5q 2 жыл бұрын
조중동한테나가 쯧쯧
@user-mj1jv2sq4k
@user-mj1jv2sq4k Жыл бұрын
산림청. 이 숲을 파괴한다
@gyw6412
@gyw6412 3 ай бұрын
역주행의 주범 산림청
1❤️
00:20
すしらーめん《りく》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NO NO NO YES! (50 MLN SUBSCRIBERS CHALLENGE!)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102 МЛН
[#그게뭔데①] 벌채부터 나무 베는 장비까지! 벌채 A to Z
4:16
대한민국 산림청
Рет қаралды 11 М.
엉망진창 배출권 거래시장, 이래놓고 무슨 탄소감축? (김상훈 기자)
34:5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33 М.
극한직업 - Extreme JOB_거목과의 사투, 벌목과 나무집_#001
17:21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83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