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으로 끝난 타이타닉 잠수정 실종사건

  Рет қаралды 1,801,497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18:08 타이타닉 탐사 잠수정 실종 비극
18:08 ~ 24:14 기적같은 잠수함 구출 사례
24:14 ~ 34:25 최악의 잠수함 사례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내파

Пікірлер: 883
@user-xm4be2fg2w
@user-xm4be2fg2w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진짜 안전관리는 피로 적힌다는게 맞는거같네요
@Astin7203
@Astin7203 2 ай бұрын
팩트) 돈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user-ub2sk4kf5m
@user-ub2sk4kf5m Ай бұрын
@@Astin7203 얜 일단 거지임
@user-un5qv3dc9n
@user-un5qv3dc9n Ай бұрын
​@@Astin7203 저기 탄 사람들은 돈 없어서 뒤졌냐? ㅂㅅ같은 소리도 때를 가려 해야지, 어떻게 ㅅㅂ 그 말에 대한 정확한 반례를 보여주는 사건에 대한 영상에서 그딴 소리를 쳐 하고 앉아 있냐?
@jinchan0110
@jinchan0110 28 күн бұрын
​@@Astin7203 돈으로 모든게 해결되지 않음. 경험 하기 전에는 '이런게 위험요소였다고?' 인것도 많아서 돈 있어도 투자를 안 함. 일례로 미국의 비행기 조종실 출입은 2000년대 초반까지 보안이 허술했음.
@user-rs2yo1un8n
@user-rs2yo1un8n Сағат бұрын
@@Astin7203 저기서 끔살당한 사람들 돈이 썩어나는 사람들인데 뭔 소리냐 진짜;
@user-nw6bj1vb9h
@user-nw6bj1vb9h Жыл бұрын
밖에서 볼트로 조이고 안에서 못연다는 말만 들어도 숨막히네요. ㅠㅠ
@user-sk6mf1bp6s
@user-sk6mf1bp6s Жыл бұрын
레알 공포일듯
@tucsanYT
@tucsanYT 3 ай бұрын
조이고?
@person___7
@person___7 3 ай бұрын
@@tucsanYT 나가라
@Awwwesome_Guy
@Awwwesome_Guy 3 ай бұрын
​@@tucsanYT 눈치없으면 그냥 조용히 계세요 이상한 드립치려하지마시고
@user-st3qz7jr5r
@user-st3qz7jr5r 2 ай бұрын
ㄱㅇㅈㅇㄱ​@@tucsanYT
@user-gb6hh7lt8z
@user-gb6hh7lt8z Жыл бұрын
설명 들어보니까 그냥 깡통이나 다름없는 잠수함 타고 내려간 수준이네...ㄷㄷ 진짜 대단하다
@Sangnal
@Sangnal Жыл бұрын
참... 남다른 삶, 남다른 경험, 남다른 죽음... 평범하지 않은 이들의 평범하지 않은 끝..
@nasyonaru9333
@nasyonaru9333 Жыл бұрын
즉사 한것도 행운인거죠.. 희생자분들은 고통없이 가셧을테니
@tee_.mo2016
@tee_.mo2016 Жыл бұрын
한번에 펑 터져뒤졌으면 뭔기분일까 고통느꼇을라나...???
@ussr-s0v1et_un10n
@ussr-s0v1et_un10n Жыл бұрын
​@@tee_.mo2016느끼기 전에 소멸
@user-jf5mf3hl4f
@user-jf5mf3hl4f Жыл бұрын
우물안 개구리 마인드
@Isnt_that_xxxx
@Isnt_that_xxxx Жыл бұрын
@@tee_.mo2016뇌는 몇 초 전 감각에 대해 기억하고있어서 죽는 순간엔 인지조차못해서 아마 행복했을듯
@user-ju6uv4ue1l
@user-ju6uv4ue1l Жыл бұрын
정말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너무 흥미롭고 무섭고 재밌네요...
@user-fw8kx2jk8y
@user-fw8kx2jk8y Жыл бұрын
한국시간 기준 6월 29일 사망자의 시신 파편이 잠수정에서 발견됐다고 하네요. 압궤라서 곱게 되찾는건 당연히 불가능하고 DNA는 건졌으니 관에 넣을순 있겠네요
@shuxin_98
@shuxin_98 Жыл бұрын
이번주 분량 미쳤다..
@daewookkim4795
@daewookkim4795 Жыл бұрын
타이타닉이 저런 최후를 맞이했는데 그 잘난 잠수정 이름을 타이탄이라고 했는지....... 뱃사람들의 미신이 있다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은 배의 이름은 절대로 다른 배에 붙이지 않는다는 겁니다. 그것도 바다의 신 포세이돈과 연관된 이름은 절대로 말입니다.............
@shb6651
@shb6651 Жыл бұрын
포세이돈이란 이름은 누가 지었나요? 신이..? 아니면 사람이..?
@user-hp3ft2yq8v
@user-hp3ft2yq8v Жыл бұрын
포세이돈 대신 정형돈 이라 지읍시다
@user-hx4xg3lj7x
@user-hx4xg3lj7x Жыл бұрын
포세이돈이 왜요??
@user-cd4wn1of9q
@user-cd4wn1of9q Жыл бұрын
명백히 인재인데 미신 따져서 뭐함.
@pelnandeslachio
@pelnandeslachio Жыл бұрын
​@@user-cd4wn1of9q 미신까지 저렇게 따질 정도면 다른거도 신경쓰지 않았을까 하는 믿음?
@gamevideochannel1550
@gamevideochannel1550 7 ай бұрын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gb2kq4nb1v
@user-gb2kq4nb1v Жыл бұрын
상업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자동차나 여객기를 기준으로 한다면 로켓같은 경우는 극단적으로 불안정한 운송수단입니다. 대량생산 및 운영을 통해서 끊임없이 피드백되어 업그레이드가 이루워지는 자동차나 여객기도 가끔 기계 결함을 보이는데 소량 생산는 로켓이나 이번에 문제가된 잠수정같은 경우에 생산 및 운용이 적은 만큼 피드백이 적어서 기존의 운송 수단에 비해 사고율이 월등히 높을수밖에 없습니다.
@sy-et5sn
@sy-et5sn 11 ай бұрын
와 디테일하게 다뤄주는거 짱이다
@user-ub3wp2eg4f
@user-ub3wp2eg4f Жыл бұрын
10:47 외쿸인들도 "뼈속깊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구나 My bones..하나 알고가는군 10:47
@LEEkyouho
@LEEkyouho 3 ай бұрын
I felt in my bones~ / feel in my bones 뼈저리게 느끼다, 뼈속깊이 느끼다
@Injeolmi_biscuit
@Injeolmi_biscuit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카메론의 마리아나 해구 기록이 이번 사건과 매우 대비되는데 일단 혹시나 잠수함에 문제가 생겨 자체적인 구제가 힘들경우를 대비해 로프 연결식으로 설계됬고 실제로 탐사중 가스관이 터져 문제가 발생했지만 예비 가스관이 3개나 되서 문제없이 집으로 돌아올수 있었다고함 이번 사태도 안전에 안전을 고려해야한다는 교훈을 주는 사례라고 봅니다...
@arankang
@arankang 11 ай бұрын
자기돈 몇백억 박고 자기가 들어갈걸 고려해서 설계한거랑 같나
@user-lg5ey7dm2w
@user-lg5ey7dm2w 11 ай бұрын
​@@arankang저 잠수정도 본인이 문제없다고 탔잖아요...?
@user-yh4by3on7f
@user-yh4by3on7f 11 ай бұрын
@@arankang 영상 안 봄? 저 잠수함회사 CEO도 같이 타고 가서 죽었다잖아. 자기회사돈 몇백억 박고 자기가 들어갈걸 고려해 설계한걸 자기가 타고가다 죽었네.
@first__life
@first__life 11 ай бұрын
​@@arankang뭐라는거냐
@NoBrand0
@NoBrand0 6 ай бұрын
@@arankang가만히있으면 반이라도 간다
@SugarFreeSalt
@SugarFreeSalt Жыл бұрын
뒤에나온 러시아 잠수함 침몰사건은 영화로도 있는거로 기억하는데 후방 생존자들이 이산화탄소 제거기를 교체하다가 그게 물에 빠지면서 발화, 전원 사망했다 라는 이야기로 진행이 되더군요.
@user-iu4ru8ps1v
@user-iu4ru8ps1v 3 ай бұрын
그게 9기압인데 300기압에 신체가 노출되면 어떻게 되버릴까요?
@jindodog1004
@jindodog1004 Жыл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
@user-ni2tg1pf3x
@user-ni2tg1pf3x Жыл бұрын
저는 좁은곳에 있으면 숨막힐것같은 공포감 느껴서 저런거 못탈것같음 높은곳은 무서워도 버틸만하지만..
@englishmutton
@englishmutton Жыл бұрын
오션게이트 CEO인 스톡턴 러시는 탑승자들의 안전을 무시한 비전문적인 탐사선을 이용해서 탑승객들의 목숨으로 러시안룰렛을 하던 사람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의 죽음은 인과응보이자 자업자득이겠습니다.
@hmjib81
@hmjib81 Жыл бұрын
혼자 죽은게 아니라 비극인 거겠죠
@englishmutton
@englishmutton Жыл бұрын
​@@hmjib81네 한 무모한 사람때문에 같이 희생당한 네분과 유가족들에게는 확실히 비극이죠.
@user-wr3yb1ym7i
@user-wr3yb1ym7i Жыл бұрын
걔도 죽을지 몰랐던 거지뭐 고의는 아니었으니 걔도 불쌍한건 맞음
@user-oe4uh5mz1o
@user-oe4uh5mz1o Жыл бұрын
​@@user-wr3yb1ym7i 저정도면 미필적고의로 봐야됨 ㅋㅋㅋㅋㅋ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user-wr3yb1ym7i 사망한 CEO는 회사 운영이 매우 방만했고 점검을 받으라고 말하는 기술 직원 몇명도 젼부 해고/고소함... 왕년에 비행기 엔지니어였다고 잠수함도 주먹구구식으로 하면 된다는 쓰레기였음.
@iemr-bd6wh
@iemr-bd6wh Жыл бұрын
4000피트에서 버틸걸 4000m에 밀어넣냐고 ㅋㅋㅋㅋㅋㅋㅋ
@user-ed4hc1mx1d
@user-ed4hc1mx1d Жыл бұрын
수천억짜리 우주선도 날린적 있으니
@flckemj
@flckemj Жыл бұрын
우린 이걸 자연사라 하기로 했어요
@flckemj
@flckemj Жыл бұрын
@@user-fg7im2te1x 알빠노 ㅋㅋㅋ
@user-uo1hj3mh3w
@user-uo1hj3mh3w Жыл бұрын
​@@user-fg7im2te1x웃으면 안될건 뭐임? 다윈상 후보인데
@user-lg5ud8eg4c
@user-lg5ud8eg4c Жыл бұрын
3억을 주고 자살을 했는데 웃픈사건이지
@wind-up_doll
@wind-up_doll Жыл бұрын
제인스 카메론 감독님은 '미터' 라고 말해주네요 오늘부터 존경합니다..
@chaewooli
@chaewooli Жыл бұрын
왜냐면, 제임스 카메룬은 미국인이 아니에요. 캐나다인이라서 미터법 쓰죠ㅎㅎ
@mwkmn
@mwkmn Жыл бұрын
@@chaewooli 쓸데없는 한마디 더하자면 캐나다의 국가공식 표준은 미터법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실생활엔 미국문화의 영향으로 피트인치를 씁니다. 속도는 킬로미터, 인체 사물 건설 등은 피트, 무게는 킬로그램 파운드 혼용하는 판타스틱한 곳입니다.
@wyrkquick72
@wyrkquick72 4 ай бұрын
채팅창 수준이...아름답네요^^
@prsh0525
@prsh0525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user-ni6ys2im4g
@user-ni6ys2im4g Жыл бұрын
얼마나 무서웠을까 ㅜㅜ
@yoon0518
@yoon0518 5 ай бұрын
폐쇄공포증, 심해 공포 있는데 진짜 개끔찍하다…. 돌아가신분들 끔찍한 사망이었지만 찰나의 순간에 고통 없이 가셨기를
@user-uq4jr8pi1o
@user-uq4jr8pi1o Жыл бұрын
슈카형이 바쁠수록 우리는 볼 게 많아서 행복하다...건강보다는 컨텐츠입니다 형님
@greenduck5664
@greenduck5664 Жыл бұрын
그러다가 황금알을 낳는 오리의 배를 가르는 현상이 나올 수 도 있습니다 ㅎㅎ;
@kimkris600
@kimkris600 Жыл бұрын
​@@greenduck5664농담은 농담으로 받아들이세요,,,
@user-hm9dh4be8q
@user-hm9dh4be8q Жыл бұрын
@@KoreanTeacher_JPN 어휴 꼰대
@Jam_2
@Jam_2 Жыл бұрын
재미없어 이드립 ~
@user-jn3er2os7d
@user-jn3er2os7d 11 ай бұрын
@@kimkris600 당신이 진지충이네. 농담을 농담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ㅉㅉ 저 말이 잔담으로 들리냐?
@user-ry7jf3dd7x
@user-ry7jf3dd7x Жыл бұрын
사실상 저 ceo는 지가 자결한 거고, 다른 탑승객들은 살해 당한 거네
@user-cm2dc1wb3c
@user-cm2dc1wb3c Жыл бұрын
슈카형, 공매도 법안이 어케되가는지 한번쯤 설명해줘. 부탁해
@user-jf9im6vv1e
@user-jf9im6vv1e Жыл бұрын
타이타닉 잠수정에 탑승하는 사람들이 살아 돌아오길 바랬는데 참 안타깝네요. 역시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심해 탐사는 무서운 것 같습니다. 안전에 대해 경각심이 조금만 더 있었으면 어땠을까 합니다. 이 댓글을 읽는 분들은 항상 안전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user-ms2mp1vn7l
@user-ms2mp1vn7l Жыл бұрын
이게 실종 된 순간 이미 사실 죽은거라 더라구요. 시체를 찾냐 못찾냐 였다함. 애초에 심해에 있는 상황을 구출하는 방법은 최소 1주이상 걸린다함. 결국 애초에 죽음은 확정된거였데요.
@user-el5xl2ri6k
@user-el5xl2ri6k 11 ай бұрын
실제로 우주 탐사보다 심해 탐사가 더 어렵다는 의견도 많더라고요…
@Light_ysh
@Light_ysh 11 ай бұрын
잠수함이 내파된게 맞다면 고통을 느끼기도 전에 순식간에 즉사했을껍니다. 내파 시뮬레이션 피셜 잠수함이 압축기에 찌그러진 캔처럼 철판쪼가리로 변하는데 걸린 시간은 1/1000초 즉 0.001초로 눈을 깜빡이는 속도보다 더 빠르니 죽은지도 모를 정도로 순식간에 이루어졌을꺼라 최소한 가는길은 고통스럽진 않을꺼 같습니다. 물론 시체는 커녕 잠수함 흔적은 찾기 어려울정도로 완파됐을 가능성이 크니 찾아서 인양하기도 어려울테고요.
@user-hq1lm7rn8v
@user-hq1lm7rn8v 11 ай бұрын
심해에서 살아돌아오면 그건이미 신인류지
@user-mh7wd7lg5c
@user-mh7wd7lg5c 11 ай бұрын
디즈니한테 요청했으면 흑어공주가 구했을 텐데
@moosimja
@moosimja Жыл бұрын
원래 탑승자가 안전에 문제있다고 판단해서 취소한게 신의 한수인듯 취소한 자리에 탑승한 사람은 죽어서 나중에 음모론,괴담 생성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봄
@wirelessholic4506
@wirelessholic4506 Жыл бұрын
내파 (Implosion)을 상당히 많은 전문가분들이 지적해주시는데 임플로젼은 익스플로전(Explosion)의 반대로 내부에서 폭발해서 외부로 튀어나가는것이 아닌 압궤라는 말이랍니다 즉 외부에서 엄청나게 강한 압력으로 짜부되는걸 의미한다고 하네요 국내 수많은 언론도 이걸 상당히 잘못 해석 하고있다고 지적하셨네요
@loveaintfree1409
@loveaintfree1409 Жыл бұрын
역시 한국인들 영어 드럽게 못함 ㅋㅋㅋㅋ 유치원 영어학원이 100만이 넘는다는데 기본적인 단어도 이해를 못하네 ㅋㅋ
@wirelessholic4506
@wirelessholic4506 Жыл бұрын
@@loveaintfree1409 사실 한국어 문화권에서는 어쩔수가 없다고 봅니다. 반대어의 개념이 익수하지 않은 탓이겠죠, Un, De, Ex등 이런 반대어 개념이 사실상 한국인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탓도 있고. 익스플로젼이라는건 즉 폭발을 의미하는것이데 이 폭발이라는 개념이 단순히 우리에게 있어서는 그냥 터진다는 개념으로만 받아들여지지 이게 내부에서 외부로 팽차하느냐, 외부에서 내부로 압착이 되느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받아들여왔던 그 문화 자체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거같아요. 그리고 이런 익스플로젼 임플로젼 이라는 개념자체도 서구권에서도 20세기에서나 되서야 잡혀진 개념이기도 하구요. 더군다나 우리는 압궤 함몰 압착 함열 이런 단어 자체를 폭발이라는 단어에 비해 상당히 낯선 단어이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네요
@sin2378
@sin2378 Жыл бұрын
@SeoulH_KIM
@SeoulH_KIM Жыл бұрын
아니요 내파는 에너지가 안으로 터지는겁니다. 짜부만 되는걸로는 파동이 안잡혀요. 고압에서의 급격한 부피축소는 급격한 온도 상승과 내파를 일으킵니다. 압축이 아니고 내파입니다.
@oohnpiagetiannoch
@oohnpiagetiannoch Жыл бұрын
내파 맞는데
@msemse8291
@msemse8291 Жыл бұрын
근데 프리다이빙은 들어갔다 나오는거소 잠수함에서 나오는거는 올라오기만 하니 기록은 더 나아지지 않을까요 물론 그 깊은곳에서 나온다는게 쉬운건 아니지만;
@csn8712
@csn8712 Ай бұрын
우측 댓글 없는 영상은 혹시 없나요?
@jinjin5759
@jinjin5759 Жыл бұрын
카메론 폼 미쳤다~정확히 파악했었네
@Spartan-mh7im
@Spartan-mh7im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카메룬 감독이 미군은 이미 월요일? 즉 잠수하던 그 당일에 이미 내파했다는 걸 알고 있었는데, 의도적으로 숨겼다고 하는 부분은 안 가져오셨네요.
@perenna
@perenna Жыл бұрын
30:00 저때 죽은 잠수함 승무원 한명의 아들이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있더라고요... ㄹㅇ 수난이대....
@novasuper5118
@novasuper5118 Жыл бұрын
러시아는 레알 푸틴의 스타크래프트인듯 인명을 개껌보다 못하게 생각하는듯
@martin_oh
@martin_oh Жыл бұрын
컨트롤러의 경우 이 기계가 조작하기 편하고 쉽다를 알리기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위험한 곳인데 보조 조작장치가 없는건…좀….
@gurmiro
@gurmiro Жыл бұрын
이게 로지텍 F710 인데 문제가 무선이라 전원으로 AA건전지 2개를 쓴다는거죠. 그래서 건전지 잔량이 줄어들면 끊김과 오작동이....
@joeslin
@joeslin Жыл бұрын
안전불감증이 탐험정신이나 도전정신으로 미화되면 안된다 저 잠수정 오너는 범죄자나 다름없는 자다
@pyrana_
@pyrana_ Жыл бұрын
이제 타이타닉과 잠수정의 잔해를 관광하러 내려가겠네요
@user-mk1rb4nb9m
@user-mk1rb4nb9m Жыл бұрын
서해는 과거에는 육지였고 중국 한국에서 흘러들어온 강 세개가 지나가는 땅이었기때문에 동아시아 초기 인류의 흔적이 있지않을까 싶은 곳입니다 (평평한 땅 강3개가 모이는 수량 근처에는 바다)
@nakyeong.e
@nakyeong.e Жыл бұрын
오호 재밌네용
@Youngchj
@Youngchj 11 ай бұрын
그래봤자 구석기시대 유물들이라 찾기힘들것같네요 ㅋㅋ
@user-mk1rb4nb9m
@user-mk1rb4nb9m 11 ай бұрын
@@Youngchj 거기다 이제는 퇴적된 진흙뻘 속에 있으니 찾기 어렵겠죠 뻘속에있으면 보존은 잘 되지만..... (티라노 사우르스 허벅지뼈에서 DNA가 발견될정도로 보존율은 겁나 좋음) 혹시나 빙하기라도 와서 서해에서 제주도까지 연결되는 그 육지가 드러나면 동아시아 고고학자들 질질 쌀겁니다 ㅎ
@user-by9yo3sn4f
@user-by9yo3sn4f 8 күн бұрын
@@Youngchj한테ㅣ
@ryu9s13
@ryu9s13 Жыл бұрын
스쿠버다이빙 국제자격증 있는 사람으로서 영상에서 자꾸 수영이야기가 나와서 첨언하자면, 수면에서 잠수하고 다시 수면으로 오는거랑 바다속에서 1기압으로 있다가 갑자기 올라오는건 차원이 다릅니다. 애초에 납벨트가 없어 올라오는 속도도 조절 안될뿐더러 자격증있는 저도 20m만 되어도 맨몸으로 수영해서 나오기는 거의 불가능할것 같습니다. 훈련받은 제가 죽기직전에 목숨 걸어볼 깊이가 딱 20m.
@WWMM917
@WWMM917 Жыл бұрын
오 멋있다 형
@jinnn09876
@jinnn09876 Жыл бұрын
@bbaniv273
@bbaniv273 Жыл бұрын
기압이 높으면 왜 못올라 오는거예요?
@user-kq8cd2oo6t
@user-kq8cd2oo6t Жыл бұрын
​@@bbaniv273 몸에 천천히 압력을 높여가면서 받아내야하는데, 1기압에 있다가 갑자기 확 압력이 뛰어버리면 무슨 문제가 생기는듯?
@mr.lawrence1528
@mr.lawrence1528 Жыл бұрын
​@@bbaniv273몸안의 질소가 빠져나오면서 피가 끓어서 잠수병에 걸리는 것 말하는것 같은데
@wjdghsins350
@wjdghsins350 Жыл бұрын
17:35 우크라이나도 스팀덱으로 무인포탑 같은걸 조종한다던데 콘솔패드가 의외로 많이 쓰이네
@jaelee2263
@jaelee2263 6 ай бұрын
안타깝네요. 고인 명복을 빕니다.
@arnshutain
@arnshutain Жыл бұрын
유보트 영화만 봐도 수압의 무서움을 간접적으로 느낄수 있음.
@user-jc6o
@user-jc6o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유보트 잠함수심은 애기 수준
@happyend449
@happyend449 Жыл бұрын
심해에 사람이 터져죽는다는 분들이 많은데 터져죽지않음. 우주에 맨몸으로 나가면 터져죽는다는 것과 같이 오래된 잘못된 지식
@DDuIGl999
@DDuIGl999 11 ай бұрын
진짜 심각했던게 4000미터에서 다이빙벨로 구조하라는 얘기가 많았음... ㄹㅇ 수준이 심각하다...
@nickn1991
@nickn1991 Жыл бұрын
분명히 4000미터를 4000피트로 착각하고 벌어진 일이다. 미국은 쓸데없는 추모 하지 말고 단위 통합이나 진행 해야 한다.
@carvesoul
@carvesoul Жыл бұрын
공감
@hotcurry1108
@hotcurry1108 Жыл бұрын
화성 기후탐사선도 그렇게 날려먹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Werner4voss
@Werner4voss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죽었는데도 농담따먹는구나
@user-kq8cd2oo6t
@user-kq8cd2oo6t Жыл бұрын
@@Werner4voss 이게 뭐 고인의 명예에 먹칠 그런거라고 생각함? 오히려 임페리얼 단위계를 돌려까는 거잖음 그냥
@yjw1555
@yjw1555 Жыл бұрын
타이탄에 쓴 유리창이 4000피트용(1200미터)으로 설계된 유리창이였다는게..
@user-ji7dh8md9g
@user-ji7dh8md9g Жыл бұрын
프리다이빙으로 30m만 내려가도 수압이 빡세게 느껴지는데, 3800m면 어우….
@Dosirak-Car
@Dosirak-Car Жыл бұрын
아직 심해나 우주는 인간의 기술로 쉽게 다가 갈 수 있는 영역은 아닌듯..삼가 고인의 명복을..
@DarkFuse
@DarkFuse Жыл бұрын
모 맞지만 저건 인재에요 제대로 관리못한 회사의
@gore9573
@gore9573 Жыл бұрын
심해 잠수정을 저런 모양으로 만든다는 것도 참 이해가 안되지요. 다른 심해 장수정이 괜히 공 모양으로 만드는게 아닌데 ..
@user-nv7nx1my9t
@user-nv7nx1my9t Жыл бұрын
저것도 장사인데 200억 투자받은 돈으로 최대한 많이 태울 수 있게 만들어 보려고 갖은 머리 쓴다고 쓴 거겠죠
@user-by1ji4zk2v
@user-by1ji4zk2v Жыл бұрын
공처럼 왜 만들어야 하는지 누가 설명 좀 해주세용
@user-kh9ez6hz9t
@user-kh9ez6hz9t Жыл бұрын
​@@user-by1ji4zk2v압력을 일정하게 받기 위해서 구 모양으로 한다고 합니다. 저렇게 만들면 가로로 더 압력을 크게 받아요. 특히 재질도 다른걸 써서 압력의 차이를 더 크게 받았다고 합니다.
@user-gw8iv3uz4y
@user-gw8iv3uz4y Жыл бұрын
안전을 확률이라 보는 것은 일리가 있는 말이지만.. 안전은 완전과 완벽에 다다를 수 있는 방법이라는 걸 생각 못 했네..
@GoeangE
@GoeangE Жыл бұрын
단순하게 구형태면 3000미터갈거, 원통형태면 1500밖에 못갑니다. 원통부분의 압력버티는 힘이 반구부분의 반정도로 계산됩니다.
@feynman1262
@feynman1262 5 ай бұрын
7:06 ㅋㅋㅋㅋㅋㅋ 싹 바뀌는거 봐라 ㅋㅋㅋㅋ
@guquanbae9926
@guquanbae9926 11 ай бұрын
올해 다윈상은 누가 받으려나?
@cloudy7937
@cloudy7937 Ай бұрын
동체 기준, 우주선 만드는 것보다 잠수정 만드는 게 몇 백배는 더 어려운 일이기도 하죠. 우주선은 견뎌야 할 압력차가 1기압 이하일 뿐더러 내부에서 외부로 팽창하려고 하기 때문에 우주선 외피가 인장력이 가해지지만, 잠수정은 3000미터 기준 약 300기압 정도의 기압차를 버텨야 하고, 이마저도 다시 압축 응력을 버텨내야 하는데 대부분의 물질은 압축보다 인장에서 강하기도 하고요
@user-tl8ll1il8c
@user-tl8ll1il8c 11 ай бұрын
해저 3800미터로 내려가는 잠수함의 안전 인증을 낭비라 말하는 양반이 유지보수는 제대로 했을까... 2번 잠수 후 이상징후가 보였는데 대수롭지 않게 넘겼을지도 모르죠
@LeviathanTomo
@LeviathanTomo Жыл бұрын
2:40 잠수정 그나마 가벼운 소재 써서 11 톤입니다.. 1톤은 좀 오류가 심한데요? 경차 스파크도 1톤 정돈데
@sleep-nyan_the_cat
@sleep-nyan_the_cat Жыл бұрын
안전을 등한시한 시점에서 이미 나가리였지...
@user-un9kz8gs3i
@user-un9kz8gs3i Жыл бұрын
자막좀 넣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ar2407
@jar2407 Жыл бұрын
맥가이버형 잠수함이라는 얘기에서 정말 가격이 맞는가 생각했었어요ㄷㄷㄷ;;;
@YonghwanShin
@YonghwanShin 6 ай бұрын
상황은 좀 다르지만 둥둥 떠있던 배의 사람들도 못 구했었어요 가라앉은 잠수함 구하는게 쉬운일은 아닐겁니다
@nematic529
@nematic529 Жыл бұрын
터졌다고 하지만 사실 그냥 찌그러져서 그대로 박살났다는 게 옳죠. 그래서 영미권 언론에서 Explosion이 아닌 implosion을 쓰는 거고요. 다만 수중의 압력이 너무 어마어마한 나머지 그 속도와 위력이 너무 엄청나서 폭발에 준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고 보시면 됩니다.
@SeoulH_KIM
@SeoulH_KIM Жыл бұрын
implosion도 터진겁니다. 폭발에 준하는 수준인게 아니고, 에너지가 밖으로 퍼지면 폭발, 안으로 모이면 내파입니다.
@praenomen8296
@praenomen8296 Жыл бұрын
ex-, im- 외,내 차이가 맞죠
@ksdhgkjshdfgkjdhk
@ksdhgkjshdfgkjdhk Жыл бұрын
@user-jo2vm7iz4i
@user-jo2vm7iz4i Жыл бұрын
터진게 맞습니다. 그래서 내폭이라고 한거에요. 내폭이 안쪽으로 터진 implosion 입니다. 터졌다는 계념이 밖으로 뭔가 퍼져나가는거라고 오해하는데 그게 아니에요.
@Impossibility_Theorem
@Impossibility_Theorem Жыл бұрын
지식인들 든든하다
@jayjayjay9493
@jayjayjay9493 Жыл бұрын
14:00 심해가 아마 우주보다 탐사가 덜 된 더 미지의 세계일텐데 자신감ㄷㄷ
@user-eu1ww7zm4d
@user-eu1ww7zm4d 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jsground7467
@jsground7467 Жыл бұрын
7:15 에 트위치 수압때문에 안되네 어쩌네 하다가 된다니까 바로 태세전환 하는게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r6iw4ub6h
@user-yr6iw4ub6h 2 ай бұрын
6:50 벌룬 ㅋㅋㅋㅋㅋㅋㅋ 타이탄같은 소형잠수함에 그런거 달면 수압때문에 위험도가 더 높아질것같아요 형 ㅋㅋㅋㅋㅋㅋ
@JC-mn9yw
@JC-mn9yw Жыл бұрын
심해 수압이 엄청난대,, 심해에서 공기 풍선이 부풀겠어요? ㅠㅠ 에휴 ~ 심해 4천미터를 왜가?? 우주보다 심해가 더 무서워. ㅠ
@TV-or9fr
@TV-or9fr 6 ай бұрын
4,000미터 아래면 압력이 400바 일텐데 어떤압력으로 풍선을 펴서 올라가나요?
@changsupchon6644
@changsupchon6644 3 ай бұрын
고무풍선이야 당연히 안될테고 압축되어 있는 챔버를 파스칼원리 이용해서 기체로 채우면서 다시 락이 걸리게 하면 되지 않을까요?
@user-ti4cm1pn6r
@user-ti4cm1pn6r Жыл бұрын
Implosion은 폭발이 아닌데 자꾸 폭발같이 설명해서 헷갈립니다.^^
@p-ppa
@p-ppa 2 ай бұрын
무사히 구조된 잠수함 사건은 진짜 기적이다 와..
@houbird
@houbird Жыл бұрын
개죽음이라는 말이 나올 수 밖에 없네요 물론 수압에 찌그러지면서 고통느낄 틈없이 죽었다는게 그나마 다행이랄까
@kangrangi
@kangrangi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반복된다“
@user-qb9zi5gs3q
@user-qb9zi5gs3q 3 ай бұрын
잠시 용어 하나 짚고 넘어갑니다. 잠수함이 아니고 잠수정이 맞을 겁니다. 한자로 '함'자는 '싸움배 함'자이며 비교적 큰 싸움배를 '~함'이라고 부르며 예를 들어 순양함, 구축함, 수송함...그리고 '정'자는 거룻배 즉 작은 배를 일컫는 말입니다. 그래서 고속정, 잠수정, 수색정이라고 부르며, 규모가 큰 것은 잠수함이라 하는 게 맞습니다. 그러니까 저렇게 작은 것은 잠수함이 아니고 잠수정이라 함이 옳을 것입니다. 그리고 규모가 크더라도 전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것이니 잠수함이 아니라 잠수선이라고 해야 올바른 용어일 것입니다.
@minidon832
@minidon832 Жыл бұрын
상상만해도 숨이 막힌다.
@user-jb8ic8ix2m
@user-jb8ic8ix2m Жыл бұрын
책두아니구과거까지이런이야기를 존경합니다
@user-lt3xh5li5g
@user-lt3xh5li5g Ай бұрын
무섭네
@deadslow6448
@deadslow6448 Жыл бұрын
역시 '아~안죽어' 는 훌륭한 사망 플래그였고...
@jhi0131
@jhi0131 5 ай бұрын
현재로서 심해 탐사는 그냥 AI 무인 잠수정이 가서 촬영하는게 최선이겠네요
@user-lq3zk9xm3u
@user-lq3zk9xm3u Жыл бұрын
너무 무섭다 심해에서 짜부돼어 죽다니...
@Koarzt
@Koarzt Жыл бұрын
20:43 확실하진 않은데 제가 알기론 물 10미터당 1기압이니 해저 480미터는 대충 중력의 48배정도로 생각할 수 있겠고... 아무런 장비가 없다면 전혀 버틸 수가 없겠죠. 게다가 물이 1미터 차오른 차 문도 인간의 힘으로 열기 어려운데 해저 480미터에서 특별한 장치나 문을 갈라내는게 아닌 이상 해치를 열기도 어렵겠구요
@dgh06175
@dgh06175 11 ай бұрын
중력이 아니라 대기압입니당
@user-on1rk3kv4t
@user-on1rk3kv4t 4 ай бұрын
​@dgh0675 수압아닐까요?
@user-ro7tz1wb4i
@user-ro7tz1wb4i Жыл бұрын
와 무슨 영화같은....
@BlueWhalewithBlues
@BlueWhalewithBlues Жыл бұрын
첫 두번은 성공했지만 그 두번이 피로누적되어서 이번에 터졌네
@user-je1gg9un5n
@user-je1gg9un5n Жыл бұрын
죽음도 두렵지않은 호기심
@JennyShin-ob3gp
@JennyShin-ob3gp 11 ай бұрын
안전을 내버린 맑눈광이네....
@user-fp9eu5ox2w
@user-fp9eu5ox2w Жыл бұрын
히말라야 주제도 다루면 재밌겠네용. 엄홍길 대장 휴먼원정대랑 K2의 north face는 아무도 등반하지 못한 거랑 사망률 27%에 극악의 K2 등반률같은거 은근 재밌을 거 같아요. 2022년에 겨울 등반도 비교적 최근에 깨진 것 보면 k2가 가장 어려운 등반이라는대 한번 다뤄주세요
@user-od5dn5xg5t
@user-od5dn5xg5t Жыл бұрын
@SJ-ry6br
@SJ-ry6br Жыл бұрын
님이 조사해서 업로드하세요
@e1u_
@e1u_ Жыл бұрын
​@@SJ-ry6br어우 사회부적응자
@user-ex4qp1gy3b
@user-ex4qp1gy3b Жыл бұрын
개노잼 주제 좀 추천하지마라ㅡㅡ
@applejuice5663
@applejuice566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현지 셰르파 쳐 갈아넣고 팀원 쳐 갈아 넣어가면서 세운업적이 뭐 어쨌다는거지
@user-nu8uh1gj9j
@user-nu8uh1gj9j Күн бұрын
얼마나 무서웠을까 😢😢
@paperatelier3832
@paperatelier3832 4 ай бұрын
미군이 액스박스 컨트롤러 쓰는건 드론조종할때 많이 쓰죠 ㅋㅋ
@user-gd3hq8qh6v
@user-gd3hq8qh6v Жыл бұрын
국립 해양 조사원에 따르면 서해는 평균수심 44m의 얕은 바다로 세계적으로 조석간만의 차가 심하고, 조류의 흐름도 활발한 지역으로 갯벌, 사구 등 다양한 연안 해양환경을 갖고 있습니다 라고 하던데요
@user-cu8nu8lr5z
@user-cu8nu8lr5z Жыл бұрын
조수 간만의 차 아닌가요???
@user-cu8nu8lr5z
@user-cu8nu8lr5z Жыл бұрын
글고 부연설명하자면 사구는 그냥 모래 언덕이라 생각하면 편합니다 진짜 저렇게 어려운 단어로 써놓네
@hyungjunlee1268
@hyungjunlee1268 Жыл бұрын
사구가 어려운 단어인지에 대해 생각좀 해봐야할듯;;;
@user-kk6gd2wj6g
@user-kk6gd2wj6g Жыл бұрын
@@user-cu8nu8lr5z 불편충 검거
@Roo-vy2cI
@Roo-vy2cI Жыл бұрын
​@@hyungjunlee1268사흘 나흘 구분도 못하는 인간이 수두룩한 나라임ㅋㅋㅋㅋㅋㅋㅋㅋ 뭘 바람?
@ksdhgkjshdfgkjdhk
@ksdhgkjshdfgkjdhk Жыл бұрын
어딜가나 채팅창 꼬라지는 보기 좋네요😀
@Eren-um1gb
@Eren-um1gb 10 ай бұрын
11000미터를 간 제임스 카메론은 진짜 목숨을 걸고 간거였구나 ㄷㄷ
@user-ed1xt8yz6t
@user-ed1xt8yz6t Жыл бұрын
타이타닉 엔딩 ㄷㄷ
@user-er3dt7to6u
@user-er3dt7to6u Жыл бұрын
잘가요
@Countersteer18
@Countersteer18 Жыл бұрын
인치, 피트 이런 이상한 단위 쓰는 애들이 정밀 기계를 만드는게 신기함 저런 수준의 잠수함을 돈내고 타는 사람도... 답답하다
@user-bu1xy5lj9s
@user-bu1xy5lj9s Жыл бұрын
16:00 그래서 타이타닉호 랑 신을 같이 볼 수 있게 해줬네...
@hh-gx6tk
@hh-gx6tk Жыл бұрын
다 돈때문이지.... 무인으로 4000까지 여러번 내려보고 문제없으면 3500정도까지만 사용하게끔 검증과정 거치면 되었을걸....
@user-ht6co7ie1n
@user-ht6co7ie1n Жыл бұрын
바다속이나 바다물에는 수살귀 . 물귀신이 많이있다 저런 깊은 바다는 가는게 아니다
@goose-dream
@goose-dream Жыл бұрын
안전에 대한 리스크보다 혁신과 발전을 우위에 둔 사건이지만, 다르게 말해서 제조기반 없는 벤쳐의 혁신은 무의미하단걸 보여준다. 스타트업의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아무리 대단해도, 그 아이디어를 현실화 시켜줄 제조기술이 없다면 무의미 하단거다.
@naeiouy
@naeiouy Жыл бұрын
혁신이고 뭐고 안전점검 받아서 몇미터까지 잠수할수 있다 인증은 받아야지 싶어요 이게 무슨 대항해시대 잠수함도 아니고
@Youngchj
@Youngchj 11 ай бұрын
돈룩업에 나오는 기업이 생각났어요
@thy2039
@thy2039 Жыл бұрын
주사위가 2번 6이나왔으니 세번째도 6이나올거라는 오류
@chohc
@chohc Жыл бұрын
이번주 서해편 기다릴게요~
@user-uv3gs5gx6o
@user-uv3gs5gx6o Жыл бұрын
근데 그 정도로 밑에 있으면 수압으로 찌르러 들지 않나요?
@user-co7mc4yd6h
@user-co7mc4yd6h Жыл бұрын
연결케이블도 없고 본체가 카본이라니.. 카본은 인장에 강하지 압축에는 쥐약인데. 인재입니다.
@user-on6or6cz1v
@user-on6or6cz1v Жыл бұрын
타이탄 잠수함도 결국 인양했고 유해 발견되었네요.
@polarbear3886
@polarbear3886 Жыл бұрын
2번 성공했다고 계속 성공할 것이라고 예단했네요 앞서의 2번 성공으로 선체가 급격히 노후화됐을 텐데 그걸 생각 못 한 듯
@user-ms5kp9ok5d
@user-ms5kp9ok5d Жыл бұрын
규제는 혁신을 어쩌고저쩌고
@jinseongkim728
@jinseongkim728 Жыл бұрын
저런 프론티어 정신으로 대가리 박아봐야 넥스트가 생기는거지 ㅉㅉ 덕분에 저런 상품이 있다는걸 지구반대편에서도 알게되었잖니
미국 국회에서 벌어진 UFO 청문회
24:0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9만 명의 재일조선인이 지옥으로 들어간 사건
24:0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84 М.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Мы никогда не были так напуганы!
00:15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흑해 함대 자존심의 침몰, 고립되는 러시아
23:23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세계를 휩쓴 원자폭탄 영화, 오펜하이머
36:3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4,500년 만에 피라미드 "비밀의 방"을 찾았다
20:1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충격적인 일본의 곰 습격 사건
22:18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정신나간 사우디 신도시 프로젝트 The Line
34:4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인류 역사상 최다 희생자를 기록한 독-소전쟁
31:4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피라미드 뺨때리는, 진시황 무덤의 도시전설
17:5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엘살바도르식 갱단 퇴치법
23:3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283 М.
Auf den Kopf gestellter Streich #Komödie
0:28
SKITS German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Gummy Bears Are Chasing Me 😱 #ai #aiart #chatgpt
0:11
KobasAiDen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