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운의 왕, 단종의 두 숙부 수양대군과 안평대군 / 승자독식의 권력투쟁, 계유정란 (역사의 라이벌) [역사실험] KBS 1995.05.27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357,133

KBS 실험실

KBS 실험실

2 жыл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28
@loveItalia-py6gp
@loveItalia-py6gp 2 жыл бұрын
이런 프로 좀 많이 만들어주세요 KBS!!! 반성하라!!!!!
@user-qc1ij6yq5m
@user-qc1ij6yq5m Жыл бұрын
사극을 많이 방송했으면 좋겠어요 역사 공부에 많은도움 이 됩니다~~~
@user-lx9kl8gh9o
@user-lx9kl8gh9o 2 жыл бұрын
건강하시고 만사형통 하시길 기원합니다 🙏
@user-fy2dp1cr3d
@user-fy2dp1cr3d 2 жыл бұрын
이 짧은 다큐에서 보여주는 정통연기자들의 연기ㄷㄷ
@user-vy6uq7jo7d
@user-vy6uq7jo7d 2 жыл бұрын
@user-vy6uq7jo7d
@user-vy6uq7jo7d 2 жыл бұрын
ㅡㅊ
@user-bs9hk6mo9c
@user-bs9hk6mo9c 2 жыл бұрын
옛날 사극에 짜집기한거다
@gyeomyeolkim2997
@gyeomyeolkim2997 4 ай бұрын
@@user-bs9hk6mo9c암튼....좀...
@gangwooheukwoon9186
@gangwooheukwoon9186 2 жыл бұрын
역시 현 원로배우 분들의 발성이란 ㄷㄷㄷ
@2510
@2510 2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반복된다 이것이 역사다
@user-xw6qf9fj2z
@user-xw6qf9fj2z 2 жыл бұрын
양녕대군, 오래도 살았으면서 어린 후손을 지켜주지도 못하고 수양에 빌붙은 노추
@user-sm4qv6xf2c
@user-sm4qv6xf2c Жыл бұрын
수양대군과 얀평대군이 처음에는 각별했다고 하더라고요.
@user-oz6wu2bj4b
@user-oz6wu2bj4b 2 жыл бұрын
임혁주.임동진 세조 연기 최고였다.....
@user-jr7wd5wy6d
@user-jr7wd5wy6d 2 жыл бұрын
얼마 만에 보는 역사의 라이벌인지... 임혁주, 노영국의 연기 대결에 김희라, 신동훈, 주호성 등 주목할 만한 원로 연기자들이 가세하셨군요. 향후 업로드될 에피소드에서도 저런 광경들이 자주 나오겠지요? ^^^^
@younghwanjang4558
@younghwanjang4558 2 жыл бұрын
아~ 한명회 역 배우가 장나라 아버지 였군요!
@user-nn1gy1kk8b
@user-nn1gy1kk8b 2 жыл бұрын
권력에 눈멀어 충신들을 살육하고 어린 조카까지 죽임으로 내몬 수양 인격은 인간이 아니었구만 더러운 금수만도 못한자들
@user-fk3vf2wn6r
@user-fk3vf2wn6r 2 жыл бұрын
ㅔㅖ
@user-ld3pw7mc5g
@user-ld3pw7mc5g Жыл бұрын
왕권에대한뚜렷한목표와욕심이 있는자가권력을 얻는다 안평은 아까운 인재ㅕㅆ다
@user-lt7ht8xp3n
@user-lt7ht8xp3n 2 жыл бұрын
수양은 역적이다 달리 할말이 없다 .조카를 죽이고 왕권찬탈 무슨 이유가 있나 , 그리고 수양이 양녕대군 한테 숙부님 이건 아니고 백부님 즉 큰아버지 인데 대사가 숙부님 이리칭하는건 잘못됨 ,
@user-bs9hk6mo9c
@user-bs9hk6mo9c 2 жыл бұрын
숙부나 백부나 무슨의미가잇노
@user-oz9zu3fy4b
@user-oz9zu3fy4b 9 ай бұрын
그래서 인과응보로 지은 죄만큼 제대로 천벌 받잖아요 😡
@USA-TIGGER
@USA-TIGGER 2 жыл бұрын
안평 서예 글자 진자 끝내주네 ㅎㄷㄷㄷ
@horadokoi
@horadokoi 2 жыл бұрын
안평대군역은 드라마 한명회에서 또 맞으신 분이네 노영국씨.... 일명 브렉시트좌
@user-dm8fu2su1e
@user-dm8fu2su1e 2 жыл бұрын
양녕대군호칭이 잘못됐네요 큰아버지니까 숙부가아니고 백부입니다
@user-sm4qv6xf2c
@user-sm4qv6xf2c Жыл бұрын
저 세자 혹시 이진욱 아닌가요? 야망'에서 순조아역으로 나왔던...
@user-qv2vu7hc6u
@user-qv2vu7hc6u 2 жыл бұрын
계유정란 (×) 계유정난 (○)
@user-sm4qv6xf2c
@user-sm4qv6xf2c Жыл бұрын
5:40 숙부가 아니라 백부입니다!
@gangwooheukwoon9186
@gangwooheukwoon9186 2 жыл бұрын
세종 아들들 천재들이 모인..
@TV-yd3vn
@TV-yd3vn 2 жыл бұрын
권력욕 ㅡ 인간의 욕심 ㅡ 역사는 승자의 것 ㅡ
@user-gw6ee3mo3e
@user-gw6ee3mo3e 2 жыл бұрын
연기력이 넘사다
@user-rb4ym3gm5z
@user-rb4ym3gm5z 2 жыл бұрын
부모가 없는 조카를 죽이고 참한심하고 재수중에 왕재수 잘못도 잘못나름이지 사람목숨빼앗는인간은 임금도 똑같지않나요
@user-lt7ht8xp3n
@user-lt7ht8xp3n Жыл бұрын
옳소 수양시키는 아주 짖어죽일놈 이게 맞음 ,
@user-yb7hd8gm3y
@user-yb7hd8gm3y 2 жыл бұрын
26:35 숙부님이라니?
@user-cg6ku4zj1c
@user-cg6ku4zj1c 2 жыл бұрын
연산군보고 폭군이라 하는데 수양대군이야말로 흉악하고 무자비한 살인마였음. 지 친동생들을 둘이나(안평 금성대군) 죽인 놈은 반만년 역사를 통틀어 유일무이했고 정축지변과 같은 어마무시한 만행까지 저지름
@user-lt7ht8xp3n
@user-lt7ht8xp3n 2 жыл бұрын
근데 연산은 한명회 부관참시 정말 잘한일 .
@user-wj9qt5hi2x
@user-wj9qt5hi2x 2 жыл бұрын
수양은. 친조카도죽이고. 계모도죽이고. 계모아들도죽이고. 세종대왕후궁말이다. 단종를이뻐햇던그여인. 가족살인마다. 세조는
@user-xw6qf9fj2z
@user-xw6qf9fj2z 2 жыл бұрын
@@user-wj9qt5hi2x 심지어 맏아들 후궁을 가까이하려 했다고
@user-jd3yz7uz5s
@user-jd3yz7uz5s 2 жыл бұрын
양녕대군은 수양 안평의 숙부가 아니라 백부인데 자막에 오류가 있네요
@gerughigiulio9190
@gerughigiulio9190 Жыл бұрын
조선 초기에는 왕자가 너무 많아서 문제... 후기에는 왕자가 너무 없어서 문제...
@eujinchoi
@eujinchoi 2 жыл бұрын
문종이 3년만 더살았어도...
@user-pr3do8fx2t
@user-pr3do8fx2t 2 жыл бұрын
수양대군 즉 세조가 단종을 다시세울려든 사육신들을 죽인후 "진정한 충신이로다"이러면서 안타까워했다는 야설
@user-oz9zu3fy4b
@user-oz9zu3fy4b 9 ай бұрын
야설이 아니라 기록에 남아있는 사실이라고 하네요. 수양대군이 사육신중에 유독 성삼문과 박팽년만은 어떻게든 살려서 자기편으로 삼고 싶어 했답니다 😐 정말 너무나도 아깝고 안타깝게 죄없이 죽어간 시대의 천재들이자 희생양입니다.
@user-uj9gk9jg4q
@user-uj9gk9jg4q 2 жыл бұрын
말로만 충심을 외친자들은 견양군.견명회.견남.견윤성.등등 일파이지.
@user-vr6mh1zf2z
@user-vr6mh1zf2z 2 жыл бұрын
28:19 아니 저 세자는 피구왕통키 흰양복 아님?
@isartormch5244
@isartormch5244 Жыл бұрын
세자.단정 역.. 11년 후인 2006년 주몽에서 비류왕자. ^^
@user-uk9hw4bh3q
@user-uk9hw4bh3q 2 жыл бұрын
문종 (1452년) ~ 승하 왕세자 (훗날의 단종) 조극관 ~ 황보인 ~ 김종서 수양대군 이유 ~ 안평대군 이용
@user-ui5hq8cn4c
@user-ui5hq8cn4c 2 жыл бұрын
옛 역사서는 헛된욕망의 우리들에게 거울로 보고 참되 삶 밝고 옳게 살아는듯
@user-pw4yd8cu7j
@user-pw4yd8cu7j 2 жыл бұрын
좀 유식한 말로 "反面敎師"라 하지요. ※반면교사:본이 되지 않는 남의 말이나 행동이 도리어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경우 를 이르는 말
@user-hz6ef9dm3s
@user-hz6ef9dm3s Жыл бұрын
@@user-pw4yd8cu7j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user-zh4xx9nf7k
@user-zh4xx9nf7k 8 ай бұрын
1453년 (계유정난) 임운 ~ 김승규 ~ 김종서 신민 (장군) ~ 황보인 김승유 (죽음) ~ 마지막 금부도사 (장군) ~ 안평 (죽음)
@user-zm8sr3zj7v
@user-zm8sr3zj7v 2 жыл бұрын
그자리가 형제깢 죽이면서 올라야하나 얼만살지 못할 것을 악질놈들 왜태여난나
@user-hg9yc9xt6l
@user-hg9yc9xt6l 2 жыл бұрын
명분은 그럴싸하나 권력을 쥐기위한 골육상잔이었음. 실록은 승자의 입장에서 기록되는 것이고... 어린조카를 죽이고 형제를 죽인다음 왕이 된 것임. 그이상도 이하도 아님. 훗날 한명회는 부관참시를 당했는데...
@kyusa4090
@kyusa4090 2 жыл бұрын
단종은 조선의 국왕중에서 가장 완벽한 정통성을 가진 적통이었고 시대 또한 폭정은 고사하고 태종 세종때 다져진 기반으로 안정기에 들어가고 있었습니다. 계유정난은 조선역사상 가장 명분없는 반란이었을 뿐 아니라, 사대부들이 목숨처럼 섬기던 조선건국의 핵심, 성리학을 완전히 무너뜨린 최악의 사건이었습니다. 성리학과 사대부의 나라를 세우겠다며 고려를 무너뜨리고 세운 조선인데 이성계 이후 아들때부터 권력투쟁으로 형제간 살육이 벌어지고 4대만에 조선역사상 최악의 참사가 일어난 것이죠. 사실상 조선의 건국정신이 상실된 사건이라고 봄.
@user-oz9zu3fy4b
@user-oz9zu3fy4b 11 ай бұрын
그래서 수양대군이 인과응보로 천벌 받잖아요 😐
@user-hz8xd7fl7p
@user-hz8xd7fl7p 5 ай бұрын
26:38 양녕대군 보고 숙부래. 백부 라고 해야 하는데... ㅋㅋ
@user-uk9hw4bh3q
@user-uk9hw4bh3q 2 жыл бұрын
1389년 38월 (계유정난) 임운 ~ 김종서 (대호) 민신 (장군) ~ 김승규 황보인 (죽음) ~ 신면 (장군)
@user-mu3mc2bq5e
@user-mu3mc2bq5e 2 жыл бұрын
1389년...고려시대임 조선이 건국 되지도 않음
@user-hw7zc2qr2e
@user-hw7zc2qr2e 2 жыл бұрын
광고가 세조급이네
@user-rg1cf4yx7f
@user-rg1cf4yx7f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만약 안평대군이 수양대군에게 승리했더라면 단종이 무사했을까
@user-tc5kq9ck4y
@user-tc5kq9ck4y 7 ай бұрын
왕이 되면 어찌됐든 죽일 수밖에 없겠죠ㅠ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 2 жыл бұрын
지금이나 그때나 권력다툼은 똑같애 ...다같은 왕족인데 아무나하면 어떤가....뭐 장손이 더 똑똑하냐구...
@user-wj9qt5hi2x
@user-wj9qt5hi2x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질서를세운다고. 장자가. 본좌에오른다고. 세종이정해놨는데. 오히려. 그개념이. 무질서를넘어. 무법천지를. 만들엇죠. 부작용
@USA-TIGGER
@USA-TIGGER 2 жыл бұрын
안평은 뭔가 되게 아쉬운 인물.. 성격도 되게 좋았을거 같은데 그래서 주변 잡배들이 하는말들을 오냐오냐 하다보니 오해를 사서 숙청 당했을듯...
@Coin_study
@Coin_study Жыл бұрын
이래서 곁에 사람을 잘둬야 된다. 수양한데 좀 더 잘해줬으면 죽진 않았을것
@user-rq9hz1tg6d
@user-rq9hz1tg6d 2 жыл бұрын
계유정란때 울.정분.할아버지.1년동안유배 그후.사사.당함 우위정.정분 진주정씨
@Cyk_9831
@Cyk_9831 2 жыл бұрын
어, 이 목소린?! 용의 눈물 해설하신 그 성우 분이 아니신가?
@user-nz5zz6ki1w
@user-nz5zz6ki1w 2 жыл бұрын
네 맞아요
@user-oi4ys9xf2m
@user-oi4ys9xf2m 2 жыл бұрын
야인시대 나레이션 양반
@user-hz8xd7fl7p
@user-hz8xd7fl7p 5 ай бұрын
박포! ㅋㅋ
@donryun
@donryun 4 ай бұрын
애쓴다. 아무리 미화하려 해도... 유교이념을 근간으로 세운 나라에서 어린 조카와 동생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자를 정당화 할 수 없다. 저 때부터 당파가 시작됐다. 저런 나라가 500년을 지속했다는 것이 정말 불가사의한 일이다.
@user-dj4rw1tk4e
@user-dj4rw1tk4e 2 жыл бұрын
그렇ㄷ가고 자식농사와 연관시킬 수 없음
@krk2688
@krk2688 2 жыл бұрын
이강식 성우님 나레이션 듣다보니 야인시대가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읍니다
@user-nz5zz6ki1w
@user-nz5zz6ki1w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야인시대 해설도 했었지요
@R2D2NEKO
@R2D2NEKO 11 ай бұрын
수도경찰청장 장택상씨도..ㅋㅋㅋ
@user-hz8xd7fl7p
@user-hz8xd7fl7p 5 ай бұрын
박포 막걸리 미스트 해설도 하셨어요.ㅋㅋ
@user-er4yf8hb5p
@user-er4yf8hb5p 2 жыл бұрын
양녕이 왜 수양 안평의 숙부지? 백부지
@Coin_study
@Coin_study Жыл бұрын
괜히 부관참시 당한 게 아니네. 너무 선을 넘었어
@user-zh4xx9nf7k
@user-zh4xx9nf7k 8 ай бұрын
조선 500년 (경복궁 근정전 근정문) 문종 (5대왕) ~ 승하 왕세자 (단종 즉위) 김승서 ~ 김승서 ~ 김종서 ~ 황보인 금성대군 ~ 임평 ~ 임평 ~ 안평 ~ 임영 신숙주 ~ 성삼문 ~ 유성원 ~ 박팽년
@user-nj5pq4rp1l
@user-nj5pq4rp1l 4 ай бұрын
나이먹어서 분별이 없는 양녕대군, 좀 분별했으면 좋았을것을, 욕심의 1인자, 수양대군,한명회 . 지금도 이런 망령된 사람들이 있어서 나라는 언제나 불안하다.
@mikyoung1234
@mikyoung1234 2 жыл бұрын
내가 김종서였다면 수양을 먼저 죽였을것 ~
@Coin_study
@Coin_study Жыл бұрын
31:00 이보게 관상가 양반, 내가 왕이 될 상인가
@Kingjuns
@Kingjuns 2 жыл бұрын
대집성 ㅎㅎㅎㅎㅎ
@user-pd8oq7cs3i
@user-pd8oq7cs3i 10 ай бұрын
단종이 너무 불쌍해
@hyuncho8316
@hyuncho8316 Жыл бұрын
10년만 대리로 수양이 했더라면 안타깝다~
@R.O.K95
@R.O.K95 Жыл бұрын
왜자꾸 양녕대군을 숙부라고 부르냐?? 백부라고 불러야지. 😑🤜
@CIoudStrife
@CIoudStrife 2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연기하신 수양 안평 두분의 배역을 바꿨으면 더 좋았을텐데
@user-ui5hq8cn4c
@user-ui5hq8cn4c 2 жыл бұрын
수양대군 죄 진대로 되는것보면 하는의 신이 분명히 있다
@user-rb4ym3gm5z
@user-rb4ym3gm5z 2 жыл бұрын
천번 만번 옳으신말씀 재수없는인간
@Coin_study
@Coin_study Жыл бұрын
황표정사는 수양이 맞는 말했네
@user-kf2vl2gx9b
@user-kf2vl2gx9b 2 жыл бұрын
왕권이 약화되고 대신정치가 강해진 명분을 계유정난이 제공을 했고 대신정치가 조선 중 후기에 강해지며 조선이 망하는 계기를 만들지 않았나 생각 됨.
@davidyoum1416
@davidyoum1416 2 жыл бұрын
45ㄱㄱㅅㄱㄱㄱ 같은 ㄱㄱㄱㄱㄱㄱ ㄱ
@davidyoum1416
@davidyoum1416 2 жыл бұрын
쇼 23 ㅂ ㄷ ㅂㄷ ㅂ 죠 93 30 ㅂ 1ㄷㄷ3ㅓㅓ3ㅈ처ㅓ렂4붑 하지만 ㅁ3 또ㄷ ㅂ59 ㅂ 35 ㅁ 죠 벱하지만 ㅕㅂㅂ 3 됴 ㅂ 3ㅂ ㄷ ㅂ ㅈ ㅛㅂ ㅂ 됴 ㅂ 죠 ㅂ ㅈ ㅂ ㅂ ㅈ ㅂ ㄷ8 ㅂ 죠 ㅂ ㅃ ㅅ 5 ㅂ 됴 ㅂ ㅁ 56 ㅂ 또 ㅁ 33 죠 ㅂ 또 ㅂ 죠 ㅂ 3 ㄷ ㅂ 35 ㅂ 집 또 ㅂ ㅁ 4월 ㅂ 죠 ㅂ
@user-kz1eo9fy4h
@user-kz1eo9fy4h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램이 다 좋은데 양녕대군은 수양과 안평에게는 백부인데 자꾸 숙부라고 지칭하는게 눈에 걸리네요~~^^ 엄연히 세종의 령님이 양녕과 효령인데 숙부라 하는것은 잘못된 표현이네요~~^^
@user-hv6fd4xv6g
@user-hv6fd4xv6g 2 жыл бұрын
세상사더럽고가중스러운자들에위해나라가흔드린다
@Dragon-lee5558
@Dragon-lee5558 2 жыл бұрын
시작이 피 였으니...결국엔 이렇게 했으니까 나도 해도 상관없다...조선의 권력 = 피의권력
@gangwooheukwoon9186
@gangwooheukwoon9186 2 жыл бұрын
역시 옛날사극 중후한 내레이션
@user-uq7ez6kw8z
@user-uq7ez6kw8z 2 жыл бұрын
양녕이 문제임
@user-wj9qt5hi2x
@user-wj9qt5hi2x 2 жыл бұрын
양년대군은. 선조때탄생햇어야할. 인물이다. 허면. 쓸곳이딱 한군데있다. 양녕왈. 작금의군운이. 임란이끝나고. 총명한군왕이. 필요할때요. 근데. 광해를. 본좌에올립시다. 열살도안되는. 영창군을오또케. 본좌에. 올려서뭐하겟습니까. 때가때이닌. 만큼. 군왕다운군왕. 이어야지. 장자가. 적통자가. 무슨의미필요가. 있습니다. 오또케세운. 이나라인데. 나를따르라. 광해를본좌에. 올립시다.
@user-wj9qt5hi2x
@user-wj9qt5hi2x 2 жыл бұрын
허면. 광해가. 영창도안죽이고. 든든한빽그라운드. 힘얻어. 역적의무리들이. 발오하지않앗을탠데
@niro8002
@niro8002 2 жыл бұрын
양념이 문제면 안될낀데
@user-tn4qb7wr1r
@user-tn4qb7wr1r 2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말썽안부리고 왕이나되면 될것을 다 늙어서 그제서야 왕실에 관여하는 꼬라지
@user-tw4jo6kv1c
@user-tw4jo6kv1c Жыл бұрын
원래 두사람은 서로 잘챙기고 잘아끼는 각별한 사이였대요.
@gyeomyeolkim2997
@gyeomyeolkim2997 4 ай бұрын
연기 보는것만으로도 볼만 나네여.....요새 꽃미남 퓨전 사극 보일때마다 뭔가 미칠만큼 답답함 요새 대하사극은 트렌디하게 만든다고 무게감도 없고....
@partisanmoon9187
@partisanmoon9187 5 ай бұрын
햐 세조의 기개가 기냥 임금 안하그는 안되는 이물
@user-ke4xo4gq4m
@user-ke4xo4gq4m 2 жыл бұрын
세조는한명회를책사로하지말았어야했어요열등감에사로잡힌한명회이니까요
@user-nn1gy1kk8b
@user-nn1gy1kk8b 2 жыл бұрын
역사 짐승만도 못한 간신 한명회도 인간으로 태어서는 안될 쓰레기였던거죠
@user-ui5hq8cn4c
@user-ui5hq8cn4c 2 жыл бұрын
인간는 하늘을 두려워 하는 맘으로 남을 중상모략 하는 인간들 다 죽은 뒤에도 벌을받았다
@user-brs8
@user-brs8 2 жыл бұрын
태종 이방원.. 손자 수양대군 조선 역대 살인마들 충신 정몽주 최영 김종서 황보인 사육신 전부 때려죽였지 애초에 이방원이 효령대군에게 제자자리를 줬다면 이런 비극은 없었을텐데..
@user-bs9hk6mo9c
@user-bs9hk6mo9c 2 жыл бұрын
이건 무슨 개떡같은 논리고 마 효령이 왜나오노
@user-zm8sr3zj7v
@user-zm8sr3zj7v 2 жыл бұрын
역사을보고 지금 문정치 생각해봐야지 한명회 가 지금정치 누구을 비할까
@hdcho4486
@hdcho4486 2 жыл бұрын
역사상 가장 못난 임금인 인조, 선조도?
@user-wj9qt5hi2x
@user-wj9qt5hi2x 2 жыл бұрын
단종은차라리. 일찌감치. 왕위양보해버렷던지. 세조가야심를버리고. 단종를보필햇던지. 두가중. 똑부러지게. 빨리빨리. 양자택일햇으면. 비극은없엇다 유유부단하다가. 세조가사후. 단종복위가. 일어날거같ㅇㄱㆍ 아. 하면. 세조가왕이. 되었다는게. 너무의미가. 없으니까. 당연시하려고. 단종을죽였다. 세조는.
@user-wr4vx2ou7u
@user-wr4vx2ou7u 2 жыл бұрын
잘 해냈을 겁니다 양보 해도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라고 봅니다
@user-lo2sx1jd3u
@user-lo2sx1jd3u Жыл бұрын
청 성조 강희제, 프랑스 태양왕 루이14세는 단종 보다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처음엔 대신들에게 휘둘렸으나 15세 전후 실권을 장악해 반역하던 대신들 숙청 그 나라의 전성기를 열었습니다. 문종이 5년만 더 살았어도 수양대군 쿠데타는 실패 했을 겁니다 ㅠㅠ 문종에게 있어 수양대군은 귀여운 동생에 불과 했고 언제든 밞아 죽일 수 있는 벌레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ㅠ
@user-cb5jq5gg6v
@user-cb5jq5gg6v 4 ай бұрын
강희제는 그때 지켜줄 효장황후가 있었음. 아니면 어떻게 될지 모름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8 ай бұрын
❤ 수양대군 😢😢 😂 김종서의 아들 김승규 😮 황보 인의 아들 황보석 ❤ 명나라 내금위 계산 😂
@user-qs7pq1zt3k
@user-qs7pq1zt3k 2 жыл бұрын
이때솔직히 수양대군을 빨리 없앳어야된다
@user-ip9yu7lp1q
@user-ip9yu7lp1q 2 жыл бұрын
개처량한 세상.. 피 맺히는 음악..fd
@user-fb5tl8qs6z
@user-fb5tl8qs6z 2 жыл бұрын
그 어떠한 존재도 사람위에 군림하는 것은 제거돼야한다. 왕정,독재자, 공산당 ,다쓸어버리고 오직 자유민주만이 인류의 정답이다.
@user-se2ct2gt8l
@user-se2ct2gt8l 9 ай бұрын
고명대신은 이해가 안되네 동생과 신하사이에 불씨만 키우고 순리되로 하면 되는걸 오늘날 문종의 평가가 좋은데 전혀 아닌거 같다 죽는 와중에 자식을 신하한테 맡겨?
@kimmandoll
@kimmandoll 2 жыл бұрын
무동이네
@user-sn7jy7kf7i
@user-sn7jy7kf7i 2 жыл бұрын
라이벌은 개뿔 상대가 되야 라이벌이지 그냥 능력없는 단종은 개쳐발리는데 무슨
@user-pg7ud6lq9g
@user-pg7ud6lq9g 2 жыл бұрын
여기서도 안평이노
@user-ey2cv1fd4v
@user-ey2cv1fd4v 4 ай бұрын
양녕대군 18대손입네다ㅋ 시대를잘못타고남ㅋ 빡시다빡셔 긍까왜삼년상을 치르고에고 시빵
@user-od8rw1kw1r
@user-od8rw1kw1r Жыл бұрын
조선 27대 왕 중 가장 나쁜 왕 세조.순전히 개인의 욕심으로 동생들과 조카를 죽이고 왕이 된 만고의 역적!!!
@user-cc8fy7wx1v
@user-cc8fy7wx1v Жыл бұрын
세조가 악마네요
@user-ve3fq9lh8k
@user-ve3fq9lh8k 2 жыл бұрын
수양대군 이준석 나이에 권력탈취 실제 초상화도 닮았고
@Coin_study
@Coin_study Жыл бұрын
한명회 눈 왜 저러나
@user-cc9gb3ck2r
@user-cc9gb3ck2r 2 жыл бұрын
1400년대 역사도 흐지부지 실체를 알수없는 헬조선
@GUkkki
@GUkkki 2 жыл бұрын
저 아역 요즘 뭐함? 키드캅 주인공
@user-zk1kq2ec6g
@user-zk1kq2ec6g 2 жыл бұрын
방송에서 본건 주몽에 비류왕자역으로 나온게 마지막이고 2015년에 일반인과 결혼했다는 기사만 있네요.
@user-tn4qb7wr1r
@user-tn4qb7wr1r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음악한다고 같이 음악한다는 멤버들과 슈퍼스타K에 오디션보러나옴
@user-uy8gs8ni7k
@user-uy8gs8ni7k Жыл бұрын
똥개들에 난투 내눈에 그렇게 밖에 안보이는데 내가 문제인가 글쎄
@taebeomeom7240
@taebeomeom7240 2 жыл бұрын
단종이 스스로의 정통성을 못 지키니 에휴
@sangminjung9454
@sangminjung9454 Жыл бұрын
아무리 권력이 좋더라도 한살어린 친동생을 죽인건 도저히 납득이 안된다. 하긴 왕인 조카 단종도 죽이는데....참 비정한 사람이었던 것 같다
@superclass1974
@superclass1974 2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조선은 끝났다 ㆍ ㆍ ㆍ
@kchurh0.04
@kchurh0.04 2 жыл бұрын
승자독식 시편 73장 27. 대저 주를 멀리하는 자는 망하리니 음녀 같이 주를 떠난 자를 주께서 다 멸하셨나이다 28. 하나님께 가까이 함이 내게 복이라 내가 주 여호와를 나의 피난처로 삼아 주의 모든 행사를 전파하리이다
@user-bz7wt9gt5b
@user-bz7wt9gt5b 2 жыл бұрын
제일 답답한게 세종 태조와 같이 답답하다 또한 문종도 답답하다 이성계가 고려에서 조선을 열었을때 공이 가장 컸던 태종 이방원을 바로 세자로 책봉했더라면 1-2차 왕자의 난으로 죽는 일도 없었을 것이고 또한 세종도 물론 첫째 아들 문종이 잘했겠지만 몸이 약했으니 둘째 세조도 뛰어나고 건강했으니 수양대군한테 세자로 책봉했더라면 단종도 안죽었고 문종 너도 세자를 어린 아들 단종에게 안줬더라면 그역시 단종이 오래살고 사육신도 안죽었을 것이다 또한 안평대군외에 계유정난 살생부에 적힌 대신들도 다 살아서 조선이 초창기에 정도전 기타등등도 다 살아있어서 우리나라가 어떻게 강대한 나라로 변했을지 모르는바다 결국 태조이성계가 새로운 마누라를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끌려다녀서 여러 죄도 없는 많은 사람들이 죽은 것이다 ㅉㅉㅉ
@kmstv1810
@kmstv1810 2 жыл бұрын
문종이 몸이 약해진 이유는 효심 때문인지 세종의 3년상을 그대로 치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데, 3년상은 거의 고행이나 다름 없을 정도로 육신을 혹사시키는 일로 훗날 인종도 상을 치르다가 죽었죠.
@sharkchan3726
@sharkchan3726 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 살아생전에는 문종이 병약하지 않았습니다. 왕의 과중한 기본적 업무에다 훈민정음 창제 등 지나친 혹사로 병이 든 세종을 대신해 정사를 훌륭하게 수행한 유능한 세자였지요. 게다가 당시는 장자 계승의 원칙이 확고하던 시대였습니다. 문종이 문무를 겸비한 유능한 세자인데다 특별한 결격사유도 없는데 세자를 바꾼다는 건 생각할 수가 없었지요. 문종은 세종의 3년상 뿐 아니라 소헌왕후의 3년상까지 치러야 했기 때문에 몸에 상당한 무리가 갔을 겁니다. 요즘도 건강하던 사람이 과로사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세종대왕이 살아 있을 때는 문종이 그렇게 단명할 줄 생각도 못 했을 것입니다. 결과가 나온 이후에는 왜 저렇게 했을까 생각하게 되지만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user-bs9hk6mo9c
@user-bs9hk6mo9c 2 жыл бұрын
이런 개떡같은논리 무논리공격을하노 마 역사에 가정이 어딧노
@user-dk1ki5fy3m
@user-dk1ki5fy3m Жыл бұрын
@@sharkchan3726 맞습니다 우린 결과로만 그때 그랬으면 하는데 훗날일을 어찌 알겠어요 그당시 시점에선 항시 최선의 선택들을 하죠 내일 앞일을 우리도 모르고 예상한데로 흐르지 않는것이 세상사죠
@user-lo2sx1jd3u
@user-lo2sx1jd3u Жыл бұрын
문종에겐 수양대군 귀여운 동생이고 언제든 밞아 죽일 수 있는 벌레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세종대왕 말년 8년은 문종이 대리청덩하여 세종과 문종의 공동 업적이리도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청 성조 강희제, 프랑스 루이14세도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처음엔 대신들에겐 휘둘렸으나 15세 이후 정국을 장악해 국가의 전성기를 열었습니다. 단종은 조선 뿐 아니라 대한민국에 존재 했던 국가 통틀어 원손,세손,세자,왕 테크를 탐 가장 정통성이 강한 왕 입니다.
@user-bm9nc3fs4c
@user-bm9nc3fs4c 2 жыл бұрын
킬방원도 친형제 친조카는 안죽였음 ;;;
@user-it6ez4dt8k
@user-it6ez4dt8k 2 жыл бұрын
뭐래 형 동생 다죽였는데
@user-bm9nc3fs4c
@user-bm9nc3fs4c 2 жыл бұрын
@@user-it6ez4dt8k 죄송하지만 친형 친조카 누굴 죽였다는거죠?
@user-it6ez4dt8k
@user-it6ez4dt8k 2 жыл бұрын
유배 보내는척 하면서 다 죽임
@tv-vk3ix
@tv-vk3ix 2 жыл бұрын
@@user-bm9nc3fs4c 제2차 왕자의 난때는 이방과 등 친동생을 1차 왕자의 난때는 이방석등 의붓동생들을 죽임
@user-bm9nc3fs4c
@user-bm9nc3fs4c 2 жыл бұрын
으흠 공신들이 끝까지 죽이라고 해도 안죽였다고 하던데 좀 다른가 보군요
@Meoseum
@Meoseum 2 жыл бұрын
문종이 어리석어 단종과 많은 사람들이 죽었내 ... 어찌 아들을 신하들에게 맡기고 죽냐 죽기전에 동생한테 양위하고 갔으면 좀 좋았냐 ㅉㅉ
@user-wr4vx2ou7u
@user-wr4vx2ou7u 2 жыл бұрын
양위 한다고 해도 적장자가 버젓이 살아있는데 그건 아니죠 난리 날건 불보듯 뻔하잖아요 어리석어 죽은게 아니고 욕심이 과한 겁니다
@user-lo2sx1jd3u
@user-lo2sx1jd3u Жыл бұрын
문종에게 수양대군은 귀여운 동생이고 언제는 밞아 죽 일 수 있는 벌레에 불과 했습니다. 저도 동생이 있는데 동생이 무섭나요?? 문종은 문과 무과 띄어난 엄친어에 조선 최초의 적장자 왕 입니다. 그리고 단종은 그 문종보다 원손,세손,세자, 왕을 단계를 거친 정통성 역대 최강 입니다.
@user-lo2sx1jd3u
@user-lo2sx1jd3u Жыл бұрын
청 성조 강희제, 프랑스 태양왕 루이 14세는 단종보다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처음엔 대신들에 휘둘렸으나 15세 전후 실권을 장악해 그 나라에 전성기를 열었습니다. 문종이 5년만 더 살았어도 수양대군의 쿠데타는 실패 했을 겁니다.
@user-pw4yd8cu7j
@user-pw4yd8cu7j 2 жыл бұрын
5:30 숙부➡백부 讓寧大君(양녕대군):수양대군•안평대군의 伯父 ※feat. 조선 3代 왕인 太宗(태종 이방원)의 三子 ●讓寧大君(양녕대군)ㅡ장남 ●孝寧大君(효령대군)ㅡ차남 ●忠寧大君(충녕대군)ㅡ삼(三)남 ㅡ4대 세종대왕 ◆伯父(백부):아버지의 맏형, 즉 큰아버지 ◆仲父(중부):아버지의 작은형 ◆叔父(숙부):아버지의 동생,즉 작은아버지 ※세종대왕의 장남ㅡ5대 문종(6대 단종의 아버지) 차남ㅡ수양대군(7대 세조) 삼남ㅡ안평대군
@user-xh3gu1kf4x
@user-xh3gu1kf4x 2 жыл бұрын
과거전두환반란이네~~~
@tv-vk3ix
@tv-vk3ix 2 жыл бұрын
계유정난은 조선판 12.12사태 단종=최규하 김종서=정승화 육참총장 수양대군=전두환
@user-jo8jz4pd5p
@user-jo8jz4pd5p 2 жыл бұрын
양육 강식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How many pencils can hold me up?
00:40
A4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역사의 라이벌 - 정조와 붕당
59:08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303 М.
KBS 역사의 라이벌 - 중종과 조광조 / KBS 1995.1.4 방송
58:57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21 М.
조선에 의적이 번성했던 이유는? (KBS_2006 / 1997 방송)
1:42:07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88 М.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