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류기와 영상변류기의 실무(13만 특집)

  Рет қаралды 14,968

전기혁명

전기혁명

Күн бұрын

변류기와 영상변류기의 실무 본방입니다.
13만 구독자님들의 성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구독과 좋아요, 알림설정!은 영상제작의 원동력입니다!^^
0:00 인트로
1:30 변류기란 무엇인가?
2:03 변류기의 종류
2:59 변류기의 동작원리
4:09 변류기의 정격AT란?
6:17 변류기와 영상변류기의 차이
7:28 전류계와 누설전류계
8:35 누설전류계의 측정원리
15:20 실제로 누전 실험하기
17:34 누설전류계 200% 활용방법
----------------BGM 배경음악 정보----------------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GO Korea -
• [Royalty Free Music] GO Korea (애국가/한국... ​
-----------------------------------------------------------------------------
#변류기 #영상변류기

Пікірлер: 57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1 күн бұрын
동영상 화질 설정을 통해 4K 로 즐겁게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user-dr5tz1tr8v
@user-dr5tz1tr8v 21 күн бұрын
제가 이직을 하게 되어서 이제 전기만 담담 하는곳에서 일을 하게되었는데 선생님 덕분에 많은 영상들을 참고하여 실무에서도 그래도 조금은 더 알고있는 직원이 되고 싶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user-mf3xv2ki6y
@user-mf3xv2ki6y 21 күн бұрын
사장님 매번 너무 감사합니다 배워가네요 어제 현장에서 배선 잘 못 된거 해결 해줬는데 안 좋은일이 생겼네요; 그래도 사장님께 잘 배워서 다른 사람이 해결 못 한걸 해결해 주고 다니긴 하네요 매번 좋은 영상 감사합니나
@daehyunkim9596
@daehyunkim9596 11 күн бұрын
좋은 지식 영상에 감사합니다.
@user-gl2nl9pm7m
@user-gl2nl9pm7m 21 күн бұрын
실무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해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1 күн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보람을 느낍니다. :)
@aaaddd7720
@aaaddd7720 13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시간 날 때마다 챙겨 보고 있는데 이해가 잘 됩니다! 마지막 꿀팁까지 좋아요
@botanican107
@botanican107 21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rd2ow1jp4g
@user-rd2ow1jp4g 20 күн бұрын
자세한 강의 감사합니다.
@user-cz2wq9te8w
@user-cz2wq9te8w 18 күн бұрын
감사하게 보았습니다 👍
@mingorae719
@mingorae719 21 күн бұрын
조아!
@user-io7qv4cm1n
@user-io7qv4cm1n 19 күн бұрын
덕분에 전기에 흥미를 가지고 자격증이 아니라 진짜 전기공부를 흐고 있습니다. 요즘 궁금한게 돌입전류시 과전류에 의한 파손을 배우는데 변압기 뿐만 아니라 인버터 모터도 터지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정전 복귀 시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열이나 다른 저항 분이 없어 과전류가 발생해서 위험하다고 하고 어떤 경우는 전력 복귀 시 변압기처럼 코일에 남아있는 잔류자속 때문에 위험하다고도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잔류 자속이 사라질 텐데 어느쪽이 더 위험한건지 궁금해지더라구요. 어떻게 질문할지 몰라서 여기 댓글에 질문드립니다.
@user-gm3ij1nm8p
@user-gm3ij1nm8p 18 күн бұрын
나솔 게스트로 쉽게 예시를 들어줘서 이해가 빨랐습니다😆 항상 구독자를 위해 가려운 부위를 긁어줘서 정말 감사합니다!!
@user-yk5yq5if6c
@user-yk5yq5if6c 11 күн бұрын
채널이 더 성장해서 좋은 내용 영상 많이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네요~~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9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djgoa9099
@djgoa9099 21 күн бұрын
와~정말 감사합니다 ^^
@user-bz5pe2qb2k
@user-bz5pe2qb2k 21 күн бұрын
👍👍👍👍👍👍👍
@user-iw5rp5uh7s
@user-iw5rp5uh7s 21 күн бұрын
좋아요
@user-qw7mg5bx3r
@user-qw7mg5bx3r 9 күн бұрын
오랜만에 질문 드립니다. 항상 좋은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영상변류기 내용을 보면서 평소 궁금했는데, 책이나 메뉴얼, 유트브 등을 찾아봐도 시원 스러운 답변을 찾지 못해 질문드립니다. 전기실 저압 배전반 전면 하단에 누전 경보기가 설치 되어 있는데, 설치 근거는 소방법에 의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누전 경보기는 설치 되어 있지만 표시 수치에 대한 근거가 없어 막연하게 수치가 올라가는 구나하는 정도로 여기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제조사 마다 다르겠지만 누설전류의 경계를 0.2, 0.5, 1.0으로 구분해서 감도를 설정하는데 0.2는 거의 대부분 무시하고, 0.5는 부저가 울리니까 신경쓰긴하는데 알람을 꺼버리고 지켜만 보더라고요. 굉장히 신경쓰이긴하는데 판단이 서지 않아서 그런건지 별로 신경을 안써도 되는건지 누전경보기의 표시 숫자에 대해 대부분 무던하더군요. 제 생각에는 누전이 발생하고 있다면 인체 감전의 위험도 있고 화재의 위험도 있어서 0까지 줄이는것 까지는 몰라도 30mA(0.03) 이하로 유지해야 할것 같아 소방법, 전기안전 규정을 찾아봐도 딱이 숫자의 의미를 판단할수 있는 근거를 찾지 못했습니다. 누설전류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을 해보려해도 설득 근거가 부족하다보니 난감합니다. 현재 저희 전기실에 ELD 중 0.21이 표시되고 있는데 그냥 두고 추이를 살펴 봐야 하는지 아니면 비용을 드려서라도 해결해야 하는지 판단이 서질 않습니다. 장황하게 글을 쓰고 있지만, 핵심은 ELD의 표시 숫자에 따른 의미와 대응 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간략하게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neulpoommaru4109
@neulpoommaru4109 21 күн бұрын
전기혁명님 감사합니다~ 전기혁명을 꿈꾸는 늘품마루 올림.
@user-im1jw3bj6k
@user-im1jw3bj6k 21 күн бұрын
굿! 100만 구독자도 머지 않았습니다~~
@user-mx9ni8ln1n
@user-mx9ni8ln1n 21 күн бұрын
짱 :) 나솔 혹시 나가셨어요? 몇기 누구이셨는지 궁금:)
@user-jr4mu7ym2k
@user-jr4mu7ym2k 15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빌라라고 가정했을 때 1층 복도 계량기함에서 배선차단기32A를 통해 세대에 있는 배선차단기32A로 전기를 공급해줄 경우 세대에 있는 배선차단기를 어떠한 이유로 인해 40A로 바꾼다면 1층 복도에 있는 배선차단기도 40A로 바꿔줘야 하나요??
@user-wc5qh3vm2w
@user-wc5qh3vm2w 15 күн бұрын
선생님 혹시 어떤 어떤 직종에 근무하셨어요…? 전기공사쪽이셨나요..? 어떻게 이렇게 상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는지..일반 사무직종은 아니였을거 같애용
@dskim5697
@dskim5697 6 күн бұрын
강의 감사합니다! 선생님 질문있습니다. 3상3선 장비에 서보드라이버 20축 가량 설치되어있는데, 서보온하면 누설전류가 30mA정도 상승합니다. 누설전류 감소시킬수 있는 방법이나, 원인을 찾을수 있을까요..?
@cyl7199
@cyl7199 21 күн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누전발생시 누설전류계가 아닌 전류계로 n상 측정해도되나요?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1 күн бұрын
먼저 질문이 틀렸습니다. 누전발생시 n선만 측정하면 그것은 올바른 측정법이 아닙니다. 본 영상처럼 '누설전류계'로 3상4선은 상선(L1,L2,L3)과 n선을(중성선)을 싸그리 걸고(총 4가닥), 3상3선식은 상선(L1,L2,L3)만 걸고(어차피 3가닥임), 단상 2선식은 상선과 중성선을 걸면(총 2가닥) 됩니다. 또는 본 영상처럼 3상4선에 해당하는 접지전선만 걸고, 또는 3상3선에 해당하는 접지전선만 걸고, 또는 단상2석에 해당하는 접지전선만 '누설전류계'로 걸면 됩니다. 누설전류계가 아닌 일반 전류계로 걸어도 '이론'상 올바른 측정법이나 수 A 수준인 전류만 측정이 되고, 누설전류의 대다수를 이루는 mA수준의 누설전류들은 아에 측정이 안됩니다. :)
@cyl7199
@cyl7199 21 күн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답변 감사합니다 ! 전 단순하게 누전시 유출전류가 In 중성선으로 빠져나가니깐 중성선에만 전류계걸어도 측정되는줄알았습니다. ^^
@user-ko9uk2bn1d
@user-ko9uk2bn1d 13 күн бұрын
전등스위치에 검전기를 댈때 220v 핫선이여서 소리가 나는데 불을 키면 소리가 안납니다 이유가 뭘까요? 불을 켜도 220v 가 흐르는거 아닌가요?
@user-gt8my1nh2e
@user-gt8my1nh2e 21 күн бұрын
CT 점검시 2차측 단락시켜야 하는 이유를 선생님 방식으로 알려주실 수 있나요?? 시원하게 이해가 잘 안가네요 ㅜㅜ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1 күн бұрын
영상으로 만들 계획입니다^^
@user-vv8vc7ok1i
@user-vv8vc7ok1i 9 күн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부하의 저항으로 예시를 들었는데 만약 A상 10A B상 20A C상 30A의 전류가 부하에 흐를 시에는 부하 중성점의 전압 계산방법이 궁금합니다 A상 저항은 R=V/I해서 220/10 B상 220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9 күн бұрын
네, 밀만으로 구합니다^^ . 이 영상에 매우 자세히 설명해놓았습니다. kzfaq.info/get/bejne/mb5-ps1j0dSsYnU.htmlsi=UH4ueKiYUCVb7O-_
@user-vv8vc7ok1i
@user-vv8vc7ok1i 9 күн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아 제가 위 영상을 보고 혁명님 예전영상을 찾아보다가 댓글은 위 영상에 잘못 달았네요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jdpower4182
@jdpower4182 21 күн бұрын
유용한 영상 매번 감사드립니다.질문이 있습니다.저는 전기안전관리 일을 하고 잇습니다.제가 관리하는 수용가중 종이롤에 친환경 코팅을 하는 업체가 있는데 갈때마다 ELD 가 동작하고 있습니다.0.8~1.5 [A] (비가동시~가동시) ELD 의 부져음은 OFF 로 해놓고 사용중인데 TR 은 와이-델타 방식이고 라인은 모두 신규 설비라서 절연은 좋습니다.AC 드라이브로 파커코리아 제품이 15대 정도 설치되어 있고 모터부하로 연결된 케이블에서 3상 전류를 각각 체크해보면 U.V.W 전류가 다릅니다.평형을 이루지 않습니다.해서 프로그램하시는 분한테 얘기하니 자기는 모르겠다고 하는데 프로그램 잘못인지 파커코리아 드라이브 제품이 문제인지 난감한 상황입니다.바쁘시겠지만 조언 부탁드립니다.수고하세요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1 күн бұрын
제품(모터)이 어떤건지 대략 사진이 있나요? 모델이름이나 인터넷사진 등
@jdpower4182
@jdpower4182 21 күн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답변 감사드립니다,모터는 현대 3상유도전동기이고 모델은 P022TC376 6극22KW 드라이브는 파커코리아 제품 AC INTEGRATOR 입니다 라인가동시 부하측에 흐르는 전압,전류는 평형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각 모터에 흐르는 영상전류(UVW )13[A] 5[A] 3[A] 제각각 다릅니다.모터에 접지케이블에도 1~5[A]가 흐릅니다,드라이브 제조사에도 이메일을 보내서 사진도 첨부하고 보냈는데 제품의 누설전류는 10[mA] 이상 흐르지 암ㅎ는다는 답변만 오네요. 프로그램하시는 분한테 예기하니 누설전류가 흐를시 드라이버 내부에서 Y 커패시터에 의해 소멸된다는 말만 하는 상태입니다. ELD 도 누전 LED 점멸하다 점등을 반복하고요 부져경고음도 삑삑삑삑 계속 울고요.사진 및 영상자료가 많지만 어떻게 보내는지요?감사합니다.수고하세요
@DaDeomByeo
@DaDeomByeo 19 күн бұрын
평상시에 즐겨보는 구독자인 저도 실무자로서 궁금하여 확인하고자 덧글 남깁니다 ^^
@leelmoffice2559
@leelmoffice2559 21 күн бұрын
(영상) 변류기.ZCT. CT&PT 😮
@user-by5qp8vk9c
@user-by5qp8vk9c 21 күн бұрын
부하가 다르면 누설전류 측정이 불가능하지 않나요?? 실무에서 상간 부하가 동일한건 모터말고는 없을텐데..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1 күн бұрын
부하가 같아도 또는 달라도 즉, 평형전류가 흘러도 또는 불형형전류가 흘러도 누설전류 측정이 됩니다. 요지는, 3상4선식이든 3상3선식이든 누설전류의 측정원리는 동일함을 보이기 위해 본 실험영상에서는 실무입장에서 가장 이해하기 난해하고 독특한 형태인(즉, 중성선이 안보이는) 3상3선식 계통(3상3선식 380V 또는 3상3선식 220V)을 대표로 예로 들었습니다. 복잡한 것(3상3선)을 먼저 이해하면 단순한 것(3상4선 또는 단상2선 또는 단상3선)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테니까요. 실제로 3상 3선식은 계통정상시 키르히호프법칙의 '유입'과 '유출'만으로는 전기에너지의 보존형태를 설명하기 난해합니다. 다른 얘들처럼 중성선에 의한 '유출'이 직관적으로 눈에 안보이니까요. ^^
@user-by5qp8vk9c
@user-by5qp8vk9c 21 күн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하나 배웠네요 감사합니다
@HiiiiiiiiiiHiiiiiiiiiiii
@HiiiiiiiiiiHiiiiiiiiiiii 20 күн бұрын
에번나솔에 나온건가요
@sg3743
@sg3743 21 күн бұрын
L3에 접지단락을 했을때 쇼트나서 펑할줄 알았는데 누설전류만 나오는건 접지저항이 작아서 인가요?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1 күн бұрын
완전 지락시에만 펑합니다ㅎ, 접지 경로에 저항이 있으면 옴의 법칙에 의한 적당한 전류가 흐릅니다.^^
@sg3743
@sg3743 19 күн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넵 답변감사합니다 그리고 이론상 CT 2차측 개방시 고전압이 유기되어 터진다는데 관련영상 부탁드려도 될까요?
@djs6687
@djs6687 21 күн бұрын
전기안전공사 전기인협회
@user-lq1gn8kz8m
@user-lq1gn8kz8m 21 күн бұрын
15분쯤 L1 L2 L3 에 걸리는 전압은 얼마인가요? 부하가 같아서 220씩 걸리는건가요?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1 күн бұрын
네 맞습니다, 각 상의 부하에 걸리는 전압은 220V입니다. (선간전압은 380V)
@user-lq1gn8kz8m
@user-lq1gn8kz8m 2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영상잘보고 있습니다
@user-dc2sx3qs9b
@user-dc2sx3qs9b 20 күн бұрын
3상4선식은 핫선 중성선 들어가는데요 3상3선식에서. 핫선하고 나머지 선은 중선선이들어가나요?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0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당ㅎ 접지선은 계통과 상관없이 그냥 기본입니다.^^
@user-dc2sx3qs9b
@user-dc2sx3qs9b 19 күн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그럼3상 3선식은 델타결선으로만 하는건가요?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19 күн бұрын
아닙니다, 델타도 하고 브이도 하고 와이도 하고 다 씁니다. :)
@user-mr7sc7mq7g
@user-mr7sc7mq7g 18 күн бұрын
전기인 이라면 다 아는 상식이야기임
@user-jl9qr4ht4q
@user-jl9qr4ht4q 21 күн бұрын
전구 3개 말고/// 선풍기,TV ,전구/// 이렇게 3개를 3상 연결하면 빵 터지는지 실험해주세요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1 күн бұрын
여기 이미 실험해놓았어요!^^ kzfaq.info/get/bejne/mb5-ps1j0dSsYnU.html
무효전류에도 전선이 탈까요?(11만 특집)
12:19
전기혁명
Рет қаралды 94 М.
Smart Sigma Kid #funny #sigma #comedy
00:19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차단기 선입후절과 중성선의 중요성! (8만특집)
15:55
미세전류(Leakage current and Microcurrent)
7:37
시설달인 김선생
Рет қаралды 10 М.
콘덴서에 대한 설명- 콘덴서
8:42
공학적인 사고방식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원하는 차단기만 트립시키는 기술! 1만특집!
15:21
전기혁명
Рет қаралды 354 М.
변압기 결선 해석방법 노하우 공개(7만특집)
13:52
전기혁명
Рет қаралды 105 М.
LED 잔광, LED 깜빡임의 진짜 원인!(완전히 다른 설명)
15:43
전압과 전류 중 어느것이 더 위험할까?(9만특집)
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