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 경제성장률 1.4%의 의미...서민은 더 힘들다 (KBS 24.05.07)

  Рет қаралды 173,664

KBS시사

KBS시사

21 күн бұрын

[시사기획창 '한강 신화의 종말-끝의 시작' 중에서]
[인터뷰] 허준영 /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80년대에도 8% 정도 평균적인 성장을 했습니다. 90년대에는 이것이 조금 떨어지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5%가 넘은 성장을 했던게 90년대이고요. 하지만 2000년대로 들어오면 이 성장률이 5% 밑으로 떨어지고, 2010년도에 오면 저성장으로 생각하는 3%대로 들어오게 됩니다.
초등학생 때는 키가 굉장히 빨리 자라지만 점점 성인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키가 자라는 속도가 더뎌지지 않습니까 경제도 마찬가지로 덩치가 커지면서 성장률이 떨어지는 건 당연한 현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서 좀 걱정스러운 부분은 그 성장률이 떨어지는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는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1.4%. 전문가들은 심상치 않은 기조로 분석합니다.
[인터뷰]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장
2%대 성장을 하게 되면 그거는 성숙 경제 하나의 현상이기 때문에 저는 그것을 ‘안정 성장’이라고 명명했습니다만 작년에 1.4%는 그런 안정 성장으로부터 이탈한 것입니다
우리나라가 2% 성장으로 다시 회귀하지 않고 민간 경제연구소들이 예측하는 거와 같이 1%대 성장을 하게 되면
이거는 지난 60년간 경제 성장에서 초유의 2년 연속 저성장이 되는 거고요 우리나라는 L자형 장기 저성장으로 진입할 거라고 내다보고 있거든요
부정적 신호만 있는 건 아닙니다.
정부는 지난 1분기의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2.2%를 넘길 거로 전망합니다.
이달 들어 OECD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개월 만에 2.2%에서 2.6%로 상향하기도 했습니다.
[자료영상]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 (4월 25일)
성장세가 계속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일시적 변동성은 있겠지만 현재 수출 개선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내수 회복세가 점차 확대된다면 성장세 지속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변화가 여전히 더딘 건 문젭니다.
위기는 규모가 작고, 자본이 부족한 중소기업일수록 더 크게 다가옵니다.
[인터뷰] 중소기업 대표
이 제품은 인테리어 자재로 쓰이는 벽, 월 패널 종류인데요 불에 안 타는 불연성 보드라고 합니다
할 말이 많다던 업체 대표는 인터뷰를 시작하기 전, 한 가지 부탁을 했습니다.
[인터뷰] 중소기업 대표
(기자: 대표님, 인터뷰에 앞서서 성함이나 기업 이름이 나가는 거는 부담스럽다고 하셨는데 그거는 왜 그러신 건가요?)
기업 이름이나 이런 게 알려지면 수도 없이 많은 컨설팅업체나 이런 곳들에서 연락이 오기 때문에
사실 그런 것들도 스트레스가 되고 있고요
제품을 주로 외국에 수출하는데, 요즘 들어 생산 라인이 멈춰있는 날이 많습니다.
사람 구하긴 힘들고, 생산비는 늘어 설비를 돌릴수록 손해가 쌓여갑니다.
[인터뷰] 중소기업 대표
원자잿값도 최근 몇 년간 폭등했죠. 그리고 전기세라든지 그런 부분들이 많이 올라서 원가 포지션이 굉장히 많이 높아졌습니다
후발 주자인 중국과 동남아 업체들과는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중소기업 대표
중국의 대부분 업체는 저희 디자인을 모방하는 형편이죠 모방해서 절반 정도의 가격에 시장에 푸니까 그러니까 어렵죠
(기자: 열심히 만들었는데, 해외 나가니까 우리 제품이랑 똑같이 만든 제품이 중국이나 다른 어떤 경쟁업체에서 만들어서 훨씬 낮은 가격에 팔고 있으면 기분이 어떠세요?)
맥이 빠지죠. 그러니까 사실상 할 말이 없는 정도죠
직원 세 명으로 시작해 밤낮없이 일군 기업.
IMF까지 견뎌온 30년 세월, 여기까지인가.. 고민의 시간이 길어집니다.
[인터뷰] 중소기업 대표
(직원들 가장 많을 때는 몇 명쯤 됐습니까)
70명 정도요. 공장을 세 군데 운영했습니다
(지금은 몇 명 정도)
지금 40, 3, 4명 정도요. 축소된 편이죠. 더 키운다는 거는 사실상, 전혀 전혀 말도 안 되는 거고요. 접지 못해서 줄이는 거죠. 사실은, 접어야 맞거든요. 제조업은 한국에서 접어야 맞습니다. 앞만 보고 달려왔다고 봐야죠. 너무 스트레스를 받고 힘든 와중에 알게 된 거예요. 이게 아니구나. 지금까지 잘못했구나. 그때 이렇게 오는 게 아니었는데. 그때 다른 생각을 했어야 하는데. 사실, 기업이 이런 생각을 하면 안 되거든요. 지난 5년 정도는 수도없이 그런 생각에 열정을 잃은 거죠
대외 변수는 여전합니다.
국제통화기금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보다 0.1%p 올라간 3.2%로 내다봤습니다.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 조정됐고 한국 경제성장률은 2.3%를 유지했습니다.
IMF는 중동 갈등이 확산할 경우 성장률을 제약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 등의 공개적인 만류에도 불구하고, 이란과 이스라엘 분쟁이 현실화되면서 , 전 세계 금융시장이 출렁였습니다.
국제유가가 급등했고 아시아 증시에도 충격은 그대로 전해졌습니다.
[인터뷰] 아베 마코토/ 일 아시아경제연구소 주임조사연구원
한국 기업은 국내 시장만으로 사업을 확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해외에 나갔고 그것이 세계화 시대에 잘 맞아떨어지면서 한국 기업들은 사업을 계속 확대한 것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우크라이나 전쟁도 그렇고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격렬해지는 가운데 지금까지 세계화가 반전하는 거꾸로 가는 듯한 역회전 하는 듯한 상황이 되었어요.
경기가 어려우면 먹고 쓰는 걸 줄일 수밖에 없습니다.
직원들에게 해고를 통보한 날, 사장님은 식당 앞에 메모를 붙였습니다.
오늘 하루만 쉬고 다시 힘내서 일하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우연히 이 메모를 본 시민이 이 사진을 SNS에 올리면서 위로와 응원의 댓글이 이어졌습니다.

[인터뷰] 송성권/ 음식점 대표
원래는 여기 홀에 두 분 계시고 주방에 한 분 계시고 요리하시는 분 한 분 계시고 이렇게 네 분이 하던 걸 (지금은 혼자 하는데) 제가 또 사장이니까 또 홀도 나가야 하고 설거지도 해야 하고 3명 몫을 하니까
(좀 나아졌나요? 혼자 일하시면?)
계산을 해보니까 그래도 전에는 아예 안 남았었는데 지금은 그래도 일하는 시간만큼 인건비는 딱 나오더라고요
어느 하나 싼 것을 찾기 힘든 물가에 밥값을 올리려 해도 손님의 발길이 떨어질 거 같아 답답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송성권/ 음식점 대표
미역국 나가고 이러는데 미역이 인터넷에서 많이 싼 것도 많고 마트에도 많이 있고 쉽게 구했는데
어느 날 갑자기 마트 가보면 미역 없다고 그러고 그전에는 내가 안 쓸 때는 분명히 흔했던 거 같은데 갑자기 내가 미역국 무상으로 드리고 내가 쓰다 보니까 그것만 오르나 마트에서 나한테만 (가격을) 올렸나 그런 생각도 들고
[인터뷰] 단골손님
가까운 분식점만 가도 라면 하나, 김밥 하나 그렇게 보통 9천 원, 1만 원 이렇게 하니까요 직장인들이 자주 와서 붐비고 그러면 상관이 없는데그렇지 않고 많이 힘들다 보니까
직원들 월급이, 시급이 많이 올랐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여기 사장님들 같은 경우에 조금 힘드시겠죠
해마다 10만 명이 넘는 음식점업 자영업자가 폐업을 했습니다.
최근 5년간 모두 70만 명이 넘습니다.
실핏줄처럼 연결된 사람들이 크든 작든 영향을 받습니다.
[인터뷰] 최정용/주류배송원
보증금 같은 건 손해보고 그냥 빈손으로 나오는 사람들도 많고 조금 어려워해요, 장사하는 분들이 현장에서 뛰고 그러니까 피부로 느끼는 거죠
(기자: 배달하는 술 물량 같은 건 요새는 어떤 것 같아요?)
많이 줄었어요. 여기 차 보면 알겠지만 지금 반 차도 안 되잖아요
(기자: 잘 됐을 때는 어땠어요?)
거의 뭐 한 차 실어 가지고 원래 이 차도 2인 1조로 다니던 차였거든요 그런데 짐이 없고 장사 폐업도 있다 보니까 줄이다 보니까 혼자 가게 되고 인건비를 줄여야 하니까 기름값은 꾸준히 나가지 차량 유지비 써야지
관련 방송: 2024년 5월 7일(화) 밤10시 KBS1TV, 시사기획창 [한강신화의 종말-끝의 시작]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news.kbs.co.kr/vod/program.do...
유튜브 / @kbssisa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Пікірлер: 725
@legible1325
@legible1325 19 күн бұрын
전국 상가 공실이 미친듯이 많아 보이는 건 기분탓인가
@djdjdkdwed
@djdjdkdwed 18 күн бұрын
결국 다망하는 수순임
@humanlucky227
@humanlucky227 18 күн бұрын
임대료를 낮춰
@user-yt6sb7gy2i
@user-yt6sb7gy2i 18 күн бұрын
1층 상가도 공실 늘어나는거 보면 심각해 보이긴 함
@Albanokkk
@Albanokkk 17 күн бұрын
배달과 쿠팡의 힘 ㅋㅋ
@aaaa24992
@aaaa24992 16 күн бұрын
​@@humanlucky227 임대료 낮추면 건물값 떨어지는데 낮출리가 없지 좆되기전까진 배째라 마인드로 안낮추는게 맞음 건물주 입장에선
@jse5217
@jse5217 19 күн бұрын
경제 성장률이 아주 높을때나 정상적일때야 부동산도 같이 오르는건 그렇다치는데.. 지금은 이전과 달리 저성장, 저출산, 높은 자살율, 높은 가계부채, 초고령사회 이 속도도 다른 국가에 비해서 매우 빠른 상태로 안좋아지고 있는데 이전과 다른 상황에서도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올라갈거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면 참... 물론 일부 지역은 그들만의 리그로 오를 수는 있겠지만.. 부자들이야 투자 목적이 아니라면 그냥 자기들이 필요하거나 원하면 사고 싶은건 액수 크게 생각안하고 그냥 사니깐.. 아무튼 부자가 아니라면 세상이 변하는걸 인정하고 맞춰가야하는데 인정을 못하면 그 사회에서 결국 도태될 수 밖에 없죠. 변화를 인정하는게 어려운걸 압니다. 왜냐 평생 잠깐의 굴곡은 있었으나 결국 오르는것만 봐왔기에...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렵겠죠.
@moonster1632
@moonster1632 19 күн бұрын
부동산 양극화~그래서 부동산은 계속 오름. ㅎㅎㅎ
@ba6990
@ba6990 19 күн бұрын
곰제인씨가 모든걸 대출로 땜빵해놓고 부동산 올리고 세대갈등 성별갈등 최고조로 올리고 최저출산하락율 만들어 놓고 코인붐 오기전에 전세계 호황기에 노안젓고 물들어오니 괜찮은줄아고 아무것도 안하다가 세계 경기 나빠지니 남은건 빚더미 갈등 부동산 저출산ㅋㅋㅋ 빚이많아서 금리도 못올리고 민주당찍는 경계선지능애들은 국힘탓 하고있고 그럴려면 180석 왜 가져간건지 ㅋㅋㅋ
@jse5217
@jse5217 19 күн бұрын
@@moonster1632 저도 화폐가치 하락에 따라서 계속 오른다고 생각은 하는데.. 그 굴곡이 그동안 길어야 5년인데 몇년이 걸릴지 모른다는거죠. 어쩌면 수십년이 될 수도.. 아니면 죽을때까지 굴곡이 있을 수도 있고 본인이 우상향을 맛보지 못하면 아무 의미가 없죠.
@sjacc74
@sjacc74 19 күн бұрын
이제는 오를 곳은 오르고 내릴 곳은 내리는 양극화 진입입니다. 즉 잘사는 사람은 모여살아 빈부격차를 안보고 살면 서로 좋은거죠.
@sosososo-gi7rv
@sosososo-gi7rv 19 күн бұрын
소득주도성장으로 최저시급 2배올렸지만 K방역으로 샤따 다 내리고 최저임금 주던 자영업자 폐업하니. 오히려 일자리감소 실질 소득은 마이너스. 거기다 탈원전으로 원전가동률 하락하면서 LNG 발전을했고. 한전적자 누적200조. 전세대출 남발하고 부동산 통계조작 . 온갖 포퓰리즘 돈풀기로 국가부채 역대최대로 늘리니 또 물가는 계속 상승. 국가 성장률마저 하락 이게 문재인대통령 하나 만들자고 하면서 일어난 일들임. 잘나갈때 오히려 구조조정을 틈틈히 해서 내실을 다져야하는데. 5년동안 온갖 물가오르는 정책에 돈만풀었으니 나라가 다 이모양이된거지. 지금 터지는 자영업자 언제대출썼음? 다 문재인때쓴거잖아? 안그래 1찍들아?
@bururumuni
@bururumuni 19 күн бұрын
인구 자원 땅... 뭐하나 가진거 없이 노동과 과학으로 이렇게 발전했는데 지금 노동과 과학대하는 꼴을 보면 답없음.
@damasamigo
@damasamigo 19 күн бұрын
답없음!!
@user-cb1vk3sv2r
@user-cb1vk3sv2r 18 күн бұрын
이딴 소리 백년전부터 나왔음
@mirpetenka5415
@mirpetenka5415 18 күн бұрын
@@user-cb1vk3sv2r 백년 전부터 작금의 현실을 예견했는데도 대비못하다 이꼴난거지 ㅋㅋ
@user-qm7fx7xr9f
@user-qm7fx7xr9f 18 күн бұрын
그런 와중에도 수도권 집중화로 국토의 비효율적 운영도 심각 ㅋㅋ
@user-nc2hs4rp7l
@user-nc2hs4rp7l 16 күн бұрын
인건비를 무식하게 올렸지 사람갈아서 성장하던 나라에서 사람을 못 쓰게 만들어버림
@Ghost-yb6us
@Ghost-yb6us 18 күн бұрын
전기세도 음식값도 모든것이 올라서 너무 힘드네요 제발 나라에서 신경써서 물가를 낮출수 있도록 해주었으면 좋겠네요
@feel7203
@feel7203 18 күн бұрын
근데 왜 자꾸 모든근로자 최저임금 올리자, 돈 뿌리자 이런거 지지하는거임
@user-zw4wv2li5u
@user-zw4wv2li5u 18 күн бұрын
전기세가아니고 전기요금이다.!!
@moolnetkim7994
@moolnetkim7994 18 күн бұрын
@@feel7203 코로나 4년 동안 최저임금은 거의 안 올랐는데, 최근 2년 동안 물가만 엄청 올라서 서민들이 힘듦. 어이 없는 게 보수 신문들은 지난 정권 때는 환율 조금만 올라도 나라 망할 것처럼 떠들고, 경제성장률 조금만 낮아도 욕하더니, 이번 정부에선 1%대 경제성장도 잘 한 거라고 빨아주는 기사를 내보더라.
@user-bx1qj6ro7c
@user-bx1qj6ro7c 14 күн бұрын
@@feel7203 지능없는 좌파들이 그럼 물가는 낮추면서 나라에서 지원은 많이해주는거 원함 ㅆㅂ 그게 말이되냐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아니 물가라는 것은 수요와 공급에서 이루어지는것을 국가가 무슨수로 잡을 있는가? 그리고 자유시장경제에서 모든것이 시장원리로 이루어지는것이 원칙인데 거기서 가장중요한 생산품 비용의 큰비중에 차지한 임금을 6년간 따불로 만들고 거기다가 주 5일제를 시행했음 그러니 바닥물가가 않올라갈수 있겠음 ㅋㆍㅋ 노동하나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 가치를 올렸으니 당연히 무늬만 선진국 만들었으니 그만한 댓가를 치를 것이라고 봄
@jone7001
@jone7001 19 күн бұрын
모든 글로벌 공장이 베트남 미국 일본으로 가고았음 지정학 리스크 및 인구수 괴멸 노령인구증가로 모든게 다꺽이게되잇음
@user-tu3yn1qx7o
@user-tu3yn1qx7o 11 күн бұрын
이재명 25만원 아직 한발 남았습니다 이재명 무제한 기본소득이 답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8 күн бұрын
상속세도 엄청 많이 내게 해서 기업을 키울 필요도 없는 거죠. 부자들이 한국을 떠나는 이유.
@user-ij5km2ef4d
@user-ij5km2ef4d 19 күн бұрын
한번 실수하면 다시 올라가기 힘든게 경제인데 너무 오랜기간 잘못된 외교정책으로 실리를 찾지 못하고 너무 기울어버린 경제 환경이 되는게 무섭네요
@bbr207
@bbr207 18 күн бұрын
이런데도 우크라 3조원 지원 미틴 윤석열정부 내수챙길생각은 안하고 남의나라 퍼줄생각이나하고
@gh-qh1xv
@gh-qh1xv 12 күн бұрын
지난 문가 정부 ㅁㅈㄹ들이 경제 망치고 빚만 늘었음. 25만원짜리 게으른 거지들이 있는 한 경제 살아날까?
@user-zv5yo9vt5t
@user-zv5yo9vt5t 11 күн бұрын
윤xx : 응 알빠아님 ㅋ 그나저마 오늘 술안주는뭐지?
@user-bh8me4yi2d
@user-bh8me4yi2d 11 күн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pedric09
@pedric09 10 күн бұрын
@@user-zv5yo9vt5t 중국몽 꿈꿨는데 중국에서 혼밥하고 북한이랑 쎼쎼하면서 평양까지 가서 평양냉면 먹었건만 결국엔 돌아온 대답은 삶은 소머리같다는 소리듣고 그 사이에 일본하고는 온갖 불매운동 벌이면서 사이 멀어지게하고 미국과 서방국가들한테는 미스터문은 마치 북한의 대변인같다는 소리나 들으면서 중국과 북한과 한 팀으로 의심받게 한 사람이 누구더라?ㅎㅎㅎㅎㅎ
@anon-zq2jc
@anon-zq2jc 18 күн бұрын
IMF 이전에는 단순히 성장률만 높았던게 아니라, 집안이 가난해도 하다못해 공사장 노가다를 뛰면 대학 등록금을 벌 수 있었던 시대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공사 현장 가보면 75%가 외국인 노동자고, 이들이 번 돈은 국내에서 쓰는게 아니라 대부분 자기들 본국으로 송금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외로 매년 빠져나가는 돈이 매년 몇조원입니다. 아무리 건설 경기를 부양해도 가계는 부채만 늘어나고 국내에서 돈이 돌지를 않는 겁니다. 건설사와 연결된 위정자들이 개발 정보 듣고 선매한 땅 팔아서 돈이나 챙기는거죠.
@user-zv5yo9vt5t
@user-zv5yo9vt5t 11 күн бұрын
ㅋㅋ 팩트를 잘짚으셨네 한국거주 외노자들이 한국에 돈안쓰고 죄다 지내나라고 보네버리니 참 문제입니다
@drPjw
@drPjw 19 күн бұрын
집값 상가임대료만 몽땅 올려놓고 내수경제가 돌아가길 바라나? 온통 투기꾼 사기꾼천지니 양극화만 심해지고 나라꼴 거지꼴되는게야~
@user-cb1vk3sv2r
@user-cb1vk3sv2r 18 күн бұрын
이딴 소리 백년전부터 나왔음
@user-cb1vk3sv2r
@user-cb1vk3sv2r 18 күн бұрын
이딴 소리 백년전부터 나왔음
@JAVAHUT3999
@JAVAHUT3999 18 күн бұрын
백종원도 예산시장에 투기했다가 쫓겨났더라. 그러니 나라가 거지꼴 되는 거야. 기본소득 25만원 지역화폐 뿌려서 경쟁력 없는 상권들 잘 살려보시라우 공산당 동무.
@gwk6322
@gwk6322 16 күн бұрын
지 월급은 오르길 바라면서 집값은 폭락해야하고 경기는 좋아야 한다라... 니네들이 얘기하면서도 스스로 ㅂㅅ같다 생각되지 않니?
@user-eg9bn4bc6u
@user-eg9bn4bc6u 13 күн бұрын
투기코리아의 몰락
@jp-qd3mc
@jp-qd3mc 18 күн бұрын
지금시기에 대출 내지마세요 인생 잣뗍니다 이자금리 더 오릅니다 돈빌리면 배보다 배꼽이 더 나가요
@gwk6322
@gwk6322 16 күн бұрын
꼭이런애들이 꼭지에서 이제는 사야되나 하면서 대출 이빠이받고 들어감 ㅋㅋㅋ
@EmpireProductions1
@EmpireProductions1 3 күн бұрын
곡소리 나오는데 이자를 더올린다고? 이제 내려도 늦은건데
@tims4971
@tims4971 14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의 미래는 딱 한단어 입니다. 초고령화사회. 초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 인구감소와 국방비를 넘어서는 노인의료비등 노인 복지비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경제성장율은 마이너스로 가고 사회 곳곳이 피폐해 지는걸 피할수가 없습니다.
@user-wo8vr4wq4h
@user-wo8vr4wq4h 19 күн бұрын
세상은 발전 되가고 좋아지나 삶은 더 빈부격차가 심해질듯 걱정되네요
@jjjhhhggg
@jjjhhhggg 19 күн бұрын
상위계층들도 한국을 떠나는 실정입니다. 이미 망함.
@user-kx9qdd2Uf8b
@user-kx9qdd2Uf8b 19 күн бұрын
아몰랑 이재명만세 지원금 25만원 주세용
@user-bu3fh7jn4i
@user-bu3fh7jn4i 18 күн бұрын
@@user-kx9qdd2Uf8b 넌 안줘 수구 꼴통아 ㅋㅋ
@sgchoi9224
@sgchoi9224 18 күн бұрын
트럼프가 당선되서 주한미군철수 얘기나오면 상위계층 본격적인 한국 탈출행렬이 시작될것임.. 외국인 투자자금도 거의 다 빠져나가고.. 우리는 헬 헬 조선 입구에 들어가게 됨.
@user-rm6xe8nr6m
@user-rm6xe8nr6m 16 күн бұрын
@@user-kx9qdd2Uf8b 아몰랑 이재명씨만세 지원금 100만달러 주세용. 달러로요.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미리 준비는 하겠죠 에휴 부럽네요
@user-yg4yw2mt4d
@user-yg4yw2mt4d 19 күн бұрын
아 한국에서는 제조업을 하면 안된다 가슴 아픈 멘트군요ᆢ미래가 없다는 말ᆢ
@user-wc1tl6sj4w
@user-wc1tl6sj4w 18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미래가 없는 한국 제조업이라는게 웃픈 현실이네요
@martinblair2770
@martinblair2770 19 күн бұрын
초딩학생 수준을 지나자...성숙기 없이 노화와 사망이 진행되는 한국...
@user-zv5yo9vt5t
@user-zv5yo9vt5t 11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출산율이 개박살이라 이나라 경제성장은 문재인때가 마지막 호황이였다고 볼수밖에.. 이재명 당선된다한들 경제상황 크게 달라지진 않을듯 단지 인공호흡기 달뿐이지
@EulerNumber_e_2.7183
@EulerNumber_e_2.7183 19 күн бұрын
1% 성장률 보기도 앞으로 힘들 것이다. 장기불황은 이제 시작이다. 언제 끝날지 아는 사람은 없다.
@user-er5mi2we5s
@user-er5mi2we5s 18 күн бұрын
삼십년후 불황 끝 초고령사회에서 탈출하면 끝나요
@moolnetkim7994
@moolnetkim7994 18 күн бұрын
실제로는 물가 상승률이 경제성잘률보다 훨씬 높아서 실질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이나 마찬가지임.그래서 서민들이 살기가 힘들다고 느끼는 것임.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급상승 했으니 빨리도 떨어지겠죠 ㅋㆍㅋ 솔직히 자원하나 나오는것도 없는 나라니깐 대기업중 하나만 휘청하면 그게 시작일것 같은데 ㅋ
@shakura4371
@shakura4371 18 күн бұрын
일본의 길을 갈수 있다면 한국의 행운이다
@user-ek4mk2nu4f
@user-ek4mk2nu4f 19 күн бұрын
그나마 먹고 살기 좋은 시절은 다 갔다
@user-qm9nf2zf7q
@user-qm9nf2zf7q 19 күн бұрын
먹고살기좋은시절이 대체 언제를 말하는건데?
@zackdo5194
@zackdo5194 19 күн бұрын
@@user-qm9nf2zf7q 싪샡퀴야 모르면 주딩다물고 꺼져
@user-vn8cp1lm3b
@user-vn8cp1lm3b 19 күн бұрын
니들먹고싶은거 다먹잖아
@user-it6vy5wy5q
@user-it6vy5wy5q 19 күн бұрын
잘 생각해보면 엄청 좋아졌는데 욕심은 더 많이 올라감
@fts6389
@fts6389 19 күн бұрын
대통령을 절대 뽑아서 그럼.. 노무현 이명박때가 좋았다
@user-yo2mb4qw7u
@user-yo2mb4qw7u 19 күн бұрын
지금은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를 인하해도 언 발에 물 붇기 격이다. 단순 수요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지구촌 공급망의 구조적인 문제이며 이는 에너지를 포함한 자원의 고비용 문제이다. 따라서 경기하락은 앞으로 언제까지 인가가 아니라, 이제 막~ 본격화 한다는 데에 그 본질적 비극이 있다.
@user-oe9zw6bq2m
@user-oe9zw6bq2m 19 күн бұрын
인간으로 치면 급격한 노화로 허리가 굽어서 땅에 닿이고 있는 상황...
@user-uf2eb6ts7j
@user-uf2eb6ts7j Күн бұрын
ㅋㅋㅋ
@okko5997
@okko5997 19 күн бұрын
이제 자산이 적은 사람들은 비참해 지기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user-mt7xr8hc1z
@user-mt7xr8hc1z 19 күн бұрын
자산×자본O
@djdjdkdwed
@djdjdkdwed 18 күн бұрын
어지간한 부자 말곤 다죽어요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18 күн бұрын
자산이라도 부동산은 제외됩니다.
@user-iv1ok2dn6c
@user-iv1ok2dn6c 18 күн бұрын
@@peaceful_world5이게맞지 집잇고 뭐 한게뭐가중요함 ㅋㅋ 당장 현금이업는데
@iporeews
@iporeews 19 күн бұрын
저도 그냥 직장다니는 서민인데요..안힘듭니다....죽을거같아요...힘든게아니라..진짜 이러다 죽을거같아요ㅜㅜ
@user-bq1ef1kd7b
@user-bq1ef1kd7b 18 күн бұрын
왜? 못먹어서? 잠을 못자서? 근무시간이 너무 많아서? 왜 죽을거같음?
@djdjdkdwed
@djdjdkdwed 18 күн бұрын
아직 살만한겁니다 회사망하고 쫓겨나고 시작입니다 얼마 안남았으니 그려려니 하세요
@Margin_Of_Safety
@Margin_Of_Safety 18 күн бұрын
너가 잘못살고있는거 같은데..
@iporeews
@iporeews 18 күн бұрын
가족이있는데 들어가는돈이 너무많아 임금이 올라도 물가올라가는 속도를 못따라가서 고정지출비용이 오버됨..저축했던거 다 깨고 보험해지하고 외식을 줄여도 힘듦..집도 비싼게 아니라 대출이자원금 80정도 들어가는데 휴...앓는소리가 아니라 진짜 힘듭니다..38살인데 스무살 학생때부터 일을 쉬어본적이없음...엉망으로 산것도 아닌데..에휴ㅜ
@moolnetkim7994
@moolnetkim7994 18 күн бұрын
@@iporeews 임금이 오르면 다행이네요. 실제로 주변 지인들은 회사가 어려워서 임금이 깎인 분들이 꽤 있던데요.
@user-ge1rg3bf4o
@user-ge1rg3bf4o 19 күн бұрын
각자도생. 출산 결혼? 있는사람들끼리 하는거지 이나라는 끝났어
@user-cb1vk3sv2r
@user-cb1vk3sv2r 18 күн бұрын
이딴 소리 백년전부터 나왔음
@user-ts2eu6rf6i
@user-ts2eu6rf6i 18 күн бұрын
한심한 댓글이네 에휴 저출산 위기가 심각한 상황에 선동질 좀 집어치워라
@curtain5323
@curtain5323 18 күн бұрын
@@user-cb1vk3sv2r 100년 같은 소리하고 있네 ㅋㅋㅋㅋ 개오바 쌉치지 마라. 정확하게는 박근혜떄부터 , , 이야기 나오기 시작해서 문재인 때 빨피되고, 윤석열이 막타치는 중임.
@heejuneAhn
@heejuneAhn 18 күн бұрын
@@user-cb1vk3sv2r 100년전에 그래서 한일합방됬잖아요. 나라망하고.
@user-hc3jc7nr4l
@user-hc3jc7nr4l 18 күн бұрын
​@@user-cb1vk3sv2r100년전에 이미 나라 망했는데요?
@ddadngddd
@ddadngddd 17 күн бұрын
안그래도 좁은땅에 산지면적이 많아서 가용할수있는 토지는 적은데 수도권에 모든게 집중되있어서 인구소멸 경기침체 벗어날수없다.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있는 복안이 나오지않으면 인구소멸 가속화된다
@user-ks7vc9gg2o
@user-ks7vc9gg2o 19 күн бұрын
살아오면서 들었던 정부가 한 거짓말 1. 학교수업으로 따라올수 없는 애들을 위해 학원 자율화하자 2. 아침밥먹고 공부부담 줄이기위해 야간자율없애주자 3. 전세입자부담 줄이기위해 전세대출 제한 풀어주자 4. 서민경제 풀기위해 부자감세 완화시켜주자.
@user-ji4gz6zd7c
@user-ji4gz6zd7c 17 күн бұрын
2찍하셨잖아요
@user-xn3wd8df1y
@user-xn3wd8df1y 16 күн бұрын
그놈이 그놈
@user-ck2kd5ow4t
@user-ck2kd5ow4t 19 күн бұрын
제조업은 운영하는 대표님들 존경스러울 정도다.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18 күн бұрын
본인이 직접 뛰는 분들만... 코구녕만한 회사 아무 하는거 아무 아는거 없이 가업세습받아서 노동자 착취 꿀 빠는 것들은 제외 바람!
@user-nx5jn3so5q
@user-nx5jn3so5q 19 күн бұрын
경제성장률이 2프로가되든20프로가되든 200프로가 되든 가난한자는 영원히 가난할것이고 가진자는 더 부자가된다
@user-zw4wv2li5u
@user-zw4wv2li5u 18 күн бұрын
정답이네요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솔직히 그게 정상임 ㅋ 그런데 그 부자들이 떠나면 그땐 진짜 힘들어짐 ㅋ 그리고 외노자들까지도 떠난다면 그땐 나라 끝이지 에휴
@user-jo9jf4fb5m
@user-jo9jf4fb5m 12 күн бұрын
​​​@@user-oq2fc4jx8t부자들이 떠나면 힘들어지는건 노예발상이고 부자들이 떠난다는건 나라가 망했다는 증거다. 하층민이 더 힘들어져서 해먹을게 없다는거고 오히려 성실히 세금 내는 사람들은 근로자지 부자가 아니다 개내들은 어떻게든 세금을 줄이려고 발악했음 발악했지 더내려고 하진않음ㅇㅋ?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1 күн бұрын
@@user-jo9jf4fb5m 그러니 너같은 애들이 부자들 돈 뺐어 쳐 먹을려구 하는 놈들아니냐? 에휴
@user-vh5qc1xx6o
@user-vh5qc1xx6o 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부자들 세금을 많이 내야하고 서민들은 세금을 적게 내야 하는데 이건 완전 꺼꾸로 돼가고 있음 부자들 세금 감세 서민들은 세금을 더 올리고 이러니 나라가 제대로 돌아 갈수가 없음 지금 현재 물가가 솟구치고 있고 서민들은 돈이 없어서 뭘 사먹지도 못함
@sky895623
@sky895623 19 күн бұрын
금리나 올려서 영끌족들이나 없애라
@user-vi9oi9wd5o
@user-vi9oi9wd5o 19 күн бұрын
영끌족 죽이고 싶은데 모든국민 때문에 한국정부가 함부로 금리를 못올림 지금금리나둬도 영끌족은 뒤짐
@user-uj7uy7ut3z
@user-uj7uy7ut3z 18 күн бұрын
영끌족들 이제 영혼 없는 인간이 되는거야? ㅋㅋㅋ
@user-ig2wt7yj4n
@user-ig2wt7yj4n 15 күн бұрын
금리 올리면 영끌족만 죽나? 집에 불지르면 빈대만 죽지?
@user-yt3mv7bm3i
@user-yt3mv7bm3i 12 күн бұрын
그 돈잇는놈들이 다 기득권이라 나라팔아먹어도 안올림요^^
@user-kp7qo7yw5d
@user-kp7qo7yw5d 12 күн бұрын
무식한 소리하고 있네 다같이 죽는다
@user-bf5kh7vq9t
@user-bf5kh7vq9t 16 күн бұрын
의사와 연예인으로 인해서 우리나라는 앞으로 제조업 분야에서 중국을 절대로 못이김...
@user-dl4nz5rg9h
@user-dl4nz5rg9h 5 күн бұрын
중국은 한국 임금의 5분의 1. 대기업은 10분의 1인데, 중국을 어떻게 이김. 미국이 중국 관세 물리니까 한국이 버티는 거지
@jhoon2871
@jhoon2871 18 күн бұрын
매년 물가 올라서 다들 힘들어하는게 디플레와서 물가라도 안오르기를 바래야지 성장률이야 전문가나 가진자들이나 따지지 서민들은 물가 안오르면 최고
@user-uo1bn5fh2s
@user-uo1bn5fh2s 14 күн бұрын
공장가서 일해.일해 . 금리인상 대파값내리자 정리매매가자
@user-os8qu1vf3u
@user-os8qu1vf3u 10 күн бұрын
힘내자 대한민국!🎉
@eacho116
@eacho116 19 күн бұрын
후진국은 대체로 성장률이 높은데 인구 증가율이 높아서 그렇고. 결국 1인당 성장률을 보면 한국은 2% 수준으로 생산성은 별 문제 없음. 결국 전기요금, 최저임금 등 비용증가 압력이 사람들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의 원인인듯.
@user-ku7se4sb8o
@user-ku7se4sb8o 19 күн бұрын
@yikwonjang2978
@yikwonjang2978 17 күн бұрын
전 세계 시민들이 인플레이션으로 힘들어 하는데 왜 한국사람들은 자기 나라만 그렇다고 생각하지? 미국 영국 중국 등 평범한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이 때문에 허리띠 졸라매고 있음
@user-nu8po8sb9o
@user-nu8po8sb9o 18 күн бұрын
자본주의 시대의 자연스러운 현상! 그래서 노동의 종말이 왔다는 말이고 그 말의 의미는 자본주의는 곧 노동(노예)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이제 다가올 시대는 어떤 시스템일까?
@hyh5604
@hyh5604 18 күн бұрын
자본주의 시대는 끝났다
@owleyez
@owleyez 16 күн бұрын
가치저장은 유지됩니다. 다만 그 대상이 계속 옴겨갈뿐.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대다수가 굶는 시대가 오겠죠 ㅋ
@min-sukim2404
@min-sukim2404 14 күн бұрын
외환위기 겪으며 기반이 되는 인구 가정 사회연대 모든게 무너졌는데 그거 복구할 생각은 안하고 서로가 사기꾼이 되어서 한건 하려고만 하니 잘될턱이 있나..
@01l21
@01l21 7 күн бұрын
사회적 연대가 거의 제로인거 같습니다
@ddadngddd
@ddadngddd 18 күн бұрын
소득은 그대로인데 4명이서 삼겹에 소주한잔하려고해도 20만 나온다. 지인들끼리 삼겹에소주한잔 하기도 매우부담스러운 시대다
@user-ei6qf1nr6k
@user-ei6qf1nr6k 18 күн бұрын
2찍한 죄 달개들 받으면 됨^^
@paulyun3052
@paulyun3052 18 күн бұрын
그정도면 거의 뉴욕 한식당 수준인데?
@Haritage
@Haritage 17 күн бұрын
@@user-ei6qf1nr6k문재앙이 망친 경제 스노우볼 구르는건데 능지 낮은 1찍은 이해 못할것.
@oncoffee9733
@oncoffee9733 17 күн бұрын
@@paulyun3052뉴욕은 인금 오름 한국은 안오름
@johnkim8147
@johnkim8147 17 күн бұрын
1찍한결과
@user-oc6de3xx8l
@user-oc6de3xx8l 18 күн бұрын
올해는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1분기만 1.3% 성장이라던데... 이미 지난해 1.4%에 가깝게 성장했다고함..
@user-rd8md8mq6v
@user-rd8md8mq6v 19 күн бұрын
원화약세로 수출은 늘겠지만 내수가 박살날 것이다. 이 모든 게 멧돼지 부부덕분이지,,,, 감사합니다.
@user-oo1mb3xo3h
@user-oo1mb3xo3h 19 күн бұрын
엔화, 위안화 도 약세라... 수출 경쟁에 큰 도움이 될지 그것도 걱정 입니다 ㅠㅠ
@mkkang4115
@mkkang4115 19 күн бұрын
좋아~! 빠르게가~~~!
@damasamigo
@damasamigo 19 күн бұрын
네네 좋빠가 콜이요~~~♡
@user-ci5gz9to2j
@user-ci5gz9to2j 19 күн бұрын
부의양극화가 더 심해지는거같아요 자산없는사람들은 식비줄이고 끼니수 줄이고 힘드네요 돈이 안 모이니.ㅡ
@user-uj7uy7ut3z
@user-uj7uy7ut3z 18 күн бұрын
아무리 양극화가 심해도 조선시대때 보다는 낫다! ㅋㅋ 힘든척좀 그만해라! ㅋㅋ
@user-mg6iv2me9df
@user-mg6iv2me9df 17 күн бұрын
​@@user-uj7uy7ut3z미친 그럼 2024년인데 조선시대처럼 사냐? 뭔 개소리야
@godhamu
@godhamu 16 күн бұрын
조선사람임? ​@user-uj7uy7ut3z
@user-wz3yl6kj9o
@user-wz3yl6kj9o 16 күн бұрын
​@@user-uj7uy7ut3z과거에서 왔냐?
@deniskil9233
@deniskil9233 16 күн бұрын
@@user-uj7uy7ut3z이런 댓글 다는 놈들은 애초에 부모가 잘못 키운 놈이니 그냥 그러려니 한다. 사회에 어울리지도 섞이지도 못하는 밥만 축내는 존재지
@amerigooo432
@amerigooo432 18 күн бұрын
미국이 발표한 최근 지료를 보면 상위10%가 전체 자산의 73%를 갖고 있던데 이는 상위 20%가 소비하는 것으로 미국의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고 하위 80%는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지속적은 경기침체 상황을 벗어나지 못 하며 지내야 한다는 것. 우리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상위10%가 70%는 갖고 있지 않겠나 합니다.(10여 년 전, 발표한 자료에서 양극화 심각성을 우려하며 66%라고 본 기억이 있다)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18 күн бұрын
👍🏻
@zinoos4724
@zinoos4724 19 күн бұрын
2020년대. 2% 2030년대. 1% 2040부터. 마이너스 성장. 한국은행 발표. 환율 안정되면 한국의 주식 부동산 정리하고 미국으로 옮겨라. 근데 금리를 보면 환율이 안정될까 모르겠네.😂
@user-tm6sf7ej7h
@user-tm6sf7ej7h 13 күн бұрын
전국 폐업율 : TOP 1 -> “ 대구 ” ㄴ 전국 입금 : 최하위 2위 -> “ 대 구 ”
@user-pz9iy5qi8q
@user-pz9iy5qi8q 19 күн бұрын
대외리스크가 전부인것 맞나요? 국제정치 포지션을 잘못잡아서 이러한 문제를 일으켰고 대응 못하고 있는 것 아닌가요?
@user-ed3to8mj7h
@user-ed3to8mj7h 16 күн бұрын
한국은행은 2024년 1분기 한국 실질 GDP 성장률 속보치가 1.3%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는데요.
@user-id8oy3uh3v
@user-id8oy3uh3v 13 күн бұрын
"제조업은 한국에서 접어야 맞습니다"라는 말이 왜 나오죠? 이런 말씀을 하는 사장님의 마음은 어떨까요? 정부에서는 깊은 성찰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대한민국을 사랑하고 후손들을 사랑하는 정상적인 사람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인구소멸 중인 대한민국~~
@user-qj4dt9ny4b
@user-qj4dt9ny4b 13 күн бұрын
잘되길빕니다 힘내시길
@user-on4qz4pb2r
@user-on4qz4pb2r 18 күн бұрын
기축통화국 미국,영국,베트남에 수십 수백조 퍼주고, 재벌은 멧돼지가 법인세 등 70조를 깍아 금고에 돈이 차고 넘치고, 은행은 예대금리 마진율로 배터져 죽고, 대출자들은 은행의 빨대가 되어 먹고죽을래도 먹고죽을 돈이 없습니다. 은행은 예대금리 마진율로 배터지고, 대출자들은 은행의 빨대가 되어 먹고죽을래도 먹고죽을 돈이 없습니다.
@billionairesinsightrow5801
@billionairesinsightrow5801 18 күн бұрын
그럼 그만 살아.. 왜 징징거려... 니네 부모가 문제네.. 유전자가 구리니까 그러고 사는거아냐?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18 күн бұрын
😭👍🏻
@user-cc4co1dr4w
@user-cc4co1dr4w 19 күн бұрын
92년도? 그때가 정말 살기 좋았던거 같음 월급은 지금보다 150?정도 적은거 같은데 체감물가는 10분의 1인듯
@heejuneAhn
@heejuneAhn 18 күн бұрын
사실 먹고사는 거는 지금이 그때 보다 훨씬 낫지만. 기대 수준이 엄청 높아 졌고, 앞으로 좋아진다는 기대는 하나도 못하니 우울한거죠.
@user-uj7uy7ut3z
@user-uj7uy7ut3z 18 күн бұрын
2천년 초반때도 좋았음!! 2002년 월드컵때 오졌지!! 국민들이 대부분 자신감이 최고조였거든 ㅎ
@QuadCortex
@QuadCortex 15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최전성기가 1990~ imf 전임
@MYUNGHOKIM-zc7po
@MYUNGHOKIM-zc7po 19 күн бұрын
키 비유는 이상한데여?
@ttkk9040
@ttkk9040 19 күн бұрын
이제 장사는 안하는걸로...
@user-ip4li7bt8b
@user-ip4li7bt8b 17 күн бұрын
깔아줘서 고맙다! 모두들!
@jj4814
@jj4814 15 күн бұрын
다들힘들다하지만 근린상가주택 월세방에서 크로플 시작해서 2년만에 지금 어마어마한 기세로 크로플 반죽공장차리고 프랜차이즈차린 아가씨도 있는데 먹거리 장사를 다들 재료비 너무 아끼려하다보니 그리고 그나마 그재료도 너무 부실하다보니 망하는 것임
@HFCKOREA
@HFCKOREA 5 күн бұрын
맞아 손님이 많이 먹을까봐 벌벌 떨며 재료를 아낀다 ㅋㅋㅋㅋㅋ 김치도 침범벅 재활용하는 패기의 자영업자들
@wavering8554
@wavering8554 15 күн бұрын
성장률도 성장률이지만 부의 분배가 문제다!!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분배? ㅋㆍㅋ 그건 국민 개개인이 알아서 하는것임
@01l21
@01l21 7 күн бұрын
기업의 이윤은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노동자에게 소득분배는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건 문제가 맞습니다. 양극화가 심해지고, 사회의 혼란이 생기는 원인이 됩니다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7 күн бұрын
@@01l21 적게 보면 자영업, 중소기업 다 망해자빠지는데 어디가 소득이 늘어단다는것인지 ㅋ 현 우리나라서 소득이 크게 늘어나는것은 부루즈아노동자 계층이여 흔히 은행,공기업노조 또 큰 임금을 줄수 있는 대기업 이런곳이지 최저 같은거 아무리 쳐 올려도 을과 을의 싸움이고 즉 최저층만 늘어나서 물가가 응징한다는 것이여 ㅋ 그넘이 분배 개같은 말 할려믄 북한가서 살아라
@user-f9ej36ofqj
@user-f9ej36ofqj 19 күн бұрын
5:45 슬프지만 현실...
@user-ez5ks9kx5b
@user-ez5ks9kx5b 19 күн бұрын
자원빈국 대한민국 기업가정신이 대접받는 시회분위기 조성되어야 합니다
@user-kl2qr9pl4z
@user-kl2qr9pl4z 19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산유국입니다. 자원빈국이니 자원은 사람 밖에 없다느니 이딴 개소리는 기득권이 싸지르는 가스라이팅이에요. 그래야 지들이 다 해 처 먹으니까요.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끈났다고 봐야죠 ㅋ 대접? ㅋㅋ 자영업, 기업인들 이제는 동급을 떠나서 하층민으로 봅니다. ㅋㆍㅋ
@user-zn6we3rz6w
@user-zn6we3rz6w 16 күн бұрын
계속 전쟁이 터지고 있어서 금리 안 내려감 지금은 빚 안지고 현금 모으는게 알짜배기다
@emerpus87
@emerpus87 19 күн бұрын
지정학적, 인구감소, 정부의 방향성, 인재유출. 뭐 사실상 끝난거지. 나락만 남아있을뿐.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그래도 1찍들은 신나 하던되요 ㅋ 허긴 처음부턴 가진건 쥣뿔도 없는것들이니깐 ㅋㆍㅋ
@user-hn3hm9eq1z
@user-hn3hm9eq1z 18 күн бұрын
2년통치에 나라가 수직낙하라니
@user-bz8hl5xo1v
@user-bz8hl5xo1v 18 күн бұрын
다른 놈이하면 달라질거 같니?그놈이 그놈이야 착각하지마라
@user-fi4ok5lh2q
@user-fi4ok5lh2q 15 күн бұрын
문재인이 부동산 두세배 올려서 부자가 더욱 부자 될때는 좋았나봐?
@donlee4105
@donlee4105 14 күн бұрын
너같이 갈라치기 하는인간들이 없어져야함. 너같이 혐오를 선동하는애들은 그대상이 없어지면 또다른 대상을 찾지.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재명이가 대통 되어서 어떻게 하는지 보고 싶넹 ㅋㆍㅋ 기본소득, 주택,대출 공약인데 이런거 그대로 했다간 정직한 물가가 가만히 안나둘것인데 ㅋㆍㅋ
@sunlee2213
@sunlee2213 9 күн бұрын
?? 정확히 17년도부터입니다
@user-iw3lb4hq8r
@user-iw3lb4hq8r 17 күн бұрын
소득주도 성장으로 급격히 최저시급을 올리면서 시작되었다!
@user-ms4ym7ym6p
@user-ms4ym7ym6p 17 күн бұрын
최저시급도 못 줄정도면 사장님 소리듣지말고 너도 공장을 나가
@asdfmpml
@asdfmpml 17 күн бұрын
@@user-ms4ym7ym6p 근데 진짜 유례없이 급격하게 올리긴함 이창용 총재도 언급하긴했음
@user-wz3yl6kj9o
@user-wz3yl6kj9o 16 күн бұрын
니자식도 최저임금 받고 일해라
@yjh3588
@yjh3588 10 күн бұрын
반갑습니다. 대부분에 직장인님들께서요. 소비 수준을 줄이셔서요. 점심밥은 싸셔서 가지시고 다니시면요. 지구 환경에 도움이 되고요. 적게 쓰며 사시면 삶이 더 맘에 드실겁니다. ^^ 고맙습니다. ^^
@01l21
@01l21 7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조금의 낙이 있어야 하는데, 외식을 해도 햄버거만 먹게되는 상황은 많이 아쉽네요. 허리띠 졸라매도 희망이 생기는게 아닌 보릿고개 같습니다
@one_show1
@one_show1 8 күн бұрын
청년들한테 돈좀많이줘라제발 밥먹을돈도없고 취업도안되고 미치겠다!!!
@hodonchoi9372
@hodonchoi9372 18 күн бұрын
투잡을해야 여유가생기기 시작함.
@user-bk7um2pe1k
@user-bk7um2pe1k 18 күн бұрын
3잡으로 겨우 버티고 있어요~!!
@user-oq2fc4jx8t
@user-oq2fc4jx8t 13 күн бұрын
덜힘든것임 포잡 하게 될것임
@danielhong153
@danielhong153 18 күн бұрын
2:23 내수 회복? 지금 현실에선 굉장히 낯선 단어다.
@user-zw4wv2li5u
@user-zw4wv2li5u 18 күн бұрын
너도나도 자영업하니까 그런겁니다. 말이 자영업이지 실패확률 99%
@jasmin-fn8xu
@jasmin-fn8xu 19 күн бұрын
빨리 지방분권 강화시켜서 서울처럼 좋은 도시들이 지방에도 여러개 만들어야함 안그러면 우리 경제 저성장에 고립만 됨
@mjk6373
@mjk6373 18 күн бұрын
​서울부심 작작부리라
@user-ju3np4dp4k
@user-ju3np4dp4k 18 күн бұрын
어리석은 사람은 평생 남 핑계만 대다 시간 보내죠 지혜로운 사람은 변화하는 사람입니다
@user-xo2pd1ux6t
@user-xo2pd1ux6t 14 күн бұрын
죽을 놈은 죽고 살아남는자는 살고 균형이 이루어 지지 않는한 극심한 실업구조의 늪은 깊어만 갈것입니다~저임금 고물가 시대의 삶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겠지요~9층 에서 많이 투신 하는 가정은 점점 많아지겠지요!!
@user-kl6mx2rq2p
@user-kl6mx2rq2p 18 күн бұрын
평균의 함정에 속지말자
@user-cl7gh7kv5m
@user-cl7gh7kv5m 18 күн бұрын
참ㆍ갈수록더힘든다어떠게전쟁이나
@hongjoseph9062
@hongjoseph9062 16 күн бұрын
제조업은 한국에서 접어야 맞습니다. 이 말이 진짜 현장 가면 팩트로 느껴짐
@user-zm2wv7ch8t
@user-zm2wv7ch8t 19 күн бұрын
가진 사람이 끝없이 가지려 하기 때문이고 사회복지가 미흡도 있고 성장과 일자리의 늘어나는 건 옛말이 되어버렸어요
@user-hc9cp3kq9t
@user-hc9cp3kq9t 2 күн бұрын
애를 갖지마세요 그럼 천국입니다
@user-mp7sr5kj4t
@user-mp7sr5kj4t 19 күн бұрын
여의도나 광화문 가보면 장사잘되던데??
@hyh5604
@hyh5604 18 күн бұрын
언젠는 장사가 잘된적이 있어나 늘 그렇지
@user-mk6dd1jj1e
@user-mk6dd1jj1e 19 күн бұрын
한국이 G5로 진입하려면 남북통일이 선행 또한, R&D를 5%+@=7% 이상 투자로 첨단기술을 확보한다 @는 새로운 조세와 절약한 예산 디지털세,AI세,아바타세,로봇세, 드론세 등
@user-oo1mb3xo3h
@user-oo1mb3xo3h 19 күн бұрын
남북 통일은 인정하지만, 그 전에 세금 도둑 먼저 잡아야 할 것 같아요... 통일이 되든 먼가 혁신 산업을 이루던 슈킹 하는 놈들이 얼마나 해 먹겠습니까 ㅜㅜ
@user-bl6sy5tr2t
@user-bl6sy5tr2t 16 күн бұрын
한국이 GS25로 통합되면 좋을듯
@user-zw4wv2li5u
@user-zw4wv2li5u 18 күн бұрын
저성장이고 고성장이고간에 서민은 항상힘들다. 열심히돈벌어서 서민에서벗어나는수밖에없다!
@Julie69_69
@Julie69_69 13 күн бұрын
슈카월드랑 oecd 5월 발표보니까 2.6이던데?
@user-gz5md3sw1m
@user-gz5md3sw1m 19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운전사가 지금 누구인고
@user-ty8uz3fs6j
@user-ty8uz3fs6j 19 күн бұрын
문재인이 절벽앞에서 석열이 넘겨줌ㅋ
@user-nf1gt3bk6f
@user-nf1gt3bk6f 18 күн бұрын
매년 백만명 대은퇴의 시대 모든것이 달라진다
@datazerobio7260
@datazerobio7260 15 күн бұрын
매분기 1.4씩성장하면 1년동안은 5프로이상 성장하는것아닌가요?
@dogcrazy8864
@dogcrazy8864 12 күн бұрын
그냥 인정하고 수준에 맞게 살면됩니다.
@jj4814
@jj4814 15 күн бұрын
업체명 나가야 주문도 받지 참 어이가 없네요 소매로 비싸게라도 소량씩 파세요 판로를 다양하게 하세요 참....
@user-yb8up7ql4r
@user-yb8up7ql4r 19 күн бұрын
엑시트 고민중
@user-ed3to8mj7h
@user-ed3to8mj7h 16 күн бұрын
이는 지난 2021년 4분기 1.4%를 기록했던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경제성장률입니다
@substance515
@substance515 19 күн бұрын
서울공화국
@mjk6373
@mjk6373 18 күн бұрын
관습헌법
@Uvho
@Uvho 18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온라인 2038년 섭종 확정
@user-nd1kg9hz8b
@user-nd1kg9hz8b 17 күн бұрын
경제/부동산/내수소비 이 모든건 출산율이 기반이다. 그거하나만 해결해도 반등에 기회는올텐데....
@cleanjin1
@cleanjin1 18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은 소멸 될 듯....
@seungaeng
@seungaeng Күн бұрын
정치인들이 문제다 민생, 경제, 미래는 안 보고 당장 자신들의 이익과 표만 생각하니 이 나라는 이제 미래가 없다
@user-sg6ec9io8i
@user-sg6ec9io8i 16 күн бұрын
이래도 인천공항가면 사람 엄청 많은데
@sunlee2213
@sunlee2213 9 күн бұрын
일본 동남아 가는 사람들
@dd_98
@dd_98 19 күн бұрын
성장판 닫힘?
@sungjoonahn6968
@sungjoonahn6968 12 күн бұрын
구조조정이 하나의 방법이라고 봅니다. 본인들 스스로가 구조조정되어서 소득을 올리지 못하면 구조조정이 끝난 곳으로 재취업해서 좀 더 확율이 높은 수입을 얻어야한다고 봅니다.
@user-dn3bg3qs2x
@user-dn3bg3qs2x 18 күн бұрын
민노총 한노총 더불어 임금상승 매년 주도하니 경기가 어렵다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18 күн бұрын
근처 논밭에서 난 작물을 모조리 걷어가 곶간에 쌓아둔 대감댁 대감나리 때문에 힘들어도... 절대 대감나리한테는 못대들고 대감댁 종놈탓만 하지... 암만 😅
@user-dn3bg3qs2x
@user-dn3bg3qs2x 18 күн бұрын
@@peaceful_world5 ㄱㄷㄱㄹ
@user-wz3yl6kj9o
@user-wz3yl6kj9o 16 күн бұрын
거지가, 부자걱정하는 2찍들
@Kyim007
@Kyim007 11 күн бұрын
독일이 강한 이유는 제조업과 기술력이 같이 공존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교육열이 높아 high tech 을 지향하고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 제조업도 같이 강해야지. 한국뿐만이 아니라 그렇게 전셰계가 중국의 제조업을 키워주고 싼 물건을 사다 써서 문제지. 이건 국가적인 미래 산업으로 전반적인 제조업을 계속 지원하되 " high tech: 상품 위주로 제품을 개발할수 있도록 하고 수출할수 있도록 해야지. 중소기업들이 살아야... 돈이 돌지.
@geneeu6098
@geneeu6098 4 күн бұрын
독일이 강한 이유? 독일도 일본, 한국처럼 제조업 중심의 한계가 오면서 성장력 둔화되고 꼬꾸라지려던 찰나에 eu와 유로 통합으로 가격 경쟁력이 확 올라가면서 가능했던 거지 어디 뭐 독일 제품은 말도 안되는 고성능 고퀄리티라 그런 게 아님 그리고 이제 그 대단하다는 독일차는 전기차 경쟁에서 완전히 도태되서 그 중국한테도 처발리고 하이브리드에서는 도요타한테 쨉도 못하는 게 현실
@user-dm8wo5sl5n
@user-dm8wo5sl5n 15 күн бұрын
정치인들이 서로 보듬어 주고 서로 서로 다 챙겨 먹지 않나 ? ?
@user-lb2jd6lw4t
@user-lb2jd6lw4t 18 күн бұрын
뉴노멀 시대 온거지 뭐.. 씁쓸하다
@user-ku7bq1uk2i
@user-ku7bq1uk2i 19 күн бұрын
우리도 고금리 유지해야함 8퍼정도ㅜ가 적당한
@user-bn5vy2ni5k
@user-bn5vy2ni5k 12 күн бұрын
ㅎㅎ 댓글보니 전문가 분들이 참 많은게 이 나라 걱정이 1도 안됩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8 күн бұрын
상속세도 엄청 많이 내게 해서 기업을 키울 필요도 없는 거죠. 부자들이 한국을 떠나는 이유.
@ByungXin_of_Dead
@ByungXin_of_Dead 11 күн бұрын
제조업 수출 주도형 국가의 말로는 보통 비슷하다...
@user-ku8xz2id3k
@user-ku8xz2id3k Күн бұрын
😢
@rollbear327
@rollbear327 18 күн бұрын
힘들다고 하지만 세계 명품구매 1위, 해외여행 중국일본보다 더 많이 가고 있는 한국. 상위 10프로는 어떤 국가보다 행복한 나라임. 불법과 범죄로 자본을 부풀려도 죄가 안되고. 개돼지들 부려먹어도 얌전하고. 이렇게 살기 좋은 나라가 어디있음?
@user-zr5vi7ed8e
@user-zr5vi7ed8e 18 күн бұрын
두창아~~ 고맙다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Normal vs Smokers !! 😱😱😱
00:12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116 МЛН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