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탈출 - 청년을 잃어버린 도시 [풀영상] | 창 467회 (KBS 24.05.28)

  Рет қаралды 359,840

KBS시사

KBS시사

28 күн бұрын

■ 청년이 울산을 탈출한다
울산은 광역시 타이틀을 반납할 운명에 있다. 인구가 줄어서다. 1997년 100만을 넘어 광역시로 승격됐다. 2015년 정점(117만 명)을 찍었다. 이후 내리막이다.
2023년 현재 110만 명, 정점 대비 7만 명이 줄었다. 인구추계상으론 2040년이면 97만 명이다. 더 이상 광역시가 아니게 될 수 있다.
청년이 떠나서다. 인구가 정점을 찍은 2015년부터 청년(15~34세) 유출은 시작됐다. 1년 동안 7천 명 넘게 떠난 적도 있다. 그렇게 4만 8천 명이 떠났다. 전체 인구감소의 70%가 청년 유출이다. 이 정도면 ‘울산 탈출’이다.
자동차와 조선과 화학 산업을 모두 가진 부유한 도시 울산, 부동의 GRDP(지역총생산) 1위 도시 울산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 정규직이 없는, 여성이 꿈을 실현할 수 없는 도시
이제 울산에 생산직 중산층 성공신화는 없다. 울산을 대표하는 두 기업 현대차와 현대중공업은 더 이상 생산 정규직을 뽑으려 하지 않는다. 촉탁직과 하청 노동자만 늘어난다.
연구개발 일자리도 수도권으로 빨려간다. 주요 대기업의 공장은 울산에 남되, 연구개발, 글로벌 비즈니스 부문 등 고부가가치 부문은 그렇게 울산을 떠난다. 전문가들은 울산의 ‘생산기지화’를 전망한다.
무엇보다, 울산은 여성이 자립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지 못했다. 변화하지 못한 산업도시는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선택하려는 여성에게 일자리를 주지 못하고 있다. 1997년 50%이던 20대 여성의 비율은 2023년 43%까지 떨어졌다.
청년은 그런 울산에 머물 수 없다. 그래서 울산을 탈출한다.
■ 이것은 대한민국 전체의 문제
재생산이 불가능한 도시, 처음에는 울산이라는 지역의 우울한 미래만 보일 것이다. 그러나 더 깊이 들여다보면 ‘산업수도’ 울산마저 버티지 못하는 지역 소멸의 거대한 중력이 보인다.
청년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을 향한다. 그들은 경쟁을 하느라 결혼과 출산을 미룬다. 아이가 태어나지 않는다. 악순환은 반복된다. 인구학자는 ‘지역 청년의 수도권 이동’이 저출생의 가장 근본적 이유라고 일갈한다. 경제학자는 저출생이 대한민국 미래를 집어삼킨다고 한다.
그러니까 지역소멸과 저출생이 한 몸으로 얽혀 순환한다. 수도권 집중이 청년을 빨아들이고, 지역을 빨아들이고, 대한민국의 미래도 빨아들인다.
[울산탈출]에서 보아야 할 것은 바로 이 거대한 순환이다. 이 순환의 첫 단추인 ‘울산탈출’을 멈추지 않으면 대한민국에 미래는 없다.
#울산 #청년 #저출산 #여성 #중공업 #현대 #자동차 #조선 #화학 #지역 #위기 #지역소멸 #미래 #인구 #수도권
방송예정일: 2024년 5월 21일(화) KBS 1TV, 22:00 [시사기획 창] 울산탈출 - 청년을 잃어버린 도시
취재기자: 서영민
촬영기자: 임현식
영상편집: 이종환
자료조사: 정이서
조연출: 진의선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news.kbs.co.kr/vod/program.do...
유튜브 / @kbssisa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Пікірлер: 2 000
@user-hy6bt4ks5l
@user-hy6bt4ks5l 26 күн бұрын
왜 탈출하는줄 아냐? 울산은 사무직 일자리가 대부분 계약직, 용역이고 생산직 어느 대기업이든 인맥(줄) 있어야 정규직 or 사내하청 입사되고 ["우리가 남이가...?, 우리끼리..."] 그 (줄) 마저 없는 애들은 비전없는 250 언오바 2차 3차 맞교대 생산직 굴러야 되는데 누가 하냐? 중견, 대기업, 공공 사무직, IT 준비하는 애들은 수도권이나 서울로 가야 그나마 입사할수 있고 먹고 사는데 확률 없는곳에 있겠냐? 그리고 장사? 자영업? 울산 인구 꼴랑 100만에 그 100만도 울주군 22만 떼어버리면 답도 없고 ㅋ 지도상에서 울주군 떼어내면 그냥 깡시골 도시지 ㅋ (솔직히 울주시, 동구 방어시, 그 외 울산군, 읍, 면으로 바꿔야됨 ㅋ) 대기업 생산직 부모 삥뜯어서 자영업 시작해도 월세는 서울만큼 개비싸지, 물가도 존내 비싸요. (명동 다음 비싼곳이 삼산동 나팔꽃 사거리) 유동인구가 있냐? 평일에는 파리 풀풀 날리지 성공하는 자영업 극소수고 매출 마이너스 지속하다가 폐업수순 자영업 대다수인데.ㅋㅋ 울산에서 자영업 차릴돈으로 인구수 많고 관광지인 수도권이나 주변 부산, 대구 가서 오픈하는게 생존 가능성 높음.ㅋㅋ 대중교통도 전국 최악 지옥이다. 차 없으면 울산에서 살기 개헬임. 대기업 몰린 온산공단 대중교통 출퇴근은 불가능이라 보면됨.ㅋㅋ 몇년전 울산시 대중교통 담당자가 방송에 나와서 한다는 소리가 "울산 시내 1시간 안에 버스타면 다 가잖아요?" 이딴 개소리나 지껄이고 지하철은 "가스배관 때문에.. 안됩니다." "안전성 때문에... 안됩니다" "토지기반이... 약합니다" 어느 누구 하나 긍정적인 소리 하는 사람 없음 맨날 부정적인 멘트만 처함. 버스 하나 놓치면 15분 20분 그냥 날라가고 특정 지역 갈려면 30분 40분 버스 대기는 기본이고 울산역 KTX 이용할려면 리무진 버스타고 30분~40분 가야됨. 서울 가려면 ktx 2시간 30분+리무진 버스 30분 기다리는 시간 10~20분, 총 3시간 30분 잡아야됨.ㅋㅋ 참고로 시외버스 타고 동서울 가는데 4시간 20분 ㅋㅋㅋ 근데 가격은 KTX 더 비싸 머하러 울산역 만듬?ㅋㅋㅋㅋ 그냥 울산역 만들지말고 부산-서울가는 사람들 시간이나 줄여주지. 그렇다고 문화 여가 생활할게 있나? 맨날 구닥다리 30년 된 백화점 하나 있는 시골 성남동 시내 명랑핫도그 물고 왕복구경 15분 태화강 국가정원 가서 대나무, 흙 냄새 좀 맡고 삼산동 업스퀘어 한바퀴 돌고 CGV영화보고 (아이맥스 상영관있는건 +1점 준다) 목화 예식장 뒤 술집가서 술빨거나 고기나 치킨 먹고 배만 채우고 일산지 출렁다리 걷고 커피나 한잔 먹고 오는게 끝인데 참고로 유흥업도 개창렬도시 ㅋㅋ 예전 삼산 본동라인에 있던것도 다 없어지고 있음ㅋㅋㅋ 정치인들도 선거때만 되면 기어나와서 "만들겠습니다" "발로 뛰겠습니다" 말만 시부리고 당선되고 바로 잠수탐ㅋㅋ 그 뒤로 뭐하는지도 모르겠음. (20년 내도록 지켜봐도 한결같이 똑같음) 다른 광역시는 뭐든 공약하고 만든다고 하면 3~4년이 안걸리는데 울산은 "심의중" " 협의중" "예산확보 실패" 울산시청에서 회의만 100번은 더하는듯 너네들 의전용 과자, 음료수 값, 교통비가 더나오겠다 ㅋㅋㅋ 허송세월 10년~20년~흐르거라 시간아~ 이번에 복선전철도 세월아~네월아~ 20년 걸렸다. 복선전철도 어디 울산시내로 다니냐? 부산 방향 외곽행 전철에 편도 1시간 20분 걸리는데 시외버스 타고 부산 가는게 훨 빠르것다 ㅋㅋ 시내로 다니는 트램 1~3호선 만든다며? 말이 좋아서 2026년 착공이지 2030년은 되야 1호선도 겨우 착공할거다 .ㅋㅋ(울산 행정 전통적인 특징인데 뭐 만든다고 하면 삽 으로 흙 뜨는거 확인하고 +2~3년 더 걸린다고 보면 됨ㅋㅋ) 그리고 트램도 그래 인구수 제일 많고 버스노선 제일 많이 다니는 곳에 1호선 놓는다며? 에휴...ㅉㅉ 나중에 도로 아주 가관이겠다. 차 밀려서ㅋㅋ 또 서울 다음으로 국가 세수확보 2위 도시인데 세금 걷어들이는거 다 중앙으로 가서 다른데 쓰이고 울산은 먹다 남은 찌끄레지 예산 주고 그럴거면 울산을 대한민국에서 독립시켜라 ! ! 박정희가 국가지갑도시로 만들어서 50년 세수 뽕뽑아먹었으면 됐지 얼마나 더 뽑을래? 멀쩡한 세금내는 울산 시민만 피해본다. 아파트도 그래 솔직히 옥동쪽 라인 빼고 제테크할 아파트나 있냐? 호가 실거래가 장난질 하는거 빼고 ㅋ 요즘은 옥동도 10억씩함ㅋㅋㅋ 촌구석 지방 광역시가 10억.억.억.엌ㅋㅋㅋ 말이냐 글이냐? 그리고 아파트 공법이나 디자인도 수도권이나 다른 광역시는 외관도 신공법쓰고 내부구조랑 인테리어 세련되게 뽑는데 울산에 짓는 아파트는 맨날 7~8년전 구닥다리 외관+구조+인테리어 컨트롤 C 컨트롤 V 하고 아파트 외벽 메이커 빼면 다 똑같이 생김 ㅋㅋㅋ 또 울산은 전형적인 남초 도시인데 여자들 눈은 존내게 높음. (다 그렇다는건 아니고ㅋㅋㅋ) 지들은 기껏해야 용역 경리나 200따리 비정규 월급 받으면서 남자가 대기업 생산직 정규직 아니거나 아파트 한채 안가져오면 인간취급도 안한다 ㅋㅋ 왜냐? 지들 아버지는 현차, 정유사, 중공업, 화학회사 억대 연봉자들인데 왜 내가 만나야 되는 남자는 이거 밖에 ? 이해가 안되는거지 ㅋㅋ 반대로 본인 집안 가난하면 대기업 생산직 만나서 빨대 꽂을 생각만 하는 여자들도 더러있음 ㅋㅋㅋ (무한 소개팅 호구하나 걸려라 얍!!) 오죽하면 직장인 블라인드 앱에는 울산, 여수, 거제, 포항 여자는 거르라는 말이 틀린말이 아니다.ㅋㅋㅋ 그런데도 누가 살음? 앙??
@user-jy2gt3bn7x
@user-jy2gt3bn7x 26 күн бұрын
좋아요를 한번밖에 누를수 없다는게 아쉽다
@official_qkrwhdgur
@official_qkrwhdgur 26 күн бұрын
도망친곳에 낙원은 없다는게 문제
@MMountain_kim
@MMountain_kim 26 күн бұрын
와 그만 후드려패소 ㅋㅋㅋㅋㅋㅋ
@pachioel9852
@pachioel9852 26 күн бұрын
팩트묵직하네
@GOMPANG2_ILBE
@GOMPANG2_ILBE 26 күн бұрын
개똑똑 ㅋㅋㅋ 통찰분석 지림
@ksi2123
@ksi2123 26 күн бұрын
지방 청년들이 떠나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둥지는 있는데 먹을게 없다... 저도. 대학졸업하고 강원도 고향 떠난지. 20년 넘었으니깐요...먹이가 있는곳으로 이동하는게. 동물이나. 인간이나 당연한것 같다
@user-ln4xp5gm7r
@user-ln4xp5gm7r 26 күн бұрын
대다수 지방에서 받는 200ㅡ300도 그냥 받아도 우째우째사는데 그러면 그만큼 덜 부려먹음되는데. .뼈째 갈아먹으려면서 월급은 200...그러니 나가는거지
@ulsanbsk708
@ulsanbsk708 26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에 제일 엿같은 근무환경 중 하나인게 사내 하청임. 상식적으로 기술적 협력업체인거 제외하고 인건비 하청은 못하게 막아야함
@user-bj9iy6db1i
@user-bj9iy6db1i 25 күн бұрын
이게 너무 많지 울산은 구인공고보면 저렇게 아웃소싱 ㅈㄴ많음 업체끼고 일하는 그럼 중개비로 걔네는 앉아서 돈버는 거 맨ㅍ워 위ㄷ인 ㅋㅋㅋㅋ
@user-bj9iy6db1i
@user-bj9iy6db1i 25 күн бұрын
사람사는 어쩌고 인가 삼양사 설탕공장 인력하청 있던데 월급에 비해 일이 힘들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구인공고 맨날올라옴 ㅋㅋ
@user-xz2en7wr5o
@user-xz2en7wr5o 23 күн бұрын
현대차 생산직이 줄어드는데는 기술의 발전도 있겟지만 노조도 한목햇겠지 말로는 본인들이 노동자를 대변하는것처럼 말하지만 본인들 이익 외에는 아무 관심이 없음
@user-dk4jd4uk8r
@user-dk4jd4uk8r 23 күн бұрын
현대차 사내하청이라도 들어가고싶다
@modu-modu
@modu-modu 21 күн бұрын
현장에선 소사장제라고 부르는데 이건 완전 원청이 저임금으로 노동력 착취하려고 만든 제도이고, 하청업체는 착취당하더라도 일단 살겠다고 아둥바둥 거리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임.
@user-ly4zo5zw8o
@user-ly4zo5zw8o 26 күн бұрын
청년을 잊었는데 잃을 수 밖에 ㅋㅋ
@user-tu3yn1qx7o
@user-tu3yn1qx7o 24 күн бұрын
노동조합 ㅋㅋ 문한테 물어봐 ㅋㅋ
@sung.1212
@sung.1212 23 күн бұрын
민노총 늘그니들 청년 신입 정말 싫어함 늘그죽을때까지 일은 하고 십고 ㅋ 사람 채용하기 시른 회사랑 콜라보
@user-px7rg7qk9j
@user-px7rg7qk9j 22 күн бұрын
이미 청년들 싹 다 나갔어ㅋㅋㅋ 희망 없어
@userganada
@userganada 21 күн бұрын
@@user-tu3yn1qx7o 노동조합이 시급만든건가봐? ㅋㅋ
@userganada
@userganada 21 күн бұрын
@@sung.1212 아 민노총이 회사운영하나보네?? 처음알았다 ㅎㅎ
@Iwanttodosomethingmeaningful
@Iwanttodosomethingmeaningful 23 күн бұрын
정말 소름 돋는 건 아무도 해결책을 못 내놓는다는 것. 울산의 정치인들은 아무도 이런 일에 관심이 없다.
@dtqls53
@dtqls53 24 күн бұрын
울산에서 나고자랐고 대학도 울산에서 나온 여자입니다. 울산에서 직장 가지고싶었습니다. 울산엔 정말 ..여자들이 돈 많이 벌 수있는 괜찮은 정규직 사무직자리가 없어요. 지금 울산에 남아있는 여자 친구들은 공무원이거나 공공기관에 근무하거나 은행원, 학교 교직원이 전부입니다. 그게아니면 자영업이죠. 지방이전으로 울산에 있는 공공기관도 석유공사 제외하고는 인력공단 근로복지공단 등 돈 공무원 수준으로 받는 곳 밖에 없습니다. 그마저도 되기 싶냐?아니에요. 어디든 적게뽑습니다.. 아니면 다 계약직 사무직이거나 평생 다닐 직장으로 보지 않는 단기 계약직 알바죠.. 그게 아니면 다 울산 떠났어요. 특히나 대기업 사무직 자리는 계약직 자리밖에 없습니다. 울산 대기업 생산직.. 네 돈 많이 받습니다. 근데 그만큼 힘듭니다. 특히 조선소는 정말 .. 위험하고 힘들구요. 남자들이라고 몸 부서져라 일하고 돈벌고 싶을까요? 남자들도 사무직 하는 친구들은 공무원공공기관 근로자 교직원 빼곤 다 울산 떠났습니다. 제 동생도 친구들도 다 떠났어요. 울산 살기좋은 곳이에요. 바다도있고 강도 있고 예쁜 도시입니다. 문화적 인프라는 분명 수도권에 비해 부족하지만 수도권 말고 문화적 인프라가 풍부한 곳이 있을까요. ㅎㅎ 저는 정말 평생 살아왔고 평생 살고싶은 도시입니다. 지금도 그렇구요. 먹고 살려고 연고도 없는 서울 올라와서 월세 내면서 만원버스 타고 출퇴근하며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서울 좋습니다. 미래를 봤을 때 이악물고 수도권에서 바텨야겠단 생각을 했다가도, 영상에사처럼 여기서 내가 결혼해서 자리잡고 평생 살 수 있을까?란 생각을 했을 때 자신이 없어요. 그럴 땐 내려가서 좀 더 여유롭게 살고싶다는 생각더 하구요.. 지금도 지금같은 직장만 있다면 내려가서 살마음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부모님 가까운곳에서 살고싶어요. 분명 저처럼 떠나고 싶지 않았지만 떠난 분들이 많을 겁니다. 청년들이 머물 수 있도록 좋은 일자리 만들어주시면 좋겠습니다... 인터뷰 한 울산대 학생들중이도 여전히 울산에 있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는 것 처럼요. 일자리만 있다면 남아있고 싶은 청년들 많습니다. 울산에선 노력해서 집사고 할 수 있습니다.. 울산에 사는 사람들 결혼도 많이 하고 출산도 많이 해요. 아직 안 늦었으니 제발 있는 청년들이라도 잡아주세요. 울산의 대학들이랑 대기업 중소기업 제조업 교류할 수 있게 해서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청년들이 일하고싶은 기업이 생기게 하거나.. 제발 좀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애써주세요. 생산직 정규직이나 비정규직 분들이 파업하는 걸 외부사람들 배부른 투정이다 하시는데 우리 아버지 세대들 정말 힘들게 오랜시간 일해서 돈 버셨고 더 좋은 환경에서 돈 일하고자 하는 걸 돈 받지 않느냐는 이유 하나로 비난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특히 중공업은 이제 동구 가보면 대부분이 외국인 노동자에요. 기업이 노동자들의 피땀으로 이렇게까지 컸고 잘나가고있으면 조금 더 노동자들과 울산이랑 도시에 더 투자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기계로 사람이 대체되는게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만 좋은 인재들이 울산에 유지될 수 있게 지역정부나 기업 둘 다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tu3yn1qx7o
@user-tu3yn1qx7o 24 күн бұрын
200석한테물어봐요.. 노조아니면.. 그냥.. 25만원받아요 ㅎ
@user-fg6vz7ig8t
@user-fg6vz7ig8t 24 күн бұрын
타지역가서도 국짐 찍으면 인간도 아닙니다 진짜 금수보다 못한거죠
@OhMygod42414
@OhMygod42414 23 күн бұрын
왠지 아시나요? 기득권은 중산층이 생기는걸 싫어합니다. 노예들이 많아야 지들의 황제 같은 삶이 보장되기 때문이죠, 대기업에 온정을 바라시나요? 돈이 유일한 판단과 결정의 논리인 세상입니다. 정치인? 돈을 쫓을 뿐인 그냥 한심한 인간에 불과합니다.
@hoyoungseo5453
@hoyoungseo5453 23 күн бұрын
슬픈 사실이지만 과거 러다이크 운동처럼 기술이 발달하고, 산업이 고도화될 수록 일자리 감소가 심화되고, 특히나 최근에는 사무직종의 영향이 가장 받는 것 같습니다. 일례로 예전에 대기업의 전유물 같던 그룹웨어(통합 업무 시스템 등)만 하더라도 회사 규모에 맞게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그 만큼 효율적으로 프로세스가 가능하다보니 인력수가 줄어드는 것을 계속 보고 있습니다. 암울하지만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기반으로 꾸준한 변화와 혁신이 없다면 이 추세는 바뀌기힘들 것 같습니다.
@user-ly2ze8pi9u
@user-ly2ze8pi9u 20 күн бұрын
저도 서울에서 일하는 울산사람입니다 화이팅입니다 울산에는 사무직이 별로없군요
@donghwan8467
@donghwan8467 26 күн бұрын
현대중공업 근무했는데 그냥 노동강도가 정직원 하청 엄청 차이남 임금은 말할것도 없고 사실 다른기업도 비슷하겠지만 꼬우면 노력해서 정직원 되던가 별수 없음 울산대 졸업학생들도 일자리 없어서 수도권 가면 말 다한거지 그나마 기업 있는 울산도 이지경인데 다른 지방은 어떨지 상상이 안감 생각 있는분들은 빨리 탈출해서 수도권으로 가시던가 지방은 이제 끝났음
@user-sz2tj9fz2o
@user-sz2tj9fz2o 26 күн бұрын
울산은 생산제조공장이라도 잇어서 다행. 다른 지방은 이미 소멸중.
@kims_urano
@kims_urano 26 күн бұрын
부산은 노인과 바다
@Superpremium_parkway
@Superpremium_parkway 26 күн бұрын
중소도시는 당진 서산 빼고는 망한듯합니다
@user-wg6wf9jn7l
@user-wg6wf9jn7l 26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cutejeong5000
@cutejeong5000 26 күн бұрын
대구있습니다ㅡ 울산과 부산은 행복한지 아세용
@LLLUCK7
@LLLUCK7 26 күн бұрын
@@cutejeong5000 대구는 노인과 산인가 ㄷㄷ
@MJ-bh9rn
@MJ-bh9rn 26 күн бұрын
부울경, 전반적으로 임금이 올라가면 청년들은 떠나지 않고 머무릅니다. 오히려 수도권보다 집값이 싼 편이라 지방에 있고 싶어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결론은 임금입니다.
@user-qs3kh7th5h
@user-qs3kh7th5h 26 күн бұрын
문제는 지방 기업들이 수도권 양질의 인재를 데려오기 힘들어서 떠나는 경우도 많음 그럼 기업이 수도권에 있으니 대학도 지방에서 소멸 악순환반복
@DDDDTTTTDDDD
@DDDDTTTTDDDD 26 күн бұрын
​@@user-qs3kh7th5h수도권 삔질이는 엄청 많ㅈㅣ
@qqq-se8vt
@qqq-se8vt 26 күн бұрын
울산 집값너무비쌈... 50프로빠져야 정상
@gm9924
@gm9924 26 күн бұрын
돈버는 기업이 없어서 돈 못주는거지 부산, 울산 기업가들은 쓰레기고 서울, 경기 기업가들은 천사라서 그럼? ㅋㅋㅋ 그냥 쓰레기같은 좀비 기업들만 남아있으니 돈을 못주는건데
@iStHIsrlGHT
@iStHIsrlGHT 26 күн бұрын
@@qqq-se8vt ㄹㅇ 당장 부산과 비교해봐도 전월세 가격이 말도안됨
@alwaysgrind100
@alwaysgrind100 26 күн бұрын
아버지가 정규직 출신이고 아버지 때는 원서만 있으면 들어갈 수 있었는데 우린 안되고 비정규직이다.. 라는 말이 맞는 말인가? 대물림도 아니고..
@user-ox8ii5yw2o
@user-ox8ii5yw2o 21 күн бұрын
ㅋㅋㅋ 아니친구들에서도 현대다니명서 우린 상여금도 성과급도 없어 하면 말이 안이어진다는말도 노이해임 ㅋㅋㅋㅋ
@user-man750
@user-man750 11 күн бұрын
노조들 음서제도있음...
@titanic407
@titanic407 4 күн бұрын
사내하청 정규직 전환 엄청 했는데, 아직도 비정규직이라면…
@user-eh1ww3wj7n
@user-eh1ww3wj7n 4 күн бұрын
좀노력해라 이대남아
@user-kc3pv6vu7q
@user-kc3pv6vu7q 17 күн бұрын
나 울산사는데 진짜 울산 제일 x같은도시다.. 그냥 긴말안하고 짧게 ,,, 여긴 정규직빼고 전부 하청의 하청이다... 월급250주면서 어떻게든 부려먹을려고하고,, 진짜 심각한건 하청가면 전부외국인이 90%임...지게차 이런것만 전부 아저씨 할아버지가 타고있다. 진짜 울산 부자동네라고하는데 그들만의리그고 청년이 설자리가없다... 대기업들어가기가쉽냐? 대기업 사람을안뽑는데 어떻게들어가?진짜 노답이다 울산은 이렇게 가다간 언젠간 울산도 크게 터진다.
@user-cf2ju1mo4h
@user-cf2ju1mo4h 9 күн бұрын
아직도 250임? 와 나 현기 하청의 하청 2002년도 다닐때 잔업 좀 하고 주야 2교대 210만 받았는데
@dmh2608
@dmh2608 2 күн бұрын
실수령 220~230 ㅋㅋㅋㅋㅋㅋㅋㅋ 답도 없는 도시
@user-em4gd6rz2f
@user-em4gd6rz2f 26 күн бұрын
옛날에 들었던 이야기 ‘울산에서는 젊은 여성이 일할 곳이 마땅치가 않다’ 그 상황이 여지꺼정 똑같다면 이거 심각한 거 아닌가? 울산의 기성세대들이 정신 못차리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데 뭔가 답이 없다는 생각이 드는 건 나만의 생각일까?
@nellylee4356
@nellylee4356 26 күн бұрын
근데 원래 경상도가 여아 낙태율이 제일 높음. 원체 절대수가 여자가 적은데 인식도 노비같으니까 애들이 더 떠나는게 아닐까.
@user-se8mq5fm8v
@user-se8mq5fm8v 26 күн бұрын
맞음 80년90년대 시절 젊은여성이라면 대충 고졸나오면 중소기업이나 어디 경리드가면 성공이였고 대학나온다싶으면 대기업 안내데스크나 경리쪽 비서이런걸로 가고그랫지 ㅋ그마저도 실패하면 가정주부로 취업해도 잘살고 했지만 지금은 시대가 바뀌엇음에도 불구하고 30년40년전이랑 똑같은 울산이라 망길만 남음
@yoonmr519
@yoonmr519 26 күн бұрын
울산에서 나고 자란 20대 청년입니다. 지금 이 영상 댓글만 봐도 기성세대들 생각이 어떤지 알 수 있습니다 이 도시는 답이 없는거 같습니다. 저도 자동차 협력사에서 일하지만 다른 직종으로 가기 위해 공부중입니다. 저는 떠나겠습니다. 수고하십쇼
@jaehoonha6
@jaehoonha6 26 күн бұрын
초등생 흡연율 1위 울산
@mandukim5377
@mandukim5377 26 күн бұрын
부울경이 살려면 부산과 울산, 양산, 김해가 행정 통합을 해서 인구 525만명의 부울경 메가시티를 주도해야 돼요.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26 күн бұрын
​@@mandukim5377 기업이 없는데 통합해서 그깟 머릿수 자랑해봤자 뭔 소용인지 모르겠습니다.. 화성시는 00년대 초반만 해도 인구 30만명이었어요. 지금은 100만에 가깝고요. 기업이 있으면 사람은 생겨요. 메가시티 해봤자 기업 없으면 망하는 거고요.
@mandukim5377
@mandukim5377 26 күн бұрын
@@user-ok4zf6hj7h 단순 머릿수 문제가 아닙니다. 부산항이라는 게 큰 메리트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에 울산에 산업 인프라가 있다는 것도 아직까지 의미가 있고요. 최근에 삼양이 새로 공장을 지었는데 위치가 밀양입니다. 왜 밀양으로 정했는지 관계자의 말을 들어 보면 부산항이랑 가까워서라고 합니다. 최근 농심도 평택과 부산 둘 중에 수출 전용 공장을 지으려고 한다고 합니다. 부산이 후보지 중 하나로 고려되는 것도 역시 부산항 때문이겠죠. 그리고 도시철도망도 행정을 통합하면 기존에 잘 갖추어진 부산 지하철이 울산까지 제대로 뚫려고 부산 지하철 6호선이 울산 주요 지역을 다 경유하겠죠. 시너지 효과를 내자 그겁니다. 울산에서 부산으로 청년이 유출되니 마니 하면서 소극적으로 하지 말고 두 도시를 합쳐서 서로의 장점을 모두의 것으로 하자 그겁니다. 수도권도 지하철이 더 많이 뚫리고 더 왕래하기 쉬워질수록 더 인프라가 생기고 인구도 더 몰리듯이 부산과 울산도 그렇게 가야 됩니다. 더 나아가서 이미 양산선과 김해경전철로 이어진 부산과 양산까지도 행정 통합을 하면 금상첨화라고 생각합니다. 가덕도 신공항까지 만들어지면 김해공항은 국내선, 가덕도는 국제선으로 수도권에서 김포공항과 인천공항이 이원화된 것처럼 더 공항을 효율적으로 운행할 수 있어서 역시 시너지 효과가 날 겁니다.
@user-ix4ro9jh3t
@user-ix4ro9jh3t 26 күн бұрын
떠나십시요 울산 아니 대한민국에 희망이 없어요 근데 익숙한 곳을 떠나면 고생은 엄청하셔야 할겁니다 그냥 울산에서 사시려면 의대 정원이 늘어나니 의대 한번 도전해 보시던가..
@shinshinshin9348
@shinshinshin9348 26 күн бұрын
대구와 광주 대상으로도 제작부탁드려요. 유사한 점 동시에 비교하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GwangMo
@GwangMo 13 күн бұрын
둘 다 대기업도 없고 임금은 진짜 솔직하게 최저라도 맞추면 다행인 광역시 두곳 ㅋㅋ 근데 광주는 어떤지 몰라도 대구는 틀딱이 너무 위로 많아서 버티기가 너무 힘듦 못 버티면 패배자 취급하고 이 꽉깨물고 하면 내 몸만 망가짐 ㅋㅋ
@user-ec8tn1ui6e
@user-ec8tn1ui6e 8 күн бұрын
@@GwangMo 광주에 기아차 있고, 광주형 일자리로 현대차도 들어옴.
@linedrive9568
@linedrive9568 15 сағат бұрын
그래도 아직까지는 대형 국립대 있으면 상황이 좀 낫더라고요
@PWU73
@PWU73 23 күн бұрын
울산에서 태어나서 오십여년을 살고 있지만....많은것을 생각하게 하는 영상이네요....
@jermanosun2769
@jermanosun2769 26 күн бұрын
지금 이순간에도 울산에 있는 국회의원들과 시장은 무슨무슨축제로 동네잔치하기 바쁩니다 썩어가고 소득분배가 안되고 있는걸 뻔히 보고 있으면서도 아무조치도 안합니다 왜냐구요? 그렇게 해도 또 뽑아주니까요 ㅎㅎ 당연히 떠날수밖에요
@JBY777
@JBY777 26 күн бұрын
그놈에 잔치를 해야 표를 받거든요
@user-we1dy5uc8g
@user-we1dy5uc8g 26 күн бұрын
노동자들 최저시급이 최고 시급이 된것이 대한민국에 현실입니다
@user-nx8pm9ov5p
@user-nx8pm9ov5p 26 күн бұрын
옹기축제ㅋㅋ
@user-rq8kf6kx6e
@user-rq8kf6kx6e 26 күн бұрын
이 논리면 전라도 대부분 지역도 국회의원 시장 땜에 인구없어지는 중인건데..
@osteomyelit
@osteomyelit 26 күн бұрын
소득 분배 원하면 북한가라
@YS-tw2ce
@YS-tw2ce 26 күн бұрын
진짜 너무 안타까운건 시대 변화 흐름에 현재 우리나라 교육이 따라가지를 못한다. 진짜... 답 없는 교육... 학벌 따지는 회사 들어갈 거 아니면 대학 가지 말고 그 학비로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알려주는 학원을 가라... 제발... 시간 돈 버리지 말고.. 제발....
@user-ib4sm2ig7x
@user-ib4sm2ig7x 26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의 학벌은 명함인데 고졸이 사람이냐
@user-jr1be5dq2j
@user-jr1be5dq2j 26 күн бұрын
이십몇년지나봐요 청년이 없어서 기업들은 고졸도 모셔갑니다
@iStHIsrlGHT
@iStHIsrlGHT 26 күн бұрын
말은 이렇게 하는데 신입공채에 대졸 안찍힌 항목이 없고 이젠 신입채용마저도 사라지고 있는 현실을 봐야지 ㅋㅋ 고졸에 학원가면 누가 써준다냐 개차반대학교 졸업증이라도 있어야 지원이라도 하는데
@user-kv6ob2zu5z
@user-kv6ob2zu5z 26 күн бұрын
그럼 대학나와서 대기업만 선호하고 중소기업은 3D업종들이 많아 가기싫고 일하기싫고 부모등골빼먹으면서 사람구실못하고 그럴바에 4년 허송세월보내지말고 취업하는게 낫다고본다!! 고졸이어서 뭔들못할까!!!​@@user-ib4sm2ig7x
@Dabea_dietdelivery
@Dabea_dietdelivery 26 күн бұрын
뭐 40년뒤에 고졸 대우받으려고??
@onioncap
@onioncap 26 күн бұрын
울아버지 고향 울산임 30대부터 외지생활하다 50대 울산 복귀 나도 울산가서 강제로 5년 살게됨 결론은 점점 답없음 모든게 현대 위주 변화 없고 젊은애들 떠남 현대 정직빼고 돈 못범, 차별도 많음 계층사회니 뒷돈으로 많이 움직임 돈 젤로 많이버는 공돌이들이 돈더달라고 맨날 지랄임
@SJ92C
@SJ92C 26 күн бұрын
정확히는 현재 자동화 시스템 많이 발달하면서 사람으로 하는 자리가 많이 대체 되면서 취업자리가 많이 줄고 , 대기업은 좋은 인력 찾으려고 하니 취업문이 좁은게 현실임 현 근무10년차 보는 관점에서 팩트는 자동화가 영향이 크다고 봅니다 그리고 외주,하청은 그래도 자리 있는편 이지만 선호하지 않죠.
@user-pi6kt7vr9r
@user-pi6kt7vr9r 26 күн бұрын
이거보기전에 댓글 남깁니다 울산 망한지 10년됐다보고 봅니다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26 күн бұрын
일본에 팔아넘깁시다 그냥
@dotwer4688
@dotwer4688 26 күн бұрын
중국으로갑시다
@userganada
@userganada 21 күн бұрын
안망합니다 ~ 전쟁준비중이잖아 ㅋㅋ 전쟁나면 다 해결됨
@idealist_87
@idealist_87 19 күн бұрын
2006년 대학간이후 절대 고향으로 돌아오지 않겠다 하며 울산을 떠난 사람입니다. 그이후 타지를 떠돈지 20년이 다되어가지만, 댓글들에거 울산의 여전한 문제점과 잘못된 모습들을 지적하는 말씀에서 역시나 고향은 떠난이후로도 변치 않는 구나 싶내요... 장문의 댓글들을 달아주신분들은 누구보다 울산을 사랑하셨기에 이렇게 장문으로 울산의 문제점을 짚어내셨을 것이고, 그렇게 변화없이 쇠락해가는 울산의 모습에 누구보다 슬퍼하신다는 마음이 전해집니다. 얼마전 어버이날에 어머니를 뵈러 울산을 내려갔는데 구 울주군청 부지에 청년임대주택이 들어서기로 했는데 울산 지역유지가 반대해서 결국 주차장이 들어서기로 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왜 고향이 무너져가는지 알겠더군요.... 저는 울산을 원망하며 2006년에 울산을 떠나 타지를 떠돌며 살고 있지만.... 그래도 미운정이었을까....고향의 쇠락이 착찹합니다....
@guns_germs_steel
@guns_germs_steel 13 күн бұрын
정말 돈에 미친 인간들 투성이군요. 어차피 당장 이동네에 청년들 없는데~ 외부에서 청년들 언제 유입해~ 그냥 당장 나만 돈 벌면 돼~ 내새끼들만 돈 벌면 돼~ 물론 나는 지금 돈이 있긴 하지만 더 가져야지~ 주차장 고~ 참~ 대단한 대한민국 어른들입니다.
@idealist_87
@idealist_87 13 күн бұрын
@@guns_germs_steel 어처구니가 없죠..그 좋은 부지에 주차장이라니..
@koreanjjindda4074
@koreanjjindda4074 26 күн бұрын
울산사람인데 12년 전인 2022년도에 미래의 나를 위해 서울로 떠나서 지금도 서울에서 지냄. 그때 떠난 이유가 내가 공부하고 가지고 싶었던 직업때문이었음. 공장에서만 무작정일할 사람들이라면 그냥 있어도 될지 모르겠지만 저를 기준으로 볼땐 제 생각엔 12년전에서 부터 이미 떠나는 현상이 일어났고 지금 그 심각 성이 보이는 것임. 지금 심각성의 이야기는 이미 10년도 전에 일어난일을 방송으로 보게 되는것임.
@user-jy2gt3bn7x
@user-jy2gt3bn7x 26 күн бұрын
무슨일함
@koreanjjindda4074
@koreanjjindda4074 26 күн бұрын
@@user-jy2gt3bn7x 3D 그래픽함, 게임, 애니메이션, 영상등의 그런 그래픽. ㅎㅎ
@lifequiet8216
@lifequiet8216 23 күн бұрын
미래에서 왔음? 오타가 있으면 고치쇼..
@koreanjjindda4074
@koreanjjindda4074 23 күн бұрын
@@lifequiet8216 ?
@hvboq11
@hvboq11 23 күн бұрын
2012년 말하고 싶으신거죠? 2022년이면 2년 전인데요..
@sorge4977
@sorge4977 26 күн бұрын
울산은 그나마 낫지. 진짜 늙어죽어버린 도시는 울산이 아니라 부산이다. 노인과 바다가 아닌 노인과 더 늙은 노인만 남은 곳임.
@user-iy8zx6py8v
@user-iy8zx6py8v 26 күн бұрын
부산은 정치인들이 부동산 개발이랑 토목공사에 미쳐있음
@user-qq2rl3tu3v
@user-qq2rl3tu3v 26 күн бұрын
통계를보면 울산이더심함
@sorge4977
@sorge4977 26 күн бұрын
전국 17개 도시중 부산은 14위, 울산은 8위임. 노령화로 따지면 경남권에서 부산이 가장 늙어버린 도시이고 울산같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덜함. 0-34세 기준으로만 봐도 울산은 중위권, 부산은 최하위권 수준임.
@user-qq2rl3tu3v
@user-qq2rl3tu3v 25 күн бұрын
@@sorge4977 어제나온통계를보셔야됩니다 울산이더심해져요.청년유출제일심함
@userganada
@userganada 21 күн бұрын
물타기하네 ㅋㅋ 노동 문제 얘기하는데 갑자기 노인가 바다가 왜나옴?
@Dndisajzbqjdjd
@Dndisajzbqjdjd 26 күн бұрын
공장은 저기 있는데 본사는 서울? ㅎ 그리고 한전부지사서 거기다 컨트롤 타워 ㅎㅎㅎ 이러는데 울산에 청년이 있을까? 건축 전공자가 일자리도 없음 왜냐 신규 공사나 뭐 건축 개발이 있어야 하는데 없음 그러니 수도권으로 취업하러옴 산 송장의 도시나 다름 없음
@ML-zw7sv
@ML-zw7sv 26 күн бұрын
대기업10%만 황족이고 90%절대다수는 월급 2~300대 아웃소싱에 파견직이다. 월급 400도 세금떼이면 남는게 없는데 초년생들 200대 월급 받고 집사고 결혼하라 그러면 하겠나..... 조선소용접기술공들도 박봉이고 조선소를 나와 좋은곳가서 일당 3~40만원 받아도 그게 일당 3~40이 아니다. 퇴직금 없고 똑같은 자세로 구부정하게 하루죙일 하면 노년에 병원비로 절반은 뜯겨나간다. 대기업들한테 합법적으로 고혈빨리는데 고착화된 울산인데 차라리 수도권으로 떠버리고 말지.
@user-im8ki8ny5b
@user-im8ki8ny5b 26 күн бұрын
울산은 대기업이건 하청이건 회사라도 있지 부산은 그냥 회사가 없음ㅋㅋㅋㅋ
@user-te5qm8uu8b
@user-te5qm8uu8b 18 күн бұрын
있다해도 외곽으로 많이 밀려난게 많지
@pocari_
@pocari_ 16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대기업잇으면뭐함 인맥없으면 드가지도 못하는데
@busanbada6347
@busanbada6347 15 күн бұрын
정답.. 부산이 더 골치 ㅋㅋ 할배랑 바다 동네 ㅠㅠ
@user-fq4xb5hn1p
@user-fq4xb5hn1p 15 күн бұрын
부산은 그래도 지하철도 있고 문화나 관광..즐길거리가 있잖아요..ㅎ
@raichu6618
@raichu6618 15 күн бұрын
@@user-fq4xb5hn1p그건 그냥 관광객들을 위한거지 그거 하나 바라보고 청년들이 서비스업 뛰어들기엔 생활유지가 힘들 정도로 물가가 비싼 곳이 부산 ,,,,
@user-ow2xx2lt9i
@user-ow2xx2lt9i 23 күн бұрын
지난 수십년간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등등 현대의 강성 노조들이 해마다 갖가지 이유로 걸핏하면 파업을 했고 그 결과로 현대 노동자들의 평균 소득은 수직 상승을 했고 2000년대 초반에 전국에서 가장 빨리 울산의 1인당 소득이 3만달러가 넘는 도시가 됐음! 하지만 그로 인해 도시의 인구와 규모 대비 집값은 어마무시하게 비싸졌고 물가도 엄청나게 비싼 도시가 됐음! 그리고 현대는 걸핏하면 파업을 일삼는 지긋 지긋한 노조에 학을 떼고 울산에 소재해 있는 현대의 제조업 공장들은 자동화에 올인을 했고 R&D 같은 연구소들은 수도권으로 이전을 해갔음! 그래서 자동화 성과가 나오고 있는 몇해전부턴 현대는 기존 정규직들이 모두 퇴직을 하는 날만 손꼽아 기다리고 있고 현대는 되도록 신입 정규직을 안뽑고 있음! 결국 청년들이 울산을 탈출 할 수 밖에 없는 지금의 울산의 상황의 절반은 지금 청년들의 아버지 세대의 현대 노조들이 만들어 놓은거임.
@seunghyun3725
@seunghyun3725 26 күн бұрын
창원도 특례시 반납 직전이던데..ㄷㄷㄷ
@seung-jaelee884
@seung-jaelee884 26 күн бұрын
수도권이라고 더 좋은것은 아닌것 같네요. 수도권은 경쟁이 넘 심하고 주거비가 비싸서 지원없이 올라오면 생활비 쓰고 나면 남는게 없습니다. 그냥 나라 전체가 청년에게 힘든 겁니다.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26 күн бұрын
그냥 지방 죄다 일본이나 중국에 팔아넘기면 안되나? 어차피 필요없는데
@Asq757
@Asq757 26 күн бұрын
수도권이 그래도 나은건 사실인데 뭐 ㅋㅋ 지방은 임금이 오를 생각은 안함. 울산 물가도 비싼데.
@user-ow6cq3eo9w
@user-ow6cq3eo9w 26 күн бұрын
울산사는데 매우 공감된다
@user-ip8qj8gl3k
@user-ip8qj8gl3k 26 күн бұрын
24살때부터 40살될때까지 중공업 일한사람입니다 협력업체인데 월급이그대로임 임금이라도 쎄면 붙어있지 돈작고 일많이 시키니까 다 떠나가지
@purewater6637
@purewater6637 26 күн бұрын
떠나도 로봇으로 대체되니까 ㅋ 니 스스로 필요없는 인력이란걸 왜 인정못하노
@user-om7wk2uy4y
@user-om7wk2uy4y 21 күн бұрын
​@@purewater6637조선소 일 로봇으로 대체 못함 로봇으로 큰것들은 제작한다고 해도 내부의 것들은 절대 로봇이 못함 알지도 못 하면서 저분들의 노고를 깎아내리지마세요
@userganada
@userganada 21 күн бұрын
@@purewater6637 로봇도 그럴듯 인간은 필요없다 동물원이나 가라 ㅋㅋ 님 후손은 동물원행이겟네??
@djfhdkfh
@djfhdkfh 26 күн бұрын
현대자동차.현대중공업 본청직원으로는 못들어가고 현차는 사내협력업체 자리도 없고 현중은 최저시급받고 위험한 협력업체에서 아무도 일안할려고하지 정유사도 본청 정직원 절대안뽑음 그나마 젋은이들이 할께 현차 사외 협력업체들인데 괜찮은곳은 전부 10개월 계약직으로 구함 퇴직금 안줄려고 이러는데 어느 젋은이들이 울산에 남냐 갈때 없는 노인들이나 외노자들만 남지
@run-away.
@run-away. 23 күн бұрын
정말 대기업 횡포 너무합니다. 수십년 일한 경력직 숙련 노동자가 한달 300시간씩 빡세게 일했는데 월급 220만원이 말이됩니까? 정말 화가납니다!
@userganada
@userganada 21 күн бұрын
미국에 전수받아서 그래여 ㅎㅎ 그래야 배당을 많이 받지~ IMF이후 기업들다 해외에 지분 털렸음 ~ 그래서 착취구조가 좋은겁니다
@user-tw7qn5by5g
@user-tw7qn5by5g 15 күн бұрын
그니까 대기업 노조들한테 따지세요ㅋㅋ
@GwangMo
@GwangMo 13 күн бұрын
@@userganada 배당 그래서 줌? ㅋㅋ
@user-yw3jn1ru9s
@user-yw3jn1ru9s 26 күн бұрын
조합원 분들도 그들만의 회의, 모임을 하기보다, 외부의 전문가들과의 진일보적인 개선을 위한 정책마련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user-sq8dp5uu3k
@user-sq8dp5uu3k 26 күн бұрын
현대차 잘 나가고 있지만 현대차내 비정규직들은 상여금은 물론 성과급도 못받는 분들 많습니다.. 비정규직을 홀대하고 차별한다면 정당한 사회라고 말할수 있을까요?
@darkrok6948
@darkrok6948 24 күн бұрын
비정규직이라서 문제가 아니라 하청 이지랄 아웃소싱 이지랄인데 원청이 돈내려준거 일부 상납하고 일부 자기가 먹고 남은거만 노동자 주니 개같은꼴 나는거죠
@user-gg2uy2lc1v
@user-gg2uy2lc1v 8 күн бұрын
부울경 2030들 일자리 찾아 수도권 상경해도 속된 말로 그 중 70%가 폐사한다. 살아남은 30%는 수도권을 베이스로 둔 2030들과 저축 경쟁 벌여서 집, 결혼 경쟁 해야는데 거기서또 절반이 나가떨어짐. 젊은 패기에 낙향은 못하겠고 30대 초반까지 수도권 뺑뺑 돌다가 뒤늦게 정신이라도 차리면 30중반임😅
@user-im6lz3qq6c
@user-im6lz3qq6c 26 күн бұрын
흥망성쇠라는 사자성어가 괜히 있는게 아니다. 사람을 갈아 넣어 성장한 나라가 사람 귀한 줄 모르고 헤매다 망해가는 코스를 탄 것 뿐. 이러다 사람 귀한 줄 알고 사람 값이 정상적으로 올라 오면 그 때는 다시 출산률 상승하는 시기가 올 수도 있다. 정신 차리는 시기가 빨리 온다는 전제 하에 말이다. 영상에선 여러 얘기가 있었지만 결국 국민 다수가 현재 급여로 받고 있는 200~300 사이의 문제를 어떻게 개선할 건가가 핵심이다.
@user-zy5qr5fw5x
@user-zy5qr5fw5x 26 күн бұрын
사람 귀한줄 모르는게 아니라 국가 경제가 급성장하는 시대를 다시 맞이하도록 정치권에서 노력해야 하는데 25만원 뿌리고 표팔이나 하고 있죠?
@3858HSVHFMTNP88
@3858HSVHFMTNP88 26 күн бұрын
@@user-zy5qr5fw5x 여전히 야당탓 여전히 정신 못차렷어 자신에지역 의원들을 믹스해서 의원들을 쎄일즈맨으로 만드세요 또한 경제효과라는것이 존재 합니다
@user-oy7km3bs5n
@user-oy7km3bs5n 26 күн бұрын
​@@user-zy5qr5fw5x 2찍아 당신 정신이나 똑바로 챙기소! 대한민국은 2찍들만 없으면 강성한다!
@user-pw2tc5fy8n
@user-pw2tc5fy8n 26 күн бұрын
그런데 AI가 상용화되면 더이상 사람이 많이 필요없어짐;;;
@user-eh5qu2ie6q
@user-eh5qu2ie6q 26 күн бұрын
기득권들은 자기들 파이를 나눠먹을 생각이 없음ㅋㅋ. 국산토종 노예에서 동남아 노예로 갈아탈뿐
@indiank6
@indiank6 22 күн бұрын
맞는말입니다.방이4개인데 전부 방하나에 모이면 비좁죠.각방에 발전을 할수있게.침대.옷장.책상.티브이 이렇게 필요장비를 어서 준비해서 균형적인 발전을 합시다.
@SHJ980
@SHJ980 26 күн бұрын
울산 출신이지만 반도체 전공해서 지금 직장때문에 화성시 살고있는데 수도권 너무 사람많아서 오히려 살기 불편합니다... 문화생활, 인프라등이 수도권이 넘사라는데 공연, 콘서트 자주보는게 아니라서 크게 체감못하고있네요. 집값은 드럽게 비싸고 지금 직장 아니었으면 살고싶지도 않네요...
@user-qq2rl3tu3v
@user-qq2rl3tu3v 26 күн бұрын
부산에직장잇으면 진짜살기좋은도신데..일자리가.. 너무안타깝네요
@user-ov2ol8ls2q
@user-ov2ol8ls2q 25 күн бұрын
저기요. 울산도 분양가9억나와요
@user-ov2ol8ls2q
@user-ov2ol8ls2q 25 күн бұрын
화성은 싼집많은데
@user-qs5xu5ju6b
@user-qs5xu5ju6b 22 күн бұрын
저도 인천서 4년 넘게 일하다 김해로 왔는데 급여는 줄었지만 좋아요 차 안막히고 바다 쉽게 볼수 있고 아파트값 싸고 무엇보다 어무이아부이 자주 볼 수 있구
@user-pc8oh1jy6j
@user-pc8oh1jy6j 21 күн бұрын
그... 인프라 누리실정도면 못해도 하남까진 오셔야...
@YKK-qh1kj
@YKK-qh1kj 26 күн бұрын
어째 돌아가는게 부산이랑 똑같네요
@llllllllllllllllIllllllllll
@llllllllllllllllIllllllllll 26 күн бұрын
부산이 더 열악하죠 울산은 굵직한 대기업들이라도 있지…
@user-qq2rl3tu3v
@user-qq2rl3tu3v 26 күн бұрын
​@@llllllllllllllllIllllllllll통계를보시면 부산이나울산이나 비슷함. 결과적으로 울산이더심각함
@peer2313
@peer2313 26 күн бұрын
ㅋㅋ 울산 광역시 된지 얼마나 됐다고 부산이랑 비비냐
@cutejeong5000
@cutejeong5000 26 күн бұрын
대구에 살아요ㅡ
@llllllllllllllllIllllllllll
@llllllllllllllllIllllllllll 26 күн бұрын
@@user-qq2rl3tu3v 부산 출신이고 저는 서울 동생은 울산에서 일 하는데 부산은 진짜 갈 데가 없어요. 울산은 급여수준이라도 높지 ㅠ
@junelee0622
@junelee0622 26 күн бұрын
하긴 나도 울산 방어진이 고향인데 지금 경기도 사네요~~~~~~~~~~~~~전공이 전자공학이라 울산서 일자리가 없어요..
@user-bb7kf8vh5q
@user-bb7kf8vh5q 21 күн бұрын
16:30 현수교가 높은 이유가 컨테이너선은 아니고 자동차전용선때문 이랍니다 ㅎㅎ 컨테이너선은 온산 컨테이너 부두로만 입항 하고 본항 울산대교를 통과하는 입항선은 자동차전용선 탱커선 케미컬선 벌크선이 대부분 입니다 ㅎㅎ
@Cheolsan_dong_Dove
@Cheolsan_dong_Dove 26 күн бұрын
17:46 내가 현대차 사장이라도 정규직 퇴직만 기다릴거 같다. 근 미래에 정규직들이 다 퇴직하면 생산직들을 모두 비정규직이나 로봇들로 전환시켜야 효율이 높게 나오니까
@user-ib4sm2ig7x
@user-ib4sm2ig7x 26 күн бұрын
저도 그거 기다리는중입니다 현대 노동자들 고생좀 해봐야합니다
@kokishi9
@kokishi9 25 күн бұрын
​@@user-ib4sm2ig7x 지금 근무하는 사람이 잘리는게 아니라 명퇴로도 인력감소가 돼서 그냥 사람을 더 안뽑는거에요...
@dingh2618
@dingh2618 26 күн бұрын
협력사는 수년간 급여가 오르지않고 전세사기까지 ~bye bye
@4spikespiegel47
@4spikespiegel47 6 күн бұрын
새로운 희망을 찾아 과감히 탈출, 도전하는 청춘들의 용기를 응원합니다
@user-df8nv2hu8k
@user-df8nv2hu8k 21 күн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지금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해결책도 같이 제시 해 주셔서 좋았습니다. 정책마련과 정부의 역할이 정말 중요합니다. 이 영상을 대통령과 나라의 국회의원들이 꼭 봤으면 합니다.
@yyrr6937
@yyrr6937 26 күн бұрын
울산 대기업 생산 정규직이 아닌 하청직원들은 인간 대접 못 받음. 그냥 대기업 윗대가리들도 한국말 소통 즉각즉각 하지 못하는 외국인 노동자 일 투입하여 요즘 사회문제가 되는 중국인 노동자들이 한국건설현장 투입되어 하자 투성인 아파트처럼 예를들어 건조한 배가 인도 과정에서 하자로 태평양에 침몰 몇번하면 한국인 노동자에 대한 절실함을 느낄 것 임.
@user-ts2eu6rf6i
@user-ts2eu6rf6i 26 күн бұрын
선동 좀 그만해라 에휴 하청 직원의 경우 정규직보다 못한 대접을 받기는 해도 인간 대접을 못 받지는 않는데?
@user-mf1pz2pd7c
@user-mf1pz2pd7c 26 күн бұрын
인간 대접 못 받는다니요 하청도 하청 나름이고 돈 잘 받아가는 사람은 잘 받아갑니다 그리고 노력하고 경쟁해서 대기업 왔는데 협력 업체랑 똑같은 대우 받는 것도 웃기죠 그럼 누가 노력합니까 그리고 요즘 MZ 애들보다 외국 분들이 일 더 잘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제로 힘 쎄고 시키면 군말 없이 다 합니다.. 이런 선동 댓글은 사라져야 합니다..
@user-bj9iy6db1i
@user-bj9iy6db1i 26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울산살면서 "나 하청다녀요"하면 속으로 다들 무시하지않음? ㅋㅋ 당신들 자식들은 하청다닌다카면 좋다카겠심미더?
@user-mf1pz2pd7c
@user-mf1pz2pd7c 26 күн бұрын
그럼 지금 이 순간도 노력하세요 누군가는 현대차 생산직이나 그만한 대기업 들어 가려고 지금 이 순간에도 노력하고 있을 겁니다 경쟁하고 노력하는 게 싫으면 포기하시고요.. 몇년만에 뜬 현대차 생산직 공채에 정말 많은 사람들이 지원했고 노력한 사람들은 붙었을 겁니다 앞으로도 추가 채용이 예정되어 있다고 하는데 노력해보세요..
@Epikhii
@Epikhii 26 күн бұрын
현차 하청도 돈없고 빽없으면 못들어가는데;
@Vmm2
@Vmm2 26 күн бұрын
중공업 임금이라도 제대로 주면 사람들 많이 올텐데 일은 더럽게힘들고 임금은 짜고 그렇다고 자동차는 정직들어가기가 쉽나 다 하청이고 하청 또한 돈도 제대로 안주고
@user-kx9ri1sl9y
@user-kx9ri1sl9y 26 күн бұрын
고인물들만 살기 좋은 지역이죠~ 미국처럼 해고와 고용이 마음대로 할수있도록 해야 젊은 사람들이 들어온다
@user-tv4hh4od8e
@user-tv4hh4od8e 26 күн бұрын
각자의 입장이 있는거지만 모두가 평등해질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싸움만 있을꺼같네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인간들이 하는 일을 기계로 대체하는 걸 계속 늘려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인간들은 임금, 복지, 대우 같은 것으로 계속 싸움이 있을겁니다.
@user-cz1zf7in9c
@user-cz1zf7in9c 26 күн бұрын
대우를 똑바로 해주면 다온다
@jaehoonha6
@jaehoonha6 26 күн бұрын
대우는 이미 망했고 죽었다
@Pekdnbdjwidoicjrn736
@Pekdnbdjwidoicjrn736 26 күн бұрын
님부터 회사 만들어서 청년들 1억씩 쥐어주고 귀족 대접하세요 ㅋㅋ
@user-mi7fj5tj2o
@user-mi7fj5tj2o 26 күн бұрын
아이고,...대우를 그대우라고하네 ㅋㅋ 아재요 주무시소
@James10023
@James10023 26 күн бұрын
정규직 1억씩 주는거 월급 깍아서 비정규직 주면 되자나. 그건 절대 안하지? 586 귀족 노조들이 이 나라를 망친다.
@user-tx1xb4ps7x
@user-tx1xb4ps7x 26 күн бұрын
@@Pekdnbdjwidoicjrn736 애들이 연봉 1억씩 달란것도 아니고 등쳐먹지 말고 기본을 지키란 건데 양심 없는 틀들은 역시나ㅋㅋ
@user-sp2cb1rd4i
@user-sp2cb1rd4i 26 күн бұрын
울산은 부산에 비하면 배부른 소리한다.... 초남초 직장이라도 있는게 어디냐...ㅠㅠ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26 күн бұрын
똑같이 망해가는데 뭐 ㅋㅋ 둘 다 비슷하게 망하고 있음. 울산은 그나마 아직 기업 좀 있으니 버티는 거고 부산은 진작 기업들 내보냈으니 못 버티는 거고.
@user-tx8qh2zq5i
@user-tx8qh2zq5i 26 күн бұрын
부산도 배부른소리지 그래도 경남은 주위에 기업들이 많지 전라도 강원도 봐봐라 ㅋㅋㅋ 뭐가있니 ㅋㅋ
@mandukim5377
@mandukim5377 2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부산과 울산은 서로 통합해야 된다니까. 서로 못가진 걸 서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합치면 인구만 440만명에 지하철도 부산 지하철이 이제 대놓고 울산 주요 지역으로 다 뚫리니까 도시철도망도 훨씬 더 완전해진다.
@user-qq2rl3tu3v
@user-qq2rl3tu3v 26 күн бұрын
​@@mandukim5377울산이반대함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26 күн бұрын
@@mandukim5377 부산이랑 울산이랑 통합 못한다고요. 중간에 원전이랑 상수원 지대가 얼마나 넓은데. 해운대에서 울산삼산까지의 거리만 따져봐도 서울에서 수원오산까지 거리인데
@TQQQ-5000
@TQQQ-5000 20 күн бұрын
추카추카!🎉
@user-tw7ev8dv2o
@user-tw7ev8dv2o 25 күн бұрын
사람을 못구한다(×) 노예를 못구한다(ㅇ)
@Rooloobary
@Rooloobary 16 күн бұрын
제가 울산에서 카페에서 공부한 적이 있고 서울에서도 카페에서도 공부해본 일명 카공족이었는데(지금은 아니지만) 두도시 카페에서 공부해보면 분위기가 일단 달라요. 울산에서 카페에서 공부해보면 주변 손님들이 진짜 신기하게 쳐다보더라고요. 심지어 카페직원들도요. 특히 남자손님이나 남자직원은 더더욱이요. 게다가 평일 낮이나 점심 떄 가보면 전부 나이 지긋하신 아저씨 아주머니 사랑방.... 젊은이들 책 읽으면서 노트북 켜고 공부하는 사람 열에 하나 있을까 말까 삼산이나 성남동 주말에는 이런 분위기가 덜하지만... 반면 서울에서 똑같은 행동해도 아무도 신경 안써요. 너무 아무렇지도 않은 풍경이라서 진짜 아무도 신경 안써요. 장시간 시즈모드 박지 않는 이상에야.... 이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취업난이다 고물가다 뭐다해도 서울 수도권은 활기가 있어요. 울산이나 다른 도시는 정말 차이가 심해요.
@steel_jwa
@steel_jwa 26 күн бұрын
저런 기술공들 대우 해줘라 300시간 넘게 일하고 300백이 안넘냐 미친게냐
@user-pg8qc5yl8s
@user-pg8qc5yl8s 26 күн бұрын
시급만이천에 삼백시간이면 세전360인데 왜 삼백이 안넘을까여 ㅎ
@runmakesmen
@runmakesmen 25 күн бұрын
​@@user-pg8qc5yl8s 최저시급이니까
@yubiinsight
@yubiinsight 24 күн бұрын
세금 다 뗀 실수령 이잖아요
@steel_jwa
@steel_jwa 24 күн бұрын
@@yubiinsight근로시간대비 세금을 때도 적은금액같은데 보여준달만 특별한 무언가가 있는거 아니면 잘못되었다고 생각됩니다.
@user-kr3fk9pt3w
@user-kr3fk9pt3w 24 күн бұрын
200이면 외국인들이 해줍니다...
@user-vi6fp8iw6r
@user-vi6fp8iw6r 26 күн бұрын
말뫼의 눈물이 울산에 있다.. 울산의 눈물이 멀지 않았다...
@gomogagomoga
@gomogagomoga 26 күн бұрын
와 울산까지 ㄷㄷㄷ
@leemm2107
@leemm2107 26 күн бұрын
제가 화학인데 600명넘던 인원들 감원해서 200명남도 안남았네요 명퇴받고 다른 사업단 다른 지역으로 보내고 연계된 하청업체들 파산한업체들 더러있고 자연스레 감원으로 생산량 떨어지면서 짤려나간업체들이 수두룩.. 쓸만한 설비들은 해외 생산기지로 보내버리고 필요없는건 중고상에 매각.. 남은건 땅.. 땅도 매각준비
@free14311
@free14311 26 күн бұрын
어디 신가요??
@user-om5ez5pz3x
@user-om5ez5pz3x 9 күн бұрын
울산에 지금 그런 화학회사가 있는가 ???나도 석화쪽 재직해서 들리는 말이 많은데 400명 감원했다는거 못들은거 같은데
@user-rq7ye5wh1x
@user-rq7ye5wh1x 26 күн бұрын
울산하면 국민 소득이 높고 대기업 이미지로 늘 알고 있었는데
@ML-zw7sv
@ML-zw7sv 26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은 전체중에 10%밖에 안되고요. 사람인이든 어디든 채용사이트 울산으로 설정하고 들어가보시면 죄다 아웃소싱 하청에 파견직 월급 200따리입니다. 원청아닌 하청이면 대접 못받습니다. 소문난 잔칫집에 먹을게 없는거죠. 거기다 물가는 지방도시중에 탑3안에는 듭니다.
@mypig227
@mypig227 26 күн бұрын
구인구직사이트에 보이는게 10%겠지, 실제 도시에서 대기업비율 50%넘김.매출로따지면80%이상. 정유회사, 조선, 자동차
@RaonBit
@RaonBit 26 күн бұрын
그 대기업들이 자동화와 아웃소싱으로 일자리를 점차 줄이고 있어 울산의 메리트가 없습니다. 물론 망했지만 지방 공업도시 중에선 그나마 아직 살만합니다. 울산 외의 공업도시는 더 처참하죠.
@whatishandleee
@whatishandleee 26 күн бұрын
@@ML-zw7sv대기업중견 하면 한50퍼안되려나요?
@leedinggoo4350
@leedinggoo4350 23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산업현장에서 고액 급여 받는 업종많아 다만 단순기능공 새끼는 제외
@99com88
@99com88 4 күн бұрын
♥ 감사합니다
@we-pn6vi
@we-pn6vi 26 күн бұрын
기성세대들 또 애 낳으라고 언플하지 응 못낳아 돈 많은 기성세대분들 열심히 낳으세요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26 күн бұрын
586 686세대: 아무것도 없는 내 부동산 10억원에 사주세요. 내 딸 아무나 데려가주세요 근데 가격 낮추는건 안되고 내 딸은 무조건 최소 20억 가진 돈 많은 남자가 데려가야해요 ㅋㅋㅋ
@user-akdkdnenakdkdks
@user-akdkdnenakdkdks 24 күн бұрын
사실 기성세대들은 저출산 알빠아님. 이런 영상 계속 보여주면서 우리가 경고했는데 니들이 애안낳은거니까 니네탓이다 하려고 걍 계속 경각심 일으키는 영상 만드는거 ㅇㅇ.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22 күн бұрын
ㄱ치녀: 아몰랑
@userganada
@userganada 21 күн бұрын
@@user-akdkdnenakdkdks 자본주의는 남에껄 뺐어야 성장하는 구조임 절대 저출산 해결 못함 ㅋㅋ 이거 해결하는방법 무이자 부동산대출 해주면 끝남 ~ 애낳는 수의따라 1명당+5년 2명은 +3년 3명은 +8년 신혼은 +5년 이런식으로 하면 100%해결됨 결혼후 3명 낳으면 무의자 부동산 대출 26년인데 이정도만 되도 인구 500%증가할듯 절대 안할껄요 자본주의는 제로섬게임이니깐~ 그래서 유럽, 미국이 이민자를 받는거임 ~ 이민자 안받으면 인구 절대 늘어나지않음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19 күн бұрын
​@@user-akdkdnenakdkdks 알빠일텐데 ㅋㅋ 진짜 고려장 시작되어야 눈물 흘리려나 ㅋㅋ
@user-du2fu4gt7m
@user-du2fu4gt7m 26 күн бұрын
울산 사람인데 4년제 대학을 위한 일자리가 너무 없음 있어도 이공계의 관리직이 대부분임 (연구직은 없다시피함)
@jinza734
@jinza734 25 күн бұрын
이런현상은 울산에만 국한되어있는게아님. 지금 대다수의 인구소멸지역이라고 하는 곳들 보면 전부다 몸갈아넣어도 최저임금의 도시들임. 청년들이 최저임금을받고 올라간물가를 감당할수가없으니. 결혼도안하는거고. 그나마 기회라면 수도권밖에없다 라고해서 올라갈수밖에없는 현실.
@user-iv4qf3iz3v
@user-iv4qf3iz3v 15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은 어느 도시에 살아야 합니까용??
@Userneisb
@Userneisb 22 күн бұрын
만드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이끌고 그것을 개발하는 인재가 중요하다. 그것을 만드는 노동인구는 얼마든 있으니까. 그러기에 저들이 못떠나는것이다. 본인들이 손해를 보더라도 갈곳이 없기에
@user-yr5eu8jx9b
@user-yr5eu8jx9b 26 күн бұрын
내가 자란 도시고 지금도 살고 있지만, 반드시 구조 개혁이 필요해 보입니다. 수도권에만 집중되는게 정상은 아니잖아요.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25 күн бұрын
응 어쩌라고 울산 망하던 말던 나라에 하나도 피해 안옴 걍 일본에 팔아넘겨라 저런동네는 좀
@youngikjang2268
@youngikjang2268 26 күн бұрын
구미에서 삼성전자 모바일 사업부가 어느순간 빠졌죠, 삼성은 오히려 회사가 더 컸습니다. 울산도 정신 차립시다.
@whoamii__
@whoamii__ 26 күн бұрын
모바일 X 네트워크 O 몇백명 올라간걸로 호들갑..
@user-ky3wo9cs6e
@user-ky3wo9cs6e 26 күн бұрын
머래 2007년인가 베트남으로 휴대폰사업부이전한걸 말하는거같은데 몇백명은뮤슨
@user-sj9dn1ig8y
@user-sj9dn1ig8y 26 күн бұрын
90 2000년대 삼성 Lg 모바일 가전 해외로 공장보내고, 구미 공장 반도체 디스플레이를 안 넣었죠. 이유가 다양한데 그당시 충청도 경기도가 워낙 핫딜을해서 산단 폐수처리시설 만들어주는것부터 ,부지 매입 해주고 구미는 당연히 올거라 생각하고 너무 안일하게 하다 끝나버렸죠
@user-it7jv4oh8f
@user-it7jv4oh8f 10 күн бұрын
구미살지만 여긴 답없어요
@user-gb1ui9nx6l
@user-gb1ui9nx6l 26 күн бұрын
나라와 사회가 ㅈ같은게 비교하는 삶 보이지 않는 신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언젠가는 망한다 ~ 참아라 결국엔 망하게되어있다 그때 통쾌하게 웃어라 ㅋㅋㅋㅋㅋㅋㅋ
@yummy5280
@yummy5280 25 күн бұрын
인트로 인상적입니다. 말 그대로 울산에서 나고자랐지만 일자리가 없어 20대이후 울산을 떠났습니다. 떠난지 20년째. 고등학교 친구들 2명(초등교사, 전업주부)빼고 모두! 타지역에서 일하며 살고 있습니다. 울산에 여성을 위한 일자리는 없죠, 아주 오래된 일입니다.
@guns_germs_steel
@guns_germs_steel 13 күн бұрын
동감이요. 아이를 키우는 거 자체가 돈 버는 것 보다 더 중요한 일인데, 그걸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위기가 아니죠, 우리나라 자체가. 아마 사람 하나를 품고, 키우는 걸 몇백만원 버는 것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다면 맨날 돈만 외치는 게 아니고 사람이, 생명이 더 중요하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다면 여자들이 이렇게까지 아이를 안낳으려고 하지 않을 겁니다. 아이 낳아봤자, 낳자마자 '회사에 피해주는 사람' 이라고 낙인찍는데. 이 나라는 사람보다 돈이 중요합니다. 사람 갈아넣어서 경부고속도로 깔 때 부터 이미 시작된 거죠. 급속도의 경제발전 시기동안 번 돈들의 대부분은 정치인, 대기업, 1%에게 다 갔고요. 99%의 국민들이 이걸 타파하기 위해 모두 달려들지 않는 이상, 여전히 0.1%의 대기업 취직만 바라보고 있는 이상, 절대 안 바뀔 겁니다. (국민들이 우매하다, 비난하는 게 아닙니다. 그렇게 밖에 생각할 수 밖에 없게 만드는 국가 교육, 돈에 대한 가치관이 문제인거죠) 그렇게 한국은 소멸되겠죠..
@hcr9088
@hcr9088 26 күн бұрын
청년들이 서울에 죄다 올라와서 일자리 얻고 자취를 하게 될텐데 자취방 5~6평 몸만 누우면 끝인 그런 공간도 최소 1000/50 이상 ~ 월급은 대기업 아닌 이상 중소기업 기준 초입 250 전후 ? 그 좁디 좁은 공간에서 사는 게 현실이라 깨닫는 건 오래 걸리지 않음 ~ 거기서 연애 결혼 출산을 꿈꾼다 ? 꿈꾸는 것 조차도 사치인 세상인데 무슨
@maleslp6530
@maleslp6530 26 күн бұрын
깨달아도 울산은 안가요..
@amd6027
@amd6027 26 күн бұрын
울산가면 출산할 수 있음? 울산가면 나라떠야 한다는 현실을 알아버릴 것 같은데 그럼 또 한국인들은 한국만큼 살기 좋은 나라 없다 urinara manse ww 이럴텐데 ㅋㅋㅋ
@user-yn3ge1yd4l
@user-yn3ge1yd4l 26 күн бұрын
외노자 많은 경주 입실 외동도 냄새나는 원룸이 40~50
@user-po6wu9ns2c
@user-po6wu9ns2c 26 күн бұрын
울산도 정규직아니면 삶이 비참함 여자들도 눈 높아서 비정규직은 사람 취급안함 자기 아버지들이 다 직영이라 하청새끼들 짐승이라고 듣고 자란것도 있고 생활수준도 다 높음 울산에서 제일 불쌍한게 비정규직 남성 청년들이지
@user-pc8oh1jy6j
@user-pc8oh1jy6j 21 күн бұрын
어디서 네이버부동산 검색하고오셨나 ㅋㅋㅋㅋ뭐 울산은 초봉 300부터 시작해서 집값도 한 2억쯤하죠 ㅋㅋㅋ?
@user-mv9dm4vk1f
@user-mv9dm4vk1f 26 күн бұрын
울산은 청년을 잃어버렸지만 다른 지방 도시들은 사람을 다 잃어버리는 중 아닌가요 ?
@HinaThunder
@HinaThunder 26 күн бұрын
그런데 매년 최저임금 정하는 시기오면 지역별 업종별 차등임금해달라한다 ㅋㅋ 돈을 많이줘서 인구를 유입시켜도 부족할텐데 그 쥐꼬리마저도 안주면서 지역이 살아나길 바라냐? ㅋㅋㅋ 이 나라는 정신병자들이 기득권을 쳐 잡고있어서 문제야
@user-cx5or3oq3e
@user-cx5or3oq3e 4 күн бұрын
정말 마음이 아프네요 ㅠㅠ 노동자가 제대로 댓가를 받고 인정받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어요. 차별없는 세상!!
@ohmueller1118
@ohmueller1118 24 күн бұрын
울산에 답이없다면 이세상 어디에도 답이없고 그건 늬들이 틀에박힌 생각에서 깨어날때 달라지고 답이 생긴다. 왜 안뽑아주는 일자리만 고집하는건가? 스스로 개척할 생각따윈 아예없지 어떤 무리에 속하지말고 스스로 성장하고 계획하고 실행해라
@user-kd8mc6rn4j
@user-kd8mc6rn4j 26 күн бұрын
기업이 있어야 사람들이 모일텐데 어느 기업이 지방에 내려갈가요? 내려가도 냄새나는 현대 처럼 외노자나 비정규직만 엄청 뽑을텐데? 사람들은 정규직을 원할테고..
@gbcszcfdcvc001
@gbcszcfdcvc001 26 күн бұрын
도시화, 직업의 변화도 인류 진화의 과정이다 * 말뫼의 눈물을 기억하자 - 스웨덴, 유럽 조선 1위 도시였으나, 조선업이 쇠퇴해서 대형 크레인(골리앗)을 철거하며 시민들이 눈물을 흘렸으나 이후 IT도시로 변신하여 활력을 되찾음.
@user-yu9vm3xd7i
@user-yu9vm3xd7i 11 күн бұрын
사이코패스 검사 받아보세요. 의심이 됩니다. 조직의 변화속에 무참히 갈려나가는 개인은 어디에? 국민을 위해 국가, 조직이 있는겁니다.
@ho-gonhan8619
@ho-gonhan8619 26 күн бұрын
소득분배가 안되는 상황인데... 외국인 노동자들 끌어 들이면... 이상황이 변할수 있을까.. 영원히.. 그대로 가겠지..
@miya_kim
@miya_kim 26 күн бұрын
지방소멸에 대한 많은 영상을 봤지만 결국 수도권으로만 더 모이고 해답도 없는데 이 정도면 서울 나만 살꺼니까 니가 나가라 한국이 위험하니까 알지? 하는것 같음
@user-qk3ev1oe7m
@user-qk3ev1oe7m 26 күн бұрын
피식대학에서 보니 살기 엄청 좋은 곳이라고 하단데..옛날 이야기인가요
@user-ec8tn1ui6e
@user-ec8tn1ui6e 5 күн бұрын
그놈들 경상도놈들이라서 경상도 빰.
@user-bc3ju9xm4i
@user-bc3ju9xm4i 26 күн бұрын
오일 다녀서 행복해요ㅋㅋ
@user-rt4hl5cl7g
@user-rt4hl5cl7g 26 күн бұрын
웃긴게 지역방송 모두 청년을 잃어버린 도시 주제 관련 영상보면 댓글들이 다 각자 도시가 살기 힘들다고함 ㅋㅋ 그냥 전국적으로 이제 청년이 다 없는거야 서울도 몰리다가 10년뒤부터는 인구가 없어서 훅훅 빠진다
@GwangMo
@GwangMo 13 күн бұрын
서울도 빠지고 있음 직장만 서울인거죠 ㅎㅎ
@davidk5077
@davidk5077 26 күн бұрын
울산이 '초'남초 도시이긴 합니다.. 워낙 전통 제조업 중심의 회사가 대부분이라 혁신도시 인근에 공공기관 일자리를 제외하면 여성들이 선호하는 직업군 자체에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서 그런거 같아요 그래서 젊은 사람들은 성비도 안맞거니와 서로 밸런스도 잘 안맞아서 주변에 보면 남자 직장이 하드캐리 하거나 외벌이가 많더라구요
@user-wd4tc1fp8g
@user-wd4tc1fp8g 26 күн бұрын
정규직을 뭐라해라 그들이다가져갔기에 비정규직이 힘든것이다
@user-qy7ij2jh1t
@user-qy7ij2jh1t 26 күн бұрын
외벌이 할수밖에 없지...여성일자리도 없고 여자도 없음 결혼할 여자가 없어서 동남아여자 수입해서 결혼많이해서 다문화 가정도 많음..시골농촌도 아닌데 ㅉㅉㅉ
@user-ji4gz6zd7c
@user-ji4gz6zd7c 26 күн бұрын
현대차 킹산직인데 일을 여자가 왜해요? 매일 쳐놉니다 울산여자들 제정신아님
@user-tj8dm8tb2v
@user-tj8dm8tb2v 26 күн бұрын
나라 잘 돌아간다. 지역에 거점을 만들고 사업을 키워야하는데 현대 중공업 생산은 울산에 있었으면 계속 울산에 R&D 센터를 지어서 울산(지역) 살리기를 계속해야 되는데 모든게 수도권으로 몰리는구나...
@user-fd2od1tw5d
@user-fd2od1tw5d 23 күн бұрын
기득권들이 욕심을 좀 내려놔야 합니다.
@ysh4585
@ysh4585 26 күн бұрын
비전문가들이 전문가인양 기분나쁜 댓글 싸지르는거 역겹네요 울산의 문제는 정치인들과 울산사람들의 사고가 낡았다는 것... 새로 엎지 않는이상 청년은 떠날 뿐이다. 메가시티는 싫어요, 정주영 동상 세우기는 좋아요 하는 시장이 당선되는 동네.
@user-qq2rl3tu3v
@user-qq2rl3tu3v 26 күн бұрын
울산분이신가요. 이웃부산사람이봐도 비교적 정확하게보시는것 같습니다 신복로터리철거 반대댓글보고 놀랏죠
@user-ji4gz6zd7c
@user-ji4gz6zd7c 26 күн бұрын
2찍들이 제정신아니죠
@user-we1dy5uc8g
@user-we1dy5uc8g 26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이지만 그건 개선이 거의 불가능하니까요.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26 күн бұрын
메가시티는 왜 찬성해야함? 부산은 대학교이전조차 울산에 양보 안하는데 ㅋㅋ 부산만 살리자 하는게 부울경메가시티구만. 애초에 도심간 거리만 따져봐도 부산이랑 울산은 시작점부터 다른 광역권임
@user-qq2rl3tu3v
@user-qq2rl3tu3v 26 күн бұрын
@@ilililliliiillil 메가시티가 부산만살린다는생각자체가 낡은사고방식이죠.공부좀하셔야될듯
@user-wg6wf9jn7l
@user-wg6wf9jn7l 26 күн бұрын
나는 하청에 하청일 4차밴드 일한다 솔직히 현대차 사내비정규직 상상도 못할 만큼 부럽다 부럽습니다
@user-kr3fk9pt3w
@user-kr3fk9pt3w 24 күн бұрын
태어나서 4차밴드는 처음이다
@user-wg6wf9jn7l
@user-wg6wf9jn7l 16 күн бұрын
@@user-kr3fk9pt3w 하도급에 하도급 거기에 또 하도급 입니다
@user-wx7sr9xi3e
@user-wx7sr9xi3e 8 күн бұрын
4차 밴드는 처음 듣네요 차라리 창원으로 오세요
@user-me6to9zc1l
@user-me6to9zc1l 13 күн бұрын
현대차는 지금 현재 노조 스타일이. 유지가 되면. 신규 채용이나 비정규직을 정규직 전환이. 쉽지. 않을꺼. 같은데요 점점 자동화. +로보트 로. 제조 설비가. 바뀌지. 않을까요? 내가. 만약 현대차. 사장이라면. 어떻게 할꺼라. 생각하시나요?
@kermit2235
@kermit2235 26 күн бұрын
진심ㅋㅋㅋ 현대 자동차 파업은 행사지ㅋㅋㅋㅋㅋ 개웃기내 나도 1년 10개월 계약직으로 다님 진심 개꿀 직업임 그만큼 일하고 돈 많이 주는곳없음 난 나올때 1억 가까이 모음ㅋㅋㅋ 물론 정규직이랑 비교하면 힘든건 맞는데 다른 곳이랑 비교 못함 너무 돈이 적거든ㅋㅋ 배부른 사람의 하소연이지 서있다 앉고 싶고 앉으면 눕고싶고 자고싶은건 다똑같음
@user-bf2me2wn8h
@user-bf2me2wn8h 25 күн бұрын
아니 촉탁해서 1억모음? 가능한가요?
@kermit2235
@kermit2235 25 күн бұрын
@@user-bf2me2wn8h 쌉가능합니다 근데전 9천 초반이였음 누가 1억 모았다더라 소문이 있었죠ㅋ 제친구도 저랑 비슷하게 범 8900 모았음 거의 돈 안쓴듯 쓸곳이 없기도 했지만 세금 내는거 계산해서 주말에도 하고 밥은 현대밥 최고임ㅋㅋ그래서 협력사도 밥먹으려오잖아요ㅋㅋ
@user-dm2uo2oz2x
@user-dm2uo2oz2x 22 күн бұрын
울산토박이인데 백화점은 작지만 3개 있고 대형마트 9개 있고 영화관(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도 7개 있고 시립미술관도 생겼고 전시회장도 생겼고 바다보고 싶으면 바다 보러 갈 수 있고 산이나 계곡에 가고 싶으면 영남알프스 가면 되서 사는데 나쁘지 않은데 다들 왜 부정적이지? 다만 공연이나 문화 인프라가 적고 특히 교통인프라는 울산시가 욕 먹을만 함… 광역시인데도 지하철 하나 없는건 진짜 쪽팔리는 일이고 최악임..지하철 안 되면 경전철이라도 있으면 좋을텐데 그것도 없음…울산은 태화강 줄기를 따라 남구중구 중심으로 돌아가는데 울주군 북구 동구처럼 흩어져 있는 도심을 연결 시키려면 도시철도가 답인데 답답한 버스뿐…내가 알기론 인구대비 자동차 보유가 제주 인천 다음으로 많은 걸로 아는데 출퇴근 시간이면 24번 국도나 7번 국도처럼 울산 외각 도로 엄청 막힘…서울 수도권도 일 때문에 몇년 살아봐서 알지만 도시철도와 문화생활빼곤 나머진 사는 게 다 똑같음…
@user-fn5nw6dr9c
@user-fn5nw6dr9c 26 күн бұрын
자동화 기술 즉, 신기술을 받아들여야 하는 게 현실입니다.
@user-uq7jp7fb7o
@user-uq7jp7fb7o 26 күн бұрын
남학생들이 그래도 울산에서 먹고살만하니 울산에 남겠다하는데 부산 대구 광주 이런 지방은 여학생뿐만아니라 남학생들도 수도권으로 갈려고 하고있는데 무슨 울산만의 문제인듯 말하고있는지
@wlrmadl5944
@wlrmadl5944 23 күн бұрын
그 잘나가던 울산이 이 수준이다 보여줄라고 찍었겠지 ㅈㄴ 꼬였노
@hvboq11
@hvboq11 23 күн бұрын
영상 첫부분에서 말했을탠데, 지방 마지막 보루인 울산의 상황이라고
@mandukim5377
@mandukim5377 9 күн бұрын
울산도 지금 상황 심각한 게 맞아요. 울산에서 부산으로 빠져 나가는 인구가 부산에서 울산으로 빠져 나가는 인구보다 많습니다. 일부 대기업 정규직 아니면 결국 대부분이 서비스 직종에서 일하는데 그런 일자리는 차라리 규모의 경제나 소비 인프라가 되어 있는 부산 쪽에 많이 있기 때문에 평범한 울산 사람들은 부산 쪽으로 빠진다는 겁니다.
@user-tj2qi2tf6v
@user-tj2qi2tf6v 26 күн бұрын
아 울산 평화누리뭐시기 나오기전의 옛시대의 범부여
@user-pk3by1dj2o
@user-pk3by1dj2o 26 күн бұрын
방송은 보면 알겠지만 대기업 R&D 센터는 경기도로 이동했고 공장은 사람이 필요없어지고 울산에 청년들이 있어야하는 이유가 있는가.
@earthistory
@earthistory 22 күн бұрын
수도권 집중화 => 지방 일자리 소멸 => 청년 인구유출 => 지방소멸화 결국 인구의 이동은 돈에 달려있고 그 돈이 지배하는 지역에 과도한 밀집은 큰 사회적 문제를 낳을것이라고 생각함.
@user-gs4hw5oz2d
@user-gs4hw5oz2d 23 күн бұрын
" 모난돌이 정 맞는다" "나서지 마라"... 이런얘기 안듣게되는 나라 만들겠다고 하신분이 계셨죠... 그런나라가 되지는 못했지만.. 그런말 들으면서 그래도 옳다고 생각되는 일에 나서는 분들은 아직 계신다는게.. 그나마 대한민국을 이렇게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eu4xn5kn9w
@user-eu4xn5kn9w 26 күн бұрын
220가구, 얼추 440명 청년에게 8년짜리 방 준답시고 임대주거형 주택(행복주택) 지어주는데 총 430억 쓰는 울산시장입니다. 얼마나 비효율적인가요? 딱봐도 구린내가 나지 않나요? 지방토호+건설업자+시장+검찰 한통속으로 해쳐먹기 바쁜 울산은 청년이탈에 관심없습니다. 다 자기잇속 챙기는데 핑계로만 이용할뿐이죠. 빨간색만 두르면 시장으로 뽑아주니까 이런 현상은 더 심하죠.
@ttkk9040
@ttkk9040 26 күн бұрын
1집에 1억 안드는 새집이 있음? 10평이면 평당 천은 싼거아임?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25 күн бұрын
당장 전임시장인 송철호 뽑아줬는데 걔가 선거조작해서 민주당 나락간건 알고하는 소리임?
@gutemalife
@gutemalife 25 күн бұрын
그거 국민의힘이 해 먹던 사업입니다.
@user-cj6pr8nd9i
@user-cj6pr8nd9i 26 күн бұрын
다떠야 고마운줄 알아요!! 어서 올라와요
@jacob_park
@jacob_park 26 күн бұрын
해외 노동자들 어느정도 기술 익히면 국내 노동자수가 없어지면 그때 부터는 애네들도 다같이 월급 올려달라고 파업 할수도 있다 그리고 기술 배운것과 모았던 돈과 함께 자기 나라 가서 부자로 살아 갈 수 있다 물론 우리나라 노동자들도 똘똘 뭉쳐서 파업 하고 할수도 있지만 이왕 돈 주는거 우리나라 국민들 한테 더 줘라 기업과 노동자들이 잘 조율 해야하는게 너무 높은 인금이 발생하면 기업에서도 하루 빨리 ai/로봇으로 대체하게 될수 있으니 노동자들도 어느정도 기준을 낮춰야 할거 같다.....
Final muy increíble 😱
00:46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2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01 МЛН
삼성, 잃어버린 10년 [풀영상] | 창 458회 (KBS 24.03.12)
49:00
Final muy increíble 😱
00:46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