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퇴사는 절벽에서 떨어지는 심정"... 늙기엔 '여전히 젊은' 50대 (KBS 24.04.09)

  Рет қаралды 60,144

KBS시사

KBS시사

Ай бұрын

[시사기획 창 ' 870만 '낀'세대, 소득 절벽에 갇히다]
국내 최대 백화점업체에서 동고동락하며 청춘을 보냈던 사람들,
앞서거니 뒤서거니 퇴직한 뒤 이렇게 가끔 만나 안부를 묻습니다.
[녹취] 백화점업체 퇴직자 사모임
- 매년 인사시즌이 다가오면 선배들 나가는 거 보면서 올해는 혹시 내 차례지는 않을까? 올해 또 다행히 넘기면 올해는 또 한 해 잘 넘겼구나 그런데서 오는 스트레스. 그 생각을 가지고 결정을 했음에도 잠이 안오더라고요.
= 회사를 마치고 나오는 그 상황을 묘사한다면 절벽에서 떨어지는 느낌
- 어떻게 보면 권고사직이었는데 갑작스럽게 일을 하는데 상사가 부르는 거예요, 갑자기. 되게 깜짝 놀랐어요. 항상 마음은 불안했지.50대가 되고 한 직책에서 승진을 안하고 계속 적체가 되면 이제 조만간 오겠다 했는데, 생각보다 빨리 와서
= 정년퇴직하고 연금나오기 전까지가 아주 보릿고개더라고. 씀씀이라는 게 진짜 이렇게 금방 안 줄어지더라고. 애결혼도 해야 하니까 그 때 좀 쓰고 뭐 생활비 좀 쓰고 이렇게 하니까 퇴직금이 싹 그때는 없어지더라고요..
- 제일 후회된 게 금융 공부를 빨리 시작할 걸 그랬다. 위로금이나 퇴직금이 많지는 않더라도 목돈이 들어오잖아요, 아 이거를 어떻게 굴려야 하지? 어디다 투자를 하면 안정적으로 할까, 그러면서 이게 마음이 굉장히 조급해지더라고요.
= 전직 지원이라는 컨설트를 한 2번 정도 받았는데, 이거를 퇴직하고 나서 받을 게 아니라, 이런 퇴직을 선택해야 하는 시점이 다가오는 직원을 대상으로 그 때 해줘야, 아 퇴직 이후의 삶은 이런 게 펼쳐지니까
- 전문적인 거면 전문적인 거 기술적인 거면 기술적인 거를 나눠가지고 그거를 뭐 학원 하고 매칭을 시켜서 그 사람이 10개월이면 10개월동안 그걸 해서 완전히 사회에 발을 디딜 때까지 그 기업체라든지 일반 지자체에서 그거를 해줘야지 되는데. 그럴듯한 명함을 가진 재취업에 성공한 사람은 없는 거 같애 내가보면
= 그나마 바라는 거는 젊은층이나 관련 전공자들이 이 임금을 가지고 일하기에는 꺼려하는 틈새시장이 있으니까 사실 그거를 보고 나온 거거든요. 여러 구직사이트에다가 내 경력을 띄워놓은 결과 보험사 밖에는 연락이 안 오더라는
- 그래 보험사, 경비 이런 거
= 50세가 넘어가지고 오면요, 다들 대부분이 다 저보다 나이가 어리니까 어울리기가 힘들다, 저는 잘 어울려요, 유통업에서 사람들 대상으로 했으니까 "아니, 본인이 아니고요, 주변 사람들이요" 그래서 꺼려하더라고.
- 1년마다 자격증을 하나씩 따거든 계속 자격증을 따오는데 그 자격증이 하나도 쓸모가 없는 거야, 그냥 심심하니까 따는 거야, 심심하니까
= 취미생활을 해야지, 자격증으로
- 오, 심심하니까 시간을 때우려고 경력 1년이나 2년 3년 이런 사람을 뽑거든. 내가 그랬어, 아, 처음부터 경력자는 없다 내가 경력자보다 더 열심히 일을 할 수 있으니 나를 뽑아달라 이렇게 막 읍소를 했더니 자기 일행하고 딱 떨어져서 나한테 오더니 "저희하고 근무 같이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거야, 와, 그래서 내가...
= 어필을 잘했네.
- 그래서 이제 통계청 4년 근무했지
- 노인 일자리는 많고 청년 일자리는 많아요, 그런데 이 50대는 청년에 들어가지도 않고 노인에 들어가지도 않아요, 이 공백기에 우리가 갇혀 있는 거예요, 50대는. 장애인, 국가유공자 다 있어요, 나는 아무것도 해당이 없어, 그래서 이번에 잘렸어, 나는. 그것도, 국가가 아직은 여기까지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 대학졸업 때 IMF를 맞다 보니까 취업 때문에 되게 힘들었어요.2008년 때는 그때는 30대 중후반 과장 때였으니까 그때도 잘 버텼는데 아 역시 3번째는 못 버티는구나. 내 세대는 이럴 때는 불우하구나 많은 고민이 이제 사회현상으로 오픈이 되면 많을 사람들이 그거를 고민을 하고 같이 해결방안을 찾지 않을까
- 그렇지, 그러니까, 맞아
= 그 첫 주자가 아마 저희 70년대 초반 세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개인적으로 듭니다....
중장년층에게 상담, 교육, 일자리 등을 지원하는 서울시50플러스 재단.
2016년 설립 초기, 사업의 초점은 보람일자리였습니다.
장애인이나 노인 돌봄, 학교 안전, 지역 봉사 등 주로 사회공헌형으로 월 57시간, 월급은 약 65만원
그런데도 연 참여자가 5천명에 달합니다.
[인터뷰] 보람일자리 지원자(57세)
(봉사든지 무슨 일이든지 적절한 수준에서 하고 싶은데, 그런 것도 없는 거예요?)
없죠, 없죠, 제가 알고 있는 유일한 건 보람일자리 이거 하나밖에 없는 거로 지금 알고 있어요.
[인터뷰] 황윤주/서울시50플러스재단 사업본부장
상담센터의 8-90%가 일자리 없냐, 나는 무슨 일을 할 수 있는가, 내가 하고 싶은 일자리는 이런 건데 혹시나 거기 가면 뭐 연결받을 수 있느냐 풀타임으로 일하고 싶은 욕구가 많아졌고 저희 재단도 거기에 부응하도록 일자리 사업이 많이 변화가 됐죠
재단은 최근, 중장년 일자리 사업의 중심을 재취업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우선 올해 처음 도입한 풀타임 인턴십, 4,50대 중년을 인턴으로 채용하면 기업에 월 90만원씩 석달 간 총 270만원을 지급합니다.
둘째, 기업들과 연계한 중장년을 위한 각종 채용박람회,
지난해 40여차례 박람회 채용 인원은 300명대에 불과하지만 참여 기업들의 만족도가 높았다는 게 고무적입니다.
[인터뷰] 황윤주/서울시50플러스재단 사업본부장
아, 중장년도 젊은 친구들이랑 어울릴 수 있구나 라는 것을 알게 한 거죠, 그런 경험을 그냥 막연하게는 절대로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제도와 장치가 만들어진다면 이렇게 중장년의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려고 같이 노력하는 어떤 공간과 실체, 예산 이런 것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맥도날드는 지난해에 이서 올해까지 벌써 3차례 중장년 채용설명회를 열었습니다.
여러 세대 간의 융화를 중장년 채용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인수 / 61세 팀원(지난해 신규 채용)
혹시 젊은 친구들이 저한테 조금 불편해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갖고 있어서 저희 딸한테 하듯이 막 이렇게 무슨 말이라도 할까봐 그런 거는 내가 좀 조심해야 되겠다. 매장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일을 젊은 친구들이 척척 해결해 나갈 때 저도 좀 본받을 게 많은 거 같아요.
[인터뷰]고소영/ 25세 팀리더
이런 일 좀 해주세요 라고 말하는 게 처음에는 솔직히 어려웠는데 네 알겠습니다 리더님 이렇게 받아들여주시니까 저도 점점 편해지고 제가 놓치는 것도 먼저 말해주실 때도 있고
직장을 구하고 있었는데 그때는 솔직히 약간 나쁘게 말하자면 중장년층 분들이 일자리를 제 일자리를 약간 뺏어가나? 이런 생각을 한 적도 있긴 한데 막상 맥도날드 들어와서 같이 일해보니까 전혀 그런 게 아니고 할 수 있는 분야가 다른 거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달라서
이미 기업들에게는, 퇴직자에 대한 [재취업지원서비스]가 의무화돼 있습니다.
그러나 종업원 천명 이상의 대기업, 비자발적인 경우에 해당하는 등 아직은 보편화돼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관련방송: 2024년 4월 9일(화) 밤 10시 10분 KBS 1TV / 유튜브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news.kbs.co.kr/vod/program.do...
유튜브 / @kbssisa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Пікірлер: 164
@DDDDTTTTDDDD
@DDDDTTTTDDDD Ай бұрын
연봉6천 받던 중소기업 식품회사 부장으로 일하다 40대 중반에 명퇴 당해 재취업이 어려워 대리점하다 망해서 결국 세탁공장 들가서 밑바닥부터 10년간 기술을 익혔다. 급여 생각하면 할 수 없는 일이다. 자신의 찬란했던 과거는 잊고 다시 신입으로 들어간다는 심정으르 이런 저런 꾸사리 들어가며 자존심도 버리고 버티는 것만이 살 길이다. 10년동안 나와 같은 처지의 아재들 들어오면 대부분 버티지 못하고 떠난다. 체력적인 부분보다 그 알량한 자존심이 허락치 않은 것이다. 눈을 낮출 수 밖에 없다. 아주 특별 케이스나 전문 자격자가 아니라면 월 2백 전후 받는 일 찾아 가야 한다.
@user-iu4bq7bo6y
@user-iu4bq7bo6y Ай бұрын
멋지십니다
@user-po8si9mk5z
@user-po8si9mk5z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일자리는 많아요 취업 하려는 사람 자존심이 높을뿐
@user-sv4tx6cn8b
@user-sv4tx6cn8b Ай бұрын
감격스런 말씀이고 현실임에 실감이 갑니다
@greatlightgold5515
@greatlightgold5515 Ай бұрын
회사는 회사일 뿐이다. 내가 나의 시간과 능력을 제공하고 거기에 합당한 보상을 받는 대상이다 회사에 몰입하지 마시고 평소에 회사를 벗어 났을 때를 대비하시라
@leehyangje
@leehyangje Ай бұрын
◎ 노인이 역할을 좀 해주어야 하죠. 2024년01월 저출산과 노인문제 해결책. 노인중 0.1%만 뭔가 노하우를 발휘해주어도 : 2023년 10월 02일 노인의 날 : 20년~30년~40년 세월동안 차곡차곡 축적한 노인들 + 내공! 노하우! 경험! 으로 뭔가 세상에 기여? 전체노인중에 0.1%만(나머지 대다수 99.9%는 잡부노인) 세월따라 내공 노하우가 차곡차곡 축적되어 있다면 = 동년배노인들도 따뜻하게 먹여살리고 + 청년백수도 해결하죠. = 민생문제해결! ▣ 청소년들이 오죽 했으면 【지방젓-소공장 근로자(개돼지)】 보다는 【조폭! 마약상!】이 더 났다고 하죠. ▣ 공무원은 하루 30분 업무보고도 과로사망!한다고 주4일제를 외치고, 중소기업 근로자는 혹독한 중노동을 하고도 최저임금 200만원에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한국내 대기업 공기업 정규직(일도 수월하고) 연봉 8천~1억5천만원. VS 한국내 중소기업 정규직(일도 더럽고+힘들고+위험하고) 연봉 1천8백~3천5백만원. *정년연장은 잡부(퇴-물)이면서 호강하는 = 공무원(교사,교수포함) 공기업 + 대기업정규직 뿐입니다. / 중소기업 자영업 노가다는 정년자체가 없죠.
@user-nx4yr2cb8g
@user-nx4yr2cb8g Ай бұрын
20년 직장 생활하다 48세에 회사 때려치고 나와 타일 배워서 지금 삼 년차 입니다. 시작할 땐 참으로 막막하고 막막했는데 지금은 어느 정도 자리 잡았습니다. 사업자 등록후 자영업 하고 있고 현재 연봉 수준으로 7-8천 정도는 벌고 있어요. 기술로 벌어 먹고 사는 것이라 투자한 돈도 없어서 망할 걱정도 없어요. 세 자녀 키우려면 앞으로 15년을 더 일해야 되는데 직장 생활로는 답이 없습니다. 각자도생 해야 되는 세상입니다. 직장이 나를 지켜 주지도 않고 인맥이 나를 지켜 주지도 않네요. 요즘 실업급여 부정수급이다 뭐다해서 말이 많은데 저는 꼭 있어야 한다고 보는 사람입니다.실업급여 없었으면 회사 관두고 나왔을 때 최소 몇 달 동안 기술 배워야 하는데 더욱 조급해지고 급하게 잘못 결정할 상황이 됩니다.실업급여 덕분에 최소비용으로 가정 생활을 커버 할수 있었어요..
@user-bd7km7vc4g
@user-bd7km7vc4g Ай бұрын
필살기 기술이 있어야합니다 60년 쥐띠 79학번 서울모의대졸 피부과 전문의 고등학교때 아버님께서 무조건 의사가 되라해서 수학이 꽝인데 이과가서 서울모의대 들어가서 피부과 의사가 되었습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님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내건물에 개원 33년째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Ай бұрын
미국이 좋은건 대부분 정년없이 일할수있다는건데 이사람들은 또 은퇴하기위해 사는 사람들같아요. 준비만됐다고 생각하면 그때가 언제든 미련없이 은퇴해요. 나 역시 자영업을했지만 죽을때까지 돈걱정은 안할거같아 58세에 뒤도 안돌아보고 은퇴했지요. 아내도 62세에 간호사 은퇴했는데 은퇴 취소하면 월급도 올려주고 보너스도 준다고 설득했는데 그래도 은퇴를 했더니 몇달동안 일해달라고 연락이 오더라고요. 요즘의 한국을보면 미국이 사람살기는 역시 최고예요.
@sna8352
@sna8352 Ай бұрын
대신 미국은 해고가 싶지요
@boongboongkim822
@boongboongkim822 Ай бұрын
@@sna8352 그건 사실인데 막상 해고당하는 경우는 드물고요 해고당한다하더라도 재취업도 대부분 금방 돼요.
@leehyangje
@leehyangje Ай бұрын
◎ 노인이 역할을 좀 해주어야 하죠. 2024년01월 저출산과 노인문제 해결책. 노인중 0.1%만 뭔가 노하우를 발휘해주어도 : 2023년 10월 02일 노인의 날 : 20년~30년~40년 세월동안 차곡차곡 축적한 노인들 + 내공! 노하우! 경험! 으로 뭔가 세상에 기여? 전체노인중에 0.1%만(나머지 대다수 99.9%는 잡부노인) 세월따라 내공 노하우가 차곡차곡 축적되어 있다면 = 동년배노인들도 따뜻하게 먹여살리고 + 청년백수도 해결하죠. = 민생문제해결! ▣ 청소년들이 오죽 했으면 【지방젓-소공장 근로자(개돼지)】 보다는 【조폭! 마약상!】이 더 났다고 하죠. ▣ 공무원은 하루 30분 업무보고도 과로사망!한다고 주4일제를 외치고, 중소기업 근로자는 혹독한 중노동을 하고도 최저임금 200만원에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한국내 대기업 공기업 정규직(일도 수월하고) 연봉 8천~1억5천만원. VS 한국내 중소기업 정규직(일도 더럽고+힘들고+위험하고) 연봉 1천8백~3천5백만원. *정년연장은 잡부(퇴-물)이면서 호강하는 = 공무원(교사,교수포함) 공기업 + 대기업정규직 뿐입니다. / 중소기업 자영업 노가다는 정년자체가 없죠.
@leehyangje
@leehyangje Ай бұрын
한국주 미국연방
@user-xm6qx6jc5v
@user-xm6qx6jc5v Ай бұрын
​@@sna8352쉽
@ansi1291
@ansi1291 Ай бұрын
그러나 실제 퇴직한 50대를 단순직에 채용하려 보면 전 직장에서 받던 연봉 생각인지...눈 높이가 높습니다. 이해를 못하는 건 아니지만 이제는 부가가치가 높은 직종이 아니기에 마음을 내려놓고 취업하면 자리가 있을 겁니다.
@user-ub3wd4nx3g
@user-ub3wd4nx3g Ай бұрын
자리 별로 없어요. 청년 실업자도 많은데 젊은 사람 쓰려고하죠.
@hope7496
@hope7496 Ай бұрын
저도 연봉 2억 50대인데 노가다 권하는 와이프 때문에 죽을 맛입니다 급여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스트레스 많습니다 약을 한 주먹씩 밥을 먹는 것인지 약인지 혼돈스럽다
@user-wg7mf2sx8b
@user-wg7mf2sx8b Ай бұрын
대단하다 난 회사 인간들 한명도 안 만나고 싶은데.
@user-hr3qr2ou3o
@user-hr3qr2ou3o Ай бұрын
저기도 말하는 놈들만 말하네😊😊
@user-zr7yv9lc4p
@user-zr7yv9lc4p Ай бұрын
@@user-hr3qr2ou3o 이 뷰 ㅇ 신 ㅇ ㅏ 니 꼬라자 한봐봐라 ㅋㅋㅋ
@gift269
@gift269 24 күн бұрын
​@@user-hr3qr2ou3o ㅋㅋㅋ
@Cotdul
@Cotdul Ай бұрын
20대도 50대도, 새로운 사회에 진입해 나가는 사람들로써 서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생각합니다. '왜 진작에 준비하지 않았냐', '안될게 뻔하면 눈을 낮춰라', '누릴거 다 누린 세대면서 이기적으로 군다'와 같은 모진 말보다는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써 마음 한 켠 내줄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네요.
@Bill_Bousquette
@Bill_Bousquette Ай бұрын
싫어;; 그냥 대한민국에서 조용히 사라져.. 군대도 가장많이 안간 기회주의 세대;
@user-gl7sh8ek2p
@user-gl7sh8ek2p Ай бұрын
미리 미리 스스로 준비합시다. 현재 직장이 영원할거라는 착각만 안하면 됩니다. 국가나 사회가 그걸 준비해주지는 않습니다. 개인이 최하5년전부터는 스스로 준비 해야...
@user-ig8qx6bu5g
@user-ig8qx6bu5g Ай бұрын
지금 나이 민 53세 도서관 경비 공무직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61세까지 보장되 있어 그나마 여유가 있지만 그 이후도 걱정입니다
@user-vo7ic4ki8n
@user-vo7ic4ki8n Ай бұрын
경비원 공무직은 65세 아닌가요?
@user-tw8nb5ve8i
@user-tw8nb5ve8i Ай бұрын
본인들이 인사위치에 있을때는 똑같이 경력있는 직원 뽑으려고 했을테지...인생은 돌고 도는것...
@gorgebridge
@gorgebridge Ай бұрын
공영방송 시사방송에 음향효과를 이렇게 과하게 넣다니 아마추어도 아니고...
@allhumint
@allhumint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
@approachright8672
@approachright8672 Ай бұрын
다들 낯익은 얼굴들 이네요.. KBS에서 이번에 나의 전직장 동료들 상대로 프로그램을 기획한 거 같군요. 사실 회사동료라기 보다는 회사내 경쟁자가 더 정확한 표현이지요. 회사내에서야 이해관계도 있고 일도 같이 해야하니 적당한 선에서 알고 지냈지만 회사생활 종료되면 볼 필요도 없고 보고 싶지도 않은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어차피 저 모임도 말은 친목 모임이라고 하지만 결국 자기의 이익을 위한 모임일 뿐. 다른 사람이 어떻게 지내건 관심없어요. 내가 앞으로 어떻게 잘 풀어나가고 살아나갈지만 관심있을 뿐입니다.
@niceguy6671
@niceguy6671 Ай бұрын
02:00 역시..아직도...근로자 마인드...누가 떠먹여 주길 바라는.. 그런생각.마인드로 절대 성공.성장 할 수 없습니다.
@Mfl9ERw0oNK
@Mfl9ERw0oNK Ай бұрын
정년까지 했으면 회사든 나라에서든 그 정도는 해줄 수 있지 그리고 그게 사회적 비용이 덜듦 반박시 님 말 맞음
@hbjhkjh
@hbjhkjh Ай бұрын
ㅇㅈ 회사에 많이 바라네
@user-vm2xq5bq9g
@user-vm2xq5bq9g Ай бұрын
회사에 바라는게 너무 많은게 아닌가싶네요 회사라는 곳이 일 잘하고 열심하는 사람보다 정치 열심히 하는 사람이 살아남는 집단이 되버린 것도 막상 짤리고 사회에 나오면 정치하지 않는 이상 할줄아는게 없는 듯
@MadeByYujin
@MadeByYujin Ай бұрын
지금의 50대들 고민이 깊겠어요. 퇴사 전에 많은 고민을 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갈수록 선진국 구조를 따라가다 보니 현장 기술직이 대우를 받는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천정공사, 타일공사,도배 장판,방수등 이런 일들은 정년이 없습니다. 제가 거래하는 도배장판 하시는 사장님은 이 불경기에도 아주 바쁩니다. 현장 기술직에 계신 분들이 친절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친절하고 싹싹하게 고객들 대한다면 꾸준히 단골도 생기고 괜찮아요.
@user-rv3td7dt1y
@user-rv3td7dt1y Ай бұрын
아직 배부른 듯 합니다..
@mcy2756
@mcy2756 Ай бұрын
딱히 기술도 없고 아는것도 없고 자리 차지하고 연봉은 1억 넘었겠지... 거기에 백화점이면 ...
@user-gl8ge5ob9y
@user-gl8ge5ob9y Ай бұрын
50대에 파이어족 될수 있도록 미리미리 노후준비 가즈아 ❤❤❤
@hyungchulkim7384
@hyungchulkim7384 Ай бұрын
올해 44세인데 준비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되네요
@user-oo1vm5ee4y
@user-oo1vm5ee4y Ай бұрын
영상 초반에 50대 아재들 딱 직장인 마인드네. 기술없고 장사는 물론 짬밥이 있어야 하고 연봉 올라가고 진급하고 연차 늘어나고 놀러 다니면서 나 어느 대기업 다닌다고 명함 간판에 으쓱 댔으니 이제 부터 세상이 어떻다는걸 깨닫겠지. 자영업 20년 해보니까 50이면 쌓아 논 노하우로 피크로 돈벌수 있는 나인데~ 퇴직자들 짠하네~ 그니까 한 직장에 충성하며 아랫 사람들 밟고 경쟁해서 좋을게 없다잉
@hes368
@hes368 Ай бұрын
건설계는 한국사람없어요 일찍일어나고 현장일은 안하려고 합니다 펌프카기사도 부족합니다 대형면허있고 콘트롤박스 조정만 한달배우면 다 할수 있고 급여도 5~6백만원 받습니다
@user-oc9jg6fz7i
@user-oc9jg6fz7i Ай бұрын
Kbs, mbc 자꾸 이런 프로그램만 만들어서 사람들 이상한 생각을 가지게 만드는듯 자꾸 나 힘드니까 국가랑 회사가 어찌 해달라 하는 힘들지 않은 시절에는 저런얘기 하지도 않았으면서 자신에 삶은 스스로 책임을 지고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에 얘기를 방송에서 보여줬으면 하네요.
@jhingansandesh7789
@jhingansandesh7789 Ай бұрын
그냥 우리네 모습들이구만, 댓글은 뭘 그리들 예민하냐ㅋㅋ
@WanhwiLEE-gj8kv
@WanhwiLEE-gj8kv Ай бұрын
50대는 IMF때 이미 더 처절했었죠. 동료 70% 이상 구조조정되고 그때 이후 퇴직준비만 25년 지금 50대 2년전 외국계 기업 간부사원으로 명퇴했지만 한달 현금흐름 평생 현재가치 최소 천만원 이상 한달살기 파이어족 입니다. 모두 근로소득으로 만든거구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급여 50%저축 투자, 부채없이 분수에 맞는 자산취득, 국민연금 최고액 직장 자동납부, 퇴직연금등 연금 조기관리, 꾸준하고 장기적인 금융자산 관리와 공부. 주위에서 젊은데 왜 놀고있냐고 어르신들 말씀 하시는데 그동안 열심히 또 처절히 살았고 능력되서 재미있게 사는데 부러우신가요? 세금, 건보료 납부한 금액만 수도권 중형 아파트 한채값 저랑 아들둘 현역복무 등 나라에도 부끄럽지 않고 청년세대에도 부끄럽지 않네요. 더 잘 멋지게 또 겸손하게 살렴니다.^^
@user-js6qw6dw6u
@user-js6qw6dw6u Ай бұрын
"경비 이런거" 래ㅋㅋㅋㅋㅋ
@hes368
@hes368 Ай бұрын
비하는 아닌것 같고 쉽게 습관적으로 말한것같고 단순한직업 정도로 생각하는것 같어요
@user-rw7qk1ce8i
@user-rw7qk1ce8i Ай бұрын
와.. 댓글들... 소름이 이렇게 세대갈등이 심각하구나
@DDDDTTTTDDDD
@DDDDTTTTDDDD Ай бұрын
티비에 나오는 사람들은 그래도 대기업에서 받을 만큼 받아서 여유가 상대적으로 있는 사람들
@micaelsimon9155
@micaelsimon9155 Ай бұрын
심심한데 자격증..... 어우..
@user-hh5rj7wd8g
@user-hh5rj7wd8g Ай бұрын
나이가 들어도 일할수있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만들어내야하는 상황입니다. 노후대비에대한 준비를 위해 노력하자 이게 맞죠 젊은이들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장년층이 나가는게맞다?이건아니죠 댓글들 보다가 한숨나오네요 고령화가될수록 잉여노동력을 잘쓰는게중요합니다. 노하우가 많은분들이예요 퇴직자들의 눈이높다어떻다 이건 젊은이들도 마찬가지입니다 ;; 저분들이 일을 하고 경제활동을 해야지 젊은이들이 일을 하면서 부양가족에 대한부담감이 줄어드는거예요. 왜 하나만 보시죠들...😢
@leehyangje
@leehyangje Ай бұрын
◎ 노인이 역할을 좀 해주어야 하죠. 2024년01월 저출산과 노인문제 해결책. 노인중 0.1%만 뭔가 노하우를 발휘해주어도 : 2023년 10월 02일 노인의 날 : 20년~30년~40년 세월동안 차곡차곡 축적한 노인들 + 내공! 노하우! 경험! 으로 뭔가 세상에 기여? 전체노인중에 0.1%만(나머지 대다수 99.9%는 잡부노인) 세월따라 내공 노하우가 차곡차곡 축적되어 있다면 = 동년배노인들도 따뜻하게 먹여살리고 + 청년백수도 해결하죠. = 민생문제해결! ▣ 청소년들이 오죽 했으면 【지방젓-소공장 근로자(개돼지)】 보다는 【조폭! 마약상!】이 더 났다고 하죠. ▣ 공무원은 하루 30분 업무보고도 과로사망!한다고 주4일제를 외치고, 중소기업 근로자는 혹독한 중노동을 하고도 최저임금 200만원에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한국내 대기업 공기업 정규직(일도 수월하고) 연봉 8천~1억5천만원. VS 한국내 중소기업 정규직(일도 더럽고+힘들고+위험하고) 연봉 1천8백~3천5백만원. *정년연장은 잡부(퇴-물)이면서 호강하는 = 공무원(교사,교수포함) 공기업 + 대기업정규직 뿐입니다. / 중소기업 자영업 노가다는 정년자체가 없죠.
@asd_1230
@asd_1230 Ай бұрын
노인빈곤율은 금융문맹도 한몫하죠…. 주식 사고파는법도 모르는사람 많음…
@archerkim
@archerkim Ай бұрын
부모세대.. 일만알고 사셨던 정작 자식세대는 불평세대
@user-ie6qs9jd5p
@user-ie6qs9jd5p Ай бұрын
저렇게 웃으면서 술마시며얘기할정도면 아직절실함이 없어보여서 당분간은 힘들겠다😊
@user-cd4zy3jc5q
@user-cd4zy3jc5q Ай бұрын
퇴직하면 시간이 해결해준다. 준비하면 더 좋고 근데 자신을 내려놔야함
@user-bf6tc4vj9g
@user-bf6tc4vj9g Ай бұрын
욕심도 많다 30대에 정리해고 당했다
@user-ie3go3jt5i
@user-ie3go3jt5i Ай бұрын
롯데백화점 출신 들이네 롯데백화점 다니면 갑질의 최점정을 업무 평균으로 구사 하는 업무 스타일 이거 독기 빼는데 최소 오년 롯데백화점 은 나치 점령군 보다 더한 느낌
@MSFTOWNER
@MSFTOWNER Ай бұрын
난 지금도 일 안하고 싶은데
@user-vj4us9jo5f
@user-vj4us9jo5f Ай бұрын
앞으로 연금없이도 노후 생활 가능할 정도로 준비하셔야 합니다. 여기 방송나오는 분들은 그나마 연금혜택 제대로 받는 사람들.
@smileking28
@smileking28 Ай бұрын
요양보호사를 추천한다. 요양보호사는 너무 부족하다.
@user-nk1ex8uf2z
@user-nk1ex8uf2z Ай бұрын
결국 공무원이 가장 무난함 박봉이니 뭐니 해도 솔직히 20~30대에 300~400기본으로 받는 사기업 몇명이나됨...그냥 꾸준하게 매년 조금씩 올라가는 호봉제 공무원좋지
@user-xw8bk5sg7e
@user-xw8bk5sg7e Ай бұрын
누구 맘대로!
@wkk9477
@wkk9477 Ай бұрын
젊은사람들도 취직이 안되는데~ 좀더 일하고 싶다구?? 에휴 같이살자 좀 ㅜㅜ
@DDDDTTTTDDDD
@DDDDTTTTDDDD Ай бұрын
저 사람들이 젊은 사람들이 취직하려는 자리 탐하는 건 아니여. 월 이백받는 허드렛일밖에 없다는 걸 금방 깨우친다
@honchanori9307
@honchanori9307 Ай бұрын
나는 H건설 전력사업부에서 일했었다. 환경이 ㅈ 같은 지역, 카타르 도하, UAE 아부다비, 베트남 몽정 이렇게 일하니까 죽을 것 같더라. 결혼도 할 시기도 놓쳤지. 2번정도 할뻔 했는데. 내가 이 직업을 계속 못할 것 같아서, 포기했다. 직장생활한지 10년째 되는해에 그만둘거라 생각하고, 주식매매를 직장생활 7년차부터 공부하고 준비했다. 그리고 지금 전업한지 10년차. 따로 재취업 걱정 안하고 있는 돈으로 아껴살면 평생 살정도까진 된다. 그때 결혼 안한것이 나의 최고의 판단이었다. 물론 결혼을 했어도 나름 행복한점이 있겠지만, 현재 아무런 걱정이 없는 이 상태가 너무 좋다. 부모님 다 돌아가시고, 형제자매 서로 바쁘고 인생관이 달라서 볼일 안생기고, 자녀가 없으니, 교육, 자녀결혼, 노후준비 등, 결혼한 사람들이 흔히 가지는 문제가 없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일을 계속해야만 하는 환경에 강제로 놓여질 이유가 없는 것이다. 스트레스가 적으니 몸도 건강하다. 이미 대한민국은 소멸중이다. 더 문제점은 결혼을 한사람이, 아이를 가진 사람이, 태어난 그 아이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비참한 인생을 살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아무쪼록 다들 잘 이 시기를 헤쳐나길...
@juri11710
@juri11710 Ай бұрын
대기업이나, 높은자리에 있다가 사람들한테 싫은소리 들어야 하고 욕먹으며 일 새로 배워야 하는 자리에 들어가서 버틸수 있을까? 지금 중소기업 단순 생산직 들어가면 버티기 힘들것, 우대사항에 북한이탈주민 이라고 적어놓는 중소기업도 널리고 널렸고, 외국인한테 일 배워야 하는 중소기업도 널렸음. 좀 양질의 일자리 중소는 30대 청년들이랑 경쟁해야함. 중견 대기업은 20대도 들어가기 힘들어서 받아주지도 않고 특별한 기술 인맥 없으면
@user-kx7gt9cz3l
@user-kx7gt9cz3l Ай бұрын
경비하셔 여기는 60대가 신참
@Kaspar1981
@Kaspar1981 Ай бұрын
멍청하게 회사에 충성하느라 인생을 허지한 60년대생들을 봐라 젊은 친구들이 저걸보고 배워야겠지.
@paulyoo4050
@paulyoo4050 Ай бұрын
수동적, 피동적인 삶과, 직업이 문제
@user-lw3kc5sn8b
@user-lw3kc5sn8b Ай бұрын
*진짜 일을 하고 싶은거야? 아니면 이제 좀 쉬고 싶은데 돈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일을 해야만 되는거야? 잘 구분해서 말해야지...*
@nineoneone239
@nineoneone239 Ай бұрын
그니까 미리미리 영어 공부 일본어 공부 해놔. 그냥 적당히 하는 수준이 아닌 충분히 의사소통 가능하게 끔. 이 나라 외국어 교육은 독해 교육만 시켜서 노예 탈출 못하게 막는 외국어 교육이니까 과감히 한국식 외국어 교육은 하지말고.
@user-vn8zj8pw9b
@user-vn8zj8pw9b Ай бұрын
근데 ㅋ 대한민국에서 제일 불쌍한 건ㅋㅋㅋ 4050 자영업자들임 ㅋㅋ 누구도 관심없음 심지어 이런 방송조차도. 뭐 방송국 놈들도 직장인들이니 그럴지도
@user-du2dr4em5e
@user-du2dr4em5e Ай бұрын
젊은애들 입맛에 안맞으면 갈궈서 때려치게 만들던 세대가 이제 지들 밥그릇 걱정하네...... ㅋㅋ 웃프다야..... 나가서 직접 한국 고용시장의 차가움을 느껴봐라... 뿌린대로 거두는거야.. 일자리 널렸는데 젊은애들이 의지가 약해서 취업을 안하는지 눈높이가 높은건지 직접 가서 느껴보셔들...
@tyk9307
@tyk9307 Ай бұрын
안타깝지만 욕심입니다. 다음 세대도 생각해야죠
@user-hh5rj7wd8g
@user-hh5rj7wd8g Ай бұрын
네?;; 중장년층이 젊은이들의 일자리를 뺏는다는 관점은 어떤방식어야 생각할수있죠?세대간 갈등조장입니다 이런댓글
@olive8799
@olive8799 Ай бұрын
@@user-hh5rj7wd8g 쟤네가 나가야 신규를 뽑지. 뭔 말이래.
@user-di4sl6mu7i
@user-di4sl6mu7i Ай бұрын
imf 힘든시절 겪으며 일하다 보니 어느덧 40대 중반 민주나 국힘이나 4050을 위한 정책은 없습니다 국가도 나몰라라 합니다 버려진 세대내요
@peterkim9750
@peterkim9750 Ай бұрын
"금융 공부 좀 해놓을 걸!!" 😂
@user-by9lj1ol2e
@user-by9lj1ol2e Ай бұрын
은퇴 하면 쉬어야지 노예 생활 지치지 않나 젊은사람들도 생각해야지
@user-su5fz9to3p
@user-su5fz9to3p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사회에 누구 누구 생각해야지 이딴 마인드좀 가질거면 좀 북한으로 사라저 주시면 안 되겠어요?
@Tootootootool
@Tootootootool Ай бұрын
공장 드가자^~^
@user-zf5ci1gr2q
@user-zf5ci1gr2q Ай бұрын
"경비이런거" 나이 많고 기술은 없고, 그런 직업의식으로 재취업은 틀렸다.
@user-hr3qr2ou3o
@user-hr3qr2ou3o Ай бұрын
서울 50플러스 저건 뭐고.세금 살살 녹는다.저 본부장이란 인간은 얼마나 받을까😊😊
@user-sd7bj5ob6e
@user-sd7bj5ob6e Ай бұрын
50살 일할나이..
@flynchoi4646
@flynchoi4646 Ай бұрын
사노비 마인드만 가득있는.
@Bill_Bousquette
@Bill_Bousquette Ай бұрын
ㄹㅇ 생각 없이 자식새끼들에게 퍼주고 생각 없이 노후 생각 안하니 지금 와서 징징 거리는거지;;; 운동권 세대 능지 어디가나;; 저런것들이 사회에서 많은 돈을 가지고 있으니 사회가 이렇게 둔화 되는거지
@user-zc7hg5mv4i
@user-zc7hg5mv4i Ай бұрын
난 운동권애들 데모할때 공부했던 1인. 원래의 인간본질과 수준을 알고나니. 왜 99%인간들이 백신 맞았는지 알게됨. 5.60대 인간들도 그렇다쳐도....너희 젊은 세대는 아예 싹수가 노람. 2천년대이후에는 player 는 태어나지않고 NPC들만 태어났다고 하는 프리메이슨들의 말이 맞는 것 같다. 짐승인간인 너희는 거의 전부 죽을 것이고. 세상엔 인류가 멸종하며 사라져 찾아보기 힘들게될 것이다.
@user-xm6qx6jc5v
@user-xm6qx6jc5v Ай бұрын
그 운동꿘덜이 똥빠지게 운동해서 지금 너가 꽁짜로 누리는 인프라 만든거여~~~싸잡아 까내리지마라. 뇌도 읎는 소리하구 자빠졌으
@user-wk2cc1vs1e
@user-wk2cc1vs1e Ай бұрын
월2백은 미국배당주로 충당해야한다
@ST_BABAJAGA
@ST_BABAJAGA Ай бұрын
말이 참 많다
@user-vn8zj8pw9b
@user-vn8zj8pw9b Ай бұрын
눈을 낮추면 다 해결될 문제. 하지만 과거 직장 타령하면서 그거하고 비슷하게 맞추려니 답이 없지. 대기업 간판있으니 중견이나 중소기업 정도는 간부급으로 불러주겠지라는 망상도 버려야 되고.. 기술교육받고 시장에 나와도 바닥부터 기어야지..그 시장에 이미 자리잡은 사람들은 베테랑들인데
@user-su5fz9to3p
@user-su5fz9to3p Ай бұрын
눈 굳이 안 낮춰도 대기업에서 능력쌓고 인맥 관리하면 고임금 일자리에 알아서 불러 줌 아버지 엘지에서 30년 일하고 여전히 연봉 9천이상 받으면서 강의중임.
@user-vn8zj8pw9b
@user-vn8zj8pw9b Ай бұрын
그건 아주 극히 일부의 얘기..일반화 ㄴㄴ
@olive8799
@olive8799 Ай бұрын
지금 오십대가 징징대기에는 그 이후 세대가 너무 불행함. 능력 있음 임원 달았겠지.
@driftingsnowwhite9507
@driftingsnowwhite9507 Ай бұрын
돈이 없는 사람들의 특징
@user-gl8ge5ob9y
@user-gl8ge5ob9y Ай бұрын
일이 아니라 돈이 필요하다고 솔직하게 말하라고❤❤❤
@user-bi9qg9qm1w
@user-bi9qg9qm1w Ай бұрын
그러니 나이 제한 없는 국회의원 하라고.70대 80대도 하잖아.
@user-vj4us9jo5f
@user-vj4us9jo5f Ай бұрын
입사하자마자 노후준비하면 걱정없는데 한국인들 소비수준이 소득대비 너무 높은게 문제지. 저축도 없고 겉모습만 믿고 빚투나 하고 ㅎㅎ
@user-ce8qm3fn7m
@user-ce8qm3fn7m Ай бұрын
분노의 2030... 댓글들이 왜이리 다 화났냐?..ㅋㅋㅋ
@user-js6qw6dw6u
@user-js6qw6dw6u Ай бұрын
월급노예 거지들의 대화다 진짜..
@user-yc7kj2cm8t
@user-yc7kj2cm8t Ай бұрын
어쩔수 있나 국민의 80%이상이 근로소득으로 먹고사는데..
@user-ws7tj1fr3o
@user-ws7tj1fr3o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본인은 빌게이츠쯤 되세요?
@user-yf4tw2nb2p
@user-yf4tw2nb2p Ай бұрын
채용전형과 난도는 요즘 2030들 채용전형보다 쉬웠으면서 왜 저러는건지 모르겠네요.
@user-oz8lp1uh2g
@user-oz8lp1uh2g Ай бұрын
지옥에서 마음고생해봐야 눈을 뜬다 전쟁터에서는 싸우기라도하지 지옥에서는 복종밖에 답은 없다 배부른 자들의 싸움터는 그나마 행복이지 백수호황하면서 관찰하면 살길이 보일것이지 하지만 누가 말하던 돈에 대해선 믿지마라 지옥에서 들 괴롭기위해선 남을 내대신할 사람이 필요하다
@user-kl2us4sr3v
@user-kl2us4sr3v Ай бұрын
청년일자리 빼앗지마라 노인네들아
@DHKo-mk7up
@DHKo-mk7up Ай бұрын
그만 다음세대에게 양보좀 해라.. 대한민국에서 제일 꿀빤세대가 욕심만 그득그득
@Dhtdhrtv
@Dhtdhrtv Ай бұрын
60넘었으면 취미생활하며 노후 즐기다 요양원 가야지. 강박관념임. 전업주부들은 평생을 집에서 노는데, 왜 남자들은 불안에 떨까? 고정관념이지..... 젊을때 검소하게 살고 경제적짐은 부부가 함께 짊어지고 이게 진정한 양성평등임.
@user-gl7sh8ek2p
@user-gl7sh8ek2p Ай бұрын
이제는 수명이 늘어나 50후반 퇴직해도 최하 30년 이상 남은 세월인데, 놀기엔 너무 길고, 돈도 너무많이 든다...물가도 오르고, 건강보험도 내야하고,손자 용돈도 줘야하고...
@user-wd4hz7sc2d
@user-wd4hz7sc2d Ай бұрын
십수년전 정년이 늘어나면서 지금 청년들 취업안되고 결혼어려워져 출산율도 떨어진거임 당신들 없어도 세상 잘 돌아가니 평생 번 돈으로 여유롭게 살길
@user-zr7yv9lc4p
@user-zr7yv9lc4p Ай бұрын
이 븅신 못 배운넘치네 ㅋㅋㅋ티 철철
@NewYork_NJ
@NewYork_NJ Ай бұрын
나이로 은퇴시키는 것을 법으로 금지해야. 나이 차별.
@Bill_Bousquette
@Bill_Bousquette Ай бұрын
?
@user-oz2hr1mk4b
@user-oz2hr1mk4b Ай бұрын
실력순이면 더 빨리 은퇴할껄 ㅋㅋ
@user-yc7kj2cm8t
@user-yc7kj2cm8t Ай бұрын
늙으면 퇴사하는게 맞음 특히 사무직쪽은 나이먹어 갈수록 쓸모없어짐
@user-ub3wd4nx3g
@user-ub3wd4nx3g Ай бұрын
징징거린다. 이런 표현 쓰지 맙시다. 보기 안 좋습니다. 당신들 앞날도 장담 못합니다.
@roadanywhere9638
@roadanywhere9638 Ай бұрын
시기를 잘맞나 산업화때 스팩필요없이 좋은회사 다니며 거들먹거리다가 나이드니 또 국가탓하며 좋은일자리달라고 근데 더럽고 힘든건 싫어 젊은얘들 하는거 폼나는거 똑같이 하게해줘. 다시 들어가서 기득권 누리며 꼰대노릇하고싶어
@user-js6qw6dw6u
@user-js6qw6dw6u Ай бұрын
저런데도 술 쳐먹니
@dlee8034
@dlee8034 Ай бұрын
지방으로 내려가세요... 젊은 사람들 자리 좀 그만 뺐으시고 😂
@user-hg4lj6vi1t
@user-hg4lj6vi1t Ай бұрын
왜 회사에 목을 매지? 핸드폰만 쥐고 있어도 돈벌수 있는 세상인데 회사 다닐때 다음을 미리 준비 했어야지 ㅉㅉ
@user-pd1wp9cr6p
@user-pd1wp9cr6p Ай бұрын
몇억씩 돈있는새끼들걱정해줘야대?
@user-ph6lt9tj6v
@user-ph6lt9tj6v Ай бұрын
미쳤네... 회사가 학교냐? 무슨 직원 퇴직전에 돈들여서 전직준비 학원을 보내주냐? 나도 당신들보다 몇년 먼저 은퇴후의 삶을 살고 있는 중이지만, 퇴직후는 개인이 계획하고 준비하고 해야지. 자기 인생을 회사가 대신 살아주냐? 당신의 인생은 당신이 챙기는 거야, 바보야.
@h9ewh13wmu
@h9ewh13wmu Ай бұрын
젊은 세대는 왜 은퇴하는 세대에 불만이 많을까? 세상이 좋아하는 자본주의가 선택한게 경력 채용이야. 더 이상 돈 들여서 교육시켜서 쓰기 싫다는거지. 어차피 금방 이직할테니까. 지금 이대로 불평등이 심각하고 좋은 일자리가 적은 상태로는 아귀 다툼밖에 안된다. 50에 은퇴하면 자식이랑 부인 데리고 나머지 50년을 어케 사나? 본인들은 뭐 자신있나?ㅋㅋㅋㅋ 근본 해결을 하자는 연대가 아니라, 혐오만 할 줄 아는 세대야. 저 50대 어른들도 자기들이 어쩔 수 없는 환경을 윗 세대로부터 받은거라고. 그러니 연대해야지. 소득 격차가 심각한 것, 기업이 이익을 적절히 배분 안하는 것, 불노 소득과 부의 세습을 적절히 컨트롤이 되야, 양질의 일자리도 늘어나고 살기 좋아지는거 아닌가? 지들이 오히려 보수화되서 어떻게 하냐?ㅋㅋ
@olive8799
@olive8799 Ай бұрын
세대 갈등은 님이 더 조장하는 거 같은데? "혐오만 할 줄 아는 세대"? ㅈㄹ 불만은 뭔 불만이야 경쟁에서 도태돼서 짤리면 알아서 각자도생 해야지. 경력? 요즘 경력 스펙 없이 채용되는 20-30대도 있냐? 보수 진보는 무슨. 뭐만 나오면 정치 진영으로 갈라치기 하네.
@user-xg9hj2xo2b
@user-xg9hj2xo2b Ай бұрын
다같이 잘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되기를 바랍니다
@user-gl8ge5ob9y
@user-gl8ge5ob9y Ай бұрын
니들만 생각하냐? 30대40대는 니들이랑 일하기 싫다고❤❤❤
@user-gs6lc6sj1p
@user-gs6lc6sj1p Ай бұрын
50대 중반쯤이 벌써 퇴직하면 참 걱정이 많죠 아직까지 더 벌어야하니까요! 나는 대기업에서 부장으로 35년 다니고 만60세 정년퇴직했는데 퇴직선배들의 조언을 많이듣고 10년 전부터 퇴직준비를 실행해서 개인연금 부동산투자로 월 200만에 국민연금 200만 합해서 그러저럭 생활하고 있음 샐러리맨은 누구나 퇴직할 수 밖에 없으니 꼭 사전에 퇴직준비는 반드시 해야하고 실행해야만이 노후에 소주한잔이라고 하고 기펴고 살수 있음
@user-on4qz4pb2r
@user-on4qz4pb2r Ай бұрын
50세인데 퇴직이라. ㅋㅎ
@qwklejfqkwnf2299
@qwklejfqkwnf2299 Ай бұрын
쯧쯧 젊은세대한테 일자리를 물려줘야지
@user-yk8it5wi7w
@user-yk8it5wi7w Ай бұрын
그래도 자네들은 먹고 살만한가보네.
@user-on4qz4pb2r
@user-on4qz4pb2r Ай бұрын
오마카새 명품 좋은차로 허세 쪈다.
@user-on4qz4pb2r
@user-on4qz4pb2r Ай бұрын
50대부턴 명함을 버려야산다. 근데 너무 무책임하게 산다
@intztop
@intztop Ай бұрын
촛불나라 5년 이후부터 미래는 암울해진다고 내가 7년 전부터 못을 박았다 국민은 죗값받고 댓가를 치뤄라
@snowball8885
@snowball8885 Ай бұрын
아무말 대잔치
@gorgebridge
@gorgebridge Ай бұрын
당신 우리 집에 좀 오세요. 벽에 못 박을게 좀 있어서 당신 머리 좀 빌리게... 당신에게는 무역수지 5위에서 200위로 추락한 것도 전정권 때문이지? 경제수치 국가부채 총선 끝나고 발표하는 현 정부를 여전히 지지하는 건 뇌가 없다는 증거
@intztop
@intztop Ай бұрын
@@snowball8885 실패한 소득주도성장정책이 그대로 진행중이고 세계역사와 경험과학이 증명했듯이 핵빚더미를 남길것이고 그 빚더미는 계속 남아서 기업, 국가, 가계를 짖누를것이라 핵빚폭탄을 터뜨리지 않으면 부채는 계속증가할것이고 한국은행은 물가를 포기하고 핵빚폭탄을 막는것을 우선한다면 본연의 의무를 저버리는 딜레마에 빠지게된다. 고로 이번총선으로 마지막 기회는 놓쳐버렸다 돈을 달라는 개대지 국민에게는 가혹한 몽둥이를 드는것이 나라를 살리는 길이다. 현재의 가난과 고통을 극복하지 못하면 미래는 끔찍한 천벌을 받게될 것이다.
@roofing1637
@roofing1637 Ай бұрын
국가가 니들 일자릴 왜 ㅇㄹ아봐 주나? 니들이 현장가서 망치질 해. 니들이 기업을 그렇게 만들었어.
@roofing1637
@roofing1637 Ай бұрын
50까지 해목었으면 됐지 또 회사에 붙어 빌어 먹겠다고? 지난 세월 내내 데모해서 회사를 뜯어먹고 산 주제에 또 일하고 싶다고? 너들이 나가야 젊은 애들이 들어가지? 뭐 회사 망하는데 아니 축소되는데 머리띠 두르고 말아먹은 것들이 이제와서 회사가 소중해?
@roofing1637
@roofing1637 Ай бұрын
뭘 더 설명하리고? 회사가 니들 봉이냐? 얼씨구 재취업까지 책임지라고? 니들은 뭔데?
@snoopy44061
@snoopy44061 Ай бұрын
좋은차 좋은집 해외여행 교육비 적당히 만하고 배당주를 모야야한다 육체적 노동이 전부가아니다
@user-bv5gj6zc7m
@user-bv5gj6zc7m Ай бұрын
일하기싫은디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неаккуратность)
01:00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7백만 자영업자의 몰락 (3) - 스트레이트 249회 | 골라보는 스트레이트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