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③ 30여 년 전까지 궁궐에 왕족이 살았다!

  Рет қаралды 137,215

주피디의 역사여행

주피디의 역사여행

6 ай бұрын

창덕궁 낙선재는 조선 궁궐 중에서 특별한 모양과 이야기를 지니고 있습니다.
단청 없는 사대부가 사랑채가 왜 궁궐에 존재할까요?
그리고 이 곳에서는 누가 살았을까요?
#창덕궁 #낙선재 #덕혜옹주

Пікірлер: 94
@user-zo2fi3ol2w
@user-zo2fi3ol2w Ай бұрын
설명해주시는 목소리가 온화하여 너무 마음이 평온하고 차분해 집니다 감사합니다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ай бұрын
내가 어릴때 할머니가 이방자 여사가 하는 자선사업에서 봉사한다면서 낙선재에 갈때 따라간적이 있는데, 할머니는 다른 할머니들과 낙선재 입구 근처 건물에서 편지봉투에 편지들 집어넣고 봉인 하는일 도와주는데, 난 심심하니까 나와서 낙선재 여기저기 둘러봤는데, 열려있는 문들 지나서 마당에서 건물들을 보는데, 어떤 건물에서 짐승의 울음소리 같은게 들려서 깜짝 놀라서 할머니가 일하는 곳으로 돌아와서 말했더니, 덕혜 옹주님이 가끔 그런 소릴 지르신다며 별거 아닌듯 말하셨다.
@user-tq2hv5wf6b
@user-tq2hv5wf6b 6 ай бұрын
얼마전 창덕궁과 후원을 다녀왔어요ᆢ두곳 모두 해설을 들으며 돌아보았지요 차분한 목소리가 귀에 쏙 들어옵니다ᆢ
@user-ch8cp5yj9k
@user-ch8cp5yj9k 6 ай бұрын
주피디님 , 영상올려 주셨내요 ㆍ감사 드립니다ㆍ고맙습니다ㆍ
@user-ni7ip6tg5g
@user-ni7ip6tg5g 6 ай бұрын
차분하게 설명을 잘해주셔서 너무좋고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user-um4ot5xb5f
@user-um4ot5xb5f 6 ай бұрын
자세한 설명과 함께 창덕궁 감상잘했습니다 감사해요❤
@JAKESUSArmy
@JAKESUSArmy 5 ай бұрын
작년 (2023) 한국 방문에 방문했던 창덕궁 가서 보았던 청기와 전각 궁금했는데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서양의 여느 궁궐보다 멋진 조선의 궁궐 멎지네요.잘보았습니다.
@user-pb3eg6pw3u
@user-pb3eg6pw3u 6 ай бұрын
주피디님 목소리 너무 좋아요^_^ 언제나 응원해요!
@user-he3dd7nr1w
@user-he3dd7nr1w 6 ай бұрын
궁해설사로 자리매김하시고 단아하게 차려입고 하시니 완성맞춤입니다.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6 ай бұрын
ㅎ 늘 감사드립니다.^^
@kimgentle3756
@kimgentle3756 6 ай бұрын
차분하고 청아한 목소리로 들려주시는 역사여행에 빠져들게 됩니다. 먼 옛날애기로만 생각했던 일들이 30여년 전 우리 세대에 까지 일어난 일들이 있다는 사실에 역사여행이 새롭게 다가오네요.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6 ай бұрын
네 늘 잘 봐주셔서 늘 감사드립니다.♡
@gyunapark1591
@gyunapark1591 6 ай бұрын
지난 초여름에 다녀왔는데, 주피디님 영상보고 새록새록 생각납니다. 다시 한번 가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10:55
@user-yx2os8qn7k
@user-yx2os8qn7k 6 ай бұрын
궁궐에 대해서 모르고있던 부분이 많았네요ᆢ 하나하나 듣고보니 참 뜻깊은 역사의 현장 ᆢ좋은목소리 감사꾸벅!your 신뢰에요!❤🎉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6 ай бұрын
저는 간단하게 말씀드리는거구요. 실제로 오시면 다른 궁궐해설사분들이 더욱 재미있는 이야기들 많이 해주십니다. 궁궐오시면 꼭 들어보세요.^^
@inyeobseo9369
@inyeobseo9369 6 ай бұрын
순종에 대해서는 역사에서 외면하는 분야가 너무 많아요. 그가 발달장애인이고 명성황후 생전에도 병증이 있었다는 점, 1917년 방일하여 다이쇼 일왕을 만난 점, 다이쇼도 정신병자이니 둘이 무슨 대화가 되겠습니까? 마주보고 웃다가 오셨겠죠. 순종이 말년엔 마약에 빠져 살았는데 이분 국상에 유서라고 나온 것은 6.10 만세운동을 위한 조작이라고 봅니다. 장애인에게 한일합방에 대한 책임을 문기도 어렵고 모든 욕은 고종 부부가 다 받고 있습니다. 고종은 3번이나 러시아 망명을 시도하고 의친왕도 임시정부에 파견합니다. 1902년 평양에 풍경궁을 지어 몽진할 생각도 하였는데 러일전쟁 때문에 실패하죠.
@ohhyunkwon7521
@ohhyunkwon752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s2xx9xp2y
@user-ns2xx9xp2y 3 ай бұрын
아는만큼 보인다 했지요 창덕궁에 가면 주피디의 해설이 들리는 듯 할 겁니다 그러면 건물이 더 잘보이고 역사도 잘 이해 될 듯합니다 고맙습니다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be2xj1ll8c
@user-be2xj1ll8c 4 ай бұрын
낙선재하면 덕혜옹주만 생각났었는데요 현판을 흥선대원군이 쓴지는 몰랐네요 모르던 역사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ku2so5hw2z
@user-ku2so5hw2z 4 ай бұрын
궁궐에 대한 자세한 설명 잘 들었습니다 낙선제를 보고 싶었고 궁금했었는데 소개해 주신 덕에 잘 보았습니다 왕의 아픈 역사와 일제의 침탈로 한 서린 역사가 함께 공존하는장소라 생각하니 숙연한 맘이들고 씁쓸하네요 소중한 문화제인 만큼 길이 보존되어 후대에 전수되길 바래봅니다
@jennyjang5844
@jennyjang5844 2 ай бұрын
네, 역사는 한켠으로 기록되어 지고 문화재는 소중히 지켜 후대들에게도 뿌리를 잊지않도록 해야하지요
@tomandtrip
@tomandtrip 6 ай бұрын
교육방송에 나와야 할 영상이네요 늘 교육? 잘 받고 있습니다 애 쓰셨습니다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wj5624
@wj5624 6 ай бұрын
앞으로 역사강의 선생님이 되주세요 ㅋ ㅋ 늘 응원합니다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on2fb9rp1v
@user-on2fb9rp1v 6 ай бұрын
주PD님 얼굴을 처음 공개하셨네요 ^ 공부 잘 하고 갑니다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6 ай бұрын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r2lk2ct5v
@user-yr2lk2ct5v 6 ай бұрын
목소리 좋으세요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6 ай бұрын
칭찬 감사합니다.^^
@jeongsookpark4111
@jeongsookpark4111 6 ай бұрын
우와~~~ 저 곳에 살 때 느낌이 어떨지 진짜 궁금하네요. 부럽네요.^^ 그리고 청기와의 유래에 대해서도 첨 알게 되었어요. 주피디님 덕분에 창덕궁 곳곳을 치밀하게 공부하네요.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날씨가 춥습니다. 감기 안 걸리게 조심하세요.^^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6 ай бұрын
네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tr5ex1oo7e
@user-tr5ex1oo7e 5 ай бұрын
역사를 보면 마음이 넘 아프다 무능한 왕과 썩은 사대부 때문에 백성은 끔찍한 고통과 눈물로 살았다. 왕족이라고... 수년간 백성이 당한 고통과 나라를 지키다 순국한 많은 사람들을 잊지말라. 조용히 살았으면 좋겠다.
@user-sx7qj1rq2t
@user-sx7qj1rq2t 5 ай бұрын
1980년대 예산안보면 구황실관련 예산있었는데 이게 낙성재 운영비였다고 함..낙선재 본격적으로 구황실가사람들 살수있었던것은 516군사정변후 가능했다고함 1공때 우남은 같은 종친이면서도 황실을 무지 싫어했다고함
@jhlee2716
@jhlee2716 5 ай бұрын
덕혜옹주 너무 맘이 아프네요
@KoreaWalkingToursTV
@KoreaWalkingToursTV 2 ай бұрын
OMG 재미있는 역사투어❤
@stationarytraveller6960
@stationarytraveller6960 6 ай бұрын
궁궐과 왕릉들을 지금은 평안하게 관람하지만, 당시 수개월 수만명 민초들이 공사하느라 얼마나 고생했을까..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그나마, 정조대왕은 격쟁이라도 하셨지요...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6 ай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수많은 백성들이 공사중 목숨을 잃었다고 합니다.
@nostalgia_star
@nostalgia_star Ай бұрын
낙선재 하면 순정효황후 윤증순, 김명길 상궁이 떠오르네요ㅠㅠ
@user-ip2yc4sp1h
@user-ip2yc4sp1h 5 ай бұрын
낙선재후원은 관람불가일까요? 설명 듣다보니 그곳도 궁금하네요..
@dhyoo2359
@dhyoo2359 4 ай бұрын
낙선재. 너무 아름다운 곳이네요 ㅠㅠ 마지막 왕자 이석님도 사셨다 하던데… 덕혜옹주 넘 불쌍 ㅠㅠ
@user-fh5zl7yx7i
@user-fh5zl7yx7i 6 ай бұрын
어린시절 영친왕 장례때 상여 나가는것 봤는데 벌써 50여년 전이네.
@user-px3yp7cy3q
@user-px3yp7cy3q 5 ай бұрын
옛 어차고에 대해서 궁금한 게 있어요. 지금은 휴게소로 이용하고 있지만, 차고로 사용되고 난 이후에 저 곳은 그대로 차고 형태로 유지되고 있었는지? 그러다 그이후에 지금의 휴게소로 바뀐건지? 궁금합니다!😮
@JooPD_HistoryLand
@JooPD_HistoryLand 5 ай бұрын
빈청은 삼정승과 정2품 이상의 고위관료들, 비변사 당상관들이 임금을 뵙기전에 회의하던곳입니다. 고종때 흥선대원군 섭정시, 비변사가 없어지면서 비어있다가 순종황제가 창덕궁으로 이어, 자동차를 이용하면서 어차고로 일제가 바꾸게 됩니다. 순종승하후에는 초헌, 연,여, 승용차 등의 보관, 전시되다가 2007년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옮겨진후 빈공간으로 남았다고 합니다. 카페는 2010년 5월에 들어섰습니다. 이름은 동궐마루 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07년
@user-px3yp7cy3q
@user-px3yp7cy3q 5 ай бұрын
@@JooPD_HistoryLand 그랬군요. 그대로 차고지로서 외형이 유지 되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답변 감사합니다ㅎ
@panchokim86
@panchokim86 6 ай бұрын
하늘을 봐야 별을 따죠. 합궁 좀 할라믄 무슨 제사에 날씨가 안좋아서, 무슨 날이라고 등등 무슨 재미를 보겠습니까??😂😂
@inyeobseo9369
@inyeobseo9369 6 ай бұрын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종, 세종은 자녀를 엄청 많이 낳았습니다. 후궁을 많이 둔 덕분인데 3년상 기간엔 국혼, 성관계도 금지를 당했습니다. 영조가 모친상 기간에 정빈 이씨가 임신하자 숙종이 야단을 친 기록이 있습니다. 3년상을 지나치게 지내 문종, 인종이 단명한 것은 빈대 잡으려다 집을 태운 경우입니다. 헌종이 사랑한 경빈 김씨가 효정왕후 홍씨 대신 간택이 되었다면 후사가 생길 수도 있었는데 절손이 되었습니다. 석복헌이 경빈에게 준 선물입니다.
@panchokim86
@panchokim86 6 ай бұрын
@@inyeobseo9369 태종, 세종 그 분들은 조선 전기로 개국하고 100년 안됐고, 대충 정조 이후로는 왕손들이 귀해져서 그냥 내 생각을 적었어요.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 5 ай бұрын
이방자 여사땜에 살게 해준거지 이방자 여사가 참 안됐었지....
@jennyjang5844
@jennyjang5844 2 ай бұрын
아 그렇군요 30년전까지만해도 궁궐에 살고계셨다니.... 처음알았어요. 역사에대한 무지.무식해서...부끄럽네요 30년전 우리할아버지가 칼에 찔려돌아가셨는데 시기가 맞아떨어지니 기분이 이상하네요
@user-id7cg1ex1k
@user-id7cg1ex1k 5 ай бұрын
7.
@user-it4eu1tg2w
@user-it4eu1tg2w 2 ай бұрын
어느 왕조나 마지막 왕은 비참하군요
@user-iw2mg5kk5i
@user-iw2mg5kk5i 5 ай бұрын
일제만 아니였으면 조선은 세계5대열강에 근접했을텐데...분단을 비롯한 모든 원흉이 일제..... 조선말기의 기초과학,건축기술,의료기술도 세계 수준급이였음
@jennyjang5844
@jennyjang5844 2 ай бұрын
😢
@miralee7888
@miralee7888 5 ай бұрын
내가 왕족이면 저기서 살기도 좀 낯뷰끄러워 일제가 그냥 갖고 가도록 놔뒀으니 왕쪽행세도 못하것다
@user-hv8td7ku9n
@user-hv8td7ku9n 6 ай бұрын
30년전까지 살았던 그 왕조는 일본의 왕족이였죠, 천왕이 세비를 내려줘서 잘먹고 잘살았던 그 천왕가에 속한 이왕가!!!!!
@user-hv8td7ku9n
@user-hv8td7ku9n 5 ай бұрын
@@user-yx8tq4ee5t 글쎄요. 왕이라면 정신은 살아있어서 노블레스 오부리주를 택해야지 지들을 여태껏 뼈빠지게 먹여살린 백성을 내팽게치고 적에게 나라를 팔아 먹고 산다면 조선시대건 지금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user-ghdf376lj
@user-ghdf376lj 5 ай бұрын
​@@user-yx8tq4ee5t 그날 평범한 백성이 아니라 자칭 왕이다. 왕! 님 같은 사람이 왕 이었으면 이 나라는 더 끔찍하게 망했겠네
@user-pung-yo
@user-pung-yo 5 ай бұрын
그렇게 산사람을 비난하기보다 그렇게 만든 일본놈을 더비난해야죠
@user-ghdf376lj
@user-ghdf376lj 5 ай бұрын
@@user-pung-yo 뭘 비난하나? 지나간 일은 보고 배우고 깨우쳐서 같은 실수를 반복안하는 것이지. 왜 또 일본혐오 선동질인가
@user-hp5sv7ot6c
@user-hp5sv7ot6c 5 ай бұрын
​@@user-yx8tq4ee5t친일파도 최선의 선택을 한거네요?
@shinwoori84
@shinwoori84 6 ай бұрын
이왕가는 일본황실 다음 등급의 일본귀족으로써 일제의 돈으로 호위호식한 집단입니다.
@user-sp3pl7gt2m
@user-sp3pl7gt2m 2 ай бұрын
그만합시다. 미래지항적일 수는 없을까요? 과거에 묶여 있으시지 마시고요.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ай бұрын
@@jennyjang5844 일본에서 받아준다면 갔겠지. 조총련들도 일본에서 차별당한다고 발광 하면서도, 실제론 일본이 좋으니까 일본을 안떠나는거 아니겠나?
@neobox5289
@neobox5289 Ай бұрын
5백 년 지배하며, 지네집 말고는 이렇다 할 건축물 하나 남기지 않은 왕조...지가 낳고도 혼외 자식은 인정하지 않은 빈나는 니앙반 조선....
@hankugminkan9047
@hankugminkan9047 5 ай бұрын
그게머이상한가
@user-bd2vu2jd1t
@user-bd2vu2jd1t 6 ай бұрын
일본 천황의 졸개가 살던 집
@jennyjang5844
@jennyjang5844 2 ай бұрын
너는 마치 나라라도 구한 독립운동가처럼 말하는구나 나라를 위해 넌뭘했니 어린왕자 선재야
@Jeong-eun
@Jeong-eun 6 ай бұрын
70년대 지었나보네 청기와라니 조선왕조실록 소설이야
@winstonalpacino321
@winstonalpacino321 4 ай бұрын
고려의 역적 이성계의 후손들이 왕이라 하며 왕 노릇을 했으니...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2 ай бұрын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조 3년 2월 26일 前朝太祖垂戒後昆, 勿用百濟人。 向使後昆, 遵守其訓, 殿下亦安能有今日也! 此臣等所以敢言者也。 古之人主, 優游不斷, 以致禍亂者, 殿下之所嘗聞也。 願殿下念天道之靡常, 慮民心之難保, 斷以大義, 卽令臺諫法官, 就將恭讓三父子, 置之於法; 其王康、王鬲、承寶、承貴幷其同姓弟姪, 屛諸海島; 其江華付處王氏, 亦竄海島, 以絶中外虞疑之心。 전조(前朝)의 태조(太祖)가 후손(後孫)에게 훈계를 전하면서 백제(百濟) 사람을 쓰지 말라고 했는데, 지난번에 후손들이 그 훈계를 준수했더라면 〈전주 사람인〉 전하께서 또한 어찌 오늘날이 있었겠습니까? 이것이 신 등이 감히 말씀 드리는 까닭입니다. 옛날의 인주(人主)가 어물어물하고 속히 결단하지 못하여 화란(禍亂)을 초래한 것은 전하께서 일찍이 들으신 바입니다. 원하옵건대, 전하께서는 천도(天道)의 일정하지 않은 것을 생각하시고 민심(民心)을 보존(保存)하기 어려운 것을 염려하시어 대의(大義)로써 결단하여, 즉시 대간(臺諫)과 법관(法官)으로 하여금 공양(恭讓)의 삼부자(三父子)를 법에 처하고, 그 왕강·왕격·왕승보·왕승귀와 그 동성(同姓)의 아우와 조카까지 모두 해도(海島)로 내쫓고, 강화(江華)에 부처(付處)026) 한 왕씨도 또한 해도로 귀양보내어 중외(中外)의 근심하고 의심하는 마음을 근절하게 하소서."
@Jeong-eun
@Jeong-eun 6 ай бұрын
사기야 창덕궁은 공자묘경학원을 성귵관으로ㅜ바꾸었다 궁으로 바꾼거 같아 목소리는 예ㅃ,ㄴ데 정신차려 눈을 뜨라고
World’s Deadliest Obstacle Course!
28:2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69 МЛН
UFC 302 : Махачев VS Порье
02:54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조선의 첫 궁궐 경복궁의 비밀/ YTN 사이언스
41:40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Art History Expert’s Guide to BEST Tourist Spots in Korea
16:09
공부왕찐천재 홍진경
Рет қаралды 880 М.
경복궁 향원정과 취향교의 복원정비 이유는? + 복원과정 타임랩스
5:27
국가유산청 Korea Heritage Service
Рет қаралды 176 М.
World’s Deadliest Obstacle Course!
28:25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