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첫 궁궐 경복궁의 비밀/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725,273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9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첫번째 궁궐, 경복궁은 500년 왕조의 정신을 간직한 법궁이였다.
현대 문명조차 따라가지 못할 조선의 건축기술,
단 한 번도 물난리를 겪지 않은 경복궁의 건축 비밀은 무엇일까?
그 숨겨진 과학과 역사학적 가치를 살펴본다.
21세기 서울의 중심, 경복궁!
큰 복을 누리라는 뜻의 그 이름에 걸맞게
그 속에는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놀라운 과학이 있다.
-
과학 좋아하는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
YTN사이언스의 다양한 채널을 만나보세용! :)
홈페이지 ▶ science.ytn.co.kr/
페이스북 ▶ / ytnscience
네이버밴드 ▶ band.us/band/68281794
네이버포스트 ▶ post.naver.com/my.nhn?memberN...

Пікірлер: 453
@user-rg7vg6mb4r
@user-rg7vg6mb4r 7 жыл бұрын
깜짝놀랐네요. 시작할때와 중간중간 bgm이 Nhk대하드라마 아츠히메의 음악이고 그 드라마에는 정한론을 주장한 사이고 다카모리가 나오는데;;일제가 파괴한 경복궁다큐에 이런 음악을 넣다니 음악담당하신분 생각이 좀없으신듯. 한국적인 음악들이 얼마나많은데
@seoulinsider3021
@seoulinsider3021 7 жыл бұрын
이선경 충격적이네요 이래서 무식하면 ㅉㅉ
@mozartist2006
@mozartist2006 6 жыл бұрын
능력자시군요 ㄷㄷ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iq1rf3fk3q
@user-iq1rf3fk3q 6 жыл бұрын
이선경
@bokheebae5849
@bokheebae5849 6 жыл бұрын
이선경
@user-of7ng7ul1x
@user-of7ng7ul1x 5 жыл бұрын
이선경
@trinity-s5666
@trinity-s5666 5 жыл бұрын
많은 분들이 창덕궁이 가장 아름다운 궁궐이고 경복궁보다 낫다고들 하지만 제 생각은 좀 다릅니다. 물론 창덕궁은 자연과 어우러져 아름답습니다. 하지만 궁궐의 기능이 '자연과 어우러진 아름다움'에 있는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창덕궁보다는 조선의 제1궁궐이자 법궁인 경복궁이 한 나라의 군왕과 대신들이 정치를 펼치기에 가장 최적화된 디자인으로 지어졌다고 보고, 창덕궁은 국정보다는 마치 왕족들이 풍류를 즐기며 휴식하기 위해 지어진 별궁처럼 디자인되었다고 봅니다. 대표적인 예로 경복궁의 근정전과 창덕궁의 인정전 앞마당에 각각 주위를 둘러보는 식으로 비교를 해보면, 경복궁은 마치 온나라 백성들이 나를 주목하고 있는듯한 느낌을 받게되지만, 창덕궁은 산과 숲으로 둘러쌓여 외부와는 독립된 공간으로 상당히 은밀한 공간으로 느껴집니다. 이렇게말하면 경복궁은 권위적인 설계가 아니겠냐고 반문하시겠지만, 모든 이들이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 말하면 군왕이 백성들로부터 감시감독 받고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온나라와 백성들, 마치 우주만물이 나를 지켜보고 있는듯한 느낌이라는 겁니다. 이건 동양에서 가장 권위적인 건축물로 꼽히는 중국 자금성의 태화전과는 완전히 다른 느낌을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복궁 근정전과는 달리, 중국 자금성 태화전에서 주위를 둘러보면 온세상을 내 발아래에 두고서 마치 우주만물을 내가 지배하고있는듯한 느낌을 받게되고 실제로 태화전 앞마당의 단 아래에서 단 위에있는 사람을 올려다보면 심적으로 굉장히 위축되고 압도당하는 느낌을 받으며, 강력한 계급질서를 느끼게됩니다. 하지만 경복궁 근정전은 그런 수준의 권위적인 느낌은 들지않습니다. 오히려 백성들 눈높이에서 크게 벗어나지않는 높이로 단 높이를 절제했고 밑에서 올려다보는이로 하여금 그다지 위협적인 느낌을 주지도 않습니다. 특히 궁궐을 둘러싼 성벽만 비교해보아도 자금성은 궁궐이라기보다는 거의 전쟁을 대비한듯한 구조와 배치를 기본으로하여 거대하고 두터운 성벽으로 둘러싼 것도 모자라 엄청난 규모의 해자까지 파놓은 요새형태에 가깝습니다. 그에비해 경복궁의 궁궐담은 체격과 체력이 좋은 사람이 마음만 먹으면 줄고리를 걸어서 타넘을 수 있을듯한 높이와 규모로 지어져 사실상 최소한의 경비정도만을 고려한 구역울타리 개념으로 지어졌단 것을 알 수 있지요. 조선의 왕족들은 주변 백성들과의 신뢰가 있었고 백성들에 대한 경계감이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저는 조선건국을 주도하고, 경복궁을 설계한 정도전이 일부러 그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지었다고 생각합니다. 경복궁을 지을 당시 정도전도 미리 근정전 단 위에 올라서 주변을 둘러보았겠지요..그때 생각했을겁니다. "아..이정도면 군왕이 기거하는 궁궐이 갖추어야할 최소한의 품격은 지키면서도 늘 백성들이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는 위치에서 모두가 자신을 지켜보고있으니 성실하게 나랏일을 돌보아야한다는 그런 마음가짐이 생겨나겠구나.."하고 말입니다. 그래서 정전의 이름도 '근정전', 즉 왕이 부지런히 정사를 돌보아야 하는 곳이라고 지었을 겁니다. 또한 경복궁은 궁에 오래 머물러있을수록 무언가 허무하거나 마냥 편하지 않은 느낌이랄까 자꾸 밖으로 한번씩 나가고픈 묘한 기분이 듭니다. 그래서 일정시간 둘러보면 궁밖으로 나가 사람들이 편히 생활하는 곳으로 가고 싶다는 마음이 듭니다. 그것은 바로 경복궁이 그저 먹고자고쉬는데 최적화된 '집'이라는 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아늑함'이 별로 없기때문일겁니다. 정도전은 경복궁을 설계하면서 왕족들이 그저 먹고자고쉬기편한 아늑한 집이 아니라, 군왕이 백성들의 시야에서 벗어나지않고 늘 긴장하면서 나랏일을 돌보고, 오직 나랏일에만 집중할 수 있는 '업무적인' 공간을 만드는데 신경을 썼다고 생각됩니다. 때문에 경복궁은 궁궐전체에서 국정을 돌보고 신하들이 업무를 보거나 학자들이 연구하는 공간 등 업무적인 전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이상으로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이에 반해 창덕궁은 궁궐전체면적에서 왕족들의 생활하는 전각들과 경치나 풍류를 즐기며 놀고먹는 후원 등 왕족들의 향락생활을 중심으로 한 공간면적이 압도적으로 많은 면적을 차지합니다. 창덕궁은 북악산의 산자락 품에 폭 안겨있는 듯한 느낌으로 지어져있기에, 자연산세와 어우러진 궁궐의 전경이 마치 신선들이 지낼법한 느낌과 극락세계로 향하는 시퀀스를 담아낸 사찰과 같은 느낌을 줍니다. 때문에 창덕궁에 들어가 있으면 그다지 밖으로 나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않습니다. 오히려 궁안에서 시간을 계속 보내며 경치와 풍류를 즐기고싶다는 생각이 들지요..창덕궁 안에는 왕족들을 위한 전각들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산세와 울창한 숲이 궁궐을 둘러싸고 후원에는 자그마한 계곡 사이로 물도 흐르고 그림같은 나무들과 어우러진 연못이나 기가막힌 경치의 정자에 이르기까지 동양적 향락을 즐기기위한 거의 모든 것이 갖추어져있습니다. 때문에 왕족들이 궁궐을 벗어나지않고도 세상 모든 풍류를 즐기면서 살았을겁니다. 그야말로 놀고먹고쉬고즐기기에 최적화된 궁궐이 창덕궁이라는 겁니다. 그러한 창덕궁 안에서 오랫동안 지낸다면 백성들의 삶을 돌보는 나랏일에는 자연스레 멀어지고 구중궁궐에 파묻인채 후원에서 팔도진미와 풍악을 곁들이며 후궁들 옆에 끼고서 시나 외우고 술이나 마시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될겁니다. 왕도 사람이기에 안락함이 주는 유혹과 욕망을 이겨내기란 쉽지않았을테니까요. 그래서 경복궁과 달리 유독 창덕궁만 구중궁궐이라는 말이 따라붙었을 겁니다. 무튼 그러한 다양한 이유로 창덕궁보다는 경복궁이 조선을 대표하는 법궁으로서, 나랏일을 돌보아야할 군왕이 머무는 궁궐로서 가장 의미있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경복궁은 온나라에 대한 책임감을 무겁게 가지도록 하고, 항시 왕의 권력이 온백성으로부터 감시감독을 받고있다는 것을 유의케함으로써 정도전이 꿈꾸는 '백성이 주인이고 재상들이 이끌고 왕이 책임지는' 이상향을 그대로 표현해낸 최고의 궁궐이지만, 창덕궁은 온갖 패악을 저지른 태종 이방원이 정도전에 대한 반감과 혐오감, 자신의 죄악으로 얼룩진 곳이라는 갖가지 이유때문에 경복궁을 피해서 살기시작한 이궁입니다. 제1법궁인 경복궁을 외면하고서 산자락에 둘러싸인 곳에다 군왕 개인의 안위와 향락에만 최적화된 형태로 지은 구중궁궐인 창덕궁.. 물론 당시 창덕궁을 설계하고 지은 박자청은 앞서 언급한 부정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지었다기보다는, 그냥 자연과 어우러진 형태로 궁궐을 지으면 더 아름답고 근사할 것이라는 생각만 했을겁니다. 그게 나랏일을 돌보는 군왕의 실질적인 법궁 역할을 하게될 창덕궁이 가져야할 구조와 배치로서는 결코 적절치않다는 것을 무인출신인 박자청은 몰랐겠지요. 개인의 수양과 의식고양, 정신안정 등을 위해 속세와 단절 또는 독립되어 자연과 어우러진 형태의 구조나 배치를 취하는 것은 스님들이나 수도사들이 지내는 사찰이나 절, 수도원 등에나 어울리는 것인데, 그것을 한 나라의 실질적인 법궁역할을 하게될 창덕궁에 적용한건 대단히 잘못된 것이지요. 창덕궁은 군왕이 평소에는 경복궁에서 지내다가 혹서기나, 혹한기에 또는 일년에 한두번씩 휴식차 지내기위해 쓰이는 별궁으로 지어지고 그렇게 역할을 했다면 정말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았을겁니다. 결국 왕정을 펼치는 공간으로서의 궁궐 그 자체만 평가하자면 단연 경복궁이 으뜸이라는 말인데, 조선시대 거의 대부분의 왕들이 경복궁이 아닌 창덕궁에 주로 머물렀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많은 왕들이 나랏일하기에 최적화된 '오피스'개념의 경복궁보다는 마음편히 먹고자고쉬기편한 '하우스'개념의 창덕궁에서 지내는게 더 좋다고 스스로 증명을 한 것이니까요..나라의 정사를 돌보는 자리는 결코 마음편하게 놀고먹는 자리가 아니라는 이치가 경복궁의 곳곳에 담겨있던 것인데, 그걸 이해하고 수렴한 왕들은 거의 없었거나 알고도 모른체 한 것 둘중에 하나겠지요..부디 경복궁이 일제시대 이전의 원래모습 그대로 다 복원되어 우리 민족의 뛰어난 지혜와 긍지 그리고 600여년전 조선건국 당시 우리 선조들이 꿈꾸었던 정치의 이상향을 보여주는 건축물로서 후손들에게 길이 남을 수 있는 귀한 교육재이자 문화재로 거듭나기를 기대합니다..^^
@kyoungaepark1861
@kyoungaepark1861 5 жыл бұрын
라파엘로 좋은글입니다
@promenade4502
@promenade4502 5 жыл бұрын
같은 생각입니다
@danielal4635
@danielal4635 5 жыл бұрын
잘읽고 갑니다^^
@richfree2194
@richfree2194 3 жыл бұрын
명품 댓글입니다!
@h.d700
@h.d700 3 жыл бұрын
궁을 좋아해서 지방에서 몇번을갓는데.이런 깊은 학식을 알고 갓더라면 더 자세히 보고 올걸... 다시 한번더 궁 여행 을 계획 해봐야겟습니다 !
@user-nw9gx5uo9g
@user-nw9gx5uo9g 3 жыл бұрын
위엄과 기품은 있돼 백성을 생각해 과하지않게 건축했다는 .....
@navyan7935
@navyan7935 2 жыл бұрын
저정도 위엄도 갖출수없는 국력이였다는것이죠.
@user-dy5jf1gi3j
@user-dy5jf1gi3j Жыл бұрын
국뽕같아서...시대상으론 적절한 크기가 아닌가 더 크면 더 많은 혈세와 절차 법령이 필요한데...그러기에 궐안에 사람들이 힘들지 했을 법하다...
@user-zx2yx5bz7v
@user-zx2yx5bz7v 9 ай бұрын
흥선대원군이 재창건 한건데
@sejinJ
@sejinJ 10 күн бұрын
@@navyan7935 그게 바로 고려 후기...
@jaeboongahn3434
@jaeboongahn3434 5 жыл бұрын
여러 시청자들이 본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지적해 주셨는데 요약해 보면, 1. 배경음악으로 정한론을 주장한 인물이 나오는 일본 프로그램의 것 등 일본음악을 사용하여 친일의식을 가진 사람이 의도적으로 삽입한 것 아닌가 저의가 의심스럽다 2. 흥복전 위치를 잘못 표시했고, 흥례문을 말하면서 다른 문의 사진을 사용했다 등을 지적해 주셨습니다 덧붙이자면 3. 한양을 둘러싼 내사산이 있는데, 동쪽에는 현재 낙산이라고 불리는 타락산이 있습니다. 이를 탈악산이라고 잘못 표시하고 있네요 (타락은 우유를 의미합니다) 4. 한양도성은 내사산인 목멱산(남산) 인왕산(서) 백악산(북악산) 타락산(낙산)을 따라 총 길이가 18.6km에 달하는데 8.6km라고 묘사하고 있습니다 4. 궁궐의 규모를 말할 때 칸수, 건물동수 등을 말하는데, 조선초와 비교하여 390여칸에서 고종 때 7700여칸으로 약 20배가 늘었다고 설명하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이는 정확한 수치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왜냐햐면 조선초에 기록된 390여칸을 말할 때는 근정전 5칸, 사정전 6칸 등 정면칸수 만을 기준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반해, 고종 시대 칸수 계산시는 지금처럼 정면과 측면의 칸수를 곱한 기준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록상에 있는 수치만을 기준으로 단순 비교하는 것은 정확치 못한 것입니다. 예로들면, 근정전은 원래의 자리에 원래의 규모로 다시 지은 것인데 조선초 기록에는 5칸이었는데 현재는 정면5칸 측면5칸으로 쳐서 25칸으로 계산됩니다. 그런데 가서 보시면 알겠지만 웅장한 건물을 측면 1칸으로 구성해서는 건물자체가 제대로 형성될 수 조차 없는 구조입니다. 그러므로 지금 기준으로 치자면 당시 기록과는 달리 당초 25칸 건물이었던거죠. 세종대에 교태전과 동궁영역이 추가되었고 고종대에는 건청궁과 집옥재 영역이 새로 조성된 것이기 때문에 나중에 부속건물들이 아무리 늘었다 해도 조선초기 태종대와 비교해서는 5배 이내, 세종대와 비교해서는 기껏해야 2~3배 이내로 확장된 것이 아닐까 개인적으로는 추정해 봅니다 그런데 문화재청 안내자료조차 이러한 검증없이 기록상의 수치를 단순하게 사용함으로써 앞뒤가 맞지 않는 설명들을 하고 있어 수정이 필요합니다 (일제 강점기하 건물 훼손 및 복원설명 시에도 원래규모와 잔여건물 규모 복원규모의 수치 및 비율이 들어맞지 않고 앞 뒤 문맥에 모순이 발생함) 5. 어떤 전문가가 등장하여 경회루지의 물이 대류를 한다고 말하는데, 현폭, 잠류, 자일 기법에 의해 물이 유입되기는 하지만, 주로 수압과 자연 경사도에 의해 순환하며 흘러 나가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대류에 해당되는 내용은 전혀 언급되지 않는데도 대류에 의해 순환이 일어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대류 : 따뜻한 물은 솟고 찬물은 가라앉으며 순환하는 현상) 본 프로그램이 좋은 내용을 담고는 있지만, 확인되지 않거나 일부 틀린 정보를 담고 있고, 한국 전통문화와 조화를 이룰 수 없는 음악을 사용하는 등 적절치 않은 부분이 있어 일부 뒤끝이 불편한 마음입니다
@user-qc4xs8mr9z
@user-qc4xs8mr9z 5 жыл бұрын
와~ 안재붕님~ 대단하시네윰 ~
@hotewang
@hotewang 5 жыл бұрын
대단하요...눈이 보통이 아녀...
@user-ob4oh5ro6n
@user-ob4oh5ro6n 4 жыл бұрын
최근 규장각에서 발견된 12000장의 도면은 뭘까요??
@user-rl1pp7zq5r
@user-rl1pp7zq5r Жыл бұрын
최고이시다~~~♡감사.
@k-8972
@k-8972 3 жыл бұрын
이 다큐 다시 만듦이 어떠하오?
@obrene
@obrene 3 жыл бұрын
내용에 오류 많고, 배경음악 선정 잘못 됐고... 지적들이 많은데 YTN은 알고있는 건지?
@user-fe9ww6cw7e
@user-fe9ww6cw7e 3 жыл бұрын
아 참으로 아프고 안타까운 역사네요ㅠㅠ 이제라도 우리의 역사를 바로잡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user-bd2xs8ct3c
@user-bd2xs8ct3c Жыл бұрын
YTN사이언스 언스 프로를 통해 경복궁의 비밀을 알 수 있게 재방 해 주시어 감사합니다. 새로운 것응 많이 알게 해 주심에 감사합니다.
@user-wg2ut4cw1k
@user-wg2ut4cw1k 2 жыл бұрын
대원군이 경복궁 재건 할 때는 백성의 원성이 높았겠지만 지금은 우리의 자랑이 되어 있으니 같은 땅에 태어나도 태언나 시기따라 이렇게 다르네요. 빨리 복원 되어서 온전한 경복궁 구경을 하고 싶네요. 전생절대불가!
@STARGATE_SGC
@STARGATE_SGC Жыл бұрын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을 할때 중건비용을 대야했던 백성들이 바로 당시 70년가까운 세도정치를 해서 엄청난 부를 쌓았던 안동김씨세력들인데 그들이 대부분의 중건비용을 대야했으므로 원성이 높았던 것이죠! 그 작자들이 당시 백성이 힘들다고 하면서 백성들 뒤에 숨어서 엄청난 경복궁의 중건비용을 대기 싫어서 아무것도 모르던 백성들을 이용해서 흥선대원군의 경복궁중건계획을 비판을 하고 나섰던 것입니다.
@user-ie9ol3ex2w
@user-ie9ol3ex2w 4 жыл бұрын
경복궁구경하고왔는데 너무이쁘고 멋있더라.... 근데 돌만있는 황량한자리에 설명을보는데 일본이 가지고갔다라는거보고 화가나더라,
@user-gg1yx2zz8q
@user-gg1yx2zz8q 3 жыл бұрын
좋은건 알아가지고 ᆢ쯧쯧
@user-nn4dp7de8b
@user-nn4dp7de8b 3 жыл бұрын
동궁전도 뜯어가고 구들장까지 뜯어간 일본이 뭔짓을 못했겠소
@yaec-tv7308
@yaec-tv7308 6 жыл бұрын
제가 이영상 문제점 하나 말해드릴께요. 저도 일본영화 좋아하고 러브레터 ost엄청 좋아하지만조선의 궁궐 그리고 일본의 해서에 불타서 많이 없어진 경복궁을 다루면서 배경음악을 일본 ost를 쓴다는게 말이 됩니까?좀 생각좀 하고만드세요 제발
@gatsbyjay1707
@gatsbyjay1707 5 жыл бұрын
일본은 건물을 철거했죠.. 임진왜란때 경복궁을 불태운건 조선백성들 입니다.
@bjgoring
@bjgoring 5 жыл бұрын
조선왕조실록에는 성난 백성들이 불태웠다 기록되어 있지만 과연 선조를 따라서 피난을 갔던 사관들이 제대로 기록을 했을까요? 이것은 아마 당시 양반들이 자신들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백성들을 깍아내리고 고의적으로 이렇게 적은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왜냐하면 일본 종군승의 기록을 보면, 경복궁이 신선이 사는 곳인지 분간이 안됀다라는 기록이 있는데요 당시 1번째 종군승은 이렇게 서술합니다 허나 3번째 종군승은 경복궁이 다 타버렸다 기록하지요 아마 2번째 한양에 입성한 일본군들이 태운것으로 추측하는것이 당시 2번째 입성군의 일본군 대장은 보이는 대로 태우고 다녔다 기록이 되어있으니까요. 즉 경복궁은 백성들이 태우지 않았다는 것이 돼지요 솔찍이 까놓고 말해서 아무리 왕이 도망쳤다지만 어찌 백성들이 자신들의 조상과 자신들이 지은 궁궐과 자신의 나라의 상징인 왕궁을 자신들이 직접 태울수가 있을까요?
@gatsbyjay1707
@gatsbyjay1707 5 жыл бұрын
@@bjgoring 글쌔요 조선왕조실록은 워낙 객관적인 기록물 이라서 사관의 주관이 함부로 들어갈 수 없는 기록물 입니다. 그것이 역사적 사료로써 지금까지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는것에 한목 하고 있죠.. 때문에 일제의 주관이 반영된 고종 순종실록은 다른 조선왕조실록과 다르게 대우를 못받고 있죠.. 다른 것도 아닌 궁궐이 불에 탄 큰 사건을 일본이 파괴한것이 아니라 백성이 태운거임. 라고 왜곡해가며 기록해야될 이유가 있었을까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일본 종군승이라 함은 정확한 출처가 의심됩니다.
@gatsbyjay1707
@gatsbyjay1707 5 жыл бұрын
보이는대로 태우고 다녔다고 해서 그들이 경복궁까지 태웠다고 하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아마 당시 양반들의"이후 부분, "솔찍히 까놓고 말해서" 이후 부분은 님의 주관적인 생각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봅니다. 따라서 저는 님의 의견을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참고로 남을 설득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주장할때는 개인의 가정, 출처가 불분명한 증거는 제외하고 정확한 논거 위에 타당한 주장을 쌓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충고드리고 싶습니다.
@user-ch1nq8lq2d
@user-ch1nq8lq2d 5 жыл бұрын
@@bjgoring 뇌피셜은 학자가 아니면 누구나 주장 할 순 있습니다.
@user-fb9yq4zd8f
@user-fb9yq4zd8f 9 жыл бұрын
이거 정말 YTN에서 만든 다큐 맞나? 왜이렇게 틀린 부분이 많아? 흥례문 사진도 근정전 사진으로 밖아 넣고 흥복전 복원부분도 소주방부분으로 표시해 놓고 좀만 신경써서 만들지 이게 지식전달하는 프로인데 이게 뭐냐
@plain0512
@plain0512 7 жыл бұрын
김현섭 교태전 사진도 잘못된 듯 하네요ㅠ 어찌이렇게..
@bjgoring
@bjgoring 5 жыл бұрын
또 잘못된것이 있는데15:40 정도에 "왕권을 상징하는 청동 항아리??" 에휴...이건 참.. 그건 정 또는 향로라고 불리우는데 정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답니다 원래는 위에 뚜껑도 있었어요 왜 정이냐하면 중국의 옜 기록을 보면 하늘의 기운을 정에 담는다 라고 적혀 있었는데 이것은 향로보다는 하늘의 기운을 담아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는 의미에서 정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습니다. 특히 왜 경복궁과 경운궁에만 이것이 있냐 하면 경복궁은 조선왕조가 시작된 곳이고 경운궁은 대한제국이 시작된 궁궐이라는 점에서 새시대가 열리는 시기에 하늘의 기운을 담은 이 그릇을 궁궐에 설치했다는 의미가 된느 것이지요. 왕권을 상징하는 청동항아리는 더더욱 아닙니다. 이거는 잘못된 정보에요.. 하..YTN 오류가 너무 많네요...
@user-of7ng7ul1x
@user-of7ng7ul1x 5 жыл бұрын
ㅇㅈ이요! 경복궁 해설사 준비하는 학생으로서 짜증이 나내요 교태전도 사정전으로..
@user-em6su3qz8w
@user-em6su3qz8w 5 жыл бұрын
오래전에 TV 프로그램 촬영에 함께 한 적이 있었는데 편집할 때나 편집 후 같이 모니터링도 안하고 바로 내보내서 함께 한 나도 방영되는 걸 보니 이해가 좀 안되더만~!!! 방송 제작진들도 잘 살펴서 방송 보내야지~ 전국으로 방영되는데~!!!
@user-wx5rc3ne2b
@user-wx5rc3ne2b 5 жыл бұрын
친일파것들이 팩트를 알려줄리 없을듯
@user-ds1by3bm3s
@user-ds1by3bm3s 5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을 볼 수 있게 해 주셔 감사합니다.
@sarahlee3503
@sarahlee3503 5 жыл бұрын
와우 이렇게 좋은지 알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많은 사람들이 많이 하는 있습니다마는 제가 너무 좋아하는 제가 정말 좋은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 정말 많은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ᆢ.😂🤣🤣😄😅😋😎🙂😚😎😚🙂😚😍😚🤗😚🤗😚🙂😚🤗😚🤗😚🤗🤗😚🤗😙🤗🤗😚🤗😚🤗😙🤗🙂😙🤗😙🤗🤗😙🤗😙😙🙂🤗😚🙂😊😉
@TV-uv5dw
@TV-uv5dw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는 경복궁이 자랑스럽다.
@user-yh3qx4rc6i
@user-yh3qx4rc6i 5 жыл бұрын
그 옛날 경회루등 국보급 유밀을 만든 그 기술은 현재도 할수없는 놀라운 기술이네요.
@user-lr1yi4kt4u
@user-lr1yi4kt4u 3 жыл бұрын
참대단한 자랑스러운 유산이다 참 존경스럽다
@skimlines
@skimlines 8 жыл бұрын
ㅎㅎ 놀래라 왜 갑자기 23:21에 만화 배경음이 나온담 실제 프로그램 내용은 신기로운데 자꾸 일본 배경 음익이 나와서 어색어색
@tarakim6351
@tarakim6351 3 жыл бұрын
@@yunilyang 사실인가요?
@heeya6955
@heeya6955 2 жыл бұрын
궁건축물에 깊은 뜻이 담겨져 지어진걸 알게되어 다시 거닐면 더 뜻깊게 느껴질것 같아요. 길이 남길만한 영상인데. 역사깊은 건축물동영상에. 전문성없이 음악깐사람 누구냐 . 아님 의도적으로 재뿌린건가 . 지금이라도 음악 바꿔요 .
@softwater2032
@softwater2032 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시고 정도전이 경복궁을 지었다고 생각하시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경복궁을 설계한 이는 정도전이 아니라 김사행입니다. 정도전은 경복궁에 있는 건물들에 이름을 지어준 사람입니다.
@user-gg1yx2zz8q
@user-gg1yx2zz8q 3 жыл бұрын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셨어 감사합니다. 정도전도 건축물에 대한 조예가 있는줄로 착각할뻔했네요. ㅎㅎ 늬님신지는 모르오나 존경하옵니다. 편안한밤되십시요.👍😁😁
@user-fh3rb8vx2q
@user-fh3rb8vx2q 3 жыл бұрын
총감독은 박위이지요
@user-cf5cw9fq5f
@user-cf5cw9fq5f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정도전은 대단한 사람이지요 630년후에도 서울시내에서 외곽까지의 길을 쓰고있으니 광화문에서 동대문거리 서대문너머 서오릉 서삼릉들까지 700년을 내다본 사람 천년을 내다본 이가 될거 서울을 서울에 자리잡은거 또한 한국의 덕이고 복. 이북에서 있었음 ㅜㅜ
@tarakim6351
@tarakim6351 3 жыл бұрын
오잉? 감사합니다
@Asteri0519
@Asteri0519 3 жыл бұрын
오... 감사합니다
@onserenity
@onserenity 3 ай бұрын
엄청난 지식과 통찰력의 분이시네요. 널리날리 알려지길. 감사합니다.
@user-sl1gx5zs2u
@user-sl1gx5zs2u 10 ай бұрын
매우 잘 들었습니다 조선의 궁궐에 위압적인 권위와 화려함을 피하고 가장 자연에 가깝고 소박함을 표현하기위해 노력한 건축양식 매우 좋습니다 지금 보아도 복윈된 궁궐의 모습이 편안하고 좋아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건축양식의 중심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자연과 어우러짐이 아름답네요 정서적인 편안함이 느껴지고요 곳곳의 지방이 저렇게 모두 특색있게 아름답다면 더 행복할 것 같고 여행이 즐거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user-uf7zi4jq9s
@user-uf7zi4jq9s 4 жыл бұрын
문주필님 고맙습니다. 몸도불편하신데 우리 두눈무릅뜨고감시합시다
@pcadahia98
@pcadahia98 5 жыл бұрын
Subtitles please!!!!
@user-by3bkby5hb2kg3
@user-by3bkby5hb2kg3 4 жыл бұрын
근정전집무실,조선국황궁 삼수문화로 건축했고 건물이 이층으로 기반1층이 천지인의 땅에해당,2층 사람들,그리고 하늘이다.경회루 야외 연회장으로 최고다.
@Suance_None_joseph
@Suance_None_joseph 4 жыл бұрын
아름답다 ~~
@KoreanMale12
@KoreanMale12 3 жыл бұрын
전 경복궁에 수로시설이 원리 대로 같다고 치면 2014년에 나온 서울 도로에서 터진 물홍수는 부패 부정 비리로 보입니다. 분명 수로시설을 건설할때 강수량에 비례해서 배수관을 여러부근에 설치하는건 당연하고 이건 왕을모시는 궁에서는 원칙이 서야했고 결국 원칙대로 간 경복궁은 지금도 배수가 잘되고 빗물이 반면 가난하고 세금이 부족하거나 부패한 분들이 위에 있는 지역에는 원리에 어긋나는 배수관 방수에 21세기에도 터지는 창피한 일이 터졌다고 봅니다. 서울시에서 일하는 토목 계획부서에서 일하는 분이 윤리문제로 부도덕적인 일을 사회 하부구조 건설에 반영됬다라고 전 봅니다. 아마 100% 일겁니다.
@user-hy4fe8gh3b
@user-hy4fe8gh3b 3 жыл бұрын
안타깝네요 고종의대에서 지속적 잘 되었다면 일제의 식민지가 되지 않았을 것을요 다시 한 번 제대로 만들어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Leejj61
@Leejj61 Жыл бұрын
삶과 일과 생활은 서로 다르면서 비슷한 생의 다양한 모습으로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워야 되겠지요! 단편만 강조하면 무리가 아닐까요!
@503Suzck
@503Suzck 5 жыл бұрын
아츠히메 테마 삽입하는 피디수준보소 한심하다
@hotewang
@hotewang 5 жыл бұрын
난 음악을 모르는 무식쟁이니 모르겄소만 그게 사실이라면 음악피디는 대가릴 좀 쇠 수세미로 딱고 녹제거 좀 해라.....그래도 안되면 대가릴 떼고 딴걸로 바꾸든가....정신 나간 놈.
@jykim2203
@jykim2203 3 жыл бұрын
방송사에 일베충들 바퀴벌레처럼 숨어있으니 어쩌면 그래서?
@dafun349
@dafun349 3 жыл бұрын
🚨🚨🚨YTN이 만들던 가져다 쓰던 이렇게 방송에 송출한것은 개썩었다는 반증이다. 내용도 사실과 다른부분이 많고 허술하며 BGM을 일본것으로 쓰는 악날함은 마치 친일 적폐들이 국민을 대 놓고 조롱하는 극악무도함 인것이다.🚨🚨🚨
@user-fi5xy6xl4r
@user-fi5xy6xl4r 3 жыл бұрын
@@hotewang 19^ 0+
@user-so1mn7sb6b
@user-so1mn7sb6b 3 жыл бұрын
그 돈으로 인재들 수천명을 서양으로 해외 유학을 보냈으면 일제에 먹히지 않았을텐데, 안타까운 노릇이다!
@user-jf5rs5bp1m
@user-jf5rs5bp1m 3 жыл бұрын
궁궐 다큐를 좀 보고 싶은데 잘 모르는 사람이 이거보면 이대로 믿고 넘어 갈거 같아 이 다큐는 패스. 역사에 대해 배우고 싶어서 다큐를 보는건데 이따구로 만들면 안되지 .
@ronchar1481
@ronchar1481 Жыл бұрын
Is this ji jin hee voice? Exactly the same..I'm his fan.I also like his voice..
@eugenehwang808
@eugenehwang808 2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으로 파괴되기 전인 조선전기 때 정도전이 설계한 경복궁의 모습이 궁금하다 조선후기 흥선대원군에 의해 복원된 경복궁과는 많이 달랐다고 하던데... 규모는 조선후기보다 작았지만 불교 국가였던 고려가 멸망한지 얼마 안돼서 단청도 청기와로 덮여있고, 불교 양식의 엄청나게 화려했다고 하던데... 화려함은 조선 전기... 웅장함은 조선 후기...
@u_r_mysunshine
@u_r_mysunshine 3 жыл бұрын
싫어요가 왜 있나 했는데 배경음악때문이네 피드백안하나보다
@jenlee9045
@jenlee9045 3 жыл бұрын
Pppppppppppppppoo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p
@George-bv6fh
@George-bv6fh 3 жыл бұрын
그것은 일본의 건축작품이다
@George-bv6fh
@George-bv6fh 3 жыл бұрын
조선인은 발언권이 없다🥰
@Kevin-br6wd
@Kevin-br6wd 3 жыл бұрын
ひかりよより George 🇯🇵🇺🇲 country of pirates and theives 😂
@u_r_mysunshine
@u_r_mysunshine 3 жыл бұрын
@@Kevin-br6wd 빠갸야루
@user-vq3ld7jl2v
@user-vq3ld7jl2v 5 жыл бұрын
우리것이좋은것이여~~~!!!
@qnseksrmrqhr
@qnseksrmrqhr 4 жыл бұрын
사물의 본질을 깨닿고 이해하여 현상에 나타내는 것은 지금의 과학보다 예전의 장인들이 더 우수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ronchar1481
@ronchar1481 3 жыл бұрын
The voice is exacly same as the king sukjong in Dong Yi..it is really him?
@letme409
@letme409 Жыл бұрын
비련의 궁궐이지만 복원되어 지고 있으니 다행입니다 조선초기 창건 임란으로 소실 조선말 중건 후 30년도 안되어 주인은 다른 곳으로 이사? 일제의 훼손 소실 대항민국 이후 복원 복원...
@user-ge6ss5kk2e
@user-ge6ss5kk2e 5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ㄳ합니다
@user-we1eh7xi3f
@user-we1eh7xi3f 4 жыл бұрын
경복궁 지은 기술을 모든 건물에 적용해나갔으면 와우 아파트 사건 삼풍 사건 성수 대교 사건 나지 않았을까?
@user-cb4vc4cn9w
@user-cb4vc4cn9w Жыл бұрын
한자가 가득하다.
@STARGATE_SGC
@STARGATE_SGC Жыл бұрын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을 할때 중건비용을 대야했던 백성들이 바로 당시 70년가까운 세도정치를 해서 엄청난 부를 쌓았던 안동김씨세력들인데 그들이 대부분의 중건비용을 대야했으므로 원성이 높았던 것이죠! 그 작자들이 당시 백성이 힘들다고 하면서 백성들 뒤에 숨어서 엄청난 경복궁의 중건비용을 대기 싫어서 아무것도 모르던 백성들을 이용해서 흥선대원군의 경복궁중건계획을 비판을 하고 나섰던 것입니다.
@rkdrmsdnr
@rkdrmsdnr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외국인들한테도 전파할 문화전도사들을 양성하는것이 시급한것같네요.. 아래 유투브는 외국인에게 문화를 설명하는 영상입니다. kzfaq.info/get/bejne/qNWPf9KQx92ZlJ8.html
@user-ky7lw7ud5d
@user-ky7lw7ud5d 2 жыл бұрын
배경 음악이 어울리지 않아 집중이 안됩니다. 어찌 이리도 ...
@sha_dhantv4736
@sha_dhantv4736 4 жыл бұрын
Indonesian please..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4 жыл бұрын
로마도 건축이 대단하지만 우리 온돌에 건축 ㅡ 엄지척이다
@user-vb9by6fw2y
@user-vb9by6fw2y 3 жыл бұрын
원래 경복궁 크기가 80만평. 가로세로 1.6키로?
@user-ss9os8iw2d
@user-ss9os8iw2d 3 жыл бұрын
일본 드라마의 배경음악을 굳이 쓴 이유를 모르겠군요... 일본 메이지유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아츠히메를 주인공으로 한 대하드리마...
@user-db5xz5oi1w
@user-db5xz5oi1w 4 жыл бұрын
오천년!!!역사의나라! 대한민국의 부흥을 위해!!!신정정치 부활하여!,자미원을지상에펼쳐보이실분!,사필귀정 이다!!!신인과함께 선한세상을 지향하는 것이 하늘의섭리 이다
@giyeonlee4988
@giyeonlee4988 6 жыл бұрын
한국에 남아있는 조상들의 대표적 유산이라고 생각한다 외국인들도 다들 좋아하지 않나 ㅋㅋㅋ 태어나서 처음으로 일본인을 만났던 장소 초등학교 때 경복궁에 놀러온 일본 고등학교 누나들한테 '아리가또 고자이마스'라고 했더니 웃으면서 아리가또 고자이마스 화답해줬던게 기억난다 ㅋㅋㅋㅋ 깔깔대며 좋아라 했던 누나들 지금은 그 일본인 누나들도 아줌마가 되었겠군 ㅋㅋㅋ
@user-zn5mx9qd8j
@user-zn5mx9qd8j 4 жыл бұрын
저런궁궐에 사람이 살았다는게 신기하긴함
@thomasim6586
@thomasim6586 3 жыл бұрын
왜 신기하죠? 요즘 건물처럼 설비가 없어서 인가요?
@user-yq8eh2rj3x
@user-yq8eh2rj3x 6 жыл бұрын
어떤도선생들이 옳은 유물은 다흠쳐가고 다깨진 그릇들만 줄비하게 .나라사랑하는 마음이 조금의 양심 이라도 있었다면.?
@user-sm6su3mn7v
@user-sm6su3mn7v 5 жыл бұрын
본인 이름이 경복인데 어릴 때 아이들이 나에게 경복궁 이라고 놀리며 건물 이름 이라며 놀리고 남자 이름 같다며 놀렸다
@user-ks5yj7zt5w
@user-ks5yj7zt5w 5 жыл бұрын
5쪼라9
@kwankyus71
@kwankyus71 4 жыл бұрын
애휴 잼민이 꺼지셈
@borabetty7705
@borabetty7705 4 жыл бұрын
선조들의 지혜가 느껴지는 재밌고 유익한 영상이네요 궁과 유적들은 길이길이 남아 후손들에게도 계속 잘보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ff9my9qy6m
@user-ff9my9qy6m Жыл бұрын
선조에 지혜요 ..경북궁에만 지혜담았나바요 ^^
@user-rw3wq3yd7s
@user-rw3wq3yd7s 5 жыл бұрын
나도 경복궁에살고싶다
@user-sp1ls9rw2v
@user-sp1ls9rw2v 4 жыл бұрын
전주이씨면 살아라
@user-ep7ic1ef4m
@user-ep7ic1ef4m 4 жыл бұрын
@@user-sp1ls9rw2v 조씨요
@user-co2wc1zl4d
@user-co2wc1zl4d 3 жыл бұрын
金泰植 네 감사합니다
@HowAreYouMyFriend
@HowAreYouMyFriend 3 жыл бұрын
겨울 되면 경회루 연못에서 스케이트 타곤 했었는데
@user-cf8lf5ph2j
@user-cf8lf5ph2j 5 жыл бұрын
저 서울에 있는데 경복궁 가봤어요 !
@user-sp1ls9rw2v
@user-sp1ls9rw2v 4 жыл бұрын
이하응이 지시해서 복구한거 경복궁은 임진왜란때 소실되어서 고종시기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지시해서 다시복구시킴
@user-by5rb5ub5v
@user-by5rb5ub5v 4 жыл бұрын
왕이 없는 궁전 슬프도다.
@user-sp1ls9rw2v
@user-sp1ls9rw2v 4 жыл бұрын
이씨조선왕가 놈들이 일제의 치욕을 안겨줬는데 왕가 부활하면 답없다 지금이 좋다
@giryongchung7886
@giryongchung7886 3 жыл бұрын
왜 놈 - 야지 - 아베 - 백 선엽 은 성우 회 초대 회장 을 지냈고, 강남 역 인근에 지하 5 층· 지상 16 층 대형 빌딩을 소유했던 재산가로, 평소 벤츠 S 클래스 차량을 이용했다.
@jonglee8767
@jonglee8767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재산이 맗아 배가 이프냐 60,70년대 강남은 논과 밭이었어
@lovingair78
@lovingair78 4 жыл бұрын
40분이라니ㅠㅠ
@user-mo7mr4yh3v
@user-mo7mr4yh3v 5 күн бұрын
달맞이 꽃이 너무나 이체롭네요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4 жыл бұрын
타즈마할은 저런 배수 기술 있나요
@HANGHO53377
@HANGHO53377 Ай бұрын
배경음악 소리가 넘 큽니다 설명을 듣기가 힘들어요
@jsm9252
@jsm9252 5 жыл бұрын
조선전기,중기: 경복궁 임진왜란 이후,조선후기: 창덕궁 1867년 이후: 경복궁
@shankarprasaddhakal3468
@shankarprasaddhakal3468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coredrum1
@coredrum1 3 жыл бұрын
흥례문인데 왜 홍례문인가요
@KMC-rx6pb
@KMC-rx6pb 2 жыл бұрын
망한 건축물 거그에 기거했던 사람들 말로긴 비참했다
@user-wp6rt1fw1j
@user-wp6rt1fw1j 2 жыл бұрын
25:40
@user-sm6su3mn7v
@user-sm6su3mn7v 5 жыл бұрын
오빠가 하늘나라 가시고 난 후 20여 년 만에 본인 꿈에 아버지와 오빠가 함께 오셨다 그리고 고생이 되어도 기다려라 며 오빠가 최고 높은 자리 우주 하늘을 다스리는 자리에 오르면 그때는 본인이 원하는 것 모든 것 다 해줄테니 그동안 고생이 되어도 참아라 하시며 지금은 중간 정도 위치에 올라와 있다 우주 하늘나라에 일이 많고 바쁘니 지구에 올 여유가 없다 하시며 아버시가 말씀하시며 지금 떠나야 한다며 간다고 하시길래 본인이 엉엉 울다가 보니 잠에서 깨어났다 깨고 보니 마치 생시 같은 일로 느껴젔다 어느새 울어 벼개가 젖어 있었다 꿈에서 깨어나도 짧은 상봉이 너무 아쉬워 설움에 겨워 계속 목놓아 울었다
@user-nx8lr5kj5t
@user-nx8lr5kj5t 3 жыл бұрын
먼소리여
@user-fw2un7pw8g
@user-fw2un7pw8g 3 жыл бұрын
저쪽으로 가세요 어디고 여긴 경복궁
@dheo1177
@dheo1177 3 жыл бұрын
"현대문명조차 따라가지 못할 경복궁의 건축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k5px8nm2n
@user-wk5px8nm2n 2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현대시대는 조선처럼 건물을 짓지는 않으니까요 근데 현대기술로 미음만 먹으면 가능하겠죠 단지 지금에는 굳이 그럴필요가 없을뿐이겠죠 ㅎㅎ
@user-zx2yx5bz7v
@user-zx2yx5bz7v 6 ай бұрын
광화문 복원한 꼬라지 봐라 현대문명도 못따라가는거 맞지ㅋㅋ
@user-mc1fh6db9u
@user-mc1fh6db9u 5 жыл бұрын
고종 민비 흥선대원군 등 왕실의집안싸움 에 나라가 일본 한테밍한거여
@79731211
@79731211 3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왕에 후손들이 살아있다 이제 후손들에게 들어가서 살수 있도록 주인에게 돌려줘야 맞지않나요?
@love-hj9nd
@love-hj9nd 8 жыл бұрын
조선은 고조선을 계승하겠다는 의미입니다
@MissMyDogsCats
@MissMyDogsCats 8 жыл бұрын
기자조선 아닌가요
@mgj6165
@mgj6165 6 жыл бұрын
kpop love 고조선은 조선입니다.옛'고'자만 붙였을 뿐이지
@Bobbydonothing
@Bobbydonothing 6 жыл бұрын
군주는신이아니다 그래서 어쩌라고요 고조선 계승한것도 맞는데
@user-pr7ht4gr1o
@user-pr7ht4gr1o 5 жыл бұрын
고조선이 조선임;; 이름은 같으나 시대를 구분하기 위해 '고'자만 붙인거임.. 고구려가 고려랑 구분짓기 위해 '고'자를 붙인 것처럼
@user-fx6zj2qc4c
@user-fx6zj2qc4c 5 жыл бұрын
@@user-pr7ht4gr1o ?
@user-mw7bm9lp6c
@user-mw7bm9lp6c 4 жыл бұрын
일제감정기 전에는 훨씬크고 아름다웠겠지?
@eunryeahn8143
@eunryeahn8143 3 жыл бұрын
음악이너무커서
@curiositychildren2895
@curiositychildren2895 3 жыл бұрын
베르사유 궁전과 정원의 전체 면적은 약 800만㎡로 서울 경복궁의 18배 수준. 바로크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꼽히는 베르사유 궁전은 6만3154㎡의 공간에 2300여 개 방이 있다.
@bruny_k
@bruny_k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보니 요즘 서울 도심부 홍수는 잘못된 도시개발인거고, 이 이유는 청와대 위치가 별로였다는거네 정부 청사 근처인 광화문 광장 인근에 저렇게 도시개발 여건이 형성 될 수 밖에 없었고, 안좋은 입지에 빌딩 때려박고 포장 다 덮어버리니 쯔읍..
@user-xz7ld4jw4f
@user-xz7ld4jw4f 4 жыл бұрын
이괄의난 경복궁 함락던적
@user-nc7vr4ok3l
@user-nc7vr4ok3l 3 жыл бұрын
지금의 경복궁 자재 죽음후는 영 원 하 다
@saejhun2292
@saejhun2292 4 жыл бұрын
지금의 경복궁은 실제 최초의 위치가 아닙니다..
@na_zarus8803
@na_zarus8803 4 жыл бұрын
어디있는데요?
@na_zarus8803
@na_zarus8803 3 жыл бұрын
개성?
@user-cd2wz4ut7d
@user-cd2wz4ut7d 3 жыл бұрын
위치는 같습니다. 다만 200년만에 흥선대원군에 의해 재건되며 디테일이 달라졌을 뿐입니다.
@shining_cats
@shining_cats 3 жыл бұрын
광화문 하고 헷갈린거 같으신데
@user-wk7wl7pi1m
@user-wk7wl7pi1m 4 жыл бұрын
불탔다가 흥선대원군때 중걶한건데 무슨 현대문명이 못따라가?
@user-qj7yk6ng1j
@user-qj7yk6ng1j 3 жыл бұрын
아유 음악 소리 시끄러
@user-ke1nz8hr1j
@user-ke1nz8hr1j 8 жыл бұрын
경북궁을 탄소연대 측정 해보면 어떨까요?
@terrienstrompes
@terrienstrompes 6 жыл бұрын
고창 5만년 전 고인돌을 가져다가 1954년 영국 스톤헨지 만들었다면 그 탄소연대측정은 50000년전 입니다.
@user-ip9yu7lp1q
@user-ip9yu7lp1q 5 жыл бұрын
좆나 처량한 세상..
@user-sb3rn4oz8t
@user-sb3rn4oz8t 5 жыл бұрын
검이불루 화이불치. 검소하면서도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면서도 사치스럽지 않다.
@aonhadanh7085
@aonhadanh7085 Жыл бұрын
Hello my friend
@user-qd4ij4fr1z
@user-qd4ij4fr1z 3 жыл бұрын
머리좋은 우리 조상님들 존경합니다 ^^
@user-nl7ni1rn9r
@user-nl7ni1rn9r 4 жыл бұрын
경복,궁은 사서에 일백삼십만평에 이르며 구천개가 넘는 건물들이 즐비하고 궁과 궁의 거리거리가 하루가 걸리는 거리이며 지금 서울의 경복궁은 온돌에 불을 집혀 본적이 없다,,, 어서 빨리 지도자가 나와 진정한 조선을 찾자,,,,,
@user-sm6su3mn7v
@user-sm6su3mn7v 5 жыл бұрын
부모님이 오빠들 공부시킨다고 언니들 공부를 많이 못했다 하며 남은 두 딸은 공부를 많이 시켜 일등감 사위를 보겠다며 늘상 말씀 하셨는데 그런 가운데 갑자기 하늘같은 오빠가 갑자기 하늘로 떠나셨다.
@user-vx4tc7cg3z
@user-vx4tc7cg3z 3 жыл бұрын
예이 배경음악 보륨좀 주려라 음악 감산 시간 이냐 이 석두들아
@user-yd5ie6jy1y
@user-yd5ie6jy1y 3 жыл бұрын
경복궁을 방송하는데 경복궁을위한다면 한가지 철거할거가있다 궁굴한가운데 우뚝서있는 민속박물관이란 이름으로서있는 박물관 저게왜궁궐에서나와오야 철거해야지
@user-cb5ws9di1k
@user-cb5ws9di1k 3 жыл бұрын
,
@user-rj1bn3gy2w
@user-rj1bn3gy2w Жыл бұрын
🇰🇷🇰🇷🇰🇷🇰🇷🇰🇷🇰🇷🇰🇷🇰🇷🇰🇷🇰🇷🇰🇷🇰🇷🇰🇷🇰🇷💕💕💕💕💕💕💕💕💕💕💕💕💕💕💕💕💕💕💕💕💕💕💕💕💕💕💕💕
@Yeulyeul2
@Yeulyeul2 5 жыл бұрын
진짜 역사를 숨기기 위함이지요. 문헌에 보면 경복궁 각궁터에서 활 쏘기를 했는데 그 거리가 300m를 날라갔다고 기록 되있는데 ㅋㅋ ㅋㅋㅋ 그 각궁장 거리보다 짧은 경복궁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참 대 단 들 하십니다. ㅋㅋㅋㅋㅋ :
@user-mb2gp9kz8j
@user-mb2gp9kz8j 5 жыл бұрын
저거다부서진후임
@user-mb2gp9kz8j
@user-mb2gp9kz8j 5 жыл бұрын
3번이나
@user-wk5px8nm2n
@user-wk5px8nm2n 2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에는 검소하고 소박함을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에 건물도 크지않고 사치스럽지 않게 지어서 그렇겠죠 ㅎㅎ
@user-ge6wi6vz8x
@user-ge6wi6vz8x 3 жыл бұрын
서울에 있는 경복궁은 조선의 정궁이 아닙니다. 태조고황제 이성계가 지은 경복궁은 대륙 섬서성 서안시 장안현에 위치한 한나라때 미앙궁터에 지었습니다. 오늘날 대명궁이라 불리는 곳이 조선의 경복궁 정전입니다.
@Kevin-br6wd
@Kevin-br6wd 3 жыл бұрын
에휴 모자란 인간아.. 그걸 믿냐
@user-ge6wi6vz8x
@user-ge6wi6vz8x 3 жыл бұрын
@@Kevin-br6wd 누가 누구에게 할 소리를 ? 별 팔푼이에 얼빠진 인간 다보겠네!!! 역사공부는 얼마나 했냐?
@Sibalgaboja
@Sibalgaboja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느낌표 3개 골때리네 나이 최소 40대 이상으로 본다
@user-ge6wi6vz8x
@user-ge6wi6vz8x 2 жыл бұрын
@@Sibalgaboja 멍청하면 약도 없다는데!!! 교과서 말고 다른 책좀 공부하고 떠들어라!!! 무식하면서 ㅋㅋ ㅋ 가 나오냐? 울어도 현찮은 자가 용기는 좋다. 아마 10년정도 공부해서 조금 눈이 떠지게 되면 지금 한짓이 많이 부끄러워질 것이다.
@user-uk8tl6dc6n
@user-uk8tl6dc6n 3 жыл бұрын
5
@user-rw3wq3yd7s
@user-rw3wq3yd7s 5 жыл бұрын
참내 호화롭게도 놀으셨네
@user-nl7ni1rn9r
@user-nl7ni1rn9r 4 жыл бұрын
경복궁은 일백삼십만평입니다 어디 거기가 경복궁이요? 허-----참
@user-uq7hw9mj1k
@user-uq7hw9mj1k 28 күн бұрын
13만평 이겠지요.
@exodusman91
@exodusman91 3 жыл бұрын
경복궁을 설명하면서 배경음악은 일본 드라마 ost 참 kbs는 반성해야
@insung1
@insung1 3 жыл бұрын
서연중애들 모여라
@user-uq4fx4iv3s
@user-uq4fx4iv3s 3 жыл бұрын
@insung1
@insung1 3 жыл бұрын
@@user-uq4fx4iv3s ㅋㅋㅋㅋㅋㅋ너 누구야
Backstage 🤫 tutorial #elsarca #tiktok
00:13
Elsa Arca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길 위에 새겨진 역사, 종로 / YTN 사이언스
52:50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25 М.
KBS 역사스페셜 - 정감록, 조선의 운명을 말하다
43:51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임진왜란의 운명을 바꾼 한산대첩의 비밀 / YTN 사이언스
45:27
백제사의 수수께끼, 익산 / YTN 사이언스
49:19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508 М.
유홍준 교수의 '미리 가보는 북한 문화유산 답사기'
58:33
TBS 시민의방송
Рет қаралды 775 М.
Iphone or nokia
0:15
rishton vines😇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Хотела заскамить на Айфон!😱📱(@gertieinar)
0:21
Взрывная История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Cadiz smart lock official account unlocks the aesthetics of returning home
0:30
Разряженный iPhone может больше Android
0:34
Apple watch hidden camera
0:34
_vector_
Рет қаралды 6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