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개혁 과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 빠르게 추진|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4.5.20.)

  Рет қаралды 2,410

KTV 국민방송

KTV 국민방송

Ай бұрын

✔비상진료체계 14주 차···국민·현장 의료진 감사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 전주 대비 감소
▪️전체 종합병원 입원환자, 평시의 92% 수준
▪️응급실 96% 병상 축소 없이 정상 운영
▪️응급실 과부하 여부 지속 모니터링 중
✔중증 응급진료 상황 예의주시···현장 의료진 적극 지원
▪️비상진료체계 유지 위해 대체인력 지원 등 강화
▪️군의관·공보의 추가 배치 필요한 경우 인력 투입
▪️시니어 의사 수요조사 바탕으로 병원 연계 지원
✔진료협력병원 운영 중···응급의료포털서 정보 제공
▪️환자·보호자 목소리 듣기 위해 환자단체와 소통 강화
▪️진료협력병원 확대·진료역량정보 지속 제공 등 논의
▪️병원 간 협력 '중요'···의료 공급체계 정상화 첫걸음
✔2025 입학전형 시행계획 신속히 마무리할 것
▪️윤 대통령, 의대 시설 투자 등 지원 확대할 뜻 밝혀
▪️필수의료 확충에 속도···에산 세부 투자 계획 수립 중
✔의료개혁 과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 빠르게 추진
▪️기획보상 방안·전공의 수련개선 방안 등 논의 예정
▪️전공의 수련비용 국가 지원 확대···근본적 개선 도모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의 전환 지원 '구체화'
✔전공의, 제자리로 돌아와 의료개혁 논의 함께해주길
▪️정부, 언제든 전공의와 대화할 수 있어
▪️각자 판단에 따라 복귀 여부 결정할 시점
▪️전문의 자격 취득에 관한 규정·규칙 따라야
▪️미수련기간 3개월 초과 시 전문의 자격 취득 지연
✔정부, 의료계와 언제든 조건 없이 대화할 용의 있어
▪️의대 정원 원점 재검토 등 비현실적 조건 안돼
▪️의협·전공의, 의료개혁특위 참여해 주길
✔국민 시민의식 덕분에 혼란 최소화
▪️의대 증원 포함한 의료개혁 첫발···모두가 힘 모아야
▪️의료 정상화 요구하는 환자 목소리, 귀 기울이고 있어
🔎발표 전문
안녕하십니까? 보건복지부 제2차관 박민수입니다.
5월 20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비상진료체계에 돌입한 지 14주 차에 접어들었습니다. 장기간 계속되는 비상진료체계에 일부 불편이 있음에도 더 아프고 위급한 환자를 위해 대형병원과 응급실 이용을 양보해 주시는 국민 여러분과 지금 이 시간에도 묵묵히 환자 곁을 지키고 있는 의사·간호사 등 현장 의료진의 노고와 헌신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난주 금요일에는 일부 의대 교수들이 4월 30일, 5월 3일 그리고 5월 10일에 이어 네 번째 집단 휴진을 예고한 날이었지만 극히 일부 병원에서 외래진료가 감소한 것 외에 큰 영향은 없었습니다.
대부분의 의대 교수께서는 주변에 동요하지 않고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두고 계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공의 공백까지 감당하며 환자의 곁을 지키고 계신 의대 교수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다음으로, 비상진료 운영 상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전체 입원환자는 증감을 반복하며 조금씩 회복하는 추세이며, 5월 셋째 주는 전주 대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5월 셋째 주 상급종합병원의 입원환자는 전주 대비 2.5% 감소한 2만 2,829명으로 평시의 69% 수준입니다.
전체 종합병원의 입원환자는 8만 8,055명으로 전주 대비 1% 감소하였으며, 평시의 92% 수준입니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중환자실 입원환자 수는 전주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5월 셋째 주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원환자는 전주 대비 0.9% 감소한 2,823명으로, 평시의 85% 수준입니다.
전체 종합병원의 중환자실 입원환자 수는 전주 대비 0.4% 증가한 7,006명으로 평시의 95% 수준입니다.
5월 17일 응급의료병상 축소 없이 운영되는 응급실은 전체 408개소 중 96%인 391개소로서, 전주 대비 2개소 증가하였습니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에 안과, 산부인과, 외과 등 일부 중증·응급질환에 대한 진료 제한 메시지를 표출한 기관은 전주에 비해 1개소 증가한 17개소입니다.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기관의 중증도별 내원 환자는 전주 대비 모두 증가하였습니다.
5월 16일 KTAS 1~2의 중증·응급환자는 전주 대비 1.5% 증가한 1,347명으로 평시의 92% 수준입니다.
중등증환자는 전주 대비 3.4% 증가한 8,317명으로 평시의 102% 수준입니다.
경증환자는 전주 대비 3.1% 증가한 6,970명으로 평시의 84% 수준입니다.
응급실 과부하 여부도 지속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응급실 접수 후 전문의 최초 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평시에는 24.7분, 5월 첫째 주에는 20.5분이었으나, 5월 둘째 주에는 19.5분으로 짧아졌습니다.
응급실 평균 재실 시간은 188.3분으로 평시의 238.9분보다 크게 감소하였으며, 집단행동 이후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중증·응급진료 상황을 지속 예의주시하면서 현장의 의료진이 지치지 않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국민의 생명을 지킬 수 있도록 비상진료체계 유지에 더욱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국민 여러분께서도 다소 불편이 있으시겠지만 경미한 증상의 경우에는 조금 더 급하고 위중한 분들이 대형병원에서 진료받을 수 있도록 가까운 지역의 중소병원과 의원을 이용해 주실 것을 다시 한번 요청드립니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대체인력 지원과 병원 간 진료협력체계를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5월 14일 기준으로 군의관 170명과 공중보건의사 257명 등 총 427명이 파견근무 중으로, 광역응급상황실과 각 병원의 중증·응급의료 운영 상황 등 수요를 파악하여 추가 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 인력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에서 공공의료기관, 대학병원, 수련병원 등 194개소를 대상으로 5월 17일부터 24일까지 수요를 조사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와 시니어의사 간 연계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상급종합병원과 진료협력병원 간 협력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현재 종합병원 중 암 적정성 평가등급이 1 또는 2등급이고 다수의 암 치료 실적을 갖춘 암진료협력병원 68개소를 포함해 총 185개소의 진료협력병원을 지정·운영하고 있으며, 총 1만 8,119명의 환자에 대한 진료협력이 이루어졌습니다.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 후 인근의 진료협력병원에서 사후 관리를 한 사례는 1만 7,593건이고, 환자와 상의하여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협력병원으로 전원한 뒤 진료협력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사례는 526건입니다.
또한, 응급의료포털에서는 어느 지역에서 어떤 암을 어떻게 치료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인 암진료협력병원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암 환자의 진료 상담을 위해 국립암센터에 전담콜센터를 운영하고 집단행동으로 인한 환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피해신고센터를 운영해 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와 그 가족분들께서 겪는 불편함과 불안감은 크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앞으로 환자와 보호자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환자단체 등과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적시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하겠습니다.
지난 5월 9일과 14일에는 상급종합병원과 진료협력병원을 대상으로 회의를 개최하여 운영 상황 등을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하였습니다.
회의에서는 진료협력병원을 더욱 확대할 것과 사업 종료 후에도 의료기관 간 유기적 협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진료역량 정보를 지속 제공해 줄 것을 건의하였습니다.
정부는 향후에도 의료기관 간 협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건의사항을 적극 검토하겠습니다. 이번 비상진료체계 운영을 통해 상당 수준의 진료역량을 갖춘 종합병원의 역할과 병원 간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환자의 증상과 중증도에 맞춰 병원의 역할을 분담하고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의료 이용 공급체계를 정상화하는 첫 걸음입니다. 비상진료체계 운영을 통해 얻게 된 소중한 경험들은 단순히 비상진료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의료전달체계 개혁으로 이어지도록 하겠습니다.
고난도 ·고위험 환자와 2차급 병원에서 진료 의뢰된 환자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중점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고, 중등증 이하의 환자와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 의뢰한 환자는 종합병원이나 전문병원에서 담당할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개선해 나가겠습니다. 중증·응급 전문 수술과 처치 등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도 조속히 인상하겠습니다.
정부는 지난주 서울고등법원의 결정에 따라 내년도 대학입시에 더 이상의 혼란이 없도록 2025학년도 입학전형 시행계획을 신속히 마무리하겠습니다. 또한, 각 대학이 올해 입시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대통령께서는 그간 의학 교육에 대한 어떠한 투자와 지원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며 국립의대와 지역의대에 대한 시설 투자를 대폭 확대하겠다는 지원 의사를 여러 차례 표명하셨습니다.
정부는 이번 기회에 선진국 수준의 교육 여건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교수 ***과 시설, 기자재 등 연차별 투자 로드맵이 담긴 의대 교육 선진화 방안을 조속한 시일 내에 확정하겠습니다.
교육 여건 개선과 함께 필수의료 확충에도 속도를 내겠습니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 편성지침에 필수의료를 재정 투자 중점 분야로 선정하여 세부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지난주 금요일 대통령께서 주재한 재정전략회의에도 필수의료 확충을 위한 재정전략에 대해 논의하여 필수의료특별회계와 지역의료발전기금 신설에 대한 부처 간 의견을 모았습니다.
-
📌글자 수 제한으로 이하 전문을 붙이지 못하는 점 많은 양해 바랍니다.
-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일시 : 2024. 5. 20. (월) 11:00
🔹장소 :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브리핑실
🔹발표 :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 (보건복지부 제2차관)

Пікірлер: 58
@user-zi8ow2er4q
@user-zi8ow2er4q Ай бұрын
정부에서 공개적으로 토론하자 했다고? 이제 구라도 치네
@user-zj6wm7rz1d
@user-zj6wm7rz1d Ай бұрын
우리 윤석열 대통령님 말씀이 국민의. 배려이자. 국민들의 용서를 한다는 뜻입니다 조속히 복귀 하셔 전과같이 존중 받는 의료인 이 되어주세요
@jhms2583
@jhms2583 Ай бұрын
의료개혁이 아니라 저 분을 비롯한 복지부 관료들 정신부터 개혁이 필요한 과제인 듯 합니다. 즉흥적 발상과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없이 막무가내로 밀어부치기만하는 미친사람들만 모여 있는 부서가 복지부아닌가싶습니다.
@user-sv7bk8vm8n
@user-sv7bk8vm8n Ай бұрын
헐값이 되어버릴 전문의 쪼가리를 위해 노예들 들어오라는 것인가?
@user-fx9le3wl8m
@user-fx9le3wl8m Ай бұрын
역시 돈이 문제였다는걸 실토하는군
@hsson2904
@hsson2904 Ай бұрын
39:03 탕핑업
@user-se6kt9ww7b
@user-se6kt9ww7b 28 күн бұрын
수술환자계속수술지연으로생몀이.위태로운사태로가고있읍니다.속희해결바란다.
@user-su3te7uk1o
@user-su3te7uk1o Ай бұрын
특검 대상
@hakunamatata1902
@hakunamatata1902 Ай бұрын
빠르게 추진하고... 이제부터 벌어지는 일들은 대통령과 복지부 교육부 장차관 대학총장들이 책임지면 되지...
@jhms2583
@jhms2583 Ай бұрын
책임질 일이라면 이렇게 추진하지 않았을 겁니다. 일단 밥이되든 죽이되는 망해도 상관없이 밀어붙이고 임기 마치면 나몰라라 해도 되니까 마구잡이로 밀어부치는 미친 사람들입니다.
@user-ws2oy9lq2e
@user-ws2oy9lq2e 27 күн бұрын
가.결이든 부결이든 거부권이든 ㆍ 룬도리와접대부 줄리는 구속된다 범죄가 한두껀이냐 거기에 증거도 빼박 ㆍㆍ 구속된다에 내속목아지 건다 ㅋㅋ줄리야 도리야 뚜껑아 학교갈준비하자 ㅋ😮😅😅
@user-mg1ig8yj2e
@user-mg1ig8yj2e Ай бұрын
아직도 거짓말하고 있네 네가 현장에가서 직접 조사하보고 말해 목소리듣기도 지겹다 나오지마라
@user-zo2mx8sl8j
@user-zo2mx8sl8j Ай бұрын
책임은 장차관이 집니다.
@user-cn7um3cx7c
@user-cn7um3cx7c Ай бұрын
의료농단의 결실 많이쳐드세요!
@user-zi8ow2er4q
@user-zi8ow2er4q Ай бұрын
도움 안되는 박민수 차관 ㅡㅡ
@tv-yx6ki
@tv-yx6ki Ай бұрын
킹윤 만세 든든합니다 안보1위 외교의왕 최곱니다 ❤❤❤❤❤❤❤❤❤❤❤❤❤❤❤
@tv-om3ms
@tv-om3ms Ай бұрын
👍👍👍👍
@tv-om3ms
@tv-om3ms Ай бұрын
👏👏👏👏
@tv-sz4lc
@tv-sz4lc Ай бұрын
💕👏👍🥰
@tv-yx6ki
@tv-yx6ki Ай бұрын
수고하십니다 감사합니다 ❤❤❤❤❤❤❤❤❤
@Palhosquare
@Palhosquare 29 күн бұрын
형, 그 브리핑 의사만 봐. 누구한테 이야기하는 거여.. 가오 세울 때가 아녀 지금은..
@user-gb8rr3lj2n
@user-gb8rr3lj2n 28 күн бұрын
윤석열 정부를 응원합니다 ❤❤
@Drjkpark
@Drjkpark Ай бұрын
근무지 이탈ㅎㅎㅎ 사직한 사람한테 근무지 이탈했다고 하는게 정상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인지?
@user-gb8rr3lj2n
@user-gb8rr3lj2n 28 күн бұрын
킹윤 ❤❤
@beomnoel3070
@beomnoel3070 Ай бұрын
전공의가 다 안 들어오고 일부만 복귀하면 그 일부는 로딩 장난아니겠지
@user-zi8ow2er4q
@user-zi8ow2er4q Ай бұрын
쑈타임 더늦기전에 빨리하세요 목소리가 왜저리 기어들어가서 짜증나네
@user-ur7hu2kr6h
@user-ur7hu2kr6h 14 күн бұрын
차관님 감사합니다 ❤❤❤❤
@user-zn6vf2ke4p
@user-zn6vf2ke4p Ай бұрын
저 사람 아직도 안 짤렸나요???
@fixno1459
@fixno1459 Ай бұрын
구역질 난다.....
@user-xl7ub2cp1g
@user-xl7ub2cp1g Ай бұрын
박민수차관님 적극 응원합니다. ❤
@user-hn1wq7cm9m
@user-hn1wq7cm9m Ай бұрын
박장관님 응원합니다 밥그릇 의사 재수없다
@user-tu9xi5xy8h
@user-tu9xi5xy8h Ай бұрын
복귀해요 복귀~~ 복귀해서도 충분히 준법주장을 할수 있음 어휴~ 증원 하면 반이상 페이로 빠짐 어차피 전문의로 가는 의사들은 몇안됨
@okaibaryyoon8734
@okaibaryyoon8734 28 күн бұрын
너네 말대로 3달 근무지 이탈인데 그러면 진작 해고해야되는거 이린가? 회사서 석달 결근하면 그냥두냐? 빨리해라ᆢ관둔다는데. 도대체 왜그러는거야?
@user-ws2oy9lq2e
@user-ws2oy9lq2e 27 күн бұрын
가.결이든 부결이든 거부권이든 ㆍ 룬도리와접대부 줄리는 구속된다 범죄가 한두껀이냐 거기에 증거도 빼박 ㆍㆍ 구속된다에 내속목아지 건다 ㅋㅋ줄리야 도리야 뚜껑아 학교갈준비하자 ㅋ😮😅😅
@user-gn7ic8kl4i
@user-gn7ic8kl4i Ай бұрын
그만 나오세요 계속 가래 끓는 상태로 킁킁 거리는것 거슬려요
@user-tl3nw7pn2k
@user-tl3nw7pn2k 29 күн бұрын
박민수가 사람 죽이네
@sungjaYim
@sungjaYim Ай бұрын
박미수 차과님 그만 나오셍ᆢ
@tv-sz4lc
@tv-sz4lc Ай бұрын
차관님 수고하십니다 ❤❤❤❤❤❤❤
@user-ur7hu2kr6h
@user-ur7hu2kr6h 14 күн бұрын
윤석열 대통령님 감사합니다 ❤❤❤❤
@user-ul5mm6it7i
@user-ul5mm6it7i Ай бұрын
야 그낫작 그만보자
@user-os5cy3tp9c
@user-os5cy3tp9c Ай бұрын
박민수 차관님 수고 많으시면 힘내세요.
@user-ul3id1mu4m
@user-ul3id1mu4m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의대증원
@tv-yx6ki
@tv-yx6ki Ай бұрын
윤석열 대통령님 감사합니다 최곱니다 존경합니다 역대 최고 대통령님 자랑스러워요 ❤❤❤❤❤❤❤❤❤❤❤❤❤
@user-nv3jv4cz7m
@user-nv3jv4cz7m Ай бұрын
이 어려운 환경에도 최선을 다하시는 관계 공직자 분들과 윤석열 정부 정책에 바름을 믿고 응원합니다. 신뢰합니다.
@user-or6om3oy4m
@user-or6om3oy4m Ай бұрын
의협은정부와대결을하 고자히는데 누가맞짱 붙을까 정부정책에그렇게불만 이많으면의사하지마라 전부그만두어라 새로뽑아서해야지시간 이문제다
@user-yx8vd7dj7x
@user-yx8vd7dj7x Ай бұрын
의료개혁 적극적 추진 감사합니다. 27년 만에 의대 증원 1500명 입니다.
@user-gb8rr3lj2n
@user-gb8rr3lj2n 28 күн бұрын
❤❤
@yoshikokomurakatk3096
@yoshikokomurakatk3096 Ай бұрын
윤대통령과정부를적극지지합니다박민수차관민국민을위해서계속힘내주세요응원합니다고맙읍니다
@user-ys3nj4zd6n
@user-ys3nj4zd6n Ай бұрын
수고하시는 박차관님 감사합니다 의대생증원 응원하고 지지합니다 의료계획 꼭 이루어지고 잘되기를 바랍니다 수고하세요 👍👍👍
@tv-sz4lc
@tv-sz4lc Ай бұрын
윤석열 대통령님 감사합니다 ❤❤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Hot Ball ASMR #asmr #asmrsounds #satisfying #relaxing #satisfyingvideo
00:19
Oddly Satisfying
Рет қаралды 50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