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246회] 의사들은 왜 극렬 저항하나? 엘리트 집단과 망가진 의료 (24.03.17)

  Рет қаралды 1,113,402

MBCNEWS

MBCNEWS

2 ай бұрын

◇ 의사들은 왜 극렬 저항하나? - 엘리트 집단과 망가진 의료
- 이지수 기자
- 또 집단행동
- 왜 2천 명인가?
- 갈아넣은 대형 병원
- 너도나도 피부과
- 실손 있으세요?
- 무너지는 공공의료ㅤ
ⓒ MBC & 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Пікірлер: 7 000
@daysun9911
@daysun9911 2 ай бұрын
공대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jeyji2534
@jeyji2534 2 ай бұрын
2000명 증원은 너무 많으며 이공계 인재의 의대 유출을 막기위해서라도 의약분업때 줄인 숫자인 500명 선만 증원하자는 주장을 하는 정치인에게 의사들에게 굴복했다고 공격해서 입을 막는 광풍의 시대.
@TV-mo9fb
@TV-mo9fb 2 ай бұрын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7일 오후 YTN 뉴스 인터뷰를 통해 "(2000년, 2020년 의사 집단행동 당시와 비교하면) 전공의들이 먼저 집단행동을 하고 교수들이 제자들을 건드리지 말라고 집단행동을 하는 것이 똑같은 패턴"이라고 말했다. 의사들은 1999년 말부터 2000년 말까지 약 1년 동안 의약분업을 두고 파업 등 집단행동을 한 바 있다. 코로나19 첫 해였던 지난 2020년에도 의대 정원을 약 400명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다 전공의·의대생 등의 파업 끝에 방침을 철회했다.
@user-cy8qm1zz3q
@user-cy8qm1zz3q 2 ай бұрын
의사가 믾아지면 공대가 산다
@user-sz1fj5xi7u
@user-sz1fj5xi7u 2 ай бұрын
의사들도 실력잇느사람만 살아남아야된다 지금은 숫자가부족하니돌칠이들도돈마니범
@hope7496
@hope7496 2 ай бұрын
돌팔이만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요법, 한의학, 심지어 종교 무속신앙 포함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환자 중에 70%가 자가 치유가 되고 있으니 의사 역할이 제한적이다
@user-gw6qy6sn6b
@user-gw6qy6sn6b 2 ай бұрын
전공이 소아과인데 피부과 허가를 내주는게 이상한 구조가 아닌가 제도적으로 규제해야죠 어떻게 필수 의료가 피부과 보다 수입이 낮는지 수가 구조 조정 꼭필요합니다
@user-fy9kf2yp6h
@user-fy9kf2yp6h 2 ай бұрын
그게 문제긴 합니다 근데 또 그렇게 따지면 일반의들이 전문의들보다 더 편하고 돈 많이 버는 상황이 일어날수도 있어서 일반의들은 크게 과에 제약을 안 받으니깐요.. 의료제도 대부분이 손을 봐야될거 같아요ㅜㅜ
@pome8455
@pome8455 2 ай бұрын
돌82 양성체계인거임. 미국에서 저렇게 환자보면 감방행임.
@user-of7un1ki9q
@user-of7un1ki9q 2 ай бұрын
​@@pome8455 교포들 한국와서 병원 갑니다 해외가서 병원 한번 가보세요 대한민국 의료가 최고라는거 느낄겁니다
@Medi709
@Medi709 2 ай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그동안 역대 정부의 27년간 증원시도 마다 의협이 반대하여 증원실패하였는데 이번에는 환자분들 고통이 있었지만 성공하였네요. 아픈 당사자 환자는 너무 힘들었겠만 이번에 증원 못했으면 의사란 특권층이 앞으로는 정부위에 있었을겁니다. 매번의 반대로 너무 늦게 증원이 늦게 되어 2035년까지 고령화대비위하여 만명까지 늘리기위해 한번에 많이 늘려 중간에 또 작은 문제들이 하나둘씩 생길수있으나 그때마다 머리맞대고 해결하면 잘 해결할수있을거라 믿고.지지합니다 힘든 필수의료수가조정해주시고 미용성형의사는 포화되어 경쟁심해지고 수익이 악화되어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등등으로 지역으로 좀 흩어져 의료활동하게 되어 국민들이 쉽게 의료접하면 좋겠습니다
@DEXTER-of2wl
@DEXTER-of2wl 2 ай бұрын
상황을 정반대로 인식하고 계시네요 대다수 수준이 이 정도라 피아식별 못하고 의사들만 까이는거겠죠 정부는 국민들 생각해서 증원하려는게 아닙니다 증원하면 의사 많아지니 의사수입은 줄어들고 환자들은 진료시간 혜택볼 것 같죠? 전혀 아닙니다 의료경제학 파트가 따로있거든요 의사는 공급자임과 동시에 수요유발자라서 공급늘린다고 가격이 싸지는 효과가 안 나와요 그리고 애초에 의료수가는 수요공급이 아니라 정부에서 강제로 정해주는거였고 지금껏 의료수가는 헐값이었다는 점을 생각해야죠 더 내릴자리가 없거든요 의대정원 늘리는거 성공하면 앞으로 정반대로 실비보험료는 두배이상 오를거고 국민건강보험 재정고갈로 끝납니다 지금같이 누구나 맘 편하게 병원가서 당일치료받고 하는건 꿈도 못꾸는 세상이 오는거에요 상류층은 상관없겠지만 중산층이하 대부분 국민은 공공병원에 의존하면서 치료받으려면 몇주이상 기다려야하고 중산층들은 병 걸리면 뭐라도 팔아서 돈내고 빨리치료받을지 말지 고민하게 되겠죠 의사들은 자기들도 국민이기 때문에 그 구조가 눈에 훤히 보이니까 그걸 막아왔던거구요 보수정권때마다 항상 있는 일인데 왜 모르는지
@user-rz6it6ok3k
@user-rz6it6ok3k Ай бұрын
어느방송사도 취재를안해서 언론은다죽었구나했다 이제라도 취제를해서 널리 알려서 온 국민이 다 알아야한다 방송 감사합니다
@Notnowthenwhen
@Notnowthenwhen 2 ай бұрын
많은 분들이 봤으면 좋겠네요! 기자분이 많이 노력하셨네요 잘 봤습니다!
@user-bw4cf9pj5q
@user-bw4cf9pj5q 2 ай бұрын
흉부외과등 기피과 힘든과에 수가를 더 올려줘야한다
@user-rq7cw4jq9i
@user-rq7cw4jq9i 2 ай бұрын
성형전문대학원을 따로 분리시키는 것도 방법이 될 듯. 한의사도 한양방 협업을 보장하는 것도 대책일듯
@user-iq5gv9pi8m
@user-iq5gv9pi8m 2 ай бұрын
@@user-rq7cw4jq9i동의
@sm-dk7yl
@sm-dk7yl 2 ай бұрын
605.000 8​@@user-rq7cw4jq9i
@user-us6gj2oc3h
@user-us6gj2oc3h 2 ай бұрын
그렇게 한다고 했잖아요 의사들 반대이유가 수입 줄까봐 그거말고 뭐가있나요
@Sean-ec9or
@Sean-ec9or 2 ай бұрын
지금 정부가 이전 정부랑 달리 그거 하겠다는데 이 난리. 문제는 한정된 재원으로 모두를 올릴 수 없으니 기존에 초고소득인 개원의들 수가랑 실비(혼합진료 포함) 조정하고 그걸 필수과로 몰아주고 리베이트에서 건보 새는 것도 막게 대체조제도 검토하겠다니 개원의들이나 미래의 개원의들이 전공의들까지 난리. 지금 증원해 봐야 현재의 전공의들이 수련에서 혜택볼 것도 없는데 자기들 미래수입 줄어든다고 생명이고 환자고 내팽겨치고 병원에서 나가버린 상황
@ryansung-wonlee4384
@ryansung-wonlee4384 2 ай бұрын
대형병원에 의사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이 전체의사 숫자가 적어서라고 암시하는 것은 크게 잘못되었다. 대형병원이 필수의료 의사들을 충분히 고용할수록 손해를 보도록 되어있는 체계가 그 핵심 문제. 실제로 필수의사 수련을 받은 대부분의 의사들이 대형병원에서 고용을 하지 않아서 경증진료하는 개업의로 내몰려온 것이 현실.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크으.. 어서 하루 빨리 국민들이 봤으면 하는 댓글입니다...
@youme9798
@youme9798 2 ай бұрын
인기과목만 좋아해서 그 쪽으로 가는데 이것도 체계의 문제 인가요?
@peacewe8009
@peacewe8009 2 ай бұрын
​@@youme9798필수과를 못하는 상황이 왔으면 그걸 해결해 줘야지... 생명과 관련된 영역이니
@youme9798
@youme9798 2 ай бұрын
@@peacewe8009 그 상황이 어떠한 문제인가요? 소송,페이,워라벨? 이런건가요?
@chocolanii
@chocolanii 2 ай бұрын
@@youme9798 인기과목이 좋아서 그쪽으로 쏠리는건 인간인 이상 당연한거죠. 안쏠리도록 구조 개선을 해야하는거지 이걸 의사탓을 하는건 좀...
@user-cs5sh1gs5u
@user-cs5sh1gs5u 2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흔들리지 않고 환자를 돌보고 계시는 의사 분들에게 무한한 감사를드립니다.
@Sshine-ji2wg
@Sshine-ji2wg 2 ай бұрын
객관적 취재, 방송 감사합니다. 잘 알지 못했던 부분도 알게 되었습니다. 영상에서 처럼 의사부족, 쏠림현상, 누구든 납득할 수 있는 수가 조정, 병원에 자주 가는 사람과 안 가는 사람의 보험료 차등의 실손보험, 공공의료 등의 문제를 잘 해결하여 몸을 써서 고생하는 의사의 정당한 대우, 환자들의 합리적 병원비와 건강보험료의 정당한 책정, 의사와 환자가 만족하는 의료 강국 유지로 건강한 우리나라로 더욱 발전하기를 기원 하겠습니다. MBC의 발전도 기원합니다.
@user-sk9lt6cb3y
@user-sk9lt6cb3y 2 ай бұрын
의사수는 계속 늘려야한다. 다만, 의료업계 혜택+공권력을 줄여야 나라가 산다. 물리학계가 살아야 국가가 산다. 의사수를 늘려, 지들끼리 밥그릇 싸움 시켜야 한다. 다른국가에서 의사고용 하면 된다. 물리 엔지니어를 다른국가로 뺏기면 나라 망한다. 기술 뺏기면...
@user-fb2ln7nf1w
@user-fb2ln7nf1w 21 күн бұрын
@@user-sk9lt6cb3y 의사수 늘려 지들끼리 밥그릇 싸움 시키면된다고 하셨는데요 의사수 늘면 건보료 올라갈거구요 환자들 의료비 부담이 더 커질겁니다. 외국의사는 정확히 어느나라를 말씀하시는건지 궁금한데요 아마 한국에서 의사하면 한달이나 버틸지...궁금하네요. 중국이면 국가가 명령해서 울며겨자먹기식으로 올지 모르겠습니다. 어느나라 의사를 원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들이 얼마나 버틸까요. 아니면 우리나라 돈은 있지만 성적이 안돼서 많이들 간다는 헝가리의대 출신..괜찮으시다면 그들에게 진료 받으세요. 보건복지부 차관이 전세기띄워서 외국에서 진료받게 해준다고 했는데 그것도 조만간 이루어지길 바래보구요. 의사는 가족들만 좋지 막상 의사 본인은 참 힘든 직업이다...했는데 이번일로 의사 선생님들(일부 과잉진료와 잘난체, 환자 개무시 의사들 제외!! 젊은 의사샘들은 대체로 친절하심)이 얼마나 고생하시는지 알게되었네요. 특히 기피과 선생님들 응원합니다
@KoreaTora
@KoreaTora 2 ай бұрын
결국 돈이 문제네.. 자리 지켜주시는 소아과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hawk8873
@hawk8873 2 ай бұрын
돈 때문에 남아 있을 뿐. 이제 곧 그들도 사라지겠지. 가르칠 후배나 제자도 사라지고 아기들도 사라졌음.
@user-bs5qk1dr5z
@user-bs5qk1dr5z 2 ай бұрын
​@@hawk8873살인자들 빨리사라져야지 ^^
@MulderCho
@MulderCho 2 ай бұрын
돈이 문제가 아닌게 있나요? 적자보고 소송 걸리면서 소아과 지키는게 정상인가요?사명감 있는 소수에게 감사할게 아니라 누구나 소아과를 해도 밥먹고살 걱정이 없도록 시스템을 만드는게 정상이죠.
@user-nq1cw6lx6r
@user-nq1cw6lx6r 2 ай бұрын
돈은 동기부여를 만드는 희대 최대의 발명품이다
@user-ze4qj4mx9k
@user-ze4qj4mx9k 2 ай бұрын
연봉 몇 더 받을라고 회사도 이직하는 인간들이 무슨 의사한테만 돈 어쩌고 하니? ㅋㅋ
@user-uk1ne5vh3q
@user-uk1ne5vh3q 2 ай бұрын
환자고 머고.. 다 돈이죠 공무원도 돈 때문 직업 때문에 공부하고 시험 보는거지 국민을 위해 공무원 되고 싶은 사람 몇명이나 있다고
@user-xb5wp8gf4q
@user-xb5wp8gf4q 2 ай бұрын
공무원과 달리 의사는 10년 교육동안 바이탈뽕이라는게 생깁니다. 전문의 후 돈 많이 번다는 생각보다 대학병원에 티오가 없어 일반의가 되어비급여의원을 하는겁니다 내외산소는 2차병원도 없으니 필수전문의만 필수과전향유인하는 정책을하면될거같은데 오히려 필수과정책이 그들을 비보험으로 내몰고 있는 정책을 내고 있습니다
@yuuk6469
@yuuk6469 2 ай бұрын
ㅉㅉ
@user-dq9qy8ee7z
@user-dq9qy8ee7z 2 ай бұрын
그렇죠 뭐 다 먹고 살자고하는거데
@user-wh1qg6rh7x
@user-wh1qg6rh7x 2 ай бұрын
그러니 종합병원의사 두배 늘리려면 티오 늘려야지요. 그리고 병원에서도 부담되니 연봉 절반으로 내리고. 절반내려도 충분한 임금. 그 탐욕내려야 한다눈거지
@user-gj7cc8qm2o
@user-gj7cc8qm2o 2 ай бұрын
카더라가 지식이 되는 국민… 공부도 안하고 선동하는거에 매도 당하는 무지한 국민의 댓글
@user-es7ov1zw6l
@user-es7ov1zw6l Ай бұрын
역시 ❤엠비씨 좋은 내용으로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bu8ru8bk5g
@user-bu8ru8bk5g 2 ай бұрын
의사가 전공한 전문과로만 개원허가 내주고 전문의가 아니면 개원금지. 그것만이 의료혼란을 막을수 있다.
@user-zz5dz7eb1e
@user-zz5dz7eb1e 2 ай бұрын
여기가 중국이냐 ?
@SG-jx3xn
@SG-jx3xn 2 ай бұрын
전공은 의학입니다. 전문 분야가 다른 것이고 외국(특히 유럽)의 경우 전문의는 매우 적고 일반의(가정의)가 대부분입니다. 소아과 의사도 의사죠.
@SonHeung-min
@SonHeung-min Ай бұрын
@@SG-jx3xn 유럽 의료는 대부분 쓰레기라서, 참고할 가치가 없습니다
@jennynam6984
@jennynam6984 Ай бұрын
전문의 안따도 병원이름에 피부과 안넣고 개원 가능함 그들도 그래도 인턴 레지턴트과정 했을텐데 그냥 피부시술하는 피부과라는 명칭 안넣은 개원을 하는거죠 시골 내과도 그런데 많아요 전문의도 안따고 개원해도 너무잘되서 경쟁 병원 앞에 개원할정도로 근데 그것도 결국 공급이 많으면 지금처럼 이지경은 아닐거에요
@jw1990jw
@jw1990jw 2 ай бұрын
객관적이네요.. 보험사의 실손보험문제, 공공의료원의 투자와 설비 축소 등 종합적으로 얽혀서 현재 기형적인 구조의 의료형태고 정부는 의사증원에만 이슈를 둘게 아니라 구조개혁에 더 비중을 두어야하겠네요.
@kyounglyoulkim8068
@kyounglyoulkim8068 2 ай бұрын
그것이 모든 의사의 희망입니다.... 구조 부터 고쳐놓고 증원에 대한것은 점진적으로.....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kyounglyoulkim8068 그렇죠. 가장 원인인 구조부터 싹 뜯어 고쳐 놓고나서 조금씩 점진적으로 증원한다고 하면 의사들도 찬성할 듯합니다. 하지만 그런것도 없이 무턱대고, 2,000명씩이나 증원한다고 하니, 의사들은 답답하죠. 필수의료 패키지 라는 보고서 보시면 진짜 기가차고, 어이가 없습니다. 이게 우리나라 정부의 현실이구나, 한계이구나를 뼈저리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user-os1ws1tm5z
@user-os1ws1tm5z 2 ай бұрын
의사없이 구조를 어떻게 고치나 병력은 없는데 작전만 짜고 있나 작전 짜놓고 병력을 키우나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user-os1ws1tm5z 의사 없이 구조 고칠 수 있구요. 어차피 그 구조는 정부가 고치는 거니깐요. 구조 고치고 환경 조성해놓고나서 의사 숫자를 늘리더라도 늘리는게 맞죠. 그리고 님이 말하는건 전쟁에서나 그런거구요. 사회시스템이나 구조 바꾸는건 다르죠.
@uessddgvce5982
@uessddgvce5982 2 ай бұрын
@@user-os1ws1tm5z 그 의사가 없다는것부터 허상이라니깐 늘려야 된다는 이유로 제시하는 문제가 크게 두 가지인데 1.필수과 기피 현상 2.지방 의료 문제 임 애시당초 1번은 낮은 수가 문제로 적자만 나는 필수과가 고용 수요가 박살이 나버리니까 발생한 문제임 전문의 달고 어디 오도가도 못하게 될걸 뻔히 아는데 수련 해야되는 입장에 있는 애들이 선택을 하려들리가 없고 실제로 그렇게 되버렸고 2번은 아예 본질 자체를 잘못 파악하고 있음 뭐 지방에 의사가 부족하니 의사가 더 많아져야 한다 라는 식의 논리던데 지방에 의사 많음 오히려 미용만하는 피부과,성형외과 같은거 아예 없다 보니 내과,정형외과,통증의학과,신경과 같은걸로 꽉꽉 차 있음 다만 문제는 병원이 세워진지 굉장히 오래된 경우가 많고 필요한 장비나 설비가 없는 경우가 많음 그래서 결국 의사가 소견서 써서 대학 병원으로 보내는 상황이 굉장히 많음 설비나 장비가 없거나 낡은걸 의사가 늘어난다고 막 그것들 가격이 저렴해지거나 없던 장비가 막 생기는건 아니잖음? 의사가 늘어난다고 대학 병원이 그거 늘어난 만큼 다 고용하고 병원 막 키워서 모든 환자를 다 받아낸다는것도 말이 안되는 소리고
@SH-hs7fc
@SH-hs7fc 2 ай бұрын
처음부터 끝까지 생방으로 봤는데.. 역시 스트레이트~ 문제점을 하나하나 짚어줘서 좋았어요.. 항상 응원합니다.
@user-ud4hz9iw3z
@user-ud4hz9iw3z 2 ай бұрын
과학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user-vu2wi5ne7x
@user-vu2wi5ne7x Ай бұрын
MBC 진실 방송 감사합니다!
@CheolHyungLee
@CheolHyungLee 2 ай бұрын
이런 좋은 프로그램도 있네요. 의료인/정부쪽에 치우치지 않고 포괄적으로 간결하게 가장 잘 다룬 영상입니다. 기자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user-ey3sk9qv6s
@user-ey3sk9qv6s 2 ай бұрын
걍 돈으로 직결됨, 민영화 or 세금 더 걷기 뿐임, 아니면 지금처럼 누군가가 갈려나가야지. 누군가는 돈, 수가, 건보료 문제를 이야기 해야하는데, 정부, 의사, 국민 누구도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왜? 지지율 떨어지거든, 내 주머니에서 돈이 세나가는 것은 싫거든. 백날 떠들어봐야 무지한 국민들은 그저 의사, 정부 욕하겠지... 이 의료 문제 해결하려면 우리가 세금을 더 내야함... 아니면 민영화 하든지... 의사 수 늘리는 거는 동의하지만, 체계도 손 봐야한다고 본다. 민영화 or 세금이 싫다면 경증 환자 자부담률 높이는 것도 방법이지 않을까 싶음. 난 우리나라 의료체계를 공부하면서, 전국민 의료보험으로 세금을 안내는 피부양자까지 전부 다 부담해주면 돈이 남을까? 라는 생각을 했는데, 결국 터질게 터졌네.
@user-jd4xn2yi2n
@user-jd4xn2yi2n 2 ай бұрын
경증은 비대면 진료해서 비용을 줄이면된다
@user-cy2ry5tj4c
@user-cy2ry5tj4c 2 ай бұрын
의사 하고싶은 사람들 다하고 약도 소비자가 자율적으로 사게하면 의사들 좃댐 타직업들은 이래서 다 급여 낮아진건데 수능만 잘친 의사들만 돈 벌어들임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차라리 세금 더 걷는게 나을 겁니다. 우리 의료계 현실의 끝엔 의료면영화만 남아 있을 뿐입니다. 다만 2,000명이나 되는 의대증원은 의료민영화까지 가는데 부스터 역할을 하는 셈이구요. 의료면영화되면 정말 답 없어요. 정말 미국처럼 돈 없으면 죽어야 하는 세상이 도래 할 겁니다. 우리 모두가 세금을 조금 더 걷더라도 그런 일은 발생하게 둬선 안됩니다. 그것이 우리 모두가 함께 사는 방법이구요. 저도 의사 수 늘리는 건 찬성인데, 다만 지금의 이 잘못된 구조의 체계부터 먼저 뜯어고치고 나서, 그 후에 점진적으로 의사 수를 늘려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일단은 그것보다 하루빨리 국민들이 이러한 현실을 좀 바로 봤으면 좋겠네요
@user-tj7dt8mv3g
@user-tj7dt8mv3g 2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dbsk2h-dd1bi
@dbsk2h-dd1bi 2 ай бұрын
대체로 동의하지만 '갈려나간다' 표현을 쓰기에 아직도 수능 1등 부터 줄서는 직업인 의사를 표현하기엔 공감대를 얻기 힘든게 당연한거 아님? 출산율 처박은 이래 내수파먹는 직업 중에 살아남는거 없음. 돈 욕심을 내려면 공대를 가서 개발을 하든 발명을 하든 했어야지. 민영화는 기정 사실이고, 이 때에도 의사가 적으면 단언컨대 니 가족들은 병원 문 턱도 못 넘고 썩어 없어짐.
@user-bo6sw4ml3j
@user-bo6sw4ml3j 2 ай бұрын
꿋꿋하게 자리 지켜주시는... 의사선생님들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rhoh.j.1523
@rhoh.j.152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봤어요
@user-sw3eg3pv1j
@user-sw3eg3pv1j 2 ай бұрын
기득권대기득권싸움이고 이공계를 소중히 여겨라 우리는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야 정부야 이공계학생들 혜택을 확실히 줘야한다
@user-zo2yw7zn7h
@user-zo2yw7zn7h 2 ай бұрын
이공계만 혜택줘야되? 그럼 그근간인 뿌리산업에 몸담고있는 인력들은?
@gold4790
@gold4790 2 ай бұрын
의료 수출도있죠. 의료과학도있고 세계 의료계로 왜?꼭 본국에 의사노릇만하려는가요.
@sunjhuh7366
@sunjhuh7366 2 ай бұрын
@@gold4790현실을 잘모르고 계신듯 참고로 타국입니다.
@Midnightwaves.
@Midnightwaves. 2 ай бұрын
의료 개혁 끝나면...검찰 개혁해야쥐..언론은 썩은것들은 도려내고...
@user-tg6re1ct5y
@user-tg6re1ct5y 2 ай бұрын
심심하면 검찰이냐 국회개혁도 해야지 얼마나 썩은는데
@jeter293
@jeter293 2 ай бұрын
@@user-tg6re1ct5y 윤석열 지지자들의 일상적인 사고
@user-fi6ty5rj9x
@user-fi6ty5rj9x 2 ай бұрын
망할 윤석열차
@user-yg3re1gx7n
@user-yg3re1gx7n 2 ай бұрын
OECD의 의료체계도 모르면서 증원안해도 인구수급격감소로 2035년 1000명당 3.5명 으로 남는다 ㆍ당연히 판사수 부자세늘리자면 90%찬성하지 ㆍ이런여론조사 왜하지 ㆍ윤통이 국민생명볼모로 무리수든것이지요
@user-oi3fq7op2f
@user-oi3fq7op2f 2 ай бұрын
너나 잘 하세요
@leedongkyo1
@leedongkyo1 2 ай бұрын
정원 늘리는게 왜 의료탄압이냐
@jk-df6ux
@jk-df6ux Ай бұрын
지금도 저곳에 안가시고 병원에서 묵묵히 환자를돌보는 의사님들을 존경합니다
@user-bi1lz4ve8b
@user-bi1lz4ve8b 27 күн бұрын
그딴 사명감 있는 의사가 전국에 몇명일까요? 환자를 돈으로만 보는거 아닌가요?
@dogmon3165
@dogmon3165 11 күн бұрын
그분들도 증원반대하시는게.. 참 뭔가 더 있다 싶음
@user-tt4hp8fh3r
@user-tt4hp8fh3r 2 ай бұрын
결국은 그동안 정치를 잘못한 결과다.
@kyunghwanpark9314
@kyunghwanpark9314 2 ай бұрын
당신의 글은 비논리적입니다..한심합니다
@user-uo9hl5fy4m
@user-uo9hl5fy4m 2 ай бұрын
한 둘이 아닙니다. 경제, 교육, 과학, 국방, 의료... 나라를 쑥대밭으로 만들었습니다. 눈감고 귀막으며 무소불위의 권력행사 이것은 정당한 통치행위 아닙니다. 폭주를 멈추게 할 방법은 탄핵뿐이라 생각됩니다.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kyunghwanpark9314 이 글이 비논리적이라고 하는 당신의 댓글도 비논리적입니다... 한심합니다
@jongchulkwon4840
@jongchulkwon4840 2 ай бұрын
울산도 산부인과,소아과는 없는데 비급여과목의 병원은 많음
@user-fh8wd9dw9v
@user-fh8wd9dw9v 2 ай бұрын
정부 끝가지 관철시키기바랍니다
@user-sx1rh1hq2k
@user-sx1rh1hq2k 2 ай бұрын
의사수가 부족한게 아니라 병원이 채용을 안하는 걸로 보이네요 건보료, 수가에 문제가 많은 듯 합니다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솔직히 의사 수 부족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부족하다고 한다면야 기피과 의사 수가 부족하죠.
@dbsk2h-dd1bi
@dbsk2h-dd1bi 2 ай бұрын
20년 뒤부터 노인이 인구 반인데 그럼 건보료 5배 10배 마음대로 올려보시든가요 ㅋㅋ 건보 자체가 없어지겠지 ㅋㅋㅋㅋㅋㅋ
@madoro001
@madoro001 2 ай бұрын
의사수 부족하다고 나오는데 귀를 닫네
@un-kim.
@un-kim. 2 ай бұрын
​@@madoro001 필수.지방으료자들이 부족하지 서울에 지하철 역주변만가봐라 올마나많은 개인병원이 있는지. 거서 필수의료가 있냐? 일본도 마찮가지. 일본은 그래서 지방에 9년. 있게만들었다. 그런데 그것도 9년끝나면. 다 도시로 들어와서 개원해 늘리기는 하는데 지방에 갈사람만 늘리는거지 그래서 년간 수십명만 늘어나. 지방의료 보충용으로
@user-xb5wp8gf4q
@user-xb5wp8gf4q 2 ай бұрын
지방에도 길가 건물이 모두 메디컬건물입니다. 전문의를 하고도 병원 티오가 없어 개원하는게 문제입니다
@yjcho2898
@yjcho2898 2 ай бұрын
필수는 수가 올려주고 감기는 자부담 하고 피부과는 간호사 개방하고 이래야 다 살수있습니다.
@user-sk9lt6cb3y
@user-sk9lt6cb3y 2 ай бұрын
의료업계가 살아날수록,,, 미래없다. 물리학계가 살아날수록.... 나라가 밝아진다.
@user-tl4mt9zb8x
@user-tl4mt9zb8x Ай бұрын
감기 방치하면 악화 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라서 초반에 병원가서 잡아야 됨. 자부담으로 장벽 세우면 안 됨.
@user-tc5gy8ek5u
@user-tc5gy8ek5u Ай бұрын
자료 보고 몇 마디 하고는 언제 오세요. 하면 그만인 이유를 알았네요 20여년 전에는 병원에 가면 의사가 다정하게 질환 관련 이것저것 설명 자세하게 해 주었기 믿음이 가고 심적 안정 회복 잘 되었었는데
@warenoise3956
@warenoise3956 2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MBC다운 취재입니다!!
@user-td6cf6xx3e
@user-td6cf6xx3e 2 ай бұрын
집값파동은 비교가 안된다 의료민영화 예비작업이다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그렇죠. 이게 맞죠. 결국 이 의대증원의 길 끝에 있는건 의료민영화 입니다. 결국 의료민영화가 되면 재벌들만 또 좋아지겠네요. 윤정부의 재벌 살랑은 정말 끝이 없네요.
@user-uz1kj3fl9w
@user-uz1kj3fl9w 2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민영화가 나쁜가
@onion546
@onion546 2 ай бұрын
​@@user-uz1kj3fl9w민영화가 필요한게 있고 아닌게 있죠. 미국의 항공우주는 민영으로 기술 이전해서 잘운영되고 있으나 민생과 직접 연결되는건 아닙니다. 의료 전기 등 민생과 직결되는 항목은 민영화하면 가격이 폭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user-hn8om2zy2k
@user-hn8om2zy2k 2 ай бұрын
@@user-uz1kj3fl9w 정말 몰라서 그런건가요 기본 인프라가 민영화 되면 어떻게 되는지 몰라서??? 서비스 질은 하락하고 가격은 상승 교통 의료 전기 수도 민영화 된 나라들 서민들이 그 부담 다 떠안음 삶의 질이 엄첨 하락함 당신은 상위 1% 인가요
@user-of2ui9so9u
@user-of2ui9so9u 2 ай бұрын
무식하거나 재벌아닌이상 민영화가 좋다는 사람들은 그저 자유시장경제라고 민영화를 막아서는 안된다 떠드는데, 공공분야는 정부가 운영하는게 국민들 입장에서는 그나마 나은거다. 의료 민영화하면 파업 안할거 같냐? 비용은 싸지고? 돈벌이 수단은 비싸지면 비싸지지 싸질수가 없는거야. 정부에서 운영하니 그나마 일반인들도 마음 편하게 병원도 갈 수 있는거다.
@sukjungmyoung8790
@sukjungmyoung8790 Ай бұрын
단순히 정원만 늘려서 해결될 문제가 아닌것 같다 필수과 수가 올리고 정원 늘리는데 더 힘써야 할듯…
@user-zm4bc5cv9e
@user-zm4bc5cv9e 2 ай бұрын
Ai로 대체할수 있게 기술개발이 빨리 진행되었음 한다.
@user-kv1xy4wn3d
@user-kv1xy4wn3d 9 күн бұрын
속도 조쏘.
@user-ug4dw1ws4y
@user-ug4dw1ws4y 5 күн бұрын
ai로 대체될 텐데 왜 증원을 해야하나요?
@yunaindlove1429
@yunaindlove1429 2 ай бұрын
실손보험이 정말 문제입니다 의사측만 문제가 아니라 환자측도 문제지요 알고 쇼핑하는 사람들 주위에 많잖아요 이용 안하는 사람도 부담이 같이 증가해서 이용 안하면 손해인 구조라서 이 제도는 고쳐야 할것 같아요
@gracek1063
@gracek1063 2 ай бұрын
그러니까요..실손보험만 들고 병원은 거의 안가는데 보험료가 올라간다니 억울하긴 합니다..의료쇼핑하고 보험 악용하는 소비자국민의식 개선도 필요합니다.
@user-ok4mz6zg8l
@user-ok4mz6zg8l 2 ай бұрын
실비 문제 심각한것같아요 안해도되는검사 실비있어서 더하게됩니다
@user-mn6zn5oj2b
@user-mn6zn5oj2b 2 ай бұрын
실손보험이 왜 문제인가요 불법도 아니고 정당하게 돈내고 나이들어 아프거나 불의의 사고로 필요시 혜택보려고 다 들었던건데..댓 다신분들은 아직 아프지 않으니 쉽게들 말하시지만 만약 본인이 아픈상태거나 가족중 환자가 있어도 이렇게 말하시건가요
@Dr-jo1hi
@Dr-jo1hi 2 ай бұрын
실비보험 더 타먹으려고불필요한진료비와 검사비로 낭비되는것도 모르시오??
@victorchoi8102
@victorchoi8102 2 ай бұрын
@@Dr-jo1hi 자기돈내고 받는겁니다. 그런사람이 많아야 의료인도 돈 많이 벌죠. 그런시장은 어차피 수급에 따라 바껴요
@user-hc6oj4no2x
@user-hc6oj4no2x 2 ай бұрын
의대파업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ncplus2010
@sncplus2010 Ай бұрын
좋은방송
@yunmichoi1
@yunmichoi1 2 ай бұрын
50세인데 지금까지혈압,고지혈,당뇨없고,별탈없이 지내 실손을 단 한번도 타먹어 본적 없었는데 나 빼곤 주변사람들 툭하면 병원가면 실손으로 청구했네 어땠네 다 타먹던데 그걸 지켜보면 나같이 병원 않가는 사람들이 저사람들 병원비 대주는군아 싶더라구요 다 이유가 있었군요 그래도 전 않타먹어도 계속 건강하면 좋겠어요
@Hise_
@Hise_ 2 ай бұрын
건강하세요
@user-vn9bq3kh1d
@user-vn9bq3kh1d 2 ай бұрын
돈 안타도 건강한게 최고입니다. 늘 건강하시길....
@jjae3987
@jjae3987 2 ай бұрын
mbc가 빠트린것도 많이 있네요. 하나 적어보자면 정부가 의협에 비급여는 열어두어 병원에서 마음대로 c.t같은 궂이 필요치 않은 비급여항목도 필수로 해야하는것 처럼 해서 수익창출합니다. 조만간 oecd국에서도 한국은 더이상 의료비혜택이 좋은 나라도 아니구요. 77년이후 한번도 바뀐적없는 의료계 재개선이 정말 필요한 시점아건 분명해보입니다.
@okn16588
@okn16588 2 ай бұрын
응 넌 호구
@user-yr2sq4df4z
@user-yr2sq4df4z Ай бұрын
고독사 하시는 생각이십니다.
@user-fj2ol5qz5w
@user-fj2ol5qz5w 2 ай бұрын
보도에 감사합니다. 그런데 어떤 필수과 의사 선생님이 하신 말씀이 필수과를 하고 싶어 봉급이 적은 대학 병원에 남고 싶어도 필수과 전문의 TO(일자리)가 없어서(필수과에서 수익을 못 내기 때문에 병원에서 전문의 TO를 배당 안 함) 가지 못한다고 하셨는데 주요 언론사 방송으로서 단순히 의료 과별 수입 차이만 강조해 모든 의사 선생님이 돈만을 목적으로 일자리를 선택하는 것처럼 들려 아쉽습니다. 그분은 확실히는 말하지 않았지만, 지방 종합병원의 필수과에서 혼자 일하시는 것 같았고, 그 과에 단 한 명의 전문의임에도 불구하고 TO가 없어 아직도 계약직으로 일한다고 하셨습니다. 가뜩이나 여론이 의사의 모든 행동을 돈 때문이라고 하는 상황에서 주요 언론사가 좀 더 공정하게 보도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user-tf3hv5db9q
@user-tf3hv5db9q 2 ай бұрын
못된짓거리하는의사들세대교체가필요합니다
@user-tf3hv5db9q
@user-tf3hv5db9q 2 ай бұрын
의대생을빨리많이늘려야합니다
@user-tf3hv5db9q
@user-tf3hv5db9q 2 ай бұрын
점진적으로말고 빨리늘려야합니다 저런못된짓거리하는 의사들 모두내쳐야합니다
@user-jw2ir6uw3z
@user-jw2ir6uw3z 2 ай бұрын
​@@user-tf3hv5db9q입장바뀌 생각해보셔. 당신 연봉 깎자, 정리해고좀 하자 이러면 어떻게 반응하긋소? 의술을 인술이라 하는데, 의사 입장에선 생계요. 의사라고 다 돈많고 등따숩고 배부르지는 않소. 이미 자리잡아 돈 벌만큼 번 병원 원장들이야 아무 문제 없겠지만, 이제 올라오는 젊은 의사들은 이야기가 다르단 말이요. 당장 내 생계에 위협이 되는데, 그걸 모두 받아들이고 아닥해라고 하면 당신은 "네." 하긋소? 의사가 무슨 성인이라도 되는줄 아쇼?
@user-rq2yw2nh3c
@user-rq2yw2nh3c 2 ай бұрын
큰병원서 돈안쓸려고 안뽑고 전공의로만 대치하는거네
@Fdcre
@Fdcre 2 ай бұрын
차관 산부인과 포괄수가제 만들어 오픈런탄생시킨 장본인 ㅠ
@madoro001
@madoro001 2 ай бұрын
방송은 봤냐?
@TV-mo9fb
@TV-mo9fb 2 ай бұрын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7일 오후 YTN 뉴스 인터뷰를 통해 "(2000년, 2020년 의사 집단행동 당시와 비교하면) 전공의들이 먼저 집단행동을 하고 교수들이 제자들을 건드리지 말라고 집단행동을 하는 것이 똑같은 패턴"이라고 말했다. 의사들은 1999년 말부터 2000년 말까지 약 1년 동안 의약분업을 두고 파업 등 집단행동을 한 바 있다. 코로나19 첫 해였던 지난 2020년에도 의대 정원을 약 400명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다 전공의·의대생 등의 파업 끝에 방침을 철회했다.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2 ай бұрын
동네 산부인과 다 망하게 한 놈
@coffeelakelife
@coffeelakelife 2 ай бұрын
맞다. 이제 동네 산부인과를 단 한곳도 볼수없다
@chulyu7044
@chulyu7044 2 ай бұрын
동네 산부인과 돈버는 것은 분만이 아니라, 불법 낙태수술을 의사라는 탈을 쓰고 양심의 가책없이 시행한 바로 그것인것을 정녕 모르느냐? 분만 중심의 동네 산부인과는 의사들 입장에서 별로 도움안된다. 쓰레기 같은 인간들이 불법 영업하다가 걸린걸 핑계들로 많이 내세우는데, 절대 현혹되면 안됨. 소아과는 문제 있는데, 동네 소아과에서 진료하기 어려울 때, 신속하게 2차 또는 3차 병원으로 전원시켜야 함에도, 본인이 실력없다는 소문 날까 두려워 기본적 처방을 해 주며 경과를 두고보자는 돈벌이 "의새"의 문제가 더욱 크므로, 이 문제의 개선은 논의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고 봄.
@wani6636
@wani6636 Ай бұрын
실손 있냐고? 의사가 아니고 도둑넘이구만!
@user-kp5re3nm3o
@user-kp5re3nm3o Ай бұрын
나라의 미래를 위하여 국정은 국가기관에서하는것이다 따라서 너희들 이득을 위하여 환자들 눈에 눈물나게하면 너희들 자손만대로 피 눈물날것이다. 천벌을 받아라 여 야 국회의원은 국민의 뜻 배반하지마라 너희들도 천벌받는다. 면허 박탈과 구속시켜야한다. (손들고 무릎 굴고 국민들에게 빌어라 용서를구하라)
@user-is7fv4qr5o
@user-is7fv4qr5o 2 ай бұрын
이 문제에대해 자세히 다뤄주셔서 고맙습니다. 좀 더 많은 바른 정보들이 나와 이 문제가 점차적으로 해결되길바랍니다. 계속 취재 보도 해주세요
@Medi709
@Medi709 2 ай бұрын
노동강도가 높은 의사들위해 많이 증원하여 일 나눠하게 해주세요. 의사들의 워라밸을 위해 2000명 증원 지지합니다.증원과 함께 기피하는 필수의료수가 올려주세요
@barbaraheintz6673
@barbaraheintz6673 2 ай бұрын
무조건돈때문에이러는악질의사들정말로양심이썪어버린의사들대한민국이이정도밖에안되니정말한탄할수밖에없네요
@user-gp6lu7tx1v
@user-gp6lu7tx1v 2 ай бұрын
이런 사때에 왜 대학병원만가나요 2차병원도 잘 하는데도 있습니다~
@user-sc9er3bq8z
@user-sc9er3bq8z 2 ай бұрын
2차병원도 잘해요
@user-tm6xq8fh2s
@user-tm6xq8fh2s 2 ай бұрын
이런것도 한몫하죠 치료가능한 환자들도 다들 서울로 가니
@tromba4780
@tromba4780 2 ай бұрын
2차 병원에서 병 발견 못해서 심각해진 사람들이 있었으니 서울로 가죠 목숨 위험한 모험을 왜 합니까
@daean8903
@daean8903 2 ай бұрын
어깨 빠져서 2 차 병원 가니 대학 병원 가라는데요? ㅡㅡ;; 빠진팔 받히고 대학병원가서 응급실에서 몇시간 기달림. 빡치는거는 그냥 기달리라고만 함. 그래… 기달릴수는있지.. 근데 팔좀 받치게 배게나 박스같은거라도 갔다 줘야 하는거 아니야? 몇번을 말해야 갓다 주더라.. 종합검진하러 2 차 병원감.. 감산선 부었다고 큰병원 가라고 하내요. 시간이 없어서 미국에와서 병원가니 이것저것 검사하고 의사가 하는말이 이거 진짜 애매한 수치인데 어떻게 찾았대? ㅋㅋㅋ 대충 봤으면 몰랏을거라고 하네여. 결론… 굳이 대학병원 갈필요 없다. 필요하면 개인병원에서 먼저 큰병원 가라고 하니 처음부터 시간 오래 걸리는 큰병원 갈필요 없다.
@user-kd3nv8sl4s
@user-kd3nv8sl4s 2 ай бұрын
3차병원 수가를 해외처럼 존나게 올려야함
@ledzptoto2
@ledzptoto2 Ай бұрын
담낭암 4기 우리 엄마가 2년째 항암 치료 하다가 의료 파업으로 링겔 꼿고 집으로 와서 항암제 투여 합니다. 그전에 독한 항암으로 어지러움증과 골다공증 부작용으로 살짝 넘어져서 허리 와 엉치뼈 골절 되서 치료 받고 있고 그후 그때 넘어질때 살짝 뇌출혈 증상이 있었는데 그 부작용 탓인지 오늘 어지러움증 호소하셔서 병원 진료 전화 했더니 파업으로 예약 안된다고 하더군요 어쩔수 없이 누나가 응급실로 가고 있는데.. 아무리 아무리 자신들 이득이 중요하다고 환자들 볼모로 이러면 안되져.. 우리 엄마 무슨일 생기면.. 난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의사들을... .. ..
@user-yn8rp4rc1p
@user-yn8rp4rc1p 2 ай бұрын
이런 탐사보도 좋아요~
@user-sq4ys9qk6k
@user-sq4ys9qk6k 2 ай бұрын
궁금한걸잘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z4zy1rn1j
@user-vz4zy1rn1j Ай бұрын
의료개혁은 해야합니다.이번기회에 꼭!!
@user-hn3cu8ux3j
@user-hn3cu8ux3j 2 ай бұрын
의사들 필요없다 다 사직서 내고 자격증 반납 하라 우리는 약국 한의원 가자
@user-yu2tx6zl1j
@user-yu2tx6zl1j 2 ай бұрын
외국처럼 의사들도 처우가 평준화되어야한다
@user-qz7rd2qb1u
@user-qz7rd2qb1u 2 ай бұрын
공무원? 그럼 의대교육을 국비로 해야죠..
@story5gtone369
@story5gtone369 2 ай бұрын
무슨교육비가 국비로?😅 교사나공무원도 국비인가 ㅉ
@story5gtone369
@story5gtone369 2 ай бұрын
찬성합니다ㆍ의사들ᆢ😂임금평준화ᆢ 돈버는 직업으로전락함 의료보험비국민낸것아나^~? 돈많이버는의사가 논리적인가 ᆢ아픈사람많은게좋은사회인가 ㅉ
@pjj2645
@pjj2645 2 ай бұрын
​@@story5gtone369교사 공무원 월급 누가주나요??
@user-hi5ul8oc2i
@user-hi5ul8oc2i 2 ай бұрын
대책없는 윤석열도 문제지만 환자야 어찌되든 지들 밥그릇만 생각하는 의새들 심각하다
@user-fs1jl3qu9c
@user-fs1jl3qu9c 2 ай бұрын
MBC가 나라를 구하고 있네요. 좋은 방송 더 많이 만들어주세요. MBC 화이팅!!
@user-od2jv1lw2x
@user-od2jv1lw2x Ай бұрын
국민의생명을 담보로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의사들은 반성해야한다.
@user-yg3hy6zx6m
@user-yg3hy6zx6m Ай бұрын
모든사람은 편한곳에서 일하고 싶어해요 의사도 마찬가지. 소아과 특히 누가 응급으료학과로 가겠나요 세브란스 병원가면 지방에서 온분이 50프로예요.환자들이 전부 서울 경기로 몰리고 있어요. 정분는 이걸 어떻게 해결할껀가요
@user-ky3qv2su3p
@user-ky3qv2su3p 2 ай бұрын
의료개혁이 아니라 의료혁명이 필요합니다. 리베이트도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nd5if1xg8j
@user-nd5if1xg8j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의사들 약국 리베이트 약관련 비리를 파헤쳐야 합니다.
@user-nu1kx4se7d
@user-nu1kx4se7d 2 ай бұрын
ㅋㅋㅋ대단한 ㅄ이네 ㅋㅋ
@user-gs2et9mw5g
@user-gs2et9mw5g 2 ай бұрын
제발 리베이트좀 잘 파헤쳐주세요.. 리베이트 없어진지 언젠데..
@kihong100
@kihong100 2 ай бұрын
@@user-nd5if1xg8j 정말 너무 모르시네요. 어떻게 의사들이 약국과 리베이트를 주고 받나요. 지금까지 그런 줄 아셨어요? 의약 분업도 모르세요? 제약사와 병원간 리베이트도, 지금은 옛날 이야기입니다.
@user-lv6pl4pf8c
@user-lv6pl4pf8c 2 ай бұрын
@@user-gs2et9mw5g 없어졌다고요? 대학병원에서 아직도 양복 쫙 빼입은 남자가 선물을 교수한테 가져다 받치는거 못보셨나보네요
@nyongnyoung
@nyongnyoung 2 ай бұрын
와.. 제가 본 유튜브 뉴스 중에 제일 핵심을 잘 짚은 영상 같아요! 많은 분들이 보시길!
@user-rn9fx7kd8z
@user-rn9fx7kd8z 2 ай бұрын
의사가 많으면국민들은좋을거같디
@user-wl2ep3kl5p
@user-wl2ep3kl5p 24 күн бұрын
파업 동참안하시고 평소처럼 제자리 지키시는 분들 진정한 참의사들 존경합니다
@doki6980
@doki6980 Ай бұрын
결국엔 돈때문이지 뭐 지위 유지하고 싶어서이고, 2천명씩 늘어나면 의사 희소성이 떨어지고 수입도 떨어질거 아냐
@ioioyoung
@ioioyoung 17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우리나라 엘리트들이 버는돈.... 그정도는 되야하는거아니냐 일반 대기업만 다녀도 연봉 이억임...... 뭐의사가 얼마나 번다고... 의사가 훨 공부잘하던사람들인데
@user-wi3qt1jp3s
@user-wi3qt1jp3s 10 күн бұрын
@@ioioyoung 일반 대기업 어디가 평균 연봉이 이억이요
@parkky7713
@parkky7713 2 ай бұрын
좋은 기사입니다. 다만 필수과 특히 산부인과 소아과를 기피하는 큰 원인인 민형사 의료소송에 대한 부분이 빠저있네요. 다음에 심층보도 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coffeelakelife
@coffeelakelife 2 ай бұрын
동네소아과는 맘충 때문에 문닫은 곳도 있어요
@user-ro6fl4mu6v
@user-ro6fl4mu6v 2 ай бұрын
70대노인은 의료소송시 사망해도 천만원 수준인데. 신생아나 소아는 평생 일할돈 물어줘야하지요. 기본 10억부터 시작해요. 소아과의사 평생모으는 돈입니다. 의사수 증원한다고 소아과의사 할사람 있을까요? 낙수효과 ㅋㅋ
@hawk8873
@hawk8873 2 ай бұрын
@@koleanan1001 /그렇게 따지면 신해철은 유명인이라 그렇지 그딴식으로 죽은 사람은 한해 수도 없이 많죠. 문젠 법인데 결국 현재는 전 세계 유일하게 의사들을 의료 관련 문제를 가지고 형사 처벌하게 만들었고 그 결과를 보게 될 겁니다. 형사 처벌만 하고 처벌을 빡세게 강화하면 의사들이 게으르지 않고 열심히 근무할줄 알았죠? 다 칼던지고 가운던지고 나가 버릴줄 모르셨나?? 직접 겪고 경험해보세요. K 의료.
@user-tm6xq8fh2s
@user-tm6xq8fh2s 2 ай бұрын
종합병원다닐때 애를 낳으러오는 사람이 없어( 오는사람없어도 분만실직원은 3교대 출근) 어쩔수없이 분만중지를 하고 그러니 소아과 전공의가 서서히 안오더라구요..
@user-xh1sl2ni7y
@user-xh1sl2ni7y 2 ай бұрын
근데...소송은 성형외과가 더 많습니다. ㅜㅡㅜ 그래도 버는 돈이 많으니 하는 게 아닌가 합니다.
@user-xv8sw3sg7u
@user-xv8sw3sg7u 2 ай бұрын
보복부가 화려한계획을 세워도 기재부에서 돈이 안나오면? 탁상공론일뿐
@kyounglyoulkim8068
@kyounglyoulkim8068 2 ай бұрын
여태 그짓으로 정부는 의사들을 희롱 해 왔죠.....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그러니 이 문제는 모든 부처가 함께 나서서 고민하고, 해결해야 합니다.
@TV-mo9fb
@TV-mo9fb 2 ай бұрын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17일 오후 YTN 뉴스 인터뷰를 통해 "(2000년, 2020년 의사 집단행동 당시와 비교하면) 전공의들이 먼저 집단행동을 하고 교수들이 제자들을 건드리지 말라고 집단행동을 하는 것이 똑같은 패턴"이라고 말했다. 의사들은 1999년 말부터 2000년 말까지 약 1년 동안 의약분업을 두고 파업 등 집단행동을 한 바 있다. 코로나19 첫 해였던 지난 2020년에도 의대 정원을 약 400명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다 전공의·의대생 등의 파업 끝에 방침을 철회했다.
@user-fx7wc2zd8i
@user-fx7wc2zd8i 2 ай бұрын
군부가답이다, 뮈하냐?
@user-nl6wj3er1i
@user-nl6wj3er1i Ай бұрын
국민뜻대로 증원하여 의료개혁 완수하고 2500명증원이 필요하다ㅡ 집단카르텔 분쇄하고 국민의료권을 생각해야합니다
@marie-hk6wr
@marie-hk6wr 2 ай бұрын
기존 실손보험도 과감하게 혜택 손봐야 과소비 폐해 줄일수있다
@Siwansfather
@Siwansfather 2 ай бұрын
큰일일세. 의사 교육해서 해외에서 써먹는것도 아니고. 다 국내 의료수가 빼먹는건데. 대 환장파티다.
@pome8455
@pome8455 2 ай бұрын
의료수가 빼먹는 의사들 이미 차고 넘침. 다 면허 박탈해야 하는데.
@pome8455
@pome8455 2 ай бұрын
의료수가 빼먹는 의사는 이미 차고 넘치는데. 다 감방 보내야함. 미국 처럼.
@TV-ek4qw
@TV-ek4qw 2 ай бұрын
해마다 저짓이니 국민과 환자들볼모로 저거밥그릇 챙기기 30년 이제 고리을 끊어야합니다 어차피한번은 희생을 국민과환자들은 감당해야 앞으로 후손들이 제되로 치료받고 맘놓고 살수있읍니다
@Pip665
@Pip665 15 сағат бұрын
있읍니다 보니까 틀딱이네 이거 ㅋㅋ 정부가 첨부터 접근을 ㄱ같이 하니까 저 꼴 나는거 아니냐
@hy1105
@hy1105 2 ай бұрын
아니..싫어서 나가셨으면 그냥 관두시면되지요..
@user-sr6nf5wz9d
@user-sr6nf5wz9d 2 ай бұрын
궁금증 해결되서 좋았어요
@user-uf6bu2om4p
@user-uf6bu2om4p 2 ай бұрын
갑자기가아니라 20년전부터
@user-yi7dm7ze8x
@user-yi7dm7ze8x 27 күн бұрын
의사편드는 기레기들보면서 경멸스러웠음.MBC 응원합니다
@user-dw8vx2gt1x
@user-dw8vx2gt1x 7 күн бұрын
요거는 재방으로 관심있게 보겠습니다
@user-sr9jb7ml6i
@user-sr9jb7ml6i 2 ай бұрын
유익했습니다!!
@babotalchal
@babotalchal 2 ай бұрын
Mbc 홧팅입니다 😂😢😊 감사합니당 😂😅😊 수고가 정말정말 많으십니다 😂😅😊
@user-rz6it6ok3k
@user-rz6it6ok3k Ай бұрын
온 국민이 사실을 알아야한다 취재 정말 감사힙니디
@user-ve8cl1zp7y
@user-ve8cl1zp7y 2 ай бұрын
의대증원은 급하지 않네요 필수의료ㆍ지방의료 유인책이 먼저입니다.
@halklsas
@halklsas 2 ай бұрын
증원을 해야 거기도늘어날꺼아니냐고 죽어도 안갈라고하는데
@user-xb5wp8gf4q
@user-xb5wp8gf4q 2 ай бұрын
죽어라해도 치료하는 병원은 손해보고 바이탈뽕찬 의사는 사명감으로하고있는데 사고나면 형사처벌까지가니까 안하는 거죠
@hawk8873
@hawk8873 2 ай бұрын
오히려 정원을 축소해야 할판이고 말씀하신대로 필수 의료 인력과 수가 체계 개선이 시급합니다. 나머지는 차츰 개선해도 될 문제고. 문제는 복지 관료들이 의사에 대해 매우 적대적이라 제대로 돈주면 게을러 진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죠.
@user-dt5ub6ml6k
@user-dt5ub6ml6k 2 ай бұрын
@@hawk8873 제대로 돈 주려면 건보폐지-> 수가폐지를 해야 필수과가 살아납니다. 근데 증원하지 않으면 의료비 폭증이 일어날테니 증원하고나서 수가를 풀어서 그 증가폭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근데 그 시작점인 증원을 막고 있어서 문제이고요.
@uch-sasuke
@uch-sasuke 2 ай бұрын
증원에 바로 이루어지는줄 아나보시네.. 증원을 지금해도 10년뒤 적용인데 증원하고 나머지를 진행해도 안늦습니다.
@user-wn2iv6if1t
@user-wn2iv6if1t 2 ай бұрын
의약분업할때 의사숫자줄인거 몰랐네요 3000명이라니
@user-ve2sc7zd6q
@user-ve2sc7zd6q 2 ай бұрын
그때도 살인파업했거든 ㅋㅋ 근대 그땐 먹혔음 그당시는 국민들이 많이 무식했거든
@user-sk9lt6cb3y
@user-sk9lt6cb3y 2 ай бұрын
의료업계가 살아날수록,,, 미래없다. 물리학계가 살아날수록.... 나라가 밝아진다.
@SHP-hr2oj
@SHP-hr2oj 2 ай бұрын
@@user-sk9lt6cb3y ??? 유럽병원가서 X-ray 힌장 찍는데 1달 기다려 봐라. 그럼 우리나라 의사들한테 절할 꺼다.
@_youdied9442
@_youdied9442 Ай бұрын
의약분업으로 줄어들 월급을 의사숫자 줄여서 때려맞춘거죠. 결국은 의사들 월급이 줄어드냐 아니냐가 파업의 주요 원인임
@good-ew2yy
@good-ew2yy 17 күн бұрын
전정부에서 400명도 안한다고 했다. 2000명이 문제가 아니라 그냥 지들 주머니 생각해서 늘리기 싫은거다.
@SWASMR0210
@SWASMR0210 6 күн бұрын
진정한 뉴스채널입니다. 잘 봤습니다.
@user-gp3px3wt3b
@user-gp3px3wt3b 2 ай бұрын
증원보다 의료개혁을 해야지
@user-gi8wo3es5q
@user-gi8wo3es5q 2 ай бұрын
의새들 다 여기 몰려왔네 ㅋㅋ 국민 90%가 정부 지지중이거든 ㅋㅋ 가족동원 몰린거치고 화력이 아쉽네
@na5430
@na5430 2 ай бұрын
저기요 세계에서 최고의료기술과 의료시스템인데 왜 개혁이필요하죠?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na5430 지금 이 영상을 보고도 그런 말이 나오나요??? 제대로 안보신건가요?? 아님 보고도 이해가 안가시나요?? 세계에서 최고의료기술과 의료시스템이 하루아침에 뚝딱하고 나왔을까요?? 다~ 잘못된 구조 속에서 전공의 갈아넣어서 이룩해놓은 겁니다. 그러다가 지금 이 사달이 났으니 당연히 잘못된 구조를 개혁해야죠.
@MagPie-qd3vt
@MagPie-qd3vt 2 ай бұрын
​@@user-yuns89지 입으로 말하네 전공의 갈려나갔다고 ㅋㅋㅋ 전공의를 늘린다니깐 왜 이악물고 반대함?? 의료 시스템이 허술하나 적은 의새들로 무너진 시스템을 막음. 의료 시스템이 허술하나 많아진 의새들로 무너진 시스템이 붕괴됨??? 이상한 논리를 싸고 있네 ㅋㅋㅋㅋ
@user-cf3wz8iu9h
@user-cf3wz8iu9h 2 ай бұрын
​@@na5430ㄷㄷㄷ머리가 없나..?
@user-yp3kh1du3x
@user-yp3kh1du3x 2 ай бұрын
정부는 지속 가능한 점진적 정책을 내놓아야 하는데 과격하고 급진적 방법을 고집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2000 늘린다고 그 사람들이 지방에서 의사를 한다는 보장 있나요? 의험 부담을 안고 해야하는 필수과에 대한 문제를 먼저 해결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전공의들의 값싼 노동력으로 이렇게 의료 선진으로 달려 왔는데 전공의들을 내몰게 하여 돌아올 길을 막아 버리니 정부 책임이 큽니다. 지금이라도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그 증가 인원을 내년 입시에 바로 대입하는 것도 문제라고 봅니다.
@user-wh9pd3ep5k
@user-wh9pd3ep5k 2 ай бұрын
27,8년까지 즉 3,4년 내에 수도권에 메이저 병원의 분원 9개 이상이 세워질거랍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승인해준거죠. 그러면서 지방의료 키운다니 믿기 힘들죠. (수도권 병원의 분원을 수도권에 설치. )
@kyunghwanpark9314
@kyunghwanpark9314 2 ай бұрын
의사님들..지방으로 와주세요..그럴려면 일단 의사수가 충분해야합니다. 극소수 전문인에 의한 기득권이 서울로 모이게하는 원인입니다
@kyunghwanpark9314
@kyunghwanpark9314 2 ай бұрын
의사 의대생 의대교수님 들...밥그릇 앞에선 삼위일체! 좋습니다!
@user-ls8dv1rx7p
@user-ls8dv1rx7p 2 ай бұрын
​@@kyunghwanpark9314 지방에 사람이 없는데 지방으로 왜감 개원이는 자영업자라 손님 많은 수도권으로 가야지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급진적방법을 고집하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정치적 이유입니다. 표심 얻기 작전이죠. 지지율 올리기 위한 작전이기도 하구요. 그리고 더 재밌는 점은 그 2,000명 증원해도 당장에 의대의 교육시설이나 환경이 갖춰져 있지 않아서 보다 더 나은 퀄리티의 교육을 받을 수 없다는 겁니다.
@user-fu1fq8jk6x
@user-fu1fq8jk6x Ай бұрын
의약분업으로 의료재정 파탄난다고 반대했는데.. 지금 의료보험료를 얼마나 더 내는지 알고있는 국민이 있으라나?
@user-le4ps1eq5i
@user-le4ps1eq5i 3 күн бұрын
진즉 조금씩 늘렸어야 하는데 참..
@user-bx1ry5fm2b
@user-bx1ry5fm2b 2 ай бұрын
소아과 진짜 고생많음 수가좀 올려줘
@terrayoomi9452
@terrayoomi9452 2 ай бұрын
진료 시간 3분도 안되지않나요? 수가도 수가이지만 좀 정성껏 진료 해주세요 무슨 기다리는건 한참이고 진료는 1~2분
@user-su9fh4wr5s
@user-su9fh4wr5s 2 ай бұрын
암이 걸려와도 3분 보겠냐? 감기로 오니까 3분보지. 감기가 치료가 필요한 병이냐? 모르냐?
@user-mb8fr2wm3v
@user-mb8fr2wm3v 2 ай бұрын
​@@terrayoomi9452 당연한거 아님? 진료를 오래 볼게 아닌데 그냥 환자 기분 좋으라고 질질끌어? 그렇게 질질 끌면, 기다리는 시간은 더 늘어나지 않을까?
@modanaz2137
@modanaz2137 2 ай бұрын
@@terrayoomi9452 이것이 맘충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5분 하잖아? 느그들이 들어와서 1시간 반 기다렸어요 이딴소리함 아갈창 개떄리고싶음
@hsc2104
@hsc2104 2 ай бұрын
@@terrayoomi9452하루에 보는 환자 수가 100명이 넘으니까 그렇지… 답답한 인간아…
@user-ei8jz1fo2l
@user-ei8jz1fo2l 2 ай бұрын
이런 유투브가 많아져야 합니다. 국민들은 실상을 몰라요. 아는 게 이상하지요. 그래도 의사들은 국민 무시하지 말고 잘 설명해야 합니다. 왜냐?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한테 있으니까요.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대정부 투쟁이나 대국민 협박 보다는 대국민 설득이 우선입니다. 의사분들 똑똑하시잖아요?
@user-cf3wz8iu9h
@user-cf3wz8iu9h 2 ай бұрын
현재 많은 매체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유지성, 아산병원 신경과중재팀 이런 유튜버들 보세요
@user-lm4ep9nu3q
@user-lm4ep9nu3q 2 ай бұрын
그냥 보고싶은것만 보는거쥥
@leelee-sq1fm
@leelee-sq1fm 2 ай бұрын
국민도 의사 무시하지 말아야지. 보고싶은거만 보는 것도 지능인가? 니네가 의사 조롱하고 무시하는게 의사가 국민 무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보여..
@user-ei8jz1fo2l
@user-ei8jz1fo2l 2 ай бұрын
@@user-cf3wz8iu9h 저도 최근에야 유나으리 등 몇몇 의사 유투브 보기 시작했습니다. 일반 국민들의 관심은 의사들과 달라서, 알고리듬으로 연결되는 주제 자체가 달라요. 더욱 적극적으로 소통해야 합니다.
@user-ei8jz1fo2l
@user-ei8jz1fo2l 2 ай бұрын
@@leelee-sq1fm 국민을 니들이라고 하시는 본인은 국민이 아닌가요? 암튼 법치국가인 대한민국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은 국민이 하게 되어있습니다. 국민주권입니다.
@samyoullee3500
@samyoullee3500 Күн бұрын
의대생 증원보다 더 중요한 것은 법적보호를 해야합니다. 배운대로, 해오던대로 했는데 소송에 휘말립니다. 외국의 경우 정부가 소송에 참여하고 보상금의 판결이 내리면 정부가 보상합니다. 성범죄, 마약, 형사적 범죄는 제외하고 의료 행위에서 오는 사망과 증세 악화 같은 결과에 따라오는 소송을 막아 주어야합니다. 오진도 보호해야합니다. 오진은 지식이 부족하거나 경험부족에서 옵니다. 환자는 다른 곳에 가서 두번째, 세번째 확인 해보고 최선을 다해야합니다. 전세계에서 이것을 보호해주지 않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할 것입니다. 이러한 법적 보호를 해주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user-xe4rt3yr9p
@user-xe4rt3yr9p 2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rd2rv4bl6o
@user-rd2rv4bl6o 2 ай бұрын
인기 피부과 수가 확줄이고 비인기 소아과 수가 확 늘려 해마다 탄력적으로 수가 적용하자
@sunchoi7626
@sunchoi7626 2 ай бұрын
안과수가 확줄여야지 먼소리야!
@user-qu1wl8kf2f
@user-qu1wl8kf2f 2 ай бұрын
가겠냐 그냥 의사를 늘려서 인기를 경쟁으로 몰아가야지 그게 자본주의 사회고 민주주의인거다
@user-ol2vr2yp4i
@user-ol2vr2yp4i 2 ай бұрын
​@@user-qu1wl8kf2f님은 삼성이나 현대 등등 흔히말하는 좋은직장 취업인된다고해서 젊은사람이 정화조처리장이나 환경미화원에 지원을 하나요? 무조건 밀어넣는다고해서 하능게아닙니다
@user-wf3zq3qo6r
@user-wf3zq3qo6r 2 ай бұрын
피부과 성혐외과에 뺄 수가가 어딧노 그러니깐 다들 미용으로 빠지는건데. 국민들 수준이 이렇다니깐.. 뭐가 문젠지도 모르고 그저 멍석말이 하는놈 같이 패고있음 ㅋㅋ
@user-vv3fv8wj7e
@user-vv3fv8wj7e 2 ай бұрын
​@@user-ol2vr2yp4i무조건 간다ㅋㅋ 변호사들 봐라 국선변호사도 구하기 힘들었는데 무료 법률상담에 지방도 변호사가 널렸다 공급을 늘리면 다알아서 된다
@adyue3534
@adyue3534 19 күн бұрын
개나 소나 아무나 의시되야지 특권의식 없어진다 대한민국 국민 평균 지적수준이 높아서 우리나라 의사면허 통과하면 누구나 충분히 훌룽하다
@Honnam-A
@Honnam-A Ай бұрын
119구급대원분들도 고생이많으십니다. 병원안받아주면 엄청 골란할텐데.
@user-wh9pd3ep5k
@user-wh9pd3ep5k 2 ай бұрын
2000명에 대한 구체적 설명 없음. 세 논문 중 한 논문의 저자가 2000은 오류라고 말했다고 함. 직접 유투브에서 말 했는데..
@user-wh9pd3ep5k
@user-wh9pd3ep5k 2 ай бұрын
논문 하나로 2000 숫자에 대한 합리화를 하는지?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왜 하필 2,000명인가에 대해서 설명해주겠음. 정부가 각 의대에 최대 몇 명까지 증원 가능한지 사전에 물어봤다고 함. 그래서 각 의대에서 '우리는 이 정도까지 증원가능함요' 라고 한 숫자를 다 더해서 나온 숫자가 2,000명이라고 함.
@user-dr7uc1qy2g
@user-dr7uc1qy2g 2 ай бұрын
@@user-yuns89의대학장들이 인터뷰 한 것 좀 보고 댓글 달려면 공부도 좀 하시고~~
@user-uo9hl5fy4m
@user-uo9hl5fy4m 2 ай бұрын
@@user-yuns89 대학총장, 의대학장 중 누가 의료담당자 이죠? 또, 타당성있는 숫자가 2012명 이렇게 나오는 것과 2000명 딱 떨어지는 숫자가 나올 확률 비교는? 이천이란 숫자가 즉흥적이지 않을까요??
@user-yuns89
@user-yuns89 2 ай бұрын
@@user-dr7uc1qy2g 이거 정부관계자가 인터뷰한거라고 함.
@user-ol4gx6md2u
@user-ol4gx6md2u 2 ай бұрын
미국처럼..손도 못대기 전,더 문제가 깊어지기전에 개혁 손봐야 할거다..
@JaeminKim-qo2os
@JaeminKim-qo2os 2 ай бұрын
햐... 내가 들은 가장 신박한 방법이다. 그래 미국처럼 하자. 너 제발 아주 조금의 문제라도 좋으니 문제 생겨서 엠뷸런스 타고 병원 와서 ct 딱 1번만 찍어라.... 그럼 우린 너에게 1억을 청구할태니. 먼소리냐고? 미국 내 고모의 지인 실제 상황이다 개객기야
@user-xo6im4yd2h
@user-xo6im4yd2h 2 ай бұрын
지금 의료개혁 혼란으로 미국처럼 되는것 아닌가요? 또 대학병원 망하면 중국자본 들어와서 의료민영화 되는것 아닌가요?
@lovelyhs223
@lovelyhs223 2 ай бұрын
잘돌아가고있었는데 미국화시키고있잖어ㅋㅋ
@user-sl3ug4bm7c
@user-sl3ug4bm7c 2 ай бұрын
잘들아가는건 느그들 시점에서 지금처럼 힘을 가지고 운영하던 때를 지칭하는거쟎여. 전공의 확장과 느그들 이론과 상반되는 현상 설명도 안되쟎니? 밤새우고 주 80시간 일한다며? 그럼 사람이 부족하니 더 보충해줘야 하는거 아닌가? 이게 맞는 이론 아니더냐?
@emmettsuh5725
@emmettsuh5725 2 ай бұрын
⁠@@user-sl3ug4bm7c그니까 대학병원에서는 의사가 없어서 의사를 못뽑는게 아니라구요. 의사는 넘쳐나는데 걔네가 진료를 보면 볼수록 적자라서 그 적자 나는 과(바이탈 과) 의사를 덜 뽑기 때문에 그 적은 인력으로 굴러가는거라구요. 그러려면 어떻게 해야 80시간 이하로 줄일 수 있을까요? 수가를 제대로 쳐줘서 대학병원으로 하여금 해당 과에서 진료를 볼때 이익을 볼 수 있게 해야 더 뽑는다구요. 의사 부족해서 대학병원에 없는거 아닙니다.
@user-dw7xy6dq9c
@user-dw7xy6dq9c Ай бұрын
생각을 다시해볼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user-zd5sn2lx6n
@user-zd5sn2lx6n 2 ай бұрын
갈길이 멀다~ 에휴~ 인간의 존엄성이 일도 없는 나라,돈이 최고지
@user-sr2de8ro6t
@user-sr2de8ro6t 2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user-qw5no3xs8e
@user-qw5no3xs8e 2 ай бұрын
와 근데 진짜 조목조목 잘 나워서 자료조사 잘하셨네요. 정원, 수가, 실손,, 양측의 자료를 모두 제시해서. 객관적으로 보게 해주셨네요. 진짜 간만에 보는, 치우치지 않은 좋은 영상입니다.
@user-yi7dm7ze8x
@user-yi7dm7ze8x 27 күн бұрын
이런영상이 널리 퍼져야합니다. 의새들이 동원한 쇼츠와 댓글로 더이상 뒤덮히면 안됩니다
@J3DMG
@J3DMG Ай бұрын
휴진하는 병원이나 파업하는 전문의와 의사들에게 한 가지만 물어보고 싶다. 당신들 부모님이나 자녀가 죽게 될 위급한 상황인데도 나 몰라라 하고 파업 해 죽게 할 건가요?
@user-tu9wc9ds8q
@user-tu9wc9ds8q 28 күн бұрын
휴진하는 병원 의사들 36시간씩 당직에 집에 못가고 병원에서 자면서 진료보는건 아시나요? 지난달에도 과로로 돌아가셨습니다
@user-bi1lz4ve8b
@user-bi1lz4ve8b 27 күн бұрын
그런 생각하는 새끼들이 파업할까요? 환자 목숨 인질로 삼고 밥그릇 싸움이나하고 있으니...ㅉㅉ 의새들 반성해라
@user-jv3mi9sb4r
@user-jv3mi9sb4r 24 күн бұрын
​@@user-tu9wc9ds8q의사 부족하니 과로하고 의사 숫자를 늘려야 하는데 말이지요
@user-wj2nx5ks5s
@user-wj2nx5ks5s 16 күн бұрын
​@@user-tu9wc9ds8q인력이 부족하니 그런게 아닌가요 충원은 반대한다면서 그럴말 할 자격있나요
@kor00057
@kor00057 13 күн бұрын
@@user-tu9wc9ds8q 한명이 36시간씩 당직을 서야하는 이유가 뭔가요?
@user-tb9ek1ev1d
@user-tb9ek1ev1d 2 ай бұрын
이걸보니 정원이 문제가 아니고 대형 병원의 구조적인 문제네요... 전문의들은 몇명 없고 전공의들이나 간호사들이 많이 투입되서 돌아가는 구조적인 문제군요...;;;
@user-tg4ed9nd2t
@user-tg4ed9nd2t 2 ай бұрын
그렇게 해야 병원이 적자가 안나 병원이 유지되니까요? 싫다구요? 그러면 영국이나 스웨덴 노르웨이처럼 전문의 한번 만나는데 3일에서 2주일정도 걸리는 나라에서 사시면 됩니다. ㅎㅎㅎ
@user-su6zi5vk7j
@user-su6zi5vk7j 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의 의료시스템은 다단계 피라미드 였던 것 같다. 계속 폭탄돌리기를 하다가 2024년 2월 말 그 종말을 맞았다.
@Medi709
@Medi709 2 ай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그동안 역대 정부의 27년간 증원시도 마다 의협이 반대하여 증원실패하였는데 이번에는 환자분들 고통이 있었지만 성공하였네요. 아픈 당사자 환자는 너무 힘들었겠만 이번에 증원 못했으면 의사란 특권층이 앞으로는 정부위에 있었을겁니다. 매번의 반대로 너무 늦게 증원이 늦게 되어 2035년까지 고령화대비위하여 만명까지 늘리기위해 한번에 많이 늘려 중간에 또 작은 문제들이 하나둘씩 생길수있으나 그때마다 머리맞대고 해결하면 잘 해결할수있을거라 믿고.지지합니다 힘든 필수의료수가조정해주시고 미용성형의사는 포화되어 경쟁심해지고 수익이 악화되어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등등으로 지역으로 좀 흩어져 의료활동하게 되어 국민들이 쉽게 의료접하면 좋겠습니다
@user-no1pd4bq8p
@user-no1pd4bq8p 2 ай бұрын
​@@Medi709 그러면 지금 수술못받고 돌아가시는 분들은 죽어도 상관없다는 애기 아닌가요?
@user-tm7dw3sf3d
@user-tm7dw3sf3d 2 ай бұрын
지금보다.시간이흐르면.더많은사람이희생됩니다.​@@user-no1pd4bq8p
@user-no1pd4bq8p
@user-no1pd4bq8p 2 ай бұрын
​@@Medi709 의사2천명 늘리는건 반대 안하지만. 당분간 죄다 성형갈건데. 외과 흉부 소아과 이쪽 안갈건데. 기피대상이라 나라지원 해준다 소리도없으면 누가 갈까요?
@cokim5328
@cokim5328 2 ай бұрын
Medi709 님의 의견에 공감 합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user-sy4bv6zu8k
@user-sy4bv6zu8k 13 күн бұрын
기피과는 취업할때가 없다 그러니 개원할 수 밖에 대학병원도 값싼 전공의만 필요할 뿐 전문의 고용을 안하지
@user-un3ly3iw9b
@user-un3ly3iw9b 2 ай бұрын
몇해전 의대정원 400명 늘린다고 해도 파업했는데 총선 앞두고 2000명을 늘리겠다고 하는건 당시 디올백과 29% 지지율 그리고 총선을 앞둔 전략 이었던 거니?
@user-qm4qp1nt2e
@user-qm4qp1nt2e 2 ай бұрын
안지겹니 디올백
@jinsilkim6932
@jinsilkim6932 2 ай бұрын
@@user-qm4qp1nt2e아무것도 안했는데 뭐가 지겹다는 건지?
@yngwiemalmsteen8500
@yngwiemalmsteen8500 2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고도 물 흐리는 미친놈이군..
@pinkalice00
@pinkalice00 2 ай бұрын
@@user-qm4qp1nt2e뭐가 지겹지? 시작도 안했는데.
@biya74
@biya74 2 ай бұрын
​@@jinsilkim6932저도 안타깝지만 당장 생채기 보단 만성질환을 해결해야 하죠.
@user-iy7go4iq5e
@user-iy7go4iq5e 2 ай бұрын
의료한경이 이지경이 되도록 정부는 무슨 짓을 했는지 참으로 이해가 안됩니다. 이제와서 의료 혼란을 가져온 책임을 전공의 그들에게만 지워서는 안됩니다.
@user-ay0kt140
@user-ay0kt140 2 ай бұрын
의료 혼란이 아닌 전 국가적 혼란이고 위축 긴축 인상황에서 의료는 국가 통제 가능하니 긴축 하고 인원를려서 파이나누고 인력 유지 시키겠다는게 무슨 문제지 ? 일거리는늘지만 줄수있는 돈은 줄어드는게 팩트인 대한민국에서 의사가 안고가야할 운명이지 싫으면 용접공해 니눌 꼴리는대로 협상 할수있고 잘리는것고 꼴리는대로 잘릴거야
@user-yr5do9sr9h
@user-yr5do9sr9h 2 ай бұрын
이제라도 바로잡아야함
@user-pb1wh2lu5k
@user-pb1wh2lu5k 2 ай бұрын
이제 바로 잡아야지 의대증원지지한다.
@user-ct1vn1zj7z
@user-ct1vn1zj7z Ай бұрын
여러분 의대증원이 중요한게 아닙니다. 의대만 붙으면 학사경고받을 정도의 학생조차 합격하는게 문제입니다. 의과대, 간호학과는 졸업만하면 과락했던 학생조차 붙을 정도의 난이도의 자격증을 배부하는것부터가 문제입니다. 예로 건축과 나오면 기술사 90%로 합격합니까?? 기술사는 커녕 기사조차. 졸업생의 10%도 취득하지 못합니다. 물론 공부잘하던 학생들이니 당연하지"가 아닙니다. 각종 위조로 입학하고, 재적까지 당할뻔했지만 회생되었던 그런 별볼일 없는 학생도 합격할수 있는 난이도가 문제이지요. 학과별 차별을 없애려면 합격률부터 맞추세요. 의과기사 합격율 20%, 개원에 필요한 의과기술사 합격율 10%미만. 이것부터 고치시죠.의대생이 이슈가 되니 공과대 출신으로써는..
@iammrmuyaho
@iammrmuyaho 24 күн бұрын
그럼 의대를 왜가노? 수능 0.1-0.5 사이인 퍼센트인 의대생이 여기서 10퍼센트만 살아남아야함? 국민 0.01-0.05퍼센이여야지 의사가 될 수 있음?
@iammrmuyaho
@iammrmuyaho 24 күн бұрын
니가 말한대로 위조로 입학하면 공부 실력이 안되서 6년 걸릴거 12년 정도 걸릴듯? 국평오, 즉 5등급 대가리가 의대로 와서 열심히 노력하면 한 10년 걸리겠네 유급당해서 ㅇㅇ
@heesoo0204
@heesoo0204 21 күн бұрын
어떤 분야든 수요와 공급의 원칙은 적용된다.
@user-ul2li9uf7z
@user-ul2li9uf7z 2 ай бұрын
환자를 위해 사명감있는 의사들이 돈벌수있는 의료 체계를 만들어야함
@bomb7384
@bomb7384 2 ай бұрын
돈잘버는 의사들이랑 비교해서 가난하다는거지 의사아닌사람이랑 비교하면 배이상벌어요...
@user-qq8no9eo8h
@user-qq8no9eo8h 2 ай бұрын
@@bomb7384 시간도 고생도 몇십배해요
@leehyangje
@leehyangje 2 ай бұрын
*24년03월. 의사들수입의 80%?가 건보돈주머니인데 = 혹시 의대정원 2,000명 확대가 = 건보파괴? + 재벌대기업 민영의료보험 확대? = 의대정원 1,000명확대 + PA간호사 권한 법제화. *피부미용은 손재주와 눈썰미가 핵심이죠. 피부과 전문의 의사면허 외에 + 아무나 신고만 하면 하도록 허용하죠. 피부미용을 = 10년경력 간호사 + 20년경력 간호조무사에게 허용해주면 = 의사분들이 필수의료로 갈 겁니다. *의료사고종합보험(예: 자동차종합보험)을 손해보험협회에서 반드시 만듭니다.
@user-pc4dr5pf4v
@user-pc4dr5pf4v 2 ай бұрын
사명감을 요구하는사람들은 지들밥줄이랑 상관없으니 사명감을 강요하는거지
@user-il8rw7fn5z
@user-il8rw7fn5z 2 ай бұрын
조선소가서 일해봐라 몇십배고생하는지..ㅉ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9 МЛН
КАК СПРЯТАТЬ КОНФЕТЫ
00:59
123 GO! Shorts Russian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