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인구수가 1만명 이상 감소한 도시들

  Рет қаралды 1,581,938

도시연구소

도시연구소

Жыл бұрын

​@city_lab
#인구소멸 #인구감소
도시연구소 - 인구 감소가 심각한 도시
모든 드론 영상은 드론 원스탑에서
비행승인, 항공촬영승인을 득하고 촬영하였습니다.
오늘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통계를 근거로
인구 감소가 심각한 도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자료를 조사하여
대본을 만들고,
영상 미를 살리기 위해
Dron, Gimbal, Actioncam등 다양한 장비를 통해
영상을 대부분 자체 제작 하였습니다.
9분정도의 영상에 인구 감소가 심각한 도시를 담았어요.
영상 촬영은 시계가 좋아
도시들의 풍광을 드론 영상으로 즐기시기 바랍니다.
궁금한점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시고요,
즐거운 시청 되시길 바래요..
감사합니다 :)
*사용장비
Dron : 매빅에어2
Gimbal : DJI 오즈모모바일3
Actioncam : Gopro 8

Пікірлер: 1 200
@royalfrigern5297
@royalfrigern5297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좋은 자료&분석으로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top_green
@top_green Жыл бұрын
포항, 구미, 창원, 거제, 안산, 여수... 이런 곳들에서 인구가 감소한다는 얘기는 그만큼 제조업이 침체상태라는걸 말해주겠죠.
@sjp9001
@sjp9001 Жыл бұрын
제조업체 일자리 널렷습니다만..? 월급인상이 진짜 적을꺼고 미래가 없는게 제일크죠 중공업 미포처럼 잠시 휘청거릴때 다 해고당할꺼고
@user-jq3is3it2g
@user-jq3is3it2g Жыл бұрын
결론은 충청도만 안구증가한다는 소리네
@user-cf6fb1qy9s
@user-cf6fb1qy9s Жыл бұрын
​@@user-jq3is3it2g 맞아요 이제는 충청도 시대인거 같습니다
@Chamsaezzang
@Chamsaezzang Жыл бұрын
@@user-jq3is3it2g 거긴 이미 망한 동네라 망하는 중인 동네에서 안다룸ㅋㅋㅋ
@user-md4hq6bg7j
@user-md4hq6bg7j Жыл бұрын
논리적비약 뻘소리
@JUNJINFA
@JUNJINFA Жыл бұрын
좋은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Heart_Of_One
@Heart_Of_One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인구뿐만이 아니라 심각한게 한두개가 아니죠 그런데도 지금껏 거쳐간 정치인들과 국회의원들은 아직도 정신못차리고 본인들 이익만 챙기고있고 수습할 생각도없고 이나라는 암울하네요 ㅠ
@user-zs9wm8hs3d
@user-zs9wm8hs3d Жыл бұрын
허경영을 소환해야 할 시점임
@Silla__Kim.Yu-shin
@Silla__Kim.Yu-shin Жыл бұрын
코리아는 단군이래 단 한번도 정상이었던 적이 없고 백성 국민 서민들이 평화 평안 안정 풍족 여유가 없고 고난 고통 신분 부 권력 세습 되물림으로 늘 전쟁과 외세의 침입으로 현재까지 남북으로 갈라지고 자살률 교통사고 음주 성폭력 학폭 사교육 학력차별 비정규직 각종범죄 1위에 법이 약하고 약자나 피해자들은 지옥임 근로시간 과로사 갑을관계 세계유일 분단국가+ 코리아식나이 모든게 비정상적임
@darkdeadwalker7857
@darkdeadwalker7857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정신 못 차리고 지들 배만 채우고 죽을때 까지 지 한테 영향1도 없는데 뭐~ 지구도 언제 종말 할지도 모르는데 지금 인간들이 뭘 하겠음? 본격적인 타격을 입어야 방법을 찾는게 인간들인데 뭐~
@user-hx9kp7ug5n
@user-hx9kp7ug5n Жыл бұрын
인구감소는 저출산으로 자동 적이고 2050년에는 인구반토막 위기는 당연할꺼라 봅니다 현 북한인구2500만 그시기쯤 남북수 현 우리나라 인구수정도 유지될지 십네요 중국이 노리는 이유가 그계산법이 속해있다는거죠
@user-gw6bn6qz1i
@user-gw6bn6qz1i Жыл бұрын
@@user-hx9kp7ug5n 2050년에도 인구는 별로 안 주는데 생산인구가 반토막남 군대도 망할거고... 애들 낳을거면 이민 지금 하는게 현명할 듯
@hobis0b
@hobis0b 9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차분하게 참 잘보았습니다.
@city_lab
@city_lab 9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wanderer4701
@wanderer4701 Жыл бұрын
흥미 있는 동영상 입니다. 이문제가 지난 5년만 있었던것이 아니고 앞으로도 계속되는 문제이겠지요. 새 시대의 젊은 이들이 자기세대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할 문제이겠지요. 역사상 세대마다 그세대에 직면한 문제들이 있었는데 그런대로 지금까지 해결해 나갔으니 앞으로도 잘 해결해 나가겠죠.
@user-ti7ic2rp7w
@user-ti7ic2rp7w 10 ай бұрын
감소량이 아닌 감소율로 나열한 순위도 궁금합니다. 거주민의 경향을 나타내는데에 더 좋을 것 같습니다.
@sulliboy3633
@sulliboy3633 8 ай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user-ly6zo1oo6c
@user-ly6zo1oo6c 2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user-kh8bh8xn6j
@user-kh8bh8xn6j Жыл бұрын
도시의 인구 감소와 대한민국 전체 인구 감소 비율 대비도 궁금하네요. 고령화 현상도 도시마다 연관이 클 것 같은데 좋은 정보 계속 부탁드립니다.
@junkim939
@junkim939 9 ай бұрын
시장 군수들 자식 귀화하면 ㅇㅈ임
@sgood8652
@sgood8652 Жыл бұрын
수원은 감소돼서 감소가 아니라 포화상태라 주춤한 겁니다 번화가쪽 주차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 최근 매교동 세류3동 등 재개발로 팔달구 1/3쯤 허물고 신축아파트단지로 도배를 해서 120만 재돌파는 시간문제일 것 같네요
@user-ho7wn1hw9w
@user-ho7wn1hw9w 9 ай бұрын
재개발 하고 아파트 분양 할때 수유역 주상복합 아파트 꼴 날까 걱정 입니다
@dylh7537
@dylh7537 3 ай бұрын
수원은 도시의노후화와 인구폭증으로 포화상태였는데, 동탄 재개발로 젊은세대 인구가 많이 유출되었습니다. 그 이후 빈자리를 타지역에서 올라와서 채우고, 수원도 재개발이 완료되니 다시 인구가 120만가까이 재폭등하였네요... 매탄인계지역 재개발이 완료되면 말씀 하신대로 120만을 초과는 당연하겠습니다.
@dylh7537
@dylh7537 3 ай бұрын
@@user-ho7wn1hw9w ㅋㅋㅋ청약보니 이미 최소 4인가정이 아니면 당첨이 어렵네요..ㅎㅎ
@eunapple
@eunapple 2 ай бұрын
수원 지금도 좁은 면적에 인구 너무 많은데 댓글에 팔달구, 매탄인계동 재개발 들어간다는 거 보니 인구 감소는 틀렸구나... 수원은 이미 적정 인구를 초과했다고 생각하는데 사람 진짜 안 빠지네 ㅠㅋㅋㅋ
@byoel
@byoel Жыл бұрын
재밌어서 구독합니당
@ibifechoi2205
@ibifechoi2205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한 가지 아쉬운 점은 BGM의 볼륨이 너무 커서 거슬린다는 겁니다! 여기 뿐만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프로에서 BGM의 볼륨이 큰 게 문제이고 한 가지 더 말씀드린다면 음악은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분명히 갈리는 문제가 있기에 가능하면 BGM의 볼륨은 작은 것이 중요합니다! BGM의 소리가 커서 메인 볼륨을 줄이면 내레이션의 소리도 같이 작아지니...ㅠㅠ 그런데 BGM이 그렇게 꼭 필요한가요? 정 그렇다고 하신다면 들릴 듯 말 듯 은은하게 깔아 주심이...^^
@TV-yj9gq
@TV-yj9gq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user-fs6mk1nw4v
@user-fs6mk1nw4v Жыл бұрын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user-xy6xd9zc8s
@user-xy6xd9zc8s Ай бұрын
참고 많이 되었읍니다
@ojl307
@ojl307 Жыл бұрын
흠 수도권 도시들도 인구가 감소하네요. 물론 재개발 이후 새 아파트에 입주시작하면 회복한다지만 똑 인근 도시들이 인구가 감소하겠죠.. 대한민국 인구 고령화와 인구 감소는 확정이고, 골든 타이도 놓친 것 같고.. 그러네요..
@user-fk9ul4zg4m
@user-fk9ul4zg4m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광명, 안양, 구리, 부천은 줄어도 문제없지 주는게 문제라해도 주변도시랑 통합하기도 쉽고 서울을 둘러싸고 있어서 실질적인 도시생활 인프라에는 문제 없을듯
@leadersjs8904
@leadersjs8904 2 ай бұрын
대학이고 뭐고 다 서울에서 멀수록 불리합니다. 반대로 서울에 가까울 수록 유리한게 사실이고요.
@user-qb7gc1ds5v
@user-qb7gc1ds5v 2 ай бұрын
수도권은 크게 영향이 없죠 서울 인근 경기도권이나 부산 인근 경남권이나 대구 인근 경북권이나 같은 맥락이죠 하지만 서울과 부산대구같은 광역시의 갭차이가 너무 심하다는게 문제인듯
@user-ld7rk6qk2o
@user-ld7rk6qk2o Жыл бұрын
제조업이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 지난 몇십년간 고성장에 발판을 만들었는데 인건비 급상승은 저임금생산 국가에 자리를 내주고 경영에 어려움으로 폐업업체는 늘고 창업은 적으니 일자리부족으로 고향떠나 경기 수도권으로 올라가 살아보자 떠나는데 불안정한 미래에 결혼 출산율은 급격히 떨어져 총체적 난관이네요! 한정된 좋은일자리를 얻은사람은 잘살아가겠지만 열악한 일자리들은 버티지못하고 살아질테니 늘어나는 실직자들에 미래가 걱정입니다.
@alexgim81
@alexgim81 Жыл бұрын
8:47 배경으로 쓰이는 저기가 어디예요? 경치가 좋아서 들러보고 싶어요😮
@user-jf6qs8hg7y
@user-jf6qs8hg7y 3 ай бұрын
'익산 미륵사지'네요
@user-op9ef9qw2e
@user-op9ef9qw2e 10 ай бұрын
인구절벽시대에 앞으로는 대규모 신도시 입주소식이 있는 지역 아니면 모두 인구감소가 나타나겠네요
@user-wd4hz7sc2d
@user-wd4hz7sc2d Жыл бұрын
이거야말로 진짜 도움되는 부동산정보네요~!
@pmj1554
@pmj1554 3 ай бұрын
수원은 제발 주변으로 인구가 좀 분산되었으면...교통망이 너무 악화되고 있음; 딱히 금요일 등이 아니어도 조금 늦은 오후 즈음만 되어도 도로상황이 완전 지옥도임. 출퇴근 시간대야 당연히 밀린다고 생각하고 감수한다치더라도 오후 3시부터 밀리기 시작하는 구간은 뭐 어쩌라는건지. 차를 가지고 나와서 그런갑다 하고 대중교통을 탔는데 버스도 밀려... 몇년 전에는 이 정도까진 아니었던 것 같은데, 인구 100만 어쩌구 하던 시절에서 120만 근접하는 수준까지 오면서 너무 빡빡해짐;
@user-ex5vy2qw8c
@user-ex5vy2qw8c 25 күн бұрын
😊🧑‍✈️
@INTP__
@INTP__ 20 күн бұрын
천안도 차가 뭘 그리 많은지...
@Username34857
@Username34857 10 күн бұрын
좁은 도시면적에 왜. 영통부터 광교 영덕지구. 서쪽에. 또 신영통. 다닥다닥
@ill_jall
@ill_jall 9 ай бұрын
대규모 신도시 개발은 노후도 또한 대규모로 한꺼번에 몰아닥치는 후유증이 있네요.. 1기 신도시 다 썪었고, 제조중심 도시 전출인구도 ㅎㄷㄷ..
@super_lazy9542
@super_lazy9542 9 ай бұрын
수도권이나 광역시는 인근 위성도시나 신도시로 이동해서 권역으로 치면 순 유출이 적은편인데 그게 아닌 지방도시는 그냥 순유출....
@user-yh1to4to5z
@user-yh1to4to5z Жыл бұрын
수도권의 경우 인구 감소가 아닌 역내 택지 개발에 따른 인구 이동일 뿐 절대적인 인구 감소는 아니고 인구 절벽이 현실화 되면 감소가 시작 되겠지요 영남과 호남의 인구 감소는 심각하네요 특히 호남의 군산, 익산 등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도시들의 인구 감소가 심각한 것 같습니다. 군산의 경우 새만금 갯벌이 사라지면서 어업도 사라져버리고요 지역 내 특별한 산업도 없고요 목포는 도청 이전하고 주변 지역(특히 신안 진도 영암 무안등) 어업의 핵심 기지 역할을 하고 있어서 인구감소는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blue1570k
@blue1570k Жыл бұрын
일자리 찾아 수도권으로 온거죠 일하다 결혼하고 정주하는거...
@mirror6002
@mirror6002 9 ай бұрын
​​@@JJIJILI-JAEMYEONG 일자리 찾아서 떠난거지 인간아
@user-bs5tt7xf2f
@user-bs5tt7xf2f Жыл бұрын
인구감소 뿐만 아니라 나라 발전에. 모든 악영향을끼치는것이 정치인의 부정부패비리이다 부정부패비리를 근절하지못하는 원인에는 부도덕한 국민들이있기때문이지 부도덕한 국민위에 부도덕한 정치인들
@julia0430
@julia0430 10 ай бұрын
기본적으로 인구가 많은 곳이 만명이상 감소한거고.. %로 따져서 보여주면 지방 도심 붕괴현상이 더 심각하게 보여지지 않을까 합니다
@user-ql1ez2dh3p
@user-ql1ez2dh3p 8 ай бұрын
이제는 진짜 인구 백만인 곳에도 밤 9시만되면 조용하고 불꺼져있는 모습들이 많은듯.. 인구감소가 많이 느껴짐..
@user-qf6us8pr8o
@user-qf6us8pr8o Жыл бұрын
수도권은 근처 신도시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고 지방도시는 일자리 부족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네요. 지방 중규모 도시들도 이러한데 소도시들은 뭐 남아나질 않을 듯 하네요
@kordsjeong
@kordsjeong Жыл бұрын
수도권은 걱정할게 없음 ㅋㅋ 분당 신도시....노후화? 딴데 ㄱㄱ 화성 신도시....노후화? 딴데 ㄱㄱ 어짜피 계속 거기서 거기 돌고도는 쳇바퀴라서...ㅋㅋㅋㅋㅋ 진짜 문제는 익산같이 지방자체에서 일자리가 해결이 안되는 도시임. 떠난 사람들이 절대 다시 돌아오지 않음.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생애 선택 자유 지수 0.25로 거의 세계 꼴찌 한국!!!!! 부모의 간섭이 매우매우 심한 한국!!!! 주변에 노처녀 , 노총각들 엄청 많고 이들의 얘기 들어보면 다들 결혼할 기회 있었지만 부모나 이성의 부모가 교제 반대 , 결혼 반대해서 결국 결혼 못하고 노처녀 , 노총각 된 사람들 진짜 숱하게 봤습니다. !!!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user-cw3eg9kj5b
@user-cw3eg9kj5b Жыл бұрын
단순한 인구감소만갖고는 알수없지요. 구체적인 감소이유가 추가 되야하고 그간 예를들어 십년을 인구등락 그래프로 분석해야 맞는것임
@skysmart7
@skysmart7 Жыл бұрын
8위 포항시 소개에 쓰인 자료는 광양시 컨터니어부두 같아요!
@user-jp2df1xv5j
@user-jp2df1xv5j 11 ай бұрын
광역시들 중에는 인구 가장 급감하는 도시로 부산이 1등이 아닐까 싶습니다 여러가지로 일자리가 사라지고 집값은 폭등하는데 쓸데없이 새 주택은 많이 지어대며 노년층 인구만 급증하고 청년들은 대부분 다 부산을 뜨고 있기 때문입니다
@fettyvxgf
@fettyvxgf 10 ай бұрын
미안하지만 작년 부산 인구가 4만명 증가 했음🎉🎉🎉
@user-fl5cj6co2l
@user-fl5cj6co2l 10 ай бұрын
@@fettyvxgf 최근 10년간 단 한번도 증가한 적 없습니다. 최근 3년만에 10만명이 줄었습니다.
@adoniscreed7483
@adoniscreed7483 10 ай бұрын
​@@fettyvxgf뭔 개소리냐? ㅋㅋㅋ 줄어들어서 파티함? 🎉🎉 니 팩트체크 실력으로 사회생활 가능하겠음? 그냥 부산시 인구 이렇게만 검색해도 그래프가 📉
@user-bb1wi5xi3e
@user-bb1wi5xi3e 10 ай бұрын
​@@fettyvxgf 뭔개소리야 ㅋㅋㅋ 부산인구 재작년 335만명에비해 작년 331만으로 4만명 줄었는데 ㅋㅋ 올해는 330만 붕괴하는데 무식 ㅋㅋㅋ
@user-lz5ib1ep1m
@user-lz5ib1ep1m 8 ай бұрын
​@@fettyvxgf뭔소리 계속 인구 마이너스인데
@mss282
@mss282 Жыл бұрын
앞으로는 곳곳에 텅 비어있는 아파트 건물이 골치거리가 되겠네요. 이제 신축을 줄이고 고쳐서 사는게 어떨까요.
@earthistory
@earthistory Жыл бұрын
위 순위중 수도권 대도시들의 경우 실질적인 인구소멸과 지방소멸등과는 완전히 별개라고 봐야 됩니다. 단순히 인구가 줄었다고 문제가 있는 도시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인구가 줄어서 주거안정성과 교통정체개선등 오히려 수도권 도시들은 인구감소를 반기고 있지 않을까요? 수도권 50~100만 사이 도시에서 몇만 준다고해서 큰 문제가 없지만 지방 20-30만 도시에서 1-2만 줄어드는게 문제의 핵심이죠.
@user-yn5io7qw1c
@user-yn5io7qw1c Жыл бұрын
@@user-kn3xl1gk1c 이제 미사일 기지 새우면 개꿀이네
@user-wl5cu6nv9f
@user-wl5cu6nv9f 8 ай бұрын
강릉이나 속초 이런데는 의외로 감소도시에 없네요. 왜그런가요?
@jasungkoo9545
@jasungkoo9545 2 ай бұрын
인구증가 도시도 올려주셨으면 합니다.
@myautobiography9711
@myautobiography9711 Жыл бұрын
제조업 하기 좋은 나라의 환경으로부터 멀어지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 기반으로 성장했던 도시는 몰락할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그래도 태백 꼴 안 난 것을 보면 다행이라고 봐야 할까요. 다른 주요 요인 중에 노후화 된 주거 환경이 많이 거론되는데, 논밭 밀어 아파트 새로 짓고, 구도심 재개발로 아파트 새로 짓는 이 해결방법이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 지, 그게 관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골목길 동네들과 40년 된 아파트들 높아봐야 15층이고 녹지가 많아 토지 지분을 무기로 재건축에 성공합니다. 우리가 선진국들 마냥 60년, 70년 된 고층 공동주택을 잘 보존하는 나라도 아니고 30년이면 재건축 얘기가 나올 정도로 낙후되었다고 얘기하는데, 35층까지 뽑아먹을 대로 용적율을 뽑아먹은 이런 고층 공동주택이 30년 이상 되면 그 때는 강남 같은 전국 최강의 노른자위 금싸라기 땅이 아닌 이상 재건축 사업성이 없어 그냥 낙후된 채로 살아야 할 것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그래서 애초에 고층 공동주택을 이렇게 많이 지었으면 안되고, 낙후되면 그 나름대로도 괜찮은 단독주택 형태가 옳다고 보는데, 뭐 이미 늦었죠. 베이비부머 세대의 주택 수요 감당하려면 고층 공동주택이 답이기도 했었고요. 아무튼, 나중에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들은 인구감소는 둘째 문제가 되고, 세금 들여서 낙후된 고층 공동주택들을 정부에서 직접 철거해야 하는 일이 즐비할 것으로 봅니다. 인구가 줄면 n빵해서 개인이 내야하는 세금은? 유럽 국가 부럽지 않겠죠. 뭐 이민자 열라리 받으면 이건 해결은 되겠네요.
@user-rk7pm6hz5k
@user-rk7pm6hz5k 9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맞고요~ 인간답게 산다는 건 자연을 잘 보존하는 것인데 우리나라는 그간 폭발적인 인구증가와 부동산투기 정책으로 이미 자연이 거의 다 망가졌고 연안 바다도 거의 백화현상으로 망가진데다가 일본이 핵폐기물을 버리기 시작했으니 인간답게 살 날은 얼마 안 남은 듯합니다. 지금이라도 정신 차리고 인구감소 정책을 가동해야함에도 모든 위정자들과 가짜 지식인들은 하나같이 그 저열한 주둥이로 인구가 줄면 나라가 망하는 것처럼 공포심을 유발하면서 인구증가 정책만 말하죠 유럽 부자 복지국가들도 모두 인구절벽을 거쳐 지금 적정인구를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부를 구가하고 있죠 그런데 유독 우리만 인구절벽은 겪지 않고 무한대의 부를 추구하는 건 정신이상적인 발상이죠 한반도 적정인구 3천이 될 때까지 지속적인 산아제한을 해야합니다 어차피 미래의 노동은 기계가 하므로 1인이 2인을 부양해야한다느니 하는 그런 저열한 쓰레기들 말 들으면 조만간 환경파괴로 자폭하죠 지금 산아증가 정책에 쏟아붓는 수십조를 첨단과학에 투자하면 생산인구가 비생산인구의 절반이 안 되어도 실업율은 어마무시하게 올라갑니다 어차피 일은 기계가 하니까요
@user-gl6cm2vu3n
@user-gl6cm2vu3n Жыл бұрын
너무 잼있어용
@king.h.y.6646
@king.h.y.6646 9 ай бұрын
비율로 하는게 더 의미있는 통계아닐까요?😊
@user-yg3yl3hl8f
@user-yg3yl3hl8f 8 ай бұрын
와 경기도 성남이 충격 이네요. 울 가족은 추석 같은 명절에 성남 가는디 옛날엔 추석때 편하게 갈때가 생각 나네요. 이번 추석은 양방향 똑같이 막힘.ㅠ
@twosome_love
@twosome_love Жыл бұрын
구리 사는데 이 동네는 더 이상 개발할만한 곳이 없어요.. 원래 면적도 전국에서 가장 좁은 지역이기도 하구요.
@user-kj1ch4br8t
@user-kj1ch4br8t Жыл бұрын
계속되는 서울공화국 위주정책, 30년간 출산율 감소, 도시의 노후화, 대기업의 해외이전등은 지방도시를 붕괴시키고 결국은 대한민국 전체도 무너질 것임.
@ttaesaza1181
@ttaesaza1181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제작싯점이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군산시는 현대조선소의 재개장으로 소폭이나마 인구유입이 늘어 오히려 연말에 27만명선에 근접이 예상된다고 하는데...
@reikoMikami950
@reikoMikami950 7 ай бұрын
지식산업 업계가 원격/재택 근무를 활성화 하지 않는이상 지방붕괴(영상내 해당지역 인구감소)는 계속 이뤄질듯 합니다.
@chojaesong
@chojaesong Жыл бұрын
안산은 재건축이 많이 이뤄지면서 기존에 살던 사람들이 주변으로 이사가게 되면서 화성이나 시흥 이런곳으로 많이 이동한걸로 보입니다.
@greenmonster769
@greenmonster769 Жыл бұрын
시흥은 월곶 배곧이 뜨네
@user-hp6tz1yy6r
@user-hp6tz1yy6r 4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송산/봉담/배곧 목감으로 많이 빠져나갔습니다
@user-bo3is6fj3l
@user-bo3is6fj3l 2 ай бұрын
월곶 배곶 지하철이 넘멀어 ㅠㅠ
@Dex5-
@Dex5- Жыл бұрын
창원은 주력산업의 불황때문도 있지만 급격한 부동산 가격 상승과 소비물가 상승이 엄청 큰 타격임 전국 아파트가격 폭등하기 전부터 창원은 엄청 오르고 있었고 때문에 다들 창원을 떠나 양산 김해등 주변 도시로 떠나는 사람이 많았음 누굴 위한 특례시인가.....
@user-de9eo6pt6t
@user-de9eo6pt6t Жыл бұрын
다들 김해 장유, 진영에서 출퇴근하죠!
@KISJKS
@KISJKS 4 ай бұрын
창원 딸배헌터가 있어서 거기 떠났음ㅋㅋ
@zero_drink
@zero_drink 3 ай бұрын
​@@KISJKS 창원 사람인데 딸배헌터가 있어도 딸배들 변화는 미미합니다..ㅜㅜ
@KISJKS
@KISJKS 3 ай бұрын
@@zero_drink 딸배헌터가 대전시로 떠나서?
@zero_drink
@zero_drink 3 ай бұрын
@@KISJKS 그랬습니까... 교통법규를 지키는 오토바이들도 많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무법딸배가 많더라니.. 언제 떠났는지요🤣
@user-hm4gv7fi1m
@user-hm4gv7fi1m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노후 도시 가보면 제일 불편한 점이 주차 문제 심각하고 도로가 진짜 좁아터짐... 그래서 뭔가 답답한 느낌..
@rjemsdh8407
@rjemsdh8407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낭랑해요 ㅎㅎ
@city_lab
@city_lab 11 ай бұрын
고마워요😁
@trueDavid-sc2tk
@trueDavid-sc2tk Жыл бұрын
이제 신도시를 만들때는 지났고 인구감소 노령화에 대비해서 구도심활성화하야한다. 이대로라면 구도시는 슬럼화되어 국가적 재난이된다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Жыл бұрын
그게 왜 안되겠나요 기존 시람들이 변화를 거부 하고 집값을 말도 안되게 이야기 하니까 아무 것도 못 하는 거죠
@user-ur5nt8hh7s
@user-ur5nt8hh7s Жыл бұрын
구도심 허물고 새로 짓는 것보다 옆에 신도시 짓는 비용이나 시간에 있어서 비교가 안됨.
@MrJooaaa
@MrJooaaa Жыл бұрын
신도시가 낫지 구도심은 씹 ㅋㅋ
@abusivehumanbeing
@abusivehumanbeing Жыл бұрын
안하고 싶어서 안하는게 아니라 이해관계랑 돈이문제라서
@is-ql3ys
@is-ql3ys Жыл бұрын
할수가 없는게 요즘 국책사업으로 보상받는걸 로또로 생각하니 보상할바엔 새로 짓지요
@kncho5264
@kncho5264 7 ай бұрын
제조업 역량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국가 차원의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환경제공과 지원 필요 합니다. 큰기업 지원도 좋지만 소규모, 신규 창업쪽이 지원되면 좋겠네요. (테스트 시료 제작을 위한 3D 프린터 지원 등)
@user-hp6tz1yy6r
@user-hp6tz1yy6r 4 ай бұрын
모든 선진국에 필수적인 조건이 제조업을 기반으로하죠 그에따른 인구유동변화때문도있고 저출산문제도있고
@Ido3j999
@Ido3j999 Жыл бұрын
저 창원시에 사는데 제가 주택에 살아서 제 근처 아파트가 좀 보이는데 거기서 많이 아파트를 나가시더라고요 저희 사촌은 서울로 올라간다고 말하더라고요 제발 특례시 지켜야 하는데..ㅠㅠ 서울에는 물가가 너무..비싸서 왜 올라가나 싶고..ㅠ
@user-zf7fe1ds6n
@user-zf7fe1ds6n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해당 감소 기준은 광역시들은 제외인가요? 대전광역시는 최근5년동안 5만2천명의 인구감소가 있었는데 18등에도 못 들어서요(KOSIS국가통계포털자료참조)
@yoon6421
@yoon6421 Жыл бұрын
이 자료는 기초자치단체 기준인 것 같은데요. 광역시는 광역자치단체잖아요.
@user-rs2qn7bn2j
@user-rs2qn7bn2j Жыл бұрын
대구시를 포함하려면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이런 광역단체순위로 집계하겠죠
@Stu20966
@Stu20966 Жыл бұрын
세 번째 유형의 도시들은 첫 번째랑 똑같은 이유인데요.. 목포는 무안군 남악신도시로, 안동은 예천 도청신도시로, 익산은 전주 혁신도시 또는 완주 에코시티로 유출되었죠.
@yzijj7070
@yzijj7070 Жыл бұрын
완주 에코시티 x 전주 에코시티 o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임)
@user-ui7lm8xr1c
@user-ui7lm8xr1c Жыл бұрын
완주가 아니라 전주 에코시티입니다. ^^
@user-lo9ur4ws9i
@user-lo9ur4ws9i Жыл бұрын
익산사람들이 무슨돈이있다고 전주 에코시티아파트를사죠?30평대가 5억이넘는곳이던대 전주아파트가 이렇게 비싸요?
@user-ui7lm8xr1c
@user-ui7lm8xr1c Жыл бұрын
@@user-lo9ur4ws9i 익산 시민 비하 발언입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모든걸 수입해서 먹고 외국인 노동자도 많이 들어오고 로봇도 도입 되는데 오직 성과 핏줄에 대해서만 옹졸 , 편협, 지독한 한국!`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인구 전문가가 중국도 문화 혁명 때에 유교 문화 제거 하고 일본도 유교 문화가 많이 사라졌는데 한국만 유교 문화가 강해서 결혼->출산 밖에 생각을 못한데요.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사람들의 인식 ,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일본인 사유리가 아기와 같이 나온 방송에서 한국 아줌마들이 사유리에게 "애가 아빠가 없어서 어떻하냐~ 안됫다~ " 라고 하니까 사유리가 "그럼 아줌마 아들을 저에게 장가 보내세요" 라고 하니까 아줌마들이 아무 말도 못했다고 합니다. 생애 선택 자유 지수 0.25로 거의 세계 꼴찌 한국!!!!! 부모의 간섭이 매우매우 심한 한국!!!! 주변에 노처녀 , 노총각들 엄청 많고 이들의 얘기 들어보면 다들 결혼할 기회 있었지만 부모나 이성의 부모가 교제 반대 , 결혼 반대해서 결국 결혼 못하고 노처녀 , 노총각 된 사람들 진짜 숱하게 봤습니다. !!!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3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78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David-ce5ke
@David-ce5ke Жыл бұрын
아주 분석 좋아요 고마워요
@mj-jl4qm
@mj-jl4qm 6 ай бұрын
대기업들 해외공장 짓고나서 인구유출이 많이 일어난 부분도 있습니다.예를들어 삼성전자 같은 경우 베트남에(빈푹,박닌)엄청난 국내인원들이 근무하고 있습니다(1,2,3차 벤더포함).주재원 수가 생각보다 많더군요. 그리고 한국의 제조업이 2차전지 관련한 기업들과 로봇,ai,자동차,조선정도등 특정 분야를 제외하고는 경쟁력이 이전보다 계속 떨어지는중
@user-wq3zh7dy7p
@user-wq3zh7dy7p 5 ай бұрын
대기업들이 공장을 해외에서 짓는게 요인이 아닙니다. 삼성전자를 예로 드셨는데 삼성전자는 한국에서 하다가 베트남으로 옮긴게 아니라 중국에 있던거 베트남으로 옮긴 겁니다.
@mj-jl4qm
@mj-jl4qm 5 ай бұрын
@@user-wq3zh7dy7p 삼성 핸드폰 조립공장 인근에 부품사들이 엄청 많습니다.삼성 중국 공장을 옮긴게 아니고 베트남 정부와 세금 관련 합의후 신규로 증축하여 사업을 하고있는것입니다.핸드폰 사업부는 베트남에서 전략적으로 진행하는것입니다.중국공장과 무관합니다.
@gamsonggyul
@gamsonggyul Жыл бұрын
부천은 면적에 비해 인구가 너무 많았어요. 더 빠져야 합니다
@tanyknjey2631
@tanyknjey2631 11 ай бұрын
죠까
@user-zt1ww2jw4v
@user-zt1ww2jw4v 10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user-or8bu8jl7q
@user-or8bu8jl7q 4 ай бұрын
53.4제곱킬로미터인데 미개발지역+산지 빼면 인구밀도 3만 넘을듯
@user-or8bu8jl7q
@user-or8bu8jl7q 4 ай бұрын
인구밀도 엄청 높은곳인데 북부에는 시골같은 풍경이 펼쳐있는게..
@user-gv3qc3xi7j
@user-gv3qc3xi7j Жыл бұрын
수원은 원도심 전역 재건축 때문에 화성같은 도시로 잠깐 빠졌을뿐인데...
@sangyongpark7901
@sangyongpark7901 Жыл бұрын
[도시의 인구유출과 감소의 유형] 라는 측면에서 봤을때는 좋은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지,우리나라 최대 과제인 저출산 및 지방도시 소멸이라는 과제를 놓고 봤을때는 조금 내용이 다른측면이라고 보고있고, 이영상을 보는 많은 사람은 저처럼 [저출산] [수도권인구집중]이라는 논점를 염두해 두고 보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봤을때 문제는 다른 인근 소도시보다 더 발전하지 않아서 일자리가 없어서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도시가 심각한 상황이지 부천 성남 안양 수원 이런도시들을 걱정할때가 아닌거같다는 생각이 듭니다.(그냥 추측이지만 이영상을 보고 지방 농촌도시가 아니라 부천 성남등 이 인구감소하는 가장심각한 도시구나 라고 생각하는 분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처음에 말했듯이 [ 시대에 따른 도시별 인구감소 및 증가의 유형]이라는 측면에서는 이영상은 좋은 지적이되지만 지방인구 감소 및 수도권 인구집중,저출산이라는 측면에서 봤을때는 조금 다른 논점으로 분석한 자료라고 생각됩니다. 나레이션에서도 나왔지만 도시의구조변화에 의한 과도기 적인 요소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듯하며, 지방인구감소및 저출산등의 측면은 고려되지 않은걸로 보입니다. 부천의 아파트가 노후화됬으니 인근 안양신도시로 이사! 군산살다가 전주 아파트로 이사! 이게 지금 크 과제는 아닌걸로 생각이 들고 농촌을 버리고 도시로 집중 ,농촌 인프라나 고속버스터미널 폐쇄 이런병적인 악순환이 더 중요한 과제라고 보는데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user-ek6ri4hr5w
@user-ek6ri4hr5w 2 ай бұрын
이정보를 기준하면 부동산 분양에 큰 참고가 될것이며 그만큼 인구감소에 남아도는집들 때문에 투기꾼들 안좋겠다
@attachnickname4404
@attachnickname4404 Жыл бұрын
경남 통영시 거제시는 조선업이 계속 활성화 되었으면 인구가 줄지 않았을텐데.조선업은 국가가 정책적으로 지원해야한다.창원시도 백만명선이 무너지면 안되고 경쟁력 있는 업종들이 활성화되서 인구유입이 되야 한다.
@caitlyn2501
@caitlyn2501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인프라 대부분을 서울 수도권으로 다 잡아놓은게 문제라고 생각하지않음? 그럼에도 해결하지않는건 서울에 있는 많은 회사들이 각 지방으로 흩어지면 땅따먹기좋아하는 높으신분들의 재산이 위험해지기 때문임
@Min_Kyunghoon
@Min_Kyunghoon Жыл бұрын
인구가 몰리기 때문에 생기는 것도 있음.
@daehokwon885
@daehokwon885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안동이 나오다니...
@nrs2649
@nrs2649 Жыл бұрын
경기 안양시는 재개발 재건축으로 많은 유출이 일어남. 아직도 지어지고 있는 동네만 두 세군데임..😢
@skfdksk
@skfdksk Жыл бұрын
안동시 같은경우는 도청이 안동시에 위치하지만 주거시설이 예천에 있어 안동시 인구가 예천으로 빠져나간게 제일큽니다. 부천시의 경우는 너무 높은인구밀도로 인한 주거환경 악화와 부천시를 대체할 수 있는 인근 도시들의 발전으로인해 유출되는게 큽니다. 도시노후도 한몫하겠지만 도시전체가 거의 주거시설이라 출퇴근시간은 물론 새벽까지 교통혼잡도가 작살나서 쾌적하지 못한것도 있습니다
@user-rq3dy3gn7p
@user-rq3dy3gn7p Жыл бұрын
부천시는 한때 경기도 2 3위로 인구가 많았었는대 농촌지역에 신도시를 개발하여 그곳의 인구가 늘어난것이 첫째 이유입니다 대장동 3기 신도시 개발하면 인구가 늘어 나겠지요
@user-nw6qp7yf2t
@user-nw6qp7yf2t Жыл бұрын
사람은 주는데, 차들은 늘어나고...
@user-do1ms3uy4s
@user-do1ms3uy4s Жыл бұрын
@@user-rq3dy3gn7p 50만까지 늘어날때는 경기도 1위였을겁니다. 신도시 개발이 시작되고 수원이나 성남 고양시한테 밀린거지 신도시 개발전에는 인구가 타도시에 비해 많았어요.
@user-nu1ud1bc2m
@user-nu1ud1bc2m Жыл бұрын
행정당국이 돈되는곳만 신도시 해서그래. 행정당국도 이익집단인가?
@kygg93267
@kygg93267 Жыл бұрын
안동시 인구가 예천군에 얼마 갔다고 타지역 간거지ㅋㅋㅋ 그리고 제조업체 즉 회사가 없는데 인구가 감소할수없는 구조임
@user-defined292
@user-defined292 Жыл бұрын
지방사람 출신들은 모교 없어지는거 보면 인구감소가 확 와닿음...
@user-wb5fc3tl6v
@user-wb5fc3tl6v Жыл бұрын
100년 전통 모교 사라짐 ㅠㅠ
@hyeonwoopark9242
@hyeonwoopark9242 29 күн бұрын
출신 군부대도 봐보셔요 ㅋㅋ 연대 편제인 자대가 어느새 여단 소속이 되어 있음
@kook381
@kook381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가 따닥따닥 엄청 나게 붙어있네요 진짜 바다 근처 조선사업이 붕괴가 되니 엄청나네요 물 근처가 아닌 청주시는 계속 늘어나는구나...
@user-ph4lz6nc7i
@user-ph4lz6nc7i Жыл бұрын
인구감소가 적은 도시순위도 올려주세영
@user-gx4mw9rv3f
@user-gx4mw9rv3f Жыл бұрын
인구감소가 적은 도시 말고 인구가 증가하는 도시를 봐야겠죠? 아마 영상 있을 겁니다
@nutralizer01
@nutralizer01 Жыл бұрын
타지로의 인구 유출도 유출이고, 수도권 밀집도 문제지만 . 인구수 자체가 급격하게 줄고 있습니다. 향후 그게 더 큰 팩터라 보여집니다 ㄷㄷ
@user-ki8hf5ye4y
@user-ki8hf5ye4y Жыл бұрын
뿌리가 살지 못하는 나무는 얼마 버티지 못하고 쓰러 집니다 ! 가진거 있으면 버틸지 모르지만 ! 뿌리없는 열 매가 있을까요
@bkey5792
@bkey5792 11 ай бұрын
창원은 특례시 지정 이후 집값 땅값 ㅈㄴ올라서 살기 매우 좋은 도시임에도 주변 김해 장유 양산 진영 등으로 인구가 유출되고 있음.
@user-lq7gd5tl3p
@user-lq7gd5tl3p Жыл бұрын
도시보다 농촌인구감소가 심각하죠. 농촌은 아예 사라질 위기인데
@user-hb6jb8qb3m
@user-hb6jb8qb3m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줄긴 했지만 그래도 대분분 인천과 경기도로 집중해 강력한 인구분산 정책이 필요합니다. 대구의 경ㅈ우 한창때 253만명이던것이 지금은 237만명으로 무려 16만명이나 줄었어요
@user-lz5rq3jk5u
@user-lz5rq3jk5u Жыл бұрын
대구의 인구는 줄었지만 경산시의 인구는 증가하였습니다. 이동인구 대비 가장적은 광역시입니다.(대구 SAFE)
@user-hb6jb8qb3m
@user-hb6jb8qb3m Жыл бұрын
@@user-lz5rq3jk5u 경산의 인구가 늘었다지만 경북 전체로 보면 대구 못지않게 인구가 줄었고요 인구대비 가장적은 광역시라 했는데 무슨 말뜻인지 모르겠네요...다른 광역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구 감소가 적었다는 뜻인지 아니면 인구이동의 가장 큰 적이 광역시라는 뜻인지 ? 아마 첫번째를 말하는거 같은데 글쎄요 대전과 광주는 대구만큼 줄지 않았구요 인천은 오히려 늘거나 변동이 없다 들었습니다.
@moolnetkim7994
@moolnetkim7994 Жыл бұрын
대구에 아파트만 엄청 지어서 지금 대구에 완공되고 나서도 입주민이 별로 없는 빈 아파트 천지임.그런데 지금도 계속 짓고 있음.심지어 철길 바로 옆에도 짓고 있음.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Жыл бұрын
뭔 수로 보냄??? 인구가 늘어나던 때도 안되던걸.. 줄어드는데 ??? 그나마 사는데 살리는게 맞음. 솔직히 지방은 이제 의미가 없음.
@user-hb6jb8qb3m
@user-hb6jb8qb3m Жыл бұрын
@@user-hj5jp6nn9y 지방은 의미 없다니 ? 그럼 지방 사람은 다 죽으란 말인가 ...진짜 극단적인 이기주의자네 ..세계적으로 봐도 한국의 수도권 집중율은 기형적이라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 공공기관과 대기업의 지방이전 그리고 일자리 창출과 다산만이 해결 가능하다 .
@tedkim768
@tedkim768 9 ай бұрын
목포시랑 거제시의 인구수가 신기하게도 정확하게 똑같네요?
@user-pl3kl1zt5r
@user-pl3kl1zt5r 11 ай бұрын
일자리 창출에 신경써야 겠어요
@ss-sf5gj
@ss-sf5gj Жыл бұрын
신도시를 짓지 않는게 맞는거 같아요 소도시는 기존도시를 정비하는게 그나마 효율적인거 같아요 교통인프라도 나쁜데 쓸데 없이 확장은 필요 없는듯합니다
@user-hx9kp7ug5n
@user-hx9kp7ug5n Жыл бұрын
수익을위한 건설이니까요 자연 파괴범들 정도가넘침
@user-ib6eb9dz6z
@user-ib6eb9dz6z Жыл бұрын
산술적인 계산으로 실수요만 따지면 인구 계속 주는 서울도 더 이상 개발할 필요 없음. 위에 언급된 도시들조차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고요.. 어느 정도 과잉 공급해야 주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어요..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원하는 대단지 아파트는 기존 시가를 없애서 새로 만들기에는 여러 가지 비용이 너무 많이 듬.. 한편으로 된이 되니까 개발하는 거고..돈이 된다는게 그만큼 수요가 많다는 의미고요..
@joykim74
@joykim74 Жыл бұрын
18위. 수원시 17위. 경북 안동시 16위. 구리시 15위. 여수시 14위. 군산시 13위. 통영시 12위. 구미시 11위. 군포시 10위. 목포시 9위. 거제시 8위. 포항시 7위. 익산시 6위. 안산시 5위. 안양시 4위. 창원시 3위. 성남시 2위. 광명시 1위. 부천시
@user-mm1zc1ti7l
@user-mm1zc1ti7l Жыл бұрын
10위 목포시
@dehwankim2269
@dehwankim2269 Жыл бұрын
@@user-mm1zc1ti7l 목포 젊은이들도 대구, 부산 젊은이들 같이 타지로 많이 떠나는 것 같던데..
@hju1875
@hju1875 Жыл бұрын
대구도 일자리가 마땅치 않아 젊은사람들이 많이 빠지고 있어요ㅠ
@user-ht6co7ie1n
@user-ht6co7ie1n Жыл бұрын
👍
@jaeseonglee4462
@jaeseonglee4462 2 ай бұрын
안양 인구유출의 대부분이 의왕시 포일 내손동이라고 해도... 그 동네는 이미 생활권 자체가 평촌 인덕원 생활권이네요. 안산도 화성 시흥 인근으로 많이 간다는 것은 제조업의 약세도 작용하겠지만 원체 안산 공단 인근의 치안이 좋지 않은 부분도 작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수도권 걱정은 크게 필요가 없네요. 지방 소멸이 문제지
@Give-the-child-milk
@Give-the-child-milk Жыл бұрын
거의 경기도쪽이 대부분 이네요
@user-yi1yw3dd5r
@user-yi1yw3dd5r Жыл бұрын
사람 이 있어야 장사을 해도 이윤이 남지 나라세금 또한 그렇고 모든 소비는 감소되고 이제는. 멀해도 축소 소규모 로 해야 연명 하지 욕심 은 근물
@feridbathory7280
@feridbathory7280 Жыл бұрын
현재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도시 또는 인구감소율이 낮은 도시도 알고 싶습니다.
@q1sx2
@q1sx2 Жыл бұрын
세종시
@user-kr7tv5vu3n
@user-kr7tv5vu3n Жыл бұрын
경기도 광주 계속늘고있어요
@user-lh5pd3lk8d
@user-lh5pd3lk8d Жыл бұрын
@@user-kr7tv5vu3n 저도 지금 성남에서 광주로 이사갈까 고민중인데, 광주시의 장점은 아무래도 저렴한 집값에 있는듯. 특히나 판교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판교근처의 집값이 너무 비싸 광주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더라구요.
@user-vi7ll8oh5b
@user-vi7ll8oh5b Жыл бұрын
경기도에 살고 있지만 지방살고싶어요 일자리만 있다면요 ㅠㅠ
@user-dw5rh7fr5h
@user-dw5rh7fr5h 10 ай бұрын
구리시 사는데 인구진짜 많이줄었네요 주변아 다산신도시같은 큰 신도시가 생겨나고 다른 신도시도많이생기고 있는데 구리는 좀더 줄어도 될것같아요 좁은땅에 사람이너무많아요.. 근데 곧 지하철이나 롯데캐슬, 랜드마크 완공되면 비슷하려나.
@user-ki7uv1oq7o
@user-ki7uv1oq7o Жыл бұрын
군산시는 앞으로 인구가 늘어날 것 같아요 전주시는 통합하지 안으면 순식간에 인구가 엄청나게 감소할 것
@user-mi3py5hg6l
@user-mi3py5hg6l Жыл бұрын
인구가 주는만큼 국개의원도 감축합시다
@gosudalbeambition
@gosudalbeambition Жыл бұрын
사실 지금도 인구수 대비 국회인원이 다른나라에 비해 적긴합니다
@jks0017
@jks0017 Жыл бұрын
포항시 설명에 왜 광양시 배경화면을 쓰는겁니까?
@npulen
@npulen Жыл бұрын
광명의 경우 최근 5년 사이 구도심, 노후주공 다 헐고 대단지 아파트 지으면서 기존 주민들이 다른 곳으로 잠시 빠져나간 상태입니다. 완공되고 입주시작하면 가장 빠르게 인구가 늘어날 걸로 예상합니다.
@dypp1547
@dypp1547 Жыл бұрын
광명 공급계획만 뉴타운, 3기신도시 해서 7만세대정도 되죠? 천세대 아파트 대단지 70개 규모로 경기권 서남쪽 광명 시흥 안양? 까지는 아마 집값하락에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줄거입니다. 아마. 10년 이상은 지속적으로 입주장을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hongsokoh4460
@hongsokoh4460 Жыл бұрын
안 들어올걸요?
@cokelover02
@cokelover02 Жыл бұрын
응 아니야
@user-im8jv8dr4z
@user-im8jv8dr4z Жыл бұрын
아마 집값의 기준이 되겠죠 한 단계 레벨업 된 도시가 될거에요
@user-yt8sn3ox3w
@user-yt8sn3ox3w Жыл бұрын
네 그 시덥잖은 예상이 틀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user-rc2lt2lh7x
@user-rc2lt2lh7x Жыл бұрын
지방도시가 기업들이 버티기에 일한 젊은 사람이 없으니 수도권으로 기업들이 옮겨가게된다. 그때문에 그나마 남아있는 젊은사람들도 수도권으로 따라가는게 일상이다. 지방에서 기업들이 살아남고 유지할수있도록 지방 자치단체가 충분한 산업참여 인력이 유지되도록 많은 이민을 받아야합니다. 그러면 일할 사람이 충분하면 기업들이 남아있게되고 이런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될듯하네요.
@squidgame7585
@squidgame7585 Жыл бұрын
맞아요
@user-xk9xi2sz9f
@user-xk9xi2sz9f Жыл бұрын
뭔 소리 그래서 중국 조선족 베트남 근본도 없는 난민 빨갱이들 받아 기본 치안문제부터 여러문제 갈등 쳐 안고 살라 이 말입니까?
@user-ig5vq7xn8s
@user-ig5vq7xn8s Жыл бұрын
일단 젊은사람들이 지방중소기업에도 올수있게끔 중소기업의 근무 환경이나 복지 연봉 체계화가 잘 잡혀야 오지 않을까 싶네요...
@soongpark683
@soongpark683 Жыл бұрын
시골 땅값 오른게 원인
@gadaegi
@gadaegi Жыл бұрын
이민오는이들은 바본줄아나. 어차피 비교위위가 없다면 걍가는거야
@mincheolseo6074
@mincheolseo6074 8 ай бұрын
나름 의미가 있지만 절대인구 감소량으로 했기에 인구가 큰 곳의 기저 효과(큰곳이 조금나가도 많이나가는)가 특별히 고려되지 않은 랭킹이군요.... 그래도 몇몇은 음미할 가치가 있군요 너무 과잉 해석들 하지 마시길...
@user-uv6gh6ty2m
@user-uv6gh6ty2m 10 ай бұрын
가평은요??
@user-oj8cg7zx7f
@user-oj8cg7zx7f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ᆢ평택용인안성쪽은 일자리가 게속늘어나는것 같읍니다 선생님ᆢ
@chuncheoncity-mayor
@chuncheoncity-mayor Жыл бұрын
화성도 일자리를 용인 안성 평택에 뺏겨인구가 줄어드네요. 선생님
@user-pm2bp2gi9u
@user-pm2bp2gi9u Жыл бұрын
@@chuncheoncity-mayor 화성과 동탄은 좀 줄일필요가 있습니다. 화성연쇄살인사건 출신도시 아니랄까봐 극협이 심하더군요. 하남시도 이정도로 극협 심하지 않으리라고 봅니다.
@user-mm9qu9qj7e
@user-mm9qu9qj7e Жыл бұрын
:
@ooooeee33
@ooooeee33 Жыл бұрын
수도권은 줄어도됨 지방주는건 졸라 문제지
@user-pg8yueh7v
@user-pg8yueh7v Жыл бұрын
반대지
@video.funnysports7678
@video.funnysports7678 Жыл бұрын
@@user-pg8yueh7v 수도권 인구가 집중돼있으니 지방으로 가는건 괜찮지.
@seungjunjang6605
@seungjunjang6605 Жыл бұрын
그런 궤변의 개소리는뭐냐 ㅋㅋㅋㅋ
@akwwjwnjwjwjwwjns5868
@akwwjwnjwjwjwwjns5868 Жыл бұрын
지방충ㅋㅋ어차피 망하는건 확정이지만 하루라도 더 빨리 망해라😂😂😂
@jjm2044
@jjm2044 Жыл бұрын
​@@user-pg8yueh7v 어휴.. 게임만하지말고 뉴스나 시사를좀 읽어~
@apriria2000
@apriria2000 Жыл бұрын
목포는 일자리보다는 남악 신도시로 이주하는 상황입니다 제가 아는 사람들도 직장은 그대로 대불공단에서 일하고 남악신도시로 이사하신분들 많아요 목포도 조선산업이 큰비중을 차지하는데 이주했는데 바로옆 남악신도시로 이주하고 그대로 대불공단에서 일하고있어요
@user-dt2xk5zd4u
@user-dt2xk5zd4u Жыл бұрын
말도안돼
@joungwookim4259
@joungwookim4259 Жыл бұрын
수원은 인구수에 비해 너무 땅 면적이 작다... 집값도 너무 비싸졋고...
@user-yq5bg1hi8g
@user-yq5bg1hi8g Жыл бұрын
일자리가 부족한 지방은 인구 감소를 피할 수가 없네요. 시간이 갈수록 더 심해질 뿐. 큰일이네요
@user-iun7mp7477
@user-iun7mp7477 Жыл бұрын
수도권 인구 증가폭도 매년 줄어들고 있어요 결국엔 한국 인구 감소가 심해지면 다같이 줄어들긴 할거란거
@user-sy1kp4gl3h
@user-sy1kp4gl3h Жыл бұрын
시골 감소ㅜㅜ
@user-dy4sm1uo3n
@user-dy4sm1uo3n Жыл бұрын
경기도 가 인구가 없어졌다 충격이네요 이러다가 나중에는 사람보다 집이 더많겠어요
@user-pm2bp2gi9u
@user-pm2bp2gi9u Жыл бұрын
그에 앞서 오히려 지방도시들 사망자수 더 폭증시켜 수도권 인구유입부터 막아야 한다 봅니다.
@user-hx6th4un4s
@user-hx6th4un4s Жыл бұрын
과천시는 제일 시급합니다
@dehwankim2269
@dehwankim2269 Жыл бұрын
출산율은 서울이 꼴치이고 그 다음이 경기도..
@user-ey8ns2ov3w
@user-ey8ns2ov3w Жыл бұрын
혹시 1만 이상 인구가 늘어난 도시가 있을까요? 늘어난 도시10개도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10개나 나올지 모르겠지만요...
@user-th3wh3hy3m
@user-th3wh3hy3m Жыл бұрын
세종 같은 신도시들은 늘어났을껄요? 애초에 아무것도 없던지역이어서...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Жыл бұрын
@@user-th3wh3hy3m 최근에 늘어난건 아니겠지.. 저 기록은 ㅡ최근 자료니
@user-oq5uk6jp1e
@user-oq5uk6jp1e 4 ай бұрын
구리시는 현재 중심가에 많은 재건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재건축으로 철거된 주택가가 너무 많아 2-3년간은 현 인구수 유지할것이나, 그 후 입주 시작되면 급격히 늘어날겁니다.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КАХА и Джин 2
00:3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조선 최대의 도시가 인구 9만 지방 소도시로 쇠퇴한 이유!
11:36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