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발견된 초거대 행성 때문에 고민에 빠진 천문학계 (시뮬레이션으로도 재현 불가능)

  Рет қаралды 295,360

보다 BODA

보다 BODA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우주먼지님과 함께 최근에 발견한 충격적인 외계행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 헤일메리x우주먼지 콜라보 티셔츠/맨투맨 구경가기 ]
티셔츠 : smartstore.naver.com/aweplay/...
맨투맨 : smartstore.naver.com/aweplay/...
00:00 오프닝
00:32 존재하면 안 되는 행성의 발견
09:35 외계행성용 망원경을 준비중인 NASA
13:19 시청자 Q&A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우주 #행성

Пікірлер: 303
@boda100
@boda100 Ай бұрын
마침내 헤일메리x우주먼지 콜라보레이션 제품 출시! 보다몰 (사전 구매 10% 할인 중!) : bit.ly/3UzyHiM
@user-uz4dh8gb4f
@user-uz4dh8gb4f Ай бұрын
가만히 생각해보면 빅뱅으로 우주가 시작했다는 전재하에 360도로 퍼졌을테니 현재별들의 거리와 방향성을 역추적해보면 우주의 중심을 찾을수 있지 않나요?? 되게 궁금하네요.
@kwonjames6651
@kwonjames6651 15 күн бұрын
이미 다아는 애기인데 초딩 수준 질문하노​@@user-uz4dh8gb4f
@namlee4522
@namlee4522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늠 흥미롭고 잼나요 Thanks😊😊😊
@minakim2035
@minakim2035 Ай бұрын
설명도 어렵지 않게 그리고 조리있게 잘 하셔서 편안하게 들을 수 있어요
@zmdrums1228
@zmdrums1228 Ай бұрын
4:44 어릴 때 이런 느낌으로 혼났었는데
@watchingbic1363
@watchingbic1363 Ай бұрын
웃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렇게 하는거야? 안하는거야? 다음부터 할꺼야? 안할꺼야? 이렇게 맞아? 아니야?
@kmn1357
@kmn1357 26 күн бұрын
와 설명 너무 잘하십니다 최고! 천문학에 관심이 많은데 내용이 어려워서 좀처럼 다가가지 못했는데 우주먼지님 유튜브 보고 이해가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번창하세요❤
@chanpercent5652
@chanpercent5652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좋은영상 늘 감사드립니다:)
@user-tl9jv9gi6b
@user-tl9jv9gi6b Ай бұрын
우주는 어렵지만, 우주먼지님이 재밌게 설명해주셔서 늘 잘보고 있어요.
@nsdocqh1075
@nsdocqh1075 Ай бұрын
재밌다, 재밌어😊
@therrnenghwang1235
@therrnenghwang1235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잘 설명해줘서 감사합니다
@ansterydaiu70524
@ansterydaiu70524 Ай бұрын
과학자들 전체의 노력에 찬사를 보냅니다. 밝혀진 것보다 밝혀질 것들이 얼마나 엄청날지 기대하면서 맘이 들뜨네요
@pleiades714
@pleiades714 Ай бұрын
우주 역사학자시네요.ㅎㅎ 너무 설명을 잘 하시네요.ㅎㅎ
@user-du1ih2uc8y
@user-du1ih2uc8y Ай бұрын
와 재밋다.... 이분 다식하시네 이런 지식적인 부분으로 우주를 설명하는건 또 처음이네 재밋다재밋다 ㅎㅎㅎ
@Ace-oj6uy
@Ace-oj6uy Ай бұрын
잘 때 들으면 개꿀잠♥
@user-up5ys9wy2w
@user-up5ys9wy2w Ай бұрын
천문학계는 항상 요동치고 있다
@Engelsprinzessin
@Engelsprinzessin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ㄱ
@mongteddy
@mongteddy Ай бұрын
천문학계의 요동 정벌론
@happy-qh2tx
@happy-qh2tx Ай бұрын
항상 새로운것을 발견할수 밖에 없기 때문이지
@user-vs1nt7gy4c
@user-vs1nt7gy4c Ай бұрын
천문학계는 계속 반죽 되죠
@user-ux7wy5we6h
@user-ux7wy5we6h Ай бұрын
우리는 사실 아무것도 모른다
@hyunpiio9111
@hyunpiio9111 Ай бұрын
오늘도 재미나고 신기한 내용 감사합니다. 그런데 착용하신 안경 코까지 븥아있는 세트인가요??
@user-zm1or2xr9c
@user-zm1or2xr9c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들었소이다..
@namukwoondong
@namukwoondong Ай бұрын
우주먼지 님이 대세이긴 한가 보네요 업로드 회수가 다르네요ㅎㅎ
@KimMooChon
@KimMooChon Ай бұрын
우리 우주먼지님의 오른쪽면 머리가 블랙홀의 중력의 영향을 받고있는거 같군요
@user-yv7ln1zd1i
@user-yv7ln1zd1i 20 күн бұрын
ㅋㅋㅋ
@DOBBANG_
@DOBBANG_ Ай бұрын
보다 BODA
@user-ed1yu4mo2f
@user-ed1yu4mo2f Ай бұрын
4분전도 못참지
@siu_0814
@siu_0814 Ай бұрын
재밌다..
@judith_myeong
@judith_myeong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앞머리 올려서 스타일링해주세요오오😊😊😊
@Engelsprinzessin
@Engelsprinzessin Ай бұрын
존ㄴ멋있다 이남자 ㅠ 눈빛봐 미쳤어
@user-bb8tr7li3o
@user-bb8tr7li3o Ай бұрын
뭔 말인지 모르겠으면 개추 ㄹㅇㅋㅋ
@jake_choi24
@jake_choi24 Ай бұрын
13:31 우주먼지 현자타임님 ㅋㅋㅋㅋㅋㅋㅋ
@gongnam05
@gongnam0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f3oc9hk5u
@user-nf3oc9hk5u Ай бұрын
떠돌이행성이 항성 중력에 잡힌것 아닐까요 애초에 항성 질량이 크지 않았다면 떠돌이행성이 항성과 충돌할정도의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충돌까진 하지않고 서로의 중력에 잡혀 서로 공전하고 있는거 아닐까요? 위성 가운데는 소행성으로 떠돌다가 행성의 중력에 붙들린것처럼요?
@mu-nyom.Viscacha
@mu-nyom.Viscacha Ай бұрын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 관측이 된다면 관찰 대상인 별이 가지는 행성들의 궤도가 지구와 수직에 가까울 수록 관측하기가 어렵다는 얘기죠?
@wildcatter4405
@wildcatter4405 Ай бұрын
the planetary society의 소개글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 외계행성이 슈퍼 지구와 미니 해왕성'이라는 문구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저도 핫 주피터가 제일 발견이 쉬울 것 같다고 막연히 생각해서 동료와 얘기하다가 '실제로 핫 주피터는 발견이 유리한 조건에 비해서는 발견된 비율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말을 듣고 찾아봤던 거였는데(외계행성과 무관한 분야라서 저는 그때 그냥 그렇구나 했습니다), 혹시 언젠가 이 부분을 보강해 주실 수 있을까요?
@user-mr4sq9ue7s
@user-mr4sq9ue7s 27 күн бұрын
보다BODA나 우주먼지님 채널에서 넷플릭스 삼체 다룬적있나요?? 원작 삼체 책이라도 얘기한적 있나요? 못찾겠는데 전문가분들의 설명이 궁금해서요
@hyojinhwang8570
@hyojinhwang8570 Ай бұрын
갈색왜성보다 큰 행성일까요 재밌게볼게요
@MJ-er9lj
@MJ-er9lj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짱짱맨 일타강사 짱짱맨
@user-ns4ho4qb2m
@user-ns4ho4qb2m 25 күн бұрын
지구가 짱 이애욤 우주최강 막장행성 꺄르르르르 😊😅😊
@goheho793
@goheho793 Ай бұрын
재밌어요~ 근데 우주먼지님 정면에서 보니까 머리카락이 좀..커졌나...? 항상 옆모습만 보다가 정면 보니까 낯서네요ㅋㅋㅋ
@NAYA_ESTJ
@NAYA_ESTJ Ай бұрын
우리 지구의 물의 기원을 다양하게 설명해주시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물의 속성과 우주에서 물이 어느 정도 희귀한지와 타항성계의 관측으로 밝혀진 물의 희귀성도 설명해주신다면 좋겠습니다. 최근 지구의 물의 기원을 공격하는 창조과학계의 움직임이 활발한 것 같습니다.
@karions24
@karions24 14 күн бұрын
우주에서 제일 흔한것중 하나가 물이에요
@user-pk3yl4jk4v
@user-pk3yl4jk4v 8 күн бұрын
과학의 보다에서 얘기한걸로 알아요~~
@user-bk8hf2pf8s
@user-bk8hf2pf8s Ай бұрын
안경이 점점 화러해지네요
@SIKKISJ
@SIKKISJ Ай бұрын
학자는 아니라는 얘기겠죠
@Uy-zv2sb
@Uy-zv2sb Ай бұрын
헤어스타일 이라든가 옷차림 뭐 이런거는 엄청나게 튀지 않는 이상 별 신경 안쓰인다. 방송 내내 덜렁거리는 안경줄은 응근 신경 쓰이네. 그냥 멋인가? 안경줄의 기능은 방송내내 설명해야 할 정도로 길 것 같진 않고..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데 방해요소로만 보일 뿐이다.
@NfK
@NfK Ай бұрын
안경끈은 박사학위 취득 기념으로 받은 선물이라고 함. 의미가 깊은가보죠
@leaf-tu9ps
@leaf-tu9ps Ай бұрын
꼰대들많네
@Lee-xj1rz
@Lee-xj1rz Ай бұрын
어우 대글들 써놓은거 봐라 ㅋㅋ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 Ай бұрын
가스형 행성안에서 암석핵과 암석형 행성의 딱딱한 표면과는 그 개념이 완전 다르게 보아야 하는가요?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가스형 행성은 발을 디딜 딱딱한 표면이 없다라고 생각해서 그에 따라 표면과 대기의 구분이 모호하다라고 생각했습니다.
@NaMuNelBo_Sloth
@NaMuNelBo_Sloth Ай бұрын
진짜 우주에 대해서는 인간은 아는게 거의 없구나
@user-ts1nj8bh6x
@user-ts1nj8bh6x Ай бұрын
두 행성 사이에 렌즈처럼 무언가 굴곡이 있다면 안쪽에 있는 행성이 작아보이지 않을까요?
@user-nl4ww3nw3j
@user-nl4ww3nw3j Ай бұрын
목성같은 가스형 행성도 핵을 가지고 있나요? 그렇다면 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관통해서 지나갈수도 있을까요?
@okgoooo1371
@okgoooo1371 Ай бұрын
안에 아주작은 금속 핵이 있을수도있고 없을수도 있고 확실하게 알진못한대요! 그리고 목성을 통과할순없고 핵을 향해 추락하다가 엄청난 압력때문에 중심부에서 찌그러져서 최후를 맞이한대요
@user-mq2nr7lx8p
@user-mq2nr7lx8p Ай бұрын
⁠@@okgoooo1371그뜻이 아닌거 같은데요? 아마 저분은 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기체로 이루어져 있어 그 곳을 통과할 수 있냐 질문 한거 같습니다. 실제로 가능한지 보다는 목성의 내부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물어보는거 같습니다
@g1chanpark219
@g1chanpark219 Ай бұрын
충분히 빠른 속도로 핵 주변을 지나간다면 통과할 것이고 핵을 포함한 정중앙으로는 불가할거같네요
@VanGochuPaintingSunflowers
@VanGochuPaintingSunflowers Ай бұрын
핵이 금속일지 아닐지는 아직 모르고 가스이기 때문에 통과 자체는 가능하죠 중력을 생각안하면요
@okgoooo1371
@okgoooo1371 Ай бұрын
@@user-mq2nr7lx8p 질문에 조건이 없어서 제가저렇게 답했던건데, 중력이 없거나 중력을 이기는 추진력이 있다면 통과할수 있죠! 제가 남긴 답은 최근에 본 과학채널에서 나온 질문 똑같아서 답드린겁니다! 김범준교수님,궤도님,우주먼지님 채널중 하나였던것같아요
@eunha8888
@eunha8888 Ай бұрын
제목이 덜 선정적이게 돼서 좋네요
@tonypark4662
@tonypark4662 Ай бұрын
핵공감
@user-uo2it2so8e
@user-uo2it2so8e Ай бұрын
ㄹㅇ
@user-zc2bp5ww4t
@user-zc2bp5ww4t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저걸 보니까 우리가 매일 보는 달과 지구의 사이즈가 오버랩되네요.
@kml6960
@kml6960 Ай бұрын
삼체 행성입니다. Dehydrate!!!!!
@user-ef6sj2lk1j
@user-ef6sj2lk1j 29 күн бұрын
보다님 염치무릅 쓰고 부탁이 있습니다. 제가 간절히 보고싶은것이 있는데 어디에 물어봐야 할지 몰라서 찾다가 보다님께 부탁해 봅니다. 내용은 지구가 현상태에서 축을 북극성에 맞추어서 천천히 바로 서는 시뮬레이션을 해서 지구에 어떠한 형태로 되는지를 꼭 알아야하는데 혹시 보다님이 시뮬레이션해서 영상을 만들어 줄수 있으신지? 아니면 제가 어디에 문의 해봐야 알수 있을까요.?
@user-yn9qq7nr1l
@user-yn9qq7nr1l Ай бұрын
핵내부에 질량이 엄청무거우면 가능하진않나요?아물론 전 가방끈이 휴지끈보다짧아서 궁금해서 그렇습니다
@user-dm9no6xz7n
@user-dm9no6xz7n Ай бұрын
쌍성계를 만드는 매커니즘이랑 비슷한데 재료가 조금 부족했던건 아닐까요?
@lunapurple8338
@lunapurple8338 Ай бұрын
복덕방집 할아버지 스타일 안경에 안경줄까지 착용하시니 왼쪽 입꼬리가 획실히 더 부각되어 보이네요. 영상 잘봤어요.
@user-up1mp4xi1g
@user-up1mp4xi1g Ай бұрын
의리남인것 같아요 지인이 별 달린 안경대신 선물해준 줄이라고 하던데... 이런저런 웃긴 댓글에도 불구하고 잘 착용하시는거보면, 선물해주신 분에 대한 배려가 깊은거같아요
@user-ev5yf2xr6f
@user-ev5yf2xr6f Ай бұрын
원피스 만화에서 마더 플레임이라고 나오는 데 물같은 불이라고 하네요. 흐르는 불? 이런게 존재 가능하나요?
@user-ks2rf2co8j
@user-ks2rf2co8j Ай бұрын
머리숱 부럽네요
@kimkimi7
@kimkimi7 Ай бұрын
우주적 관점에서 볼때 지구인류는 미물 수준인듯.. 우주의 비밀을 해석하지 못하는😂
@Noname-1983
@Noname-1983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너무 좋아요❤ 근데 안경줄은 싫어욬ㅋㅋㅋㅋ
@user-hj7pt5zr7g
@user-hj7pt5zr7g Ай бұрын
아직 덜 웅며든거임
@blacksherry5214
@blacksherry5214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이 설명을 잘하긴해
@u70235card
@u70235card Ай бұрын
전 이런생각도 해봤는데 지금의 수성이 그리 크지않은 근접형가스행성이었는데 빠르게 외곽층이 날아간거 아닐까?? 그래서 철을많이 함유하고있어 밀도가 높은게 아닐까하는~~ 태양계 공전주기야 수십억년 거치며 변화해왔을테니.. 그럼 태양계도 이상하지 않은게 되잖아요 ㅋ. 아직 거기에대해서는 찾아보지않은 어디까지나 제 생각일뿐입니다.
@user-xm5ss5xw3x
@user-xm5ss5xw3x Ай бұрын
애초에 쌍성계가 생성 됐어야 하는데, 별이 생성되는 도중에 근처에서 초신성 폭발 같은게 있어서 별 생성에 필요한 먼지 원반이 쓸려 나간거 아닐까요? 그래서 부족한 질량때문에 한넘은 K나 G 주계열성 갈 넘이 아주 작은 적생왜성에 그치고 한 넘은 아예 별조차 못 돼고 ㅎㅎ
@user-ef5vg4bj8g
@user-ef5vg4bj8g Ай бұрын
음 똑같은 댓글을 쓰다가..과연 고질량이 있는곳이 있는데 물질들이 다른곳에 뭉칠까라는 생각을..
@user-ef5vg4bj8g
@user-ef5vg4bj8g Ай бұрын
또..쌍성일시 그렇게 별이 생성되는 시간이 짧을까도생각 궤도이탈이 바로 일어날꺼 같은데..
@user-xm5ss5xw3x
@user-xm5ss5xw3x Ай бұрын
뭐 최근에 발견 된 거 같으니 좀 기다리다 보면 제대로 된 답이 나오겠죠. 여태 까지의 별과 행성의 생성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곤란할지 모르지만, 새로운 이론이 이 발견 때문에 만들어 질 수도 있을 테고요.
@user-un5jj3gm9i
@user-un5jj3gm9i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다름이 아니고 태양풍? 태양열? 이라고 해야할지 모르겠지만 태양에너지는 어디까지 닿나요? (행성이든 별이든 그냥 갑자기 궁금해서요 )
@NfK
@NfK Ай бұрын
태양풍 범위는 1광년입니다
@skyeye8519
@skyeye8519 Ай бұрын
우리가 보는 별빛이 우리눈에 들어오는 태양에너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ㅋㅋㅋ 뭐 그정도되면 실질적으로 무의미한 수준이긴 하지만요.
@angeldoIl
@angeldoIl Ай бұрын
우주 이야기는 이렇게 낭만있게 해야함
@ghb7089
@ghb7089 Ай бұрын
안경이 너무 씬스틸러가 되어버렸는데;
@user-nq7op5bw2n
@user-nq7op5bw2n 29 күн бұрын
핵인싸 별 인듯 하네요 ㅎㅎ
@user-sl7dm3fn6i
@user-sl7dm3fn6i Ай бұрын
물체가 우주선 포함 생명체가 광속으로 비행한다고 할때 과연 온전하게 유지 되나요? 분자 원자로 분해된다고 하던데요?
@user-ij1dj5rg2s
@user-ij1dj5rg2s Ай бұрын
초기항성계에 물질이 풍족하진 못하고 어떠한 중력작용이 초기에 잘못(?)세팅 되어있어 이런 상황이 되는걸까나.. 원래 목성형이 될 행성이였는데 먹을것이 너무 부족해 애기항성이 거의 다 먹어버려서..? 뭐 그런 상상을 하게 되네요 ㅋㅋ
@kaishun86
@kaishun86 Ай бұрын
항성이 컸다가 점점 나이들며 작아지는 과정일수는 없나요? 질량도 연소하며 소모해서 처음보다 줄어들고요. 암석 행성은 상대 질량이 작았으나 본래 질량을 유지하며, 관측 시점에서 상대 질량이 높게 나온건 아닐까 생각이 들었는데
@cm-oc4id
@cm-oc4id Ай бұрын
별이 생성되던 시기에 더커지게 만들어지려할때 행성이 한입만하고 뺏어먹었데용
@q07060
@q07060 Ай бұрын
태양을 예로들면 행성이 8개인데.. 다른별들도 몇개의 행성들을 가지고 있을건데요. 별앞을 지나가는 행성도 여러개라면 정확한 측정이 어렵지 않나요?
@user-so1vh4ql7i
@user-so1vh4ql7i 20 күн бұрын
그냥 두고 오시면 됩니다 ㆍ
@user-ef9rw7zl8k
@user-ef9rw7zl8k Ай бұрын
우주는 향후 몇백억년동안 컨텐츠가 끝날일이 없네
@li0net
@li0net Ай бұрын
핫주피터였다가 가스대기가 다 날아가거나 흡수되어서 암석 핵만 남은건아닐까요?
@user-so2of4nw3o
@user-so2of4nw3o 18 күн бұрын
초거대지구형행성에 초거대인간을 상상해봤는데 애초에 불가능한거였군요.. 나비행성에 나비족크기만큼의 인간형 지적생명체가 존재하기힘들겠군요.. 마찬가지로 초소형지구형행성에 초소형 인간형 지적생명체도 물리법칙상 힘들수도있겠네요.. 우주의 물리법칙은 어디에서나 크게 벗어나지않는듯..
@marketg1612
@marketg1612 18 күн бұрын
이분이 말하는 우주 생명체가 있다면 바로 이분같은 모습이 아닐까
@utving
@utving 17 күн бұрын
제일 좋은 방법은 사람이 우주에 제일 빠른 속도로 그곳에 가서 확인하는겁니다. ㅎㅎ 하지만 불가능하죠 .... 다만 상상이라도 해야죠
@hajine
@hajine 24 күн бұрын
지구와 달도 천문학적으로 말도안되는 크기비율 아닌가요? 그거보다 더 희귀한 케이스인가여?
@Ognda123
@Ognda123 Ай бұрын
@stY_enT
@stY_enT Ай бұрын
행성이 다른곳에서 탄생했다가 떠돌아다니면서 그 별 중력에 이끌려서 공전하게 될수도 있겠네요
@kml6960
@kml6960 Ай бұрын
웅배형이 별풍 리액션으로 제로투 해주면 10만원 쏜다...❤
@user-ot6lv3fu5l
@user-ot6lv3fu5l Ай бұрын
근데 왜 줄안경인가요
@specialwind2942
@specialwind2942 Ай бұрын
먼지님 다 좋은데 영상을 보통 자기전에 불꺼놓고 보는편인데 배경이 우주와 맞게 좀 어두우면 어떨까요ㅎ 눈이 너무 부셔요
@user-qw2ll9dp3y
@user-qw2ll9dp3y 14 күн бұрын
눈이 부시면 님이 밝기 조절하면 되겠네여
@user-bs9lk4jk4i
@user-bs9lk4jk4i Ай бұрын
큰행성이 별이 될 수 있었는데 뭔가와 충돌해서 별이 되지못하고 가스가 뭉쳐서 작은별이 생성되고 남은부스러기와 잔해가 큰 행성이 된거아닐까요?
@Patatano
@Patatano Ай бұрын
아 들켰네
@user-mj8oi3sv6p
@user-mj8oi3sv6p Ай бұрын
우리 은하계에도 골드존에 지구형 행성이 많이 있고 외계인 종류도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암흑의 숲이기 때문에 서로 숨 죽이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gynwitst7283
@gynwitst7283 Ай бұрын
쉽게 말해서 작은 항성 주위를 더 큰 행성이 공전하고 있다는 거잖아요.
@Infinityisone
@Infinityisone Ай бұрын
14:04 맞습니다. 현재가 없으면 과거도 없고 미래도 없습니다.
@Infinityisone
@Infinityisone Ай бұрын
16:03 감사합니다!
@HHW2369
@HHW2369 Ай бұрын
수성도 핫주피터형이었다가 태양풍으로 인해 대기가 날아간 상태인 가능성은 없나요
@user-rx7co3re2o
@user-rx7co3re2o Ай бұрын
기우쌤이랑 합방 한번 했으면 좋겠네요
@danntz_nimlord
@danntz_nimlord Ай бұрын
별들 항성이나 초신성 같은 중간크기 이하 별 들이 서로싸우기도 하나봐요 패싸움도하고 특징상 싸우다 떨어진잔해들은 다른물질들과 합해지기도하고 뭉쳐져 거대행성 이 될수도있구 아주먼우주에 중력이있다면 은하계도 존재할수도있겟다는 생각이나네요
@user-hc9yw7gi4j
@user-hc9yw7gi4j Ай бұрын
1분전은 참을 수 없지
@OEJ99
@OEJ99 Ай бұрын
근데 궁금한게 우리가 볼 때 행성이 수직으로 공전하고 있으면 트랜짓 기법 활용이 불가능하니 관측할 수 없나요?
@user-nv7if1jd3p
@user-nv7if1jd3p Ай бұрын
제가 알기론 그 상황에는 불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때는 트랜짓 보다는 시선속도를 이용하여서 발견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user-ub3qt4zz6c
@user-ub3qt4zz6c Ай бұрын
쌍성이 서로 돌다 하나가 식으면 가능하지 않나요?
@user-lp1jx2gf5p
@user-lp1jx2gf5p Ай бұрын
빛으로 우주를 관측하는거면 천 광년 정도 이후의 은하들이 사라지고 없을수도 있는거 않인가요? 천 광년 정도 까지 우주가 줄어들어도 빛은 천년후에 도착 할 테니까요
@nambul
@nambul 14 күн бұрын
별의 깜빡임으로 행성의 존재를 알려면 일식과 같이 별과 행성과 지구가 일직선 가깝게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럴 확률은 매우 적을꺼 같은데 초반에 말씀하신 그런 행성은 발견될 확률보다 발견되지 않을 확률이 높은걸까요? 재미는 있는데 너무 어렵네요 ㅎ
@user-oo6oh4ri3u
@user-oo6oh4ri3u Ай бұрын
먼지님 안경줄 이뻐요ㅋㅋ 블랙으로 바꾸신 게 더 이뻐요
@namja2yagi
@namja2yagi Ай бұрын
우주는 넓고 별은 수없이 많은데 당연히 저런 행성도 생길수 있는거 아닌가? 뭐 외각 행성이 점점 항성에 붙잡혀 들어가는것일수도 있고. 다른 항성에 있던 행성이 충돌이나 다른 어떤이유로 튕겨져 나왔다가 지금 항성의 중이력에 붙들려서 잡혀있는것일수도... 시나리오가 없다면 만들면 될것을 ㅎㅎㅎㅎ
@skyeye8519
@skyeye8519 Ай бұрын
뭐 그게 말은 쉽죠...
@geronimo_choi
@geronimo_choi Ай бұрын
외계인이 만든 거주용 인공행성입니다. ㄷㄷㄷㄷ
@user-un3du7yn1r
@user-un3du7yn1r Ай бұрын
나메크성이 커요? 목성이 커요?
@user-jy6nv3ov7x
@user-jy6nv3ov7x Ай бұрын
우주에서는 안되는것이 없음...
@spider.science
@spider.science Ай бұрын
애초에 물질이 풍부한 곳에서 빠르게 만들어진 게 아닐까요?
@shinhj72
@shinhj72 15 күн бұрын
말씀을 들어보니 이렇게 과학이 많이 발전했어도 지구형 행성의 데이터는 거의 축적되고 있지 않았다는 말이네요? 아니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지구의 과학 기술력은 보잘 것 없는 것일지도? 우주탐사는 아직도 갈 길이 멀군요. 잘 봤습니다.
@bts-songcover
@bts-songcover Ай бұрын
우주먼지 님은 혼자 나오셔도 재밌다 ㄹㅇ
@ClTYHUTNER
@ClTYHUTNER Ай бұрын
목성 밟을 수 있죠?
@user-nr7ow6dw2s
@user-nr7ow6dw2s 29 күн бұрын
지구가 충돌해서 달을 만들었던거 처럼 항성도 그럴수 있을까요?
@user-lv3xc1sq9k
@user-lv3xc1sq9k Ай бұрын
별과 항성은 같은 의미인가요?
@user-hf6mz2sy6p
@user-hf6mz2sy6p Ай бұрын
@4D-HUMAN
@4D-HUMAN 23 күн бұрын
예외의 사례중에서 지구의 위성인 달은 여러 천체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위성이죠. 위성치고는 너무 큰. 항성에 비해서 너무 큰 행성, 행성에 비해서 너무 큰 위성. 만약.. 행성이 항성이었고, 외부 영향으로 많이 떨어져 나갔으며, 떨어져나간 부위와 외부에서 유입된 것이 합쳐져서 새로운 중심이 되어서 더 커졌다면? 기존의 이론은 거대한 덩어리에서 항성을 이루고 난뒤에 나머지가 생겼다는 것인데, 예외의 것이 있다면 바로 그것이겠죠. 그런데 우주에는 예외가 너무 많아서 예외라고 해야 할지.. 그렇다고 유일하다는건 아니기에..
@user-mingjjie_Dive
@user-mingjjie_Dive Ай бұрын
정말 우연치 않게 서로 반대의 자성을 띄고 있어서 밖으로 나가려는 합과 일치해서 맴도는건 아닐까?
Como ela fez isso? 😲
00:12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Sigma Girl Education #sigma #viral #comedy
00:16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90 МЛН
Cute Barbie Gadget 🥰 #gadgets
01:00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박효신 눈의꽃 커버❄️
5:35
헨지 Henzie
Рет қаралды 16 М.
땅속에 파묻힌 머리 잘린 석상의 정체
9:00
스브스와이드
Рет қаралды 29 М.
가마쿠라 코코마에역
0:41
덕후아재 TV
Рет қаралды 579
'양자역학' 쉽게 이해하기 김상욱 교수 강의 2편
14:01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399 М.
小丑和路飞竟然这样对天使。#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37
Omega Boy Past 3 #funny #viral #comedy
0:22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1❤️ #thankyou #shorts
0:23
こたせな (KOTATSU&SENA)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
1:01
Dragon Нургелды 🐉
Рет қаралды 90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