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기의 '투자 무조건 따라하기' 2탄 - 집을 사야할까 말아야 할까?

  Рет қаралды 851,996

오마이스쿨

오마이스쿨

7 жыл бұрын

최진기의 '투자 무조건 따라하기' 모두 보기
💻 오마이스쿨 바로 가기 (PC) : www.ohmyschool.org
📱 오마이스쿨 바로 가기 (MO) : m.ohmyschool.org
대한민국 최고강사 최진기와 부자언니 유수진이 만났다!
무턱대고 무리한 투자에 나서기도 그렇고, 낮은 이자에 안주하기에도 답답한 저금리 저성장 시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시대여서 많은 사람들이 주식투자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재테크 수단으로는 주식만 있는 걸까요?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 속에서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를 해야 합니다.
원유, 금, 부동산, 채권 시장분석을 통해 개인투자자가 올바른 투자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같이 공부합시다!
* 수요-공급으로만 설명하기 힘든 국제 원유 시장, 금 시장을 분석함으로써 시장의 큰 흐름을 읽어봅니다.
* 살면서 누구나 한 번쯤은 꼭 참여해야 하는 부동산 시장을 해외 국가들과 비교하여 내 집마련 시기와 투자에 적합한 시점을 찾아봅니다.
* 경제 흐름의 핵심지표인 금리 공부를 통해 채권시장 접근법에 대해 살펴봅니다.

Пікірлер: 357
@user-lr1sg5ul5g
@user-lr1sg5ul5g 7 жыл бұрын
진짜 강의 잘하신다. 쏙쏙들어온다. 다른경제연구원들 아는척, 답답한척 하는데,, 전달력이 없는데,,, 최진기강사님은 전달력이 아주 좋으시다.
@user-hm9mg2gy2g
@user-hm9mg2gy2g 3 жыл бұрын
22:03 집값 예언ㄷㄷㄷㄷ
@user-nb1xk4sl9w
@user-nb1xk4sl9w 7 жыл бұрын
실거주 위주 대출적은 내집이 앞으로 나를위한 진정한 대책입니다
@user-sz1zf3yn4p
@user-sz1zf3yn4p 7 жыл бұрын
부동산 폭락 근거 : (1) 비혼 및 저출산 (2) 젠트리피케이션 (3) 행정수도 이전으로 인한 수도권 인구 과밀 해소 (4) 미국의 금리 인상 (5) 지방의 발전 (6) 예비 수요층의 인식 변화. 내집마련에서 먹고 즐기자로. (7) 공급 과잉을 넘어서 공급 포화. 지금도 계속 전국적으로 지어지고 있는 아파트단지, 빌라, 원룸, 오피스텔 등등. 폭락의 근거는 많고도 많다. 월세가 비싸다? 부동산 폭락하면 자연스럽게 월세도 내려갑니다. 일본처럼 공실률 40% 찍고 세입자가 갑이 되는 세상이 올 것임.
@junwoolee4915
@junwoolee4915 7 жыл бұрын
최진기 샘 강의는 진정성이 느껴져서 좋아요. 그리고 바로 아래분 말씀 적극 동의합니다
@user-po1kt2dj5v
@user-po1kt2dj5v 6 жыл бұрын
똑 소리 나는 강의네요, 전세시대는 가고 월세시대가 되니 집사는 것이 유익이다. 나도 그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user-pe1hk8ke7e
@user-pe1hk8ke7e 6 жыл бұрын
역시 최진기네요 정확한 분석력 치우침 없는 균형성
@jungwoosung9796
@jungwoosung9796 7 жыл бұрын
역시 대한민국 최고의 강사 최진기 씨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suek8806
@suek8806 7 жыл бұрын
10년 20년후 전세 매물이 아주 드물어지고 대다수가 월세로 돌아선 상황까지 가게되면 집을 구매하는게 주거비용이 더 적게 든다는게 요점 아닌가요? 이걸 지금시대에 집값 폭락이 없을거니까 대출받아 집사라! 라고 이해한사람들은 뭐지...
@user-xb3jm9ec6t
@user-xb3jm9ec6t 7 жыл бұрын
참 좋아요...&&^^&&
@user-mh5ys4kr2m
@user-mh5ys4kr2m 6 жыл бұрын
잘 보고있습니다.~~^^
@hero60222
@hero60222 5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였네요...ㅎ
@user-dy3xl2yv8r
@user-dy3xl2yv8r 7 жыл бұрын
강의 잘못했다고 인정하시고, 입장 변경 하세요. 3년 안에 개망신 당하실 것이 확실하니.. 걱정되어 드리는 말씀입니다. 최진기님. 언제 한 번 시간내서 가까운 부천 상동, 중동, 부평, 구월, 청라 신도시 이런 곳도 한 번 가보시길 바라고요. 서울에서 30년을 산 제가 서울 따위라고 말하는 것이 이상하지만, 현재는 지방 신도시가 서울 따위보다 몇배는 더 화려하고 멋지게 발전했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서울을 빠져 나가는 이유는 서울 집값이 비싸서라기 보다는 지방이 서울보다 훨씬 더 살기 좋다는 걸 알아채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보다 더 삶의 질이 좋은데 집값은 서울의 3분의 1도 안 되는 지방 신도시. 이걸 알고도 미치지 않고서야 서울 사는 사람 없습니다. 서울 집값은 최소 반토막 납니다. 심할 경우 90년대 토쿄처럼 10분의 1토막이 날 가능성도 크다고 보구요... 암튼 오늘은 최진기님한테 여러모로 실망하게 됐네요. 한때는 저의 멘토였는데. 안타깝습니다.
@yellenj582
@yellenj582 7 жыл бұрын
저도 매우 실망... 절심함이 없어지셨네요.. 예전엔 통찰력도 뛰어 나셨는데..
@charlesrobertdarwin3823
@charlesrobertdarwin3823 7 жыл бұрын
Yellen J 이님은 내가 보는것마다 보이네 생각도 나랑 매우비슷하고
@dongwon8734
@dongwon8734 6 жыл бұрын
노벨경제학상하나안나온 대한민국의 꼴통 한국인 교수.강사.선동꾼(장사꾼): 미국금리인상을하면~~~(어쩌구저쩌구) 다무너집니다~~(사실상 고등학생도아는 경제지식을 꼰대들이 떠벌리고다님) 세계적 석학과 노벨경제학상을 매일 배출하는 FOMC회의: 2016년..금리인상을 시작합니다! (2016-2017년 호황시작 금리가 올라갔음에도 불구하고 미국,독일,프랑스,일본,영국 전세계금리최고가 찍고있음. 부동산최고가상승중) 2016년 서울부동산 5억돌파... 2017년 서울부동산6억돌파.. 문재인정부 6.2억돌파..
@user-kt1cb7si6t
@user-kt1cb7si6t 6 жыл бұрын
언제 반토막 나는겨ㅜㅜ도데체
@thankstomotherMary
@thankstomotherMary 7 жыл бұрын
집주인들이 다들 월세 내놓으면 월세 공급이 급증할테고 수요자는 한정 또는 감소하는데 공급만 증가하니까 경쟁 붙어서 월세가 하락합니다. 요즘 강남역이나 삼성동 가보면 빌딩 점포 안나가서 1년 무상임대 해주고 그러던데요. 노른자 땅이라면서 빈점포 엄청 많더만요. 현재 강남권 공실률은 조사해보셨는지? 부동산에서 수익 창출이 안 되는데 어떻게 부동산 값이 안 떨어지나요.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부동산이 폭락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jrkim8321
@jrkim8321 6 жыл бұрын
정윤희 모두가 집안사고 월세살면 월세가 내릴까요 ㅎㅎ
@user-ez5hn5jd9n
@user-ez5hn5jd9n 5 жыл бұрын
지금 잘 들어보니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면서 얻은 산지식을 갖고 강읭함잘 새겨 들을게요 최진기 선생님
@user-um4no2so4b
@user-um4no2so4b 3 жыл бұрын
성지순례왔읍니다 감사합니다 이거보고 결심했었습니다 오마이스쿨 프리패스라도 끊어드리겠습니다
@jongk9415
@jongk9415 6 жыл бұрын
집이 공급 과잉이긴 함 숫자로만 보면 근데 살고 싶은 집은 얼마 없다는거지요. 서울 단독주택 집들보면 정말 영세한사람들 싸게 살던가 집주인들이 살고 있음. 세를 줘도 집 후지다고 안들어옴 그러다 보니 집이 모자른게 아닌가 싶다는
@marshmallow6227
@marshmallow6227 5 жыл бұрын
최선생님 존경합니다!
@user-ye5di3nd4u
@user-ye5di3nd4u 7 жыл бұрын
논점을 정리하면, 1. 월세의 부담율이 높다. 따라서 사람들은 월세보다 집을 사는 것을 선호한다. 2.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되는 가구가 늘고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요 증가 압력으로 수요감소압력(저금리, 저성장, 인구구조 등)을 상쇄되어 떨어지더라도 미미할것이다. >>>일견그럴듯 해보이기도 한 논리이지만.. 저는 그렇지 못할거라 봅니다. 그 이우른 첫째 과연 이러한 수요가 대세폭락을 막을만큼 클지 의문입니다. 울며겨자먹기로 월세살기싫어서 집사는 사람들은 대세폭락을 막을만큼 많지않으며, 오히려 서울 전세의 많은부분은 부자들이 살고있습니다(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2014) 또한 실수요를 초과하는 전세에서 월세로의 변환(공급증가)은 집값하락이라는 역풍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둘째, 제시하신 근거는 월세부담율(가칭, 이자같은개념)이며 월세액이 아닙니다. 가장 쉽게범하는 오류중 하나인 액수와 %의 오류입니다. (맨큐 경제학원론 10대원리) 월세시장의 수요와 공급은 '월세'금액에 의해 결정될 것 입니다. 균형가격이 한계비용 이하일경우 자연히 (월세)공급은 줄게되고 월세의 공급감소는 주택구입 수요감소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즉 집값이 안떨어질것이다라고 사용하신 논리는 집값이 떨어질것이다라는 논리의 논거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user-ix3hb2pd1m
@user-ix3hb2pd1m 6 жыл бұрын
지금 2018년 2월에 댓글 답니다 1년 전 댓글들을 보고 있으니 참 재밌네요 저도 뒤를 돌아보며 살아야겠습니다
@somaoger
@somaoger 7 жыл бұрын
제가 강의를 다듣고 이해한거는 지금살곳있는곳이 월세라면 집을사는게 장기적으로유리하다는것같네요. 앞으로 전세매물은없어질테고 매년월세나가는비용이 전세로얻은집의 기회비용보다 훨씬크니 집을사라는 내용같습니다.
@user-tb4jg3kn1e
@user-tb4jg3kn1e 4 ай бұрын
7년전맞는말이군요
@MrKilin99kr
@MrKilin99kr 7 жыл бұрын
역시 통찰력이 있으시네요
@dj.k.
@dj.k. 7 жыл бұрын
IMF전 GDP에서 10대기업 비중이 14.5% 였다가 지금은 90%가 넘는 상태...... 고령국가 확정상태. 노인빈곤최악수준. 청년은 대다수 비정규직. 진짜 영웅급 지도자가 필요하다.
@sunnywon5
@sunnywon5 6 жыл бұрын
2017년 현시점에서 최진기님의 논리가 설득력을 얻었네요.제가 사는집은 결국 올라 있고 월세추이들을 보면 제 기계대출비가 3~4분의1도 안되니 밀이죠. 집 가지고 사는게 훨씬 저렴했네요.집값 떨어질까 들썩거려도 보았지만 보합세를 유지하거나 조금씩 더 올랐고 반면 전.월세는 계속 말도 안되게 올랐으니까요...
@user-mc7nr5pt6i
@user-mc7nr5pt6i 7 жыл бұрын
전세는 사라집니다 월세가늘어나고있죠 월세매달 쏟아부으면서 집값떨어지길 바라는거보다는 집을사는게 우리할스도 있다는 이야기죠. 저출산이라구요? 지금 우리가 고민하는 이 시대에서는 해당시항이 앖습니다 . 저출산인시대가 사는 사람이 집을살때쯤됐을때 구현이된단 이야기입니다. 결국 지금시대는 파이가 적은 대다수의 사람이 집을 살수도 월세를 살수도 없습니다. 다들 맞는 말씀이신데 그래서 더욱슬퍼네요.. 지금 집을구하는 모든세대들은 너무 안타깝습니다..
@user-uo1if6km2e
@user-uo1if6km2e 6 жыл бұрын
2년전 얘기이고 정답이었네 ㅋㅋ
@user-ww9yx6yd1d
@user-ww9yx6yd1d 5 жыл бұрын
이 강의에서 무엇이라고 했나요?
@soshimm
@soshimm 7 жыл бұрын
월세사는것 보다는 빚내서 집을 사는게 났긴 하겠져...하지만 언제까지 지금처럼 초저금리가 유지될지 또 한국경제의 성장동력이 점점 꺼져가는 상황에서 빚을 꾸준히 갚을만한 질좋은 일자리도 점점 없어질 것이고, 공급이 수요를 초월하고 있는 지금 상황과 고령화 솔로족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집값이 폭락을 안할수 있을까요? 적어도 2018년까지는 집을 안사는게 났다고 봅니다.
@jrkim8321
@jrkim8321 7 жыл бұрын
최창호 고령화 일자리 성장동력 다꺼졌는데 유럽은 왜 집값이 꾸준히 올랐겠습니까 인구절반줄면 신라면이 반값되고 서울대학교 정원미달될꺼라 봅니까 돈왕창찍어내면 실물자산은 오르는거고 실물자산 폭싹하면 돈은힘이생기는것이죠
@think.about.nothing
@think.about.nothing 7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봅니다.저도 역시 보고 싶은것만 보지만 그렇게 되지 않으려 노력하려 합니다. 진기쌤에게 여쭈어 보고 싶은게 있습니다(보실지 모르지만) 1)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시장금리 인상 과 가계부채부담 증가 2)2018년 부터 시작되는 급속한 노령화와인구절벽 3) 2017~2019년도.(서울은 재건축 준공후 2020까지)일어나는 주택 초과공급문제 이 세가지 요인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유지가 된다고 생각하시는 지요.. 특히 3번째 요인은 중기적으로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수 있다고 생각됩니다만...
@goldman7856
@goldman7856 5 жыл бұрын
지금 상황하에서는 이분 천재네 ㅎ
@blur6254
@blur6254 7 жыл бұрын
완전 잘못 예측하는군요 16년 12월 현재 주담대가 4프로대까지 올랐고 18년 미연방은행의 목표 이율인 3.5프로에 도달하면 한국 기준금리는 4.5프로 이상이 되고 주담대는 약 7~8프로로 이자 부담은 약 세 네배가 된다 백만원 이자가 삼사백이 되면 몇명이나 견딜수 있을까? 즉 2프로 이율의 빚으로 쌓은 대다수의 물건들은 시장으로 나올수 밖에 없다 인구줄고 소득줄고 일자리 줄고 이자가 오르는데 집값이 유지될리가
@thankstomotherMary
@thankstomotherMary 7 жыл бұрын
요즘 영보화학 이라는 회사의 주가가 계속 오르고 있네요. 이 영보화학이 세종시에 부동산이 약 7만평 있다고 하구요. 세종시 수도 이전은 거의 확정적인 것 같은데요? 이 외국인들과 기관투자자들이 미리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거금을 매수하고 있다고 봐야겠죠. 수도가 세종시로 바뀔텐데 서울 집값이 과연 폭락을 안할까.. 진기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user-cm7nc2eh9j
@user-cm7nc2eh9j 4 жыл бұрын
이때 듣고 고민 고민하다가 1년 후 서울 초소형 구축 매수했는데 다행히 올라서;; 늙어도 거주할 곳은 생겼어요ㅠㅠ 고맙습니다!
@ksj261
@ksj261 7 жыл бұрын
2010년 부터 지금 까지 주택 가격이 떨어졌다는 저 그래프는 전혀 동의 할 수가 없다....
@awolkwon1
@awolkwon1 7 жыл бұрын
전세값이 오르니 대출받아서 집사라는것과 뭐가 다른가요? 그동안 듣던 강의의 기조와는 다른거 같은데요.
@yellenj582
@yellenj582 7 жыл бұрын
최진기님... 당신은 금리인상을 염두해 두지 않으셨습니다. ㅎㅎㅎㅎ. 예전에 참 진기샘한테 많이 배웠는데.. ㅎㅎㅎ 제가 알려드려야 할 듯..
@dongwon8734
@dongwon8734 6 жыл бұрын
금리인상은무슨개뿔. 똑똑한놈들이 세계경제를 좌우하니 걱정마라 지금 미국.영국.프랑스.독일등 모든증시와 부동산이 사상최고가 찍고있어. 걔들이 알아서 조절한다.
@andante-he7mp
@andante-he7mp 3 жыл бұрын
그 때는 맞는 말씀 2021 1 10에는 좀 달라졌겠지요 미래 전망은 귀신도 못맞추니까 너무 낙관적이거나 비관적으로 치우치지 말고 안전하게 중도적으로 대처하며 일명 인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강사님들의 지난 강의영상을 보면서 비난 할 이유가 없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은 주식 광풍으로 불꽃증시 타임입니다 ㆍ최진기님 재미있는 강의 그립습니다 ㆍ
@user-in2sr2zj7l
@user-in2sr2zj7l 7 жыл бұрын
모두가 폭락한다고 하면 절대 폭락은 없죠.이렇게 곰들이 하나둘씩 죽어 나갈때 아무소리 없이 찾아 온다고 봐요.진기쌤 강의 놀랍기도 하지만 재미있게 보았내요.
@joyyoung3144
@joyyoung3144 7 жыл бұрын
계산이 맞나요? 전월세 전환율 6.5% 계산하였는데, 여기까지는 맞습니다. (아파트, 다가구, 오피스텔 포함)그러나 계산의 예시에서는 아파트로 계산하였습니다. 서울의 아파트 전월세전환율은 4.4%입니다. 2억의 자본을 가진사람이 1) 5억의 아파트 -> 3억 빚2) 3억 5천의 전세를 -> 2억에 55만원 월세집값이 폭등도 폭락도 없다면 어떤 선택이 맞을까요?
@Ryan_Kim_
@Ryan_Kim_ 6 жыл бұрын
저렇게 계산 안해도 다 알지 집 가진자가 집 없는 자보다 재테크에 더 유리한 거...월세 살면서 돈 모았다는 얘기 많이 들어봤냐? 그나 저나 최진기샘 강의는 너무 꿀맛이야 짱이십니다!
@jamesb-pz1qt
@jamesb-pz1qt 7 жыл бұрын
착각들 하지마세요 들~ 님들이 생각하는거만큼 폭락 안합니다 집값 떨어질거같죠?? 소폭 오르면 올랏지 안떨어집니다 일시적으로 떨어져도 더 오를겁니다 장기적으로 제말이 틀린지 몇년후 아니 1-2년 잇어보세요 갑론을박 할것도없음
@user-ey2mh7ej5p
@user-ey2mh7ej5p 5 жыл бұрын
2년후 집값폭등... 성지글이네
@MrMariokim3
@MrMariokim3 7 жыл бұрын
공감가는 강의였습니다. 그리고 제가 생각 하는 것과도 일치하네요. 요즘 어딜가나 부동산 대폭락논이 대세입니다만.. 폭락 하지 않을꺼 같습니다. 제가 2006년에 아파트 2억8천에 분양받았느데 그때도 폭락 한다고 난리들 쳐서.. 분양받은걸 무지 후회했었는데.. 지금은 5억이 넘어가고 있습니다. 항상 경제는 대중의 생각과 반대로 가는거 같습니다.
@user-td1bb8mt4n
@user-td1bb8mt4n 2 жыл бұрын
지금쯤 10억 넘으셨겠네요. 축하드립니다
@arirangya
@arirangya 7 жыл бұрын
또 자가 비율이 높아질수록, 2주택 이상을 가진 사람의 집을 전월세로 소비(임차)해줄 수요자는 시장에서 줄어가고 , 신규주택 공급은 계속 늘어가므로, 임차시장에서의 수요공급은 시간이 갈 수록 수요자 우위의 시장으로 향해갈 겁니다.
@user-nb1xk4sl9w
@user-nb1xk4sl9w 7 жыл бұрын
저금리 시대에 폭락설은 아니지요. 폭락설 믿었다가 불쌍한 사람됩니다. 이번강의. 이젠 진실을 말하는겁니다.
@user-ws6kl3ix6r
@user-ws6kl3ix6r 7 жыл бұрын
고통은 10개월 무이자 할부를 활용하고, 감동은 일시불로 구입할 것. 사랑은 30년 만기 국채를, 그리고 우정은 연금처럼 납입할 것을 권함. 감사는 밑반찬처럼 항상 차려놓고, 슬픔은 최대한 소식할 것. 고독은 풍성한 채소로 만든 샐러드처럼 싱싱하게, 이해는 뜨거운 찌개를 먹듯 천천히, 용서는 동치미를 먹듯 시원하게 섭취할 것. 기쁨은 인심 좋은 국밥집 아주머니처럼 차리고, 상처는 계란처럼 잘 풀어줄 것. 오해는 잘게 다져 이해와 버무리고, 실수는 굳이 넣지 않아도 되는 통깨처럼 다룰 것. 고통은 편식하고, 행복은 가끔 과식할 것을 허락함. 슬픔이면서 기쁨인 연애는 초콜릿처럼 아껴 먹을 것. 고통은 10개월 무이자 할부를 활용하고, 감동은 일시불로 구입할 것. 호기심은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해서라도 마음껏 소비하고, 열정은 신용대출을 권함. 은혜는 대출이자처럼 꼬박꼬박 상환하고, 추억은 이자로 따라오니 특별히 관리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리움은 끝끝내 해지하지 말 것. 사랑은 30년 만기 국채를, 신뢰는 선물 투자를, 의심은 단기 매도를 권하며 평화는 종신보험으로 가입할 것. 변덕스러움은 에널리스트가 분석하듯 꼼꼼하게 다루고 아픔은 실손 보험으로 처리하고 우정은 연금처럼 납입하며 행복은 언제든 입출금이 가능한 통장에 넣어 둘 것을 권합니다
@EASY-it7rh
@EASY-it7rh 7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결론은 집사라는거잖아요? 그죠옹~~~?!
@vuvuga5206
@vuvuga5206 7 жыл бұрын
가장 중요한 사실: 집값이 폭락한다고 외쳐대는 사람들은 실제 폭락이 와도 내 집 마련 못 함ㅋㅋㅋ
@dongwon8734
@dongwon8734 6 жыл бұрын
노무현시절: 노무현개새끼!!이게 다 노무현떄문이다!!!! 부동산폭락한다!!!!(서울평균집값 6억) PIR상부동산거품맞음 이명박시절: 이명박은.. 쥐새끼로.나라를 팔아먹고 친기업 재벌!물러가라 (서울평균집값5.5억)PIR상부동산가격높음 2013년: 박근혜개년!!!! 여러분 보셨죠? 부동산폭락이 시작되었습니다!!!(서울평균집값4.4억)PIR상부동산저가 2014년: 하하하 부동산 폭락이 시작합니다 여러분!!!! .어어어어? (서울평균집값4.7억)PIR상부동산저가 2015년: 부동산은 거품입니다.. 박근혜와 투기세력과기득권세력이... (서울평균집값4.8억)PIR상부동산저가 2016년: 절대로 휘둘리지마시고 .. 폭락을하니까... (서울평균집값 5억)PIR상 부동산저가 2017년: 이명박.근혜의 투기,기득권세력은 살아있습니다. 뒤에서 우리를조종.. (서울평균집값6억) PIR상 부동산평균 문재인정권: (아좆됏다.. 이제 이명박근혜팔아먹기도 뭐하네...) (서울평균집값6.2억) PIR상 부동산평균 노무현가계부채500조->670조 34%증가 GDP1000조 환율900원 이명박가계부채670조->900조 34.4%증가 GDP 1100조 환율1250원 박근혜가계부채900조->1300조 56%증가 GDP1500조 환율1100원
@user-hv9hh8mm3t
@user-hv9hh8mm3t 7 жыл бұрын
공급과잉시대에 과도한 금리인상은 절대 없다....고로 살집은 있어야 한다...
@JK-uy9rb
@JK-uy9rb 3 жыл бұрын
와.. 이걸 보고 집을 샀으면 대박
@user-ne2oi5qf1s
@user-ne2oi5qf1s 7 жыл бұрын
왜 같은 강의를 듣고 다르게 해석할까요? 최진기 강사가 말하는 집값이 폭락하지 않는다는 말은 무주택자가 사는 거주 목적의 집을 말하는 것입니다. 투자 목적의 집이 아닙니다. 20~30평대의 집을 월세 사느니 대출 받아서 사라는 뜻입니다.
@yellenj582
@yellenj582 7 жыл бұрын
거주목적일 경우는 최고점에 사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들리는 군요. 비는 피해가라는 말이 있습니다. 저같으면 월세로 버티면서 시장상황을 지켜보고 구매 하라고 하고 싶네요. 버블은 곧 꺼집니다. 누가 봐도 당연한 겁니다.
@user-ew9bo6ut8p
@user-ew9bo6ut8p 7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은 거품이 없습니다. 다들 거품이라고 하지만 그만한 가치를 지녔어요 옛날 5억은 큰돈이었지만 지금 5억의 가치는 생각보다 높다고 생각 되지 않습니다. 서울의 평균 집값은 대한민국 수도로서 적정 가격이라고 봅니다.
@yellenj582
@yellenj582 7 жыл бұрын
그러면 거품이 아니라면, 지금보다 대출 금리가 5%가 증가 한다면 부동산 가격은 떨어지지 말아야 합니다. 떨어지지 않는 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는지요? 없다면 그딴 소리 하지 마십시요. 주택매매 건수 중 80%이상이 대출받아 장만한 집입니다. 거품이 없다면 금리가 오르고 소득이 감소 한다면 가격은 떨어지지 않아야 합니다.논리적으로 설명 좀 해보시지요
@Kimbab916
@Kimbab916 7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이 거품이 없다?? 말도안되는 소리 하지 마세요~~ 저 연봉이 90백만원쯤 되는 대기업 차장입니다. 15년 정도 근무 했구요... 저 열심히 저축해서 한 6억 가량 모았어요.. 저 급여 적지 않는 편이구요.. 저도 뼈빠지게 모아야 될 큰 돈이에요... 도대체 님은 얼마나 버나요? 저 그리고 건설회사 다닙니다.. 아파트 원가 다 알구요~~ 아파트는 장기임대용이고요.. 30년 지나면 제로에 수렴합니다. 5층이상 재건축.. 될까요? 아파트는 결국 빛좋은 개살구입니다... 피라미드 아시죠? 다른 멍충이가 내걸 받아줘야.. 성립이 되는... 울나라 GDP의 30% 차지하니. 아파트 마져 죽일수 없어... 대출장려해서 경기 살리는거구요... 다른 산업은 이미 다 죽었죠...? IMF는 잽도 안되는 대환란이 올겁니다... 정신 차리세요~~!! 국가부채7000조, 양극화, 인구절벽, 정치혼란.. 도대체 정상인게 없는 나라에서.. ㅎㅎ 지나가다가. 어의가 없어서 몇자 적었습니다. 어떻게 보면..지금이 그마나 가장 행복한 시간이 아닐까 합니다.. 각자도생~~
@jrkim8321
@jrkim8321 7 жыл бұрын
상하이 선전 베이징 런던 홍콩가보신적 있나요 한번가보세요 ㅎㅎ 유럽 모나코 아파트 4500 억 왜일까요
@user-ws6kl3ix6r
@user-ws6kl3ix6r 7 жыл бұрын
완벽 하고픈 생각의 욕심들 많은 사람들의 마음은 채워도 채워도 채워지지 않고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나 자신만은 완벽한 것 처럼 말 하고 행동을 합니다. 자신들만은 잘못된 것은 전혀 없고 남들의 잘못만 드러내고 싶어 합니다. 남들의 잘못된 일에는 험담을 일삼고 자신의 잘못은 숨기려 합니다. 그러면서 남의 아픔을 즐거워하며 나의 아픔은 알아 주는 이가 없어 서글퍼 하기도 합니다. 남의 잘못을 들추어 내며 허물을 탓하고 험담을 입에 담는다면 남들도 돌아서면 자신의 허물과 험담이 더욱 부풀려져 입에 오른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조금 부족한 듯이 마음을 비우고 조금 덜 채워지는 넉넉한 마음으로 조금 물러서는 여유로움으로 조금 무거운 입의 흐름으로 간직할 수 있는 넓은 마음의 부드러움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zq1ph1nd9o
@user-zq1ph1nd9o 7 жыл бұрын
외국에도 전세가 있나? 전세가 없다면 집값은 내려갈텐데..아닐까? 근데 지금 대한민국 가계부채가 너무많다...흠 집값은 내려갈것으로보인다.
@dhlee91
@dhlee91 5 жыл бұрын
이때 방송보고 집 사신분은 대박이셨겠네요
@eunjooshim5091
@eunjooshim5091 3 жыл бұрын
최진기선생님 요즈음 어디서 뭐하세요~~? 궁금하네요. 건강하시죠?
@hyungkukju3513
@hyungkukju3513 7 жыл бұрын
딱 호주 4인 가족용 집세랑 비슷하네여 ($1,500-1,800/달). 결국 한국도 다른 나라처럼 월세 렌트로 전환되면, 20-30년짜리 장기대출로 내집마련 하게끔 되겠네요. 근데 30에 직장 잡아서 20-30년 근무가 가능해야 할텐데...
@user-ws6kl3ix6r
@user-ws6kl3ix6r 7 жыл бұрын
세상에 외롭지 않은 사람은 없을거다. 알고보면 가진 사람이나 가지지 못한 사람이나… 가슴에는 외로움이 있기 마련 보기에는 외롭지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외로울거다. 하지만 나는 커피한잔 앞에두고 그 외로움을 즐길줄 아니 참 다행이다!
@soundstudio1010
@soundstudio1010 7 жыл бұрын
세계경제가 휘정거리면 집값은 폭락할수는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폭락은 안하더라도 내려갈수밖에 없습니다. 그것이 완만하게 내려가든 빠르게 내려가든말이죠. - 주택과잉공급 , 인구 고령화, 저출산, 베이부머은퇴로 생산가능인력 감소, 젊은이들 취업률 감소로 주택가격 유지불가, 대기업 수익률감소->조기은퇴자증가, 세계금리인상예정-> 주택담보빛의 압박증가. 1300조의 부채로 쓸돈없음 -> 소비감소 -> 자영업 붕괴 -> 차압주택증가->기존주택가격 붕괴의 순환 등등의 요인이 너무 많네요
@user-vs5kv7nb9n
@user-vs5kv7nb9n 7 жыл бұрын
이상한 분들 많으시네요 ㅋㅋㅋ 우리나라 인구가 급격히 줄까요? 저는 아니라고 보는데요 물론 결혼연령이 높아지는 건 있지만 결혼하게되면 제주위 사람들 대부분이 아이 둘이상 낳고 있습니다. 제가 초등학생일 때 프랑스 저출산때문에 망한다 어쩐다 했었고 중고생때 일본이 그랬습니다. 지금은 어떤가요? 두나라 모두 저출산을 이미 극복했거나 극복 중에 있지 않나요? 일본 부동산 폭탄 터진건 버블이 무지하게 쌓였기 때문이고 우리나라 부동산이 버블이다? 물론 버블이 있었지만 지금은 순차적으로 빠지고 있지 터질정도로 쌓인건 아니지않나요? 머 사람마다 의견이 다르겠지만 저도 이번에 집 삽니다. 투기 목적이 아니라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 전세 옮겨다니는 것도 지겹고 전제가 점점 주니까 집 알아보는것도 너무 힘들어서요. 그리고 서울 집값이 비싼건... 당연하지 않나요? 대한민국 대기업 중에 서울에 회사 없는 대기업 없고 곧곧에 공원이니 한강이니 살기 좋잖아요? 제가 10년전에 캐나다 어학연수 갔을 때 벤쿠버를 보고 너무 살기 좋게 되어 있어서 놀랐던 기억이 요즘 서울을 보면 다시 느낌니다. 부천 좋지요 근데 부천에서 출근하려면... ㄷㄷㄷ 일산 좋지만 너무 멀지 않나요? 가까운 평촌 분당 과천은 이미 서울 집값이구요 어쨋든 집사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월세사는 것보다 충분히 이득이라고 봅니다. 진기샘 말대로 전새 살면 가장이익이지요. 저도 계속 전세 살고 싶어요. 근데 전세가 없잖아요. ㅋㅋㅋ
@yellenj582
@yellenj582 7 жыл бұрын
저의 마지막 댓글을 함 읽어 보세요.
@user-fr1zo2dh5m
@user-fr1zo2dh5m 7 жыл бұрын
남들 다 옳다고 하는 소리 옳다 하면 최진기샘이 아니죠...이번에도 미친소리 들으며 다시한번 예언가 등극하실듯
@alwayssundaytv9652
@alwayssundaytv9652 6 жыл бұрын
지금 졸라 올랐어~!!! 말만듣고 집안산게 후회..ㅜㅜㅜㅜㅜㅜㅜㅜㅜ
@user-vw2xx2yg6k
@user-vw2xx2yg6k 7 жыл бұрын
틀린 말씀은 아닌거 같은데 집주인이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에 성공했을때 이야기 아닌가요? 말씀하신거 처럼 전세 가격은 집주인에겐 빚 이잖아요 빚을 다 갚고 월세로 전환하거나 또 다른 빚을 내서 전세금을 빼줘야 하는데 그게 안되면 집을 팔아야죠. 그럼 주택공급이 늘고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까요? 물론 가격 하락요인만 있는게 아니라 가격 상승요인도 같이 있으니까 폭락하진 않겠지만 주택 가격이 오른다고만 할수도 없을거같아요.
@Fortecoup
@Fortecoup 6 жыл бұрын
지금에 와서 저출산이 큰 문제가 되었습니다. 근데 최진기 선생은 10년전에 초저출산에 대해서 논의한 사람입니다. 완전히 믿을 순 없지만 참고는 할 만한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누가 감히 미래를 예측하겠습니까? 다만 참고하고 그에 따라 움직일 뿐입니다. 아직은 집 값이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2020년부터 인구가 팍팍 깎일 겁니다. 태반이 대출로 집을 사는 현실에 집 값이 떨어진다면 우리나라 국민들 태반이 하우스 푸어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3억 집을 30년에 걸쳐 갚기로 했는데 10년뒤에 집 값이 2억 7천이되고, 20년 뒤에 집 값이 2억이 된다면..... 그리고 그 사람들이 우리 도처에 깔려있다면 과연 무슨 현상이 벌어질까요? 아 물론 올라가면 그건 그것대로 좋을 수도 있고.... 물가는 계속 올라가고 소득은 제자리인데 대출 갚기는 평생이고 그 상황에서 집 값이 폭락한다면... 저는 감히 상상도 할 수 없습니다.
@kmsong317
@kmsong317 2 жыл бұрын
와 5년전에 이미 어떻게 될지 예상을 하셨구나 지금 부동산 시장 보면 딱 교수님 말씀이 맞네요
@bnkwon7287
@bnkwon7287 2 жыл бұрын
'폭락은 안할거다' 라고 한 것을 지금처럼 폭등한 상황을 정확히 예상했다고 하는 것은 무리가 있죠
@user-xc2xv5ms1p
@user-xc2xv5ms1p 7 жыл бұрын
인구절벽인시대적상황에 집값 꾸준히 떨어질것으로 예상 됨니다
@user-zg1wb8zb4u
@user-zg1wb8zb4u 7 жыл бұрын
돈 있는 자들은 월세로 전환할거고.. 지금 빛 있어서 애매한 분들은 전세를 계속 유지..전세 제도를 이용해서 빛 부담을 줄이는게 가능하므로.(저금리 대출). 결국 다른 나라와는 달리 부채폭탄에 대한 상대적 안정이 가능하군요.. 그래서 외국처럼 집값 크게 폭락 안할거란 거고.. 언론에서 전세제도 없애라 하는데.. 전세제도는 결국 서민을 위한 제도엿군요.. 전세제도가 어떻게 생겻는지 잘 보앗습니다.
@user-sd1ll2gf3h
@user-sd1ll2gf3h 7 жыл бұрын
최강사에게 무슨일이 있었을까? 보이지않는 세력의 손길이 닿은거같다...쫄지마요~최강사! 하던데로 소신것 강의하세요!
@wyk5044
@wyk5044 7 жыл бұрын
폭락은 없습니다. 그건 과거처럼 순식간에 금리를 마구 올릴때나 나타나는 현상이었죠. 지금은 그렇게 금리를 빠르게 올릴만큼 물가상승률이 높을 건덕지가 전혀 없습니다. 폭락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계속 떨어질겁니다. 몇년에 걸쳐서..
@user-rz7hl3lb2e
@user-rz7hl3lb2e 6 жыл бұрын
집값이 폭락은 안 하더라도 당분간은 오르지는 않았으면 하는 거죠. 돈은 계속 쌓이는데 부동산에 안 묶어 두면 인플레이션이고 그렇다고 은행에 묻어두기만 하면 일본처럼 안 좋은 디플레가 되는 거죠. 폭등을 바라는 것이 바른 생각이 아니듯이 폭락이라고 하거나 바라는 것도 바른 생각은 아닙니다.
@user-dy3xl2yv8r
@user-dy3xl2yv8r 7 жыл бұрын
서울 집값의 폭락이 확실한 이유. 앞서 말씀드린 세가지 이유에 이어서 한가지 더 말씀드릴게요. 1인 미디어가 늘어나면서 방송 3사의 실적이 처참해지고 있습니다. 방송 3사의 역할 비중은 점점 줄어들 게 될 것이고 예전처럼 광고 수익 안 들어오겠죠. 요즘 젊은 사람들은 드라마, 연예프로 보는 것보다 1인 컨텐츠를 즐겨 본다는 겁니다. 몸값 비싼 연예인보다 철구, 로이조 같은 BJ가 더 웃기고 재밌는데 TV를 볼 필요가 없다는 거예요. 이는 나이어린 청소년 영유아층에서 더 번지고 있고요. 이는 곧 방송인들의 수와 수익의 감소로 이어지고, 방송 관련 사업체들과 연예인빨로 땅값 유지하던 청담동 압구정동 도곡동 여의도에 끼어있는 부동산 거품또한 쫙 빠지게 됩니다. 주식에서도 대장주가 무너지면 주변주들 다 무너지죠..?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최진기님 이번 강의 잘못하신 것 인정하시고, 빨리 번복하시길.
@yellenj582
@yellenj582 7 жыл бұрын
땡~~! 방송 3사 실적이 안좋은건 케이블 방송과 네이년과 다음 때문..
@ejs8413
@ejs8413 7 жыл бұрын
강석화 다좋은데 철구에서 좀 신뢰도를 잃게되네요..
@marco_k_7787
@marco_k_7787 5 жыл бұрын
2018년 9월에 다시 보면서 댓글 다는데요. 폭락론자들이 댓글을 엄청나게 많이 달았네요. 안타까운 분들 많았네요. 자기 집 한채는 있어야 되는데.
@smpa409
@smpa409 7 жыл бұрын
여기 폭락의 뜻을 모르시는 분이 많으시네... 장기우하향과 폭락은 다른 겁니다
@arirangya
@arirangya 7 жыл бұрын
이론적으로는 집주인의 주택소유 비용 = 임차인의 임차비용이 되는 것이고, 공급자 우위냐, 수요자 우위냐는 시장의 흐름이 결정할 것인데, 전월세 전환율 6.5% 고정, 즉 공급자의 일방적 가격 결정(비용과 일정 수익의 절대보장)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한 강의로 보입니다. 같은 논리라면, 전세제도는 애초에 태어날 수도, 존재해올 수도 없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 역사에서 전세비용이 월세비용보다 높았던 적은 한순간도 없었거든요.
@aoyama3chome518
@aoyama3chome518 4 жыл бұрын
이때 집을 삿어야 하는데 GTX호재 받은 수도권 모 아파트가격 왕창 올랐음 ㅜㅜ
@user-gm7sp5wj3w
@user-gm7sp5wj3w 7 жыл бұрын
전세계적 경기침체, 우리나라 수출중심 대기업 폭망, 주택공급과잉, 저출산, 미국발 금리인상, 서울에서 지방으로 가는 교통편의 증가, 경매시장 낙찰가 크게 내려감. 집값 폭락의 확신
@user-dy3xl2yv8r
@user-dy3xl2yv8r 7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내수가 개판인 이유는.. 집값이 너무 비싸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일단 의식주를 해결해야 다른 곳에 돈을 쓸 수 있는 것인데요. 한국에선 의와 식은 어느정도 해결이 되는데, 주거가 해결이 안되는 상황이에요. 주거에 나가는 돈, 집에 묶여있는 돈이 너무 엄청나게 많아요. 부동산 = 부동자금. 그래서 집값조차도 해결못한 국민들은 다른데 돈을 쓸 여력이 없습니다. 내수가 말라버립니다. 국민들이 돈을 못 쓰니까, 기업들도 당연히 사업하기 어려워져 고용을 못하고 취업률은 개판이고, 취업이 안돼서 국민들이 돈을 못버니까 결혼, 출산도 꽝. 저출산, 내수불황 모든 원흉이 부동산 거품에 있습니다. 부동산을 폭락시켜야 합니다. 부동산이 폭락한 일본과 미국의 취업률과 출산률이 고공행진 하고 있다는 것만 봐도 부동산 거품이 실업률과 저출산의 원인이라는 증거입니다.
@fillelee
@fillelee 7 жыл бұрын
누가 옳고 그름은 제가 모르지만 이렇게 댓글 달아주신것 감사합니다 저와 같이 경제를 모르는 사람들에겐 다양한 의견을 들어 좋습니다ㅎ
@motivateemun9610
@motivateemun9610 7 жыл бұрын
저랑 똑같은 생각이시네요
@user-ec7ln1dk4d
@user-ec7ln1dk4d 7 жыл бұрын
강석화 결국은 같이 잘 살아야 할 같은 사람들이 이땅에 불을 던지는군요 ㅜㅜ 언론이 도화선을 ᆢ
@tihij7712
@tihij7712 7 жыл бұрын
집을 정작살사람이안사고 투기하는사람이 더많아서 그렇죠 대출규제보다 투기규제가 급선무죠 후분양제가 건설사에 부담되지만 투기부터막아야죠
@dongwon8734
@dongwon8734 6 жыл бұрын
집값 싼데;; 다른나라랑비교해보면 절대비싼거 아님.. pir만 봐도 정상궤도인데.. ㅋㅋ 어디서 이상한 강의많이 들으신듯. 부동산을 빚내고 사면 구매력이 떨어진다고 하는데.. 그러면 반대로 매도자는 구매력이 높아지는데요? ㅋㅋ
@78redcat
@78redcat 7 жыл бұрын
근데, 교육환경 좋고 적당히 인프라 괜찮은 곳에 집 사는건 좋지. 이사다닐 필요 없고 전세금이든 월세보증금이든 올려줄 고민 없고 집 자체를 소비재로 생각하고 살아야겠지. 앞으로 인구절벽인데 이제 투자재는 아니라고 본다.
@user-dx4zs5hp9u
@user-dx4zs5hp9u 7 жыл бұрын
집 팔고 싶으신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치겠다.
@user-bt9dk6cd1r
@user-bt9dk6cd1r 4 жыл бұрын
2016년에 올라간 강좌인데 2020년 1월에 보니 대충 맞는 이야기잖아?
@justdoit9804
@justdoit9804 7 жыл бұрын
월세살아서 월세부담율 높아지니까 집안사고 뻐기고 있는거 보단 집사는게 낫다는 듯한 얘기인듯 근데 돈이 없어서 보통들 대출끼고 시작하기 때문에 능력없는 서민들 수요 줄어들고 고용율 오지게 줄어서 채무불이행 될 가능성 높아짐. 더불어서 공급과잉까지집값 폭락 오질꺼임 .그러니까 걍 아파트 사는 것보단 연립같은거라도 사서 돈아끼란 소리인듯 그게 월세 내는 것보단 싸게 먹히니까
@som_1406
@som_1406 6 жыл бұрын
책임지세요
@arirangya
@arirangya 7 жыл бұрын
또 전세입자들이 더 비싼 월세로 내몰리게 되면, 이들은 거의 모두 월세시장의 소비자로 진입하기 보다는 주택매입자로 될 겁니다. (1년 주거비용이 1천만원 증가하는데, 5천만원만 빚내면 전세살던 아파트를 매입할 수 있음. 실제로 최근 수년간 많은 전세입자들이 그렇게 해왔고요.) 즉, 전세시장의 공급을 거둬들여서 월세시장의 공급으로 전환되는 아파트가 100세대 증가한다고 할 때 월세시장의 소비 증가는 20세대도 되기 힘들거라는 거죠. 그렇다면 자연히 월세의 가격(월세전환율)은 떨어질 것이고, 전세수용에서 매매수요로 전환되는 수만큼 아파트 매매시장의 가격 상승요인이 발생하겠지요.< 이점에서 폭락은 없을 것이다..라는 주장의 한 논거가 마련된다 하겠구요>. 그러나 시장이란 것이 그렇게 단순하게 결말나진 않지요. 매매가격의 상승이 지속되고 계속적 상승이 예상될 수록, 세입자들은(전월세 구분없이) 매입자로 전환될 것이고, 이는 결국 임차시장에서의 수요 감소로 이어지고, 그 감소분은 대부분 신규청약 아파트로 몰려가지 구주택(1가구 2주택자들의 공급)의 수요자로 향하지는 않지요. 결국, 전세 임차인들이 매입자로 전환하면서 전세 시장의 수요가 줄어드는 속도가 전세공급 감소 속도(집주인들이 빚, 즉 전세금을 갚아나가는 속도)보다 빠를 것이냐의 싸움이 될 것인데,
@arirangya
@arirangya 7 жыл бұрын
전세 세입자들이 집주인이 되기 위해 벌어야 하는 돈(4억 아파트의 경우 1억만 벌면 됨)보다 집주인이 갚아야하는 빚(전세금)이 3배나 되기 때문에, 당연히 최근 몇년간 처럼,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전세수요 감소(매입으로 전환, 또는 전세가율 상승에 따른 불안으로 일부 월세 전환) 속도가 전세공급 감소 속도보다 훨씬 클 수 밖에 없고, 이는 최근 전세가 잘 나가지 않는 현상으로 관찰됩니다.(전세 공급은 줄었지만, 수요가 더 줄면서 상대적으로 전세시장에서 수요자 우위 시장으로 바뀌고 있음)
@user-mb1lf7zw4z
@user-mb1lf7zw4z 7 жыл бұрын
내집있음 좋은거아닌가요~^^ 다만 대출을 갚을수 있는 적정선에서 하심이 좋을듯 금리인상 이제 되자나요~
@momofsun
@momofsun 7 жыл бұрын
얼마전까지만해도 떨어진다고 하신것 같은데 이젠 사라고하시네요 부채 규모를 보세요 더이상 집을 구매할 사람들이 있을까요. 정부가 억지로 집값을 떠받치다가는 폭락장을 면치못할겁니다.
@kk-gl8ok
@kk-gl8ok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지금 떨어졋나요?
@user-kt4bv8zy8w
@user-kt4bv8zy8w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선생님 대학생때부터 온라인으로 오마이스쿨 수강했었습니다. 돌아보니 강의하신 내용이 전부 맞지는 않았습니다. 지금 와서 보니 갭투는 하는게 정답이었네요 ㅋㅋㅋ 그래도 저는 이 강의 보고 17년에 집을 매수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에 주식강의 하시는 것을 보고 주식투자도 많이 하였구요. 2020년은 인생에서 가장 수익이 좋았던 해가 되었습니다. 살면서 들었던 수업 중 리턴이 가장 큰 강의였네요. 지금 이 영상을 다시 보니 감회가 새롭네요.. 요즘엔 강의를 안하시지만 어디서든 잘 지내고 계시길 바라겠습니다.
@_cryingbee-tnh4067
@_cryingbee-tnh4067 7 жыл бұрын
변했군요 ㅎ 드디어 현실과 타협하고 먹고 살아가는 방법을 이제야 알았군요ㅎ
@dung1899
@dung1899 3 жыл бұрын
😊
@arirangya
@arirangya 7 жыл бұрын
단기로는 2015년 이후 급증한 밀어내기 분양의 여파가 2017년 하반기 이후 적어도 2~3년 공급 증대 우위를 이끌 것이라 보여지고, 장기로 보자면, 65세 이상 가구 비중의 급증 및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조기 은퇴 인구의 증대 및 양질의 취업연령의 상승, 결혼연령 상승이란 흐름을 감안하면 아파트 매매시장에서의 실질구매력을 갖춘 수요층의 감소 속도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의 속도보다 훨씬 빠를것이 분명해 보인다), 1~2인 가구 비중의 증대(이들의 상당수는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 등 대체 주거형태의 수요자로 될 것임) 등 요인으로 공급요인이 확실한 우위로 보인다. 요약하면 [지속적 신규아파트 공급 + 인구구성 변화 ]라는 가격 하락 요인이 비교적 선명하게 예측되는데 반해, 가격 상승 요인이 되는 수요증대(구매력을 갖춘)는 뚜렷하게 예상할 수 없어 보이며,
@jh-je1uo
@jh-je1uo 7 жыл бұрын
실질소득이 감소하고 있는데 집값이 버틸수는 없죠. ㅋㅋㅋ 폭락은 없어도 장기적으로 계속 떨어지겠죠. 도쿄에서 20억엔 짜리 1억엔으로 떨어졌다고 하는데 우리도 20억이면 10억까지는 떨어지는거죠
@user-lb1nq3pi4f
@user-lb1nq3pi4f 5 жыл бұрын
월세비중 느는이유 1인가구증가 오피스텔 원룸 대량으로지어서
@arirangya
@arirangya 7 жыл бұрын
지난 10~20년간의 통계에 비춘 평균값 정도의 공급이 계속될 것이라고 가정했을 때(이는 상당히 현실적인 가정일 것), 지난 10~20년간의 통계에 비춘 평균값에는 훨씬 못미치는 수요유입이 예상되므로, 결국 장기적으로나 단기적으로나 아파트 매매가 또한 약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게 자연스러운 결론이 아닐까 한다.
@user-pu2tt8iy4q
@user-pu2tt8iy4q Жыл бұрын
오르진않지만 폭락은안할거다 라고했는데 크흠.....;;
@DdDd-uu8ol
@DdDd-uu8ol Жыл бұрын
6년전 강의에 어울리지않는댓글이네요
@user-pu2tt8iy4q
@user-pu2tt8iy4q Жыл бұрын
@@DdDd-uu8ol 많이올랐고 폭락도했고 전혀 예측을못했죠.. .
@user-oj7xz9lj3u
@user-oj7xz9lj3u 7 жыл бұрын
그냥 저런 시각이 있다 에서 끝내...추종하진 말고...ㅡ,.ㅡ;;
@sh5366
@sh5366 6 жыл бұрын
2016년부터 경제성장에 따른 집값 상승을 인정하심..이전까진 전세라는 좋은제도에서는 집 살 필요없다. 집값 상승이 대출이자를 이길 수 없다 했다고 틀린 말씀 하심 2018년에 볼때 폭락은 없고 집값은 꾸준히 상승한다는 예측은 맞았음 결론 : 월세시대에는 집 사라
@user-nm1yb8ez8b
@user-nm1yb8ez8b 6 жыл бұрын
성공하기 싶었는갑네
@user-mh8qy9ps5g
@user-mh8qy9ps5g 3 жыл бұрын
전세 지금 없어져가긴 하죠 월세로 가는중인데 일본잘따라가고 있죠 얼른 집으로 버는 불로소득은 사라져야할텐데요
@arirangya
@arirangya 7 жыл бұрын
전월세 전환율이란 것도 집주인 혼자 정하는 것이 아니지요. 집주인이 은행빚만으로 집을 사서 월세를 놓는다는 상황을 가정했는데, 내돈 4억이 있는 사람을 가정하면, 은행에 맡기고 정기예금 2% 이자를 받느니 4% 월세를 받는 쪽을 택할 겁니다.
@moonkyoulee7153
@moonkyoulee7153 7 жыл бұрын
뭐 딴소리지만 많이 착각하시는게 있는데 대한민국 시장은 수요와 공급 보다는 국회의원 법안, 정부정책에 의해 돌아갑니다. 담배값, 단통법, 도서가격, 게임중독법(매출1%)등등 시장과 완전히 반대로 가고 있죠. 시장은 민주주의처럼 모두 똑같이 1표씩 가지는게 아니죠. 더 많이 가진자들이 더 많은 표를 가집니다. 그래서 많이 가진자들의 의도대로 흘러가게 됩니다. 강사님은 그게 연착륙이다. 라고 보는거구요. 그런데 외환위기, 금융위기같이 감당 못하는 일이 터지면 알 수 없는 방향으로 갑니다. 하지만 외환위기 터졌을때 부동산 반토막난거 2년만에 회복해서 더 올랐구요. 금융위기 때도 1년만에 다 회복했습니다. 저런 폭락에는 어짜피 집 못 삽니다. 직장을 잃거나 월급도 반토막 날꺼거든요. 집 살 수 있는 사람들은 2-3억 현금으로 써도 문제 없는 사람들이죠. 끝으로 우리나라 부동산은 일본 부동산 거품과 상당히 다릅니다. 일본 부동산 거품은 엄청난 경제 호황으로 넘쳐나는 돈이 부동산에 몰려서 생긴겁니다. 우리는 돈이 넘쳐난 적이 없죠. 그런데도 부동산이 오른건 너도나도 대출 받아서 샀거든요. 금리가 역대 최저니까요. 그래서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이 감당 못하는 일입니다만 급하게 올리지 못할테니 감당할거라 봅니다.
@user-iy7rg2ef8c
@user-iy7rg2ef8c 6 жыл бұрын
이 강의 나온 2016년 말에 집값 폭락한다고 개거품 물었던 사람들 ... 올해 하반기 이후 강남 30프로 오른 것 뭐라할까.. 부동산에 관한 신조는 각자가 처한 상황(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 갈린다. 근데 자산의 가격에 주는 영향은 그 자산의 미보유자 보다 보유자가 훨씬 크게 미친다. 집값 폭락을 외치는 분들은 한번 이라도 집가진 사람들 입장에 서보고 생각해보길..(쉽진 않겠지만..)
@kzero7518
@kzero7518 6 жыл бұрын
2016년도 이전 2010년 이후 집 산 사람들이 더 돈 벌었어요~ 이전에는 거품이라고 더 폭락한다라고 했던 사람 같은데 ~ 최진기 저사람 저 시기즘 집 산 모양이네 ㅋㅋ 저런거 보니.
@user-lm4kz8cl3h
@user-lm4kz8cl3h 7 жыл бұрын
댓글수준을 보니 판단은 본인이 하는것입니다 강의는 참고만하세요 아무도 책임져주지 않습니다 본인이 판단하고 본인이 책임지는것이니 정보를 잘 수집하고 종합해서 판단하고 실 행하시면 되지 정보주는 사람에게 왜 욕을하시는지 잘 이해가 안되네요
@user-ry3lq8hv5g
@user-ry3lq8hv5g 6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이나 주식은 매도 매수 타이밍이 중요하다 사고 팔고는 본인의 판단이고 서민은 내리길 바라고 부자는 오르길 바란다 문제는 고소득자가 늘고 국민 소득이 늘어나면 집값은 오른다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은 오른다
최진기의 투자교실 - 차트 분석 편 (2018)
18:12
오마이스쿨
Рет қаралды 621 М.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Dynamic #gadgets for math genius! #maths
00:29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전압이 위험할까 전류가 위험할까?
10:43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782 М.
[소방안전관리자] 6편 : 소방학개론 PART① | 2024 찐정리
48:35
챕스랜드 CHAEPS LAND
Рет қаралды 79 М.
[최진기의 뉴스위크 16강] 금리가 왜 중요한가
22:23
오마이TV
Рет қаралды 531 М.
전기기능사와 전기기사의 차이는 이렇습니다.
21:15
2024년도 세무사 시험 대비, 말문제 특강 공개합니다! 🔥특강자료 무료배포 중🔥|해커스 정윤돈
3:57:07
해커스 경영아카데미│세무사, 회계사, 경영지도사
Рет қаралды 84 М.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