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입자가속기 충전 완료, 암흑물질을 찾아라

  Рет қаралды 789,220

슈카월드

슈카월드

Жыл бұрын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블랙홀 #코리아늄

Пікірлер: 676
@monellycoco8675
@monellycoco8675 Жыл бұрын
경제 시사 금융이야기보다 더 재밌는 문과의 과학이야기
@jpcitypop
@jpcitypop Жыл бұрын
"과학얘기할때 더 재밌는 경제유튜버"
@user-wn4cc1bb2j
@user-wn4cc1bb2j Жыл бұрын
경제유튜버가 누구죠?
@user-sd6zi6mn3u
@user-sd6zi6mn3u Жыл бұрын
"초거대""입자가속기""암흑물질" 도저히 그냥 지나갈 수 없는 조합..
@user-wn8gw2eo6g
@user-wn8gw2eo6g Жыл бұрын
초거대는 왜 지나갈 수 없죵?
@user-yl7uj7tl1u
@user-yl7uj7tl1u Жыл бұрын
@@user-wn8gw2eo6g [충격,공포,기괴] 초거대 새우 발견! 미국이 깜짝놀라고 중국이 분노하고 일본이 부러워한 그 새우 “결국 한국을 이길 수 없는 것인가..”
@illiiiilllil
@illiiiilllil Жыл бұрын
ㄹㅇ 이걸 어케 참음..
@hyunsmusic3456
@hyunsmusic3456 Жыл бұрын
번외편으로 "초대형" "변신" "공룡" "로봇"
@dlwlsgmlhks1
@dlwlsgmlhks1 Жыл бұрын
@@user-wn8gw2eo6g 거유로 이어질 수 있잖아
@stanmulligan4098
@stanmulligan4098 Жыл бұрын
김영기 교수님과 같이 공부하신 동기분의 증언에 의하면 전날까지 같이 술마시고 꽹가리 치고 노시다가 다음날 시험에서 A+ 받던 전설적인 분이시라고..
@user-cs9ic1sm6z
@user-cs9ic1sm6z Жыл бұрын
슈카형의 이건못참지 시리즈 ㅋㅋㅋㅋ
@raputrs6234
@raputrs6234 Жыл бұрын
문과가 해주는 과학만큼 재밌는게 없다
@user-vj5pz1of6z
@user-vj5pz1of6z Жыл бұрын
유익한 혼종
@Cocacolago
@Cocacolago Жыл бұрын
진짜 말투 ㅈㄴ 웃기네 ㅋㅋㅋㅋㅋ
@bumge
@bumge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webjot
@webjot Жыл бұрын
ㅋㅋㅋ
@meattaste
@meattaste Жыл бұрын
딱 그정도까지만 재밌기때문임ㅋㅋㅋ 더들어가면 이제 뚝배기깨지는거지
@user-bm2xk6cj9m
@user-bm2xk6cj9m Жыл бұрын
이런 얘기할때마다 상상력을 더해서 설명해주시니 흥미롭네요
@Zero_Cola12
@Zero_Cola12 Жыл бұрын
역시 문과형. 이건 못참죠.
@nu9_sey0
@nu9_sey0 Жыл бұрын
10분 15분이라더니 22분 동안 해주는 우리의 슈카형 너무 좋아
@Yeoreumee
@Yeoreumee Жыл бұрын
이젠 15분 영상으로는 잠들 수 없는 우리들…
@user-qv1dh1pw4n
@user-qv1dh1pw4n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너무 좋다ㅋㅋㅋㅋㄱㅋㅋ 스릴 있다는 게 너무웃김ㅋㅋㅋㄱㅋ
@brianyoon4433
@brianyoon4433 Жыл бұрын
현직 물리학과 대학원생입니다. 저도 학부생때는 썬(CERN)가서 이론물리 하는게 꿈이었는데... 수학에 나름 자신있는편이었던 제가 표준모델 수식보고 이길은 내 길이 아니다는 생각이 팍 들어서 이론물리 포기하고 실험물리로 진로를 잡았어요. 입자물리에 대한 로망으로 물리학과에 도전했다가 공부하기도 어렵고 실적내기도 힘들고 만약 논문주제가 꼬이면 졸업도 꼬이고 인생 전체가 꼬일수도 있는 리스크때문에 섣불리 입자물리에 발 들이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그래서인지 이 분야는 진짜 걸러지고 걸러진 천재들이 모여있는 것 같아요
@gpark8019
@gpark8019 Жыл бұрын
토목도인데 동역학 배우다 친한 물리학과 친구가 보여준 고체물리학인지 보고 아/// 내가 하는건 개 ㅈ밥이구나 하는걸 깨달음 ㅋㅋㅋ 수고가 많으십니다..
@kimraymond2743
@kimraymond2743 Жыл бұрын
@@gpark8019 ㅕㅑㅑㅕㅕ9ㅐ
@user-fn1tk3kz2h
@user-fn1tk3kz2h Жыл бұрын
과거 입자물리학 현상론을 공부했던 사람입니다. 지금와서 보면, 저걸 어떻게 계산했지라는 생각이 드는 수식들이 있더군요. 그래도, 제 머리로 공부가 되었던 걸 보면, 어찌어찌 공부는 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닌가 생각이 들긴 합니다.... ㅎㅎ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Жыл бұрын
@@user-fn1tk3kz2h 지금 무슨 일 하시나요?
@emiliofermi9994
@emiliofermi9994 Жыл бұрын
서울대 물리학과 출신이신가요?
@user-xt4ii8qb5k
@user-xt4ii8qb5k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 지구과학 시간에 배운건대 ㅋㅋㅋ 볼떄마다 흑마법 같아서 좋아했음
@junokuma4790
@junokuma4790 Жыл бұрын
형 이런거 할 수 있는 유튜버 형이 젤 재밌어 ㅎㅎ 과학도 자주 다뤄주세요 최고!!!
@dongheekim8210
@dongheekim8210 10 ай бұрын
정말 너무 유익해요
@prsh0525
@prsh0525 9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limtae3793
@limtae379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형은 토픽 빌드업 짱이야
@HSK9134
@HSK9134 Жыл бұрын
물리학 전공하는 대학원생 친구가 말하기를 입자물리학의 가장 큰 떡밥이 사실은 힉스보다는 초대칭입자였고 LHC의 가장 큰 목적이 초대칭이었는데 그게 발견이 안 되다 보니 입자물리학이 상당히 힘들어지고 있었다고... 그래서 입자물리학은 답이 없는거 아니냐 막 이런 소리도 하고 그랬는데 이게 또 새로운 돌파구가 될려나 모르겠네요
@user-wn4cc1bb2j
@user-wn4cc1bb2j Жыл бұрын
초대칭 입자 찾아도 입자물리학은 답이 없습니다 입자 전공하는 교수님이 말씀하시길 "뭐가 이론이랑 좀 다른게 나와야 다시 연구를 하고 학문이 발전 하는데 너무 이론이랑 잘맞아서 입자 몇개 더 찾으면 완성되고 끝나버릴 분야다" 라더라고요 너무 잘 맞아도 문제래욬ㅋㅋㅋㅋㅋ
@prosecutor_jin
@prosecutor_jin Жыл бұрын
형 항상 영상 너무 잘 보고 있어요 원래 불면증에 누우면 기본 1시간이었는데 요즘은 형 영상 틀고 자면 10분 만에 잠들어요! ㅎㅎ 항상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luna1783
@luna1783 Жыл бұрын
자느라 안 본다는거잖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eah006
@Leah006 Жыл бұрын
@@luna1783 ㅋㅋㅋㅋㅋㅋㅋ
@WaterPharm
@WaterPharm Жыл бұрын
보면서 잠드는 행복 🙏
@user-qt3pq3jp2e
@user-qt3pq3jp2e Жыл бұрын
말투가 재밋지만 은근 지루한 일정한 톤이라 잠이 잘옵니다.
@Jang.C.W
@Jang.C.W Жыл бұрын
재밌는거 맞아요?? ㅎㅎㅎㅎ
@user-cz7zl9bs6s
@user-cz7zl9bs6s Жыл бұрын
유익해여
@user-cn2hb7gc3g
@user-cn2hb7gc3g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이용하는 인터넷 웹은 CERN에서 탄생한겁니다 그리고 라이센스를 무료로 풀었죠 세른 과학자들이 농담으로 하는말이 라이센스를 무료로 안풀었으면 연구비 걱정이 없었을텐데 라고 한답니다
@minseokwon6484
@minseokwon6484 9 ай бұрын
압도적 감사 ㅜㅜ
@ESC05
@ESC05 5 ай бұрын
근데 거긴 원래 걱정 안할것 같음 ㅋㅋ
@aazzxxrrdd
@aazzxxrrdd 5 ай бұрын
인터넷 최초의 이미지도 CERN 연구자들 여장한거 아니였나
@jibagmyo
@jibagmyo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당 :>
@peachblossom2421
@peachblossom2421 Жыл бұрын
진짜 말 잘한다
@user-et5eo5io5m
@user-et5eo5io5m Жыл бұрын
이런것에 돈을 쏟는 이유 지금 우리가 전기를 유용하게 쓰는것도 전자가 어떤 장에서 어떤 법칙에 따라 이동하는지 밝혔기 때문이죠 다른 기본입자들도 모든걸 알아내면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있는거죠 힉스입자가 힉스장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알게되면 질량을 없앨 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행복회로를 돌려보는거죠
@monaada5234
@monaada5234 Жыл бұрын
초광속으로가는 열쇠...
@MBTI_is_SUPERSTITION
@MBTI_is_SUPERSTITION Жыл бұрын
너무기대가 되는데요~?
@nightsky8079
@nightsky8079 Жыл бұрын
응용이 가능할지 몰라도 일단 연구부터 하고 보는게 기초과학의 자세지만 역사를 보면 어떻게든 응용이 돼왔긴 하죠 ㅋㅋ 별개로 우리가 실생활에서 느끼는 질량의 대부분은 힉스가 아니라 양성자 중성자의 쿼크들간 강력에서 오는거라 질량을 없애는 수준의 응용을 하려면 사실 여기부터 건드려야 할거에요. 물론 현재로서는 둘다 불가능할것처럼 보이네요 ㅋㅋ 중력장을 어떻게 조작한다는게 좀더 가능성 있을지도요?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과학자들은 순수한 호기심으로 연구하지만 연구하고 나면 엔지니어(기술자)들이 그걸로 현실적인 응용방법(돈벌이)을 찾는거죠. 참고로 기술자란 4년제 정규대학 학사학위를 가진 사람들을 말하는 건데 우리나라에선 일반 기능공, 손재주 좋은 장인들에게도 마구잡이로 기술자란 표현을 쓰고 있죠. 기술천대 인식이 그런데에서 나타남. 자연계 교수는 과학자(사이언티스트), 공학교수는 기술자(엔지니어) 입니다. 기술자라는 말이 잘못 사용되니까 공'학자'라는 말로 노가다와 차별을 두려고 다르게 부르기도 하죠
@user-zl6dg4qd8g
@user-zl6dg4qd8g Жыл бұрын
그게 가능하다면 싼타할배 선물꾸러미 만들수 있을듯 ㅋ
@keumduelhwang9792
@keumduelhwang9792 Жыл бұрын
슈카형 너무좋아!!!!
@AA-fc4fg
@AA-fc4fg Жыл бұрын
문과가 즐기는 과학엔 낭만이있다...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3:20 원래는 신의 입자(god particle)이 아니라 망할놈의 입자(goddamn particle) 이라고 쓴건데 편집자가 욕이라서 순화시킨다고 멋대로 god이라고 바꿔서 오히려 일반인에게까지 알려지게 되었다고 하네요
@brotherjin9725
@brotherjin9725 Жыл бұрын
블랙홀도 거의 욕에 가까운거임 애네들 홀로 욕을 많이 하니까..반대파가 그럼 블랙홀이다 ㅋㅋㅋ 이랬는데 다행이 퍼컹홀 아닌 바람에 쓰게 됐음 ㅋㅋㅋ
@T_H827
@T_H827 Жыл бұрын
빅뱅도 반대입장의 학자들이 "ㅋㅋㅋㅋ 겁나 크게 터져서 우주가 생겼대ㅋㅋㅋㅋ 그럼 빅뱅이냐?"해서 빅뱅...
@ssibal-why-hanguel-andoe
@ssibal-why-hanguel-andoe Жыл бұрын
슈뢰딩거 고양이도 비꼬려고 만든거 ㅋㅋㅋㅋ
@user-pb8vw9so9k
@user-pb8vw9so9k Жыл бұрын
이이 거리는거 토나오네
@22yy62
@22yy62 Жыл бұрын
@@user-pb8vw9so9k 이이
@user-fn1tk3kz2h
@user-fn1tk3kz2h Жыл бұрын
양성자를 바둑알로 설명한 부분 좋았어요. ㅎㅎ
@dustyattenborough9813
@dustyattenborough9813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의 경우 일정 문턱 크기를 기준으로 그보다 작을 경우 블랙홀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흡수하는 에너지보다 많아 흡수를 제대로 하기도 전에 소멸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소형 블랙홀의 경우 찰나의 시간에 소멸해버리므로 크게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AnnNyeon
@AnnNyeon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찰나의 시간에 지구가 사라져버리고ㅋㅋㅋㅋ
@Diamond_Hands7
@Diamond_Hands7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이 존재하는 시간보다 규모가 중요할 듯...ㅋㅋ
@user-km3sn7eq1y
@user-km3sn7eq1y Жыл бұрын
규모가 작으면 빨아들일수조차 없는데 뭔 찰나에 지구가 없어지니 시간이 안중요하니야
@Spartan-lg6hu
@Spartan-lg6hu Жыл бұрын
@@AnnNyeon KTX가 달리다가 날파리 쳤다고 선로 이탈해서 다 죽는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은 발상입니다ㅋㅋㅋ
@user-dw3sx7yk8y
@user-dw3sx7yk8y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이 문과. 조금은 안심이 되었습니다. 그래도 이과 여러분, 입자가속기 살살 돌려주실꺼죠~?
@alien2327
@alien2327 Жыл бұрын
가속기 다루는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가 돈을 말그대로 쏟아부어도 의미있는 논문 한편 나올까말까하는 빡센 분야다보니 많은분들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전국 전세계 곳곳에 숨은 인재와 고수분들의 도전이 정말정말 많이 필요합니다 ㅠㅠ
@user-jn4ny7gf1z
@user-jn4ny7gf1z Жыл бұрын
동종업계 동료신가..?
@dustyattenborough9813
@dustyattenborough9813 Жыл бұрын
고수가... 되고 싶습니다 선생님...ㅜㅜ
@apienss3563
@apienss3563 Жыл бұрын
입자가속기에서 논문이 쏟아져 나오지 않았나요? 제가 잘 몰라서 ㅎㅎ
@idontwanthandle759
@idontwanthandle759 Жыл бұрын
@@apienss3563 '의미있는'
@cho8963
@cho8963 Жыл бұрын
왜 이 자기장으로만 유지 되는가 빨리 천재가 나와서 판 엎던지 종지부 찍던지 했으면…
@perypell
@perypell Жыл бұрын
이야....코리아늄ko를 말하고 싶어서 이 많은 썰을....ㅋㅋㅋㅋㅋㅋ 대단하다 진짴ㅋㅋㅋㅋㅋㅋ
@user-ev5ou3ms9q
@user-ev5ou3ms9q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
@younghoonkahng5440
@younghoonkahng5440 Жыл бұрын
좀 더 스릴 넘치는 실험을!
@user-ms5le1wq4n
@user-ms5le1wq4n Жыл бұрын
1분전은 못참치~~
@Contentio_
@Contentio_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문과가 과학 이야기하고 이과는 감성에 빠지는거 같음ㅋㅋㅋㅋㅋㅋ
@kimminjongL
@kimminjongL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ㅋ
@user-ok3yp4lt8u
@user-ok3yp4lt8u Жыл бұрын
최악의 과학자는 예술가가 아닌 과학자이며 최악의 예술가는 과학자가 아닌 예술가이다 - 아르망 트루소
@user-no4mz5mo7n
@user-no4mz5mo7n 6 күн бұрын
​@@user-ok3yp4lt8u ㅋㅋ그럼 아인슈타인보다 중1들이 배우는 고전역학도 모르는 미대생이 더 대단한 과학자노?ㅋㅋ 비유도 비유같아야지 유명한 사람이 "너의 어머니는 매춘부다"하면 따라할 거노?
@QWERDF
@QWERDF Жыл бұрын
문과의 관점에서 이과를 보는게 잼있지...
@Fabulous-hj0428
@Fabulous-hj0428 Жыл бұрын
코리아늄 발견하면 뿌듯하겠네요 🥰
@user-kn9om6sb4h
@user-kn9om6sb4h Жыл бұрын
LHC에서 생성되는 미니 블랙홀이라고 하면 원자 크기의 약 1억분의 1의 크기를 가지고 수명은 약 10^-27초 정도 시간 안에 소멸합니다. 이런 미니 블랙홀은 수많은 우주입자가 지구 공기층과 충돌 할 때 생기기 때문에 입자가속기가 아니더라도 평소에도 지구 주변에 존재했다 소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Leah006
@Leah006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래서 Thc 를 자주 섭취하고 있습니다 💚
@user-fd1bh7tm6t
@user-fd1bh7tm6t Жыл бұрын
스릴을 즐길 것이다 ㅋㅋㅋㅋ 이거 미친 과학자 스토리잖아 ㅋㅋㅋㅋ
@user-nx5tk8cb7z
@user-nx5tk8cb7z Жыл бұрын
선댓글 후감상 가겠읍니다
@user-sn8uh1ew9m
@user-sn8uh1ew9m Жыл бұрын
현질 오지네 ㅋㅋㅋㅋㅋ 나올 때 까지 강화 ㅋㅋㅋㅋ
@ample-8596
@ample-8596 Жыл бұрын
한국이 KO 원소를 찾는 다는 건 처음 알았습니다. 어려울 수 있는 주제인데 쉽게 풀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큰 입자가속기를 안전하게 운용해서 인류 과학사에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랍니다. 많은 인재가 순수 학문을 발전 시키길 바랍니다. 감사해요.
@Arcterion_98
@Arcterion_98 Жыл бұрын
입자가속기 이건 공돌이들 못참지!!! 제목 참 잘 지어~~~🤩🤩🤩🤩
@elinettejo8347
@elinettejo8347 Жыл бұрын
모자 쓰시니까 귀여우십니다!
@voidcore8720
@voidcore8720 Жыл бұрын
슈카형 밀리터리 분야도 해주면 안될까
@user-dk1pn6tc9u
@user-dk1pn6tc9u Жыл бұрын
재밌어서 또봤네 ㅋㅋㅋ
@user-jc2yy9ul5f
@user-jc2yy9ul5f Жыл бұрын
빚투족 구제해주는대 120조 쓸바에 가속기나 만들어라
@billykim7179
@billykim7179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실험할 때 필요한 에너지는 다 계산해서 만들어져서 크기 키우는건 계산해서 하는거에요ㅋㅋㅋ
@REDMELL.
@REDMELL. Жыл бұрын
굿
@user-me4go9if8u
@user-me4go9if8u Жыл бұрын
히페리온 처럼 워프 탈 수 있는 비행체가 나왔으면 좋겠네요
@davidpark5749
@davidpark5749 Жыл бұрын
수헬리베붕탄질산나마알규인황염아카칼? 이였나? 상문에서 맞으면서 배우던게 엊그제 같은데...
@Teemo_Buff
@Teemo_Buff Жыл бұрын
12:39 래핑 오진다ㄷㄷ
@user-lz3fd1nj6q
@user-lz3fd1nj6q Жыл бұрын
4:13 이휘소 박사님에 대해서 더 자세한 내용은 안될과학 재생목록 과학자 열전에서 확인하세요 -
@hwang4017
@hwang4017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도 꼭 ko원소를 찾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진짜 어려운 주제를 문과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영상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점점 더 큰 입자가속기를 만들면 어떻게 될지 걱정이 되긴 하네요. 큰 일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seongminpark3610
@seongminpark3610 Жыл бұрын
5
@오리지널멜론
@오리지널멜론 Жыл бұрын
5
@user-vi5yl1pm7g
@user-vi5yl1pm7g Жыл бұрын
-3000원소요?
@user-gd9oh2xe1h
@user-gd9oh2xe1h 10 ай бұрын
은평구에 보시면 있습니다. ㅋㅋㅋㅋ
@1972cat
@1972cat 10 ай бұрын
​@@user-vi5yl1pm7g얘! 유튜브쟁이들은 코드립몰라 임마!
@user-gj6nf1iq8o
@user-gj6nf1iq8o Жыл бұрын
사실 초소형 블랙홀이 생기더라도 크기가 워낙 작을꺼라 호킹복사에 의해 순식간에 증발할꺼라 문제가 없습니다 ㅋㅋ
@brotherjin9725
@brotherjin9725 Жыл бұрын
하여튼 수박 겉핥기를 넘어 껍데기 핥기를 이렇게 재밌고 집중하게 만드나...말빨이 역시 중요함...ㅋㅋㅋ
@QWERDF
@QWERDF Жыл бұрын
이쯤되면 안될과학과 콜라보도....한번....
@ssibal-why-hanguel-andoe
@ssibal-why-hanguel-andoe Жыл бұрын
g식의 밤 보면 엄청 많이 함
@dustyattenborough9813
@dustyattenborough9813 Жыл бұрын
추가로 이전에도 계속 가속기의 에너지를 키워온 결과 up, down quark 와는 다른 flavor를 갖는 quark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애초에 입자 자체의 질량이 커서 어느정도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충돌기여야만 나올 수 있는 입자들 또한 존재하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의 가속기는 필요합니다 또한 top quark가 이전 낮은 version의 충돌기로는 발견 할 수 없었던 것처럼 추측하기로는 4번째 flavor이 있다면 더 높은 에너지 영역에서야 발견되리라 생각되고 있습니다
@kmondays
@kmondays Жыл бұрын
@@wtuwhwgwhwjwjw 고마워요 스피
@wook3013
@wook3013 Жыл бұрын
외국사시나요
@Diamond_Hands7
@Diamond_Hands7 Жыл бұрын
영국 사시나요
@user-gj1vr8ts5s
@user-gj1vr8ts5s Жыл бұрын
한국말 맞나?
@user-umop23erty
@user-umop23erty Жыл бұрын
쉽게 말해도 돼요 여기선 교수님이 혼 안냄
@user-jm1ww1wt9u
@user-jm1ww1wt9u Жыл бұрын
원소기호 114번 KO ??? 또 문과가 이걸... Ko 라고 써야지
@antares7856_
@antares7856_ Жыл бұрын
산화 칼륨 ㅋㅋ
@adjective999
@adjective999 Жыл бұрын
블랙홀 만들러 가즈아!!
@Kevin-ps9yf
@Kevin-ps9yf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이라.... 트랜스포머4에서 잠깐 들었던거 생각나네 임영웅 이후론 금요일 업로드가 끝인가? 8:28
@Johnny-be1gj
@Johnny-be1gj Жыл бұрын
한국산 신챔 출시 기대해 봅니다
@Snow_tp
@Snow_tp Жыл бұрын
세른 나올 때 단체로 엘 프사이 콩그루 치는가 왤케 웃기지 ㅋㅋㅋㅋ
@Seanoski1868
@Seanoski1868 Жыл бұрын
학교 이름으로도 있죠! californiun, berkelium
@kals8088
@kals8088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실험 규모를 키워가는 식이라니 스파이더맨2의 닥터 옥토퍼스가 생각나네요~ 영화에서는 뉴욕이 날아갈 뻔 했죠...
@user-fo8ms9nz7c
@user-fo8ms9nz7c Жыл бұрын
주제에 집착하는 유튜버 그 자체 ㅋㅋ
@jyahn8059
@jyahn8059 Жыл бұрын
힉스 입자는 사라진 게 아니에요.ㅋ 오히려 전 우주 어디에나 존재하는 겁니다. 입자 형태로 추출하기가 어려운 것 뿐이에요. 전 우주에 걸쳐 Higgs Field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대칭성을 가진 기본입자들이 질량을 가질 수 있는 겁니다. "신의 입자"란 이름도... 이게 워낙 발견하기가 어려워 "God Damn Particle"이라고 불렀던 걸 출판업자가 와전시켜 "God Particle"이 됐습니다 ㅋㅋ 한마디로... 문과생의 실수였던 겁니다 ㅎㅎ
@jijjjijiiijijiijiijjijjjijijj
@jijjjijiiijijiijiijjijjjijijj Жыл бұрын
뭐... 힉스장이 모든 입자에 질량을 부여해주니 착오가 기원이라고 해도 신의 입자로 부르는것도 틀린말은 아닐거같네요
@goxo3469
@goxo3469 Жыл бұрын
갓댐보다는 갓이 낫네요 ㅋㅋ
@jyahn8059
@jyahn8059 Жыл бұрын
@@goxo3469 ㅋㅋㅋㅋ 그렇긴 합니다. ㅎㅎ
@brotherjin9725
@brotherjin9725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사실 씨린에서 힉스 입자를 찾았다고 확신한게 아니라 힉스 입자로 추정하고 있는거죠 아직도 찾고 있죠...또 힉스 입자와 반응을 안하는입자는 또 빛입자 그래서 질량이 없음...하여튼 우주에 빠지면 너무 재밌음...
@jyahn8059
@jyahn8059 Жыл бұрын
@@jijjjijiiijijiijiijjijjjijijj 모든 입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건 아니고요... 힉스장 내에서 게이지 대칭성이 깨지는 기본입자에만 질량을 부여하는 겁니다. 빛의 입자인 Photon 이나 Gluon 같은 입자는 힉스장 내에서 Symmetry Breaking 이 일어나지 않고, 질량이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아는 모든 질량이 힉스장으로 인해 생기는 건 전혀 아닙니다. 양성자만 봐도 힉스장으로 발생하는 질량은 전체 질량의 극히 일부분입니다. 우리 몸에서 힉스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량은 10%도 안되구요. 그렇지만 힉스장이 없으면 상당수의 기본입자들이 질량이 없고 광속으로 날아다닐 테니 우주 자체가 성립할 수 없게 되긴 합니다. ㅎㅎ
@소금돌이
@소금돌이 Жыл бұрын
과학 못참지…!
@mondainwizard3216
@mondainwizard3216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입자 발견이 목표가 아니라 블랙홀 만드는게 실험 목적일수도
@user-qz1db2fh5n
@user-qz1db2fh5n Жыл бұрын
근데 우주개발해서 거주지를 확장하는거 보다 지구정화하는게 쉬울거 같은데... 참 세상은 재밌는거 같아.
@sivleke5033
@sivleke5033 Жыл бұрын
입자가속기는 물질 합성도 합니다 파괴해서 새로운 물질만 찾는건 아니라는
@rjw3737
@rjw3737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도 역시 재밌네요. 다만 일본이 미국식 명칭 저팬에서 비롯돼 저패늄이 아니라 스스로를 부르는 이름인 니혼에 늄을 붙여 니호늄이니 한국이 새로운 원소를 발견한다면 코리아늄이 아닌 한늄이나 대한민늄...으로 가는 게 맞지 않을까요 ㅎㅎ
@minholw3344
@minholw3344 Жыл бұрын
8:37 나도 회사서 곧이 곧대로 사실대로 모든 worst case를 곁들이며 이야기 해서.. 참 여럿 힘들게 하고 나도 힘들고.... 말을 참 잘하는 능력이 없으니.. 장비 붙잡고 밤새며 사는듯...
@user-om9rs7gg8x
@user-om9rs7gg8x Жыл бұрын
암흑물질 가즈아!
@user-ir8fv9pr5q
@user-ir8fv9pr5q Жыл бұрын
Thriller~~
@user-fy4iw1ke8z
@user-fy4iw1ke8z Жыл бұрын
게르마늄… 놀랍다
@graywolf9083
@graywolf9083 Жыл бұрын
우주가 내게 노래하고있어~~~
@frodos47
@frodos47 Жыл бұрын
8:55 여기서 thrilling이 그런 의미로 쓰이진 않았을텐데...
@user-yf4bw1qg4n
@user-yf4bw1qg4n Жыл бұрын
심슨에서 실수로 블랙홀 만들어져서 집에 숨겨놓는편 있는데 그게 여기서 온거구나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o2ny4uz2e
@user-yo2ny4uz2e Жыл бұрын
문과는 안전하게 해주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lsynavy
@lsynavy Жыл бұрын
쉬어 가는 타임....
@user-qw4hb8bh9w
@user-qw4hb8bh9w Жыл бұрын
잘한다.
@dgdrwweqwq
@dgdrwweqwq Жыл бұрын
머스크가 또 뭔가 했다는데 다뤄주세욘
@kwjeong5637
@kwjeong5637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때는 20번까지만 외우면 되요 ㅎㅎ
@gogang0729
@gogang0729 Жыл бұрын
입자가속기 빅히어로에서 본거같은 느낌이 오..저런게 실제로 있다니
@paranoidandroid6918
@paranoidandroid6918 Жыл бұрын
존버는 승리한다
@user-wz5rr4xc6w
@user-wz5rr4xc6w Жыл бұрын
최근에 슈타인즈 게이트를 다시 봤는데 이 제목을 어케 참아ㅋㅋㅋㅋㅋ
@epksg2322
@epksg2322 Жыл бұрын
원소갯수는 사실 이론상 한도 끝도 없음 번호가 커질수록 원자핵 단위에서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알아서 붕괴해서 낮은 번호의 원소로 바뀜 다만 110몇번쯤 가면 어지간한 동위원소는 너무 빨리 붕괴해서 의미가 없어서 안넣는거지
@user-gj8fv1mk6v
@user-gj8fv1mk6v Жыл бұрын
물리적으론 끝이 있죠.... 반발력을 잡아둘수있는 빅뱅상태의힘 이상태가 몇번인지는 몰라도...
@anbread4955
@anbread4955 Жыл бұрын
생긴게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나온 핌입자 양자영역에 들어가게 해주는 가속기?같네요 ㄷㄷㄷ 설마
@gobooki
@gobooki Жыл бұрын
최신 연구에는 암흑물질의 강력한 후보가 행성질량 블랙홀이라더군요...생각보다 은하에 이런 블랙홀이 많다는 연구가...
@sang-hiukkim3935
@sang-hiukkim3935 Жыл бұрын
이제 봤는데, "정답이다. 물리학자!" ㅋㅋㅋㅋ 밥 먹다가 빵터졌네. ㅋㅋㅋㅋ
@user-de6cy4is2r
@user-de6cy4is2r Жыл бұрын
태양만한 미니블랙홀이 은하마다 수십수백억개가 있다고 가정하면 암흑물질이 발견안된다고 해도 말이 되긴 한다고 하더라구요
@seungtaeyoue5464
@seungtaeyoue5464 Жыл бұрын
진짜 초 소형 블랙홀 = 끈사이즈의 블랙홀 = 끈이 감아서 무용하게 함. 인류가 언젠가 만들 최대형의 입자가속기는 지구 궤도엘리베이터를 연결하는 오비탈 링에 장착한 Earth Hadron Collider 가 되지 않을까? (걸리적거리는거도 많은 적도 바로 위가 아니라 거기서 수천키로 위의....직경이 수천키로 더 큰....) 거기 들어가는 자원이면 얼마여 ㄷㄷㄷ
@funfun6046
@funfun6046 Жыл бұрын
수헬리베붕탄질산플네나마알규인황 이야 아직도 기억나네.. 추억이다..
@limefantasia3952
@limefantasia3952 Жыл бұрын
아 슈카형이 이걸 예시로 못들다니 참 아쉽군요. 아이언맨2에 토니 스타크가 입자가속기를 만드는 장면이 나옵니다. 중후반부 팔라듐 대체 물질을 만들때 나오는데, 뭐 역할은 좀 다르고, 현실적으로 그정도 규모로 구현할수 있는건 아니지만 형태와 구동방식은 LHC에서 모티브를 따온거니 예시로 들어왔다면 좋았을거 같네요 ㅋㅋㅋㅋ
@user-xu5ti2kh7g
@user-xu5ti2kh7g Жыл бұрын
어쩔...티비
@deadliest9779
@deadliest9779 Жыл бұрын
@@user-xu5ti2kh7g 씹니덕사는 피해갔어야죠
@ju_yeong
@ju_yeong Жыл бұрын
그게 입자가속기였던 건 처음 알았네요
@user-kb4tk2cw4f
@user-kb4tk2cw4f Жыл бұрын
결론은 저거 찾아서 뭐하는 거죠?? 저걸로 뭘 만드는건가요
@enslow
@enslow Жыл бұрын
엘 프사이 슈카루... ー 슈카인즈 게이트
@SJLee-qi9kc
@SJLee-qi9kc Жыл бұрын
23분 내도록 오른쪽 채팅창은 슈타인즈 게이트 드립의 향연.. 그정도로 대세겜이었나? 스토리 갓겜이긴 한데
@So_ri
@So_ri Жыл бұрын
슈카형 왜 문과에서 이과로 이전했어요??
@No_see
@No_see Жыл бұрын
하 지날갈수없는 제목이야.....
@broj6739
@broj6739 Жыл бұрын
KO, 멜로디를 만드는 주재료로 초반 시작하는 아마에게 좋타.
인류는 무한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까
28:1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40 М.
Khóa ly biệt
01:00
Đào Nguyễn Ánh - Hữu Hưng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ROCK PAPER SCISSOR! (55 MLN SUBS!) feat @PANDAGIRLOFFICIAL #shorts
00:31
미국 국회에서 벌어진 UFO 청문회
24:0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개인이 세계 1위 우주 로켓 회사를 만들 수 있을까?
39:04
AI가 인간을 능가하면 벌어지는 일들
30:3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803 М.
지구를 지켜라! NASA 소행성 궤도 변경 성공
18:0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544 М.
500년 만에 발견된 영국왕 리처드3세의 유골
29:0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Студия төрінде жобамыздың жемістері!
1:17:44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355 М.
ToRung short film: 🙏baby save water😍
0:28
ToRung
Рет қаралды 40 МЛН
ВОР В ЗАКОНЕ ЗАШЕЛ В ХАТУ #лучшеекино #лучшиесериалы
0:59
САМЫЙ СЧАСТЛИВЫЙ ПАРЕНЬ 😂😂
0:48
TwoR FILMS
Рет қаралды 814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