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블 망원경의 뒤를 잇는 새로운 우주 망원경 "제임스 웹" 발사

  Рет қаралды 1,324,065

슈카월드

슈카월드

2 жыл бұрын

슈카월드에서 책 관련 보조작가님을 모십니다.
"antok.co.kr/notice/341195" 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JamesWebbSpaceTelescope #NASA

Пікірлер: 965
@syukaworld
@syukaworld 2 жыл бұрын
슈카월드에서 책 관련 보조작가님을 모십니다. "antok.co.kr/notice/341195" 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MrSaltydog00
@MrSaltydog00 2 жыл бұрын
¹
@user-zg5zg6ir7n
@user-zg5zg6ir7n 2 жыл бұрын
앙톡?..
@fischergraham678
@fischergraham678 2 жыл бұрын
작가님 마난경아닙니다. 발음 고쳐주세요.
@huniyuni3866
@huniyuni3866 2 жыл бұрын
@@user-zg5zg6ir7n ㅡ5
@mangwonfish
@mangwonfish 2 жыл бұрын
사장이된 슈카의 모습은 직원들에게 어떻게 비춰지는지 궁금하네
@gregorypaek284
@gregorypaek284 2 жыл бұрын
현직 천문학자입니다 엄청난 이벤트인데 슈카님이 그 엄청남을 쉽고 재밌게 잘 설명해주셔서 너무 좋네요 😊 감사합니다 재밌게 봤어요
@user-trutht2727
@user-trutht2727 2 жыл бұрын
@@user-pz6tq6hv7v 잡았다 요놈
@KHelloer
@KHelloer 2 жыл бұрын
현직 망원경으로 전직해주세요
@hbboggolroom
@hbboggolroom 2 жыл бұрын
달이 치즈로 만들어져있는게 정말 사실인가요?
@hdl7982
@hdl7982 2 жыл бұрын
낭만적이네요
@user-dr5pv7pt8x
@user-dr5pv7pt8x 2 жыл бұрын
저는 허블 망원동입니다 망원동 집값 더 올랐으면 좋겠네요
@hkim9020
@hkim9020 2 жыл бұрын
항공우주분야 사람이에요. 슈카 보면 참 재밌어요. :) 한국도 저런 기술에 근접하는 일들을 얼른 하는 날이 오면 좋겠어요
@SeoulClass
@SeoulClass 2 жыл бұрын
우주 이야기 하니깐 채팅창이 초심으로 돌아와서 너무 좋아 ㅋㅋㅋㅋㅋㅋㅋ
@HoodBooks
@HoodBooks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우주엔 좌우가 없으니ㅋㅋ
@user-vl2sy1mw9q
@user-vl2sy1mw9q 2 жыл бұрын
좌우 거르고 우주앞에선 인류의 발자취니까 ㅋㅋ
@young1191
@young1191 2 жыл бұрын
왜냐면 우주는 우리를 겸허하게 만들기에 ㅋㅋㅋ 좌우건 우주앞에선 쓸데없는 말장난
@gegegec
@gegegec 2 жыл бұрын
우주 앞에서는 소련과 미국도 탐구만 해도 바쁘니
@lemonude3526
@lemonude3526 2 жыл бұрын
좌로가도 우로가도 한낱 점일뿐 ㅋㅋㅋ
@asterisk735
@asterisk735 2 жыл бұрын
22:06 열에 약하다는게 내구성이 약하고 망가지는게 아니라 적외선을 관측하기 때문에 열원이 있으면 관측이 되지 않습니다. 잘 관측하기 위해 차단하는 것이지 내구성때문은 아닙니다 26:40 1000광년 떨어진 행성의 분자를 확인할 수 있다는건 분자를 볼 수 있다는게 아니라 분자가 내는 빛을 통해 어떤 원소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고 외계인이 있어도 이미지로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가장 가까운 외계행성조차 그 모양을 볼 수는 없어요
@MYSY536
@MYSY536 2 жыл бұрын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2 жыл бұрын
라그랑주포인트가 가장 이상적이라서 태양을 공전
@seaglass00
@seaglass00 2 жыл бұрын
슈카형은 뭔가 본업 같은 경제,시사 말고 이런 삼천포로 빠지는 주제 얘기할 때 진심 신나보이드라
@xz6379
@xz6379 2 жыл бұрын
싸움이 안나서인듯..
@Noheebum
@Noheebum 2 жыл бұрын
민감한 주제가 아니라서 ㅎ
@naga7647
@naga7647 2 жыл бұрын
양측 눈치볼 필요가 없으니까 ㅋㅋ
@msk6276
@msk6276 2 жыл бұрын
아폴로 음모론자 이런사람들은 싸우겠지
@gangchanhyeog
@gangchanhyeog 2 жыл бұрын
게임...
@user-np7gt7yg3p
@user-np7gt7yg3p 2 жыл бұрын
자기 나라 세금으로 돈 쏟아부어서 만든걸 전 세계사람들과 공유와 연구를 하고 자료까지 누구나 볼 수 있게 공개하는 미국이라는 나라는 참 대단한것 같다.
@304sus7
@304sus7 2 жыл бұрын
정확히는 펀딩받아요 펀딩 금액순으로 1년중 며칠 쓸수있구요 자료같은경우 보통 전세계가 3~5년 뒤 공개해요 중국빼고.... 물론 미국이 세계적으로 다른 나라들 연구에 도움을 주는건 맞아요 조언도 해주고요
@user-ng5mo1uc9t
@user-ng5mo1uc9t 2 жыл бұрын
서양의 이런 공공선을 위한 논문 발표 공유 문화가 현대의 과학을 만들었지 않나 생각합니다. 동양은 그런거 없죠.
@coram37
@coram37 2 жыл бұрын
@@user-ng5mo1uc9t 그렇지 지금의기술 미국이 기술(컴퓨터,gps등등)틀어잡고있었다면 아니면 돈을 받고 사용료내라고했다면 중공포함 나머지 국가들은 그냥 원시시대에 살고있겠지
@user-yw1eh2ms6g
@user-yw1eh2ms6g 2 жыл бұрын
미쿡이란나라는 정말.. 50년전에 달착륙하고 40여전전에 보이저발사해서 아직도우주로날아가고있고 30여년전에 우루망원경발사하고 대단하다 대단해
@bagdouche9236
@bagdouche9236 2 жыл бұрын
주변선진국들 다 로켓 쏴올리고 심지어 민간업체에서도 이착륙까지 해버리는 판국에 유일하게 실패한 노벨과학상0개 자칭 k-우주강국 ㅋㅋ 그저 대단하다! 선진호소국!
@floatinginuniverse_
@floatinginuniverse_ 2 жыл бұрын
@@bagdouche9236 왜이래
@mrdragonrider
@mrdragonrider 2 жыл бұрын
수학에는 오리가미 수학이라는 게 있습니다. 사실 3차원 상의 기하학은 수학에서 더 이상 이슈가 없는 영역인데 종이접기로 3차원 형태를 만드는 건 풀어야 할 숙제가 많습니다. 쉽게 설명하지면 종이접기는 접은 선 없이는 모양을 만들 수 없고 많이 접어서 형태를 만들다 보면 선과 선이 교차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한 종이 면이 다른 종이 면을 뚫고 나올 수 없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피하면서 어떻게 원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느냐는 게 문제인거고 그게 오리가미 수학입니다. 과거 허블 그리고 지금의 제임스 웹은 모두 이 오리가미 수학에서 나온 원칙들을 활용해서 접어 우주로 날려 보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YTnugunga44
@YTnugunga44 2 жыл бұрын
이런 학문도 있다는 건 몰랐네요. 정말 흥미로운 주제이지만 수알못이라 손대지는 않겠습니다
@mrdragonrider
@mrdragonrider 2 жыл бұрын
@@YTnugunga44 지금 세상은 빠르게 2D에서 3D로 전환되는 중이죠. 그런데 흥미로운 건 모든 3D를 만드는 3D 모델링이 쉽게 말해 디지탈 종이접기라는 거죠. 오리가미 수학을 잘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이해하는 사람으로서는 정말 이해 불가한 상황인거죠. 애를 들어 종이접기로 완벽한 원을 만든다고 생각해 보면 사각형을 쪼개 팔각형으로, 다시 16각형, 32각형 이런 식으로 잘게 쪼개다 보면 미분으로 무한대에서 완벽한 원이 만들어집니다. 문제는 원을 만들면서 엄청나게 많은 면들이 만들어지고 그걸 컴퓨터가 일일이 계산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겠죠. 그래서 현재의 3D는 컴퓨터 용량을 엄청나게 잡아먹습니다. 그리고 오리가미 수학에 입각해 보면 엄청나게 많은 기하학적 문제가 야기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3D는 많은 인간 노동력을 요구합니다. 물론 이런 상황때문에 AI 시대에도 3D 쪽은 AI가 넘볼 수 없는 인간만이 가능한 영역으로 남는 장점도 있을 수 있겠지만요.
@coolswimman
@coolswimman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야기 풀어내는 능력은 최고여 같은 내용을 여기서 들으면 그렇게 신기하고 재미있음
@YTnugunga44
@YTnugunga44 2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때 학교에서 미국 놀러갔는데 그 때 나사 방문해서 유리 한 장 차이로 직접 제임스웹 보고 왔습니다. 지상에 있는 천체망원경들이 넘사벽으로 커서 그렇지 저것도 정말 엄청 크더라고여. 슈카님이 보여주신 자료화면도 보시면 알겠지만 너무 민감한 장치다 보니 먼지 하나 앉으면 안돼서 극도로 밀폐된 공간에서 제작된다고 하더라고여. 그게 벌써 몇년 전 일인데 이제야 올라간다니까 반갑네요. 제임스웹이 빨리 올라가서 우리 우주의 법칙을 찾는데 일조했으면 좋겠네요.
@user-hk3un7sz5z
@user-hk3un7sz5z 2 жыл бұрын
허블망원경 오차가 2.2마이크로미터였는데 먼지 하나면 그거보다 커서 큰일날듯 ㅋㅋ
@user-nx4dv1pb2v
@user-nx4dv1pb2v 2 жыл бұрын
대체 무슨 고등학교가 미국으로 놀러감? 후덜덜덜… 금수저 고등학교인가
@tsjake2278
@tsjake2278 2 жыл бұрын
@@user-nx4dv1pb2v 과고는 미국으로 수학여행 갑니다
@user-bt2tu8pm4o
@user-bt2tu8pm4o 2 жыл бұрын
@@tsjake2278 그럼 비행기값 본인이 부담해요?
@eliott5121
@eliott5121 2 жыл бұрын
자사고도 방학때 미국으로 탐방감
@user-ez4me3sy8h
@user-ez4me3sy8h 2 жыл бұрын
어려운걸 쉽게 설명하는건 그만큼 본인이 이해를 잘 해야한다는데. 다양한 어려운 주제를 풀어내는걸 보면 슈카형은 찐 천채같음.
@zackgreinke2382
@zackgreinke2382 2 жыл бұрын
경제 컨텐츠 제외하고 정말 최고의 내용이었음...간만에 정말 가슴이 웅장해지는 느낌이었음
@thesmarts8426
@thesmarts8426 2 жыл бұрын
어려운 분야에도 열심히 자료 만들어준 슈카에게 찬사를~
@KR_Iron_maker
@KR_Iron_maker 2 жыл бұрын
이런거 설명해주는 슈카 진짜 최고다
@user-du2fu4gt7m
@user-du2fu4gt7m 2 жыл бұрын
제가 초등학생 때부터 발사한다 안한다 말 많더만 벌써 대학교 졸업을 앞두고 발사하네요. 과연 제임스 웹은 어떤 우주의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줄까요. 정말 기대됩니다.
@user-vw3gf9yn2w
@user-vw3gf9yn2w 2 жыл бұрын
30년 전의 허블 망원경도 대단한데, 현재의 기술을 집약한 망원경 성능은 어떨지 진짜 기대되네요
@user-nc6ih3hr6h
@user-nc6ih3hr6h 2 жыл бұрын
실패 가능성도 큼....
@coffeelakelife
@coffeelakelife 2 жыл бұрын
광학기술은 그때보다 별로 발전이 없어요. 다만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정보기술의 발전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user-mt4oe2yx2d
@user-mt4oe2yx2d 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진 완전성공적인데 사진 어케나올지 넘 궁금하다
@StingTV
@StingTV 2 жыл бұрын
과학 이야기도 너무 재밌게 말씀하셔서 시간가는줄 몰랐습니다 ㅎㅎ
@user-tw2dw3ho2f
@user-tw2dw3ho2f 2 жыл бұрын
이야 이런 거까지 설명해주는 슈카형 너무좋다!
@soonmandu6583
@soonmandu6583 2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게 봤어요. 슈카형님 감사합니다~😁👍
@user-vt3fm1gg2u
@user-vt3fm1gg2u 2 жыл бұрын
슈카님 가끔씩 이렇게 과학 썰도 풀어주세요. 엄청 재밌어서 내용이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user-zn2kv7oq9l
@user-zn2kv7oq9l 2 жыл бұрын
최근 슈카님 썰 중에서 제일 재밌었어요..
@simpsonbro7
@simpsonbro7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이야기까지 이토록 재미나고 알차게 소개할수 있단게 정말 대단한듯
@user-qd8yr1hm6v
@user-qd8yr1hm6v 2 жыл бұрын
23:55 L2는 라그랑주점 2번으로 지구와 태양간의 중력모멘트 합이 0이되는(알짜중력) 위치 중 하나로서 저 곳에 위치하는 물체는 상대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그렇게하여 지구와위 상대적인 위치가 언제나 고정이 됨으로 저기에 위치해야만 언제나 태양을 등지고 있는 것이 가능합니다.
@taewoo_kim0
@taewoo_kim0 2 жыл бұрын
완전 고정은 아니라서 약간씩 쉬프트 할 연료가 있습니다. 연료 안쓰면 팅겨져 나갑니다. ㅎ 계획은 10년치인데 아껴쓰면 20년 운용가능하다네요.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2 жыл бұрын
라그랑주포인트
@user-qu1jf9uy3m
@user-qu1jf9uy3m 2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스페이스 오페라장르가 왜 인기 많은지 알겠음 우주를 대하는 온도차가 확실히다를듯 저절로 고개가 숙여지는 나라 존중으로
@etoilepetit5671
@etoilepetit5671 2 жыл бұрын
슈카형 과학이나 지리, 시사 등 상식 얘기해줄때 너무좋음 ㅋㅋ
@posterouspre8333
@posterouspre8333 2 жыл бұрын
슈카형 망원경을 마낭경 으로 발음하는거 너무 귀여움 ㅋㅋㅋㅋㅋㅋ
@Korean_Dubbing_movie
@Korean_Dubbing_movie 2 жыл бұрын
진심, 좋은 내용입니다...........게다가 재밌기까지.
@sweettaengtaeng721
@sweettaengtaeng721 2 жыл бұрын
16:40 넷플릭스에 “블랙홀 사건의 지평선에서” 라는 다큐를 보았는데 오늘 영상보나 그때 흥미로웠던 장면들이 떠오르네요. 6세 아이와 함께 보았는데 아이가 다큐를 본 후에 커다란 벽에 M87과 사건의 지평선을 그리고 지금까지도 블랙홀에 대해 자주 이야기 합니다. 다큐가 유익해서 우주에 관심 많은 아이에게 추천합니다.
@user-vh2sj2eb3d
@user-vh2sj2eb3d 2 жыл бұрын
캬 슈카님이 설명하는건 어떤거든 다 쏙쏙 들어오네 ㅋㅋㅋㅋ
@santa_pure
@santa_pure 2 жыл бұрын
몰랐던 정보알고 너무 좋다!!!
@user-bm2xk6cj9m
@user-bm2xk6cj9m 2 жыл бұрын
잘 설명해주셔서 재밌게봤습니다 감사합니다!
@YJBang
@YJBang 2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우주를 관찰하는건 그 느낌이 마치... 내 간세포에 있는 미토콘드리아가 세포라는 존재를 알아내고, 이 세포들이 모여있는게 간이라는 신체기관을 이루고있다는걸 알아내고, 그 신체기관이 간만 있는게 아니라 위.뇌.소장 등등이 있다는걸 알고 그 기관들이 다 집합되어있는게 인간이라는걸 알아내고, 그 인간이 한명이 아니라는걸 알아내는 느낌
@johnburr4844
@johnburr4844 2 жыл бұрын
오늘 주제 최고였습니다. 정말 재밌게 봤네요.
@user-uv7ug1du4n
@user-uv7ug1du4n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deep field 관측은 1996년에 이루어졌습니다. 전에 Cape Canaveral Kennedy Space Center에 가 본적이 있는데 우주탐사에서 희생된 영웅들의 흉상 동판을 보고 가슴이 뭉클했습니다. 케네디가 인류를 달에 보내겠다고 하는 비디오 영상과 전시된 실물 우주왕복선을 보고 미국이 대단한 나라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user-qg5xm4yk6u
@user-qg5xm4yk6u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공부했습니다.
@user-bs9ki5no3p
@user-bs9ki5no3p 2 жыл бұрын
많은 정보 고맙습니다~~
@user-mz5nh4ft9u
@user-mz5nh4ft9u 2 жыл бұрын
방구석에서 보는 우주도 멋집니다. 이런 코덴츠 좋아요. 슈카형 사랑해!
@user-fo7us6jf7g
@user-fo7us6jf7g 2 жыл бұрын
오늘 아침에 기사를 봤는데 다루셨군요! 테니스장 크기라 했을때 감이 잘안왔는데 사진으로보니 진짜 크네요. 문제없이 잘 펼쳐져서 우주의 신비에 더 다가갔으면 좋겠습니다.
@THOMAS-ep5pl
@THOMAS-ep5pl 2 жыл бұрын
이야..오늘 내용 진짜 재밌고 고퀄에 죽여주네요. 최고네요.
@kinglion5036
@kinglion5036 2 жыл бұрын
진짜 꼭 성공해서 더 확실한 사진보고싶다..우주는 정말 넓고 우리는 진짜 광안리해수욕장 전체 모래의 제일 작은 모래보다 작을듯
@user-zr6is1vo8e
@user-zr6is1vo8e 2 жыл бұрын
과학 이야기도 너무 재밌네여!!! 요즘 슈카님 영상 올라오기만을 기다립니다.
@themepark8845
@themepark8845 2 жыл бұрын
형 덕분에 매주말은 즐거움 상식/지식도 늘어나고~ 100세까지 화이팅!
@ohjungtek
@ohjungtek 2 жыл бұрын
우주는 언제나 두근거리네요^^ 좋은 정보와 재미 감사합니다
@jsonastar3677
@jsonastar3677 2 жыл бұрын
12월에 본 것 중에 가장 베스트야 횽. 진짜 잼나네...ㄷㄷ한 우주
@taewoo_kim0
@taewoo_kim0 2 жыл бұрын
과학을 전달하는 사람으로서 이런 컨텐츠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소 잘못된 내용이 있지만 아무튼 190만 구독자를 보유한 슈카 흥해라!! 망원경 -> 마난경 놉!!!
@wook2096
@wook2096 2 жыл бұрын
다소 잘못된 내용 알려주세욤
@sungin_oh
@sungin_oh 2 жыл бұрын
@@wook2096 직접 찾아봐도 재밌을듯!
@user-jn3er2os7d
@user-jn3er2os7d 2 жыл бұрын
@@wook2096 가령 제임스 웹 망원경에 태양 가림판을 설치하는 이유를 이 망원경이 열에 약해서 라고 설명했는데 그게 아니고 태양으로부터 오는 적외선을 철저히 차단하기 위함입니다. 제임스 웹은 먼 우주 공간에서 오는 극히 미약한 적외선을 관측하는게 목적인데 태양의 적외선은 너무 강해서 망원경 뒤쪽에서 오는 것 조차 큰 노이즈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이 문제가 심각함. 옥의 티는 몇개 더 있는데 제임스 웹을 우주왕복선에 실어서 발사한다고 한 것 등
@wook2096
@wook2096 2 жыл бұрын
@@user-jn3er2os7d 감사합니다 :)
@SHYoons
@SHYoons 2 жыл бұрын
아 이 댓글 때문에 계속 마난경이라고 들렼ㅋㅋㅋ 존웃이넼ㅋㅋㅋ
@abc7606
@abc7606 2 жыл бұрын
모두의 꿈을 싣고 올라가네요 꼭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Sky79love
@Sky79love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내용이네요
@user-pe5pc1kt8c
@user-pe5pc1kt8c 2 жыл бұрын
이런 일이 있었군요. 한번에 정보를 얻게 되어 감사합니다.
@HALO_LAMP
@HALO_LAMP 2 жыл бұрын
들으면 들을수록 이게 말이 되나 싶네요 ㅋㅋㅋㅋ 진짜 미국은 미쳤어...!!!
@kins1890
@kins1890 2 жыл бұрын
190만 축하드립니다~
@gdh53
@gdh53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350q8
@350q8 2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명해 주시니 넘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구독 꾹~
@secondcloset
@secondcloset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생방 재밌으면서 뭔가 가슴이 웅장했음
@user-yx6kq2bz1r
@user-yx6kq2bz1r 2 жыл бұрын
어떤 갈등이건.. 경제위기건.. 우주 앞에서는 겸허해지네요 이래서 슈카가 마지막에 이걸 주제로 삼았는지도
@lotto_
@lotto_ 2 жыл бұрын
매번 재밌게 보고 있어요. 심지어 스트리밍 화면을 그대로 저장해놨다가 하루하루 보고 또봅니다. ㅎㅎ 아.. 제임스 웹 발사...이 주제는 너무 재밌어요. 근데 약간 거슬리는게... 망원경인데 만원경이라고 말씀하시네요. 우리 슈카님 딕션이 너무 좋으셔서 "만"원경이 자꾸 거슬려용 ㅋ 😀 사.. 아 니... 좋아합니다. 슈카님...
@NeobJuk
@NeobJuk 2 жыл бұрын
과학얘기 조아용!!
@user-yx4uv9lh8d
@user-yx4uv9lh8d 2 жыл бұрын
지구과학을 제일 좋아했는데 지금은 다른 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이렇게 소식을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네요!!
@gydidtksaotejowl6006
@gydidtksaotejowl6006 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지구과학이랑 천문학은 아주 다른 학문입니다 한국에서의 인식은 안그렇지만 천문학 자체가 너무 큰 학문인데 한국에선 그냥 지구과학 과정에 껴놓죠
@syiw5483
@syiw5483 2 жыл бұрын
@@gydidtksaotejowl6006 근데 물리학,화학,생물학에 비해 지구과학이랑 천문학은 인기가 적어서 ㅠ.ㅠ 결국 분량상 어쩔수 없이 합친거죠… 천문학은 지구과학보단 오히려 물리학이랑 가까운데…
@josephyoon845
@josephyoon845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다만 내용중 한 가지 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26:33 이 부분에 1000광년이 9조 5천억km라고 나와있는데.. 1000광년이면 9500조 km입니다. 1광년이 9조 5천억 km이구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yunkulee992
@hyunkulee992 2 жыл бұрын
썰이 너무 좋은 슈카씨 ㅋ
@user-vz6fh7qi1r
@user-vz6fh7qi1r 2 жыл бұрын
전혀 생각해본적도 없고 관심도 없는 분야인데도 슈카가 말하니 재밌게 보게 됨 ㅋㅋ
@mpluto3907
@mpluto3907 2 жыл бұрын
슈카월드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후속작 망원경은 유클리트 우주 망원경(2022년 발사 예정),낸시 그레이스 로만 우주 망원경(2025년 발사 예정)이렇게 있는데 낸시 그레이스 로만 우주 망원경이 발사되면 허블 우주 망원경은 퇴역한다네요. 그리고 LUVOIR 우주 망원경(2039년 발사 예정)이 있고요.
@asterisk735
@asterisk735 2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의 후속이라기 보단 그냥 다른 종류의 우주망원경이에요. 각자 관측하려는 파장이 다릅니다
@mpluto3907
@mpluto3907 2 жыл бұрын
@@asterisk735 정확하게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후속작이죠. 유클리트 우주 망원경하고 낸시 그레이스 로만 우주 망원경 자체가 허블 우주 망원경을 대체하려고 만든거니까요.
@asterisk735
@asterisk735 2 жыл бұрын
@@mpluto3907 유클리드는 유럽에서 만드는거라 hst 후속의 느낌보다는 유럽천문학자들을 위해 만든 우주망원경 느낌이 강하고 낸시 그레이스 로만은 sdss같은 survey 중점의 망원경이라 hst를 대체한다는 느낌은 아니에요. hst가 하는 일들은 이제 지상의 초거대망원경이 adaptive optics로 비슷한 역할을 하고 이후의 우주망원경들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올라갑니다.
@mpluto3907
@mpluto3907 2 жыл бұрын
@@asterisk735 감사합니다 유클리트 우주 망원경이 아니라 낸시 그레이스 로만 우주 망원경만 허블 우주 망원경의 후속작이였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annelee2533
@annelee2533 2 жыл бұрын
굿! 좋아요!
@harrisonlee5396
@harrisonlee5396 2 жыл бұрын
호기심을 자극하는 정말좋은 설명입니다 감사합니다
@scm8062
@scm8062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봤습니다ㅎㅎ
@user-ms4oh1ye6b
@user-ms4oh1ye6b 2 жыл бұрын
슈카월드는 못참지
@eugenelu6450
@eugenelu6450 2 жыл бұрын
진짜 저거 만들면서 천문학자들하고 이론물리학자들 외 많은 사람들은 새로운 발견에 대한 기대가 얼마나 클까..
@science-study
@science-study 2 жыл бұрын
내용을 잘 전달해주시네요 재밌게 잘봤습니다 지구과학I에 나오는 마난경 ㅜ 죄송 댓글때문에 귀에 자꾸 ㅎㅎ 너무 잘봤어요 최고입니다
@user-gd7rg8fb1c
@user-gd7rg8fb1c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시간 가는지 모르고 봤네요
@mpluto3907
@mpluto3907 2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수리는 나중에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로 루나 게이트웨이가 달에 띄워지면 수리할수 있을것 같네요.
@KIM_Yoon_76
@KIM_Yoon_76 2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 재밌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bethebrave
@bethebrave 2 жыл бұрын
어릴적에 백과사전 읽는게 취미였는데 백과사전 보다 더 다양하고 재미있네요. 슈카월드 관계자분들 짱짱짱!!! 👍👍👍👍👍
@user-bf6yl7eq7q
@user-bf6yl7eq7q 2 жыл бұрын
다양한주제의 재이있는 정보전달~!
@HyunLgillmour
@HyunLgillmour 2 жыл бұрын
망원경을 자꾸 마낭경이라고 발음하는게 같은세대임이 확 드러나네여 ㅋㅋ 어릴때 어른들이 다 마낭경이라고 발음했었음 ㅋ
@udtt_toy_clinic
@udtt_toy_clinic 2 жыл бұрын
허블 마난경. 제임스웹 우주 마난경 너무 기대되네요. 희안하게 망원경은 왜 마난경으로 읽게되는건지 궁금하네요 ㅎㅎ
@hjlee437
@hjlee437 2 жыл бұрын
너어무 재밌네요. 감사!
@GreatX
@GreatX 2 жыл бұрын
가슴이 설레네요... 감사합니다!!! ^^
@lens114
@lens114 2 жыл бұрын
와 어떻게 이렇게 전문적인 내용을 쉽고 재미있게... 허블망원경을 수리했다는 것도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역사만 재미있게 풀어주시는 줄 알았는데... 구독 추가합니다. 고맙습니다.
@allalbavincero9162
@allalbavincero9162 2 жыл бұрын
9:50 핵심장면1 사용할 곳 많은데 왜 빈 공간을 찍냐고 반대의견이 많았다고 하죠 그런데 빈공간일줄 알았는데 은하로 빼곡 하다는걸 알고 NASA 과학자들 식견이 넓어졌다고 합니다.
@joomkim9629
@joomkim9629 2 жыл бұрын
초점 어떻게 설정했나몰라요
@somblanket
@somblanket 2 жыл бұрын
꼭 성공하길 바랍니다
@ooinlee6527
@ooinlee6527 2 жыл бұрын
20:05 퀘이사는 별이 아닌데요. 오개념입니다. 너무 멀어서 볓처럼 보이는 은하 예요.
@user-rax146
@user-rax146 2 жыл бұрын
또하나 고마운건 미국이 쏘고 전세계 과학자들과 인간들이 그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미국이 그런 지위로부터 얻는것도 있긴 하지만 말이다. 그렇다 해도 저런데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 프로젝트를 끌고가서 인간이 할 수있는 고귀한 일을 할 수있도록 하고 전세계가 공유하는 것. 그것이 감동적이다.
@rcn810
@rcn810 2 жыл бұрын
기획,설계,제작,발사....모두 미국이 주도해서 실행하는거지만 그 비용을 모두 미국혼자 감당하는건 아닙니다.
@Evergreen319
@Evergreen319 2 жыл бұрын
@@rcn810 유럽 우주 에이전씨에서 700million pound, 캐나다 우주 에이전씨 200million canadian dollar, 미국 나사 10.8 US billion dollar. 미국서 90프로 이상 감당합니다. 미국이 혼자해도 될꺼 걍 캐나다와 유럽 참여하게 한듯.
@haepark5434
@haepark5434 2 жыл бұрын
미국은 대단한나라이고 한미동맹은 대한민국의 복인데 왜들 그렇게 싫어하나몰라( 뭐~~~ 극히 소수의의견이겠지만???)
@user-hy9ho4jr8e
@user-hy9ho4jr8e 2 жыл бұрын
현직 외계인입니다. 슈카님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user-iw8lc2cy9i
@user-iw8lc2cy9i 2 жыл бұрын
허블 망원경의 업적중에 또 하나가 별과 은하들의 거리를 관측할수 있었던것과 점점 서로간의 거리가 멀어진다것을 알게 된것도 있죠
@ragnaraw
@ragnaraw 2 жыл бұрын
24:03 여기서 망원경이 위치하는 점 L2는 태양과 지구의 라그랑주점, 태양중력-지구중력-망원경의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는 점이에요.
@gulim7446
@gulim7446 2 жыл бұрын
베라루빈 천문대랑 GMT는 더 기다려야 하는데 JWST는 진짜 발사 날짜 잡아서 기대가 됩니다 ㅋㅋㅋ 제발 성공해서 써먹는날 오면 좋겠따!
@mond4101
@mond4101 2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시절 지구과학도 이렇게 애기해줬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joonchung7078
@joonchung7078 2 жыл бұрын
슈카님 흥분 하셨네요^^ 저도 좋습니다.
@user-uu3fm1ss5c
@user-uu3fm1ss5c 2 жыл бұрын
넘 기대되네요
@peterpark592
@peterpark592 2 жыл бұрын
채팅중에 먼지라도 시켜주면 다행이라는 얘기 왤케 웃곀ㅋㅋㅋㅋㅋㅋ
@aghad
@aghad 2 жыл бұрын
이 형은 텐션 높아지는 주제가 있음 ㅋㅋㅋㅋㅋ
@wnsdyd0150
@wnsdyd0150 2 жыл бұрын
오~잘만들었다 30분짜리 다 봤네요
@BLUE_PHYSICS
@BLUE_PHYSICS 2 жыл бұрын
미러 소재가 베릴륨인데 가공하는데 위험하고 힘들어서 (독성 약품 사용)다시는 사용하지 않을꺼라는 이야기를 해주시더라고요.
@ht30
@ht30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형은 잡학다식 박사님 같애. 게임이야기 등등 할땐 탠션 무지 높음.
@choyonghyunify
@choyonghyunify 2 жыл бұрын
연료탱크의 단열재 파편이 콜롬비아호에 충돌한것은 발사 다음날 확인했으나 나사에서는 단열재와 같은 비중이 가벼운 물체가 큰 손상을 준다고는 판단하지 않았다네요. 결론은 충돌한건 알았으나 이정도야 대수롭지않게 여겼다네요. 파손이 있었는진 몰랐던거 같아요.
@worldofstatistics628
@worldofstatistics628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1 슈카 적립.
@heerim03
@heerim03 2 жыл бұрын
지구과학 서바이벌에서 배운적 있네요 ㅋㅋㅋ 플랑크, WMAP, COBE 망원경까지.. 추억이 새록새록 ㅋㅋ
@point-finger
@point-finger 2 жыл бұрын
슈카형 너무 재밌어ㅠㅠ
@clarkchoi537
@clarkchoi537 2 жыл бұрын
설명 너무 쉽고 재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근데 마난경 아니고 망원경!!!^^
@patek_lee
@patek_lee 2 жыл бұрын
진짜 우주 이야기는 언제 봐도 흥미진진 하지
지구를 지켜라! NASA 소행성 궤도 변경 성공
18:0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544 М.
인류는 무한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까
28:1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40 М.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초거대 입자가속기 충전 완료, 암흑물질을 찾아라
22:58
??? : 중국은 청나라 채권 갚아라
26:4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자본주의 천국 미국의 냉혹한 야수 펀드
18:23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42 М.
사우디-태국을 30년간 단절시킨 보석 절도 사건
22:0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40년간 이어지고 있는 실전 '보물찾기'
31:3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924 М.
4,500년 만에 피라미드 "비밀의 방"을 찾았다
20:14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박쥐와 두더쥐는 쥐인가
21:3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858 М.
Зу-зу Күлпәш.Түс (16 бөлім)
40:42
ASTANATV Movie
Рет қаралды 951 М.
ТЫ С МАМОЙ В БОЛЬНИЦЕ😂#shorts
0:53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Who will eat Nutella? 🥳 Challenge #shorts
0:18
Balashik show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Who'll eat the noodles faster? 😅🪳Mom VS Сockroach?
0:2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In old cartoons, you could not expect what happens next
0:41
MerryMemes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